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8496B1 - 고유속 및 저오염의 여과매체 - Google Patents

고유속 및 저오염의 여과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8496B1
KR101228496B1 KR1020077007719A KR20077007719A KR101228496B1 KR 101228496 B1 KR101228496 B1 KR 101228496B1 KR 1020077007719 A KR1020077007719 A KR 1020077007719A KR 20077007719 A KR20077007719 A KR 20077007719A KR 101228496 B1 KR101228496 B1 KR 1012284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filter medium
pva
polymer
nanofibe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7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9135A (ko
Inventor
벤자민 추
벤자민 에스. 시아오
두페이 팡
김광석
Original Assignee
리서치 파운데이션 어브 서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759559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228496(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리서치 파운데이션 어브 서니 filed Critical 리서치 파운데이션 어브 서니
Publication of KR20070059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91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8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84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2Composite membranes; Ultra-thin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08Hollow fibre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0Supported membranes; Membrane supports
    • B01D69/107Organic suppor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8Prevention of membrane fouling or of concentration polari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4Dynamic membranes
    • B01D69/141Heterogeneous membranes, e.g. containing dispersed material; Mixed matrix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08Polysacchar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cleaning, regeneration, sterilization or to the prevention of fouling
    • B01D2321/16Use of chemical agents
    • B01D2321/168Use of other chemical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preparation
    • B01D2323/38Graft polymeriz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preparation
    • B01D2323/39Electrospin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5/00Details relating to properties of membranes
    • B01D2325/02Details relating to pores or porosity of the membranes
    • B01D2325/022Asymmetric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5/00Details relating to properties of membranes
    • B01D2325/02Details relating to pores or porosity of the membranes
    • B01D2325/022Asymmetric membranes
    • B01D2325/0233Asymmetric membranes with clearly distinguishable lay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9921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 Y10T428/256Heavy metal or aluminum or compound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 Y10T428/259Silicic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15Rod, strand, filament or fiber including textile, cloth or fabr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33Coated or with bond, impregnation or core
    • Y10T428/294Coated or with bond, impregnation or core including metal or compound thereof [excluding glass, ceramic and asbestos]
    • Y10T428/2942Plural coatings
    • Y10T428/2944Free metal in co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8Physical dimen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20Coated or impregnated woven, knit, or nonwoven fabric which is not [a] associated with another preformed layer or fiber layer or, [b] with respect to woven and knit, characterized, respectively, by a particular or differential weave or knit, wherein the coating or impregnation is neither a foamed material nor a free metal or alloy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20Coated or impregnated woven, knit, or nonwoven fabric which is not [a] associated with another preformed layer or fiber layer or, [b] with respect to woven and knit, characterized, respectively, by a particular or differential weave or knit, wherein the coating or impregnation is neither a foamed material nor a free metal or alloy layer
    • Y10T442/2033Coating or impregnation formed in situ [e.g., by interfacial condensation, coagulation, precipitation,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20Coated or impregnated woven, knit, or nonwoven fabric which is not [a] associated with another preformed layer or fiber layer or, [b] with respect to woven and knit, characterized, respectively, by a particular or differential weave or knit, wherein the coating or impregnation is neither a foamed material nor a free metal or alloy layer
    • Y10T442/2762Coated or impregnated natural fiber fabric [e.g., cotton, wool, silk, linen, etc.]
    • Y10T442/277Coated or impregnated cellulosic fiber fabr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20Coated or impregnated woven, knit, or nonwoven fabric which is not [a] associated with another preformed layer or fiber layer or, [b] with respect to woven and knit, characterized, respectively, by a particular or differential weave or knit, wherein the coating or impregnation is neither a foamed material nor a free metal or alloy layer
    • Y10T442/2861Coated or impregnated synthetic organic fiber fabr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20Coated or impregnated woven, knit, or nonwoven fabric which is not [a] associated with another preformed layer or fiber layer or, [b] with respect to woven and knit, characterized, respectively, by a particular or differential weave or knit, wherein the coating or impregnation is neither a foamed material nor a free metal or alloy layer
    • Y10T442/2861Coated or impregnated synthetic organic fiber fabric
    • Y10T442/2885Coated or impregnated acrylic fiber fabr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20Coated or impregnated woven, knit, or nonwoven fabric which is not [a] associated with another preformed layer or fiber layer or, [b] with respect to woven and knit, characterized, respectively, by a particular or differential weave or knit, wherein the coating or impregnation is neither a foamed material nor a free metal or alloy layer
    • Y10T442/2861Coated or impregnated synthetic organic fiber fabric
    • Y10T442/2893Coated or impregnated polyamide fiber fabr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20Coated or impregnated woven, knit, or nonwoven fabric which is not [a] associated with another preformed layer or fiber layer or, [b] with respect to woven and knit, characterized, respectively, by a particular or differential weave or knit, wherein the coating or impregnation is neither a foamed material nor a free metal or alloy layer
    • Y10T442/2861Coated or impregnated synthetic organic fiber fabric
    • Y10T442/291Coated or impregnated polyolefin fiber fabr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20Coated or impregnated woven, knit, or nonwoven fabric which is not [a] associated with another preformed layer or fiber layer or, [b] with respect to woven and knit, characterized, respectively, by a particular or differential weave or knit, wherein the coating or impregnation is neither a foamed material nor a free metal or alloy layer
    • Y10T442/2861Coated or impregnated synthetic organic fiber fabric
    • Y10T442/291Coated or impregnated polyolefin fiber fabric
    • Y10T442/2918Polypropylene fiber fabr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59Including an additional nonwoven fabric

Abstract

마이크로여과, 한외여과(UF) 및 나노여과(NF) 필터에 적합한 막을 제공한다. 이런 막은 나노섬유 지지체를, 선택에 따라서는 부직 기재 및/또는 폴리머의 피막 및 관능화 나노필러와 함께 포함할 수 있다. 적절한 막은 또한 부직막, 나노섬유 지지체 또는 부직막 및 나노섬유 지지체를 포함할 수 있는 지지체 상에 폴리머 피막 및 관능화 나노필러를 포함할 수도 있다.
Figure R1020077007719
마이크로여과, 한외여과, 나노여과, 나노섬유, 나노필러, 부직막, 지지체, 폴리머, 피막

Description

고유속 및 저오염의 여과매체{HIGH FLUX AND LOW FOULING FILTRATION MEDIA}
정부권리
본 발명은 미국 해군연구사무소승인(Naval Research Grant) N000140310932하에서 정부지원을 받아서 만들어졌다. 정부는 본 발명에서 일정한 권리를 갖는다.
관련출원의 상호참조
본 출원은 2004년 10월 6일 출원한 미합중국 가특허출원 제 60/616,592호 및 2004년 12월 7일에 출원한 미합중국 가특허출원 제 60/633,987호의 이익을 주장하는데, 상기 각 출원의 전체 내용은 본 명세서에서 참고로 채용한다.
한외여과(UF)는 용액을 미세필터에 통과시켜서 사이즈에 따라서 용질분자들을 분리하는 정수에 이용하는 기술이다. 한외여과장치는 일반적으로 강인하고 얇은 선택적 투과막으로서, 이 투과막은 콜로이드, 미생물 및 발열물질(pyrogen)을 포함하는 특정 사이즈 이상의 대부분의 거대분자 및/또는 입자들을 보유한다. 따라서, UF는 거대분자 및/또는 입자들이 풍부한 여과분(보유물질)과 이들 분자 및/또는 입자들을 포함한다면 아주 조금 포함하는 여과액을 제공하게 된다.
현재 최신기술의 한외여과법은 세라믹 마이크로필터 또는 천공중공사를 이용한다. 이들 여과방식의 문제점으로는 막의 오염 및 막의 가격이 포함되는데, 이는 선저의 오수(선박의 바닥내에 모여서 정체되는 물)와 생산수(탄화수소의 제조 중에 생성되는 물로서, 오일 및 가스의 오염물질이라고 생각된다)를 포함한 물 등의 유체의 처리가 고비용 및 저효율로 되는 것과 관련이 있다. 오염의 징후는 여과 중에 막의 투수성이 점차적으로 막힘에 의한 피할 수 없는 결과이다. 오염속도는 막의 표면특성, 막의 표면 대 체적 비, 유속, 침투농도, 여과온도 및 공급물 및 보유물질 흐름의 특성 등의 많은 변수의 함수이다.
오늘날, 시판되고 있는 폴리머막 시스템은 주로 3가지 타입: 즉 (1) 중공사 필터, (2) 관형 필터 및 (3) 나선형 권취필터로 분류할 수 있다. 중공사 필터는 내경이 약 1mm인 중공사 다발로 구성된다. 이 필터 시스템의 이점은 가격이 낮고, 물리적 강도가 좋고 경량이라는 것이다. 이 시스템의 결점은 막히기 쉽고, 섬유가 파단되며, 화학적 및 생물학적 공격을 더 받기 쉽다는 것이다. 관형 필터는 내경이 약 1cm인 개개의 관으로 구성된다. 이 필터는 막히지는 않지만 화학적 및 생물학적 공격을 받는다. 관형 필터의 낮은 충전밀도로 인해 여과효율이 낮아진다. 나선형 권취필터는 지지 스페이서를 개재하여 말아진 시이트막으로 구성된다. 이 필터는 가격이 낮고 경량이라는 이점을 갖지만, 역시 화학적 및 생물학적 공격을 받는다. 막의 응용에 적합한 폴리머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종래의 한외여과 및 나노여과막에서는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 폴리에테르술폰(PES), 폴리아미드, 및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 등의 많은 폴리머계를 사용하였다. 흔히 호모폴리머 단독으로는 양호한 여과성을 얻는데 충분하지 못하다. 선저의 오수 등의 물의 여과에 필요한 친수성 및 생물학적 기능을 향상시 키기 위해서는 공중합, 폴리머 그라프팅 및 가교결합 등의 화학적 변성과 폴리머 블렌딩 등의 물리적 변성을 사용하였다. 현재, 몇 개의 연구그룹이 막의 응용에 필요한 신재료 시스템을 조사하고 있다. 이들 시스템은 PVDF에 기초한 양친매성 그라프트 코폴리머, 폴리1-(트리메틸실릴)-1-프로핀](폴리(TMSP)), 가교결합된 친액성 액정 조립체, 이온선택성 나노구조의 초분자막, 중공 나선형 분자, 및 친수성 폴리(2-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PDMAEMA) 및 소수성 폴리(1,1'-하이드로퍼를루오로옥틸 메타크릴레이트)(PFOMA) 또는 폴리(1,1,2,2-테트라하이드로퍼플루오로옥틸 아크릴레이트)(PTAN) 블록을 포함하는 블록 코폴리머를 포함한다.
저가의 필터(예를 들어, 폴리머 중공사 및 나선형 권취막)의 오염속도가 빨라지면 필터의 빈번한 교체가 필요하게 되어 이에 따라서 높은 운전비용이 들게 된다. 고가의 세라믹 필터는 저가의 폴리머 필터의 결점의 일부를 극복할 수는 있지만 이들 과제를 완전히 해결하지 않는다.
따라서, 가격이 낮고 고유속에서 오염이 적은 한외여과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개량된 필터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피막을 갖는 기재를 포함하는 물품을 제공한다. 이 피막은 직경이 약 0.3nm 내지 약 300nm인 적어도 하나의 나노필터과 함께 폴리머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라서, 기재는 직경이 약 1nm 내지 약 20,000nm인 섬유를 만들어진 나노섬유 지지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직경이 약 1nm 내지 약 20,000nm인 섬유로 만들어진 나노섬유 지지체를 포함하는 물품을 제공한다. 이 지지체는 유효직경이 약 2nm 내지 약 200nm이고 두께가 약 1μm 내지 약 500μm인 피막을 갖는다.
또한 기재와, 상기 기재의 표면에 적용된 직경이 약 1nm 내지 약 20,000nm인 섬유로 만들어진 나노섬유 지지체와, 상기 기재에 적용된 표면의 반대측 표면에 상기 나노섬유 지지체 상에 형성된 피막으로서, 직경이 약 1nm 내지 약 100nm인 적어도 하나의 관능화 나노필러와 함께 폴리머를 포함하는 피막을 포함하는 물품이 제공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바닥면 및 상면을 갖는 비대칭상의 나노섬유 지지체층과, 직경이 약 300nm 내지 약 10,000nm이며 나노섬유 지지체의 바닥면을 구성하는 섬유과, 직경이 약 10nm 내지 약 500nm이며 나노섬유 지지체의 상면을 구성하는 섬유를 포함하는데, 상기 나노섬유 지지체의 바닥면을 구성하는 섬유의 직경은 상기 나노섬유 지지체의 상면을 구성하는 섬유의 직경보다 크게 된 물품을 제공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3층 복합한외여과(UF) 필터막의 개략도(도 1A) 및 일렉트로스피닝된 PVA 기재의 대표적인 SEM 화상(도 1B)이다.
도 2는 막조립체에 이용된 각 성분의 일반적인 구조(도면의 좌측) 및 SEM 화상(도면의 우측)을 보여주는 본 발명의 고유속 저오염 필터막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나노섬유막과 상용의 UF막 사이의 유속비교를 보여주는 그래프와, 본 발명의 UF막의 중간층의 SEM화상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막을 형성하는데 이용되는 일렉트로스피닝된 층을 제조하기 위해 6wt%의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을 사용하는 두 개의 피막층의 표면특징을 나타내는 SEM화상을 제공한다.
도 5는 상용의 한외여과막(바닥)과 비교한 본 발명의 복합막(상부)의 유속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막에서 피막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그라프트화 키토산(PEG-g-CHN) 코폴리머를 제조하기 위한 합성안의 도면이다.
도 7은 PVA 섬유 직경의 도수분포도이다.
도 8은 12시간 동안 실온에서 아세톤 속에서 PVA 섬유막을 가교결합시킬 때 글루타르알데히드(GA) 농도의 영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는 다른 GA농도에서 가교결합된 일렉트로스피닝형 PVA 기재의 그램당 물흡수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0은 일렉트로스피닝된 나노섬유 기재의 응력-변형 곡선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1은 가교결합된 일렉트로스피닝형 PVA 기재의 SEM 화상이다.
도 12는 복합막의 대표적인 SEM 단면화상을 포함하는데, 도 12A는 순수한 PEBAX로 코팅된 일렉트로스피닝된 PVA이고, 도 12B는 10wt%의 MWNT/PVA 히드로겔 나노복합체로 코팅된 일렉트로스피닝된 PVA이고, 도 12C는 도 12B의 피막층(원 부분)의 확대화상이다.
도 13은 오일/물 에멀션 중의 친수성 복합막의 물유속의 성능을 나타내는 그 래프이다.
도 14는 산화된 MWNT의 표면구조의 개략도이다(산화된 영역은 음영으로 표시되어 있는데, 이는 MWNT의 표면상에 불규칙하게 분포되어 있다).
도 15는 여러 분자량을 갖지만 유사한 정도로 가수분해된 일렉트로스피닝형 PVA막의 SEM화상으로서, 도 15A는 98% 가수분해되고 Mw가 13,000-23,000g/mol이며(24wt% 용액으로 일렉트로스피닝됨), 도 15B는 98% 가수분해되고 Mw가 78,000 g/ mol이며(11wt% 용액으로 일렉트로스피닝됨), 도 15C는 98-99wt% 가수분해되고 Mw가 85,000-124,000g/mol이다(9wt% 용액으로 일렉트로스피닝됨).
도 16은 서로 다른 분자량을 갖지만 가수분해 정도가 유사한 시료와 가교결합하기 전의 일렉트로스피닝된 PVA 나노섬유 지지체의 응력-연신 곡선을 보여주는데, 도 16A는 98% 가수분해된 LMw이고, 도 16B는 98% 가수분해된 MMw이고, 도 16C는 98-99% 가수분해된 HMw이다.
도 17은 서로 다른 정도로 가수분해된 고분자량 시료(85,000-124,000g/mol)에 기초한 일렉트로스피닝된 PVA 지지체의 대표적인 SEM 화상을 보여주는데(일렉트로스피닝용 용액농도는 10wt%였다), 도 17A는 88-89%, 도 17B는 96%, 도 17C는 98-99%이다.
도 18은 서로 다른 정도로 가수분해된 고분자량 시료(85,000-124,000g/mol)에 기초한 일렉트로스피닝된 PVA 지지체의 응력-연신 곡선을 보여주는데, 도 18A는 88-89%, 도 18B는 96%, 도 18C는 98-99%이다.
도 19는 가교결합된 일렉트로스피닝형 PVA 지지체의 대표적인 SEM 화상을 보 여주는데, 도 19A는 96% 가수분해된 HMw이고, 도 19B는 98-99% 가수분해된 HMw이다.
도 20은 가교결합된 일렉트로스피닝된 PVA 지지체의 응력-연신 곡선을 보여주는데, 도 20A는 96% 가수분해된 HMw이고, 도 20B는 98-99% 가수분해된 HMw이다.
도 21은 PVA 나노섬유 복합막의 대표적인 SEM 단면화상이다.
도 22는 오일/물 에멀션의 분리를 위한 PVA히드로겔 피막중의 가교결합정도에 대한 나노섬유 복합막의 투과유속 및 용질제거율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3은 오일/물 에멀션의 분리를 위해 두가지 다른 피막층(반복단위가 0.06인 GA/PVA와 가교결합된 PVA히드로겔과 PEBAX)을 사용하는 친수성 나노섬유 복합막의 유속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PVA 피막층의 두께는 1.8μm였고, PEBAX의 두께는 0.8μm였다.
본 발명은 저가의 나노여과(micro-filtration) 필터, 한외여과(ultra-filtra -tion; UF) 필터, 또는 나노여과(nano-filtration; NF) 필터를 제조하는데 이용할 수 있는 액체 및 입자분리용 고유속, 저오염의 여과매체를 제공한다. 여기서 사용하는 바와 같이, 마이크로여과(UF)는, 제거하려고 하는 입자와 동등하거나 작은 기공 크기를 가지며, 평균 기공 또는 채널 크기가 약 0.5미크론 내지 100미크론, 일반적으로는 약 1미크론 내지 약 30미크론인 필터를 포함한다. 한외여과 또는 UF필터는 평균 기공 또는 채널 크기가 약 0.005미크론 내지 약 0.5미크론, 일반적으로 는 약 0.05미크론 내지 약 0.2미크론인 필터를 포함하며, 반면에 나노여과 또는 NF필터는 평균 기공 또는 채널 크기가 약 0.0005미크론 내지 약 0.05미크론, 일반적으로는 약 0.001미크론 내지 약 0.02미크론인 필터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선저 오수 여과, 생산수 여과 및 밸러스트 수(ballast water) 여과를 포함하는 유체여과용의 고유속 및 저오염의 한외여과 및 나노여과 필터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필터막으로서 일렉트로스피닝된(electro-spun)/일렉트로블로잉된(electro-blown) 나노섬유 지지체를 이용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막은 기재 상에 폴리머 및 관능화 나노필러를 갖는 피막을 포함하는데, 이 기재는 전술한 나노섬유 지지체나 그 외의 기재가 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고유속 및 저오염의 막은 다기능 혼성구조의 복합막을 제조하기 위한 적어도 3층의 접근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막은 (1) 적어도 한 층의 부직 기재; (2) 상기 기재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피막용적이 서로 연결된 형태를 갖고 기계적, 화학적 및 열적 안정성이 향상된 고유속 나노섬유 지지체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피막용적이 방향성을 갖는 비섬유성 지지체로 이루어질 수 있는 중간층; 및 (3) 상기 중간층에 관능화 나노필러와 함께 적용되는 매우 얇고 매끈한 표면의 폴리머층의 피막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기재는 고유속의 일렉트로스피닝된 나노섬유 지지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피막은 나노크기의 기공을 갖는 기능성 히드로겔이나 폴리머 및 나노크기의 기공을 갖는 관능화 나노필러 나노복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기재/지지체는 위상반전법(phase inversion method)에 의해 제조된 다공질막을 포함할 수 있고, 피막은 폴리머 및 나노크기의 기공을 갖는 관능화 나노필러 나노복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막은 한외여과막 또는 나노여과막과 함께사용되는 어떤 기재도 포함할 수 있는데, 이 한외여과막이나 나노여과막은 친수성 폴리머, 소수성 폴리머 및 친수성/소수성 코폴리머를 포함하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용할 수 있는 폴리머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나이론 6, 나이론 66, 및 나이론 12을 포함하는 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불소화 폴리머, 셀룰로스, 폴리에테르케톤, 폴리스티렌, 술폰화 폴리에테르케톤, 술폰화 폴리스티렌 및 그 유도체, 및 이들의 코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따르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이소탁틱 폴리프로필렌(iPP), 폴리에틸렌(PE),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및 불소화 폴리머로 만들어진 시판의 기재를 이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기재로서는 직경이 약 10μm인 FO2413((Freu -denburg Noneovens(미국, 켄터키주, 홉킨스빌)에서 시판) 등의 PET 부직나노필터를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적합한 기재로서는 소수성/친수성 코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런 코폴리머로는 폴리우레탄 코폴리머, 폴리우레아 코폴리머, 폴리에테르-b-폴리아미드, PEG-변성 불소화 코폴리머, 에틸렌-프로필렌 코폴리머, 에틸렌계 코폴리머, 프로필렌계 코폴리머가 포함되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코폴리머는 뛰어난 기계적 강도 및 내구성을 갖는 것으로서, 필터에 이런 특성이 요구되는 실시예에서 유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그 외의 적합한 기재로는 위상반전법으로 제조된 것을 포함하는 다공질막을 포함할 수 있다. 위상반전법은 당업자의 범위내에 있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1) 고분자량 폴리머, 용매, 및 비용매를 포함하는 용액이나 혼합물을 박막, 튜브 또는 중공사 속에 주입하는 단계; 및 (2) 상기 폴리머를 침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폴리머는 실시예에서 용매 또는 비용매를 증발시키거나(건조법); 상기 재료를 노출면 상에 흡수되는 비용매증기(예를 들어, 수증기)에 노출시키거나(증기상유도 침전법); 비용매 액체, 일반적으로 물속에서 급냉시키거나(습식법); 또는 폴리머의 용해도가 크게 감소하도록 고온 필름을 급냉시킴으로써 침전될 수 있다.
위상반전법으로 제조한 것 등의 적절한 다공질 기재는 당업자의 범위내에 있으며, 예를 들어 폴리술폰(예를 들어, 폴리에테르술폰),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플루오라폴리머(예를 들어,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VDF) 및 폴리옥시에틸렌 메타크릴레이트(POEM) 그라프트된 PVDF), 폴리아미드(예를 들어, 폴리에테르-b-폴리아미드) 등의 폴리머로 제조된 기재를 포함한다. 이런 기재들은 기공이 약 5nm 내지 약 250nm, 실시예에서는 약 20nm 내지 약 100nm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막을 형성하는데 이용할 수 있는 나노섬유 지지체는 (1) 단독으로 이용하여 본 발명의 막을 형성할 수 있고; (2) 전술한 바와 같은 기재에 적용하여 본 발명의 막을 형성할 수 있으며; (3) 본 발명의 폴리머/관능화 나노필러로 코팅되어 본 발명의 막을 형성할 수 있고; 또는 (4) 전술한 바와 같은 기재와 본 발명의 폴리머/관능화 나노필러 피막과 함께 사용하여 본 발명의 막을 형성할 수 있다.
이들 나노섬유막은 당업자 범위내에서 적절한 폴리머로 만들 수 있는 것으로서,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폴리에테르술폰 등의 폴리술폰,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등의 플루오로폴리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나이론 6, 나이론 66 및 나이론 12를 포함하는 폴리아미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스티렌,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등의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등의 폴리아세테이트, 폴리비닐 알콜 등의 폴리알콜, 키토산 등의 폴리사카라이드, 셀룰로스, 콜라겐, 젤라틴,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 등의 폴리알킬렌 옥사이드, 폴리우레탄, 폴리우레아,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에틸렌 이민 등의 폴리이민,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아크릴산, 폴리디메틸실록산 등의 폴리실록산, 폴리(에스테르-코-글리콜) 코폴리머, 폴리(에테르-코-아미드) 코폴리머, 이들의 가교형태, 이들의 유도체 및 이들의 코폴리머를 포함하는데,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 폴리에테르술폰(PES),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 가교결합된 수용성 폴리머,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콜(PVA), 변성셀룰로스 및 변성키토산, 이들의 화학적 유도체 및 코폴리머를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유체용해성 폴리머를 가교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들 폴리머가 친수성 나노섬유 지지체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도록 폴리비닐 알콜, 폴리사카라이드(키토산 및 히알루로난 등), 폴리알킬렌 옥사이드(폴리에틸렌 옥사이드 등), 젤라틴 및 그 유도체를 가교결합할 수 있다. 가교결합은 가교제를 사용하는 것을 포함한 당업자의 범위내의 방법들을 사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적절한 가교제로는, C2-C8알데히드, 산성관능기를 갖는 C2-C8모노알데히드, 및 C2-C9폴리카르본산이 포함되는데,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화합물은 적어도 두 개의 수용성 폴리머의 히드록실기와 반응할 수 있다. 그 외의 적절한 가교방법으로는, 당업자의 범위 내에서 종래의 열적가교, 방사선가교 및 광가교 반응이 포함된다. 가교제 또는 가교방법을 선택하는 두 가지 중요한 기준은 다음과 같다: (1) 가교제 또는 가교방법은 나노섬유 지지체층을 용해해서는 안 되며, (2) 가교제 또는 가교방법은 큰 치수변화를 야기해서는 안 된다. 예를 들어 친수성 일렉트론스피닝된 나노섬유 지지체층은 그 친수성 특성 때문에 탄화수소 등의 소수성 용매에서 매우 큰 수축을 나타낼 수 있다.
이용 가능한 가교제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글루타르알데히드, 글리옥살, 포름알데히드, 글리옥실산, 옥시디숙신산 및 구연산이 포함되는데,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따라서, 글루타르알데히드 등의 가교제로 폴리비닐알콜을 처리하는 것이 유익할 수 있다.
폴리비닐 알콜 등의 수용성 폴리머에 첨가하는 가교제의 양은 가교제 및 폴리머의 총 중량%의 약 0.1 내지 10%, 실시예에 따라서는 가교제 및 폴리머의 총 중 량%의 약 0.5 내지 5% 내에서 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나노섬유 지지체를 형성할 때, 일반적으로 폴리머를 먼저 N,N-이메틸 포름아미드(DMF), 테트라히드로푸란(THF), 메틸렌 클로라이드, 디옥산,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클로로포름, 물 또는 이들 용매의 혼합물 등의 용매에 넣어서 폴리머가 폴리머 용액의 약 1 내지 약 40wt%, 일반적으로 약 3 내지 약 25wt%, 보다 일반적으로 약 5-15wt%의 양으로 존재하도록 한다.
일부 유용한 실시예에서, PAN은 나노섬유 지지체로서 이용할 수 있고, 다른 실시예에서는 글루타르알데히드와 가교결합된 PVA가 나노섬유 지지체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이용된 폴리머 용액에 계면활성제나 그 외의 용매혼화성 액체를 부가하여 나노섬유 지지체를 형성함으로써 용액의 표면장력을 낮출 수 있는데, 이는 일렉트로스피닝, 일렉트로블로잉 등 중에 폴리머용액을 안정화시키는 것을 도와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적합한 계면활성제로는, 옥틸페녹시폴리에톡시 에탄올(Triton X-100으로서 시판),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소르비탄 세스키올레이트,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에틸렌 세틸 에테르, 디메틸 알킬 아민, 및 메틸 디알킬 아민 등이 포함된다. 계면활성제를 이용하는 경우, 계면활성제는 폴리머 용액의 약 0.001 내지 약 10중량%, 일반적으로는 폴리머 용액의 약 0.05 내지 약 5중량%, 실시예에 따라서는 폴리머 용액의 약 0.1 내지 약 2중량%의 양을 제공할 수 있다. 이 용매친화성 유체는 폴리머를 용해시키면서 폴리머 용액의 표면장력 및 용매혼합물의 증발속도를 변화시킬 수 있는 용매와의 용 매혼합물을 형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나노섬유 지지체는 단독으로, 또는 전술한 기재와 함께, 또는 후술하는 폴리머/관능화 나노필러 피막과 함께, 또는 기재 및 폴리머/관능화 나노필러 피막과 함께 이용하여 3층막을 형성할 수 있다. 3층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한외막은 도 1A 및 도 2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있다.
실시예에서, 나노섬유 지지체는 일렉트로스피닝, 일렉트로블로잉, 블로잉보조 일렉트로스피닝 및/또는 용액블로잉 기술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블로잉보조 일렉트로스피닝 및 일렉트로블로잉은 모두 전기력 및 가스블로잉 전단력을 사용한다. 블로잉보조 일렉트로스피닝법에서, 전기력이 중요인자인 반면 가스블로잉 특징은 유체제트류를 절단하는데, 그리고 용매의 증발을 제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낮은 처리능력, 소직경). 이와 대조적으로, 일렉트로블로잉법에서는 가스블로잉력이 원하는 연신비를 얻는데 중요한 인자인 한편, 전기력은 섬유의 연신을 더욱 크게 할 수 있다(높은 처리능력, 대직경). 일렉트로스피닝법은 기류의 도움없이 전기력만을 사용한다. 이와 대조적으로, 용액블로잉법은 전기력을 사용하지 않고 기류만을 사용한다.
구체적으로 유용한 일 실시예에서, PAN 또는 PVA 등의 중간층은 당업자에게 알려진 방법을 이용하여 부직 PET마이크로필터(Freudenburg Nonwovens사의 FO2413) 등의 기재상에 일렉트로스피닝될 수 있다.
일렉트로스피닝에서 이용하는 인가 전기장전위는 약 10 내지 약 40kV, 일반적으로는 약 15 내지 약 30kV 내에서 변화 가능하며, 스피너렛과 수집기 사이의 거 리가 약 5 내지 약 20cm, 일반적으로는 약 8 내지 약 12cm이며, 용액유속은 약 10 내지 약 40μl/분, 일반적으로는 약 20 내지 약 30μl/분이다. 일 실시예에서, 일렉트로스피닝법은 약 2kV/cm의 인가전기장 강도 및 약 25μl/분의 용액유속을 사용할 수 있다.
일렉트로블로잉에 의해 섬유를 형성하는 방법들은 당업자의 범위내에 있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전체 개시내용을 참고로 채용하는 미합중국 특허 공보 제 2005/0073075호에 개시된 방법이 포함된다. 간단히 말해서, 일렉트로블로잉법에서는 정전계가 기상 유동장과 결합된다. 기체류에 의해 액적이 취출되는 멜트블로잉(전하가 필요 없음)과 마찬가지로, 일렉트로블로잉에 의해 총 힘은 대전된 액적의 표면장력을 충분히 극복할 수 있을 정도로 강하다. 이에 따라서 이들 방법의 어느 단독의 방법과 비교하여 상당히 감소한 정전계와 가스유속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기상의 유동류와 정전계는 모두 유체제트류를 매우 빠르게 지면으로 당기도록 설계된다. 연신비는 유체의 전하밀도, 유체점도, 기체류유속 및 정전전위 등의 많은 변수에 따라 달라진다. 실시예에 따라서, 이들 변수는 처리중에 중간류에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체의 전하밀도를 증가시키거나 심지어는 중성유체를 대전된 유체로 변환시키기 위해 정전전하를 주입할 수 있다. 기체류의 온도도 유체의 점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기체류속 및 인가정전전위가 증가함에 따라서 인장력이 증가한다.
가스와 하전유체 제트류가 밀접하게 접촉하면, 단지 제트류가 제트류를 둘러 싸는 공기를 통과하는 일렉트로스피닝법에서보다 효과적으로 열이 전달된다. 따라서, 유체가 용액이라면, 가스온도, 가스유속, 및 기체류 프로파일이 용매의 증발속도에 영향을 주어 이를 제어할 수 있다. 가스온도는 액체질소온도에서 수 백도의 과열 가스까지 변화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한 범위는 용매의 소망 증발속도에 따라서 다르며 따라서 용매비등온도에 따라서 다르다. 스트리밍 프로파일은 제트류를 안정화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멜트블로잉에서 사용하는 것과 유사하여야 한다.
일렉트로블로잉의 실시예에서, 나노섬유 지지체를 형성하기 위해 스피너렛 당 폴리머용액의 공급속도는 약 5 내지 2500μL/분, 일반적으로는 약 20 내지 약 300μL/분, 실시예에서는 약 35 내지 약 150μL/분이 될 수 있다. 통기온도(air blow temperature)는 약 0℃ 내지 약 200℃, 일반적으로는 약 20℃ 내지 약 120℃, 실시예에서는 약 25℃ 내지 약 90℃가 될 수 있다. 스피너렛 당 통기속도는 약 0 SCFH(시간 당 표준입방피트) 내지 약 300 SCFH, 일반적으로는 약 5 SCFH 내지 약 250 SCFH, 실시예에서는 약 20 SCFH 내지 약 150 SCFH일 수 있다. 전위는 약 1kV 내지 약 55kV, 일반적으로는 약 15kV 내지 약 50kV, 실시예에서는 약 30kV 내지 약 40kV일 수 있으며, 일반적인 스피너렛과 수집기 사이의 거리는 약 10cm이다.
나노섬유 지지체를 블로잉보조 일렉트로스피닝으로 형성하는 경우, 나노섬유 지지체를 형성하기 위해 스피너렛 당 폴리머용액의 공급속도는 약 5 내지 150μL/분, 일반적으로는 약 10 내지 약 80μL/분, 실시예에서는 약 20 내지 약 50μL/분이 될 수 있다. 통기온도는 약 0℃ 내지 약 200℃, 일반적으로는 약 20℃ 내지 약 120℃, 실시예에서는 약 25℃ 내지 약 90℃가 될 수 있다. 스피너렛 당 통기속도 는 약 0 SCFH 내지 약 300 SCFH, 일반적으로는 약 5 SCFH 내지 약 250 SCFH, 실시예에서는 약 20 SCFH 내지 약 150 SCFH일 수 있다. 전위는 약 1kV 내지 약 55kV, 일반적으로는 약 15kV 내지 약 50kV, 실시예에서는 약 20kV 내지 약 40kV일 수 있으며, 일반적인 스피너렛과 수집기 사이의 거리는 약 10cm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나노섬유 지지체는 폴리머융융물 대신에 폴리머용액을 사용하여 지지체를 제조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멜트블로잉과 유사한 용액블로잉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이런 기술들은 당업자의 범위내에 있는 것으로서, 폴리머재료 및 블로잉제를 일반적으로 액체의 단일상으로 형성하고, 이를 일렉트로블로잉에서 이용하는 것과 유사한 종래의 장비를 이용하여 분무하는 것을 포함하는데, 단 액체를 분무하는데 전계를 이용하지는 않는다. 용액블로잉에 유용한 파라미터로는 예를 들어 음속의 약 100분의 1 내지 음속부근, 즉 약 시간 당 600마일의 속도의 기체류를 사용하여 얻어지는 매우 높은 전단력을 사용하는 것이 포함된다.
나노섬유 지지체를 기재 및 폴리머/관능화 나노필러 피막과 함께 이용하는 경우, 나노섬유 지지체는 3층막의 중간층을 형성할 수 있으며 멜트블로잉된 기재와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는데, 단 섬유직경이 1미크론 이하의 크기범위를 갖는데, 이는 멜트블로잉된 기재와 비교하여 직경이 약 10배 내지 5,000배 작은 크기이다. 처리능력이 훨씬 개량된 한외여과 및 나노여과용의 얇은 막층, 즉 피막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체로서 일렉트로스피닝된 부직막의 작은 기공크기 및 이들 막이 갖는 상호 연결된 공극용적을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나노섬유 지지체를 제 조하는 섬유의 직경은 약 1nm 내지 약 20,000nm, 실시예에서는 약 10nm 내지 약 1,000nm, 일반적으로는 약 30nm 내지 약 300nm의 범위가 될 수 있다.
나노섬유 지지체의 두께는 약 1μm 내지 약 500μm, 일반적으로는 약 10μm 내지 약 150μm, 보다 일반적으로는 약 30μm 내지 약 100μm 의 범위에서 변할 수 있다.
나노섬유 지지체는 본 발명의 막의 기능에 도움이 되는 기공이나 공극을 갖는다. 이들 공극의 직경은 약 10nm 내지 약 200μm, 실시예에서는 약 50nm 내지 약 30μm, 일반적으로는 약 100nm 내지 약 10μm의 범위에서 변할 수 있다.
나노섬유 지지체, 부직 기재, 또는 선택적으로 나노섬유 지지체 및 부직 기재의 조합은 본 발명의 고유속 및 저오염의 한외여과막의 기초를 형성할 수 있다.
나노섬유 지지체는 상호연결된 공극용적이 극히 크고 유효구멍 크기가 작기 때문에 본 발명의 한외여과 및 나노여과막의 지지체로서 매우 효과적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들 나노섬유 지지체는 그 자체를 마이크로필터로서 사용할 수 있으며 코팅하여 본 발명의 막을 형성하거나, 또는 실시예에서 나노섬유 지지체는 유효기공크기 및 섬유직경이 큰 부직 마이크로필터기재와 결합한 후, 코팅되어 본 발명의 막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런 독특한 조합으로 한외여과 및 나노여과막에 필요한 두께와 지지체에 의한 막힘을 효과적으로 감소시켜서 전체 처리능력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나노섬유 지지체는 그 자체로서 효과적인 필터로서 기능할 수 있다.
여러 가지 섬유 직경 및 기공을 갖는 비대칭형의 나노섬유 지지체도 일부 실 시예에서 사용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나노섬유 지지체가 두 개의 다른 표면을 갖는데, 이는 실시예에서 상면 및 바닥면이라고 부를 수 있다. 나노섬유 지지체의 바닥면을 구성하는 섬유는 일부 실시예에서는 나노섬유 지지체의 상면을 구성하는 섬유보다 큰 직경을 갖는다. 예를 들어, 나노섬유 지지체의 바닥면을 구성하는 섬유는 약 300 내지 10,000nm, 실시예에서는 약 400 내지 약 2,000nm, 일반적으로는 약 500 내지 약 1,000nm의 직경을 가질 수 있는 반면, 나노섬유 지지체의 상면을 구성하는 섬유는 약 5 내지 약 500nm, 실시예에서는 약 15 내지 약 300nm, 일반적으로는 약 30 내지 약 200nm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바닥면과 상면 사이에서 발견되는 섬유의 직경은 바닥면에서 발견되는 직경과 상면에서 발견되는 직경 사이에 크기변화를 보여준다.
이렇게 비대칭적인 섬유직경 때문에, 이런 비대칭상의 나노섬유 지지체는 본 발명의 막으로서 단독으로 이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비대칭상 나노섬유 지지체는 전술한 부직 기재에 적용할 수 있으며, 나노섬유 지지체의 바닥면의 섬유는 전술한 바와 같이 기재에 바로 인접해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피막은 본 발명의 비대칭상 나노섬유 지지체의 상면에 적용될 수 있는데, 나노섬유 지지체의 상면의 소직경 섬유는 피막층에 바로 인접하게 위치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나노섬유 지지체는 본 발명의 부직 기재와 피막 사이의 중간층으로서 존재할 수 있으며, 따라서 이런 실시예에서는 나노섬유 지지체의 바닥면의 대직경 섬유는 기재에 바로 인접하게 될 것이며, 나노섬유 지지체의 상면의 소직경 섬유는 피막층에 바로 인접하게 될 것이다.
비대칭상 3층막의 예를 도 2에 나타낸다.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서는, 중간층이 2종 이상의 서로 다른 중량%의 단일 폴리머의 용액 또는 여러 폴리머의 용액으로 제조된 2층 이상의 서브층을 구비하여 중간층을 형성할 수 있는데, 여기서 중간층의 대직경 필라멘트는 부직 기재의 더욱 큰 직경의 필라멘트와 접촉하고 있는 반면, 중간층의 점차 작아지는 직경의 필라멘트는 최상부의 얇은 피막층과 접촉하고 있다. 예를 들어, 10wt%의 PAN용액과 10wt%의 PAN용액을 둘 다 기재 상에 일렉트로스피닝하여 본 발명의 3층 여과막을 형성하는데 사용하기 적합한 비대칭상 나노섬유 지지체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막에 나노섬유 지지체 및 부직 마이크로필터 기재가 둘 다 존재하는 경우, 오염물의 제거에서 많은 한외여과 시스템이 이용하는 직교류(cross-flow)역학에 의해 기재와 지지체 사이에 박리가 생길 수 있다. 따라서, 일부 실시예에서는, PET 기재 등의 기재와 일렉트로스피닝된 PAN 등의 지지체 사이의 점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먼저 PET기재의 일측면을 수용성 키토산, 가교결합된 PVA, 가교결합된 폴리에틸렌 옥사이드(PEO), 그 유도체 및 코폴리머를 포함하는 용액으로 코팅하여 기재에 대한 중간층의 점착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편리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PVA 및 PEO 등의 수용성 재료는 글루타르알데히드, 글리옥살, 포름알데히드, 글리옥살산, 옥시디숙신산 및 구연산을 포함하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 공지의 가교제로 가교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기재와 지지체 사이의 접착층으로서는 0.7wt%의 중화 키토산(Mv=200,000g/mol) 수용액을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스프레이, 딥핑, 용액캐 스팅(solution casting) 등이 포함되는데,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 당업자의 범위내의 방법들을 이용하여 기재에 상기 키토산이나 그 외의 접착제를 적용할 수 있다. 기재 상의 키토산 피막이 완전히 건조하기 전에, 스피너렛과 수집기 사이의 거리 10cm에 걸쳐서 용액유속을 25μl/분으로 하여 상기 키토산 피막층 위에 (DMF중의 10wt%로부터) PAN 또는 PVA의 지지체 나노섬유를 일렉트로스피닝할 수 있다. 일렉트로스피닝된 나노섬유 지지체의 섬유직경은 약 150nm 내지 약 200nm의 범위가 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막을 형성하는데 기재 및/또는 피막층의 응집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나노섬유 지지체를 플라즈마 처리할 수 있다. 플라즈마 처리방법은 당업자의 범위내에 있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부직포상에 대기압 플라즈마처리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 방법은 염색, 화학적 그라프팅 및 기재접착에 필요한 섬유표면의 습윤성 및 친화성을 향상시키는데 유효한 수단이라고 입증되었다. 플라즈마 활성화에 의해, 다른 분자와 반응할 수 있는 섬유표면상의 관능기 및/또는 자유라디칼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플라즈마 처리는 다음과 같이 실시할 수 있다. 기재의 표면은 질소가수, 주위 공기, 또는 헬륨, 암모니아, 산소 및/또는 불소 등의 그 이의 가스 중에서 표면유전체배리어방전을 사용하여 대기압 플라즈마처리하여 관능화시킬 수 있다. 동시에, 나노섬유 지지체의 표면을 동일한 플라즈마로 처리할 수 있다. 그 결과의 플라즈마 여기된 기재는 아크릴산, 또는 키토산, 셀룰로스, 콜라겐 및 젤라틴 등의 폴리사카라이드, 또는 에폭시, 또는 그 조합물과 함께 무촉매 수용 액을 사용하여 다른 기재, 다른 플라즈마 여기된 다공성 지지체층, 또는 플라즈마 여기된 나노섬유 지지체에 결합될 수 있다. 플라즈마처리는 본 발명의 어떤 나노섬유 지지체 또는 본 발명의 막형성에 이용되는 다른 층을 포함한 막의 다른 층과 기재와의 점착력을 상당히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막은 또한 본 발명의 막의 유속을 향상시키고 오염속도를 줄이기 위해 나노크기의 기공을 갖는 나노필러를 갖는 매우 얇고 매끈한 표면의 폴리머피막을 포함할 수 있다. 이 피막은 전술한 바와 같이 공극배향 지지체 또는 나노섬유 지지체에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부직 나노섬유 기재, 나노섬유 지지체 및 피막층을 포함하는 3층막을 이용할 수 있다. 여과할 유체(또는 가스) 매체에 따라서, 피막층을 형성하는데 이용되는 폴리머는 친유체성(fluid-philic)이어야 한다. 친유체성 피막층은 친유체성 기재 및/또는 친유체성 나노섬유 지지체에 적용되어야 한다.
피막을 형성하는데 이용할 수 있는 친수성 폴리머로는 폴리사카라이드, 폴리알콜, 폴리알킬렌 옥사이드, 폴리이민, 폴리아크릴산, 폴리아미드, 폴리아민, 폴리우레탄, 폴리우레아, 그 유도체 및 그 코폴리머가 포함되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적절한 친수성 폴리머의 구체적인 예로는 키토산, 셀룰로스,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콜라겐, 젤라틴, 폴리비닐 알콜,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콘-그라프트 키토산, 폴리에틸렌 글리콜-그라프트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이민,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에테르-코-아미드) 코폴리머, 폴리벤즈이미다졸, 나이론 6, 나이론 66, 나이론 12, 폴리알릴아민, 그 유 도체 및 그 코폴리머가 포함된다.
비수성(non-aqueous)의 친유체성 피막을 형성하는데 이용할 수 있는 소수성 폴리머로는 폴리올레핀, 폴리술폰, 플루오로폴리머,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스티렌, 폴리니트릴,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아세테이트, 그 유도체 및 그 코폴리머가 포함된다. 적절한 비수성의 친유체성 폴리머의 구체적인 예로는 유체의 화학적 특성에 따라서 다른데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테르술폰,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테프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스티렌,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그 유도체 및 그 코폴리머가 포함된다.
실시예에 따라서, 본 발명의 막의 피막으로서 사용하는데 적합한 재료로는 키토산, 폴리(에테르-코-아미드) 코폴리머(아토피나의 듀퐁사에서 PEBAXR로서 시판), PEG-그라프트된 키토산을 제조하기 위해 폴리에틸렌 글리콜 등의 폴리머와 그라프트된 키토산, 셀룰로스 유도체, 가교결합된 PVA, 가교결합된 PEO, 그 유도체 및 코폴리머가 포함되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PVA 및 PEO 등의 수용성 폴리머를 가교결합시키는데 이용할 수 있는 가교제로는 글루타르알데히드, 글리옥살, 포름알데히드, 글리옥실산, 옥시디숙신산 및 구연산이 포함되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피막을 형성하는데 사용하기 적합한 나노필러로는 유기 나노필러 및 무기 나노필러가 모두 포함된다. 실시예에서, 적절한 나노필러로는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다중벽 탄소나노튜브 및 탄소나노섬유를 포함한 탄소나노튜브, 벅키볼(풀러렌 C60 및/또는 벅미니스터 풀러렌으로도 알려져있음), 흑연나노입자, 금속나노입자 또는 무기나노튜브를 포함하는데, 상기 무기나노튜브는 금, 코발트, 카드뮴, 구리, 철, 납, 아연 및 팔라듐, 그리고 실리카, 다면체 올리고머 실세스키녹산, 층상규산염 및 그 유도체를 포함하는 금속성분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 금속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이런 나노튜브 및 그 외의 나노필러는 관능화될 수 있는데, 이 관능화에는 (1) 산화, 오존화, 할로겐화(예를 들어, 염소화, 불소화 및 브롬화), 수소화, 티올화, 에스테르화, 라디칼의 부가, 친핵성 카르벤의 부가, 친전자성 부가, 부가환화(cycloaddition)(예를 들어, 카르벤, 니트렌, 친핵성 시클로프로판화) 등의 공유관능화 및 나노튜브 표면의 전기화학적 관능화, 및 (2) 정전기 상호작용, 반데르왈스 상호작용 및 p-스택킹 상호작용을 포함한 다양한 흡착력을 사용하는 초분자 복합체 형성에 의한 비공유 관능화가 포함된다.
일부 유용한 실시예에서, 나노필러는 피막을 포함하는 폴리머의 오리고머 또는 모노머의 화학적 그라프팅에 의해 관능화될 수 있다. 관능화된 나노필러는 피막층을 형성하는 폴리머 매트릭스와의 양호한 점착력을 나타낸다.
실시예에서, 나노필러는 카르본산기, 카르보닐기, 히드록시기, 에틸렌 옥사이드, 알콜, 사카라이드 및 아민기를, 또는 DNA분자, DNA단편, 및 단백질단편을 포함하는 초분자 복합체를 포함하지만 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 적어도 하나의 친수성 관능기에 의해 관능화될 수 있다. 적절한 DNA로는 식물, 동물 및 인간에서 얻어진 DNA분자를 포함할 수 있는데, 그 분자원은 일부 실시예에서 길이가 약 1 내지 1000누클레오티드, 실시예에서는 약 10 내지 100누클레오티드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나노필러는 탄소원자가 약 1 내지 약 20개인 탄화수소를 포함하는 선형 분자를 포함하는 지방족 화합물, 예를 들어 옥타데실아민(ODA), 폴리프로필렌-그라프트-말레익 언하이드라이드 올리고머(Mn이 약 3,900g/mol, Mw가 약 9,100g/mol, 산가가 약 47mg인 KOH를 포함), 3-(퍼플루오로옥틸)프로필아민 등)을 포함하는 불소화 화합물, 및 방향족 탄화수소를 포함하는 방향족 화합물, 예를 들어 헥사메틸렌디아민 등의 알킬리덴디아민을 포함하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소수성 관능기에 의해 관능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피막을 형성하는데 이용하는 나노필러는 로드형상 또는 원통형으로부터 구형의 벅키볼(오각형과 육각형을 결합한 축구공 형태의 구조)까지의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일부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피막을 형성하는데 이용하는 관능화 나노필러의 직경이 약 0.3nm 내지 약 300nm, 실시예에서는 약 0.5nm 내지 약 50nm, 일반적으로는 약 1nm 내지 약 30nm가 될 수 있다. 관능화 나노필러가 로드형상 또는 원통형인 경우, 이 나노필러는 길이가 약 1nm 내지 약 500nm, 실시예에서는 약 100nm 내지 약 50미크론, 일반적으로는 약 500nm 내지 약 5미크론일 수 있다.
나노필러가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다중벽 탄소나노튜브, 및/또는 탄소나노섬유인 경우, 이런 나노필러의 직경은 약 1nm 내지 약 300nm, 실시예에서는 약 5nm 내지 약 200nm, 일반적으로는 약 10nm 내지 약 100nm이 될 수 있다.
나노필러는 피막 속에 피막의 약 0.1중량% 내지 약 95중량%, 실시예에서는 피막의 약 0.2중량% 내지 약 30중량%, 일반적으로는 피막의 약 0.5중량% 내지 약 20중량%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역으로 말하면, 폴리머는 피막 속에 피막의 약 5중량% 내지 약 99.9중량%, 실시예에서는 피막의 약 70중량% 내지 약 99.8중량%, 일반적으로는 피막의 약 80중량% 내지 약 99.5중량%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피막층 속에 관능화 나노필러를 채용하면 피막층의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피막층의 유체투과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능화 나노필러 등의 변성 탄소나노튜브를 약 1중량% 내지 약 10중량%의 양으로 갖는 피막층은 실시예에서 나노필러가 없는 피막보다 인성이 약 50% 내지 약 300% 강하며(인성은 응력-변형 곡선하의 면적으로 평가하였다), 나노필러가 없는 피막보다 약 50% 내지 약 1000% 큰 유속의 증가(제거율)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막층은 1μm보다 작은 두께를 가질 수 있는데, 실시예에서는 약 1nm 내지 4,000nm, 일부 실시예에서는 약 10nm 내지 약 1,000nm, 일반적으로는 약 20nm 내지 약 300nm을 두께를 갖는다.
피막층은 기공, 즉 관능화된 나노필러와 피막층의 폴리머 사이의 계면에 형성되는 기공 또는 나노채널을 갖는데, 이 기공은 약 0.2nm 내지 약 30nm, 실시예에서는 약 0.4nm 내지 약 10nm, 일반적으로 약 0.5nm 내지 약 5nm이다. 채널의 크기는 친유체성 올리고머의 그라프트사슬 길이 및 탄소나노필러의 산화 또는 오존화 등의 나노필러의 관능화 정도에 의해 조정할 수 있으며, 따라서 피막층의 투과성 및 선택성을 조절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피막 속에 존재하는 관능화 나노필러의 수는 약 1개 내지 약 5개의 서로 다른 나노필러, 실시예에서는 약 2개 내지 약 4개의 서로 다른 나노필러가 될 수 있다.
피막층을 도포하는 방법은 당업자의 범위내에 있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딥핑 또는 딥핑과 박막피착을 결합한 2단계 피막법이 포함된다. 피막층에 적용하는데 이용할 수 있는 당업자가 알고 있는 다른 방법으로는 필름캐스팅(film casting)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여과매체는 유체로부터 많은 물질을 여과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일부 응용으로서는 선저의 오수의 여과, 생산수의 여과 및 해수로부터 염분을 제거하는 해수탈염이 포함된다. 선저 오수 또는 생산수의 여과를 위해 그리고 표면에 유기분자 및 오물입자가 포착되거나 축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여과매체의 최상측 코팅층은 오일분자 또는 오물입자의 크기와 동등한 기공크기를 가져야 하며, 이 코팅층은 또한 친수성이어야 한다. 또한, 여과시스템, 즉 한외여과매체, 나노여과매체 등을 이용하는 여과시스템은 대부분 직교류(cross-flow)여과 조건하에서 이용하므로, 피막층의 기계적 안정성 및 그 내구성도 중요하다.
전술한 기재 및 나노섬유 지지체 외에, 본 발명의 피막은 한외여과 또는 나노여과막으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그 외의 기재에 적용할 수 있는데, 이 한외여과 또는 나노여과막은 폴리술폰,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폴리비닐리덴 프루오라이드(PVDF) 및 폴리아미드 등의 폴리머재료로 만들어진 발포형 구조를 갖는 것을 포 함하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런 재료는 기공이 약 10체적% 내지 약 90체적%, 실시예에서는 약 30체적% 내지 약 75체적%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나노섬유 지지체는 본 발명의 피막에서 사용하는 전술한 나노필러를 포함할 수 있다. 나노섬유 지지체 내의 이들 나노필러의 양은 나노섬유 지지체의 약 0.01중량% 내지 약 70중량%, 실시예에서는 나노섬유 지지체의 약 0.1중량% 내지 약 5중량%의 범위에서 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막은 상용 기재(Freudenburg Nonwovens의 부직 PET마이크로필터(섬유직경 -10μm) FO2413)의 표면상에 일렉트로스피닝된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 또는 폴리비닐 알콜(PVA)의 나노섬유 지지체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3층복합필터는 시판의 필터와 비교하여 몇 가지 이점을 가진다. 매우 얇고 매끈한 상층은 필터의 표면에서의 오일 및 계면활성제 분자 및 오물입자의 포착 및 축적을 줄일 수 있으며, 용액 및 순수한 물에 의한 세척으로 이들 오염물질을 쉽게 제거할 수 있게 한다.
일렉트로스피닝된 나노섬유 지지체는 극히 큰 상호연결된 공극용량과 매우 적은 평균구멍크기를 갖는다. 이런 특성으로 인해서 지지체가 얇은 상층을 지지하는데 적합하게 된다. 따라서 상층과 일렉트로스피닝된 나노섬유 지지체를 조합하면 한외여과에 필요한 총 두께를 줄일 수 있으며, 따라서 전체 처리능력(유속)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나노섬유 지지체는 동등한 기공을 갖는 발포층보다 두께가 얇은 최상측 피막층을 지지하기가 보다 효과적이다.
막, 일렉트로스피닝된 지지체 및 멜트블로잉된 기재 중에서 기계적 및 나노 구조 특성을 적절히 조화시킴에 의해, 높은 처리능력 및 저오염의 필터를 고안하여 구성하고 성공적으로 검사하였다. 나노섬유 지지체에 기초한 본 발명의 여과막은 상용의 한외여과장치보다 5-10배 많은 상당한 유속향상을 나타내었다.
당업자가 여기서 설명한 본 발명의 특징을 보다 양호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들을 예시하고 제한하지 않기 위해 다음의 실시예들을 제공한다.
실시예 1
폴리아크릴로니트릴의 형성.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 Mw ∼150,000)/디메틸포름아미드(DMF)(10wt%) 용액을 사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필터용의 다공성 중간층을 제조하였다. 일렉트로스피닝 변수는 다음과 같았다. 즉 인가전압은 약 14 내지 약 20kV이고, 유속은 약 10 내지 약 20μL/분이고, 수집기(PET기재)와 스피너렛 사이의 거리는 약 10 내지 약 18cm였다. 일렉트로스피닝된 막의 기공을 제어하고 상층의 피막을 보다 쉽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일렉트로스피닝된 섬유의 직경을 물리적 한계 범위 내에서(즉 응집농도 또는 용해도 한계에 가깝게) 변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였다. PAN 일렉트로스피닝된 섬유 직경을 제어하기 위해 PAN용액의 다양한 농도(DMF중의 약 4 내지 약 12wt%)를 사용하였다. 이 다양한 농도로부터 얻어진 사이즈를 아래의 표 1에 요약한다.
표 1
농도에 대한 일렉트로스피닝된 섬유직경 변화
4wt(%) 6wt(%) 8wt(%) 10wt(%) 12wt(%)
평균직경A*(mm) 124 280 682 720 763
* ±50%
실시예 2
일렉트로스피닝 층과 마이크로섬유 기재 사이의 개량접합. PET기재, FO2413(켄터키주, 홉킨스빌의 Freudenburg Nonwovens에서 시판)의 일측면을 0.7wt%의 중화키토산(Mw=200,000g/mol)으로 코팅하였다. 기재상의 키토산피막이 완전히 건조하기 전에, 키토산층 위에 PAN용액(10wt%)을 직접 일렉트로스피닝하였다. PAN의 일렉트로스피닝 후에, 복합 한외여과필터(마이크로필터/일렉트로스피닝된 PAN합성물)를 2일 동안 실온에서 진공건조하였다.
그 결과의 막을 한외여과산업에서 사용하는 Pall Corp.의 표준여과기기에 근거하여 직교류여과장치에 적용하였다. 이 기기는 다음의 시험범위를 제공하였다.
1. 필터크기 : 2.75인치 × 3.75인치
2. 펌프용량 : 1.25갤런/분. 500psi이하의 압력을 만들 수 있다.
3. 입구, 출구 및 투과슬릿의 크기는 0.065인치 × 2.25인치
4. 동작조건하에서의 실제압력을 180psi까지 시험하였다.
PET기재 상에 키토산피막을 사용하면 직교류(cross-flow) 조건하에서 PET층과 PAN층 사이의 점착력을 향상시켰다.
실시예 3
나노섬유 지지체에 근거한 고유속 막의 설계 및 시험. 여러 가지 두께(50-300μm)를 사용하는 일렉트로스피닝된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의 막을 중간층막으로서 제조하여 실시예 2에서 전술한 키토산으로 처리된 PET형 기재에 적용하였 다.
나노섬유막을 제조하는데 다음의 재료를 이용하였다.
(A) 폴리에스테르 기재: 부직 PET마이크로필터(FO2413, Freudenburg Nonwove -ns). 이 기재중의 평균 섬유직경은 약 10μm였다.
(B) 다음과 같이 일렉트로스피닝법을 사용하여 나노섬유 지지체를 제조하는데 Aldrich사의 PAN(폴리아크릴로니트릴)을 사용하였다. 8-10wt%의 PAN용액을 DMF중에서 제조하였다. 이 PAN용액을 18kV에서 용액유속을 25μl/분으로 하여 PET기재의 표면상에 일렉트로스피닝하였다. 일렉트로스피닝된 PAN의 두께범위는 50μm 내지 300μm였다.
(C) 이 유속성능을 본 발명의 나노섬유막과 비교하기 위해 두 개의 상용 한외여과(UF)막 시스템을 선택하였다. 선택한 상용 UF시스템은 (1) VSEP(Ner Logic Research에서 입수), 및 (2) Pre-Tec UF여과(Pre-Tec Co.에서 입수)였으며, 잉크세정수에 의해 0.5×102 L/m2.h로 시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실증류수(약간의 오물을 함유하는 물)를 가지고 실시예 2에서 설명한 직교류장치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나노섬유막과 상용의 UF막의 유속시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도 3에 요약한다. 도 3A는 PET 마이크로필터 기재 + 피막층이 없는 일렉트로스피닝된 PAN(50μm) 2층필터를 보여주고, 도 3B는 PET 마이크로필터 기재 + 피막층이 없는 일렉트로스피닝된 PAN(150μm) 2층 필터를 보여주고, 도 3C는 PET 마이크로필터 기재 + 키토산피막층(약 5μm)을 갖는 일렉트로스피닝된 PAN (150μm)을 보여준다. 도 3에서 명확히 이해할 수 있듯이, PAN 나노섬유 지지체/PET 마이크로필터 복합막(약 5μm의 키토산으로 코팅되지 않은 것과 코팅된 것)은 수류내에서 기존의 상용 UF필터보다 유속이 상당히 개선된 것을 보여주었다.
피막층이 없는 복합필터(부직 PET 마이크로필터/일렉트로스피닝된 PAN 2층필터)는 높은 수압(약 120psi)에서 기계적으로 안정하였으며, 직교류(cross-flow) 시험(매체: 실험실 증류수)에서 고유속 여과성능을 나타내었다. 복합필터의 유속 (6,500-20,300L/m2.h)은 상용의 고유속 한외여과(UF) 필터막(500-1,300L/m2.h)의 유속보다 13배-16배 컸다. 따라서, 이 2층 복합필터 자체는 유성폐수 시험에 기초해서 볼 때 효과적인 필터였다.
비최적 두께의 3층필터(마이크로필터(150μm 지지층)/일렉트로스피닝된 PAN( 150μm 중간층)/키토산(5μm 피막층)의 유속도 2,000-4,800L/m2.h였는데, 이는 200μm두께의 상용 고유속 UF필터막보다 역시 양호하였다.
일렉트로스피닝된 PAN 중간층은 극히 큰 상호연결 공극용적(∼80%)을 가졌으며, 따라서 본 발명의 필터막에서 사용하면 한외여과막에 필요한 두께가 감소되고 따라서 전체 처리능력이 크게 증가한다.
실시예 4
유성폐수(물속에 1350ppm의 대두유 및 150ppm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Dow Corning 193 유체) 포함)를 사용하여 실시예 3의 전술한 필터막에서 추가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이들 실험의 결과로 이 복합막은 단독으로 사용할 때 효과적인 필터 라는 것을 시사하였다. 복합필터를 통한 여과 후에 폐수농도가 1,500ppm에서 540ppm으로 변화한 경우라도 여과유속은 높게 유지되었다.
실시예 5
키토산 피막을 갖는 나노섬유막의 평가. 다음의 절차를 이용하여 필터막의 최상측 피막층에 대하여 키토산(Mv ∼250,000, 80% 탈아세틸화)을 사용하였다. 키토산을 초산(99.5%)을 사용하여 특정 농도범위로 용해시키고(중화 후: 0.5∼1.5wt%), 이후 1N의 NaOH로 pH ∼6.5까지 중화시켰다. 실시예 3에서 설명한 PET/PAN 2층막(도 3A 및 도 3B에 설명한 것으로서 다른 나노섬유층 두께를 갖는다)을 키토산용액 속에 딥코팅하여 피막층을 형성하였다. 최상측 피막층의 두께는 일렉트로스피닝된 층의 두께와 관련이 있다는 것, 즉 일렉트로스피닝된 층이 두꺼울수록 최상측 피막층이 얇아질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고유속을 얻기 위해서는 최상층 두께를 정확히 제어할 수 있다. 피막이 너무 두꺼우면, 유속이 낮아질 것이다. 피막이 너무 얇으면 여과효율이 떨어질 것이다.
균일한 피막층을 얻기 위해서는 농도 구배(勾配, gradient)를 이용하여 수 회 코팅할 필요가 있었다. 2층 코팅시스템의 SEM 표면화상을 도 4에 도시하는데, 여기서 PAN 막을 물속에 적시고, 먼저 0.5wt%의 키토산 용액으로 코팅한 후 1.5wt%의 키토산 용액으로 코팅하였다.
이 막 시스템에서의 직교류 측정을 유성폐수(물속에 1350ppm의 대두유 및 150ppm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Dow Corning 193 유체) 포함)를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복합막의 여과성능을 시험하기 위해 주문형 직교류 여과셀(활성여과면적: 0.006515m2)을 사용하였다. 선택된 막간압력(trans-membrane pressure)(Δp)은 50psi였고, 선택된 입구압력은 130psi 였는데, 이는 전체 실험 동안에 걸쳐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선택된 동작온도는 30-33℃였다. 유속측정을 3회 반복하여 각 시료의 성능을 확인하였다.
이 복합막의 여과효율을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최초의 공급용액과 여과된 액체(투과액)의 계면활성제 농도를 230nm의 파장에서(즉, 150ppm-0ppm의 오일-계면활성제 혼합물의 범위에서) 자외가시분광법(ultraviolet-visible spectroscop -y)(BioRad SmartSpec 3000)에 의해 결정하였다. 다음의 식을 사용하여 제거율을 계산하였다.
제거율(%) = {(Cf-Cp)/Cf}× 100
여기서 Cf 및 Cp는 각각 공급용액의 계면활성제 농도와 투과액의 계면활성제 농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막필터에서의 유속은 상용 UF막보다 대략 7배 크다는 것을 발견하였다(도 5). 여과효율은 자외가시분광법(230nm에서의 흡광도)으로 평가하였다. 0-100ppm의 범위의 유성폐수의 교정곡선을 사용하여 물속의 불순물의 농도를 결정하였다. 그 결과를 아래의 표 2에 요약한다. 제거율 데이터로부터, 본 발명의 3층 복합막은 상용의 막과 동등한 제거율(%)을 갖지만 7배나 빠른 유속을 가졌다.
표 2
제거율(%) 및 농도에 근거한 여과시험결과
제거율*(%) 농도(ppm)
상용 UF막 >99 <5
3층 복합막(MF/PAN/키토산)
*(총유기함유량(1500ppm)-여과된 폐수값(ppm)/(총유기함유량(1500ppm)) × 100(%)
실시예 6
피막재료로서 PEG-그라프트 키토산의 합성. 실시예 5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매우 싼 친수성 재료인 키토산은 여과막의 오염특성을 향상시킨다는 양호한 약속을 보여주었다. 불량한 용해도 및 유연성을 향상시키고 단백질 흡수를 방지하기 위해, 친수성 폴리(에틸렌 글리콜)(PEG)을 키토산골격에 그라프트하였다(PEG-g-CHN). 또한, PEG분자는 단백질 응착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PEG를 그라프팅하면 변성 키토산의 항생물부착(anti-bio-fouling) 특성이 개량되었다.
일단 제조된 PEG 그라프트 키토산은 본 발명의 나노섬유막의 표면상의 피막층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도 6은 PEG-g-CHN 코폴리머를 제조하는 일반적인 도식을 표현한다. 키토산을 아미노기의 프탈릴화, 히드록실기의 트리페닐메틸화, 및 이어지는 아미노기의 탈보호에 의해 변성시켜서 유기용매에 용해 가능한 키토산 유사물질을 만들어냈다. 메틸-PEG의 일단부의 히드록실기를 카보닐디아미다졸(CDI)로 활성화시키고, 촉매로서 디메틸아미노피리딘을 사용하여 키토산에 접합시켰다. 형성된 PEG-g-트리페닐메틸-키토산을 탈보호시켜서 PEG-g-CHN을 제공하였다. 반응하지 않은 PEG를 투석에 의해 제거하였다(Mw 반올림 10,000). 코폴리머 중의 PEG함량은 [활성화 PEG] : [트리페닐메틸-키토산] 공급비를 변화시켜서 조정할 수 있 다.
이 합성안을 사용하여 PEG의 키토산으로의 그라프트 레벨이 50%정도까지 도달할 수 있었으며, PEG-g-CHN 코폴리머는 물과 DMF, 클로로포름 등의 유기용매에 모두 용해 가능하게 될 것이다. 그 결과의 PEG-g-CHN 코폴리머를 본 발명의 필터막의 피막층에 이용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PET/PAN 복합체를 코팅할 수 있었다.
실시예 7
PVA 나노섬유 지지체의 제조. 폴리비닐 알콜(PVA) 분말(Mw=78,000g/mol, 98% 가수분해)을 Polysciences Inc. (펜실바니아주, 와링톤)에서 입수하고, Triton X-100, 즉 글루타르알데히드(GA)(50% 수용액) 및 염산(36.5% 수용액)을 Aldrich Chemical(위스콘신주, 밀와우키)에서 입수하였다.
적어도 6시간 동안 일정하게 교반하면서 90℃에서 증류수에 PVA분말을 용해시킴으로써 PVA용액을 제조하였다. 용액이 실온으로 냉각되었을 때, PVA용액에 Triton X-100을 약 0.02-1.2v/w%의 농도로 첨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일렉트로스피닝하기 전에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PVA용액의 농도는 8wt%-15wt%의 범위였다. Triton X-100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표면장력을 낮춰서 일렉트로스피닝 동안에 PVA를 안정화시켰다. 일렉트로스피닝을 실시예 1에서 설명한 것처럼 실시하였다.
얇고 균일한 PVA 나노섬유를 제조하기 위한 신속하고 안정한 일렉트로스피닝 조건을 얻기 위해, 여러 농도/조성의 PVA/Triton 용액에 의한 일련의 실험을 실시하였다(예를 들어, PVA용액의 농도는 8wt% 내지 15wt%이고, Triton X-100의 농도는 0.02 내지 1.2wt%였다). 일렉트로스피닝 실험은 스피너렛과 수집기 사이의 거리를 10cm로 하고, 스피너렛의 구멍직경을 0.75mm로 하고 30kV의 일정한 전압하에서 실시하였다.
10wt%의 PVA용액에 대하여, 계면활성제 농도가 PVA용액 중에서 0.5v/w% 이상일 때, 35-40μl/분의 비교적 높은 공급속도로 일렉트로스피닝 작업이 매우 안정하였다. 이 공급속도는 계면활성제 없는 PVA 일렉트로스피닝에서 얻을 수 있는 것보다 두배 이상 높았다(15μl/분). 계면활성제 농도를 약 0.6v/w%로 유지하였을 때 PVA용액 농도를 8%에서 15%로 증가시켜서 PVA섬유의 평균직경을 120nm에서 500nm로 증가시켰다.
도 1B는 PVA 일렉트로스피닝된 기재(30kV의 인가전압에서 계면활성제 농도가 0.6v/w%이고 스피너렛과 수집기 사이의 거리가 10cm인 10wt%의 PVA)의 대표적인 SEM화상을 보여준다. 도 7에는 섬유직경의 도수분포가 나타나 있는데, 여기서 섬유의 평균직경은 약 130nm였다.
실시예 8
일렉트로스피닝된 PVA기재의 가교결합. PVA나노섬유는 물속에서 순간적으로 용해할 수 있으므로, 실시예 7의 일렉트로스피닝된 PVA 나노섬유로 제조된 기재가 가교결합되었다. 가교결합 절차는 다음과 같다. 실시예 7에서 제조한 일렉트로스피닝된 PVA층을 0.01N의 HCl(36.5%의 HCl수용액) 및 글루타르알데히드 수용액(50wt%)을 갖는 아세톤 속에 24시간 동안 담갔다. 글루타르알데히드의 농도는 약 0 내지 약 60nM로 변화하였다. 가교결합된 PVA층을 수득하여 가교결합 용매 속에서 몇 회 세척한 후 사용 전에 물속에 유지하였다.
가교결합된 PVA나노섬유 기재의 용해도 및 흡수도(吸水度)를 결정하기 위해 중량법(gravimetric method)을 사용하였다. 5개의 일렉트로스피닝된 시료를 물속에 48시간 동안 담그고, 여과지로 두드려서 건조시키고 바로 중량을 측정한 후 (Ws), 실온에서 20시간 동안 진공건조시키고 다시 무게를 측정하였다(Wd). 각 시료의 초기중량은 W0였다. 시료의 중량손실(r) 및 함수량(q)을 다음 식으로 계산하였다.
중량손실율(r) = (W0-Wd)/W0 × 100
팽윤도(q) = (Ws-Wd)/Wd
일렉트로스피닝된 PVA층의 가교결합 정도를 정량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팽윤실험을 사용하였다. 팽윤시험 중에, 일렉트로스피닝된 PVA 기재의 일부가 가교결합 조건에 따라서 물속에 용해되었다. 도 8 및 도 9는 가교결합 공정에서 사용한 글루타르알데히드 농도의 함수로서 일렉트로스피닝된 PVA 기재에 의한 중량손실 및 물흡수를 보여준다. 도 8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글루타르알데히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중량손실이 감소하였다. 글루타르알데히드 농도가 30mM보다 높을 때 중량손실의 증거는 없었다. PVA층의 그램당 흡수된 물의 그램으로 표현한 팽윤을 가교밀도의 측정치로서 사용하였다. 도 9는 글루타르알데히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섬유기재 중의 함수량이 감소하여 PVA 섬유기재의 가교밀도가 증가함으로 나타내는 것을 보여준다.
가교결합된 일렉트로스피닝형 PVA층의 밀도를 시료의 체적으로 나눈 질량을 사용하여 5개의 시편의 평균으로부터 결정하였다. 각 기재의 기공율은 다음 식을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기공율 = (1-ρ/ρ0)×100
여기서, ρ은 일렉트로스피닝된 기재의 밀도, ρ0는 벌크 폴리머의 밀도이다.
상액침법(phase immersion method)에 의해 제조한 종래의 폴리머분리막은 비교적 낮은 표면기공율(약 1% 내지 약 5%) 및 넓은 기공사이즈 분포를 자주 나타내는데, 이로 인해 확산유량이 낮아지고 오염이 높아질 수 있다. 일렉트로스피닝으로 제조된 부직 나노섬유구조는 작은 기공크기를 갖는 높은 기공율(미소다공성)을 만들었다. 일렉트로스피닝된 기재의 기공들은 완전히 서로 연결되어 3차원적 망상조직이 되었다.
일렉트로스피닝된 PVA층의 섬유직경은 150-300nm의 범위였다. 보다 중요하게는 기재의 평균기공율은 가교결합 전과 후에 각각 84% 및 82%였다.
기재의 수축도 시험하였다. 이 수축시험을 위해, 가교결합된 일렉트로스피닝형 PVA층을 아세톤으로 몇 회 세척하고 1시간 동안 후드 속에서 음압으로 유지하여 시료의 크기 측정 전에 기재내의 잔류 아세톤을 모두 제거하였다. 일렉트로스피닝된 PVA층의 수축율은 가교결합 전후의 일렉트로스피닝된 기재의 표면치수 차를 최소의 표면치수(가교결합 전)로 나눈 비율로서 정하였다. PVA층을 상기 가교결합 용액 속에 침지하였을 때 뚜렷한 수축은 발견되지 않았다.
실시예 9
일렉트로스피닝된 PVA층의 기계적 특성은 게이지 길이를 10mm로 하고, 크로스헤드 속도를 2mm/분으로 하여 실온에서 Instron(4442) 인장시험기를 사용하여 결정하였다. 시편을 20mm(길이) × 5mm(폭) 및 두께 약 100μm의 일반적인 사이즈를 갖도록 나노섬유 권취방향으로 절단하였다.
가교결합 전후의 일렉트로스피닝된 PVA기재의 인장강도 및 변형 곡선을 도 10에 나타낸다. 기재의 파단시의 강도가 증가하는 반면 가교결합 후에 파단까지의 연신이 감소함을 발견하였다. 이는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 가교결합되지 않은 나노섬유의 선형폴리머 사슬은 인장변형 중에 서로 쉽게 슬라이드하여 인장강도가 낮아지고 연신이 커질 수 있다. 그러나, 3차원적으로 가교결합된 PVA나노섬유에 대해, 사슬이 공유결합에 의해 단단히 연결되므로, 사슬의 슬라이딩이 더욱 어려워진다. 그러므로, 가교결합된 PVA층은 높은 인장강도와 낮은 연신을 가졌다. 비교를 위해, 섬유직경이 약 200nm인 일렉트로스피닝된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 기재와 두께가 100μm인 기재의 기계적 성능도 도 10에 나타내었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가교결합된 일렉트로스피닝형 PVA층은 유사한 분자량 및 섬유직경을 갖는 일렉트로스피닝된 PAN 나노섬유와 비교하여 매우 양호한 전체 기계적 특성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10
Nanostructured and Amorphous Materials Inc. (텍사스주, 휴스톤)에서 평균직경이 20-40nm인 다중벽 탄소나노튜브(MWNT)를 입수하였다. 이 MWNT를 농축 H2SO4/HNO3(1:3) 용액으로 산화시켜서 폴리머와의 친화성을 향상시켰다. 산화를 통해 만들어진 카르본산(-COOH) 관능기, 카르보닐(-C=O) 관능기 및 히드록시(-OH) 관능기 등의 표면산성기를 FT-IR분광법으로 확인하였다. 산성기 값(mmol/g으로 표현)을 표면기 밀도의 지시기로서 사용하였다. 산화된 MWNT의 산성기 값은 산염기적정에 의해 1.8mmol/g이었는데, 이는 MWNT(벌크형태) 상의 50개의 탄소마다 하나의 그라프트된 카르본산기를 가졌다는 것을 의미한다(카르본산기와 변성되지 않은 탄소의 비는 MWNT 표면상에서 더 높았다). 화학적 에칭 후에, 표면산화된 MWNT는 증류수, 에탄올, 1-프로판올, 1-부탄올, 테트라히드로푸란, 아세톤, N,N'-디메틸포름아미드, 또는 그 외의 유기용매에 잘 분산될 수 있었다.
실시예 11
한외여과 복합막의 제조. PEBAXR 1074(폴리에틸렌 옥사이드(PEO)-블록-폴리아미드 12코폴리머)를 아토피나에서 공급하였다. 이 재료중의 PEO함량은 55wt%로서 폴리머에 높은 친수성을 제공한다.
24시간 동안 부탄올 속에 PEBAXR를 환류시킴으로써 1-부탄올내의 1.0wt%의 PEBAXR 1074 용액을 제조하였다. 2.0wt% PVA를 함유하는 수용액(pH∼2, 염산으로 조정)도 제조하였다.
실시예 10에서 제조한 표면산화된 MWNT를 1.0wt%의 PEBAXR용액 또는 2.0wt%의 PVA용액중에 폴리머 농도가 약 0 내지 약 20wt% 되도록 분산하였다. PVA를 약 간 가교결합시키기 위한 코팅실험 바로 전에 소량의 글루타르알데히드(약 15 내지 약 60nM)를 PVA코팅 용액속에 첨가하였다. PVA겔 형성에 필요한 시간은 약 15분으로서, 첨가된 글루타르알데히드의 양으로 제어하였다.
실시예 7의 일렉트로스피닝된 PVA층을 사용하여 한외여과복합막을 구성하고, 다음의 조건, 즉 24시간 동안 25℃에서 아세톤 중의 30mM의 글루타르알데히드의 조건으로 가교결합하였다. 일렉트로스피닝된 PVA 나노섬유층의 형태는 시료의 금코팅 후에 주사전자 현미경(SEM, LEO 1550, LEO, USA)을 사용하여 검사하였다. 액체질소 속의 파열 후에, 복합막의 단면의 SEM화상도 얻었다.
도 11은 이런 가교결합된 일렉트로스피닝형 PVA층(이틀동안 물속에 적신 후에 진공건조)의 SEM화상을 보여준다. 관찰되는 바와 같이, 가교결합 전과 비교하여 섬유직경의 변화(∼130nm)는 거의 없었다(도 1B). 가교결합된 기재의 표면은 매우 편평하고 매끈하였다.
다음의 순서에 따라서 코팅법에 의해 복합막을 제조하였다. 즉, 전술한 가교결합된 일렉트로스피닝형 PVA층을 폴리에스테르 부직 마이크로섬유 기재(Freude -nburg Nonwovens에서 생산하는 PET 마이크로필터 FO2413) 상에 놓았다. PVA층의 평균 섬유직경은 약 10μm였다. PVA층을 H2O로 헹구고 나서 1-부탄올로 헹군 후, 폴리머/MWNT용액으로 코팅하였다. 이 구조물을 그 후 덮어서 용매가 서서히 증발하게 하고, 일정한 질량이 얻어질 때까지 주위조건에서 건조시켰다. 3층 복합막의 개략도를 도 1A에 도시한다. 피막층의 팽윤시험을 위해, 각각 1.0wt%의 PEBAXR 및 2.0wt%의 PVA용액(가교제 사용)으로부터 PEBAXR 1074 및 PVA의 독립막도 제조하였다.
그 결과의 복합막의 형태를 SEM으로 조사하였다. 대표적인 SEM 단면화상을 도 12에 제시하는데, 이 도면은 일렉트로스피닝된 PVA층이 친수성 피막층으로 덮였음을 나타내었다. 도 12A 및 도 12B에서, 일렉트로스피닝된 PVA층의 섬유구조를 분명히 알 수 있다. SEM의 기구적 해상도에 기초하여 친수성 피막층의 표면은 매끈하고 비다공성이었다. 도 12C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나노튜브가 얇은 폴리머 나노복합체 피막층에 잘 분산되었으며, 응집이나 덩어리는 관찰되지 않았다.
실시예 12
24시간동안 100psi의 공급압력 및 30-35℃의 온도에서 오일/물 에멀션(대두유: 1350ppm, 비이온성 계면활성제(Dow Corning 193 유체): 물 중에 150ppm)을 사용하여 직교류(cross-flow) 측정을 실시하였다. 효과적인 여과면적은 66.5cm2였다. 여과된 물의 품질은 UV-VIS분광법으로 평가하였다(230nm에서 흡광도). 0 내지 100ppm 범위의 유성폐수의 교정곡선을 사용하여 물의 유기농도를 결정하였다. 투과유속은 다음의 식으로 계산할 수 있다.
J = Q/AΔt
여기서, J는 투과유속(L/m2.h), Q는 시험용액의 투과용적(L), A는 시험된 기재의 유효면적(m2), Δt는 샘플링시간(h)이다. 오일/물 에멀션의 여과에서 총유기 농도(TOC) 제거율(R%)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R = (1-여과액 중의 TOC/공급액 중의 TOC) ×100
100psi의 공급압력과 30-35℃에서 오일/물 에멀션(물중에서 대두유: 1350 ppm, 비이온성 계면활성제(Dow Corning 193 유체): 150ppm)을 사용하여 직교류 측정을 실시하여 친수성 나노섬유 복합막의 한외여과성능을 시험하였다. 도 13은 두 개의 복합막(PVA/MWNT(90/10w/w) 나노복합피막과 PEAXR/MWNT(92/8w/w) 나노복합피막을 갖는 PVA 나노섬유 기재)의 대표적인 한외여과성능을 보여주는데, 여기서 오염의 감지없이 실험시간 중에 안정한 유속을 관찰하였다. 비교를 위해, 상용의 UF막(Pall Corporation에서 입수)의 여과성능도 도 13에 포함시켰다. PVA/MWNT(90/10w/w) 나노복합 피막을 갖는 막의 유속이 상용의 UF막의 유속보다 훨씬 높았다(330 대 18L/m2.h). 이 값은 역시 PEBAXR/MWNT(92/8w/w) 나노복합피막을 갖는 것보다 약 두배 높았다. 상기 조사 보고된 PEBAXR 코폴리머 복합막(∼50L/ m2.h)과 비교하면, 일렉트로스피닝된 PVA 나노복합막은 상당히 높은 유속을 나타내었다.
아래의 표 3은 순수한 PEBAXR 또는 PEBAXR 1074/MWNT 나노복합층으로 코팅된 가교결합된 일렉트로스피닝형 PVA 나노섬유 기재에 기초한 일련의 막에 대한 유속 및 총유기제거율의 결과를 기재한다.
표 3
PEBAXR/MWNT 유속(L/m2.h) 제거율(%)
순수PEBAXR 58 99.9
6wt%의 MWNT/PEBAXR 105 99.8
8wt%의 MWNT/PEAXR 161 99.8
12wt%의 MWNT/PEBAXR 310 98.3
표 3에서 알 수 있듯이, MWNT함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유속의 값이 증가하였다. 시험된 복합막은 MWNT함량이 8%정도일 때에도 뛰어난 오일/계면활성제의 제거율(>99.7%)을 나타내었다(제거율의 값은 많이 변하지 않았다). MWNT함량이 12%일 때, 물의 유속이 상당히 증가하는 것이 발견된 반면, 제거율은 98.3%로 감소하였다. 이 결과는 약 100psi의 높은 공급압력에서 높은 물의 유속과 낮은 유기제거율을 발견하였다는 것을 입증한다.
아래의 표 4는 순수한 약간 가교결합된 일렉트로스피닝형 PVA 히드로겔 또는 PVA 히드로겔/MWNT 나노복합층으로 코팅된 가교결합된 PVA 나노섬유 기재에 기초한 일련의 막에 대한 유속 및 총 유기제거율의 결과를 기재한다.
표 4
PVA히드로겔/MWNT 유속L/m2.h) 제거율(%)
순수PVA 67 99.8
5wt%의 MWNT/PVA 143 99.8
10wt%의 MWNT/PVA 330 99.8
15wt%의 MWNT/PVA 445 99.8
*상용 UF필터 18 99.8
* 팔 코퍼레이션(Pall Corporation)에서 입수
상기 표 3 및 표 4에서 알 수 있듯이, PEBAXR/MWNT 피막은 PVA히드로겔/MWNT피막을 갖는 막과 유사한 결과를 제공하였는데, 즉 피막층에 MWNT를 도입하면 물의 유속이 증가하였다. MWNT의 함량이 동일하고 제거율이 유사한 경우, PVA 피막층이 PEBAXR 피막층보다 두껍더라도 PVA/MWNT피막을 갖는 막은 PEBAXR/MWNT 피막보다 큰 유속을 나타내었다. 예를 들어, 10wt%의 MWNT를 갖는 PVA히드로겔/MWNT 피막을 갖는 막에 의해 높은 제거율(9.8%)을 동반한 매우 높은 물 유속(330L/m2.h, 즉, 상용의 UF필터의 물 유속보다 한자리수 이상 크다)을 얻었다.
두 개의 초벌칠 재료에 대하여 팽윤시험을 실시하였다. 순수한 PEBAXR 1074의 독립막과 순수한 약간 가교결합된 PVA의 독립막을 48시간 동안 증류수 속에 침지하였다. PEBAXR 1074 막의 그램당 물흡수는 0.51g인 반면, PVA히드로겔 막의 그램당 물흡수는 1.63g이었다. 이 팽윤결과는 PEBAXR 1074 막의 친수성이 PVA 피막층 보다 작고, 따라서 PVA히드로겔 속에 물이 더 잘 접근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PVA히드로겔/MWNT 시료에 대한 제거율 데이터는 PEBAXR/MWNT 시료에 대한 제거율 데이터와 유사하였다(표 3 및 표 4). 두 종류의 복합막의 투수성은 MWNT를 비다공성 피막층 속에 도입함으로써 향상되었으며, 두 종류의 복합막의 제거율 값은 PEBAXR 속에 8wt% 이하의 MWNT가 존재하고, PVA 매트릭스 속에 10wt%의 MWNT가 존재함에 의해서는 본질적으로 영향을 받지 않았다.
MWNT의 표면은 친수성 피막재료(PEBAXR 1074 및 PVA)와 비교할 때 매우 낮은 표면장력을 가지는 흑연층 구조를 가졌다. MWNT와 이들 친수성 폴리머 사이의 친화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MWNT상에 산화처리를 실시 하여 표면상에 카르본산(-COOH) 관능기, 카르보닐(-C=O) 관능기 및 히드록시(-OH) 관능기를 만들었다. 산성기의 밀도는 비교적 높았다(1.8mmol/g 이하). 따라서, MWNT의 표면은 두 개의 연속적인 나노상 영역, 즉 소수성 방향족 영역 및 친수성 산성 영역을 가진다.
산화된 MWNT를 폴리머 매트릭스 속에 도입하였을 때, 양친매성 MWNT 표면은 계면내의 폴리머사슬 충전을 붕괴시켰으며, 나노크기의 공동을 도입하여 피막층의 수송특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들 관능기는 산화된 MWNT의 표면상의 산성기와 PVA사슬상의 히드로실기 사이의 (용액중의 가교제 글루타르알데히드를 통하여) 화학결합 또는 수소결합에 의해 PVA사슬과 상호작용할 수 있었다. 친수성 PVA사슬과 산화된 MWNT의 표면상의 소수성 방향족 영역 사이에 형성된 공동은 물의 투과에 필요한 추가의 경로를 제공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복합막층이 SEM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육안으로 보아서 비다공성이라고 해도, 표면산화된 MWNT를 폴리머 매트릭스 속에 도입함으로써 현미경으로 보아 유효한 나노채널이 형성되었다. 그 결과, MWNT농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복합막 내의 투수성의 값이 체계적으로 증가하였다. 따라서, MWNT를 도입하게 되면 두 가지 독특한 이점, 즉 (1) 피막층의 기계적 강도의 향상, 및 (2) 피막층의 투수성의 증가가 제공되었다.
앞에서 입증한 바와 같이, 비다공성의 친수성 폴리머/MWNT 나노복합층으로 코팅된 가교결합된 일렉트로스피닝형 PVA층에 기초하여 한외여과에 필요한 신규의 고유속 복합막을 개발하였다. 이 일렉트로스피닝된 나노섬유 기재는 양호한 인장강도를 제공하고, 큰 비표면적을 갖는 극히 경량의 서로 연결된 다공성 구조를 제 공하여, 한외여과 지지체로서 뛰어난 후보가 되었다.
오일/물 에멀션을 사용하는 한외여과의 결과에 따르면, 표면산화된 MWNT를 도입하면 계면에서의 친수성 사슬의 충전을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하였다. MWNT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PEBAXR 1074 또는 PVA히드로겔 나노복합피막을 갖는 복합막에 대한 투수성의 값이 증가한 반면, 양 막에 대한 여과제거 효율은 MWNT의 존재(PEBAXR 중의 8wt%이하의 MWNT 및 PVA 중의 10wt%의 MWNT)에 의해서는 본질적으로 영향을 받지 않았다. PVA히드로겔/MWNT 피막층은 PEBAXR 1074/MWNT 피막층 보다 접근 가능한 물 수송용 공극율을 나타내었다. PVA히드로겔/MWNT(10wt%) 피막을 갖는 복합막은 뛰어난 유기용질 제거율(9.8%) 및 높은 물유속(330L/m2.h 이하, 즉 전형적인 상용 UF필터보다 한 자리수 이상 큼)을 나타내었고, 그리고 24시간의 작업기간에 걸쳐서 오염은 검출할 수 없었다.
실시예 13
PVA 나노섬유 기재의 제조. 표 5에 제시한 바와 같이 다양한 분자량 및 가수분해정도를 갖는 PVA를 이용하였다. 표 5는 PVA 시료에 대한 중량평균분자량(Mw) 및 가수분해 정도(%)를 지적한다(시료들은 고, 중 및 저 분자량을 지시하기 위해 HMw, MMw 및 LMw으로서 표시하였다).
표 5
시료 # Mw(g/mol) 가수분해 정도(%)
1 85,000-124,000(HMw) 88-89
2 85,000-124,000(HMw) 96
3 85,000-124,000(HMw) 98-99
4 78,000(MMw) 98
5 13,000-23,000(LMw) 98
이들 시료들은 Aldrich Chemical(위스콘신주, 밀크와우키)에서 구입하였는데, 다만 시료 4는 중량 평균 분자량(Mw)이 78,000g/mol이며(98% 가수분해), Polysciences Inc.(펜실바니아주, 워링톤)에서 구입하였다. Triton X-100, 글루타르알데히드(GA)(50% 수용액) 및 염산(36.5% 수용액)도 알드리치(Aldrich)에서 구입하였다. PEBAXR 1074는 아토피나(Atofina)에서 공급하였다. PEBAXR 1074 내의 PEO함량은 55wt%로서 비교적 높은 친수성을 부여한다. 이들 모든 재료들은 더 이상의 정화 없이 받아들여 사용하였다.
PVA에 실시예 7에서 설명한 일렉트로스피닝 절차를 실시하였다. 적어도 6시간 동안 일정하게 교반하면서 가수분해 정도에 따라서 40-95℃에서 PVA분말 시료를 증류수에 용해시켜서 수성 PVA용액을 제조하였다. 이 용액이 실온까지 냉각되었을 때, PVA용액 속에 Triton X-100을 0.6w/v%의 농도로 첨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일렉트로스피닝 전에 15분간 더 교반하였다. Triton X-100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폴리머 용액의 표면장력을 낮추고, PVA가 보다 높은 공급속도(∼2.4ml/h)로 일렉트로스피닝될 수 있도록 하였다.
PVA의 일렉트로스피닝에 대한 대표적인 변수들은 다음과 같다. PVA 공급속도는 2.4ml/h, 인가전계는 28kV, 스피너렛과 수집기 사이의 거리는 10cm였다.
실시예 14
형태학적 특징. 일렉트로스피닝된 PVA 나노섬유막의 형태를 실시예 1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금 코팅 후에 주사전자 현미경(SEM, LEO 1550, LEO, USA)에 의해 검사하였다. 액체질소 속에서 시료의 파열에 의해 복합막의 SEM 단면화상을 얻었다. SEM 기기의 해상도는 약 2-5nm였으며, 동작전압은 1-30kV였다.
도 15는 인가전압이 28kV이고 스피너렛과 수집기 사이의 거리가 10cm인 상태에서 가수분해정도가 유사하고(즉, 약 98%), 분자량이 서로 다른 3종류의 PVA로부터 제조한 일렉트로스피닝된 PVA막의 대표적인 SEM화상을 보여준다. 도 15A는 98% 가수분해되고 Mw가 13,000-23,000g/mol이며(24wt% 용액으로부터 일렉트로스피닝됨), 도 15B는 98% 가수분해되고 Mw가 78,000g/mol이며(11wt% 용액으로부터 일렉트로스피닝됨), 도 15C는 98-99% 가수분해되고 Mw가 85,000-124,000이다(9wt% 용액으로부터 일렉트로스피닝됨).
도 15에서 알 수 있듯이, 시료의 분자량에 따라서 다른 PVA 농도를 사용하여 PVA의 일렉트로스피닝에 대한 최적의 조건을 얻었다(분자량이 높을수록 농도가 낮아진다). 3개의 모든 지지체는 유사한 기공율 및 섬유직경(100-300nm)을 나타내었다. 가교결합 반응 전에 일렉트로스피닝된 PVA 지지체의 인가된 응력과 연신율(ε, 여기서 변형 = 1+ε) 사이의 관계를 도 16에 도시한다. 도 16A는 98% 가수분해되고 LMw이며, 도 16B는 98% 가수분해되고 MMw이며, 도 16C는 98-99% 가수분해되고 HMw이다.
이들 일렉트로스피닝된 PVA 지지체의 인장계수, 인장강도 및 파단 연신율의 대응 값을 아래의 표 6에 제시한다.
표 6
시료 인장계수(MPa) 인장강도(MPa) 파단 연신율(%)
LMw(98%) 110 4.3 57
MMw(98%) 93 6.4 96
HMw(98-99%) 66 7.3 120
HMw(96%) 40 7.6 130
HMw(88%) 6.4 4.8 174
*HMw(98-99%) 57 6.8 45
*HMw(96%) 48 13.5 67
* 가교결합된 시료
분자량의 증가에 따라서 파단 연신율과 인장강도가 모두 증가한 반면 인장계수는 감소한 것을 발견하였다. 최고 분자량(Mw 85,000-124,000g/mol)을 갖는 PVA로 제조한 일렉트로스피닝된 지지체는, 중간분자량 및 저분자량의 PVA로 제조한 지지체와 비교할 때, 최고응력(7.3MPa) 및 최고 파단 연신율 값(110%)을 나타내었다.
도 17은 동일한 일렉트로스피닝 조건하에서 서로 다른 가수분해 정도를 갖는 고분자량 PVA 시료(HMw, 85,000-124,000g/mol)를 사용하여 제조한 일렉트로스피닝된 PVA 지지체의 대표적인 SEM 화상을 보여준다(일렉트로스피닝에 필요한 용액농도는 10wt%였다). 도 17A는 88-89% 가수분해되고, 도 17B는 96% 가수분해되고, 도 17C는 98-99% 가수분해된 것이다.
이 섬유구조물은 가수분해 정도의 증가에 따라서 크게 변하지 않았다. 3개의 지지체 전부에서 섬유의 평균직경은 225 내지 240nm의 범위였다. 이들 시료의 인가응력 및 연신율은 도 18에 도시하는데, 인장강도, 인장계수 및 파단 연신율의 대응값도 표 6에 예시한다. 도 18A는 88-89% 가수분해된 시료이고, 도 18B는 96% 가수분해된 시료이고, 도 18C는 98-99% 가수분해된 시료이다.
낮은 정도로 가수분해된(88-8%) PVA로 제조된 일렉트로스피닝형 지지체는 최 고의 파단 연신율, 최저의 인장강도 및 최저의 인장계수(겨우 6.4MPa)를 가지는 반면, 96% 및 98-99% 가수분해된 PVA로 제조된 일렉트로스피닝형 지지체는 훨씬 큰 값의 인장계수(각각 40MPa 및 66MPa) 및 인장강도와 보다 낮은 값의 파단 연신율을 나타내었다. 상기 결과에 따르면 일렉트로스피닝된 PVA 지지체(가교결합되지 않은 형태로서 유사한 형태 및 섬유직경을 가짐)에서는, 높은 정도로 가수분해되고 높은 분자량을 갖는 시료가 최상의 전체 기계적 특성들(즉, 높은 인장계수, 인장강도, 및 파단 연신율)을 나타내어 한외여과 응용의 양호한 후보가 된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15
일렉트로스피닝된 PVA 지지체의 가교결합. 실시예 13에서 제조된 일렉트로스피닝된 PVA 나노섬유 지지체의 가교결합 처리를 실시예 8에 제시한 것처럼 실시하였다. 일렉트로스피닝된 PVA 지지체를 30mM의 글루라트알데히드 및 0.01N의 HCl를 갖는 아세톤 용액 속에 24시간 동안 침지하여 가교결합시켰다. 가교결합된 PVA막을 물속에서 수 회 세척한 후에 사용하기 전에 후드 속에서 건조시켰다. 시료의 체적으로 나눈 질량을 사용하여 5개의 시료의 평균값으로부터 일렉트로스피닝된 PVA막의 밀도를 결정하였다. 각 막의 기공율을 실시예 8에서 설명한 것처럼 계산하였다. 즉,
기공율 = (1-ρ/ρ0)×100
여기서, ρ은 일렉트로스피닝된 막의 밀도, ρ0는 벌크 폴리머의 밀도이다.
이런 지지체의 기공들은 완전히 서로 연결되어 3차원적 망상구조를 형성하며, 평균 기공크기는 약 0.1 내지 약 3μm의 미크론 이하의 크기 범위를 가졌다. 이 일렉트로스피닝된 지지체의 섬유 직경은 150-300nm의 범위였으며(도 17 및 도 19에 도시), 지지체의 평균 기공율은 가교결합의 전후에 각각 약 84% 및 82%였다.
98% 가수분해된 MMw 시료에 기초한 일렉트로스피닝된 PVA를 실시예 8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교결합시켰다. 유사한 절차를 이용하여 최상의 기계적 성능을 갖는 두 개의 일렉트로스피닝된 PVA 지지체를 처리하였다(96-99% 가수분해된 HMw 시료). 도 19는 96% 가수분해된 HMw(도 19A) 및 98-99% 가수분해된 HMw(도 19B)에 기초한 가교결합된 일렉트로스피닝형 PVA 지지체의 대표적인 SEM 화상을 보여준다.
관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가교결합 전의 시료에서의 SEM 화상과 비교하여 섬유직경의 분명한 변화는 없었다(∼230nm). 그러나, 가교결합에 의해 야기된 PVA 지지체의 체적수축(5% 미만)도 알 수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교결합된 지지체의 표면은 비교적 편평하고 매끈한 상태를 유지하였는데, 이는 박막의 최상층을 지지하는데 바람직한 특징이다.
실시예 16
한외여과용 친수성 나노섬유 복합막의 제조. 수성의 2.0wt% PVA(96% 가수분해, Mw 85,000-124,000) 용액(pH ∼2, 염산으로 조정)을 상기 실시예 15의 일렉트로스피닝된 지지체의 최상측의 히드로겔피막으로서 이용하였다. 실시예 15의 가교결합된 일렉트로스피닝형 PVA 지지체를 먼저 상용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부직기재(Freudenburg Nonwevens)에서 생산하는 PET 마이크로필터 FO2413; 이 기재 의 평균 섬유직경은 약 10μm였다) 상에 배치하였다. 코팅 전에 약 30mM의 글루타르알데히드를 2.0wt%의 PVA 용액에 첨가하였다. PVA 나노섬유 지지체의 표면을 물로 세척한 후 PVA 코팅액으로 코팅하였다. 최상층의 가교결합을 위해 복합막을 6시간 동안 시일링하였다(용매증발을 최소화하기 위함). 그 결과의 막을 일정한 질량이 얻어질 때까지 주위온도에서 건조시켰다.
PVA 히드로겔 피막층의 가교결합 정도를 글루타르알데히드의 몰비와 PVA 반복단위를 바꾸어서 변경시켰다. 비교를 위해, 소수성 코폴리머 PEBAXR 1074로 코팅된 실시예 13의 일렉트로스피닝된 PVA 지지체에 기초한 나노섬유 복합막도 다음의 절차를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1-부탄올 내의 1.0wt%의 PEBAXR 1074 용액을 24시간동안 부탄올 내에 PEBAXR를 환류시킴으로써 제조하였다. PEBAXR의 코팅공정은 PVA 히드로겔의 코팅공정과 유사하지만, 다만 가교결합 반응은 필요하지 않았다.
복합막의 대표적인 SEM 단면화상을 도 21에 도시하는데, 이 도면은 미소다공성의 가교결합된 일렉트로스피닝형 PVA 지지체 상에 ∼1.8μm의 두께로 코팅된 PVA 지지체의 상층으로 구성된 나노섬유 복합막의 형태를 나타낸다. 최상측의 PVA 히드로겔 피막층의 표면은 SEM의 해상도에 기초하여 매끈하고 비다공성이었다. PVA 히드로겔의 층은 가교결합점을 통해 연결된 나노분자사슬의 망상조직으로 구성되어 효과적인 망크기를 형성하여 물이 투과할 수 있게 한다.
실시예17
기계적 특성 평가. 실시예 13 및 15의 일렉트로스피닝된 PVA 나노섬유 지지 체와 피막이 없는 실시예 16의 복합막의 기계적 특성을 주위온도에서 Instron(모델 4442) 인장기를 사용하여 결정하였다. 시료의 표점거리는 10mm이고 크로스헤드 속도는 2mm/분이었다. 기계적 평가에 필요한 전형적인 시편 사이즈는 20mm(길이) ×5mm(폭)×10μm(두께) 였다.
일렉트로스피닝된 지지체의 기계적 특성의 최적화를 위해, 여러 정도의 가수분해도(88-89% 내지 98-99%) 및 분자량(13,000-23,000 내지 85,000-124,000g/mol)을 갖는 PVA를 시험하였는데, 여기서 가교반응은 아세톤 중의 글루타르알데히드 (GA)로 실시하였다.
도 20은 가교결합된 일렉트로스피닝형 PVA 지지체의 대응 응력 및 연신 곡선을 보여준다. 도 20A는 96% 가수분해된 HMw의 시료이고, 도 20B는 98-99% 가수분해된 HMw의 시료이다.
기계적 특성도 상기 표 6에 요약하였다. 가교결합된 98-99% 가수분해 시료와 96% 가수분해 시료의 인장계수는 매우 근사함을 알 수 있었다. 98-99% 가수분해된 시료에서, 인장강도는 6.8MPa이고 파단 연신율은 45%(가교결합되지 않은 시료보다 낮다)로 감소한 반면, 96% 가수분해된 시료에서는, 인장강도가 13.5MPa이고 파단 연신율이 67%였다.
96% 가수분해된 PVA와 고분자량(85,000-124,000g/mol)을 갖는 가교결합된 일렉트로스피닝형 지지체는 최상의 전체적인 기계적 성능과 높은 인장강도 및 연신율을 나타내었다. 가교반응으로 일렉트로스피닝된 지지체의 체적이 조금 수축하였으며, 따라서 그 결과의 기공율은 비교적 높았다(>80%). 일렉트로스피닝된 지지체 상의 PVA피막층을 여러 농도로 GA를 사용하여 가교결합시켰다. PVA 히드로겔 피막층은 육안으로 보아서 비다공성이지만, 현미경으로 보면 가교결합점에 의해 연결된 친수성 사슬의 망구조로서 작용하였다. 망의 크기는 히드로겔내에서의 가교결합정도에 의해 제어할 수 있었으며, 최상의 투과율과 여과효율은 GA/PVA의 반복단위비를 0.06으로 하여 최상측 PVA층을 가교결합시킴으로써 얻었다.
한외여과 시험에 따르면, PVA 나노섬유 복합막의 유속은 기존의 종래의 한외여과막의 유속보다 적어도 수 배 양호하였는데, 그 성능은 최상층 두께를 줄이고 층조성을 변화시킴으로써 더욱 최적화할 수 있다.
상기 표 6에 제공한 기계적 데이터에 기초하면, 저분자량 재료에 기초한 일렉트로스피닝된 지지체는 낮은 값의 파단 연신율을 나타낸 반면, 고분자량 재료에 기초한 지지체는 높은 값의 파단 연신율을 가졌다. 가수분해 정도가 감소하면 인장계수를 상당히 감소시키는 한편, 가교결합 처리는 파단 연신율을 크게 감소시켰다. 전체적으로 고분자량(85,000-124,000g/mol)의 일렉트로스피닝된 지지체와 96% 가수분해된 PVA는 가교결합 전후에 똑같이 비교적 양호하게 균형을 이룬 기계적 특성(즉, 높은 인장계수, 강도 및 연신)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18
한외여과 평가. 한외여과 평가를 위해, 실시예15의 나노섬유 지지체를 사용하는 실시예 17의 복합막을 96% 가수분해된 PVA(HMw)로 제조하여 30mM의 글루타르알데히드와 가교결합시켰다. 직교류(cross-flow) 측정을 실시하여 나노섬유 복합막의 한외여과성능의 특징을 나타낼 수 있게 하였다. 직교류 측정은 대두유 (1350ppm), 비이온성 계면활성제(Dow Corning 193 유체, 150ppm) 및 물을 포함하는 오일/물 에멀션을 분리함으로써 실시하였다. 선택된 여과조건은 다음과 같다. 즉, 공급압력(P)은 100psi, 온도는 30-35℃, 여과시간은 24시간이었다. 유효여과면적은 66.5cm2였다. 여과된 물의 품질을 UV-VIS 분광법에 의해 평가하였다(230nm에서의 흡광도에 의거). 0 내지 100ppm의 유성폐수의 교정곡선을 사용하여 여과수의 유기농도를 결정하였다. 투과유속은 실시예 12에서 설명한 것처럼 계산하였다. 즉
J = Q/AΔt
여기서, J는 투과유속(L/m2.h)이고, Q는 시험용액의 투과용적, A는 시험막의 유효면적(m2), Δt는 샘플링 시간(h)이다.
오일/물 에멀션의 여과에서 총유기농도(TOC) 제거율(R%)은 실시예 12에서 설명한 것처럼 계산하였다. 즉,
R% = (1 - 투과액중의 TOC/공급액중의 TOC) × 100
도 22는 PVA 최상피막층에서 가교결합정도에 따른 복합막의 투과유속 및 용질제거율의 관계를 나타낸다. 유속은 최상층의 가교정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감소하였다. 가교결합 없이 PVA피막을 갖는 시료의 경우, 친수성 PVA 피막층이 팽윤하고 막이 개방된 겔처럼 거동하였다. 큰 사이즈의 용질은 막을 통과할 수 있으므로, 용질의 제거율이 불량해진다. 최상층이 가교결합되었을 때, 그 팽윤거동(수중에서) 및 대응 망 크기(즉, 겔 구조)는 가교결합정도에 의존하였다. 따라서, 도 22에서 알 수 있듯이, 최상층에서의 가교결합정도가 증가하면 대응하는 망 크기가 감소하여, 용질제거율이 증가하고 투과유속이 감소하였다.
도 23은 오일/물 에멀션의 분리에서, 두 개의 다른 피막, 즉 (a) 반복단위비가 0.06인 GA/PVA로 처리된 PVA 및 (b) 상용의 친수성 코폴리머 폴리에테르-b-폴리아미드(PEBAXR 1074)를 가지는 동일한 "최적화" PVA 지지체를 사용하는 두 개의 나노섬유 복합막의 한외여과성능을 보여준다. PVA 피막층의 두께는 1.8μm였고, PEBAXR 피막의 두께는 0.8μm였다.
직교류 시험의 시간 내에, 어느 복합막에서도 뚜렷한 오염은 볼 수 없었다. 선택된 PVA히드로겔 피막을 갖는 나노섬유 복합막의 유속은 약 130L/m2.h로서, 최상피막층의 두께가 더 얇은 PEBAXR 피막을 갖는 나노섬유 복합막의 유속(이 유속은 약 57L/m2.h였다)보다 상당히 크다. 양 막은 유사하게 높은 제거율(>99.5%)을 나타내었다. 다공성막과 매우 얇은 층의 비다공성 PEBAXR 피막(두께 0.2-0.5μm)으로 구성되는 상용의 TFC막의 유속은 유사한 오일/물 에멀션의 분리에서 약 50L/m2.h 였으며, 일렉트로스피닝된 PVA 지지체/PVA히드로겔 나노섬유 복합막보다 상당히 낮았다.
상기 설명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많은 구체적인 상세내용을 담고 있지만, 이들 구체적인 상세내용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 고, 단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예시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 및 정신 내에서 그 외의 많은 다른 가능현 변형예를 상상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1)

  1. 직경이 1nm 내지 20,000nm인 섬유로 된 나노섬유 지지체를 포함하는 기재; 및
    상기 기재상에 형성되며, 직경이 0.3nm 내지 300nm인 적어도 하나의 나노필러와 함께 폴리머를 포함하는 피막;을 포함하며,
    상기 피막의 층은 두께가 1nm 내지 4000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매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는, 폴리사카라이드, 폴리알콜, 폴리알킬렌 옥사이드, 폴리이민, 폴리아크릴산, 폴리아미드, 폴리아민, 폴리우레탄, 폴리우레아, 이들 물질의 유도체 및 코폴리머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친수성 폴리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매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는, 키토산, 셀룰로스,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콜라겐, 젤라틴, 폴리비닐 알콜,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그라프트화 키토산, 폴리에틸렌 글리콜-그라프트화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이민,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에테르-코-아미드) 코폴리머, 폴리벤즈이미다졸, 나이론 6, 나이론 66, 나이론 12, 폴리알릴아민, 이들 물질의 유도체 및 코폴리머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친수성 폴리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매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는, 폴리올레핀, 폴리술폰, 플루오로폴리머,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스티렌, 폴리니트릴,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아세테이트, 이들 물질의 유도체 및 코폴리머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소수성 폴리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매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테르술폰,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스티렌,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이들 물질의 유도체 및 코폴리머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소수성 폴리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매체.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필러는 길이가 1nm 내지 500μ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매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필러는 유기 나노필러 및 무기 나노필러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매체.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필러는, 단일벽 카본나노튜브; 다중벽 카본나노튜브; 탄소 나노섬유; 벅키볼; 관능화 흑연 나노입자; 관능화 금 나노입자; 관능화 코발트 나노입자; 관능화 카드뮴 나노입자; 관능화 구리 나노입자; 관능화 철 나노입자; 관능화 납 나노입자; 관능화 아연 나노입자; 관능화 팔라듐 나노입자; 실리카; 다면체 올리고머 실세스키옥산; 층상 규산염; 금, 코발트, 카드뮴, 구리, 철, 납, 아연 및 팔라듐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되는 금속화합물을 함유하는 관능화 무기 나노튜브; 및 이들 물질의 유도체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매체.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필러는 피막을 포함하는 폴리머의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로 관능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매체.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필러는, 단일벽 탄소 나노튜브, 다중벽 탄소 나노튜브, 및 직경이 1nm 내지 100nm인 탄소 나노섬유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되는 탄소 나노튜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매체.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막은 0.2nm 내지 30nm의 기공 또는 채널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매체.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필러는 상기 피막의 0.1중량% 내지 95중량%의 양으로 상기 피막 속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매체.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막은 1개 내지 5개의 서로 다른 나노필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매체.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필러는, 카르본산기, 카보닐기, 히드록시기, 에틸렌 옥사이드, 알콜, 사카라이드, 아민기, DNA, 및 단백질 단편으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친수성 관능기로 관능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매체.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필러는 1개 내지 20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선형 지방족 화합물, 및 방향족 탄화수소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소수성기로 관능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매체.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불소화 폴리머, 이들 물질의 유도체 및 코폴리머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부직 폴리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매체.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나이론 6, 나이론 66, 나이론 12, 이들 물질의 유도체 및 코폴리머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부직 폴리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매체.
  19. 삭제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섬유 지지체는, 폴리올레핀, 폴리술폰, 플루오로폴리머,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스티렌, 폴리니트릴,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아세테이트 폴리알콜, 폴리사카라이드, 폴리알킬렌 옥사이드, 폴리우레탄, 폴리우레아, 폴리이민 폴리아크릴산, 폴리실록산, 폴리(에스테르-코-글리콜) 코폴리머, 폴리(에테르-코-아미드) 코폴리머, 이들 물질의 유도체 및 코폴리머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된 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매체.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섬유 지지체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테르술폰,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나이론 6, 나이론 66, 나이론 12, 폴리스티렌,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폴리비닐 알콜, 키토산, 셀룰로스, 콜라겐, 젤라틴,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에틸렌 이민,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디메틸실록산, 이들 물질의 유도체 및 코폴리머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매체.
  2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섬유 지지체는 직경이 0.3nm 내지 300nm인 적어도 하나의 나노필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매체.
  2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섬유 지지체는 두께가 1μm 내지 500μ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매체.
  2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섬유 지지체는 유효 직경이 2nm 내지 200μm인 공극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매체.
  25. 직경이 1nm 내지 20,000nm인 섬유;
    유효직경이 2nm 내지 200μm인 공극; 및
    1μm 내지 500μm의 두께를 포함하는 나노섬유 지지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매체.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섬유 지지체는, 폴리올레핀, 폴리술폰, 플루오로폴리머,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스티렌, 폴리니트릴,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아세테이트 폴리알콜, 폴리사카라이드, 폴리알킬렌 옥사이드, 폴리우레탄, 폴리우레아, 폴리이민 폴리아크릴산, 폴리실록산, 폴리(에스테르-코-글리콜) 코폴리머, 폴리(에테르-코-아미드) 코폴리머, 그 유도체, 및 그 코폴리머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매체.
  27.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섬유 지지체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테르술폰,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나이론 6, 나이론 66, 나이론 12, 폴리스티렌,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폴리비닐 알콜, 키토산, 셀룰로스, 콜라겐, 젤라틴,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에틸렌 이민,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디메틸실록산, 그 유도체, 및 그 코폴리머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매체.
  28.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섬유 지지체는, 일렉트로스피닝, 일렉트로블로잉, 블로잉보조 일렉트로스피닝, 및 용액 블로잉으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방법을 이용하여 적어도 1종의 폴리머로 된 적어도 1종의 용액으로 제조된 적어도 한 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매체.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섬유 지지체는 1종 내지 5종의 폴리머로 된 1종 내지 5종의 용액으로 제조된 1층 내지 5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매체.
  30.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는, N,N-디메틸 포름아미드, 테트라히드로푸란, 메틸렌 클로라이드, 디옥산,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클로로포름, 물, 및 그 혼합물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용매 중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매체.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는 1 내지 50중량%의 양으로 상기 용매 속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매체.
  32.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섬유 지지체는 전계강도를 0.5 내지 5kV/cm로 하고, 용액유속을 5 내지 100μl/분으로 하여 일렉트로스피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매체.
  33. 제 25 항에 있어서,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불소화 폴리머, 그 유도체, 및 그 코폴리머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부직 폴리머를 포함하는 기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매체.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나이론 6, 나이론 66, 나이론 12, 그 유도체, 및 그 코폴리머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매체.
  35.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와 상기 나노섬유 지지체 사이에 접착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매체.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키토산, 콜라겐, 젤라틴, 폴리비닐 알콜,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그 유도체, 및 그 코폴리머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매체.
  37. 제 25 항에 있어서,
    직경이 0.3nm 내지 300nm인 적어도 하나의 나노필러와 함께 폴리머로 구성된 나노섬유 지지체 상의 피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매체.
  38.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섬유 지지체는 직경이 0.3nm 내지 300nm인 적어도 하나의 나노필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매체.
  39. 기재;
    상기 기재의 일 표면에 적용되며 직경이 1nm 내지 20,000nm인 섬유를 포함하는 나노섬유 지지체; 및
    상기 기재에 적용된 일 표면의 반대면의 상기 나노섬유 지지체 상에 형성되며, 직경이 1nm 내지 100nm인 적어도 하나의 관능화 나노필러와 함께 폴리머를 포함하는 피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매체.
  40. 바닥면 및 상면을 갖는 비대칭형 나노섬유 지지체층, 상기 나노섬유 지지체의 바닥면을 구성하며 직경이 300nm 내지 10,000nm인 섬유, 및 상기 나노섬유 지지체의 상면을 구성하며 직경이 10nm 내지 500nm인 섬유를 포함하는 여과매체로서, 상기 나노섬유 지지체의 바닥면을 구성하는 섬유의 직경은 상기 나노섬유 지지체의 상면을 구성하는 섬유의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매체.
  41.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 나노튜브는 상기 피막을 포함하는 폴리머의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로 관능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매체.
KR1020077007719A 2004-10-06 2005-10-05 고유속 및 저오염의 여과매체 KR1012284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1659204P 2004-10-06 2004-10-06
US60/616,592 2004-10-06
US63398704P 2004-12-07 2004-12-07
US60/633,987 2004-12-07
PCT/US2005/035738 WO2007001405A2 (en) 2004-10-06 2005-10-05 High flux and low fouling filtration media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9135A KR20070059135A (ko) 2007-06-11
KR101228496B1 true KR101228496B1 (ko) 2013-01-31

Family

ID=37595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7719A KR101228496B1 (ko) 2004-10-06 2005-10-05 고유속 및 저오염의 여과매체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8222166B2 (ko)
EP (1) EP1796822A4 (ko)
JP (2) JP2008515668A (ko)
KR (1) KR101228496B1 (ko)
CN (1) CN101039798B (ko)
AU (1) AU2005333585B2 (ko)
CA (1) CA2583469C (ko)
HK (1) HK1108860A1 (ko)
IL (1) IL182165A0 (ko)
WO (1) WO2007001405A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0691A (ko) * 2013-10-07 2015-04-15 (주)에프티이앤이 이성분 기재의 양면에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핫멜트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필터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5053443A1 (ko) * 2013-10-07 2015-04-16 (주)에프티이앤이 기재 양면에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필터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57413A (ko) * 2018-11-16 2020-05-26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기능성 필터 및 이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3789A (ko) 2005-03-09 2008-01-08 더 리전츠 오브 더 유니버시티 오브 캘리포니아 나노복합체막 및 이의 제조 및 사용 방법
AU2007317516B2 (en) 2006-10-27 2013-04-04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Micro-and nanocomposite support structures for reverse osmosis thin film membranes
CN100434163C (zh) * 2007-01-26 2008-11-19 福建师范大学 一种可作为光催化剂使用的氧化锌纳米纤维膜的制备方法
DE102007011606A1 (de) 2007-03-02 2008-09-04 Carl Freudenberg Kg Faser-Wirrgelege
JP4871196B2 (ja) * 2007-04-19 2012-02-08 旭化成せんい株式会社 セルロース極細繊維およびその繊維集合体シートとその製造方法
US20100239560A1 (en) * 2007-04-20 2010-09-23 Jens Hassingboe Multi component non-woven
DE102008022759B4 (de) 2007-05-17 2019-03-07 Sumitomo Chemical Co. Lt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Polyethersulfonfaser, Polyethersulfonfaser und deren Verwendung
US9010547B2 (en) 2007-05-26 2015-04-21 The Research Foundation Of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High flux fluid separation membranes comprising a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 layer
JP2010269200A (ja) * 2007-08-09 2010-12-02 Sumitomo Electric Ind Ltd 水処理装置および水処理方法
US8986432B2 (en) 2007-11-09 2015-03-24 Hollingsworth & Vose Company Meltblown filter medium, related applications and uses
WO2009067365A2 (en) * 2007-11-20 2009-05-28 Clarcor Inc. Filtration medias, fine fibers under 100 nanofibers, and methods
US20100330383A1 (en) * 2008-02-27 2010-12-30 Athlone Institute Of Technology Composite gel-based materials
US20110017662A1 (en) 2008-03-11 2011-01-27 Toray Industries, Inc. Composite separation membrane
US8177978B2 (en) 2008-04-15 2012-05-15 Nanoh20, Inc. Reverse osmosis membranes
JP2011522090A (ja) 2008-05-30 2011-07-28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リガンド官能化基材の製造方法
US7993524B2 (en) * 2008-06-30 2011-08-09 Nanoasis Technologies, Inc. Membranes with embedded nanotubes for selective permeability
US9441131B2 (en) 2008-08-26 2016-09-13 Xerox Corporation CNT/fluoropolymer coating composition
US20100059906A1 (en) * 2008-09-05 2010-03-11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High throughput electroblowing process
TW201026347A (en) * 2008-09-10 2010-07-16 Transcu Ltd Apparatus and method to dispense HPC-based viscous liquids into porous substrates, e. g., continuous web-based process
JP5798714B2 (ja) * 2008-09-26 2015-10-21 日東電工株式会社 複合半透膜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0042647A2 (en) 2008-10-07 2010-04-15 The Research Foundation Of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High flux high efficiency nanofiber membranes and methods of production thereof
JP5925409B2 (ja) 2008-10-23 2016-05-25 日東電工株式会社 熱硬化性樹脂多孔シートの製造方法、熱硬化性樹脂多孔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複合半透膜
WO2010074773A1 (en) 2008-12-23 2010-07-0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unctionalized nonwoven article
JP5371145B2 (ja) * 2008-12-25 2013-12-18 志摩環境事業協業組合 浸漬型膜分離装置
KR101035511B1 (ko) * 2008-12-31 2011-05-20 (주)일신종합환경 은나노 입자 및 피이비에이엑스 고분자를 이용한 저파울링 친수성 수처리 분리막 제조 방법
US9062219B2 (en) 2009-01-21 2015-06-23 Xerox Corporation Superhydrophobic nano-fabrics and coatings
US9217968B2 (en) 2009-01-21 2015-12-22 Xerox Corporation Fuser topcoats comprising superhydrophobic nano-fabric coatings
JP2012520761A (ja) 2009-03-19 2012-09-10 イー・エム・デイー・ミリポア・コーポレイシヨン ナノ繊維濾過媒体を用いる、流体資料からの微生物の除去
DE102009002130A1 (de) * 2009-04-02 2010-10-14 Wacker Chemie Ag Membranen auf Basis von Polyvinylalkohol
US8950587B2 (en) 2009-04-03 2015-02-10 Hollingsworth & Vose Company Filter media suitable for hydraulic applications
CN102803593A (zh) 2009-06-23 2012-11-28 3M创新有限公司 官能化非织造制品
CA2766352C (en) 2009-06-29 2018-09-18 NanoH2O Inc. Improved hybrid tfc ro membranes with nitrogen additives
EP2292309A1 (en) * 2009-08-07 2011-03-09 Ahlstrom Corporation Nanofibers with improved chemical and physical stability and web containing nanofibers
CN102574067A (zh) * 2009-09-30 2012-07-11 阿莫麦迪有限公司 用于Western印迹的纳米纤维膜及其制备方法
JP5377452B2 (ja) * 2009-10-16 2013-12-25 日東電工株式会社 複合半透膜の製造方法
US9018308B2 (en) * 2009-12-01 2015-04-28 Pbi Performance Products, Inc. Polybenzimidazole/polyacrylate mixtures
WO2011068266A1 (ko) * 2009-12-04 2011-06-09 한국기계연구원 지용성 용매 분리 장치
US9471019B2 (en) 2010-01-25 2016-10-18 Xerox Corporation Polymer-based long life fusers
US9329544B2 (en) 2010-01-25 2016-05-03 Xerox Corporation Polymer-based long life fusers and their methods of making
US8377672B2 (en) 2010-02-18 2013-02-1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Ligand functionalized polymers
US20110210060A1 (en) 2010-02-26 2011-09-01 Clarcor Inc. Expanded composite filter media including nanofiber matrix and method
WO2011109151A1 (en) 2010-03-03 2011-09-0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Ligand guanidinyl functionalized polymers
US8679218B2 (en) 2010-04-27 2014-03-25 Hollingsworth & Vose Company Filter media with a multi-layer structure
US20130062285A1 (en) * 2010-05-11 2013-03-14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Oil-Tolerant Polymer Membranes for Oil-Water Separations
WO2011142726A1 (en) * 2010-05-13 2011-11-17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Nanofiltration membrane
WO2011159889A2 (en) 2010-06-17 2011-12-22 Washington University Biomedical patches with aligned fibers
CN101879415B (zh) * 2010-06-30 2012-12-26 桑德集团有限公司 超亲水型超滤膜的制作方法及设备
RU2580483C2 (ru) 2010-08-05 2016-04-10 Олтриа Клайент Сервисиз Инк. Материал с табаком, спутанным со структурными волокнами
EP2603611B1 (en) 2010-08-10 2019-12-18 EMD Millipore Corporation Method for retrovirus removal
CN101947415B (zh) * 2010-08-13 2012-06-20 东华大学 静电纺丝和静电喷雾方法相结合制备纳米纤维基复合分离膜
WO2012027242A1 (en) * 2010-08-23 2012-03-01 The Research Foundation Of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High flux microfiltration membranes with virus and metal ion adsorption capability for liquid purification
IT1402865B1 (it) * 2010-11-05 2013-09-27 Univ Roma Procedimento per il trattamento di acqua contaminata
US8801935B2 (en) 2010-11-10 2014-08-12 Nanoh2O, Inc. Hybrid TFC RO membranes with non-metallic additives
WO2012074487A1 (en) * 2010-11-29 2012-06-07 Nanyang Technological University Forward osmosis hollow fiber membrane
US10155186B2 (en) 2010-12-17 2018-12-18 Hollingsworth & Vose Company Fine fiber filter media and processes
US20120152821A1 (en) 2010-12-17 2012-06-21 Hollingsworth & Vose Company Fine fiber filter media and processes
CN102091537B (zh) * 2010-12-30 2013-01-30 天津工业大学 一种防微生物污染中空纤维膜及其制备方法
CN103402614B (zh) * 2011-01-04 2016-08-10 纽约州州立大学研究基金会 功能化用于水净化的纳米纤维微滤膜
US9988956B2 (en) * 2011-01-14 2018-06-05 New Jersey Institute Of Technology System and method for continuous removal of water from oil via membrane separation
CN102172482A (zh) * 2011-01-26 2011-09-07 周家正 螺旋纤维管式聚砜复合纳滤膜
CN105413480B (zh) 2011-04-01 2019-03-29 Emd密理博公司 含有纳米纤维的复合材料结构
EP3838403A1 (en) 2011-05-13 2021-06-23 Novomer, Inc. Carbonylation catalysts and method
US20140319044A1 (en) * 2011-05-27 2014-10-30 Yale University Nanoparticle-functionalized membranes, methods of making same, and uses of same
CN103747854B (zh) * 2011-06-07 2016-12-07 迪博因特技术公司 包括纳米纤维层的选择性水蒸汽输送膜及其制作方法
EP2535103A1 (en) * 2011-06-14 2012-12-19 Helmholtz-Zentrum Geesthacht Zentrum für Material- und Küstenforschung GmbH Biofunctionalized microfiltration or ultrafiltration membrane
CN102210979B (zh) * 2011-06-17 2013-05-01 海南立昇净水科技实业有限公司 荷正电型聚氯乙烯中空纤维纳滤膜及其制备方法
CN103649187A (zh) 2011-07-18 2014-03-19 赛尔格有限责任公司 表面改性聚合材料、改性官能化聚合物、功能聚合物和方法
EP2734290A4 (en) * 2011-07-21 2015-03-25 Emd Millipore Corp NANOFIBRE CONTAINING COMPOSITE STRUCTURES
US10369529B2 (en) 2012-01-30 2019-08-06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Mixed matrix membranes with embedded polymeric particles and networks and related compositions, methods, and systems
US20130112618A1 (en) * 2011-08-08 2013-05-09 Mamadou S. Diallo Filtration membranes, related nano and/or micro fibers, composites methods and systems
JP5880813B2 (ja) * 2011-08-10 2016-03-09 国立研究開発法人物質・材料研究機構 Pva多孔膜、その製造方法及びpva多孔膜を有する濾過フィルター
US20150230918A1 (en) 2011-08-16 2015-08-20 The University Of Kansas Biomaterial based on aligned fibers, arranged in a gradient interface, with mechanical reinforcement for tracheal regeneration and repair
DE102011082830A1 (de) * 2011-09-16 2013-03-21 Siemens Aktiengesellschaft Membran zur Gasseparation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Filtermoduls zur Gasseparation
KR101447268B1 (ko) * 2011-09-20 2014-10-07 제일모직주식회사 박막 복합 분리막 및 그 제조방법
US9546326B2 (en) 2011-11-04 2017-01-17 Ppg Industries Ohio, Inc. Fluid emulsion purification processes using microporous materials having filtration and adsorption properties
US9896353B2 (en) 2011-11-04 2018-02-20 Ppg Industries Ohio, Inc. Hydrocarbon waste stream purification processes using microporous materials having filtration and adsorption properties
US9751052B2 (en) 2011-11-17 2017-09-05 Ngee Ann Polytechnic Triple layer hydrophobic-hydrophilic membrane for membrane distillation applications
JP2013111507A (ja) * 2011-11-25 2013-06-10 Fujifilm Corp ガス分離膜、その製造方法、それを用いたガス分離膜モジュール
US20130175218A1 (en) * 2011-12-16 2013-07-11 The Research Foundation Of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olymeric nanofibrous composite membranes for energy efficient ethanol dehydration
CN102512991B (zh) * 2011-12-23 2014-10-22 天津工业大学 含有钯金属活性功能层的聚合物催化膜及其制备方法
TWI453062B (zh) * 2011-12-28 2014-09-21 Ind Tech Res Inst 脫鹽過濾材料
KR101374273B1 (ko) * 2012-01-03 2014-03-14 한국화학연구원 탄소나노튜브로 코팅된 역삼투 복합막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74279B1 (ko) * 2012-01-03 2014-03-14 한국화학연구원 탄소나노튜브가 결합된 역삼투 복합막 및 이의 제조방법
US9884027B2 (en) 2012-01-12 2018-02-06 Nanofiber Solutions, Inc. Nanofiber scaffolds for biological structures
WO2013112793A1 (en) * 2012-01-27 2013-08-01 Zeus Industrial Products, Inc. Electrospun porous media
WO2013116408A1 (en) 2012-01-30 2013-08-08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Filtration membranes and related compositions, methods and systems
JP2015513349A (ja) * 2012-02-13 2015-05-11 ボード・オブ・リージエンツ,ザ・ユニバーシテイ・オブ・テキサス・システム 組織修復のための基礎材システム
WO2013133771A1 (en) * 2012-03-08 2013-09-12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Catalytic hollow fibers
JP6073072B2 (ja) * 2012-04-27 2017-02-01 株式会社キコーコーポレーション ナノファイバー不織布を用いたろ過装置
KR20130123043A (ko) * 2012-05-02 2013-11-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밀폐형 미세조류 광생물 반응 장치
CN104487103A (zh) 2012-05-15 2015-04-01 泰克尼恩研究和发展基金有限公司 纤维增强水凝胶复合材料和形成纤维增强水凝胶复合材料的方法
CN104507552B (zh) * 2012-05-18 2017-07-04 新加坡科技设计大学 用于过滤水的膜
WO2013192392A1 (en) * 2012-06-20 2013-12-27 Hollingsworth & Vose Company Fine fiber filter media and processes
KR101250310B1 (ko) * 2012-08-30 2013-04-03 한국수자원공사 탄소나노튜브가 함유된 폴리술폰 지지체를 이용한 폴리아미드 역삼투막 및 그 제조방법
KR101422918B1 (ko) * 2012-09-05 2014-07-23 삼성전기주식회사 초소수성 멤브레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68012B1 (ko) * 2012-09-11 2014-12-0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폴리벤지미다졸 및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역삼투막 및 이의 제조방법
AU2012390291B2 (en) 2012-09-21 2017-09-07 Washington University Biomedical patches with spatially arranged fibers
US9787568B2 (en) 2012-11-05 2017-10-10 Cercacor Laboratories, Inc. Physiological test credit method
CN103120902A (zh) * 2012-11-13 2013-05-29 高润宝 碳纳米管、纳米二氧化硅共改性聚乙烯醇复合超滤膜的制备方法
KR101386398B1 (ko) * 2012-11-16 2014-04-29 광주과학기술원 정삼투용 나노복합체 멤브레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48859B1 (ko) * 2012-12-04 2014-10-13 한국과학기술원 수처리용 멤브레인,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972172B1 (ko) * 2012-12-06 2019-04-24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고기능성 역삼투막 및 그 제조방법
JP6191999B2 (ja) * 2013-01-10 2017-09-06 国立大学法人九州大学 連続相中に分散相が分散した組成物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装置
WO2014145864A1 (en) 2013-03-15 2014-09-18 Nanofiber Solutions, Llc Biocompatible fiber textiles for implantation
WO2014144536A1 (en) * 2013-03-15 2014-09-18 Shagufta Patel Modified surface energy non-woven filter element
CN104128099B (zh) * 2013-05-02 2016-08-03 北京服装学院 一种基于静电纺和自组装技术的复合纳滤膜及其制备方法
WO2014182274A1 (en) * 2013-05-06 2014-11-13 Empire Technology Development Llc Hydrophilic microfibers and nanofibers in coating compositions
US9155982B2 (en) 2013-05-10 2015-10-13 Pall Corporation Poss-modified support element
US9694306B2 (en) 2013-05-24 2017-07-04 Hollingsworth & Vose Company Filter media including polymer compositions and blends
KR101477400B1 (ko) * 2013-06-28 2014-12-29 삼성전기주식회사 나노 섬유 복합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EP2821119B1 (en) 2013-07-02 2016-06-29 Ahlstrom Corporation Filter medium
WO2015063792A1 (en) * 2013-11-02 2015-05-07 Council Of Scientific & Industrial Research Asymmetric membranes based on bupbi
CN110183402B (zh) * 2013-12-07 2024-04-02 诺沃梅尔公司 纳米过滤膜和使用方法
CN103691325B (zh) * 2013-12-18 2016-04-13 北京工商大学 一种优先透醇无机粒子/pvdf复合膜的制备方法
US10413881B2 (en) 2013-12-18 2019-09-1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orous articles for separation
CN103736324A (zh) * 2014-01-15 2014-04-23 天津工业大学 一种涂覆碳纳米材料-ptfe杂化涂层的过滤材料制造方法
US9067172B1 (en) * 2014-01-28 2015-06-30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Solid-state membrane module
US20150209721A1 (en) * 2014-01-28 2015-07-30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Solid-State Membrane Module
IN2014DE00264A (ko) 2014-01-29 2015-07-31 Indian Inst Technology Kanpur
CN106132515A (zh) * 2014-02-28 2016-11-16 Ppg工业俄亥俄公司 使用具有过滤和吸附性能的微多孔膜的流体乳液净化方法
CN106132519B (zh) 2014-04-11 2020-05-15 3M创新有限公司 具有酸烧结的互连二氧化硅纳米粒子三维多孔网络的微孔制品及其制备方法
US10858329B2 (en) 2014-05-05 2020-12-08 Novomer, Inc. Catalyst recycle methods
KR102204007B1 (ko) * 2014-05-29 2021-0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항균성 및 친수성을 갖춘 분리막 및 그 제조 방법
CA2950434A1 (en) 2014-05-30 2015-12-03 Novomer Inc. Integrated methods for chemical synthesis
SG10201808743VA (en) * 2014-06-10 2018-11-29 Dermtreat Aps Compositions comprising electrohydrodynamically obtained fibres for administration of specific dosages of an active substance to skin or mucosa
WO2016011128A1 (en) * 2014-07-17 2016-01-21 The Research Foundation For Th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Elastic membrane-based membrane bioreactor with high-efficiency for fouling control
KR20170047248A (ko) 2014-07-25 2017-05-04 노보머, 인코포레이티드 금속 착체의 합성 및 이의 용도
DE102014011715B4 (de) * 2014-08-05 2018-03-15 Neenah Gessner Gmbh Filtermaterial und Filtermaterialkombination zur Abtrennung von Flüssigkeiten und Verwendung eines derartigen Filtermaterials
TWI535784B (zh) 2014-08-26 2016-06-0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剪切增稠配方、及包含其之複合材料
WO2016033277A1 (en) 2014-08-27 2016-03-03 Nike Innovate C.V. Articles of footwear, apparel, and sports equipment with water absorbtion properties
US10076159B2 (en) 2014-08-27 2018-09-18 Nike, Inc. Soil-shedding article of footwear,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10314364B2 (en) 2014-08-27 2019-06-11 Nike, Inc. Soil-shedding article of footwear,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10076154B2 (en) 2014-08-27 2018-09-18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soil-shedding performance
GB2532837B (en) 2014-08-27 2017-10-25 Nike Innovate Cv Article of footwear with soil-shedding performance
US20160016147A1 (en) * 2014-09-29 2016-01-21 Zist Abzar Pajoohan Absorbent medium for isolation of biological molecules and method for synthesizing same
WO2016081541A1 (en) 2014-11-19 2016-05-26 The Research Foundation For Th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Nanostructured fibrous membranes for membrane distillation
JP6055494B2 (ja) * 2015-01-27 2016-12-27 碁達科技股▲ふん▼有限公司 レーザーダイシング方法
MA41510A (fr) 2015-02-13 2017-12-19 Novomer Inc Procédé de production d'acide acrylique
MA41513A (fr) 2015-02-13 2017-12-19 Novomer Inc Procédé de distillation pour la production d'acide acrylique
WO2016130998A1 (en) 2015-02-13 2016-08-18 Novomer, Inc. Continuous carbonylation processes
MA41514A (fr) 2015-02-13 2017-12-19 Novomer Inc Procédés intégrés de synthèse chimique
WO2016136978A1 (ja) * 2015-02-26 2016-09-01 旭硝子株式会社 微小物質捕捉フィルター、微小物質観察用ガラス基板、微小物質観察装置、微小物質捕捉方法及び微小物質観察方法
US10556222B2 (en) * 2015-03-10 2020-02-11 The Research Foundation For Th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Nanofibrous materials for heavy metal adsorption
EP3278867B1 (en) 2015-03-31 2021-09-08 Toray Industries, Inc. Separation membrane
JP6786519B2 (ja) 2015-04-17 2020-11-18 イー・エム・デイー・ミリポア・コーポレイシヨン 接線流濾過モードで作動するナノファイバー限外濾過膜を用いた、試料中の目的の生物学的物質を精製する方法
CN104893449B (zh) * 2015-05-28 2017-05-03 上海超高工程塑料有限公司 共混ptfe组合物及用于多孔过滤基材的涂料
CN105195028A (zh) * 2015-07-03 2015-12-30 东华大学 一种纳米纤维复合超滤膜的制备方法
KR101810830B1 (ko) * 2015-08-13 2017-12-20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휴대용 정수 파우치
DK3334839T3 (da) * 2015-08-14 2021-04-26 Illumina Inc Systemer og fremgangsmåder under anvendelse af magnetisk reagerende sensorer til bestemmelse af en genetisk egenskab
US9861940B2 (en) 2015-08-31 2018-01-09 Lg Baboh2O, Inc. Additives for salt rejection enhancement of a membrane
JP2018534956A (ja) 2015-09-10 2018-11-29 イコナノ ベンチャー パートナーズ, エルエルシー ポリマー電界紡糸塞栓形成デバイスおよび使用の方法
WO2017069990A1 (en) 2015-10-22 2017-04-27 Uop Llc Dual layer-coated membranes for gas separations
CN105289318A (zh) * 2015-11-18 2016-02-03 新疆德蓝股份有限公司 一种中空纤维复合纳滤膜及其制备方法
US9737859B2 (en) 2016-01-11 2017-08-22 Lg Nanoh2O, Inc. Process for improved water flux through a TFC membrane
US10531705B2 (en) 2016-03-02 2020-01-14 Nike, Inc. Hydrogel tie layer
US10675609B2 (en) 2016-03-02 2020-06-09 Nike, Inc. Articles with soil-shedding performance
US10362834B2 (en) 2016-03-02 2019-07-30 Nike, Inc. Hydrogel connection
US10455893B2 (en) 2016-03-02 2019-10-29 Nike, Inc. Hydrogel with mesh for soil deflection
US10155203B2 (en) 2016-03-03 2018-12-18 Lg Nanoh2O, Inc. Methods of enhancing water flux of a TFC membrane using oxidizing and reducing agents
KR102205760B1 (ko) * 2016-03-04 2021-01-21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가스 분리용 모듈 및 가스 분리 방법
WO2017173382A1 (en) * 2016-03-31 2017-10-05 ImMutriX Therapeutics, Inc. Selective adsorbent of disease mediators
WO2017178482A1 (en) * 2016-04-11 2017-10-19 Basf Se Porous thermoplastic membranes
AU2017254772B2 (en) * 2016-04-22 2023-06-01 Memphasys Limited Biocompatible Polymeric Membranes
US10632228B2 (en) 2016-05-12 2020-04-28 Acera Surgical, Inc. Tissue substitute materials and methods for tissue repair
CN106006947B (zh) * 2016-05-26 2019-04-05 南京国龙生物科技有限公司 畜禽养殖废水处理用生物膜填料及其制备工艺
CN109219475B (zh) * 2016-05-31 2021-05-07 阿莫绿色技术有限公司 过滤器集合体、其制造方法及包括其的过滤器模块
WO2017209536A1 (ko) * 2016-06-02 2017-12-07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필터여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모듈
CN105908366B (zh) * 2016-06-21 2017-11-28 齐鲁工业大学 疏水亲油‑亲水水下疏油薄膜及其调控方法、制备工艺与应用
CN105935522A (zh) * 2016-06-23 2016-09-14 无锡市国松环保机械有限公司 一种用于烟气脱硫的预处理过滤膜
CN105935523A (zh) * 2016-06-23 2016-09-14 无锡市国松环保机械有限公司 一种用于工业锅炉烟气的过滤膜
CN105935516A (zh) * 2016-06-23 2016-09-14 无锡市国松环保机械有限公司 一种用于工业锅炉烟气的复合过滤膜
CN107881645A (zh) * 2016-09-29 2018-04-06 南京林业大学 “绿色”静电纺丝法制备的高效空气过滤纤维膜
US10888824B2 (en) * 2016-11-16 2021-01-12 Ppg Industries Ohio, Inc. Methods for treating filled microporous membranes
US10183274B2 (en) * 2016-11-16 2019-01-22 Ppg Industries Ohio, Inc. Methods for treating filled microporous membranes
US11633701B2 (en) * 2016-12-15 2023-04-25 Amogreentech Co., Ltd. Filter medium,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filter unit comprising same
CN106731012B (zh) * 2016-12-22 2018-11-27 北京航空航天大学 一种超浸润二氧化钛纳米棒多孔膜的制备及其在乳液分离中的应用
RU2019125715A (ru) 2017-01-23 2021-02-24 Афикс Терапьютикс А/С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двухслойного продукта на основе электроспряденных волокон
CN110290783A (zh) 2017-01-23 2019-09-27 阿费克斯疗法有限公司 用于制备具有高含量生物粘附物质的电纺纤维的方法
US10898608B2 (en) 2017-02-02 2021-01-26 Nanofiber Solutions, Llc Methods of improving bone-soft tissue healing using electrospun fibers
WO2018152149A1 (en) 2017-02-17 2018-08-23 The Research Foundation For Th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High-flux thin-film nanocomposite reverse osmosis membrane for desalination
US20180290087A1 (en) * 2017-04-11 2018-10-11 Hollingsworth & Vose Company Polyethersulfone fiber webs
KR102120735B1 (ko) * 2017-04-21 2020-06-09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금속 기재 층 및 cnt/키토산 나노 하이브리드 코팅층을 포함하는 멤브레인 및 이를 포함하는 정전식 집진 시스템
US10856750B2 (en) 2017-04-28 2020-12-08 Masimo Corporation Spot check measurement system
CN107158962B (zh) * 2017-05-11 2020-04-14 武汉纺织大学 一种负载高活性纳米金属颗粒的纳米纤维多孔膜的制备方法
US10654001B2 (en) * 2017-06-30 2020-05-19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Conductive thin-films for direct membrane surface electroheating
CN107469645B (zh) * 2017-08-01 2020-11-10 东华大学 小孔径高孔隙率细菌纤维素纳米纤维复合膜及其制备方法
TWI700175B (zh) 2017-08-01 2020-08-01 荷蘭商耐基創新公司 製造用於鞋類物品之外底的組件之方法
WO2019051345A1 (en) * 2017-09-11 2019-03-14 Fresenius Medical Care Holdings, Inc. MICROPOROUS MEMBRANE AND METHODS OF MAKING SAME
WO2019079720A1 (en) 2017-10-19 2019-04-25 Nike Innovate C.V. WEAR SO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08159892B (zh) * 2018-01-15 2021-03-02 东华大学 一种含明胶过渡层的纳米纤维基纳滤复合膜的制备方法
JP7061908B2 (ja) * 2018-03-28 2022-05-02 旭化成株式会社 複合ナノファイバー不織布及びその製造方法
SG11202011789PA (en) * 2018-06-08 2020-12-30 Arkema Inc Fluoropolymer latex coatings for membranes
CN108823806A (zh) * 2018-06-29 2018-11-16 南通朝旭环保科技有限公司 用于空气过滤的静电纺丝微纳纤维材料
CN109046040B (zh) * 2018-08-03 2022-01-21 武汉纺织大学 基于纳米纤维的梯度过滤膜材料及其制备方法
KR102139952B1 (ko) * 2018-10-19 2020-07-31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다공성 기재 층 및 cnt/키토산 나노 하이브리드 코팅층을 포함하는 멤브레인 및 이를 포함하는 정전식 집진 시스템
CN109482072B (zh) * 2018-12-10 2021-09-14 河南工程学院 一种具有梯度功能分布结构的聚偏氟乙烯复合膜及其制备方法
JP2022513442A (ja) 2018-12-11 2022-02-08 ナノファイバー ソリューションズ、エルエルシー 電界紡糸繊維を使用した慢性創傷の治療方法
CN110170282B (zh) * 2019-05-07 2020-07-14 清华大学 一种各向异性层状无机纤维气凝胶材料及其制备方法
CN110339726B (zh) * 2019-07-10 2021-09-07 浙江海印数码科技有限公司 一种聚苯乙烯微球/碳纳米管复合修饰的杂化聚醚砜纳滤膜及其制备方法、应用
EP4021621B1 (de) * 2019-08-30 2024-01-24 Basf Se Wasserdampf-permeabler verbundstoff
US20220390335A1 (en) * 2019-11-12 2022-12-08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A Multi-Layered Membrane And A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CN110721596A (zh) * 2019-11-22 2020-01-24 中原工学院 一种新型环保、高效油水分离复合膜的制备方法
US20230140619A1 (en) * 2020-04-09 2023-05-04 University Of Florida Research Foundation, Inc. Filters, filter systems, and methods of use
WO2022020969A1 (es) * 2020-07-27 2022-02-03 Pontificia Universidad Católica De Chile Membranas compuestas superhidrofóbicas para tratamiento de agua utilizando técnicas de destilación por membranas
KR102367620B1 (ko) * 2020-10-23 2022-02-24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카드뮴 흡착용 복합체의 제조방법
KR102231419B1 (ko) * 2020-11-12 2021-03-23 이범섭 탈질효율을 높인 연소가스 처리 시스템
CN112844060A (zh) * 2020-12-31 2021-05-28 上海工程技术大学 一种3d复合空气过滤材料的制造方法
CN113600036A (zh) * 2021-07-09 2021-11-05 江苏大学 一种具有人工水通道的高通量复合纳米纤维膜的制备方法
CN113731192A (zh) * 2021-08-25 2021-12-03 中海油节能环保服务有限公司 一种用于油水分离的亲水性超滤膜及其制备方法
CN113694726A (zh) * 2021-09-24 2021-11-26 中国农业大学 一种去除模拟放射性废水中核素钴的纳滤膜的制备方法和应用
KR20230071220A (ko) * 2021-11-16 2023-05-23 주식회사 레몬 PVDF-g-POEM 이중빗살 공중합체를 활용한 고효율 나노섬유 공기필터의 전기방사방법
CN116657406B (zh) * 2023-05-18 2023-12-05 扬州广泰化纤有限公司 基于聚酯瓶片再生纤维的油水分离材料及其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52353A (ja) * 2003-02-21 2004-09-09 Keiwa Inc 光拡散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64757A (ja) * 1984-09-05 1986-04-03 Toagosei Chem Ind Co Ltd 樹脂組成物
JPS6481831A (en) * 1987-09-25 1989-03-28 Tokuyama Soda Kk Production of fine porous film
US5049167A (en) * 1989-12-13 1991-09-17 Membrane Technology & Research, Inc. Multilayer interfacial composite membrane
JPH07185239A (ja) * 1993-12-27 1995-07-25 Oshidari Kenkyusho:Kk 濾過材及びフィルタ
US6933331B2 (en) * 1998-05-22 2005-08-23 Nanoproducts Corporation Nanotechnology for drug delivery, contrast agents and biomedical implants
JPH10183457A (ja) * 1996-12-24 1998-07-14 Kao Corp 防ダニシート
US6536605B2 (en) * 1997-06-06 2003-03-25 Koch Membrane Systems, Inc. High performance composite membrane
JPH11114383A (ja) * 1997-10-15 1999-04-27 Chisso Corp 筒状フィルターカートリッジ
JPH11217497A (ja) * 1998-02-05 1999-08-10 Asahi Chem Ind Co Ltd 強化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
US6162358A (en) * 1998-06-05 2000-12-19 Nl Chemicals Technologies, Inc. High flux reverse osmosis membrane
JP2000061277A (ja) * 1998-08-19 2000-02-29 Asahi Chem Ind Co Ltd セルロース架橋膜の製造方法
DE19912582A1 (de) * 1999-03-19 2000-09-28 Geesthacht Gkss Forschung Mikroporöse Membran mit einer Polymermatrix sowi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IL132945A0 (en) * 1999-06-07 2001-03-19 Nicast Ltd Filtering material and device and method of its manufacture
JP3284115B2 (ja) * 1999-09-17 2002-05-20 サエハン インダストリーズ インコーポレーション ポリアミド逆浸透複合膜の製造方法
JP2001252537A (ja) * 2000-03-10 2001-09-18 Toray Ind Inc 逆浸透複合膜
US6673136B2 (en) * 2000-09-05 2004-01-06 Donaldson Company, Inc. Air filtration arrangements having fluted media constructions and methods
JP4368066B2 (ja) * 2001-02-21 2009-11-18 旭化成せんい株式会社 蒸らし機能付き抽出用フィルター
JP2002292223A (ja) * 2001-03-30 2002-10-08 Mitsubishi Paper Mills Ltd 液体フィルター用濾材
US6685956B2 (en) * 2001-05-16 2004-02-03 The Research Foundation At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Biodegradable and/or bioabsorbable fibrous articles and methods for using the articles for medical applications
US6881364B2 (en) * 2001-05-16 2005-04-19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Hydrophilic mixed matrix materials having reversible water absorbing properties
US6680016B2 (en) * 2001-08-17 2004-01-20 University Of Dayton Method of forming conductive polymeric nanocomposite materials
JP2003245511A (ja) * 2002-02-21 2003-09-02 Toyobo Co Ltd 濾 材
JP2004009012A (ja) * 2002-06-11 2004-01-15 Asahi Kasei Corp 微多孔膜及びその製造方法
EP1371700A3 (en) * 2002-06-14 2004-01-21 Rohm And Haas Company Curable fluids for forming coatings and adhesives
US20040038014A1 (en) * 2002-08-20 2004-02-26 Donaldson Company, Inc. Fiber containing filter media
AU2003290858A1 (en) * 2002-11-12 2004-06-03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Nano-porous fibers and protein membranes
US20040092185A1 (en) * 2002-11-13 2004-05-13 Grafe Timothy H. Wipe material with nanofiber layer
JP4222048B2 (ja) * 2003-02-13 2009-02-12 東レ株式会社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含有樹脂コンポジット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高弾性フィルム
JP2004273282A (ja) * 2003-03-10 2004-09-30 Mitsubishi Electric Corp 電池の製造方法
US7579077B2 (en) * 2003-05-05 2009-08-25 Nanosys, Inc. Nanofiber surfaces for use in enhanced surface area applications
US7141518B2 (en) * 2003-10-16 2006-11-2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urable charged particle coatings and materials
US7789930B2 (en) * 2006-11-13 2010-09-07 Research Triangle Institute Particle filter system incorporating nanofibers
US8039258B2 (en) * 2004-09-28 2011-10-18 Ethicon, Inc. Tissue-engineering scaffolds containing self-assembled-peptide hydrogel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52353A (ja) * 2003-02-21 2004-09-09 Keiwa Inc 光拡散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0691A (ko) * 2013-10-07 2015-04-15 (주)에프티이앤이 이성분 기재의 양면에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핫멜트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필터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5053443A1 (ko) * 2013-10-07 2015-04-16 (주)에프티이앤이 기재 양면에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필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79936B1 (ko) 2013-10-07 2015-12-28 (주)에프티이앤이 이성분 기재의 양면에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핫멜트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필터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57413A (ko) * 2018-11-16 2020-05-26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기능성 필터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167336B1 (ko) * 2018-11-16 2020-10-20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기능성 필터 및 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583469A1 (en) 2007-01-04
EP1796822A4 (en) 2008-09-17
CA2583469C (en) 2013-03-19
CN101039798B (zh) 2012-03-07
HK1108860A1 (en) 2008-05-23
US8222166B2 (en) 2012-07-17
US20100323573A1 (en) 2010-12-23
EP1796822A2 (en) 2007-06-20
AU2005333585B2 (en) 2010-12-16
WO2007001405A9 (en) 2007-02-22
KR20070059135A (ko) 2007-06-11
JP2008515668A (ja) 2008-05-15
IL182165A0 (en) 2007-07-24
WO2007001405A2 (en) 2007-01-04
WO2007001405A3 (en) 2007-05-18
JP5667507B2 (ja) 2015-02-12
CN101039798A (zh) 2007-09-19
AU2005333585A1 (en) 2007-01-04
JP2011183389A (ja) 2011-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8496B1 (ko) 고유속 및 저오염의 여과매체
Vatanpour et al. Improvement of polyvinyl chloride nanofiltration membranes by incorporation of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modified with triethylenetetramine to use in treatment of dye wastewater
Wang et al. High performance ultrafiltration composite membranes based on poly (vinyl alcohol) hydrogel coating on crosslinked nanofibrous poly (vinyl alcohol) scaffold
US8231013B2 (en) Articles comprising a fibrous support
JP5526392B2 (ja) セルロース又はセルロース誘導体を含む高流束流体分離膜
Zhijiang et al. Calcium alginate-coated electrospun polyhydroxybutyrate/carbon nanotubes composite nanofibers as nanofiltration membrane for dye removal
Ahmed et al. A review on electrospinning for membrane fabrication: Challenges and applications
Plisko et al. 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olyamide-fullerenol thin film nanocomposite hollow fiber membranes with enhanced antifouling performance
Khulbe et al. The art of surface modification of synthetic polymeric membranes
Kang et al. Application and modification of poly (vinylidene fluoride)(PVDF) membranes–a review
US20130180917A1 (en) High flux microfiltration membranes with virus and metal ion adsorption capability for liquid purification
Yan et al. Acid-resistant supramolecular nanofibrous hydrogel membrane with core-shell structure for highly efficient oil/water separation
Hebbar et al. Efficient treatment of hazardous reactive dye effluents through antifouling polyetherimide hollow fiber membrane embedded with functionalized halloysite nanotubes
Sathya et al. Fabrication and characterisation of fine-tuned Polyetherimide (PEI)/WO3 composite ultrafiltration membranes for antifouling studies
Otitoju et al. Polyethersulfone composite hollow-fiber membrane prepared by in-situ growth of silica with highly improved oily wastewater separation performance
Khezli et al. Fabrication of electrospun nanocomposite polyethersulfone membrane for microfiltration
Al-Ghafri et al. Performance study of novel PES membrane using electrospray deposition method for organic contaminants separation
Nazri et al. A facile modification approach for polyacrylonitrile-based UF hollow fiber membrane utilizing polyacrylonitrile-g-poly (vinyl alcohol) graft copolymer
El-Sayed et al. Mixed matrix membrane comprising functionalized sulfonated activated carbon from tea waste biomass for enhanced hydrophilicity and antifouling properties
Ugur et al. Highly thermally resistant, hydrophobic poly (vinyl alcohol)–silica hybrid nanofibers
Arahman et al. Effect of hypochlorite treatment on performance of hollow fiber membrane prepared from polyethersulfone/N‐methyl‐2‐pyrrolidone/tetronic 1307 solution
Askari et al. Parametric optimization of poly (ether sulfone) electrospun membrane for effective oil/water separation
Karunanithi et al. rGO induced enhanced antifouling properties in electrospun PVA–rGO nanocomposite membranes
Song et al.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ernary poly (arylene ether sulfone) nanofibrous membranes via soultion-blowing with phthalein group in the main chain
Abdulkarim et al. Preparation of hollow fiber membrane containing ZnO nanoparticles to remove natural organic mat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