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5506B1 - 공조 장치의 취출구 구조 - Google Patents

공조 장치의 취출구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5506B1
KR101045506B1 KR1020097000964A KR20097000964A KR101045506B1 KR 101045506 B1 KR101045506 B1 KR 101045506B1 KR 1020097000964 A KR1020097000964 A KR 1020097000964A KR 20097000964 A KR20097000964 A KR 20097000964A KR 101045506 B1 KR101045506 B1 KR 1010455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air
flow path
pins
wi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09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9013A (ko
Inventor
기미오 사카키바라
Original Assignee
도요타 지도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 지도샤(주) filed Critical 도요타 지도샤(주)
Publication of KR20090019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90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5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55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1/3414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2001/3471Details of actu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공조풍의 풍량, 풍속을 충분히 확보함과 함께 지향성도 우수하고, 게다가, 차실내로의 취출구를 얇은 구조로 한다. 취출구 구조 (10) 에서는, 케이스 (12) 내의 흐름 방향 중간부 (13) 에 형성된 한 쌍의 핀 (16) 이 그 자세를 변경함으로써 공조풍의 취출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취출구 (20) 에 취출 방향 변경용의 핀을 복수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취출구 (20) 를 얇은 구조로 할 수 있다. 또, 한 쌍의 핀 (16) 으로 공조풍의 취출 방향을 변경할 수 있어, 핀 (16) 의 수가 적기 때문에, 케이스 (12) 내의 유로에 있어서의 공조풍의 흐름을 저해하지 않고, 케이스 (12) 내의 유로의 유효 단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이로써, 공조풍의 풍량, 풍속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게다가, 핀 (16) 의 수를 줄임으로써 핀 (16) 의 1 장 당의 크기를 확대할 수 있다. 이로써, 지향성도 우수한 공조풍을 얻을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공조 장치의 취출구 구조{AIR OUTLET STRUCTURE OF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조 장치의 취출구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실내의 취출구로부터 취출되는 공조풍의 취출 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구성을 구비한 공조 장치의 취출구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런 종류의 공조 장치의 취출구 구조로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30622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5-332607호 및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평4-95257호에 개시된 것이 알려져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306224호에는, 공조용 레지스터의 예가 개시되어 있고, 하류단이 차실내에 공조풍을 취출할 수 있는 취출구로서 개구된 리테이너가 형성되어 있다. 이 리테이너의 차실내로의 취출구에는, 복수의 핀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복수의 핀의 각도를 변경함으로써, 이 각도에 따른 방향으로 차실내의 취출구로부터 공조풍을 취출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306224호
특허문헌 2 :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5-332607호
특허문헌 3 :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평4-95257호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리테이너의 차실내로의 취출구에 복수의 핀이 형성된 취출구 구조에서는, 복수의 핀이 취출구에 위치하기 때문에, 이 핀에 의해 차실내로의 취출구의 실제 개구 면적이 감소한다. 또, 핀을 최대한 기울여 공조풍의 취출 방향을 변경하는 경우, 복수의 핀 중 취출구 벽면에 가깝게 배치된 핀에 의해 취출구에 공조풍이 체류하는 영역이 형성되어, 차실내로의 취출구의 실제 개구 면적이 감소한다. 따라서, 차실내로의 취출구의 실제 개구 면적이 감소함으로써, 공조풍의 풍량, 풍속이 불충분해진다.
한편, 공조풍의 풍량, 풍속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리테이너의 차실내로의 취출구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차실내로의 취출구를 확대한 경우에는, 차실내로의 취출구를 차량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얇은 구조로 하기 곤란해진다. 특히, 최근, 슬랜트 (경사) 를 갖는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채용이 증가하는 경향이기 때문에, 차실내로의 취출구를 얇은 구조로 하여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설계의 자유도를 향상시키면서, 공조풍의 지향성도 우수한 공조 장치의 취출구 구조가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공조풍의 풍량, 풍속을 충분히 확보함과 함께 지향성도 우수하고, 게다가, 차실내로의 취출구를 얇은 구조로 할 수 있는 공조 장치의 취출구 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1 양태의 공조 장치의 취출구 구조는, 하류단이 차실내에 공조풍의 취출구로서 개구된 유로 부재와, 상기 유로 부재 내의 공조풍의 흐름 방향 중간부에, 상기 유로 부재에 대한 자세를 변경할 수 있도록 형성된 한 쌍의 핀과, 조작부의 조작에 연동하여 상기 한 쌍의 핀 중 적어도 일방의 자세를 변경하는 취출 방향 변경 수단수단을 구비하는 공조 장치의 취출구 구조에 있어서, 상기 유로 부재는, 상벽과, 하벽을 구비하는 통형상으로서, 상벽은 공조풍의 흐름 방향 하류측을 향함에 따라 아래 방향으로 경사지고, 하벽은 공조풍의 흐름 방향 하류측을 향함에 따라 윗 방향으로 경사짐과 함께, 상기 핀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유로 부재 내의, 상기 상벽 및 하벽의 경사 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공조 장치의 취출구 구조에서는, 공조 장치로부터 공조풍이 취출되면, 이 공조풍은 유로 부재를 통하여 차실내로 개구되는 취출구로부터 취출된다. 여기에서, 유로 부재에는, 공조풍의 흐름 방향 중간부에, 유로 부재에 대한 자세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한 쌍의 핀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한 쌍의 핀의 자세는, 조작부의 조작에 연동하여 취출 방향 변경 수단에 의해 변경된다. 따라서, 공조 장치로부터 공조풍이 취출되고 있을 때에, 조작부의 조작에 연동하여 한 쌍의 핀의 자세가 변경된 경우에는, 공조 장치로부터의 공조풍은, 차실내의 취출구로부터 한 쌍의 핀의 자세에 따른 방향으로 취출된다.
또한, 유로 부재의 상벽이 아래 방향으로 경사지고, 하벽이 윗 방향으로 경사져 있고, 핀이 유로 부재 내의 상벽 및 하벽의 경사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벽과 핀 또는 하벽과 핀에 따라 공조풍의 유로가 형성된다.
상기 양태에 의하면, 유로 부재 내의 흐름 방향의 중간부에 형성된 한 쌍의 핀이 그 자세를 변경함으로써 공조풍의 취출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유로 부재의 취출구에 취출 방향 변경용의 핀을 복수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차실내로의 취출구의 실제 개구 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이로써, 차실내로의 취출구를 종래보다 얇은 구조로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차실내로의 취출구를 종래보다 얇은 구조로 함으로써, 예를 들어,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설계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한 쌍의 핀으로 공조풍의 취출 방향을 변경할 수 있어, 핀의 수가 적기 때문에, 유로 부재 내의 유로에 있어서의 공조풍의 흐름을 저해하지 않고, 유로 부재 내의 유로의 유효 단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차실내로의 취출구의 실제 개구 면적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공조풍의 풍량, 풍속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게다가, 핀의 수를 줄임으로써 핀의 1 장 당의 크기를 확대할 수 있다. 이로써, 지향성도 우수한 공조풍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또, 상벽과 핀 또는 하벽과 핀을 따라 공조풍의 유로가 형성되기 때문에, 이에 따라 더욱 지향성이 우수한 공조풍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상기 취출 방향 변경 수단은, 상기 조작부의 조작력을 받아 상기 한 쌍의 핀을 동일 방향으로 회전 운동시키는 제 1 구동부와, 상기 제 1 구동부에 의해 상기 한 쌍의 핀이 동일 방향으로 회전 운동될 때에, 상기 한 쌍의 핀의 회전 운동 각도에 따라 상기 한 쌍의 핀이 이루는 각도를 변경하는 제 2 구동부를 구비해도 된다.
상기 양태에 의하면, 조작부로부터 조작력이 입력되면, 제 1 구동부에 의해 한 쌍의 핀이 동일 방향으로 회전 운동된다. 또한, 한 쌍의 핀이 동일 방향으로 회전 운동될 때에, 제 2 구동부에 의해 한 쌍의 핀이 이루는 각도가 한 쌍의 핀의 회전 운동 각도에 따라 변경된다. 이와 같이 한 쌍의 핀의 자세가 변경됨으로써 공조풍의 취출 방향이 변경된다. 이와 같이 제 1 구동부 및 제 2 구동부에 의해 한 쌍의 핀을 협동시켜 공조풍의 취출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상기 취출 방향 변경 수단은, 상기 조작부의 조작력을 받아 회전 운동되는 회전 운동체와, 상기 회전 운동체의 제 1 회전 운동 범위에서 상기 회전 운동체의 회전 운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한 쌍의 핀의 일방을 회전 운동시키는 제 1 구동부와, 상기 회전 운동체의 상기 제 1 회전 운동 범위와 상이한 제 2 회전 운동 범위에서 상기 회전 운동체의 회전 운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한 쌍의 핀의 타방을 회전 운동시키는 제 2 구동부를 구비해도 된다.
상기 양태에 의하면, 조작부로부터 조작력이 입력되면, 회전 운동체가 회전 운동된다. 이 때, 회전 운동체의 제 1 회전 운동 범위에서는, 제 1 구동부에 의해 한 쌍의 핀의 일방이 회전 운동된다. 또, 회전 운동체의 제 1 회전 운동 범위와 상이한 제 2 회전 운동 범위에서는, 제 2 구동부에 의해 한 쌍의 핀의 타방이 회전 운동된다. 이와 같이 한 쌍의 핀의 자세가 변경됨으로써 공조풍의 취출 방향이 변경된다. 이와 같이 제 1 구동부 및 제 2 구동부에 의해 한 쌍의 핀을 협동시켜 공조풍의 취출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상기 취출 방향 변경 수단은, 상기 조작부의 조작력을 받아 상기 한 쌍의 핀의 일방을 회전 운동시키는 제 1 구동부와, 상기 제 1 구동부와 연동하여 상기 한 쌍의 핀의 타방을 회전 운동시키는 제 2 구동부를 구비해도 된다.
상기 양태에 의하면, 조작부로부터 조작력이 입력되면, 제 1 구동부에 의해 한 쌍의 핀의 일방이 회전 운동된다. 또, 제 1 구동부와 연동하여 제 2 구동부가 작동되고, 이 제 2 구동부에 의해 한 쌍의 핀의 타방이 회전 운동된다. 이와 같이 한 쌍의 핀의 자세가 변경됨으로써 공조풍의 취출 방향이 변경된다. 이와 같이 제 1 구동부 및 제 2 구동부에 의해 한 쌍의 핀을 협동시켜 공조풍의 취출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의 공조 장치의 취출구 구조는, 하류단이 차실내에 공조풍의 취출구로서 개구된 유로 부재와, 조작부의 조작력을 받아 회전 운동되는 회전 운동체와, 각각 상기 회전 운동체의 회전 운동축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배치됨과 함께 상기 회전 운동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한 쌍의 피니언과, 상기 한 쌍의 피니언 간에 배치되어 상기 한 쌍의 피니언에 맞물려짐과 함께, 상기 회전 운동체의 회전 운동에 수반하여 상기 한 쌍의 피니언 간을 진퇴 이동하는 래크와, 상기 유로 부재 내의 공조풍의 흐름 방향 중간부에 배치되어, 상기 한 쌍의 피니언의 각각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한 쌍의 핀을 구비한다.
상기 양태에 의하면, 조작부로부터 조작력이 입력되면, 회전 운동체가 회전 운동된다. 이 때, 회전 운동체에는, 한 쌍의 피니언을 통하여 한 쌍의 핀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한 쌍의 핀이 회전 운동체의 회전 운동에 의해 동일 방향으로 회전 운동된다. 또, 한 쌍의 핀이 동일 방향으로 회전 운동 될 때에는, 래크가 한 쌍의 피니언 간을 진퇴 이동한다. 따라서, 한 쌍의 피니언이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회전되고, 이 한 쌍의 피니언의 각각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한 쌍의 핀이 이루는 각도가 회전 운동체의 회전 운동 각도에 따라 변경된다. 이와 같이 한 쌍의 핀의 자세가 변경됨으로써 공조풍의 취출 방향이 변경된다. 이와 같이 제 1 구동부 및 제 2 구동부에 의해 한 쌍의 핀을 협동시켜 공조풍의 취출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양태에 의하면, 한 쌍의 핀이 유로 부재 내의 흐름 방향 중간부에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핀이 그 자세를 변경함으로써 공조풍의 취출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유로 부재의 취출구에 취출 방향 변경용의 핀을 복수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차실내로의 취출구의 실제 개구 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이로써, 차실내로의 취출구를 종래보다 얇은 구조로 할 수 있게 된다. 또, 차실내로의 취출구를 종래보다 얇은 구조로 함으로써, 예를 들어,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설계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 한 쌍의 핀으로 공조풍의 취출 방향을 변경할 수 있어, 핀의 수가 적기 때문에, 유로 부재 내의 유로에 있어서의 공조풍의 흐름을 저해하지 않고, 유로 부재 내의 유로의 유효 단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차실내로의 취출구의 실제 개구 면적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공조풍의 풍량, 풍속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게다가, 핀의 수를 줄임으로써 핀의 1 장 당의 크기를 확대할 수 있다. 이로써, 지향성도 우수한 공조풍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 3 양태의 공조 장치의 취출구 구조는, 하류단이 차실내에 공조풍의 취출구로서 개구된 유로 부재와, 조작부의 조작력을 받아 회전 운동되는 회전 운동체와, 상기 회전 운동체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한 쌍의 걸림부와, 상기 회전 운동체의 서로 상이한 회전 운동 범위에서 상기 한 쌍의 걸림부의 각각에 걸려 요동되는 한 쌍의 아암 부재와, 상기 유로 부재 내의 공조풍의 흐름 방향 중간부에 배치되어, 상기 한 쌍의 아암 부재의 각각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한 쌍의 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양태에 의하면, 조작부로부터 조작력이 입력되면, 회전 운동체가 회전 운동된다. 이 때, 회전 운동체의 제 1 회전 운동 범위에서는, 한 쌍의 아암 부재의 일방이 한 쌍의 걸림부의 일방에 걸려 요동된다. 여기에서, 한 쌍의 아암 부재의 일방에는, 한 쌍의 핀의 일방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 운동체의 제 1 회전 운동 범위에서는, 한 쌍의 아암 부재의 일방의 요동에 수반하여 한 쌍의 핀의 일방이 회전 운동된다. 또, 회전 운동체의 제 1 회전 운동 범위와는 상이한 제 2 회전 운동 범위에서는, 한 쌍의 아암 부재의 타방이 한 쌍의 걸림부의 타방에 걸려 요동된다. 여기에서, 한 쌍의 아암 부재의 타방에는, 한 쌍의 핀의 타방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 운동체의 제 2 회전 운동 범위에서는, 한 쌍의 아암 부재의 타방의 요동에 수반하여 한 쌍의 핀의 타방이 회전 운동된다. 이와 같이 한 쌍의 제 1 핀의 자세가 변경됨으로써 공조풍의 취출 방향이 변경된다. 이와 같이 제 1 구동부 및 제 2 구동부에 의해 한 쌍의 핀을 협동시켜 공조풍의 취출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양태에 의하면, 한 쌍의 핀이 유로 부재 내의 흐름 방향 중간부에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핀이 그 자세를 변경함으로써 공조풍의 취출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유로 부재의 취출구에 취출 방향 변경용의 핀을 복수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차실내로의 취출구의 실제 개구 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이로써, 차실내로의 취출구를 종래보다 얇은 구조로 할 수 있게 된다. 또, 차실내로의 취출구를 종래보다 얇은 구조로 함으로써, 예를 들어,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설계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 한 쌍의 핀으로 공조풍의 취출 방향을 변경할 수 있어, 핀의 수가 적기 때문에, 유로 부재 내의 유로에 있어서의 공조풍의 흐름을 저해하지 않고, 유로 부재 내의 유로의 유효 단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차실내로의 취출구의 실제 개구 면적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이로써, 공조풍의 풍량, 풍속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게다가, 핀의 수를 줄임으로써 핀의 1 장 당의 크기를 확대할 수 있다. 이로써, 지향성도 우수한 공조풍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 4 양태의 공조 장치의 취출구 구조는, 하류단이 차실내에 공조풍의 취출구로서 개구된 유로 부재와, 서로 맞물려져, 조작부의 조작력을 받아 회전 운동되는 한 쌍의 기어와, 상기 유로 부재 내의 공조풍의 흐름 방향 중간부에 배치되어, 상기 한 쌍의 기어의 각각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한 쌍의 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양태에 의하면, 조작부로부터 조작력이 입력되면, 서로 맞물려진 한 쌍의 기어가 회전 운동된다. 이 때, 한 쌍의 기어에는 한 쌍의 핀이 각각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한 쌍의 핀이 한 쌍의 기어의 회전 운동에 의해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회전 운동된다. 이와 같이 한 쌍의 자세가 변경됨으로써 공조풍의 취출 방향이 변경된다. 이와 같이 제 1 구동부 및 제 2 구동부에 의해 한 쌍의 핀을 협동시켜 공조풍의 취출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또, 한 쌍의 핀이 유로 부재 내의 흐름 방향 중간부에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핀이 그 자세를 변경함으로써 공조풍의 취출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유로 부재의 취출구에 취출 방향 변경용의 핀을 복수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차실내로의 취출구의 실제 개구 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이로써, 차실내로의 취출구를 종래보다 얇은 구조로 할 수 있게 된다. 또, 차실내로의 취출구를 종래보다 얇은 구조로 함으로써, 예를 들어,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설계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한 쌍의 핀으로 공조풍의 취출 방향을 변경할 수 있어, 핀의 수가 적기 때문에, 유로 부재 내의 유로에 있어서의 공조풍의 흐름을 저해하지 않고, 유로 부재 내의 유로의 유효 단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차실내로의 취출구의 실제 개구 면적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이로써, 공조풍의 풍량, 풍속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게다가, 핀의 수를 줄임으로써 핀의 1 장 당의 크기를 확대할 수 있다. 이로써, 지향성도 우수한 공조풍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상기 유로 부재의 흐름 방향 중간부의 단면적을 상기 취출구보다 크게 해도 된다.
상기 양태에 의하면, 유로 부재의 흐름 방향 중간부가 취출구보다 그 단면적이 크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유로 부재 내의 유로의 유효 단면적을 보다 확보할 수 있다. 게다가, 흐름 방향 중간부의 단면적을 한 쌍의 핀의 회전 운동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확대하면, 이 취출구보다 단면적이 큰 유로 부재의 흐름 방향 중간부에 배치되는 한 쌍의 핀의 1 장 당의 크기 및 핀의 자세 변화량을 확대할 수 있다. 이로써, 공조풍의 지향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상기 상벽 및 하벽의 형상 중 적어도 일부를 서로 비대조(非對照)로 하여도 된다.
상기 양태에 의하면, 상벽 및 하벽의 형상 중 적어도 일부를 서로 비대조로함으로써, 유로 부재 내에 있어서 상벽과 핀 또는 하벽과 핀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일부의 유로의 형상이 상벽측과 하벽측에서 상이함으로써 공조풍의 지향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발명의 효과
이상 상세히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공조 장치의 취출구 구조에 의하면, 공조풍의 풍량, 풍속을 충분히 확보함과 함께 지향성도 우수하고, 게다가 차실내로의 취출구를 얇은 구조로 할 수 있게 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공조 장치의 취출구 구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상하 풍향 변경 기구 및 한 쌍의 핀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한 쌍의 핀의 동작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1 의 A-A 선 단면도) 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한 쌍의 핀의 동작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1 의 A-A 선 단면도) 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한 쌍의 핀의 동작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1 의 A-A 선 단면도) 이다.
도 6 은 도 1 의 B-B 선 단면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공조 장치의 취출구 구조를 도 6 의 C-C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공조 장치의 취출구 구조를 도 6 의 D-D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공조 장치의 취출구 구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상하 풍향 변경 기구 및 한 쌍의 핀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한 쌍의 핀의 동작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9 의 E-E 선 단면도) 이다.
도 12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한 쌍의 핀의 동작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9 의 E-E 선 단면도) 이다.
도 13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한 쌍의 핀의 동작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9 의 E-E 선 단면도) 이다.
도 14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상하 풍향 변경 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10 의 F-F 선 단면도) 이다.
도 15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상하 풍향 변경 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10 의 F-F 선 단면도) 이다.
도 16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공조 장치의 취출구 구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상하 풍향 변경 기구 및 한 쌍의 핀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8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한 쌍의 핀의 동작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16 의 G-G 선 단면도) 이다.
도 19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한 쌍의 핀의 동작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16 의 G-G 선 단면도) 이다.
도 20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한 쌍의 핀의 동작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16 의 G-G 선 단면도) 이다.
도 21 은 도 16 의 H-H 선 단면도이다.
도 22 는 비교예에 관련된 공조 장치의 취출구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10, 210 : 공조 장치의 취출구 구조
12 : 케이스 (유로 부재)
13 : 흐름 방향 중간부
14, 114, 214 : 상하 풍향 변경 기구
16, 116, 216 : 핀
20 : 취출구
42, 142, 242 : 조작 다이얼 (조작부)
44 : 제 1 기어 (취출 방향 변경 수단의 일부, 제 1 구동부)
46 : 제 2 기어 (취출 방향 변경 수단의 일부, 제 1 구동부, 회동 이동체)
48 : 래크 (취출 방향 변경 수단의 일부, 제 2 구동부)
50 : 피니언 (취출 방향 변경 수단의 일부, 제 2 구동부)
144 : 제 1 레버 (제 1 구동부, 아암 부재)
146 : 제 2 레버 (제 2 구동부, 아암 부재)
150 : 다이얼 본체부 (조작부)
152 : 아암 연결부 (회전 운동체)
154 : 제 1 캠홈 (걸림부)
156 : 제 2 캠홈 (걸림부)
243 : 제 1 기어
244 : 제 2 기어 (제 1 구동부)
245 : 제 3 기어 (제 2 구동부)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제 1 실시형태]
먼저, 도 1 내지 도 8 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공조 장치의 취출구 구조 (10) 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8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1 은, 공조 장치의 취출구 구조 (10) 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 는, 상하 풍향 변경 기구 (14) 및 한 쌍의 핀 (16) 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 내지 도 5 는, 한 쌍의 핀 (16) 의 동작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1 의 A-A 선 단면도), 도 6 은, 도 1 의 B-B 선 단면도, 도 7, 도 8 은, 공조 장치의 취출구 구조 (10) 를 도 6 의 C-C 선, D-D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또한, 각 도면에 있어서, 화살표 Fr 은 차량 전후 방향 전방측, 화살표 Up 은 차량 상하 방향 상측, 화살표 Out 은 차량폭 방향 외측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공조 장치의 취출구 구조 (10) 는, 차량에 탑재된 인스트루먼트 패널 (82) 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취출구 구조 (10) 는, 유로 부재로서의 케이스 (12) 와, 상하 풍향 변경 기구 (14) 와, 한 쌍의 핀 (16) (도 2 참조) 을 주요한 구성으로서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 (12) 는, 차량 전후 방향 양단부에 개구부 (18, 20) 를 갖는 통형상체로 구성되어 있다. 케이스 (12) 에 있어서, 개구부 (18) 는, 상류측이 되어 공조 장치의 덕트 (80) 에 연결되어 있고, 개구부 (20) 는, 하류측이 되어 인스트루먼트 패널 (82) 에 취출구로서 개구되어 있다 (이하, 이 개구부 (20) 를 취출구 (20) 라고 칭한다). 또한, 케이스 (12) 의 취출구 (20) 에는, 격자 (22) 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케이스 (12) 의 상벽 (24) 은, 도 3 내지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덕트 (80) 의 상벽에 연속하여, 하류측을 향함에 따라 차량 상하 방향 하측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한편, 케이스 (12) 의 하벽 (26) 은, 그 상류면 (26A) 이 하류측을 향함에 따라 차량 상하 방향 하측으로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이 상류면 (26A) 에 연속되는 중간면 (26B) 이 차량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수평으로 형성되고, 이 중간면 (26B) 으로부터 취출구 (20) 에 연속되는 하류면 (26C) 이 하류측을 향함에 따라 차량 상하 방향 상측으로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케이스 (12) 에서는, 상벽 (24) 및 하벽 (26) 이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형성됨으로써, 그 흐름 방향 중간부 (13) 쪽이 취출구 (20) 보다 유로 단면적 (차량 상하 방향의 단면적) 이 크게 설정되어 있다.
또,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 (12) 의 측벽 (28) 에는, 후술하는 상하 풍향 변경 기구 (14) 의 조작 다이얼 (42) 및 제 1 기어 (44) 를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한 쌍의 걸림 돌기 (30, 32) 와, 제 2 기어 (46) 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 (34) 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 (34) 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원형상의 고리 형상 벽부 (36) 와, 고리 형상 벽부 (36) 의 상하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한 쌍의 걸림 돌기 (38) 를 구비하고 있다.
또, 케이스 (12) 의 측벽 (28) 에는, 고리 형상 벽부 (36) 의 내측에 캠홈 (40) 이 형성되어 있다. 캠홈 (40) 은,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리 형상 벽부 (36) 의 중심으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에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이 캠홈 (40) 은, 그 길이 방향 중앙부 (40A) 와 고리 형상 벽부 (36) 의 중심의 거리쪽이 그 길이 방향 양단부 (40B, 40C) 와 고리 형상 벽부 (36) 의 중심의 거리보다 길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하 풍향 변경 기구 (14) 는, 후술하는 한 쌍의 핀 (16) 의 각도를 변경하기 위한 것으로, 도 2,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다이얼 (42) 과, 제 1 기어 (44) 와, 제 2 기어 (46) 와, 래크 (48) 와, 한 쌍의 피니언 (50) 을 갖고 있다.
조작 다이얼 (42) 은, 그 중앙부에 판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걸림 구멍 (52) 을 갖고 있다. 조작 다이얼 (42) 은, 도 6,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서술한 케이스 (12) 의 측벽 (28) 에 돌출 형성된 걸림 돌기 (30) 에 걸림 구 멍 (52) 이 걸림으로써, 케이스 (12) 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 조작 다이얼 (42) 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케이스 (12) 의 측벽 (28) 에 고정된 상태에서는, 도 1,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일부가 인스트루먼트 패널 (82) 의 구멍부 (84) 로부터 차실내로 노출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이 조작 다이얼 (42) 은, 그 외주면에 둘레 방향을 따라 기어가 형성된 톱니바퀴이다.
제 1 기어 (44) 는, 그 중앙부에 판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걸림 구멍 (54) 을 갖고 있다. 제 1 기어 (44) 는, 도 6,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 (12) 의 측벽 (28) 에 돌출 형성된 걸림 돌기 (32) 에 걸림 구멍 (54) 이 걸림으로써, 케이스 (12) 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 이 제 1 기어 (44) 는, 상기 서술한 조작 다이얼 (42) 에 맞물려 있다.
제 2 기어 (46) 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중심으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떨어진 2 지점의 위치에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걸림 구멍 (56) 을 갖고 있다. 제 2 기어 (46) 는, 케이스 (12) 의 측벽 (28) 에 돌출 형성된 한 쌍의 걸림 돌기 (38) 에 걸림 구멍 (56) 이 각각 걸림으로써, 케이스 (12) 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 제 2 기어 (46) 에는, 한 쌍의 걸림 구멍 (56) 보다도 직경 방향 내측의 위치에서 제 2 기어 (46) 의 회전 운동축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한 쌍의 지지 돌기 (58)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2 기어 (46) 는, 상기 서술한 제 1 기어 (44) 에 맞물려 있다.
한 쌍의 피니언 (50) 은, 도 2,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기어 (46) 측의 중앙부에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 구멍 (60) 을 갖고 있다. 피니 언 (50) 은, 상기 서술한 제 2 기어 (46) 에 형성된 지지 돌기 (58) 에 지지 구멍 (60) 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됨으로써, 제 2 기어 (46) 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 피니언 (50) 은, 제 2 기어 (46) 에 지지된 상태에서는, 케이스 (12) 의 고리 형상 벽부 (36) 의 내측에 수용된다. 또, 피니언 (50) 은, 지지 구멍 (60) 과 반대측에 각 (角) 구멍 (62) 을 갖고 있다.
래크 (48) 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면 사각형상의 봉형상체로 구성되어 있고, 그 상하면에 기어가 형성되어 있다. 래크 (48) 는, 상기 서술한 한 쌍의 피니언 (50) 에 끼워짐과 함께, 한 쌍의 피니언 (50) 에 각각 맞물려 있다. 또, 래크 (48) 의 길이 방향 일단부에는, 도 2,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 (12) 의 측벽 (28) 측으로 연장되는 핀 (64) 이 형성되어 있다.
핀 (64) 은, 상기 서술한 캠홈 (40) 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한 쌍의 핀 (16) 은, 도 3 내지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 (12) 내에 배치되어 있다. 또, 한 쌍의 핀 (16) 은,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량 폭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날개 (66) 를 각각 갖고 있다. 또한, 이 한 쌍의 핀 (16) 에는, 차량폭 방향 단측의 부분에 차량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단면 사각형상의 고정 돌기 (68) 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한 쌍의 핀 (16) 은,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서술한 피니언 (50) 에 형성된 각구멍 (62) 에 고정 돌기 (68) 가 끼워맞춰짐으로써, 한 쌍의 피니언 (50) 과 일체적으로 회전 운동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한 쌍의 핀 (16) 은, 피니언 (50) 에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고정된 상 태에서는, 도 3 내지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로의 날개 (66) 가 마주보도록 배치됨과 함께, 서로의 회전 운동축측의 단부 (16C) 가 소정의 간극 (70) 을 갖도록 근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핀 (16) 의 회전 운동축측의 단부 (16C) 의 간극 (70) 은,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핀 (16) 이 상하 중간 위치에 회전 운동되었을 때에, 한 쌍의 핀 (16) 간에 공조풍을 충분히 불어 넣을 수 있는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공조 장치의 취출구 구조 (10) 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공조 장치의 취출구 구조 (10) 에서는, 도시하지 않은 공조 장치의 취출구로부터 공조풍이 취출되면, 이 공조풍은 케이스 (12) 를 통하여 취출구 (20) 로부터 취출된다. 이 때,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다이얼 (42) 을 상측 (R1 측) 으로 회전 조작하면, 제 1 기어 (44) 를 통하여 제 2 기어 (46) 가 조작 다이얼 (42) 과 동일측 (R3 측) 으로 회전하고, 이 제 2 기어 (46) 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피니언 (50) 과 함께 한 쌍의 핀 (16) 이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측 (R5 측) 으로 회전 운동한다.
또, 래크 (48) 는,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피니언 (50) 에 끼워짐으로써 제 2 기어 (46) 와 동일하게 R3 측으로 회전 운동하지만, 이 때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핀 (64) 이 캠홈 (40) 의 길이 방향 단부 (40B) 로 이동함으로써,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량 전후 방향 전방측 (X1 측) 으로 이동한다. 또, 이와 같이 하여 래크 (48) 가 이동되면, 이 래크 (48) 에 맞물려진 피 니언 (50) 이 R7 측으로 회전하고, 한 쌍의 핀 (16) 이 서로 접근하는 방향 (R9 측) 으로 상대적으로 회전 운동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6 에 나타낸 조작 다이얼 (42) 을 상측 (R1) 측으로 회전 조작하여 최상 위치로 하면,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핀 (16) 은, 상측 (R5 측) 으로 회전 운동된 상태가 되어 그 자유단측의 단부 (16D) 가 케이스 (12) 의 상벽 (24) 에 맞닿게 된다. 또, 이 때에는, 한 쌍의 핀 (16) 이 서로 접근하는 방향 (R9 측) 으로 상대적으로 회전 운동되어 그 자유단측의 단부 (16D) 가 닫힌 상태가 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케이스 (12) 의 하류측에 있어서, 한 쌍의 핀 (16) 중 하측에 배치된 핀 (16B) 과, 하벽 (26) 의 하류면 (26C) 에 의해 윗 방향의 유로 (72) 가 형성되어, 취출구 (20) 로부터는 윗 방향의 지향성이 높은 공조풍 (X) 이 취출된다.
또, 이 때, 케이스 (12) 의 취출구 (20) 에는, 상하 취출 방향 변경용의 핀이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취출구 (20) 의 실제 개구 면적이 확보되어, 이 취출구 (20) 로부터는 풍량 및 풍속이 충분한 공조풍 (X) 이 얻어진다.
한편, 상기 서술한 상태에서,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다이얼 (42) 을 하측 (R2 측) 으로 회전 조작하면, 제 1 기어 (44) 를 통하여 제 2 기어 (46) 가 조작 다이얼 (42) 과 동일한 측 (R4 측) 으로 회전하고, 이 제 2 기어 (46) 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피니언 (50) 과 함께 한 쌍의 핀 (16) 이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측 (R6 측) 으로 회전 운동한다.
또, 래크 (48) 는,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피니언 (50) 에 끼 워짐으로써 제 2 기어 (46) 와 동일하게 R4 측으로 회전 운동하지만, 이 때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핀 (64) 이 캠홈 (40) 의 길이 방향 중앙부 (40A) 로 이동함으로써,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량 전후 방향 후방측 (X2 측) 으로 이동한다. 또, 이와 같이 하여 래크 (48) 가 이동되면, 래크 (48) 에 맞물려진 피니언 (50) 이 R8 측으로 회전하고, 한 쌍의 핀 (16) 이 서로 이간되는 방향 (R10 측) 으로 상대적으로 회전 운동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6 에 나타내는 조작 다이얼 (42) 을 상하 중간 위치로 하면,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핀 (16) 은, 상하 중간 위치에 위치된 상태가 됨과 함께, 서로 이간되는 방향 (R10 측) 으로 상대적으로 회전 운동된 상태가 되어 그 자유단측의 단부 (16D) 가 열린 상태가 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케이스 (12) 의 하류측에 있어서, 한 쌍의 핀 (16) 과, 케이스 (12) 의 상벽 (24) 및 하벽 (26) 에 의해 수평 방향의 유로 (74) 가 형성되고, 취출구 (20) 로부터는 지향성이 높은 수평 방향의 공조풍 (Y) 이 취출된다.
또, 이 때, 케이스 (12) 의 하류측에 있어서, 한 쌍의 핀 (16) 간에 공조풍이 통과되기 때문에, 취출구 (20) 로부터는 지향성이 보다 높은 수평 방향의 스폿풍 (Y') 이 취출된다. 또한, 케이스 (12) 의 취출구 (20) 에는 상하 취출 방향 변경용의 핀이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취출구 (20) 의 실제 개구 면적이 확보되어, 이 취출구 (20) 로부터는 풍량 및 풍속이 충분한 공조풍 (Y) 이 얻어진다. 또, 이 때에는, 한 쌍의 핀 (16) 을 경계로 한 상하 위치를 통과하는 공조풍이 취출구 (20) 에서 합류하기 때문에, 취출구 (20) 로부터는, 보다 큰 풍량 및 풍속 의 공조풍이 취출된다.
또한, 상기 서술한 상태에서,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다이얼 (42) 을 하측 (R2 측) 으로 더욱 회전 조작하면, 제 1 기어 (44) 를 통하여 제 2 기어 (46) 가 조작 다이얼 (42) 과 동일한 측 (R4 측) 으로 회전하고, 이 제 2 기어 (46) 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피니언 (50) 과 함께 한 쌍의 핀 (16) 이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측 (R6 측) 으로 회전 운동한다.
또, 래크 (48) 는,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피니언 (50) 에 끼워짐으로써 제 2 기어 (46) 와 동일하게 R4 측으로 회전 운동하지만, 이 때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핀 (64) 이 캠홈 (40) 의 길이 방향 단부 (40C) 로 이동함으로써,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량 전후 방향 전방측 (X1 측) 으로 이동한다. 또, 이와 같이 하여 래크 (48) 가 이동하면, 이 래크 (48) 에 맞물려진 피니언 (50) 이 R7 측으로 회전하고, 한 쌍의 핀 (16) 이 서로 접근하는 방향 (R9 측) 으로 상대적으로 회전 운동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작 다이얼 (42) 을 하측 (R2) 측으로 회전 조작하여 최하 위치로 하면,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핀 (16) 은, 하측 (R6 측) 으로 회전 운동된 상태가 되어 그 자유단측의 단부 (16D) 가 케이스 (12) 의 하벽 (26) 에 맞닿는다. 또, 이 때에는, 한 쌍의 핀 (16) 이 서로 접근하는 방향 (R9 측) 으로 상대적으로 회전 운동되어 그 자유단측의 단부 (16D) 가 닫힌 상태가 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케이스 (12) 의 하류측에 있어서, 한 쌍의 핀 (16) 과 상벽 (24) 에 의해 아래 방향의 유로 (76) 가 형성되어, 취출구 (20) 로부터는 아래 방향의 지향성이 높은 공조풍 (Z) 이 취출된다.
또, 이 때, 케이스 (12) 의 취출구 (20) 에는 상하 취출 방향 변경용의 핀이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취출구 (20) 의 실제 개구 면적이 확보되어, 이 취출구 (20) 로부터는 풍량 및 풍속이 충분한 공조풍 (Z) 이 취출된다.
여기에서, 비교예와 비교하면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공조 장치의 취출구 구조 (10) 의 작용을 보다 명확화한다. 도 22 에는, 비교예에 관련된 공조 장치의 취출구 구조 (300) 를 나타내는 단면도가 나타나 있다. 공조 장치의 취출구 구조 (300) 에서는, 케이스 (312) 의 취출구 (320) 에 상하 취출 방향 변경용의 핀 (316) 이 복수 형성되어 있다.
이 비교예에 관련된 공조 장치의 취출구 구조 (300) 와 같이, 케이스 (312) 의 취출구 (320) 에 상하 취출 방향 변경용의 핀 (316) 을 복수 형성한 경우, 복수의 핀 (316) 이 취출구 (320) 에 위치하기 때문에, 이 핀 (316) 에 의해 취출구 (320) 의 실제 개구 면적이 감소한다. 또, 핀 (316) 을 상상선 (2 점 쇄선) 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최대한 기울여 공조풍의 취출 방향을 변경하는 경우, 복수의 핀 (316) 중 케이스 (312) 의 벽면 (326) 에 가깝게 배치된 핀 (316A) 에 의해 취출구 (320) 에 공조풍이 체류하는 영역 (A) 이 형성되어, 취출구 (320) 의 실제 개구 면적이 감소한다. 따라서, 취출구 (320) 의 실제 개구 면적이 감소함으로써, 공조풍의 풍량, 풍속이 불충분해진다.
또, 공조풍의 풍량, 풍속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취출구 (320) 를 확대할 필요가 있지만, 취출구 (320) 를 확대한 경우에는, 취출구 (320) 를 차량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얇은 구조로 하기 곤란해진다.
이에 대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공조 장치의 취출구 구조 (10) 에 의하면,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케이스 (12) 내의 흐름 방향 중간부 (13) 에 형성된 한 쌍의 핀 (16) 이 그 자세를 변경함으로써 공조풍의 취출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케이스 (12) 의 취출구 (20) 에 취출 방향 변경용의 핀을 복수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차실내로의 취출구 (20) 의 실제 개구 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이로써, 차실내로의 취출구 (20) 를 종래보다 얇은 구조로 할 수 있게 된다. 또, 차실내로의 취출구 (20) 를 종래보다 얇은 구조로 함으로써, 예를 들어, 인스트루먼트 패널 (82) 의 설계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공조 장치의 취출구 구조 (10) 에 의하면,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한 쌍의 핀 (16) 으로 공조풍의 취출 방향을 변경할 수 있어, 핀 (16) 의 수가 적기 때문에, 케이스 (12) 내의 유로에 있어서의 공조풍의 흐름을 저해하지 않고, 케이스 (12) 내의 유로의 유효 단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차실내로의 취출구 (20) 의 실제 개구 면적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이로써, 공조풍의 풍량, 풍속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게다가, 핀 (16) 의 수를 줄임으로써 핀 (16) 의 1 장 당의 크기를 확대할 수 있다. 이로써, 지향성도 우수한 공조풍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공조 장치의 취출구 구조 (10) 에 의하면, 케이스 (12) 의 흐름 방향 중간부 (13) 가 취출구 (20) 보다 그 유로 단면적이 크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케이스 내의 유로의 유효 단면적을 더욱 확보할 수 있다. 게다가, 이 취출구 (20) 보다 유로 단면적이 큰 케이스 (12) 의 흐름 방향 중간부 (13) 에 한 쌍의 핀 (16) 을 배치함으로써, 핀 (16) 의 1 장 당의 크기 및 핀 (16) 의 자세 변화량을 확대할 수 있다. 이로써, 공조풍의 지향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공조 장치의 취출구 구조 (10) 에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케이스 (12) 의 취출구 (20) 에 상하 취출 방향 변경용의 핀을 복수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이로써, 취출구 (20) 에서 핀에 공조풍이 간섭하는 것에 의한 소음의 발생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공조 장치의 취출구 구조 (10) 에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기어나 래크 및 피니언을 이용한 간단한 기구에 의해 한 쌍의 핀 (16) 을 협동시켜 공조풍의 취출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공조 장치의 취출구 구조 (10) 에 의해 공조풍의 취출 방향이 상하로 변경되도록 구성되었으나, 공조 장치의 취출구 구조 (10) 에 의해 공조풍의 취출 방향이 좌우로 변경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제 2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9 내지 도 15 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공조 장치의 취출구 구조 (110) 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 내지 도 15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 는, 공조 장치의 취출구 구조 (110) 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 은, 상하 풍향 변경 기구 (114) 및 한 쌍의 핀 (116) 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11 내지 도 13 은, 한 쌍의 핀 (116) 의 동작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9 의 E-E 선 단면도), 도 14, 도 15 는, 상하 풍향 변경 기구 (114) 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10 의 F-F 선 단면도) 이다. 또, 각 도면에 있어서, 화살표 Fr 은 차량 전후 방향 전방측, 화살표 Up 은 차량 상하 방향 상측, 화살표 Out 은 차량폭 방향 외측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공조 장치의 취출구 구조 (110) 는, 상기 서술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공조 장치의 취출구 구조 (10) 에 대해, 다음과 같이 변경을 부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서술한 제 1 실시형태와 상이한 점에 대하여 설명하고, 상기 서술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공조 장치의 취출구 구조 (110) 에 있어서, 상하 풍향 변경 기구 (114) 는, 후술하는 한 쌍의 핀 (116) 의 각도를 변경하기 위한 것으로,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다이얼 (142) 과, 제 1 레버 (144) 와, 제 2 레버 (146) 를 가지며 구성되어 있다.
조작 다이얼 (142) 은, 그 중앙부에 판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걸림 구멍 (148) 을 가지며 구성되어 있다. 이 조작 다이얼 (142) 은,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서술한 케이스 (12) 의 측벽 (28) 에 돌출 형성된 걸림 돌기 (130) 에 걸림 구멍 (148) 이 걸림으로써, 케이스 (12) 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 조작 다이얼 (142) 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케이스 (12) 의 측벽 (28) 에 고정된 상태에서는, 다이얼 본체부 (150) 의 일부가 인스트루먼트 패널 (82) 의 구멍부 (84) 로부터 차실내로 노출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 조작 다이얼 (142) 에는, 다이얼 본체부 (150) 와 일체적으로 아암 연결부 (152)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아암 연결부 (152) 에는, 제 1 캠홈 (154) 및 제 2 캠홈 (156) 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캠홈 (154) 은, 다이얼 본체부 (150) 의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클리어런스 홈 (154A) 과, 다이얼 본체부 (150) 의 직경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동홈 (154B) 으로 구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캠홈 (156) 은, 다이얼 본체부 (150) 의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클리어런스 홈 (156A) 과, 다이얼 본체부 (150) 의 직경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동홈 (156B) 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레버 (144) 는, 그 길이 방향 일단측에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핀 (158) 을 구비하고, 그 길이 방향 타방측에 판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각구멍 (160) 을 가지며 구성되어 있다. 제 1 레버 (144) 의 핀 (158) 은,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서술한 조작 다이얼 (142) 에 형성된 제 1 캠홈 (154) 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제 2 레버 (146) 는, 그 길이 방향 일단측에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핀 (162) 을 구비하고, 그 길이 방향 타방측으로 동일하게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연결바 (164) 를 가지며 구성되어 있다. 제 2 레버 (146) 의 핀 (162) 은, 도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서술한 조작 다이얼 (142) 에 형성된 제 2 캠홈 (156) 에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삽입되어 있다.
한 쌍의 핀 (116) 은, 도 11 내지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 (12) 내에 배치되어 있다. 또, 한 쌍의 핀 (116) 은, 차량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날개 (166) 를 각각 가지며 구성되어 있다. 또, 한 쌍의 핀 (116) 중 상측의 핀 (116A) 에는,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량 전후 방향 전방측에서 차량폭 방향 단측의 부분에 연결부 (167)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연결부 (167) 에는, 차량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단면 사각형상의 고정 돌기 (168) 와, 차량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 구멍 (169) 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한 쌍의 핀 (116) 중 하측의 핀 (116B) 에는, 차량 전후 방향 전방측의 부분에 연결부 (170)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연결부 (170) 에는, 차량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 구멍 (171) 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한 쌍의 핀 (116) 중 상측의 핀 (116A) 은, 상기 서술한 제 1 레버 (144) 에 형성된 각구멍 (160) 에 고정 돌기 (168) 가 끼워맞춰짐으로써, 제 1 레버 (144) 와 일체적으로 회전 운동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하측의 핀 (116B) 은, 제 2 레버 (146) 에 형성된 연결바 (164) 가 제 1 레버 (144) 의 각구멍 (160) 및 상측의 핀 (116A) 의 지지 구멍 (169) 에 헐겁게 끼워진 후에 고정 구멍 (171) 에 끼워넣어짐으로써, 제 2 레버 (146) 와 일체적으로 회전 운동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한 쌍의 핀 (116) 은, 제 1 레버 (144) 및 제 2 레버 (146) 에 각각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고정된 상태에서는, 서로의 날개 (166) 가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공조 장치의 취출구 구조 (110) 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공조 장치의 취출구 구조 (110) 에서는, 도시하지 않은 공조 장치의 취출구로부터 공조풍이 취출되면, 공조풍은 케이스 (12) 를 통하여 취출구 (20) 로부터 취출된다. 이 때,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다이얼 (142) 을 하측 (R11 측) 으로 회전 조작하면, 조작 다이얼 (142) 에 형성된 제 1 캠홈 (154) 중 가동홈 (154B) 을 핀 (158) 이 이동함으로써, 제 1 레버 (144) 가 R13 측으로 회전 운동하고, 제 1 레버 (144) 에 일체적으로 고정된 상측의 핀 (116A) 이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측 (R15 측) 으로 회전 운동한다.
또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조작 다이얼 (142) 을 하측 (R11 측) 으로 회전 조작하여도, 도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다이얼 (142) 에 형성된 제 2 캠홈 (156) 중 클리어런스 홈 (156A) 을 핀 (162) 이 이동하는 것만으로, 제 2 레버 (146) 는 거의 수평인 상하 중간 위치에 유지된다. 또, 제 2 레버 (146) 에 일체적으로 고정된 하측의 핀 (116B) 도,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류측을 향함에 따라 차량 상하 방향 상측을 향하는 경사진 상태로 유지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4, 도 15 에 나타내는 조작 다이얼 (142) 을 하측 (R11 측) 으로 회전 조작하여 최하 위치로 하면,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핀 (116) 중, 상측의 핀 (116A) 은, 상측 (R15 측) 으로 회전 운동된 상태가 되어 그 자유단측의 단부 (116D) 가 케이스 (12) 의 상벽 (24) 에 맞닿은 상태가 된다. 또, 하측의 핀 (116B) 은, 제 2 레버 (146) 와 함께 회전 운동되지 않고, 하류측을 향함에 따라 차량 상하 방향 상측을 향하는 경사진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케이스 (12) 의 하류측에 있어서, 한 쌍의 핀 (116) 중 하측에 배치된 핀 (116B) 과, 하벽 (26) 의 하류면 (26C) 에 의해 윗 방향의 유로 (172) 가 형성되어, 취출구 (20) 로부터는 윗 방향의 지향성이 높은 공조풍 (X) 이 취출된다.
또, 이 때, 케이스 (12) 의 취출구 (20) 에는, 상하 취출 방향 변경용의 핀이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취출구 (20) 의 실제 개구 면적이 확보되어, 이 취출구 (20) 로부터는 풍량 및 풍속이 충분한 공조풍 (X) 이 취출된다.
한편, 상기 서술한 상태에서, 도 14 에 나타내는 조작 다이얼 (142) 을 상측 (R12 측) 으로 회전 조작하면, 조작 다이얼 (142) 에 형성된 제 1 캠홈 (154) 중 가동홈 (154B) 을 핀 (158) 이 이동함으로써, 제 1 레버 (144) 가 R14 측으로 회전 운동하고, 제 1 레버 (144) 에 일체적으로 고정된 상측의 핀 (116A) 이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측 (R16 측) 으로 회전 운동한다.
또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조작 다이얼 (142) 을 상측 (R12 측) 으로 회전 조작하여도, 도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다이얼 (142) 에 형성된 제 2 캠홈 (156) 중 클리어런스 홈 (156A) 을 핀 (162) 이 이동하는 것만으로, 제 2 레버 (146) 는 거의 수평인 상하 중간 위치에 유지된다. 또, 제 2 레버 (146) 에 일체적으로 고정된 하측의 핀 (116B) 도,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류측을 향함에 따라 차량 상하 방향 상측을 향하는 경사진 상태로 유지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작 다이얼 (142) 을 상하 중간 위치로 하면,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핀 (116) 은, 상하 중간 위치에 위치된 상 태가 됨과 함께, 서로의 자유단측의 단부 (116D) 가 닫힌 상태가 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케이스 (12) 의 하류측에 있어서, 한 쌍의 핀 (116) 과, 케이스 (12) 의 상벽 (24) 및 하벽 (26) 에 의해 수평 방향의 유로 (174) 가 형성되어, 취출구 (20) 로부터는 수평 방향의 지향성이 높은 공조풍 (Y) 이 취출된다.
또, 이 때, 케이스 (12) 의 취출구 (20) 에는, 상하 취출 방향 변경용의 핀이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취출구 (20) 의 실제 개구 면적이 확보되어, 이 취출구 (20) 로부터는 풍량 및 풍속이 충분한 공조풍 (Y) 이 얻어진다. 또, 이 때에는, 한 쌍의 핀 (116) 을 경계로 한 상하 위치를 통과하는 공조풍이 취출구 (20) 에서 합류하기 때문에, 취출구 (20) 로부터는, 보다 큰 풍량 및 풍속의 공조풍이 얻어진다.
또한, 상기 서술한 상태에서, 도 15 에 나타내는 조작 다이얼 (142) 을 상측 (R12 측) 으로 더욱 회전 조작하면, 조작 다이얼 (142) 에 형성된 제 2 캠홈 (156) 중 가동홈 (156B) 을 핀 (162) 이 이동함으로써, 제 2 레버 (146) 가 R18 측으로 회전 운동하고, 제 2 레버 (146) 에 일체적으로 고정된 하측의 핀 (116B) 이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측 (R16 측) 으로 회전 운동한다.
또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조작 다이얼 (142) 을 상측 (R12 측) 으로 회전 조작하여도,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다이얼 (142) 에 형성된 제 1 캠홈 (154) 중 클리어런스 홈 (154A) 을 핀 (158) 이 이동하는 것만으로, 제 1 레버 (144) 는 거의 수평인 상하 중간 위치에 유지된다. 또, 제 1 레버 (144) 에 일체적으로 고정된 상측의 핀 (116A) 도,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하 방향 중간 위치에 유지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작 다이얼 (142) 을 상측 (R12 측) 으로 회전 조작하여 최상 위치로 하면,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핀 (116) 중, 하측의 핀 (116B) 은, 하측 (R16 측) 으로 회전 운동된 상태가 되어 그 자유단측의 단부 (116D) 가 케이스 (12) 의 하벽 (26) 에 맞닿은 상태가 된다. 또, 상측의 핀 (116A) 은, 제 1 레버 (144) 와 함께 회전 운동되지 않고, 상하 방향 중간 위치에 유지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케이스 (12) 의 하류측에 있어서, 상측에 배치된 핀 (116A) 과, 상벽 (24) 에 의해 아래 방향의 유로 (176) 가 형성되어, 취출구 (20) 로부터는 아래 방향의 지향성이 높은 공조풍 (Z) 이 취출된다.
또, 이 때, 케이스 (12) 의 취출구 (20) 에는, 상하 취출 방향 변경용의 핀이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취출구 (20) 의 실제 개구 면적이 확보되어, 이 취출구 (20) 로부터는 풍량 및 풍속이 충분한 공조풍 (Z) 이 취출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공조 장치의 취출구 구조 (10) 에 의하면,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케이스 (12) 내의 흐름 방향 중간부 (13) 에 형성된 한 쌍의 핀 (116) 이 그 자세를 변경함으로써 공조풍의 취출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케이스 (12) 의 취출구 (20) 에 취출 방향 변경용의 핀을 복수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차실내로의 취출구 (20) 의 실제 개구 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이로써, 차실내로의 취출구 (20) 를 종래보다 얇은 구조로 할 수 있게 된다.
또, 차실내로의 취출구 (20) 를 종래보다 얇은 구조로 함으로써, 예를 들어, 인스트루먼트 패널 (82) 의 설계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공조 장치의 취출구 구조 (10) 에 의하면,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한 쌍의 핀 (116) 으로 공조풍의 취출 방향을 변경할 수 있어, 핀 (116) 의 수가 적기 때문에, 케이스 (12) 내의 유로에 있어서의 공조풍의 흐름을 저해하지 않고, 케이스 (12) 내의 유로의 유효 단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차실내로의 취출구 (20) 의 실제 개구 면적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이로써, 공조풍의 풍량, 풍속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게다가, 핀 (116) 의 수를 줄임으로써 핀 (116) 의 1 장 당의 크기를 확대할 수 있다. 이로써, 지향성도 우수한 공조풍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또, 케이스 (12) 의 흐름 방향 중간부 (13) 가 취출구 (20) 보다 그 유로 단면적이 크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케이스 내의 유로의 유효 단면적을 보다 확보할 수 있다. 게다가, 이 취출구 (20) 보다 유로 단면적이 큰 케이스 (12) 의 흐름 방향 중간부 (13) 에 한 쌍의 핀 (116) 을 배치함으로써, 핀 (116) 의 1 장 당의 크기 및 핀 (116) 의 자세 변화량을 확대할 수 있다. 이로써, 공조풍의 지향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케이스 (12) 의 취출구 (20) 에 상하 취출 방향 변경용의 핀을 복수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이로써, 취출구에서 핀에 공조풍이 간섭하는 것에 의한 소음의 발생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공조 장치의 취출구 구조 (110) 에서는, 한 쌍의 레버나, 이 한 쌍의 레버를 회전 운동시키기 위한 핀 및 홈을 이용한 간단한 기구에 의해, 한 쌍의 핀 (116) 을 협동시켜 공조풍의 취출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공조 장치의 취출구 구조 (110) 에 의해 공조풍의 취출 방향이 상하로 변경되도록 구성되었으나, 공조 장치의 취출구 구조 (110) 에 의해 공조풍의 취출 방향이 좌우로 변경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제 3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16 및 도 21 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공조 장치의 취출구 구조 (210) 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6 내지 도 21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16 은, 공조 장치의 취출구 구조 (210) 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7 은, 상하 풍향 변경 기구 (214) 및 한 쌍의 핀 (216) 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18 내지 도 20 은, 한 쌍의 핀 (216) 의 동작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16 의 G-G 선 단면도), 도 21 은, 도 16 의 H-H 선 단면도이다. 또한, 각 도면에 있어서, 화살표 Fr 은 차량 전후 방향 전방측, 화살표 Up 은 차량 상하 방향 상측, 화살표 Out 은 차량폭 방향 외측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공조 장치의 취출구 구조 (210) 는, 상기 서술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공조 장치의 취출구 구조 (10) 에 대해, 다음과 같이 변경을 부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서술한 제 1 실시형태와 상이한 점에 대하여 설명하고, 상기 서술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공조 장치의 취출구 구조 (210) 에 있어서, 상하 풍향 변경 기구 (214) 는, 후술하는 한 쌍의 핀 (216) 의 각도를 변경하 기 위한 것으로, 도 1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다이얼 (242) 과, 제 1 기어 (243) 와, 제 2 기어 (244) 와, 제 3 기어 (245) 를 가지며 구성되어 있다.
조작 다이얼 (242) 은, 그 중앙부에 판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걸림 구멍 (246) 을 가지며 구성되어 있다. 조작 다이얼 (242) 은, 도 16, 도 1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 (12) 의 측벽 (28) 에 돌출 형성된 걸림 돌기 (230) 에 걸림 구멍 (246) 이 걸림으로써, 케이스 (12) 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 조작 다이얼 (242) 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케이스 (12) 의 측벽 (28) 에 고정된 상태에서는, 그 일부가 인스트루먼트 패널 (82) 의 구멍부 (84) 로부터 차실내로 노출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조작 다이얼 (242) 은, 그 외주면에 둘레 방향을 따라 기어가 형성된 톱니바퀴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기어 (243) 는, 그 중앙부에 판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걸림 구멍 (247) 을 가지며 구성되어 있다. 제 1 기어 (243) 는, 도 16, 도 1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 (12) 의 측벽 (28) 에 돌출 형성된 걸림 돌기 (232) 에 걸림 구멍 (247) 이 걸림으로써, 케이스 (12) 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 제 1 기어 (243) 는, 상기 서술한 조작 다이얼 (242) 에 맞물려 있다.
제 2 기어 (244), 제 3 기어 (245) 는, 도 1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중앙부에 판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끼워맞춤 구멍 (248, 250) 을 각각 가지며 구성되어 있다. 한편, 한 쌍의 핀 (216) 은, 회전 운동축측의 단부 (216C) 에 각각 차량폭 방향 외측을 향하여 핀 (268, 270) 이 돌출 형성되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핀 (268, 270) 은, 케이스 (12) 의 측벽 (28) 에 형성된 지지 구멍 (234, 236) 에 헐겁게 끼워진 후에 제 2 기어 (244) 및 제 3 기어 (245) 의 각 끼워맞춤 구멍 (248, 250) 에 끼워맞춰져 있다.
그리고, 이로써, 한 쌍의 핀 (216) 과 제 2 기어 (244) 및 제 3 기어 (245) 는, 일체적으로 고정됨과 함께 케이스 (12) 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 한 쌍의 핀 (216) 은, 케이스 (12) 에 각각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고정된 상태에서는, 서로의 날개 (266) 가 공조풍의 흐름 방향의 상류측과 하류측에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또, 한 쌍의 핀 (216) 중 하류측에 배치된 핀 (216A) 에 일체적으로 고정된 제 2 기어 (244) 는, 제 1 기어 (243) 에 맞물려 있고, 이 한 쌍의 핀 (216) 중 상류측에 배치된 핀 (216B) 에 일체적으로 고정된 제 3 기어 (245) 는, 제 2 기어 (244) 에 맞물려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공조 장치의 취출구 구조 (210) 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공조 장치의 취출구 구조 (210) 에서는, 도시하지 않은 공조 장치의 취출구로부터 공조풍이 취출되면, 이 공조풍은 케이스 (12) 를 통하여 취출구 (20) 로부터 취출된다. 이 때, 도 2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다이얼 (242) 을 상측 (R21 측) 으로 회전 조작하면, 제 1 기어 (243) 를 통하여 제 2 기어 (244) 가 조작 다이얼 (242) 과 동일한 측 (R23 측) 으로 회전하고, 이 제 2 기어 (244) 를 통하여 제 3 기어 (245) 가 제 2 기어 (244) 와 반대측 (R25 측) 으로 회전한다. 또, 이로써, 이 제 2 기어 (244) 및 제 3 기어 (245) 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한 쌍의 핀 (216) 이 도 1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측 (R27 측) 으로 회전 운동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작 다이얼 (242) 을 상측 (R21) 으로 회전 조작하여 최상 위치로 하면, 도 1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핀 (216) 은, 상측 (R27 측) 으로 회전 운동된 상태가 되어 그 자유단측의 단부 (216D) 가 케이스 (12) 의 상벽 (24) 에 맞닿은 상태가 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케이스 (12) 의 하류측에 있어서, 한 쌍의 핀 (216) 과 하벽 (26) 에 의해 윗 방향의 유로 (272) 가 형성되어, 취출구 (20) 로부터는 윗 방향의 지향성이 높은 공조풍 (X) 이 취출된다.
또, 이 때, 케이스 (12) 의 취출구 (20) 에는, 상하 취출 방향 변경용의 핀이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취출구 (20) 의 실제 개구 면적이 확보되어, 이 취출구 (20) 로부터는 풍량 및 풍속이 충분한 공조풍 (X) 이 취출된다.
한편, 상기 서술한 상태에서, 도 2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다이얼 (242) 을 하측 (R22 측) 으로 회전 조작하면, 제 1 기어 (243) 를 통하여 제 2 기어 (244) 가 조작 다이얼 (242) 과 동일한 측 (R24 측) 으로 회전하고, 이 제 2 기어 (244) 를 통하여 제 3 기어 (245) 가 제 2 기어 (244) 와 반대측 (R26 측) 으로 회전한다. 또, 이로써, 이 제 2 기어 (244) 및 제 3 기어 (245) 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한 쌍의 핀 (216) 이 도 1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측 (R28 측) 으로 회전 운동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작 다이얼 (242) 을 상하 중간 위치로 하면, 도 1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핀 (216) 은, 상하 중간 위치에 위치된 상태가 되어 그 자유단측의 단부 (216D) 가 케이스 (12) 의 상벽 (24) 및 하벽 (26) 의 중간에 위치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케이스 (12) 의 하류측에 있어서, 한 쌍의 핀 (216) 과, 케이스 (12) 의 상벽 (24) 및 하벽 (26) 에 의해 수평 방향의 유로 (274) 가 형성되어, 취출구 (20) 로부터는 수평 방향의 지향성이 높은 공조풍 (Y) 이 취출된다.
또, 이 때, 케이스 (12) 의 취출구 (20) 에는, 상하 취출 방향 변경용의 핀이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취출구 (20) 의 실제 개구 면적이 확보되어, 이 취출구 (20) 로부터는 풍량 및 풍속이 충분한 공조풍 (Y) 이 얻어진다. 또, 이 때에는, 한 쌍의 핀 (216) 을 경계로 한 상하 위치를 통과하는 공조풍이 취출구 (20) 에서 합류하기 때문에, 취출구 (20) 로부터는, 보다 큰 풍량 및 풍속의 공조풍이 취출된다.
또한, 상기 서술한 상태에서, 도 2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다이얼 (242) 을 하측 (R22 측) 으로 더욱 회전 조작하면, 제 1 기어 (243) 를 통하여 제 2 기어 (244) 가 조작 다이얼 (242) 과 동일한 측 (R24 측) 으로 회전하고, 이 제 2 기어 (244) 를 통하여 제 3 기어 (245) 가 제 2 기어 (244) 와 반대측 (R26 측) 으로 회전한다. 또, 이로써, 이 제 2 기어 (244) 및 제 3 기어 (245) 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한 쌍의 핀 (216) 이 도 2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측 (R28 측) 으로 회전 운동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작 다이얼 (242) 을 하측 (R22 측) 으로 회전 조작하여 최하 위치로 하면, 도 2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핀 (216) 은, 하측 (R28 측) 으로 회전 운동된 상태가 되어 거의 수평 상태가 됨과 함께 그 자유단측의 단부 (216D) 가 케이스 (12) 의 하벽 (26) 의 상류측의 단부 (26D) 와 하류측의 단부 (26E) 에 각각 맞닿은 상태가 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케이스 (12) 의 하류측에 있어서, 한 쌍의 핀 (216) 과 상벽 (24) 에 의해 아래 방향의 유로 (276) 가 형성되어, 취출구 (20) 로부터는 아래 방향의 지향성이 높은 공조풍 (Z) 이 취출된다.
또, 이 때, 케이스 (12) 의 취출구 (20) 에는, 상하 취출 방향 변경용의 핀이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취출구 (20) 의 실제 개구 면적이 확보되어, 이 취출구 (20) 로부터는 풍량 및 풍속이 충분한 공조풍 (Z) 이 취출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공조 장치의 취출구 구조 (210) 에 의하면,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케이스 (12) 내의 흐름 방향 중간부 (13) 에 형성된 한 쌍의 핀 (216) 이 그 자세를 변경함으로써 공조풍의 취출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케이스 (12) 의 취출구 (20) 에 취출 방향 변경용의 핀을 복수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차실내로의 취출구 (20) 의 실제 개구 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이로써, 차실내로의 취출구 (20) 를 종래보다 얇은 구조로 할 수 있게 된다. 또, 차실내로의 취출구 (20) 를 종래보다 얇은 구조로 함으로써, 예를 들어, 인스트루먼트 패널 (82) 의 설계의 자유도를 향시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공조 장치의 취출구 구조 (210) 에 의하면,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한 쌍의 핀 (216) 으로 공조풍의 취출 방향을 변경할 수 있 어, 핀 (216) 의 수가 적기 때문에, 케이스 (12) 내의 유로에 있어서의 공조풍의 흐름을 저해하지 않고, 케이스 (12) 내의 유로의 유효 단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차실내로의 취출구 (20) 의 실제 개구 면적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이로써, 공조풍의 풍량, 풍속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게다가, 핀 (216) 의 수를 줄임으로써 핀 (216) 의 1 장 당의 크기를 확대할 수 있다. 이로써, 지향성도 우수한 공조풍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공조 장치의 취출구 구조 (210) 에 의하면, 케이스 (12) 의 흐름 방향 중간부 (13) 가 취출구 (20) 보다 그 유로 단면적이 크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케이스 내의 유로의 유효 단면적을 더욱 확보할 수 있다. 게다가, 이 취출구 (20) 보다 유로 단면적이 큰 케이스 (12) 의 흐름 방향 중간부 (13) 에 한 쌍의 핀 (216) 을 배치함으로써, 핀 (216) 의 1 장 당의 크기 및 핀 (216) 의 자세 변화량을 확대할 수 있다. 이로써, 공조풍의 지향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공조 장치의 취출구 구조 (210) 에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케이스 (12) 의 취출구 (20) 에 상하 취출 방향 변경용의 핀을 복수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이로써, 취출구에서 핀에 공조풍이 간섭하는 것에 의한 소음의 발생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공조 장치의 취출구 구조 (210) 에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기어를 사용한 간단한 기구에 의해, 한 쌍의 핀 (216) 을 협동시켜 공조풍의 취출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공조 장치의 취출구 구조 (210) 에 의해 공조풍의 취출 방향이 상하로 변경되도록 구성되었으나, 공조 장치의 취출구 구조 (210) 에 의해 공조풍의 취출 방향이 좌우로 변경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Claims (9)

  1. 하류단이 차실내에 공조풍을 취출 가능한 취출구로서 개구됨과 함께, 상벽이 하류측을 향함에 따라서 차량 상하 방향 하측을 향하도록 경사져 형성되고, 또한 하벽의 상류면이 하류측을 향함에 따라서 차량 상하 방향 하측을 향하도록 경사져 형성되며, 상기 상류면에 연속하는 중간면이 차량 전후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도록 수평으로 형성되고, 상기 중간면에서부터 상기 취출구로 연속하는 하류면이 하류측을 향함에 따라서 차량 상하 방향 상측을 향하도록 경사져 형성된 유로 부재와,
    상기 유로 부재 내의 흐름 방향 중간부에 차량 상항 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됨과 함께, 상류단측이 상기 유로 부재에 대해 회전 운동 가능하게 지지된 한 쌍의 핀과,
    조작부의 조작에 연동하여 상기 한 쌍의 핀을, 상기 하류면과에 의해서 상향의 유로가 형성되도록 상측으로 회전 운동됨과 함께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회전 운동된 상태와, 상기 상벽 및 상기 하벽에 의해서 수평향의 유로가 형성되도록 상하 중간 위치에 위치됨과 함께 서로 이간되는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회전 운동된 상태와, 상기 상벽과에 의해서 하향의 유로가 형성되도록 하측으로 회전 운동됨과 함께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회전 운동된 상태로 변경하는 취출 방향 변경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장치의 취출구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핀은, 상류단측이 차량 상항 방향으로 이간되어 있음과 함께, 상하 중간 위치에 위치되었을 때, 서로간에 공조풍이 통과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장치의 취출구 구조.
  3. 하류단이 차실내에 공조풍을 취출 가능한 취출구로서 개구됨과 함께, 상벽이 하류측을 향함에 따라서 차량 상하 방향 하측을 향하도록 경사져 형성되고, 또한 하벽의 상류면이 하류측을 향함에 따라서 차량 상하 방향 하측을 향하도록 경사져 형성되며, 상기 상류면에 연속하는 중간면이 차량 전후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도록 수평으로 형성되고, 상기 중간면에서부터 상기 취출구로 연속하는 하류면이 하류측을 향함에 따라서 차량 상하 방향 상측을 향하도록 경사져 형성된 유로 부재와,
    상기 유로 부재 내의 흐름 방향 중간부에 차량 상항 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됨과 함께, 상류단측이 상기 유로 부재에 대해 회전 운동 가능하게 지지된 한 쌍의 핀과,
    조작부의 조작에 연동하여 상기 한 쌍의 핀을, 상기 하류면과에 의해서 상향의 유로가 형성되도록 상측으로 회전 운동됨과 함께 서로 이간되는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회전 운동된 상태와, 상기 상벽 및 상기 하벽에 의해서 수평향의 유로가 형성되도록 상하 중간 위치에 위치됨과 함께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회전 운동된 상태와, 상기 상벽과에 의해서 하향의 유로가 형성되도록 하측으로 회전 운동됨과 함께 서로 이간되는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회전 운동된 상태로 변경하는 취출 방향 변경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장치의 취출구 구조.
  4. 하류단이 차실내에 공조풍을 취출 가능한 취출구로서 개구됨과 함께, 상벽이 하류측을 향함에 따라서 차량 상하 방향 하측을 향하도록 경사져 형성되고, 또한 하벽의 상류면이 하류측을 향함에 따라서 차량 상하 방향 하측을 향하도록 경사져 형성되며, 상기 상류면에 연속하는 중간면이 차량 전후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도록 수평으로 형성되고, 상기 중간면에서부터 상기 취출구로 연속하는 하류면이 하류측을 향함에 따라서 차량 상하 방향 상측을 향하도록 경사져 형성된 유로 부재와,
    상기 유로 부재 내의 흐름 방향 중간부에 차량 전후 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됨과 함께, 서로의 측이 상기 유로 부재에 대해 회전 운동 가능하게 지지된 한 쌍의 핀과,
    조작부의 조작에 연동하여 상기 한 쌍의 핀을, 상기 하벽과에 의해서 상향의 유로가 형성되도록 상측으로 회전 운동된 상태와, 상기 상벽 및 상기 하벽에 의해서 수평향의 유로가 형성되도록 상하 중간 위치에 위치된 상태와, 상기 상벽과에 의해서 하향의 유로가 형성되도록 하측으로 회전 운동된 상태로 변경하는 취출 방향 변경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장치의 취출구 구조.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097000964A 2006-06-20 2007-06-18 공조 장치의 취출구 구조 KR1010455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170559A JP4670749B2 (ja) 2006-06-20 2006-06-20 空調装置の吹出口構造
JPJP-P-2006-170559 2006-06-20
PCT/JP2007/062252 WO2007148658A1 (ja) 2006-06-20 2007-06-18 空調装置の吹出口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9013A KR20090019013A (ko) 2009-02-24
KR101045506B1 true KR101045506B1 (ko) 2011-07-01

Family

ID=38833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0964A KR101045506B1 (ko) 2006-06-20 2007-06-18 공조 장치의 취출구 구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109813B2 (ko)
EP (1) EP2039544B1 (ko)
JP (1) JP4670749B2 (ko)
KR (1) KR101045506B1 (ko)
CN (1) CN101472751B (ko)
DE (1) DE602007012547D1 (ko)
WO (1) WO20071486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13229B2 (en) * 2008-07-24 2012-02-14 Honda Motor Co., Ltd. Gear operated shut valve for a ventilation system
DE102010035406B8 (de) * 2010-08-25 2012-12-20 Truma Gerätetechnik GmbH & Co. KG Ausströmdüse und Luftverteilungsvorrichtung
JP2013028228A (ja) * 2011-07-27 2013-02-07 Toyoda Gosei Co Ltd 空調用レジスタ
KR20130038564A (ko) * 2011-10-10 2013-04-1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의 에어벤트 장치
CN103085634A (zh) * 2011-10-27 2013-05-08 现代摩比斯株式会社 车用通风孔
JP6086669B2 (ja) * 2012-08-01 2017-03-01 豊和化成株式会社 レジスタ
JP2014210564A (ja) * 2013-04-05 2014-11-13 株式会社デンソー 空気吹出装置
KR102040800B1 (ko) * 2013-04-11 2019-12-05 삼성전자주식회사 블레이드 체결구조 및 이를 갖는 공기조화기
AT514377B1 (de) * 2013-05-16 2018-06-15 Siemens Ag Oesterreich Luftauslaß
DE202013012285U1 (de) * 2013-05-29 2016-01-18 Faurecia Innenraum Systeme Gmbh Luftausströmer
DE102013210053B3 (de) 2013-05-29 2014-09-11 Faurecia Innenraum Systeme Gmbh Luftausströmer
DE102013111175B3 (de) * 2013-10-09 2014-09-04 Dr. Schneider Kunststoffwerke Gmbh Luftausströmer
US10036566B2 (en) 2013-10-11 2018-07-31 P-Tec Products, Inc. Vent cover
US9279485B2 (en) * 2014-02-13 2016-03-08 Delphi Technologies, Inc. Combination linear and rotary actuator
US10099536B2 (en) * 2014-12-02 2018-10-1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Air vent for a vehicle
US10189334B2 (en) * 2014-12-11 2019-01-29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Register
DE102015109068A1 (de) * 2015-06-09 2016-12-15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Personenanströmer für ein Fahrzeug
JP6518627B2 (ja) * 2015-06-29 2019-05-22 ダイキョーニシカワ株式会社 車両用風向調整装置
DE102016119547A1 (de) * 2016-03-21 2017-09-21 Dr. Schneider Kunststoffwerke Gmbh Luftausströmer
DE102016107227A1 (de) * 2016-04-19 2017-10-19 Dr. Schneider Kunststoffwerke Gmbh Luftausströmer mit einer Einrichtung zum Steuern eines Luftstroms
JP6700592B2 (ja) * 2016-05-17 2020-05-27 豊田合成株式会社 空調用レジスタ
US10752082B1 (en) * 2016-05-26 2020-08-25 Apple Inc. Climate control system with slit-vent fluid delivery
WO2018016196A1 (ja) * 2016-07-19 2018-01-25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
KR101910711B1 (ko) * 2016-10-31 2018-10-22 유동균 일부분이 개봉되는 포장지의 제조방법
CN106949615B (zh) * 2017-03-17 2019-06-0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出风结构、空调器的出风方法和空调器
JP6791066B2 (ja) * 2017-08-25 2020-11-25 豊田合成株式会社 空調用薄型レジスタ
EP3722126B1 (en) 2019-04-09 2023-06-07 Volvo Car Corporation Air vent
JP6976290B2 (ja) * 2019-06-25 2021-12-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空調装置の吹出装置
JP7458038B2 (ja) * 2019-09-04 2024-03-29 豊和化成株式会社 空調用ダクト装置
DE102020201478A1 (de) * 2020-02-06 2021-08-12 Faurecia Innenraum Systeme Gmbh Entlüftungsöffnung
JP7404959B2 (ja) * 2020-03-23 2023-12-26 豊田合成株式会社 空調用薄型レジスタ
WO2022091743A1 (ja) * 2020-10-30 2022-05-0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空調装置
CN114633606B (zh) * 2022-05-18 2022-09-20 宁波福尔达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出风口总成及车辆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54146A (en) 1978-05-26 1979-12-05 Shimizu Construction Co Ltd Slot type air outlet structure for ceiling
JPS63254344A (ja) 1987-04-13 1988-10-21 Nippon Denso Co Ltd 流体吹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0308A (en) * 1915-03-03 1916-02-01 Victor E Mertz Air-circulating system.
US2588547A (en) * 1948-01-27 1952-03-11 Niles Bement Pond Co Fuel control system
US2814448A (en) * 1952-06-02 1957-11-26 Gen Motors Corp Automotive heating system
US2894443A (en) * 1956-06-25 1959-07-14 Gen Motors Corp Multiple passage supply duct
DE2329244A1 (de) * 1973-06-08 1975-01-02 Volkswagenwerk Ag Luftausstroemer, insbesondere fuer die belueftung des fahrgastraumes eines fahrzeugs
DE3001163A1 (de) * 1980-01-15 1981-07-23 Audi Nsu Auto Union Ag, 7107 Neckarsulm Luftausstroemer, insbesondere fuer den innenraum eines fahrzeugs
JPS56141938U (ko) * 1980-03-28 1981-10-27
JPS56141938A (en) 1980-04-07 1981-11-05 Haga Chiyuukoushiyo:Kk Production of organic casting mold
JPS5933851B2 (ja) 1982-08-28 1984-08-18 工業技術院長 曲げ試験機
JPS5938633U (ja) * 1982-09-03 1984-03-12 丸光産業株式会社 冷暖房用空気吹出口
JPH0640302B2 (ja) 1984-01-30 1994-05-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図式・ソ−スプログラム自動生成方法
JPS60159939U (ja) * 1984-04-02 1985-10-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空気吹出しレジスタ
JPS61192245A (ja) 1985-02-21 1986-08-26 Snow Brand Milk Prod Co Ltd アルギニン配合粉乳
JPH0233079Y2 (ko) * 1985-05-22 1990-09-06
US4796518A (en) * 1987-12-07 1989-01-10 General Motors Corporation Articulated air vane arrangement
JPH01278822A (ja) * 1988-04-29 1989-11-09 Mazda Motor Corp 自動車用空調装置
JPH0495257A (ja) 1990-08-10 1992-03-27 Kenwood Corp テープカセットローディング機構
JPH0495257U (ko) 1990-12-27 1992-08-18
JPH0566447A (ja) 1991-09-06 1993-03-19 Canon Inc 手振れ防止機能付きカメラ
JPH0731075Y2 (ja) * 1992-02-07 1995-07-19 株式会社不二工 二枚羽根対向型ディフューザ
JPH05240496A (ja) * 1992-02-25 1993-09-17 Nippon Plast Co Ltd 車両用空気吹出装置
JP3237201B2 (ja) 1992-05-29 2001-12-10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空気吹出口装置
JP3326543B2 (ja) 1994-05-26 2002-09-24 株式会社ゼクセルヴァレオクライメートコントロール 空調ドアの開閉制御用リンク機構
FR2758769B1 (fr) * 1997-01-29 1999-04-02 Valeo Climatisation Registre a volets multiples, notamment pour un systeme de climatisation de vehicule automobile
JP3862114B2 (ja) 1997-09-03 2006-12-27 高砂熱学工業株式会社 ライン型吹出口
DE20100740U1 (de) * 2001-01-16 2001-05-31 Trw Automotive Electron & Comp Luft-Ausströmer, insbesondere zur Fahrzeugklimatisierung
JP2002321524A (ja) 2001-04-25 2002-11-05 Nissan Shatai Co Ltd 空調装置の吹出口シャッタ装置
EP1454780A3 (en) * 2003-03-03 2006-02-15 TRW Automotive Electronics & Components GmbH & Co. KG Air vent for a ventilation system
JP4379188B2 (ja) * 2004-04-22 2009-12-09 豊田合成株式会社 空調用レジスタ
JP4816381B2 (ja) * 2006-09-29 2011-11-16 豊田合成株式会社 空調用レジス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54146A (en) 1978-05-26 1979-12-05 Shimizu Construction Co Ltd Slot type air outlet structure for ceiling
JPS63254344A (ja) 1987-04-13 1988-10-21 Nippon Denso Co Ltd 流体吹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9013A (ko) 2009-02-24
EP2039544A1 (en) 2009-03-25
DE602007012547D1 (de) 2011-03-31
WO2007148658A1 (ja) 2007-12-27
CN101472751A (zh) 2009-07-01
CN101472751B (zh) 2011-06-01
JP2008001151A (ja) 2008-01-10
JP4670749B2 (ja) 2011-04-13
EP2039544A4 (en) 2010-03-17
US8109813B2 (en) 2012-02-07
US20100011799A1 (en) 2010-01-21
EP2039544B1 (en) 2011-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5506B1 (ko) 공조 장치의 취출구 구조
JP4506758B2 (ja) 空調装置の吹出口構造
JP6086669B2 (ja) レジスタ
JP4816381B2 (ja) 空調用レジスタ
WO2013061636A1 (ja) レジスタ
WO2013069316A1 (ja) レジスタ
JP4678526B2 (ja) 空調用レジスタ
JP6163182B2 (ja) 薄型レジスタ
JP2008149830A (ja) 空調用薄型レジスタ
JPWO2013128763A1 (ja) レジスタ
JP2008001344A (ja) 空調装置の吹出口構造
JP4856754B2 (ja) 車両空調用吹出構造
WO2012120980A1 (ja) 空気吹出装置
JP2018076008A (ja) ダンパプレート
JP2005041291A (ja) レジスタ
JP4150541B2 (ja) 空気吹出調整用レジスタ
JP2005029084A (ja) 風向調整装置
JP3774846B2 (ja) 空気吹出調整用レジスタ
JP2006327456A (ja) 空調用レジスタ
JP2022153902A (ja) 風向調整装置
JP3172055U (ja) レジスタ装置
JP3158931U (ja) レジスタ
JP2020049986A (ja) 車両用レジス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