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4814B1 - 마이크로 캡슐 및 그것을 함유하는 경구 조성물 - Google Patents

마이크로 캡슐 및 그것을 함유하는 경구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4814B1
KR100944814B1 KR1020047007395A KR20047007395A KR100944814B1 KR 100944814 B1 KR100944814 B1 KR 100944814B1 KR 1020047007395 A KR1020047007395 A KR 1020047007395A KR 20047007395 A KR20047007395 A KR 20047007395A KR 100944814 B1 KR100944814 B1 KR 1009448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capsules
flavor
yeast
cells
microcaps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7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4481A (ko
Inventor
사사키야스시
오리코시히데유키
하야시히데오
마에다요시아키
Original Assignee
산에이겐 에후.에후. 아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916325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944814(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산에이겐 에후.에후. 아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에이겐 에후.에후. 아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444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44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4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48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40/0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 A23K40/3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by encapsulating; by co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36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3/36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containing paramedical or dietetical agents, e.g. vitamins
    • A23G3/366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containing paramedical or dietetical agents, e.g. vitamins containing microorganisms, 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4/00Chewing gum
    • A23G4/06Chewing gum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4/00Chewing gum
    • A23G4/06Chewing gum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4/10Chewing gum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the carbohydrates used, e.g. 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4/00Chewing gum
    • A23G4/06Chewing gum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4/14Chewing gum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peptides or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4/00Chewing gum
    • A23G4/18Chewing gum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form, e.g. aerated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4/00Chewing gum
    • A23G4/18Chewing gum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form, e.g. aerated products
    • A23G4/20Composite products, e.g. centre-filled, multi-layer, laminat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70Fixation, conservation, or encapsulation of flavouring agents
    • A23L27/72Encaps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5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30Encapsulation of particles, e.g. foodstuff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1Encapsulated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50Microcapsules having a gas, liquid or semi-solid filling; Solid microparticles or pellets surrounded by a distinct coating layer, e.g. coated microspheres, coated drug crystals
    • A61K9/5005Wall or coating material
    • A61K9/5063Compounds of unknown constitution, e.g. material from plants or animals
    • A61K9/5068Cell membranes or bacterial membranes enclosing dru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50Microcapsules having a gas, liquid or semi-solid filling; Solid microparticles or pellets surrounded by a distinct coating layer, e.g. coated microspheres, coated drug crystals
    • A61K9/5073Microcapsules having a gas, liquid or semi-solid filling; Solid microparticles or pellets surrounded by a distinct coating layer, e.g. coated microspheres, coated drug crystals having two or more different coatings optionally including drug-containing subcoat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2Microsized, i.e. having sizes between 0.1 and 100 microns

Abstract

미생물의 균체 내에 내포시킨 외인성 물질에 있어서, 그의 방출 속도, 강도 또는 지속성이 우수한 마이크로 캡슐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 캡슐의 제조방법, 및 상기 마이크로 캡슐을 함유하는 경구 조성물을 제공한다. 균체 내에 외인성 물질을 내포시킨 미생물의 표면에, 당류, 고감미도의 감미료, 단백질류 및 다가 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한 적어도 1종을 부착시키는 것에 의하여 실시할 수 있다.
마이크로 캡슐, 향료, 미생물, 경구 조성물

Description

마이크로 캡슐 및 그것을 함유하는 경구 조성물{MICROCAPSULES AND OR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 SAME}
본 발명은, 미생물의 균체 내에 외인성 물질을 내포하게 되는 마이크로 캡슐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미생물의 균체 내에 내포시킨 외인성 물질에 대해서, 그의 방출 속도, 강도 또는 지속성이 제어되도록 한 마이크로 캡슐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당해 마이크로 캡슐의 제조방법, 및 당해 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경구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원하는 성분의 방출 시기나 속도를 제어하여 당해 성분의 지속성을 높이는 방법으로서, 천연 또는 합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직경이 약 수~수백㎛의 미립자 용기(마이크로 캡슐)에 상기 성분을 봉입하는, 소위 마이크로 캡슐화법이 알려져 있다. 마이크로 캡슐의 제조방법으로서는, 젤라틴에 의한 코아셀베이션(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2800457호, 미국 특허 제2800458호 공보), 외상(수상)으로 피막을 형성하는 in situ법(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고 소36-9168호, 일본국 특허공고 소47-23165호, 일본국 특허공개 소48-57892호, 일본국 특허공개 소51-9079호, 일본국 특허공개 소54-25277호), 및 내상과 외상 사이의 피막 형성 반응을 이용한 계면 중합법 등이 유명하지만, 근래에는 효모 등의 미생물의 세포벽을 캡슐 피막으로 이용한 미생물 마이크로 캡슐도 널리 알려지기에 이르렀다.
미생물을 이용한 마이크로 캡슐의 제조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개 소61-88871호, 일본국 특허공개 소62-186937호, 일본국 특허공개 소63-88033호, WO 94/22572, WO 96/36433, 일본국 특허공개 소58-107189호, 및 EP 0242135B1 등의 공보에 기재된 것과 같은, 효모 균체의 내용 성분을 제거하지 않고 그대로 향료 등의 원하는 외인성 물질을 내포시키는 방법, 및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개 평4-4033호, 일본국 특허공개 평4-63127호, 일본국 특허공개 평4-117245호, 일본국 특허공개 평5-15770호, 및 일본국 특허공개 평8-243378호 등의 공보에 기재된 것과 같은, 효모 균체 내의 내인성 성분을 제거한 후에 당해 균체 내에 원하는 외인성 물질을 내포시키는 방법이 있다. 후자의 방법은, 효모 균체 내의 내인성 성분을 제거한 만큼, 보다 많은 외인성 물질을 내포시킬 수 있고, 그 결과, 당해 외인성 물질의 효과를 보다 많이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유용하다.
한편, 식품 분야에 있어서 츄잉검은 맛이나 향(향미)의 발현 속도와 지속성이 요구되는 식품 중 하나이지만, 그것의 실현은 어렵고, 일반적으로 씹기 시작했을때 강한 맛이나 향이 발현되지만, 씹고 있는 동안에 당해 맛이나 향은 빨리 소실되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검을 씹는 동안, 가능한 한 오래 향미를 지속시키기 위한 방법이 종래부터 검토되어 왔다. 그 하나로서, 일본국 특허공개 평5-192085호 공보에는 미생물의 균체 내에 향료를 봉입시킨 것을 풍미제로서 이용하여 검을 제조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으며, 이에 의해 적은 향료로 강하고, 지속성이 있는 풍미를 나타내는 츄잉검을 수득할 수 있음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향료나 정미료(예를 들면, 감미료 등) 등, 미생물의 균체 내에 봉입한 외인성 물질(내용 성분)의 발현 속도, 강도 또는 그들의 지속성에 있어서는 아직 충분하지는 않고, 더욱 개량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미생물의 균체 내에 외인성 물질을 내포시킨 마이크로 캡슐에 있어서, 당해 내포시킨 외인성 물질(내용 성분)의 방출 속도, 강도 또는 지속성을 높이는 방법, 및 그러한 내용 성분의 방출 특성을 개선시킨 마이크로 캡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마이크로 캡슐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보다 적은 양을 효율적으로 내포시킨 외인성 물질의 효과를 수득할 수 있는 경구 조성물, 또는 보다 적은 양을 내포시킨 외인성 물질의 지속성이 우수한 경구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를 거듭한 바, 미생물의 균체 내에 외인성 물질을 내포시킨 소위 미생물 마이크로 캡슐에 대해, 또한 상기 미생물(캡슐)의 표면의 일부 또는 전체를 당류, 고감미도의 감미료, 단백질류 및 다가 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으로 피복함으로써, 상기 외인성 물질의 열화를 방지하고, 방출 속도, 강도 또는 그의 지속성을 보다 개선시킬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외인성 물질을 내포시키는 미생물로서 미리 미 생물의 내인성의 균체 내 성분을 제거한 것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보다 현저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실을 기초로 완성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하기 1항~9항에 따른 마이크로 캡슐이다.
1항. 균체 내에 외인성 물질을 내포시킨 미생물의 표면에 당류, 고감미도의 감미료, 단백질류 및 다가 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을 부착시킨 마이크로 캡슐.
2항. 제1항에 있어서, 균체 내에 외인성 물질을 내포시킨 미생물이, 내인성의 균체 내 성분을 용출시킨 것인 마이크로 캡슐.
3항.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미생물이 효모인 마이크로 캡슐.
4항.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당류가, 단당류, 2당류, 3당류, 4당류, 올리고당, 다당류 및 당 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인 마이크로 캡슐.
5항.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미생물의 표면에 락토오스, 말티토오스, 트레할로스, 팔라티니트, 덱스트린,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글리세린, 및 폴리프로필렌 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을 부착시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캡슐.
6항.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미생물의 균체 내에 내포시킨 외인성 물질이 소수성 물질인 마이크로 캡슐.
7항.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미생물의 균체 내에 내포 시킨 외인성 물질이, 향료, 착색료, 고미료, 산미료, 조미료, 향신료, 감미료, 지질, 지방산, 아미노산류, 효소, 비타민류, 동ㆍ식물 추출물 및 생리 활성 물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인 마이크로 캡슐.
8항.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식품, 의약품, 의약부외품, 향장품 또는 사료의 성분으로 사용할 수 있는 마이크로 캡슐.
9항.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균체 내에 외인성 물질을 내포시킨 미생물의 표면이, 당류, 고감미도의 감미료, 단백질류 및 다가 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으로 피복된 마이크로 캡슐.
한편, 상기 마이크로 캡슐은 하기의 태양을 더 포함한다.
(a)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미생물의 균체 내에 내포시킨 외인성 물질이 적어도 향료인, 향료로서 사용할 수 있는 마이크로 캡슐.
(b)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미생물의 균체 내에 내포시킨 외인성 물질이 적어도 감미료인, 감미료로서 사용할 수 있는 마이크로 캡슐.
(c)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미생물의 균체 내에 내포시킨 외인성 물질이 적어도 착색료인, 착색료로서 사용할 수 있는 마이크로 캡슐.
(d)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미생물의 균체 내에 내포시킨 외인성 물질이 적어도 조미료인, 조미료로서 사용할 수 있는 마이크로 캡슐.
(e)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미생물의 균체 내에 내포시킨 외인성 물질이 적어도 산미료인, 산미료로서 사용할 수 있는 마이크로 캡슐.
(f)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미생물의 균체 내에 내포시 킨 외인성 물질이 적어도 고미료인, 고미료로서 사용할 수 있는 마이크로 캡슐.
(g)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미생물의 균체 내에 내포시킨 외인성 물질이 적어도 향신료인, 향신료로서 사용할 수 있는 마이크로 캡슐.
또한, 본 발명은 하기 10항 내지 11항에 따른 상기 마이크로 캡슐의 제조방법이다.
10항. (1) 미생물의 균체 내에 외인성 물질을 내포시키는 단계, (2) 단계 (1)에서 수득한 미생물의 표면에 당류, 고감미도의 감미료, 단백질류 및 다가 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을 부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캡슐의 제조방법.
11항. 제10항에 있어서, (1) 단계가, 내인성의 균체 내 성분을 용출시킨 미생물을 이용하여 상기 미생물의 균체 내에 외인성 물질을 내포시키는 단계인, 마이크로 캡슐의 제조방법.
한편, 상기 마이크로 캡슐의 제조방법은 하기의 태양을 더 포함한다.
(a)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미생물로서 효모를 이용하는 마이크로 캡슐의 제조방법.
(b)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미생물의 표면에 부착시키는 당류가, 단당류, 2당류, 3당류, 4당류, 올리고당, 다당류, 및 당 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인 마이크로 캡슐의 제조방법.
(c)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미생물의 표면에, 락토오스, 말티토오스, 트레할로스, 팔라티니트, 덱스트린,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글리세린, 및 폴리프로필렌 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을 부착시키는, 마이크로 캡슐의 제조방법.
(d)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미생물의 균체 내에 내포시키는 외인성 물질이 소수성 물질인, 마이크로 캡슐의 제조방법.
(e)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미생물의 균체 내에 내포시키는 외인성 물질이 향료, 착색료, 고미료, 산미료, 조미료, 향신료, 감미료, 지질, 지방산, 아미노산류, 효소, 비타민류, 동ㆍ식물 추출물 및 생리 활성 물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인 마이크로 캡슐의 제조방법.
(f)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2) 단계가, 미생물의 표면을 당류, 고감미도의 감미료, 단백질류 및 다가 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으로 피복하는 단계인, 마이크로 캡슐의 제조방법.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마이크로 캡슐을 함유하는 경구 조성물이다. 그러한 경구 조성물에는, 식품, 경구용 의약품, 및 경구용 의약부외품 등의 가식성(可食性) 조성물 및 치약제 등의 구강내 조성물이 모두 포함된다. 바람직한 것은 식품이다. 그 중에서도 바람직한 경구 조성물로서는, 츄잉검 등의 검류, 구미나 누가 등의 소프트 캔디, 또는 저작제(咀嚼劑) 등과 같은, 구강 내에 오랫동안 보유되는 것, 바람직하게는 구강 내에서 오랫동안 저작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을 들 수 있다.
12항.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마이크로 캡슐을 함유하는 경구 조성물.
13항.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마이크로 캡슐을, 향료, 착색료, 조미료, 산미료, 고미료, 향신료 및 감미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로서 함유하는 경구 조성물.
14항.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구강 내에 오랫동안 보유되거나, 구강 내에서 오랫동안 저작되는 것인 경구 조성물.
15항.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츄잉검인 경구 조성물.
또한, 본 발명은 하기 16항~20항에서 든, 마이크로 캡슐 내에 내포시킨 외인성 물질에 있어서의 방출을 제어하는 방법이다.
16항. 미생물의 균체 내에 외인성 물질을 내포시킨 마이크로 캡슐에 있어서, 외인성 물질의 방출 속도, 강도 또는 지속성을 제어하는 방법이며, 상기 마이크로 캡슐의 표면에 당류, 고감미도의 감미료, 단백질류 및 다가 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을 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항. 제16항에 있어서, 미생물의 균체 내에 향미 성분을 내포시킨 마이크로 캡슐에 있어서, 상기 향미의 발현 속도, 강도 또는 지속성을 제어하는 방법인 방법.
18항. 제17항에 있어서, 미생물의 균체 내에 향미 성분을 내포시킨 마이크로 캡슐이, 내인성의 균체 내 성분을 용출시킨 미생물의 균체 내에 향미 성분을 내포시킨 것인 방법.
19항.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향미의 발현 속도, 강도 또는 지속성을 높이는 방법인 방법.
20항. 제17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마이크로 캡슐의 표면이 당류, 고감미도의 감미료, 단백질류 및 다가 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으로 피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한편, 상기 마이크로 캡슐의 제어방법은 하기의 태양을 더 포함한다.
(a) 제16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미생물로서 효모를 사용하는 방법.
(b) 제16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미생물의 표면에 부착시킨 당류가, 단당류, 2당류, 3당류, 4당류, 올리고당, 다당류, 및 당 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인 방법.
(c) 제16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미생물의 표면에, 락토오스, 말티토오스, 트레할로스, 팔라티니트, 덱스트린,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글리세린, 및 폴리프로필렌 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을 부칙시키는 방법인 방법.
(d) 제16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미생물의 균체 내에 내포시킨 외인성 물질이 소수성 물질인 방법.
(e) 제16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미생물의 균체 내에 내포시킨 외인성 물질이, 향료, 착색료, 고미료, 산미료, 조미료, 향신료, 감미료, 지질, 지방산, 아미노산류, 효소, 비타민류, 동ㆍ식물 추출물 및 생리 활성 물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인 방법.
또한, 본 발명은 하기 21항 내지 25항에서 든, 경구 조성물에 있어서의 원하 는 성분의 발현 속도, 강도 또는 지속성을 제어하는 방법이다.
21항. 균체 내에 외인성 물질을 내포시킨 미생물의 표면에 당류, 고감미도의 감미료, 단백질류 및 다가 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을 부착시킨 마이크로 캡슐을 경구 조성물에 배합하는 것을 포함하는, 경구 조성물에 있어서 외인성 물질의 발현 속도, 강도 또는 지속성을 제어하는 방법.
22항. 균체 내에 향미 성분을 내포시킨 미생물의 표면에 당류, 고감미도의 감미료, 단백질류 및 다가 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을 부착시킨 마이크로 캡슐을 경구 조성물에 배합하는 것을 포함하는, 경구 조성물에 있어서 향미의 발현 속도, 강도 또는 지속성을 제어하는 방법.
23항.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균체 내에 외인성 물질, 특히 향미 성분을 내포시킨 미생물이, 내인성의 균체 내 성분을 용출시킨 것인 방법.
24항. 제2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경구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경구 조성물의 외인성 물질, 특히 향미의 발현 속도, 강도 또는 지속성을 높이는 방법인 방법.
25항. 제2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마이크로 캡슐로서, 미생물의 표면이 당류, 고감미도의 감미료, 단백질류 및 다가 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으로 피복된 것을 이용하는 방법.
한편, 상기 방법은 하기의 태양을 더 포함한다.
(a) 제21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미생물로서 효모를 사용하는 방법.
(b) 제21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미생물의 표면에 부착시키는 당류가, 단당류, 2당류, 3당류, 4당류, 올리고당, 다당류, 및 당 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인 방법.
(c) 제21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미생물의 표면에, 락토오스, 말티토오스, 트레할로스, 팔라티니트, 덱스트린,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글리세린 및 폴리프로필렌 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을 부착시키는 방법인 방법.
(d) 제21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미생물의 균체 내에 내포시킨 외인성 물질, 특히 향미 성분이 소수성 물질인 방법.
(e) 제21항에 있어서, 미생물의 균체 내에 내포시키는 외인성 물질이, 향료, 착색료, 고미료, 산미료, 조미료, 향신료, 감미료, 지질, 지방산, 아미노산류, 효소, 비타민류, 동ㆍ식물 추출물 및 생리 활성 물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인 방법.
(f) 제22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미생물의 균체 내에 내포시키는 향미 성분이, 향료, 고미료, 산미료, 조미료, 향신료, 감미료, 지질, 아미노산류, 비타민류, 및 동ㆍ식물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인 방법.
또한, 본 발명에는 하기의 태양이 포함된다.
26항. 균체 내에 외인성 물질을 내포시킨 미생물의 표면에 당류, 고감미도의 감미료, 단백질류 및 다가 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을 부착시킨 마이크로 캡슐의, 향료, 감미료, 착색료, 조미료, 고미료, 향신료 또는 산미 료로서의 용도.
27항. 균체 내에 향미 성분을 내포시킨 미생물의 표면에 당류, 고감미도의 감미료, 단백질류 및 다가 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을 부착시킨 마이크로 캡슐의, 향미의 발현 속도, 강도 또는 지속성이 개선된 향료, 감미료, 조미료, 고미료, 향신료 또는 산미료 중 어느 하나의 조제를 위한 용도.
28항. 균체 내에 외인성 물질을 내포시킨 미생물의 표면에 당류, 고감미도의 감미료, 단백질류 및 다가 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을 부착시킨 마이크로 캡슐의, 경구 조성물의 조제를 위한 용도.
29항. 균체 내에 향미 성분을 내포시킨 미생물의 표면에 당류, 고감미도의 감미료, 단백질류 및 다가 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을 부착시킨 마이크로 캡슐의, 향미의 발현 속도, 강도 또는 지속성이 개선된 경구 조성물의 조제를 위한 용도.
30항. 균체 내에 향미 성분을 내포시킨 미생물의 표면에 당류, 고감미도의 감미료, 단백질류 및 다가 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을 부착시킨 마이크로 캡슐의, 경구 조성물에 있어서의 향미의 발현 속도, 강도 또는 지속성을 높이기 위한 용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1) 마이크로 캡슐
본 발명의 마이크로 캡슐은, 균체 내에 외인성 물질을 내포시킨 미생물의 표 면에, 당류, 고감미도의 감미료, 단백질류 및 다가 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을 부착시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외인성 물질을 균체 내에 내포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미생물로서는, 세포벽을 가지며 인체에의 안전성이 확보된 것인 한, 조류(藻類), 효모, 균류 또는 박테리아 등의 구별없이 어떤 미생물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것은 효모이다. 여기서 효모로서는, 맥주 효모균, 빵 효모균 및 토룰러(Torula) 효모균 등 인체에의 섭취에 적합한 것을 임의로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사카로마이세스ㆍ세레비시아에(Saccharomyces cerevisiae), 사카로마이세스ㆍ룩시(Saccharomyces rouxii), 및 사카로마이세스ㆍ칼스베겐시스 (Saccharomyces carlsbergensis) 등의 사카로마이세스속에 속하는 효모균; 칸디다ㆍ유틸리스 (Candida utilis), 칸디다ㆍ트로피칼리스(Candida tropicalis), 칸디다ㆍ리폴리티카(Candida lipolytica), 및 칸디다ㆍ플라베리(Candida flaveri) 등의 칸디다속에 속하는 효모균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 미생물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임의로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미생물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1㎛~20㎛ 범위의 입경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미생물은 외인성 물질을 내포시키기에 적합하며, 생균 및 사균의 구별, 습윤 및 건조 상태의 구별, 및 내인성의 균체 내 성분의 용출 제거의 유무를 구별하지 않고, 어떤 상태의 것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것은, 미리 내인성의 균체 내 성분을 균체 외로 용출시킨 미생물을 사용하는 것이다. 한편, 여기에서 내인성의 균체 내 성분으로서는, 아미노산, 펩티드, 단백질(효소를 포함), 당질, 핵산, 및 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이렇게 하는 것으로, 보다 많은 외인성 물질을 미생물의 균체 내에 삽입할 수 있고, 또한 내인성의 균체 내 성분에서 유래한 원하지 않는 맛이나 향의 발생, 또는 내인성의 균체 내 성분에 의한 산물의 수득, 내포시킨 외인성 물질의 분해나 변질 등을 유의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내인성의 균체 내 성분(내인성 성분)을 균체 외로 용출시키는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공지의 방법 또는 장래 개발될 방법을 임의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공지의 방법으로서는, 가온 처리, pH 처리 및 세포벽 파괴 처리 등의 물리적 처리법; 용출 촉진제 첨가법 등의 화학적 처리법; 균체 내 성분 용출 효소나 세포벽 용해 효소 등의 효소를 이용하는 효소 처리법 또는 이들의 조합을 들 수 있다(일본국 특허공개 평4-4033호 등 참조).
여기서 가온 처리는, 대상으로 하는 미생물의 현탁액을 통상 30~100℃, 바람직하게는 30~60℃로 가온하고, 수분 내지 수시간동안 교반하는 것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이 때, 균체 내 성분의 용출을 보다 효과적으로 효율 높게 행하기 위해서는, 용출 촉진제 첨가법을 병용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사용할 수 있는 용출 촉진제로서는, 예를 들면, 에탄올 또는 프로판올 등의 저급 알코올, 아세트산 에틸 및 아세톤 등의 극성 유기 용제; 무기염류, 당류, 4급 암모늄염, 각종 방균ㆍ항균ㆍ살균제, 및 수산화 나트륨이나 수산화 칼륨 등의 염기류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미생물의 물분산액에 아세톤 등의 용매를 첨가하여, 온도 40℃ 정도의 조건으로 24시간 정도 진탕하는 방법을 예시할 수 있다.
세포벽 파괴 처리는, 소니케이터나 밀 등을 이용하여 세포벽을 파괴하는 것 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미생물의 물분산액을 비스밀로 10분간 처리하는 방법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균체 내 성분 용출 효소 처리법에는, 미생물이 가진 자기 소화 효소를 이용하는 방법(Babayan, T.L. and Bezrukov, M.G., 1Acta Biotechnol. 0, 5, 129-136(1985)), 및 프로테아제 단독, 또는 뉴클레아제, β-글루카나아제, 에스테라아제 또는 리파아제 중 적어도 1종과 프로테아제를 조합하여 효모를 처리하는 효소 처리법이 포함된다. 구체적으로는, 자기 소화 효소를 가진 미생물의 물분산액 또는 상기 효소를 첨가한 미생물의 물분산액을 30~60℃의 온도 범위에서 1~48시간 인큐베이션하는 것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세포벽 용해 효소 처리법에는, 미생물의 세포벽을 구성하는 성분(글루칸 또는 맨난 등의 다당류, 상기 다당류와 단백질의 복합체, 키틴 등)을 분해하는 효소, 예를 들면, 글루카나제(β-1,3 글루카나아제), 맨난아제(mannanase) 또는 키티나아제 중 적어도 1종의 효소를 이용하여 효모를 처리하는 방법이 포함된다. 세포벽 용해 효소 처리는, 구체적으로는 상기 효소를 첨가한 미생물의 물분산액을 통상 pH 4~9의 조건하, 30~60℃의 온도 범위에서 수분~10시간 정도 인큐베이션함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득한 처리물을 더욱 원심 분리하여 상청을 제거하고, 수득한 잔여물(균체)에 대해 필요에 따라 더욱 세정, 가열, pH 조정 처리를 행함으로써, 균체 내 성분이 제거된 미생물 균체를 수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내인성의 균체 내 성분을 용출시킨 미생 물에는, 상기에 예시한 용출 방법이나 용출 정도에 구속되지 않고, 균체 내 성분을 용출시켜 제거한 것이 넓게 포함된다. 바람직한 것으로, 미처리 미생물의 절대 건조 중량 100중량%에 대하여 용출 성분의 절대 건조 중량의 비율(용출율)이 10~80중량%, 바람직하게는 30~70중량%인 것과 같은, 내인성의 균체 내 성분을 용출시킨 미생물을 들 수 있다.
한편, 그러한 내인성의 균체 내 성분(내인성 성분)을 제거한 미생물 균체로서, 간편하게 시중에서 입수 가능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한 것으로서 제한은 없지만, 오리엔탈 효모공업 주식회사, 다나베제약 주식회사, 아사히푸드 앤드 헬스케어 주식회사 및 기린 맥주 주식회사(모두 일본회사) 등으로부터 판매되고 있는 효모 세포벽을 들 수 있다.
상기 내인성의 균체 내 성분이 제거된 미생물(균체 잔여분)은, 그 균체 내부에 될 수 있는 한 많은 외인성 물질을 봉입시키기 위하여, 상기 처리에 더해서 산성 처리(일본국 특허공개 평8-243378호 공보), 알칼리성 처리(일본국 특허공고 평7-32871호 공보), 알코올 처리(일본국 특허공고 평8-29246호 공보) 등의 임의의 처리를 더 실시해도 좋다. 한편, 상기에 기재한 방법은 모두 공지의 방법이지만, 조제되는 미생물의 세포벽이 마이크로 캡슐의 피막으로서 허용되는 화학적 및 물리적 성질을 가지는 한, 이들 방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산성 처리로서는, 효소 처리법 등의 상기 처리법에 의해 수득한 균체 잔여분을 염산, 인산 또는 황산 등의 무기산, 또는 젖산, 구연산, 아세트산 또는 아스코르빈산 등의 유기산 등의 산성 수용액(바람직하게는 pH 2 이하)에 현탁 하고, 소정 시간 교반하면서 가열(바람직하게는 50~100℃)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알칼리 처리는, 효소 처리법 등의 상기 처리법에 의해 수득한 균체 잔여분을 알칼리성 수용액, 바람직하게는 pH 9~13, 보다 바람직하게는 pH 10~12의 수용액 중에서 수분 내지 수시간 교반하는 것으로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수용액의 온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통상 20~100℃의 범위를 이용할 수 있지만, 바람직한 것은 30~100℃, 보다 바람직한 것은 50~80℃의 가온 상태이다. 한편, 알칼리성 수용액의 조정에는, 수산화 나트륨, 수산화 칼슘, 수산화 칼륨 또는 규산 나트륨 등의 무기염; 또는 암모니아, 모노에탄올디아민, 에틸렌디아민, 또는 디에틸렌트리아민 수용액 등의 유기 질소계 화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알코올 처리로서는, 효소 처리법 등의 상기 처리법에 의해 수득한 균체 잔여분에, 예를 들면 1가 알코올 등의 알코올 또는 함수(含水) 알코올을 첨가하여, 수분 내지 수시간 교반하는 것으로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처리 용액의 온도는 알코올이 휘발되지 않는 온도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통상 20~80℃의 범위를 이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것은 30~60℃이다. 보다 바람직한 것은 40~50℃의 가온 상태에서 교반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여기서 1가 알코올로서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필 알코올, 부탄올, 헥산올 등의 탄소수 1~6의 저급 알코올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것은 에탄올이다.
미생물의 균체 내부에 내포시키는 외인성 물질은, 액상물이면 친수성, 소수성 및 양친매성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바람직한 것은 소수성 물질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외인성 물질이란, 미생물의 균체 내에 봉입시키기 위해 인위적으로 첨가하는 물질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미생물의 성분(내인성 성분)에서 유래하지 않은 것, 또는 본래 미생물에서 유래한 것이어도 일단 미생물에서 취출한 것을 농축하거나 다른 성분과 혼합하는 등, 어느 정도의 인위적인 처리를 실시한 것이 모두 포함된다. 그러한 한, 인위적 처리를 실시한 것은 다시 균체 내로 되돌려진 경우에도, 본 발명에서 말하는 외인성 물질에 해당된다.
예를 들면, 전자의 예로서는, 식품 첨가물, 식품 조성물, 의약 조성물, 의약품 첨가물, 의약부외 조성물, 및 향장 조성물 등을 널리 들 수 있다. 또한 후자의 예로서는, 효모 엑기스 등의 미생물 추출물이나, 미생물 유래의(또는 미생물로부터 생산된) 생리 활성 물질로부터 조제된, 예를 들면 항생 물질 및 면역 억제제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바람직한 것은, 식품 첨가물, 식품 조성물(식품 소재를 포함), 경구용 의약 조성물 및 경구용 의약품 첨가물 등의 가식성인 것이다.
외인성 물질로서 구체적으로는, 향료(향료 성분을 포함), 착색료(색소, 안료, 염료를 포함), 감미료(당류를 포함), 산미료, 조미료, 고미료, 향신료, 지질, 지방산, 아미노산류, 효소, 비타민류, 동ㆍ식물 추출물, 생리 활성 물질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것은, 향료, 감미료, 산미료, 조미료, 고미료, 향신료, 지질, 아미노산류, 비타민류, 및 동ㆍ식물 추출물 등의 향미를 형성할 수 있는 성분(향미 성분), 착색료, 비타민류, 및 생리 활성 물질이다. 보다 바람직한 것은, 향미 성분, 특히 향료, 감미료, 산미료, 조미료, 고미료, 및 향신료를 들 수 있다.
그러한 외인성 물질은, 외인성 물질 그 자체(유효 성분)가 본래 친수성, 소수성 또는 양친매성의 임의의 성상, 바람직하게는 소수성을 가지는 것이 좋고, 가 온, 또는 용매 등의 기타 물질과 혼합하는 것에 의해 상기 성상, 바람직하게는 소수성을 가지도록 조제된 조제물이어도 좋다.
여기서 향료로서는, 식품이나 의약품분야, 및 향장품분야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향료를 널리 들 수 있지만, 식품 등의 가식성 제품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련된 것으로서는 구체적으로, 오렌지, 레몬, 라임(lime), 그레이프 후루츠, 만다린(mandarin) 및 탠저린 등의 시트러스계 플레이버(flavor); 사과, 바나나, 체리, 포도, 멜론, 복숭아, 파인애플, 플럼, 라스베리 및 스트로베리 등의 후루츠계 플레이버; 바닐라, 커피, 코코아, 및 초콜렛 등의 빈즈(beans)계 플레이버; 페퍼민트, 및 스피어민트 등의 민트계 플레이버; 올스파이스(allspice), 시나몬 및 너트메그(nutmeg) 등의 스파이스계 플레이버; 아몬드, 땅콩 및 호두 등의 넛츠(nuts)계 플레이버; 게, 새우 및 그 밖의 어패류 등의 수산물계 플레이버; 기타 야채, 곡물, 해초 등의 각종 플레이버를 예시할 수 있다. 또한, 향료 성분으로서는 멘톨(menthol), dl-멘톨, 멘톤(menthon), 바닐린(vanillin), 에틸바닐린(ethylvanillin), 계피산, 피페로널(piperonal), d-보르네올(Borneol), 말톨, 에틸말톨, 캠퍼(camphor), 안트라닐산 메틸, 계피산 메틸, 시나믹 알코올, N-메틸안트라닐산 메틸, 메틸β-나프틸케톤, 리모넨(limonene), 리날올(linalol) 및 이소티오시안산 알릴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이들은 1종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또 2종 이상을 임의로 조합시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착색료로서는, 천연색소 및 합성 색소의 모두를 사용할 수 있다. 식품 등의 가식성 제품에 적용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천연색소로서는, 카로티노이드 색소, 파프리카 색소, 아나토(annatto) 색소, 오렌지 색소, 토마토 색소, 매리골드(marigold) 색소 등의 카로티노이드계 색소; 자색 고구마 색소, 적색 양배추 색소, 엘더베리 색소, 포도과즙 색소, 포도과피 색소, 자색 옥수수 색소, 홍당무 색소, 시소(차조기) 색소, 적미(赤米) 색소, 카우베리(cowberry) 색소, 구스베리(gooseberry) 색소, 크랜베리(cranberry) 색소, 새먼베리(salmonberry) 색소, 팀블베리(thimbleberry) 색소, 스트로베리(strawberry) 색소, 다크 스위트 체리(dark sweet cherry) 색소, 체리(cherry) 색소, 하이비스커스(hibiscus) 색소, 허클베리 색소, 블랙 커런트(black currant) 색소, 블랙베리(blackberry) 색소, 블루베리(blueberry) 색소, 플럼(plum) 색소, 훠틀베리(whortleberry) 색소, 보이센베리(boysenberry) 색소, 멀베리(mulberry) 색소, 자색 참마 색소, 라스베리(raspberry) 색소, 레드 커런트(red currant) 색소 및 로건베리(loganberry) 색소 등의 안토시아닌계 색소; 코치닐(cochineal) 색소, 자근(紫根) 색소, 꼭두서니 색소 및 라크(lac) 색소 등의 퀴논계 색소; 카카오(cacao) 색소, 쿠로(koolay) 색소, 고량(수수) 색소, 자단 색소, 양파 색소, 타마린드(tamarindus) 색소, 감 색소, 칼로브(calob) 색소, 감초 색소, 소목(sappanwood) 색소, 피넛 색소, 피칸넛트 색소, 베니바나 적색소 및 베니바나 황색소 등의 플라보노이드계 색소; 홍국 색소, 적색소 등의 아자피론(azapirones)색소; 및 기타의 색소로서, 홍국 황색소, 캬라멜(caramel), 울금(심황) 색소, 누리장나무 색소, 치자나무 청색소, 치자나무 황색소, 치자나무 적색소, 클로로필린(chlorophyllin), 클로로필(chlorophyll), 및 스피루리나(spirulina) 청색소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 합성계의 타르(tar)계 색소로서는, 식용적색 2호, 식용적색 3호, 식용적색 40호, 식용적색 102호, 식용적색 104호, 식용적색 105호, 식용적색 106호, 식용황색 4호, 식용황색 5호, 식용청색 1호, 식용청색 2호, 및 식용녹색 3호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천연색소 유도체로서, 노르빅신 나트륨, 노르빅신 칼륨, 구리 클로로필(chlorophyll), 구리 클로로필린(chlorophyllin) 나트륨 및 철 클로로필린(chlorophyllin) 나트륨 등을, 합성 천연색소로서 β-카로텐, 루테인(Lutein), 아스타키산틴, 칸타크산틴, 리보플라빈(riboflavin), 리보플라빈 낙산 에스테르 및 리보플라빈 5'-인산 에스테르 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바람직하게는 β-카로텐, 카로티노이드 색소, 파프리카(paprika) 색소, 아나토 색소, 꼭두서니 색소, 오렌지 색소, 치자나무 색소(치자나무 청색소, 치자나무 황색소, 치자나무 적색소), 클로로필(chlorophyll), 자근 색소, 식용적색 3호, 식용황색 4호, 양파 색소, 토마토 색소, 매리골드(marigold) 색소, 루테인(Lutein) 등을 예시할 수 있다.
감미료(당류를 포함)의 예로서는, 단당류, 이당류, 올리고당류, 당 알코올류, 고감미도 감미료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아라비노스, 갈락토오스, 크실로스, 글루코오스, 소르보오스, 프럭토오스, 램노오스, 리보오스, 이성화액당, N-아세틸글루코스아민 등의 단당류; 이소트레할로스, 수크로스, 트레할로스, 트레하로스, 네오트레할로스, 팔라티노스, 말토오스, 메리비오스, 락튜로오스, 락토스 등의 이당류; α-사이클로덱스트린, β-사이클로덱스트린, 이소말토올리고당(이소 말토오스, 이소말토트리오스, 파노오스 등), 올리고-N-아세틸글루코스아민, 갈락토실수크로스, 갈락토실락토오스, 갈락토피라노실(β1-3)갈락토피라노실(β1-4)글루코피라노오스, 갈락토피라노실(β1-3)글루코피라노오스, 갈락토피라노실(β1-6)갈락토피라노실(β1-4)글루코피라노오스, 갈락토피라노실(β1-6)글루코피라노오스, 크실로올리고당(크실로트리오스, 크실로바이오스 등), 겐티오올리고당(겐티오바이오스, 겐티오트리오스, 겐티오테트라오스 등), 스타키오스, 테안데올리고, 니게로올리고당(니게로오스 등), 팔라티오스올리고당, 팔라티노스시럽, 푸코오스, 프럭토올리고당(케스토오스, 니스토오스 등), 프럭토프라노실니스토오스, 폴리덱스트로오스, 말토실β-사이클로덱스트린, 말토 올리고당(말토 트리오스, 테트라오스, 펜타오스, 헥사오스, 헵타오스 등), 라피노오스, 설탕결합 물엿(커플링 슈가), 대두 올리고당, 전화당, 물엿 등의 올리고당류; 이소 말티톨, 에리스리톨, 크실리톨, 글리세롤, 소르비톨, 팔라티니트, 말티톨, 말토테트라이톨, 말토트리이톨, 만니톨, 락티톨, 환원 이소말토올리고당, 환원 크실로올리고당, 환원겐티오올리고당, 환원 맥아당 물엿, 환원 물엿 등의 당 알코올; α-글루코실트란스페라아제 처리 스테비어, 아스파탐, 아세설팜 칼륨, 아리탐, 감초 추출물(글리시리진 glycyrrhizin), 글리시리진산 3암모늄, 글리시리진산 3칼륨, 글리시리진산 3나트륨, 글리시리진산 2암모늄, 글리시리진산 2칼륨, 글리시리진산 2나트륨, 쿠르쿨린, 사카린, 사카린 나트륨, 시클라메이트, 수크라로오스, 스테비어(stevia) 추출물, 스테비어 분말, 둘친, 타우마틴(소마틴; thaumatin), 텐료차 추출물, 나이지리아베리 추출물, 네오탐(neotame), 네오헤스페리딘 디히드로칼콘(neohesperidine dihydrochalcone), 프럭토실트란스페라아제 처리 스테비어, 브라질감초 추출물, 미라클 프루트(miracle fruit) 추출물, 나한과(羅漢果) 추출물, 효소처리 감초, 효소분해감초 등의 고감미도 감미료; 기타 벌꿀, 과즙, 과즙농축물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지질로서는, 대두유, 옥수수유, 쌀겨유, 홍화유, 면실유, 올리브유, 피마자유, 생선 기름, 돼지 기름, 소 기름, 양 기름, 말 기름, 및 레시틴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지방산으로서는, 도코사헥사엔산, 에이코사펜타엔산, 리놀산, 리놀렌산, 팔미틴산, 및 올레인산(oleic acid)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비타민류로서는, 비타민 A, 비타민 B군(비타민 B1, B2, B6, B12 , B13, Bc 및 Bt 등), 비타민 C, 비타민 D, 비타민 E, 비타민 H, 비타민 K, 비타민 M, 비타민 P, 비타민 U 및 이들의 유도체를 예시할 수 있다.
동ㆍ식물 추출물로서는, 식품이나 의약품 분야, 및 향장품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동ㆍ식물 추출물을 널리 들 수 있지만, 식품 등의 가식성 제품에 적용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일예로서는, 밀 엑기스, 바닐라 엑기스, 키라야 추출물, 알로에베라 추출물, 감차 추출물, 맥아 추출물, 땅두릅 추출물, 때죽나무 추출물, 알로에 아보레센스 추출물, 곤약감자 추출물, 유칼립투스 잎 추출물, 키나 추출물, 등자나무 추출물, 황벽나무 추출물, 용담 추출물, 포도 종자 추출물, 차 추출물 등의 식물 추출물; 비프 엑기스, 치킨 엑기스, 포크 엑기스, 게 엑기스, 가다랭이 엑기스, 굴 엑기스, 젤라틴, 콜라겐, 효모 엑기스 등의 동물 추출물을 예시할 수 있다. 한편, 이들의 동ㆍ식물 추출물에는, 가다랭이포 엑기스 등과 같은 동ㆍ식물의 가공 처리물의 추출물, 및 젤라틴 가수 분해물 등과 같은 동ㆍ식물 추출물을 더욱 처리한 것도 포함된다.
생리 활성 물질로서도 식품이나 의약품분야, 및 향장품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널리 들 수 있지만, 식품이나 경구용 의약품 등과 같은 가식성 제품에 적용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제한은 없지만, 일예로서, 에텐자미드, 살리실산 나트륨, 아세토아미노펜, 이부프로펜, 페나세틴, 오이게놀, 안티피린, 카테킨류, 사포닌류, 콘드로이친 황산, 및 세라미드 등의 인지질 등을 예시할 수 있다.
향신료로서도, 식품이나 의약품 분야, 및 향장품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널리 들 수 있다. 바람직한 것은 식품이나 경구용 의약품 등과 같은 가식성 제품에 적용 가능한 것이다. 제한은 없지만, 일예로서, 마늘, 양파, 레몬 글래스, 차빌, 타라곤, 로럴, 로즈마리, 바실, 고추, 타임, 시나몬, 카시아, 오레가노, 우콘, 클로브, 후추, 및 코리엔더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의 각종 동일한 군(예를 들면, 착색료나 감미료 등으로 든 군)에 포함되는 각 성분을 단일 품목으로 사용하여도, 또는 2 성분 이상을 임의로 조합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각종 군의 외인성 물질을 1종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또는 2종 이상을 임의로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에 열거한 외인성 물질에 더하여 분산제, 산화 방지제, 방부제, 교미제(矯味劑), 유화제, 또는 강화제 등을 배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균체 내부에 외인성 물질로서 향미 성분, 특히 향료를 내포시킬 경우, 상기 향미 성분에 더하여, 추출 토코페롤, dl-α-토코페롤, d-α-토코페롤, dl-γ-토코페롤, 혼합 토코페롤, 로즈마리 추출물, 양매(楊梅) 추출물, 루틴 추출물, 루틴 효소 분해물, 차 추출물 및 토코트리에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산화 방지제를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외인성 물질은, 상기 미생물 균체(균체 잔여물)와 혼합함으로써 균체 내에 내포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미생물 균체(균체 잔여물)의 분산액에 외인성 물질을 첨가하고, 원하는 바에 따라 pH나 온도를 조정하고, 소정 시간, 필요에 따라 교반함으로써, 외인성 물질을 균체 내에 내포시킬 수 있다. pH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보통 pH 5∼9, 바람직하게는 pH 6∼8의 범위에서 적당히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온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보통 40∼80℃, 바람직하게는 50∼70℃의 범위에서 적당히 선택할 수 있다.
또한, 교반의 필요 여부도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교반하는 경우에는, 교반 날개가 있는 블렌더, 유화기, 분산기, 또는 호모게나이저 등의 각종의 교반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외인성 물질을 미생물 균체 내에 내포시킬 수 있다. 이 때, 교반 속도나 교반 회전수 등도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보통 1,000∼10,000rpm의 범위에서 적당히 선택하여 조정할 수 있다.
한편, 외인성 물질과 상기 미생물 균체(균체 잔여물)의 혼합시, 외인성 물질과 미생물 균체를 혼합한 계에 경막제(硬膜劑), 산화 방지제, 안정제, 분산제, 유화제, pH 조정제, 방부제, 또는 열화 방지제 등을 배합하여도 좋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수득한, 미생물 균체 내부에 외인성 물질을 내포시킨 마이크로 캡슐(외인성 물질 내포 미생물)의 적어도 표면에, 당류, 고감미도의 감미료, 단백질류 및 다가 알코올을 부착시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사용할 수 있는 당류는, 아라비노스, 갈락토오스, 크실로스, 글루코오스, 소르보오스, 프럭토오스, 램노오스, 리보오스, 이성화액당, N-아세틸글루코스아민 등의 단당류; 이소트레할로스, 수크로스, 트레할로스, 트레하로스, 네오 트레할로스, 팔라티노스, 말토오스, 메리비오스, 락튜로오스, 락토스 등의 2당류; 말토트리오스 등의 3당류; 말토테트라오스 등의 4당류; α-사이클로덱스트린, β-사이클로덱스트린, 이소말토올리고당(이소말토오스, 이소말토트리오스, 파노오스 등), 올리고-N-아세틸글루코스아민, 갈락토실 수크로스, 갈락토실 락토오스, 갈락토피라노실(β1-3)갈락토피라노실(β1-4)글루코피라노오스, 갈락토피라노실(β1-3)글루코피라노오스, 갈락토피라노실(β1-6)갈락토피라노실(β1-4)글루코피라노오스, 갈락토피라노실(β1-6)글루코피라노오스, 크실로올리고당(크실로트리오스, 크실로바이오스 등), 겐티오올리고당(겐티오바이오스, 겐티오트리오스, 겐티오테트라오스 등), 스타키오스, 테안데올리고, 니게로올리고당(니게로오스 등), 팔라티오스올리고당, 팔라티노스 시럽, 푸코오스, 프럭토올리고당(케스토오스, 니스토오스 등), 프럭토프라노실니스토오스, 폴리덱스트로오스, 말토실β-사이클로덱스트린, 말토 올리고당(말토 트리오스, 테트라오스, 펜타오스, 헥사오스, 헵타오스 등), 라피노오스, 설탕결합 물엿(커플링 슈가), 대두 올리고당, 전화당, 물엿, 덱스트린, 아라비아 고무, 크산탄검, 구아검, 카라기난, 커드란, 타마린드 씨드검, 젤란검, 스타치, 변성 스타치 등의 올리고 당류 및 다당류; 이소 말티톨, 에리스리톨, 크실리 톨, 글리세롤, 소르비톨, 팔라티니트, 말티톨, 말토테트라이톨, 말토트리이톨, 만니톨, 락티톨, 환원 이소말토올리고당, 환원 크실로올리고당, 환원겐티오올리고당, 환원 맥아당 물엿, 환원 물엿 등의 당 알코올을 예시할 수 있다. 바람직한 것은, 글루코오스, 리보오스, 아라비노스, 크실로스, 만노스, 갈락토오스, 프럭토오스 등의 단당류; 말토오스, 락토스, 수크로스, 트레할로스 등의 이당류; 말토트리오스 등의 3당류; 말토테트라오스 등의 4당류; 말토올리고당 등의 올리고당; 덱스트린, 아라비아 고무, 크산탄검, 구아검, 젤란검, 스타치, 변성 스타치, 및 사이클로덱스트린 등의 다당류; 팔라티니트, 소르비톨, 크실리톨, 말티톨, 락티톨, 및 에리스리톨 등의 당 알코올이다. 보다 바람직한 것은, 락토스나 트레할로스 등의 이당류이다. 한편, 이들 당류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2종 이상을 임의로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고감미도의 감미료로서는, α-글루코실트란스페라아제 처리 스테비어, 아스파탐, 아세설팜 칼륨, 아리탐, 감초 추출물(글리시리진 glycyrrhizin), 글리시리진산 3암모늄, 글리시리진산 3칼륨, 글리시리진산 3나트륨, 글리시리진산 2암모늄, 글리시리진산 2칼륨, 글리시리진산 2나트륨, 쿠르쿨린, 사카린, 사카린 나트륨, 시클라메이트, 수크라로오스, 스테비어(stevia) 추출물, 스테비어 분말, 둘친, 타우마틴(소마틴; thaumatin), 텐료차 추출물, 나이지리아베리 추출물, 네오탐(neotame), 네오헤스페리딘 디히드로칼콘(neohesperidine dihydrochalcone), 프럭토실트란스페라아제 처리 스테비어, 브라질감초 추출물, 미라클 프루트(miracle fruit) 추출물, 나한과(羅漢果) 추출물, 효소처리 감초, 및 효소분해감초 등을 예시할 수 있지만, 바람직한 것은 아스파탐, 수크라로오스, 아세설팜 칼륨, 소마틴, 스테비어, 아리탐, 네오탐, 및 크실리톨이다. 한편, 이들 고감미도의 감미료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2종 이상을 임의로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단백질류로서는 젤라틴, 젤라틴 가수 분해물, 옥수수 단백질, 카제인, 카제인 나트륨, 콜라겐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것은, 젤라틴, 옥수수 단백질, 카제인 나트륨이다. 한편, 이들 단백질류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2종 이상을 임의로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다가 알코올로서는,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및 이들의 중합체인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및 폴리 글리세린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것은, 프로필렌 글리콜 및 글리세린이다. 한편, 이들 다가 알코올은 1종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2종 이상을 임의로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이들 당류, 고감미도의 감미료, 단백질류 및 다가 알코올은, 각각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2종 이상을 임의로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마이크로 캡슐에 당류, 고감미도의 감미료, 단백질류 및 다가 알코올(이하, 이들을 총칭해서 "당류 등"이라 칭함)을 부착시키는 방법도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술한 방법으로 조제한 마이크로 캡슐(외인성 물질 내포 미생물)을 분무 건조기 등으로 건조하고, 이것에 "당류 등"을 물 등의 용매에 용해 또는 분산한 용액 또는 분산액을 유동층 조립기 등으로 분무하는 방법; "당류 등"을 깐 바닥(유동층)을 향해서 마이크로 캡슐(외인성 물질 내포 미생물)의 분산 액 을 분무한 후, "당류 등"으로 표면이 덮인 마이크로 캡슐의 분산액 방울을 분취하여 건조하는 방법; 마이크로 캡슐(외인성 물질 내포 미생물)의 분산액에 "당류 등"을 첨가하여 균일하게 용해시킨 후, 동결 건조하는 방법; 마이크로 캡슐(외인성 물질 내포 미생물)을 분무 건조 등에 의해 건조하고, 이것에 고속 교반 혼합기 등으로 "당류 등"을 분체 혼합하는 방법; 및 마이크로 캡슐(외인성 물질 내포 미생물)의 분산액에 "당류 등"을 첨가하여 균일하게 용해한 후, 그 분산액을 분무 건조하는 방법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바람직한 것은, 마이크로 캡슐(외인성 물질 내포 미생물)의 분산액에 "당류 등"을 첨가하여 균일하게 용해한 후, 그 분산액을 분무 건조하는 방법이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마이크로 캡슐(외인성 물질 내포 미생물)과 "당류 등" (당류, 고감미도의 감미료, 단백질류 및 다가 알코올)의 비율은, 건조 고형분의 중량비로, 마이크로 캡슐(외인성 물질 내포 미생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당류 등"이 1∼9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0∼50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20∼40중량부가 되는 비율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에 있어서, 마이크로 캡슐(외인성 물질 내포 미생물)을 용액에 분산/현탁한 상태로 사용하는 경우, 그 분산액/현탁액 중의 마이크로 캡슐의 배합 비율로서는 5∼80중량%, 바람직하게는 10∼5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0∼40중량%을 들 수 있고, 또한 "당류 등"을 용해액 또는 분산액/현탁액의 상태로 사용하는 경우, 그 용액 중의 배합 비율로서는 1∼60중량%, 바람직하게는 10∼5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30∼40중량%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수득한 마이크로 캡슐은,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당류 등"(당류,고감미도의 감미료, 단백질류 및 다가 알코올)이 부착된 것이다. 바람직한 것은 마이크로 캡슐의 표면에 부분적으로 또는 전면에 걸쳐서 "당류 등"이 피복(코팅)된 것이다. 한편, 표면의 적어도 일부가 "당류 등"이 부착된 것인 한, 마이크로 캡슐의 피막 중(세포벽 중) 또는 마이크로 캡슐 내부에 "당류 등"이 침투ㆍ침입된 것이어도 좋다.
그러한 "당류 등"이 표면에 부착된 마이크로 캡슐, 바람직하게는 "당류 등"으로 표면이 피복된 마이크로 캡슐(본 발명의 마이크로 캡슐)은, 식품, 의약품, 의약부외품, 향장품, 또는 사료의 성분으로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마이크로 캡슐은 경구용으로 이용할 수 있는 경구 조성물(식품 조성물, 경구용 의약 또는 의약부외 조성물, 및 사료 조성물)의 성분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의 경구 조성물에는, 체내에의 섭식이 가능한 가식성 조성물, 및 섭식의 유무에 관계없이 구강 내에서 사용될 수 있는 구강용 조성물이 모두 포함된다.
본 발명의 마이크로 캡슐["당류 등" 부착(피복) 마이크로 캡슐]은, 그 내부에 내포시키는 성분의 종류에 따라서 각종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향료를 내포시킨 마이크로 캡슐은 향료(마이크로 캡슐화 향료)로서, 감미료를 내포시킨 마이크로 캡슐은 감미료(마이크로 캡슐화 감미료)로서, 조미료를 내포시킨 마이크로 캡슐은 조미료(마이크로 캡슐화 조미료)로서, 산미료를 내포시킨 마이크로 캡슐은 산미료(마이크로 캡슐화 산미료)로서, 고미료를 내포시킨 마이크로 캡슐은 고 미료(마이크로 캡슐화 고미료)로서, 향신료를 내포시킨 마이크로 캡슐은 향신료(마이크로 캡슐화 향신료)로서, 또한 착색료를 내포시킨 마이크로 캡슐은 착색료(마이크로 캡슐화 착색료)로서, 각각 조제하여 각 용도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마이크로 캡슐은, 구강 내에 보유되거나, 구강 내에서 저작되면서 섭취되는 태양의 경구 조성물의 배합 성분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러한 경구 조성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츄잉검, 및 구미 또는 누가 등의 소프트 캔디 등, 저작되면서 섭취되는 과자나 기호품(식품 조성물), 및 츄어블정, 저작제, 과립제, 트로키정, 박칼정(buccal Tab.), 및 치약제 등과 같이 구강 내에 오랫동안 보유되거나, 저작되면서 섭취되는 의약 조성물 또는 의약부외 조성물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바람직한 것은 츄잉검과 같이 구강 내에서 장기 저작되면서 섭취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츄잉검이란, 구강 내에서 저작되어 섭취되는 검을 널리 의미하는 것이며, 풍선검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의 "당류 등"이 표면에 부착(피복)된 마이크로 캡슐("당류 등" 부착(피복) 마이크로 캡슐: 본 발명의 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경구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에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강 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것(구강내 조성물) 및 경구적으로 체내에 섭취(섭식)되는 것(가식성 조성물)을 종합하여 경구 조성물이라 하고, 이들에는 식품 조성물, 경구용 의약 또는 의약부외 조성물, 및 사료 조성물이 포함된다.
구체적으로, 경구 조성물로는, 상기 언급한 츄잉검, 및 구미 또는 누가 등의 소프트 캔디 등, 구강 내에서 장기 저작되는 것에 의해 섭취되는 과자나 기호품(식 품 조성물), 및 츄어블정, 저작제, 과립제, 트로키정, 박칼정, 및 치약제 등과 같이 저작의 유무에 관계없이 구강 내에 오랫동안 머무르는 태양으로 사용될 수 있는 의약 조성물이나 의약부외 조성물 등을 함께 예시할 수 있다. 바람직한 것은 식품 조성물이며, 보다 바람직한 것은 츄잉검이다.
본 발명의 경구 조성물, 특히 식품 조성물, 특히 츄잉검은, 성분으로서 상기 「"당류 등" 부착(피복) 마이크로 캡슐」(본 발명의 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점 이외는, 종래 공지의 경구 조성물, 특히 식품 조성물, 특히 츄잉검 성분을 포함하며, 또한 종래 공지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츄잉검의 경우, 최종적으로 수득할 수 있는 츄잉검 100중량%에 포함시키는 본 발명의 마이크로 캡슐("당류 등" 부착(피복) 마이크로 캡슐)의 비율로서는,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보통 0.05∼10중량%, 바람직하게는 0.1∼5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5∼3중량%을 들 수 있다.
츄잉검 등의 경구 조성물에 배합하는 본 발명의 마이크로 캡슐은, 그 용도를 특별히 제한하는 것은 아니지만, 내부에 향료, 감미료(당류를 포함), 착색료, 산미료, 비타민류, 향신료, 동ㆍ식물 추출물, 생리 활성 물질, 조미료, 고미료, 지질, 지방산, 아미노산류, 또는 효소 중 어느 것을 적어도 1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츄잉검에 있어서 특히 바람직한 것은, 향미를 형성할 수 있는 성분(향미 성분), 특히 향료, 감미료, 산미료, 조미료 또는 고미료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들 향료, 감미료, 산미료, 조미료 또는 고미료를 내부에 함유하는 본 발명의 마이크로 캡슐(경구 조성물)은, 각각 마이크로 캡슐화 향료, 마이크로 캡슐화 감미료, 마이 크로 캡슐화 산미료, 마이크로 캡슐화 조미료 또는 마이크로 캡슐화 고미료로서, 츄잉검(경구 조성물)에 배합할 수 있다.
이들 외인성 물질(향료, 감미료, 착색료 등)의 구체적인 성분에 대해서는, 상기 언급한 예시물을 함께 예시할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향료에 관하여 상기에서 열거한 성분 이외의 향료 성분을 사용할 수 있다.
츄잉검에 배합하는 본 발명의 마이크로 캡슐 이외의 성분으로서는, 검 베이스, 감미료(당류를 포함), 색소, 증점제, 산미료, 연화제를 들 수 있다. 통상, 츄잉검에 포함되는 검 베이스의 비율로서는 10∼35중량%, 바람직하게는 20∼30중량%의 비율을 들 수 있다. 또한, 감미료로서는, 설탕, 과당, 액당, 포도당, 및 올리고당 등의 당류; 아스파탐, 수크라로오스, 아세설팜 칼륨, 소마틴, 스테비어, 아리탐, 네오탐, 크실리톨, 사카린염, 및 글리시리진 등의 고감미도의 감미료를 들 수 있다.
또한, 츄잉검의 조제는 「Gum Base and Gum Products Technology」 및 「The Great American Chewing Gum Book」(로버트ㆍ핸드릭슨 저, 카포사ㆍ검 S/A사 발행(1974년))에 기재된 방법 및 조작에 따라 행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마이크로 캡슐의 각 성분은 임의의 공정으로 배합할 수 있지만, 상기 마이크로 캡슐이 향미 성분(특히 향료)이나 착색료 등과 같이 열에 의한 영향을 받기 쉬운 외인성 물질을 내포하는 것일 경우는, 특히, 가열에 의한 외인성 물질의 변질(예를 들면, 향미나 빛깔의 소실ㆍ열화 등)을 방지하기 위해, 제조 공정의 마지막 무렵에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마이크로 캡슐의 제조방법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본 발명의 마이크로 캡슐["당류 등" 부착(피복) 마이크로 캡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방법은 기본적으로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1) 미생물의 균체 내에 외인성 물질을 삽입하는 단계;
2) 수득한, 균체 내에 외인성 물질을 내포하는 미생물의 표면에 당류, 고감미도의 감미료, 단백질류 및 다가 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을 부착하는 단계.
한편, 필요에 따라, 상기 단계 1)과 2) 사이에, 균체 내에 외인성 물질을 내포시킨 미생물의 단리, 세정, 탈수, 또는 건조 등 임의의 처리 단계를 포함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1)의 단계에서 사용하는 미생물로서, 미리 미생물의 균체 내에서 내인성의 균체 내 성분을 용출시킨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사용되는 미생물, 외인성 물질, 당류, 고감미도의 감미료, 단백질류 및 다가 알코올의 종류, 및 미생물의 균체 내에서 내인성의 균체 내 성분을 용출시키는 방법, 균체 내에 외인성 물질을 삽입하는 방법, 미생물 표면에 당류, 고감미도의 감미료, 단백질류 및 다가 알코올을 부착시키는 방법에 대해서는, 상기 (1)항에 기재된 상기 방법에 따라 행할 수 있다.

(3) 향미 발현의 제어 방법
본 발명은, 미생물 균체 내에 외인성 물질을 내포하는 마이크로 캡슐(외인성 물질 내포 미생물)에 대해서, 외인성 물질의 방출 속도, 강도 또는 지속성을 제어하는 방법, 바람직하게는 외인성 물질의 방출 속도, 강도 또는 지속성을 높이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방법은, 기본적으로는 균체 내에 외인성 물질을 내포시킨 미생물(외인성 물질 내포 미생물)의 표면에, 당류, 고감미도의 감미료, 단백질류 및 다가 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을 부착시킴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한편,여기에서 외인성 물질을 내포시키는데 사용할 수 있는 미생물로서는, 상기 언급한 조류, 효모, 균류 또는 박테리아를 들 수 있지만, 바람직한 것은 효모이다. 보다 바람직한 것은 내인성의 균체 내 성분을 미리 용출시킨 효모이다.
여기에서, 상기 방법에 사용되는 효모, 외인성 물질, 당류, 고감미도의 감미료, 단백질류 및 다가 알코올의 종류, 및 미생물의 균체 내에서 내인성 성분을 용출시키는 방법, 균체 내에 외인성 물질을 삽입하는 방법, 미생물 표면에 당류, 고감미도의 감미료, 단백질류 및 다가 알코올을 부착시키는 방법에 대해서는, 모두 상기 (1)항에 기재되어 있고, 본 발명도 그러한 기재에 따라서 실시할 수 있다. 한편, 당류, 고감미도의 감미료, 단백질류 및 다가 알코올("당류 등")의 부착 정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외인성 물질 내포 미생물의 표면의 일부에 부착된 것이나, 전체에 걸쳐 부착된 것이어도 좋다. 또한 이 경우, "당류 등"이 미생물의 세 포벽 또는 균체 내부에 침입 또는 침윤된 것이어도 하등 제한되지 않는다. 외인성 물질 내포 미생물의 표면에 부착(피복)시키는 "당류 등"의 비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건조 고형분의 중량비로서, 외인성 물질 내포 미생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1∼9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0∼50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20∼40중량부의 비율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수득한 마이크로 캡슐["당류 등" 부착(피복) 마이크로 캡슐]에 의하면, 내부에 포함된 외인성 물질의 방출 속도, 강도 또는 지속성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작용은, 특히 「"당류 등" 부착(피복) 마이크로 캡슐」을 물의 존재하, 특히 구강 내에 두는 것에 의해 현저하게 일어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은, 구강 내에서의 향미의 발현 속도, 강도 또는 지속성을 제어하는 데에도 바람직하게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미생물 균체 내에 향미 성분을 내포하는 마이크로 캡슐(향미 성분 내포 미생물)에 대해서, 그 향미의 발현 속도, 강도 또는 지속성을 제어하는 방법, 바람직하게는 향미의 발현 속도, 강도 또는 지속성을 높이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의 향미 성분이란, 향미(향 또는 맛)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면 좋다.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구체적으로는, 향료, 감미료(당류를 포함), 산미료, 조미료, 고미료, 향신료, 지질, 비타민류, 아미노산류, 및 동ㆍ식물 추출물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향료, 감미료, 산미료, 조미료, 고미료, 및 향신료를, 보다 바람직하게는 향료 및 감미료, 더욱 바람직하게는 향료를 들 수 있 다. 이들 성분은 모두 식품에 적용할 수 있는 가식성 성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한 것은 소수성 향료 등과 같은 소수성 성분이다.
향미 성분 내포 미생물(마이크로 캡슐)의 표면에 "당류 등"을 부착(피복)시키는 것에 의해 수득할 수 있는 「"당류 등" 부착(피복) 마이크로 캡슐」은, 향미 성분 내포 미생물(마이크로 캡슐) 그 자체보다 구강 내에서의 향미의 발현이 빠르고, 또한 적당하게 강한 향기가 오랫동안 지속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마이크로 캡슐(미생물 균체)에 내포시킨 향미 성분의, 마이크로 캡슐로부터의 방출을 제어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방법은 향미 성분(향료, 감미료, 산미료, 조미료, 고미료, 향신료, 지질, 비타민류, 아미노산류, 또는 동ㆍ식물 추출물 등)에 대해서, 그 향미의 발현 속도, 강도 및 지속성을 높이는 기술로서 유용하다.
또한, 여기에서 사용되는 본 발명의 마이크로 캡슐["당류 등" 부착(피복) 마이크로 캡슐]을 향미 성분(예를 들면 향료, 감미료, 산미료, 조미료, 고미료, 향신료, 지질, 비타민류, 아미노산류, 또는 동ㆍ식물 추출물 등)으로서 식품 등의 경구 조성물에 배합하는 것에 의해, 그러한 경구 조성물에 있어서 그 향미의 발현 속도, 강도 및 지속성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식품 등의 경구 조성물에 대하여, 향미의 발현 속도, 강도 또는 지속성을 제어하는 방법, 바람직하게는 향미의 발현 속도, 강도 또는 지속성을 높이는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대상으로 하는 바람직한 경구 조성물로서는, 구강 내에 오랫동안 보유되거나, 구강 내에서 오랫동안 저작되어 사용되는 조 성물, 예를 들면 츄잉검이나 소프트 캔디 등의 식품 조성물, 또는 츄어블정, 저작제, 박칼정, 또는 치약제 등의 의약 조성물 또는 의약부외 조성물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것은 츄잉검이다. 상기 방법은, 대상으로 하는 경구 조성물의 성분으로서 상기의 「"당류 등" 부착(피복) 마이크로 캡슐」을 사용하는 것, 다시 말하면 대상으로 하는 경구 조성물을, 「"당류 등" 부착(피복) 마이크로 캡슐」을 1성분으로 사용하여 조제함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경구 조성물, 특히 츄잉검의 조제 방법, 및 조제에 사용되는 「"당류 등" 부착(피복) 마이크로 캡슐」의 비율 등에 대해서는 모두 상기 (1)항에 기재되어 있고, 상기 방법에 따라 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이하의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를 이용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하기에 기재한 처방 단위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부는 중량부를, %은 중량%을 의미한다.
실시예 1∼6
향료를 내포시킨 당류 부착(피복) 마이크로 캡슐[균체 내 성분 제거]
<마이크로 캡슐화 향료>
(1) 효모 균체 내의 내인성 성분의 제거
맥주 효모(Saccharomyces cerevisiae) 100g을 물에 분산시킨 슬러리상액 2000g에 프로테아제 2g을 첨가한 후, 온도 50℃에서 20시간 두어, 균체 내 성분을 균체 외로 용출시켰다. 수득한 슬러리를 8000 회전으로 30분간 원심 분리하고, 상청을 제거하여 효모균 잔여분 350g(건조 고형분 20%)을 수득하였다. 이것에, 물 930g 및 진한 염산 120g을 더하여, 교반하 80℃에서 10분간 가열한 후(산처리), 냉각하였다. 그 후, 8000 회전으로 30분간 원심 분리하고, 상청을 제거하여 산처리 효모 잔여분 500g(건조 고형분 10%)을 수득하였다. 그 후, 이것에 물 500g을 첨가하고, 8000 회전으로 30분간 원심 분리한 후, 상청을 제거하고, 수득한 잔여분 500g(건조 고형분10%)에 10%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여 pH를 7.0으로 조정하였다.
(2) 효모 균체 내에의 향료의 봉입
이와 같이 조제한, 균체 내의 내인성 성분이 제거된 효모를 함유하는 물분산액(건조 고형분 10%)450g을 70℃로 가온하고, 이것에 멘톨 25g을 첨가하여 5000rpm으로 2시간 교반하여, 상기 효모의 균체 내에 향료(멘톨)를 삽입하였다(향료 내포 효모).
(3) 효모 균체 표면에의 당류의 부착(피복)
이와 같이 조제한 향료 내포 효모를 함유하는 수용액 475g을 6종류 준비하고, 각각 60℃로 가열한 50%의 락토오스 함유 수용액 60g(실시예 1), 50% 덱스트린(DE = 10) 함유 수용액 60g(실시예 2), 50% 말토오스 함유 수용액 60g(실시예 3), 50% 환원 파라티노오스 함유 수용액 60g(실시예 4), 25% 젤라틴 함유 수용액 120g(실시예 5), 및 15% 젤라틴과 15% 락토오스를 함유하는 수용액 100g(실시 예 6)을 첨가하여 혼합하였다. 이어서, 이들 혼합 용액을 스프레이 드라이어로, 주입 온도 150℃, 배출 온도 90℃의 조건으로 분무 건조하여, 분말상의 「당류 부착/향료 내포 마이크로 캡슐[균체 내 성분 제거]」(실시예 1∼6)을 각각 90g 수득하였다.
실시예 7
향료를 내포시킨 당류 부착(피복) 마이크로 캡슐[균체 내 성분 함유]
<마이크로 캡슐화 향료>
상기 실시예 1에서 사용한, 균체 내의 내인성 성분을 제거한 효모 대신, 내인성 성분을 포함하는 맥주 효모(Saccharomyces cerevisiae)를 사용하고, 그 이외는 실시예 1과 같이 하여(50% 락토오스 함유 수용액 사용), 분말상의 당류 부착/향료 내포 마이크로 캡슐[균체 내 성분 함유](실시예 7)을 수득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맥주 효모(Saccharomyces cerevisiae) 45g을 함유하는 수용액 450g을 상기 실시예 1의 (2) 방법에 따라 70℃로 가온하고, 이것에 멘톨 25g을 첨가하여 5000rpm으로 2시간 교반하여, 상기 효모의 균체 내에 향료(멘톨)를 삽입하였다(향료 내포 효모). 이와 같이 조제한 향료 내포 효모를 함유하는 수용액 475g에, 상기 실시예 1의 (3)의 방법에 따라, 60℃로 가온한 50% 락토오스 함유 수용액 30g을 첨가하여 혼합하였다. 이어서, 이들 혼합 용액을 스프레이 드라이어로, 주입 온도 150℃, 배출 온도 90℃의 조건으로 분무 건조하여, 분말상의 「당류 부착/향료 내포 마이크로 캡슐[균체 내 성분 함유]」(실시예 7)을 90g 조제하였다.
실시예 8∼14
츄잉검
실시예 1∼7에서 조제한, 향료를 내포시킨 마이크로 캡슐을 향료 성분(마이크로 캡슐화 향료)으로 사용하여 하기의 처방에 따라 각각 츄잉검(실시예 8∼14)을 조제하였다. 한편, 츄잉검의 조제는 일반적인 방법에 따라 행하였다.
<츄잉검 처방>
츄잉검 베이스 25부
설탕 62부
콘시럽 10부
글리세린 1부
마이크로 캡슐화 향료 2부
합계 100부
실시예 15
향료를 내포시킨 당류 부착(피복) 마이크로 캡슐[균체 내 성분 제거]
<마이크로 캡슐화 향료>
실시예 1의 (1)의 방법에 따라 조제한 균체 내의 내인성 성분을 제거한 효모를 물에 현탁하여 조제한 효모 용액(건조 고형분10%) 450g을 70℃로 가온하고, 이것에 오렌지 오일을 25g 첨가하여 5000rpm으로 2시간 교반하였다. 이것에 60℃로 가온한 50%의 락토오스 함유 수용액 60g을 더 첨가하여 혼합한 후, 혼합 용액을 스프레이 드라이어로, 주입 온도 150℃, 배출 온도 90℃의 조건으로 분무 건조하여, 분말상의 「당류 부착/향료 내포 마이크로 캡슐[균체 내 성분 제거]」(실시예 15)을 90g 수득하였다.
비교예 1
향료를 내포시킨 마이크로 캡슐[균체 내 성분 제거]
실시예 1의 (1)의 방법과 같이 하여 조제한, 균체 내의 내인성 성분을 제거한 효모를 물에 현탁하여 효모 용액(건조 고형분 10%) 643g을 조제하였다. 이것을 70℃로 가온하고, 멘톨 36g을 첨가하여 5000rpm로 2시간 교반하였다. 이어서 상기 용액을 스프레이 드라이어로, 주입 온도 150℃, 배출 온도 90℃의 조건으로 분무 건조하여, 분말상의 마이크로 캡슐(향료 내포 마이크로 캡슐[균체 내 성분 제거]) 90g(비교예 1)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2
향료 내포 마이크로 캡슐[균체 내 성분 제거]과 락토오스의 혼합 조성물
비교예 1에서 조제한 분말상의 마이크로 캡슐(향료 내포 마이크로 캡슐[균체 내 성분 제거]) 70g에 분말상의 락토오스 30g을 배합하여 혼합하여, 분말상의 마이크로 캡슐 함유 조성물(향료 내포 마이크로 캡슐[균체 내 성분 제거] + 락토오스) 98g(비교예 2)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3
향료 내포 마이크로 캡슐[균체 내 성분 함유]
맥주 효모(Saccharomyces cerevisiae) 75g을 물에 현탁하여 효모 용액(건조 고형분10%) 750g을 조제하였다. 이것을 70℃로 가온하고, 멘톨 25g을 첨가하여 5000rpm으로 2시간 교반하였다. 이어서, 이 용액을 스프레이 드라이어로, 주입 온도 150℃, 배출 온도 90℃의 조건으로 분무 건조하여, 분말상의 마이크로 캡슐(향료 내포 마이크로 캡슐[균체 내 성분 함유]) 90g(비교예 3)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4∼6
츄잉검
비교예 1∼3에서 조제한 마이크로 캡슐을 향료 성분(마이크로 캡슐화 향료)으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8∼14와 같이 하여 각각 츄잉검(비교예 4∼6)을 조제하였다.
비교예 7
향료 내포 마이크로 캡슐[균체 내 성분 제거]
실시예 1의 (1)의 방법과 같이 하여 조제한, 균체 내의 내인성 성분을 제거한 효모를 물에 현탁하여 효모 용액(건조 고형분10%) 750g을 조제하였다. 이것을 70℃로 가온하고, 이것에 오렌지 오일 25g을 첨가하여 5000rpm으로 2시간 교반하였 다. 이 용액을 스프레이 드라이어로, 주입 온도 150℃, 배출 온도 90℃의 조건으로 분무 건조하여, 분말상의 마이크로 캡슐(향료 내포 마이크로 캡슐[균체 내 성분 제거]) 90g(비교예 7)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8
마이크로 캡슐화 향료(비미생물)
아라비아 고무 30g 및 락토오스 30g을 물에 용해하여 조제한 용액(건조 고형분 30%) 250g을 50℃로 가온하고, 이것에 오렌지 오일 25g을 첨가하여 5000rpm으로 2시간 교반하였다. 이 용액을 스프레이 드라이어로, 주입 온도 150℃, 배출 온도 90℃의 조건으로 분무 건조하여, 분말상의 마이크로 캡슐화 향료 90g을 수득하였다.
실험예 1
실시예 1 및 비교예 2에서 조제한, 향료 내포 마이크로 캡슐(마이크로 캡슐화 향료)에 대하여 향미의 발현이나 지속성을 평가하였다(실시예 1: 락토오스 부착/향료 내포 마이크로 캡슐[균체 내 성분 제거], 비교예 1: 향료 내포 마이크로 캡슐[균체 내 성분 제거]+락토오스). 구체적으로는, 마이크로 캡슐화 향료(실시 예1, 비교예 2)를 향료 성분으로 사용하여 조제한 츄잉검(실시예 8, 비교예 5)을, 전문 패널 6명에게 매분 75회의 빈도로 저작하게 하였다. 대조군으로서, 비교예 1의 마이크로 캡슐(마이크로 캡슐화 향료: 향료 내포 마이크로 캡슐[균체 내 성분 제거])을 향료 성분으로 하여 조제한 츄잉검(비교예 4)을 같이 저작했을 경우의 향미의 발현 속도, 강도 및 지속성을 비교하여, 향미의 발현 속도, 강도 및 지속성을 평가하게 했다. 한편, 평가는, 대조군 츄잉검(비교예 4)의 향미의 발현 속도, 강도 및 지속성을 3으로 하여, 표1에 나타낸 기준으로 행하였다.
평가 기준 향미 발현 속도 향미의 강도 향미의 지속성
5 빠름 강함
4 약간 빠름 약간 강함 약간 김
3(대조군) 보통 보통 보통
2 다소 느림 다소 약함 다소 짧음
1 느림 약함 짧음

결과를 표2에 나타낸다. 각 평가 점수는 전문 패널 6명의 평균치를 의미한다.
당류의 종류 당류의 존재양식 향미의 발현 속도 향미의 발현 강도 향미의 지속성
실시예 1/8 락토오스 부착 4.8 4.8 4.8
비교예 2/5 락토오스 혼합 3.0 3.4 3.0
* 표에 있어서, 예를 들면 「실시예 1/8」 및 「비교예 2/5」는, 각각 실시예 1과 실시예 8 둘 다, 비교예 2와 비교예 5 둘 다를 나타내는 것이다. 하기의 표에 있어서도 같다.
실시예8의 츄잉검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향료를 내포시킨 효모(균체 내 성분 제거)의 표면을 락토오스로 피복한 마이크로 캡슐화 향료(실시예 1)를 향료 성분으로서 사용하는 것에 의해, 향미의 발현이 빠르고, 향미가 강하며, 또한 향미의 지속성이 긴 츄잉검(실시예 8)을 조제할 수 있음이 판명되었다. 또한, 향료를 내포시킨 효모(균체 내 성분 제거)와 락토오스를 단지 혼합하여 조제한 마이크로 캡슐화 향료(비교예 2)를 향미 성분으로 사용하여 조제한 츄잉검(비교예 5)은, 향미의 발현 속도, 강도 및 지속성의 어느 것에 있어서도 대조군의 검(향미의 발현 속도, 감도 및 지속성: 3.0)과 큰 차이가 없고, 본 발명의 실시예 8의 검 보다 현저하게 뒤떨어졌다. 이로부터, 향미를 내포시킨 효모의 표면에 락토오스를 부착 또는 피복함으로써, 단지 상기 효모와 락토오스를 혼합하는 것만으로는 얻을 수 없는 본 발명의 특유의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효모 균체 내의 내인성의 균체 내 성분을 제거하지 않고 조제한 실시예 7 및 비교예 3의 마이크로 캡슐화 향료(실시예 7: 락토오스 부착/향료 내포 마이크로 캡슐[균체 내 성분 함유], 비교예 3: 향료 내포 마이크로 캡슐[균체 내 성분 함유])에 대하여, 이들을 향료 성분으로 해서 조제한 츄잉검(실시예 12 및 비교예 6)을 이용하여, 실험예 1과 동일하게 향미의 발현(속도, 강도) 및 지속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3에 나타낸다.
균체 내 성분의 유무 당류의 유무 향미의 발현 속도 향미의 발현 강도 향미의 지속성
실시예 7/14 있음 락토오스 4.8 3.6 3.6
비교예 3/6 있음 없음 3.0 3.0 3.0

이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효모 균체 내의 내인성 성분을 제거하지 않고 향료를 내포시키고, 상기 표면에 락토오스를 부착시켜 조제한 마이크로 캡슐화 향료(실시예 7: 락토오스 부착/향료 내포 마이크로 캡슐[균체 내 성분 함유])를 이용하여 조제한 츄잉검(실시예 14)은, 당류를 부착시키지 않고 조제한 마이크로 캡슐화 향료(비교예 3: 향료 내포 마이크로 캡슐[균체 내 성분 함유]를 이용하여 조제한 츄잉검(비교예 6)에 비해, 발현 속도, 강도 및 지속성의 어느 것에 있어서도 현저하게 우수하였다.
실험예 3
효모 표면의 피복 성분으로서, 락토오스 대신 덱스트린(DE10)(실시예 2), 말토오스(실시예 3), 또는 환원 팔라티니트(실시예 4)를 사용하여 조제한 마이크로 캡슐화 향료(실시예 2: 덱스트린 부착/향료 내포 마이크로 캡슐[균체 내 성분 제거], 실시예 3: 말토오스 부착/향료 내포 마이크로 캡슐[균체 내 성분 제거], 실시예 4: 환원 팔라티니트 부착/향료 내포 마이크로 캡슐[균체 내 성분 제거])를 향료 성분으로 사용하여, 실시예 8과 같이 해서 조제한 츄잉검(실시예 9∼11)에 대해 향 미의 발현(속도, 강도) 및 지속성을 실험예 1과 같이 해서 평가하였다. 결과를 실시예 8의 츄잉검(락토오스 사용)의 결과와 함께 표4에 나타낸다.
부착 당류의 종류 향미의 발현 속도 향미의 발현 강도 향미의 지속성
실시예 1/8 락토오스 4.8 4.8 4.8
실시예 2/9 덱스트린(DE10) 4.2 3.0 4.8
실시예 3/10 말토오스 2.4 2.8 4.8
실시예 4/11 환원성 팔라티니트 5.0 4.0 3.6
실시예 5/12 젤라틴 3.0 2.0 5.0
실시예 6/13 젤라틴 + 락토오스 4.0 2.5 4.9

실시예 9 및 10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표면을 덱스트린(DE10) 또는 말토오스로 피복한 마이크로 캡슐화 향료는, 향미의 발현 강도가 대조군(비교예 4)과 거의 차이가 없지만, 향미의 지속성은 현저하게 향상되었다. 또한, 실시예 11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표면을 환원성 팔라티니트로 피복한 마이크로 캡슐화 향료는, 향미 발현 강도가 현저하게 향상되었다.
또한, 실시예 12 및 13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표면을 젤라틴 또는 젤라틴+락토오스로 피복한 마이크로 캡슐화 향료는, 향미 발현 강도가 대조군(비교예 4) 보다 약하지만, 향미의 지속성은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실험예 4
실시예 15 및 비교예 7, 8의 마이크로 캡슐에 대하여, 향미의 강도, 지속성에 대해 평가하였다(실시예 15: 당류 부착/향료 내포 마이크로 캡슐[균체 내 성분 제거], 비교예 7: 향료 내포 마이크로 캡슐[균체 내 성분 제거], 비교예 8: 마이크로 캡슐화 향료(비미생물)).
구체적으로는, 상기에서 수득한 마이크로 캡슐을 각각 50g씩 폴리에틸렌 봉지에 넣어 밀봉하고, 50℃에서 1개월간 보존하였다. 마이크로 캡슐에 내포시킨 향료의 지속성을 조사하기 위해, 1개월 보존 후의 마이크로 캡슐에 대해 리모넨 함량을 측정하고, 보존 전의 리모넨 함량을 100%로 계산하여, 리모넨(오렌지 향료)의 잔존율을 구하였다. 한편, 실시예 15 및 비교예 7, 8에서 조제한 마이크로 캡슐(보존 전)에 함유된 리모넨은 마이크로 캡슐 100% 중 어느 것에서도 23%였다.
또한, 보존에 의한 향료의 변질을 조사하기 위해, 50℃에서 1개월 보존하기 전과 보존한 후의 마이크로 캡슐에 대하여 각각 0.1% 수용액을 제조하고, 전문 패널 6명에게 상기 향료의 0.1% 수용액의 향미에 대한 평가를 하게 하였다. 결과를 표5에 나타낸다.
리모넨 잔존율 0.1% 수용액의 향미
실시예 15 95% 변화 없음
비교예 7 70% 약한 산화향이 있음
비교예 8 45% 강한 산화향이 있음

이 결과로부터, 향료를 내포시킨 효모(마이크로 캡슐)의 표면을 당류로 피복하는 것에 의해(실시예 15) 향료의 지속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내포된 향료의 변질을 현저하게 방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균체 내에 외인성 물질을 내포시킨 미생물(마이크로 캡슐)에 대하여, 상기 외인성 물질의 방출 속도, 강도, 또는 지속성을 제어, 개선할 수 있다. 상기 외인성 물질의 방출 속도, 강도, 또는 지속성이 제어ㆍ개선된 마이크로 캡슐은, 그 속에 내포시킨 외인성 물질에 따라, 식품, 의약품, 의약부외품, 향장품, 일용 잡화의 각종 제품에 응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식성 향료를 내포시킨 본 발명의 마이크로 캡슐은, 예를 들면, 츄잉검의 향료 성분으로서 유용하며, 상기 마이크로 캡슐을 향료로서 사용하여 제조한 츄잉검은, 부착시킨 당류 및 다가 알코올의 종류에 따라 구강 내에서 신속하게 향미를 발현하고, 구강 내에 강한 향미를 발현하며, 또한 오랫동안 향미를 지속시키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Claims (25)

  1. 균체 내에 외인성 물질을 내포시킨 효모의 표면에, 당류 및 단백질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을 부착시켜 이루어진 마이크로 캡슐.
  2. 제1항에 있어서,
    균체 내에 외인성 물질을 내포시킨 효모가, 내인성의 균체 내 성분을 용출시킨 것인
    마이크로 캡슐.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당류가, 단당류, 2당류, 3당류, 4당류, 올리고당, 다당류 및 당 알코올로 이 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인
    마이크로 캡슐.
  5. 제1항에 있어서,
    효모의 표면에 락토오스, 말티토오스, 트레할로스, 팔라티니트, 덱스트린,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글리세린, 및 폴리프로필렌 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을 부착시켜 이루어진
    마이크로 캡슐.
  6. 제1항에 있어서,
    효모의 균체 내에 내포시킨 외인성 물질이, 소수성 물질인
    마이크로 캡슐.
  7. 제1항에 있어서,
    효모의 균체 내에 내포시킨 외인성 물질이, 향료, 착색료, 산미료, 조미료, 고미료, 향신료, 감미료, 지질, 지방산, 아미노산류, 효소, 비타민류, 동ㆍ식물 추출물 및 생리 활성 물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인
    마이크로 캡슐.
  8. 제1항에 있어서,
    식품, 의약품, 의약부외품, 향장품 또는 사료의 성분으로 사용할 수 있는
    마이크로 캡슐.
  9. (1) 효모의 균체 내에 외인성 물질을 내포시키는 단계, 및
    (2) 단계 (1)에서 수득한 효모의 표면에 당류 및 단백질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을 부착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캡슐의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1)의 단계가, 내인성의 균체 내 성분을 용출시킨 효모를 사용하여, 상기 효모의 균체 내에 외인성 물질을 내포시키는 단계인
    마이크로 캡슐의 제조방법.
  11. 제1항에 따른 마이크로 캡슐을 함유하는 경구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제1항에 따른 마이크로 캡슐을 향료, 착색료, 조미료, 산미료, 고미료, 향신료 또는 감미료로서 함유하는
    경구 조성물.
  13. 제11항에 있어서,
    구강 내에 오랫동안 보유되거나, 구강 내에서 오랫동안 저작되는 것인
    경구 조성물.
  14. 제11항에 있어서,
    츄잉검인
    경구 조성물.
  15. 효모의 균체 내에 외인성 물질을 내포시킨 마이크로 캡슐에 대하여 외인성 물질의 방출 속도, 강도 또는 지속성을 제어하는 방법이며, 상기 마이크로 캡슐의 표면에 당류 및 단백질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을 부착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효모의 균체 내에 향미 성분을 내포시킨 마이크로 캡슐에 대하여, 그 향미의 발현 속도, 강도 또는 지속성을 제어하는 방법인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효모의 균체 내에 향미 성분을 내포시킨 마이크로 캡슐이, 내인성의 균체 내 성분을 용출시킨 효모의 균체 내에 향미 성분을 내포시킨 것인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향미의 발현 속도, 강도 또는 지속성을 높이는 방법인
    방법.
  19. 균체 내에 향미 성분을 내포시킨 효모의 표면에 당류 및 단백질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을 부착시켜 이루어진 마이크로 캡슐을 경구 조성물에 배합하는 것을 포함하는, 경구 조성물에 대하여 향미의 발현 속도, 강도 또는 지속성을 제어하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균체 내에 향미 성분을 내포시킨 효모는, 내인성의 균체 내 성분을 용출시킨 것인
    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경구 조성물에 있어서의 향미의 발현 속도, 강도 또는 지속성을 높이는 방법인
    방법.
  22. 제1항에 있어서,
    향료, 감미료, 착색료, 조미료, 산미료, 향신료 또는 고미료로서 사용되는 마이크로캡슐.
  23. 삭제
  24. 균체 내에 향미 성분을 내포시킨 효모의 표면에 당류 및 단백질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을 부착시켜 이루어진 마이크로 캡슐을 함유하는, 향미의 발현 속도, 강도 또는 지속성을 개선시킨 경구 조성물.
  25. 삭제
KR1020047007395A 2001-11-15 2002-11-15 마이크로 캡슐 및 그것을 함유하는 경구 조성물 KR1009448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350836 2001-11-15
JPJP-P-2001-00350836 2001-11-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4481A KR20050044481A (ko) 2005-05-12
KR100944814B1 true KR100944814B1 (ko) 2010-03-02

Family

ID=19163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7395A KR100944814B1 (ko) 2001-11-15 2002-11-15 마이크로 캡슐 및 그것을 함유하는 경구 조성물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20050118273A1 (ko)
EP (1) EP1454534B2 (ko)
JP (1) JP3885195B2 (ko)
KR (1) KR100944814B1 (ko)
CN (1) CN100334962C (ko)
AT (1) ATE454827T1 (ko)
AU (1) AU2002355012B2 (ko)
CA (1) CA2470351C (ko)
DE (1) DE60235117D1 (ko)
ES (1) ES2335579T5 (ko)
NZ (1) NZ533501A (ko)
WO (1) WO20030415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33040B2 (ja) * 2004-01-12 2011-07-27 フイルメニツヒ ソシエテ アノニム 風味付けマイクロカプセルを含有する食用製品
EP1711058B1 (en) 2004-01-23 2021-09-15 Eden Research Plc Methods of killing nematodes comprising the application of a terpene component
SI2338332T1 (sl) 2004-05-20 2014-06-30 Eden Research Plc Votli delec glukana ali votli delec stene celice, ki enkapsulira komponento terpena
US7740861B2 (en) * 2004-06-16 2010-06-22 University Of Massachusetts Drug delivery product and methods
RU2007104041A (ru) * 2004-07-02 2008-08-10 Фирмениш Са (Ch) Инкапсулированные гидрофильные соединения
JP5302537B2 (ja) 2004-09-17 2013-10-02 ユニバーシティ オブ マサチューセッツ リソソーム酵素欠損症のための組成物およびそれらの使用
ES2440692T3 (es) * 2005-02-10 2014-01-30 Firmenich Sa Producto alimenticio calentado con recubrimiento de aromas encapsulados
WO2006117705A1 (en) * 2005-05-04 2006-11-09 Firmenich Sa Fat, wax or oil-based food ingredient comprising encapsulated flavors
DE602006010192D1 (de) * 2005-05-04 2009-12-17 Firmenich & Cie Nahrungsmittelbestandteil auf fett-, wachs- oder ölgrundlage enthaltend verkapselte aromen
JP2009501042A (ja) * 2005-07-14 2009-01-15 フイルメニツヒ ソシエテ アノニム フレーバリングされた串
JP2009510007A (ja) * 2005-09-30 2009-03-12 ベーリンガー インゲルハイム フェトメディカ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メロキシカムを含む医薬調製
WO2007063268A1 (en) 2005-11-30 2007-06-07 Eden Research Plc Compositions and methods comprising terpenes or terpene mixtures selected from thymol, eugenol, geraniol, citral, and l-carvone
WO2007063267A1 (en) 2005-11-30 2007-06-07 Eden Research Plc Terpene-containing composition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m
KR20080077956A (ko) * 2005-12-08 2008-08-26 피르메니히 에스아 향 캡슐을 포함하는 즉석 식품
US7682850B2 (en) * 2006-03-17 2010-03-23 Philips Lumileds Lighting Company, Llc White LED for backlight with phosphor plates
CA2660992C (en) 2006-08-17 2014-10-14 Gumlink A/S Resin encapsulated high intensity sweetener
JP5065742B2 (ja) * 2007-04-18 2012-11-07 三栄源エフ・エフ・アイ株式会社 香味の発現性及び持続性が改善された調味食品
EP2022503B1 (de) 2007-08-07 2011-10-19 Symrise AG Verkapselte Vacciniumextrakte mit ausgewogener Magen-Darm-Freisetzung
JP5374216B2 (ja) * 2009-04-17 2013-12-25 三栄源エフ・エフ・アイ株式会社 マイクロカプセル化香料
EP2448426A1 (en) * 2009-06-30 2012-05-09 Firmenich S.A. Process for encapsulating an active ingredient
US20110144218A1 (en) * 2009-12-11 2011-06-16 David Posner Taste-Modified Consumable Products And Methods Of Preparation
KR101025810B1 (ko) * 2010-10-08 2011-04-04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곤충을 이용한 항생제 대체용 비분해성 사료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
CA2821139A1 (en) * 2010-12-20 2012-06-28 Firmenich Sa Process for encapsulating an active ingredient
JP5375862B2 (ja) * 2011-03-28 2013-12-25 味の素株式会社 腸管洗浄用組成物
RU2627120C2 (ru) * 2011-10-21 2017-08-03 Фирмениш Са Гранулы, содержащие активное вещество
DE102011087850A1 (de) * 2011-12-06 2013-06-06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Komposite mit in biologischem Hüllmaterial inkludierten Wirkstoffen
US20130251855A1 (en) * 2012-03-21 2013-09-26 Pepsico, Inc. Aqueous product comprising oil-containing microcapsules and metho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GB201220940D0 (en) 2012-11-21 2013-01-02 Eden Research Plc Method P
KR20140081925A (ko) * 2012-12-12 2014-07-02 한미약품 주식회사 코르티코스테로이드, 항히스타민제 및 스테비아를 포함하는 고미 차폐된 약학 제제
BR112015020306A2 (pt) * 2013-02-25 2017-07-18 Firmenich & Cie partículas de microrganismo plasmolisado encapsulado
US9376521B2 (en) 2013-06-13 2016-06-28 Globalfoundries Inc. Polymer composition with saliva labile aversive agent
CN104095186A (zh) * 2014-07-21 2014-10-15 天津市林业果树研究所 一种含植物提取物的益生菌缓释剂的制备方法
US10864168B2 (en) 2014-10-29 2020-12-15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Bioactive delivery vehicles
JP6847582B2 (ja) * 2016-03-03 2021-03-24 テーブルマーク株式会社 液相と微生物細胞加工物を含む分散組成物、および酵母エキスを用いた調味料組成物
EP3478242A1 (en) * 2016-07-01 2019-05-08 Firmenich SA Preparation of solid capsules comprising flavours
CN108887455B (zh) * 2018-06-17 2021-07-30 西宝生物科技(上海)股份有限公司 一种防止过度咀嚼的产品及其制作方法
CN112080328B (zh) * 2020-08-13 2022-06-21 长沙众城石油化工有限责任公司 一种有机锂皂复合脲基润滑脂及其制备方法
KR102588147B1 (ko) * 2023-03-09 2023-10-13 주식회사 펫21 치석 및 구취 제거가 가능한 반려동물용 다기능 영양 녹각껌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17109A2 (en) * 1985-08-30 1987-04-08 Roberto Cappellari Chewing gum
JPH05253464A (ja) * 1991-04-17 1993-10-05 Mitsubishi Paper Mills Ltd マイクロカプセル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554010A (en) 1941-09-17 1943-06-16 Distillers Co Yeast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he preparation of dry yeast products
US2800457A (en) * 1953-06-30 1957-07-23 Ncr Co Oil-containing microscopic capsules and method of making them
BE530009A (ko) 1953-06-30
US3975553A (en) * 1965-03-08 1976-08-17 Henri Griffon Deproteination of yeast cells
US3755190A (en) 1971-11-09 1973-08-28 Ncr Capsule manufacture
US4001140A (en) 1974-07-10 1977-01-04 Ncr Corporation Capsule manufacture
JPS5425277A (en) 1977-07-27 1979-02-26 Fuji Photo Film Co Ltd Method of producing microcapsule
ATE18576T1 (de) 1981-11-21 1986-03-15 Dunlop Ltd Verfahren zum einkapseln von substanzen mit hilfe von mikroorganismen, und die hierbei erhaltenen eingekapselten produkte.
JPS6188871A (ja) 1984-10-04 1986-05-07 Mitsubishi Paper Mills Ltd 感圧性バイオカプセル
JPS62186937A (ja) 1986-02-10 1987-08-15 Mitsubishi Paper Mills Ltd マイクロカプセルの製造方法
US5288632A (en) 1986-04-12 1994-02-22 Ad2 Limited Encapsulation of material in microbial cells
GB8608964D0 (en) 1986-04-12 1986-05-14 Pannell N A Producing microbially encapsulated materials
JPS62294079A (ja) * 1986-06-11 1987-12-21 Mitsubishi Paper Mills Ltd マイクロカプセルの製造方法
JPH0829246B2 (ja) 1986-10-01 1996-03-27 三菱製紙株式会社 マイクロカプセルの製造方法
US4933190A (en) * 1986-12-23 1990-06-12 Warner-Lambert Co. Multiple encapsulated sweetener delivery system
US5139794A (en) * 1989-04-19 1992-08-18 Wm. Wrigley Jr. Company Use of encapsulated salts in chewing gum
JPH0732870B2 (ja) 1990-04-20 1995-04-12 三菱製紙株式会社 マイクロカプセルの製造方法
JPH0832225B2 (ja) 1990-09-07 1996-03-29 三菱製紙株式会社 マイクロカプセルの製造方法
DE69113682T2 (de) 1990-06-05 1996-03-21 Mitsubishi Paper Mills Ltd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Mikrokapseln.
JPH0732871B2 (ja) 1990-06-05 1995-04-12 三菱製紙株式会社 マイクロカプセルの製造方法
WO1990013994A2 (en) * 1990-07-17 1990-11-29 Wm. Wrigley Jr. Company Controlled release of dihydrochalcones in chewing gum
JPH0515770A (ja) 1991-07-12 1993-01-26 Mitsubishi Paper Mills Ltd マイクロカプセルの製造方法
EP0528466B1 (en) * 1991-08-16 1995-04-26 Quest International Nederland Bv Chewing gum with improved flavor release
GB9306700D0 (en) 1993-03-31 1993-05-26 British Textile Tech Method for encapsulating substances
JPH07289885A (ja) * 1994-04-26 1995-11-07 Kanegafuchi Chem Ind Co Ltd マイクロカプセル化酵母、その製造法、並びにそれを含有してなる飼料
JP3769057B2 (ja) * 1994-11-17 2006-04-19 麒麟麦酒株式会社 マイクロカプセルの製造方法
GB9509937D0 (en) 1995-05-17 1995-07-12 Cpc International Inc Encapsulated product
JPH0967205A (ja) * 1995-08-31 1997-03-11 Sumitomo Chem Co Ltd 粒状農薬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FR2740300B1 (fr) * 1995-10-30 1998-01-02 Roquette Freres Revetement sans sucre obtenu par drageification dure et son procede d'obtention
DK0778350T3 (da) 1995-11-28 2002-06-17 Nestle Sa Fremgangsmåde til omdannelse af elementært svovl til sulfid
US5629035A (en) * 1995-12-18 1997-05-13 Church & Dwight Co., Inc. Chewing gum product with encapsulated bicarbonate and flavorant ingredients
JPH1076155A (ja) * 1996-09-02 1998-03-24 Kirin Brewery Co Ltd 非脂溶性物質含有マイクロカプセ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1113725B1 (de) * 1998-09-18 2003-05-02 Haarmann & Reimer Gmbh Eingekapselte riechstoffe und/oder aromen mit speziellem freisetzungsverhalten
GB9911037D0 (en) 1999-05-13 1999-07-14 Micap Limited Nicotine delivery service
JP2000342186A (ja) * 1999-06-01 2000-12-12 Yuusu Kk 糖衣食品及びその製造方法
EP1161878A1 (en) * 2000-06-07 2001-12-12 CSM Nederland B.V. Shortenings with improved performance and doughs and baked products containing these
JP4656553B2 (ja) * 2000-07-26 2011-03-23 キリン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帯電防止剤
RU2164765C1 (ru) * 2000-08-11 2001-04-10 Алешкин Владимир Андрианович Биологически активная добавка
KR100429951B1 (ko) * 2000-11-30 2004-05-03 주식회사농심 효모 세포벽 성분을 이용한 미세캡슐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17109A2 (en) * 1985-08-30 1987-04-08 Roberto Cappellari Chewing gum
EP0217109A3 (en) 1985-08-30 1988-02-03 Roberto Cappellari Chewing gum
JPH05253464A (ja) * 1991-04-17 1993-10-05 Mitsubishi Paper Mills Ltd マイクロカプセル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2355012B2 (en) 2008-05-15
DE60235117D1 (de) 2010-03-04
EP1454534B2 (en) 2020-08-12
US20050118273A1 (en) 2005-06-02
EP1454534A4 (en) 2006-02-22
CA2470351A1 (en) 2003-05-22
ATE454827T1 (de) 2010-01-15
CN100334962C (zh) 2007-09-05
ES2335579T3 (es) 2010-03-30
ES2335579T5 (es) 2021-05-27
KR20050044481A (ko) 2005-05-12
WO2003041509A1 (fr) 2003-05-22
JPWO2003041509A1 (ja) 2005-03-03
JP3885195B2 (ja) 2007-02-21
EP1454534B1 (en) 2010-01-13
EP1454534A1 (en) 2004-09-08
CN1589106A (zh) 2005-03-02
NZ533501A (en) 2008-06-30
CA2470351C (en) 2011-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4814B1 (ko) 마이크로 캡슐 및 그것을 함유하는 경구 조성물
Augustin et al. Microencapsulating food ingredients
Shahidi et al. Encapsulation of food ingredients
JP3662550B2 (ja) 粉末組成物
US20060165614A1 (en) Palatable micro-capsules
EP1023842A2 (en) Edible powder material having excellent shelf stability
Klinjapo et al. Microencapsulation of color and flavor in confectionery products
TWI361668B (ko)
EP2022503B1 (de) Verkapselte Vacciniumextrakte mit ausgewogener Magen-Darm-Freisetzung
KR100981806B1 (ko) 츄잉검
JP4732408B2 (ja) 徐放性乾燥物
JP2005211024A (ja) 耐圧性香料製剤を添加した打錠製品
JPH105577A (ja) 芯物質含有カルシウム微粒子の製法
JP2006000087A (ja) 粉末製剤
JP2005137322A (ja) 耐熱性香料製剤を添加したキャンディー類
JP4644232B2 (ja) 徐放性乾燥物
US20130345305A1 (en) Powder emulsifier
JP2023091644A (ja) 飲食品用酵母粉末香料、及びその調製方法
TH2001004923A (th) ผลิตภัณฑ์ที่ทำให้เป็นไมโครแคปซูล, สารละลายใสของผลิตภัณฑ์นั้นและวิธีการในการท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