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1666B1 - 시트 - Google Patents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1666B1
KR101021666B1 KR1020087020897A KR20087020897A KR101021666B1 KR 101021666 B1 KR101021666 B1 KR 101021666B1 KR 1020087020897 A KR1020087020897 A KR 1020087020897A KR 20087020897 A KR20087020897 A KR 20087020897A KR 101021666 B1 KR101021666 B1 KR 1010216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force
predetermined position
adjusted
recl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0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1262A (ko
Inventor
가츠야 우에다
Original Assignee
도요타 지도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 지도샤(주) filed Critical 도요타 지도샤(주)
Publication of KR20080091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12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1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16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96Central command actuator to selectively switch on or engage one of several special purpose circuits or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60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characterised by the cinematic
    • B60N2/161Rods
    • B60N2/1615Parallelogram-like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63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characterised by the drive mechanism
    • B60N2/165Gear wheel driven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63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characterised by the drive mechanism
    • B60N2/167Ratchet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the front or the rear portion of the seat being adjustable, e.g. independently of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til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Abstract

본 발명은 높이 조정기구 및 각도 조정기구의 조작성을 향상할 수 있는 시트의 조작장치 및 시트를 얻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한 차량용 시트(10)는, 착좌하기 위한 시트 본체에 설치되어 전달되는 조작력에 의하여 조정되는 시트 리프터(22)와, 시트 본체에 설치되어 전달되는 조작력에 의하여 조정되는 리클라이닝 기구(20)와, 시트 리프터(22) 및 리클라이닝 기구(20)를 조정하기 위한 조작레버(30)를 구비한다. 조작레버(30)는, 착좌자의 조작에 의한 조작력을 시트 리프터(22)의 조작 하중 입력부(28)에 전달 가능한 제 1 기설정된 위치와, 착좌자의 조작에 의한 조작력을 리클라이닝 기구(20)의 리클라이닝 해제 플레이트(38)에 전달 가능한 제 2 기설정된 위치를 취할 수 있다.

Description

시트 {SEAT}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승객이 착좌하기 위하여 자동차 등에 탑재되는 시트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시트로서, 리클라이닝 기구의 록(lock)을 해제하여 시트백의 각도 조정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조작레버와, 시트 쿠션의 높이를 조정하기 위한 노브를 구비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조작 레버와 노브는, 각각 시트의 폭 방향 바깥 끝부에 서로 이간하여 배치됨으로써, 서로 간섭하지 않고 독립하여 조작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리클라이닝 레버를 2단계 조작 가능하게 하여, 제 1 단계의 조작에서 리클라이닝 기구의 록을 해제하여 시트백의 각도 조정을 가능하게 하고, 제 2 단계의 조작에서 시트백의 각도 조정을 가능하게 한 채로 하이트 레버가 뽑혀 시트가 상승하도록 구성한 차량용 시트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참조).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2001-130294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국 특개평8-26007호 공보
그러나, 상기한 전자의 기술에서는, 조작레버 및 노브를 별개로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양자를 함께 조작성이 양호한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한편, 후자의 기술에서는, 시트 높이 록기구의 록 해제(하이트 레버 조작)를 리클라이닝의 록 해제로부터 독립하여 행할 수 없어, 조작성의 향상에는 기여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 사실을 고려하여, 복수의 피조정부의 조작성을 향상할 수 있는 시트를 얻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청구항 1 에 기재된 발명에 관한 시트는, 착좌하기 위한 시트 본체에 설치되고, 전달되는 조작력에 의하여 조정되는 제 1 피조정부와, 상기 시트 본체에 설치되고, 전달되는 조작력에 의하여 조정되는 제 2 피조정부와, 착좌자의 조작에 의한 조작력을 상기 제 1 피조정부에 전달 가능한 제 1 기설정된 위치와, 착좌자의 조작에 의한 조작력을 상기 제 2 피조정부에 전달 가능한 제 2 기설정된 위치를 취할 수 있는 조작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청구항 1 에 기재된 시트에서는, 변환 수단이 제 1 기설정된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 조작부재를 조작하면, 이 조작력이 제 1 피조정부에 전달되어, 상기 제 1 피조정부가 조정되거나, 또는, 이 조작력에 의하여 제 1 피조정부가 조정 가능한 상태(예를 들면, 록 해제 상태 등)가 된다. 한편, 변환 수단이 제 2 기설정된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 조작부재를 조작하면, 이 조작력이 제 2 피조정부에 전달되어, 상기 제 2 피조정부가 조정되거나, 또는, 이 조작력에 의하여 제 1 피조정부가 조정 가능한 상태(예를 들면, 록 해제 상태 등)가 된다.
이것에 의하여, 하나의 조작부재에 의하여, 제 1 및 제 2 피조정부를 선택적으로, 즉 독립하여 조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 1 및 제 2 피조정부를 독립하여 조작하기 위한 2개의 조작부를 독립하여 설치한 구성과 비교하여, 착좌자에 의한 조작부위의 배치나 크기에 대한 제약이 저감되고, 설계 자유도의 향상이 도모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제 1 및 제 2 피조정부를 독립하여 조작할 수 있는 단일의 조작부재를, 시트 쿠션에서의 조작성이 양호한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높이 조정기구 및 각도 조정기구를 함께 양호한 조작성으로 조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청구항 1에 기재된 시트에서는, 복수의 피조정부의 조작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3개 이상의 피조정부와, 이들에 대응한 3개 이상의 조작력 부여 기능을 가지는 조작부재를 구비한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관한 시트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시트에서, 상기 조작부재는, 상기 제 1 기설정된 위치와 제 2 기설정된 위치와의 사이의 이동방향이, 제 1 피조정부에 조작력을 부여할 때의 조작방향 및 제 2 피조정부에 조작력을 부여할 때의 조작방향의 각각과 다른 방향이다.
청구항 2에 기재된 시트에서는, 제 1 및 제 2 피조정부의 조정 가능 상태를 변환할 때에 있어서의 조작부재의 조작방향과, 제 1 또는 제 2 피조정부를 조정할 때의 조작부재의 조작방향이 다르기 때문에, 착좌자의 의도하지 않은 조작이 행하여지는 것이 방지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관한 시트는, 청구항 2에 기재된 시트에서, 상기 조작부재는, 상기 시트 본체를 구성하는 시트 쿠션의 측부에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시트 쿠션에 대하여 시트 폭 방향을 따르는 축선 주위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축선 주위의 회동 조작력을 상기 제 1 피조정부 또는 제 2 피조정부에 전달하고, 또한 상기 시트 폭 방향을 따른 변위에 의하여 상기 제 1 기설정된 위치와 제 2 기설정된 위치를 변환하도록 되어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시트에서는, 제 1 기설정된 위치에 위치하는 조작부재를 시트 폭 방향을 따르는 축선 주위로 회동하면, 이 회동 조작력이 제 1 피조정부에 전달된다. 또, 제 1 기설정된 위치로부터 시트 폭 방향(회동 축선)을 따라 상기 폭 방향의 바깥쪽으로 조작부재를 조작하면, 조작부재는 제 2 기설정된 위치로 이동한다. 이 제 2 기설정된 위치에 위치하는 조작부재를 시트 폭 방향을 따르는 축선 주위로 회동하면, 이 회동 조작력이 제 2 피조정부에 전달된다. 또한, 제 2 기설정된 위치로부터 시트 폭 방향을 따라서 상기 폭 방향의 안쪽으로 조작부재를 조작하면, 조작부재는 제 1 기설정된 위치로 이동한다.
이 시트에서는, 단일의 조작부재를 시트 쿠션의 측부에서의 조작성이 양호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또, 제 1 기설정된 위치에서의 조작부재의 조작방향과 제 2 기설정된 위치에서 조작부재의 조작방향이 동일하기 때문에, 조작자(착좌자)에게 위화감을 주지 않고, 2개의 피조정부의 조정을 행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관한 시트는, 청구항 3에 기재된 시트에서, 상기 조작부재는, 시트 전후방향의 후단측이 상기 시트 쿠션에 대하여 시트 폭 방향을 따르는 축선 주위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시트 전후방향의 전단측에 상향 또는 하향의 조작력이 부여되는 레버이다.
청구항 4에 기재된 시트에서는, 시트 전후방향으로 길게 된 레버인 조작부재의 전단측을 상향 또는 하향으로 조작하면, 상기 조작부재는 후단측의 지지부인 시트 폭 방향으로 축선 주위로 회동하고, 상기 조작부재의 위치(제 1 기설정된 위치 또는 제 2 기설정된 위치)에 따라 제 1 피조정부 또는 제 2 피조정부에 조작력이 전달된다. 이것에 의하여, 작은 조작력으로 각 피조정부를 조정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관한 시트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시트에서, 상기 조작부재는, 걸어맞춤부를 가지고, 상기 걸어맞춤부는, 상기 제 1 기설정된 위치에서 상기 제 1 피조정부의 피걸어맞춤부에 조작력 전달 가능하게 걸어맞춤과 동시에 상기 제 2 피조정부의 피걸어맞춤부와의 걸어맞춤이 해제되고, 또한, 상기 제 2 기설정된 위치에서 상기 제 1 피조정부의 피걸어맞춤부와의 걸어맞춤이 해제됨과 동시에 상기 제 2 피조정부의 피걸어맞춤부에 조작력이 전달 가능하게 걸어 맞춰지도록 되어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시트에서는, 조작부재가 제 1 기설정된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조작부재의 걸어맞춤부가 제 1 피조정부의 피걸어맞춤부에 걸어 맞춰져 있고, 이 걸어맞춤에 의하여 조작부재의 조작력이 제 1 피조정부에 전달된다. 이 경우, 조작부재의 걸어맞춤부는 제 2 피조정부의 피걸어맞춤부와의 걸어맞춤이 해제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부재의 조작력이 제 2 피조정부에 전달되는 경우가 없다. 한편, 조작부재가 제 2 기설정된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조작부재의 걸어맞춤부가 제 2 피조정부의 피걸어맞춤부에 걸어 맞춰져 있고, 이 걸어맞춤에 의하여 조작부재의 조작력이 제 2 피조정부에 전달된다. 이 경우, 조작부재의 걸어맞춤부는 제 1 피조정부의 피걸어맞춤부와의 걸어맞춤이 해제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부재의 조작력이 제 1 피조정부에 전달되는 경우가 없다. 이것에 의하여, 본 시트에서는, 복수의 피조정부를 선택적으로(확실하게 독립하여) 조정하는 기능이 간단한 구조로 실현된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관한 시트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시트에서, 상기 조작부재를 상기 제 1 기설정된 위치로 치우치게 하는 가세부재를 더 구비하였다.
청구항 6에 기재된 시트에서는, 비조작상태의 조작부재는, 가세부재의 가세력에 의하여 제 1 기설정된 위치로 치우쳐, 즉 유지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비조작상태에서의 조작부재의 위치를 육안 등에 의하여 확인하지 않고, 조정 대상의 피조정부를 선택할 수 있다. 또, 제 2 피조정부의 조정 후에는 조작부재가 제 1 기설정된 위치로 복귀하기 때문에, 조작성이 양호하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에 관한 시트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시트에서, 상기 제 1 피조정부 및 제 2 피조정부의 어느 한쪽은, 상기 시트 본체의 상하방향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높이 조정기구이고, 상기 제 1 피조정부 및 제 2 피조정부의 다른 쪽은, 시트 쿠션에 대한 시트백의 각도의 록 상태와 록 해제 상태를 변환하기 위한 리클라이닝 기구이다.
청구항 7에 기재된 시트에서는, 리클라이닝 기구와 높이 조정기구를 공통의 조작부재에 의하여 조작할 수 있기 때문에, 이들 조작부재를 별개 독립하여 설치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조작부재의 배치, 치수 형상에 대한 제약이 적다. 이 때문에, 착좌자에게 있어서 조작성이 양호한 위치에 조작부재를 배치함으로써, 이들 리클라이닝 기구 및 높이 조정기구의 양호한 조작성을 실현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시트는, 복수의 피조정부의 조작성을 향상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차량용 시트를 구성하는 조작부재에 의한 조작력 전달 경로의 변환 기구부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차량용 시트의 피조정부인 리클라이닝 기구, 시트 리프터와 조작레버와의 관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차량용 시트의 리프터 선택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 단면도,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차량용 시트의 리프터 선택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 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닝 선택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 단면도,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닝 선택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차량용 시트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차량용 시트를 구성하는 시트 리프터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차량용 시트를 구성하는 리클라이닝 기구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차량용 시트와의 비교예에 관한 시트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차량용 시트 (시트)
12 : 시트 쿠션 (시트 본체)
20 : 리클라이닝 기구 (제 1 또는 제 2 피조정부)
22 : 시트 리프터 (제 2 또는 제 1 피조정부)
28 : 조작 하중 입력부 (제 2 또는 제 1 피조정부)
30 : 조작레버 (조작부재)
32 : 피걸어맞춤 오목부 (피걸어맞춤부)
38 : 리클라이닝 해제 플레이트 (제 1 또는 제 2 피조정부)
44 : 피걸어맞춤 오목부 (피걸어맞춤부)
48 : 걸어맞춤 돌기(걸어맞춤부)
50 : 인장 코일 스프링 (가세부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로서의 차량용 시트(10)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7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에 적절하게 기재하는 화살표 FR, 화 살표 UP, 화살표 W는, 각각 차량용 시트(10)가 적용된 자동차의 앞쪽방향(진행 방향), 상방향, 차 폭 방향을 나타내고 있고, 이들 상방향, 앞쪽방향, 폭 방향은, 차량용 시트(10)의 상방향, 앞쪽방향, 폭 방향에 일치하고 있다. 이하 간단하게 전후방향, 상하방향, 폭 방향이라 할 때는 상기한 차량용 시트(자동차)를 기준으로 한 각 방향을 나타낸다.
도 5에는, 차량용 시트(10)의 개략 전체 구성이 사시도에 나타나 있다. 이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량용 시트(10)는, 자동차의 승객이 착좌하는 시트 쿠션(12)과, 착좌한 승객의 상체를 배후에서 지지하는 시트백(14)을 가진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 쿠션(12)을 구성하는 시트 쿠션 프레임(16)의 후단부와 시트백(14)을 구성하는 시트백 프레임(18)의 하단부는, 각도 조정기구(제 1 또는 제 2 피조정부)로서의 리클라이닝 기구(20)를 거쳐 상대 각도가 조정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리클라이닝 기구(20)는, 폭 방향의 양쪽 끝에 각각 설치되어 있고, 이들 리클라이닝 기구(20)는, 도시 생략한 연동기구로 연동하도록 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클라이닝 기구(20)는, 시트 쿠션 프레임(16)에 고정되는 쿠션측 브래킷(20A)과, 리클라이닝 축(20B)을 거쳐 쿠션측 브래킷(20A)에 연결됨과 동시에 시트백 프레임(18)에 고정되는 백측 브래킷(20C)과, 쿠션측 브래킷(20A)과 백측 브래킷(20C)과의, 리클라이닝 축(20B) 주위의 상대 각도를 다단층 또는 무단계로 조정 가능하고 또한 임의의 상대 각도로 록 가능한 록 연결부(20D)와, 쿠션측 브래킷(20A)과 백측 브래킷(20C)과의 상대각 변위를 저지하는 록측에 록 연결부(20D)를 가세하는 토션 스프링(20E)을 주요 구성요소로서 구성되 어 있다. 또, 시트 폭 방향 한쪽측(예를 들면 차 폭 방향 바깥쪽)의 리클라이닝 기구(20)는, 길이 방향의 한쪽 끝측이 리클라이닝 축(20B)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록 해제 암(20F)을 구비하고 있다. 록 연결부(20D)에 대해서는 공지의 각종 구조를 취할 수 있기 때문에, 구조의 설명은 생략한다.
이들 한쌍의 리클라이닝 기구(20)는, 록 연결부(20D)의 록 상태에서, 시트 쿠션(12)[시트 쿠션 프레임(16)]에 대하여 시트백(14)[시트백 프레임(18)]을 임의의 경사각으로 유지하는 구성이다. 또, 한쌍의 리클라이닝 기구(20)는, 토션 스프링(20E)의 가세력에 저항하여 록 해제 암(20F)을 도 6에 나타내는 화살표 A 방향으로 회동하면, 이 회동에 의하여 직접적으로, 또는 연동기구에 의하여 이 회동이 전달되어, 각각의 록 연결부(20D)에 의한 록 상태를 해제하도록 되어 있다.
시트 쿠션(12)과 시트백(14)과의 사이에는, 도시 생략한 리턴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고, 각 리클라이닝 기구(20)의 록 해제 상태에서 시트백(14)에 부하를 걸지 않은 경우에는, 시트백(14)이 시트 쿠션(12)에 대하여 기설정된 위치까지 앞으로 경사지도록 되어 있다. 한편, 각 리클라이닝 기구(20)의 록 해제 상태에서 시트백(14)에 기설정된 값 이상의 뒤쪽 하중을 작용시키면, 시트백(14)이 시트 쿠션(12)에 대하여 뒤쪽으로 경사지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시트백(14)의 시트 쿠션(12)에 대한 임의의 경사각에서, 록 해제 암(20F)의 조작력을 해제하면, 토션 스프링(20E)의 가세력에 의하여 리클라이닝 기구(20)가 록 상태로 복귀하고, 상기 시트 쿠션(12)에 임의의 경사각으로 시트백(14)을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들 리클라이닝 기구(20)의 록 해제는, 뒤에 설 명하는 리클라이닝 선택 상태를 취하는 조작레버(30)로부터의 조작력을 링크(42)(모두 뒤에서 설명함)가 록 해제 암(20F)에 전달함으로써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또, 차량용 시트(10)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높이 조정기구(제 1 또는 제 2 피조정부)로서의 시트 리프터(22)를 구비하고 있다. 시트 리프터(22)는, 각각 상하단이 상측 레일(24)과 시트 쿠션 프레임(16)에 회전 자유롭게 연결된 전후 한쌍의 링크(22A, 22B)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상측 레일(24)과 시트 쿠션 프레임(16)과 함께 4절 링크를 구성하고 있다. 상측 레일(24)은, 차체 플로어에 고정된 하측 레일(26)(도 5 참조)에 전후방향의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전후의 링크(22A, 22B)는, 각각의 상하의 연결부(회전축)를 연결하는 가상 직선이 대략 평행이 되도록 서로 뒤쪽으로 경사져 배치되어 있고, 그 뒤쪽 경사 각도를 변화시킴으로써, 시트 쿠션 프레임(16)을 상측 레일(24)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접촉 이탈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 6의 실선, 상상선은, 각각 시트 쿠션 프레임(16)[시트 쿠션(12)]의 상측 레일(24)에 대한 하한 위치, 상한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또, 시트 리프터(22)는, 시트 쿠션 프레임(16)에 회전 자유롭게 축 지지된 리프터 기어(22C)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리프터 기어(22C)에서의 회전축의 위쪽 부분에는 연결 링크(22D)의 전단부가 회전 자유롭게 연결되어 있다. 연결 링크(22D)의 후단은, 링크(22B)와 시트 쿠션 프레임(16)의 연결부의 위쪽에서 회전 자유롭게 연결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시트 리프터(22)에서는, 상기 리프터 기 어(22C)를 화살표 B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링크(22B)가 기립측으로 회동하여 시트 쿠션 프레임(16)이 위쪽으로 변위하고, 상기 리프터 기어(22C)를 화살표 B와는 반대인 화살표 C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링크(22B)가 뒤쪽 경사측으로 회동하여 시트 쿠션 프레임(16)이 아래쪽으로 변위하도록 되어 있다.
시트 리프터(22)는, 리프터 기어(22C)에 맞물린 피니언(22E)을 구비하고, 피니언(22E)은, 펌프식 리프터 기구(22F)[뒤에서 설명하는 조작 하중 입력부(28)]를 거쳐, 조작레버(30)에 연결 가능하게 되어 있다. 펌프식 리프터 기구(22F)는, 시트 쿠션 프레임(16)에 지지되어 있고, 뒤에서 설명하는 리프터 선택 상태를 취하는 조작레버(30)의 화살표 D 방향으로의 회동에 의하여 피니언(22E)을 거쳐 리프터 기어(22C)를 화살표 B 방향으로 회동시키고, 조작레버(30)의 화살표 D측으로의 회동위치(이하, 상측 조작 위치라 한다)로부터 비조작 위치로서의 중립 위치로의 복귀시에는 피니언(22E)에 조작력을 전달하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펌프식 리프터 기구(22F)는, 리프터 선택 상태를 취하는 조작레버(30)의 화살표 E 방향으로의 회동에 의하여 피니언(22E)을 거쳐 리프터 기어(22C)를 화살표 C 방향으로 회동시키고, 조작레버(30)의 화살표 E측으로의 회동위치(이하, 하측 조작 위치라 한다)로부터 중립 위치로의 복귀시에는 피니언(22E)에 조작력을 전달하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펌프식 리프터 기구(22F)는, 리프터 기어(22C)측으로부터의 힘으로 피니언(22E)이 반전하지 않도록 브레이크 기능을 가진다. 또한, 펌프식 리프터 기구(22F)는, 조작레버(30)를 중립 위치측에 가세하는 가세부재를 포함하고 있고, 조 작레버(30)의 중립 위치로의 복귀에는 조작력을 요하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상에 의하여, 시트 리프터(22)는, 리프터 선택상태를 취하는 조작레버(30)를 중립 위치와 화살표 D측의 회동 위치와의 사이에서 왕복 요동 조작함으로써 차체 플로어에 대하여 시트 쿠션(12)을 상승시키고, 리프터 선택상태를 취하는 조작레버(30)를 중립 위치와 화살표 E측의 회동 위치와의 사이에서 왕복 요동 조작함으로써 차체 플로어에 대하여 시트 쿠션(12)을 하강시키고, 또한 시트 쿠션(12)을 착좌 하중에 저항하여 임의의 높이에서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 리프터(22)를 구성하는 펌프식 리프터 기구(22F)는, 조작레버(30)로부터 조작력이 입력되는 조작 하중 입력부(28)를 구비하고 있다. 조작 하중 입력부(28)는, 바닥부(28A)가 시트 폭 방향 바깥 끝에 위치하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바닥부(28A)와 둘레벽부(28B)에 걸쳐 지름방향 바깥쪽(전후방향) 및 시트 폭 방향 바깥쪽으로 개구하는 전후 한쌍의 피걸어맞춤부로서의 피걸어맞춤 오목부(32)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피걸어맞춤 오목부(32)에서의 상하방향에 대향하는 한쌍의 벽부가 각각 걸어맞춤벽(32A)이 되고, 시트 폭 방향 바깥쪽을 향하는 벽부가 스토퍼벽(32B)으로 되어 있다.
또, 펌프식 리프터 기구(22F)는, 그 축심부를 구성하여 피니언(22E)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도시 생략) 샤프트(34)를 구비하고 있다. 상세 설명은 생략하지만, 조작 하중 입력부(28)는, 조작레버(30)에 의하여 뒤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화살표 D 또는 화살표 E 방향으로 회동되면, 상기한 펌프식 리프터 기구(22F)의 리프터 기능을 하도록, 내장한 도시 생략한 기어열 등의 기구를 거쳐 샤프트(34)에 연결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샤프트(34)는, 조작 하중 입력부(28)의 바닥부(28A)를 관통하여, 상기 바닥부(28A)보다도 시트 폭 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 샤프트(34)에서의 바닥부(28A)보다도 시트 폭 방향 바깥쪽에 위치하는 부분의 중간부에는, 링 끼워맞춤홈(34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샤프트(34)에는, 바닥부(28A)와의 사이에 스페이서(36)를 끼우도록 하여 배치된 리클라이닝 해제 플레이트(38)가, 조작 하중 입력부(28)와는 독립하여 회전 가능하게 축 지지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리클라이닝 해제 플레이트(38)는, 시트 폭 방향 바깥쪽으로 개구하는 바닥이 있는 원통의 개구단으로부터 플랜지가 연장하여 설치된 것과 같은 모자(hat)형상의 플레이트 본체(38A)와, 플레이트 본체(38A)의 축심부로부터 시트 폭 방향 바깥쪽 방향으로 돌출 설치된 원통형상의 피지지 보스부(38B)와, 플레이트 본체(38A)의 둘레 가장자리부로부터 지름방향 바깥쪽(이 실시형태에서는 하측)으로 연장하여 설치된 암부(38C)를 주요 구성부로 하고 있다.
이 리클라이닝 해제 플레이트(38)는, 피지지 보스부(38B)가 샤프트(34)에 헐겁게 끼워져(遊嵌) 상기 샤프트(34)에 대하여 회전 자유롭게 축 지지되어 있다. 또, 리클라이닝 해제 플레이트(38)는, 링 끼워넣음홈(34A)에 끼워 넣어진 빠짐방지링(E링)(40)과 스페이서(36)에 의하여 샤프트(34)에 대한 축선방향(시트 폭 방향)의 상대 변위가 규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상 설명한 리클라이닝 해제 플레이트(38)의 암부(38C)에는, 후단이 록 해제 암(20F)에 연결된 링크(42)의 전단이 연 결되어 있다. 도 3B 및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암부(38C)는 적절하게 굴곡되어 조작 하중 입력부(28)의 아래쪽에서 링크(42)의 전단에 연결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리클라이닝 해제 플레이트(38)가 화살표 F 방향으로 회동하면, 링크(42)가 전진하여 록 해제 암(20F)이 화살표 A 방향으로 회동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리클라이닝 해제 플레이트(38)는, 조작력이 부여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토션 스프링(20E)의 가세력에 의하여(도시 생략한 스토퍼에 걸어맞추고) 기설정된 자세로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이 리클라이닝 해제 플레이트(38)의 플레이트 본체(38A)에는, 이 바닥부와 둘레벽부에 걸치도록 지름방향 바깥쪽(전후방향) 및 시트 폭 방향 안쪽으로 개구하는 전후 한쌍의 피걸어맞춤부로서의 피걸어맞춤 오목부(44)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피걸어맞춤 오목부(44)에서의 상하방향에 대향하는 한쌍의 벽부가 각각 걸어맞춤벽(44A)이 되고, 시트 폭 방향 안쪽을 향하는 벽부가 스토퍼벽(44B)으로 되어 있다. 각 피걸어맞춤 오목부(44)는, 상하방향의 개구 폭, 지름방향의 깊이가 각각 조작 하중 입력부(28)의 피걸어맞춤 오목부(32)에서의 대응하는 치수와 동등하게 되어 있고, 리클라이닝 해제 플레이트(38) 및 조작 하중 입력부(28)의 쌍방에 조작력이 부여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각각 대응하는 피걸어맞춤 오목부(32)와 대향하여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량용 시트(10)는, 리클라이닝 기구(20) 및 시트 리프터(22)를 독립하여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45)를 구비하고 있고, 조작부(45)는, 단일의 조작부재로서의 조작레버(30)를 가지고 구성되어 있다. 조작레버(30)는, 시트 쿠션(12)의 측단부에 설치되어 있고, 시트 리프터(22)측의 조작 하중 입력부(28)에 조작력을 부여하는 제 1 기설정된 위치와, 리클라이닝 기구(20)측의 리클라이닝 해제 플레이트(38)에 조작력을 부여하는 제 2 기설정된 위치를 선택적으로 취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레버(30)는, 전후방향으로 길게 되어 있고, 그 전단측이 조작부(30A)가 됨과 동시에, 그 후단측에는 시트 폭 방향을 따르는 축선을 가지는 짧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피지지부(30B)가 설치되어 있다. 조작레버(30)의 피지지부(30B)는, 레버캡(46)을 거쳐, 샤프트(34)에 회전 자유롭게 축 지지되어 있다. 레버캡(46)은, 원판형상으로 형성되어 피지지부(30B)의 시트 폭 방향 바깥쪽의 개구단을 폐지하는 커버부(46A)와, 커버부(46A)의 축심부로부터 시트 폭 방향 안쪽으로 돌출 설치된 원통형상의 피지지 보스부(46B)와, 커버부(46A)의 둘레 가장자리 근방으로부터 피지지 보스부(46B)와 동축적(同軸的)이면서 시트 폭 방향 안쪽으로 돌출 설치된 레버 지지 보스부(46C)를 주요 구성부로 하고 있다. 이 레버캡(46)은, 피지지 보스부(46B)가 샤프트(34)의 선단부에 헐겁게 끼워져 상기 샤프트(34)에 대하여 회전 자유롭게 축 지지되어 있다.
또, 레버캡(46)은, 피지지부(30B)의 시트 폭 방향 바깥 끝측에서 레버 지지 보스부(46C)에 끼워 맞춘 조작레버(30)를 회동 자유롭게 축 지지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조작레버(30)는, 펌프식 리프터 기구(22F)의 샤프트(34)에 대하여, 조작 하중 입력부(28) 및 리클라이닝 해제 플레이트(38)는 독립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구성이다. 또한, 조작레버(30)는, 피지지 보스부(46B)와 샤프트(34)와의 슬라 이딩에 의하여 상기 샤프트(34)에 대한 축선방향의 상대 변위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조작레버(30)의 피지지부(30B)에서의 시트 폭 방향의 안쪽 개구단으로부터는, 각각 걸어맞춤부로서 전후 한쌍의 걸어맞춤 돌기(48)가 지름방향 안쪽으로 돌출 설치되어 있다. 조작레버(30)는,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 한쌍의 걸어맞춤 돌기(48)를 대응하는 피걸어맞춤 오목부(32)에 들어가게 하는 위치가 제 1 기설정된 위치가 되고,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 한쌍의 걸어맞춤 돌기(48)를 대응하는 피걸어맞춤 오목부(44)에 들어가게 하는 위치가 제 2 기설정된 위치로 되어 있다. 조작부(45)에서는, 조작레버(30)가 제 1 기설정된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 전후 한쌍의 걸어맞춤 돌기(48)는 각각 대응하는 피걸어맞춤 오목부(44)로부터 빠져나오고, 조작레버(30)가 제 2 기설정된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 전후 한쌍의 걸어맞춤 돌기(48)는 각각 대응하는 피걸어맞춤 오목부(32)로부터 빠져나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레버(30)는, 상기한 샤프트(34)에 대한 축선방향의 상대 변위에 의하여 제 1 기설정된 위치의 선택 상태(이하, 리프터 선택 상태라 한다)와 제 2 기설정된 위치의 선택 상태(이하, 리클라이닝 선택 상태라 한다)를 변환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제 1 기설정된 위치와 제 2 기설정된 위치와의 사이에 이동에 따라, 전후 한쌍의 걸어맞춤 돌기(48)가 피걸어맞춤 오목부(32), 피걸어맞춤 오목부(44)의 어느 쪽으로부터도 빠져나온 위치를 통과하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제 1 기설정된 위치와 제 2 기설정된 위치와의 사이의 이동 궤 적 상에 걸어맞춤 돌기(48)가 피걸어맞춤 오목부(32), 피걸어맞춤 오목부(44)의 양쪽으로 들어가는 영역이 존재하지 않게 된다.
리프터 선택 상태의 조작레버(30)를 화살표 D 또는 화살표 E 방향으로 회동 조작하면, 각 걸어맞춤 돌기(48)가 들어가 있는 피걸어맞춤 오목부(32)의 상하의 걸어맞춤벽(32A)에 걸어 맞추어져, 상기 조작레버(30)의 회동 조작력이 조작 하중 입력부(28), 즉 펌프식 리프터 기구(22F)에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리클라이닝 선택 상태의 조작레버(30)를 화살표 D 방향으로 회동하면, 각 전후 한쌍의 걸어맞춤 돌기(48)가 들어가 있는 피걸어맞춤 오목부(44)의 상하 어느 한쪽의 걸어맞춤벽(44A)에 걸어 맞추어져, 상기 조작레버(30)의 회동 조작력에 의하여 리클라이닝 해제 플레이트(38)가 화살표 F 방향으로 회동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조작부(45)에서는, 조작레버(30)는 조작력이 입력되지 않은 비조작 상태에서는 리프터 선택 상태를 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레버(30)를 제 1 기설정된 위치로 치우치게 하는 가세부재로서의 인장 코일 스프링(50)을 구비하고 있다. 인장 코일 스프링(50)의 양쪽 끝에는, 각각 걸어멈춤부(50A)가 형성되어 있다. 이 인장 코일 스프링(50)은, 그 안쪽에 리클라이닝 해제 플레이트(38)의 피지지 보스부(38B), 레버캡(46)의 피지지 보스부(46B)를 각각 들어가게 한 상태에서, 이들 피지지 보스부(38B), 피지지 보스부(46B)에 형성된 걸어멈춤 구멍(38D, 46D)(도 1 참조)에 다른 걸어멈춤부(50A)를 걸어멈추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조작레버(30)는, 시트 폭 방향 안쪽 방향으로 작용하는 인장 코일 스프링(50)의 가세력에 의하여, 제 1 기설정된 위치로 치우쳐 있다. 이 상태에서 전후 한쌍의 걸어맞춤 돌기(48)가 대응하는 피걸어맞춤 오목부(32)의 스토퍼벽(32B)에 걸어맞춤으로써, 조작레버(30)가 제 1 기설정된 위치에 유지되는 구성이다. 따라서, 조작부(45)에서는, 리클라이닝 기구(20)의 록 상태를 해제할 때에는, 인장 코일 스프링(50)의 가세력에 저항하여 조작레버(30)를 시트 폭 방향 바깥쪽(도 3 내지 도 5 에 나타내는 화살표 G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제 1 기설정된 위치로부터 화살표 G 방향으로 이동한 조작레버(30)는, 전후 한쌍의 걸어맞춤 돌기(48)가 대응하는 피걸어맞춤 오목부(44)의 스토퍼벽(44B)에 걸어맞춤으로써, 제 2 기설정된 위치에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 인장 코일 스프링(50)을 레버캡(46)과 리클라이닝 해제 플레이트(38)에 걸어멈추었기 때문에, 리프터 조작시에 인장 코일 스프링(50)에 비틀림 방향의 하중이 입력되는 것이 방지되어 있다. 또한, 도 2, 도 3B,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레버(30)의 피지지부(30B)의 개구 지름은, 리클라이닝 해제 플레이트(38)의 암부(38C)를 포함하는 최대 높이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조작부(45)에서는, 조작레버(30), 리클라이닝 해제 플레이트(38), 인장 코일 스프링(50), 레버캡(46)의 순서로 조립을 행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전후 한쌍의 피걸어맞춤 오목부(32)와 걸어맞춤 돌기(48)를, 이 조립시에 조작레버(30)의 임시 유지를 행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 쿠션(12)[시트 쿠션 프레임(16)]의 측단부는, 커버부재(52)(도 3, 도 4에서는 도시 생략)에 의하여 피복되어 있고, 조작레 버(30)는 커버부재(52)의 바깥쪽에 배치되어 있다. 커버부재(52)와 조작레버(30)(의 적어도 하부)와의 사이에는, 손가락을 끼워넣기 위한 간극이 설정되어 있다.
다음에, 실시형태의 작용을 설명한다.
상기의 구성의 차량용 시트(10)에서는, 착좌자가 착좌 높이를 높게 하는 방향으로 조정할 때에는, 착좌자는, 인장 코일 스프링(50)의 가세력에 의하여 전후 한쌍의 걸어맞춤 돌기(48)가 피걸어맞춤 오목부(32)에 들어가 있는 리프터 선택 상태인 채로, 예를 들면 조작레버(30)의 조작부(30A)를 파지하면서 또는 조작부(30A)의 하면에 손가락을 걸면서, 상기 조작레버(30)를 중립 위치와 상측 조작 위치와의 사이에서 요동(왕복 회동)시킨다. 조작레버(30)의 조작 중 중립 위치로부터 상측 조작 위치를 향하는 동작을 동반하는 조작력이, 전후 한쌍의 걸어맞춤 돌기(48), 피걸어맞춤 오목부(32)[걸어맞춤벽(32A)]를 거쳐 조작 하중 입력부(28), 즉 펌프식 리프터 기구(22F)에 전달되어, 시트 쿠션(12) 즉 차량용 시트(10)가 전체로서 위쪽으로 변위한다. 원하는 높이에서 조작레버(30)의 조작을 정지하면, 시트 리프터(22)에 의하여 시트 쿠션(12)의 높이가 조정한 높이에 유지된다.
마찬가지로, 착좌자가 착좌 높이를 낮게 하는 방향으로 조정할 때에는, 착좌자는, 리프터 선택 상태인 채로, 예를 들면 조작레버(30)의 조작부(30A)를 파지하면서 또는 조작부(30A)의 상면에 손바닥을 얹으면서, 상기 조작레버(30)를 중립 위치와 하측 조작 위치와의 사이에서 요동(왕복 회동)시킨다. 조작레버(30)의 조작 중 중립 위치로부터 하측 조작 위치를 향하는 동작을 동반하는 조작력이, 전후 한 쌍의 걸어맞춤 돌기(48), 피걸어맞춤 오목부(32)[걸어맞춤벽(32A)]를 거쳐 조작 하중 입력부(28), 즉 펌프식 리프터 기구(22F)에 전달되어, 시트 쿠션(12), 즉 차량용 시트(10)가 전체로서 아래쪽으로 변위한다. 원하는 높이에서 조작레버(30)의 조작을 정지하면, 시트 리프터(22)에 의하여 시트 쿠션(12)의 높이가 조정한 높이로 유지된다.
한편, 착좌자가 시트백(14)의 시트 쿠션(12)에 대한 각도를 조정할 때에는, 착좌자는, 예를 들면 조작레버(30)와 커버부재(52)와의 사이에 아래쪽에서 손가락을 끼워넣으면서, 상기 조작레버(30)를 화살표 G 방향으로 이동하여, 전후 한쌍의 걸어맞춤 돌기(48)가 대응하는 피걸어맞춤 오목부(44)에 들어가는 리클라이닝 선택 상태로 변환한다(제 2 기설정된 위치로 이동한다). 이 리클라이닝 선택 상태를 유지한 채 조작부(30A)를 위쪽으로 끌어올리면, 조작레버(30)의 화살표 D 방향으로의 회동 조작력이 전후 한쌍의 걸어맞춤 돌기(48), 피걸어맞춤 오목부(44)[걸어맞춤벽(44A)]를 거쳐 리클라이닝 해제 플레이트(38)에 전달되고, 리클라이닝 해제 플레이트(38)가 화살표 F 방향으로 회동한다. 그렇게 하면, 리클라이닝 기구(20)의 록 해제 암(20F)이 화살표 A 방향으로 회동하고, 리클라이닝 기구(20)의 록이 해제된다.
착좌자는, 시트백(14)에 체중을 실어 상기 시트백(14)을 뒤로 경사지게 하여 원하는 위치에서 정지하고, 또는 리턴 스프링의 가세력으로 일어서는 시트백(14)을 원하는 위치에서 정지시킨다. 착좌자가 조작레버(30)로부터 상하방향의 조작력을 해제하면, 토션 스프링(20E)의 가세력에 의하여, 리클라이닝 기구(20)는 록 상태로 복귀한다. 또, 시트 폭 방향 바깥쪽의 조작력을 해제하면, 조작레버(30)는 인장 코일 스프링(50)의 가세력에 의하여 리프터 선택 상태로 복귀한다.
여기서, 조작부(45)를 구비한 차량용 시트(10)에서는, 단일의 조작레버(30)에 의하여 리클라이닝 기구(20) 및 시트 리프터(22)를 독립하여(선택적으로) 조작하여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착좌자에게 있어서 조작성이 양호한 위치에 조작레버(30)를 배치하여, 이들 리클라이닝 기구(20) 및 시트 리프터(22)의 조작성을 양립하는 구성이 실현되었다.
이 점을 도 8에 나타내는 비교예와의 비교로 설명하면, 상기 비교예에 관한 시트(200)에서는, 시트 높이 조정용의 리프터 노브(202)와, 리클라이닝 록 해제용의 리클라이닝 레버(204)는, 서로 독립하여 조작되도록, 착좌자에 의한 피조작부(202A, 204A)가 크게 이간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조정용의 리프터 노브(202), 리클라이닝 레버(204)의 각각 대하여, 필요 최저한의 치수, 독립된 조작 스페이스를 확보할 필요가 있고, 이들 리프터 노브(202), 리클라이닝 레버(204)의 치수 형상이나 배치에 대한 제약이 크다. 구체적으로는, 시트(200)에서는, 착좌자에게 있어서 조작성이 좋은 위치에는, 피조작부(202A, 204A)의 어느 한쪽 밖에 배치할 수 없고, 이 비교예에서는, 리클라이닝 레버(204)는, 그 위치가 시트 뒷부분이기 때문에 손이 닿기 어렵고, 조작시에 손이 시트 벨트 장치(206)(버클 걸어멈춤부) 등이 간섭할 우려도 있다. 또, 리프터 노브(202), 리클라이닝 레버(204)는 모두 암 길이(전후 길이)가 짧게 제한되기 때문에, 조작력의 경감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리프터 노브(202), 리클라이닝 레버(204)의 상기한 제약의 범위에서 각 기능 의 확보가 우선되기 때문에, 시트(200)는 의장, 설계의 자유도가 적다.
이와 같이, 차량용 시트에서, 착좌자에게 있어서 조작성이 양호한 범위는 한정되지만, 차량용 시트(10)에서는, 조작레버(30)를 리클라이닝 기구(20)와 시트 리프터(22)로 공통화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조작레버(30)의 배치나 크기에 대한 제약이 저감되고, 의장을 포함하는 설계 자유도의 향상이 도모되었다. 구체적으로는, 단일의 조작레버(30)를 시트 벨트 장치와의 간섭을 피하고 또한 손가락이 닿기 쉬운 적절한 위치[리프터 노브(202)보다도 뒤쪽]에 배치하여 리클라이닝 기구(20) 및 시트 리프터(22)의 조작성을 확보, 향상하였다. 또, 조작레버(30)는, 암 길이의 설정의 자유도가 높기 때문에, 조작력이나 조작 스트로크를 용이하고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비교적 긴 조작레버(30)를 채용함으로써, 조작력의 저감이 도모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차량용 시트(10)에서는, 리클라이닝 기구(20) 및 시트 리프터(22)의 조작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조작부의 수를 감소할 수 있었기 때문에, 리클라이닝 기구(20) 및 시트 리프터(22) 이외의 피조정부의 조작부의 배치나 치수 형상에 대한 제약도 적어져, 이들을 조작성이 양호한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조작부의 수를 감소할 수 있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의장의 자유도가 높아질 뿐 아니라, 외관이 향상된다.
또, 차량용 시트(10)에서는, 조작레버(30)의 위치에 따라 리프터 선택 상태와 리클라이닝 선택 상태를 변환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변환 전용의 조작부를 조작할 필요가 없고, 변환 및 피조정부의 조정을 포함하는 일련의 조작이 단순하게 된 다. 또한, 조작레버(30)의 조작방향은, 리클라이닝 기구(20)를 조정하는 경우 및 시트 리프터(22)를 조정하는 경우의 어느 쪽에서도, 조작부(30A)의 전단을 상하방향으로 변위시키는 샤프트(34) 주위의 회동방향이고, 조작자(착좌자)에게 위화감을 주지 않고, 리클라이닝 기구(20) 및 시트 리프터(22)의 양자를 단일의 조작레버(30)로 조작시킬 수 있다. 한편, 리프터 선택 상태와 리클라이닝 선택 상태를 변환할 때의 조작레버(30)의 조작방향은, 리클라이닝 기구(20) 및 시트 리프터(22)의 조정시의 조작방향과는 다르기 때문에, 착좌자가 의도하지 않은 조작이 행하여지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차량용 시트(10)에서는, 조작 하중 입력부(28)의 피걸어맞춤 오목부(32), 리클라이닝 해제 플레이트(38)의 피걸어맞춤 오목부(44)에 대한, 조작레버(30)에 설치한 전후 한쌍의 걸어맞춤 돌기(48)의 진퇴에 의하여 리프터 선택 상태와 리클라이닝 선택 상태를 변환하기 때문에, 간단한 구조로, 착좌자의 의도하지않은 조작이 방지되는 기능이 실현되어 있다. 특히, 조작레버(30)는, 통상은 인장 코일 스프링(50)의 가세력에 의하여 제 1 기설정된 위치에 유지되기 때문에, 조작레버(30)의 위치를 확인하지 않고 리클라이닝 기구(20) 또는 시트 리프터(22)를 조정할 수 있다. 또, 리클라이닝 기구(20)의 조정 후에 조작레버(30)가 리프터 선택 상태로 복귀하기 때문에, 조작성이 양호하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조작레버(30)의 시트 폭 방향의 변위에 의하여 리프터 선택 상태와 리클라이닝 선택 상태를 변환하는 예를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조작레버(30)의 전후방향의 변위에 의하여 리프 터 선택 상태와 리클라이닝 선택 상태를 변환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인장 코일 스프링(50)의 가세력에 의하여 통상은 리프터 선택 상태가 되는 예를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통상은 리클라이닝 선택 상태가 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각각 제 1 또는 제 2 피조정부로서 시트 리프터(22), 리클라이닝 기구(20)를 구비한 예를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조작레버(30) 등의 조작에 의한 조정 대상을 다른 피조정부로 하여 구성하여도 된다. 다른 피조정부에서는, 예를 들면, 시트백(14)의 시트 쿠션(12)의 앞 부분의 후부에 대한 높이를 조정하기 위한 시트 앞부분 틸트 기구나 플로어에 대한 좌면 각도를 조정하기 위한 좌면각 조정기구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이 차량용 시트(10)로서 적용된 예를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각종 승차용 시트나 안락 의자, 사무의자 등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Claims (7)

  1. 착좌하기 위한 시트 본체에 설치되고, 전달되는 조작력에 의하여 조정되는 제 1 피조정부와,
    상기 시트 본체에 설치되고, 전달되는 조작력에 의하여 조정되는 제 2 피조정부와,
    착좌자의 조작에 의한 조작력을 상기 제 1 피조정부에 전달 가능한 제 1 기설정된 위치와, 착좌자의 조작에 의한 조작력을 상기 제 2 피조정부에 전달 가능한 제 2 기설정된 위치를 취할 수 있는 조작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조작부재는, 상기 제 1 기설정된 위치와 제 2 기설정된 위치와의 사이의 이동방향이, 제 1 피조정부에 조작력을 부여할 때의 조작방향 및 제 2 피조정부에 조작력을 부여할 때의 조작방향의 각각과 다른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는, 상기 시트 본체를 구성하는 시트 쿠션의 측부에 설치됨과 함께 상기 시트 쿠션에 대하여 시트 폭 방향을 따르는 축선 주위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축선 주위의 회동 조작력을 상기 제 1 피조정부 또는 제 2 피조정부에 전달하고, 또한 상기 시트 폭 방향을 따른 변위에 의하여 상기 제 1 기설정된 위치와 제 2 기설정된 위치를 변환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는, 시트 전후방향의 후단 측이 상기 시트 쿠션에 대하여 시트 폭 방향을 따르는 축선 주위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시트 전후방향의 전단 측에 상향 또는 하향의 조작력이 부여되는 레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는, 걸어맞춤부를 가지고,
    상기 걸어맞춤부는, 상기 제 1 기설정된 위치에서 상기 제 1 피조정부의 피걸어맞춤부에 조작력 전달 가능하게 걸어맞춤과 함께 상기 제 2 피조정부의 피걸어맞춤부와의 걸어맞춤이 해제되고, 또한, 상기 제 2 기설정된 위치에서 상기 제 1 피조정부의 피걸어맞춤부와의 걸어맞춤이 해제됨과 함께 상기 제 2 피조정부의 피걸어맞춤부에 조작력이 전달 가능하게 걸어 맞춰지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를 상기 제 1 기설정된 위치로 치우치게 하는 가세부재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피조정부 및 제 2 피조정부의 어느 한쪽은, 상기 시트 본체의 상하방향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높이 조정기구이고,
    상기 제 1 피조정부 및 제 2 피조정부의 다른 쪽은, 시트 쿠션에 대한 시트백의 각도의 록 상태와 록 해제 상태를 변환하기 위한 리클라이닝 기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7. 삭제
KR1020087020897A 2006-01-27 2007-01-25 시트 KR1010216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019195 2006-01-27
JP2006019195A JP4182984B2 (ja) 2006-01-27 2006-01-27 シー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1262A KR20080091262A (ko) 2008-10-09
KR101021666B1 true KR101021666B1 (ko) 2011-03-17

Family

ID=38309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0897A KR101021666B1 (ko) 2006-01-27 2007-01-25 시트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162404B2 (ko)
EP (1) EP1939032B1 (ko)
JP (1) JP4182984B2 (ko)
KR (1) KR101021666B1 (ko)
CN (1) CN101370687B (ko)
DE (1) DE602007005971D1 (ko)
WO (1) WO200708646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67352A (zh) * 2014-12-05 2016-06-15 大一其株式会社 可分离的靠背倾角可调式汽车座椅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94143A (en) 1994-06-02 1997-12-02 Accelerix Limited Single chip frame buffer and graphics accelerator
JP4224069B2 (ja) * 2006-01-27 2009-02-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シート
JP4182984B2 (ja) 2006-01-27 2008-11-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シート
JP4182983B2 (ja) * 2006-01-27 2008-11-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シート
DE102006047398A1 (de) * 2006-10-06 2008-05-21 Lear Corporation, Southfield 2-in-1-Bedienungshebel
JP5187119B2 (ja) 2008-10-10 2013-04-24 トヨタ紡織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の操作レバー構造体
US8496098B1 (en) * 2008-12-23 2013-07-30 Crh North America, Inc. Manual seat height adjuster mechanism
JP5544982B2 (ja) 2010-03-31 2014-07-09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調整装置
CN103153693B (zh) 2010-10-12 2016-02-10 提爱思科技股份有限公司 车辆座椅
JP5591664B2 (ja) 2010-11-29 2014-09-17 トヨタ紡織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KR101210155B1 (ko) 2010-12-07 2012-12-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시트의 쿠션 연동 백 리클라이닝 장치
JP5582061B2 (ja) * 2011-02-16 2014-09-03 トヨタ紡織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US20140157939A1 (en) 2011-12-09 2014-06-12 Grand Rapids Controls Company, Llc Release mechanism
US20140144278A1 (en) 2011-12-09 2014-05-29 Mark G. Tomandl Release mechanism
DE102012001278A1 (de) * 2012-01-25 2013-07-2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Verstellsystem, Kraftfahrzeugsitz, Kraftfahrzeug und Verfahren hierzu
DE102012013208B4 (de) 2012-05-07 2019-07-25 Adient Luxembourg Holding S.À R.L. Sitzteil eines Fahrzeugsitzes
DE102012008822A1 (de) * 2012-05-07 2013-11-0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d. Ges. d. Staates Delaware) Verstellvorrichtung, Kraftfahrzeugsitz, Kraftfahrzeug und Verfahren hierzu
KR101712802B1 (ko) * 2012-05-07 2017-03-07 존슨 컨트롤스 테크놀러지 컴퍼니 차량 시트를 수직방향으로 조절하는 시트 조절 장치
WO2014012866A1 (de) * 2012-07-18 2014-01-23 Johnson Controls Gmbh Verstelleinheit für einen fahrzeugsitz und fahrzeugsitz
CN102813392A (zh) * 2012-08-16 2012-12-12 中山凯美日用品有限公司 一种座椅之椅背角度调整定位装置
CN102805502B (zh) * 2012-08-17 2015-06-03 上海延锋江森座椅有限公司 一种折叠调角机构
JPWO2014038678A1 (ja) * 2012-09-06 2016-08-12 日本発條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CN104780811B (zh) * 2012-11-19 2018-02-16 提爱思科技股份有限公司 操作杆、座椅装置和操作部结构
KR101491884B1 (ko) * 2012-11-29 2015-02-11 주식회사다스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
US9061606B2 (en) * 2013-04-03 2015-06-23 AISIN Technical Center of America, Inc. Electric release manual seat
JP6186158B2 (ja) * 2013-04-03 2017-08-23 日本発條株式会社 シート操作装置及び車両用シート
US9168847B2 (en) * 2014-01-16 2015-10-27 Sears Manufacturing Co. Horizontal action seat tilt mechanism and bezel
JP2015136482A (ja) * 2014-01-22 2015-07-30 株式会社タチエス 車両用シート
EP2921339B1 (de) * 2014-03-03 2018-04-18 Adient Luxembourg Holding S.à r.l. Betätigungsmechanismus zur Sitzverstellung und Fahrzeugsitz mit einem Betätigungsmechanismus
JP6223901B2 (ja) 2014-04-25 2017-11-01 トヨタ紡織株式会社 乗物用シート
DE102014208342A1 (de) * 2014-05-05 2015-11-05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Entriegelungshebel für eine Sitzverstellung eines Fahrzeugsitzes und Fahrzeugsitz
JP6393105B2 (ja) * 2014-07-23 2018-09-19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US9216667B1 (en) * 2014-09-09 2015-12-22 Ts Tech Co., Ltd. Vehicle seat
KR101642604B1 (ko) 2014-12-05 2016-07-26 이지영 카시트의 경사조절장치
CN107848626B (zh) * 2015-04-08 2021-03-23 赛峰座椅美国有限责任公司 通用休息座椅
KR101658315B1 (ko) * 2015-05-20 2016-10-04 주식회사다스 리클라이너 레버 장치
JP6471638B2 (ja) * 2015-07-31 2019-02-20 トヨタ紡織株式会社 乗物用シート
JP6470656B2 (ja) * 2015-07-31 2019-02-13 トヨタ紡織株式会社 乗物用シート
CN105172625A (zh) * 2015-08-13 2015-12-23 柳州市嘉泰裕华汽车零部件有限公司 机动车座椅升降摇把
FR3042157B1 (fr) * 2015-10-12 2018-08-03 Renault S.A.S. Siege equipe d'une commande amelioree
DE102016010648A1 (de) 2016-09-02 2018-03-0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 d. Staates Delaware) Kraftfahrzeug
DE102017006580A1 (de) 2017-07-12 2019-01-1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 d. Staates Delaware) Kraftfahzeug
JP7088756B2 (ja) * 2018-06-22 2022-06-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操作装置
DE102018218192A1 (de) * 2018-10-24 2020-04-30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npassen einer Position einer Sitzeinrichtung eines Fahrzeugs bei und/oder vor einem Umschalten des Fahrzeugs von einem automatisierten Fahrmodus in einen manuellen Fahrmodus
US11186204B2 (en) * 2020-02-18 2021-11-3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seating arrangement having remote fold-flat capabilities
CN113103933B (zh) * 2021-05-28 2022-03-04 延锋国际座椅系统有限公司 一种稳定折叠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86247U (ja) * 1984-05-21 1985-12-10 マツダ株式会社 自動車のシ−ト装置
JPH0826007A (ja) * 1994-07-19 1996-01-30 Isuzu Motors Ltd 車両用シートのリフタ機構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53069A (en) 1972-10-25 1976-04-27 Nissan Motor Company Limited Vehicle seat back tilt control mechanism
GB1455431A (en) 1973-02-14 1976-11-10 Fuji Kiko Kk Reclining seat device for motor car
FR2288645A1 (fr) 1974-02-20 1976-05-21 Peugeot & Renault Siege a dossier rabattable pour vehicule
JPS5551310Y2 (ko) 1976-11-01 1980-11-29
DE3017433A1 (de) 1980-05-07 1981-11-12 P.A. Rentrop Hubbert & Wagner, Fahrzeugausstattungen GmbH &Co KG, 3060 Stadthagen Beschlag an einem sitz, insbesondere kraftfahrzeugsitz
JPS5755107A (en) 1980-09-20 1982-04-01 Toyo Kogyo Co Reclining apparatus of seat
JPS58105711A (ja) 1981-12-19 1983-06-23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用座席
DE3319397C2 (de) * 1983-05-28 1986-12-18 P.A. Rentrop, Hubbert & Wagner Fahrzeugausstattungen Gmbh & Co Kg, 3060 Stadthagen Gelenkbeschlag für einen Sitz mit verstellbarer Rückenlehne, insbesondere Kraftfahrzeugsitz
DE3320003A1 (de) * 1983-05-31 1984-12-06 Gebr. Isringhausen, 4920 Lemgo Vorrichtung zur betaetigung von bowdenzuegen, insbesondere fuer bowdenzugbetaetigte verstellbare fahrzeugsitze
FR2556946B1 (fr) 1983-10-25 1986-12-12 Sable Siege mobile, notamment siege amovible pour vehicule
US4653807A (en) 1984-05-18 1987-03-31 Mazda Motor Corporation Adjustable seat assembly
JPS615976A (ja) 1984-06-19 1986-01-11 Hitachi Ltd リボンカセツトたるみ防止機構
FR2596529B1 (fr) 1986-03-28 1988-05-13 Thomson Csf Guide d'onde optique en materiau semiconducteur, laser appliquant ce guide d'onde et procede de realisation
JPS6336423A (ja) 1986-07-31 1988-02-17 Nec Corp Lcd内蔵キ−スイツチ
JP2581771B2 (ja) 1988-07-26 1997-02-12 松下電工株式会社 無刷子電動機
CA1293681C (en) 1988-12-28 1991-12-31 George Croft Adjustable latching device with memory feature for vehicle seat assemblies
JPH04854A (ja) 1990-03-02 1992-01-06 Nec Corp ファクシミリ・システム
US5393116A (en) 1993-10-25 1995-02-28 General Motors Corporation Van-type vehicle multi-positional seat
FR2722739B1 (fr) 1994-07-22 1996-09-27 Faure Bertrand Equipements Sa Perfectionnements aux articulations pour sieges de vehicules
JPH08268128A (ja) * 1995-03-28 1996-10-15 East Japan Railway Co 調整機構付シート装置
US5597206A (en) 1995-10-31 1997-01-28 Douglas & Lomason Company Easy entry seat adjuster
US5700055A (en) 1996-02-26 1997-12-23 Lear Corporation Seat back automatic height adjustor and recliner mechanism
JPH1071046A (ja) 1996-06-26 1998-03-17 Aisin Seiki Co Ltd シート装置
US5788330A (en) 1997-03-27 1998-08-04 Fisher Dynamics Corporation Seat hinge mechanism with easy entry memory feature
CA2243166C (en) 1997-07-15 2006-02-07 Magna Lomason Corporation Ring type recliner
FR2770181B1 (fr) 1997-10-27 1999-12-10 Renault Dispositif de commande selective de l'une ou l'autre d'au moins deux fonctions d'un mecanisme de vehicule automobile
JP3415057B2 (ja) 1999-03-08 2003-06-09 株式会社タチエス シートリフターおよびラチェット式レバー機構
FR2795688B1 (fr) 1999-07-02 2001-09-07 Faure Bertrand Equipements Sa Siege de vehicule equipe d'un mecanisme d'articulation
JP2001130294A (ja) 1999-11-09 2001-05-15 Fuji Kiko Co Ltd 車両用シート
DE10015772C1 (de) 2000-03-30 2001-06-07 Faure Bertrand Sitztech Gmbh Betätigungsvorrichtung zum Verstellen von Einstellpositionen eines Kraftfahrzeugsitzes
FR2822419B1 (fr) 2000-12-29 2003-07-04 Faurecia Sieges Automobile Siege de vehicule equipe d'un mecanisme d'articulation
FR2820696B1 (fr) 2001-02-15 2003-08-08 Faurecia Sieges Automobile Siege de vehicule dote d'un dossier rabattable
JP4104601B2 (ja) 2005-02-14 2008-06-18 トヨタ車体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KR100737599B1 (ko) 2005-11-04 2007-07-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펌핑레버와 일체로 형성된 리클라이너 레버
KR100601809B1 (ko) 2005-12-21 2006-07-19 주식회사 오스템 차량용 시트의 폴딩 리클라이너
JP4182983B2 (ja) 2006-01-27 2008-11-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シート
JP4224069B2 (ja) 2006-01-27 2009-02-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シート
JP4182984B2 (ja) 2006-01-27 2008-11-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シート
DE102006047398A1 (de) 2006-10-06 2008-05-21 Lear Corporation, Southfield 2-in-1-Bedienungshebe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86247U (ja) * 1984-05-21 1985-12-10 マツダ株式会社 自動車のシ−ト装置
JPH0826007A (ja) * 1994-07-19 1996-01-30 Isuzu Motors Ltd 車両用シートのリフタ機構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67352A (zh) * 2014-12-05 2016-06-15 大一其株式会社 可分离的靠背倾角可调式汽车座椅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086467A1 (ja) 2007-08-02
US8162404B2 (en) 2012-04-24
DE602007005971D1 (de) 2010-06-02
JP4182984B2 (ja) 2008-11-19
EP1939032A4 (en) 2009-07-22
JP2007196897A (ja) 2007-08-09
CN101370687A (zh) 2009-02-18
US20100109406A1 (en) 2010-05-06
CN101370687B (zh) 2011-06-01
EP1939032B1 (en) 2010-04-21
KR20080091262A (ko) 2008-10-09
EP1939032A1 (en) 2008-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1666B1 (ko) 시트
KR101014569B1 (ko) 시트
EP2363315B1 (en) Seat
KR101015986B1 (ko) 시트
JP4505028B2 (ja) シート
JP4758779B2 (ja) シートの操作装置及びシート
EP3902703A2 (en) Stow to floor seat assembly
JPH0563968U (ja) シート装置
KR100636026B1 (ko) 차량용 시트의 높이조절기구
WO2013018869A1 (ja) 車両用シート
JP5872385B2 (ja) 車両用シート
JP2780968B2 (ja) 自動車用のシート構造体
JP5872386B2 (ja) 車両用シート
JP2018079859A (ja) 車両用シート
JP2018079861A (ja) 車両用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