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0600B1 -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0600B1
KR100900600B1 KR1020020076882A KR20020076882A KR100900600B1 KR 100900600 B1 KR100900600 B1 KR 100900600B1 KR 1020020076882 A KR1020020076882 A KR 1020020076882A KR 20020076882 A KR20020076882 A KR 20020076882A KR 100900600 B1 KR100900600 B1 KR 1009006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light emitting
electrode
panel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6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7761A (ko
Inventor
우라베데쯔오
야마다지로
사사오까다쯔야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477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77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0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06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10K50/865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comprising light absorbing layers, e.g. light-block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8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colour filters or colour changing media [CCM]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2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or physical composition or the arrangement of auxiliary dielectric or reflective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1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10K59/8792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comprising light absorbing layers, e.g. black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02Details of OLEDs of OLED structures
    • H10K2102/3023Direction of light emission
    • H10K2102/3026Top emiss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2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a resonant cavity structure, e.g. Bragg reflector pair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9/876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a resonant cavity structure, e.g. Bragg reflector pai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Optical Fil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을 제2 전극측으로부터 추출되는 타입으로서, 외광 반사를 억제하여 콘트라스트를 높임과 동시에, 제조 공정을 간소화하여 비용 절감을 가능하게 한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동용 기판(11)에는, 음극(15)측으로부터 광을 추출하는 유기 발광 소자(10R, 10G, 10B)가 제공되고, 유기 발광 소자(10R, 10G, 10B)에 대향하여, 밀봉용 기판(21)에, 적색 필터(22R), 녹색 필터(22G) 및 청색 필터(22B)가 인쇄법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유기 발광 소자(10R, 10G, 10B)의 경계 영역에 대향하여 적색 필터(22R), 녹색 필터(22G) 및 청색 필터(22B) 중 적어도 2개를 인쇄법에 의해 중첩시킴으로써 흑색 매트릭스(23)가 형성되며, 소자간의 배선 간극에 의한 외광 반사가 억제된다.
구동 패널, 유기 발광 소자, 구동용 기판, 절연층, 개구부, 유기층

Description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DISPLA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유기 발광 소자의 구성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유기 발광 소자의 구성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적새 필터, 녹색 필터 및 청색 필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동 패널 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적색 필터, 녹색 필터 및 청색 필터가 중첩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한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공정 순서대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계속되는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계속되는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적색 필터, 녹색 필터 및 청색 필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동 패널 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적색 필터, 녹색 필터 및 청색 필터가 중첩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한 적색 필터, 녹색 필터 및 청색 필터의 제조 방법을 공정 순서대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구동 패널 10R, 10G, 10B: 유기 발광 소자
11 : 구동용 기판 12 : 양극(제1 전극)
13 : 절연층 13A : 개구부
14 : 유기층 14A : 정공 주입층
14B : 정공 수송층 14C : 발광층
14D : 전자 수송층 15 : 음극(제2 전극)
15A : 반 투과성 전극 15B : 투명 전극
16 : 보호층(패시베이션) 20 : 밀봉 필터
21 : 밀봉용 기판 22R : 적색 필터
22G : 녹색 필터 22B : 청색 필터
23 : 흑색 매트릭스 24 : 반사 방지막
30 : 접착층
본 발명은, 제1 전극, 발광층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유기층 및 제2 전극이 순차 적층된 복수의 유기 발광 소자(유기 EL(Electroluminescence) 소자)를 포함하고, 발광층에서 발생된 빛을 제2 전극 측에서 추출하도록 한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발광 다이오드(LED), 레이저·다이오드(LD), 유기 발광 소자 등의 자(自) 발광 소자를 이용한 표시 장치(디스플레이)의 개발이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종류의 표시 장치는, 일반적으로, 자발광 소자를 매트릭스형으로 복수개 배치하여 화면부(표시 패널)이 구성되며, 각 소자를 영상 신호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발광시킴으로써, 영상 표시가 행하여진다.
자발광 소자를 이용한 표시 장치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등의 비(非)자발광형 표시 장치에 비해, 백 라이트가 불필요한 등의 이점이 있다. 특히, 유기 발광 소자를 이용한 표시 장치(유기 EL 디스플레이)는, 시야각이 넓고, 시인성(visibility)이 높은 것, 소자의 응답 속도가 빠른 것 등으로부터 최근 주목받고 있다.
유기 발광 소자는, 예를 들면, 구동용 기판 위에, 제1 전극,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층 및 제2 전극이 순서대로 적층된 구조를 갖고 있다. 이러한 유기 발광 소자에서는, 발광층에서 발생된 빛은, 디스플레이의 타입에 의해, 구동용 기판 측에서 추출되는 경우도 있지만, 제2 전극 측에서 추출되는 경우도 있다.
그런데, 이러한 유기 발광 소자를 이용한 표시 장치에서는, 유기 발광 소자 및 소자 사이의 배선 전극에 있어서의 외광 반사가 크고, 디스플레이로서의 콘트라스트가 저하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컬러 필터 혹은 흑색 매트릭스를 배치함으로써, 외광 반사를 방지하는 방법이 생각되고 있다. 예를 들면, 빛을 제2 전극 측에서 추출하는 타입의 디스플레이에 대하여, 본 출원인과 동일 출원인은 먼저, G(녹색)의 흡수 필터를 R(적색), B(청색)의 화소의 빛 출력측 또는 외광 입사측에서 배치한 표시 장치를 제안하였다(특원 2001-181821). 이 제안에서는, 육안은 G의 파장 대역의 빛에 대한 감도가 높은 것에 감안하여, R, B의 화소에 G의 흡수 필터를 배치하여, 입사하는 외광의 G 성분을 흡수함과 함께, R, B의 빛은 투과시키도록 하며, 이에 따라 본래의 발광색의 휘도를 저하시키는 일 없이 콘트라스트의 극적인 향상을 실현한 것이다.
상기 제안과 같이 컬러 필터를 이용하는 구성은, 유기 발광 소자 자체에 의한 외광 반사를 저감하는 것을 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것에 대하여, 화소 주변에 설치된 배선 전극 등에 의한 외광 반사를 억제하기 위해서는 흑색 매트릭스가 이용된다. 종래, 유기 EL 디스플레이의 흑색 매트릭스로서는, 액정 디스플레이와 같이, 예를 들면, 크롬(Cr) 및 산화 크롬의 박막을 적층하여, 리소그래피 기술 및 에칭에 의해 패터닝한 박막 필터, 또는 감광성의 수지를 노광하여 패터닝한 흑색의 수지막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유기 EL 디스플레이와 액정 디스플레이는 흑색 매트릭스의 역할이 전혀 다르고, 요구되는 형상 정밀도 및 광학 농도에도 큰 차이가 있다. 즉, 액정 디스플레이에 있어서는, 흑색 매트릭스는 개구율을 규정함과 함께 백 라이트를 차폐하는 기능을 갖기 때문에, 높은 형성 정밀도가 요구되며, 또한, 광학 농도 3이 필요하게 된다. 이에 대하여, 유기 EL 디스플레이는 백 라이트가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흑색 매트릭스의 광학 농도는 2라도 충분하고, 또한, 형상이나 위치에 대해서도 그만큼 고정밀도는 요구되지 않는다. 또한, 화소의 개구율은 제1 전극과 제2 전극을 전기적으로 절연하기 위한 이산화 규소(SiO2) 등으로 이루어지는 절연막에 의해 규정되어 있고, 흑색 매트릭스에는 무관하다. 따라서, 유기 EL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흑색 매트릭스를 배치하는 최대의 목적은 소자 사이의 배선 전극에 의한 외광의 반사 방지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유기 EL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액정 디스플레이와 동등한 흑색 매트릭스를 형성하는 것은, 불필요한 비용 상승의 원인이 된다.
또한, 컬러 필터의 요건도 액정 디스플레이와 유기 EL 디스플레이는 다르다. 액정 디스플레이에서는, 컬러 필터의 간극(갭)으로부터 백 라이트가 누설되지 않도록 고정밀도의 위치 정렬이 요구되고, 액정을 협지하기 위해서 컬러 필터의 표면은 평탄한 것이 바람직하다. 컬러 필터를 가장 저렴하게 형성하는 방법은 인쇄법이지만, 인쇄법은 패턴의 엣지가 풀리는 경향이 있어, 액정 디스플레이로서는 개구율의 저하 또는 변동이 생길 우려가 있다. 이러한 것으로부터, 액정 디스플레이는 인쇄법보다도 리소그래피 기술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유기 EL 디스플레이에 있어서는, 이러한 고정밀도의 컬러 필터 제작 프로세스를 답습할 필요성은 적다. 또한, 컬러 필터는, 재료 자체가 비싸고 액정 디스플레이라도 비용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지만, 유기 EL 디스플레이를 본격적으로 상업화하기 위해서는, 컬러 필터 및 그 제작에 관한 비용을 절감하는 것이 불가결하다.
또, 액정 디스플레이에 대하여, 비용 절감을 위해 흑색 매트릭스를 2색 이상의 적층 컬러 필터에 의해 대체하려고 한 시도가 여러 가지 이루어져 있다. 예를 들면, 기판의 주변의 프레임부에 2색 이상 또는 단색의 컬러 필터를 적층 형성하여 차광층으로 한 예(특개평 10-62768호 공보, 특개 2000-29014 공보), 또는 화소 사이에 적층색 필터부를 설치하여 흑색 매트릭스의 일부 또는 액정 분자를 축 대칭 배향시키기 위한 격벽과 겸용시킨 예가 보고되어 있다(특개 2000-89215 공보).
또한, 액정 디스플레이에 한하지 않고 여러 가지의 디스플레이, 컬러 센서 등에 이용할 수 있는 다층 컬러 필터로서, 화소 부분에는 동색의 수지를 2층 중첩시키며, 화소 부분의 주위를 둘러싸는 차광 부분에는 다른 2색의 수지를 중첩시키도록 한 예도 있다(특개평 2-287303). 그러나, 이 구성은 위치 정렬 마진이 엄격하고, 적어도 액정 디스플레이에 적용하는 것은 곤란하다고 지적되어 있다(상기 특개2000-29014 공보 및 특개2000-89215 공보). 또한, 화소 부분에 동색의 수지를 2층 중첩시키는 것, 3색의 컬러 필터로 이루어지는 패턴층을 2층 형성하기 위해서 합계 6회의 리소그래피에 의한 패터닝을 필요로 하는 것 등, 유기 EL 디스플레이의 컬러 필터에 요구되는 성능·특성이라는 관점에서는 제작 공정이 지나치게 복잡하고, 그 다음으로 중요한 과제인 비용 삭감의 효과에 부족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빛을 제2 전극 측에서 추출하는 타입으로서, 유기 발광 소자 사이의 배선 전극에 의한 외광 반사를 억제하여 콘트라스트를 높임과 동시에, 제조 공정을 간소화하여 비용 절감을 가능하게 한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구동용 기판에, 제1 전극, 발광층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유기층 및 제2 전극이 순차 적층된 복수의 유기 발광 소자를 구동하고, 발광층에서 발생된 빛을 제2 전극 측에서 추출하는 구동 패널과, 밀봉용 기판에, 복수의 유기 발광 소자에 대향하여 각각 인쇄법에 의해 형성된 적색 필터, 녹색 필터 및 청색 필터, 및 복수의 유기 발광 소자의 경계 영역에 대향하고 적색 필터, 녹색 필터 및 청색 필터 중 적어도 두 개를 인쇄법에 의해 중첩되어 이루어지는 흑색 매트릭스를 배치한 구성을 가짐과 동시에 구동 패널의 제2 전극측에 대향 배치된 밀봉 패널을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은, 구동용 기판에, 제1 전극, 발광층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유기층 및 제2 전극이 순차 적층된 복수의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하고, 발광층에서 발생된 빛을 제2 전극 측에서 추출하는 구동 패널을 형성하는 단계와, 밀봉용 기판에, 적색 필터, 녹색 필터 및 청색 필터, 및 적색 필터, 녹색 필터 및 청색 필터 중 적어도 두 개를 중첩시켜 이루어지는 흑색 매트릭스를, 인쇄법에 의해 형성함으로써 밀봉 패널을 형성하는 단계와, 유기 발광 소자를 덮도록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밀봉 패널을 구동 패널의 제2 전극층에 대향 배치하여 접착층을 경화시킴으로써 밀봉 패널과 구동 패널을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서는, 적색 필터, 녹색 필터 및 청색 필터를 인쇄법에 의해 형성함과 함께, 유기 발광 소자의 경계 영역에 대향하고 적색 필터, 녹색 필터 및 청색 필터 중 적어도 두 개를 인쇄법에 의해 중첩시키는 것에 의해 흑색 매트릭스를 형성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간단한 단계에서, 유기 EL 표시 장치에 있어서 요구되는 충분한 성능을 갖는 컬러 필터 및 흑색 매트릭스를 저비용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표시 장치는, 초박형의 유기 EL 컬러 디스플레이 장치 등으로서 이용되는 것이다. 이 표시 장치에서는, 예를 들면, 구동 패널(10)과 밀봉 패널(20)이 대향 배치되어, 접착층(30)에 의해 전면이 접합되어 있다. 구동 패널(10)은, 예를 들면, 유리 등의 절연 재료로 이루어지는 구동용 기판(11) 위에, 적색의 빛을 발생하는 유기 발광 소자(10R)와, 녹색의 빛을 발생하는 유기 발광 소자(10G)와, 청색의 빛을 발생하는 유기 발광 소자(10B)가, 순서대로 전체로서 매트릭스형으로 설치되어 있다.
유기 발광 소자(10R, 10G, 10B)는, 예를 들면, 구동용 기판(11) 측에서, 제1 전극으로서의 양극(12), 절연층(13), 유기층(14), 및 제2 전극으로서의 음극(15)이 이러한 순서대로 적층된 구조를 갖고 있다. 유기 발광 소자(10R, 10G, 10B)는, 예를 들면 질화 규소(SiN)로 이루어지는 보호층(패시베이션)(16)에 의해 덮여져 있다. 보호층(16)은, 유기 발광 소자(10R, 10G, 10B)로의 수분이나 산소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양극(12)은, 예를 들면, 적층 방향의 두께(이하, 단순히 두께라고 한다)가 200nm 정도이고, 백금(Pt), 금(Au), 은(Ag), 크롬(Cr) 혹은 텅스텐(W) 등의 금속, 또는 그 합금으로 구성되어 있다.
절연층(13)은, 양극(12)과 음극(15)의 절연성을 확보함과 함께, 유기 발광 소자(10R, 10G, 10B)에서의 발광 영역의 형상을 정확하게 원하는 형성으로 하기 위한 것이다. 절연층(13)은, 예를 들면, 두께가 600nm 정도이고, 이산화 규소(SiO2) 등의 절연 재료로 구성되어, 발광 영역에 대응하여 개구부(13A)(도 2 및 도 3 참조)가 설치되어 있다.
유기층(14)은, 유기 발광 소자(10R, 10G, 10B) 마다 구성이 다르다. 도 2는, 유기 발광 소자(10R, 10G, 10B)에서의 유기층(14)의 구성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것이다. 유기 발광 소자(10R, 10G, 10B)에서는, 유기층(14)은, 유기 재료로 각각 이루어지는 정공 주입층(14A), 정공 수송층(14B) 및 발광층(14C)이 양극(12) 측에서 이러한 순서대로 적층된 구조를 갖고 있다. 정공 주입층(14A) 및 정공 수송층(14B)은 발광층(14C)에서의 정공 주입 효율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발광층(14C)은 전류의 주입에 의해 빛을 발생하는 것이고, 절연층(13)의 개구부(13A)에 대응한 영역에서 발광하도록 되어 있다.
유기 발광 소자(10R)에서는, 정공 주입층(14A)는, 예를 들면, 두께가 30nm 정도이고, 4, 4', 4"-트리스(3-메틸페닐페닐아미노) 트리페닐아민(MTDATA)으로 구성되어 있다. 정공 수송층(14B)는, 예를 들면, 두께가 30nm 정도이고, 비스(bis)[(N-나프틸)-N-페닐] 벤지다인(α-NPD)으로 구성되어 있다. 발광층(14C)은, 예를 들면, 두께가 40nm 정도이고, 8-퀴놀리놀 알루미늄착제(aluminum complex)(Alq)에 4-디시아노메틸렌-6-(p-디메틸아미노스티릴)-2-메틸-4H-피란(DCM)을 2 체적% 혼합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유기 발광 소자(10G)에서는, 정공 주입층(14A) 및 정공 수송층(14B)는, 유기 발광 소자(10R)와 마찬가지의 재료로 구성되어 있고, 정공 주입층(14A)의 두께는 예를 들면 30nm 정도이고, 정공 수송층(14B)의 두께는 예를 들면 20nm 정도이다. 발광층(14C)은, 예를 들면, 두께가 50nm 정도이고, 8-퀴놀리놀 알루미늄착제(Alq)로 구성되어 있다.
도 3은, 유기 발광 소자(10B)에서의 유기층(14)의 구성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것이다. 유기 발광 소자(10B)에서는, 유기층(14)은, 유기 재료로 각각 이루어지는 정공 주입층(14A), 정공 수송층(14B), 발광층(14C) 및 전자 수송층(14D)이 양극 측에서 이러한 순서대로 적층된 구조를 갖고 있다. 전자 수송층(14D)는 발광층(14C)에서의 전자 주입 효율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유기 발광 소자(10B)에서는, 정공 주입층(14A) 및 정공 수송층(14B)는, 유기 발광 소자(10R, 10G)와 마찬가지의 재료로 구성되어 있고, 정공 수송층(14A)의 두 께는 예를 들면 30nm 정도이고, 정공 수송층(14B)의 두께는 예를 들면 30nm 정도이다. 발광층(14C)은, 예를 들면, 두께가 15nm 정도이고, 바소크푸로인(BCP)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자 수송층(14D)는, 예를 들면, 두께가 30nm 정도이고, Alq으로 구성되어 있다.
음극(15)은, 도 2 및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광층(14C)에서 발생된 빛에 대하여 반 투과성을 갖는 반 투과성 전극(15A)와, 발광층(14C)에서 발생된 빛에 대하여 투과성을 갖는 투명 전극(15B)가 유기층(14) 측에서 이러한 순서대로 적층된 구조를 갖고 있다. 이에 따라, 이 구동 패널(10)에서는, 도 1 내지 도 3에 있어서 파선의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발광층(14C)에서 발생된 빛을 음극(15) 측에서 추출하게 되어 있다.
반 투과성 전극(15A)는, 예를 들면, 두께가 10nm 정도이고, 마그네슘(Mg)과 은(Ag)의 합금(MgAg 합금)으로 구성되어 있다. 반 투과성 전극(15A)는, 발광층(14C)에서 발생된 빛을 양극(12) 사이에서 반사시키기 위한 것이다. 즉, 반 투과성 전극(15A)와 양극(12)에 의해, 발광층(14C)에서 발생된 빛을 공진시키는 공진기의 공진부를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공진기를 구성하도록 하면, 발광층(14C)에서 발생된 빛이 다중 간섭을 일으켜, 일종의 협대역 필터로서 작용함으로써, 추출되는 빛의 스펙트럼의 반값 폭이 감소하여, 색 순도를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밀봉 패널(20)로부터 입사된 외광에 대해서도 다중 간섭에 의해 감쇠시킬 수 있어, 후술하는 적색 필터(22R), 녹색 필터(22G) 및 청색 필터(22B)(도 1 참조)와의 조합에 의해 유기 발광 소자(10R, 10G, 10B)에서의 외광 의 반사율을 매우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그 때문에는, 협대역 필터의 피크 파장과, 추출하고자 하는 빛의 스펙트럼의 피크 파장을 일치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양극(12) 및 반 투과성 전극(15A)에서 생기는 반사광의 위상 시프트를 Φ(rad), 양극(12)과 반 투과성 전극(15A) 사이의 광학적 거리를 L, 음극(15) 측에서 추출하고자 하는 빛의 스펙트럼의 피크 파장을 λ로 하면, 이 광학적 거리 L은 수학식 1을 만족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실제로는, 수학식 1을 만족하는 최소 플러스값이 되도록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수학식 1에 있어서 L 및 λ은 단위가 공통되면 좋지만, 예를 들면, 나노메타(nm)을 단위로 한다.
Figure 112002040410139-pat00001
투명 전극(15B)는, 반 투과성 전극(15A)의 전기 저항을 저감하기 위한 것이며, 발광층(14C)에서 발생된 빛에 대하여 충분한 투광성을 갖는 도전성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투명 전극(15B)를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인듐과 아연(Zn)과 산소를 포함하는 화합물이 바람직한데, 이는 실온으로 성막해도 양호한 도전성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투명 전극(15B)의 두께는, 예를 들면, 200nm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밀봉 패널(20)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 패널(10)의 음극(15) 측에 위치하고 있어, 접착층(30)와 같이 유기 발광 소자(10R, 10G, 10B)를 밀봉하는 밀봉용 기판(21)을 갖고 있다. 밀봉용 기판(21)은, 유기 발광 소자(10R, 10G, 10B) 에서 발생된 빛에 대하여 투명한 유리 등의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밀봉용 기판(21)에는, 예를 들면, 컬러 필터로서 적색 필터(22R), 녹색 필터(22G) 및 청색 필터(22B), 및 흑색 매트릭스(23)가 제공되고, 유기 발광 소자(10R, 10G, 10B)에서 발생된 빛을 추출함과 동시에, 유기 발광 소자(10R, 10G, 10B) 및 그 사이에 위치하는 배선 전극 등(도시하지 않음)에 있어서 반사된 외광을 흡수하여, 콘트라스트를 개선하도록 되어 있다.
이들 적색 필터(22R), 녹색 필터(22G) 및 청색 필터(22B) 및 흑색 매트릭스(23)는, 밀봉용 기판(21)의 어느 측의 면에 제공되더라도 좋지만, 구동 패널(10) 측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색 필터(22R), 녹색 필터(22G) 및 청색 필터(22B) 및 흑색 매트릭스(23)가 표면에 노출되지 않고, 접착층(30)에 의해 보호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적색 필터(22R), 녹색 필터(22G) 및 청색 필터(22B)는, 유기 발광 소자(10R, 10G, 10B)에 대응하여 순서대로 배치되어 있다.
도 4는 구동 패널(10) 측에서 본 적색 필터(22R), 녹색 필터(22G) 및 청색 필터(22B)의 평면 구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또, 도 4에서는, 적색 필터(22R), 녹색 필터(22G) 및 청색 필터(22B)의 식별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서, 적색 필터(22R)에는 「R」를, 녹색 필터(22G)에는 「G」를, 청색 필터(22B)에는 「B」의 문자를 각각 표시하고 있다.
적색 필터(22R), 녹색 필터(22G) 및 청색 필터(22B)는, 유기 발광 소자(10R, 10G, 10B)에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인쇄법에 의해 형성된 것이고, 각각 예를 들면, 직각 형상을 갖는 상기 필터들은 델타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들 적색 필 터(22R), 녹색 필터(22G) 및 청색 필터(22B)는, 안료를 혼입한 수지로 각각 구성되어 있고, 안료를 선택함으로써 목적으로 하는 적색, 녹색 혹은 청색의 파장 대역에 있어서의 빛 투과율이 높게, 다른 파장 대역에 있어서의 빛 투과율이 낮게 되도록 조정되어 있다.
적색 필터(22R), 녹색 필터(22G) 및 청색 필터(22B)의 경계에 따라서, 흑색 매트릭스(23)가 제공되어 있다. 흑색 매트릭스(23)는, 도 1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색 필터(22R), 녹색 필터(22G) 및 청색 필터(22B) 중 적어도 두 개를 인쇄법에 의해 중첩시킨 구조를 포함하고, 유기 발광 소자(10R, 10G, 10B)의 경계 영역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접착층(30)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 패널(10)의 유기 발광 소자(10R, 10G, 10B)가 설치된 측의 전면을 덮음으로써, 유기 발광 소자(10R, 10G, 10B)의 부식 및 파손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단지, 접착층(30)은, 반드시 구동 패널(10)의 전면에 설치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적어도 유기 발광 소자(10R, 10G, 10B)를 덮도록 설치되어 있으면 좋다. 접착층(30)은 예를 들면 자외선 경화형 수지 또는 열 경화형 수지로 구성되어 있다.
이 표시 장치는,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하여 제조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이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공정 순서대로 나타내는 것이다. 우선,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상술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밀봉용 기판(21) 위에, 상술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적색 필터(22R)를 인쇄법에 의해 형성하며, 또한 녹색 필터(22G)를 인쇄법에 의해 형성한다. 이때, 적색 필터(22R)의 주엽부와 녹색 필터(22G)의 주엽부를 중첩시킴으로써, 흑색 매트릭스(23)를 형성한다. 인쇄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종래부터 행해지고 있는 그라비아 인쇄법을 적용할 수 있다. 즉, 우선 도시하지 않은 롤에 적색 필터(22R) 또는 녹색 필터(22G)의 재료를 균일하게 도포하며, 또한, 이 롤을, 적색 필터(22R) 또는 녹색 필터(22G)의 패턴이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판 위에서 회전시켜, 판에 적색 필터(22R) 또는 녹색 필터(22G)의 재료를 베껴 낸다. 마지막으로, 베껴 내여진 적색 필터(22R) 또는 녹색 필터(22G)의 재료를 밀봉용 기판(21)에 전사한다.
계속해서,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밀봉용 기판(21) 위에, 청색 필터(22B)를 인쇄법에 의해 형성한다. 이때, 청색 필터(22B)의 주엽부가 적색 필터(22R) 또는 녹색 필터(22G)의 주엽부에 중첩하도록 함으로써, 도 4에 도시하였던 것 같은 흑색 매트릭스(23)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밀봉 패널(20)이 제작된다.
또한,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상술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구동용 기판(11) 위에, 예를 들면 직류 스퍼터링에 의해, 상술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양극(12)을 형성한다. 계속해서, 양극(12) 위에, 예를 들면 CVD(화학적 기상 성장)법에 의해 절연층(13)을 상술한 두께로 성막하여, 예를 들면 리소그래피 기술을 이용하여 발광 영역을 대응하는 부분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개구부(13A)를 형성한다.
계속해서,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증착법에 의해 도시하지 않은 에리어 마스크를 이용하여, 절연층(13)의 개구부(13A)에 대응하여, 상술한 두께 및 재료로 이루어지는 정공 주입층(14A), 정공 수송층(14B), 발광층(14C) 및 전 자 수송층(14D)을 순차적으로 성막한다. 그 때, 유기 발광 소자(10R, 10G, 10B)에 의해 이용되는 에리어 마스크를 바꿔, 유기 발광 소자(10R, 10G, 10B)마다 성막한다. 또한, 개구부(13A)에만 고정밀도로 증착하는 것은 어렵기 때문에, 개구부(13A) 전체를 덮고, 절연층(13)의 모서리에 조금 이와 같이 성막하는 것도 가능하다. 유기층(14)을 형성한 후, 예를 들면 증착법에 의해 도시하지 않은 에리어 마스크를 이용하여, 상술한 두께 및 재료로 이루어지는 반 투과성 전극(15A)를 형성한다. 그 후, 반 투과성 전극(15A) 위에, 예를 들면 직류 스퍼터링에 의해, 반 투과성 전극(15A)와 동일한 에리어 마스크를 이용하여 투명 전극(15B)를 성막한다. 마지막으로 유기 발광 소자(10R, 10G, 10B)를 예를 들면 상술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보호층(16)에 의해 덮는다. 이에 따라, 구동 패널(10)이 형성된다.
밀봉 패널(20) 및 구동 패널(10)을 형성한 후,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용 기판(11)의 유기 발광 소자(10R, 10G, 10B)를 형성한 측에, 예를 들면 자외선 경화형 수지 또는 열 경화형 수지로 이루어지는 접착층(30)을 도포 형성한다. 이 도포는, 예를 들면, 슬릿 노즐형 디스펜서로부터 수지를 토출(吐出)시켜 행하도록 하더라도 좋고, 롤-코팅 혹은 스크린 인쇄 등에 의해 행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계속해서,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 패널(10)과 밀봉 패널(20)을 접착층(30)을 통해 접합한다. 그 때, 밀봉 패널(20) 중 적색 필터(22R), 녹색 필터(22G) 및 청색 필터(22B) 및 흑색 매트릭스(23)를 형성한 측의 면을, 구동 패널(10)과 대향시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접착층(30)에 기포 등이 혼입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속해서, 접착층(30)을 경화시키기 전에, 예를 들면 밀봉 패널(20)을 적절하게 이동시킴으로써, 밀봉 패널(20)과 구동 패널(10)의 상대 위치를 중첩시킨다. 즉, 유기 발광 소자(10R, 10G, 10B)와 적색 필터(22R), 녹색 필터(22G) 및 청색 필터(22B)의 위치를 중첩시킨다. 이 때, 접착층(30)은 미경화된 상태이고, 밀봉 패널(20)과 구동 패널(10의 상대 위치를 수백㎛ 정도 움직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자외선을 조사하거나 또는 소정 온도로 가열함으로써, 접착층(30)을 경화시켜, 구동 패널(10)과 밀봉 패널(20)을 접착시킨다. 이상에 의해,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표시 장치가 완성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제작된 표시 장치에서는, 양극(12)과 음극(15) 사이에 소정의 전압이 인가되면, 발광층(14C)에 전류가 주입되어, 정공과 전자가 재결합함으로써, 주로 발광층(14C) 측의 계면에서 발광이 발생한다. 이 빛은 양극(12)과 반 투과성 전극(15A) 사이에서 다중 반사하여, 음극(15), 접착층(30), 적색 필터(22R), 녹색 필터(22G) 및 청색 필터(22B) 및 밀봉용 기판(21)을 투과하여, 밀봉 패널(20)측에서 추출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밀봉 패널(20)에 적색 필터(22R), 녹색 필터(22G) 및 청색 필터(22B) 및 흑색 매트릭스(23)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밀봉 패널(20)로부터 입사된 외광이 유기 발광 소자(10R, 10G, 10B) 및 그 사이에 위치하는 배선 전극 등에 의해 반사되어 밀봉 패널(20)로부터 사출되는 것이 방지되어, 콘트라스트가 향상된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유기 발광 소자(10R, 10G, 10B)에, 반 투과성 전극(15A)와 양극(12)을 공진부로 하는 공진기가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다중 간섭함으로써, 추출되는 빛의 스펙트럼의 반값 폭이 작아져, 색 순도가 향상됨과 함께, 외광은 감쇠하여, 적색 필터(22R), 녹색 필터(22G) 및 청색 필터(22B)의 조합에 의해 외광의 반사율은 보다 작아진다. 즉, 콘트라스트가 보다 향상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르면, 밀봉용 기판(21)에 적색 필터(22R), 녹색 필터(22G) 및 청색 필터(22B)를 인쇄법에 의해 형성하여, 적색 필터(22R), 녹색 필터(22G) 및 청색 필터(22B) 중 적어도 두 개를 인쇄법에 의해 중첩시킴으로써 흑색 매트릭스(23)에 대하여 각각 1회씩, 총 3회의 인쇄 공정을 행할 뿐이고 적색 필터(22R), 녹색 필터(22G) 및 청색 필터(22B)를 형성 가능함과 동시에 흑색 매트릭스(23)도 형성할 수가 있어, 흑색 매트릭스(23)를 저비용으로 간단히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 흑색 매트릭스(23)는, 종래의 크롬과 산화 크롬의 적층 구조로 이루어지는 박막 필터, 혹은 흑색의 수지막에 비교하면, 인쇄법에 의해 형성되기 때문에 형상 정밀도가 낮으며, 적색, 녹색 및 청색 중 적어도 2색 밖에 중첩시키고 있지 않기 때문에 광학 농도도 낮다. 그러나, 백 라이트도 액정도 없는 유기 EL 디스플레이에 있어서는, 이와 같은 의사적 흑색의 흑색 매트릭스(23)이더라도, 소자 사이의 배선 전극에 의한 외광 반사를 방지하여 콘트라스트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충분하다.
또한, 유기 발광 소자(10R, 10G, 10B)가 반 투과성 전극(15A)와 양극(12)을 공진부로 하는 공진기를 갖도록 하면, 발광층(14C)에서 발생된 빛을 다중 간섭시키고, 일종의 협대역 필터로서 작용시킴에 따라, 추출하는 빛의 스펙트럼의 반값 폭을 감소시킬 수 있어, 색 순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밀봉 패널(20)로부터 입사한 외광에 대해서도 다중 간섭에 의해 감쇠시킬 수 있어, 적색 필터(22R), 녹 색 필터(22G) 및 청색 필터(22B)의 조합에 의해 유기 발광 소자(10R, 10G, 10B)에서의 외광의 반사율을 매우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콘트라스트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표시 장치는, 적색 필터(22R), 녹색 필터(22G) 및 청색 필터(22B)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트라이프 배치되어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1 실시 형태에서 도 1 내지 도 3을 설명한 표시 장치와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표시 장치에서는, 적색 필터(22R), 녹색 필터(22G) 및 청색 필터(22B)는 각각 인쇄법에 의해 스트라이프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색의 스트라이프의 사이에는 흑색 매트릭스(23)가 제공되어 있으며, 동시에 각 색의 스트라이프 내에도 일정 간격으로 흑색 매트릭스(23)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도 9에 일점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인접하는 적색 필터(22R), 녹색 필터(22G) 및 청색 필터(22B)에 의해 하나의 픽셀(화소)(25)가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0(b)의 단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적색 필터(22R) 상에 적색의 보색인 청색 필터(22B)가 중첩되어 있고, 이에 따라 흑색 매트릭스(23)가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단면도는 도시하지 않지만, 녹색 필터(22G)에는 녹색의 보색인 적색 필터(22G), 청색 필터(22B)에는 청색의 보색인 노란색을 포함하는 녹색 필터(22G)가 중첩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색 필터(22R), 녹색 필터(22G) 및 청색 필터(22B)를 갖는 표시 장치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여 제조할 수 있다. 즉, 우선, 도 1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밀봉용 기판(21)에 적색 필터(22R)를 인쇄법에 의해 형성한다. 이때, 적색 필터(22R)의 패턴은, 예를 들면, 인접하는 녹색 필터(22G)에 중첩시켜 흑색 매트릭스(23)를 형성하기 위한 가늘고 긴 돌출부(22R1)를 포함하고 있다.
다음에, 도1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녹색 필터(22G)를 인쇄법에 의해 형성한다. 이에 따라, 적색 필터(22R)의 돌출부(22R1)와 녹색 필터(22G)의 스트라이프가 중첩하여 흑색 매트릭스(23)가 형성된다. 녹색 필터(22G)도, 적색 필터(22R)와 같이, 인접하는 청색 필터(22B)에 중첩시켜 흑색 매트릭스(23)를 형성하기 위한 돌출부(22G1)를 포함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도 10(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청색 필터(22B)를 인쇄법에 의해 형성한다. 청색 필터(22B)도 또한, 적색 필터(22R)에 중첩시켜 흑색 매트릭스(23)를 형성하기 위한 돌출부(22B1)를 포함하고 있다. 이에 따라,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색 필터(22R), 녹색 필터(22G) 및 청색 필터(22B)가 형성되면 동시에 흑색 매트릭스(23)를 완성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밀봉 패널(20)을 형성한 후, 제1 실시 형태로 설명한 것과 같이 하여, 구동 패널(10)을 형성하여, 접착층(30)에 의해 양자를 접합한다.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르면, 적색 필터(22R), 녹색 필터(22G) 및 청색 필터(22B)를 스트라이프 배치한 경우에서도 적색 필터(22R), 녹색 필터(22G) 및 청색 필터(22B) 적어도 두 개를 중첩시킴으로써 흑색 매트릭스(23)를 형성할 수가 있어, 제1 실시 형태와 같이, 단지 3회의 인쇄 공정으로 적색 필터(22R), 녹색 필터(22G) 및 청색 필터(22B)를 형성함과 동시에 흑색 매트릭스(23)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간단한 제조 공정에 의해, 유기 EL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요구되는 충분한 성능·특성을 갖는 적색 필터(22R), 녹색 필터(22G) 및 청색 필터(22B) 및 흑색 매트릭스(23)를 저비용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22R1, 22G1, 22B1)는 가늘고 긴 형상이기 때문에, 인쇄법으로서는 높은 형성 정밀도는 기대할 수 없지만, 유기 EL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소자 사이의 배선 전극에 의한 외광 반사를 방지하기 위한 흑색 매트릭스(23)로서는 충분하다. 또한, 돌출부(22R1, 22G1, 22B1)와 각각에 인접하는 적색 필터(22R), 녹색 필터(22G) 및 청색 필터(22B)와의 엄격한 위치 중첩성도 요구되지 않고, 다소의 어긋남에 의해 간극이나 중첩이 형성되더라도 흑색 매트릭스(23)의 외광 반사 방지 기능에 악영향을 미치게 할 우려는 없다.
[제3 실시 형태]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표시 장치는, 반사 방지막(24)을 밀봉용 기판(21)의 구동 패널(10)에 대하여 반대측의 표면에 설치한 것을 제외하며, 제1 실시 형태로 설명한 표시 장치와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반사 방지막(24)은, 밀봉용 기판(21)에 있어서의 외광의 표면 반사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밀봉용 기판(21)을 예를 들면 유리로 구성된 경우, 그 표면 반사 는 4% 정도이지만, 적색 필터(22R), 녹색 필터(22G) 및 청색 필터(22B) 및 흑색 매트릭스(23) 등에 의해 표시 장치 내부에서의 외광 반사를 억제하면, 밀봉용 기판(21)에 있어서의 표면 반사도 무시할 수 없게 되기 때문이다.
반사 방지막(24)은, 예를 들면, 산화 규소(SiO2)와 산화 티탄(TiO2) 혹은 산화 니오븀(Nb2O5)를 적층한 박막 필터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혹은, 밀봉용 기판(21)의 표면에 AR(Anti Reflection) 필름을 접착함으로써 반사 방지막(24)을 형성해도 좋다.
이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르면,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효과외에, 밀봉용 기판(21)에 반사 방지막(24)을 설치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밀봉용 기판(21)에 있어서의 외광의 표면 반사를 작게 할 수 있어, 콘트라스트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실시 형태를 예를 들어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유기 발광 소자(10R, 10G, 10B)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절연층(13) 혹은 투명 전극(15B) 등의 모든 층을 구비할 필요는 없고, 또한, 다른 층을 추가로 구비하고 있더라도 좋다. 또한, 반 투과성 전극(15A)을 구비하지 않은 경우에 대해서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지만,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반 투과성 전극(15A)와 양극(12)을 공진부로 하는 공진기를 갖도록 하는 쪽이, 유기 발광 소자(10R, 10G, 10B)에서의 외광의 반사율을 작 게할 수 있어, 콘트라스트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전극을 양극으로 하고 제2 전극을 음극으로 하였지만, 제1 전극을 음극으로 하고 제2 전극을 양극으로 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양극 측에서 빛을 추출하게 되어, 양극이 반 투과성 전극 혹은 투명 전극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유기층(14)의 재료를 바꾸는 것에 의해 적색, 녹색 및 청색의 빛을 발생시키도록 하였지만, 본 발명은, 색변환층(Color Changing Mediums: CCM)를 조합함으로써, 또는 컬러 필터를 조합함으로써 이들의 빛을 발생시키도록 한 표시 장치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표시 장치, 또는 청구항 제9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적색 필터, 녹색 필터 및 청색 필터를 인쇄법에 의해 형성함과 함께, 유기 발광 소자의 경계 영역에 대향하여 적색 필터, 녹색 필터 및 청색 필터 중 적어도 두 개를 인쇄법에 의해 중첩시킴으로써 흑색 매트릭스를 형성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간단한 공정으로, 유기 EL 디스플레이에 있엇 요구되는 충분한 성능을 갖는 컬러 필터 및 흑색 매트릭스를, 저비용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6에 기재된 표시 장치, 또는 청구항 13에 기재된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밀봉용 기판에 반사 방지막을 설치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밀봉용 기판에 있어서의 외광의 표면 반사를 작게 할 수가 있어, 콘트라스트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청구항 7 또는 청구항 8에 기재된 표시 장치에 따르면, 반 투과성 전극과 제1 전극이 공진기의 공진부를 구성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발광층에서 발생된 빛을 다중 간섭시켜, 일종의 협태역 필터로서 작용시킴에 따라, 추출되는 빛의 스펙트럼의 반값 폭을 감소시킬 수 있어, 색 순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덧붙여, 밀봉 패널로부터 입사된 외광에 대해서도 다중 간섭에 의해 감쇠시킬 수 있어, 컬러 필터와의 조합에 의해 유기 발광 소자에 있어서의 외광의 반사율을 매우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콘트라스트를 보다 향상 시킬 수 있다.
상기 기술적 사상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수정 및 변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본 발명은 특정적으로 기술도지 않고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서 실행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13)

  1. 표시 장치에 있어서,
    구동용 기판에 제1 전극, 발광층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유기층 및 제2 전극이 순차 적층된 복수의 유기 EL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층에서 발생된 광을 상기 제2 전극 측으로부터 추출하는 구동 패널과,
    밀봉용 기판에, 상기 복수의 유기 EL 소자에 대향하도록 각각 인쇄법에 의해 형성된 적색 필터, 녹색 필터 및 청색 필터와, 상기 복수의 유기 EL 소자의 경계 영역에 대향하여 적어도 상기 적색 필터와 상기 청색 필터, 상기 녹색 필터와 상기 적색 필터, 및 상기 청색 필터와 상기 녹색 필터가 인쇄법에 의해 중첩하여 이루어지는 흑색 매트릭스를 배치한 구성을 가지며, 상기 구동 패널의 상기 제2 전극측에 대향하여 배치된 밀봉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 패널과 상기 밀봉 패널은, 자외선 경화형 수지 또는 열 경화형 수지로 이루어지는 접착층을 개재하여 접합되고, 상기 접착층은 상기 구동 패널의 상기 복수의 유기 EL 소자가 설치된 측의 전체면을 피복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색 필터, 녹색 필터, 청색 필터 및 상기 흑색 매트릭스는, 상기 밀봉용 기판의 상기 구동 패널 측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색 필터, 녹색 필터 및 청색 필터는 각각 인쇄법에 의해 스트라이프형으로 형성되며, 인접하는 각 색 필터의 스트라이프에 중첩시켜 상기 흑색 매트릭스를 형성하기 위한 돌출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패널은, 상기 밀봉용 기판의 상기 구동 패널 반대측에 제공된 반사 방지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발광층에서 발생된 광에 대하여 반 투과성인 반 투과성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반 투과성 전극과 상기 제1 전극은, 상기 발광층에서 발생된 광을 공진시키는 공진기의 공진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반 투과성 전극에 의해 반사되는 반사광의 위상 시프트가 φ,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반 투과성 전극 사이의 광학적 거리가 L, 상기 제2 전극 측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스펙트럼의 피크 파장을 λ로 하면, 상기 광학적 거리 L은,
    Figure 112007087258821-pat00019
    를 만족하는 양의 최소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9.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구동용 기판에, 제1 전극, 발광층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유기층 및 제2 전극이 순차 적층된 복수의 유기 EL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층에서 발생된 광을 상기 제2 전극 측으로부터 추출하는 구동 패널을 형성하는 단계와,
    밀봉용 기판에, 적색 필터, 녹색 필터 및 청색 필터와, 적어도 상기 적색 필터와 상기 청색 필터, 상기 녹색 필터와 상기 적색 필터, 및 상기 청색 필터와 상기 녹색 필터를 중첩함으로써 이루어지는 흑색 매트릭스를, 인쇄법에 의해 형성함으로써 밀봉 패널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구동 패널의 상기 복수의 유기 EL 소자가 설치된 측의 전체면을 피복하도록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밀봉 패널을 상기 구동 패널의 상기 제2 전극측에 대향 배치하고 상기 접착층을 경화시킴으로써 상기 밀봉 패널과 상기 구동 패널을 서로 접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적색 필터, 녹색 필터, 청색 필터 및 상기 흑색 매트릭스가, 상기 밀봉용 기판의 상기 구동 패널 측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1. 삭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패널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적색 필터를 인쇄법에 의해 돌출부를 갖는 스트라이프형으로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녹색 필터를 인쇄법에 의해 돌출부를 갖는 스트라이프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적색 필터의 돌출부와 상기 녹색 필터의 스트라이프를 중첩시킴으로써 상기 흑색 매트릭스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청색 필터를 인쇄법에 의해 돌출부를 갖는 스트라이프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녹색 필터의 돌출부와 상기 청색 필터의 스트라이프를 중첩시켜 상기 흑색 매트릭스를 형성하고, 상기 청색 필터의 돌출부와 상기 적색 필터의 스트라이프를 중첩시킴으로써 상기 흑색 매트릭스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패널은, 상기 밀봉용 기판의 상기 구동 패널 반대측에 반사 방지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020076882A 2001-12-06 2002-12-05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09006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372949 2001-12-06
JPJP-P-2001-00372949 2001-12-06
JP2002305463A JP2003234186A (ja) 2001-12-06 2002-10-21 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JP-P-2002-00305463 2002-10-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7761A KR20030047761A (ko) 2003-06-18
KR100900600B1 true KR100900600B1 (ko) 2009-06-02

Family

ID=26624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6882A KR100900600B1 (ko) 2001-12-06 2002-12-05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6969948B2 (ko)
JP (1) JP2003234186A (ko)
KR (1) KR100900600B1 (ko)
CN (1) CN1276687C (ko)
SG (1) SG107123A1 (ko)
TW (1) TWI22396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25488B2 (en) * 2000-01-26 2004-11-30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3724725B2 (ja) 2001-11-01 2005-12-07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3705264B2 (ja) * 2001-12-18 2005-10-1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TW588571B (en) * 2002-05-24 2004-05-21 Sanyo Electric Co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US7307381B2 (en) * 2002-07-31 2007-12-11 Dai Nippon Printing Co., Ltd. Electroluminescent display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4651922B2 (ja) * 2002-08-09 2011-03-16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El表示装置
US7081704B2 (en) * 2002-08-09 2006-07-25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4300396B2 (ja) * 2002-09-20 2009-07-22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表示素子の製造方法及び表示素子
JP3703028B2 (ja) * 2002-10-04 2005-10-05 ソニー株式会社 表示素子およびこれを用いた表示装置
US7710019B2 (en) * 2002-12-11 2010-05-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comprising auxiliary electrodes
KR100895313B1 (ko) * 2002-12-11 2009-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판
US20040140757A1 (en) * 2003-01-17 2004-07-22 Eastman Kodak Company Microcavity OLED devices
US20040155576A1 (en) * 2003-01-17 2004-08-12 Eastman Kodak Company Microcavity OLED device
JP2004229062A (ja) * 2003-01-24 2004-08-12 Pioneer Electronic Corp 立体映像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3915734B2 (ja) * 2003-05-12 2007-05-16 ソニー株式会社 蒸着マスクおよびこれを用いた表示装置の製造方法、ならびに表示装置
JP4359091B2 (ja) * 2003-07-16 2009-11-04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ス表示パネル
JP2005062480A (ja) * 2003-08-12 2005-03-10 Seiko Epson Corp カラーフィルタ、カラーフィルタの製造方法、表示装置、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7030553B2 (en) * 2003-08-19 2006-04-18 Eastman Kodak Company OLED device having microcavity gamut subpixels and a within gamut subpixel
KR100552962B1 (ko) * 2003-08-28 2006-02-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JP4403399B2 (ja) * 2003-09-19 2010-01-27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EP3447816A1 (en) 2003-09-19 2019-02-27 Sony Corporation Display unit,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organic light emitting uni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JP4497881B2 (ja) * 2003-09-30 2010-07-07 三洋電機株式会社 有機el素子および有機elパネル
JP4428979B2 (ja) * 2003-09-30 2010-03-10 三洋電機株式会社 有機elパネル
JP4716699B2 (ja) 2003-09-30 2011-07-06 三洋電機株式会社 有機elパネル
JP4595955B2 (ja) * 2003-10-23 2010-12-0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有機el装置の製造方法、有機el装置、電子機器
JP4739185B2 (ja) * 2004-03-05 2011-08-03 出光興産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
CN100484356C (zh) * 2004-03-05 2009-04-29 出光兴产株式会社 有机电致发光显示装置
JP5430048B2 (ja) * 2004-03-31 2014-02-26 双葉電子工業株式会社 自発光型表示装置
JP2005302313A (ja) * 2004-04-06 2005-10-27 Idemitsu Kosan Co Ltd 有機el表示装置及びフルカラーデバイス
US7129634B2 (en) * 2004-04-07 2006-10-31 Eastman Kodak Company Color OLED with added color gamut pixels
US7180238B2 (en) * 2004-04-08 2007-02-20 Eastman Kodak Company Oled microcavity subpixels and color filter elements
KR101098343B1 (ko) * 2004-06-03 2011-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계발광표시장치, 색필터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06032010A (ja) * 2004-07-13 2006-02-02 Hitachi Displays Ltd 有機el表示装置
US7316756B2 (en) * 2004-07-27 2008-01-08 Eastman Kodak Company Desiccant for top-emitting OLED
WO2006013373A2 (en) * 2004-08-04 2006-02-09 Cambridge Display Technology Limite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CA2577342A1 (en) * 2004-08-23 2006-03-02 National Research Council Of Canada High performance light-emitting devices
KR101197691B1 (ko) 2004-09-24 2012-11-05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발광장치
KR100607520B1 (ko) * 2004-11-11 2006-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기 전계발광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4939809B2 (ja) 2005-01-21 2012-05-30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発光装置
JP4830328B2 (ja) * 2005-03-25 2011-12-0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発光装置
JP4747626B2 (ja) * 2005-03-25 2011-08-1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発光装置
US20060290276A1 (en) * 2005-06-22 2006-12-28 Eastman Kodak Company OLED device having spacers
US8729795B2 (en) * 2005-06-30 2014-05-20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JP4378366B2 (ja) * 2005-08-04 2009-12-02 キヤノン株式会社 発光素子アレイ
CN100461977C (zh) * 2005-08-15 2009-02-11 中华映管股份有限公司 有机电致发光显示器
CN100444425C (zh) * 2005-08-26 2008-12-17 中华映管股份有限公司 堆叠式有机电致发光元件及其制造方法
TWI299239B (en) 2005-11-10 2008-07-21 Au Optronics Corp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KR20080066680A (ko) * 2005-11-11 2008-07-16 후지 덴키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유기 el 발광 디스플레이
KR100742372B1 (ko) * 2005-11-29 2007-07-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제조방법
JP2007173083A (ja) * 2005-12-22 2007-07-05 Canon Inc 発光装置
US7336023B2 (en) * 2006-02-08 2008-02-26 Youh Meng-Jey Cold cathode field emission devices having selective wavelength radiation
KR101244898B1 (ko) * 2006-06-28 2013-03-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JP2008059791A (ja) * 2006-08-29 2008-03-13 Canon Inc 有機el素子アレイ
US7924272B2 (en) * 2006-11-27 2011-04-12 Microsoft Corporation Infrared sensor integrated in a touch panel
KR100858823B1 (ko) * 2007-05-30 2008-09-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JP5470689B2 (ja) * 2007-08-30 2014-04-16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
JP4858379B2 (ja) * 2007-09-18 2012-01-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発光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5217791B2 (ja) * 2007-10-18 2013-06-1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発光装置及び電子機器
JP5315761B2 (ja) * 2008-04-15 2013-10-1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装置
JP5470813B2 (ja) * 2008-11-20 2014-04-16 ソニー株式会社 反射板、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0282992A (ja) * 2009-06-02 2010-12-16 Sony Corp 固体撮像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電子機器
KR101065410B1 (ko) * 2009-07-28 2011-09-16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JP5406301B2 (ja) * 2009-09-09 2014-02-0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
US9563004B2 (en) 2009-10-27 2017-02-07 Dai Nippon Printing Co., Ltd. Image source unit and image display unit
US9244204B2 (en) * 2009-10-27 2016-01-26 Dai Nippon Printing Co., Ltd. Image source unit and image display unit
CN102577610B (zh) * 2009-11-10 2015-04-08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有机电致发光显示装置
JP5423325B2 (ja) * 2009-11-10 2014-02-19 ソニー株式会社 発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307555B1 (ko) * 2009-12-28 2013-09-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평판 표시장치 제조 방법
JP5445364B2 (ja) * 2010-07-09 2014-03-1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有機el装置、有機el装置の製造方法、ならびに電子機器
FR2962853A1 (fr) * 2010-07-13 2012-01-20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Diode electroluminescente organique et ecran a faible reflectivite.
JP5605050B2 (ja) * 2010-07-21 2014-10-1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有機el装置の製造方法
JP5459142B2 (ja) * 2010-08-11 2014-04-0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有機el装置、有機el装置の製造方法、及び電子機器
JP5720887B2 (ja) * 2011-03-30 2015-05-20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6216540B2 (ja) * 2012-05-30 2017-10-18 ローム株式会社 有機el発光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および積層カラーフィルタ
JP5573898B2 (ja) * 2012-08-10 2014-08-2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用カラーフィルタ
JP6019997B2 (ja) 2012-09-26 2016-11-02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TWI599082B (zh) 2012-10-09 2017-09-1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增亮型自發光型顯示器
JP6186697B2 (ja) * 2012-10-29 2017-08-3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有機el装置の製造方法、有機el装置、電子機器
KR20210068609A (ko) * 2012-10-30 2021-06-09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발광 패널,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발광 패널을 제작하는 방법
TWI518381B (zh) 2013-03-08 2016-01-21 元太科技工業股份有限公司 彩色濾光片與顯示器
JP6564559B2 (ja) * 2013-05-10 2019-08-21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表示パネル及び電子機器
JP6191287B2 (ja) 2013-07-05 2017-09-06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
KR102092842B1 (ko) * 2013-08-07 2020-04-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JP6248522B2 (ja) * 2013-10-03 2017-12-2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
JP2015144087A (ja) 2014-01-31 2015-08-06 ソニー株式会社 有機電界発光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6318676B2 (ja) 2014-02-14 2018-05-0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有機発光装置の製造方法、有機発光装置、及び電子機器
CN103943662B (zh) * 2014-04-21 2017-03-15 上海和辉光电有限公司 全彩有机发光二极管结构及其制作方法
KR102369095B1 (ko) 2014-10-07 2022-03-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JP6520065B2 (ja) * 2014-11-19 2019-05-2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カラーフィルタ付き有機led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および反射防止層付きカラーフィルタ
KR102487880B1 (ko) * 2014-11-25 2023-01-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N105633115B (zh) * 2014-11-27 2018-11-09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Oled器件及其制造方法、显示装置
CN105633116B (zh) * 2014-12-01 2018-11-13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Oled器件及其制造方法、显示装置
CN105140247B (zh) * 2015-10-10 2018-02-1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有机发光二极管阵列基板、制造方法及使用其的显示器
KR102626690B1 (ko) * 2016-09-30 2024-01-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포함한 헤드 장착형 디스플레이
JP2018081799A (ja) 2016-11-15 2018-05-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及び、電子機器
JP6930092B2 (ja) 2016-11-17 2021-09-0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及び、電子機器
KR102424688B1 (ko) * 2017-07-10 2022-07-25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유기 발광 소자의 광학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KR102502221B1 (ko) 2017-08-08 2023-02-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색 변환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07634149A (zh) * 2017-09-14 2018-01-2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及其制备方法
US10707274B2 (en) 2017-10-20 2020-07-07 Wuhan China Star Optoelectronics Semiconductor Display Technology Co., Ltd. Display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7799572A (zh) * 2017-10-20 2018-03-13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有机发光二极管显示器
KR102444611B1 (ko) * 2017-12-07 2022-09-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0490777B2 (en) 2018-01-31 2019-11-26 Wuhan China Star Optoelectronics Semiconductor Display Technology Co., Ltd. OLED displa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8288640B (zh) * 2018-01-31 2020-04-10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Oled显示器及其制作方法
JP7130411B2 (ja) * 2018-04-03 2022-09-05 キヤノン株式会社 発光装置、表示装置および撮像装置
JP7418949B2 (ja) * 2018-04-03 2024-01-22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装置、撮像装置
WO2019220283A1 (ja) 2018-05-18 2019-11-21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発光素子、発光装置、電子機器および照明装置
US10581011B2 (en) * 2018-06-01 2020-03-03 Int Tech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with different light emitting material overlapping width
WO2020003056A1 (ja) * 2018-06-29 2020-01-02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表示パネル、表示装置、入出力装置、情報処理装置
CN109148718B (zh) * 2018-08-20 2020-08-04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有机发光显示面板及其制造方法
CN110323354B (zh) * 2019-04-25 2021-12-14 昆山工研院新型平板显示技术中心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0164929B (zh) * 2019-05-17 2021-06-11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一种有机发光显示装置
JP2021021875A (ja) * 2019-07-30 2021-02-18 エルジー ディスプレイ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表示装置
US11587988B2 (en) 2019-08-27 2023-02-21 Boe Technology Group Co., Ltd. Preparation method of color film layer, display substrat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N110707132A (zh) * 2019-09-06 2020-01-17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Oled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
KR20210109716A (ko) * 2020-02-27 2021-09-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US20210305324A1 (en) * 2020-03-30 2021-09-30 Canon Kabushiki Kaisha Color filter array,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olor filter array
CN112099122A (zh) * 2020-09-24 2020-12-18 深圳市奥视微科技有限公司 滤光膜以及显示器件
KR20220110409A (ko) * 2021-01-29 2022-08-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73023A (ja) * 1987-01-13 1988-07-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液晶表示体用カラ−フイルタの製造法
KR930023739A (ko) * 1992-05-18 1993-12-21 이헌조 칼라필터 제조방법
JPH07181316A (ja) * 1993-12-22 1995-07-21 Toppan Printing Co Ltd カラーフィルターの製造方法
JP2680721B2 (ja) * 1990-07-02 1997-11-19 シャープ株式会社 薄膜elパネル
KR20000012127A (ko) * 1998-07-31 2000-02-25 이데이 노부유끼 반사 방지막 및 음극선관
JP2001126862A (ja) * 1999-10-25 2001-05-11 Futaba Corp カラーフィルターを備えた有機エレクトロルミセント素子
KR20010101640A (ko) * 1999-11-22 2001-11-14 이데이 노부유끼 표시 소자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87303A (ja) 1989-04-28 1990-11-27 Ube Ind Ltd 多層カラーフィルター
US5239228A (en) * 1990-07-02 1993-08-24 Sharp Kabushiki Kaisha Thin-film electroluminescence device for displaying multiple colors with groove for capturing adhesive
JP2823725B2 (ja) * 1992-01-18 1998-11-11 シャープ株式会社 カラー薄膜elパネル
US5668649A (en) * 1994-03-07 1997-09-16 Hitachi, Ltd. Structure of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for antireflection
JPH0895024A (ja) * 1994-09-28 1996-04-12 Canon Inc カラーフィルター、その製造方法、及び同カラーフィルターを組込んだ液晶表示パネル
JP2838063B2 (ja) * 1995-09-20 1998-12-16 出光興産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US5780174A (en) * 1995-10-27 1998-07-14 Kabushiki Kaisha Toyota Chuo Kenkyusho Micro-optical resonator typ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JP3591676B2 (ja) 1996-08-19 2004-11-24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US6072450A (en) * 1996-11-28 2000-06-06 Casio Computer Co., Ltd. Display apparatus
JP2000029014A (ja) 1998-07-07 2000-01-28 Sharp Corp 液晶表示素子用カラーフィルタ基板及び液晶表示素子
JP3558533B2 (ja) 1998-09-16 2004-08-25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TW522453B (en) * 1999-09-17 2003-03-01 Semiconductor Energy Lab Display device
US6641933B1 (en) * 1999-09-24 2003-11-04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emitting EL display device
TW465122B (en) * 1999-12-15 2001-11-21 Semiconductor Energy Lab Light-emitting device
JP2001181821A (ja) 1999-12-20 2001-07-03 Murata Mfg Co Ltd 真空成膜装置
US6646692B2 (en) * 2000-01-26 2003-11-1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quid-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JP2001230072A (ja) * 2000-02-18 2001-08-24 Denso Corp 有機el表示装置
JP2001267070A (ja) * 2000-03-22 2001-09-28 Sharp Corp カラーel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2002221616A (ja) * 2000-11-21 2002-08-09 Seiko Epson Corp カラーフィルタ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液晶装置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el装置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の制御装置、材料の吐出方法及び材料の吐出装置、並びに電子機器
JP3613257B2 (ja) * 2001-05-02 2005-01-2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カラー表示用基板、カラーフィルタ用基板、カラー発光用基板、カラー表示用基板の製造方法、電気光学装置、電子機器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73023A (ja) * 1987-01-13 1988-07-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液晶表示体用カラ−フイルタの製造法
JP2680721B2 (ja) * 1990-07-02 1997-11-19 シャープ株式会社 薄膜elパネル
KR930023739A (ko) * 1992-05-18 1993-12-21 이헌조 칼라필터 제조방법
JPH07181316A (ja) * 1993-12-22 1995-07-21 Toppan Printing Co Ltd カラーフィルターの製造方法
KR20000012127A (ko) * 1998-07-31 2000-02-25 이데이 노부유끼 반사 방지막 및 음극선관
JP2001126862A (ja) * 1999-10-25 2001-05-11 Futaba Corp カラーフィルターを備えた有機エレクトロルミセント素子
KR20010101640A (ko) * 1999-11-22 2001-11-14 이데이 노부유끼 표시 소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223969B (en) 2004-11-11
TW200301066A (en) 2003-06-16
US6969948B2 (en) 2005-11-29
US20030107314A1 (en) 2003-06-12
SG107123A1 (en) 2004-11-29
US6971938B2 (en) 2005-12-06
KR20030047761A (ko) 2003-06-18
JP2003234186A (ja) 2003-08-22
CN1426269A (zh) 2003-06-25
CN1276687C (zh) 2006-09-20
US20040147200A1 (en) 2004-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0600B1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11258036B2 (en) Display apparatus including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s
US7173373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unit
JP4736284B2 (ja) 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