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5904B1 - 레이저 어닐링장치 및 반도체장치의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레이저 어닐링장치 및 반도체장치의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5904B1
KR100885904B1 KR1020020046477A KR20020046477A KR100885904B1 KR 100885904 B1 KR100885904 B1 KR 100885904B1 KR 1020020046477 A KR1020020046477 A KR 1020020046477A KR 20020046477 A KR20020046477 A KR 20020046477A KR 100885904 B1 KR100885904 B1 KR 1008859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ser
substrate
laser light
semiconductor film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6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4609A (ko
Inventor
야마자키순페이
타나카코이치로
히로키마사아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Publication of KR20030014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46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5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59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08Devices involv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laser beam and workpiece
    • B23K26/083Devices involving movement of the workpiece in at least one axial direction
    • B23K26/0838Devices involving movement of the workpiece in at least one axial direction by using an endless conveyor bel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6Bombardment with radiation
    • H01L21/263Bombardment with radiation with high-energy radiation
    • H01L21/268Bombardment with radiation with high-energy radiation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laser radi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367Substrates
    • H01L21/0237Materials
    • H01L21/02373Group 14 semiconducting materials
    • H01L21/02381Silicon, silicon germanium, germaniu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367Substrates
    • H01L21/0237Materials
    • H01L21/0242Crystalline insulating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367Substrates
    • H01L21/0237Materials
    • H01L21/02422Non-crystalline insulating materials, e.g. glass, 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436Intermediate layers between substrates and deposited layers
    • H01L21/02439Materials
    • H01L21/02488Insulating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436Intermediate layers between substrates and deposited layers
    • H01L21/02439Materials
    • H01L21/02491Conductive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436Intermediate layers between substrates and deposited layers
    • H01L21/02494Structure
    • H01L21/02496Layer structure
    • H01L21/02505Layer structure consisting of more than two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518Deposited layers
    • H01L21/02521Materials
    • H01L21/02524Group 14 semiconducting materials
    • H01L21/02532Silicon, silicon germanium, germaniu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656Special treatments
    • H01L21/02664Aftertreatments
    • H01L21/02667Crystallisation or recrystallisation of non-monocrystalline semiconductor materials, e.g. regrowth
    • H01L21/02675Crystallisation or recrystallisation of non-monocrystalline semiconductor materials, e.g. regrowth using laser beams
    • H01L21/02678Beam shaping, e.g. using a mas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656Special treatments
    • H01L21/02664Aftertreatments
    • H01L21/02667Crystallisation or recrystallisation of non-monocrystalline semiconductor materials, e.g. regrowth
    • H01L21/02675Crystallisation or recrystallisation of non-monocrystalline semiconductor materials, e.g. regrowth using laser beams
    • H01L21/02683Continuous wave laser bea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656Special treatments
    • H01L21/02664Aftertreatments
    • H01L21/02667Crystallisation or recrystallisation of non-monocrystalline semiconductor materials, e.g. regrowth
    • H01L21/02675Crystallisation or recrystallisation of non-monocrystalline semiconductor materials, e.g. regrowth using laser beams
    • H01L21/02686Pulsed laser bea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656Special treatments
    • H01L21/02664Aftertreatments
    • H01L21/02667Crystallisation or recrystallisation of non-monocrystalline semiconductor materials, e.g. regrowth
    • H01L21/02691Scanning of a beam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21D1/34Methods of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Recrystallisation Techniqu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형 기판에 대응하기 위해서 운전비용이 낮은 레이저 어닐링장치를 사용한 레이저 어닐링방법에 있어서, 동심원 모양이 형성되지 않거나 또는 감소하기 위한 레이저 어닐링방법 및, 상기 레이저 어닐링법을 공정에 포함하는 반도체장치의 제작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20∼200cm/s 사이의 일정한 속도로 기판을 이동시키면서, 상기 반도체 기판의 표면상의 반도체막에 레이저광을 비스듬하게 조사시킨다. 따라서, 대형 기판상의 반도체막에서도 균일한 레이저광을 조사할 수 있어, 동심원 모양의 발생을 방지하거나 감소한 반도체장치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레이저광을 하나의 자속에 집광함으로써, 동심원 모양의 발생을 방지 또는 감소할 수 있어, 반도체장치의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
Figure R1020020046477
레이저 어닐링장치, 반도체장치, 대형 기판, 동심원 모양, 반도체막

Description

레이저 어닐링장치 및 반도체장치의 제작방법{LASER ANNEALING APPARATUS AND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METHOD}
도 1은 레이저광 조사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레이저 어닐링장치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레이저 어닐링장치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피처리 기판의 X 및 Y 방향에 관한 설명도,
도 5는 피처리 기판의 이동시간과 속도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의 레이저 어닐링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반도체장치의 제작공정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반도체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9의 (a)는 화소부에서의 TFT의 개략도, (b)는 구동회로에서의 TFT의 개략도,
도 10의 (a)는 비정질 실리콘막(두께: 55nm)에서의 파장에 대한 반사율을 도시한 도면, (b)는 비정질 실리콘막(두께: 55nm)에서의 파장에 대한 투과율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레이저 어닐링장치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레이저 어닐링장치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레이저 어닐링장치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00 : 레이저광 601 : 투명 창문
602 : 레이저 어닐링 실 603 : 스탠드
604 : 스테이지 605 : 이동기구
606 : 피처리 기판 607 : 가스 공급관
608 : 게이트 밸브 609 : 레이저 발진장치
610 : 광학계 611 : 거울
630 : 배기펌프
본 발명은 레이저광을 사용한 반도체막의 레이저 어닐링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레이저 어닐링법을 포함하는 공정을 통하여 제작된 반도체장치의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말하는 반도체장치란, 반도체특성을 이용함으로써 기능할 수 있는 일반 장치 중의 하나로, 액정표시장치나 발광장치 등의 전기광학장치 및 해당 전기광학장치를 부품으로서 포함하는 전자장치도 포함하는 것이다.
최근, 유리 등의 절연기판 상에 형성된 반도체막에 대하여, 레이저 어닐링법을 실행하고, 결정화 또는 결정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이 널리 연구되고 있다. 상기 반도체막에는, 실리콘이 자주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반도체막을 레이저광으로 결정화하여, 결정질 반도체막을 얻는 수단을 레이저 결정화라고 한다.
종래 빈번하게 사용되어 온 합성 석영 유리기판과 비교하여, 유리기판은, 염가로 가공성이 풍부하고, 대면적 기판을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는 이점을 갖고 있다. 이것이 상기 연구가 행해지는 이유이다. 또한, 결정화에 자주 레이저가 사용되는 것은, 유리기판의 융점이 낮은 것이 그 이유이다. 레이저는, 기판의 온도를 실질적으로 상승시키지 않고서, 반도체막만 높은 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스루풋은, 전기로를 사용한 가열수단과 비교하여 특별히 높다.
결정질 반도체막은, 많은 결정립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다결정 반도체막이라고도 불린다. 레이저 어닐링을 통해 형성된 결정질 반도체막은, 높은 이동도를 가지기 때문에, 이 결정질 반도체막을 사용하여 박막트랜지스터(TFT)를 형성한다. 예를 들면, 그들은, 한 장의 유리 기판 상에 화소구동용과 구동회로용의 TFT를 형성한 모놀리식형 액정 전기 광학장치 등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또한, 출력이 큰 엑시머 레이저 등의 펄스 레이저 광을, 조사면에서, 수 cm 제곱에서 네모난 스폿이나, 길이 10cm 이상의 선형이 되도록 광학계를 통해 가공하여, 레이저광을 주사시켜(또는 레이저광의 조사위치를 피조사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시켜), 레이저 어닐링법을 행하는 방법이 양산성이 높고 산업적으로 우수하기 때문에, 즐겨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레이저광을 선형으로 가공하는 것은, 조 사면에서의 형상이 선형이 되도록 레이저광을 가공해 두는 것을 의미한다. 즉, 레이저광의 단면형상을 선형으로 가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선형"은, 엄밀한 의미로 "선"을 뜻하는 것은 아니고, 종횡비가 큰 직사각형 또는 타원형상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종횡비가 10 이상(바람직하게는 100∼10000)이다.
특히, 선형빔을 사용하면, 주사가 필요한 스폿형의 레이저광을 사용한 경우와는 달리, 선형빔의 길이방향에 직각인 방향만의 주사로 피조사면 전체에 레이저조사를 할 수 있어, 양산성이 높다. 길이방향에 직각인 방향으로 주사하는 것은, 그것이 가장 효율이 좋은 주사방향이기 때문이다. 이 높은 양산성으로 인해, 현재레이저 어닐링법에는 펄스 발진 엑시머 레이저광을 적당한 광학계로 가공한 선형빔을 사용하는 것이, TFT를 사용하는 액정표시장치의 제조기술의 주류가 되고 있다.
엑시머 레이저광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여기가스로서, KrF(파장 : 248nm) 또는 XeCl(파장 : 308nm)이 사용된다. 그러나, Kr(크립톤)과 Xe(크세논)과 같은 가스는 대단히 고가이다. 이로 인해, Kr 또는 Xe이 이용되고 가스교환이 빈도가 높게 수행되면, 제조비용의 증가를 초래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레이저발진을 행하는 레이저 튜브와 발진과정에서 생성한 불필요한 화합물을 제거하기 위한 가스 정제기 등의 부속기기의 교환이 2년 또는 3년에 한번 필요해진다. 이것들의 부속기기는, 대부분 비싸고, 역시 제조비용의 증가를 초래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상과 같이, 엑시머 레이저광을 사용한 레이저 조사장치는 확실히 높은 성능을 갖는다. 그러나, 유지보수에 대단히 손이 많이 가서, 양산용 레이저 조사장치로서는 운전비용(여기서는 장치의 가동에 따라 발생하는 비용을 의미한다)이 비싸다고 하는 결점도 더불어 갖고 있다.
그래서, 엑시머 레이저와 비교하여 운전비용이 낮은 레이저와 및 그 레이저를 사용한 레이저 어닐링법을 실현하기 위해서, 고체 레이저(결정 로드를 공진 캐비티로 한 레이저광을 출력하는 고체 레이저)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그래서, 대표적인 고체 레이저의 하나인 YAG 레이저를 사용하여, 반도체막에 조사하였다. 상기 YAG 레이저는, 비선형 광학소자에 의해서 제 2 고조파로 변조한 레이저광(파장 : 532nm)을 광학계에 의해 조사면에서의 형상이 선형인 선형 빔으로 가공하였다. 또한, 상기 반도체막은, (코닝사 제조 "1737 기판") 기판 상에, 플라즈마 CVD 법에 의해 두께 55nm의 비정질 실리콘막을 형성한 것이다. 그렇지만, 상기비정질 실리콘막에 레이저 어닐링법을 포함하는 공정을 행하여 얻을 수 있는 결정질 실리콘막에는, 동심원 모양이 형성되었다. 이 모양은, 면내에서의 결정질 실리콘막의 물성이 불균일한 것을 보이고 있다. 그 때문에, 동심원 모양이 형성된 결정질 반도체를 사용하여 TFT를 제작하더라도, 그 전기적 특성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여기서, 본 명세서에서는, 동심형 원을 갖는 모양을 동심원 모양이라 칭한다.
또한, 전기광학장치의 화면이 대화면화됨에 따라서, 마더(mother) 유리의 면적이 증가한다. 기판으로서 기능하는 그 마더 유리에 형성된 반도체층에 고속으로 레이저를 조사하는 요구가 상기 레이저 어닐링 방법에 대해 높아지고 있다.
또한, 반도체층을 결정화시킬때는, 잠시 반도체층을 융해시키지만, 이 경우, 레이저광 파워의 부족을 보충하는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운전비용이 낮은 레이저 조사장치를 사용한 레이저 어닐링법에 있어서, 동심원 모양이 발생되지 않거나 그 형성을 감소하기 위한 레이저 어닐링법 및 상기 레이저 어닐링법을 사용한 공정을 포함하는 반도체장치의 제작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여기서는 동심원 모양이 형성된 원인에 관해서 고찰한다. 비정질 실리콘막에 조사한 레이저광은, 조사면에서의 형상이 선형인 선형빔이다. 그 때문에, 레이저광을 조사한 후에 얻어진 결정질 실리콘막에 어떠한 모양이 형성되어도, 반도체막, 기판 및 기판 스테이지가 완전히 평탄하면, 상기 모양은 상기 선형빔에 평행 또는 수직한 모양이 될 것이다. 그렇지만, 관찰되는 모양은 동심원 모양이다. 이로부터, 선형빔으로 인한 동심원 모양이 발생되지 않는다고 생각된다. 즉, 동심원 모양의 발생 원인은, 반도체막의 두께, 반도체막, 기판 또는 기판 스테이지의 레이저 빔 흡수계수, 또는 이들의 조합이 동심원 모양을 발생시킨다고 추측할 수 있다.
상기 동심원 모양을 발생시키는 원인 중에 반도체막의 레이저 빔 흡수계수를 생각해본다. 파장에 대한 비정질 실리콘막(두께 : 55nm)의 반사율 및 투과율을 각각 도 10a 및 도 10b에 나타낸다. 상기 비정질 실리콘막은, 코닝사제 1737 기판 상에 플라즈마 CVD 법에 의해 형성된 것이다. 도 10a 및 10b는, YAG 레이저의 제 2 고조파(파장 : 532nm)에 대한 비정질 실리콘막의 반사율은 26%이고, 투과율은 38%인 것을 나타낸다. 비정질 실리콘막의 표면에서의 반사광과, 특정 표면의 비정질 실리콘막을 투과한 레이저광이 간섭한다고 생각된다. 이것이 동심원 모양의 발생 원인이라고 생각된다.
따라서, 동심원 모양을 발생시키지 않거나 감소하기 위해서, 그러한 간섭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이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서, 복수의 레이저광을 집광하여, 집광된 레이저광을 기판 표면상의 반도체막에 조사하여, 반도체막의 결정화를 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레이저 어닐링장치는, 레이저광을 출력하는 레이저 광원과, 레이저광으로 조사된 기판을 비스듬하게 이동시키는 이동기구를 포함한 레이저 어닐링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기구는, 상기 기판의 한변의 길이 이상의 거리만큼 왕복운동하고, 기판에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영역에서 Y축 방향의 레이저광의 길이 이하의 거리만큼 왕복운동하는 방향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 결과, 본 발명의 레이저 어닐링장치를 사용하면, 레이저광의 조사로 바람직하지 않게 발생된 동심원 모양의 발생을 방지 또는 감소할 수 있어, 제작한 반도체장치의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심지어 대형 기판상의 반도체막에서도 균일하게 레이저광을 조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레이저 어닐링장치는, 레이저광을 출력하는 레이저 광원과, 상기 레이저광을 변조하는 비선형 광학소자와, 상기 변조된 레이저광을 집광하는 도파로와, 상기 집광된 레이저광으로 조사된 기판을 비스듬하게 이동시키는 이동기구를 포함한 레이저 어닐링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기구는, 상기 기판의 한 변의 길이 이상의 거리만큼 왕복운동하고, 기판에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영역에서 Y축 방향의 레이저광의 길이 이하의 거리만큼 왕복운동하는 방향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 결과, 본 발명의 레이저 어닐링장치를 사용하면, 레이저광의 조사로 바람직하지 않게 발생된 동심원 모양의 발생을 방지 또는 감소할 수 있어, 제작한 반도체장치의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심지어 대형 기판상의 반도체막에서도 균일하게 레이저광을 조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반도체장치의 제작방법은, 기판에 반도체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반도체막에 복수의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공정을 포함한 반도체장치의 제작방법에 있어서, 일정한 속도로 기판을 이동시키면서, 상기 반도체막에 상기 레이저광을 비스듬하게 조사하는 공정과, 상기 레이저광 폭 이하의 거리만큼 상기 이동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기판을 이동시키는 공정을 연속적으로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의 제작방법이다. 그 결과, 본 발명의 레이저 어닐링장치를 사용하면, 레이저광의 조사로 바람직하지 않게 발생된 동심원 모양의 발생을 방지 또는 감소할 수 있어, 제작한 반도체장치의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심지어 대형 기판상의 반도체막에서도 균일하게 레이저광을 조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반도체장치의 제작방법은, 기판에 반도체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반도체막에 복수의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공정을 포함한 반도체장치의 제작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비선형 광학소자에 의해 복수의 레이저광을 각각 변조 하는 공정과, 상기 변조된 레이저광을 도파로를 통과시켜서 상기 변조된 레이저광을 집광하는 공정과, 일정한 속도로 상기 기판을 이동시키면서 상기 집광된 레이저광을 상기 반도체막에 비스듬하게 조사하는 공정과, 상기 레이저광 폭 이하의 거리만큼 상기 이동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기판을 이동시키는 공정을 연속적으로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의 제작방법이다. 그 결과, 본 발명의 레이저 어닐링장치를 사용하면, 레이저광의 조사로 바람직하지 않게 발생된 동심원 모양의 발생을 방지 또는 감소할 수 있어, 제작한 반도체장치의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심지어 대형 기판상의 반도체막에서도 균일하게 레이저광을 조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반도체장치의 제작방법은, 상기 일정한 속도가, 20∼200cm/s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 결과, 대형 기판에 설치된 반도체층에 고속으로 레이저광을 조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레이저광은, 광학계에 의해 타원형으로 가공하여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반도체장치의 제작방법은, 상기 기판의 표면의 법선방향 또는 이면의 법선방향에 대하여 5∼10°기운 각도로 상기 레이저광이 상기 반도체막에 입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방법은, 기판을 기울여 레이저 어닐링법을 사용한 공정을 실행하면, 동심원 모양이 나타나지 않는 사실로부터 고안하였고, 기판에 대하여 일정 각도를 갖는 상기 기판에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적용함으로써, 레이저광의 간섭에 의한 결정질 반도체막의 물성의 격차를 제거 또는 감소할 수 있다. 이러한 결정질 반도체막을 사용하여, TFT를 제작하면, 그 TFT의 전기적 특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반도체장치의 제작방법은, 상기 반도체 기판의 결정화는, 상기 기판에 평행한 방향과 상기 기판의 끝면에 밀접한 방향으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반도체장치의 제작방법을 사용하면, 상기 반도체층의 표면이 평면이고 높은 전기 이동도를 갖는 반도체장치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이저광은, 상기 기판의 이면측(반도체막이 형성된 표면의 반대측)으로부터 반도체막에 조사되어도 된다.
상기 레이저광에 관해서는, YAG 레이저(통상은 Nd:YAG 레이저를 나타냄), Nd:YLF 레이저, Nd:YVO4 레이저, Nd:YAlO3 레이저, 루비 레이저, Ti:사파이어 레이저 또는 유리 레이저 등의 일반적으로 알려진 레이저를 사용할 수 있다. 특히, 가간섭성(coherency)과 펄스 에너지가 우수한 YAG 레이저가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YAG 레이저를 사용하는 것이면, 제 2 고조파(파장 : 532nm)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YAG 레이저의 기본파(제 1 고조파)는 1064nm로 파장이 길기 때문이다. 제 1 고조파는, 비선형 소자를 포함하는 파장변조기에 의해서, 제 2 고조파, 제 3 고조파 또는 제 4 고조파로 변조할 수 있다. 각 고조파의 형성은 공지의 기술에 따르면 좋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고체 레이저를 광원으로 하는 레이저광"에는 제 1 고조파뿐만 아니라, 도중에서 파장을 변조한 고조파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YAG 레이저에서 잘 사용되는 Q 스위치법(Q 변조 스위치법)을 사용하여 도 된다. 이 방법은, 레이저 공진기의 Q 요소를 충분히 낮게 해 둔 상태로부터, 급격히 Q 요소를 높여 줌으로써, 상당히 에너지 레벨이 높은 신속한 펄스 레이저광을 출력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고체 레이저는, 기본적으로는 고체결정, 공진 거울 및 고체결정을 여기하기 위한 광원이 있으면 레이저광을 출력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엑시머 레이저와 비교하여 유지보수가 손이 많이 가지 않는다. 즉, 고체 레이저가 엑시머 레이저와 비교하여 대단히 운전비용이 낮으므로, 반도체장치의 제조비용을 대폭 감소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유지보수의 회수가 줄면 양산 라인의 가동률도 높아지기 때문에 제조공정의 전체 스루풋이 향상하여, 이것도 반도체장치의 제조비용의 저감에 크게 기여한다. 또한, 고체 레이저의 점유면적은 엑시머 레이저와 비교하여 작기 때문에, 제조라인의 설계에 유리하다.
레이저광의 전력이 10W 이상이면, 단일 레이저광으로도 균일한 레이저광을 조사할 수 있다. 10W 이상의 레이저광의 전력은, 반도체층을 결정화시킬 때, 반도체층을 융해하는데 충분하다.
[실시형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레이저광의 조사방법에 관해서 도 1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레이저광의 비정질 실리콘층에 조사에 의한 결정화공정에 의해 결정질 실리콘층을 형성한다. 이 결정화는, 투명 창문(601)이 설치된 레이저 어닐링실(602)내 에서 행한다.
먼저, 기판으로서, 코닝사의 #7059유리나 #1737유리 등으로 대표되는 바륨보로실리케이트산 유리, 또는 알루미늄 보로실리케이트산 유리등으로 이루어진 투광성 기판을 사용한다. 또한, 기판으로서는, 석영기판이나 실리콘기판을 사용하여도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680mm×880mm와 두께 1.1mm의 유리기판을 사용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해당 기판 상에 하지막, 해당 하지막 상에 반도체막이 순차로 형성된 기판을 "피처리 기판"이라고 한다.
레이저 어닐링실(602) 내측에는, 스탠드(603)와, 스탠드(603) 상에 설치된 스테이지(604)와, 스탠드(603)를 이동시키는 이동기구(605)가 설치된다. 레이저 어닐링실(602)의 외측에는, 배기펌프(630)와, 가스 공급관(607)과, 게이트 밸브(608)가 설치되어 있다.
스탠드(603)는, 스탠드를 이동하기 위한 이동기구(605)에 의해서, 피처리 기판(606)의 법선방향에 대하여 직각방향(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이동되어, 피처리 기판(606)의 상면에 대하여 레이저광을 조사하기 위해서 설치된다. 단, 레이저광의 조사방향은, 피처리 기판(606)의 법선방향에 대하여, 5∼10°만큼 비스듬하다.
본 명세서에서는, 스테이지(604)와 상기 이동기구(605)를 가지는 반도체 제조장치를 레이저 어닐링장치라고 한다. 또한, 스테이지(604)와 이동기구(605) 사이에 스탠드(603)가 설치되어도 된다. 또한, 레이저 어닐링장치는, 레이저 발진장치(609), 광학계(610) 및 거울(611)을 포함하여도 된다. 상기 레이저 어닐 링장치와 투명 창문(601)이 설치되어 있는 레이저 어닐링실(602), 배기펌프(630), 가스 공급관(607) 및 게이트 밸브(608)를 조합하여, 비정질 실리콘층을 결정화한다. 도 2는, 도 1의 레이저 어닐링장치의 Y축 방향을 보이고 있다. 도 3은, 거울측(피처리 기판(606)의 위쪽)으로부터 본 레이저 어닐링장치를 보이고 있다. 상기 이동기구(605)는, X축 방향으로 피처리 기판(606)의 한 변의 길이 이상의 거리만큼 이동할 수 있고, X축 방향과 수직한 Y축 방향으로는, 레이저광 폭 이하의 거리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레이저광의 폭은, 상기 이동기구의 이동방향에 수직한 방향의 상기 레이저광의 폭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이저 발진장치(609)로부터 레이저광(600)을 조사하여, 광학계(610)에 의해 단면형상이 타원형으로 가공된 레이저광을, 거울(611)로 반사시켜, 투명 창문(601)을 통과시켜 피처리 기판(606)에 조사한다. 조사되는 광은, 직사각형이어도 된다.
도 4는 피처리 기판(606)을 법선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레이저광이 조사되는 위치로부터 100mm 떨어진 곳에 피처리 기판(606)의 단부가 위치하도록 설치한다. 이어서, 피처리 기판(606)이 화살표①의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이동기구(605)를 가속시키면서 움직인다. 0.05초 후, 일정한 속도(이 실시예에서는, 20cm/s)로 피처리 기판(606)에 레이저광(600)을 조사한다. 레이저광이 조사되는 위치가 피처리 기판(606)의 외측이면, 감속시킨다(도 5). 이어서, 화살표 ①과는 반대의 방향인 화살표 ②의 방향으로 화살표 ①과 같은 공정을 실행하여, 상기 기판을 결정화한다. 화살표 ③ 방향으로의 공정과 화살표 ④ 방향으로의 공정을 실행하기 위해서 는, 화살표 ① 방향으로 실행하는 공정과 화살표 ② 방향으로 실행하는 공정을 각각 반복하여도 된다. 필요한 경우, 이 공정들을 반복하여, 피처리 기판(606)의 전체면에 레이저광을 조사한다. 피처리 기판(606)의 반도체막에서는, 상기 피처리 기판의 평행하고, 또한, 상기 피처리 기판의 끝면에 밀접한 방향으로 결정화가 진행된다.
피처리 기판(606)을 움직이는 속도는, 20∼200cm/s의 범위 내에 속하는 일정한 속도로 설정되어도 된다.
결정화시에, 피처리 기판(606)을 스테이지(604)상에 배치해 두고, 스탠드(603)내에 설치된 히터에 의해서, 소정의 온도로 유지하여 놓는다. 450℃로 비정질 실리콘층을 결정화시키면, 결정의 입경이 커진다.
레이저 발진장치(609)로서, 레이저광(600)으로서 CW 레이저광을 발진하는 레이저 발진장치를 사용한다.
레이저 어닐링실(602)의 분위기 제어는, 감압 및 배기수단으로서, 배기펌프(630)가 설치되어 실행된다. 또한, 가스공급수단으로서, 밸브를 통해 수소가스 실린더에 접속된 가스 공급관 607a와, 밸브를 통해 질소나 그 밖의 가스 실린더에 접속된 가스 공급관 607b가 설치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레이저광의 조사는, 상온, 상압하에서 행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20∼200cm/s 사이의 일정한 속도로 기판을 이동시키면서, 상기 기판의 표면상의 반도체막에 레이저광을 조사시킨다. 이 때문에, 대형 기판상의 반도체막에서도 균일한 레이저광을 조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력을 10W로 설정한다. 그러나, 그 전력을 10W 이상으로 하면, 단일 레이저광으로도 균일한 레이저광을 조사할 수 있다. 10W 이상의 레이저광의 전력이면, 반도체층을 결정화시킬 때, 반도체층을 융해시키는 데 충분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한 대의 레이저 발진장치로부터 레이저광이 방출된다. 또한, 복수의 레이저 발진장치를 사용하여 복수의 레이저광을 집광하여 광(beam) 강도를 상승시켜도 된다. 이와 같이 레이저광을 집광함으로써, 동심원 모양의 발생을 감소할 수 있어, 제작한 반도체장치의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 이 경우, 필요에 따라서, 복수의 광학계, 복수의 거울, 파이버(fiber)를 사용하여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레이저 어닐링법을 포함하는 공정에서 레이저광을 타원형으로 가공하여 스루풋을 향상시킨다. 또한, 유지보수가 용이한 고체 레이저를 사용함으로써, 종래의 엑시머 레이저를 사용한 레이저 어닐링보다도 높은 스루풋을 달성할 수 있다. 나아가서는, TFT나 TFT로 형성된 표시장치 등의 반도체장치의 제조비용을 감소할 수 있다.
또한, 반도체막에 대하여 레이저광을 비스듬하게 조사함으로써, 반도체막에 발생된 동심원 모양을 제거 또는 감소할 수 있어, 레이저 어닐링법을 포함하는 공정 후의 반도체막의 물성을 균일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반도체막을 사용하여 반도체장치를 제작하면, 반도체장치의 성능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광학계에 관해서 도 6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레이저 발진기(201)로서, 고전력 고체 레이저(YAG 레이저, YVO4 레이저 등)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고전력이면 기체 레이저나 유리 레이저 등을 사용하여도 된다. 그리고, 레이저 발진기(201)로부터 발생된 레이저광을, 광학계를 사용하여, 조사면의 형상이 타원형인 레이저광으로 가공한다. 상기 광학계에는, 예를 들면, 레이저광을 길게 확대하기 위한 장초점 거리의 원통렌즈 205와, 레이저광을 가늘게 집광하기 위한 원통렌즈 206을 사용한다. 장초점 거리의 원통렌즈를 사용하면, 수차를 감소시켜, 조사면에서 또는 조사면 근처에서 에너지 분포가 균일한 레이저광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장초점 거리의 원통렌즈는, 반도체막에의 입사광의 빔폭과, 기판의 이면으로부터의 반사광의 빔폭 사이에 일어나는 현저한 차이를 제한하는데 유효하다. 발명자의 실험에 의하면, 초점거리가 500mm 이상의 원통렌즈 를 사용하였을 때, 수차의 영향을 상당히 감소할 수 있었다.
원통렌즈(206)의 앞에는, 반사거울(207)을 설치하여, 레이저광의 진행방향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였다. 반사거울(207)에 의해 조사면에 입사하는 레이저광의 각도를 원하는 각도 θ로 조정할 수 있다. 반사거울(207)의 각도에 의해, 원통렌즈 (206)의 각도를 변경하면, 조사면에서 보다 대칭성이 있는 레이저광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레이저광을 반도체막에 조사할 때, 상기 조사는 주사동안 레이저광(본 실시예에서 X축 방향으로의 레이저광)의 0∼80%의 주사 중첩율로 실행된다. 이때, 펄스 레이저의 경우에, 연속적으로 조사된 레이저광 사이의 중첩율을 50∼98%로 조사하여도 되고, 또한 중첩없이 조사하여도 된다. 반도체막의 상태나 레이저광의 지 연시간 등에 따른 최적조건은 다르므로, 실시자가 적절히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1에서는, 레이저 발진기(201)로서 펄스 레이저(출력 10W, 주파수 30Hz, YAG)를 사용한다. 비선형 광학소자(202)에 의해 제 2 고조파로 변조하였고, 광학계를 사용하여 길이 130mm, 폭 0.4mm의 선형빔으로 가공하여 그 선형빔을 반도체막에 조사한다. 이때, 피처리 기판(204)의 법선방향으로부터 5∼10° 기울여 선형빔을 조사한다.
스테이지(203) 아래에 스탠드(208)가 설치되고, 그 스탠드(208) 아래에 이동기구(209)가 설치된다. 이동기구(209)에 의해,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기판(204)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동기구(209) 밑에는 볼, 배럴, 모터 등을 설치하여도 된다.
피처리 기판(204)의 반도체막에 있어서, 상기 피처리 기판 204에 평행하고 상기 피처리 기판 606의 끝 면에 밀접한 방향으로 결정화가 진행한다.
피처리 기판(204)의 반도체막에 대하여 레이저광을 비스듬하게 조사함으로써, 반도체막에 형성되는 동심원 모양을 제거 또는 감소할 수 있어, 레이저 어닐링법을 사용하는 공정 후의 반도체막의 물성을 균일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반도체막을 사용하여 반도체장치를 제작하면, 반도체장치의 성능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2)
본 실시예 2에서는, 레이저 어닐링장치의 결정화법을 나타낸다. 이하, 도 7을 사용하여 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기판(1000)으로서 유리기판(유리 왜곡 온도 667℃인 코닝 1737)을 준비하였다. 이어서, 기판(1000) 상에 보호막(1001)을 형성하고, 스퍼터링법을 사용하여 상기 보호막(1001) 상에 다층 구조의 형태로 연속적으로 질화탄탈막(1002a)(두께 50nm)과 탄탈막(1002b)(두께 250nm)을 형성한다(도 7a). 이어서, 공지의 패터닝 방법인 포토리소그래피법으로 다층구조를 갖는 게이트전극(1002)을 형성하였다(도 7b).
이어서, 게이트 절연막과 비정질 반도체막(1004)을 상기 분위기에 노출시키지 않고 다층구조의 형태로 연속적으로 형성하였다(도 7c). 본 실시예에서는 제작중에 기판이나 게이트배선으로부터의 불순물이 반도체막 및 게이트 절연막으로 확산하는 것을 막기 위해서 질화실리콘막(1003a)(두께 50nm)과 산화실리콘막(1003b)(두께 125nm)을 플라즈마 CVD 법에 의해 다층구조 형태로 형성하여, 다층구조의 게이트 절연막으로 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2층의 절연막을 게이트 절연막으로서 채용하고 있지만, 단층 또는 3층 이상의 다층구조이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게이트 절연막 상에 비정질 반도체막(1004)으로서, 두께 54nm의 비정질 실리콘막(1004)을 플라즈마 CVD 법에 의해 형성하였다. 또한, 상기 층의 계면에도 대기로부터의 오염물질이 부착하지 않도록 대기에 노출하지 않고서 연속적으로 다층구조의 형태로 형성하였다.
그 후, 반도체막의 결정화를 방해하는 비정질 실리콘막중의 수소농도를 감소 하기 위해 가열처리(500℃, 1시간)를 하였다.
이렇게 해서 도 7c에 도시된 상태가 얻어진 후, 상기 비정질 반도체막(1004)은, 적외광 또는 자외광(레이저 어닐링)의 조사에 의한 결정화(레이저 결정화)를 행하여, 결정질 반도체막(결정을 포함한 반도체막)(1005)을 형성하였다(도 7d). 또한, 비정질 반도체막(1004)은, 기판(1000)에 평행하고 기판(1000)의 끝 면에 밀접한 방향으로 결정화가 진행한다.
결정화기술로서 자외광을 사용하는 경우는 레이저광 또는 자외광 램프로부터 발생하는 강광을 사용할 수 있고, 적외광을 사용하는 경우는 적외선 레이저광 또는 적외선 램프로부터 발생하는 강광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YVO4 CW 레이저광을 타원형으로 형성하고 주사시에 레이저광(본 실시예에서 X축 방향으로의 레이저광)의 주사 중첩율 0∼80%로 상기 반도체막 상에 5∼10°기울여 레이저광을 조사하였다.
또한, 레이저 결정화의 조건(레이저광의 파장, 조사강도, 반복 주파수, 조사 시간 등)은, 비정질 반도체막(1004)의 두께, 기판 온도 등을 고려하여 실시자가 적절히 결정할 수 있다.
일부 레이저 결정화 조건은, 반도체막이 용융상태를 경과하여 결정화하는 경우나, 반도체막이 용융하지 않는 고상상태 또는 고상과 액상의 중간상태로 결정화하는 경우가 있다. 이 공정에 의해 비정질 반도체막(1004)은 결정화되어, 결정질 반도체막(1005)으로 변화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결정질 반도체막은 다결정 실리콘막(폴리실리콘막)이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 및 실시예 2를 사용하여 얻어진 액티브 매트릭스형 표시장치의 구성을 도 8 및 도 9의 평면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a에 나타낸 액티브 매트릭스형 표시장치의 평면도는, 화소부(807), 구동회로(게이트 구동회로 805와 소스 구동회로 807의 총칭), FPC(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 F1exib1e Printed Circuit)를 접합한 외부입력단자(803), 외부입력단자와 각 회로의 입력부까지를 접속하는 배선(804) 등이 형성된 액티브 매트릭스형 표시장치(801) 상에 형성된다. 액티브 매트릭스형 표시장치(801)와 칼라필터 등으로 형성된 대향기판(802)이, 이들 사이에 단(end) 밀봉재(809)를 삽입하여 서로 접합되어 있다.
게이트 구동회로는, 선택된 게이트배선(806)에 신호를 입력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 게이트배선(806)은, 게이트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배선이다. 그리고, 선택된 게이트배선이 하나씩 선택된다. 물론, 절연막은 게이트배선 상에 설치된다. 한편, 소스 구동회로(807)는, 우선 화상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여, 그 신호를 상기 선택된 게이트배선에 접속된 화소전극에 가하는 기능을 갖는다. 그리고, 소스 구동회로(807)는, 게이트 구동회로(805)와 타이밍을 맞추면서 동작한다. 이와 같이, 각 게이트배선의 스위칭소자(도시하지 않음)를 선택하여, 소스배선(808)을 통해 원하는 전압을 가하여, 액티브 매트릭스형 표시장치의 화상을 얻을 수 있다.
대향기판에 대향하는 화소부(811) 표면에 형성된 칼라필터는, 적색(R), 녹색(G) 및 청색(B)의 각 빛깔의 칼라필터가 각 화소에 대응하여 설치된다. 실제의 표시에 있어서는, 적색(R)의 칼라필터, 녹색(G)의 칼라필터 및 청색(B)의 칼라필터의 3색으로 칼라표시를 실현하지만, 이들 3색의 칼라필터의 배열은 임의로 한다.
레이저광의 조사에 의한 결정성장의 방향이 화살표 방향이면(도 8), 이 방향과 도 9a(화소부에서의 TFT의 도면)에 나타낸 반도체층(810)에서의 캐리어가 흐르는 방향(채널방향)을 일치시키면, 전기 이동도를 저하시키지 않는다. 도면부호 806은 게이트배선, 811은 콘택홀이다. 마찬가지로, 도 8의 레이저광의 조사에 의한 결정성장의 방향과 도 9b(구동회로에서의 TFT의 도면)에 나타낸 반도체층(910)에서의 캐리어가 흐르는 방향을 일치시키면, 전기 이동도를 저하시키지 않는다. 도면부호 906은 게이트배선, 911은 콘택홀이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과는 다른 레이저 어닐링장치의 예를 기재한다. 본 실시예의 레이저 어닐링장치는, 복수의 레이저 발진장치, 복수의 광학계 및 복수의 거울을 탑재하고, 각각 레이저 발진장치로부터 발진하여 상기 광학계로 가공한 레이저광을 집광하여, 그 집광된 광빔을 기판에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이저 발진장치(1109a∼1109c)로부터 레이저광 (1100a∼1100c)을 조사하여, 광학계(1110a∼1110c)에서 가공시켜, 거울(1111a∼1111c)에서 반사시킨다. 반사한 각각의 레이저광을 집광하여, 스테이지(1104)상의 피처리 기판(1113)에 조사한다. 스테이지(1104) 아래에 설치된 이동기구(1105)를 사용하여,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피처리 기판(1113)을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볼, 배럴, 모터 등을 이동기구(1105) 밑에 설치하여도 된 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의 레이저광의 조사에 의해 바람직하게 발생되지 않은 동심원 모양의 발생을 방지 또는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작한 반도체장치의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1 및 2와는 다른 레이저 어닐링장치의 예를 기재한다. 본 실시예의 레이저 어닐링장치는, 복수의 레이저 발진장치, 복수의 비선형 광학소자 및 도파로를 탑재하여, 각각 레이저 발진장치로부터 레이저광을 출사하고 비선형 광학소자로 상기 변조된 레이저광을 도파로로 집광하여, 그 집광된 빛을 기판에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이저 발진장치(100a∼100c)로부터 레이저광을 출사하여, 비선형 광학소자(101a∼101c)에서 변조시킨 레이저광(112a∼112c)을, 파이버 어레이(103)에 입사시켜 도파로(104)로 집광한다. 파이버 어레이(105)로부터 출사시킨 레이저광을 스테이지(110)상의 피처리 기판(113)에 조사한다. 이때, 파이버 어레이(103)는, 레이저광(112a∼112c)을 서로 근접하게 하는 수단이다.
스테이지(110) 아래에 스탠드(106)가 설치되고, 그 스탠드(106) 아래에 이동기구(107)가 설치된다. 이동기구(107)를 사용하면, X축 방향 및 Y축 방향(도시하지 않음)으로 피처리 기판(113)을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볼, 배럴, 모터 등은, 이동기구(107) 아래에 배치되어도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하나의 레이저광의 조사에 의해 바람직하게 발생되지 않은 동심원 모양의 발생을 방지 또는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작한 반도체장치의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
(실시예 6)
상기 실시예 1 내지 3과는 다른 레이저 어닐링장치를 기재하고, 특히 도 13을 참조하여 스테이지를 이동시키는 이동기구의 일례에 관해 언급한다.
통상적으로, 레이저광을 조사한 처리 대상 상에 탑재된 스테이지는, X축 방향 또는 Y축 방향으로 설치된 안내 레일을 따라 움직인다. 상기 안내 레일과 상기 스테이지를 고정하는 부(활주부재) 사이에 볼(베어링)로서 언급된 만곡 대상물이 놓인다. 따라서, 마찰에 의한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고 상기 스테이지를 부드럽게 이동시킬 수 있는 메카니즘이 실현된다.
상기 볼(베어링)이 상기 스테이지의 반복적인 이동으로 마모되기 때문에, 주기적인 유지보수에 의해 상기 볼을 교체할 필요가 있다. 또한, 상기 스테이지를 더욱 부드럽게 이동시키려면, 상기 스테이지의 이동에 의한 마모를 감소시킬 필요가 있다.
도 13a에 본 실시예의 상기 스테이지를 이동하는 이동기구를 도시한다. 도 13a에서, 도면부호 1300은, 일방향으로 격차가 형성된 안내 레일을 나타낸 것으로, 상기 스테이지를 고정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도면부호 1301은, 활주부재로서 언급된 부로, 상기 스테이지를 고정시킨다. 상기 활주부재(1301)는, 상기 안내 레일(130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활주부재는, 소정 간격으로 고정되게 설치되어도 된다. 도면부호 1302는, 상기 활주부재(1301) 내에 형성된 홀을 관통하고, 상기 안내 레일(1300)에 따른 방향으로 설치된 로드(rod)를 나타낸다. 상기 로드(1302)는, 단판(1304)에 의해 상기 안내 레일(1300)에 고정된다.
케이블(1303)을 통해 상기 활주부재(1301)에 전원공급전압과 공기를 공급한다. 도 13b는 상기 활주부재(1301)의 확대도이다. 상기 전원공급전압에 의해 상기 활주부재(1301)와 상기 안내 레일(1300)을 서로 잡아당기는 자계가 발생된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전압에 의해, 상기 로드(1302)가 상기 활주부재(1301)에 설치된 홀내의 로드(1302)로부터 떨어져 있고 이 로드와 접촉하지 않는 방향으로 자계가 발생된다. 선형 모터 힘의 원리를 사용하면, 상기 활주부재(1301)는,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으로 이동한다. 한편, 힘은, 상기 활주부재(1301)와 상기 안내 레일(1300)에 작용하여 상기 활주부재(1301)와 안내 레일(1300)이 이 자계에 의해 서로 잡아당긴다. 상기 활주부재(1301)에 공급된 공기는, 공기 구멍(1305)으로부터 상기 활주부재(1301)와 상기 안내 레일(1300) 사이의 영역으로 배출된다. 상기 활주부재(1301)가 잡아당기는 자계력과 공기의 배출에 의해 로드(1302)와 떨어지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므로, 상기 활주부재(1301)와 상기 안내 레일(1300) 사이에서 고정된 거리가 유지된다.
또한, 상기 케이블을 통해 공급된 전원공급전압으로 자계를 발생하는 대신에, 상기 안내 레일(1300)과 상기 활주부재(1301) 중의 하나는, 자기부재 외부에 형성되어도 되고, 상기 안내 레일(1300)과 상기 활주부재(1301) 중의 다른 하나는 상기 자기부재에 의해 잡아당겨진 재료 외부에 형성되어도 되어, 자계를 발생한다. 또한, 상기 안내 레일(1300)과 상기 활주부재(1301)는, 각각 자기부재 외부에 형성 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케이블을 통해 공급된 전원공급전압으로 자계를 발생하는 대신에, 상기 로드(1302)와 상기 활주부재(1301) 중의 하나는, 자기부재 외부에 형성되어도 되고, 상기 로드(1302)와 상기 활주부재(1301) 중의 다른 하나는 상기 자기부재와 떨어지는 경향이 있는 재료 외부에 형성되어도 되어, 자계를 발생한다. 또한, 상기 로드(1302)와 상기 활주부재(1301)는, 각각 자기부재 외부에 형성되어도 된다.
본 실시예에 도시된 스테이지 이동기구를 사용하면, 비접촉 방식으로 상기 안내 레일을 따라 상기 스테이지를 이동시키고, 상기 볼(베어링)의 규칙적인 대체로 분배하여,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한다. 또한, 비접촉 이동이기 때문에, 마모는 거의 일어나지 않고, 볼이 사용되는 경우보다 상기 스테이지는 더욱 부드럽게 이동할 수 있다.
도 13c는 레이저광으로 조사되는 처리 대상(1311)이 상기 활주부재(1301) 상에 고정된 스테이지(1310)에 탑재된 상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테이지 이동수단에 의해 상기 스테이지를 더욱 부드럽게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상기 처리 대상(1311)에 더욱 균일하게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것처럼, 본 발명의 레이저 어닐링장치를 사용하면, 복수의 레이저광을 하나의 레이저 자속으로 집광함으로써, 레이저 자속의 조사에 의해 바람직하지 않게 발생된 동심원 모양의 발생을 방지 또는 감소할 수 있어, 제작한 반도체장치의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레이저 어닐링장치를 사용하면, 대형 기판상의 반도체막에서도 균일하게 하나의 레이저광 또는 복수의 레이저광을 조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레이저 어닐링법을 포함하는 공정에서 레이저광을 타원형 단면으로 가공하여 스루풋을 향상시킨다. 또한, 유지보수가 용이한 고체 레이저를 사용함으로써, 종래의 엑시머 레이저를 사용한 레이저 어닐링보다도 높은 스루풋을 달성할 수 있다. 나아가서는, TFT나 TFT외부에 형성된 표시장치 등의 반도체장치의 제조비용을 감소할 수 있다.
또한, 반도체막에 대하여 레이저광을 비스듬히 조사함으로써, 반도체막에 발생된 동심원 모양을 제거 또는 감소할 수 있어, 레이저 어닐링 후의 반도체막의 물성을 균일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반도체막을 사용하여 반도체장치를 제작하면, 반도체장치의 성능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33)

  1. 레이저광을 출력하는 레이저 광원과,
    상기 레이저광으로 조사된 기판을 비스듬하게 이동시키는 이동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기구는, 상기 기판의 한 변의 길이 이상의 거리만큼 왕복운동하고, 상기 기판에 상기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영역에서 Y축 방향의 상기 레이저광의 길이 이하의 거리만큼 왕복 운동하는 방향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어닐링장치.
  2. 레이저광을 출력하는 레이저 광원과,
    상기 레이저광을 변조하는 비선형 광학소자와,
    상기 변조된 레이저광을 집광하는 도파로와,
    상기 집광된 레이저광으로 조사된 기판을 비스듬하게 이동시키는 이동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기구는, 상기 기판의 한 변의 길이 이상의 거리만큼 왕복운동하고, 상기 기판에 상기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영역에서 Y축 방향의 상기 레이저광의 길이 이하의 거리만큼 왕복 운동하는 방향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어닐링장치.
  3. 레이저광을 출력하는 레이저 광원과,
    상기 레이저광으로 조사된 기판을 비스듬하게 이동시키는 이동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기구는, 공기 또는 자계에 의해 부양되는 동안, 상기 기판의 한 변의 길이 이상의 거리만큼 왕복운동하고, 상기 기판에 상기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영역에서 Y축 방향의 상기 레이저광의 길이 이하의 거리만큼 왕복 운동하는 방향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어닐링장치.
  4. 기판 위에 반도체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반도체막에 복수의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제 1 방향으로 일정한 속도로 상기 기판을 이동시키면서 상기 반도체막에 상기 레이저광을 비스듬하게 조사하는 공정과, 상기 레이저광 폭 이하의 거리만큼 상기 제 1 방향에 수직한 제 2 방향으로 상기 기판을 이동시키는 공정을 연속적으로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의 제작방법.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기판 위에 반도체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반도체막에 복수의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복수의 비선형 광학소자에 의해 상기 복수의 레이저광을 각각 변조하는 공정과, 상기 변조된 레이저광을 도파로를 통과시켜서 상기 변조된 레이저광을 집광하는 공정과, 제 1 방향으로 일정한 속도로 상기 기판을 이동시키면서 상기 집광된 레이저광을 상기 반도체막에 비스듬하게 조사하고, 상기 레이저광 폭 이하의 거리만큼 상기 제 1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기판을 이동시키는 공정을, 연속적으로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의 제작방법.
  13. 제 4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한 속도는, 20∼200cm/s의 범위내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의 제작방법.
  14. 제 4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광은 조사면에서의 형상이 타원형으로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의 제작방법.
  15. 제 4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광을 상기 반도체막에 비스듬하게 조사하는 각도는, 상기 기판의 표면의 법선방향 또는 이면의 법선방향에 대하여 5∼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의 제작방법.
  16. 제 4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막의 결정화는, 상기 기판에 평행하고, 상기 기판의 끝면에 밀접한 방향으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의 제작방법.
  17. 제 4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이면측으로부터, 상기 레이저광을 상기 반도체막에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의 제작방법.
  18. 제 4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광은, Nd:YAG 레이저, Nd:YLF 레이저, Nd:YV04 레이저 및 Nd:YAlO3 레이저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레이저로부터 방출된 일종의 제 2 고조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의 제작방법.
  19. 제 4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광은 10W 이상의 전력에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의 제작방법.
  20.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광은 조사면에서의 형상이 타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어닐링장치.
  21.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광을 상기 반도체막에 비스듬하게 조사하는 각도는, 상기 기판의 표면의 법선방향 또는 이면의 법선방향에 대하여 5∼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어닐링장치.
  22.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광은, Nd:YAG 레이저, Nd:YLF 레이저, Nd:YV04 레이저 및 Nd:YAlO3 레이저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레이저로부터 방출된 일종의 제 2 고조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어닐링장치.
  23.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광은, 10W 이상의 전력에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어닐링장치.
  24. 기판 위에 반도체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반도체막에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제 1 방향으로 일정한 속도로 상기 기판을 이동시키면서 상기 반도체막에 상기 레이저광을 비스듬하게 조사하는 공정과, 상기 레이저광 폭 이하의 거리만큼 상기 제 1 방향에 수직한 제 2 방향으로 상기 기판을 이동시키는 공정을, 연속적으로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의 제작방법.
  25. 기판 위에 반도체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반도체막에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비선형 광학소자에 의해 상기 레이저광을 변조하는 공정과, 상기 변조된 레이저광을 도파로를 통과시켜서 상기 변조된 레이저광을 집광하는 공정과, 제 1 방향으로 일정한 속도로 상기 기판을 이동시키면서 상기 집광된 레이저광을 상기 반도체막에 비스듬하게 조사하고, 상기 레이저광 폭 이하의 거리만큼 상기 제 1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기판을 이동시키는 공정을, 연속적으로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의 제작방법.
  26. 기판 위에 반도체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반도체막에 500nm 이상의 초점길이를 갖는 원통렌즈를 통해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제 1 방향으로 일정한 속도로 상기 기판을 이동시키면서 상기 반도체막에 상기 레이저광을 비스듬하게 조사하는 공정과, 상기 레이저광 폭 이하의 거리만큼 상기 제 1 방향에 수직한 제 2 방향으로 상기 기판을 이동시키는 공정을, 연속적으로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의 제작방법.
  27. 제 24 항 내지 제 2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한 속도는, 20∼200cm/s의 범위내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의 제작방법.
  28. 제 24 항 내지 제 2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광은 조사면에서의 형상이 타원형으로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의 제작방법.
  29. 제 24 항 내지 제 2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광을 상기 반도체막에 비스듬하게 조사하는 각도는, 상기 기판의 표면의 법선방향 또는 이면의 법선방향에 대하여 5∼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의 제작방법.
  30. 제 24 항 내지 제 2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막의 결정화는, 상기 기판에 평행하고, 상기 기판의 끝면에 밀접한 방향으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의 제작방법.
  31. 제 24 항 내지 제 2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이면측으로부터, 상기 레이저광을 상기 반도체막에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의 제작방법.
  32. 제 24 항 내지 제 2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광은, Nd:YAG 레이저, Nd:YLF 레이저, Nd:YV04 레이저 및 Nd:YAlO3 레이저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레이저로부터 방출된 일종의 제 2 고조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의 제작방법.
  33. 제 24 항 내지 제 2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광은 10W 이상의 전력에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의 제작방법.
KR1020020046477A 2001-08-10 2002-08-07 레이저 어닐링장치 및 반도체장치의 제작방법 KR1008859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245095 2001-08-10
JPJP-P-2001-00245095 2001-08-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4609A KR20030014609A (ko) 2003-02-19
KR100885904B1 true KR100885904B1 (ko) 2009-02-26

Family

ID=19074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6477A KR100885904B1 (ko) 2001-08-10 2002-08-07 레이저 어닐링장치 및 반도체장치의 제작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3) US6847006B2 (ko)
JP (1) JP5058205B2 (ko)
KR (1) KR100885904B1 (ko)
CN (2) CN1279591C (ko)
TW (1) TW56155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8045B1 (ko) 2012-02-17 2013-06-24 주식회사 엘티에스 레이저 리프트 오프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05149B1 (en) * 1998-12-21 2008-07-29 Megica Corporation Post passivation method for semiconductor chip or wafer
TW552645B (en) 2001-08-03 2003-09-11 Semiconductor Energy Lab Laser irradiating device, laser irradiating method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emiconductor device
KR100885904B1 (ko) * 2001-08-10 2009-02-26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레이저 어닐링장치 및 반도체장치의 제작방법
KR20040052468A (ko) * 2001-11-12 2004-06-23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레이저 어닐 장치 및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
US6849825B2 (en) * 2001-11-30 2005-02-0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aser irradiation apparatus
US7064089B2 (en) * 2002-12-10 2006-06-20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Plasma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plasma treatment
JP4152806B2 (ja) 2003-05-28 2008-09-17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レーザ光照射装置
US7294874B2 (en) * 2003-08-15 2007-11-13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aser irradiation method, method for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and a semiconductor device
JP4838982B2 (ja) * 2004-01-30 2011-12-14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レーザアニール方法およびレーザアニール装置
TWI353759B (en) * 2004-05-13 2011-12-01 Qualcomm Inc Synchronization of audio and video data in a wirel
KR100599060B1 (ko) * 2004-08-31 2006-07-12 주식회사 디이엔티 평판 표시패널 검사용 광조사방법 및 광조사장치
JP4935059B2 (ja) * 2005-02-17 2012-05-23 三菱電機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7700463B2 (en) * 2005-09-02 2010-04-20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JP2007110064A (ja) * 2005-09-14 2007-04-26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レーザアニール方法及び装置
ES2294919B1 (es) * 2006-03-07 2009-02-16 Consejo Superior Investig. Cientificas Horno continuo con laser acoplado para el tratamiento superficial de materiales.
JP5239155B2 (ja) * 2006-06-20 2013-07-17 信越半導体株式会社 シリコンウエーハの製造方法
CN101450423B (zh) * 2008-12-24 2011-08-03 深圳市大族激光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激光切割方法
JP5517832B2 (ja) * 2010-08-20 2014-06-11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レーザアニール装置及びレーザアニール方法
US20120225568A1 (en) * 2011-03-03 2012-09-06 Tokyo Electron Limited Annealing method and annealing apparatus
KR101288993B1 (ko) * 2011-12-20 2013-08-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레이저 어닐링 장치
KR101432153B1 (ko) * 2012-11-13 2014-08-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 투과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어닐링 장치
CN104498677A (zh) * 2015-01-04 2015-04-08 宁波英飞迈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高通量微区快速热处理设备及其热处理方法
US10016843B2 (en) * 2015-03-20 2018-07-10 Ultratech,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ducing pulsed laser beam profile non-uniformities for laser annealing
CN104900802B (zh) * 2015-04-27 2018-02-13 江苏多维科技有限公司 用于自旋电子器件钉扎层的快速热处理方法和装置
KR20180110018A (ko) * 2016-03-09 2018-10-08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열처리 장치, 열처리 방법, 레이저 어닐 장치, 및, 레이저 어닐 방법
KR102490081B1 (ko) * 2016-03-23 2023-01-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레이저 결정화 장치 및 방법
CN105710533B (zh) * 2016-04-19 2017-06-06 哈尔滨工业大学 格架真空激光焊接系统
CN106041391B (zh) * 2016-05-30 2017-08-15 武汉电信器件有限公司 一种box封装器件烧结固定夹具
CN109434279A (zh) * 2017-09-04 2019-03-08 Hb技术有限公司 运用电机编码器信号信息的激光系统
CN108048913A (zh) * 2017-12-14 2018-05-18 友达光电(昆山)有限公司 一种非晶硅转变为多晶硅的结晶激光装置及方法
JP7239307B2 (ja) * 2018-12-04 2023-03-14 株式会社アイシン福井 レーザ溶接装置
JP7168430B2 (ja) * 2018-12-04 2022-11-09 株式会社アイシン福井 レーザ溶接装置
CN110047781B (zh) * 2019-03-14 2021-08-24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激光退火设备及激光退火方法
CN111893266B (zh) * 2020-07-28 2021-05-07 西安交通大学 一种耦合激光处理的金属电阻加热装置
CN115841973B (zh) * 2023-02-17 2023-04-28 成都莱普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晶圆激光退火的挡光环及其制备方法
CN117253841B (zh) * 2023-11-15 2024-03-01 季华恒一(佛山)半导体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碳化硅晶圆的激光退火装置和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6980A (ko) * 1994-12-16 1996-07-22 슌페이 야마자끼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85088A (en) * 1968-10-18 1971-06-15 Ibm Methods of producing single crystals on supporting substrates
US4330363A (en) * 1980-08-28 1982-05-18 Xerox Corporation Thermal gradient control for enhanced laser induced crystallization of predefined semiconductor areas
EP0048514B1 (fr) * 1980-09-18 1984-07-18 L'Etat belge, représenté par le Secrétaire Général des Services de la Programmation de la Politique Scientifique Procédé de cristallisation de films et films ainsi obtenus
US4415794A (en) * 1981-03-16 1983-11-15 Fairchild Camera And Instrument Corporation Laser scanning method for annealing, glass flow and related processes
JPS61188509A (ja) * 1985-02-16 1986-08-22 Nippon Hoso Kyokai <Nhk> 光結合装置
JPS6215875A (ja) * 1985-07-12 1987-01-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S6239138A (ja) 1985-08-13 1987-02-20 Omron Tateisi Electronics Co Xyステ−ジ
JPH0788850B2 (ja) 1986-01-14 1995-09-27 光洋精工株式会社 磁気浮上スライド
JPH0763055B2 (ja) 1986-03-18 1995-07-05 富士通株式会社 レ−ザアニ−ル装置
US4806728A (en) * 1988-02-01 1989-02-21 Raytheon Company Laser process apparatus
JPH0612761B2 (ja) * 1988-06-13 1994-02-16 神奈川県 レーザによる選択拡散の方法
US5108843A (en) * 1988-11-30 1992-04-28 Ricoh Company, Ltd. Thin film semiconductor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H02181419A (ja) 1989-01-06 1990-07-16 Hitachi Ltd レーザアニール方法
JP2780837B2 (ja) 1990-01-24 1998-07-30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可動ステージ装置
ATE174450T1 (de) * 1990-07-06 1998-12-15 Tsubochi Kazuo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metallschicht
NL9001908A (nl) * 1990-08-30 1992-03-16 Philips Nv Elektromagnetische ondersteuning met positie-onafhankelijke eigenschappen.
JPH04142030A (ja) * 1990-09-12 1992-05-15 Ricoh Co Ltd 半導体膜の製造方法
US5521107A (en) * 1991-02-16 1996-05-28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Method for forming a field-effect transistor including anodic oxidation of the gate
JP2794678B2 (ja) 1991-08-26 1998-09-10 株式会社 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絶縁ゲイト型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作製方法
JP2845303B2 (ja) * 1991-08-23 1999-01-13 株式会社 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半導体装置とその作製方法
JPH05104276A (ja) 1991-10-16 1993-04-27 Toshiba Corp レーザ加工装置およびレーザによる加工方法
JP2919145B2 (ja) * 1992-01-07 1999-07-12 菱電セミコンダクタシステム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レーザ光照射装置
JPH05238548A (ja) 1992-02-27 1993-09-17 Ntn Corp エアスライド装置
US5424244A (en) * 1992-03-26 1995-06-13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Process for laser processing and apparatus for use in the same
JPH0679487A (ja) 1992-05-28 1994-03-22 Nec Corp レーザ加工機
CA2108761A1 (en) * 1992-10-23 1994-04-24 Koichi Haruta Method and apparatus for welding material by laser beam
JPH06232069A (ja) * 1993-02-04 1994-08-19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半導体装置の作製方法
KR100255689B1 (ko) * 1993-05-27 2000-05-01 윤종용 반도체 레이져 소자 및 그 제조방법
TW264575B (ko) 1993-10-29 1995-12-01 Handotai Energy Kenkyusho Kk
US5923962A (en) 1993-10-29 1999-07-13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JPH07168040A (ja) 1993-12-14 1995-07-04 Nippon Steel Corp 半導体レーザー集光装置
JPH07249591A (ja) * 1994-03-14 1995-09-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半導体薄膜のレーザーアニール方法及び薄膜半導体素子
JPH07281053A (ja) * 1994-04-11 1995-10-27 Mitsui Petrochem Ind Ltd ファイバ光結合装置
US5489222A (en) * 1994-09-09 1996-02-06 The Whitaker Corporation Mini connector with anti-rotational contact
US6242289B1 (en) * 1995-09-08 2001-06-05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ies Co., Ltd. Method for producing semiconductor device
US5712191A (en) * 1994-09-16 1998-01-27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Method for producing semiconductor device
EP0724229B1 (en) * 1994-12-28 2001-10-10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US5854803A (en) * 1995-01-12 1998-12-29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aser illumination system
WO1996025760A1 (fr) * 1995-02-15 1996-08-22 Hitachi, Ltd. Procede et machine de fabrication de semiconducteurs
JP3778456B2 (ja) * 1995-02-21 2006-05-24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絶縁ゲイト型薄膜半導体装置の作製方法
JP3883592B2 (ja) * 1995-08-07 2007-02-21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レーザ照射方法および半導体作製方法および半導体装置の作製方法および液晶電気光学装置の作製方法
JP3650943B2 (ja) 1995-10-05 2005-05-25 株式会社日本製鋼所 レーザーアニール処理装置
US6027960A (en) * 1995-10-25 2000-02-22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aser annealing method and laser annealing device
JP3119803B2 (ja) 1995-11-15 2000-12-25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Xyテーブル
JPH09321311A (ja) 1996-05-24 1997-12-12 Sony Corp 薄膜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3204986B2 (ja) * 1996-05-28 2001-09-04 ザ トラスティース オブ コロンビア ユニヴァーシティ イン ザ シティ オブ ニューヨーク 基板上の半導体膜領域の結晶化処理及びこの方法により製造されたデバイス
US6759628B1 (en) * 1996-06-20 2004-07-06 Sony Corporation Laser annealing apparatus
JP3580033B2 (ja) * 1996-06-20 2004-10-20 ソニー株式会社 薄膜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とレーザアニール装置
US5970368A (en) * 1996-09-30 1999-10-19 Kabushiki Kaisha Toshiba Method for manufacturing polycrystal semiconductor film
US6455359B1 (en) * 1997-02-13 2002-09-24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aser-irradiation method and laser-irradiation device
JP4056577B2 (ja) * 1997-02-28 2008-03-05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レーザー照射方法
JP3343492B2 (ja) * 1997-04-02 2002-11-11 シャープ株式会社 薄膜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3770999B2 (ja) * 1997-04-21 2006-04-26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レーザー照射装置及びレーザー照射方法
JP3462053B2 (ja) * 1997-09-30 2003-11-05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ビームホモジェナイザーおよびレーザー照射装置およびレーザー照射方法および半導体デバイス
KR100353321B1 (ko) * 1998-06-08 2002-09-18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광학유닛 및 투사형표시장치
JP2000019362A (ja) 1998-07-07 2000-01-21 Nec Corp アレイ型半導体レーザ用光結合装置及び該アレイ型半導体レーザを用いた固体レーザ装置
EP1003207B1 (en) * 1998-10-05 2016-09-07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aser irradiation apparatus, laser irradiation method, beam homogenizer,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emiconductor device
JP3504528B2 (ja) 1999-03-18 2004-03-08 株式会社日本製鋼所 レーザ光照射装置
US6313434B1 (en) * 1999-05-27 2001-11-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for creation of inclined microstructures using a scanned laser image
JP3562389B2 (ja) * 1999-06-25 2004-09-08 三菱電機株式会社 レーザ熱処理装置
US6426245B1 (en) 1999-07-09 2002-07-30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EP1076359B1 (en) * 1999-08-13 2011-02-23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aser irradiation device
US6567219B1 (en) * 1999-08-13 2003-05-20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aser irradiation apparatus
US6599788B1 (en) 1999-08-18 2003-07-29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JP2001102681A (ja) * 1999-09-29 2001-04-13 Toshiba Corp レーザ光源装置
JP2001102323A (ja) 1999-09-30 2001-04-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レーザアニール装置および薄膜トランジスタの製造方法
JP3451477B2 (ja) 1999-11-26 2003-09-29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レーザアニーリング装置
JP2001156017A (ja) * 1999-11-29 2001-06-08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レーザー装置及びレーザー光を用いた熱処理方法並びに半導体装置の作製方法
CN100505313C (zh) 1999-12-10 2009-06-24 株式会社半导体能源研究所 半导体器件及其制造方法
JP3885183B2 (ja) * 2000-01-17 2007-02-21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光学装置、光学装置の調整方法、およびその調整方法で実行する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US6856630B2 (en) 2000-02-02 2005-02-15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Beam homogenizer, laser irradiation apparatus,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emiconductor device
US6746901B2 (en) 2000-05-12 2004-06-08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reof
US6489222B2 (en) 2000-06-02 2002-12-03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US7078321B2 (en) 2000-06-19 2006-07-18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6451631B1 (en) * 2000-08-10 2002-09-17 Hitachi America, Ltd. Thin film crystal growth by laser annealing
US7217605B2 (en) * 2000-11-29 2007-05-15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aser irradiation metho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US6496248B2 (en) * 2000-12-15 2002-12-17 Nikon Corporation Stage device and exposure apparatus and method
SG113399A1 (en) 2000-12-27 2005-08-29 Semiconductor Energy Lab Laser annealing method and semiconductor device fabricating method
US6809012B2 (en) 2001-01-18 2004-10-26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Method of making a thin film transistor using laser annealing
JP2002231655A (ja) 2001-01-30 2002-08-16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レーザアニール装置
US6675057B2 (en) * 2001-04-25 2004-01-06 Intel Corporation Integrated circuit annealing methods and apparatus
TW552645B (en) 2001-08-03 2003-09-11 Semiconductor Energy Lab Laser irradiating device, laser irradiating method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emiconductor device
JP5078205B2 (ja) * 2001-08-10 2012-11-21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レーザ照射装置
KR100885904B1 (ko) * 2001-08-10 2009-02-26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레이저 어닐링장치 및 반도체장치의 제작방법
TWI282126B (en) * 2001-08-30 2007-06-01 Semiconductor Energy Lab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JP4397571B2 (ja) 2001-09-25 2010-01-13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レーザ照射方法およびレーザ照射装置、並びに半導体装置の作製方法
US7026227B2 (en) 2001-11-16 2006-04-1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Method of irradiating a laser beam, and method of fabricating semiconductor devices
US6849825B2 (en) 2001-11-30 2005-02-0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aser irradiation apparatu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6980A (ko) * 1994-12-16 1996-07-22 슌페이 야마자끼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8045B1 (ko) 2012-02-17 2013-06-24 주식회사 엘티에스 레이저 리프트 오프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863541B2 (en) 2011-01-04
US20030038122A1 (en) 2003-02-27
US20050035095A1 (en) 2005-02-17
US20100173480A1 (en) 2010-07-08
CN1405862A (zh) 2003-03-26
US6847006B2 (en) 2005-01-25
CN101101869B (zh) 2010-12-29
CN1279591C (zh) 2006-10-11
KR20030014609A (ko) 2003-02-19
JP2009164637A (ja) 2009-07-23
TW561556B (en) 2003-11-11
JP5058205B2 (ja) 2012-10-24
CN101101869A (zh) 2008-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5904B1 (ko) 레이저 어닐링장치 및 반도체장치의 제작방법
US6849825B2 (en) Laser irradiation apparatus
KR100685344B1 (ko) 레이저 어닐링 방법 및 레이저 어닐링 장치
KR101188356B1 (ko) 레이저 조사장치, 레이저 조사방법 및 반도체장치의제조방법
US6096581A (en) Method for operating an active matrix display device with limited variation in threshold voltages
TWI423299B (zh) 雷射照射設備及製造半導體裝置之方法
KR100534501B1 (ko) 박막 처리 방법 및 박막 처리 장치
JP2004349635A (ja) レーザアニール方法及び装置
KR101268107B1 (ko) 레이저 조사장치, 레이저 조사방법, 및 반도체장치 제조방법
JP2004311906A (ja) レーザ処理装置及びレーザ処理方法
US6723590B1 (en) Method for laser-processing semiconductor device
US7387922B2 (en) Laser irradiation method,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and laser irradiation system
US20020080497A1 (en) Laser irradi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laser irradiation
JP2007096244A (ja) 投影マスク、レーザ加工方法、レーザ加工装置および薄膜トランジスタ素子
JP4549620B2 (ja) レーザ照射装置
JP4429575B2 (ja) レーザー照射装置及び半導体装置の作製方法
JP2004146823A (ja) レーザ照射装置及び前記レーザ照射装置を用いた半導体装置の作製方法
JP4969024B2 (ja) 半導体装置の作製方法
JP4944705B2 (ja) 半導体装置の作製方法及び配線の作製方法
KR20180131667A (ko) 고체 레이저 결정화 장치
JP2001223167A (ja) 半導体薄膜の製造方法
JP2005175380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半導体装置および表示装置、半導体装置用基板及び表示装置用基板
JP2006332183A (ja) 半導体膜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