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8418B1 - 연료도어 오버슬램 범퍼의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연료도어 오버슬램 범퍼의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8418B1
KR101438418B1 KR1020080046921A KR20080046921A KR101438418B1 KR 101438418 B1 KR101438418 B1 KR 101438418B1 KR 1020080046921 A KR1020080046921 A KR 1020080046921A KR 20080046921 A KR20080046921 A KR 20080046921A KR 101438418 B1 KR101438418 B1 KR 1014384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uel door
bumper
fuel
mounting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6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0882A (ko
Inventor
김도원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46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8418B1/ko
Publication of KR20090120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08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8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84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2015/0458Details of the tank inl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도어 오버슬램 범퍼의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홈에 연료캡 조작 공간을 확보해주며 동시에 연료도어 부품의 단순화 및 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하는 오버슬램 범퍼의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도어 오버슬램 범퍼의 장착구조는, 연료도어를 닫는 경우에 닫힘 충격에 의한 연료도어나 차체 하우징의 변형을 방지하는 오버슬램 범퍼의 장착구조에 있어서,
상기 오버슬램 범퍼가 도어의 닫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서 하부로 돌출되는 결합돌부로 구성되어, 연료도어의 닫힘시 잠금 역할을 수행하는 캐처의 상면에 형성된 결합홀에 상기 결합돌부가 끼워져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연료도어, 오버슬램 범퍼, 손 조작 공간, 캐처.

Description

연료도어 오버슬램 범퍼의 장착구조 {Mounting Structure of Fuel Door Over Slam Bumper}
본 발명은 연료도어 오버슬램 범퍼의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홈에 연료캡 조작 공간을 확보해주며 동시에 연료도어 부품의 단순화 및 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하는 오버슬램 범퍼의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후방으로 차량의 차체에는 연료도어가 구비되어 있고, 연료 주유 시에는 상기한 연료도어를 열어 연료주입구를 닫고 있는 연료캡을 탈거한 후, 주유건을 연료주입구에 삽입하여 연료를 보충하게 된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에 힌지 결합하여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연료도어(1)와, 이 연료도어(1)에 커버되는 동시에 연료주입구(3)를 개폐하는 연료캡(2)으로 구성된다.
상기 연료도어(1)에는 차체에 형성된 도어 하우징(4)에 닫힐 때, 연료도어(1)와 하우징(4) 간의 간섭을 막고 주행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양쪽에 2개의 오버슬램 범퍼(5)와, 상기 오버슬램 범퍼(5) 사이에 강성 리브(7)를 구비한 결합부재(6)가 형성된다.
즉, 상기 연료도어(1)는 힌지축 부근에 있는 스프링에 의해 열린 상태를 유지하려고 하므로 연료도어(1)를 닫기 위해서는 약 2.5kgf의 힘을 가해야 하지만, 실질직으로 조작자는 상기 힘보다 큰 힘으로 연료도어(1)를 닫기에 충격에 의해 연료도어(1)나 하우징(4)이 변형된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고무재질의 2개의 오버슬램 범퍼(5)가 연료도어(1)에 장착된다.
상기 도어 하우징(4)에는 오버슬램 범퍼(5)와 대응되는 좌면돌기(9)가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재(6)와 함께 연료도어(1)가 도어홈(10)에 닫혀 고정되게 하는 캐처(11)가 구비된다.
상기 캐처(11)에는 록킹돌기(도 3b의 도면번호 32 참조)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재(6)에는 걸림홀(8)이 형성되어 연료도어(1)가 닫히는 경우에 록킹돌기가 걸림홀(8)에 걸려 닫힘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도어홈(10) 안으로 손을 넣어 연료캡(2)을 아무런 방해 없이 열거나 닫기 위해서는, 연료캡(2)의 센터에서 최소 110Φ(120Φ 추천)의 원을 그렸을 때 원안에 간섭 구간이 없어야 한다.
그런데 종래의 연료도어 구조는 오버슬램 범퍼(5)와 접촉되는 좌면돌기(9) 때문에 간섭 구간이 생겨 조작공간이 부족하고, 상기 좌면돌기(9)가 연료캡(2)의 개폐시에 손 조작 걸림돌이 되며 특히, 이러한 문제점은 손이 큰 사람이 많이 거주하는 유럽이나 북미 지역에 많이 발행한다.
즉, 오버슬램 범퍼(5)에 접촉하는 좌면돌기(9)를 형성하기 위한 돌출 부위가 하우징(4)에 생겨서 연료캡(2)을 돌릴 때, 상기 돌출 부위에 손이 간섭을 받게 된다.
또한, 상기 연료도어(1)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져 사출성형하기 때문에 사출금형으로 성형시에 언더컷을 해결하기 위하여 별물의 금형(슬라이드 코어) 2개를 따로 제작해야 하고, 또한 슬라이딩 코어가 슬라이딩되는 자리에는 사출금형의 방해가 없어야 한다.
또한, 오버슬램 범퍼(5) 2개를 서로 다른 부품을 사용할 경우 더욱 효율적으로 설계할 수 있지만, 조립 실수를 없애고 관리를 쉽게 하기 위해서 2개의 오버슬램 범퍼(5)를 동일한 것으로 사용할 수밖에 없다.
그리고 종래에는 좌면돌기(9)가 하우징(4)에 형성되어 오버슬램 범퍼(5)가 하우징(4)의 변형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또 연료도어(1)가 디자인에 따라 변하는 부품이므로 공용화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오버슬램 범퍼와 접촉하는 하우징의 좌면돌기 부위를 삭제해 도어홈 내에서 손 조작 공간을 넓힐 수 있고, 오버슬램 범퍼가 2개에서 1개로 줄어들어 슬라이딩 코어 금형비 절약 및 조립 실수를 줄일 수 있으며, 상기 1개의 오버슬램 범퍼를 캐처에 체결하기 때문에 부품 공용화 측면에서 유리한 연료도어 오버슬램 범퍼의 장착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연료도어 오버슬램 범퍼의 장착구조는, 연료도어를 닫는 경우에 닫힘 충격에 의한 연료도어나 차체 하우징의 변형을 방지하는 오버슬램 범퍼의 장착구조에 있어서,
상기 오버슬램 범퍼가 도어의 닫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서 하부로 돌출되는 결합돌부로 구성되어, 연료도어의 닫힘시 잠금 역할을 수행하는 캐처의 상면에 형성된 결합홀에 상기 결합돌부가 끼워져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도어홈 내에서 손 조작 공간을 넓힐 수 있고, 오버슬램 범퍼가 2개에서 1개로 줄어들어 슬라이딩 코어 금형비 절약 및 조립 실수를 줄일 수 있으며, 상기 1개의 오버슬램 범퍼를 캐처에 체결하기 때문에 부품 공용화 측면에서 유리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버슬램 범퍼의 사시도이고, 도 3a와 도 3b는 도 2에 나타낸 오버슬램 범퍼의 장착 전후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오버슬램 범퍼(20)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고 연료도어의 닫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형성된 본체(21)와, 상기 본체(21)에서 하부로 돌출되어 캐처(30)에 형성된 결합홀(31)에 끼워져 체결되는 결합돌부(22)로 구성된다.
상기 결합돌부(22)의 도중에는 상기 결합홀(31)에 끼워진 상태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부로 갈수록 굵어지는 결착돌기(24)가 형성된다.
상기 본체(21)는 연료도어의 닫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면(20b)은 가운데 부위에서 평평하다가 양측에서 급격하게 경사져 가운데 부위가 캐처(30)의 상면에 접촉한 채 지지되고, 상면(20a)은 가운데에서 양측으로 갈수록 완만하게 경사진 형태를 이룬다.
그리고 본체(20)의 상면(20a)에는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쿠션 돌기(23)가 형성된다.
상기한 구성에서 오버슬램 범퍼(20)의 결합돌부(22)가 별도의 조립 하드웨어 없이 캐처(30)의 결합홀(31)에 끼움으로써 간단하게 캐처(30)에 장착되고, 이때 오버슬램 범퍼(20)의 하면(20b) 가운데 부분은 캐처(30)의 상면에 접촉되고 양측은 이격된 상태가 된다.
상기 오버슬램 범퍼(20)가 캐처(30)에 장착되기 때문에 오버슬램 범퍼(20)는 연료도어(40)의 결합부재(41)와 접촉하게 된다.
이를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버슬램 범퍼(20)와 접촉하는 부위 즉, 결합부재(41)의 경사진 강성 리브(42)에 좌대(43)를 형성한다.
상기한 구성에서 연료도어(40)를 닫으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재(41)의 강성 리브(42)에 형성된 좌대(43)가 캐처(30)에 장착된 오버슬램 범퍼(20)에 접촉하면서 캐처(30)의 록킹돌기(32)가 결합부재(41)의 걸림홀(44)에 걸려 잠금 상태가 유지된다.
이때 오버슬램 범퍼(20)의 양측이 강성 리브(42)의 좌대(43)와 먼저 접촉한 후 아래로 하강하면서 연료도어(40)의 닫힘 충격을 일부 흡수하고 이후 오버슬램 범퍼(20)의 전 상면(20a)이 좌대(43)와 접촉하면서 나머지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 2개의 오버슬램 범퍼(20)를 1개로 제작하여 수량을 단순화하면서도, 종래 손 조작 공간 제약으로 작게 만들 수밖에 없었던 오버슬램 범퍼(20)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켜 국부적인 변형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오버슬램 범퍼(20)가 종래 연료도어에 장착되는 구조에서 캐처(30)에 장착되는 구조로 변경하여 부품을 공용화할 수 있고 그만큼 부품 관리에 유리하다.
그리고 하우징(50)에 오버슬램 범퍼(20)가 접촉하는 좌면돌기가 삭제되어 도어홈(51) 내에서 연료캡을 회전하기 위한 공간 확보가 유리하고, 연료도어(40)를 닫는 경우에 큰 힘이 가해지더라도 결합부재(41)의 좌대(43)가 오버슬램 범퍼(20) 에 접촉하므로 하우징(50)에 직접적인 변형을 주지 않게 되는 것이다.
도 1a와 도 1b는 종래 연료도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버슬램 범퍼의 사시도,
도 3a와 도 3b는 도 2에 나타낸 오버슬램 범퍼의 장착 전후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나타낸 오버슬램 범퍼에 대응되는 결합부재의 일부 도면,
도 5는 연료도어가 닫힌 경우 도 2에 나타낸 오버슬램 범퍼의 매칭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오버슬램 범퍼 21: 본체
22: 결합돌부 23: 쿠션 돌기
24: 결착돌기 30: 캐처
31: 결합홀 32: 록킹돌기
40: 연료도어 41: 체결부재
42: 강성 리브 43: 좌대
44: 걸림홀 50: 하우징
51: 도어홈

Claims (5)

  1. 연료도어를 닫는 경우에 닫힘 충격에 의한 연료도어나 차체 하우징의 변형을 방지하는 오버슬램 범퍼의 장착구조에 있어서,
    상기 오버슬램 범퍼가 도어의 닫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서 하부로 돌출되는 결합돌부로 구성되어, 연료도어의 닫힘시 잠금 역할을 수행하는 캐처의 상면에 형성된 결합홀에 상기 결합돌부가 끼워져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도어 오버슬램 범퍼의 장착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하면은 가운데 부위는 평평하다가 양측에서 급격하게 경사진 형태를 이루고, 본체의 상면은 가운데에서 양측으로 갈수록 완만하게 경사진 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도어 오버슬램 범퍼의 장착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면에는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쿠션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도어 오버슬램 범퍼의 장착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부의 도중에는 상기 결합홀에 끼워진 상태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부로 갈수록 굵어지는 결착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도어 오버슬램 범퍼의 장착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슬램 범퍼와 접촉하는 결합부재의 경사진 강성 리브 부위에 좌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도어 오버슬램 범퍼의 장착구조.
KR1020080046921A 2008-05-21 2008-05-21 연료도어 오버슬램 범퍼의 장착구조 KR1014384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6921A KR101438418B1 (ko) 2008-05-21 2008-05-21 연료도어 오버슬램 범퍼의 장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6921A KR101438418B1 (ko) 2008-05-21 2008-05-21 연료도어 오버슬램 범퍼의 장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0882A KR20090120882A (ko) 2009-11-25
KR101438418B1 true KR101438418B1 (ko) 2014-09-05

Family

ID=41604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6921A KR101438418B1 (ko) 2008-05-21 2008-05-21 연료도어 오버슬램 범퍼의 장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84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3292B1 (ko) * 2019-12-20 2021-06-10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차량용 연료도어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6481A (en) * 1896-08-25 Cash register
KR20040054262A (ko) * 2002-12-18 2004-06-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주입도어 장착구조
US20070040409A1 (en) 2005-08-15 2007-02-22 Alfaro Erick E Automotive fuel door assembly
KR20070043202A (ko) * 2005-10-20 2007-04-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연료도어 개폐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6481A (en) * 1896-08-25 Cash register
KR20040054262A (ko) * 2002-12-18 2004-06-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주입도어 장착구조
US20070040409A1 (en) 2005-08-15 2007-02-22 Alfaro Erick E Automotive fuel door assembly
KR20070043202A (ko) * 2005-10-20 2007-04-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연료도어 개폐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0882A (ko) 2009-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921867B (zh) 车辆的盖装置
US20180332724A1 (en) Case for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with a screen
EP3653425B1 (en) Lid device for vehicle
CN110891818B (zh) 车辆的盖装置
KR101438418B1 (ko) 연료도어 오버슬램 범퍼의 장착구조
US9211845B2 (en) Doors for console boxes
CN216994127U (zh) 车辆的储物盒组件和车辆
US8139148B2 (en) Cap structure
KR200430487Y1 (ko) 차량용 풀 핸들
CN106703563A (zh) 车辆用外把手装置
KR101139818B1 (ko) 차량의 커버링 쉘프 힌지 브래킷
JP4179689B2 (ja) 車両用内装部品のクリップ取付座
KR102166325B1 (ko) 진동소음 저감형 암레스트 장치
KR101246308B1 (ko) 자동차의 스위치 노브
KR20130042406A (ko) 자동차용 도어 체커
KR100550625B1 (ko) 자동차용 트레이 수납구조
KR100980627B1 (ko) 연료도어 캐치의 마운팅 구조
KR0128506Y1 (ko) 안경 케이스
KR101833872B1 (ko) 글로브박스
KR20080039665A (ko) 자동차 트렁크용 트랜스버스 트림 커버장치
KR20150108145A (ko) 디지털 도어락
KR20170142593A (ko)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US10752109B2 (en) Structure of fuel filler door for vehicle
KR101985483B1 (ko) 차량용 연료주입구 도어 구조
KR100570010B1 (ko) 차량 연료필라도어의 개폐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