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0711B1 - 일부분이 개봉되는 포장지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일부분이 개봉되는 포장지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0711B1
KR101910711B1 KR1020160143449A KR20160143449A KR101910711B1 KR 101910711 B1 KR101910711 B1 KR 101910711B1 KR 1020160143449 A KR1020160143449 A KR 1020160143449A KR 20160143449 A KR20160143449 A KR 20160143449A KR 101910711 B1 KR101910711 B1 KR 1019107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apping paper
width
layer
contents
discharge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3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7416A (ko
Inventor
유동균
Original Assignee
유동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동균 filed Critical 유동균
Priority to KR10201601434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0711B1/ko
Publication of KR20180047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74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0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07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16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for tearing a corner or other small portion next to the edge, e.g. a U-shaped por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04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single sheets or wrapper blanks
    • B65D75/06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single sheets or wrapper blanks in sheets or blanks initially folded to form tubes
    • B65D75/12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single sheets or wrapper blanks in sheets or blanks initially folded to form tubes with the ends of the tube closed by flattening and heat-sea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61Spouts
    • B65D75/5866Integral spo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Wrappers (AREA)

Abstract

속에 내용물이 채워지고 상단부 최상층 및 하단부의 전체폭이 융착되어 밀봉되는 포장지 및 그의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상단부의 전체폭이 융착된 최상층의 차상위층은 소정 폭이 융착되어 성형되고, 그 선단 절취로 개봉되어져 내용물을 배출할 수 있는 배출통로를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포장지를 개봉하기 쉽고, 개봉 후 내용물을 흘리지 않고 배출이 용이하며, 쏟김성이 특히 우수하게 된다.

Description

일부분이 개봉되는 포장지의 제조방법{Production method of Packaging that is part of the opening}
본 발명은 일부분이 개봉되는 포장지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포장치 전체의 상단이 아닌 일부분이 개봉되도록 하여 내용물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하는 포장지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곡물, 과자, 스낵, 사료, 견과류 등 다양한 먹을 것들은 비닐 포장에 의해 소비자에게 전달되고 있다.
비닐봉지로 통칭되고 있는 폴리에틸렌제나 폴리염화비닐제의 포장지는 상, 하 개방단이 열융착에 의해 밀봉되는 것으로, 이는 제작단가가 낮고 밀봉효과가 뛰어난 반면 형상을 유지하려는 형상유지력이 취약하기 때문에 스낵, 비스켓 또는 사탕 등과 같이 제품단가는 낮으면서 습기에 취약하고 공기와 접촉할 경우 변질되기 쉬운 과자들 포장에 주로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부스러지기 쉬운 스낵류 포장에 이용하는 경우에는 내용물과 함께 기체를 충전시킴으로써 운반이나 보관 중 외부 충격이나 압력이 내용물에 직접 가해지지 않게 하여 형상을 유지하지 못하는 단점을 보완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포장지는 열융착된 상단의 접합부 전체를 뜯어 개봉하도록 되어 있어서 개봉할 때 상당한 크기의 악력(握力)이 요구되기 때문에 개봉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절취선을 형성한 포장지의 경우, 포장지 전체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개봉구가 형성되며, 개봉구 크기가 너무 커서 내용물을 쏟을 때 내용물을 흘리거나 배출을 조절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개봉하기 쉽고, 개봉 후 내용물 배출이 용이한 포장지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간단하게 다량으로 열융착을 하여 제조를 할 수 있는 포장지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크기가 다른 개봉구를 개봉하여 사용할 수 있는 포장지 및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포장지의 상단 및 하단을 둘 다 개봉하여 내용물의 배출이 더욱 용이하도록 하는 포장지 및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포장지는,
속에 내용물이 채워지고 상단부 최상층 및 하단부의 전체폭이 융착되어 밀봉되는 포장지에 있어서,
상기 상단부의 전체폭이 융착된 최상층의 차상위층은 소정 폭이 융착되어 성형되고, 그 선단 절취로 개봉되어져 내용물을 배출할 수 있는 배출통로를 형성하는 개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포장지는,
속에 내용물이 채워지고 상단부 최상층 및 하단부의 최하층의 전체폭이 융착되어 밀봉되는 포장지에 있어서,
상기 상단부의 전체폭이 융착된 최상층의 차상위층은 제1 폭이 융착되어 성형되고, 그 선단 절취로 개봉되어져 내용물을 배출할 수 있는 제1 배출통로를 형성하는 제1 개봉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단부의 전체폭이 융착된 최하층의 차하위층은 제2 폭이 융착되어 성형되고, 그 선단 절취로 개봉되어져 내용물을 배출할 수 있는 제2 배출통로를 형성하는 제2 개봉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포장지의 제조방법은,
봉지 형태의 포장지의 하단부 최하층의 전체폭을 열융착하여 밀봉하는 단계;
상기 하단부가 밀봉된 포장지에 내용물을 채우는 단계;
상기 포장지의 상단부 최상층의 전체폭을 열융착하여 밀봉하는 단계;
상기 포장지의 상단부의 차상위층을 제1 폭만큼 열융착하여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차상위층의 선단 절취로 개봉되어져 내용물을 배출할 수 있는 제1 배출통로를 형성하는 제1 개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포장지의 제조방법은,
봉지 형태의 포장지의 하단부 최하층의 전체폭을 열융착하고, 상기 포장지의 하단부의 차하위층은 제1 폭만큼 열융착하여 성형하는 단계;
상기 하단부가 밀봉된 포장지에 내용물을 채우는 단계;
상기 포장지의 상단부 최상층은 전체폭을 열융착하고, 상기 포장지의 상단부의 차상위층은 제2 폭만큼 열융착하여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차상위층의 선단 절취로 개봉되어져 공기가 통하는 제1 배출통로를 형성하는 제1 개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하위층의 선단 절취로 개봉되어져 내용물을 배출할 수 있는 제2 배출통로를 형성하는 제2 개봉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개봉하기 쉽고, 개봉 후 내용물 배출이 용이하며, 쏟김성이 특히 우수한 포장지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간단하게 다량으로 열융착을 하여 제조를 할 수 있는 포장지 및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크기가 다른 개봉구를 개봉하여 사용할 수 있는 포장지 및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포장지의 상단 및 하단을 둘 다 개봉하여 내용물의 배출이 더욱 용이하도록 하는 포장지 및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지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장지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지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지의 제조시 사용되는 열 융착장치의 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하부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하부 장치의 상부장치와의 접합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장지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지는,
속에 내용물이 채워지고 상단부 최상층(110) 및 하단부의 전체폭(150)이 융착되어 밀봉되는 포장지에 있어서,
상기 상단부의 전체폭이 융착된 최상층(110)의 차상위층(120)은 소정 폭이 융착되어 성형되고, 그 선단 절취로 개봉되어져 내용물을 배출할 수 있는 배출통로(161)를 형성하는 개봉부(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지는,
속에 내용물이 채워지고 상단부 최상층(110) 및 하단부의 최하층(150)의 전체폭이 융착되어 밀봉되는 포장지(100)에 있어서,
상기 상단부의 전체폭이 융착된 최상층의 차상위층(120)은 제1 폭이 융착되어 성형되고, 그 선단 절취로 개봉되어져 내용물을 배출할 수 있는 제1 배출통로(161)를 형성하는 제1 개봉부(160)를 포함하고,
상기 하단부의 전체폭이 융착된 최하층의 차하위층(170)은 제2 폭이 융착되어 성형되고, 그 선단 절취로 개봉되어져 내용물을 배출할 수 있는 제2 배출통로(181)를 형성하는 제2 개봉부(180)를 포함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포장지의 상단 제1 개봉부(160) 또는 하단 제2 개봉부(180)를 개봉하여 제1 배출통로(161) 또는 제2 배출통로(181)를 형성하여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제1, 제2 배출통로(161, 181)의 너비는 전체의 8/1~1/2인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1/2 이상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용물의 배출시 내용물을 흘리지 않고, 매우 우수한 쏟김성을 가지면서 내용물을 배출할 수 있으며, 또한 제1, 제2 배출통로(161, 181)가 모두 개방된 경우에는 내용물의 배출속도가 더욱 빨라질 수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 차상위층 또는 차하위층의 하단 또는 상단에 추가로 크기가 작은 배출통로를 추가로 형성하여 사용자 편의에 따라 다른 크기의 배출통로를 형성하여 내용물을 배출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러면 이러한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지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봉지 형태의 포장지의 하단부 최하층의 전체폭을 열융착하여 밀봉한다(S310).
그리고 나서, 상기 하단부가 밀봉된 포장지에 곡물, 스낵, 과자, 사료, 견과류 등의 내용물을 채운다(S320). 상기 내용물은 예시된 것으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 상기 포장지(100)의 상단부 최상층의 전체폭을 열융착하여 밀봉한다(S330). 이러한 과정의 열융착 장치 및 내용물 투입장치는 컨베이어벨트 방식으로 대량생산하는 일반적인 방식이 사용될 수 있으므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포장지(100)의 상단부의 차상위층(120)을 제1 폭만큼 열융착하여 성형한다(S340). 여기서, 상기 차상위층(120)의 선단 절취로 개봉되어져 내용물을 배출할 수 있는 제1 배출통로(161)가 되는 제1 개봉부(160)가 형성된다. 이때 제1폭은 0.5~1cm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1 개봉부(160)는 개봉이 편리하도록 삼각형상의 홈 형상으로 한다.
필요에 따라 상기 포장지의 상단부 최상층(110)의 전체폭과 상단부의 차상위층(120)의 제1 폭만큼은 동시에 열융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봉부(160)를 형성하기 위한 열융착 장치의 상부장치(200)의 볼록면(121)이 하부장치(300)의 평면에 접합되어 열융착이 되고, 오목면(122)은 열융착이 되지 않아 개봉이 잘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상부 장치(200)와 하부장치(300)의 접합면 형상이 서로 반대일 수도 있다. 즉, 상부 장치(200)는 평면이고, 하부장치(300)에는 볼록면(121)과 오목면(122)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추후 포장지의 오목면(122)에 대응하여 형성된 부분인 배출통로(161)의 개봉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볼록면과 오목면의 형태는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최상위층(110)과 차상위층(120)의 열융착이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진 포장지의 다른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장지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봉지 형태의 포장지의 하단부 최하층(150)의 전체폭을 열융착하여 밀봉한다(S310).
그리고, 도 4 및 도 5와 같은 열융착 장치를 이용하여 포장지의 하단부(150)의 차하위층(170)을 열융착하여 접착시킨다(S315). 여기서, 상기 차하위층의 선단 절취로 개봉되어져 내용물을 배출하거나 공기의 통로가 될 수 있는 제2 배출통로(181)가 형성되어 제2 개봉부(180)가 완성된다. 열융착 장치의 하부장치(200)는 매우 간단한 구성으로 8개의 포장지(100)에 대해 동시에 부분 열융착이 가능하다. 이러한 구조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하여 그 처리 개수를 증가시킬 수도 있다.
다음, 밀봉된 포장지(100)에 곡물, 스낵, 과자, 사료, 견과류 등의 내용물을 채운다(S320). 상기 내용물은 예시된 것으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 상기 포장지(100)의 상단부 최상층의 전체폭을 열융착하여 밀봉한다(S330).
그리고, 상기 포장지(100)의 상단부의 차상위층(120)을 제1 폭만큼 열융착하여 성형한다(S340). 여기서, 상기 차상위층의 선단 절취로 개봉되어져 내용물을 배출할 수 있는 제1 배출통로(161)가 되는 제1 개봉부(160)가 형성된다. 이때 제1개부부(160)와 제2 개봉부(180)의 개봉되는 제1, 제2 배출통로(161, 181)의 넓이는 같을 수도 있으나, 다르게 가져가는 것이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원하는 크기로 개봉을 하기에 적합하다.
그리고 제1 개봉부(160)와 제2 개봉부(180)는 개봉이 편리하도록 삼각형상의 홈 형상으로 한다.
필요에 따라 상기 포장지(100)의 상단부 최상층의 전체폭과 상단부의 차상위층의 제1 폭만큼은 동시에 열융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포장지(100)의 하단부 최하층의 전체폭과 하단부의 차하위층의 제2 폭만큼은 동시에 열융착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제2 배출통로(181)는 제1 배출통로(161)와 대각선편에 형성될 수도 있고, 더욱 빠르게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서는 열융착 방식의 포장치 접착을 예로 들었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본딩에 의한 접합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다.
이상의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개봉하기 쉽고, 개봉 후 내용물 배출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간단하게 다량으로 열융착을 하여 제조를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크기가 다른 개봉구를 개봉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포장지의 상단 및 하단을 둘 다 개봉하여 내용물의 배출이 더욱 용이하도록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당업자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변경과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봉지 형태의 포장지의 하단부 최하층의 전체폭을 열융착하여 밀봉하는 단계;
    상기 하단부가 밀봉된 포장지에 내용물을 채우는 단계;
    상기 포장지의 상단부 최상층의 전체폭을 열융착하여 밀봉하는 단계;
    상기 포장지의 상단부의 차상위층을 제1 폭만큼 열융착하여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차상위층의 선단 절취로 개봉되어져 내용물을 배출할 수 있는 배출통로를 형성하는 개봉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통로의 너비는 전체 폭의 1/8 내지 1/2이고,
    상기 개봉부를 형성하기 위한 열융착 장치의 상부장치(200)의 볼록면(121)이 하부장치(300)의 평면에 접합되어 열융착이 되고, 오목면(122)은 열융착이 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지의 제조방법.
  5. 봉지 형태의 포장지의 하단부 최하층의 전체폭을 열융착하고, 상기 포장지의 하단부의 차하위층은 제1 폭만큼 열융착하여 성형하는 단계;
    상기 하단부가 밀봉된 포장지에 내용물을 채우는 단계;
    상기 포장지의 상단부 최상층은 전체폭을 열융착하고, 상기 포장지의 상단부의 차상위층은 제2 폭만큼 열융착하여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차상위층의 선단 절취로 개봉되어져 공기가 통하는 제1 배출통로를 형성하는 제1 개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하위층의 선단 절취로 개봉되어져 내용물을 배출할 수 있는 제2 배출통로를 형성하는 제2 개봉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배출통로 및 제2 배출통로의 너비는 전체 폭의 1/8 내지 1/2이고,
    상기 제1 개봉부 및 제2 개봉부를 형성하기 위한 열융착 장치의 상부장치(200)의 볼록면(121)이 하부장치(300)의 평면에 접합되어 열융착이 되고, 오목면(122)은 열융착이 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지의 제조방법.
KR1020160143449A 2016-10-31 2016-10-31 일부분이 개봉되는 포장지의 제조방법 KR1019107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3449A KR101910711B1 (ko) 2016-10-31 2016-10-31 일부분이 개봉되는 포장지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3449A KR101910711B1 (ko) 2016-10-31 2016-10-31 일부분이 개봉되는 포장지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7416A KR20180047416A (ko) 2018-05-10
KR101910711B1 true KR101910711B1 (ko) 2018-10-22

Family

ID=62184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3449A KR101910711B1 (ko) 2016-10-31 2016-10-31 일부분이 개봉되는 포장지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071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0466Y1 (ko) * 2002-07-03 2002-09-28 이흥주 양념 진공포장비닐팩
JP2008081151A (ja) 2006-09-27 2008-04-10 Dainippon Printing Co Ltd 詰替用の包装袋
JP2009255959A (ja) * 2008-04-17 2009-11-05 Kanae Co Ltd 包装袋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21066B2 (ja) * 2000-09-28 2005-11-30 大日本製薬株式会社 液体包装スティック
JP4670749B2 (ja) * 2006-06-20 2011-04-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空調装置の吹出口構造
TWI601668B (zh) * 2012-10-19 2017-10-11 Toppan Printing Co Ltd Bag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0466Y1 (ko) * 2002-07-03 2002-09-28 이흥주 양념 진공포장비닐팩
JP2008081151A (ja) 2006-09-27 2008-04-10 Dainippon Printing Co Ltd 詰替用の包装袋
JP2009255959A (ja) * 2008-04-17 2009-11-05 Kanae Co Ltd 包装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7416A (ko) 2018-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7791404U (zh) 包装套筒以及包装件
CN103003167B (zh) 易于打开且可再闭合的柔性膜包装产品和制造方法
US20060201111A1 (en) Standup bag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20110127319A1 (en) Resealable flexible film packaging products and methods of manufacture
US9102443B2 (en) Flexible packages incorporating a twistable polymer reclose material
RU2576006C2 (ru) Упаковка
CN108367849A (zh) 冷封柔性膜包装和方法
AU726474B2 (en) Packaging wrapper closed by twists and packaging process
CN105849003A (zh) 具有开口装置的包装容器及其制造方法
CN104136343A (zh) 具有三角形状的柔性包袋
WO2000073149A1 (en) A method of packaging goods
WO2014142886A1 (en) Recloseable flexible packages
US20120002906A1 (en) Packaging bag
KR101910711B1 (ko) 일부분이 개봉되는 포장지의 제조방법
JP4813528B2 (ja) 外気の侵入を阻止する注出ノズルを有する包装袋
JP3902494B2 (ja) 脱気構造を有する袋体及びその製造方法
EP2146910B1 (en) Twist-wrap packaging for food products, method and corresponding device
JP2014521573A (ja) 2つの結合層を含むパッケージ
PL222715B1 (pl) Opakowanie typu flow-wrap i sposób wytwarzania takiego opakowania
US11643263B2 (en) Unit of packaged product, and method of packaging a product
JP5930632B2 (ja) 脱気構造を有する防湿袋
CN212830130U (zh) 一种固体膏的包装袋
JP5959192B2 (ja) 包装体および包装機
US20180201425A1 (en) Wipes and tissues packaging
KR101061556B1 (ko) 합성수지 포장지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