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1348B1 - 구조화된 층을 가진 라미네이트 - Google Patents

구조화된 층을 가진 라미네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1348B1
KR100901348B1 KR1020047005314A KR20047005314A KR100901348B1 KR 100901348 B1 KR100901348 B1 KR 100901348B1 KR 1020047005314 A KR1020047005314 A KR 1020047005314A KR 20047005314 A KR20047005314 A KR 20047005314A KR 100901348 B1 KR100901348 B1 KR 1009013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structured
delete delete
adhesive layer
major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5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12715A (ko
Inventor
페기-진피. 플래니건
미치슬로 마주렉
피터 에이. 스타크
패트릭 알. 플레밍
재니스 알. 매너
에릭 제이. 보처스
Original Assignee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filed Critical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Publication of KR20050012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27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1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13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1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without 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263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having non-uniform thic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012Mechanical treatment, e.g. roughening, deforming, stret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8Impregn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0Interconnection of layers at least one layer having inter-reactive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80/00Products made by additive manufactu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2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itself
    • C09J2301/20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itself the adhesive coating being discontinuo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 Y10T156/1002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with permanent bending or reshaping or surface deformation of self sustaining lamina
    • Y10T156/1039Surface deformation only of sandwich or lamina [e.g., embossed pan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4Layer or component removable to expose adhesi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479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variation in thickn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479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variation in thickness
    • Y10T428/24562Interlaminar spa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479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variation in thickness
    • Y10T428/24612Composite web or shee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744Longitudinal or transverse tubular cavity or cel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48Three or more lay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및 제2 주면 중 하나 이상이 구조화된 면인 제1 주면 및 제2 주면을 갖는 하나 이상의 제1 층; 및 상기 제1 층의 구조화된 면과 접촉되어 있는 캡층을 포함하는 용품에 관한 것이다.
라미네이트, 캡층, 배킹, 테이프

Description

구조화된 층을 가진 라미네이트 {LAMINATES WITH STRUCTURED LAYERS}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구조화된 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용품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포 접착제는 접착 매트릭스에서 기체 충전된 공극을 (예를 들어, 발포제를 이용하여) 생성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고, 높은 박리력을 필요로 하는 용도에 특히 적합하다. 발포 접착제는 접착제의 낮은 소모성 및 높은 점착성 및 접착력과 같은 다양한 추가의 이점을 갖는다. 발포 접착 조성물의 탄성 및 가소성은 발포 접착제층을 포함하는 용품을 편평한 표면이 없어도 고도로 정합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접착 매트릭스내의 기체 충전된 공극의 변위 및 크기를 제어하는 것은 어렵다. 발포 공정의 부정확한 성질 때문에, 접착 매트릭스내의 전체 공극 부피를 정확하게 제어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또한, 상기 발포체 기재 접착제는 전체 공극 부피에 대한 접착 매트릭스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아서, 매우 얇은 구조체를 필요로 하는 특정 용도에는 적합하지 않다.
<발명의 개요>
미국 특허 제6,197,397호 B1 (쉐어 (Sher) 등), 동 제5,897,930호 (칼혼 (Calhoun) 등) 및 동 제5,650,215호 및 동 제6,123,890호 (마주레크 (Mazurek) 등) 에는 정확하게 복제된 표면 지형도를 갖는 접착제층을 가진 용품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용품의 효율성은 접착제층에 형성된 접착제 및 구조물의 유동학적 성질을 독립적으로 변형시킴으로써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용품을 기판에 접착시킬 때, 접착제층에서 채널을 이용하여 유체를 배출시킬 수 있고, 또한 못 및 기둥을 이용하여 기판에 대한 접착 수준을 제어할 수 있다.
하나의 측면에서, 본 발명은 오버레이 (overlayer)를 표면 형태를 갖는 구조화된 층의 표면에 접촉시킬 경우, 구조화된 층의 특정 영역이 라미네이트 구조체의 특성을 조절하는데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는 별개의 또는 불연속적인 채널 또는 저장소가 된다는 발견에 기초한다. 예를 들어, 캡층이 접착제층의 구조화된 면과 접촉되고 이를 덮을 경우, 접착 매트릭스에서 구조물 사이의 영역 또는 구조물 자체가 일련의 부분적으로 또는 전부 둘러싸여진 채널 또는 저장소 또는 채널을 형성한다. 이러한 일련의 채널 및 저장소 또는 채널을 단독으로, 또는 비구조화된 접착제층 또는 추가의 구조화된 접착제층과의 조합으로 이용하여 광범위한 특성을 가진 라미네이트 용품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소 또는 채널 또는 채널을 정밀하게 형성하고 분배하여 통상적인 발포체 기재 접착제에 비해 접착 매트릭스에 대한 높은 비율의 공극 부피를 생성할 수 있다. 접착 라미네이트 구조체는 저 밀도의 결과로서, 상당한 공극 부피를 가진 표준 발포체 기재 접착 구조체보다 더 얇게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얇고 고도로 정합된 라미네이트는 동일한 두께의 비구조화된 접착 용품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거나 낮은 박리력을 나타내도록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접착제층에서 저장소 또는 채널은 제어된 양의 기체, 액체 및(또는) 고체 물질을 포함하여 라미네이트 용품의 특성을 추가로 조절할 수 있다. 구조화된 릴리스 (release) 라이너를 이용하지 않고 접착제내에서 원하는 크기, 밀도 및 배위의 저장소 또는 채널이 형성되도록 구조화된 접착제의 디자인 (예를 들어, 피치 (pitch), 깊이, 접촉 면적, 벽 (wall) 및 후너비 및 모양)을 제조할 수 있다.
첫번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제1 및 제2 주면 중 하나 이상이 구조화된 면인 제1 주면 및 제2 주면을 갖는 하나 이상의 제1 층; 및 상기 제1 층의 구조화된 면과 접촉되어 있고 접착제를 포함하는 캡층을 포함하는 용품에 관한 것이다.
두번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제1 및 제2 주면 중 하나 이상이 구조화된 면인 제1 주면 및 제2 주면을 갖는 하나 이상의 접착제층; 및 상기 첩착층의 구조화된 면과 접촉되어 있는 캡층을 포함하는 용품에 관한 것이다.
세번째 측면에서, 본 발명은 (a) 제1 주면이 구조화된 면이고 제2 주면이 비구조화된 면인 제1 주면 및 제2 주면을 갖는 하나 이상의 감압성 접착제층; 및 (b) 상기 제1 주면과 접촉되어 있는 캡층을 포함하는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네번째 측면에서, 본 발명은 (a) 제1 및 제2 주면 중 하나 이상이 구조화된 면인 제1 주면 및 제2 주면을 갖는 제1 접착제층, 및 (b) 제1 및 제2 주면 중 하나 이상이 구조화된 면인 제1 주면 및 제2 주면을 갖는 제2 접착제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용품에 관한 것이다.
다섯 번째 측면에서, 본 발명은 (a) 접착제를 도구의 구조화된 면에 도포하여 구조화된 면 및 비구조화된 면을 갖는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단계; (b) 배킹 (backing)을 상기 접착제층의 비구조화된 면에 적층시켜 예비라미네이트 (prelaminate)를 형성하는 단계; 및 (c) 예비라미네이트를 도구로부터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예비라미네이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섯 번째 측면에서, 본 발명은 (a) 구조화된 제1 주면 및 비구조화된 제2 주면을 갖는 제1 접착제층을 포함하는 제1 예비라미네이트, 및 이 제1 예비라미네이트의 제1 주면과 접촉되어 있는 캡층을 생성하는 단계; (b) 구조화된 제1 주면 및 비구조화된 제2 주면을 갖는 제2 접착제층을 포함하는 제2 예비라미네이트, 및 이 제2 예비라미네이트의 제2 주면과 접촉되어 있는 배킹을 생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1 예비라미네이트의 제2 주면과 상기 제2 예비라미네이트의 제1 주면을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라미네이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의 자세한 설명은 하기에 수반되는 도면 및 상세한 설명에 기술되어 있다. 본 발명의 그밖의 특징, 목적 및 이점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 및 청구의 범위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A 및 1B는 본 발명에 따른 라미네이트 용품의 실시양태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조밀 육방 격자 구조화된 접착제의 주사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 3은 도 2의 구조화된 접착제의 부분 개략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구조화된 접착제의 부분 개략 평면도이다.
도 5A는 캡층 및 배킹을 가진 라미네이트 용품의 단면도이다.
도 5B는 라미네이트 용품의 한 실시양태의 단면도이다.
도 5C는 2개의 구조화된 접착제층을 가진 라미네이트 용품의 한 실시양태의 단면도이다.
도 5D는 2개의 구조화된 접착제층을 가진 라미네이트 용품의 한 실시양태의 단면도이다.
도 6A는 2개의 구조화된 접착제층을 가진 라미네이트 용품의 한 실시양태의 단면도이다.
도 6B는 2개의 구조화된 접착제층을 가진 라미네이트 용품의 한 실시양태의 단면도이다.
도 7은 2개의 구조화된 접착제층을 가진 라미네이트 용품의 한 실시양태의 단면도이다.
도 8은 구조화된 성형 도구의 주사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 9A 내지 9C는 구조화된 접착제층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도 10A 및 10B는 라미네이트 용품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도 11A 내지 11C는 라미네이트 용품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도 12A는 도 6A에 도시된 다층 구조체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도 12B는 도 7에 도시된 다층 구조체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도 12C는 도 6B에 도시된 다층 구조체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도 13은 3개의 구조화된 성형 도구 및 3개의 구조화된 접착제에 대한 위코 (WYKO) 분석법을 도시하고 있다.
도 14는 비구조화된 감압성 접착 테이프 및 구조화된 감압성 접착 테이프에 대한 박리력 대 변위의 플롯을 도시하고 있다.
도 15는 비구조화된 감압성 접착 테이프 및 구조화된 감압성 접착 테이프에 대한 박리력 대 두께의 플롯을 도시하고 있다.
도 16은 비구조화된 감압성 접착 테이프 및 구조화된 감압성 접착 테이프에 대한 박리력 대 접착제 두께의 플롯을 도시하고 있다.
도 17은 도 5A의 비구조화된 감압성 접착 용품 및 다층 구조화된 감압성 접착 용품에 대한 박리력 대 접착제 두께의 플롯을 도시하고 있다.
도 18은 도 5D의 비구조화된 감압성 접착 용품 및 다층 구조화된 감압성 접착 용품에 대한 박리력 대 접착제 두께의 플롯을 도시하고 있다.
도 19는 3개의 구조화된 접착제 코팅된 용품에 대해서 속도 및 두께에 대한 박리력의 막대 그래프를 도시하고 있다.
다양한 도면에서 유사한 참고 기호는 유사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A를 참고하여, 하나의 측면에서, 본 발명은 제1 주면 (14) 및 제2 주면 (16)을 갖는 층 (12)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용품 (10)에 관한 것이다. 제1 주면 (14)은 일정한 패턴의 구조물 (18) 및 상응하는 랜드 (land)부 (20)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참고로 인용되는 미국 특허 제6,197,397호 B1 (쉐어 등), 동 제5,897,930호 (칼혼 등) 및 동 제5,650,215호 및 동 제6,123,890호 (마주레크 등)에 기재된 일정한 배열의 구조물이 바람직하다. 캡층 (22)은 층 (12)의 구조화된 면 (14)과 접촉되어 일련의 적어도 부분적으로 캡슐화된 채널 또는 저장소 또는 채 널 (24)을 형성한다. 채널 및 저장소 또는 채널 (24)의 크기, 모양, 분포 및 용량을 선택하여 라미네이트 용품 (10)의 특성을 조절할 수 있다. 층 (12) 및 캡층 (22)에 대해 선택되는 물질은 의도된 용도에 따라 광범위하게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A에 도시된 실시양태에서 층 (12)은 구조화된 중합체 필름이고, 캡층 (22)은 비구조화된 접착제층이다.
도 1B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는 하나 이상의 구조화된 주면 (120)을 갖는 접착제층 (110)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용품 (102)에 관한 것이다. 상기 면 (120)은 복수개의 구조물 (114) 및 일련의 상응하는 랜드부 (116)를 포함한다. 구조화된 면 (120)의 하나 이상의 부분 상의 상기 구조물 (114) 및(또는) 랜드부 (116)는 캡층 (100)과 접촉되어 있다. 캡층 (100)에 의해 덮힌 구조화된 면 (120)의 영역은 일련의 전부 또는 부분적으로 캡슐화된 저장소 또는 채널 (140)을 포함한다. 접착제층 (110)은 제2 주면 (130)을 더 포함하며, 이는 구조화된 것 또는 비구조화된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비구조화된 것으로 언급된 표면은 구조화된 표면 형태를 갖고 있지 않다.
임의의 접착제가 본 발명의 접착제층에 적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에 유용한 접착제는 구조화된 성형 도구로 압형되고 이로부터 제거된 후에 구조화된 면을 유지할 수 있는 보유력을 포함한다. 적합한 접착제로는 감압성 접착제, 에폭시 수지, 구조용 접착제, 결합용 접착제, 유제 접착제 및 고온 용융 접착제를 들 수 있으나, 이들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문헌 [Satas, et al., Handbook of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2d ed. 1989]에 기재된 임의 종류의 감압성 접착제를 비롯한 감압성 접착제가 바람직하다. 감압성 접착제의 부류에는, 예를 들어 아크릴 제품, 천연 및 합성 고무,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폴리(알파-올레핀), 비닐 에테르 및 실리콘이 포함된다. 접착제는 공중합체, 겹연속 접착제, 히드로겔 (hydrogel), 유액 유제, 마크로머 (macromer) 및 블록 공중합체의 형태일 수 있다. 적합한 블록 공중합체는 상표명 크라톤 (KRATON) 하에 쉘 오일 컴파니 (Shell Oil Company) (미국 텍사스주 휴스턴 소재)로부터 구입가능하다.
보다더 바람직한 감압성 접착제로는, 예를 들어 아크릴 제품, 폴리(올레핀), 크라톤 및 실리콘을 들 수 있으며, 아크릴 제품이 특히 바람직하다. 적합한 아크릴계 접착제는,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3,239,478호, 동 제3,935,338호, 동 제5,169,727호, 미국 특허 제 RE 24,906호, 미국 특허 제4,952,650호, 동 제4,181,752호, 동 제5,986,011호, 동 제5,637,646호 및 동 제5,753,768호에 개시되어 있다. 아크릴레이트 감압성 접착제의 적합한 부류는 하나 이상의 강화 공단량체와 하나 이상의 알킬 아크릴레이트의 반응 생성물이다. 적합한 알킬 아크릴레이트는 약 -10℃ 이하의 단일중합체 유리 전이 온도를 갖는 것이며, 예를 들어 n-부틸 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 아크릴레이트, 에틸렌 모노아크릴레이트, 옥타데실 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적합한 강화 공단량체로는, 예를 들어 아크릴산, 이타콘산, 이소보르닐 아크릴레이트, N,N-디메틸아크릴아미드, N-비닐 카프로락탐, N-비닐 피롤리돈 등을 들 수 있다.
감압성 접착제는 다양한 표준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되고 코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압성 접착제는 용매 또는 물에 분산되고 라이너 또는 성형 도구 상에 코팅되는 중합체일 수 있다. 용매 또는 물을 포함하는 감압성 접착 조성물을 사용할 경우, 접착제층에는 건조 단계가 수행되어 담체액 전부 또는 대부분을 제거할 수 있다. 접착제는 에너지원 (예를 들어, 열, UV 조사선, e-빔 등)을 이용하여 경화시킬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접착제를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예를 들어 접착제를 라이너 또는 성형 도구 상에 용융시키거나 압출시켜 용매 또는 물에 분산시키지 않고 도포할 수 있다. 접착제는 열, UV 조사선, e-빔 조사선 등과 같은 에너지원을 이용하여 가교시킬 수 있다. 또다른 대안법으로, 단량체 예비접착 조성물을 라이너 또는 성형 도구에 코팅시키고, 중합하고, 상기한 에너지원을 이용하여 가교시킬 수 있다.
라이너 또는 성형 도구의 표면은 2개의 상이한 접착제 제제의 교차 스트립과 같은 상이한 접착제의 영역으로 도포되거나, 각각 상이한 접착제 제제를 가진 다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접착제층 (110)의 두께는 의도된 용도에 따라 광범위하게 변할 수 있고, 전형적으로 약 2 ㎛ 내지 약 800 ㎛, 바람직하게는 약 20 ㎛ 내지 약 150 ㎛ 범위이다.
접착제는 임의로 하나 이상의 첨가제, 예를 들어 개시제, 충전제, 가소제, 가교제, 점착 부여제, 쇄 전달제, 섬유질 강화제, 직물 및 부직포, 발포제, 항산화제, 안정화제, 난연재, 점도 강화제, 착색제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고하여, 용품 (102)에서 접착제층 (110)의 하나 이상의 주면 (120)은 구조화된 표면 형태를 포함한다. 구조화된 표면 형태는, 캡층 (100)에 의해 덮힐 때 복수개의 별개의 저장소 또는 채널 (140)을 형성하는 특정 모양을 가진 구조물 (114)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구조물은 접착제층에서 실질적으로 일정한 배열 또는 패턴을 형성하며, 예를 들어 직선 패턴, 극선 패턴, 기하학적 패턴 및 크로스-해치 (cross-hatch) 패턴을 들 수 있다. 구조물의 배열 또는 패턴은 접착제층 (110) (도 1에 도시되어 있지 않음)의 두 주 대향면 (120, 130) 상에 임의로 존재할 수 있다. 접착제층 (110)에서 구조물 (114)의 모양, 크기 및 분포를 정확하게 제어하여, 캡층 (100) 및 접착제층 (110) 사이의 공지된 접촉 영역을 유지하면서 특정 크기를 가진 일련의 저장소 또는 채널 (140)을 생성할 수 있다.
구조화된 접착제층 (110)의 저장소 또는 채널 (140)은 전달가능한 물질 및(또는) 전달가능하지 않은 물질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충전될 수 있다. 전달가능한 물질은 저장소 또는 채널 (140) 내에 포함되어, 용품 (102)을 이용할 때 저장소 또는 채널 (140) 및 접착제층 (110) 밖으로 확산될 수 있다. 용품 (102)을 이용하는 동안 전달가능하지 않은 물질은 용품 (102)의 저장소 또는 채널 (140) 및 접착제층 (110) 내에 필수적으로 함유되어 남게된다. 저장소 또는 채널 (140)은 1종 이상의 전달가능한 물질 및(또는) 전달가능하지 않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임의로, 접착제층 (110)은 전달가능한 물질 또는 전달가능하지 않은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저장소 또는 채널에 존재하는 물질과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전달가능한 물질 및 전달가능하지 않은 물질은 예를 들어, 기체 (공기 포함), 고체, 액체, 겔, 페이스트, 발포체, 분말, 응집된 입자, 미세캡슐화된 액체, 현탁제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전달가능한 물질 및 전달가능하지 않은 물질로는 예를 들어, 호르몬, 항생제, 항균제, 항진균제, 로션, 연고, 지시제 (예를 들어, 박테리아, 압력, 색상, pH 및 온도 지시제), 단백질, 잉크, 염료, 진동 감쇠 유체, 및 약물 (예를 들어, 진통제 및 항생제)를 들 수 있다.
저장소 또는 채널 (140)은 (하기 기재된) 캡층 (100)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혀서, 저장소 또는 채널의 공극 부피 내에 전달가능한 물질 및 전달가능하지 않은 물질을 캡슐화시킨다. 이러한 별개로 캡슐화된 복수개의 저장소는 캡슐화된 물질을 구획화하여, 동일 또는 상이한 접착제층 내에서 이웃하는 저장소의 내용물 간의 물질 소통을 최소화한다. 반대로, 채널은 접착제층 내에서 전달가능한 물질 및 전달가능하지 않은 물질의 움직임을 제한하지 않거나 덜 제한하는 실질적으로 연속되는 공극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저장소 또는 채널 (140)이 공기를 함유하고, 용품 (102)가 표적 기판에 접착될 수 있는 비구조화된 노출면 (130)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서, 접착제 코팅된 용품은 동일한 두께를 갖는 비구조화된 접착제 코팅된 용품에 비해 증가된 박리 강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용품은 하기 기재된 박리 접착 시험 절차에 따르면 약 3.0 내지 약 7.0 mil의 두께에 대하여 21 내지 42 oz/0.5 인치의 박리 강도를 갖는다. 비교해 보면, 동일한 두께를 갖는 비구조화된 표준 접착제는 약 20 내지 25 oz/0.5 인치의 박리 강도를 나타내었다. 전형적으로 박리 강도가 접착제 물질의 양에 비례함에도 불구하고, 이들 샘플은 동일한 두께를 갖는 비구조화된 용품에 필적할만한 박리 강도를 달성하기 위해 보다 적은 양의 재료를 필요로 한다.
접착제층 (110)에서 구조물 (114)의 형상은 주어진 용도를 위해 특별히 필요한 요건을 달성하도록 변형될 수 있다. 구조물 (114)의 크기, 형상 및 분포는 예를 들어, 저장소 또는 채널 (140)에 함유될 전달가능한 및(또는) 전달가능하지 않은 물질의 전체 부피, 상기 물질의 전달 속도, 및 특정 용도를 위해 필요한 접착제층 (110)의 박리 접착성에 따라 좌우된다. 접착제층의 면 위로 및(또는) 아래로 연장될 수 있는 구조물 (114)의 높이 및 폭은 목적하는 성능을 달성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구조물 (114)에 적합한 별개의 형상으로는 반구체, 정 피라미드, 삼각 피라미드, 프리즘 (예컨대, 정사각 프리즘, 직사각 프리즘, 원통형 프리즘 및 다른 유사한 다각형 형태), 정사각 피라미드, 사각 피라미드, 원형, 타원형 및 다각형 (예를 들어, 육각형 및 다이아몬드형)을 들 수 있다. 실질적으로 연속적이고 상호 연결된 형상을 갖는 적합한 구조물로는 홈형 (예를 들어, "V"형 홈) 및 융기형 (예를 들어, "Y"형 융기)을 들 수 있다. 상기 구조물의 최종 치수는 접착제층의 유동학 및 적용 조건에 따라 광범위하게 달라 질 수 있다. 접착제 내에서 구조물이 실질적으로 규칙적인 형상을 갖도록 고안되지만, 접착제가 시간에 따라 부분적으로 변형될 수 있기 때문에 불규칙적인 형상이 생겨날 수 있다.
접착제층 (110)의 상이한 영역에서 상이한 구조물 형상, 크기 및 배향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거나, 또는 접착제층 (110)의 특정 영역이 다중 또는 중첩 구조를 갖는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접착제층의 특정 영역에 대해 실질적으로 큰 저장 공극 부피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구조물이 육각형 및 다이아몬드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적합한 한 구조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는데, 이 구조는 접착제층 (153)에서 저장소 (152)를 형성하는 각각의 육각형 구조물 (150)을 포함한다. 각각의 저장소 (152)는 접착제층 (156)의 면 위로 돌출된 6개의 측벽 또는 기둥 (154)으로 둘러쌓인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육각형 구조물 (150)의 실질적으로 평행한 측벽 (154) 2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측벽 (154)는 각각 접착제층 (153)의 면 (156)에 수직인 평면에 대하여 α각을 이룬다. α각은 접착제층 (156)의 면에 수직인 평면에 대해 측정하였을 때 0°이상 내지 90°미만의 각도에서 선택될 수 있다. α각은 바람직하게는 약 0°초과 내지 약 45°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초과 내지 약 20°미만이다. 접착제층 (156)의 평면에서부터 측벽 (154)의 상단부 (155)까지 측정한 각 저장소 또는 채널 (152)의 깊이는 바람직하게는 2 mm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0 ㎛ 내지 약 200 ㎛,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70 ㎛ 내지 약 150 ㎛이다. 측벽 (154)의 기부의 폭 W1은 바람직하게는 약 5 ㎛ 내지 약 5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0 ㎛ 내지 약 80 ㎛이다. 측벽 (154)의 상단부 (155)를 가로지르는 거리 W2는 바람직하게는 2 mm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05 ㎛ 내지 약 60 ㎛이다. 측벽 (154)의 기부 사이의 거리 W3은 저장소 또는 채널 (152)에서 임의의 2개의 평행한 측벽들 (154) 사이에서 측정하였을 때 (도 4 또한 참조) 바람직하게는 약 30 mm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5 mm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50 ㎛ 내지 약 250 ㎛이다. W1 및 W3의 합계는 패턴의 반복 단위로 정의되고, 본 명세서에서는 피치로서 지칭된다.
별개의 저장소 (152)의 경우, 별개의 저장소 각각은 공극 부피가 약 100 ㎕ 미만, 바람직하게는 20 nL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4 nL 미만이다. 접착제층 (156)의 단위 면적 당 저장소 (152)의 개수는 일반적으로 약 5E+06/㎠ 내지 1/㎠, 바람직하게는 약 1.20E+03 내지 약 1.00E+06/㎠이다. 바람직하게는, 구조물의 패턴은 별개의 공극 부피가 임의의 1 ㎠ 면적의 접착제층 (156) 상에서 20 nL 초과 내지 약 80 ㎕,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0 nL 내지 약 20,000 nL인 것으로 정의된다.
연속되지 않는 저장소 또는 채널의 공극 부피는 일반적으로 접착제층 전체 부피의 0.1 내지 99.9%,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0%,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이다.
다시 도 1을 참고하면,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연속층인 캡층 (100)은 예를 들어, 구조화된 또는 비구조화된 배킹, 구조화된 또는 비구조화된 접착제층, 막 등일 수 있다. 제1 주면 (120) 상의 구조물 (114)와 캡층 (100) 사이의 접촉 면적은 의도된 용도에 따라 광범위하게 달라질 수 있으며, 약 0.5% 내지 약 99%,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약 80%,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0% 내지 약 40%이다. 예를 들어, 밀집된 육각형 구조물의 경우에는 (도 2), 이론적 접촉 면적 백분율이
Figure 112004014751253-pct00001
[식 중, p = 피치, w = 접촉점에서 벽의 폭 (W2로도 지칭됨)]에 해당한다.
한 바람직한 본 발명의 실시양태로, 캡층 (100)은 배킹이다. 본원에서 사용된 배킹이라는 용어는 접착제와 치밀 접촉한 후 접착제 코팅을 손상시키지 않고서는 후속적으로 제거될 수 없는 얇은 시트를 지칭한다. 배킹은 접착제, 및 접착제층 및(또는) 저장소 또는 채널에 함유된 임의의 성분들을 환경으로부터 보호한다. 배킹은 바람직하게는 강성, 가요성, 폐쇄성, 비폐쇄성 또는 통기성 필름일 수 있다. 또한, 배킹이 접착제, 및 접착제층 및(또는) 저장소 또는 채널에 함유된 성분들과 접촉하기 때문에, 배킹이 그의 구조적 일체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안정하고 상기 성분들에 대해 실질적으로 비반응성인 것이 중요하다. 배킹이 접착제, 또는 저장소 또는 채널로부터 성분들을 흡수하지 않는 것 또한 중요하다. 배킹이 다른 다양한 중합체 기판에 대해 비교적 저온에서 열 밀봉가능한 것 또한 바람직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배킹은 코팅 및 취급 가능하도록 충분한 구조적 일체성을 갖는다. 배킹은 테이프 배킹으로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물질로 제조될 수 있거나, 다른 가요성 또는 강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가요성 테이프 배킹 재료의 전형적인 예로는 종이, 플라스틱 필름, 예컨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특히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메탈로센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에스테르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랜덤 배향된 나일론 섬유,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폴리우레탄, 비닐,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및 에틸 셀룰로스, 및 폴리아미드 필름 (예컨대, 델라웨어주 윌밍톤에 소재하는 이.아이. 듀폰 드 네모아 앤드 캄파니 (E.I. DuPont de Nemours & Co.)에서 상품명 카프톤 (KAPTON)으로 시판하는 것)으로 제조된 것을 들 수 있다.
배킹은 또한 면, 나일론, 레이온, 유리, 폴리에스테르, 세라믹 재료 등의 합성 또는 천연 재료로 제조된 실로 형성한 편직물, 또는 천연 또는 합성 섬유 또는 이들의 블렌드로 제조된 에어 레드 (air laid) 웹 등의 부직물과 같은 직물로 제조될 수 있다. 배킹은 또한 금속, 금속화된 중합체 필름, 유리, 목재, 또는 세라믹 시트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알루미늄-폴리에틸렌 복합체와 같이 층상의 배킹도 적합하다.
적합한 배킹으로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부직 폴리에스테르, 천, 실크, 레이온, 및 발포체를 들 수 있다. 배킹 재료는 전처리 (즉, 하도제 처리)될 수 있다. 일반적인 전처리 방법으로는 코로나 처리 및 화학적 하도제 처리를 들 수 있다.
5A를 참고하면, 캡층 (200)이 비구조화된 접착제층인 접착제 코팅된 용품 (202)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구조체는 하나 이상의 구조화된 주면 (220)을 갖는 하나 이상의 접착제층 (210)을 포함한다. 접착제층 (210)의 제1 주면 (220)은 구조물 (214) 및 랜드부 (216)을 포함한다. 캡층 (200)과 접촉하는 구조체들 (214) 사이의 영역은 복수개의 저장소 또는 채널 (240)을 생성한다. 상기 구조체 (202) 는 접착제층 (210)의 비구조화된 제2 주면 (230)을 보호하는 배킹 (242)를 추가로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도 5B의 구조체 (20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접착제층 (210)의 제1 주면 (220)이 배킹 (242)과 접촉되고, 제2 주면 (230)이 캡층 (200)과 접촉된다 (도 5B에 도시됨).
또다른 실시양태로, 캡층이 구조화된 접착제층일 수 있다. 도 5C는 하나 이상의 구조화된 주면 (320)을 갖는 접착제층 (310)을 포함하는 접착제 용품 (302)를 도시한 것이다. 접착제층 (310)은 하나 이상의 구조화된 주면 (301)을 갖는 구조화된 접착제 캡층 (300)과 접촉되어 있다. 접착제층 (300 및 310)은 동일 또는 상이한 조성 및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5C에 도시된 용품 (302)는 접착제층 (310)과 캡층 (300) 사이에 복수개의 캡슐화된 저장소 또는 채널 (340)을 포함한다.
도 5D는 캡층이 구조화된 접착제층일 수 있는 또다른 실시양태를 도시한 것이다. 접착제 코팅된 용품 (402)는 구조물 (414)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구조화된 주면 (420)을 갖는 접착제층 (410)을 포함한다. 접착제층 (410)은 구조물 (415)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구조화된 주면 (420)을 갖는 구조화된 접착제 캡층 (400)과 접촉하고 있다. 접착제층 (410 및 400)의 구조화된 주면은 인접하며, 바람직하게는 서로 일치하지 않게 정렬되어 상호 연결된 확대된 공극 부피 (440)을 생성한다.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접착제층의 정렬은 예를 들어, 접착제 코팅된 용품 내에 실질적으로 연속되는 저장소 (440)을 형성한다. 구조화된 층 (400 및 410)의 정렬에 의해 생성된 저장소 또는 채널의 배열은 막힌 말단 영역을 포함 할 수 있으며, 이로써 하나 이상의 저장소가 될 수 있다. 연속되는 저장소의 경우 구조물 (414, 415)의 전체 또는 일부분이 서로 접촉하도록 하여, 저장소 또는 채널 (440)의 비지지된 영역 사이에서 휘어짐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다른 측면으로, 본 발명은 각각 하나 이상의 구조화된 면을 갖는 2개 이상의 접착제층을 포함하는 다층 용품에 관한 것이다. 2개 이상의 접착제층에서 접착제 및 구조물은 동일한 접착제 및 구조물, 또는 상이한 접착제 및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다층 구조체는 상기 기재한 것들과 유사한 치수를 갖는 복수개의 캡슐화된 저장소 또는 채널을 포함한다.
도 6A를 참고하면, 용품 (502)는 각각 하나 이상의 구조화된 주면을 갖는 각각의 제1 및 제2 접착제층 (510 및 520)을 포함한다. 제1 접착제층 (510)은 구조물 (514) 및 랜드부 (516)을 포함하는 구조화된 제1 주면 (512), 및 제2 비구조화된 주면 (530)을 갖는다. 제2 접착제층 (520)은 제1 접착제층 (510)의 제2 비구조화된 주면 (530)에 접촉하는 구조화된 제1 주면 (522)를 가지며, 구조물 (524) 및 랜드부 (526) 뿐만 아니라 제2 비구조화된 주면 (532)를 포함한다. 상기 제2 비구조화된 주면 (532)는 임의로 구조화된 면일 수 있다. 캡층 (500)은 제1 접착제층 (510)의 제1 주면 (512) 위에 놓인다. 도 6A에 도시된 실시양태에서, 상기 층 (510)의 구조화된 면 (512)는 캡층 (500)과 접촉한다. 임의로, 하나 이상의 추가의 구조화된 및(또는) 비구조화된 접착제층 및(또는) 비접착제층이 캡층 (500)과 제1 접착제층 (510)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구조물 (514, 524)는 도 6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세로로 서로 일치할 수 있거나, 서로 어긋나 있을 수도 있다. 도 6A에 도시된 구조체에서, 2개의 구조화된 접착제층 (510, 520)의 적층은 용품 (502) 내에 두 층의 캡슐화된 저장소 또는 채널 (540, 542)를 생성한다. 각각의 캡슐화된 저장소의 공극 부피는 약 1 Tl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0001 nl 내지 약 5 nl이다.
또다른 측면으로, 본 발명은 각각 하나 이상의 구조화된 면을 갖고 상기 구조화된 면이 서로 대향하는 2개 이상의 접착제층을 포함하는 다층 접착제 코팅된 용품에 관한 것이다. 2개 이상의 접착제층에서 접착제 및 구조물은 동일한 접착제 및 구조물, 또는 상이한 접착제 및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B를 참고하면, 용품 (602)는 각각 하나 이상의 구조화된 주면을 갖는 각각의 제1 및 제2 접착제층 (610 및 620)을 포함한다. 제1 접착제층 (610)은 구조물 (614) 및 랜드부 (616)을 포함하는 구조화된 제1 주면 (612) 뿐만 아니라 비구조화된 제2 주면 (630)을 갖는다. 캡층 (600)은 제2 주면 (630)과 접촉한다. 임의로, 제1 접착제층 (610)의 제2 주면 (630)도 구조화된 면일 수 있다. 제2 접착제층 (620)은 구조물 (624) 및 랜드부 (626)을 포함하는 구조화된 제1 주면 (622) 뿐만 아니라 비구조화된 제2 주면 (632)를 갖는다. 임의로, 제2 접착제층 (620)의 제2 주면 (632)도 구조화된 면일 수 있다. 도 6B에 도시된 실시양태에서, 접착제층 (610, 620)은 일반적으로 제1 접착제층 (610)의 구조화된 제1 주면 (612)가 제2 접착제층 (620)의 구조화된 제1 주면 (622)와 단지 부분적으로만 접촉하도록 어긋나 있다. 이러한 방식의 접착제층 (610 및 620)의 적층은 접착제 코팅된 용품 내에 복수개의 캡슐화된 저장소 또는 채널 (640)을 생성한다. 각각의 저장소는 필수적으로 두 층 내에 있는 저장 소 또는 채널의 공극 부피의 합계인 공극 부피를 가지며, 전형적으로 약 1 Tl 미만, 바람직하게는 200 nl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0002 nl 내지 약 40 nl이다.
또다른 실시양태로, 본 발명은 각각 하나 이상의 구조화된 면을 갖는 2개 이상의 접착제층을 포함하는 다층 접착제 코팅된 용품에 관한 것이다. 구조화된 접착제면 중 하나는 표적 기판과 접촉하기에 적합한 노출면이다. 도 7을 참고하면, 하나 이상의 구조화된 면을 갖는 제1 접착제층 (710)을 포함하는 다층 용품 (702)가 도시되어 있다. 접착제층 (710)은 구조물 (714) 및 상응하는 랜드부 (716)을 포함하는 구조화된 제1 주면 (712) 뿐만 아니라 비구조화된 제2 주면 (730)을 갖는다. 제2 주면 (730)은 캡층 (700)과 접촉한다. 대안적으로, 제2 주면 (730)은 구조화된 면이고(이거나) 제1 주면 (712)는 캡층 (700)과 접촉할 수 있다. 접착제 코팅된 용품은 또한 구조물 (724) 및 랜드부 (726)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노출된 구조화된 주면 (722)를 갖는 제2 접착제층 (720)을 포함한다. 접착제층 (720)은 구조화된 또는 비구조화된 면일 수 있는 제2 주면 (732)를 추가로 포함한다 (도 7에 도시됨). 도 7에 도시된 방식의 접착제층 (710 및 820)의 적층은 접착제 코팅된 용품 내에 상기 기재한 것들과 유사한 치수를 갖는 복수개의 캡슐화된 저장소 또는 채널 (740)을 형성한다. 표적 기판과 접촉할 때, 노출된 구조화된 면을 갖는 단일층 및 다층 접착제 코팅된 용품 (도 7)은 동일한 두께를 갖는 비구조화된 표준 접착제 용품에 비해 낮은 박리 강도를 나타낸다. 이러한 구조체는 얇고 고정합성이며 낮은 박리 강도의 테이프에 특히 적합하다.
도 6A, 6B 및 7에 도시된 구조체에서, 하나 이상의 추가의 구조화된 및(또는) 비구조화된 접착제층 및(또는) 비접착제층이 다층 구조체에서 캡층과 제1 접착제층 사이에, 또는 다층 구조체에서 임의의 두 층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추가로, 도 6A, 6B 및 7에 도시된 구조체에서, 하나 이상의 추가의 구조화된 및(또는) 비구조화된 접착제층 및(또는) 비접착제층이 제2 접착제층의 제2 주면에 적층될 수 있다. 각각의 추가의 층은 양면 또는 한면이 구조화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유형을 갖는 구조물, 및 접착제 및 비접착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라미네이트 용품은 접착제 매트릭스 및(또는) 저장소 또는 채널 내에 포함된 접착제층 및 내용물을 손상 및 오염으로부터 보호하는 임의의 릴리스 라이너 (도시되지 않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라이너는 접착제면과 치밀 접촉되게 위치할 수 있어야 하며, 접착제층을 손상시키지 않고도 후속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적합한 라이너는 코팅된 폴리에스테르, 폴리에스테르 웹, 폴리에틸렌 웹, 폴리스티렌 웹, 또는 중합체-코팅된 종이와 같은 공지된 시트 재료를 포함하는 통상적인 릴리스 라이너를 포함한다. 라이너는 전형적으로 실리콘 릴리스 코팅 또는 퍼플루오르화된 기를 함유하는 플루오로중합체 코팅을 갖는 중합체-코팅된 종이, 실리콘 릴리스 코팅을 갖는 폴리에틸렌 코팅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ET) 필름, 또는 실리콘 릴리스 코팅을 갖는 캐스트 폴리올레핀 필름이다. 라이너의 비제한적인 예로 미네소타주 세인트 폴에 소재하는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춰링 캄파니 (Minnesota Mining & Manufacturing Company (3M)), 아이오와주 아이오와 시티에 소재하는 렉삼 코포레이션 (Rexam Corporation), 일리노이주 웨스 트체스터에 소재하는 다우버트 코티드 프로덕츠 (Daubert Coated Products), 피.에스 서브스트레이츠, 인크. (P.S Substrats, Inc.), 쉘러 테크니컬 페이퍼즈, 인크. (Schoeller Technical Paters, Inc.), 아씨도만 인코트 게엠베하 (AssiDoman Inncoat GmbH), 및 피.더블류.에이. 쿤스스토프 게엠페바 (P.W.A. Kunstoff GmbH)로부터 시판되는 물질이다.
본 발명은 접착제 코팅된 용품 내의 특정 위치에서 특정 크기 및 형상을 갖는 캡슐화된 저장소 또는 채널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구조화된 층에서 캡슐화된 저장소 또는 채널은 공기 및(또는) 하나 이상의 전달가능한 및(또는) 전달가능하지 않은 물질을 제어된 양 및 분포로 함유할 수 있다. 접착제 코팅된 용품은 예를 들어, 유체 및 공기 수송체, 전달 (예를 들어, 약물 전달) 장치, 진동, 소리 및 에너지 감쇠 물질, 재접착가능한 테이프, 지시제 테이프, 및 고결합 및 고정합성의 얇은 필름 테이프와 같은 다양한 용도에 이용될 수 있다.
접착제층에 있는 구조물은 본원에 참고로 인용된 미국 특허 제6,197,397 B1호 (쉐어 (Sher) 등) 및 미국 특허 제6,123,890호 (마주레크 (Mazurek) 등)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할 수 있다. 임의의 공지된 기술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캐스팅, 코팅, 또는 압축과 같은 접촉 기술에 의해 접착제층에 표면 형태를 생성시킬 수 있다. 패턴을 생성시키기 위해 사용된 도구의 표면 형태는 예를 들어, 화학적 에칭, 기계적 에칭, 레이저 제거, 포토리소그래피, 스테레오리소그래피, 미세 기계 가공, 널링 (knurling), 절삭, 또는 마찰흠 내기 (scoring)와 같은 임의의 공지된 기술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제층에서 구조물의 패턴은 기계 가공된 패턴을 갖는 성형 도구 상에 접착제층을 캐스팅하여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은 도 2의 접착제층에서 구조화된 표면 형태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된 성형 도구의 주사 전자 현미경 사진을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구조화된 접착제층은 본질적으로 도 8에 도시된 성형 도구의 역 표면 형태를 복제한 표면이다.
일반적으로, 성형 도구는 엠보싱 단계 이전에 릴리스 코팅으로 전처리된다. 도구를 릴리스 코팅으로 처리한 후, 접착제를 압출하거나 용매 코팅하고, 상기 도구 상에서 건조시키고, 배킹에 적층시킬 수 있다. 접착제를 예열하여 배킹 층에 대한 부착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일부 용도에서, 조기에 저온 흐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접착제가 도구 상에 있을 때 경화 또는 가교시킨다. 대안적으로, 경화시키기 전에 다른 접착제를 도구로부터 떼어낸다. 구조화된 접착제층의 노출면은 또다른 접착제층과 접촉하여, 제2 라미네이트 또는 다층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적층 단계를 반복하여 목적하는 두께를 갖는 다층 구조체를 제작할 수 있다. 그 후, 접착제층(들)을 에너지원, 예컨대 열, UV 조사, e- 빔 조사 등에 의해 경화 또는 가교시킬 수 있다. 접착제의 유형에 따라, 실온으로 라미네이트를 냉각시킬 때 접착제가 고화되거나 물리적으로 가교될 수 있다. 접착제가 냉각, 가교 또는 고화된 후, 접착제층면 상의 구조물은 실질적으로 시간의 흐름에 따라 그의 형상을 유지한다. 접착제의 선택은 구조화된 접착제층(들)의 장기간 특성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상기 공정은 미국 특허 제6,123,890호에 기 재된 방법을 이용하는 연속 공정으로서 규모를 확대시킬 수 있다.
추가의 막 층, 수송 라이너, 릴리스 라이너, (구조화된 및 비구조화된) 접착제층, (구조화된 및 비구조화된) 중합체 필름 등은 당업자에 널리 공지된 적층 기술을 이용하여 접착제 구조체에 적층시킬 수 있다.
접착제의 구조화된 면에 캡층의 적층 및(또는) 복수개의 구조화된 층의 적층은 접착제 코팅된 용품 내에 복수개의 캡슐화된 저장소 또는 채널을 생성시킨다. 캡슐화된 저장소 또는 채널에 함유된 공극 부피의 양은 접착제 조성 및 크기, 및 각 층의 구조물을 생성시키기 위해 사용된 도구의 형상을 기준으로 조정될 수 있다.
도 9 내지 11은 캡슐화된 저장소 또는 채널, 및 기판에 접착되는 비구조화된 면을 갖는 용품을 제작하기 위한 두가지 일반적인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도 10 및 11에 도시한 구조체에 사용하기 위한 접착제층을 제조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9A 내지 9C를 참고하면, 구조화된 접착제층 (910)은 구조화된 성형 도구 (997) 상에 접착제 (901)을 용융, 압출 또는 용매-코팅시킨 다음, 구조화된 접착제 (910)을 배킹 (920)에 적층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용매 무함유 접착제 (901)은 상기 접착제 (901)이 흐르는 정도의 승온에서 성형 도구 (997)과 배킹 (920) (예를 들어, 비구조화된 라이너) 사이에서 압력하에 가압시킨다. 압력을 유지하는 동안 프레스를 냉각시키고, 이후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미네이트 (905)를 성형 도구 (997)로부터 떼어내고, UV 조사에 의해 경화 또는 가교시켜 라미네이트 (905)를 생성한다 (도 9C).
도 10A 내지 10B를 참고하면, 라미네이트 (905)를 캡층 (950) 또는 비구조화된 접착제층에 추가로 적층시켜, 복수개의 캡슐화된 저장소 또는 채널 (970)을 포함하는 용품 (960)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0B). 캡층 (950)이 구조화된 단일 접착제층인 경우, 이 방법을 이용하여 도 6 및 7에 도시한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1A 내지 11C를 참고하면, 배킹 (920) 및 상기 배킹 상에 구조화된 접착제층 (910)을 갖는 라미네이트 (905)를 제공하는 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노출된 접착제면 (901a)는 예를 들어 하도제 처리된 폴리에스테르 배킹과 같은 캡층 (980)에 적층된다. 그 후, 생성된 라미네이트 (990)을 원래의 배킹 층 (920)으로부터 떼어내어 비구조화된 접착제면 (925)를 노출시킨다 (도 11B). 라미네이트 (990)은 기판과 접촉하기에 적합한 비구조화된 접착제면 (925), 캡층 (980)과 접촉하는 구조화된 면, 및 복수개의 캡슐화된 저장소 또는 채널 (975)을 포함한다 (도 11C). 이러한 기본 구조체는 예를 들어, 구조화된 단일 접착제층에 추가로 적층되어 도 6A에 도시한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2A를 참고하면, 도 6A에 도시된 다층 구조체를 제작하는 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이 방법은 라미네이트 (990) (도 11C)을 제2 라미네이트 (905) (도 10A)에 적층시키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두 라미네이트는 상기 기재한 방법에 따라 제조된 것이다. 생성된 다층 접착제 코팅된 용품은 용품 구조체 내에 복수개의 저장소 또는 채널 (940)을 포함한다. 저장소 또는 채널은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일치하게 배열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양태는 구조화된 면이 서로 일 치하지 않게 배열된 접착제층을 포함한다. 각각의 구조화된 면은 상이한 패턴을 갖는 구조물일 수 있다.
도 12B를 참고하면, 도 7에 도시된 다층 구조체를 제작하는 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이 방법은 먼저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제 (901)을 성형 도구 (997)에 도포하여 구조화된 접착제 (910)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그 후, 라미네이트 (905) (도 9C)을 구조화된 접착제 (910)의 제1 주면 (912)에 적층시킨다. 이후 다층 라미네이트를 성형 도구 (997)로부터 떼어내어 저장소 또는 채널 (840)을 갖는 라미네이트 (800)을 형성한다. 이 방법은 다층 라미네이트 (800)의 구조화된 접착제면 (996) 상에 비구조화된 접착제를 적층시키는 것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도 12C를 참고하면, 도 6B에 도시된 다층 구조체를 제작하는 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이 방법은 배킹 (920A 및 920B)를 포함하는 구조체 (905) (도 9C)를 갖는 두개의 접착제 코팅된 용품의 노출된 구조화된 주면 (912A 및 912B)를 함께 적층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생성된 다층 접착제 코팅된 용품 (850)은 구조체 내에 복수개의 캡슐화된 저장소 또는 채널 (890)을 포함한다. 이후 배킹 (920B)를 떼어내어, 표적 기판에 접착되는 비구조화된 노출면 (999)가 드러나게 한다.
추가의 막 층, 수송 라이너, 릴리스 라이너, (구조화된 및 비구조화된) 접착제층 등은 당업자에게 널리 공지된 적층 기술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접착제 구조체의 한면 또는 양면에 적층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조체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구조체 (102))에 있는 저장소를 충전시키는 방법으로는 중간 라미네이트 (905) (예컨대, 도 9C에 도시된 것)을 액체 또는 고체로 액침, 분무, 코팅, 초음파 처리, 또는 분말 처리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이후 라미네이트 (905)를 캡층에 적층시켜 구조체의 저장소 내에 있는 물질을 캡슐화시킨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층 (100)이 구조화된 면에 이미 적층된 구조체에 유체를 충전시키는 것은 여러 수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압력 구배를 가하여 공기를 방출시키면서 유체 (예컨대, 목적하는 전달가능한 또는 전달가능하지 않은 물질을 함유하는 액체)를 채널에 적재할 수 있다. 이는 시린지/플런저와 같은 간단한 기계적 수단을 이용하여 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채널을 충전시키기 위해 압력 구배를 가하는 특히 유리한 방법은 원심력을 가하는 것이다. 목적에 따라, 채널의 다운 스트림 (저압) 말단에 배출구를 만들어, 고압 말단에서 유체가 도입됨에 따라 공기가 채널로부터 방출되게 할 수 있다. 반대로, 배출구를 만들지 않고 원심 하중을 이용하여 액체가 도입되는 역방향으로 공기가 방출되게 할 수 있다. 방출된 공기는 적재 유체가 도입되는 동일한 입구를 통해 배출시킬 수도 있다.
캡슐화된 저장소를 포함하는 구조에서 채널을 액체로 충전시키는 또다른 방법은 진공을 이용하는 것이다. 충분히 낮은 압력에 도달할 때까지 채널로부터 공기를 방출시킨 후, 보다 높은 압력 (전형적으로 대기압)에서 액체는 채널과 물질 소통가능하게 된다. 그 후, 이러한 압력차에서 액체를 채널에 충전시킨다. 이 접근법은 배출구를 만들지 않는 경우에, 즉 장치에 충전구 (액체 입구)만이 있는 경우에 특히 적합하다.
구조체 (905)와 같은 구조체의 저장소 또는 채널은 전달가능한 및(또는) 전달가능하지 않은 물질로 충전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물질(들)은 구조체의 노출된 저장소 또는 채널에 적재된 후, 또다른 구조화된 또는 비구조화된 접착제층 또는 비접착제층에 적층된다. 적층 후, 상기 물질(들)은 구조체의 저장소 또는 채널 내에 캡슐화된다. 접착제 조성물은 전달가능한 및(또는) 전달가능하지 않은 물질이 저장소 내에 보유되도록 제제화된다. 용도, 물질, 접착제 조성 및(또는) 저장소 구조에 따라 하나 이상의 접착제층 내의 특정 영역은 동일 또는 상이한 물질로 충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한 층에 상이한 물질을 스트라이프 코팅하여 상이한 물질을 갖는 상이한 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액체의 경우에는, 예를 들어, 분무, 코팅 및 액침과 같은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저장소 또는 채널 내에 물질을 도입시킬 수 있다. 대안적으로, 잉크-젯 또는 다른 유형의 프린터를 이용하여 특정 위치에 접근가능하게 하여 정확한 양의 하나 이상의 전달가능한 및(또는) 전달가능하지 않은 물질을 저장소 또는 채널에 적재할 수 있다. 저장소 또는 채널을 적재하는 한 방법은 접착제 코팅된 용품을 액체에 액침하고, 유체 중의 공기 버블을 방출시키기 위해 초음파 처리한 다음, 예를 들어 닙 롤러를 이용하여 접착제 코팅된 용품을 인발하여 과량의 액체 충전물을 제거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낮은 표면 에너지 실리콘 코팅된 필름을 사용하여 롤러를 피복시킨다. 과량의 유체를 예를 들어, 스퀴지 또는 실리콘-코팅된 롤러와 같은 용구를 이용하여 표면으로부터 제거한다. 채널을 적재하기에 특히 유용한 한 방법은 구조화된 접착제층의 연부를 밀봉하고, 상기 접착제층에 구멍을 뚫 어 충전구를 형성하고, 접착제층에 진공을 가하고, 채널을 유체로 충전시킨 다음, 충전구를 밀폐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고체 물질의 경우에는, 고체를 먼저 접착제면에 도포한 다음, 예를 들어 흔들거나 닙 롤러를 이용하여 인발하여 과량을 제거한다. 임의로, 접착제 용품을 냉각시켜 접착제면의 측벽에 고체 물질(들)이 부착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공기 이외의 기체 물질은 선택된 기체 또는 기체 혼합물로 충전된 건조 박스에서 적층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저장소 또는 채널에 충전시킬 수 있다.
시험 방법
함침 (완전 습윤)
광학 현미경 (독일 라이카로부터의 모델 #301-371.011 현미경)을 이용하여 측정된 접촉 벽 너비 및 공지된 피치로부터 함침을 측정하였다. 샘플을 유리 조각에 압착하고, 벽 너비를 측정하였다 (현미경의 스케일 바 (scale bar)를 이용함). 이러한 방법을 이용하여 벽이 압력하에 있을 때 접촉 영역의 평가치를 수득하였다.
박리 접착성
박리 강도는 특정 각도 및 제거 속도에서 측정된, 코팅된 가요성 시트 물질을 시험 패널로부터 제거하는데 필요한 힘이다. 샘플을 상대습도 50% 및 23.3℃에서 평형 상태가 되도록 한 후, 즉시 및 에이징 (aging)후 (24시간 후) 샘플을 유리 시험 표면에 붙인 후 박리 접착 강도를 측정하였다.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12.7 mm [0.5 인치] 또는 25.4 mm [1 인치] 너비의 코팅된 시트 샘플을 고정된 접촉면의 선형 길이가 10.0 cm 이상인 투명한 유리 판의 수평면에 붙였다. 2 kg 경질 고무 롤러를 이용하여 상기 스트립을 붙였다.
2. 코팅된 스트립의 유리된 말단을 그 자체가 거의 닿도록 겹쳐서 제거 각도가 180°가 되게 하였다. 유리된 말단을 접착성 시험기 스케일에 부착시켰다.
3. 1분 당 0.3 m (12 인치)의 일정한 속도로 스케일로부터 이동시킬 수 있는 장력 시험 기계의 조 (jaw)에서 유리 시험 판을 조였다.
4. 스케일 기록은 테이프가 유리 표면으로부터 박리되는 것으로 기록되었고, 시험된 테이프의 너비에 따라 1/2 인치 당 온스 (oz/0.5 in) 또는 oz/in로 표현되었다.
전단
샘플을 알루미늄 판의 모서리에 배치하여 샘플 물질의 1 인치 만이 판과 접촉되게 하고, 나머지는 남겨두었다. 알루미늄 판의 모서리로부터 1 인치 떨어진 테이프 샘플의 말단에 중량 (200 g)을 배치하였다. 샘플을 알루미늄 판으로부터 전단시키는데 걸리는 시간을 기록하였다.
위코 (WYKO)
접착성 샘플은 위코 (WYKO) RST 표면 측정기 (미국 아리조나주 툭손 소재의 위코 코포레이션 (WYKO Corp.))를 이용하는 간섭측정 현미경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이 기술을 광 간섭측정에 사용하여 샘플의 표면 조도를 평가하였다. 빛이 수평면으로부터 반사되어서, 구조화된 물질의 상층 및 하층 모서리 모두에서 지형을 평가함으로써 미세구조물의 깊이를 측정할 수 있었다.
SEM
주사 전자 현미경 (SEM)을 이용하여 고배율 하에 샘플을 관찰하여 깊이 정보를 수득하였다. SEM 분석법은 암레이 인코포레이티드 (Amray Incorporated) (미국 마이애미주 베드포드 소재)로부터의 모델 #1920-D SEM을 이용하여 수행되었다.
두께
두께 측정은 측미계를 이용하여 접촉 방식으로 수행되었다. 구조화된 접착제의 총두께는 미세구조물의 두께 뿐만 아니라, 랜드부의 두께도 포함하였다 (즉, 구조화된 지형을 연결시키는 접착제의 두께의 연속적인 층). 구조체 두께 및 바닥 두께 사이의 접착 두께의 비율은 중요한 매개 변수로 고려되었다. 하기의 실시예에서, 구조화된 영역의 두께는 일정하게 유지되었지만, 바닥 두께는 변하였다. 바닥 두께는 접착제의 총두께에서 구조화된 영역의 깊이 (두께)를 뺌으로써 측정되었다.
또한 두께는 상기한 위코를 이용하여 측정되었다. 위코는 비접촉 측정 방법이기 때문에, 구조화된 면의 압축을 방지할 수 있다.
접착 조성물
0.5% 이온성 가교제를 가진 아크릴산 10 중량부 및 이소옥틸 아크릴레이트 90 중량부로 구성된 열가소성 감압성 접착제를 미국 특허 제5,986,011호, 미국 특허 제5,637,646호 및 미국 특허 제5,753,768호에 기재된 것처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구조체 (905)에 대한 위코 분석
도 9C에 도시된 일반적인 구조체 (905)를 갖는 2개의 샘플을 제조하였다. 접착제를 본 발명에 따라 3개의 상이한 성형 도구에 도포한 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배킹에 적층시켰다. 동일한 두께의 비구조화된 접착제층을 대조 샘플로서 제조하였다. 위코를 이용하여 시간에 따라 접착 구조물의 표면 조도 및 충실도를 모니터링하여 상이한 구조체를 갖는 2개의 샘플의 특성을 기술하였다. 위코 분석은 접착제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높이 및 피치의 지형을 갖는 구조화된 면을 갖는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구조물의 높이는 다중 수행을 통해 도구 깊이의 약 67%에서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실시예 2: 위코를 이용하는 구조체 (905)에 대한 함침 분석
실시예 1의 깊이 및 피치 치수를 가진 2개의 상이한 구조화된 접착제에 대한 함침 정도를 광학 현미경을 이용하여 모니터링하였다. 동일한 두께의 비구조화된 접착제층을 대조 샘플로서 제조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구조화된 접착제층을 2 kg 롤러로 유리 상에 적층시킨 후 분석하였다. 낮은 피치로 인하여, 피치가 70 ㎛인 구조물은 피치 200 ㎛의 거의 동일한 벽 너비를 갖는 구조물보다 더 높은 함침률을 가졌다 (표 1). 이러한 접착제층의 구조화된 패턴은 6개월 후에도 함침되지 않았다.
도구 (마이크론) 깊이 x 피치 함침률 전단 시간 200 g 박리력 (5 mil의 PSA) oz/0.5 in
70 x 70 55 내지 65% 1일 13
100 x 200 25 내지 35% 6시간 5
비구조화된 것 95 내지 100 21일 초과 23

실시예 3: 구조체 (905)에 대한 박리 및 전단 특징
박리력 데이타는 박리 강도 시험을 이용하여 실시예 2의 3개의 샘플에 대해 수집되었으며, 표 1 및 도 15에 나타내었다. 구조화된 접착 샘플을 박리시키기 위한 힘은 비구조화된 대조 샘플에 필요한 힘보다 낮았다. 또한 표 1은 4개의 샘플의 각각에 대한 전단 특징을 포함하였다. 낮은 피치를 가진 구조물은 높은 피치를 가진 접착 구조물보다 더 높은 전단 저항을 나타내었다.
구조화된 접착제로부터의 박리는 비구조화된 접착 샘플로부터의 박리보다 순조로웠다. 도 14는 알루미늄으로부터 1분 당 5 인치에서 90°로 잡아 뗀, 피치가 70 ㎛인 구조화된 접착 테이프에 대한 박리력 대 변위의 플롯을 도시하고 있다. 도 14에서 알 수 있듯이, 구조화된 접착제로부터의 박리는 비구조화된 접착제로부터의 박리보다 더 순조롭고 보다 일관적이다. 구조화된 샘플의 평균 박리력은 동일한 두께의 비구조화된 테이프를 박리시키는데 필요한 평균력보다 낮다.
도 15는 상기한 3개의 구조체에 대한 박리력 대 접착 두께의 플롯을 도시하고 있다. 가장 큰 피치를 가진 구조체 (즉, 가장 낮은 접착 접촉 영역)는 가장 낮은 박리력을 갖는다. 육방형 패턴을 갖는 접착제에 대해서는 피치에 따라 함침 및 박리력이 증가하였다. 본 실시예의 2개의 구조화된 접착제는 비구조화된 접착제보다 낮은 박리력을 가졌다.
실시예 4: 구조체 (990)의 제조
상기한 방법에 따라 도 11C에 도시된 일반적인 구조체 (990)를 갖는 샘플을 제조하였다. 접착제를 피치 70 ㎛ 및 높이 70 ㎛인 구조체를 갖는 성형 도구에 도포한 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배킹에 적층시켰다. 이후에 접착제층을 도 11에 도시된 일반적인 방법에 따라 하도제 처리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배킹에 옮겼다. 광학 현미경 및 위코를 이용하여 시간에 따라 구조물을 모니터링하여 샘플의 특징을 기술하였다. 현미경 및 위코 분석은 접착제가 접착 매트릭스 내에 고도로 정렬되고 잘 한정된 저장소 또는 채널을 갖는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높이가 10 마이크론 초과인 저장소 또는 채널은 압력을 가하지 않은 대기 조건하에서 9개월 이상 안정하였다. 위코 및 SEM을 이용하여 저장소 또는 채널을 덮는 비구조화된 접착제층이 편평하고 매끄럽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분석은 비구조화된 접착제면 상에 표면 특징이 거의 없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실시예 5: 구조체 (990)에 대한 박리 특징
박리 강도 시험은 실시예 4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된 3개의 구조체에 대해 수행되었다. 3개의 디자인에 대한 박리력의 비교는 도 16에 도시되어 있다. 시험은 공기 충전된 저장소를 포함하는 구조체가 피치 또는 높이에 상관없이, 동일한 두께의 비구조화된 구조체보다 더 높은 박리력을 갖는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이것은 박리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더 많은 접착 물질이 필요한 비구조화된 접착제와는 상이하였다.
실시예 6: 다층 구조체 (502)에 대한 박리 특징
도 6A에 도시된 일반적인 구조체 (502)를 갖는 다층 샘플을 몇가지 상이한 피치 및 깊이 수치를 갖는 성형 도구를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다층 구조체는 상기 기재되고 도 12A에 도시된 방법에 따라 제조되었다. 또한 구조체 (800)의 표면 (996)에 인접한 비구조화된 접착제층을 갖는 다층 구조체 (도 12B에 도시됨)를 시 험하였다. 2개의 상이한 구조체는 유사한 결과를 산출하였다.
도 17은 다양한 높이 및 피치를 갖는 구조체에 대한 박리력의 그래프를 도시하고 있다. 범례는 배킹에 인접한 층에서 출발하는, 각각의 층 내의 구조물에 대한 높이를 나타낸다. 플롯은 데이타가 넓게 확산되어 있지만, 다층 접착 코팅된 용품이 동일한 두께의 비구조화된 용품에 비해 더 높은 박리력을 나타낸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7: 다층 구조체 (602)에 대한 박리 특징
도 6B에 도시된 일반적인 구조체 (602)를 갖는 다층 샘플을 제조하였다. 상기 기재되고 도 12C에 도시된 방법에 따라 캡층 (100)이 비구조화된 PET 배킹인 다층 구조체를 제조하였다.
도 18은 접착제 두께에 대한 박리력의 플롯을 나타내고 있다. 범례는 배킹에 인접한 층 (즉, 층 (1))에서 출발하는, 각각의 층 내의 구조물에 대한 높이를 나타낸다. 구조체 중 하나 (도면 범례에서 (70+35)+35인 것을 의미함)는 각 층 ((1) 및 (2))에 대해 높이 70 ㎛ 및 35 ㎛인 구조체 (602)를 갖도록 제조되었다. 구조체는 높이가 35 ㎛인 구조체를 갖는 캡층에 대향하는 추가의 구조화된 접착제를 포함하였다. 이러한 추가의 접착제층의 구조화된 면은 캡층에 면하였다. 플롯은 넓게 산재되어있지만, 다층 구조체가 동일한 두께의 비구조화된 구조체에 비해 더 높은 박리력을 가졌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8: 다층 구조체에 대한 박리 특징
도 7에 도시된 일반적인 구조체를 갖는 1, 2 및 3개의 구조화된 접착제층을 갖는 구조체를 도 12B에 도시된 기술을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이러한 샘플을 제조하여 접착제층의 갯수 증가가 박리력에 미치는 영향을 모니터링하였다. 하나의 비구조화된 접착제층을 갖는 구조체를 대조 샘플로서 제공하였다. 도 19를 참고하여, 막대 그래프는 각각의 4개의 구조체에 대해 박리 속도가 박리력에 미치는 영향을 도시하고 있다. 박리력은 상기 약술된 박리 강도 시험 절차를 이용하여 측정되었다. 구조체는 12 in/분 및 90 in/분으로 유리로부터 박리되었고, 박리력은 인치 당 온스로 측정되었다.
박리 속도 90 in/분에서, 구조화된 면을 가진 3개의 접착 구조체는 층의 갯수에 상관없이, 비구조화된 노출면을 가진 구조체보다 상당히 낮은 박리력 (50% 미만)을 나타내었다. 비구조화된 구조체는 더 낮은 박리 속도 (12 in/분)를 갖는 박리력에서 상당한 강하를 나타내었다. 반대로, 각각의 구조화된 구조체에 대한 박리력은, 구조체의 전체 두께를 증가시키고 (즉, 접착제층의 갯수를 증가시킴), 박리 속도를 90 in/분에서 12 in/분으로 감소시켰음에도 불구하고, 다소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실시예 9: 고체 지시제를 이용한 저장소 또는 채널의 담지
페놀프탈레인 분말을 실온에서 접착 구조체 (905) (도 9C)의 노출된 구조화된 면에 걸쳐 분사하였다.
제2 구조화된 접착제층을 노출면에 적층시켜 충전된 저장소를 덮어 구조체 (800) (도 12B)를 생성하였다. 이후에 샘플에 0.10 M KOH를 적하하였다. 일반적으로, 페놀프탈레인은, KOH가 상기 분말과 혼합될 경우 기대되는 마젠타 색으로 변 하지 않았다. 이것은 가교된 접착제층이 KOH가 저장소 또는 채널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장벽을 생성하였다는 것을 의미하였다.
실시예 10: 착색된 액체를 이용한 저장소 또는 채널의 담지
액체 녹색 식품 색을 유리 슬라이드의 모서리를 이용하여, 실시예 9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된 접착제 코팅된 용품의 구조화된 접착제층의 표면에 분사한 후, 실리콘 코팅된 롤러를 이용하여 여분을 제거하였다. 샘플을 한번 건조하고, 이를 구조화된 접착제의 또다른 층에 적층시켜 도 12B에 도시된 구조체 (800)와 유사한 라미네이트를 형성하였다. 광학 현미경 화상 (도시되지 않음)은 녹색 식품 색이 접착제 웰의 제1 층 내에 캡슐화된 채로 남겨져 있고, 접착제층 상부로 이동하지 않았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11: 장치의 구조체 및 진공하에 유체를 이용한 채널의 담지
저밀도 폴리에틸렌 (LDPE) 시트를 육방형 후 패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음)으로 성형하였다. 구조체는 배킹이 필요하지는 않았지만, 도 9B 및 9C에 도시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구조화된 LDPE는 평가를 위하여 1 인치 직경의 원으로 커트하였다. LDPE 디스크를 2개의 비구조화된 접착 테이프 사이에 끼워 도 1에 도시된 바와 유사한 구조체를 형성하였다. 제1 테이프는 BOPP 필름 상 실리콘 감압성 접착제로 구성되었고, LDPE의 비구조화된 면에 접착되어 구조화된 LDPE를 넘어 연장되게 하였다. 이것은 구조화된 영역의 경계선 둘레에 비구조화된 밀폐 영역을 생성하였다. 제2 테이프는 실리콘 종이 라이너 상 아크릴레이트 감압성 접착제이고, LDPE의 구조화된 면에 부착되어 접착제층이 디스크의 경계선 둘레에 접촉 되게 하여, 모서리 둘레의 장치를 밀폐시켰다. 비구조화된 밀폐 영역이 (예를 들어, 성형에 의하여) LDPE의 구조화된 영역의 경계선 둘레에서 생성될 경우, 바닥 접착제/필름 층을 필요로 하지 않고 유사한 구조체를 이룰 수 있다. 대안적으로, LDPE의 경계선 상 미세구조물은 적층하는 동안 압력에 의해 붕괴되어 밀폐된 모서리를 형성할 수 있었다.
소형 천공을 아크릴계/종이 층 상부에 뚫어 (그후에 적층시킴) 장치의 내부 채널에 접근할 수 있게 하였다. 진공 펌프를 이용하여 충전 정착물로 채널을 탈기시키고, 이를 장치의 충전 천공에 대향하여 고정시켰다. 이후에 3가지 밸브를 작동시키고, 담지되는 (착색된 액체) 유체 및 장치의 탈기된 채널 사이에 직접적인 경로를 만들었다. 액체는 장치로 급속하게 유동하여 채널을 충전시켰다. 액체의 양은 13 mg으로 밝혀졌으며, 이는 이러한 방법을 이용하여 극소량의 액체를 이러한 장치에 담지시킬 수 있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본 발명의 다수의 실시양태가 기재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의 정신과 영역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형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그밖의 실시양태는 하기의 청구의 범위의 영역에 포함된다.

Claims (56)

  1. (a) 제1 주면 및 제2 주면 중 하나 이상이 구조화된 면인 제1 주면 및 제2 주면을 갖는 제1 접착제층; 및
    (b) 제1 주면 및 제2 주면 중 하나 이상이 구조화된 면인 제1 주면 및 제2 주면을 갖는 제2 접착제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접착제층은 서로 접촉하는 제1 및 제2 접착제층의 주면 중 하나 이상이 구조화된 면이 되도록 적층되어 일련의 별개 저장소를 형성하며, 각각의 별개 저장소는 20 nL 미만의 공극 부피 또는 일련의 채널을 갖는 것인 라미네이트 용품.
  2. (a) 구조화된 제1 주면 및 비구조화된 제2 주면을 갖는 제1 접착제층, 및 제1 접착제층의 제1 주면과 접촉하는 캡층을 포함하는 제1 예비라미네이트를 제공하는 단계;
    (b) 구조화된 제1 주면 및 비구조화된 제2 주면을 갖는 제2 접착제층, 및 제2 접착제층의 제2 주면과 접촉하는 배킹을 포함하는 제2 예비라미네이트를 제공하는 단계; 및
    (c) 제1 예비라미네이트의 제1 접착제층의 제2 주면을 제2 예비라미네이트의 제2 접착제층의 제1 주면과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예비라미네이트가 일련의 전부 캡슐화된 저장소 또는 채널을 형성하는 것인, 라미네이트의 제조 방법.
  3. (a) 구조화된 제1 주면 및 비구조화된 제2 주면을 갖는 제1 접착제층, 및 제1 접착제층의 제2 주면과 접촉하는 제1 배킹층을 포함하는 제1 예비라미네이트를 제공하는 단계;
    (b) 구조화된 제1 주면 및 비구조화된 제2 주면을 갖는 제2 접착제층, 및 제2 접착제층의 제2 주면과 접촉하는 제2 배킹층을 포함하는 제2 예비라미네이트를 제공하는 단계; 및
    (c) 제1 예비라미네이트의 제1 접착제층의 제1 주면을 제2 예비라미네이트의 제2 접착제층의 제1 주면과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예비라미네이트가 일련의 전부 캡슐화된 저장소 또는 채널을 형성하는 것인, 라미네이트의 제조 방법.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45. 삭제
  46. 삭제
  47. 삭제
  48. 삭제
  49. 삭제
  50. 삭제
  51. 삭제
  52. 삭제
  53. 삭제
  54. 삭제
  55. 삭제
  56. 삭제
KR1020047005314A 2001-10-09 2002-07-25 구조화된 층을 가진 라미네이트 KR1009013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974,710 2001-10-09
US09/974,710 US8323773B2 (en) 2001-10-09 2001-10-09 Laminates with structured layers
PCT/US2002/023649 WO2003031529A1 (en) 2001-10-09 2002-07-25 Laminates with structured laye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2715A KR20050012715A (ko) 2005-02-02
KR100901348B1 true KR100901348B1 (ko) 2009-06-05

Family

ID=25522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5314A KR100901348B1 (ko) 2001-10-09 2002-07-25 구조화된 층을 가진 라미네이트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8323773B2 (ko)
EP (1) EP1434827B1 (ko)
JP (1) JP2005504873A (ko)
KR (1) KR100901348B1 (ko)
CN (1) CN1330727C (ko)
AT (1) ATE427343T1 (ko)
DE (1) DE60231817D1 (ko)
WO (1) WO20030315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72268B2 (en) * 2002-06-11 2005-03-2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 of conforming an adherent film to a substrate by application of vacuum
JP4540962B2 (ja) * 2003-10-10 2010-09-08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粘着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7674251B2 (en) * 2004-04-08 2010-03-09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Medical devices including aerated adhesive bonds and methods of forming the same
US20080190877A1 (en) * 2007-02-13 2008-08-14 Robert Silverman Novel Surface Coverings
JP5541847B2 (ja) * 2008-04-30 2014-07-09 日東電工株式会社 剥離ライナー付き粘着シート
US8309207B2 (en) * 2009-02-05 2012-11-13 Avery Dennison Corporation Adhesive articles with improved air egress
CN101830084B (zh) * 2009-11-10 2013-07-03 青岛理工大学 新型粉体冲击阻尼的蜂窝夹芯结构
DE102009058651A1 (de) * 2009-12-16 2011-06-22 Leibniz-Institut für Neue Materialien gemeinnützige GmbH, 66123 Vorrichtung mit steuerbarer Adhäsion
WO2012097199A2 (en) * 2011-01-12 2012-07-19 Kenney George B Methods and system for producing on-demand reduction in coupling strength of pressure-sensitive adhesives
EP2694610A1 (en) * 2011-04-04 2014-02-1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Optical stack comprising adhesive
KR102135453B1 (ko) * 2013-05-24 2020-07-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착필름 및 이를 이용해 제조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US9873469B2 (en) 2013-11-22 2018-01-23 Kyle R. Gillin Flooring apparatus
US9862124B2 (en) 2014-07-18 2018-01-0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ultilayer optical adhesives and methods of making same
SG11201700620UA (en) * 2014-07-25 2017-02-27 3M Innovative Properties Co Method for improving dampening performance of thin films
USD765389S1 (en) 2014-12-30 2016-09-06 Medline Industries, Inc. Dispenser
JP6542593B2 (ja) * 2015-06-12 2019-07-10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支持体層を備えた積層フィルム及びそのフィルムロール
JP6570329B2 (ja) 2015-06-12 2019-09-04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粘着層と剥離層とを備えた物品
US10457336B2 (en) * 2015-09-10 2019-10-29 Kyle R. Gillin Flooring apparatus and methods of manufacture
JP6836876B2 (ja) * 2015-10-14 2021-03-03 日東電工株式会社 セパレーター付き粘着テープおよびセパレーター
JP6715669B2 (ja) * 2016-04-22 2020-07-01 住友化学株式会社 粘着剤層付セパレートフィルム、セパレートフィルム付光学部材、及びこれらの製造方法
US10661530B2 (en) 2016-05-12 2020-05-26 The Boeing Company Methods and apparatus to couple a decorative layer to a panel via a high-bond adhesive layer
US10173394B2 (en) * 2016-05-12 2019-01-08 The Boeing Company Methods and apparatus to vent gas and vapor from a panel via venting channels for a decorative layer
US11130318B2 (en) 2016-05-12 2021-09-28 The Boeing Company Panels having barrier layers and related methods
US10525685B2 (en) 2016-05-12 2020-01-07 The Boeing Company Methods and apparatus to couple a decorative composite having a reinforcing layer to a panel
US10647099B2 (en) 2016-05-12 2020-05-12 The Boeing Company Methods and apparatus to form venting channels on a panel for a decorative layer
US10751982B2 (en) 2016-05-12 2020-08-25 The Boeing Company Methods and apparatus to remove gas and vapor from a panel for a decorative layer
US11426967B2 (en) * 2016-06-30 2022-08-3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ushioning structures including interconnected cells
DE102017107468B4 (de) * 2017-04-06 2019-02-21 Lts Lohmann Therapie-Systeme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insbesondere oralen, wirkstofflaminats und wirkstofflaminat, insbesondere orales wirkstofflaminat
TWI795430B (zh) 2017-08-25 2023-03-11 美商3M新設資產公司 容許無損傷移除的黏著劑物品
CN111032333B (zh) * 2017-08-25 2022-10-04 3M创新有限公司 允许无损移除的粘合剂制品
KR102371013B1 (ko) 2017-09-11 2022-03-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운송 수단용 버블 시트의 제조 방법
JP2022530008A (ja) * 2019-04-22 2022-06-27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構造化接着剤及び構造化ライナーを有する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EP4139125A1 (en) * 2020-06-09 2023-03-01 Bixby International Corporation 3d embossed fil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33946A2 (en) 1996-03-13 1997-09-18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Cushioning adhesive sheet and cushioning structure
WO1999058620A1 (en) 1998-05-14 1999-11-18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Adhesive sheet and adhesive sheet applied structure
WO2000069985A1 (en) 1999-05-13 2000-11-2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dhesive-backed articles

Family Cites Families (7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64628A (en) 1939-08-03 1941-12-02 Poster Products Inc Advertising material
US2638430A (en) * 1950-07-06 1953-05-12 Meyercord Co Method of making surface-covering articles
US2667436A (en) 1950-09-21 1954-01-26 Carborundum Co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ated sheet material
USRE24906E (en) 1955-11-18 1960-12-13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material
US3179552A (en) * 1959-09-17 1965-04-20 Minnesota Mining & Mfg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US3301741A (en) * 1963-09-11 1967-01-31 Minnesota Mining & Mfg Adhesive sheet and method of making
US3239478A (en) 1963-06-26 1966-03-08 Shell Oil Co Block copolymer adhesive compositions and articles prepared therefrom
US3457919A (en) * 1966-06-22 1969-07-29 Smith & Nephew Adhesive surgical and other tapes,plasters,bandages,dressings,and the like
US3935338A (en) 1973-04-23 1976-01-27 Shell Oil Company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pressure-sensitive adhesive articles
US4181752A (en) 1974-09-03 1980-01-01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Acrylic-type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by means of ultraviolet radiation curing
JPS5145137A (ko) 1974-10-16 1976-04-17 Unitika Ltd
US4025159A (en) 1976-02-17 1977-05-24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Cellular retroreflective sheeting
JPS5316057U (ko) * 1976-07-23 1978-02-10
US4273827A (en) * 1978-06-09 1981-06-16 Theodore Sweeney & Company Adhesive assembly
US4576850A (en) 1978-07-20 1986-03-18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Shaped plastic articles having replicated microstructure surfaces
DE7931547U1 (de) 1979-11-08 1980-02-07 Hoechst Ag, 6230 Frankfurt Klebeband
US4460634A (en) 1979-12-29 1984-07-17 Masaaki Hasegawa Adhesive 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4554324A (en) 1982-09-16 1985-11-19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 Acrylate copolymer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nd sheet materials coated therewith
JPS6011156B2 (ja) 1982-09-17 1985-03-23 日東電工株式会社 感圧接着防水シ−ト
JPS5978285A (ja) 1982-10-28 1984-05-07 Mitsui Toatsu Chem Inc 粘着フイルム
US4599265A (en) 1982-11-04 1986-07-08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Remov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JPS6096444A (ja) 1983-10-31 1985-05-30 Nitto Electric Ind Co Ltd 溝付き防水シ−トの製法
DE3346100A1 (de) 1983-12-21 1985-07-04 Beiersdorf Ag, 2000 Hamburg Rueckstandsfrei wieder abloesbare haftklebrige flaechengebilde
DE3579105D1 (de) 1984-04-12 1990-09-13 Avery International Corp Abnehmbare etiketten.
DE3417746A1 (de) 1984-05-12 1985-11-14 Jackstädt GmbH, 5600 Wuppertal Selbstklebeschicht mit auf der ihrem traeger abgewandten seite angeordneter abdeckung
JPS61293911A (ja) * 1985-06-24 1986-12-24 Teisan Seiyaku Kk 徐放化製剤
US4771891A (en) 1986-06-12 1988-09-20 Avery International Corporation Patterned adhesive label structures
JPS63223081A (ja) 1987-03-13 1988-09-16 Bridgestone Corp 貼ることの容易な粘着シ−ト
EP0279579B1 (en) 1987-02-09 1993-04-21 Bridgestone Corporation Irregular section adhesive sheets
US4952650A (en) 1987-07-27 1990-08-28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Suspension polymerization
JPH02503717A (ja) 1988-03-07 1990-11-01 富士通株式会社 X線画像変換シート、x線画像変換シートの製造方法、輝尽性蛍光体、及び、輝尽性蛍光体の製造方法
US5158557A (en) * 1988-04-04 1992-10-27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Refastenable adhesive tape closure
US5169727A (en) 1988-08-04 1992-12-08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Silicone-based pressure-sensitive adhesives having high solids content
US5212011A (en) * 1988-12-16 1993-05-18 Sumitomo Chemical Co., Ltd. Adhesive tape
US4913926A (en) 1989-03-28 1990-04-03 Avery International Corporation Curl free ion deposition label printing
DK340189D0 (da) 1989-07-10 1989-07-10 Jens Villadsens Fabrikker A S Fremgangsmaade til fremstilling af en fuldklaebet belaegning paa et underlag
JP2545989B2 (ja) 1989-08-05 1996-10-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燃料噴射量制御装置
JPH03115639A (ja) 1989-09-29 1991-05-16 Taisei Corp セメント材料を用いた壁の構築方法
US5141790A (en) 1989-11-20 1992-08-25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Reposition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JP2994411B2 (ja) 1990-02-20 1999-12-2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粘着シート
JPH03115639U (ko) * 1990-03-13 1991-11-29
EP0459059B1 (en) 1990-05-03 1994-07-27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Tearable, continuous film medical PSA tape
JP3093304B2 (ja) 1991-03-29 2000-10-0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シャドウマスクの製造方法
US5087494A (en) * 1991-04-12 1992-02-11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Electrically conductive adhesive tape
US5273805A (en) 1991-08-05 1993-12-28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Structured flexible carrier web with recess areas bearing a layer of silicone on predetermined surfaces
US5213868A (en) 1991-08-13 1993-05-25 Chomerics, Inc. Thermally conductive interface material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EP0603208B1 (en) * 1991-09-12 1998-09-23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Patterned pressure sensitive adhesive transfer tape
US5585178A (en) 1991-12-31 1996-12-17 Minnesota Mining & Manufacturing Company Composite adhesive tape
US5437754A (en) 1992-01-13 1995-08-01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Abrasive article having precise lateral spacing between abrasive composite members
US5296277A (en) 1992-06-26 1994-03-22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Positionable and repositionable adhesive articles
US5268228A (en) 1992-09-21 1993-12-07 Norwood Industries, Inc. Groov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US5405675A (en) 1992-12-10 1995-04-11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Embossed multilayer film
JPH06184502A (ja) 1992-12-18 1994-07-05 Sekisui Chem Co Ltd 粘着テープ又はシートおよび粘着剤の塗工方法
JPH06212131A (ja) 1993-01-19 1994-08-02 Sekisui Chem Co Ltd 再剥離の容易な装飾用粘着シート、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施工方法
JPH06248243A (ja) 1993-02-26 1994-09-06 Sekisui Chem Co Ltd 写真製版用粘着テープ
CA2122089A1 (en) 1993-04-30 1994-10-31 Glen H. Bayer, Jr.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a coating material to a receiving surface
JPH0790231A (ja) 1993-09-21 1995-04-04 Sekisui Chem Co Ltd 粘着シート
KR100314563B1 (ko) * 1993-10-29 2002-04-24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미세구조표면을갖는압감접착제
JPH07138541A (ja) 1993-11-15 1995-05-30 Nichiei Kako Kk 粘着加工フィルム
JPH08100155A (ja) 1994-09-30 1996-04-16 Kuramoto Sangyo:Kk 両面接着テープ及び両面接着テープの製造方法
US5795636A (en) 1995-11-15 1998-08-18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Positionable and repositionable adhesive article
JPH09141812A (ja) 1995-11-17 1997-06-03 Oji Paper Co Ltd エンボス剥離紙及びその製造方法
US5637646A (en) 1995-12-14 1997-06-10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Bulk radical polymerization using a batch reactor
US5889118A (en) 1996-06-03 1999-03-30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Thermomorphic "smart"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US5888650A (en) * 1996-06-03 1999-03-30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Temperature-responsive adhesive article
US5858510A (en) * 1996-06-28 1999-01-12 Seal Products, Inc. Photographic pouch lamination
JPH1033741A (ja) 1996-07-23 1998-02-10 Kineshio:Kk 身体接着テ−プ
US6197397B1 (en) 1996-12-31 2001-03-0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dhesives having a microreplicated topography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US5897930A (en) 1996-12-31 1999-04-27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Multiple embossed webs
EP0894644B1 (fr) * 1997-07-31 2002-02-06 Dominique Blanc-Brude Feuille adhésive par application de pression
JPH11181367A (ja) * 1997-11-10 1999-07-06 Minnesota Mining & Mfg Co <3M> 粘着シートおよび窓ガラス構造体
US6171985B1 (en) 1997-12-01 2001-01-0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Low trauma adhesive article
JP4034866B2 (ja) 1998-01-05 2008-01-16 スリーエム カンパニー 粘着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168682B1 (en) * 1998-02-10 2001-01-0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 of manufacturing an optical recording medium
JP3377439B2 (ja) 1998-05-11 2003-02-17 日栄化工株式会社 剥離紙と粘着シート及び剥離処理面加工方法
US6103152A (en) 1998-07-31 2000-08-15 3M Innovative Properties Co. Articles that include a polymer foam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US6623824B1 (en) 1999-01-29 2003-09-2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 for making a microreplicated article using a substrate comprising a syndiotactic vinyl aromatic polym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33946A2 (en) 1996-03-13 1997-09-18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Cushioning adhesive sheet and cushioning structure
WO1999058620A1 (en) 1998-05-14 1999-11-18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Adhesive sheet and adhesive sheet applied structure
WO2000069985A1 (en) 1999-05-13 2000-11-2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dhesive-backed artic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34827B1 (en) 2009-04-01
DE60231817D1 (de) 2009-05-14
US20030077423A1 (en) 2003-04-24
JP2005504873A (ja) 2005-02-17
KR20050012715A (ko) 2005-02-02
CN1568358A (zh) 2005-01-19
EP1434827A1 (en) 2004-07-07
US20130071622A1 (en) 2013-03-21
WO2003031529A1 (en) 2003-04-17
US8323773B2 (en) 2012-12-04
ATE427343T1 (de) 2009-04-15
CN1330727C (zh) 2007-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1348B1 (ko) 구조화된 층을 가진 라미네이트
EP0603208B1 (en) Patterned pressure sensitive adhesive transfer tape
CN1882670B (zh) 结构的纸剥离衬里,粘合剂背衬的制品组件及其制造方法
US7332206B2 (en) Adhesives and release liners with pyramid structures
JP5149182B2 (ja) 接着物品及び剥離ライナー
KR100560341B1 (ko) 미소복제된 지형을 가진 접착제 및 그 접착제의 제조 방법및 사용 방법
KR0145319B1 (ko) 재배치성 감압성 접착 테이프 및 이의 제조방법
JP5763536B2 (ja) 剥離物質
EP1373424B1 (en) Adhesive layers and release liners with pyramidal structures
EP1836026B1 (en) Fine abrasive paper backing material and method of making thereof
WO2016200685A1 (en) Article provided with adhesive layer and release layer
MXPA97002232A (en) A film covered with adhes
US20220228039A1 (en) Repositionable adhesive sheets with pyramidal structures
JPH11323270A (ja) 粘着シート及び粘着シート接着構造体
US20030162017A1 (en) Composite tape construction and method
WO2021105842A1 (en) Adhesive sheet, device laminate, and method for peeling adhesive sheet
AU1112300A (en) Adhesive sheets and adhesive structures
JP2021116177A (ja) ケース、ディスペンサ及び接着剤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