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4711B1 - 용기 및 용기용 플러그 - Google Patents

용기 및 용기용 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4711B1
KR100794711B1 KR1020010061229A KR20010061229A KR100794711B1 KR 100794711 B1 KR100794711 B1 KR 100794711B1 KR 1020010061229 A KR1020010061229 A KR 1020010061229A KR 20010061229 A KR20010061229 A KR 20010061229A KR 100794711 B1 KR100794711 B1 KR 1007947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passage
liquid
stopper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1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8792A (ko
Inventor
오자와토시히코
Original Assignee
서패스 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패스 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패스 공업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20028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87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4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47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02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of curved cross-section
    • B65D11/06Drums or barrels
    • B65D11/08Arrangements of filling or discharging aper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29Keg connection means
    • B67D1/0831Keg connection means combined with valves
    • B67D1/0835Keg connection means combined with valves with one val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2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for transferring liquids other than fuel or lubricants
    • B67D7/0288Container connection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6292System with plural openings, one a gas vent or access opening
    • Y10T137/86324Tank with gas vent and inlet or outle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6292System with plural openings, one a gas vent or access opening
    • Y10T137/86324Tank with gas vent and inlet or outlet
    • Y10T137/86332Vent and inlet or outlet in unitary moun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6292System with plural openings, one a gas vent or access opening
    • Y10T137/8634With vented outle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6348Tank with internally extending flow guide, pipe or cond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의 내부압 상승에 의해 야기되는 액체의 누출을 방지함으로써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파이프(17)가 플러그(11)의 뚜껑부(14)에 제공된 액체 통로 플러그(11)와 파이프(17)를 가지지 않는 가스 통로 플러그(12)는 상기 용기(10)의 개구부(10a)에 장착되어 있다. 맞물림 홈부(25)는 상기 액체 통로 플러그(11)의 액체 통로 플러그부(16b)에 제공되는 관통홀(16a)을 닫는 액체 통로 마개(22)의 단부 표면에 형성된다. 맞물림 돌출부(연결 풀림부)(35) 및 맞물림 홀부(36)는 상기 가스 통로 플러그(12)의 상기 가스 통로 플러그부(16c)에 제공되고 상기 관통홀(16a)을 닫는 가스 통로 마개(32)의 단부 표면에 형성된다. 상기 가스 통로 마개(32)의 상기 맞물림 홀부(36)에 분리 구조물(41)의 상기 맞물림핀(43)을 맞물리게 한 상태에서, 상기 분리 구조물(41)을 돌려서 상기 가스 통로 마개(32)를 분리한다. 상기 액체 통로 마개(22)의 상기 맞물림 홈부(25)에 상기 분리된 가스 통로 마개(32)의 상기 맞물림 돌출부(35)를 맞물리게 한 상태에서, 상기 가스 통로 마개(32)를 돌려서 상기 액체 통로 마개(22)를 분리한다.
용기, 플러그

Description

용기 및 용기용 플러그{CONTAINER AND PLUG FOR CONTAIN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상기 용기에서 사용되는 액체 통로 플러그의 구성 및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상기 액체 통로 플러그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상기 용기에 사용되는 상기 액체 통로 플러그의 플러그부에 놓여 있는 상기 액체 통로 마개를 설명하기 위한 상기 액체 통로 플러그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 1에 따른 상기 용기에 사용되는 상기 액체 통로 플러그의 상기 플러그부에 놓여 있는 상기 액체 통로 마개의 모양을 설명하기 위한 상기 액체 통로 마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상기 용기에 사용되는 가스 통로 플러그의 구성 및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상기 가스 통로 플러그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상기 용기에 사용되는 상기 가스 통로 플러그의 상기 플러그부에 놓여 있는 상기 가스 통로 마개의 모양을 설명하기 위한 상기 가스 통로 플러그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상기 용기에 사용되는 상기 가스 통로 플 러그의 상기 플러그부에 사용되는 상기 가스 통로 마개의 모양을 설명하기 위한 상기 가스 통로 마개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상기 용기에 사용되는 상기 가스 통로 플러그의 상기 플러그부에 놓여 있는 상기 가스 통로 마개를 분리하는 분리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상기 분리 구조물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상기 용기에 사용되는 상기 가스 통로 플러그의 상기 플러그부상에 놓여 있는 상기 가스 통로 마개를 분리하는 상기 분리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상기 분리 구조물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상기 용기의 상기 가스 통로 플러그의 상기 플러그부상에 놓여 있는 상기 가스 통로 마개의 분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상기 가스 통로 플러그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상기 용기의 상기 액체 통로 플러그의 상기 플러그부상에 놓여 있는 상기 액체 통로 마개의 분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상기 액체 통로 플러그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상기 용기의 상기 액체 통로 플러그의 상기 플러그부에 연결된 소켓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상기 플러그부 및 상기 소켓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상기 액체 통로 플러그의 상기 플러그부의 연결 구조 및 상기 용기의 상기 소켓을 설명하기 위한, 상호 연결된, 상기 플러그부 및 소켓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상기 액체 통로 플러그의 구성 및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상기 액체 통로 플러그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상기 액체 통로 플러그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상기 액체 통로 플러그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상기 액체가 저장된 상기 용기로부터 상기 액체를 추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상기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용기 4 ; 호스
5 ; 소켓 10 ; 용기
10a ; 개구부 10b ; 암나사부
11 ; 액체 통로 플러그 12 ; 가스 통로 플러그
14 ; 뚜껑부 14a ; 숫나사부
15 ; 볼록부 16 ; 플러그부
16a ; 관통홀 16b ; 액체 통로 플러그부
16c ; 가스 통로 플러그부 17 ; 파이프
17a ; 통로 18 ; 정지홈
19 ; 고리 돌출부(catching projection)
21 ; 숫나사 22 ; 액체 마개
23 ; 암나사 24 ; 오링(O-ring, 밀봉물질)
25 ; 맞물림 홈부 31 ; 홀부
32 ; 가스 마개 33 ; 암나사
34 ; 오링(밀봉물질) 35 ; 맞물림 돌출부 (맞물림 장치)
36 ; 맞물림 홀부 41 ; 분리 구조물
42 ; 고정 몸체 43 ; 맞물림 핀
43a ; 나사부 44 ; 나사 홀
51 ; 주 실린더 몸체 52 ; 밸브 홀
53 ; 스토퍼 (stopper) 54 ; 암나사부
55 ; 밸브 부재(valve member) 55a ; 협소부(narrow section)
55b ; 밸브 55c ; 단계부(step section)
56 ; 숫나사부 57 ; 벨로우즈 부재(bellows member)
58 ; 벨로우즈부 59 ; 밸브 볼록 장식부
61 ; 홀부 62 ; 단계부
63 ; 스프링 64 ; 통로
71 ; 오목부 72 ; 슬리브(sleeve)
73 ; 정지링(stop ring) 74 ; 갈퀴부(prong part)
75 ; 단계부 76 ; 누름링
77 ; 스프링 78 ; 홀부
81 ; 가스 제거 통로 81a ; 개구부
82 ; 가스 제거 홀 p ; 펌프
본 발명은 반도체용 고 순도 화학 약품 및 통상적인 화학 시약과 같은 액체를 저장하는 용기 및 상기 용기용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용 고 순도 화학 약품 및 통상적인 화학 시약은 상기 시약에 견딜 수 있는 용기에 저장된다.
종래에는, 도 1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두 개의 개구부(1a)가 상기 용기(1)에 형성되어 있고 플러그부(미도시)를 각각 가지는 플러그(2)가 상기 개구부(1a)에 위치해 있다. 상기 플러그(2)는 상기 개구부(1a)를 닫는 뚜껑의 역할을 하고 이중 하나는 액체 통로에 연결되는 플러그(2a)이고 다른 하나는 기체 통로에 연결된 플러그(2b)이며, 상기 용기(1)의 바닥에 인접하게 연장된 파이프(3)는 상기 액체통로를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액체 통로 플러그(2a)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마개가 상기 유형의 용기(1)의 상기 개구부(1a)에 위치한 각각의 플러그(2)의 플러그부에 위치한다. 상기 플러그부에 형성된 상기 관통홀은 이 마개에 의해 닫혀지고, 상기 용기의 상기 액체는 이러한 상태로 운송되거나 저장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용기(1)에 저장된 액체를 추출할 경우, 먼저 용기(1)의 개구부(1a)에 위치한 상기 플러그(2)의 상기 플러그부에 장착된 상기 마개를 제거한 후에, 호스(4)에 연결된 소켓(5)이 상기 플러그(2)의 플러그부에 연결되고 상기 용기 내의 상기 액체는 펌프(P)에 의해 상기 파이프를 경유하여 상기 호스(4)로 추출된다.
이때 추가적으로, 상기 용기(1) 내가 음압이 되지 않도록 상기 플러그(2b)의 플러그부의 다른 한 쪽에 연결된 상기 호스(4)로부터 상기 용기(1) 내로 비활성 가스가 입력된다. 또한, 상기 가스 추출쪽의 가스의 흐름에 의해 상기 용기 내의 모든 액체가 공급되었는 지와 상기 용기(1)가 비었는지의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가스의 흐름이 감지되면, 상기 용기(1)의 내부가 비어 있음이 결정되고 상기 빈 용기(1)는 액체가 저장된 새로운 용기(1)로 대체될 수 있다.
상기 용기(1) 내의 액체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발되는 경우가 있어, 사용시 내부압이 증가할 우려가 있다. 이는 특히 상기 용기(1) 내의 상기 액체가 휘발성일 경우 현저하게 발생한다.
따라서, 내부압이 이렇게 높아질 때 상기 액체 통로에 연결된 플러그(2a)의 플러그부의 마개가 분리되면, 상기 액체는 상기 용기(1)의 내부압 때문에 상기 파이프(3)를 경유하여 플러그부의 상기 관통홀로부터 누출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파이프(3)가 설치된 플러그(2a)에는 상기 액체 통로에 연결됨을 나타내는 표시가 상기 플러그(2a) 상에 되어 있고, 파이프(3)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다른 플러그(2b)에는 상기 플러그(2b)가 가스 통로에 연결됨을 나타내는 표시가 되어 있다. 작업자는 플러그(2a 및 2b)상의 표시를 확인하고 상기 용기(1)의 내부압을 줄이기 위하여 상기 플러그의 가스 통로에 연결된 플러그(2b)의 플러그부에 놓여진 마개를 분리한 후에, 액체 통로와 연결하기 위하여 플러그(2a)의 플러그부상의 마개를 분리한다.
그러나, 상기 용기(1)에서는, 상기 마개의 제거는 상기 플러그(2a 및 2b)상 의 표시에 따라서만 차례로 수행되기 때문에 안전성을 위한 개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 상황을 고려하여 이루어졌고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시 내부압에 기인하여 액체가 누출되지 않도록 더욱 안전을 고려한 용기 및 용기의 플러그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먼저 제일 측면에서, 본 발명의 용기는 용기 몸체와 상기 용기 몸체에 형성된 개구부에 장착된 최소 한 개의 액체 통로 플러그 및 최소 한 개의 가스 통로 플러그를 포함한다. 상기 액체 통로 플러그는 수밀구조로 상기 개구부에 장착된 뚜껑부를 포함한다. 액체 통로 플러그부는 상기 용기 몸체의 내부 공간과 통하는 관통홀 및 상기 액체 통로 플러그부에 연결된 파이프를 포함한다. 액체 통로 플러그부는 상기 용기 몸체에 설치되고, 액체 통로 마개는 상기 관통홀을 막기 위하여 상기 액체 통로 플러그부에 분리할 수 있게 장착된다.
상기 가스 통로 플러그는 수밀구조로 상기 개구부에 장착된 뚜껑부, 상기 용기 몸체의 내부 공간과 통하는 관통홀을 구비하는 가스 통로 플러그부, 및 상기 관통홀을 막기 위하여 상기 가스 통로 플러그부에 분리할 수 있게 장착된 가스 통로 마개를 포함한다. 상기 가스 통로 마개는 상기 액체 통로 플러그부로부터 상기 액체 통로 마개를 분리할 수 있는 맞물림 돌출부(연결 풀림부)를 포함한다.
삭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상기 용기에서, 상기 개구부에 맞물린 상기 액체 통로 플러그와 상기 가스 통로 플러그의 플러그부의 상기 관통홀들을 각각 닫는 상기 액체 통로 마개 및 상기 가스 통로 마개를 분리하기 위하여 상기 용기 내의 액체를 추출할 때, 상기 가스 통로 플러그의 상기 플러그부로부터 분리되는 상기 가스 통로 마개라는 수단에 의해 상기 액체 통로 마개는 분리된다.
상기 용기 내의 액체를 추출하기 위하여 각각의 마개를 분리할 때 상기 가스 통로 마개의 분리 후 상기 액체 통로 마개의 분리가 항상 이루어진다.
결과적으로, 상기 용기 내의 액체의 증발에 기인하여 상기 용기의 내부압이 증가하더라도 상기 액체 통로 마개를 분리할 때, 상기 가스 통로 플러그의 상기 가스 통로 마개가 이미 분리되었기 때문에 상기 용기의 내부 및 외부 사이의 압력의 차이는 없어진다. 따라서, 상기 용기 내의 액체가 상기 파이프를 따라 흘러 상기 플러그의 상기 관통홀로부터 누출되는 바와 같은 문제는 안전하게 제거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분리 단계를 수행함으로써, 호스가 연결된 소켓에 연결된 상기 가스 통로 플러그 및 상기 액체 통로 플러그로부터 상기 가스 통로 마개 및 상기 액체 통로 마개를 아주 쉽게 분리할 수 있고, 상기 용기 내의 액체를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상기 용기에서, 상기 가스 통로 마개는 상기 분리 구조물의 사용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가스 통로 플러그부에 놓여진 상기 가스 통로 마개를 분리할 경우 상기 분리 구조물이 사용되기 때문에, 상기 액체 통로 마개 및 상기 가스 통로 마개를 쉽게 열 수 있고, 따라서 안전은 더욱 향상된다.
본 발명의 제 3 측면에 따른 상기 용기에서, 상기 플러그부는 그 중심에 관통홀이 형성된 실린더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액체 통로 마개 및 상기 가스 통로 마개의 상기 플러그부들을 덮는 위치에 있는 상기 액체 통로 마개 및 상기 가스 통로 마개는, 상기 플러그부의 관통홀이 닫히도록 바닥부에 형성된 실린더형으로 형성된다.
좀 더 상세하게는, 바닥부를 갖는 실린더형으로 형성된 상기 액체 통로 마개 및 상기 가스 통로 마개 각 각을 실린더형의 상기 플러그부에 설치함으로써, 운송 및 저장시 상기 용기의 플러그부의 상기 관통홀을 안전하고 쉽게 밀봉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용기에서, 실린더형으로 형성된 상기 플러그부를 상기 액체 통로 마개로, 실린더인 상기 가스 통로 마개를 바닥부로 각각 덮고, 상기 액체 통로 마개 및 상기 가스 통로 마개를 상기 플러그부에 위치시킴으로써, 운송 및 저장시 상기 용기의 상기 플러그부의 상기 관통홀을 안전하고 쉽게 밀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측면에 따른 용기에서, 상기 플러그부의 상기 외부 표면상에 형성된 숫나사가 상기 제 3 측면에 기술된 용기에 있을 때, 상기 플러그부의 숫나사에 맞물린 암나사가 상기 액체 통로 마개 및 상기 가스 통로 마개의 내부 표면에 형성되고, 상기 암나사에 상기 숫나사를 맞물림(결합) 함으로써, 상기 액체 통로 마개 및 상기 가스 통로 마개는 상기 플러그부에 맞물린다(결합된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플러그부와 관련된 상기 액체 통로 마개 및 가스 통로 마개를 각각 비틀거나 회전시키는 동작에 의해서, 상기 액체 통로 마개 및 상기 가스 통로 마개의 상기 플러그부로의 탈착이 쉽게 실행된다.
본 발명의 제 4 측면에 따른 용기에서, 상기 액체 통로 마개 및 상기 가스 통로 마개를 각각 상기 플러그부들에 대하여 돌림(회전)으로써, 아주 쉽게 상기 플러그부에 상기 액체 통로 마개 및 상기 가스 통로 마개를 장착하고 상기 플러그부로부터 상기 액체 통로 마개 및 상기 가스 통로 마개를 탈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5 측면에 따른 상기 용기에서, 요철 형태의 맞물림 수단에 의하여 맞물리는 맞물림 구조는 상기 분리 구조물과 상기 가스 통로 마개 사이 및 상기 가스 통로 마개와 상기 액체 통로 마개 사이에 제공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구조는 상기 요철 내부 맞물림이 상기 분리 구조물과 상기 가스 통로 마개 사이 및 상기 가스 통로 마개와 상기 액체 통로 마개 사이에 제공되기 때문에, 상기 액체 통로 마개 및 상기 가스 통로 마개의 분리 동작은 쉽게 수행된다.
본 발명의 제 6 측면에 따른 상기 용기에서, 맞물림 핀은 상기 가스 통로 마개의 단부 표면에 형성된 맞물림 홀부에 맞물리기 위하여 상기 분리 구조물에 제공된다.
상기 액체 통로 마개의 상기 단부 표면에 형성된 맞물림 홈부에 맞물리기 위하여 맞물림 돌출부(연결 풀림부)가 상기 가스 통로 마개 상에 형성된다.
맞물림 구조에 있어서, 상기 분리 구조물의 맞물림 핀은 상기 맞물림 홀부에 그리고 상기 맞물림 돌출부는 상기 맞물림 홈부에 각각 맞물리게 구성된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분리 구조물의 상기 맞물림 핀을 상기 가스 통로 마개의 상기 맞물림 홀부에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분리 구조물을 돌림으로써, 상기 가스 통로 마개를 나선식으로 회전시켜 아주 쉽게 탈착(분리/결합)할 수 있고, 또한 상기 가스 통로 마개의 상기 맞물림 돌출부를 상기 액체 통로 마개의 상기 맞물림 홈부에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가스 통로 마개를 돌림으로써, 상기 액체 통로 마개를 나선식으로 회전시켜 아주 쉽게 탈착(분리/결합)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의 제 7 측면에 따른 상기 용기에 있어서, 장착된 상기 마개에 의해 닫히고 상기 외부 표면 및 상기 뚜껑부의 상기 바닥 표면 사이를 통하는 가스 제거 통로는 상기 액체 통로 마개의 플러그부에 형성되고, 상기 액체 통로 마개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상기 가스 제거 통로는 상기 관통홀 보다 먼저 열린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액체 통로 마개를 분리할 때 상기 용기의 내부압이 증가하는 최악의 경우라 할지라도, 상기 액체 통로 마개가 분리되는 과정에서, 상기 플러그부에 형성된 상기 가스 제거 통로의 개구부가 먼저 개방되고, 상기 플러그부의 관통홀이 나중에 개방되기 때문에, 이 경우 상기 용기의 내부와 외부가 통하여 상기 용기의 내부압이 감소하게 됨으로써, 상기 액체가 파이프를 통하여 흘러상기 관통홀로부터 누출되는 문제점을 좀더 안전하게 피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상기 용기의 상기 가스 통로 플러그의 상기 플러그부로부터 분리된 상기 가스 통로 마개를 사용하여, 다른 용기의 상기 액체 통로 플러그의 플러그부의 상기 액체 통로 마개를 분리하려고 한다면, 상기 용기의 내부압에 기인한 상기 플러그의 상기 관통홀로부터의 액체의 누출은 안전하게 예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7 측면에 따른 용기에 있어서는, 상기 용기의 내부압이 어떠한 경우라도, 상기 액체 통로 마개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상기 플러그부에 형성된 상기 가스 제거 통로의 개구부가, 상기 플러그부의 상기 관통홀이 열리기 전에 먼저 열리기 때문에, 상기 개구부의 개방에 의해서 상기 용기의 내부가 상기 용기의 외부와 통하게 됨으로써, 액체가 상기 파이프를 통하여 흘러 상기 관통홀로부터 누출되는 문제점을 안전하게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상기 용기의 상기 가스 통로 플러그의 상기 플러그부로부터 분리한 상기 가스 통로 마개를 사용하여 다른 용기의 상기 액체 통로 플러그의 상기 플러그부가 상기 액체 통로 마개를 분리하고자 한다면, 상기 용기의 내부압에 기인한 상기 플러그부의 상기 관통홀로부터 액체의 누출을 안전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8 측면에 기술된 상기 용기를 사용한 상기 플러그는 상기 뚜껑부가 상기 용기의 개구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플러그부는 상기 뚜껑부에 맞물리고 상기 용기의 내부 및 외부를 연결한 관통홀 및 상기 뚜껑부에 맞물리고 상기 용기의 내부 및 외부를 연결한 가스 제거 통로를 포함한다. 파이프는 상기 플러그부에 배설된 관통홀 각각을 연결하고, 마개는 상기 플러그부에 고정되며 상기 관통홀 및 상기 가스 제거 통로를 닫는다.
상기 가스 제거 통로의 위치를 결정함에 있어서, 상기 마개를 분리하는 경우 상기 관통홀이 개방되기 전에 상기 가스 제거 통로의 개구부가 먼저 개방되도록 하는 위치에, 상기 가스 제거 통로를 제공한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마개를 분리하는 경우 상기 관통홀이 개방되기 전에 상기 플러그부에 형성된 상기 가스 제거 통로가 먼저 열리게 됨으로써, 상기 용기의 내부는 상기 용기의 외부와 통한다. 따라서, 상기 용기의 내부압이 증가한다 할지라도 압력 차이는 없어지고, 상기 액체가 상기 파이프를 통하여 흘러 상기 관통홀로부터 누출되는 바와 같은 문제들은 좀 더 안전하게 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9 측면에 따른 상기 플러그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부는 그 중심에 관통홀이 형성된 실린더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스 제거 통로는 상기 플러그부의 상기 외부 표면상에 개방되고, 상기 마개는 상기 플러그를 덮는 바닥부를 가진 실린더형으로 형성되고, 밀봉 물질은 상기 내부 표면상에 제공된 상기 플러그와 상기 마개 사이의 갭을 밀봉한다.
상기 마개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상기 플러그에 맞물린 상기 마개를 적당한 방향으로 돌리면 상기 마개가 풀리면서 상기 플러그의 상단부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는데, 이때 상기 밀봉 물질에 의해 관통홀이 개방되기 이전에 상기 가스 제거 통로의 개구부가 먼저 개방된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마개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상기 플러그에 맞물린 상기 마개를 적당한 방향으로 돌리면 상기 마개가 풀리면서 상기 플러그의 상단부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는데, 이때 상기 밀봉 물질에 의해 관통홀이 개방되기 이전에 상기 가스 제거 통로의 개구부가 먼저 개방되기 때문에 상기 용기의 내부 및 외부 사이의 압력의 차이는 없어지고, 상기 액체가 상기 파이프를 통하여 흘러 상기 관통홀로부터 누출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0 측면에 따른 플러그에서, 상기 플러그부의 상기 플러그의 상기 외부 표면에 숫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숫나사와 결합되도록 상기 마개의 내부 표면에 암나사가 형성되며, 상기 숫나사와 상기 암나사의 결합에 의해서 상기 마개는 상기 플러그부에 맞물린다.
삭제
또한, 플러그부를 마개로 덮고, 나선식으로 상기 마개를 회전시켜 상기 관통홀 및 상기 가스 제거 통로를 개폐시킴으로써, 용기를 운송하고 용기 내에 액체를 아주 용이하게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0 측면에 따른 상기 용기에 사용된 상기 플러그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부에 나선식으로 장착된 상기 마개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상기 관통홀이 열리기 전에 상기 가스 제거 통로가 열리고, 상기 용기의 내부 및 외부 사이의 압력 차이는 없어지고, 상기 액체가 상기 파이프를 통하여 흘러 상기 관통홀로부터 누출이 되는 바와 같은 문제들은 안전하게 방지될 수 있다.
또한, 플러그부를 마개로 덮고, 나선식으로 상기 마개를 회전시켜 상기 관통홀 및 상기 가스 제거 통로를 개폐시킴으로써, 용기를 운송하고 용기 내에 액체를 아주 용이하게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 및 용기용 마개를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에서 참조 번호 10은 용기이다. 상기 용기(10)에 두 개의 개구부(10a)가 형성되어 있고, 합성 수지로부터 양쪽이 균일하게 형성된 액체 통로 플러그(11) 및 가스 통로 플러그(12)가 상기 개구부(10a)에 고정되어 있다. 추가로, 상기 액체 통로 플러그(11) 및 상기 가스 통로 플러그(12)는 상기 용기(10)의 개구부(10a)를 각각 밀봉하는 뚜껑으로서의 작용을 한다.
다음으로, 상기 액체 통로 플러그(11) 및 상기 가스 통로 플러그(12)가 각각 설명된다.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액체 통로 플러그(11)는 상기 용기(10) 의 개구부(10a)에 나선상으로 끼워져 부착되는 뚜껑부(14)를 가지고 있고, 상기 오목부(15)의 중심에서 돌출되도록 제공된 액체 통로 플러그부(16b)가 상기 뚜껑부(14)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파이프(17)가 상기 뚜껑부(14)의 저부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액체 통로 플러그부(16b)는 중심에 관통홀(16a)을 가지는 실린더로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액체 통로 플러그부(16b)는 상기 뚜껑부(14)와 일체로 성형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액체 통로 플러그부(16b)에서, 주변 방향으로 연장된 링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정지홈(18)이 상기 액체 통로 플러그부(16b)의 외부 표면에 형성되어 있고, 소켓(5)을 상기 액체 통로 플러그부(16b)에 연결할 때 다음에 설명될 잠금볼(79)이 상기 정지홈(18)에 맞물림된다. 또한, 상기 정지홈(18)의 상부는 상기 주변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정지홈(18)의 상부는 잠금볼(79)을 누르는 고리 돌출부(19)에 장착된다. 이는 나중에 설명되어질 것이다. 또한, 상기 파이프(17)는 중심에 수로(17a)를 갖는 장축의 실린더로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파이프(17)는 상기 액체 통로 플러그부(16b)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뚜껑부(14)의 저부와 일체로 성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파이프(17)의 수로(17a)와 상기 액체 통로 플러그부(16b)의 상기 관통홀(16a)은 서로 통한다. 상기 파이프(17)의 길이는 상기 뚜껑부(14)의 나선식 고정이 상기 용기(10)의 상기 개구부(10a)에 나선식으로 회전하여 고정될 때, 상기 파이프(17)의 저부 엣지부가 상기 용기(10)의 저부 가까이에 놓여지도록 형성된다. 추가적으로, 상기 파이프(17)는 상기 뚜껑부(14)로부터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뚜껑부(14)에 용접될 수 있다.
상기 뚜껑부(14)는, 상기 뚜껑부(14)의 상부 엣지부의 외부 표면에, 상기 용기(10)의 개구부(10a)에 형성된 암나사부(10b)에 나선식으로 회전될 수 있는 숫나사부(14a)를 포함한다. 상기 숫나사부(14a)를 상기 개구부(10a)의 암나사부(10b)에 나선식으로 회전시킬 경우, 상기 뚜껑부(14)는 상기 용기(10)의 상기 개구부(10a)에 고정된다. 추가적으로 오링(14b)이 상기 뚜껑부(14)의 상기 숫나사부(14a)의 저면에 제공되며 이때 상기 뚜껑부(14)는 상기 개구부(10a)에 고정되고 상기 개구부(10a)와 상기 뚜껑부(14)의 간격은 오링(14b)에 의해 봉인된다.
또한, 숫나사(21)는 상기 액체 통로 플러그부(16b)의 바닥 근처의 외부 표면에 형성되고, 암나사부(23)는 저부가 상기 숫나사(21)에 나선식으로 회전하는 실린더로 형성된 상기 액체 통로 마개(22)의 개구부의 엣지면의 내부 표면에 형성된다.
오링(24, 밀봉 물질)은 상기 액체 통로 마개(22)의 내부 표면에 제공된다. 상기 액체 통로 마개(22)가 액체 통로 플러그부(16b)를 덮고, 상기 암나사(23)가 상기 액체 통로 플러그부(16b)의 상기 숫나사부(21)에 나선식으로 회전하여 결합하면, 상기 액체 통로 마개(22)는 상기 액체 통로 플러그부(16b)에 장착된다. 상기 액체 통로 마개(22)의 내부 표면에 제공된 상기 오링(24)은 상기 액체 통로 플러그부(16b)의 외부 표면에 부착되어, 상기 액체 통로 플러그부(16b)는 완벽하게 밀봉된다.
또한, 도 3 및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십자형의 모양을 갖는 상기 맞물림 홈부(25)는 상기 액체 통로 마개(22)의 양측 엣지에 형성된다.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가스 통로 플러그(12)는 앞서 설명한 상기 액체 통로 플러그(11)와 같은 방법으로 구성되고, 상기 액체 통로 플러그(11)와 유사한 구조는 같은 참조 번호로써 나타나 있어 이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파이프(17)는 상기 가스 통로 플러그(12)에 형성되어 있지 않다. 더욱이, 복수개의 홀부(31)는 상기 플러그부(16)의 엣지부에 형성된다.
추가적으로, 상기 숫나사(21)는 상기 가스 통로 플러그(12)의 상기 가스 통로 플러그부(16c)의 바닥 근처 외부 표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스 통로 마개(32)의 상기 개구 엣지부 측의 내부 표면에 형성된 암나사(33)는 저부가 상기 숫나사(21)에 나선식으로 회전하는 실린더로서 형성된다.
상기 오링(34)은 상기 가스 통로 마개(32)의 바닥 표면에 제공되고, 상기 가스 통로 플러그부(16c)를 상기 가스 통로 마개(32)로 덮고, 상기 암나사부(33)를 상기 가스 통로 플러그부(16c)의 숫나사부(21)에 나선식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가스 통로 마개(32)는 상기 가스 통로 플러그부(16c)에 장착되고, 바닥 표면에 형성된 상기 오링(34)은 상기 가스 통로 플러그부(16c)의 단부 표면에 접촉되어, 상기 가스 통로 플러그부(16c)는 완벽하게 밀봉된다.
또한, 도 6 및 도 7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십자형의 맞물림 돌출부(연결 풀림부)(35)가 상기 가스 통로 마개(32)의 단부 표면에 형성되어 있고 복수 개의 맞물림 홀부(36)가 주변 방향으로 간격을 주면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액체 통로 마개(11) 및 상기 가스 통로 플러그(12)가 상기 용기(10)의 개구부(10a)에 장착된 상기 용기(10)로부터 저장된 액체를 추출하기 위하 여, 상기 가스 통로 플러그(12)의 상기 가스 통로 플러그부(16c)에 장착된 상기 가스 통로 마개(32)가 분리되고, 상기 가스 통로 플러그(12)의 상기 가스 통로 플러그부(16c)의 상기 홀부(31)가 열리면, 용기(10)의 외부 및 내부의 압력 차이가 없어진다. 이후에, 상기 액체 통로 플러그(11)의 상기 액체 통로 플러그부(16b)에 장착된 상기 액체 통로 마개(22)가 분리되고, 호스(4)가 연결된 상기 소켓(5)은 각각의 플러그부(16)에 연결된다.
다음으로, 상기 구조의 용기(10)에서, 호스(4)가 연결된 소켓(5)을 각각 상기 액체 통로 플러그(11)의 상기 액체 통로 플러그부(16b) 및 상기 개구부(10a)에 장착된 상기 가스 통로 플러그(12)와 연결함으로써 용기(10) 내의 상기 액체를 추출할 경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가스 통로 마개의 분리
먼저, 가스 통로 플러그(12)의 가스 통로 플러그부(16c)에 장착된 가스 통로 마개(32)가 분리된다. 상기 가스 통로 마개(32)를 분리하기 위하여, 분리 구조물(41)이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된다.
상기 분리 구조물(41)은 기둥 모양으로 형성된 고정 몸체(42), 상기 고정 몸체(42)의 단부 표면에 제공되는 복수 개의 맞물림 핀(43)들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몸체(42)의 다른 면의 주변 표면에 다른 말로 널레드 모양(Knurled shape)이라고 불리는 정교한 톱니 모양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 몸체(42) 상에, 네 개의 나사 홀(44)이 원형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단부 표면에 형성되고 상기 맞물림 핀(43) 상에 형성된 나사부(43a)는 나사홀(44)에 나선식으로 회전하며 상기 나사홀(44)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분리 구조물(41)을 이용하여 상기 가스 통로 마개(32)를 분리하기 위하여, 상기 분리 구조물(41)의 상기 고정 몸체(42)가 꽉 조여있는 상태에서, 상기 맞물림 핀(43)은 상기 가스 통로 마개(32)의 단부 표면에 형성된 상기 맞물림 홀 부(36)에 맞추고, 상기 맞물림 핀(43)은 차례대로 나선식으로 회전하여 탈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행하여, 상기 암나사(23) 및 상기 숫나사(21)의 결합에 의해서 상기 가스 통로 플러그부(16c)에 장착된 상기 가스 통로 마개(32)는 나선식으로 회전하면서 분리된다.
따라서, 상기 가스 통로 마개(32)가 분리되면서 용기(10)의 내부는 상기 가스 통로 플러그(12)의 상기 가스 통로 플러그부(16c)의 홀(16a)을 통하여 용기의 외부와 통한다.
이 단계에서, 상기 용기(10) 내의 액체의 증발에 기인하여 내부압이 증가한다 하더라도, 상기 가스 통로 마개(32)의 분리에 의해 용기(10) 내부의 가스가 용기(10)의 외부로 흘러서, 용기(10)의 내부 및 외부의 압력 차이는 없어진다.
액체 통로 마개의 분리
다음에, 상기 액체 통로 플러그(11)의 상기 액체 통로 플러그부(16b)에 장착된 상기 액체 통로 마개(22)는 분리된다.
상기 액체 통로 마개(22)를 분리하기 위하여, 이미 분리된 상기 가스 통로 마개(32)가 사용된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가스 통로 마개(32)가 꽉 죄어 있는 상태에서, 도 1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가스 통로 마개(32)의 단부 표면에 형성된 상기 맞물림 돌출부(35)는 상기 액체 통로 마개(22)의 단부 표면에 형성된 상기 맞물림 홈부(25)에 맞추어지고, 나선식 탈착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러한 방식에 의해, 상기 암나사(23) 및 상기 숫나사(21)의 결합에 의해서 상기 액체 통로 플러그부(16b)에 장착된 액체 통로 마개(22)는 분리된다. 이때, 상기 가스 통로 플러그(12)의 상기 가스 통로 마개(32)가 이미 분리되었기 때문에 상기 용기(10)의 내부 및 외부 사이의 어떠한 압력 차이도 제거되고, 상기 용기(10) 내부의 액체는 상기 파이프(17)를 통하여 흐르지 않게 되고 상기 액체 통로 플러그부(16b)의 상기 관통홀(16a)로부터 누출되지 않는다.
상기 단계를 수행함으로써, 호스(4)가 연결되어 있는 소켓(5)에 연결된, 상기 가스 통로 플러그(12) 및 상기 액체 통로 플러그(11)로부터 상기 가스 통로 마개(32)와 상기 액체 통로 마개(22)를 아주 안전하게 분리할 수 있고, 상기 용기(10) 내부의 액체를 추출한다.
여기서, 상기 플러그부 (16b 및 16c)와 상기 소켓(5)의 연결 구조는 상기 액체 통로 플러그(11)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소켓(5)은 밸브홀(52)이 내부에 형성된 주 실린더 몸체(51)를 포함한다. 상기 주 실린더 몸체(51)의 상기 밸브홀(52)에서, 스토퍼(53, stopper)가 후미 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스토퍼(53)에서, 막대 모양으로 형성된 상기 밸브 부재(55)의 단부의 주 나사부(56)는 상기 스토퍼의 중심에 형성된 상기 암나사부(54)에 나선식으로 회전하여 장착되고 고정된다.
협소부(55a)는 상기 밸브 부재(55)의 단부 가까이에 형성되고, 큰 반경을 갖는 밸브(55b)는 상기 협소부(55a)보다 상기 밸브 부재(55)의 단부 가까이에 형성된다. 또한, 단계부(55c)는 상기 밸브(55b)의 상기 협소부(55a)측에 형성되고, 벨로우즈 부재(57)는 상기 밸브홀(52)에 제공된다.
상기 벨로우즈 부재(57)는 중심부에 단면을 갖도록 구비된 벨로우즈 부재(58)를 갖는 실린더로서 형성되고, 상기 벨로우즈 부재(57)는 상기 벨로우즈 부재(58)의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벨로우즈 부재(57)의 후단 말부는 상기 스토퍼(53)의 외부 표면과 상기 주 실린더 몸체(51)의 내부 표면 사이에 꽉 죄어져 고정되어 있다. 또한, 밸브 돌출 장식부(59)는 상기 벨로우즈 부재(57)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밸브 돌출 장식부(59)는 중심에 홀부(61)를 가지고, 상기 홀부(61)의 상부는 상대적으로 큰 반경을 가지며, 단계부(62)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또한, 스프링(63)은 상기 스토퍼(53)와 상기 벨로우즈 부재(57)의 상기 밸브 돌출 장식부(59) 사이에 제공되며, 상기 벨로우즈 부재(57)의 상기 밸브 돌출 장식부(59)는 항상 상기 스프링(63)에 의해 상부측으로 눌려지며, 상기 누름 힘에 의해 상기 밸브 부재(55)의 밸브(55b)는 상기 밸브 돌출 장식부(59)의 상기 홀부(61)에 맞추어지고, 상기 밸브(55b)와 상기 밸브 돌출 장식부(59) 사이의 갭은 닫힌다.
또한, 복수 개의 통로(64)가 상기 스토퍼(53)의 원형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호스(4) 측과 상기 벨로우즈 부재(57)의 내부는 상기 통로(64)에 의해 서로 통한다.
추가적으로, 오링(65)은 상기 밸브 돌출 장식부(59)의 상부에 원형 방향으로 제공된다.
또한, 오목부(71)는 상기 주 실린더 몸체(51)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플러그부(16b)가 상기 오목부(71)에 맞추어지도록 제공된다. 또한, 슬리브(72)는 상기 주 실린더 몸체(51)의 상기 외부 표면에 미끄러지듯 움직일 수 있게 제공된다. 상기 주 실린더 몸체(51)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상기 슬리브(72)의 분리는 상기 주 실린더 몸체(51)의 상부에 형성된 상기 정지링(73)에 의해 저지된다. 갈퀴부(74)는 상기 슬리브(72)의 단부 가까이의 내부 표면 측에 제공되고, 누름 링(76) 및 스프링(77)은 상기 주 실린더 몸체(51)의 외부 표면에 형성된 단계부(75)와 상기 갈퀴부(74) 사이에 제공된다. 따라서, 상기 슬리브(72)는 항상 상기 스프링(77)에 의해 상기 주 실린더 몸체(51)의 단부 방향 쪽으로 눌려진다.
또한, 상기 홀부(78)는 막자 사발 모양의 긴 홀이고 상기 주 실린더 몸체(51)의 단부 가까이에 원형 방향으로 간격을 가지고 형성되며, 상기 잠금볼(79)은 상기 홀부(78)에 제공된다.
따라서, 상기 슬리브(72)가 상기 주 실린더 몸체(51)의 후단 단부 가까이의 방향으로 움직일 때, 상기 잠금볼(79)은 주 실린더 몸체(51)의 상기 오목부(71)의 내부 표면 측으로 움직이고 나타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슬리브(72)가 상기 스프링(77)의 누름힘에 의해 상부측으로 움직일 때, 상기 잠금볼(79)은 살기 슬리브(72)의 상기 갈퀴부(74)에 의해 내부 표면 측으로 움직이고, 상기 오목부(71)로부터 상기 잠금볼(79)의 일부가 돌출하도록 유지된다.
따라서, 상기 구조를 갖는 소켓(5)을 상기 액체 통로 플러그부(16b)로 누름으로써, 도 1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소켓(5)은 손에 의한 단독 동작으로 상기 플러그부(16)에 연결될 수 있다.
다음에, 연결 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소켓(5)이 상기 액체 통로 플러그부(16b)에 눌려지면, 먼저 상기 소켓(5)의 상기 잠금볼(79)은 상기 플러그부(16)의 상기 고리 돌출부(19)에 접촉된다. 만약 상기 소켓(5)이 더욱 눌려지면, 상기 잠금볼(79)은 상기 고리 돌출부(19)에 의해서 외부 주변 측으로 돌출한다. 이로 인하여, 상기 잠금볼(79)은 상기 슬리브(72)의 상기 갈퀴부(74)와 상기 누름 링(76) 사이의 갭으로 들어간다. 상기 소켓(5)이 상기 액체 통로 플러그부(16b)에 더욱 눌려지고, 상기 잠금볼(79)이 상기 고리 돌출부(19)를 너무 지나치게 지나가면, 상기 누름링(76)을 경유하여 상기 스프링(77)에 의해 상기 오목부(71)의 내부 표면 측으로 눌려지는 상기 잠금볼(79)은 상기 오목부(71)의 내부 표면 측으로 돌출하고 상기 정지홈(18)으로 들어가며, 또한 상기 누름 링(76)은 상기 소켓(5)의 상부 엣지 측으로 움직인다, 그리고, 상기 갭은 닫힌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상태는 상기 소켓(5)이 상기 액체 통로 플러그부(16b)에 연결되도록 되고, 누름 힘이 상기 액체 통로 플러그부(16b)로부터 상기 소켓(5)에 적용된다 할지라도, 상기 외부 표면 측으로의 상기 잠금볼(79)의 움직임은 상기 슬리브(72)의 상기 갈퀴부(74)에 의해 조절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소켓(5)과 상기 액체 통로 플러그부(16b) 사이의 안전 잠금이 이루어진다.
추가적으로, 이 방식에서, 상기 소켓(5)이 상기 액체 통로 플러그부(16b)에 연결될 때, 상기 소켓(5)의 상기 벨로우즈 부재(57)의 상기 밸브 돌출 장식부(59)는 상기 액체 통로 플러그부(16b)의 상단부에 접촉하고, 이로 인하여 상기 밸브 돌출 장식부(59)는 상기 스프링(63)을 누르는 힘을 저지하게 되고 상기 소켓(5)의 후단 엣지부로 눌려지고, 상기 벨로우즈 부재(58)가 접촉한다. 상기 상태는 상기 소켓(5)의 상기 밸브 부재(55)의 상기 밸브(55b)가 상기 액체 통로 플러그부(16b)의 상기 관통홀(16a)에 삽입되도록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벨로우즈 부재(57)의 상기 밸브 돌출 장식부(59)와 상기 밸브 부재(55)의 상기 밸브(55b)는 분리되고, 이들 사이에는 통로가 생긴다, 상기 소켓(5)에 연결된 상기 호스(4)와 상기 파이프(17)의 상기 수로(17a)는 통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용기(10) 내에 비활성 가스를 공급하는 호스에 연결된 상기 소켓(5)은 상기 가스 통로 플러그(12)의 상기 가스 통로 플러그부(16c)에 결합된다.
추가적으로, 상기한 바와 같이 행하여, 상기 소켓(5)을 상기 액체 통로 플러그(11) 및 상기 가스 통로 플러그(12)의 상기 플러그부(16b 및 16c)에 연결한 후 펌프(P)를 작동함으로써, 상기 용기(10) 내부의 상기 액체는 상기 파이프(17)의 상기 저단부로부터 흡입되어 상기 액체 통로 플러그(11) 및 상기 소켓(5)을 지나 상기 호스(4)에 공급된다.
추가적으로, 이때 상기 비활성 가스는 다른 한쪽 측에 상기 개구부(10a)의 상기 가스 통로 플러그(12)에 연결된 상기 소켓(5)의 호스(4)로부터 공급되고, 용 기(10)에 저장되며, 용기(10) 내의 압력은 음압이 되지 않는다.
추가적으로, 상기 소켓(5)을 상기 플러그부(16b 및 16c)로부터 분리할 때, 상기 소켓(5)의 상기 슬리브(72)가 상기 후단 엣지부 측으로 끌어 당겨진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슬리브(72)의 상기 갈퀴부(74)는 상기 누름링(76)을 올리는 상기 소켓(5)의 후단부 방향으로 움직이고, 결과적으로, 상기 갈퀴부(74)와 상기 갈퀴부(74)의 상단부 측에 있는 정지링(73) 사이에 간격이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소켓(5)이 이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부(16b 및 16c)로부터 뽑아지면 상기 잠금볼(79)은, 상기 고리 돌출부(19)에 의해 상기 갈퀴부(74)와 상기 정지링(73) 사이의 상기 갭으로 들어감으로써 상기 외부 주변 측으로 움직이게 되고, 상기 플러그부(16b 및 16c)로부터 상기 소켓(5)을 뽑아내는 것이 가능하다.
추가적으로, 상기 슬리브(72)가 상기 후단 엣지부 측으로 당겨지고 상기 잠금이 이런 방법으로 풀리는 상태에서 상기 소켓(5)이 상기 플러그(16b 및 16c)로부터 뽑아질 때, 상기 소켓(5)의 상기 벨로우즈 부재(57)의 상기 밸브 돌출 장식부는 상기 스프링(63)에 의해 상기 상단부 측으로 눌려지고, 이로 인하여 상기 밸브 부재(55)의 상기 밸브(55b)는 상기 밸브 돌출 장식부(59)의 상기 홀부(61)에 맞추어지고, 상기 밸브 돌출 장식부(59)와 상기 밸브(55b) 사이에 형성된 상기 통로는 막히게 된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소켓(5)의 상기 슬리브(72)를 상기 후단부 측으로 끌어냄으로써 상기 플러그부(16)로부터 상기 소켓(5)을 뽑아내어, 상기 플러그부(16b 및 16c)로부터 상기 소켓(5)을 분리하고 아주 쉽게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하였듯이, 상기 실시예 1의 용기(10)에서, 상기 개구부(10a)에 장착된 상기 액체 통로 플러그(11) 및 상기 가스 통로 플러그(12) 각각의 플러그부(16b 및 16c)의 상기 관통홀(16a 및 16a)을 막는 상기 액체 통로 마개(22) 및 상기 가스 통로 마개(32)를 분리하고, 상기 용기(10) 내의 액체를 추출할 때, 상기 액체 통로 마개(22)는 상기 통로 플러그(12)의 상기 통로 플러그부(16c)로부터 분리한 상기 가스 통로 마개(32)로써 분리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용기(10) 내의 액체를 추출하기 위하여 각 마개(22 및 23)를 분리할 때, 상기 액체 통로 마개(22)의 분리는 항상 상기 가스 통로 마개(32)가 분리된 이후에 실행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용기(10) 내의 액체의 증발에 기인하여 내부압이 증가한다 할지라도, 상기 가스 통로 플러그(12)의 상기 가스 통로 마개(32)는 이미 분리되어 있고, 상기 액체 통로 마개(22)를 분리할 때 상기 용기(10)의 내부 및 외부의 압력의 차이는 없어지기 때문에, 상기 용기(10) 내의 액체가 상기 파이프(17)를 통하여 흘러 상기 액체 통로 플러그부(16b)의 상기 관통홀(16a)을 따라 누출되는 문제는 안전하게 제거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분리 단계를 수행함으로써, 상기 호스(4)에 연결되어 있는 소켓(5)으로 연결된 상기 가스 통로 플러그(12) 및 상기 액체 통로 플러그(11)로부터 상기 가스 통로 마개(32) 및 상기 액체 통로 마개(22)를 분리할 수 있고 상기 용기(10) 내의 상기 액체를 아주 안전하게 추출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가스 통로 플러그(12)의 상기 가스 통로 플러그부(16c)에 장착된 상기 가스 통로 마개(32)를 분리할 때, 분리 구조물(41)이 사용되기 때문에, 상기 액체 통로 마개(22)의 개폐뿐만 아니라 상기 가스 통로 마개(32)의 개폐도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고, 더욱 안전성을 개선할 수 있다.
게다가, 실린더형으로 형성된 플러그부(16b 및 16c)에 바닥부를 갖는 실린더형으로 형성된 각각의 상기 액체 통로 마개(22) 및 상기 가스 통로 마개(32)를 덮고 장착함으로써 운송이나 저장시 상기 용기(10)의 플러그부(16b 및 16c)의 상기 관통홀(16a)을 쉽고 안전하게 밀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러그부(16b 및 16c)에 대하여 각각의 상기 액체 통로 마개(22) 및 상기 가스 통로 마개(32)를 돌릴 경우, 상기 플러그부(16b 및 16c)로부터 상기 액체 통로 마개(22) 및 상기 가스 통로 마개(32)를 아주 쉽게 분리하거나 장착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가스 통로 마개(32)의 상기 맞물림 홀부(36)에서 상기 분리 구조물의 상기 맞물림 핀(43)을 장착하거나 돌려서, 상기 분리 구조물을 이용하여 아주 쉽게 상기 가스 통로 마개(32)를 분리하고 나선식으로 회전하여 탈착할 수 있고, 상기 액체 통로 마개(22)의 상기 맞물림 홈부(25) 상에 상기 가스 통로 마개(32)의 상기 맞물림 돌출부(35)를 맞추고 상기 맞물림 돌출부(35)를 돌려서, 상기 가스 통로 마개(32)에 의해 아주 쉽게 상기 액체 통로 마개(22)를 분리하거나 나선식으로 회전하여 장착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분리 구조물(41)과 상기 가스 통로 마개(32) 사이 및 상기 가스 통로 마개(32)와 상기 액체 통로 마개(22) 사이의 갭이 요철의 내부 맞춤에 의해 서로 맞물림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액체 통로 마개(22)와 상기 가스 통로 마개(32)의 분리 동작을 쉽게 실행할 수 있다.
실시예 2
다음에, 실시예 2를 설명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구조는 동일한 참조 번호가 주어지며 설명은 생략된다.
도 1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뚜껑부(14)의 바닥 표면 및 상기 액체 통로 플러그부(16b)의 상단부 가까이의 주변 표면에 연결된 복수 개의 가스 제거 통로(81)를 주변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상기 액체 통로와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액체 통로 플러그(11) 상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복수 개의 가스 제거 홀(82)은 상기 암나사(23)와 상기 액체 통로 플러그(11)의 상기 액체 통로 플러그부(16b)에 장착된 상기 액체 통로 마개(22) 상의 상기 오링(24)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가스 제거 통로(81)의 상기 액체 통로 플러그부(16b)의 주변 표면상의 상기 개구부(81a)는 상기 액체 통로 마개(22)가 상기 액체 통로 플러그부(16b)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개구부(81a)가 상기 오링(24)보다 상기 액체 통로 마개(22)의 낮은 측으로 놓이도록 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구조에 따라, 상기 액체 통로 플러그부(16b)에 장착된 상기 액체 통로 마개(22)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상기 액체 통로 마개(22)를 나선식으로 회전하여 탈거하는 경우, 상기 액체 통로 마개(22)의 오링(24)이 상기 가스 제거 통로(81)의 상기 개구부(81a)를 지나가고 상기 액체 통로 플러그부(16b)의 상부 엣지측으로 움직일 때, 상기 용기(1)의 내부 및 외부는 상기 액체 통로 플러그부(16b)의 상기 가스 제거 통로(81) 및 상기 액체 통로 마개(22)의 상기 가스 제거 홀(82)을 경유하여 통한다.
결과적으로, 내부압이 상기 용기(10) 내부의 액체의 증발에 기인하여 증가한다 할지라도, 상기 용기(10) 내의 가스는 가스 제거 통로(81) 및 가스 제거 홀(82)을 경유하여 상기 용기의 외부로 흘러서 상기 용기(10)의 내부 및 외부 사이의 압력 차이는 제거된다.
따라서, 상기 액체 통로 마개(22)가 더욱 회전하여 완전히 분리된다 할지라도, 상기 용기(10) 내부 및 외부 사이의 압력의 차이는 벌써 없어지기 때문에, 상기 용기(10)내의 액체는 상기 파이프(17)를 통하여 흘러 상기 플러그부(16)의 상기 관통홀(16a)을 통하여 누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액체 통로 플러그(11)에 의하여, 상기 플러그부(16)에 나선식으로 회전하여 장착된 상기 액체 통로 마개(22)를 분리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액체 통로 마개(22)가 풀리면서 상기 오링(24)이 점차 상기 플러그부(16)의 상단부 측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오링(24)에 의해서 상기 관통홀(16a)이 열리기 전에 상기 가스 제거 통로(81)가 먼저 열리기 때문에, 상기 용기(10)의 내부압이 증가한다 할지라도, 상기 용기(10)의 내부 및 외부의 압력 차이는 없어지고, 상기 액체가 상기 파이프(17)를 통하여 흘러 상기 관통홀(16a)을 통해 누출되는 문제는 안전하게 예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러그부(16)를 상기 액체 통로 마개(22)로 덮고, 상기 액체 통로 마개(22)를 나선식으로 회전시켜 상기 관통홀(16a)과 상기 가스 제거 통로(81)를 개폐시킴으로써, 상기 용기(10)를 운송 및 저장을 아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실시예 2에 따른 상기 액체 통로 마개(22)의 구조는 상기 실시예 1의 상기 용기(10)와 조합을 이루어 사용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방식으로 조합함으로써, 상기 액체 통로 마개(22)를 분리할 때 상기 용기(10)의 내부압이 증가한다 할지라도, 상기 액체 통로 플러그부(16b) 상에 형성된 상기 가스 제거 통로(81)의 개구부가 열리고 상기 액체 통로 마개(22)를 분리할 때 상기 액체 통로 플러그부(16b)의 상기 관통홀(16a)이 열리기 전에 상기 용기의 내부는 상기 용기의 외부와 통하기 때문에 상기 액체가 상기 파이프(17)를 통하여 흘러 상기 관통홀(16a)로부터 누출되는 문제는 좀 더 안전하게 예방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상기 용기(10)의 상기 가스 통로 플러그(12)의 상기 액체 통로 플러그부(16b)로부터 분리한 상기 가스 통로 마개(32)를 사용하여, 다른 용기(10)의 상기 액체 통로 플러그(11)의 상기 플러그부(16)의 상기 액체 통로 마개(22)를 분리하고자 할지라도, 상기 용기(10)의 내부압에 기인한 상기 액체 통로 플러그부(16b)의 상기 관통홀(16a)로부터의 액체의 누출을 안전하게 예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상기에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용기는 상기 액체 통로 마개(22)를 분리할 때 상기 용기(10)의 내부압이 증가한다 할지라도, 상기 액체 통로 플러그부(16b)의 상기 관통홀(16a)이 열리기 전에 상기 액체 통로 플러그부(16b) 상에 형성된 상기 가스 제거 통로(81)의 개구부가 먼저 열리게 되어, 상기 용기의 내부가 상기 용기의 외부와 통하기 때문에, 상기 액체가 상기 파이프(17)를 통하여 흘러 상기 관통홀(16a)로부터 누출되는 문제를 좀 더 안전하게 예방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상기 용기(10)의 상기 가스 통로 플러그(12)의 상기 액체 통로 플러그부(16b)로부터 분리한 상기 가스 통로 마개(32)를 사용하여, 다른 용기(10)의 상기 액체 통로 플러그(11)의 상기 플러그부(16)의 상기 액체 통로 마개(22)를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상기 용기(10)의 내부압에 기인한 상기 액체 통로 플러그부(16b)의 상기 관통홀(16a)로부터의 액체의 누출을 안전하게 예방할 수 있다.

Claims (10)

  1. 용기 몸체; 및
    상기 용기 몸체에 형성된 개구부에 장착되는 최소한 하나의 액체 통로 플러그 및 최소한 하나의 가스 통로 플러그를 구비하고,
    상기 액체 통로 플러그는 수밀구조로 상기 개구부에 장착된 뚜껑부를 포함하고, 액체 통로 플러그부는 상기 용기 몸체의 내부 공간과 통하는 관통홀, 상기 액체 통로 플러그부에 연결되고 상기 용기 몸체에 장착되는 파이프, 상기 관통홀을 막기 위하여 상기 액체 통로 플러그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 액체 통로 마개를 포함하며;
    상기 가스 통로 플러그는 수밀구조로 상기 개구부에 장착된 뚜껑부를 가지고, 가스 통로 플러그부는 상기 용기 몸체의 내부와 통하는 관통홀, 상기 관통홀을 막기 위하여 상기 가스 통로 플러그부에 분리할 수 있게 장착된 가스 통로 마개를 포함하고;
    상기 가스 통로 마개는 상기 액체 통로 플러그부로부터 상기 액체 통로 마개를 분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연결 풀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통로 마개는 분리 구조물에 의하여 분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통로 플러그부 및 상기 가스 통로 플러그부는 상기 관통홀이 중심에 형성된 실린더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액체 통로 마개 및 상기 가스 통로 마개는 상기 플러그부를 덮기 위하여 장착되고, 상기 액체 통로 마개 및 상기 가스 통로 마개는 상기 관통홀을 막기 위하여 바닥부를 갖는 실린더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및 가스 통로 플러그부의 외부 표면에 숫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숫나사에 결합되도록 상기 액체 통로 마개 및 상기 가스 통로 마개의 내부 표면에 암나사가 형성되며,
    상기 액체 통로 마개 및 상기 가스 통로 마개는 상기 암나사와 상기 숫나사의 결합에 의해 상기 플러그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구조물은 상기 가스 통로 플러그부로부터 상기 가스 통로 마개를 분리할 수 있고, 상기 가스 통로 마개의 연결 풀림부는 상기 액체 통로 플러그부로부터 상기 액체 통로 마개를 분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통로 마개의 분리는 상기 분리 구조물의 회전에 의해 수행되고, 상기 액체 통로 마개의 분리는 가스 통로 마개의 회전에 의해 수행되되,
    상기 가스 통로 마개의 분리에 있어서, 요철 구조로 상기 가스 통로 마개의 단부 표면에 주변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맞물림 홀부가 형성되고, 상기 맞물림 홀부에 맞추어지도록 상기 분리 구조물에는 맞물림 핀이 구비되며,
    그리고 상기 액체 통로 마개의 분리에 있어서, 요철 구조로 상기 액체 통로 마개의 단부 표면에 맞물림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맞물림 홈부에 맞추어지도록 상기 가스 통로 마개의 단부 표면에 맞물림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7.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스 제거 통로는 상기 액체 통로 플러그의 상기 액체 통로 플러그부에 형성되며, 상기 가스 제거 통로는 상기 뚜껑부의 외부 표면 및 바닥 표면에 연결되고,
    상기 액체 통로 마개가 상기 액체 통로 플러그부에 결합되는 경우에, 상기 가스 제거 통로는 상기 액체 통로 마개에 의해 막힌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액체 통로 마개가 상기 액체 통로 플러그부로부터 분리되는 경우에, 상기 관통홀이 열리기 전에 상기 가스 제거 통로가 먼저 열리게 되어,
    상기 용기의 내부압이 외부압과 같아져 상기 관통홀을 통해 액체가 누설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8. 용기의 개구부에 장착된 뚜껑부;
    상기 뚜껑부에 고정되고 상기 용기의 외부 및 내부에 연결된 관통홀을 포함하는 플러그부와 상기 뚜껑부에 고정되고 상기 용기의 내부 및 외부 사이에 연결된 가스 제거 통로;
    상기 플러그부에 제공된 상기 관통홀에 연결된 파이프;
    상기 플러그부에 고정되고, 상기 관통홀 및 상기 가스 제거 통로를 막는 마개를 구비하고,
    상기 마개를 상기 플러그부로부터 분리하는 경우 상기 가스 제거 통로의 개구부가 상기 관통홀이 개방되기 전에 먼저 열리도록 하는 위치에, 상기 가스 제거 통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부는 그 중심에 상기 관통홀이 실린더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스 제거 통로의 개구부는 상기 플러그부의 외부 표면에 형성되고, 상기 마개는 상기 플러그부를 덮기 위하여 바닥을 가지는 실린더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부와 상기 마개의 내부 사이의 갭을 밀봉하는 밀봉 물질로서 오링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부의 외부 표면에 숫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숫나사와 결합하도록 상기 마개의 내부 표면에 암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암나사와 상기 숫나사의 결합에 의해 상기 마개가 상기 플러그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KR1020010061229A 2000-10-11 2001-10-04 용기 및 용기용 플러그 KR1007947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311170A JP4717996B2 (ja) 2000-10-11 2000-10-11 容器及びそれに用いるプラグ
JPJP-P-2000-00311170 2000-10-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8792A KR20020028792A (ko) 2002-04-17
KR100794711B1 true KR100794711B1 (ko) 2008-01-14

Family

ID=18790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1229A KR100794711B1 (ko) 2000-10-11 2001-10-04 용기 및 용기용 플러그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6634396B2 (ko)
JP (1) JP4717996B2 (ko)
KR (1) KR100794711B1 (ko)
DE (1) DE10149804B4 (ko)
TW (1) TW51704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18785B2 (ja) 2003-10-31 2008-07-16 サーパス工業株式会社 タンクからの液体供出用コネクタ
US7546857B2 (en) 2004-05-06 2009-06-16 Colder Products Company Connect/disconnect coupling for a container
US7819381B2 (en) * 2004-06-01 2010-10-26 Surpass Industry Co., Ltd. Connector to be attached to liquid tank and liquid tank provided with the connector
EP1767836B1 (en) 2004-06-11 2016-02-24 Surpass Industry Co., Ltd. Seal ring for plug
JP4824928B2 (ja) 2004-12-27 2011-11-30 サーパス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7806151B2 (en) * 2005-04-08 2010-10-05 Entegris, Inc. Drum cap venting device
KR101309367B1 (ko) 2005-04-25 2013-09-17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비어 있음 검출 능력을 갖는 라이너 기반의 액체 저장 및 분배 시스템
WO2006133026A2 (en) 2005-06-06 2006-12-14 Advanced Technology Materials, Inc. Fluid storage and dispensing systems and processes
JP3914560B1 (ja) * 2006-01-31 2007-05-16 東京応化工業株式会社 流体容器用の継手
JP3914559B1 (ja) * 2006-01-31 2007-05-16 東京応化工業株式会社 流体用容器
US8016000B2 (en) * 2006-04-19 2011-09-13 W. R. Grace & Co.-Conn. Processes and systems for transferring particulate substances from containers
JP4926563B2 (ja) * 2006-06-28 2012-05-09 東京応化工業株式会社 流体用容器及びそれを用いた流体入り容器
CN101600644B (zh) * 2006-07-11 2014-08-13 考尔得产品公司 用于容器的连接/分离联接装置
JP4914155B2 (ja) * 2006-09-19 2012-04-11 サーパス工業株式会社 液体タンク用コネクタ
JP4699329B2 (ja) * 2006-10-18 2011-06-08 東京応化工業株式会社 液体薬品の分配装置及び分配方法
EP2165942B1 (en) * 2007-06-25 2019-03-27 Surpass Industry Co., Ltd. Plug structure
KR100957373B1 (ko) * 2007-12-13 2010-05-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차량용 냉각수 담수장치
TWM336219U (en) * 2008-01-31 2008-07-11 Gudeng Prec Industral Co Ltd Gas filling apparatus and gas filling port thereof
JP5750267B2 (ja) * 2010-01-15 2015-07-15 住友化学株式会社 有機半導体素子用の液状組成物の保管方法
DK2354626T3 (da) * 2010-01-29 2013-09-30 Elaflex Hiby Tanktechnik Gmbh & Co Påfyldningspistolaggregat af basispåfyldningspistol og grænsefladepåsætning og modulært system af en basispåfyldningspistol og en flerhed af grænsefladepåsætninger
DE102010020068A1 (de) * 2010-05-07 2011-11-10 Otto Bock Healthcare Gmbh Ventilanordnung mit einem Basisteil und einem Einsatzteil
JP4713676B1 (ja) * 2010-08-11 2011-06-29 サーパス工業株式会社 連結装置
DE102011120787A1 (de) * 2011-06-29 2013-01-03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Fehlbetankungsschutzvorrichtung für einen Einfüllstutzen eines Kraftstoffbehälters
JP6001837B2 (ja) * 2011-09-29 2016-10-05 サーパス工業株式会社 液体タンク用コネクタ、液体タンク用コネクタ取付装置および液体タンク用コネクタの取付方法
JP6091787B2 (ja) * 2012-07-20 2017-03-08 ヤンマー株式会社 燃料噴射ポンプ
ITMI20121891A1 (it) * 2012-11-06 2014-05-07 Mestel Safety S R L Serra per la coltivazione subacquea di specie vegetali terrestri nonche' assieme di coltivazione subacquea impiegante la stessa
EP2837427B1 (en) * 2013-08-14 2016-06-08 Caseti Company Limited Refill system of a liquid container
KR101500136B1 (ko) * 2013-09-06 2015-03-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오주유 방지장치
DE102013109799A1 (de) * 2013-09-09 2015-03-12 as Strömungstechnik GmbH Entnahmesystem
DE102013110020A1 (de) * 2013-09-12 2015-03-12 as Strömungstechnik GmbH Entnahmesystem
US10112211B2 (en) * 2014-12-03 2018-10-30 Nirlat Ltd Painting apparatus comprising an air bag
KR101682486B1 (ko) * 2015-04-22 2016-12-05 (주)대인친환경 회전방지기능을 갖는 퀵 커플러
JP6720013B2 (ja) * 2016-08-02 2020-07-08 サーパス工業株式会社 プラグおよびプラグ構造
JP7285681B2 (ja) * 2019-04-24 2023-06-02 藤森工業株式会社 注出部材挿入構造および包装容器
DE102019129504B4 (de) * 2019-10-31 2021-09-23 Protechna S.A. Kunststoffbehälter für Flüssigkeiten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Kunststoffbehälters
US11787601B2 (en) * 2021-04-27 2023-10-17 Deere & Company Fluid port assembly and plug
JP2022181522A (ja) * 2021-05-26 2022-12-08 サーパス工業株式会社 液体供給装置および液体供給方法
JP2023020204A (ja) * 2021-07-30 2023-02-09 サーパス工業株式会社 液体供給装置および液体供給装置の制御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4760U (ko) * 1976-07-19 1978-02-07
JPS5366462U (ko) * 1976-11-05 1978-06-03
KR910004388A (ko) * 1989-08-11 1991-03-28 마쯔다 가부시기가이샤 차량용 슬라이딩가능한 지붕장치
JPH08169460A (ja) * 1994-12-21 1996-07-02 Japan Crown Cork Co Ltd ヒンジキャップ
JPH1159689A (ja) * 1997-08-22 1999-03-02 Toyo Eng Corp 空気管付き計量投入バルブとその使用方法
KR19990021853A (ko) * 1995-05-22 1999-03-25 어드밴스드 리서치 앤드 테크놀로지 인스티튜트 망막 혈류를 증가시키는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4018B (de) * 1957-03-22 1958-02-06 Scheidt & Bachmann A G Sicherungsvorrichtung fuer die Befuellung von Lagerbehaeltern
US3802470A (en) * 1966-12-05 1974-04-09 C Coleman Composite container and method of handling fluent materials
JPS5498445U (ko) * 1977-12-22 1979-07-11
DE8628919U1 (ko) * 1986-10-30 1987-12-17 Merck Patent Gmbh, 6100 Darmstadt, De
US4886089A (en) * 1988-05-27 1989-12-12 Gt Development Corporation Gas venting valve for liquid tank
JPH0370529U (ko) * 1989-11-14 1991-07-16
JPH0542953A (ja) * 1991-07-31 1993-02-23 Casio Comput Co Ltd キヤツプ用締付治具
WO1993008118A1 (en) * 1991-10-18 1993-04-29 Royal Packaging Industries Van Leer Bv Fluid dispense system
DE4303668A1 (de) * 1993-02-09 1994-08-11 Colsman & Co Gmbh Verschluß für Trinkflaschen, insbesondere für Sport und Reise
JP2761354B2 (ja) * 1994-04-07 1998-06-04 サーパス工業株式会社 容器の蓋
DE59801967D1 (de) * 1997-04-25 2001-12-06 Riedel De Haen Gmbh Behälterverschluss
JP2000146089A (ja) * 1998-11-06 2000-05-26 Surpass Kogyo Kk タンクからの液体供出機構
DE29905620U1 (de) * 1999-03-30 2000-08-10 Schuckmann Alfred Von Dosierer zur dosierten Ausgabe flüssiger Medien
US6209745B1 (en) * 1999-06-04 2001-04-03 Jansson And Associates Masterbuilders, Inc. Pop up flush-mount gas cap
US6675841B2 (en) * 2000-12-12 2004-01-13 Snap-Tite Technologies, Inc. Fuel storage tank coupling with vapor recovery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4760U (ko) * 1976-07-19 1978-02-07
JPS5366462U (ko) * 1976-11-05 1978-06-03
KR910004388A (ko) * 1989-08-11 1991-03-28 마쯔다 가부시기가이샤 차량용 슬라이딩가능한 지붕장치
JPH08169460A (ja) * 1994-12-21 1996-07-02 Japan Crown Cork Co Ltd ヒンジキャップ
KR19990021853A (ko) * 1995-05-22 1999-03-25 어드밴스드 리서치 앤드 테크놀로지 인스티튜트 망막 혈류를 증가시키는 방법
JPH1159689A (ja) * 1997-08-22 1999-03-02 Toyo Eng Corp 空気管付き計量投入バルブとその使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20040740A1 (en) 2002-04-11
JP4717996B2 (ja) 2011-07-06
JP2002114242A (ja) 2002-04-16
DE10149804A1 (de) 2002-08-29
US20030196723A1 (en) 2003-10-23
KR20020028792A (ko) 2002-04-17
DE10149804B4 (de) 2007-12-13
TW517040B (en) 2003-01-11
US6634396B2 (en) 2003-10-21
US6843285B2 (en) 2005-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4711B1 (ko) 용기 및 용기용 플러그
US6463957B2 (en) Connector having a locking member
JP3299495B2 (ja) 誤接続防止コネクタ−
KR101160369B1 (ko) 액체 탱크 장착용 커넥터 및 그를 구비한 액체 탱크
US5694991A (en) Valve assemblage and method of use
US6568427B2 (en) Connector for fluid container
KR101366473B1 (ko) 액체탱크용 커넥터
KR20100022986A (ko) 플러그 구조
EP0380195B1 (en) Safety connection into passages in a tubular body
JPH08117119A (ja) 液体容器の栓体
KR101059660B1 (ko) 탱크로부터의 액체공출용 커넥터
US4574967A (en) Sealing cap for a safety container
KR20180028009A (ko) 유체 필터용 배출 장치
US20070138182A1 (en) System for securing a cover on a container
KR200497215Y1 (ko) 액상 내용물 포장 용기용 마개
DK160544B (da) Hydraulisk kobling for en vaeskebeholder til et koeretoejs bremsecylinder
KR101622129B1 (ko) 충진밸브 어셈블리
KR200432654Y1 (ko) 튜브용기의 실링을 쉽게 제거할 수 있는 튜브용기뚜껑
JPS5920189Y2 (ja) ポンプ注液式液体容器
JPH04118348U (ja) 中 栓
KR200243376Y1 (ko) 용기의 주입구마개
KR200174563Y1 (ko) 깔대기 겸용 바가지
KR200162338Y1 (ko) 유체주입기
US20240110673A1 (en) Device for protecting a device for supplying pressurised fluid
CA2192267C (en) Fluid inj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