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8049B1 - 압상장치 - Google Patents

압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8049B1
KR100838049B1 KR1020070040467A KR20070040467A KR100838049B1 KR 100838049 B1 KR100838049 B1 KR 100838049B1 KR 1020070040467 A KR1020070040467 A KR 1020070040467A KR 20070040467 A KR20070040467 A KR 20070040467A KR 100838049 B1 KR100838049 B1 KR 1008380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h rod
push
holder
vehicle body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0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05281A (ko
Inventor
히로유키 나카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0701052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52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8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80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5Inlet co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0025Devices for forcing the wing firmly against its seat or to initiate the opening of the wing
    • E05B17/0033Devices for forcing the wing firmly against its seat or to initiate the opening of the wing for opening only
    • E05B17/0037Spring-oper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28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 E05B83/34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for fuel inlet covers essentially flush with the vehicle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02Automatic catches, i.e. released by pull or pressure on the wing
    • E05C19/022Released by pushing in the closing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5Inlet covers
    • B60K2015/0515Arrangements for closing or opening of inlet cover
    • B60K2015/053Arrangements for closing or opening of inlet cover with hinged connection to the vehicle bod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과제) 장치 자체를 소형화하기 쉽게 하고, 또 오작동의 발생빈도가 억제되도록 한다.
(해결수단) 차체측에 힌지부(2)를 통해서 부착된 퓨얼 리드(1)를 로크수단의 로크를 해제한 후, 푸시·푸시기구의 푸시로드(8) 등을 통해서 덮개 개방방향으로 압출하는 압상(押上)장치(5)에 있어서, 푸시·푸시기구는 푸시로드(8)가 고정측의 복수의 가이드부(20,21) 등에 차례로 걸림/걸림 해제하는 캠부(19)를 주위에 가지고, 퓨얼 리드(1)를 폐색상태에서 차체측으로 압압하고 그 압압력을 해방시키면, 돌출량을 줄인 인입위치에서의 상기 가이드부 및 캠부에 의한 유지가 회전에 수반하여 해방된 후, 탄지력에 의해 돌출량이 늘어나서 퓨얼 리드(1)가 압출되는 돌출위치로 전환되는 회전캠식으로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압상장치{PUSHING-UP DEVICE}
도 1(a),(b)는 본 발명 형태의 압상장치의 배치 및 덮개의 폐색상태와 개방상태를 나타낸 모식도
도 2(a),(b)는 상기 압상장치의 분해 사시도와 일부 파단면도
도 3(a),(b)는 상기 압상장치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와 일부 파단면도
도 4(a)∼(c)는 상기 압상장치의 동작예를 나타낸 모식 단면도
도 5는 상기 압상장치의 제 1 변형예를 도 4(a)와 같은 형태로 나타낸 구성도
도 6은 상기 압상장치의 제 2 변형예를 도 4(a)와 같은 형태로 나타낸 구성도
도 7은 상기 압상장치의 제 3 변형예를 도 4(a)와 같은 형태로 나타낸 구성도
도 8은 특허문헌 1의 장치구조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면중 주요부분의 부호의 설명*
1 - 덮개(퓨얼 리드) 2 - 힌지부
4 - 이너 패널 4a - 부착구멍
5 - 압상장치 6 - 홀더
7 - 슬리브 8 - 푸시로드
9 - 코일 스프링(스프링부재) 10 - 커버
18 - 플랜지부 19 - 캠부
20 - 긴 홈(가이드부) 21 - 얕은 홈(가이드부)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04-106584호
특허문헌 2 : 독일 특허출원공개 제19650594호 명세서
본 발명은 차체에 형성되는 퓨얼 리드를 푸시·푸시기구에 의해 개방방향으로 압출하기 위한 압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8은 특허문헌 1에 개시된 퓨얼 리드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이 구조에서는 퓨얼 리드(14)(이하, 덮개로 약칭한다)가 차체(11)측의 벽면(31)에 대해 힌지부(21)를 통해 부착되고, 폐색상태에서 차체(11)와 면이 일치되도록 배치되며, 개방상태에서 연료입구부의 캡(37)을 노출시킨다. 덮개(14)의 내면에는 로크편(23) 및 맞닿음부(41)가 형성되어 있다. 벽면(31)측에는 로크수단(35) 및 오픈로드기구(40)가 형성되어 있다. 로크수단(35)은 로크편(23)에 걸어 맞춰지는 것에 의해 덮개(14)를 폐색상태로 로크한다. 이 로크는 차실 내의 오프너를 통해서 해제 조작하는 것에 의해 로크 해제된다. 오픈로드기구(40)는 출몰 가능하게 지지되면서 돌출방향으로 탄지된 오픈로드(15)를 가지고 있다. 이상의 오픈로드기구(40)는 연료를 급유할 때 로크수단(35)이 로크 해제되면, 오픈로드(15)가 탄지력에 의해 맞닿음부(41)에 맞닿은 상태로 인입위치에서 돌출되어 덮개(14)를 개방방향으로 소정량(손가락 등을 집어넣어 개방 조작할 수 있을 정도로)압출시킨다. 또 덮개(14)의 폐색 작동에 의해 오픈로드(15)가 탄지력에 저항해서 돌출량을 줄이는 방향으로 인입된다.
덮개 폐색상태에 있어서, 로크수단(35)이 덮개(14)를 로크한 상태에서, 오픈로드(15)의 압출력이 맞닿음부(41)를 통해서 덮개(14)의 대응부에 가해지고 있다. 이 경우, 덮개(14)는 오픈로드(15)가 로크수단(35)보다 하측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로크편(23)과 힌지부(21)를 연결하는 선(25)을 축으로 해서 회전하려고 한다. 이 구조에서는 그 대책으로서 덮개(14)의 상단측 가장자리부가 벽면(31)의 대응하는 받침면(28)에 형성한 치수조정부재(29)에 맞닿는 것에 의해 덮개(14)의 상단측 가장자리부가 필요 이상으로 차체 표면 내로 인입되는 것을 막고, 덮개(14)의 상단 표면이 차체 표면과 일치된 면으로 유지되도록 한 것이다.
이에 비해, 특허문헌 2에는 덮개에 대한 로크수단의 로크를 해제한 상태에서 덮개를 압압조작하고 그 압압력을 해방하면, 푸시·푸시기구의 푸시로드 등을 통해 서 덮개 개방방향으로 압출하는 압상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장치구조는 바닥을 가지는 통형상의 홀더와, 상기 홀더의 상측에 연결되는 슬리브와, 상기 홀더 내에 배치되어 상기 슬리브의 상면에 형성된 관통구멍에서 돌출되는 푸시로드와, 상기 푸시로드의 대향측면에 형성된 하트형 캠 홈과, 상기 홀더 내에 배치되어 푸시로드를 돌출방향으로 탄지하는 스프링부재와, 상기 홀더 내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양단이 대응하는 상기 하트형 캠 홈을 트레이스하는 핀과, 상기 슬리브에서 돌출된 푸시로드의 선단에 연결되는 커버를 구비하고 있다.
또, 푸시·푸시기구로서는 푸시로드가 핀과 하트형 캠 홈의 관계에 의해 돌출량을 줄인 인입위치에 유지되어 있고, 푸시로드에 대한 덮개를 통한 압압 작동에 의해 상기 유지를 해제해서 스프링부재의 탄지력에 의해 돌출량을 늘리는 돌출위치로 전환된다. 구체적으로 덮개 폐색상태에 있어서, 푸시로드가 인입위치가 되도록 설정되고, 덮개를 통해서 압압 조작되면, 인입위치에서의 유지가 해제되어 돌출위치로 전환될 때의 작용에 의해 덮개를 압출시키는 것이다.
상기 특허문헌 2의 푸시·푸시기구는 특허문헌 1의 오픈로드기구에 비해, 덮개 폐색상태에 있어서, 푸시로드가 인입위치에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덮개가 폐색상태에서 압출용 부하를 받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다. 하지만 본 출원인은 특허문헌 2의 푸시·푸시기구를 검토한 결과, 푸시로드의 인입상태를 하트형 캠 홈 및 트레이스용 핀을 통해서 유지하는 구조, 예를 들어 푸시로드의 양 측면(평면)에 캠 홈 을 형성하는 것, 양 측의 캠 홈에 대해 대략 U자형의 핀을 외측에서 끼워 맞추는 것, 상기 핀을 홀더에 대해 요동 가능하게 지지해야 하는 것에 의해, 소형화를 도모하기 어렵기 때문에 차체에 대한 조립에 있어서 제약을 받기 쉬워지고, 덮개 폐색상태에 있어서, 푸시로드의 인입위치에서의 유지가 차체로부터 받는 충격에 의해 예기치 않게 해제될 우려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의 과제를 해결해서 장치 자체를 소형화하기 쉽게 하고, 또 오작동의 발생빈도를 억제할 수 있도록 한 덮개의 압상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차체측에 힌지부를 통해서 부착된 퓨얼 리드를 로크수단의 로크를 해제한 후, 푸시·푸시기구의 푸시로드 등을 통해서 덮개 개방방향으로 압출하는 압상장치에 있어서, 상기 푸시·푸시기구는 상기 푸시로드가 고정측의 복수의 가이드부에 차례로 걸림/걸림 해제하는 캠부를 주위에 가지고, 상기 퓨얼 리드를 폐색상태에서 차체측으로 압압하고 그 압압력을 해방하면, 돌출량을 줄인 인입위치에서의 상기 가이드부 및 캠부에 의한 유지가 회전에 수반해서 해방된 후, 탄지력에 의해 돌출량이 늘어나서 상기 퓨얼 리드를 압출하는 돌출위치로 전환되는 회전캠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이상의 푸시·푸시기구는 푸시로드가 고정측 홀더 등에 대해 퇴피(退避)한 인입위치에서 유지(걸림)되어 있다. 이 유지는 퓨얼 리드를 차체측으로 압압하고 그 압압력을 해 방하는 것에 의해 해제되고, 해제와 동시에 푸시로드가 탄지력에 의해 돌출위치로 전환되는 구성이다.
이상의 압상장치는 이하와 같이 구체화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가) 상기 푸시로드와, 상기 차체측에 장착되어 상기 푸시로드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하고 있는 바닥을 가지는 통형상의 홀더와, 상기 홀더에 연결되어 이 홀더 내에 배치된 상기 푸시로드의 선단측을 외측으로 끼워 통과시키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 가이드부를 형성하고 있는 슬리브와, 상기 홀더 내에 형성되어 상기 푸시로드에 대한 상기 퓨얼 리드의 폐색방향으로의 압압 동작에 의해 탄지력을 축적하는 스프링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구성이다(청구항 2).
(나) 상기 푸시로드는 분할되어 있음과 아울러, 일측이 타측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는 구성이다(청구항 3, 청구항 4).
(다) 상기 캠부는, 상기 푸시로드의 외주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구성이다(청구항 5, 청구항 6).
(라) 상기 홀더에 대해 하측 주위가 장착되고, 상기 푸시로드의 상기 슬리브에서 돌출된 부분을 덮는 신축성 커버를 가지고 있는 구성이다(청구항 7).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최량의 형태에 대해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이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관한 압상장치의 구조, 작동, 변형예의 순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구조) 도 1에 있어서, 부호 1은 덮개이다. 이 덮개(1)는 힌지부(2)를 통해서 차체 패널의 대응부에 대해 개폐 가능하게 지지됨과 아울러,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 등에 의해 폐색방향으로 탄지되어 있다. 그리고 동 도 1(a)의 덮개 폐색상태에 있어서, 도시하지 않은 로크수단에 의해 로크되어 있고, 예를 들어 차실 내의 오프너를 통해서 해제 조작되는 것에 의해, 혹은 도어 로크의 해제 조작과 연동해서 로크 해제된다. 또 도 1에서는 상기 로크수단 및 그 관련부재 등을 생략했지만, 로크수단 및 그 관련부재 등은 종래구조와 같다. 예를 들면, 로크구조로서는 도 8과 같이 로크수단이 차체 패널측에 부착되고, 덮개(1)의 내면에 형성된 로크편 등에 걸림/걸림 해제되도록 되어 있다.
덮개 폐색상태에서는 덮개(1)가 차체 패널의 외면과 동일면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상기 로크수단을 로크 해제했다고 해도, 덮개(1)에 손잡이부가 없는 상태이기 때문에 도어 혹은, 덮개(1)를 압압하고 그 압압력을 해방하면, 동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동적으로 절반이 개방된 상태로 되고, 지금까지 덮혀 있던 차체 패널의 오목형상 벽면(4)(이하, 이 벽면을 이너 패널부 라고 한다)에 연료 주입구부에 장착되어 있는 나사식의 캡(3)이 노출되고, 이 캡(3)을 분리하는 것에 의해 연료를 주입할 수 있게 된다.
부호 5는 발명의 요부인 압상장치이다. 이 압상장치(5)는 이너 패널부(4)의 덮개(1)의 개폐단측 또는 자유단측에 대향하는 개소에 설치되어 있고, 덮개(1)를 로크수단의 로크를 해제한 후, 덮개(1)의 개폐단측을 손가락 등으로 압압하고 그 압압력을 해방하면, 푸시·푸시기구의 푸시로드(8) 등을 통해서 덮개 개방방향으로 압출되는 구조이다.
즉, 압상장치(5)는 도 2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너 패널부(4)에 형성된 부착구멍(4a)에 걸어 맞춤되어 고정되는, 바닥을 가지는 통형상의 홀더(6)와, 홀더(6)의 상측 내주부(內周部)에 끼워 맞춤되어 연결되는 대략 통형상의 슬리브(7)와, 홀더(6) 및 슬리브(7) 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어 슬리브(7)의 선단면의 구멍에서 외측으로 끼워 통과시킨 푸시로드(8)와, 홀더(6) 내에서 푸시로드(8)의 외주부에 끼워진 상태로 푸시로드(8)를 항상 돌출측으로 탄지시키는 스프링부재인 코일 스프링(9)과, 슬리브(7)의 선단면의 구멍에서 외측으로 끼워 통과시킨 푸시로드(8)의 돌출부 선단에 끼워 맞춘 상태에서 푸시로드(8)의 슬리브(7)에서 돌출되는 부분을 덮는 연질재료로 이루어지는 신축성 커버(10)로 이루어져 있다. 또, 홀더(6), 슬리브(7), 푸시로드(8)는 모두 수지 성형품이다. 커버(10)는 수지 또는 고무제의 성형품이다.
이때, 홀더(6)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9)을 수용하는 통부(11)와, 통부(11)의 상부 외주에 형성된 대경(大徑)부(12)와, 대경부(12)의 대략 중간부에 일체화된 턱형상의 플랜지부(13)를 일체로 가지고 있다. 또 대경부(12)의 외주에 있어서, 플랜지부(13)의 하측 주위에는 복수의(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보강 리브(14)가 형성되고, 플랜지부(13)의 상측 주위에는 둘레를 따르는 홈(이하, 간단히 주회(周回)홈이라고 한다.)(13a)이 형성되어 있다. 또 보강 리브(14)와 보강 리브(14)의 사이에 있어서, 대략 180° 변위한 개소에 한 쌍의 빠짐 방지용 걸림돌조(15)가 형성되어 있다. 각 걸림돌조(15)는 홀더(6)가 이너 패널부(4)의 부착 구멍(4a)에 관통된 상태로, 플랜지부(13)와의 사이에서 이너 패널부(4)를 사이에 두고 지지할 수 있게 한다. 또, 주회홈(13a)의 상측에는 대략 180° 변위한 개소에 고정용 걸림구멍(16)이 개구되어 있다. 이에 비해, 홀더(6)의 내주는 상하의 도중이 단차로 되어 있고, 상측의 지름이 크게 형성되어 있다. 단차의 상단면(6a)은 도시를 간략화하고 있으나, 가이드부로서 대략 나선형의 복수의 경사부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사부는 후술하는 푸시로드(8) 측의 각 캠부(19)가 압접될 때마다 그 나선형 경사부의 경사를 따라 소정의 각도(본 실시예에서는 22.5°)씩 한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가이드 한다. 또, 이 구조에서는 거듭 푸시로드(8)측의 각 캠부(19)가 나선형 경사부에서 상승할 때에도 도시하지 않은 리브에 맞닿아서 소정의 각도(본 실시예에서는 22.5°)씩 한 방향으로 회전된다.
푸시로드(8)는 상하 대략 중간부에 한 단 큰 지름으로 한 플랜지부(18)를 주위를 따라 형성하고, 이 플랜지부(18)보다 하측을 코일 스프링(9)의 코일 내에 끼워 통과시키는 하측 로드부(8a)로 설정하고 있고, 플랜지부(18)보다 상측을 푸시용 상측 로드부(8b)로 설정하고 있다. 하측 로드부(8a)는 코일 스프링(9)의 코일 내에 끼워 통과되어진 상태에서, 홀더(6)의 저면과 플랜지부(18)의 사이에 코일 스프링(9)을 축소 변형 가능하게 유지한다. 또 상측 로드부(8b)의 선단측에는 걸어 맞춤홈(8c)이 주위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해, 플랜지부(18)에는 주위를 등분하는 개소에 복수의(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캠부(19)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각 캠부(19)는 주위방향에 있어서, 일단측이 타단측보다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다.
슬리브(7)는 대략 통형상이고, 상단 주위의 대경부(7a) 및 그 하측에 돌출 형성된 한 쌍의 돌기(17)를 가지고, 홀더(6)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대경부(7a)가 홀더(6)의 상단면에 맞닿음과 아울러, 각 돌기(17)가 홀더(6)의 대응하는 걸림구멍(16)에 걸어 맞춤되고, 이것에 의해 홀더(6)에 대해 연결된다. 또 슬리브(7)의 내주에는, 복수의(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있다. 각 가이드부는 슬리브의 내주를 등분하는 개소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긴 홈(20)과, 긴 홈(20)들의 사이에 있는 돌출부의 하측에 형성된 복수의 뒤집어진 U자형상의 얕은 홈(21)으로 이루어진다. 이로 인해, 본 실시예에서는 슬리브 내주방향의 형상으로 긴 홈(20), 얕은 홈(21)을 형성하고 있는 돌출부, 긴 홈(20), 얕은 홈(21)을 형성하고 있는 돌출부, 긴 홈(20), 얕은 홈(21)을 형성하고 있는 돌출부, 긴 홈(20), 얕은 홈(21)을 형성하고 있는 돌출부로 되어 있다.
커버(10)는 대략 캡형상을 이루고, 내주 상측의 소경부의 주위에 형성된 걸어 맞춤 볼록부(10a)와, 내주 하측의 주위에 형성된 걸어 맞춤 볼록부(10b)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커버(10)는 상측의 걸어 맞춤 볼록부(10a)를 푸시로드(8)의 선단측 걸어 맞춤홈(8c)에 걸어 맞춤하고, 하측의 걸어 맞춤 볼록부(10b)를 홀더(6)의 주회홈(13a)에 걸어 맞춤한 상태에서, 홀더(6) 및 푸시로드(8)에 대해 상하 신축 가능하게 조립된다.
(작동) 도 4는 이상의 압상장치(5)의 동작을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우선, 도 4(a)는 푸시로드(8)가 코일 스프링(9)의 탄지력에 의해 최대로 돌출된 상태, 즉 푸시로드(8)의 돌출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 푸시·푸시기구는 푸시로드(8)의 각 캠부(19)가 슬리브(7) 측의 가이드부 중, 대응하는 긴 홈(20)을 따라서 상측까지 슬라이드되어 있다. 덮개(1)는 푸시로드(8)의 돌출작동에 의해 힌지부(2)를 지지점으로 해서 소정의 각도만큼 개방방향으로 회동된다. 이로 인해, 작업자는 차체측과의 사이에 손가락 등을 집어넣어 도 1(b)와 같이 완전개방조작 가능하게 된다. 또 커버(10)는 푸시로드(8)의 최대 돌출 상태에서 푸시로드(8)의 돌출 부분을 포함하는 대응부를 덮고 있고, 외관의 미관 향상과 아울러 압상장치(5)내로의 방진·방오(防汚) 작용을 담당하고 있다.
도 4(b)는 덮개(1)를 폐색상태로 하기위해, 덮개(1)가 도 1(b)의 개방상태에서 차체측(폐색방향)으로 최대로 압압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 푸시·푸시기구는 푸시로드(8)의 각 캠부(19)가 도 4(a)의 대응하는 긴 홈(20)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슬라이드 된 후, 홀더(6) 내의 단차 상단면(6a)에 형성되어 있는 경사부에 압압되어 맞닿으면, 상기 경사부의 경사의 가이드 작용에 의해 소정 각도만큼 회전된다. 그러면, 각 캠부(19)는 그 회전에 의해 도 4(c)와 같이 긴 홈(20)에서 얕은 홈(21)에 대향한다.
도 4(c)는 푸시로드(8)가 최대까지 인입된 상태에서, 덮개(1)에 대한 압압력을 해방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푸시·푸시기구는 덮개(1)에 대한 압압력이 해방되면(푸시로드(8)의 인입방향으로의 부하가 해방되면), 푸시로드(8)가 코일 스프링(9)의 탄지력에 의해 돌출방향으로 약간 슬라이드된 후, 각 캠부(19)가 대응하는 얕은 홈(21)의 상단에 맞닿아서 제지된다. 즉, 푸시로드(8)는 돌출량을 줄인 인입위치에서, 캠부(19) 및 얕은 홈(21)의 걸어 맞춤에 의해 유지된다. 또한 덮개(1)는 스프링 등에 의한 폐색방향으로의 탄지에 의해 폐색상태가 되고, 그 후, 종래와 같 이 로크수단에 의해 폐색상태로 로크된다. 커버(10)는 푸시로드(8)의 인입동작에 따라 축소 변형된 상태에서 압상장치(5) 내로의 방진·방오 작용을 맡는다.
또 덮개(1)를 폐색상태에서 다시 개방상태로 하는 경우는 로크수단의 로크를 해제한 후, 도 1(a)와 같이 덮개(1)를 차체측(폐색방향)으로 압압하고 그 압압력을 해방한다. 또 덮개(1)를 압압하는 거리는 푸시로드(8)가 도 4(b)의 위치와 도 4(c)의 위치의 차, 즉 도 4(c)에 나타낸 얕은 홈(21)의 길이에 거의 비례한 치수이다. 푸시 푸시기구는 푸시로드(8)가 도 4(c)의 상태에서 코일 스프링(9)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거듭 인입방향으로 슬라이드됨과 아울러, 각 캠부(19)가 얕은 홈(21)을 따라서 하측으로 슬라이드된다. 그리고 각 캠부(19)가 얕은 홈(21)의 하측에 대향하고 있는 홀더(6) 내의 단차 상단면(6a)에 형성되어 있는 경사부에 압압되서 맞닿으면, 상기 경사부의 경사의 가이드 작용에 의해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된다. 이 회전에 의해 푸시로드(8)는 각 캠부(19)가 얕은 홈(21)의 하단에서 상기 경사부를 통해 긴 홈(20)의 입구에 도달한 후, 코일 스프링(9)의 탄지력에 의해 긴 홈(20)을 따라 돌출방향으로 슬라이드되고, 도 4(a)의 돌출위치로 전환된다. 덮개(1)는 푸시로드(8)의 돌출작동에 의해 힌지부(2)를 지지점으로 해서 소정의 각도만큼 개방방향으로 회동되게 된다.
(변형예) 도 5∼도 7의 변형예는, 상기한 푸시로드(8)와 캠부(19)의 관계를 변형한 3예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므로 도 5∼도 7에서는, 도 1∼도 4와 동일 또는 유사한 부재 및 부위에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최대한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의 푸시로드(8)는 플랜지부(18) 및 캠부(19)를 형성하고 있는 하측 로드 부(8a)가 상측을 연장하고 있음과 아울러, 선단측의 상측 로드(8b)가 분리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하측 로드부(8a)는 상측 로드(8b)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로 인해, 이 구조에서는, 예를 들어 하측 로드부(8a)가 회전해도 상측 로드부(8b)가 회전하지 않기 때문에, 하측 로드부(8a)의 회전특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고, 아울러 커버(10)측에 대한 부하도 완화할 수 있다.
도 6의 푸시로드(8)는 대략 상하 중간부, 즉 플랜지부(18) 및 캠부(19)를 형성하고 코일 스프링(9)의 코일 내에 끼워 통과시키는 하측 로드부(8a)와, 플랜지부(18) 및 캠부(19)보다 상측의 상측 로드부(8b)로 분할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하측 로드부(8a)는 상측 로드(8b)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로 인해, 이 구조에서도, 예를 들어 하측 로드부(8a)가 회전해도 상측 로드부(8b)가 회전하지 않기 때문에, 하측 로드부(8a)의 회전 특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고, 아울러 커버(10)측에 대한 부하도 완화할 수 있다.
도 7의 푸시로드(8)는 하측 로드부(8a)와 상측 로드부(8b)가 분할되고, 또 상측 로드(8b)에 대해 하측 로드(8a)를 연결하고 있는 점에서 도 6의 구조와 유사하다. 이 구조에서는 그에 부가해서 플랜지부(18)가 하측 로드(8a)와 별도의 부재로 구성되고, 또 하측 로드(8a)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어 있다. 플랜지부(18)에는 상기한 복수의 캠부(19)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이 구조에서는 도 6과 도 7에 비해, 회전부인 캠부(19)를 가지는 플랜지부(18)의 회전특성을 보다 양호하게 유지하여 쉬워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 압상장치는 청구항 1에서 특정되는 요건을 제외하고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이다. 일예로서는, 홀더측 단차의 상단면(6a)에 가이드부로서 복수의 경사부를 형성했지만, 이와 같은 가이드부는 별도의 부재에 동일한 경사부를 형성하고, 슬리브(7)의 하단측에 대해 일체적으로 부착되도록 해도 된다. 또 대상의 퓨얼 리드는, 교통수단이라면 자동차에 한정되지 않고, 토목·건축이나 농업 관련 등의 각종 구동기의 차체에 형성되는 것도 널리 포함하는 것이다. 이 덮개의 내면측에는, 도 8에 나타낸 것과 같은 로크편 맞닿음부 등이 필요에 따라 형성된다.
청구항 1의 발명에서는, 상기 푸시로드가 주위에 복수의 캠부를 가지고, 상기 퓨얼 리드를 폐색방향으로 압압하고 그 압압력을 해방하면, 회전에 수반하여 인입위치에서의 유지가 해방된 후, 탄지력에 의해 돌출량이 늘어나서 상기 퓨얼 리드를 압출하는 돌출위치로 전환되는 회전캠식의 푸시·푸시기구로 했기 때문에, 장치 자체를 소형화하기 쉽고, 그로 인해 차체측의 부착부에 있어서의 설계 자유도를 확대하거나, 충격 하중에 의한 오작동 발생 빈도를 억제해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에서는 특허문헌 2의 것에 비해서 회전캠식의 푸시·푸시기구를 적은 부재로 간단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 청구항 3, 청구항 4의 발명에서는 푸시로드를 분할하는 것에 의해, 예를 들면, 도 5나 도 6의 예와 같이 캠부를 형성하고 있는 로드부만 회전 가능하게 하고, 선단측 로드부가 회전되지 않도록 해서 전환특성을 향상시킨다.
청구항 5, 청구항 6의 발명에서는 예를 들면, 캠부를 푸시로드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하는 것에 의해 전환특성을 향상시킨다. 이에 대해, 청구항 7의 발명에서는 신축성 커버에 의해 방진·방오 효과를 확실히 얻을 수 있도록 한다.

Claims (7)

  1. 차체측에 힌지부를 통해서 부착된 퓨얼 리드를, 로크수단의 로크를 해제한 후, 푸시·푸시기구의 푸시로드를 통해서 덮개 개방방향으로 압출하는 압상(押上)장치에 있어서,
    상기 푸시·푸시기구는, 상기 푸시로드가 고정측의 복수의 가이드부에 차례로 걸림/걸림 해제되는 캠부를 주위에 가지고,
    상기 퓨얼 리드를 폐색상태에서 차체측으로 압압하고 그 압압력을 해방하면, 돌출량을 줄인 인입위치에서의 상기 가이드부 및 캠부에 의한 유지가 회전에 수반하여 해방된 후, 탄지력에 의해 돌출량이 늘어나서 상기 퓨얼 리드를 압출하는 돌출위치로 전환되는 회전캠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상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푸시로드와, 상기 차체측에 장착되어 상기 푸시로드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하고 있는 바닥을 가지는 통형상의 홀더와, 상기 홀더에 연결되어 이 홀더 내에 배치된 상기 푸시로드의 선단측을 외측으로 끼워 통과시키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 가이드부를 형성하고 있는 슬리브와, 상기 홀더 내에 형성되어 상기 푸시로드에 대한 상기 퓨얼 리드의 폐색방향으로의 압압 동작에 의해 탄지력을 축적하는 스프링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상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푸시로드는 분할되어 있음과 아울러, 일측이 타측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상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푸시로드는 분할되어 있음과 아울러, 일측이 타측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상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캠부는 상기 푸시로드의 외주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상장치.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캠부는 상기 푸시로드의 외주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상장치.
  7.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홀더에 대해 하측 주위가 장착되고, 상기 푸시로드의 상기 슬리브에서 돌출된 부분을 덮는 신축성 커버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상장치.
KR1020070040467A 2006-04-25 2007-04-25 압상장치 KR1008380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121302A JP5004268B2 (ja) 2006-04-25 2006-04-25 押上装置
JPJP-P-2006-00121302 2006-04-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5281A KR20070105281A (ko) 2007-10-30
KR100838049B1 true KR100838049B1 (ko) 2008-06-12

Family

ID=38624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0467A KR100838049B1 (ko) 2006-04-25 2007-04-25 압상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292113B2 (ko)
EP (1) EP2017112B1 (ko)
JP (1) JP5004268B2 (ko)
KR (1) KR100838049B1 (ko)
CN (1) CN101426662B (ko)
WO (1) WO200712283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3965B1 (ko) 2009-06-25 2012-01-06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압상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14729B2 (ja) * 2007-12-27 2011-06-2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フューエルリッドの係止部構造
JP5259220B2 (ja) * 2008-03-25 2013-08-07 富士重工業株式会社 電気自動車
JP4599440B2 (ja) * 2008-08-08 2010-12-1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燃料供給部構造
DE102008057933B4 (de) * 2008-11-19 2012-10-25 Itw Automotive Products Gmbh Betätigungsvorrichtung für eine schwenkbar gelagerte Klappe in einem Automobil mit einer Push-Push-Kinematik
ES2343936B1 (es) * 2008-12-23 2011-06-16 Ojmar, S.A. Cerradura de pomo bloqueable.
DE102009008496A1 (de) * 2009-02-11 2010-08-12 Illinois Tool Works Inc., Glenview Arretiervorrichtung zur Arretierung einer Betätigungsvorrichtung mit Push-Push-Kinematik
JP5118102B2 (ja) 2009-06-25 2013-01-16 株式会社ニフコ 押上装置
JP5711471B2 (ja) * 2010-05-24 2015-04-30 株式会社城南製作所 チャージポートリッドアセンブリー
DE102010023473A1 (de) * 2010-06-11 2011-12-15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Betreiiben eines Kraftfahrzeugs und Kraftfahrzeug
US8845001B2 (en) 2010-10-12 2014-09-30 Toyota Shatai Kabushiki Kaisha Device for detecting opening/closing of charger lid
DE102011008324A1 (de) * 2011-01-11 2012-07-1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 d. Staates Delaware) Schließeinrichtung für Fahrzeugklappe, Verfahren zur Montage einer Klappenanordnung
JP5690175B2 (ja) 2011-03-02 2015-03-25 株式会社ニフコ 押上装置
DE102011101838A1 (de) * 2011-05-17 2012-11-22 Illinois Tool Works Inc. Betätigungsvorrichtung
JP2012240645A (ja) * 2011-05-24 2012-12-10 Toyota Auto Body Co Ltd 車両のインレットボックスアッセンブリ
DE102011116068A1 (de) * 2011-07-22 2013-01-24 Kiekert Ag Tankklappenverriegelung
JP5523434B2 (ja) * 2011-11-29 2014-06-18 豊田合成株式会社 フューエルリッド構造
KR101382281B1 (ko) * 2011-12-09 2014-04-09 현대자동차(주) 차량의 연료도어 장치
US8960732B2 (en) * 2012-02-28 2015-02-24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Seal structure for translating member
DE102012004071A1 (de) 2012-03-02 2013-09-05 Illinois Tool Works Inc. Betätigungsvorrichtung
FR2998224B1 (fr) * 2012-11-16 2014-12-05 Coutier Moulage Gen Ind Dispositif de poussoir pour deplacer un volet de vehicule automobile et trappe a carburant ou a energie electrique comprenant un tel dispositif de poussoir
US9038499B2 (en) 2013-03-11 2015-05-26 Mitsui Kinzoku Act Corporation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DE102013004791A1 (de) * 2013-03-20 2014-09-2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d. Ges. d. Staates Delaware) Stellelement für eine Kraftfahrzeug-Klappe
JP6235258B2 (ja) * 2013-07-12 2017-11-22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リッドロック装置
JP6309276B2 (ja) * 2014-01-10 2018-04-11 株式会社ニフコ ラッチ装置
DE202014005799U1 (de) * 2014-07-16 2015-10-2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d. Ges. d. Staates Delaware) Kraftfahrzeug-Tankklappenanordnung
JP6396163B2 (ja) * 2014-10-08 2018-09-26 株式会社ハイレックスコーポレーション 進退移動装置
US9376012B2 (en) * 2014-10-13 2016-06-28 Srg Global, Inc. Vehicle fuel filler system seal
US9481240B1 (en) * 2015-04-27 2016-11-0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Cover assembly for a filling port of a vehicle
KR101644134B1 (ko) * 2015-12-29 2016-08-01 주식회사 신진화학 주유구 개폐장치
CN105644926A (zh) * 2016-03-30 2016-06-08 宁波横河模具股份有限公司 一种油箱盖执行器
CN105946571B (zh) * 2016-05-04 2018-11-06 杰必机电配件(上海)有限公司 盖板控制装置及汽车
US9856681B1 (en) * 2016-06-17 2018-01-02 Nifco America Corp. Push lifter
CN109642442B (zh) * 2016-08-26 2020-12-22 百乐仕株式会社 旋转式伸缩装置
IT201600104772A1 (it) * 2016-10-18 2018-04-18 Cebi Italy Spa Sistema per la chiusura di un portello del serbatoio carburante.
JP2018134939A (ja) * 2017-02-21 2018-08-30 株式会社城南製作所 フューエルリッド及びスライドドアの制御装置
CN107227920B (zh) * 2017-07-07 2020-01-10 宁波港瑞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汽车背门用电动撑杆系统
DE102017007159A1 (de) 2017-07-27 2019-01-3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 d. Staates Delaware) Tankverschluss für ein Kraftfahrzeug
JP7054372B2 (ja) * 2018-08-24 2022-04-13 中央発條株式会社 蓋体開閉装置
CN110984760B (zh) * 2019-11-01 2024-01-19 青岛海尔洗碗机有限公司 一种自动开门机构及家用电器
EP4237645A1 (en) * 2020-11-01 2023-09-06 Zafeirakis, Nikolaos Locking mechanism
DE102021122272A1 (de) * 2021-08-27 2023-03-02 Reich Gesellschaft mbH Regel- und Sicherheitstechnik Klappeneinrichtung für ein Fahrzeug
CN113978282B (zh) * 2021-12-24 2022-03-18 宁波华翔汽车饰件有限公司 一种充电口盖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5772U (ko) 1986-08-04 1988-02-19
KR19990027550U (ko) * 1997-12-24 1999-07-15 양재신 자동차용 연료주입구 도어의 개폐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408910A1 (de) * 1994-03-16 1995-09-21 Huelsbeck & Fuerst Verschlußvorrichtung mit einem zugleich als Druckhandhabe zum Betätigen von Schloßgliedern dienenden Schließzylinder
DE19650594C2 (de) * 1996-12-06 1998-09-17 Bayerische Motoren Werke Ag Anordnung einer Tankklappe an einem Kraftfahrzeug
GB9900114D0 (en) * 1999-01-06 1999-02-24 Rover Group A door securing assembly
JP2002327558A (ja) * 2001-02-27 2002-11-15 Nk Parts Kogyo:Kk 機器収納用ラックのハンドル装置
DE10118394A1 (de) 2001-04-12 2002-11-07 Bulthaup Gmbh & Co Kg Kuechens Verschlußvorrichtung
JP3764714B2 (ja) * 2002-09-13 2006-04-1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フューエルリッド装置
JP4164329B2 (ja) * 2002-10-17 2008-10-15 株式会社ニフコ ラッチ装置
DE20311149U1 (de) * 2003-07-18 2003-10-16 Schneider Engineering Gmbh Tankmulde aus Kunststoff
JP4402422B2 (ja) * 2003-10-21 2010-01-20 三菱鉛筆株式会社 軸筒とクリップとの係止構造
ITMI20041020A1 (it) * 2004-05-21 2004-08-21 Agostino Ferrari Spa Dispositivo di chiusura per mobili
JP2006121302A (ja) 2004-10-20 2006-05-11 Canon Inc 符号化装置および符号化方法
CN2751122Y (zh) * 2004-12-29 2006-01-11 王进丁 汽车燃油箱锁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5772U (ko) 1986-08-04 1988-02-19
KR19990027550U (ko) * 1997-12-24 1999-07-15 양재신 자동차용 연료주입구 도어의 개폐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3965B1 (ko) 2009-06-25 2012-01-06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압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5281A (ko) 2007-10-30
EP2017112B1 (en) 2014-03-19
JP2007290573A (ja) 2007-11-08
WO2007122835A1 (ja) 2007-11-01
CN101426662B (zh) 2012-09-05
EP2017112A4 (en) 2012-08-22
US20090139991A1 (en) 2009-06-04
CN101426662A (zh) 2009-05-06
JP5004268B2 (ja) 2012-08-22
EP2017112A1 (en) 2009-01-21
US8292113B2 (en) 2012-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8049B1 (ko) 압상장치
CN109642442B (zh) 旋转式伸缩装置
US8235428B2 (en) Lock unit having a slotted pawl
US7887031B2 (en) Stay damper
US8387211B2 (en) Arrester for a vehicle door or vehicle hatch
US9741505B2 (en) Push switch of outside handle of door
US20120112477A1 (en) Movable wedge device for vehicle door fixing apparatus and vehicle door fixing apparatus
US20190093392A1 (en) Actuating apparatus
CN109477350B (zh) 锁止装置
CN108291412B (zh) 锁止装置
KR102432372B1 (ko) 테일 게이트 팝업용 오버슬램범퍼 장치
KR20100006507U (ko) 미닫이식 방범창 또는 방충망 도어의 잠금장치
US10907388B2 (en) Vehicle door handle assembly
JP5129551B2 (ja) ドアハンドル装置
KR102587083B1 (ko) 차량용 도어 잠금장치
JP2007210562A (ja) フューエルリッド構造
KR101104056B1 (ko) 이동체용 어시스트장치
US9517810B2 (en) Glove compartment
KR100783838B1 (ko) 버스용 냉온장고 뚜껑의 로킹구조
JP6895281B2 (ja) 開閉体の開閉装置
KR101123789B1 (ko) 자동차용 글로브박스의 개폐장치
KR102498244B1 (ko) 연료도어 후크 슬라이딩가이드에 의한 2단 팝업 오픈구조
KR101235919B1 (ko) 글로브박스의 체결장치
KR101385052B1 (ko) 차량용 센터 어퍼 트레이
KR101438418B1 (ko) 연료도어 오버슬램 범퍼의 장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3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5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