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5418B1 - 휴대 무선통신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무선통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5418B1
KR100995418B1 KR1020040007790A KR20040007790A KR100995418B1 KR 100995418 B1 KR100995418 B1 KR 100995418B1 KR 1020040007790 A KR1020040007790 A KR 1020040007790A KR 20040007790 A KR20040007790 A KR 20040007790A KR 100995418 B1 KR100995418 B1 KR 1009954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radio communication
antenna element
portable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7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1655A (ko
Inventor
이와이히로시
야마모토아츠시
야마다겐이치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40071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16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5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54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CFATTY ACIDS FROM FATS, OILS OR WAXES; CANDLES; 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 C11C5/00Candles
    • C11C5/002Ingredients
    • C11C5/004Ingredients dyes, pigments; products giving a coloured flam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CFATTY ACIDS FROM FATS, OILS OR WAXES; CANDLES; 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 C11C5/00Candles
    • C11C5/006Candles wicks, related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44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electric or magnetic characteristics of reflecting, refracting, or diffracting devices associated with the radiating el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01Q5/30Arrangements for providing operation on different wavebands
    • H01Q5/307Individual or coupled radiating elements, each element being fed in an unspecified way
    • H01Q5/342Individual or coupled radiating elements, each element being fed in an unspecified way for different propagation modes
    • H01Q5/357Individual or coupled radiating elements, each element being fed in an unspecified way for different propagation modes using a single feed point
    • H01Q5/364Creating multiple current path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01Q5/40Imbricated or interleaved structures; Combined or electromagnetically coupled arrangements, e.g. comprising two or more non-connected fed radiating el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과제)
양호한 안테나 특성을 유지한 채로, 휴대 무선통신 장치를 주머니에 넣어도 사용자가 불쾌감을 느끼지 않도록 하고, 목으로부터 늘어뜨릴 경우에 균형이 잡히게 잘 늘어뜨릴 수 있다.
(해결 수단)
힌지부(104)를 통해서 상측 프레임(102)과 하측 프레임(103)이 접힐 수 있는 휴대 무선통신 장치에서, 상측 프레임(102)과 하측 프레임(103) 중 적어도 한쪽의 적어도 일부는 프레임 도체부로서 도전성 재료로 형성된다. 프레임 도체부는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무선통신 회로(110)에 접속되어, 무선통신 회로(110)의 안테나의 적어도 일부로서 동작한다. 프레임 도체부는, 상측 프레임(102)과 하측 프레임(103) 중 적어도 한쪽의 유전체 프레임 위에 도체층을 형성해서 이루어진다. 또한, 상측 프레임(102) 또는 하측 프레임(103)에 대하여 2곳으로 연결된 붐부(910)을 구비하고, 상측 프레임(102) 또는 하측 프레임(103)과 붐부(910)와의 사이에 1개의 관통 구멍(910h)을 구비한다.
휴대 무선통신, 프레임, 안테나, 도체부, 붐

Description

휴대 무선통신 장치{PORTABLE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도 1(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폴더형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열린 상태에의 평면도이며, 도 1(b)는 도 1(a)의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1(c)는 도 1(a) 및 도 1(b)에서 이용하는 안테나 소자(112)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a)의 휴대 무선통신 장치에서의 안테나 소자(102A 및 901)와, 이들에 접속되는 무선통신 회로(110)의 회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제1 변형례에 따른 폴더형 휴대 무선통신 장치에서 이용하는 절연 링(201)의 평면도이며, 도 3(b)는 도 3(a)의 절연 링(201)을 구비한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a) 및 도 3(b)의 폴더형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안테나 장치에 대한 등가 회로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제2 변형례에 따른 폴더형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열린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며, 도 5(b)는 도 5(a)의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제3 변형례에 따른 폴더형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열린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며, 도 6(b)는 도 6(a)의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폴더형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열린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며, 도 7(b)는 도 7(a)의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변형례에 따른 폴더형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열린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며, 도 8(b)는 도 8(a)의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폴더형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열린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며, 도 9(b)는 도 9(a)의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0(a)는 도 9(a) 및 도 9(b)의 휴대 무선통신 장치에서 이용하는 힌지부(503)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0(b)는 도 10(a)의 힌지부(503)에 접속되는 끼움 원통부재(505) 및 여기에 접속되는 안테나 소자(504)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폴더형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열린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며, 도 11(b)는 도 11(a)의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2(a)는 도 11(a) 및 도 11(b)의 휴대 무선통신 장치에서 이용하는 한 쌍의 힌지부(603, 604)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2(b)는 도 12(a)의 힌지부 603에 접속되는 끼움 원통부재(606) 및 여기에 접속되는 안테나 소자(605)와, 도 12(a)의 힌지부 604에 접속되는 끼움 원통부재(606) 및 여기에 접속되는 안테나 소자(605) 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1(a) 및 도 11(b)의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힌지부(608)에 접속되는 무선통신 회로(110)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14(a)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의 변형례에 따른 폴더형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열린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며, 도 14(b)는 도 14(a)의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5(a)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폴더형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닫힌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며, 도 15(b)는 도 15(a)의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6은 도 15(a) 및 도 15(b)의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상측 프레임(702)을 반시계 방향으로 약 45도만큼 회전시켰을 때의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7(a)는 도 15(a) 및 도 15(b)의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열린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며, 도 17(b)는 도 17(a)의 휴대 무선 통신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8은 도 17(a)의 휴대 무선통신 장치에서의 안테나 소자(702A 및 901)와, 이들에 접속되는 무선통신 회로(110)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19(a)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의 변형례에 따른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열린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며, 도 19(b)는 도 19(a)의 휴대 무선통신 장치 측면도이다.
도 20은 도 19(b)의 평판 절연체(922) 부근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21은 도 19(a)의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다른 변형례를 나타내는 안테나 소자(921) 부근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22(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적용되는 제1 실시예로서,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상측 제2 프레임부(102b)의 내측면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22(b)는 도 22(a)의 상측 제2 프레임부(102b)의 내측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22(c)는 도 22(a)의 상측 제2 프레임부(102b)의 외측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3(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적용되는 제2 실시예이며,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상측 제1 프레임부(102a)의 내측면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23(b)는 도 23(a)의 상측 제1 프레임부(102a) 내측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23(c)는 도 23(a)의 상측 제1 프레임부(102a)의 외측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4(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적용되는 제3 실시예이며,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상측 제2 프레임부(102b)의 내측면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24(b)는 도 24(a)의 상측 제2 프레임부(102b)의 내측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24(c)는 도 24(a)의 상측 제2 프레임부(102b)의 외측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5(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적용되는 제4 실시예이며,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상측 제2 프레임부(102b)의 내측면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25(b)는 도 25(a)의 상측 제2 프레임부(102b)의 내측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25(c)는 도 25(a)의 상측 제2 프레임부(102b)의 외측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6(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적용되는 제5 실시예이며,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상측 제2 프레임부(102b)의 내측면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26(b)는 도 26(a)의 상측 제2 프레임부(102b)의 내측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26(c)는 도 26(a)의 상측 제2 프레임부(102b)의 외측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7(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적용되는 제6 실시예이며,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상측 제2 프레임부(102b)의 내측면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27(b)는 도 27(a)의 상측 제2 프레임부(102b)의 내측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27(c)는 도 27(a)의 상측 제2 프레임부(102b)의 외측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8(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적용되는 제7 실시예이며,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상측 제2 프레임부(102b)의 내측면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28(b)는 도 28(a)의 상측 제2 프레임부(102b)의 내측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28(c)는 도 28(a)의 상측 제2 프레임부(102b)의 외측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9(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적용되는 제8 실시예이며,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상측 제2 프레임부(102b)의 내측면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29(b)는 도 29(a)의 상측 제2 프레임부(102b)의 내측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29(c)는 도 29(a)의 상측 제2 프레임부(102b)의 외측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0(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적용되는 제9 실시예이며,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상측 제2 프레임부(102b)의 내측면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30(b)는 도 30(a)의 상측 제2 프레임부(102b)의 내측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30(c)는 도 30(a)의 상측 제2 프레임부(102b)의 외측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1(a)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적용되는 제10 실시예이며,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상측 프레임(702)을 떼어 냈을 때의 평면도이며, 도 31(b)는 도 31(a)의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2(a)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폴더형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닫힌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며, 도 32(b)는 도 32(a)의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3(a)는 도 32(a) 및 도 32(b)의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열린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며, 도 33(b)는 도 33(a)의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4는 도 32(a)의 휴대 무선통신 장치를 목으로부터 늘어뜨려서 사용할 경우에 대한 일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5(a)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의 변형례에 따른 폴더형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열린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며, 도 35(b)는 도 35(a)의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6(a)는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에 따른 폴더형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열린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며, 도 36(b)는 도 36(a)의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7(a)는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에 따른 폴더형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열린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며, 도 37(b)는 도 37(a)의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8(a)는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의 변형례에 따른 폴더형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열린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며, 도 38(b)는 도 38(a)의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9(a)는 본 발명의 제9 실시 형태에 따른 폴더형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닫힌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며, 도 39(b)는 도 39(a)의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0(a)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 형태에 따른 폴더형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닫힌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며, 도 40(b)는 도 40(a)의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1(a)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 형태의 변형례에 따른 폴더형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닫힌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며, 도 41(b)는 도 41(a)의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2(a)는 본 발명의 제11 실시 형태에 따른 폴더형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열린 상태에의 평면도이며, 도 42(b)는 도 42(a)의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다른 변형례에 따른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붐부(910)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44(a)는 본 발명의 제12 실시 형태에 따른 슬라이드형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44(b)는 도 44(a)의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5(a)는 본 발명의 제12 실시 형태의 변형례에 따른 슬라이드형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45(b)는 도 45(a)의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6(a)는 본 발명의 제13 실시 형태에 따른 스트레이트형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46(b)는 도 46(a)의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배면도이고, 도 46(c)는 도 46(a)의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7(a)는 본 발명의 제13 실시 형태의 변형례에 따른 스트레이트형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47(b)는 도 47(a)의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배면도이고, 도 47(c)는 도 47(a)의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 : 상측 프레임 102A : 안테나 소자
102a : 상측 제1 프레임부
102a-1 : 상측 제1 프레임부의 제1 부분
102a-2 : 상측 제1 프레임부의 제2 부분
102ap : 수지 프레임부 102am : 도체층
102b : 상측 제2 프레임부
102b-1 : 상측 제2 프레임부의 제1 부분
102b-2 : 상측 제2 프레임부의 제2 부분
102bp : 수지 프레임부 102bm : 도체층
102bm1 : 제1 도체층 102bm2 : 제2 도체층
102c, 102d : 상측 프레임 103 : 하측 프레임
103c, 103d : 하측 프레임 103cc, 103dc : 도체층
103p : 좌상 가장자리 단부 103q : 우상 가장자리 단부
103r : 돌출 원통부 104 : 힌지부
105 : 액정 디스플레이 106 : 소리 구멍부
107 : 마이크로폰 108 : 충전지
109 : 프린트 배선기판 110 : 무선통신 회로
111, 902 : 접속부 112, 901 : 안테나 소자
112a, 112b : 도체 링 113, 114 : 나사
115 : 나사받이부 115h : 원형 구멍
116 : 키패드 150 : 제어기
151 : 서큐레이터 152 : 무선수신기
153 : 무선송신기 154 : 스피커
181 : 슬라이드용 홈 182 : 슬라이드용 돌기부
191, 192 : 내장 안테나 소자 201 : 절연 링
211 : 안테나 소자 212 : 접속점
301 : 절연 시트 503 : 힌지부
503a : 원통부 503b, 503c : 다리부
504 : 안테나 소자 505 : 끼움 원통부재
603, 604 : 힌지부 603a, 604a : 원통부
603b, 604b : 다리부 605, 607 : 안테나 소자
606, 608 : 끼움 원통부재 609 : 접속점
610, 611 : 리액턴스 소자 612 : 안테나 소자
702 : 상측 프레임 702a : 상측 제1 프레임부
702b : 상측 제2 프레임부 702A : 안테나 소자
703 : 하측 프레임 704 : 2축 힌지부
704p : 수지층 704A : 수지 프레임부
704B : 도체층 705 : 키패드
706 : CCD 카메라 801, 803 : 접속부
802 : 안테나 소자 811 : 안테나 소자
812 : 접속점 910 : 붐부
910h : 관통 구멍 910s : 스트랩
911, 912 : 도체 안테나 소자층 913 : 접속부
921 : 평판 안테나 소자 922 : 평판 절연체
931, 933, 934, 935 : 슬롯 932 : 슬릿
951 : 헬리컬 안테나 952 : 내장 안테나 소자
961 : 접속점 962 : 안테나 소자
963 : 나사 964 : 나사받이부
SW1, SW2 : 스위치
본 발명은 프레임을 갖춘 휴대 무선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 전화기와 같은 휴대 무선통신 장치에 대해 소형화 및 박형화(薄 型化)가 급속히 진행되고 있다. 또한, 휴대 무선통신 장치는, 종래의 휴대 전화기로서 사용될 뿐만 아니라, 전자 메일의 송수신이나 WWW(World Wide Web: 월드 와이드 웹)에 의한 웹페이지의 열람 등을 실행하는 데이터 단말장치로 변모하고 있어서, 액정 디스플레이의 대형화가 진척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소형화에 적합하고, 또한 액정 디스플레이 화면의 대형화에 적합하다고 생각되는 폴더형의 휴대전화 단말이 보급되고 있다(예를 들어, 일본특허 공개공보 2001-156898호, 2002-084355호, 2002-335180호, 2002-299931호 및 일본특허 공표공보 2002-516503호 참조)
그러나, 외부 안테나가 상측 프레임으로부터 돌출하고 있기 때문에, 주머니에서 꺼낼 때에 걸리거나, 바지 주머니에 넣은 채 의자에 앉았을 때에 외부 안테나가 강하게 누르는 경우가 생기는 등, 사용자가 불쾌감을 느끼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주머니에 넣지 않고 목에 걸어서 늘어뜨릴 경우에는, 외부 안테나가 좌우 어느 한쪽 끝에 존재하는 비대칭 구조이기 때문에 무게 중심이 중앙에서 벗어나서, 균형감이 나빠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양호한 안테나 특성을 유지하면서, 휴대 무선통신 장치를 주머니에 넣어도 사용자가 불쾌감을 느끼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또한, 휴대 무선통신 장치를 목에 걸어서 늘어뜨릴 경우에 균형감이 좋게 늘어뜨릴 수 있는 휴대 무선통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무선통신 장치는, 프레임을 가지는 휴대 무선통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적어도 일부는 프레임 도체부로서 도전성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 도체부는 상기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무선통신 회로에 접속되어, 상기 무선통신 회로의 안테나의 적어도 일부로서 동작하고,
상기 휴대 무선통신 장치는, 상기 프레임에 대해 적어도 2곳에서 연결된 붐부를 가지며, 이로써 상기 프레임과 상기 붐부와의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관통 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휴대 무선통신 장치에서, 상기 안테나는 불평형형(不平衡型) 안테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휴대 무선통신 장치는 스트레이트형 휴대 무선통신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휴대 무선통신 장치는 슬라이드 기구를 통해 상측 프레임과 하측 프레임이 슬라이딩할 수 있는 슬라이드형 휴대 무선통신 장치이며,
상기 상측 프레임과 상기 하측 프레임 중 적어도 한쪽의 적어도 일부는, 프레임 도체부로서 도전성 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대신에, 상기 휴대 무선통신 장치는, 힌지부를 통해 상측 프레임과 하측 프레임이 접힐 수 있는 폴더형 휴대 무선통신 장치이며,
상기 상측 프레임과 상기 하측 프레임 중 적어도 한쪽의 적어도 일부는, 프레임 도체부로서 도전성 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휴대 무선통신 장치에서, 상기 프레임 도체부는 상기 프레임의 적어도 일부인 유전체 프레임 위에 도체층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도체층은 상기 유전체 프레임 위에 도체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도체층은 상기 유전체 프레임의 양면 위에 각각 다른 도체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안테나는 복수의 주파수대에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체층은, 서로 다른 전기 길이를 가지는 복수의 도체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안테나는 복수의 주파수대에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체층에 형성된 슬롯 또는 슬릿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휴대 무선통신 장치에서, 상기 상측 프레임은, 상측 제1 프레임부와 상측 제2 프레임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측 제1 프레임부와 상기 상측 제2 프레임부 중 적어도 한쪽은 프레임 도체부로서 도전성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 도체부는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안테나의 적어도 일부로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대신에, 상기 하측 프레임은 하측 제1 프레임부와 하측 제2 프레임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측 제1 프레임부와 상기 하측 제2 프레임부 중 적어도 한쪽은 프레임 도체부로서 도전성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 도체부는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안테나의 적어도 일부로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휴대 무선통신 장치에서, 상기 힌지부의 적어도 일부는 힌지 도체부로서 도전성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힌지 도체부는 상기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무선통신 회로에 접속되어, 상기 무선통신 회로의 안테나의 적어도 일부로서 동작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대신에, 상기 힌지부의 적어도 일부는 힌지 도체부로서 도전성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힌지 도체부는 상기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안테나의 비여진(非勵振) 소자로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힌지부는 적어도 2축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힌지부 위에 형성된 절연층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휴대 무선통신 장치에서, 서로 다른 복수의 리액턴스 값을 각각 가지는 복수의 리액턴스 소자와, 상기 복수의 리액턴스 소자를 선택적으로 전환해서 상기 프레임 도체부에 접속하는 스위치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대신에, 상기 휴대 무선통신 장치에서, 서로 다른 복수의 리액턴스 값을 각각 가지는 복수의 리액턴스 소자와, 상기 복수의 리액턴스 소자를 선택적으로 전환해서 상기 힌지 도체부를 통해서 상기 프레임 도체부에 접속하는 스위치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휴대 무선통신 장치에서, 상기 스위치 수단은, 상기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열린 상태와 닫힌 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리액턴스 소자를 선택적으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휴대 무선통신 장치에서, 상기 스위치 수단은, 상기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복수의 동작 주파수대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리액턴스 소자를 선택적으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휴대 무선통신 장치에서, 상기 스위치 수단은, 상기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송신과 수신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리액턴스 소자를 선택적으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휴대 무선통신 장치에서, 상기 프레임 도체부는, 유전체 재료 또는 자성체 재료로 이루어지고, 소정의 정전 용량을 가지는 절연체를 통해서 상기 무선통신 회로에 접속되고, 상기 프레임 도체부는 상기 절연체를 통해서 용량성 급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휴대 무선통신 장치에서, 상기 프레임 도체부를 가지는 상측 프레임 위에 형성된, 유전체 재료 또는 자성체 재료로 이루어진 박막의 절연 시트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휴대 무선통신 장치에서, 상기 붐부는, 상기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폭방향에 대하여 좌우 대칭이 되도록 상기 프레임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휴대 무선통신 장치에서, 상기 붐부의 적어도 일부는 도체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휴대 무선통신 장치에서, 상기 붐부의 적어도 일부는 유연성의 유전체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휴대 무선통신 장치에서, 상기 붐부 내에 설치되고, 상기 무선통신 회로에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소자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무선통신 회로에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소자와, 상기 프레임 도체부를 포함하는 안테나를 선택적으로 전환하는 별개의 스위치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휴대 무선통신 장치에서, 상기 붐부 내에 설치되고, 상기 무선통신 회로에 접속되어, 서로 다른 전기 길이를 가지는 복수의 안테나 소자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휴대 무선통신 장치에서,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외부 안테나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외부 안테나와, 상기 프레임 도체부를 포함하는 안테나를 선택적으로 전환하는 별개의 스위치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휴대 무선통신 장치에서,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내장 안테나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내장 안테나와, 상기 프레임 도체부를 포함하는 안테나를 선택적으로 전환하는 별개의 스위치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또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첨부하고, 그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1(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폴더형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열린 상태에 대한 평면도이며, 도 1(b)는 도 1(a)의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1(c)는 도 1(a) 및 도 1(b)에서 이용하는 안테나 소자(112)의 평면도이다.
도 1(a) 및 도 1(b)에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무선통신 장치는, 상측 프레임(102) 및 하측 프레임(103)을 구비하고, 상측 프레임(102) 및 하측 프레임(103)은 원통 형상의 힌지(hinge)부(104)를 통해서 접을 수 있도록 접속되어 있다. 상측 프레임(102)은 내측에 배치된 상측 제1 프레임부(102a)와, 외측에 배치된 상측 제2 프레임부(102b)를 구비하고, 이들 2개의 프레임부(102a, 102b)는 서로 접합되어 합쳐질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이하, 상측 제1 프레임부(102a)의 장치내측에 대향하는 면을 "내측면"이라고 하고, 상측 제2 프레임부(102b)의 장치 외부에 대향하는 면을 "외측면"이라고 한다. 또한, 힌지(hinge)부(104)는, 예를 들어 상측 제1 프레임부(102a)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힌지부(104)가 하측 프레임(103) 상단부의 중앙부(좌상 가장자리 단부(103p)와 우상 가장자리 단부(103q) 사이에 위치함)에 끼워 맞춰지고, 힌지부(104)의 원통 중공(中空)을 관통하여, 하측 프레임(103)의 좌상 가장자리 단부(103p) 및 우상 가장자리 단부(103q)의 양쪽 내부로 연장되는 원주축(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상측 프레임(102)과 하측 프레임(103)은 서로 힌지부(104)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접혀질 수 있다. 또한, 2개의 프레임부(102a, 102b)는 그 하단부의 좌우의 코너부에서 나사(113, 114)를 이용하여, 그 내측면에서 외측면을 향해서 상측 제1 프레임부(102a)를 관통해서 상측 제2 프레임부(102b)의 나사받이부(115)에 대해 죄여져 있다.
상측 제1 프레임부(102a)는, 적어도 그 일부가 예를 들면 마그네슘이나 아연 등의 도전성 재료로 구성되는 한편, 상측 제2 프레임부(102b)는 예를 들면 수지 등의 전기절연 재료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측 제1 프레임부(102a)는, 뒤에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그 전부가 도전성 재료로 구성되어도 좋고, 혹은 그 프레임부는 예를 들어 수지 재료로 된 전기절연 재료로 구성되어, 그 표면에 도전성 재료로 된 도체층을 형성해도 좋다. 상측 제1 프레임부(102a)에서의 도전성 재료가 적어도 형성된 부분을 이하에서는 "도체부"라고 한다.
또한, 액정 디스플레이(105)는 상측 제1 프레임부(102a)의 내측면의 거의 중 앙부에 배치되어, 이 액정 디스플레이(105)의 상부이며 내측면의 상단부에 소리 구멍부(音孔部)(106)가 배치된다. 여기서, 소리 구멍부(106)의 바로 아래에는 통화할 때에 상대방의 음성을 발생시키는 도 2의 스피커(154)가 배치되어, 스피커(154)에 의해 발생된 음성이 소리 구멍부(106)를 통해서 해당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사용자의 귀에 들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마이크로폰(107)이 하측 프레임(103)의 내측에 대향하는 면(이하, 내측면이라고 함) 위에서 힌지부(104)와 반대측이 되는 하단부 부근에 배치되고, 충전지(充電池)(108)는 하측 프레임(103)의 마이크로폰(107)과는 반대측 면(이하, 외측면이라고 함)에 배치된다. 프린트 배선기판(109)은 하측 프레임(103)의 내부이며 하측 프레임(103)의 두께 방향의 거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프린트 배선기판(109) 위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무선수신기(152) 및 무선송신기(153)를 포함하는 무선통신 회로(11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무선통신 회로(110)의 급전점(給電点)인 접속점(111)은 안테나 소자(122)를 통해서 상측 프레임(102)의 나사(113)에 접속되고, 이 나사(113)는 상측 제1 프레임부(102a)의 도체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안테나 소자(122)는, 하측 프레임(103) 내의 무선통신 회로(110)로부터, 하측 프레임(103)의 우상 단부의 내부, 힌지부(104)의 내부 및 상측 제2 프레임부(102b)의 내부를 통해서 나사(113)까지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안테나 소자(122)는 도 1(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일단에, 원형 구멍(112h)을 갖는 도체 링(112a)을 가지며, 나사(113)는 원형 구멍(112h)을 관통하고 도체 링(112a)과 접촉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따라서, 무선통신 회로(110)의 접속점(111)은 안테나 소자(112) 및 나사(113)를 통해서 상측 제1 프레임부(102a)의 도체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안테나 소자(112) 및 상측 제1 프레임부(102a)의 도체부는 해당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제1 안테나 소자(102A)(도 2)로서 동작한다.
또한, 붐(boom)부(910)는 곡선 거의 원주 형상의 수지 재료(바람직하게는 가요성의 수지 재료)로 되고, 하측 프레임(103)의 상단면의 좌우 양단부에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즉, 붐부(910)의 양단은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폭방향에 대하여 거의 좌우 대칭이 되도록 접속되고, 이 경우 붐부(910)와 하측 프레임(103)으로 둘러싸여지는 공간 내에는 관통 구멍(또는 공극(空隙))(910h)이 존재하고 있다. 또한, 이 붐부(910)의 내부에는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제2 안테나 소자로서 동작하는, 예를 들어 1/4 파장의 안테나 소자(901)가 내장되고, 안테나 소자(901)는 붐부(910)의 내부에서 하측 프레임(103)의 내부를 통해서 무선통신 회로(110)의 급전점인 접속점(902)에 접속되어 있다.
도 2는 도 1(a)의 휴대 무선통신 장치에서의 안테나 소자(102A 및 901)와, 이것에 접속되는 무선통신 회로(110)의 회로도이다. 도 2에서, 안테나 소자(102A)는 접속점(111) 및 스위치(SW1)의 접점 a측을 통해서 서큐레이터(circulator)(151)의 제1 단자에 접속되고, 또한, 안테나 소자(901)는 접속점(902) 및 스위치(SW1)의 접점 b측을 통해서 서큐레이터(151)의 제1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서큐레이터(151)의 제2 단자는 스피커(154)를 구비한 무선수신기(152)에 접속되고, 서큐레이터(151)의 제3 단자는 마이크로폰(107)을 구비한 무선송신기(153)에 접속된다. 여기서, 무선수신기(152), 무선송신기(153) 및 스위치(SW1)의 동작은 제어기(150)에 의해 제어된다.
안테나 소자 102A 또는 안테나 소자 901에 의해 수신된 무선신호는, 스위치(SW1) 및 서큐레이터(151)를 통해 무선수신기(152)에 입력되고, 무선수신기(152)는 입력된 무선신호에 대하여 저잡음 증폭, 주파수 변환, 복조 처리 등을 실행함으로써, 무선신호에 포함되는 음성, 문자 데이터나 화상 데이터를 무선신호로부터 꺼내서 스피커(154)에 출력하는 동시에, 제어기(150)를 통해서 액정 디스플레이(105)에 출력해서 표시한다. 한편, 송신해야 할 음성, 문자 데이터나 화상 데이터는 마이크로폰(107) 또는 제어기(150)로부터 무선송신기(153)에 입력되고, 무선송신기(153)는 입력된 음성, 문자 데이터나 화상 데이터에 따라 반송파 신호에 대해 변조, 주파수 변환, 전력 증폭 등을 함으로써 무선신호를 발생한 후, 서큐레이터(151) 및 스위치(SW1)를 통해서 안테나 소자 102A 또는 안테나 소자 901에 출력해서 방사(放射)한다.
여기에서, 제어기(150)는, 예를 들면, 안테나 소자 102A로 수신되는 무선신호와, 안테나 소자 901로 수신되는 무선신호의 신호 레벨을 비교하고, 스위치(SW1)를 이용하여, 보다 큰 신호 레벨의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 소자로 선택적으로 전환함으로써, 수신 다이버시티(diversity)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이 수신 다이버시티 처리의 결과에 기초하여, 안테나 소자를 선택해서 무선신호를 송신한다. 2개의 안테나 소자(102A 및 901)를 이용해서 동시에 무선신호를 송신하고, 이들 2개의 안테나 소자에 급전되는 무선신호의 진폭 및 위상을 제어함으로써, 송신 다이버시티 처리를 실행해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측 프레임(102)의 일부인 상측 제1 프레임부(102a)의 도체부를 안테나 소자(102A)의 일부로서 동작시킴으로써, 양호한 안테나 특성을 유지한 채로, 부품 수의 감소를 실현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 비용을 낮출 수 있다. 또한, 상측 제1 프레임부(102a)의 도체부를, 마그네슘 등의 기계 강도가 우수한 도전성 재료를 이용해서 형성함으로써, 낙하 등의 충격에 대한 내성을 강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테나 장치로서의 점유 공간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종래에 비해 보다 박형화 되고 경량화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헬리컬 안테나와 같은 종래의 외부 안테나와 비교해서 면적을 크게 할 수 있으므로, 전류 밀도의 최대값을 낮게 할 수 있고, SAR(Specific Absorption Rate: 비교 흡수율)을 낮게 억제할 수 있다.
여기서, SAR은 전자계 속에 인간 등의 생체를 놓았을 때에, 단위 질량의 생체 조직에 흡수되는 전력으로서, SAR에는 전신(全身)평균 SAR과 국소(局所) SAR이 있다. 전파 방호 지침의 일반 환경(일반인 대상)에서는 전신평균 SAR의 임의의 6분간 평균값이 0.08W/kg 이하인 것과, 임의의 조직 10g당의 국소 SAR(6분간 평균값)이 2W/kg 이하(사지(四肢)에서는 4W/kg)를 초과하지 않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다.
이상의 실시 형태에서는, 상측 제1 프레임부(102a)의 도체부와, 안테나 소자(112)를 나사(113)를 이용해서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나사(113)를 이용하지 않고, 땜납 접착, 압착 단자 또는 기계적인 강제 접촉 등의 다른 방법을 이용해서 전기적으로 접속해도 좋다.
이상의 실시 형태에서는, 상측 제1 프레임부(102a)의 도체부와, 안테나 소자(112)를 이용해서 안테나 소자(102A)를 구성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안테나 소자를 예를 들면 동축케이블의 급전 선로로서 구성하고, 무선신호를 이 급전 선로를 통해서 안테나 소자(102A)에 급전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상의 실시 형태에서는, 2개의 안테나 소자(102A 및 901)를 구비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붐부(910)를 설치하지 않고, 안테나 소자(901)를 구비하지 않아도 좋다.
이상의 실시 형태에서는, 원통 형상의 힌지부(104)를 이용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15(a)의 2축 힌지부(704)를 이용해도 좋다.
이상의 실시 형태에서는, 붐부(910)를 하측 프레임(103)에 연결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측 프레임(102)에 연결해도 좋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제1 변형례에 따른 폴더형 휴대 무선통신 장치에서 이용하는 절연 링(201)의 평면도이며, 도 3(b)는 도 3(a)의 절연 링(201)을 구비한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측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3(a) 및 도 3(b)의 폴더형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안테나 장치의 등가 회로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1(a) 및 도 1(b)의 휴대 무선통신 장치에서는, 안테나 소자(112)를 나사(113)를 통해 상측 제1 프레임부(102a)에 죄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3(a)에 나타낸 유전체 재료로 구성된, 원형 구멍(201h)을 가지는 절연 링(201)을, 도 3(b)에 나타내는 것 같이, 상측 제1 프레임부(102a)와, 안테나 소자(112)의 도체 링(112b)(도체 링(112a)보다 큰 원형구멍을 가짐) 사이에 삽입함으로써 나사 조임의 효과에 더하여 용량성(容量性) 급전을 더 실행할 수 있다. 여기서,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나사(113)와 안테나 소자(112)의 도체 링(112b)과는 기계적인 접촉을 하지 않고, 나사(113)와 안테나 소자(112) 사이에 절연 링(201)의 정전용량이 존재한다.
따라서, 도 4의 등가 회로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테나 소자(102A)는 예를 들면 복수의 인덕턴스(L1, L2, ..., LN)가 이들 일단의 접속점(102Ac)에서 접속되게 구성되고, 이 접속점(102Ac)은 나사(113)의 인덕턴스(LM)와, 절연 링(201)의 정전용량(C0)과, 안테나 소자(112)의 인덕턴스(L0)를 통해서 무선송신기(153)에 접속되게 된다. 여기서, 안테나 소자(102A)는 복수의 인덕턴스(L1, L2, ..., LN)가 그들 일단의 접속점(102Ac)에서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보다 넓은 대역 특성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절연 링(201)의 정전용량(C0)을 삽입했을 때의 제1 공진주파수와, 절연 링(201)의 정전용량(CO)을 삽입하지 않았을 때의 제1 공진주파수보다도 높은 제2 공진주파수의 2개의 공진주파수를 실현할 수 있고, 더욱 광대역으로 되고, 또한 2개의 대역에서 동작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제2 변형례에 따른 폴더형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열린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며, 도 5(b)는 도 5(a)의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측면도이다.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무선통신 장치에서,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측 제1 프레임부(102a)의 내측의 전면 또는 일부에, 예를 들어, 아크릴 등과 같은 유전체 재료 또는 자성체 재료 등으로 이루어진, 예를 들어 0.2mm 내지 0.3mm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박막의 절연 시트(301)를, 접착 등과 같은 방법으로 형성해도 좋다. 이로써, 인체의 일부가 직접 안테나 소자(102A)로서 동작하는 상측 제1 프레임부(102a)의 내측면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통화할 때에 인체에 의한 안테나 이득의 저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안테나 소자(102A)와 인체와의 거리를 크게 할 수 있으므로, 상기 SAR을 낮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절연 시트(301) 대신에, 예를 들어 수지 재료로 된 투명 패널 또는 피복재라도 좋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제3의 변형례에 따른 폴더형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열린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며, 도 6(b)는 도 6(a)의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측면도이다. 제1 실시 형태의 제3 변형례에 따른 휴대 무선통신 장치는, 도 1(a) 및 도 1(b)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무선통신 장치에 비해, 상측 제1 프레임부(102a)가 그 하단부 근방에서의 나사(113)의 배치 위치에서 서로 반으로 나눈 두께를 가져서 서로 끼워 당기도록 되어 있는 제1 부분(102a-1)과 제2 부분(102a-2)으로 분할되어 있는 점이 다르다. 여기서, 나사(113)는 상측 프레임(102)의 내측면으로부터, 상측 제1 프레임부(102a)의 제2 부분(102a-2), 그 제1 부분(102a-1) 및 상측 제2 프레임부(102b)를 통하여, 나사받이부(115)에 죄여진다.
(제2 실시 형태)
도 7(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폴더형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열린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며, 도 7(b)는 도 7(a)의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측면도이다.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무선통신 장치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무선통신 장치에 비해 이하의 점이 다르다.
(a) 상측 제2 프레임부(102b)는 적어도 그 일부가 예를 들면 마그네슘이나 아연 등의 도전성 재료로 구성되는 반면, 상측 제1 프레임부(102a)는 예를 들면 수지 등의 전기절연 재료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측 제2 프레임부(102b)는 전부가 도전성 재료로 구성되어도 좋고, 혹은 그 프레임부는 예를 들면 수지 재료로 된 전기절연 재료로 구성되고, 그 표면에 도전성 재료로 된 도체층을 형성해도 좋다. 상측 제2 프레임부(102b)에서의 도전성 재료가 적어도 형성된 부분을 이하, "도체부"라고 한다.
(b) 무선통신 회로(110)의 급전점인 접속점(111)은 안테나 소자(122)를 통해서 상측 프레임(102)의 나사(113)에 접속되고, 또한 이 나사(113)는 상측 제2 프레임부(102b)의 도체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무선통신 회로(110)의 접속점(111)은 안테나 소자(112) 및 나사(113)를 통해서 상측 제2 프레임부(102b)의 도체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안테나 소자(112) 및 상측 제2 프레임부(102b)의 도체부가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제1 안테나 소자(102A)로서 동작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휴대 무선통신 장치에 의하면,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무선통신 장치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가지는 동시에, 통화할 때에 안테나 소자(102A)와 인체와의 거리를 보다 크게 할 수 있고, 인체의 전자기적(電磁氣的) 영향에 의한 안테나 이득의 열화(劣化)를 적게 하는 효과가 생긴다. 또한, 상측 제1 프레임부(102a)는 액정 디스플레이(105)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낙하에 대한 강도를 확보할 필요가 있지만, 상측 제2 프레임부(102b)는 이러한 필요가 없어서, 설계의 자유도를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에서, 안테나 소자(112)와 상측 제2 프레임부(102b) 사이에 도 3의 절연 링(201)을 삽입함으로써, 안테나 소자(102A)에 대하여 용량성 급전을 실행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상의 실시 형태에서는, 상측 제2 프레임부(102b)의 도체부와 안테나 소자(112)를 나사(113)를 이용해서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나사(113)를 이용하지 않고, 땜납 접착, 압착 단자 또는 기계적인 강제 접촉 등의 다른 방법을 이용해서 전기적으로 접속해도 좋다.
도 8(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변형례에 따른 폴더형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열린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며, 도 8(b)는 도 8(a)의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측면도이다. 제2 실시 형태의 변형례에 따른 휴대 무선통신 장치는, 도 7(a) 및 도 7(b)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무선통신 장치에 비해, 상측 제2 프레임부(102b)가, 그 하단부 근방에서의 나사(113)의 배치 위치에서 서로 반으로 나눈 두께를 가져서, 서로 끼워 당기도록 되어 있는 제1 부분(102b-1)과 제2 부분(102b-2)으로 분할되어 있는 점이 다르다. 여기서, 나사(113)는 상측 프레임(102)의 내측면으로부터, 상측 제1 프레임부(102a), 상측 제2 프레임부(102b)의 제1 부분(102b-1) 및 그 제2 부분(102b-2)을 통하여, 나사받이부(115)에 죄여진다.
(제3 실시 형태)
도 9(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폴더형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열린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며, 도 9(b)는 도 9(a)의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측면도이다. 또한, 도 10(a)는 도 9(a) 및 도 9(b)의 휴대 무선 통신 장치에서 이용하는 힌지부(503)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0(b)는 도 10(a)의 힌지부(503)에 접속되는 끼움 원통부재(505) 및 이에 접속되는 안테나 소자(504)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무선통신 장치는, 도 1(a) 및 도 1(b)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무선통신 장치에 비해 이하의 점이 다르다.
(a) 힌지부 104를 대신하여, 알루미늄 또는 아연 등의 도전성 재료로 된 도 10(a)의 힌지부 503을 구비한 점.
(b) 안테나 소자 112를 대신하여, 도 9(a) 및 도 1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테나 소자 504 및, 알루미늄 또는 아연 등의 도전성 재료로 된 힌지부(503)에 끼워 맞춰지는 끼움 원통부재(505)를 구비한 점.
도 10(a)에서, 힌지부(503)는 원통부(503a)와, 그 좌우 가장자리 단부로부터 각각 비스듬하게 상방으로 연장되는 2개의 다리부(脚部)(503b, 503c)로 구성된다. 여기서, 각 다리부(503b, 503c)는 각각 그 단부 근방에서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원형 구멍(503bh, 503ch)을 가진다. 여기서, 각 다리부(503b, 503c)는 각각 상측 제2 프레임부(102b)의 내부에 삽입되어 끼워 맞춰지고, 또한 나사(113, 114)가 각각 원형 구멍(503bh, 503ch)에 삽입되어, 나사(113, 114)에 의해 상측 제2 프레임부(102b)에 대하여 죄여진다. 도 10(b)에서, 안테나 소자(504)의 일단은 끼움 원통부재(505)의 원통 단면의 일부에 연결되어 있다. 끼움 원통부재(505)는 그 외경이 힌지부(503)의 원통부(503a)의 내경에 실질적으로 일치하도록 형성되고, 끼움 원통부재(505)는 상기 원통부(503a)의 원통 내부에 삽입되어서 끼워 맞춰진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휴대 무선통신 장치에서는, 무선통신 회로(110)의 급전점인 접속점(111)이 안테나 소자(504), 끼움 원통부재(505) 및 힌지부(503)를 통해서 상측 제1 프레임부(102a)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따라서, 안테나 소자(504), 끼움 원통부재(505), 힌지부(503) 및 상측 제1 프레임부(102a)는 제1 안테나 소자(102A)로서 동작할 수 있다. 이 경우에, 힌지부(503)와 끼움 원통부재(505) 사이의 접속점, 혹은 접속점(111)에서, 예를 들어 900MHz 등의 소정의 주파수대에서, 안테나에 대한 입력 임피던스가 예를 들면 50 Ω등과 같은 소정의 임피던스로 되도록 충분히 낮아지면 좋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휴대 무선통신 장치에서, 안테나 소자(504), 힌지부(503) 및 상측 제1 프레임부(102a)가 제1 안테나 소자(102A)로서 동작하기 때문에, 상측 제1 프레임부(102a)만이 안테나 소자로서 동작하고 있을 경우에 비해, 안테나 장치의 치수를 크게 할 수 있고, 안테나 이득을 대폭 증대할 수 있다. 또한,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테나 소자(112)를 힌지부(104)의 내부를 통해서 상측 프레임(102)까지 연장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힌지부(104)의 직경을 작게 할 수 있고, 휴대 무선통신 장치를 박형화 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무선통신 장치를 개폐할 때에 안테나 소자(112)에 걸리는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고, 그 내구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힌지부(503)와 끼움 원통부재(505) 사이에, 예를 들면 도 3(a)의 절연 링(201)을 삽입하고, 무선신호를 제1 안테나 소자(102A)에 대하여 용량성 급전을 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상의 실시 형태에서는, 끼움 원통부재(505)를 힌지부(503)의 원통 내부에 배치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테나 소자(504)가 상측 프레임(102)까지 연장되도록 배선해도 좋다.
이상의 실시 형태에서는, 상측 제1 프레임부(102a)를 안테나 소자(102A)의 일부로서 이용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힌지부(503)를 상측 제2 프레임부(102b)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상측 제2 프레임부(102b)를 안테나 소자(102A)의 구성 요소로서 이용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인체와 안테나 소자(102A)와의 거리를 보다 크게 할 수 있고, 인체의 전자기적 영향에 의한 통화할 때의 안테나 이득 저하를 적게 할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
도 11(a)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폴더형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열린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며, 도 11(b)는 도 11(a)의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측면도이다. 또한, 도 12(a)는 도 11(a) 및 도 11(b)의 휴대 무선통신 장치에서 이용하는 한 쌍의 힌지부(603, 604)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2(b)는 도 12(a)의 힌지부 603에 접속되는 끼움 원통부재(606) 및 이에 접속되는 안테나 소자(605)와, 도 12(a)의 힌지부 604에 접속되는 끼움 원통부재(606) 및 이에 접속되는 안테나 소자(605)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13은 도 11(a) 및 도 11(b)의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힌지부(608)에 접속되는 무선통신 회로(110)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무선통신 장치는,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무선통신 장치에 비해, 이하의 점이 다르다.
(a) 힌지부 104를 대신하여, 예를 들면 마그네슘 또는 아연 등의 도전성 재료로 된 힌지부 603, 604를 구비한 점.
(b) 힌지부(603)에, 안테나 소자(605)가 접속된 끼움 원통부재(606)가 끼워 맞춰지는 점.
(c) 힌지부(604)에, 안테나 소자(607)가 접속된 끼움 원통부재(608)가 끼워 맞춰지는 점.
(d) 안테나 소자(607)는 무선통신 회로(110)의 접속점(609)을 통해 리액턴스 소자(610 또는 611)에 접속되는 점. 리액턴스 소자(610, 611)는 예를 들면 배랙터 다이오드(varactor diode)와 같은 가변 리액턴스 소자라도 좋다.
도 12(a)에서, 힌지부 603은 원통부 603a와, 그 원통의 외주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원형 구멍 603h를 갖는 다리부 603b로 구성되고, 힌지부 604는 원통부 604a와, 그 원통의 외주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원형 구멍 604h를 갖는 다리부 604b로 구성된다. 도 12(b)에서, 안테나 소자 605가 접속된 끼움 원통부재 606은 힌지부 603의 원통부 603a의 원통 내부에 삽입되어 끼워지고, 안테나 소자 607이 접속된 끼움 원통부재 608은 힌지부 604의 원통부 604a의 원통 내부에 삽입되어 끼워진다.
도 11(a)에서, 힌지부 603의 원통부 603a는 하측 프레임(103)의 좌상 가장자리 단부(103p)와 돌출 원통부(103r) 사이에 삽입되어 끼워져서, 힌지부 603의 다리부(603b)는 상측 제2 프레임부(102b)의 내부에 삽입되어 끼워지고, 나사(113)가 원형 구멍(603h)에 삽입되어 나사(113)에 의해 죄여진다. 또한, 힌지부 604의 원통부 604a는 하측 프레임(103)의 우상 가장자리 단부(103q)와 돌출 원통부(103r) 사이에 삽입되어 끼워져서, 힌지부 604의 다리부(604b)는 상측 제2 프레임부(102b)의 내부에 삽입되어 끼워지고, 나사(114)가 원형 구멍(604h)에 삽입되어 나사(114)에 의해 죄여진다. 무선통신 회로(110)의 접속점 111은 하측 프레임(103)의 내부로 연장되어 설치되는 안테나 소자 605를 통해 끼움 원통부재 606에 접속되고, 무선통신 회로(110)의 접속점 609는 하측 프레임(103)의 내부로 연장되어 설치되는 안테나 소자 607을 통해 끼움 원통부재 608에 접속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휴대 무선통신 장치에서, 무선통신 회로(110)의 접속점 111은 안테나 소자(605), 끼움 원통부재(606), 힌지부(603) 및 나사(113)를 통해 상측 제1 프레임부(102a)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또한, 무선통신 회로(110)의 접속점 609는 안테나 소자(607), 끼움 원통부재(608), 힌지부(604) 및 나사(114)를 통해서 상측 제1 프레임부(102a)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안테나 소자 605로부터 상측 제1 프레임부(102a)까지의 회로와, 안테나 소자 607로부터 상측 제1 프레임부(120a)까지의 회로는 제1 안테나 소자(102A)를 구성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테나 소자(102A)가 접속점(609)과, 제어기(150)에 의해 제어되는 스위치(SW2)를 통해서, 서로 다른 리액턴스 값(Xa, Xb)을 가지는 리액턴스 소자(610 또는 611)에 접속된다.
또한, 원통형의 급전부(606)는 안테나 소자(605)를 통해서 접속부(111)에 접 속되고, 원통형의 접속부(608)는 접속선(607)을 통해서 무선통신 회로(110) 상에 배치된 스위치 회로(609)의 단자(609a)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스위치 회로(609)의 단자 609b는 제1 부하 회로(610)에 접속되고, 단자 609c는 제2 부하 회로(611)에 접속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2의 스위치(SW1)가 접점 a쪽으로 전환되어 안테나 소자(102A)만이 안테나 장치로서 이용되고 있을 때, 스위치(SW2)를 접점 a쪽 또는 접점 b쪽으로 전환할 때, 안테나 소자(102A)에 접속되는 리액턴스 값이 변화되므로, 안테나 소자(120A)의 공진주파수가 변화된다. 따라서,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송신과 수신으로 시분할되어, 동작 주파수를 전환할 수 있다. 혹은, 예를 들면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열린 상태와 닫힌 상태에 따라서, 스위치(SW2)를 접점 a쪽 또는 접점 b쪽으로 전환함으로써 리액턴스 소자(610, 611)를 선택적으로 전환해도 좋다. 이로써,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열린 상태와 닫힌 상태에 따라, 안테나 소자(102A)의 근방에 위치하는 물체의 상황이 변화되고, 이들 상황에 따라서 리액턴스 소자(610, 611)를 선택적으로 전환해서 보다 높은 안테나 이득을 얻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도 2의 스위치(SW1)가 접점 b쪽으로 전환되어 안테나 소자(102A)만이 안테나 장치로서 이용되고 있을 때, 안테나 장치(102A)는 비여진(非勵振) 소자로서 동작시킬 수 있고, 스위치(SW2)를 접점 a쪽 또는 접점 b쪽으로 전환할 때, 안테나 소자(102A)에 접속되는 리액턴스 값이 변화된다. 즉, 동작시키는 안테나 장치(901)에 대한 비여진 소자로서 동작하는 안테나 소자(102A)의 전기 길이를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안테나 장치 전체의 지향(指向) 특성을 변화시킬 수 있다.
도 13의 실시 형태에서는, 2개의 리액턴스 소자(610, 611)를 선택적으로 전환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3개 이상의 리액턴스 소자를 선택적으로 바꾸어도 좋다.
이상의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안테나 소자(102A)를 상측 제1 프레임부(102a)를 이용해서 구성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측 제2 프레임부(102b)를 이용해서 구성해도 좋다.
이상의 실시 형태에서는, 도전성 재료로 된 힌지부(603, 604)를 이용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수지 재료로 된 힌지부(603, 604)를 이용해서 구성하고, 안테나 소자 605 및 607을 직접 상측 제1 프레임부(102a)에 전기적으로 접속해도 좋다.
도 14(a)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의 변형례에 따른 폴더형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열린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며, 도 14(b)는 도 14(a)의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측면도이다. 제4 실시 형태의 변형례에 따른 휴대 무선통신 장치는,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무선통신 장치에 비해, 안테나 소자(607) 및 끼움 원통부재(608)를 대신하여, 안테나 소자(612)를 구비한 것이다. 도 14(a)에서, 안테나 소자(612)는 하측 프레임(103)의 내부, 힌지부(603)의 내부 및 상측 제2 프레임부(102b)의 내부를 연장해서 나사(114)에 접속된다. 따라서, 무선통신 회로(110)의 접속점(609)은 안테나 소자(612) 및 나사(114)를 통해서 상측 제1 프레임부(102a)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제4 실시 형태의 변형례에 따른 휴대 무선통신 장치는,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무선통신 장치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가진다.
(제5 실시 형태)
도 15(a)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폴더형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닫힌 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이며, 도 15(b)는 도 15(a)의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측면도이다. 또한, 도 16은 도 15(a) 및 도 15(b)의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상측 프레임(702)을 반시계 방향에 약 45도 만큼 회전했을 때의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평면도이다. 또한, 도 17(a)는 도 15(a) 및 도 15(b)의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열린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며, 도 17(b)는 도 17(a)의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측면도이다.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무선통신 장치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무선통신 장치와 비교할 때 이하의 점이 다르다.
(a) 1축의 힌지부(104)를 대신하여, 중앙부에 CCD 카메라(706)를 갖는 2축 힌지부(704)를 구비한 것. 2축 힌지부(704)는 적어도 일부가 도전성 재료로 되어 있고, 하측 프레임(703)의 상부 중앙부에 설치된다.
(b) 안테나 소자 112를 대신하여, 안테나 소자 802를 구비한 것.
(c) 상측 프레임 102를 대신하여, 상측 제1 프레임부(702a) 및 상측 제2 프레임부(702b)를 구비한 상측 프레임 702를 구비한 것. 상측 프레임 702는 상측 프레임 102와 같은 구성 요소를 구비한다. 또한, 상측 제1 프레임부 702a는 상측 제1 프레임부 102a와 마찬가지로 적어도 일부가 도전성 재료로 되어 있고, 도체부를 가진다.
(d) 하측 프레임 103을 대신하여, 하측 프레임 703을 구비한 것. 하측 프레임 703은 하측 프레임 702와 같은 구성 요소를 구비한다.
도 15(a), 도 15(b) 및 도 16에서, 상측 프레임(702)과 하측 프레임(703)은 2축 힌지부(704)를 통해서 접을 수 있고, 또한 상측 프레임(702)이 2축 힌지부(704)를 중심으로 해서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도 16에서, 하측 프레임(703)의 내측면의 거의 중앙부에, 키패드(keypad)(705)가 설치된다. 도 17(a) 및 도 17(b)에서, 안테나 소자(802)는 하측 프레임(703)의 내부에서 2축 힌지부(704)의 내부를 통해 상측 프레임(702)으로 연장하여 설치된다. 여기서, 무선통신 회로(110)의 급전점인 접속점(801)(도 1의 접속점(110)에 대응함)은, 안테나 소자(802)를 통해서 상측 제1 프레임부(702a)의 도체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여기서, 안테나 소자(802) 및 상측 제1 프레임부(702a)는, 제1 실시 형태의 제1 안테나 소자 102A와 같이, 제1 안테나 소자 702A를 구성한다.
도 18은 도 17(a)의 휴대 무선통신 장치에서의 안테나 소자(702A 및 901)와, 이에 접속되는 무선통신 회로(110)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18에서, 안테나 소자(702A)는 접속점(801)을 통해서 스위치(SW1)의 접점 a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 밖의 회로는 도 2와 같이 구성된다. 따라서, 제5 실시 형태에서도, 안테나 소자 702A와 안테나 소자 901을 선택적으로 전환해서 이용할 수 있고,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무선통신 장치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무선통신 장치와 같은 작용 효과를 가진다.
이상의 실시 형태에서, 안테나 소자(802)가 상측 제1 프레임부(702a)의 도체 부에 접속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하지 않고, 상측 제2 프레임부(702b)의 적어도 일부를 도전성 재료로 구성하고, 안테나 소자(802)가 상측 제2 프레임부(702b)의 도체부에 접속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인체와 안테나 소자(702A)와의 거리를 보다 크게 할 수 있고, 인체의 전자기적 영향에 의한 통화시의 안테나 이득의 열화를 적게 할 수 있다.
도 19(a)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의 변형례에 따른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열린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며, 도 19(b)는 도 19(a)의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측면도이다. 또한, 도 20은 도 19(b)의 평판 절연체(922) 부근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제5 실시 형태의 변형례에 따른 휴대 무선통신 장치는,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무선통신 장치와 비교하면, 안테나 소자(802)의 선단에, 평판 안테나 소자(921)를 접속하고, 평판 안테나 소자(921)로부터 평판 절연체(922)를 통해서 2축 힌지부(704)의 도체부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또한, 상기 2축 힌지부(704)로부터 상측 제1 프레임부(702a)에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여기서, 평판 절연체(922)는,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측 프레임(703)의 내부이며, 평판 안테나 소자(921)와 2축 힌지부(704) 사이에 삽입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휴대 무선통신 장치에서는, 도 3(b)의 휴대 무선통신 장치와 마찬가지로, 무선신호를 용량성 급전(容量性 給電)할 수 있다.
도 21은 도 19(a)의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다른 변형례를 나타내는 안테나 소자(921) 부근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21에서는, 도 20의 평판 절연체(922)를 이용하지 않고, 2축 힌지부(704)를, 수지 프레임부(704A) 위에 도체 층(704B)을 형성함으로써 구성한다. 또한, 도체층(704B)을 상측 제1 프레임부(702a)에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함으로써, 평판 안테나 소자(921)는 수지 프레임부(704A)를 통해서 도체층(704B)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따라서, 도 20과 마찬가지로, 무선신호를 용량성 급전할 수 있다.
이어서, 이상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적용되는 여러 가지 실시예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도 22(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적용되는 제1 실시예로서,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상측 제2 프레임부(102b)의 내측면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22(b)는 도 22(a)의 상측 제2 프레임부(102b)의 내측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22(c)는 도 22(a)의 상측 제2 프레임부(102b)의 외측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2(a), 도 22(b) 및 도 22(c)에서, 수지 프레임부(102bp)의 내측면(나사받이부(115)를 포함)에, 예를 들어 마그네슘 또는 아연 등의 도전성 재료로 된 도체층(102bm)을 형성함으로써, 상측 제2 프레임부(102b)를 구성하고, 예를 들어 안테나 소자(112)를 도체층(102bm)에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제1 실시예에서는, 도체층(1O2bm)을 형성함으로써, 상측 제2 프레임부(102b)의 기계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측 프레임(102)을 수지 재료로 구성할 수 있으므로 저비용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도체층(102bm)의 패턴 형성이 용이하므로 안테나 설계의 자유도를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상측 제2 프레임부(102b)는 상측 제1 프레임부(102a)에 비해 조작자의 머리 부분의 반대측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인체와의 거리를 크게 할 수 있고, 통화시의 안테나 이득 및 SAR를 개선할 수 있다.
도 23(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적용되는 제2 실시예로서,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상측 제1 프레임부(102a)의 내측면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23(b)는 도 23(a)의 상측 제1 프레임부(102a)의 내측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23(c)는 도 23(a)의 상측 제1 프레임부(102a)의 외측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3(a), 도 23(b) 및 도 23(c)에서, 수지 프레임부(103bp)의 내측면(액정 디스플레이(105)를 제외하고, 나사받이부(115) 위의 원형구멍(115h)의 내주면을 포함)에, 예를 들어 마그네슘 또는 아연 등의 도전성 재료로 된 도체층(103bm)을 형성함으로써, 상측 제1 프레임부(102a)를 구성하고, 예를 들어 안테나 소자(112)를 도체층(103bm)에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제2 실시예에서는, 도체층(103bm)을 형성함으로써, 상측 제1 프레임부(102a)의 기계적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측 프레임(102)을 수지 재료로 구성할 수 있으므로 저비용화가 실현된다. 또한, 도체층(103bm)의 패턴 형성이 용이하므로 안테나 설계의 자유도를 크게 할 수 있다.
도 24(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적용되는 제3 실시예로서,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상측 제2 프레임부(102b)의 내측면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24(b)는 도 24(a)의 상측 제2 프레임부(102b)의 내측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24(c)는 도 24(a)의 상측 제2 프레임부(102b)의 외측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4(a), 도 24(b) 및 도 24(c)에서, 수지 프레임부(102bp)의 내측면(나사받이부(115)의 근방의 하단부를 제외하나, 한쪽의 나사받이부(115)를 포함)에, 예를 들어 마그네슘 또는 아연 등의 도전성 재료로 된 도체층(102bm)을 형성함으로써, 상측 제2 프레임부(102b)를 구성하고, 예를 들어 안테나 소자(112)를 도체층(102bm)에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제3 실시예에서는, 상측 프레임(102)과 하측 프레임(103)을 전기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도 25(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적용되는 제4 실시예로서,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상측 제2 프레임부(102b)의 내측면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25(b)는 도 25(a)의 상측 제2 프레임부(102b)의 내측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25(c)는 도 25(a)의 상측 제2 프레임부(102b)의 외측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5(a), 도 25(b) 및 도 25(c)에서, 수지 프레임부(102bp)의 내측면(나사받이부(115)를 포함)에, 예를 들어 마그네슘 또는 아연 등의 도전성 재료로 되고, 상기 내측면의 예를 들어 좌측의 가장자리 단부를 따라 상하 방향에 대하여 평행인 구형(矩形)의 슬롯(slot)(931)을 포함하는 도체층(102bm)을 형성함으로써, 상측 제2 프레임부(102b)를 구성하고, 예를 들어 안테나 소자(112)를 도체층(102bm)에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제4 실시예에서는, 상측 제2 프레임부(102b)의 내측면에, 슬롯(931)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도체층(102bm)에서 복수의 전기 길이의 도체를 형성할 수 있고, 복수의 공진주파수를 가지고, 복수의 주파수대를 커버할 수 있는 안테나 소자(102A)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도 25(a) 및 도 25(b)에서, 슬롯(931)에 대신하여, 선단이 개방된 슬릿(slit)을 형성해도 좋다.
도 26(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적용되는 제5 실시예로서,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상측 제2 프레임부(102b)의 내측면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26(b)는 도 26(a)의 상측 제2 프레임부(102b)의 내측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26(c)는 도 26(a)의 상측 제2 프레임부(102b)의 외측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6(a), 도 26(b) 및 도 26(c)에서, 수지 프레임부(102bp)의 내측면(나사받이부(115)를 포함)에, 예를 들어 마그네슘 또는 아연 등의 도전성 재료로 되고, 상기 내측면의, 예를 들어, 좌측 가장자리 단부를 따라 상하 방향에 대하여 평행하여 상단 가장자리 단부까지 연장되는 구형 슬릿(932)을 포함하는 도체층(102bm)을 형성함으로써, 상측 제2 프레임부(102b)를 구성하고, 예를 들어 안테나 소자(112)를 도체층(102bm)에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제5 실시예에서는, 상측 제2 프레임부(102b)의 내측면에, 슬릿(932)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도체층(102bm)에서 복수의 전기 길이의 도체를 형성할 수 있고, 복수의 공진주파수를 가지고, 복수의 주파수대를 커버할 수 있는 안테나 소자(102A)가 실현될 수 있다. 또한, 슬릿(932)은 1/4 파장의 길이 방향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1/4 파장 공진 소자로서 동작하므로, 슬롯(931)의 반의 길이로 실현될 수 있다.
도 27(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적용되는 제6 실시예로서,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상측 제2 프레임부(102b)의 내측면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27(b)는 도 27(a)의 상측 제2 프레임부(102b)의 내측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27(c)는 도 27(a)의 상측 제2 프레임부(102b)의 외측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7(a), 도 27(b) 및 도 27(c)에서, 수지 프레임부(102bp)의 내측면(나사받이부(115)를 포함)에, 예를 들어 마그네슘 또는 아연 등의 도전성 재료로 되고, 상기 내측면의, 예를 들어, 아래쪽의 가장자리 단부를 따라 좌우 방향(수평 방향)에 대하여 평행으로 연장되는 구형 슬롯(933)을 포함하는 도체층(102bm)을 형성함으로써, 상측 제2 프레임부(102b)를 구성하고, 예를 들어 안테나 소자(112)를 도체층(102bm)에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제6 실시예에서는, 상측 제2 프레임부(102b)의 내측면에, 슬롯(933)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도체층(102bm)에서 복수의 전기 길이의 도체를 형성할 수 있고, 복수의 공진주파수를 가지고, 복수의 주파수대를 커버할 수 있는 안테나 소자(102A)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수평 방향의 슬롯(933)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수평 편파(偏波)의 전파를 안테나 소자(102A)로부터 방사(放射)할 수 있다. 한편, 안테나 소자(901)로부터 수직 편파의 전파를 방사하므로, 이들 2개의 안테나 소자를 이용해서 편파 다이버시티(diversity)를 구성할 수 있다.
도 28(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적용되는 제7 실시예로서,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상측 제2 프레임부(102b)의 내측면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28(b)는 도 28(a)의 상측 제2 프레임부(102b)의 내측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28(c)는 도 28(a)의 상측 제2 프레임부(102b)의 외측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8(a), 도 28(b) 및 도 28(c)에서, 수지 프레임부(102bp)의 내측면(나사받이부(115)를 포함)에, 예를 들어 마그네슘 또는 아연 등의 도전성 재료로 되고, 상기 내측면의, 예를 들어, 아래쪽의 가장자리 단부를 따라 좌우 방향(수평 방향)에 대하여 평행으로 연장되고 또한 그 단부에서 아래쪽 방향으로 연장되는 역 U자 형상의 구형 슬롯(934)을 포함하는 도체층(102bm)을 형성함으로써, 상측 제2 프레임부(102b)를 구성하고, 예를 들어 안테나 소자(112)를 도체층(102bm)에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제7 실시예에서는, 상측 제2 프레임부(102b)의 내측면에, 슬롯(934)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도체층(102bm)에서 복수의 전기 길이의 도체를 형성할 수 있고, 복수의 공진주파수를 가지고, 복수의 주파수대를 커버할 수 있는 안테나 소자(102A)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도체층(102bm)의 형성 패턴을 변경함으로써, 슬롯(934)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상기 각 공진주파수를 조정할 수 있다.
도 29(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적용되는 제8 실시예로서,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상측 제2 프레임부(102b)의 내측면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29(b)는 도 29(a)의 상측 제2 프레임부(102b)의 내측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29(c)는 도 29(a)의 상측 제2 프레임부(102b)의 외측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9(a), 도 29(b) 및 도 29(c)에서, 수지 프레임부(102bp)의 내측면(나사받이부(115)를 포함)에, 예를 들어 마그네슘 또는 아연 등의 도전성 재료로 되고, 상기 내측면의 예를 들어 좌측 가장자리 단부를 따라 상하 방향에 대하여 평행으로 연장되는 구형 슬롯(935)을 포함하는 도체층(102bm)을 형성함으로써, 상측 제2 프레임부(102b)를 구성하고, 예를 들어 안테나 소자(112)를 도체층(102bm)에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또한, 상측 제2 프레임부(102b)의 외측면 위에, 상기 외측면의, 예를 들어, 좌측 가장자리 단부를 따라 상하 방향에 대하여 평행으로 연장되는 도체층(102bma)을 형성함으로써, 비여진(非勵振) 소자를 형성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제8 실시예에서는, 슬롯(935)을 통해서 전파를 방사할 수 있고, 비여진 소자인 도체층(102bma)을 이용해서 상기 안테나 장치의 지향(指向) 특성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조작자의 인체 방향과는 역방향에 대하여 주빔(main beam)을 향하도록 전파를 방사할 수 있다. 또한, 상측 제2 프레임부(102b)의 내측면에 슬롯(935)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도체층(102bm)에서 복수의 전기 길이의 도체를 형성할 수 있고, 복수의 공진주파수를 가지고, 복수의 주파수대를 커버할 수 있는 안테나 소자(102A)를 실현할 수 있다.
도 30(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적용되는 제9 실시예로서,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상측 제2 프레임부(102b)의 내측면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30(b)는 도 30(a)의 상측 제2 프레임부(102b)의 내측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30(c)는 도 30(a)의 상측 제2 프레임부(102b)의 외측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0(a), 도 30(b) 및 도 30(c)에서, 수지 프레임부(102bp)의 내측면(나사받이부(115)를 포함)에, 예를 들어 마그네슘 또는 아연 등의 도전성 재료로 되고, 상기 내측면의, 예를 들어, 좌측 가장자리 단부를 따라 상하 방향에 대하여 평행으로 연장되는 구형 도체층(102bm1)을 형성하고, 예를 들어, 마그네슘 또는 아연 등의 도전성 재료로 되고, 상기 내측면의, 예를 들어 우측의 가장자리 단부를 따라 상하 방향에 대하여 평행으로 연장되는 구형 도체층(102bm2)(구형도체층(102bm1)과는 다른 길이 방향의 길이를 가짐)을 형성한다. 이로써, 상측 제2 프레임부(102b)를 구성하고, 예를 들어 안테나 소자(112)를 도체층(102bm1 및 102bm2)에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제9 실시예에서는, 상측 제2 프레임부(102b)의 내측면에, 2개의 도체층(102bm1 및 102bm2)을 형성해 안테나 소자(102A)의 일부로 하고 있으므로, 안테나 소자(102A)에서 복수의 전기 길이의 도체를 형성할 수 있고, 복수의 공진주파수를 가지고, 복수의 주파수대를 커버할 수 있는 안테나 소자(102A)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각 도체층(102bm1 및 102bm2)의 형성 패턴을 변경함으로써, 안테나 소자(102A)의 전기 길이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상기 각 공진주파수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제9 실시예에서, 도체층 102bm1의 안테나 소자와 도체층 102bm2의 안테나 소자를 선택적으로 전환하도록 구성해도 좋은데, 예를 들어, 휴대 무선통신 장치를 통화할 때에 오른손에 보유하는가 왼손에 보유하는가에 따라서, 보다 큰 안테나 이득을 얻을 수 있도록 상기 2개의 안테나 소자를 선택적으로 전환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도 31(a)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적용되는 제10 실시예로서,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상측 프레임(702)을 떼어냈을 때의 평면도이며, 도 31(b)는 도 31(a)의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1(a) 및 도 31(b)에서, 도전성 재료로 된 2축 힌지부(704)의 앞 표면 상에, 수지층(704p)을 형성한다. 즉, 조작자가 통화할 때에 그 머리 부분이 접촉하는 부분에 수지층(704)을 형성함으로써, SAR을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수지층(704p)은 자성체 재료로 형성해도 좋다.
(제6 실시 형태)
도 32(a)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폴더형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닫힌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며, 도 32(b)는 도 32(a)의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측면도이다. 또한, 도 33(a)는 도 32(a) 및 도 32(b)의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열린 상태에서의 평면도이고, 도 33(b)는 도 33(a)의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측면도이다.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무선통신 장치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무선통신 장치에 비해, 안테나 소자 112 대신에 안테나 소자 211을 구비한 것이다. 여기서, 안테나 소자(211)는, 무선통신 회로(110)의 접속점(111)으로부터, 하측 프레임(103)의 내부, 힌지부(104)의 내부 및 상측 제1 프레임부(102a)의 내부를 통해서 상측 제1 프레임부(102a)의 도체부에 접속점(212)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무선통신 회로(110)의 접속점(111)은, 안테나 소자(211)를 통해서 상측 제1 프레임부(120a)의 도체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무선통신 장치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무선통신 장치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가진다. 또한, 붐부(910)의 내부에 안테나 소자(901)를 형성하고, 상측 제1 프레임부(120a)의 도체부를 안테나 소자(102A)로서 동작시키므로, 종래의 휴대 무선통신 장치와 같이, 외부 안테나를 이용하지 않아도 전파를 송수신할 수 있기 때문에, 휴대 무선통신 장치를 조작자의 주머니로부터 꺼낼 때에 외부 안테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붐부(910)와 하측 프레임(103)으로 둘러싸여지는 공간 내에는 관통 구멍(910h)이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도 3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붐부(910)에 스트랩(strap)(910s)을 달아서 목으로부터 축 늘어뜨릴 수 있고, 이 경우에도, 종래 기술의 외부 안테나를 이용하지 않아서 좋으므로, 휴대 무선통신 장치가 좌우 대칭이 되도록 디자인 할 수 있고, 목으로부터 축 늘어뜨렸을 때에 용이하게 균형이 잡힌다.
도 35(a)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의 변형례에 따른 폴더형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열린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며, 도 35(b)는 도 35(a)의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측면도이다. 제6 실시 형태의 변형례에 따른 휴대 무선통신 장치는, 제6 실시 형태 에 따른 휴대 무선통신 장치에 비해, 상측 제2 프레임부(102b)의 적어도 일부를 도전성 재료로 구성하고, 안테나 소자(211)를 접속점(212)에서의 상측 제2 프레임부(102b)의 도체부에 전기적으로 접속한 것이다. 즉, 안테나 소자 211 및 상측 제2 프레임부(102b)의 도체부에 의해 안테나 소자 102A를 구성한다. 이 경우에, 상측 제1 프레임부(102a)를 수지 또는 도전성 재료로 구성해도 좋다. 이상과 같이 구성함으로써, 통화할 때에, 안테나 소자(102A)와 인체 머리 부분과의 사이의 거리를 크게 할 수 있고, 통화할 때의 안테나 이득의 열화를 경감시킬 수 있다.
이상의 실시 형태에서, 안테나 소자(211)를 예를 들어 동축케이블 등의 급전 선로로 구성해도 좋다.
(제7 실시 형태)
도 36(a)는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에 따른 폴더형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열린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며, 도 36(b)는 도 36(a)의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측면도이다. 제7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무선통신 장치는,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무선통신 장치에 비해, 안테나 소자(504)에 접속된 끼움 원통부재(505)를, 상측 제1 프레임부(102a)에 연결된 힌지부(104)(도전성 재료로 됨)의 원통부의 내부에 끼워 삽입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함으로써, 무선통신 회로(110)의 접속점(111)은, 안테나 소자(504), 끼움 원통부재(505) 및 힌지부(104)를 통해서 상측 제1 프레임부(102a)의 도체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따라서, 제7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무선통신 장치는,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무선통신 장치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가진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 비해, 안테나 소자(504)가 힌지부(104)의 내부를 지나 상측 프레임(102)까지 연장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상측 프레임(102)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고, 힌지부(104)의 직경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힌지부(104)을 통해서 휴대 무선통신 장치를 개폐할 경우에서의 힌지부(104)의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 형태에서는, 상측 제1 프레임부(102a)의 적어도 일부를 도전성 재료로 구성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측 제2 프레임부(102b)의 적어도 일부를 도전성 재료로 구성하고, 힌지부(104)를 상측 제2 프레임부(102b)에 전기적으로 접속해도 좋다. 이 경우에서는, 안테나 소자(504), 끼움 원통부재(505), 힌지부(104) 및 상측 제2 프레임부(102b)의 도체부에 의해 안테나 소자(120A)를 구성한다. 이로써, 통화할 때에 인체 머리 부분과 안테나 소자(102A)와의 거리를 크게 할 수 있고, 안테나 이득의 열화를 작게 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 형태에서, 안테나 소자(504)를 예를 들어 동축케이블 등의 급전 선로로 구성해도 좋다.
(제8 실시 형태)
도 37(a)는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에 따른 폴더형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열린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며, 도 37(b)는 도 37(a)의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측면도이다. 제8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무선 통신 장치는, 도 17(a)에 나타낸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무선통신 장치에 비해, 안테나 소자(811)를 2축 힌지부(704)의 내부, 상측 제2 프레임부(702b)의 내부, 및 상측 제1 프레임부(702a)의 내부를 통해서 상측 제1 프레임부(702a)의 도체부에 연장시킨 것이다. 따라서, 무선통신 회로(110)의 접속점(801)은, 안테나 소자(811)를 통해서 접속점(812)에서 상측 제1 프레임부(702a)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제8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무선통신 장치는,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무선통신 장치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가진다. 또한, 거의 좌우 대칭 구조의 붐부(910)를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폭방향에 대하여 거의 좌우 대칭이 되는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디자인성을 향상할 수 있고, 2축 힌지부(704)의 구조가 큰 경우라도 디자인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안테나 소자(811)를, 2축 힌지부(704)와 전기적으로 절연하도록 연장시켜, 2축 힌지부(704)를 안테나 소자 102A 또는 901의 비여진 소자로서 동작시킬 수 있다.
이상의 실시 형태에서, 안테나 소자(811)는 상측 제1 프레임부(702a)의 내부까지 연장하여 그 도체부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안테나 소자(811)를 상측 제1 프레임부의 도체부에 접속된 2축 힌지부(704)의 도체부에 접속해도 좋다.
이상의 실시 형태에서는, 안테나 소자(811)를 구비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안테나 소자(811) 대신에, 예를 들어 동축케이블 등의 급전 선로로 구성해도 좋다.
도 38(a)는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의 변형례에 따른 폴더형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열린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며, 도 38(b)는 도 38(a)의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측면도이다. 제8 실시 형태의 변형례에 따른 휴대 무선통신 장치는, 제8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무선통신 장치에 비해, 상측 제2 프레임부(102b)의 적어도 일부를 도전성 재료로 구성하고, 안테나 소자(811)를 상측 제2 프레임부(102b)에 전기적으로 접속해도 좋다. 이 경우에서는, 안테나 소자(811) 및 상측 제2 프레임부(702b)의 도체부에 의해 안테나 소자(120A)를 구성한다. 이로써, 통화할 때에 인체 머리 부분과 안테나 소자(102A)와의 거리를 크게 할 수 있고, 안테나 이득의 열화를 작게 할 수 있다.
(제9 실시 형태)
도 39(a)는 본 발명의 제9 실시 형태에 따른 폴더형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닫힌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며, 도 39(b)는 도 39(a)의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측면도이다. 제9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무선통신 장치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무선통신 장치에 비해, 안테나 소자(112) 및 상측 제1 프레임부(102a)를 구비한 제1 안테나 소자(102A)를 대신하여, 휴대 무선통신 장치(1001)의 상측 제2 프레임부(102b)의 힌지부(104)와 반대측의 단부 부근에, 예를 들어 1/4 파장의 휩 안테나(whip antenna)인 외부 안테나(951)를 구비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한 휴대 무선통신 장치에 따르면, 종래 기술에서 열린 상태와 닫힌 상태의 양쪽에 메인 안테나로서 기능하고 있던 외부 안테나(951)와, 붐부(910) 내에 설치된 안테나 소자(901)(도 39(a) 및 도 39(b)에서 도시하지 않음)를 조합함으로써, 종래 기술에 비해 향상된 수신 다이버시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필요한 안테나 특성을 만족하기 위한 설계의 자유도가 향상되고, 예를 들어 종래 기술에 비해 소형의 외부 안테나(951)를 이용할 수 있고, 디자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한 실시 형태로 나타낸 외부 안테나(951)의 장착 위치는 어디까지나 일 례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하측 프레임(103)에 외부 안테나(901)를 구비해도 좋다. 이 경우에, 붐부(910)를 상측 프레임(102)에 배치해도 좋다.
이상의 실시 형태에서는, 폴더형 휴대 무선통신 장치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스트레이트 타입의 휴대 무선통신 장치에서, 외부 안테나(951)와, 붐부(910) 내의 안테나 소자(901)를 조합하여 설치해도 좋다.
(제10 실시 형태)
도 40(a)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 형태에 따른 폴더형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닫힌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며, 도 40(b)는 도 40(a)의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측면도이다. 제10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무선통신 장치는, 제9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무선통신 장치에 비해, 외부 안테나(951)를 대신하여,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상측 제2 프레임부(102b)의 내부이며 힌지부(104)와 반대측의 단부 부근에, 예를 들어 세라믹 칩 안테나(ceramic chip antenna)인 내장 안테나 소자(952)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내장 안테나 소자(952)와, 붐부(910)의 안테나 소자(901) (도 40(a) 및 도 40(b)에서 도시하지 않음)를 조합하여 안테나 장치를 구성했다. 이상과 같이 구성함으로써, 디자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설계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1(a)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 형태의 변형례에 따른 폴더형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닫힌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며, 도 41(b)는 도 41(a)의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측면도이다. 제10 실시 형태의 변형례에 따른 휴대 무선통신 장치는, 제10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무선통신 장치에 비해, 내장 안테나 소자(952)를 하측 프레임(103)의 내부이며 힌지부(104)와 반대측의 단부 부근에 배치한 것이며, 제10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무선통신 장치와 같은 작용 효과를 가진다. 또한, 붐부(910) 내의 안테나 소자(901)와, 내장 안테나 소자(952)와의 거리가 가까워지면, 이들의 상호결합에 의해 이들 안테나 소자(901, 952) 사이의 상관계수가 커지기 때문에, 다이버시티 수신 등의 효과가 저하해 버릴 경우를 고려하여, 적어도 1/4 파장 정도의 거리로 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실시 형태에서는, 1개의 내장 안테나 소자(952)를 구비했을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내장 안테나 소자를 구비해도 좋고, 이 경우에는 복수의 주파수대를 커버할 수 있다.
(제11 실시 형태)
도 42(a)는 본 발명의 제11 실시 형태에 따른 폴더형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열린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며, 도 42(b)는 도 42(a)의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측면도이다. 제11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무선통신 장치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무선통신 장치에 비해 이하의 점이 다르다.
(a) 하측 프레임(103)은 서로 대향하여 대립시킨, 내측에 위치하는 하측 제1 프레임부(103a)와, 외측에 위치하는 하측 제2 프레임부(103b)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하측 제2 프레임부(103b)를 적어도 그 일부를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상측 제1 프레임부(102a)와 마찬가지로 도전성 재료로 형성한 것(이하, 도전성 재료의 부분을 도체부(導體部)라고 함). 또한, 하측 제1 프레임부(103a)의 내측면의 중앙부에 키패드(116)를 설치한 것.
(b) 상측 제2 프레임부(102b) 내에, 무선통신 회로(110)를 구비한 것.
(c) 상측 제2 프레임부(102b)로부터 힌지부(104)를 통해서 하측 제2 프레임부(103b)에 연장되는 안테나 소자(962)를 구비한 것.
도 42(a) 및 도 42(b)에서, 안테나 소자(962)는 무선통신 회로(110)의 급전점인 접속점(961)(도 1(a)에서의 접속점(111)에 대응함)으로부터 힌지부(104)의 내부를 통해 하측 제1 프레임부(103a)의 내부에 연장되도록 설치되고, 하측 제1 프레임부(103a)의 내부의 안테나 소자(962)의 일단은 나사(963)에 접속된다. 여기서, 나사(963)가 하측 제2 프레임부(103b)의 외측면에서 하측 제1 프레임부(103b)의 나사받이부(964)를 향해서 하측 프레임(103)을 관통하고, 하측 프레임(103)을 나사 조임하여, 나사(963)는 하측 제2 프레임부(103b)의 도체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따라서, 무선통신 회로(110)의 접속점(961)은, 안테나 소자(962) 및 나사(963)를 통해서 하측 제2 프레임부(103b)의 도체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와 같이, 안테나 소자(962)와 하측 제2 프레임부(103b)의 도체부는 안테나 장치를 구성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휴대 무선 통신 장치도,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작용 효과를 가진다.
이상의 실시 형태에서는, 안테나 소자(962)를 하측 제2 프레임부(103b)의 도체부에 접속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측 제1 프레임부(103a)의 적어도 일부를 도전성 재료로 구성하고, 안테나 소자(962)를 하측 제1 프레임부(103a)의 도체부에 접속해도 좋다. 또한, 하측 제1 프레임부(103a)와 하측 제2 프레임부(103a)의 양쪽에 도체부를 형성해도 좋다.
(제12 실시 형태)
도 44(a)는 본 발명의 제12 실시 형태에 따른 슬라이드형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44(b)는 도 44(a)의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4(a) 및 도 44(b)에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무선통신 장치는, 상측 프레임(102c)과 하측 프레임(103c)을 구비함과 더불어, 슬라이드 기구를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드 기구는, 상측 프레임(102c)의 뒷면에 형성된 2개의 슬라이드용 돌기부(182)가 각각 하측 프레임(130c)의 양측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슬라이드용 홈(181)에 끼워지고, 상측 프레임(102c)은 각 길이 방향을 따라 화살표(183)의 방향에서 미끄러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측 프레임(102c)이 도 44(a) 및 도 4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드 기구의 상측에 위치할 때에는, 하측 프레임(103c)의 키패드(116)가 드러나서 조작할 수 있게 되는 반면, 상측 프레임(102c)이 슬라이드 기구의 하측에 위치할 때에는, 하측 프레임(103c)의 키패드(116)가 상측 프레임(102c)에 의해 덮혀서 조작할 수 없게 되고, 이 때, 상측 프레임(102c)과 하측 프레임(103c)은 최소의 점유 면적으로 일체화되어, 후술하는 스트레이트형 휴대 무선통신 장치와 마찬가지의 형태가 된다. 또한, 예를 들어, 하측 프레임(103c)의 뒷면 상부의 표면 상에, 도전성 재료로 된 도체층(103cc)을 형성하고, 안테나 소자(103A)로서 이용한다. 또한, 하측 프레임(103c)의 하부의 좌우 양단부의 내부에, 예를 들어 칩 안테나로 된 내장 안테나 소자(191, 192)를 구비한다. 이들 3개의 안테나 소자(103A, 191, 192) 중 적어도 2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여기서, 적어도 2개의 안테나 소자를 이용하여 송신 다이버시티 및 수신 다이버시티를 실행한다.
도 45(a)는 본 발명의 제12 실시 형태의 변형례에 따른 슬라이드형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45(b)는 도 45(a)의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5(a) 및 도 45(b)에서, 이 변형례에 따른 휴대 무선통신 장치는, 제12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무선통신 장치에 비해, 접속점(902)에 접속된 안테나 소자(901)를 내장한 붐부(910)를 하측 프레임(103c)의 상단면의 양쪽 가장자리 단부에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 내지 제11 실시 형태와 그 변형례에 따른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특징적인 구성을, 제12 실시 형태와 그 변형례에 따른 슬라이드형 휴대 무선통신 장치에 적용해도 좋다.
(제13 실시 형태)
도 46(a)는 본 발명의 제13 실시 형태에 따른 스트레이트형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46(b)는 도 46(a)의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배면도이고, 도 46(c)는 도 46(a)의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6(a) 도 46(b) 및 도 46(c)에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무선통신 장치는, 서로 붙여서 합친 상측 프레임(102d)과 하측 프레임(103d)을 구비한 스트레이트형 휴대 무선통신 장치이다. 여기서, 예를 들어, 하측 프레임(103d)의 뒷면 상부의 표면 상에, 도전성 재료로 된 도체층(103dc)을 형성하고, 안테나 소자(103A)로서 이용한다. 또한 하측 프레임(103d)의 하부의 좌우 양단부의 내부에, 예를 들어 칩 안테나로 된 내장 안테나 소자(191, 192)를 구비한다. 이들 3개의 안테나 소자(103A, 191, 192) 중 적어도 2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여기서, 적어도 2개의 안테나 소자를 이용하여 송신 다이버시티 및 수신 다이버시티를 실행한다.
도 47(a)는 본 발명의 제13 실시 형태의 변형례에 따른 스트레이트형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47(b)는 도 47(a)의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배면도이고, 도 47(c)는 도 47(a)의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7(a), 도 47(b) 및 도 47(c)에서, 이 변형례에 따른 휴대 무선통신 장치는, 제13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무선통신 장치에 비해, 접속점(902)에 접속된 안테나 소자(901)를 내장한 붐부(910)를 하측 프레임(103d)의 상단면의 양쪽 가장자리 단부에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 내지 제11 실시 형태와 그 변형례에 따른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특징적인 구성을, 제13 실시 형태와 그 변형례에 따른 스트레이트형 휴대 무선통신 장치에 적용해도 좋다.
이상의 실시 형태에서, 안테나 또는 안테나 소자는 각각 불평형형(不平衡型) 안테나 또는 안테나 소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변형례)
도 4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다른 변형례에 따른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붐부(910)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43에서, 붐부(901)의 상측 표면 상에, 제1 도체 안테나 소자층(911)을 형성하는 한편, 도체 안테나 소자층(911)과 분리하여, 붐부(901)의 하측 표면 상에 제2 도체 안테나 소자층(912)을 형성하고, 하측 프레임(103) 내에서 2개의 도체 안테나 소자층(911, 912)을 접속점(913) 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더욱 접속점(902)에 접속되게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휴대 무선통신 장치에서, 제1 도체 안테나 소자층(911)을 보다 낮은 주파수대(예를 들어 800MHz대)에서 공진하는 전기 길이로 형성하고, 제2 도체 안테나 소자층(912)을 보다 높은 주파수대(예를 들어 1.5GHz대)에서 공진하는 전기 길이로 형성하면, 주파수가 낮은 만큼 전기적인 거리는 가까워진다. 일반적으로, 하측 프레임(103) 내의 프린트 배선기판(109)의 접지 도체와, 각 도체 안테나 소자층(911, 912)과의 거리가 같을 경우에는 보다 낮은 주파수대의 도체 안테나 소자층 쪽이 안테나 이득이 저하한다. 그러나, 도 43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보다 낮은 주파수대 쪽을 접지 도체로부터 분리한 외측(상측)에 배치함으로써, 하측 프레임(103)의 접지 도체로부터의 거리를 크게 할 수 있고, 특히, 도체 안테나 소자층(911)과 접지 도체와의 사이의 용량성 결합을 저감시킬 수 있으므로, 급전점에서 안테나 장치를 보았을 때의 입력 임피던스를 더 저하시킬 수 있고, 예를 들어 50 Ω의 임피던스 정합을 용이하게 취할 수 있는 동시에, 2개의 도체 안테나 소자층(911, 912)을 이용해서 광대역에서 고이득의 안테나 특성을 실현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 형태에서는, 상측 제1 프레임부(102a)와 상측 제2 프레임부(102b) 중 한쪽에서 안테나 소자(102A)로서 동작하는 도체부를 형성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측 제1 프레임부(102a)와 상측 제2 프레임부(102b)의 양쪽에 안테나 소자(102A)로서 동작하는 도체부를 형성해도 좋다.
이상의 실시 형태에서는, 상측 프레임(102)과 하측 프레임(103) 중 한쪽에 도체부를 형성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측 프레임(102)과 하 측 프레임(103) 양쪽에 도체부를 형성해도 좋다.
이상의 실시 형태에서는, 외부 안테나로서 휩 안테나를 이용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고정식(固定式)의 헬리컬 안테나를 이용해도 좋다. 또한, 내장 안테나로서 역F 안테나를 이용해도 좋다. 또한, 상측 프레임(102)에 복수의 안테나 장치를 설치해도 좋다.
이상의 실시 형태에서는, 상측 프레임(102)과 하측 프레임(103)을, 예를 들어 안테나 소자(112)로 접속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가요성(可撓性) 프린트 배선기판 상의 동체(胴體) 패턴을 이용해서 접속해도 좋다.
이상의 실시 형태에서, 붐부(910)를 마그네슘이나 아연 등의 도전성 재료로 구성함으로써, 붐부(910)의 기계 강도를 높일 수 있고, 휴대 무선통신 장치가 바닥 등의 지면에 낙하했을 경우에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붐부(910)의 적어도 일부를 유전체 재료로 충전해서 형성하고 있으므로, 붐부(910) 내의 안테나 소자(901)의 공진주파수를 낮추는 효과가 있어, 유전체 재료를 충전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안테나 소자(901)의 주위를 수지 등의 유전체 재료로 고정함으로써, 붐부(910) 및 안테나 소자(901)의 기계 강도를 높일 수 있고, 양산성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이상의 실시 형태에서, 붐부(910)의 적어도 일부를 엘라스토머(elastomer) 등의 탄력성 또는 유연성이 있는 수지 재료로 구성해도 좋다. 이 경우, 휴대 무선통신 장치를 평면 위에 두었을 경우, 잘못해서 밟는 것과 같이 상방향으로부터 압력을 가하거나, 유지 상태에서 잘못해서 낙하했을 경우에 충격을 흡수할 수 있고, 붐부(91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 형태에서, 붐부(910)의 형상은 도시한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사다리꼴 형상 또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해도 좋다. 또한, 붐부(910)의 적어도 일부를 투명 또는 반투명의 수지 재료로 형성해도 좋다. 이 경우, 디자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붐부(910)에서, 송신할 때에 발광하는 발광 다이오드를 배치해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폴더형 휴대 무선통신 장치에 의하면, 상측 프레임 또는 하측 프레임 중 적어도 일부가 안테나 소자를 겸하는 구성이며, 낙하 등의 충격에 대한 내성을 강화하는 효과가 생기는 동시에, 안테나 소자에 대한 점유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종래 기술에 비해 부품 수의 삭감,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박형화 및 경량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도전성 재료로 된 힌지부를 안테나 장치의 일부로서 기능시킴으로써, 안테나 장치의 크기를 크게 할 수 있고, 안테나 이득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유전체 재료 또는 자성체 재료로 이루어진 박막의 절연 시트(301)를 상측 제1 프레임부(102a)의 표면에 첨부함으로써, 인체와 안테나 장치와의 거리를 보다 크게 할 수 있고, 통화할 때에 인체의 전자기적 영향에 의한 안테나 이득의 저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무선통신 장치에 의하면, 폴더형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하측 프레임의 힌지부 근방에,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폭방향에 대하여 거의 좌우 대칭이 되는 위치에 접속된 붐부(910) 내의 안테나 소자(901)인 제1 안테나와, 적어도 일부가 도전성 재료로 구성된 상측 프레임 또는 하측 프레임을 구 성 요소로 하는 제2 안테나를 조합한 것이다. 이로써, 종래 기술의 외부 안테나를 이용하지 않아도 전파의 송수신이 가능해 지기 때문에, 휴대 무선통신 장치를 주머니로부터 꺼낼 때에 외부 안테나가 걸리는 경우가 있었던 종래 기술의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붐부(910)와 하측 프레임으로 둘러싸여지는 공간 내에는 관통 구멍(910h)이 있기 때문에, 붐부(910)에 스트랩(910s)을 붙여서 목으로부터 늘어뜨릴 수 있고, 이 경우에도, 종래 기술의 외부 안테나를 이용하지 않아서 좋으며, 휴대 무선통신 장치가 좌우 대칭이 되도록 디자인 할 수 있기 때문에, 목으로부터 늘어뜨렸을 때에 용이하게 균형을 잡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무선통신 장치는, 예를 들어 프레임에,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폭방향에 대하여 거의 좌우 대칭이 되는 위치에 접속된 붐부를 구비하고, 이 붐부 내에 설치된 안테나 소자와, 적어도 일부가 도전성 재료로 구성된 프레임을 구성 요소로 하는 안테나를 조합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 기술의 외부 안테나를 이용하지 않아도 전파의 송수신이 가능해 지기 때문에, 휴대 무선통신 장치를 주머니으로부터 꺼낼 때에 외부 안테나가 걸리는 경우가 있었던 종래 기술의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붐부와 프레임으로 둘러싸여지는 공간 내에는 관통 구멍이 있기 때문에, 붐부에 스트랩을 해서 목으로부터 늘어뜨릴 수 있고, 이 경우에도, 종래 기술의 외부 안테나를 이용하지 않아서 좋고, 휴대 무선통신 장치가 좌우 대칭이 되도록 디자인 할 수 있기 때문에, 목으로부터 늘어뜨렸을 때에 용이하게 균형을 잡을 수가 있다.

Claims (3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이 힌지부를 통해 접힐 수 있는 휴대 무선통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에 설치된 제1 안테나 소자와,
    상기 제2 프레임에 설치된 제2 안테나 소자와,
    상기 힌지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안테나 소자와 상기 제2 안테나 소자를 접속하는 정전 용량과,
    상기 제2 프레임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안테나 소자의 일단(一端)에 접속된 급전점(給電点)을 갖는 무선통신 회로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제1 안테나 소자와 상기 제2 안테나 소자를 상기 정전 용량을 통해 접속하여 하나의 안테나 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휴대 무선통신 장치의 안테나 장치의 치수가 상기 제1 안테나 소자만이 안테나 소자로서 동작하는 경우에 비해 크게 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힌지부는, 각각 도전성 재료로 형성되고 서로 회전하여 미끄러질 수 있도록 끼워 맞춰진 원통 형상의 제1 힌지부와 제2 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정전 용량은, 상기 제1 힌지부와 상기 제2 힌지부를 절연 링을 통해 끼워 설치함으로써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무선통신 장치.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테나 소자는, 상기 제1 프레임의 적어도 일부를 도전성 재료로 형성함으로써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무선통신 장치.
  36. 제34항 또는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안테나 소자는, 상기 제2 프레임의 적어도 일부를 도전성 재료로 형성함으로써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무선통신 장치.
KR1020040007790A 2003-02-06 2004-02-06 휴대 무선통신 장치 KR1009954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029217 2003-02-06
JPJP-P-2003-00029217 2003-02-06
JP2003042822 2003-02-20
JPJP-P-2003-00042822 2003-02-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1655A KR20040071655A (ko) 2004-08-12
KR100995418B1 true KR100995418B1 (ko) 2010-11-18

Family

ID=3265863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7791A KR100995473B1 (ko) 2003-02-06 2004-02-06 휴대 무선통신 장치
KR1020040007790A KR100995418B1 (ko) 2003-02-06 2004-02-06 휴대 무선통신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7791A KR100995473B1 (ko) 2003-02-06 2004-02-06 휴대 무선통신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4) US7009567B2 (ko)
EP (4) EP1445821A1 (ko)
KR (2) KR100995473B1 (ko)
CN (3) CN152013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3031192A (ja) * 2021-08-24 2023-03-08 レーザー インスティチュート オブ シャンドン アカデミー オブ サイエンシス レーザ超音波とガルボスキャナーとの協働による金属付加製造同期検出システム及び方法
US11687128B2 (en) 2020-11-06 2023-06-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and antenna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25778A1 (en) 2002-09-10 2004-03-25 Fractus, S.A. Coupled multiband antennas
US20050054399A1 (en) * 2003-09-10 2005-03-10 Buris Nicholas E.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mproved antenna bandwidth
TWI225744B (en) * 2003-10-06 2004-12-21 Benq Corp Flip-flop mobile phone
KR100703497B1 (ko) * 2004-01-05 2007-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게임 겸용 휴대용 통신 장치
US9003199B2 (en) * 2004-03-23 2015-04-07 Harris Corporation Modular cryptographic device providing multi-mode wireless LAN operation features and related methods
US7343183B2 (en) * 2004-04-02 2008-03-1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Portable wireless unit
KR100630102B1 (ko) * 2004-05-03 2006-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 팝 업 타입 키패드를 구비한 휴대 통신 장치
JP4444021B2 (ja) * 2004-06-29 2010-03-3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折畳式携帯無線機
JP3841100B2 (ja) 2004-07-06 2006-11-0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子装置および無線通信端末
JP2006050324A (ja) * 2004-08-05 2006-02-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無線機
JP4331072B2 (ja) * 2004-08-27 2009-09-1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携帯無線機
JP4636456B2 (ja) * 2004-09-16 2011-02-23 富士通東芝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無線装置
US7528797B2 (en) * 2005-08-29 2009-05-05 Kyocera Wireless Corp. Electrical connector with frequency-tuned groundplane
WO2006043326A1 (ja) * 2004-10-21 2006-04-27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スライド式携帯無線機
JP4948177B2 (ja) 2004-10-28 2012-06-0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折畳式携帯無線機
EP1806907A4 (en) * 2004-10-28 2007-11-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PORTABLE TELEPHONE WITH BROADCAST RECEIVER
JP4691958B2 (ja) 2004-10-29 2011-06-01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無線端末
JP2006129386A (ja) * 2004-11-01 2006-05-18 Fujitsu Ltd アンテナ装置及び無線通信装置
KR101050634B1 (ko) * 2004-11-10 2011-07-1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JP4300210B2 (ja) * 2004-11-18 2009-07-22 株式会社カシオ日立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携帯型無線機
JP4197684B2 (ja) * 2005-03-23 2008-12-17 株式会社東芝 携帯無線機
JP4826880B2 (ja) * 2005-04-12 2011-11-30 日本電気株式会社 折り畳み型携帯電話機
US7447528B2 (en) * 2005-04-12 2008-11-04 Nokia Corporation Multifunction electronic device
TWI257739B (en) * 2005-05-26 2006-07-01 Wistron Neweb Corp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20070003088A1 (en) * 2005-06-27 2007-01-04 Nokia Corporation Hearing aid compatible mobile phone and method
US20070021161A1 (en) * 2005-07-19 2007-01-25 Nokia Corporation Hand-portable radio communications device comprising relatively movable first and second portions
US8115686B2 (en) 2005-07-21 2012-02-14 Fractus, S.A. Handheld device with two antennas, and method of enhancing the isolation between the antennas
US20090135081A1 (en) * 2006-01-12 2009-05-28 Yoshiki Imura Mobile terminal device, antenna switching method, and program
US7519328B2 (en) 2006-01-19 2009-04-14 Murata Manufacturing Co., Ltd. Wireless IC device and component for wireless IC device
JP4998463B2 (ja) 2006-04-10 2012-08-1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無線icデバイス
CN102780084B (zh) * 2006-04-14 2016-03-02 株式会社村田制作所 天线
WO2007119304A1 (ja) 2006-04-14 2007-10-25 Murata Manufacturing Co., Ltd. 無線icデバイス
JP4803253B2 (ja) * 2006-04-26 2011-10-2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給電回路基板付き物品
US9064198B2 (en) 2006-04-26 2015-06-23 Murata Manufacturing Co., Ltd. Electromagnetic-coupling-module-attached article
JP4325744B2 (ja) 2006-05-26 2009-09-02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データ結合器
JPWO2007138836A1 (ja) * 2006-05-30 2009-10-0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情報端末機器
US20100240423A1 (en) * 2006-05-30 2010-09-23 Panasonic Corporation Portable wireless unit
EP2023275B1 (en) 2006-06-01 2011-04-27 Murata Manufacturing Co. Ltd. Radio frequency ic device and composite component for radio frequency ic device
WO2007145053A1 (ja) * 2006-06-12 2007-12-21 Murata Manufacturing Co., Ltd. 電磁結合モジュール、無線icデバイスの検査システム及びそれを用いた電磁結合モジュール、無線icデバイスの製造方法
JP4281850B2 (ja) * 2006-06-30 2009-06-1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光ディスク
CN101485044A (zh) * 2006-07-06 2009-07-15 夏普株式会社 便携无线终端设备
WO2008007606A1 (fr) * 2006-07-11 2008-01-17 Murata Manufacturing Co., Ltd. Dispositif à antenne et circuit résonnant
JP4310589B2 (ja) 2006-08-24 2009-08-12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無線icデバイスの検査システム及びそれを用いた無線icデバイスの製造方法
JP2008072382A (ja) * 2006-09-13 2008-03-27 Toshiba Corp アンテナ装置及び無線装置
WO2008050535A1 (fr) 2006-09-26 2008-05-02 Murata Manufacturing Co., Ltd. Module couplé électromagnétiquement et article muni de celui-ci
KR100800756B1 (ko) * 2006-10-04 2008-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디지털멀티미디어 방송신호 수신 장치
US20080100514A1 (en) * 2006-10-25 2008-05-01 Abdul-Gaffoor Mohammed R Antenna Arrangement for Hing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N101523750B (zh) * 2006-10-27 2016-08-31 株式会社村田制作所 带电磁耦合模块的物品
US7639795B2 (en) * 2006-12-19 2009-12-29 Kyocera Corporation Hinge device and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JP4819666B2 (ja) * 2006-12-25 2011-11-24 富士通株式会社 無線機器
WO2008090943A1 (ja) 2007-01-26 2008-07-31 Murata Manufacturing Co., Ltd. 電磁結合モジュール付き容器
JPWO2008096574A1 (ja) * 2007-02-06 2010-05-20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磁結合モジュール付き包装材
JP4888494B2 (ja) 2007-02-06 2012-02-29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磁結合モジュール付き包装材
US8009101B2 (en) 2007-04-06 2011-08-30 Murata Manufacturing Co., Ltd. Wireless IC device
JP5024372B2 (ja) 2007-04-06 2012-09-12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無線icデバイス
WO2008126649A1 (ja) * 2007-04-09 2008-10-23 Murata Manufacturing Co., Ltd. 無線icデバイス
US8235299B2 (en) 2007-07-04 2012-08-07 Murata Manufacturing Co., Ltd. Wireless IC device and component for wireless IC device
US7762472B2 (en) 2007-07-04 2010-07-27 Murata Manufacturing Co., Ltd Wireless IC device
JP5079378B2 (ja) * 2007-04-16 2012-11-21 日本写真印刷株式会社 携帯機器
JP4930586B2 (ja) 2007-04-26 2012-05-1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無線icデバイス
JP4433097B2 (ja) 2007-04-27 2010-03-1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無線icデバイス
EP2141769A4 (en) 2007-04-27 2010-08-11 Murata Manufacturing Co WIRELESS IC DEVICE
WO2008142957A1 (ja) 2007-05-10 2008-11-27 Murata Manufacturing Co., Ltd. 無線icデバイス
WO2008140037A1 (ja) 2007-05-11 2008-11-20 Murata Manufacturing Co., Ltd. 無線icデバイス
US8060162B2 (en) * 2007-06-27 2011-11-15 Motorola Mobility, Inc. Slider grounding to mitigate unwanted coupling and lossy antenna resonance
WO2009001814A1 (ja) * 2007-06-27 2008-12-31 Murata Manufacturing Co., Ltd. 無線icデバイス
CN104078767B (zh) 2007-07-09 2015-12-09 株式会社村田制作所 无线ic器件
CN104540317B (zh) 2007-07-17 2018-11-02 株式会社村田制作所 印制布线基板
US7830311B2 (en) 2007-07-18 2010-11-09 Murata Manufacturing Co., Ltd. Wireless 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WO2009011376A1 (ja) * 2007-07-18 2009-01-22 Murata Manufacturing Co., Ltd. 無線icデバイス
JP5104865B2 (ja) * 2007-07-18 2012-12-19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無線icデバイス
US20090021352A1 (en) * 2007-07-18 2009-01-22 Murata Manufacturing Co., Ltd. Radio frequency ic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EP2169594B1 (en) 2007-07-18 2018-03-07 Murata Manufacturing Co., Ltd. Wireless ic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4900106B2 (ja) * 2007-07-19 2012-03-21 富士通株式会社 シール構造、電子装置、携帯装置及び電子装置の製造方法
US8138977B2 (en) * 2007-08-07 2012-03-20 Apple Inc. Antennas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s
JP2009065388A (ja) * 2007-09-05 2009-03-26 Toshiba Corp 無線装置及びアンテナ装置
US20090061966A1 (en) * 2007-09-05 2009-03-05 Motorola, Inc. Antenna and speaker assembly
CN101911386A (zh) * 2007-10-31 2010-12-08 夏普株式会社 便携式无线设备
JP4894740B2 (ja) * 2007-12-03 2012-03-14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無線機及び無線通信方法
ATE555518T1 (de) 2007-12-20 2012-05-15 Murata Manufacturing Co Ic-radiogerät
CN101601169B (zh) 2007-12-26 2013-08-14 株式会社村田制作所 天线装置及无线ic器件
FI20075974A0 (fi) * 2007-12-28 2007-12-28 Nokia Corp Laite ja menetelmä
US8264412B2 (en) 2008-01-04 2012-09-11 Apple Inc. Antennas and antenna carrier structures for electronic devices
JP2009165082A (ja) * 2008-01-10 2009-07-23 Panasonic Corp 携帯無線機
JP5267463B2 (ja) 2008-03-03 2013-08-2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無線icデバイス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EP2251933A4 (en) * 2008-03-03 2012-09-12 Murata Manufacturing Co COMPOSITE ANTENNA
US20110001685A1 (en) * 2008-03-11 2011-01-06 Mitsubishi Cable Industries, Ltd. Antenna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CN101960665B (zh) * 2008-03-26 2014-03-26 株式会社村田制作所 无线ic器件
US7933123B2 (en) 2008-04-11 2011-04-26 Apple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two-piece housing
WO2009128437A1 (ja) * 2008-04-14 2009-10-22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無線icデバイス、電子機器及び無線icデバイスの共振周波数の調整方法
WO2009130748A1 (ja) * 2008-04-25 2009-10-2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携帯無線機
WO2009139100A1 (ja) * 2008-05-14 2009-11-1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携帯無線機
EP2840648B1 (en) 2008-05-21 2016-03-23 Murata Manufacturing Co., Ltd. Wireless IC device
WO2009142068A1 (ja) * 2008-05-22 2009-11-2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無線icデバイス及びその製造方法
WO2009145007A1 (ja) 2008-05-26 2009-12-03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無線icデバイスシステム及び無線icデバイスの真贋判定方法
EP3509162A1 (en) * 2008-05-28 2019-07-10 Murata Manufacturing Co., Ltd. Wireless ic device and component for a wireless ic device
CN102017289B (zh) * 2008-06-19 2014-06-25 夏普株式会社 无线装置
CN101983457B (zh) * 2008-06-19 2014-02-05 夏普株式会社 无线装置
JP4557186B2 (ja) 2008-06-25 2010-10-0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無線icデバイスとその製造方法
WO2010001987A1 (ja) * 2008-07-04 2010-01-0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無線icデバイス
JP5033200B2 (ja) * 2008-07-17 2012-09-26 シャープ株式会社 短辺方向スライド型無線装置
JP5434920B2 (ja) * 2008-08-19 2014-03-0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無線icデバイス及びその製造方法
US8169373B2 (en) 2008-09-05 2012-05-01 Apple Inc. Antennas with tuning structure for handheld devices
US20100087235A1 (en) * 2008-10-08 2010-04-08 Chi-Ming Chiang Loop antenna for cell phone having a metallic or non-metallic casing
WO2010047214A1 (ja) * 2008-10-24 2010-04-29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無線icデバイス
WO2010050361A1 (ja) * 2008-10-29 2010-05-0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無線icデバイス
JP4605318B2 (ja) * 2008-11-17 2011-01-0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アンテナ及び無線icデバイス
JP5027784B2 (ja) * 2008-11-26 2012-09-19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子機器
JP5222716B2 (ja) * 2008-12-25 2013-06-26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
JP5041075B2 (ja) 2009-01-09 2012-10-03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無線icデバイスおよび無線icモジュール
CN102204011B (zh) * 2009-01-16 2013-12-25 株式会社村田制作所 高频器件及无线ic器件
WO2010087429A1 (ja) 2009-01-30 2010-08-0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アンテナ及び無線icデバイス
WO2010095200A1 (ja) * 2009-02-18 2010-08-2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受信装置
JP5510450B2 (ja) 2009-04-14 2014-06-04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無線icデバイス
WO2010122685A1 (ja) 2009-04-21 2010-10-2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アンテナ装置及びその共振周波数設定方法
KR101544373B1 (ko) * 2009-05-18 2015-08-17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수개의 안테나들을 구비하는 통신 단말기 및 그의 통신 시스템 접속 방법
JP5447515B2 (ja) 2009-06-03 2014-03-19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無線icデバイス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00133536A (ko) * 2009-06-12 2010-12-22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 타입 휴대용 단말기의 내장형 안테나 장치
WO2010146944A1 (ja) 2009-06-19 2010-12-23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無線icデバイス及び給電回路と放射板との結合方法
JP4788850B2 (ja) 2009-07-03 2011-10-0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アンテナモジュール
WO2011037234A1 (ja) 2009-09-28 2011-03-3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無線icデバイスおよびそれを用いた環境状態検出方法
JP5201270B2 (ja) 2009-09-30 2013-06-0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回路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5304580B2 (ja) * 2009-10-02 2013-10-02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無線icデバイス
WO2011045970A1 (ja) 2009-10-16 2011-04-2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アンテナ及び無線icデバイス
JP5418600B2 (ja) 2009-10-27 2014-02-19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送受信装置及び無線タグ読み取り装置
GB2487315B (en) 2009-11-04 2014-09-24 Murata Manufacturing Co Communication terminal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JP5327334B2 (ja) 2009-11-04 2013-10-30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通信端末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WO2011055702A1 (ja) 2009-11-04 2011-05-12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無線icタグ、リーダライタ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KR101318707B1 (ko) 2009-11-20 2013-10-17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안테나 장치 및 이동체 통신 단말
JP2011120071A (ja) * 2009-12-04 2011-06-16 Panasonic Corp 携帯無線機
JP4978756B2 (ja) 2009-12-24 2012-07-1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通信端末
JP5758648B2 (ja) * 2010-02-24 2015-08-05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
JP5403146B2 (ja) 2010-03-03 2014-01-29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無線通信デバイス及び無線通信端末
JP5652470B2 (ja) 2010-03-03 2015-01-14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無線通信モジュール及び無線通信デバイス
WO2011111509A1 (ja) 2010-03-12 2011-09-1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無線通信デバイス及び金属製物品
CN102195132A (zh) * 2010-03-17 2011-09-21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无线通信装置
WO2011118379A1 (ja) 2010-03-24 2011-09-29 株式会社村田製作所 Rfidシステム
JP2011217184A (ja) * 2010-03-31 2011-10-27 Fujitsu Toshiba Mobile Communications Ltd 携帯無線装置
JP5630499B2 (ja) 2010-03-31 2014-11-2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アンテナ装置及び無線通信デバイス
CN102244314B (zh) * 2010-05-10 2013-11-27 赖文正 磁性天线配置机构
JP5299351B2 (ja) 2010-05-14 2013-09-2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無線icデバイス
JP5170156B2 (ja) 2010-05-14 2013-03-2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無線icデバイス
JP2012015976A (ja) * 2010-07-05 2012-01-19 Panasonic Corp 携帯無線機
WO2012005278A1 (ja) 2010-07-08 2012-01-12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アンテナ及びrfidデバイス
CN102859790B (zh) 2010-07-28 2015-04-01 株式会社村田制作所 天线装置及通信终端设备
WO2012020748A1 (ja) 2010-08-10 2012-02-1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プリント配線板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US8923528B2 (en) 2010-08-30 2014-12-30 Microsoft Corporation Hearing aid-compatible apparatus fo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JP5234071B2 (ja) 2010-09-03 2013-07-10 株式会社村田製作所 Rficモジュール
CN103038939B (zh) 2010-09-30 2015-11-25 株式会社村田制作所 无线ic器件
WO2012041213A1 (zh) * 2010-09-30 2012-04-05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
WO2012050037A1 (ja) 2010-10-12 2012-04-19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アンテナ装置および通信端末装置
WO2012053412A1 (ja) 2010-10-21 2012-04-2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通信端末装置
JP5619565B2 (ja) * 2010-10-27 2014-11-05 京セラ株式会社 通信装置
JP5682238B2 (ja) * 2010-11-05 2015-03-11 富士通株式会社 スライド式無線端末装置
WO2012093541A1 (ja) 2011-01-05 2012-07-12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無線通信デバイス
CN103299325B (zh) 2011-01-14 2016-03-02 株式会社村田制作所 Rfid芯片封装以及rfid标签
CN104899639B (zh) 2011-02-28 2018-08-07 株式会社村田制作所 无线通信器件
JP5630566B2 (ja) 2011-03-08 2014-11-2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アンテナ装置及び通信端末機器
JP5273326B2 (ja) 2011-04-05 2013-08-2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無線通信デバイス
JP5482964B2 (ja) 2011-04-13 2014-05-0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無線icデバイス及び無線通信端末
JP5741200B2 (ja) * 2011-05-11 2015-07-01 富士通株式会社 通信装置
WO2012157596A1 (ja) 2011-05-16 2012-11-22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無線icデバイス
EP2683031B1 (en) 2011-07-14 2016-04-27 Murata Manufacturing Co., Lt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JP5333707B2 (ja) 2011-07-15 2013-11-0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無線通信デバイス
CN203850432U (zh) 2011-07-19 2014-09-24 株式会社村田制作所 天线装置以及通信终端装置
US9002283B2 (en) * 2011-08-01 2015-04-07 Apple Inc. Antenna switching system with adaptive switching criteria
CN203553354U (zh) 2011-09-09 2014-04-16 株式会社村田制作所 天线装置及无线器件
US8639194B2 (en) * 2011-09-28 2014-01-28 Motorola Mobility Llc Tunable antenna with a conductive, physical component co-located with the antenna
WO2013080991A1 (ja) 2011-12-01 2013-06-0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無線icデバイス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3115019A1 (ja) 2012-01-30 2013-08-0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無線icデバイス
WO2013125610A1 (ja) 2012-02-24 2013-08-29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アンテナ装置および無線通信装置
US20130241800A1 (en) * 2012-03-14 2013-09-19 Robert W. Schlub Electronic Device with Tunable and Fixed Antennas
CN104487985B (zh) 2012-04-13 2020-06-26 株式会社村田制作所 Rfid标签的检查方法及检查装置
US9122446B2 (en) * 2012-05-30 2015-09-01 Apple Inc. Antenna structures in electronic devices with hinged enclosures
KR101393829B1 (ko) * 2012-10-04 2014-05-1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통신 단말기, 그의 안테나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JP5907479B2 (ja) * 2013-03-22 2016-04-26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アンテナ装置及び電子機器
US9680202B2 (en) 2013-06-05 2017-06-13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antenna windows on opposing housing surfaces
KR20150004521A (ko) * 2013-07-03 2015-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 전자 기기
KR101544698B1 (ko) * 2013-12-23 2015-08-17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내장형 안테나
US9450289B2 (en) 2014-03-10 2016-09-20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dual clutch barrel cavity antennas
KR102177285B1 (ko) 2014-09-01 2020-11-10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05655703B (zh) * 2014-11-25 2018-12-14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天线和电子设备
US9653777B2 (en) 2015-03-06 2017-05-16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isolated cavity antennas
US10268236B2 (en) 2016-01-27 2019-04-23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having ventilation systems with antennas
US10446911B2 (en) * 2016-02-08 2019-10-1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ver of device acting as antenna of the device
KR102433402B1 (ko) * 2016-02-19 2022-08-17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518499B1 (ko) * 2016-04-22 2023-04-05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06100686B (zh) * 2016-05-25 2019-03-12 广州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电子终端
KR102501935B1 (ko) * 2016-08-31 2023-02-21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테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DE102017200129A1 (de) * 2017-01-05 2018-07-05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Ndip-Antenne
CN110383579B (zh) 2017-03-06 2021-12-10 斯纳普公司 可穿戴设备天线系统
CN110582893B (zh) * 2017-04-28 2021-07-09 小岛优 天线装置及便携式终端
CN109494477B (zh) 2017-09-12 2022-01-0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设备天线及可折叠设备
GB2571279B (en) 2018-02-21 2022-03-09 Pet Tech Limited Antenna arrangement and associated method
US11239550B2 (en) * 2020-04-15 2022-02-01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having compact ultra-wideband antennas
US11715872B2 (en) * 2020-06-25 2023-08-01 Getac Technology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and pivotable assembly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6898A (ja) * 1999-09-14 2001-06-08 Nec Saitama Ltd 携帯電話機
WO2002031807A1 (en) 2000-10-10 2002-04-18 Motorola Inc., A Corporation Of The State Of Delaware Data entr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5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13119A (en) * 1980-04-18 1982-01-26 Motorola, Inc. Dual mode transceiver antenna
US4471493A (en) * 1982-12-16 1984-09-11 Gte Automatic Electric Inc. Wireless telephone extension unit with self-contained dipole antenna
JPS6433248A (en) 1987-07-23 1989-02-03 Toyo Boseki Production of raised warp knitted fabric
JPH0631798Y2 (ja) 1987-08-22 1994-08-2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携帯型コ−ドレス電話器
US4992799A (en) * 1989-09-28 1991-02-12 Motorola, Inc. Adaptable antenna
US5246374A (en) * 1992-05-19 1993-09-21 Alma Boodram Expandable family tree and modular kit for building the same
JPH06216621A (ja) 1993-01-18 1994-08-05 Fujitsu Ltd 内蔵アンテナ
US5561437A (en) * 1994-09-15 1996-10-01 Motorola, Inc. Two position fold-over dipole antenna
US5649306A (en) * 1994-09-16 1997-07-15 Motorola, Inc. Portable radio housing incorporating diversity antenna structure
JP3574863B2 (ja) * 1995-05-17 2004-10-06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携帯電話機
US5903821A (en) * 1995-07-13 1999-05-11 Sony Corporation Portable telephone with microstrip antennas
JPH0964778A (ja) 1995-08-25 1997-03-07 Nec Corp 携帯電話機構造
KR19990067637A (ko) * 1995-11-15 1999-08-25 펄 위 제이케 휴대용 라디오 통신장치를 위한 소형 안테나수단 및 그를 위한무스위치 안테나 접속수단
US5760747A (en) * 1996-03-04 1998-06-02 Motorola, Inc. Energy diversity antenna
JP3192085B2 (ja) * 1996-03-13 2001-07-23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小形アンテナ
JPH1064648A (ja) * 1996-08-22 1998-03-06 Casio Comput Co Ltd アンテナ用ヒンジ型コネクタ及び該コネクタを使用した無線通信機器
JPH1065567A (ja) * 1996-08-26 1998-03-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無線通信装置
JP3767030B2 (ja) 1996-09-09 2006-04-19 三菱電機株式会社 折畳式無線通信装置
WO1999004500A1 (de) * 1997-07-16 1999-01-28 Siemens Aktiengesellschaft Funktelefonhandgerät
SE511131C2 (sv) * 1997-11-06 1999-08-09 Ericsson Telefon Ab L M Portabel elektronisk kommunikationsanordning med flerbandigt antennsystem
US5991643A (en) * 1997-11-28 1999-11-23 Acer Peripherals, Inc. Radio transceiver having switchable antennas
US5995052A (en) 1998-05-15 1999-11-30 Ericsson Inc. Flip open antenna for a communication device
SE514773C2 (sv) * 1998-09-28 2001-04-23 Allgon Ab Radiokommunikationsenhet och antennsystem
GB2344969B (en) * 1998-12-19 2003-02-26 Nec Technologies Mobile phone with incorporated antenna
US6272356B1 (en) * 1999-05-10 2001-08-07 Ericsson Inc. Mechanical spring antenna and radiotelephones incorporating same
EP1087461B1 (en) * 1999-09-21 2013-02-27 Alcatel Lucent Mobile radio equipment with yoke antenna
US6255996B1 (en) * 1999-12-02 2001-07-03 Qualcomm Incorporated Efficient antenna system for a personal communication device
DE10051870A1 (de) * 1999-12-08 2001-07-12 Busch Dieter & Co Prueftech Ergonomisch gestaltete, störsignalreduzierende Lagemesssonde zum gegenseitigen Ausrichten von Körpern
JP3546784B2 (ja) * 1999-12-14 2004-07-28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端末
JP2001284933A (ja) * 2000-03-28 2001-10-12 Kyocera Corp 携帯無線機
GB2364176A (en) * 2000-06-30 2002-01-16 Nokia Mobile Phones Ltd Multi-mode antenna
JP2002027066A (ja) * 2000-07-06 2002-01-25 Nec Saitama Ltd 折り畳み形携帯無線機
US6307520B1 (en) * 2000-07-25 2001-10-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Boxed-in slot antenna with space-saving configuration
US6625469B1 (en) * 2000-08-09 2003-09-23 Motorola, Inc. Upper support assembly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JP2002084355A (ja) 2000-09-06 2002-03-22 Nec Saitama Ltd 携帯端末装置
US6885880B1 (en) * 2000-09-22 2005-04-26 Telep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Inverted-F antenna for flip-style mobile terminals
TW484249B (en) * 2000-10-20 2002-04-21 Hon Hai Prec Ind Co Ltd Antenna module
DE10053817A1 (de) 2000-10-30 2002-05-02 Soft Edv Gmbh H Anordnung zur drahtlosen Informationsübertragung
JP2002185229A (ja) * 2000-12-11 2002-06-28 Toshiba Corp 移動通信端末とそのアンテナ実装構造
JP4120755B2 (ja) 2001-03-30 2008-07-16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電話装置用アンテナのアース構造
JP3830773B2 (ja) 2001-05-08 2006-10-11 三菱電機株式会社 携帯電話機
US7096046B2 (en) * 2001-07-17 2006-08-22 Wildseed Ltd. Luminescent and illumination signaling displays utilizing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laser
CN1466801A (zh) * 2001-07-30 2004-01-07 三菱电机株式会社 天线切换装置以及便携机器
KR20030061072A (ko) * 2002-01-10 2003-07-18 주식회사 어필텔레콤 휴대폰 안테나
KR100593984B1 (ko) * 2002-01-18 2006-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힌지 스프링을 이용한 안테나 장치
US7180451B2 (en) * 2002-01-22 2007-02-20 Gps Industries, Inc. Endurable sports PDA with communications capabilities and accessories therefor
US6765536B2 (en) * 2002-05-09 2004-07-20 Motorola, Inc. Antenna with variably tuned parasitic element
CN1543713B (zh) * 2002-06-03 2010-05-12 索尼爱立信移动通信日本株式会社 便携式无线终端
US6697022B2 (en) * 2002-06-19 2004-02-24 Motorola, Inc. Antenna element incorporated in hinge mechanism
US7457650B2 (en) * 2002-07-31 2008-11-2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Portable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provided with boom portion with through hole
JP2004104419A (ja) * 2002-09-09 2004-04-02 Hitachi Cable Ltd 携帯無線機用アンテナ
US6819295B1 (en) * 2003-02-13 2004-11-16 Sheng Yeng Peng Dual frequency anti-jamming antenna
US6861989B2 (en) * 2003-07-03 2005-03-01 Motorola, Inc. Antenna system for a communication device
US7392069B2 (en) * 2004-02-19 2008-06-24 Nokia Corporation Handle for a mobile station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7091911B2 (en) * 2004-06-02 2006-08-15 Research In Motion Limited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comprising non-planar internal antenna without ground plane overlap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6898A (ja) * 1999-09-14 2001-06-08 Nec Saitama Ltd 携帯電話機
WO2002031807A1 (en) 2000-10-10 2002-04-18 Motorola Inc., A Corporation Of The State Of Delaware Data entry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87128B2 (en) 2020-11-06 2023-06-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and antenna
JP2023031192A (ja) * 2021-08-24 2023-03-08 レーザー インスティチュート オブ シャンドン アカデミー オブ サイエンシス レーザ超音波とガルボスキャナーとの協働による金属付加製造同期検出システム及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5473B1 (ko) 2010-11-18
CN101697557A (zh) 2010-04-21
KR20040071656A (ko) 2004-08-12
US20040227673A1 (en) 2004-11-18
US7196672B2 (en) 2007-03-27
EP2221912A1 (en) 2010-08-25
US7009567B2 (en) 2006-03-07
EP2211422A1 (en) 2010-07-28
CN1520131A (zh) 2004-08-11
US20060109185A1 (en) 2006-05-25
EP1445821A1 (en) 2004-08-11
US7245950B2 (en) 2007-07-17
US20040219956A1 (en) 2004-11-04
CN1520130B (zh) 2012-06-13
US20070225053A1 (en) 2007-09-27
KR20040071655A (ko) 2004-08-12
CN1520130A (zh) 2004-08-11
EP1445824A1 (en) 2004-08-11
CN101697557B (zh) 2012-09-12
US7447530B2 (en) 2008-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5418B1 (ko) 휴대 무선통신 장치
CN106067587B (zh) 具有外围混合天线的电子设备
US7069043B2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th two internal antennas
JP3613525B2 (ja) 携帯無線機
KR100188864B1 (ko) 휴대 무선 기기용 안테나
US8253634B2 (en) Radio apparatus
WO2006006599A1 (ja) 折畳式携帯無線機
JPH1084406A (ja) 折畳式無線通信装置
KR20010052509A (ko) 다중 주파수 대역 안테나
JP4842138B2 (ja) 導電性の筐体を備える機器のアンテナ構造
US7225004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4737937B2 (ja) 携帯無線通信装置
JP2003008320A (ja) 携帯無線機
JPH11163756A (ja) 携帯無線機
JP4101187B2 (ja) 携帯無線通信装置
JP4324127B2 (ja) 携帯無線通信装置
EP1424747B1 (en) Antenna for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equipped with a hinge
JP4566103B2 (ja) 携帯無線通信装置
JP2001339221A (ja) 携帯型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