KR20220042426A - 하의용 의료 - Google Patents

하의용 의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2426A
KR20220042426A KR1020227006984A KR20227006984A KR20220042426A KR 20220042426 A KR20220042426 A KR 20220042426A KR 1020227006984 A KR1020227006984 A KR 1020227006984A KR 20227006984 A KR20227006984 A KR 20227006984A KR 20220042426 A KR20220042426 A KR 202200424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cloth
inner fabric
garment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6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야 야다
하루카 오토모
히사요 사타케
Original Assignee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42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24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14Panti-hose; Body-stocking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6Trousers
    • A41D1/08Trousers specially adapted for sporting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1/00Corsets or girdl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15Sports garments other than provided for in groups A41D13/0007 - A41D13/088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02Lining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8Elastic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8Shaping the contour of the body or adjusting the fig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Undergarments, Swaddling Clothes, Handkerchiefs Or Underwear Material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Corsets Or Brassieres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 Inorganic Fibers (AREA)
  • Electrically Driven Valve-Operating Means (AREA)

Abstract

동작시에 있어서 움직임의 용이함을 저해하지 않고, 또한 무릎에 대한 선회 효과가 큰 하의용 의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하의용 의료는, 탄성사를 포함하고, 본체 옷감과 안쪽 옷감으로 구성되고, 본체 옷감의 내측에 안쪽 옷감이 겹쳐 있고, 안쪽 옷감의 적어도 일부는 본체 옷감과 접착되지 않은 이중 구조가 존재하는 하의용 의료로서, 안쪽 옷감의 제품에서의 종방향의 80% 신장시의 응력을 A로 하고, 안쪽 옷감의 제품에서의 횡방향의 80% 신장시의 응력을 B로 한 경우, 0.1 ≤ A/B < 1.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하의용 의료
본 발명은 하의용 의료(衣料)에 관한 것이다.
종래, 둔부 근육의 서포트나 보형성(保型性)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다양한 타입의 거들, 쇼츠, 하프 팬츠, 타이츠, 스패츠 등의 검토가 이루어져 왔다. 예컨대, 거들 본체에, 본체보다도 조이는 힘이 강한 부재를 부분적으로 배치하여, 근육 서포트 효과를 높인 거들이 제안되어 있다(이하의 특허문헌 1 참조). 마찬가지로 스포츠 타이츠, 컴프레션 웨어도 다수 제안되어 있다.
또한, 일상 생활에서 O 다리나 X 다리와 같이 바른 걸음걸이로 걸을 수 없으면, 무릎 관절에 부담이 가해져 근력의 저하나 무릎 통증으로도 이어진다.
이러한 O 다리 또는 X 다리를 교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의류도 많이 검토되고 있다. 예컨대, 의복 본체와 띠형상의 무릎 외측 서포트 부재를 가지며, 무릎 외측 서포트 부재를, 의복 본체를 구성하는 신축성 소재보다 신장 방향의 신장율이 낮은 저신축성 소재로 구성함으로써, O 다리나 X 다리를 교정하여 무릎의 통증을 경감하는 의복이 제안되어 있다(이하의 특허문헌 2 참조).
그러나, 동작시에 있어서 움직임의 용이함을 저해하지 않고, 또한 무릎에 대한 선회 효과가 큰 하의용 의료에 관해서는 검토되고 있지 않다.
특허문헌 1 : 일본특허공개 제2004-300619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특허공개 제2019-081986호 공보
상기 종래 기술을 감안하여,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동작시에 있어서 움직임의 용이함을 저해하지 않고, 또한 무릎에 대한 선회 효과가 큰 하의용 의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하여 실험을 거듭한 결과, 제1 본 발명을 완성했다.
즉, 제1 본 발명은 이하와 같다.
[1] 탄성사를 포함하고, 본체 옷감과 안쪽 옷감으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 옷감의 내측에 상기 안쪽 옷감이 겹쳐 있고, 상기 안쪽 옷감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본체 옷감과 접착되지 않은 이중 구조가 존재하는 하의용 의료(衣料)로서, 상기 안쪽 옷감의 제품에서의 종방향의 80% 신장시의 응력을 A로 하고, 상기 안쪽 옷감의 제품에서의 횡방향의 80% 신장시의 응력을 B로 한 경우, 0.1 ≤ A/B <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의용 의료.
[2] 0.1 ≤ A/B < 0.5인, [1]에 기재된 하의용 의료.
[3] 상기 본체 옷감의 제품에서의 횡방향의 50% 신장시의 응력을 C로 하고, 상기 안쪽 옷감의 횡방향의 50% 신장시의 응력을 D로 한 경우, 1.6 < D/C ≤ 10인, [1] 또는 [2]에 기재된 하의용 의료.
[4] 1.6 < D/C ≤ 6.0인, [3]에 기재된 하의용 의료.
[5] 1.6 < D/C ≤ 4.0인, [4]에 기재된 하의용 의료.
[6] 스포츠 의료인, [1]∼[5]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하의용 의료.
또한,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하여 실험을 거듭한 결과, 제2 본 발명을 완성했다.
즉, 제2 본 발명은 이하와 같다.
<1> 탄성사를 포함하고, 본체 옷감과 안쪽 옷감으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 옷감의 내측에 상기 안쪽 옷감이 겹쳐 있고, 상기 안쪽 옷감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본체 옷감과 접착되지 않은 이중 구조가 존재하는 하의용 의료(衣料)로서, 상기 안쪽 옷감의 종방향 중앙선이, 하의용 의료의 측부에 있어서, 대전자(大轉子) 상당부보다 종방향 하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의용 의료.
<2> 상기 안쪽 옷감의 상단부가, 하의용 의료의 측부에 있어서, 상기 대전자 상당부보다 종방향 하측에 위치하는, <1>에 기재된 하의용 의료.
<3> 상기 하의용 의료의 측부에서의 상기 안쪽 옷감의 상단부와 상기 대전자 상당부의 최단 거리가 0 cm∼10 cm인, <1> 또는 <2>에 기재된 하의용 의료.
<4> 하의 배면(背面)에서의 상기 안쪽 옷감의 측단부의 80% 이상이, 대퇴부에서 상기 본체 옷감과 접착되어 있는, <1>∼<3>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하의용 의료.
<5> 하의용 의료 전면(前面)에서의 안쪽 옷감의 측단부의 종방향 최상점을 A로 하고, 하의용 의료 측부에서의 안쪽 옷감의 종방향 최상점을 B로 하고, 하의용 의료 배면에서의 안쪽 옷감의 측단부의 종방향 최상점을 C로 한 경우, 종방향의 높이가 A > B > C인, <1>∼<4>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하의용 의료.
<6> 상기 안쪽 옷감이, 하의용 의료 전면에 있어서, 가랑이부를 포함하는 하의용 의료 종방향과 수직인 평면보다 종방향 상측에 있어서 상기 본체 옷감과 접착되어 있는, <5>에 기재된 하의용 의료.
<7> 하의용 의료 전면에서의 안쪽 옷감의 측단부의 종방향 최상점을 A로 하고, 하의용 의료 측부에서의 안쪽 옷감의 종방향 최상점을 B로 하고, 하의용 의료 배면에서의 안쪽 옷감의 측단부의 종방향 최상점을 C로 한 경우, 종방향의 높이가 B > A이고 또한 B > C인, <1>∼<4>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하의용 의료.
<8> 하의 전면에서의 상기 안쪽 옷감의 측단부의 80% 이상이, 대퇴부에서 상기 본체 옷감과 접착되어 있는, <7>에 기재된 하의용 의료.
본 발명의 하의용 의료는, 동작시에 있어서 움직임의 용이함을 저해하지 않고, 또한 무릎에 대한 선회 효과가 우수하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하의용 의료의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중, 굵은 실선은 봉제에 의해 접착되어 있는 개소를 나타낸다(이하의 도 2 동일).
도 2는 본 실시형태의 하의용 의료의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의 하의용 의료의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중, 굵은 실선은 봉제에 의한 접착되어 있는 개소를, 그리고 굵은 점선은 본딩에 의해 접착되어 있는 개소를 나타낸다(이하의 도 4∼11 동일).
도 4는 본 실시형태의 하의용 의료의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의 하의용 의료의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실시형태의 하의용 의료의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실시형태의 하의용 의료의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실시형태의 하의용 의료의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실시형태의 하의용 의료의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실시형태의 하의용 의료의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실시형태의 하의용 의료의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실시형태의 하의용 의료의 효과를 검증할 때의 측정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1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제1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제1 본 발명의 하의용 의료는, 탄성사를 포함하고, 본체 옷감과 안쪽 옷감으로 구성되고, 본체 옷감의 내측에 안쪽 옷감이 겹쳐 있고, 안쪽 옷감의 적어도 일부는 본체 옷감과 접착되지 않은 이중 구조가 존재하는 하의용 의료로서, 안쪽 옷감의 제품에서의 종방향의 80% 신장시의 응력을 A로 하고, 안쪽 옷감의 제품에서의 횡방향의 80% 신장시의 응력을 B로 한 경우, 0.1 ≤ A/B < 1.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본 발명의 하의용 의료는, 본체 옷감의 내측에 안쪽 옷감을 겹치고, 또한 안쪽 옷감에서의 제품 종방향과 횡방향의 80% 신장 응력의 비(A/B)가 소정의 범위에 있음으로써, 동작시에 있어서, 안쪽 옷감이 피부의 신전에 추종하여, 동작을 저해하지 않기 때문에 움직임이 용이하고, 또한 효율적으로 외선력 또는 내선력을 신체에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무릎에 대한 선회 효과가 크다. 이 때문에, O 다리나 X 다리에 대한 교정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본 발명의 하의용 의료를 착용함으로써 보행 보조 효과가 우수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하의용 의료는, 스포츠용 하프 팬츠, 스포츠용 타이트, 중노년이나 고령자용 팬츠 등에 적합하게 적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하의용 의료는, 스포츠 의료, 즉, 스포츠용 하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은 효과를 보다 실효적인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하의용 의료를 주로 구성하는 본체 옷감은 비탄성사를 포함해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하의용 의료를 주로 구성하는 본체 옷감에 사용되는 비탄성사에 특별히 제한은 없고, 예컨대 폴리아미드계 섬유,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아크릴계 섬유, 폴리프로필렌계 섬유, 염화비닐계 섬유 등의 화학 합성 섬유를 이용할 수 있다. 화학 합성 섬유의 섬도로는 20 dtex∼200 dtex의 섬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비탄성사는 필라멘트사 또는 방적사의 어느 것이라도 좋다.
필라멘트사의 형태는 원사(미가공사), 가연 가공사, 선염사 등의 어느 것이라도 좋으며, 또한 이들의 복합사라도 좋다. 복합사는, 에어 혼섬, 합연, 커버링, 가연 혼섬 등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필라멘트사의 단면 형상은 ○, △, 십자형, W형, M형, C형, I형, 도그본형, 중공사 등 특별히 제한은 없다.
방적사의 형태는 단독 또는 혼방된 것 등 어느 것이라도 좋다. 혼방 방법에 있어서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필링이 발생하기 어려운 MVS 방식으로 얻어지는 방적사가 바람직하다.
비탄성사에는 브라이트사(bright yarn), 세미덜사(semi-dull yarn), 풀덜사(full dull yarn) 등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비탄성사의 일부에 셀룰로오스 섬유를 이용해도 좋다. 셀룰로오스 섬유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큐프라, 레이온, 죽섬유, 코튼, 모달, 텐셀을 사용할 수 있다.
셀룰로오스 섬유는, 필라멘트사의 형태에서는, 원사(미가공사), 가연 가공사, 선염사 등의 어느 것이라도 좋고, 전술한 복합사라도 좋다. 또한, 셀룰로오스 섬유가 방적사인 형태에서는, 단독 또는 혼방된 것 등 어느 것이라도 좋다.
셀룰로오스 섬유로는 바람직하게는 큐프라 섬유이다. 사용하는 셀룰로오스 섬유의 섬도는, 필라멘트사의 경우, 30 dtex∼200 dtex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dtex∼170 dtex,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dtex∼120 dtex이다. 또한, 방적사의 경우, 60번∼30번의 방적사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번∼40번이다. 셀룰로오스 섬유를 혼용함으로써, 그 흡습성에 의해, 착용감이 우수하고, 제전성(制電性)도 우수하며, 굽힘 유연성이 우수한 하의용 의료를 얻을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하의용 의료는, 하의용 의료를 구성하는 본체 옷감에는 탄성사가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하의용 의료의 본체 옷감에 일부 배치되는 탄성사는, 파단 신도 100% 이상의 섬유를 가리킨다. 탄성사의 폴리머나 방사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폴리우레탄 탄성사(스판덱스 또는 스판덱스 섬유라고도 한다.), 폴리에테르·에스테르 탄성사, 폴리아미드 탄성사, 폴리올레핀 탄성사를 들 수 있고, 예컨대 폴리우레탄 탄성사에서는 건식 방사 또는 용융 방사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 탄성사에 비탄성사를 피복하여 커버링 상태로 한 것이라도 좋다. 또한, 천연 고무, 합성 고무, 반합성 고무로 이루어진 사상(絲狀)인 소위 고무사 등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신축성이 우수하고, 일반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폴리우레탄 탄성사가 적합하다. 그 중에서도, 폴리우레탄 폴리머를 구성하는 디올 성분이 측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측쇄가 메틸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동일 탄소 상에 메틸기를 2개 갖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탄성사의 파단 신도는, 옷감에 양호한 신축성을 부여한다는 관점에서, 400%∼10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단 신도는 JIS L1013 8.5.1 인장 강도 및 신장율에 기재된 방법으로 측정되는 값이다.
탄성사는, 염색 가공시의 프리셋트 공정에서의 통상의 처리 온도인 180℃ 근방에서 신축성을 손상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특수 폴리머나 분체가 첨가된, 높은 셋트성, 소취성, 항균성, 흡습성, 흡수성 등의 기능성을 갖는 탄성사도 사용 가능하다. 탄성사의 섬도에 관해서는, 10 dtex∼700 dtex(데시텍스, 이하 동일한 기호를 사용한다) 정도인 섬유의 사용이 가능하고, 탄성사로 루핑을 행하는 경우는, 12 dtex∼250 dtex 정도인 탄성사의 사용이 바람직하고, 라셀 편기를 사용하여 탄성사의 삽입 편성을 행하는 경우는, 70 dtex∼700 dtex인 탄성사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하의용 의료를 주로 구성하는 본체 옷감으로는, 직물 또는 편물이 이용되며, 아이템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된다. 신축성의 관점에서는 편물이 바람직하다.
경편의 경우는, 라셀 편기 또는 트리코트 편기에 의해, 탄성사가 삽입 또는 루핑되어 있는 조직이 적합하게 이용된다. 라셀 조직에서는 6 코스 새틴, 4 코스 새틴, 6 코스 튤, 트리코네트 등 굵은 스판덱스 섬유를 삽입한 조직이 적합하게 이용되며, 스판덱스를 2 라인 삽입하여, 종횡으로 늘어남을 갖는 조직이 착용감의 관점에서 특히 바람직하다. 트리코트에서는 하프 트리코트, 더블 스티치, 아틀라스 조직 등이 신축성이 좋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환편의 경우는, 탄성사가 루핑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 옷감으로는 탄성 섬유를 엮은 직물도 적합하게 이용된다.
본체 옷감의 평량으로는 50∼400 g/㎡인 옷감이 적합하게 이용된다.
본 실시형태의 본체 옷감은, 일반 소비자용 제품으로는 횡방향의 50% 신장시의 응력이 0.3 N∼3 N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3 N∼2.5 N,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N∼1.5 N이다. 신장 응력의 측정은, 텐실론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10 cm의 파지 간격으로 파지한 2.5 cm 폭의 옷감을 인장 속도 300 mm/분으로 신장하여, 신장율이 50%인 응력을 판독한다. 본체 옷감의 횡방향의 50% 신장시의 응력이 3 N 이하인 경우에는 착용시의 조임이 지나치게 강하지 않아 쾌적하다. 한편, 본체 옷감의 횡방향의 50% 신장시의 응력이 0.3 N 이상이면, 착용감을 높이고, 동작시 등의 몸의 진동을 제어하기 쉬워진다. 또한, 근육량이 많은 운동 선수 등을 위한 제품으로는, 본체 옷감은, 횡방향의 50% 신장시의 응력이 0.3 N∼5 N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3 N∼4.5 N,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N∼4.0 N이다.
또한, 본체 옷감의 종방향의 50% 신장시의 응력은 0.3 N∼4 N이 바람직하다. 종방향의 50% 신장시의 응력이 4 N 이하이면, 앉는다, 웅크리고 앉는다 등의 동작시의 동작 추종성이 높아진다. 한편, 0.3 N 이상이면, 착용감을 높이고, 동작시 등의 몸의 진동을 제어하기 쉬워진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횡방향」이란, 하의용 의료 제품에서의 주위 방향(착용시의 인체 주위 방향)을 가리키고, 「종방향」이란, 하의용 의료 제품에서의 상하 방향(착용시의 인체 신장 방향)을 가리킨다.
거들이나 쇼츠 등의 속옷에 이용하는 경우, 다리측의 옷단은, 드론사(drawn thread)로 형성되는 헴 조직이나, 절단면의 실의 풀림이나 컬이 없어, 절단한 상태 그대로(아무런 처리없이) 사용할 수 있는 프리컷트 조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을 이용함으로써, 단부에 봉제를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단부가 두꺼워지는 것을 방지하여, 피부에 닿아 피부에 흔적이 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겉옷에 라인이 생기지 않아 심미성이 우수하다. 프리컷트 소재로는, 예컨대 열융착하기 쉬운 타입의 폴리우레탄과 비탄성 섬유의 혼용 소재가 적합하게 이용되며, 상기 비탄성사로는 나일론이나 폴리에스테르가 적합하게 이용된다.
본 실시형태의 하의용 의료는, 본체 옷감의 내측(착용시의 인체측)에, 안쪽 옷감이 겹쳐진 이중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안쪽 옷감으로는, 직물 또는 편물이 이용되고, 제품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되지만, 신축성의 관점에서는 편물이 바람직하다. 경편의 경우는, 라셀 편기 또는 트리코트 편기에 의해, 탄성사가 삽입 또는 루핑되어 있는 조직이 적합하게 이용된다. 라셀 조직에서는, 6 코스 새틴, 4 코스 새틴, 6 코스 튤, 트리코네트 등, 굵은 스판덱스 섬유를 삽입한 조직이 적합하게 이용되고, 스판덱스를 2 라인 삽입하여, 종횡으로 늘어남을 갖는 조직이 착용감의 관점에서 특히 바람직하다. 자카드 라셀에서, 안쪽 옷감의 패널 내에서 옷감의 신장 응력에 차이가 있어도 좋다. 트리코트 조직에서는, 하프 트리코트, 더블 스티치, 아틀라스 조직 등이 신축성이 좋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환편의 경우는, 탄성사가 루핑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직물로는, 탄성 섬유를 짜넣은 직물이 적합하게 이용된다. 안쪽 옷감의 평량으로는 50∼400 g/㎡인 옷감이 적합하게 이용된다.
본 실시형태의 안쪽 옷감에 있어서, 외선력 또는 내선력을 효율적으로 작용하게 하는 관점에서, 안쪽 옷감이 둔부를 덮는 면적은, 둔부의 면적의 6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 중 「둔부」란, 인체 좌우의 옆구리쪽과 능상평면(허리부)으로부터 엉덩이 홈까지의 영역을 말한다. 안쪽 옷감이 둔부 면적의 60% 이하이면, 착용시에 안쪽 옷감의 신장 밸런스에 변화가 생기기 쉽고, 대퇴부를 외측 또는 내측으로 끌어당기는 힘이 강해져 효과적이며, 50% 이하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둔부를 덮는 면적이 일정 이상이면 안쪽 옷감이 늘어날 때에 몸에 먹어들어가는 일이 없고, 신장시에 의한 착압도 낮기 때문에, 착용감이 좋다. 이 때문에, 안쪽 옷감은 둔부의 적어도 10% 이상을 덮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대퇴 상부를 덮는 경우는, 엉덩이 홈으로부터 하퇴 방향을 향해 10 cm 이내의 부분을 덮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쪽 옷감의 제품 종방향의 폭은 5 cm∼20 cm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 cm∼18 cm이다. 안쪽 옷감의 종방향의 폭이 5 cm 이상이면, 신체에 대하여 충분한 피복 면적이 있고, 옷감이 신장될 때의 신장력이 신체에 가해지기 쉬워, 외선 효과 혹은 내선 효과를 발휘하기 쉽다. 한편, 안쪽 옷감의 종방향의 폭이 20 cm 이하이면, 착용시에 안쪽 옷감의 신장 밸런스에 변화가 생기기 쉽고, 대퇴부를 외측 또는 내측으로 끌어당기는 힘이 강해져, 외선 효과 혹은 내선 효과를 발휘하기 쉽다.
본 실시형태의 하의용 의료의 안쪽 옷감은 본체 옷감의 내측에 배치되며, 적어도 일부가 본체 옷감과 접착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여기서 「접착되지 않은」이란, 옷감끼리 봉제나 본딩 등의 수단에 의해 항상 밀착, 고정화되어 있지 않고, 옷감이 떠 있다는 것을 말한다.
신장시의 응력이 본체 옷감의 1.6배 초과 10배 이하인 안쪽 옷감의 적어도 일부를, 본체 옷감과 접착시키지 않고 본체 옷감과 겹침으로써, 또한 안쪽 옷감의 적어도 일부가 접착되어 있지 않음으로써, 착용·정지시에는 전방부측으로부터 둔부측에 걸쳐 안쪽 옷감의 신장 밸런스가 변하는 것에 의해, 대퇴부를 외측 또는 내측으로 끌어당기는 힘이 생긴다.
또한 보행시에는, 움직임에 맞춰 안쪽 옷감이 틀어져, 전방부측으로부터 둔부측에 걸쳐 안쪽 옷감의 신장 밸런스가 정지시보다 크게 변하는 것에 의해, 대퇴부를 더욱 외측 또는 내측으로 끌어당기는 힘이 생긴다. 이 대퇴부를 끌어당기는 효과에 의해, 하퇴부로의 외선력 혹은 내선력이 발생하여, 다리를 벌리거나 혹은 오므리는 힘이 발생한다. 이 작용에 의해 보폭이나 보행 스피드의 상승으로 이어진다고 생각된다. 또한, X 다리에 대하여 외선력을, O 다리에 대하여 내선력을 작용하게 함으로써, 대퇴골의 정상적인 방향으로의 위치 교정이 이루어져, 보행 등의 입각(立脚)시에 다리가 나가기 쉬워지므로, 더욱 보폭이나 보행 스피드의 상승으로 이어진다고 생각된다.
특히, 안쪽 옷감의 적어도 일부가 본체 옷감에 접착하지 않은 것에 의해, 본체 옷감과는 독립적으로(추종하지 않고) 항상 안쪽 옷감으로 다리 표면을 인장함으로써 다리를 선회시키는 효과가 얻어진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의 하의용 의료는, 안쪽 옷감의 제품에서의 종방향의 80% 신장시의 응력을 A로 하고, 상기 안쪽 옷감의 제품에서의 횡방향의 80% 신장시의 응력을 B로 한 경우, 0.1 ≤ A/B < 1.0이며, 0.1 ≤ A/B < 0.7인 것이 바람직하고, 0.1 ≤ A/B < 0.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1 ≤ A/B < 0.3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하의용 의료는, 본체 옷감의 내측에 안쪽 옷감을 겹치고, 또한 안쪽 옷감에서의 제품 종방향과 횡방향의 80% 신장 응력의 비가 소정의 범위에 있는, 구체적으로는, 안쪽 옷감에 있어서 종방향을 횡방향보다 신장하기 쉽게 함으로써, 동작시에 있어서, 안쪽 옷감이 피부의 신전에 추종하여, 동작을 저해하지 않기 때문에 움직임이 용이하고, 또한 효율적으로 외선력 또는 내선력을 신체에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무릎에 대한 선회 효과가 크다.
이 때문에, O 다리나 X 다리에 대한 교정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본 발명의 하의용 의료를 착용함으로써 보행 보조 효과가 우수하다.
본 실시형태의 하의용 의료에 있어서, 본체 옷감의 제품에서의 횡방향의 50% 신장시의 응력을 C로 하고, 상기 안쪽 옷감의 횡방향의 50% 신장시의 응력을 D로 한 경우, 1.6 < D/C ≤ 10인 것이 바람직하고, 1.6 < D/C ≤ 8.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6 < D/C ≤ 6.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6 < D/C ≤ 4.0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고, 1.6 < D/C ≤ 3.0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체 옷감의 횡방향의 50% 신장시의 응력 C와, 안쪽 옷감의 횡방향의 50% 신장시의 응력 D의 비가 소정의 범위에 있는, 구체적으로는, 횡방향에 있어서 안쪽 옷감을 본체 옷감보다 신장하기 어렵게 함으로써, 동작시에 안쪽 옷감이 다리를 인장하는 것에 의해 효율적으로 외선력 또는 내선력을 신체에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무릎에 대한 선회 효과가 보다 큰 것이 된다.
다만, 안쪽 옷감의 횡방향의 신장시의 응력이 지나치게 크면, 착용시의 조임이 강해져, 쾌적성이 저하되어 버린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하의용 의료에서는, 안쪽 옷감에 있어서 횡방향의 신장 응력을 크게, 즉 신장하기 어렵게 하고, 종방향의 신장 응력을 작게, 즉 신장하기 쉽게 함으로써, 다리를 인장하여 외선 또는 내선시키는 효과와, 동작시 움직임의 용이함을 양립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본체 옷감과 안쪽 옷감에서의, 횡방향의 신장 응력과 종방향의 신장 응력의 관계성은, 예컨대, 본체 옷감은, 경편 옷감의 경방향을 횡방향으로 이용하고(반대로 사용), 안쪽 옷감은, 경편 옷감의 경방향을 종방향으로 이용하는 것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하의용 의료에서의 바람직한 각 부재의 배치의 예를, 도 1∼도 2에 나타낸다.
도 1에 있어서는, 허리부로부터 둔부 하부를 덮도록 안쪽 옷감이 배치되어 있다. 이 옷감의 배치에 있어서는, 착용시에 안쪽 옷감의 허리부로부터 둔부에서의 신장량이, 둔부 하부에 대응하는 부위의 옷감의 신장량보다 커지므로, 안쪽 옷감이 둔부 하부 방향으로 인장되는 것에 의해, 대퇴부를 외측으로 인장하는 힘(외선력)이 발생함으로써, 다리를 외선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2에 있어서는, 대퇴 밑동부 혹은 서혜부로부터 둔부 상부 혹은 엉덩이 홈∼태퇴 상부에 있어서 안쪽 옷감이 배치되어 있다. 이 옷감의 배치에 있어서는, 착용시에 배면부에 대응하는 안쪽 옷감의 신장량보다 전면부에 대응하는 안쪽 옷감의 신장량이 커지므로, 안쪽 옷감이 전면측으로 인장되는 것에 의해, 대퇴부를 내측으로 인장하는 힘(내선력)이 발생함으로써, 다리를 내선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하의용 의료는, 안쪽 옷감의 전체 면적에 대하여, 상기 안쪽 옷감의 본체 옷감과 접착하지 않은 부분의 면적률이 7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이다. 상기 면적률이 70% 이상이면, 본체 옷감과 안쪽 옷감이 상이한 움직임을 하기 쉬워져, 다리부의 교정 효과를 얻기 쉽다.
접착은 안쪽 옷감의 몇 개의 단부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컨대 상단부, 하단부, 측단부(안쪽 옷감의 좌우의 단부, 크로치부와의 접착부, 전면 패널(복부 누름 패널 또는 패널이라고도 한다)과의 접착부를 총칭하여 측단부라고 한다. 도 1 참조.)을 들 수 있다. 안쪽 옷감의 단부 중, 20%∼70%는 접착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고, 접착되지 않는 부위는 안쪽 옷감의 하단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안쪽 옷감의 하단부 전체 길이에 대한, 상기 안쪽 옷감의 본체 옷감과 접착하지 않은 단부의 비율이 20%∼100%이면, 전방부측으로부터 둔부측 또는 배면측에 걸쳐, 안쪽 옷감의 신장 밸런스에 변화가 생기기 쉽고, 대퇴부를 외측 또는 내측으로 끌어당기는 힘이 강해지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접착되는 부분과 접착되지 않는 부분은 연속해 있어도 좋고 불연속이어도 좋다. 또, 웨이스트부에는 웨이스트 고무가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거들 등으로 전면에 복부 누름 패널이 설치되는 경우에는, 안쪽 옷감의 측단부는 패널의 좌우 일부에 각각 접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패널의 제품 종방향의 폭은 5 cm∼20 cm가 바람직하고, 안쪽 옷감이 전면 패널의 한쪽에 접착되고, 뒤쪽 중심을 통과하고, 다른 한쪽의 전면 패널에 접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선력을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평평하게 놓았을 때의 하의용 의료 전면에 있어서, 상기 안쪽 옷감의 측단부의 접착부의 70% 이상이, 가랑이부보다 5 cm 위의 점을 지나는 수평선보다 상부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랑이부란, 도 1에서 나타내는 하의 하부에서의 2개로 나뉘는 정점을 나타낸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쪽 옷감의 양단의 굵은 실선으로 나타낸 부분이 측단부의 접착부이고, 이 굵은 실선의 70%가 상기 가랑이부의 5 cm 위의 점을 지나는 수평선보다 상부에 위치하고 있으면, 외선력이 발생하기 쉽다.
또한, 내선력을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평평하게 놓았을 때의 하의용 의료 전면에 있어서, 상기 안쪽 옷감의 측단부의 접착부의 70% 이상이, 가랑이부보다 5 cm 위의 점을 지나는 수평선보다 하부에 접착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쪽 옷감의 양끝의 굵은 실선으로 나타낸 부분이 측단부의 접착부이며, 이 굵은 실선의 70%가 상기 가랑이부의 5 cm 위의 점을 지나는 수평선보다 하부에 위치하고 있으면, 내선력이 발생하기 쉽다.
안쪽 옷감의 단부가 가랑이부 위쪽 5 cm의 영역보다 상부에 있는 경우는, 전면에서의 안쪽 옷감의 신장은 배면에 비해서 작아지고, 하부에 있는 경우는, 전면에서의 안쪽 옷감의 신장은 배면에 비해서 커지므로, 각각 착용시에 외선력과 내선력이 발생하게 된다.
접착은 봉제, 본딩 등이 가능하지만, 옷감의 늘어남을 손상하지 않는 방법이 바람직하고, 봉제라면 트윈 니들 스티치나 지그재그 스티치가 바람직하고, 본딩에서는 폭 0.5 cm∼1.5 cm로 접착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딩에 의한 접착은, 봉제의 경우와 비교하여 접착부의 단차가 해소되기 때문에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안쪽 옷감에 프리컷트 소재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서도, 단부의 단차가 해소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하의용 의료의 둔부의 착압은 5 hPa∼20 hPa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8 hPa∼18 hPa이다. 둔부의 착압이란, 둔부의 둘레 직경의 가장 큰 위치에서의 좌우의 산의 정점(힙톱)에서의 착압의 좌우 평균을 말하며, M 사이즈의 하의용 의료에서는 M 사이즈의 표준 체형의 마네킨에 장착시켜 에어팩식 착압계로 계측된다. 또한, L 사이즈의 하의용 의료에서는 L 사이즈의 표준 체형 마네킨에 장착시켜 계측된다. 둔부의 착압이 5 hPa 이상이면, 착압이 충분히 크고, 동작시의 요동을 억제하는 효과가 높아져 바람직하다. 한편, 둔부의 착압이 20 hPa 이하이면, 압박감을 경감할 수 있어 착용 괘적성이 높아진다.
운동 선수용 하의용 의료는, 약간 강한 착압으로 하는 것이 운동 퍼포먼스의 서포트라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고, 둔부의 착압은 10 hPa∼20 hPa가 바람직하다. 또한, 운동 선수용 하의용 의료의 경우, 땀 처리의 관점에서 본체 옷감 또는 안쪽 옷감에 사용하는 비탄성사는 폴리에스테르계 섬유가 바람직하다.
고령자용 하의용 의료는, 약간 약한 착압으로 착용 용이성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고, 둔부의 착압은 5 hPa∼15 hPa가 바람직하다. 둔부의 착압이 상기 범위에 있음으로써, 착용 용이성이 향상된다.
안쪽 옷감은, 하프 팬츠나 컴프레션 웨어의 다리 부분에도 겹칠 수 있으며, 대퇴의 요동, 장딴지의 요동을 억제할 수 있다.
<제2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제2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형태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제2 본 발명의 하의용 의료는, 탄성사를 포함하는 본체 옷감과 안쪽 옷감으로 구성되고, 본체 옷감의 내측에 상기 안쪽 옷감이 겹쳐 있고, 상기 안쪽 옷감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본체 옷감과 접착되지 않은 이중 구조가 존재하는 하의용 의료로서, 안쪽 옷감의 종방향 중앙선이, 하의용 의료의 측부에 있어서, 대전자 상당부보다 종방향 하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 본 발명의 하의용 의료는, 본체 옷감의 내측에 안쪽 옷감을 겹치고, 대전자의 하측에 종방향 중앙선이 위치하도록 안쪽 옷감을 배치함으로써, 대퇴골에 있어서 대전자에 보다 가까운 위치에 조이는 힘을 가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효율적으로 외선력 또는 내선력을 신체에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무릎에 대한 선회 효과가 크다. 이 때문에, O 다리나 X 다리에 대한 교정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또한 하지가 적정하게 선회함으로써, 골반의 위치를 정확한 위치에 안정시키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의용 의료를 착용함으로써 보행 보조 효과가 우수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하의용 의료는, 스포츠용 하프 팬츠, 스포츠용 타이트, 중노년이나 고령자용 팬츠, 어린이용 유니폼이나 하의, 산부용 보정 하의 등에 적합하게 적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하의용 의료는, 스포츠 의료, 즉, 스포츠용 하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은 효과를 보다 실효적인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하의용 의료를 주로 구성하는 본체 옷감은 비탄성사를 포함해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하의용 의료를 주로 구성하는 본체 옷감에 사용되는 비탄성사에 특별히 제한은 없고, 예컨대, 폴리아미드계 섬유,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아크릴계 섬유, 폴리프로필렌계 섬유, 염화비닐계 섬유 등의 화합섬을 이용할 수 있다. 화합섬의 섬도로는 20 dtex∼200 dtex의 섬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비탄성사는 필라멘트사 또는 방적사의 어느 것이라도 좋다.
필라멘트사의 형태는 원사(미가공사), 가연 가공사, 선염사 등의 어느 것이라도 좋으며, 또한 이들의 복합사라도 좋다. 복합사는, 에어 혼섬, 합연, 커버링, 가연 혼섬 등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필라멘트사의 단면 형상은 ○, △, 십자형, W형, M형, C형, I형, 도그본형, 중공사 등 특별히 제한은 없다.
방적사의 형태는 단독 또는 혼방된 것 등 어느 것이라도 좋다. 혼방 방법에 있어서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필링이 발생하기 어려운 MVS 방식으로 얻어지는 방적사가 바람직하다.
비탄성사에는 브라이트사(bright yarn), 세미덜사(semi-dull yarn), 풀덜사(full dull yarn) 등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비탄성사의 일부에 셀룰로오스 섬유를 이용해도 좋다. 셀룰로오스 섬유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큐프라, 레이온, 죽섬유, 코튼, 모달, 텐셀을 사용할 수 있다.
셀룰로오스 섬유는, 필라멘트사의 형태에서는, 원사(미가공사), 가연 가공사, 선염사 등의 어느 것이라도 좋고, 전술한 복합사라도 좋다. 또한, 셀룰로오스 섬유가 방적사인 형태에서는, 단독 또는 혼방된 것 등 어느 것이라도 좋다.
셀룰로오스 섬유로는 바람직하게는 큐프라 섬유이다. 사용하는 셀룰로오스 섬유의 섬도는, 필라멘트사의 경우, 30 dtex∼200 dtex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dtex∼170 dtex,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dtex∼120 dtex이다. 또한, 방적사의 경우, 60번∼30번의 방적사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번∼40번이다. 셀룰로오스 섬유를 혼용함으로써, 그 흡습성에 의해, 착용감이 우수하고, 제전성(制電性)도 우수하며, 굽힘 유연성이 우수한 하의용 의료를 얻을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하의용 의료는, 하의용 의료를 구성하는 본체 옷감에는 탄성사가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하의용 의료의 본체 옷감에 일부 배치되는 탄성사는, 파단 신도 100% 이상의 섬유를 가리킨다. 탄성사의 폴리머나 방사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폴리우레탄 탄성사(스판덱스 또는 스판덱스 섬유라고도 한다.), 폴리에테르·에스테르 탄성사, 폴리아미드 탄성사, 폴리올레핀 탄성사를 들 수 있고, 예컨대 폴리우레탄 탄성사에서는 건식 방사 또는 용융 방사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 탄성사에 비탄성사를 피복하여 커버링 상태로 한 것이라도 좋다. 또한, 천연 고무, 합성 고무, 반합성 고무로 이루어진 사상(絲狀)인 소위 고무사 등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신축성이 우수하고, 일반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폴리우레탄 탄성사가 적합하다. 그 중에서도, 폴리우레탄 폴리머를 구성하는 디올 성분이 측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측쇄가 메틸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동일 탄소 상에 메틸기를 2개 갖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탄성사의 파단 신도는, 옷감에 양호한 신축성을 부여한다는 관점에서, 400%∼10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단 신도는 JIS L1013 8.5.1 인장 강도 및 신장율에 기재된 방법으로 측정되는 값이다.
탄성사는, 염색 가공시의 프리셋트 공정에서의 통상의 처리 온도인 180℃ 근방에서 신축성을 손상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특수 폴리머나 분체가 첨가된, 높은 셋트성, 소취성, 항균성, 흡습성, 흡수성 등의 기능성을 갖는 탄성사도 사용 가능하다. 탄성사의 섬도에 관해서는, 10 dtex∼700 dtex(데시텍스, 이하 동일한 기호를 사용한다) 정도인 섬유의 사용이 가능하고, 탄성사로 루핑을 행하는 경우는, 12 dtex∼250 dtex 정도인 탄성사의 사용이 바람직하고, 라셀 편기를 사용하여 탄성사의 삽입 편성을 행하는 경우는, 70 dtex∼700 dtex인 탄성사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하의용 의료를 주로 구성하는 본체 옷감으로는, 직물 또는 편물이 이용되며, 아이템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된다. 신축성의 관점에서는 편물이 바람직하다.
경편의 경우는, 라셀 편기 또는 트리코트 편기에 의해, 탄성사가 삽입 또는 루핑되어 있는 조직이 적합하게 이용된다. 라셀 조직에서는 6 코스 새틴, 4 코스 새틴, 6 코스 튤, 트리코네트 등 굵은 스판덱스 섬유를 삽입한 조직이 적합하게 이용되며, 스판덱스를 2 라인 삽입하여, 종횡으로 늘어남을 갖는 조직이 착용감의 관점에서 특히 바람직하다. 트리코트에서는 하프 트리코트, 더블 스티치, 아틀라스 조직 등이 신축성이 좋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환편의 경우는, 탄성사가 루핑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 옷감으로는, 탄성 섬유를 짜넣은 직물도 적합하게 이용되고, 특히 경사, 위사 양쪽 모두에 탄성 섬유를 짜넣은 직물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본체 옷감은, 일반 소비자용 제품으로는 횡방향의 50% 신장시의 응력이 0.3 N∼3 N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3 N∼2.5 N,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N∼1.5 N이다. 신장 응력의 측정은, 텐실론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10 cm의 파지 간격으로 파지한 2.5 cm 폭의 옷감을 인장 속도 300 mm/분으로 신장하여, 신장율이 50%인 응력을 판독한다. 본체 옷감의 횡방향의 50% 신장시의 응력이 3 N 이하인 경우에는 착용시의 조임이 지나치게 강하지 않아 쾌적하다. 한편, 본체 옷감의 횡방향의 50% 신장시의 응력이 0.3 N 이상이면, 보정 효과가 높아진다. 또한, 근육량이 많은 운동 선수 등을 위한 제품으로는, 본체 옷감은, 횡방향의 50% 신장시의 응력이 0.3 N∼5 N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3 N∼4.5 N,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N∼4.0 N이다.
또한, 본체 옷감의 종방향의 50% 신장시의 응력은 0.3 N∼4 N이 바람직하다. 종방향의 50% 신장시의 응력이 4 N 이하이면, 앉는다, 웅크리고 앉는다 등의 동작시의 동작 추종성이 높아진다. 한편, 0.3 N 이상이면, 보정효과가 높아진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횡방향」이란, 하의 제품에서의 주위 방향(착용시의 인체 주위 방향)을 가리키고, 「종방향」이란, 하의 제품에서의 상하 방향(착용시의 인체 신장 방향)을 가리킨다.
거들이나 쇼츠 등의 속옷에 이용하는 경우, 다리측의 옷단은, 드론사(drawn thread)로 형성되는 헴 조직이나, 절단면의 실의 풀림이나 컬이 없어, 절단한 상태 그대로(아무런 처리없이) 사용할 수 있는 프리컷트 조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을 이용함으로써, 단부에 봉제를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단부가 두꺼워지는 것을 방지하여, 피부에 닿아 피부에 흔적이 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겉옷에 라인이 생기지 않아 심미성이 우수하다. 프리컷트 소재로는, 예컨대 열융착하기 쉬운 타입의 폴리우레탄과 비탄성 섬유의 혼용 소재가 적합하게 이용되며, 상기 비탄성사로는 나일론이나 폴리에스테르가 적합하게 이용된다.
본 실시형태의 하의용 의료는, 본체 옷감의 내측(착용시의 인체측)에, 안쪽 옷감이 겹쳐진 이중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안쪽 옷감으로는, 직물 또는 편물이 이용되고, 제품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되지만, 신축성의 관점에서는 편물이 바람직하다. 경편의 경우는, 라셀 편기 또는 트리코트 편기에 의해, 탄성사가 삽입 또는 루핑되어 있는 조직이 적합하게 이용된다. 라셀 조직에서는, 6 코스 새틴, 4 코스 새틴, 6 코스 튤, 트리코네트 등, 굵은 스판덱스 섬유를 삽입한 조직이 적합하게 이용되고, 스판덱스를 2 라인 삽입하여, 종횡으로 늘어남을 갖는 조직이 착용감의 관점에서 특히 바람직하다. 자카드 라셀에서, 안쪽 옷감의 패널 내에서 옷감의 신장 응력에 차이가 있어도 좋다. 트리코트 조직에서는, 하프 트리코트, 더블 스티치, 아틀라스 조직 등이 신축성이 좋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환편의 경우는, 탄성사가 루핑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쪽 옷감으로는, 탄성 섬유를 짜넣은 직물도 적합하게 이용되며, 특히, 경사, 위사 모두에 탄성 섬유를 짜넣은 직물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안쪽 옷감의 횡방향의 50% 신장시의 응력은, 본체 옷감의 횡방향의 50% 신장시의 응력의 0.3배∼1.6배이며, 바람직하게는 0.3배∼1.3배, 보다 바람직하게는 0.3배∼1.1배, 더욱 바람직하게는 0.3배∼0.9배, 가장 바람직하게는 0.5배∼0.9배이다. 안쪽 옷감의 횡방향의 50% 신장시의 응력이 본체 옷감의 횡방향의 응력의 0.3배 미만이면, 서포트 효과가 떨어지고, 한편 안쪽 옷감의 횡방향의 50% 신장시의 응력이 본체 옷감의 횡방향의 응력의 1.6배를 초과하면, 안쪽 옷감의 응력이 지나치게 강하여 쾌적성이 떨어진다.
본 실시형태의 안쪽 옷감에 있어서, 외선력 또는 내선력을 효율적으로 작용하게 하는 관점에서, 안쪽 옷감이 둔부를 덮는 면적은, 둔부의 면적의 6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 중 「둔부」란, 인체 좌우의 옆구리쪽과 능상평면(허리부)으로부터 엉덩이 홈까지의 영역을 말한다. 안쪽 옷감이 둔부 면적의 60% 이하이면, 착용시에 안쪽 옷감의 신장 밸런스에 변화가 생기기 쉽고, 대퇴부를 외측 또는 내측으로 끌어당기는 힘이 강해져 효과적이며, 50% 이하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안쪽 옷감의 제품 종방향의 폭은 5 cm∼20 cm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 cm∼18 cm이다. 안쪽 옷감의 종방향의 폭이 5 cm 이상이면, 신체에 대하여 충분한 피복 면적이 있고, 옷감이 신장될 때의 신장력이 신체에 가해지기 쉬워, 외선 효과 혹은 내선 효과를 발휘하기 쉽다. 한편, 안쪽 옷감의 종방향의 폭이 20 cm 이하이면, 착용시에 안쪽 옷감의 신장 밸런스에 변화가 생기기 쉽고, 대퇴부를 외측 또는 내측으로 끌어당기는 힘이 강해져, 외선 효과 혹은 내선 효과가 발휘되기 쉽다.
본 실시형태의 하의용 의료의 안쪽 옷감은 본체 옷감의 내측에 배치되며, 적어도 일부가 본체 옷감과 접착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여기서 「접착되지 않은」이란, 옷감끼리 봉제나 본딩 등의 수단에 의해 항상 밀착, 고정화되어 있지 않고, 옷감이 떠 있다는 것을 말한다.
신장시의 응력이 본체 옷감의 1.6배 초과 10배 이하인 안쪽 옷감의 적어도 일부를, 본체 옷감과 접착시키지 않고 본체 옷감과 겹침으로써, 발을 회선시키는 효과가 발현된다. 또한 안쪽 옷감의 적어도 일부가 접착되어 있지 않음으로써, 착용·정지시에는 전방부측으로부터 둔부측에 걸쳐 안쪽 옷감의 신장 밸런스가 변하는 것에 의해, 대퇴부를 외측 또는 내측으로 끌어당기는 힘이 생긴다.
또한 보행시에는, 움직임에 맞춰 안쪽 옷감이 틀어져, 전방부측으로부터 둔부측에 걸쳐 안쪽 옷감의 신장 밸런스가 정지시보다 크게 변하는 것에 의해, 대퇴부를 더욱 외측 또는 내측으로 끌어당기는 힘이 생긴다. 이 대퇴부를 끌어당기는 효과에 의해, 하퇴부로의 외선력 혹은 내선력이 발생하여, 발을 벌리거나 혹은 오므리는 힘이 발생한다. 이 작용에 의해 보폭이나 보행 스피드의 상승으로 이어진다고 생각된다. 또한, X 다리에 대하여 외선력을, O 다리에 대하여 내선력을 작용하게 함으로써, 대퇴골의 정상적인 방향으로의 위치 교정이 이루어져, 보행 등의 입각(立脚)시에 발이 나가기 쉬워지므로, 더욱 보폭이나 보행 스피드의 상승으로 이어진다고 생각된다.
특히, 안쪽 옷감의 적어도 일부가 본체 옷감에 접착하지 않은 것에 의해, 본체 옷감과는 독립적으로(추종하지 않고) 항상 안쪽 옷감으로 인장함으로써 발을 회선시키는 효과가 얻어진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의 하의용 의료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쪽 옷감의 종방향 중앙선이, 하의용 의료의 측부에 있어서, 대전자 상당부보다 종방향 하측에 위치하고 있다.
종방향 중앙선이란, 안쪽 옷감의 종방향에서의 중심부를 연결하는 선이며, 도면 중 가는 점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착용자의 대전자의 하측에 종방향 중앙선이 위치하도록 안쪽 옷감을 배치함으로써, 대퇴골에 있어서 대전자에 보다 가까운 위치에 조이는 힘을 가할 수 있고, 측방향(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향하는 힘, 혹은 내측으로부터 측방향으로 향하는 힘에 의해 효율적으로 대퇴골을 선회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O 다리나 X 다리에 대한 교정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또한 하지가 적정하게 선회함으로써, 골반의 위치를 정확한 위치에 수습할 수 있다.
안쪽 옷감의 상단부가, 하의용 의료의 측부에 있어서, 대전자 상당부보다 종방향 하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측부에 있어서, 대전자 상당부보다 종방향 하측에 상단부가 위치하도록 안쪽 옷감을 배치함으로써, 대전자에 조이는 힘을 가하지 않고 교정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동작시에 움직임을 저해하기 어려워, 움직이기 쉬운 하의가 된다.
또한, 측부에서의 안쪽 옷감의 상단부와 대전자 상당부의 최단 거리가 0∼10 cm인 것이 바람직하다.
대퇴골에 있어서 대전자에 보다 가까운 부위에서 조이는 힘을 가하는 것에 의해, 효율적으로 교정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하의용 의료에서의 바람직한 각 부재의 배치의 예를, 도 3∼도 11에 나타낸다.
도 3∼6에 있어서는, 허리부 혹은 서혜부로부터 둔부 하부 혹은 대퇴부를 덮도록 안쪽 옷감이 배치되어 있다. 이 옷감의 배치에 있어서는, 착용시에 안쪽 옷감이 허리부 혹은 서혜부로부터 둔부 하부 혹은 대퇴부 방향으로 인장되는 것에 의해, 대퇴부를 외측으로 인장하는 힘(외선력)이 발생함으로써, 발을 외선시키는 효과가 얻어진다.
안쪽 옷감의 배치가 도 3일 때, A > B > C이며, 대전자와의 안쪽 옷감 상단부와의 거리가 가까울 때, 효과적으로 외선력이 발생한다.
안쪽 옷감의 배치가 도 4일 때, A = B > C이며, 도 3보다 낮은 외선력이 발생한다.
안쪽 옷감의 배치가 도 5일 때, A > B > C이지만, 도 3보다 안쪽 옷감의 기울기가 작고, 도 3보다 낮은 외선력이 발생한다.
안쪽 옷감의 배치가 도 6일 때, A > B > C이지만, 안쪽 옷감 상단부 혹은 안쪽 옷감의 종방향 중앙선이 대전자 상당부보다 상방향에 오기 때문에, 도 3보다 움직이기 어려움을 느낀다. 안쪽 옷감 상단부가 대전자 상당부보다 상방향일 때에는, 도 3보다 낮은 외선력이 발생하고, 안쪽 옷감 상단부 및 안쪽 옷감의 종방향 중앙선이 대전자 상당부보다 상방향에 오는 경우는 외선력이 발생하기 어렵다.
도 7∼11에 있어서는, 대퇴부 전방부 혹은 서혜부로부터 둔부 하부 혹은 대퇴부 후방부를 덮도록 안쪽 옷감이 배치되어 있다. 이 옷감의 배치에 있어서는, 착용시에 안쪽 옷감이 둔부 하부 혹은 대퇴부 후방부 방향으로부터 대퇴부 전방부 혹은 서혜부로 인장하는 힘(내선력)이 발생하는 것에 의해, 발을 내선시키는 효과가 얻어진다.
안쪽 옷감의 배치가 도 7일 때, B > A이고 또한 B > C이며, 대전자와의 안쪽 옷감 상단부와의 거리가 가까울 때, 효과적으로 내선력이 발생한다.
안쪽 옷감의 배치가 도 8일 때, A = B = C이며, 도 7보다 낮은 내선력이 발생한다.
안쪽 옷감의 배치가 도 9일 때, B < A이고 또한 B < C이며, 도 8보다 낮은 내선력이 발생한다.
안쪽 옷감의 배치가 도 10일 때, B > A이고 또한 B > C이지만, 도 7보다 전면부의 안쪽 옷감의 기울기가 작고, 도 7보다 낮은 내선력이 발생한다.
안쪽 옷감의 배치가 도 11일 때, B > A이고 또한 B > C이지만, 도 7보다 배면부의 안쪽 옷감의 기울기가 작고, 도 7보다 낮은 내선력이 발생한다.
본 실시형태의 하의용 의료는, 안쪽 옷감의 전체 면적에 대하여, 상기 안쪽 옷감의 본체 옷감과 접착하지 않은 부분의 면적률이 7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이다. 상기 면적률이 70% 이상이면, 발을 회선시키는 효과가 얻어지고, 또한 움직이기 쉬운 하의가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접착은 안쪽 옷감의 몇개의 단부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컨대, 상단부, 하단부, 측단부(안쪽 옷감의 좌우의 단부, 크로치부와의 접착부, 전면 패널(복부 누름 패널 또는 패널이라고도 한다)과의 접착부를 총칭하여 측단부라고 한다. 도 3 참조)를 들 수 있다.
안쪽 옷감의 단부 중, 20%∼70%는 접착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고, 접착되지 않는 부위는 안쪽 옷감의 하단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안쪽 옷감의 하단부 전체 길이에 대한, 상기 안쪽 옷감의 본체 옷감과 접착하지 않은 단부의 비율이 20%∼100%이면, 전방부측으로부터 둔부측에 걸쳐, 안쪽 옷감의 신장 밸런스에 변화가 생기기 쉽고, 대퇴부를 외측 또는 내측으로 끌어당기는 힘이 강해지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접착되는 부분과 접착되지 않는 부분은 연속하고 있어도 좋고 불연속이어도 좋다.
특히, 본 실시형태의 하의용 의료에서는, 하의 배면에서의 상기 안쪽 옷감의 측단부의 80% 이상이, 대퇴부에서 본체 옷감과 접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쪽 옷감은, 측부로부터 대퇴부측으로의 기울기가 커지도록 배치함으로써, 발을 회선시키는 효과가 얻어진다.
거들 등으로 전면에 복부 누름 패널이 설치되는 경우에는, 안쪽 옷감의 측단은 패널의 좌우 일부에 각각 접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패널의 제품 종방향의 폭은 5 cm∼20 cm이 바람직하고, 안쪽 옷감이 전면 패널의 한쪽에 접착되고, 뒤쪽 중심을 통과하고, 다른 한쪽의 전면 패널에 접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포츠용 하의 등으로 전면에 복부 누름 패널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에는, 안쪽 옷감의 상단 및 측단은 허리부, 혹은 본체 옷감의 임의의 개소에 접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좌우의 안쪽 옷감이 겹쳐 있어도 좋다.
상기 외선력을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평평하게 놓았을 때의 하의용 의료 전면에 있어서, 상기 안쪽 옷감의 측단부의 접착부의 70% 이상이, 가랑이부보다 5 cm 위의 점을 지나는 수평선보다 상부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랑이부란, 도 3에서 나타내는 하의 하부에서의 2개로 나뉘는 정점을 나타낸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쪽 옷감의 양단의 굵은 실선으로 나타낸 부분이 측단부의 접착부이고, 이 굵은 실선의 70%가 상기 가랑이부의 5 cm 위의 점을 지나는 수평선보다 상부에 위치하고 있으면, 외선력이 발생하기 쉽다.
안쪽 옷감의 단부가 가랑이부 상방 5 cm의 영역보다 상부에 있는 경우는, 전면에서의 안쪽 옷감의 신장은 배면에 비교하여 작아지기 때문에, 착용시에 외선력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본 실시형태의 하의용 의료에서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의용 의료 전면에서의 안쪽 옷감의 측단부의 종방향 최상점을 A로 하고, 하의용 의료 측부에서의 안쪽 옷감의 종방향 최상점을 B로 하고, 하의용 의료 배면에서의 안쪽 옷감의 측단부의 종방향 최상점을 C로 한 경우, 종방향의 높이가 A > B > C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면 상부∼측부∼배면과 안쪽 옷감이 나선형으로 존재함으로써, 착용시에 대퇴부를 외측으로 인장하여 외선력을 효과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안쪽 옷감이, 하의용 의료 전면에 있어서, 가랑이부를 포함하는 하의용 의료 종방향과 수직인 평면보다 종방향 상측에 있어서 본체 옷감과 접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옷감의 배치에 있어서는, 착용시에 안쪽 옷감의 둔부 하부에 대응하는 부위의 옷감의 신장량이, 허리부로부터 둔부에서의 신장량보다 커지기 때문에, 안쪽 옷감이 둔부 하부 방향으로 인장되는 것에 의해, 대퇴부를 외측으로 인장하는 힘(외선력)이 발생함으로써, 발을 외선시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내선력을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평평하게 놓았을 때의 하의용 의료 전면에 있어서, 상기 안쪽 옷감의 측단부의 접착부의 70% 이상이, 가랑이부보다 5 cm 위의 점을 지나는 수평선보다 하부에 접착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쪽 옷감의 양끝의 굵은 실선으로 나타낸 부분이 측단부의 접착부이며, 이 굵은 실선의 70%가 상기 가랑이부의 5 cm 위의 점을 지나는 수평선보다 하부에 위치하고 있으면, 내선력이 발생하기 쉽다.
안쪽 옷감의 단부가 가랑이부 상방 5 cm의 영역보다 하부에 있는 경우는, 전면에서의 안쪽 옷감의 신장은 배면에 비교하여 커지기 때문에, 착용시에 내선력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본 실시형태의 하의용 의료에서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의용 의료 전면에서의 안쪽 옷감의 측단부의 종방향 최상점을 A로 하고, 하의용 의료 측부에서의 안쪽 옷감의 종방향 최상점을 B로 하고, 하의용 의료 배면에서의 안쪽 옷감의 측단부의 종방향 최상점을 C로 한 경우, 종방향의 높이가 B > A이고 또한 B > C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면∼측부의 안쪽 옷감 배치가 B > A인 것에 의해 B가 보다 대전자에 가까운 위치가 되고, 착용시에 대퇴부를 내측으로 끌어당겨 내선력을 효과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배면에서는 B > C로 함으로써 동작시에 움직임을 저해하지 않고, 움직이기 쉬운 하의가 된다.
또한, 하의 전면에서의 상기 안쪽 옷감의 측단부의 80% 이상이, 대퇴부에서 본체 옷감과 접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방부측으로부터 측부에 걸쳐, 안쪽 옷감의 기울기가 커져, 교정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접착은 봉제, 본딩 등이 가능하지만, 옷감의 늘어남을 손상하지 않는 방법이 바람직하고, 봉제라면 트윈 니들 스티치나 지그재그 스티치가 바람직하고, 본딩에서는 폭 0.5 cm∼1.5 cm로 접착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딩에 의한 접착은, 봉제의 경우와 비교하여 접착부의 단차가 해소되기 때문에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안쪽 옷감에 프리컷트 소재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서도, 단부의 단차가 해소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하의용 의료의 둔부의 착압은 5 hPa∼20 hPa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8 hPa∼18 hPa이다. 둔부의 착압이란, 둔부의 둘레 직경의 가장 큰 위치에서의 좌우의 산의 정점(힙톱)에서의 착압의 좌우 평균을 말하며, M 사이즈의 하의용 의료에서는 M 사이즈의 표준 체형의 마네킨에 장착시켜 에어팩식 착압계로 계측된다. 또한, L 사이즈의 하의용 의료에서는 L 사이즈의 표준 체형 마네킨에 장착시켜 계측된다. 둔부의 착압이 5 hPa 이상이면, 착압이 충분히 크고, 발을 회선시키는 효과가 높아져 바람직하다. 한편, 둔부의 착압이 20 hPa 이하이면, 운동시의 동작을 저해하지 않아 바람직하다.
운동 선수용 하의용 의료는, 약간 강한 착압으로 하는 것이 운동 퍼포먼스의 서포트라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고, 둔부의 착압은 10 hPa∼20 hPa가 바람직하다. 또한, 운동 선수용 하의용 의료의 경우, 땀 처리의 관점에서 본체 옷감 또는 안쪽 옷감에 사용하는 비탄성사는 폴리에스테르계 섬유가 바람직하다.
고령자용 하의용 의료는, 약간 약한 착압으로 착용 용이성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고, 둔부의 착압은 5 hPa∼15 hPa가 바람직하다. 둔부의 착압이 상기 범위에 있음으로써, 착용 용이성이 향상된다.
실시예
≪제1 실시예≫
이하, 제1 본 발명을 실시예, 비교예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실시예, 비교예에서의 신장 응력의 측정 등은 하기에 의해 행했다.
(1) 종방향 및 횡방향의 50% 및 80%의 신장 응력, 신장 회복률
텐실론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10 cm의 파지 간격으로 파지한 2.5 cm 폭의 옷감을 인장 속도 300 mm/분으로 신장율 0%∼80%의 신장, 신장율 80%∼0%의 회복을 3회 반복하고, 신장시 하중, 회복시 하중을 종방향, 횡방향 각각에 관해 측정하여, 신장 회복 곡선을 그린다. 신장 1회째에서의 신장율 50% 및 80%의 응력을 판독하여, 종방향, 횡방향의 50% 및 80%의 신장 하중으로 한다. 제품 형태의 사정 등으로 인해 파지 길이가 10 cm를 확보할 수 없는 경우는 가능한 파지 간격으로 행한다. 폭이 2.5 cm를 확보할 수 없는 경우는, 측정한 폭을 하기의 식으로, 2.5 cm로 변환한 값으로 계산한다.
2.5 cm 폭에서의 신장 하중[cN] = {2.5 cm/(측정한 옷감의 폭[cm])} × 측정에 의한 신장 하중[cN]
신장 회복률은, 종방향, 횡방향 각각에 관해, 상기 신장 응력 측정에서의 신장 회복 곡선으로부터 3회째의 잔류 신장(%)을 판독하여, 하기 식 :
신장 회복률(%) = {[80 - (잔류 신장)] ÷ 80} × 100
에 의해 종방향 및 횡방향의 신장 회복률(%)을 산출했다.
또한, 측정에 이용하는 옷감은, 접착부나 자수부 등, 부분적으로 신장 응력이 높은 부분을 포함하지 않도록 하의용 의료로부터 샘플링한다.
(2) 안쪽 옷감 중에서 본체 옷감과 접착되지 않은 영역의 비율
안쪽 옷감의 본체 옷감과 겹쳐 있는 면적을 S(㎠)로 하고, 접착부의 면적을 S'(㎠)로 하여, 다음 식 :
안쪽 옷감 중에서 본체 옷감과 접착되지 않은 영역의 비율 = (S - S')/S × 100(%)
로 산출한다.
또한, 상기 면적 S 및 S'를 구할 수 없는 경우, 상기 비율은, 형지(型紙)의 면적 또는 옷감의 면적에 상당하는 각각 형지 또는 옷감의 중량을 구하고, 상기 식의 면적을 중량으로 치환하여 산출한다.
(3) 안쪽 옷감 하단부의 본체 옷감과 비접착의 비율
안쪽 옷감 하단부의, 본체 옷감과 비접착의 비율은, 안쪽 옷감의 착용시에 하방향으로 배치되는 단부(측단부는 포함하지 않는다)를 P(cm), 착용시에 하방향으로 배치되며 본체 옷감과 접착되어 있는 단부를 P'(cm)로 하고, 다음 식 :
안쪽 옷감 하단부의 본체 옷감과 비접착의 비율 = (P - P')/P × 100(%)
로 산출한다.
(4) 안쪽 옷감이 둔부를 덮는 면적 비율
하의에 있어서, 허리부 및 좌우의 측선, 엉덩이 홈으로 둘러싸인 둔부 영역의 면적을 K(㎠), 본 면적 내에서 안쪽 옷감이 존재하는 면적을 K'(㎠)로 하고, 다음 식 :
안쪽 옷감이 둔부를 덮는 면적 비율 = K'/K × 100(%)
로 산출한다.
또한, 이 면적 산출시에는, M 사이즈에 대응한 마네킨에게 하의용 의료를 착용시켜, 마네킨의 둔부 영역 K'에 대한 하의용 의료의 K를 측정했다.
(5) 착압
표준체형의 M 사이즈의 마네킨의 좌우의 힙톱(둔부의 솟아오른 곳의 정점)부와 복부(배꼽 아래 3 cm)에 에이엠아이·테크노사 제조 착압 측정기 AMI-3037-10에 접속한 에어팩을 접착하고, 본 실시형태의 하의용 의료의 M 사이즈를 착용시켰을 때의 착압(kPa)을, 탈착을 3회 반복하여 측정하여 그 평균을 구한다.
(6) 고관절 토크
20세∼40세의 피험자 5명에게 하의용 의료를 착용시키고, HUMAC NORM(CSMi사 제조)를 이용하여, 앙와위에서의 고관절과 대퇴가 이루는 각을 뉴트럴 0°로 하고, 대퇴부를 올리는 형태로 고관절과 대퇴가 이루는 각이 120°가 될 때까지 굴곡시켰을 때에, 대퇴부 중앙부에서 다리를 올렸을 때 가해지는 힘을 토크로 하여 측정을 실시했다.
(7) 무릎 각도Θ
20세∼40세의 피험자 5명에게 하의용 의료를 착용시키고, 정지입위(靜止立)의 상태에 있어서,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골점, 슬개골 중앙, 외과점에서 반사 마커와 부착하고, 동작 해석 시스템(VINUS3D : 주식회사 노비테크 제조)으로 계측을 행하여, 장골점, 슬개골 중앙, 외과점으로 이루는 무릎 각도(도 12에서 나타내는 Θ : 전면으로부터 본 무릎의 내각을 나타낸다)를 측정했다. 또한, 효과의 정도를 다음 식으로 산출했다.
무릎 각도Θ[°] = (하의용 의료 착용시의 장골점, 슬개골 중앙, 외과점으로 이루는 각도) - (미착용시의 장골점, 슬개골 중앙, 외과점으로 이루는 각도)
외선력이 작용하여 무릎이 외선되는 경우는, Θ은 마이너스의 값이 되고, 내선력이 작용하여 무릎이 내선되는 경우는, Θ은 플러스의 값이 된다. 또한, Θ의 절대값이 클수록 내선 또는 외선의 작용이 크다.
(8) 착용감
전체적인 조이는 느낌, 움직임의 용이함, 다리의 교정감에 관해 피험자 5명으로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여 평균한다.
<조이는 느낌>
5 : 매우 쾌적하다
4 : 약간 쾌적하다
3 : 어느 쪽이라고도 할 수 없다
2 : 약간 불쾌하다
1 : 매우 불쾌하다
<움직임의 용이함>
5 : 매우 움직이기 쉽다
4 : 움직이기 쉽다
3 : 어느 쪽이라고도 할 수 없다
2 : 약간 움직이기 어렵다
1 : 매우 움직이기 어렵다
<교정감>
5 : 매우 교정력을 느낀다
4 : 교정력을 느낀다
3 : 어느 쪽이라고도 할 수 없다
2 : 약간 교정력을 느낀다
1 : 그다지 교정력을 느끼지 않는다
[실시예 1]
본체 옷감 및 안쪽 옷감용의 옷감은, 싱글 트리코트기를 이용하여, 프론트 리드에 56 dtex 36 필라멘트의 폴리에스테르, 백 리드에 56 dtex의 폴리우레탄 섬유를 모두 풀셋트로 통사하고, 프론트의 조직을 1-0/2-3, 백의 조직을 1-2/1-0으로 편성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마무리했다.
상기 옷감의 편지(編地)로서의 경사 방향을 제품의 횡방향으로 배치하고, JASPO(일본 스포츠용품 공업 협회)의 남녀 겸용 M 사이즈의 사이즈로 도 1의 패턴으로 본체 옷감 및 안쪽 옷감을 제작했다. 또한, 안쪽 옷감은, 상기 옷감의 편지로서의 경사 방향을 제품의 종방향으로 배치했다. 봉제는 시머 재봉기를 이용하여 실시했다. 안쪽 옷감의 윗변·측단부는 시머 재봉기를 이용하여 본체 옷감과 봉제하여, 하의용 의료를 제작했다.
착용 시험의 결과를, 옷감 및 의료의 특성과 함께 이하의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2]
안쪽 옷감을 가공시에 옷감 횡방향으로 조금 장력을 가한 상태로 마무리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하의용 의료를 제작했다.
착용 시험의 결과를, 옷감 및 의료의 특성과 함께 이하의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3]
안쪽 옷감으로서, 싱글 트리코트기를 이용하여, 프론트 리드에 56 dtex 36 필라멘트의 폴리에스테르, 백 리드에 56 dtex의 폴리우레탄 섬유를 모두 풀셋트로 통사하고, 프론트의 조직을 1-0/2-3, 백의 조직을 2-0/1-3로 편성한 옷감을 이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하의용 의료를 제작했다.
착용 시험의 결과를, 옷감 및 의료의 특성과 함께 이하의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4]
본체 옷감으로서, 싱글 트리코트기를 이용하여, 프론트 리드에 44 dtex 24 필라멘트의 폴리에스테르, 백 리드에 44 dtex의 폴리우레탄 섬유를 모두 풀셋트로 통사하고, 프론트의 조직을 1-0/2-3, 백의 조직을 1-2/1-0로 편성한 옷감을 이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3과 동일하게 하여 하의용 의료를 제작했다.
착용 시험의 결과를, 옷감 및 의료의 특성과 함께 이하의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5]
안쪽 옷감으로서, 싱글 트리코트기를 이용하여, 프론트 리드에 56 dtex 36 필라멘트의 폴리에스테르, 백 리드에 56 dtex의 폴리우레탄 섬유를 모두 풀셋트로 통사하고, 프론트의 조직을 1-0/1-2, 백의 조직을 2-0/1-3로 편성한 옷감을 이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4와 동일하게 하여 하의용 의료를 제작했다.
착용 시험의 결과를, 옷감 및 의료의 특성과 함께 이하의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6]
안쪽 옷감으로서, 싱글 트리코트기를 이용하여, 프론트 리드에 44 dtex 24 필라멘트의 폴리에스테르, 백 리드에 44 dtex의 폴리우레탄 섬유를 풀셋트로 통사하고, 프론트의 조직을 1-0/2-3, 백의 조직을 1-2/1-0로 편성한 옷감을 이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5와 동일하게 하여 하의용 의료를 제작했다.
착용 시험의 결과를, 옷감 및 의료의 특성과 함께 이하의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7]
안쪽 옷감으로서, 싱글 트리코트기를 이용하여, 프론트 리드 및 미들 리드에 44 dtex 24 필라멘트의 폴리에스테르, 백 리드에 33 dtex의 폴리우레탄 섬유를 각각 풀셋트로 통사하고, 프론트의 조직을 1-0/4-5, 미들의 조직을 2-3/1-0, 백의 조직을 1-0/1-2로 편성한 옷감을 이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5와 동일하게 하여 하의용 의료를 제작했다.
착용 시험의 결과를, 옷감 및 의료의 특성과 함께 이하의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8]
도 2의 패턴으로 본체 옷감 및 안쪽 옷감을 제작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하의용 의료를 제작했다.
착용 시험의 결과를, 옷감 및 의료의 특성과 함께 이하의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9]
도 2의 패턴으로 본체 옷감 및 안쪽 옷감을 제작한 것 외에는, 실시예 3과 동일하게 하여 하의용 의료를 제작했다.
착용 시험의 결과를, 옷감 및 의료의 특성과 함께 이하의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10]
도 2의 패턴으로 본체 옷감 및 안쪽 옷감을 제작한 것 외에는, 실시예 4와 동일하게 하여 하의용 의료를 제작했다.
착용 시험의 결과를, 옷감 및 의료의 특성과 함께 이하의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11]
도 2의 패턴으로 본체 옷감 및 안쪽 옷감을 제작한 것 외에는, 실시예 5와 동일하게 하여 하의용 의료를 제작했다.
착용 시험의 결과를, 옷감 및 의료의 특성과 함께 이하의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12]
도 2의 패턴으로 본체 옷감 및 안쪽 옷감을 제작한 것 외에는, 실시예 7과 동일하게 하여 하의용 의료를 제작했다.
착용 시험의 결과를, 옷감 및 의료의 특성과 함께 이하의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1]
본체 옷감으로서, 편지로서의 경사 방향을 제품의 횡방향으로 배치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하의용 의료를 제작했다.
착용 시험의 결과를, 옷감 및 의료의 특성과 함께 이하의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2]
안쪽 옷감으로서, 싱글 트리코트기를 이용하여, 프론트 리드에 56 dtex 36 필라멘트의 폴리에스테르, 백 리드에 56 dtex의 폴리우레탄 섬유를 모두 풀셋트로 통사하고, 프론트의 조직을 1-0/1-2, 백의 조직을 1-2/1-0로 편성한 것 외에는, 비교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하의용 의료를 제작했다.
착용 시험의 결과를, 옷감 및 의료의 특성과 함께 이하의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3]
안쪽 옷감으로서, 싱글 트리코트기를 이용하여, 프론트 리드에 56 dtex 36 필라멘트의 폴리에스테르, 백 리드에 78 dtex의 폴리우레탄 섬유를 모두 풀셋트로 통사하고, 프론트의 조직을 1-0/2-3, 백의 조직을 2-0/1-3로 편성한 것 외에는, 비교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하의용 의료를 제작했다.
착용 시험의 결과를, 옷감 및 의료의 특성과 함께 이하의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4]
안쪽 옷감으로서, 3배로 신장한 78 dtex의 폴리우레탄 섬유에 165 dtex의 폴리에스테르 2 히터 가공사를 800 T/m의 조건으로 권취한 240 dtex의 복합사를 경사로서 빔에 감아 방직기에 셋트하고, 45 날개/인치의 리드에 2개입/리드로 리드를 넣고, 위사는 CSY 340 dtex의 복합사를 사용하여 타입수 54 개/인치로 타프타 조직의 직물을 제조했다. 얻어진 직물을 연속 정련기로 릴랙스, 정련하고, 이어서 185℃에서 1분간 프리셋트를 행한 후, 액류 염색기로 폴리에스테르의 염색을 행하고, 염색후에 유연 마무리제를 패딩하여, 160℃에서 1분의 조건으로 마무리 셋트를 행하여 얻어진 신축성 직물을, 직물로서의 경사 방향을 제품의 횡방향으로 배치하여 이용한 것 외에는, 비교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하의용 의료를 제작했다.
착용 시험의 결과를, 옷감 및 의료의 특성과 함께 이하의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5]
도 2의 패턴으로 본체 옷감 및 안쪽 옷감을 제작한 것 외에는, 비교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하의용 의료를 제작했다.
착용 시험의 결과를, 옷감 및 의료의 특성과 함께 이하의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6]
도 2의 패턴으로 본체 옷감 및 안쪽 옷감을 제작한 것 외에는, 비교예 3과 동일하게 하여 하의용 의료를 제작했다.
착용 시험의 결과를, 옷감 및 의료의 특성과 함께 이하의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7]
도 2의 패턴으로 본체 옷감 및 안쪽 옷감을 제작한 것 외에는, 비교예 4와 동일하게 하여 하의용 의료를 제작했다.
착용 시험의 결과를, 옷감 및 의료의 특성과 함께 이하의 표 2에 나타낸다.
[표 1]
Figure pct00001
[표 2]
Figure pct00002
표 1, 표 2로부터, 안쪽 옷감의 제품에서의 종방향의 80% 신장시의 응력 A와, 안쪽 옷감의 제품에서의 횡방향의 80% 신장시의 응력 B의 비가, 0.1 ≤ A/B < 1.0인 것에 의해, 무릎에 대한 내선 또는 외선의 효과가 양호하게 얻어졌다. 또한, 조이는 느낌, 움직임의 용이함, 교정감을 양립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하의용 의료는, 동작시에 있어서 움직임의 용이함을 저해하지 않고, 또한 무릎에 대한 선회 효과가 우수한 것이 된다.
≪제2 실시예≫
다음으로, 제2 본 발명에 관해,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실시형태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는, 그 요지로부터 일탈하지 않는 한,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 중의 물성은 이하의 방법에 의해 측정했다.
(1) 횡방향 50%의 신장 응력, 신장 회복률
텐실론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고, 10 cm의 파지 간격으로 파지한 2.5 cm 폭의 옷감을 인장 속도 300 mm/분으로 신장율 0%∼80%의 신장, 신장율 80%∼0%의 회복을 3회 반복하고, 신장시 응력, 회복시 응력을 횡방향에 관해 측정하여, 신장 회복 곡선을 그린다. 신장 1회째에서의 신장율 50%의 응력을 판독하여, 횡방향의 50%의 신장 응력으로 한다. 제품 형태의 사정 등에 의해 파지 길이가 10 cm를 확보할 수 없는 경우는 5 cm 등의 가능한 파지 간격으로 행한다.
신장 회복률은, 횡방향에 관해 상기 신장 응력 측정에서의 신장 회복 곡선으로부터 3회째의 잔류 신장(%)을 판독하여, 하기 식 :
신장 회복률(%) = {[80 - (잔류 신장)] ÷ 80} × 100
에 의해 종방향 및 횡방향의 신장 회복률(%)을 산출했다. 또한, 측정에 이용하는 옷감은, 접착부나 자수부 등, 부분적으로 신장 응력이 높은 부분을 포함하지 않도록 샘플링한다.
(2) 안쪽 옷감의 종방향 중앙선 및 안쪽 옷감의 상단부와, 대전자 상당부의 거리
(주)키이야사 제조의 C70 토르소의 측부(토르소의 다리부 측부의 봉합선)에 있어서, 가랑이부로부터 수평 거리로 10 cm 위의 점을 대전자 상당부로 한다. 상기 토르소에 하의용 의료를 착용시킨 상태로, 안쪽 옷감의 종방향 중앙선 및 안쪽 옷감의 상단부와, 상기 대전자 상당부의 종방향 거리를 계측한다.
(3) 종방향 최상점의 높이
하의용 의료를 속 뒤집어 테이블 위에 놓은 상태로, 하의용 의료 측부 상의 옷단부로부터 본체 옷감과 안쪽 옷감의 접착부까지의 종방향 거리를 계측한다. 하의용 의료 측부란, 하의용 의료의 앞중심과 뒷중심을 겹친 상태로, 테이블 위에 하의용 의료를 놓았을 때에 측선으로서 나타나는 부위를 나타낸다.
(4) 착압
(주)키이야 제조의 C70 사이즈의 하반신 토르소의 좌우의 힙톱(둔부의 솟아오른 곳의 정점)부와 복부(배꼽 아래 3 cm)에 에이엠아이·테크노사 제조 착압 측정기 AMI-3037-10에 접속한 에어팩을 접착하고, 본 실시형태의 하의용 의료의 M 사이즈를 착용시켰을 때의 착압(kPa)을, 탈착을 3회 반복하여 측정하여 그 평균을 구한다.
(5) 보폭차, 보행 시간차
20세∼60세의 피험자 5명에게 하의용 의료를 착용시키고, 1 바퀴 800 m의 코스를 걷게 했을 때의 시간 T와 보폭 Q를 계측하여, 쇼츠만을 착용한 경우의 시간 T1, 보폭 Q1과의 차를 구한다. 또한, 모두 겉옷으로서 피험자마다 동일한 조임없는 긴 팬츠와 티셔츠, 운동화를 착용시킨다.
보폭차 = Q - Q1(cm)
보행 시간차 = T1 - T(sec)
(6) 무릎 각도Θ
20세∼60세의 피험자 5명에게 하의용 의료를 착용시켜, 정지입위의 상태에 있어서,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골점, 슬개골 중앙, 외과점에서 반사 마커와 부착하고, 동작 해석 시스템(VINUS3D : 주식회사 노비테크 제조)으로 계측을 행하여, 장골점, 슬개골 중앙, 외과점으로 이루는 무릎 각도(도 12에서 나타내는 Θ : 전면으로부터 본 무릎의 내각을 나타낸다)를 측정한다. 또한, 효과의 정도를 다음 식으로 산출한다.
무릎 각도Θ[°] = (하의용 의료 착용시의 장골점, 슬개골 중앙, 외과점으로 이루는 각도) - (미착용시의 장골점, 슬개골 중앙, 외과점으로 이루는 각도)
외선력이 작용하여 무릎이 외선되는 경우는, Θ은 마이너스의 값이 되고, 내선력이 작용하여 무릎이 내선되는 경우는, Θ은 플러스의 값이 된다. 또한, Θ의 절대값이 클수록 내선 또는 외선의 작용이 크다.
(7) 평균 근활동량
20대의 피험자에게 하의용 의료를 착용시켜 트레드밀 위에서 12 km/hr의 속도로 주행시킬 때, 근전 평가 장치(Personal-EMG plus : 오이사카 전자 기기사 제조)를 이용하여 대퇴직근, 대전근, 대퇴이두근의 근활동량 E를 각각 측정하고, 쇼츠만을 착용한 경우의 근활동량 E1로부터의 변화의 정도를 다음 식에서 구한다.
평균 근활동량[%CTRL] = (E/E1) × 100
또한, 입각기와 유각기를 구별하기 위해, 트레드밀 주행의 모습은 고속도 카메라로 촬영하고, 각 근활동량의 값은, 주행 사이클에서의 입각기만을 적분하여 구한다. 주행 3 사이클의 근활동량의 평균치를 E로 한다. 대퇴직근, 대전근, 대퇴이두근은 하지의 굴곡, 신전에 관여하는 근군이며, 평균 근활동량이 클 때에는 주행에 있어서 에너지 소비가 크고, 반대로 평균 근활동량이 작을 때에는 주행에 있어서 에너지 소비가 작아, 효율이 좋은 주행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8) 착용감
둔부의 조이는 느낌, 움직임의 용이함, 피로감에 관해 피험자 5명으로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여 평균한다.
<조이는 느낌>
5 : 매우 쾌적하다
4 : 약간 쾌적하다
3 : 어느 쪽이라고도 할 수 없다
2 : 약간 불쾌하다
1 : 매우 불쾌하다
<움직임의 용이함>
5 : 매우 움직이기 쉽다
4 : 움직이기 쉽다
3 : 어느 쪽이라고도 할 수 없다
2 : 약간 움직이기 어렵다
1 : 매우 움직이기 어렵다
<피로감>
5 : 매우 피로감이 작다
4 : 피로감이 작다
3 : 어느 쪽이라고도 할 수 없다
2 : 약간 피로감이 크다
1 : 매우 피로감이 크다
[실시예 1]
본체 옷감 및 안쪽 옷감용의 옷감은, 싱글 트리코트기를 이용하여, 프론트 리드에 56 dtex 36 필라멘트의 폴리에스테르, 백 리드에 56 dtex의 폴리우레탄 섬유를 모두 풀셋트로 통사하고, 프론트의 조직을 1-0/2-3, 백의 조직을 1-2/1-0로 편성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마무리했다.
상기 옷감의, 편지로서의 경사 방향을 제품의 횡방향으로 배치하고, JASPO(일본 스포츠용품 공업 협회)의 남녀 겸용 M 사이즈의 사이즈로 도 3의 패턴으로 본체 옷감 및 안쪽 옷감을 제작했다. 또한, 안쪽 옷감은, 상기 옷감의, 편지로서의 경사 방향을 제품의 종방향으로 배치했다. 봉제는 시머 재봉기를 이용하여 실시했다. 안쪽 옷감의 윗변·측단부는 시머 재봉기를 이용하여 본체 옷감과 봉제하여, 운동 선수용 하의용 의료를 제작했다.
[실시예 2]
본체 옷감용의 옷감은, 싱글 트리코트기를 이용하여, 프론트 리드에 44 dtex 24 필라멘트의 폴리에스테르, 백 리드에 33 dtex의 폴리우레탄 섬유를 모두 풀셋트로 통사하고, 프론트의 조직을 1-0/2-3, 백의 조직을 1-2/1-0로 편성하고, 안쪽 옷감용의 옷감은, 싱글 트리코트기를 이용하여, 프론트 리드에 44 dtex 24 필라멘트의 폴리에스테르, 백 리드에 33 dtex의 폴리우레탄 섬유를 풀셋트로 통사하고, 프론트의 조직을 1-0/2-3, 백의 조직을 1-2/1-0로 편성한 옷감을 이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고령자용 하의용 의료를 제작했다.
[실시예 3]
측부의 본체 옷감과 안쪽 옷감의 접착점의 최상부의 높이 B를 낮게 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하의용 의료를 제작했다.
[실시예 4]
측부의 본체 옷감과 안쪽 옷감의 접착점의 최상부의 높이 B를 실시예 3보다 낮게 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하의용 의료를 제작했다.
[실시예 5]
측부의 본체 옷감과 안쪽 옷감의 접착점의 최상부의 높이 B를 높게 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하의용 의료를 제작했다.
[실시예 6]
도 4의 패턴으로 본체 옷감 및 안쪽 옷감을 제작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하의용 의료를 제작했다.
[실시예 7]
도 5의 패턴으로 본체 옷감 및 안쪽 옷감을 제작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하의용 의료를 제작했다.
[실시예 8]
도 6의 패턴으로 본체 옷감 및 안쪽 옷감을 제작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하의용 의료를 제작했다.
[실시예 9]
장척으로 본체 옷감 및 안쪽 옷감을 제작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하의용 의료를 제작했다.
[실시예 10]
도 7의 패턴으로 본체 옷감 및 안쪽 옷감을 제작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하의용 의료를 제작했다.
[실시예 11]
도 7의 패턴으로 본체 옷감 및 안쪽 옷감을 제작한 것 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하여 하의용 의료를 제작했다.
[실시예 12]
측부의 본체 옷감과 안쪽 옷감의 접착점의 최상부의 높이 B를 낮게 한 것 외에는, 실시예 10과 동일하게 하여 하의용 의료를 제작했다.
[실시예 13]
측부의 본체 옷감과 안쪽 옷감의 접착점의 최상부의 높이 B를 실시예 12보다 낮게 한 것 외에는, 실시예 10과 동일하게 하여 하의용 의료를 제작했다.
[실시예 14]
측부의 본체 옷감과 안쪽 옷감의 접착점의 최상부의 높이 B를 높게 한 것 외에는, 실시예 10과 동일하게 하여 하의용 의료를 제작했다.
[실시예 15]
도 8의 패턴으로 본체 옷감 및 안쪽 옷감을 제작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하의용 의료를 제작했다.
[실시예 16]
도 9의 패턴으로 본체 옷감 및 안쪽 옷감을 제작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하의용 의료를 제작했다.
[실시예 17]
도 10의 패턴으로 본체 옷감 및 안쪽 옷감을 제작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하의용 의료를 제작했다.
[실시예 18]
도 11의 패턴으로 본체 옷감 및 안쪽 옷감을 제작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하의용 의료를 제작했다.
[실시예 19]
장척으로 본체 옷감 및 안쪽 옷감을 제작한 것 외에는, 실시예 10과 동일하게 하여 하의용 의료를 제작했다.
[비교예 1]
측부의 본체 옷감과 안쪽 옷감의 접착점의 최상부의 높이 B가 높은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하의용 의료를 제작했다.
[비교예 2]
안쪽 옷감을 본체 옷감에 전체 면 접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하의용 의료를 제작했다.
[비교예 3]
국제공개 제2019/124525호 팸플릿의 실시예 1을 참고로 하여, 이하와 같이 하의용 의료를 제작했다.
본체 옷감용의 옷감은, 나일론 44 dtex 34 필라멘트, 미들 리드에 스판덱스 섬유 155 dtex, 백 리드에 스판덱스 섬유 33 dtex를 풀셋트로 통사하고, 프론트의 조직을 1-0/2-1/2-3/1-2, 미들의 조직을 0-0/1-1, 백의 조직을 0-0/3-3/2-2/3-3로 편성하고, 옷단에 해당하는 부분은 헴 구조가 되도록 생기(生機)를 제작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마무리했다.
또한 안쪽 옷감용의 옷감은, 싱글 트리코트기를 이용하여, 프론트 리드에 나일론 33 dtex 34 필라멘트, 백 리드에 15 dtex의 폴리우레탄 섬유를 풀셋트로 통사하고, 프론트의 조직을 1-0/2-3, 백의 조직을 2-0/1-3로 편성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마무리했다.
상기 본체 옷감의 편지로서의 경사 방향을 제품의 횡방향으로 배치하고, 도 6의 패턴으로, 안쪽 옷감을 둔부의 상하 방향의 중앙 부근으로부터 다리의 밑동 부근에 걸쳐 겹쳐서 접착하여, 여성 M 사이즈(신장 155-165 cm)의 하의용 의료를 제작했다. 접착에는 BEMIS사 제조 접착제를 이용하고, 본딩 머신을 이용하여, 압력 3 BAR, 온도 160℃에서 30초 접착했다. 접착폭은 1 cm로 하고, 안쪽 옷감의 하방의 단부는 프리컷트 마무리로 봉제는 행하지 않고, 본체 옷감과의 접착은 크로치부 이외는 행하지 않았다.
[비교예 4]
국제공개 제2019/124525호 팸플릿의 실시예 9를 참고로 하여, 이하와 같이 하의용 의료를 제작했다.
도 10의 패턴으로 본체 옷감 및 안쪽 옷감을 제작한 것 외에는, 비교예 3과 동일하게 여성 M 사이즈의 하의용 의료를 제작했다.
이상의 실시예 및 비교예의 하의용 의료의 착용 시험의 결과를, 옷감 및 의료의 특성과 함께 이하의 표 3∼표 5에 나타낸다.
[표 3]
Figure pct00003
[표 4]
Figure pct00004
[표 5]
Figure pct00005
표 3∼표 5로부터, 안쪽 옷감의 종방향 중앙선이, 하의용 의료의 측부에 있어서, 대전자 상당부보다 종방향 하측에 위치함으로써, 무릎에 대한 내선 또는 외선의 효과가 양호하게 얻어졌다. 또한, 조이는 느낌, 움직임의 용이함, 교정감을 양립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하의용 의료는, 동작시에 있어서 움직임의 용이함을 저해하지 않고, 또한 무릎에 대한 선회 효과가 우수한 것이 된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제1 본 발명의 하의용 의료는, 본체 옷감의 내측에 안쪽 옷감을 겹치고, 또한 안쪽 옷감에서의 제품 종방향과 횡방향의 80% 신장 응력의 비가 소정의 범위에 있음으로써, 동작시에 있어서, 안쪽 옷감이 피부의 신전에 추종하여, 동작을 저해하지 않기 때문에 움직임이 용이하고, 또한 효율적으로 외선력 또는 내선력을 신체에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무릎에 대한 선회 효과가 크다. 이 때문에, O 다리나 X 다리에 대한 교정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본 발명의 하의용 의료를 착용함으로써 보행 보조 효과가 우수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하의용 의료는, 스포츠용 하의 등에 적합하게 이용 가능하다.
제2 본 발명의 하의용 의료는, 안쪽 옷감의 종방향 중앙선이, 하의용 의료의 측부에 있어서, 대전자 상당부보다 종방향 하측에 위치함으로써, 동작시에 있어서, 안쪽 옷감이 피부의 신전에 추종하여, 동작을 저해하지 않기 때문에 움직임이 용이하고, 또한 효율적으로 외선력 또는 내선력을 신체에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무릎에 대한 선회 효과가 크다. 이 때문에, O 다리나 X 다리에 대한 교정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본 발명의 하의용 의료를 착용함으로써 보행 보조 효과가 우수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하의용 의료는, 스포츠용 하의 등에 적합하게 이용 가능하다.

Claims (6)

  1. 탄성사를 포함하고, 본체 옷감과 안쪽 옷감으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 옷감의 내측에 상기 안쪽 옷감이 겹쳐 있고, 상기 안쪽 옷감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본체 옷감과 접착되지 않은 이중 구조가 존재하는 하의용 의료(衣料)로서, 상기 안쪽 옷감의 제품에서의 종방향의 80% 신장시의 응력을 A로 하고, 상기 안쪽 옷감의 제품에서의 횡방향의 80% 신장시의 응력을 B로 한 경우, 0.1 ≤ A/B <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의용 의료.
  2. 제1항에 있어서, 0.1 ≤ A/B < 0.5인 하의용 의료.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옷감의 제품에서의 횡방향의 50% 신장시의 응력을 C로 하고, 상기 안쪽 옷감의 횡방향의 50% 신장시의 응력을 D로 한 경우, 1.6 < D/C ≤ 10인 하의용 의료.
  4. 제3항에 있어서, 1.6 < D/C ≤ 6.0인 하의용 의료.
  5. 제4항에 있어서, 1.6 < D/C ≤ 4.0인 하의용 의료.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포츠 의료인 하의용 의료.
KR1020227006984A 2020-01-28 2021-01-28 하의용 의료 KR2022004242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011687 2020-01-28
JP2020011748 2020-01-28
JP2020011687 2020-01-28
JPJP-P-2020-011748 2020-01-28
PCT/JP2021/003082 WO2021153686A1 (ja) 2020-01-28 2021-01-28 ボトム衣料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2426A true KR20220042426A (ko) 2022-04-05

Family

ID=77079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6984A KR20220042426A (ko) 2020-01-28 2021-01-28 하의용 의료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20287389A1 (ko)
EP (1) EP3997994A4 (ko)
JP (1) JP7072738B2 (ko)
KR (1) KR20220042426A (ko)
CN (1) CN114364277A (ko)
CA (1) CA3150463A1 (ko)
TW (1) TWI787727B (ko)
WO (1) WO2021153686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00619A (ja) 2003-03-31 2004-10-28 Wacoal Corp 股付き衣類
KR20190081986A (ko) 2017-12-29 2019-07-0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밀봉용 에폭시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여 밀봉된 반도체 소자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41500B2 (en) * 2005-05-13 2008-03-11 Victoria's Secret Stores Brand Management, Inc. Garment with lifting feature
US20160183600A1 (en) * 2008-04-07 2016-06-30 Tommy John, Inc. Dress shirt
JP4607233B1 (ja) * 2010-01-15 2011-01-05 株式会社シャルレ 下肢矯正被服
CN102858194B (zh) * 2010-04-26 2015-01-28 恩瓦德控股股份有限公司 弹力织物以及具有伸缩性的裤子
JP5790074B2 (ja) * 2011-03-30 2015-10-07 株式会社ワコール 下肢部用衣料
CA2870093C (en) * 2012-04-10 2018-10-23 Wacoal Corp. Crotched exercise garment
JP6353150B1 (ja) * 2017-10-30 2018-07-04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インナーウェア
JP2019081986A (ja) 2017-10-31 2019-05-30 美津濃株式会社 衣服
CN111479480B (zh) * 2017-12-21 2022-09-30 旭化成株式会社 下装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00619A (ja) 2003-03-31 2004-10-28 Wacoal Corp 股付き衣類
KR20190081986A (ko) 2017-12-29 2019-07-0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밀봉용 에폭시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여 밀봉된 반도체 소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787727B (zh) 2022-12-21
JP7072738B2 (ja) 2022-05-20
EP3997994A4 (en) 2022-11-23
JPWO2021153686A1 (ko) 2021-08-05
WO2021153686A1 (ja) 2021-08-05
TW202137900A (zh) 2021-10-16
CN114364277A (zh) 2022-04-15
US20220287389A1 (en) 2022-09-15
CA3150463A1 (en) 2021-08-05
EP3997994A1 (en) 2022-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07936B1 (en) Clothing
JP7303776B2 (ja) ボトム衣料
JP6849820B2 (ja) 水着
KR100540739B1 (ko) 체형 보정 기능을 갖는 의료
JP4589653B2 (ja) 衣料
KR20220042426A (ko) 하의용 의료
TWI746040B (zh) 泳裝
JP6462455B2 (ja) 運動用衣服
WO2022224939A1 (ja) ボトム衣料の製造方法
WO2022265114A1 (ja) ボトム衣料
JP2021155860A (ja) ボトム衣料
JP2017203232A (ja) 伸縮性経編地
JP5980502B2 (ja) ボトム用衣料
JP2021116500A (ja) ボトム衣料
JP2005105477A (ja) 水着
JP2020165003A (ja) ボトム製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