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2129B1 - 충진밸브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충진밸브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2129B1
KR101622129B1 KR1020150030393A KR20150030393A KR101622129B1 KR 101622129 B1 KR101622129 B1 KR 101622129B1 KR 1020150030393 A KR1020150030393 A KR 1020150030393A KR 20150030393 A KR20150030393 A KR 20150030393A KR 101622129 B1 KR101622129 B1 KR 1016221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body
valve
fluid
plug
storage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0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민
박정배
김준태
전필선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1500303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21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21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21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02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screw-spindle
    • F16K1/04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screw-spindle with a cut-off member rigid with the spindle, e.g. main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12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streamlined valve member around which the fluid flows when the valve is open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50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screw-spindle or internally threaded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4Arrangement or mounting of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Taps Or Co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충진된 유체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다중 밀폐구조를 갖고, 충진시 용이하게 충진어댑터와 연결되도록 하는 충진밸브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충진밸브 어셈블리는, 내부에 유체가 저장되는 저장탱크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저장탱크의 내부로 유체를 유입시키는 충진밸브 어셈블리에 있어서,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유체가 유동하는 유체통로가 형성되는 밸브몸체(11)와, 상기 저장탱크의 내부로 유체를 충진시킬 때에는 상기 유체통로를 개방시키고, 상기 저장탱크의 내부에 유체를 저장하는 동안에는 상기 유체통로를 폐쇄시켜, 상기 유체의 유동을 단속하는 볼밸브(14)와, 상기 볼밸브(14)를 수용하고, 일측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상기 볼밸브(14)의 일부가 노출되는 밸브홀더(12)와, 일단은 상기 밸브몸체(11)의 내측면과 나사식으로 체결되고, 타단은 상기 밸브홀더(12)에 체결되며 상기 밸브몸체(11)에 형성된 유체통로와 연통되는 또 다른 유체통로가 형성되며, 플러그(13)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탱크의 내부로 유체를 충진시킬 때에는 상기 플러그(13)를 상기 밸브몸체(11)로부터 상기 플러그(13)를 풀어 상기 볼밸브(14)가 상기 유체통로를 개방시키고, 상기 저장탱크의 내부에 유체를 저장하는 동안에는 상기 플러그를 최대로 조여 상기 볼밸브(14)가 상기 유체통로를 폐쇄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충진밸브 어셈블리{FUEL FILLING VALVE ASSEMBLY}
본 발명은 저장탱크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용기의 내부로 유체가 주입되도록 하는 충진밸브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충진된 유체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다중 밀폐구조를 갖고, 충진시 용이하게 충진어댑터와 연결되도록 하는 충진밸브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연료 또는 고압유체와 같은 유체를 저장탱크의 내부로 주입하기 위하여 상기 저장탱크의 일측에는 충진밸브 어셈블리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되는 유체가 압력이 높거나, 유해한 경우 상기 저장탱크의 내부에 충진된 유체는 외부로 누설되지 않아야 한다.
종래기술에 따른 충진밸브 어셈블리는, 상기 충진밸브 어셈블리가 상기 저장탱크에 체결식으로 체결되고, 상기 충진밸브 어셈블리의 내부에서 고무, 합성수지, 금속재질의 밸브를 적용하여 고압유로를 폐쇄함으로써, 1차적으로 누설을 방지하고, 2차로 오링 등에 의해 누설을 방지하는 구성을 갖는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충진밸브 어셈블리에 따르면, 고압유로를 폐쇄하는 상기 밸브와 상기 밸브와 접촉하는 밸브시트의 변형으로 밸브 부위에서 유체의 누설이 발생하고, 오링이 찢겨져 내구에 따른 누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에는 '수동밸브용 공기구동밸브장치 어댑터'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KR 10-2010-0062069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평상시에는 다중 누설방지 구조에 의해 저장탱크의 내부에 충진된 유체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고, 충진시에는 충진어댑터에 의해서 유로가 개방되면서 저장탱크의 내부로 유체가 유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충진밸브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충진밸브 어셈블리는, 내부에 유체가 저장되는 저장탱크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저장탱크의 내부로 유체를 유입시키는 충진밸브 어셈블리에 있어서,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유체가 유동하는 유체통로가 형성되는 밸브몸체와, 상기 저장탱크의 내부로 유체를 충진시킬 때에는 상기 유체통로를 개방시키고, 상기 저장탱크의 내부에 유체를 저장하는 동안에는 상기 유체통로를 폐쇄시켜, 상기 유체의 유동을 단속하는 볼밸브와, 상기 볼밸브를 수용하고, 일측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상기 볼밸브의 일부가 노출되는 밸브홀더와, 일단은 상기 밸브몸체의 내측면과 나사식으로 체결되고, 타단은 상기 밸브홀더에 체결되며 상기 밸브몸체에 형성된 유체통로와 연통되는 또 다른 유체통로가 형성되며, 플러그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탱크의 내부로 유체를 충진시킬 때에는 상기 플러그를 상기 밸브몸체로부터 상기 플러그를 풀어 상기 볼밸브가 상기 유체통로를 개방시키고, 상기 저장탱크의 내부에 유체를 저장하는 동안에는 상기 플러그를 최대로 조여 상기 볼밸브가 상기 유체통로를 폐쇄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밸브몸체 내부에 형성된 유동통로는 상기 플러그의 외측면과 간극이 형성되고, 상기 볼밸브는 상기 유동통로의 폭이 좁아지는 부위를 개폐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러그의 상부면에는 상기 플러그를 회전시키는 공구가 결합되고 단면이 다각형인 플러그 회전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밸브몸체의 상단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단은 상기 플러그 회전홈에 끼워지며, 상기 밸브몸체의 상단에 끼워지는 밸브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밸브몸체의 상단부에 인접한 부위에는 상기 밸브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기밀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밸브캡은 상기 밸브몸체에 끼워지면, 상기 밸브캡의 외측면이 상기 기밀수단과 접촉하여 기밀되어 기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밀수단은 상기 밸브몸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오링 또는 가스켓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밸브몸체의 상단에는 상기 밸브몸체의 상부와 결합되고, 상기 밸브캡을 상기 밸브몸체로 가압하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밸브몸체의 상단 둘레에는 상기 밸브몸체의 상단둘레를 따라 상기 밸브몸체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의 내측면에는 상기 커버의 내측 둘레를 따라 상기 제1결합돌기와 결합되는 제2결합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러그의 내부에는 상기 플러그의 상단으로부터 유입된 유체가 상기 플러그의 측면으로 배출되도록 유체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의 하단은 상기 밸브홀더의 내부에서 상기 볼밸브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밸브몸체의 하부에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유체를 상기 저장탱크로 유입시키는 연결관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밸브몸체에는 외측 둘레에 상기 밸브몸체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에는 상기 밸브몸체를 상기 저장탱크와 체결시키는 체결수단이 관통하는 복수의 체결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충진밸브 어셈블리에 따르면, 평상시에는 다중 누설 방지 구조에 의해 저장탱크 내부에 충진된 유체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고, 충진시에는 별도로 체결되는 충진어댑터를 이용하여 유로를 개방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충진밸브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충진밸브 어셈블리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충진밸브 어셈블리의 절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충진밸브 어셈블리에 충진 어댑터가 삽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충진밸브 어셈블리의 플러그와 밸브캡의 확대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충진밸브 어셈블리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충진밸브 어셈블리는,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유체가 유동하는 유체통로가 형성되는 밸브몸체(11)와, 저장탱크의 내부로 유체를 충진시킬 때에는 상기 유체통로를 개방시키고, 상기 저장탱크의 내부에 유체를 저장하는 동안에는 상기 유체통로를 폐쇄시켜, 상기 유체의 유동을 단속하는 볼밸브(14)와, 상기 볼밸브(14)를 수용하고, 일측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상기 볼밸브(14)의 일부가 노출되는 밸브홀더(12)와, 일단은 상기 밸브몸체(11)의 내측면과 나사식으로 체결되고, 타단은 상기 밸브홀더(12)에 체결되며 상기 밸브몸체(11)에 형성된 유체통로와 연통되는 또 다른 유체통로가 형성되며, 플러그(13)를 포함한다.
밸브몸체(11)는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유체가 유동할 수 있는 유체통로가 형성된다. 상기 밸브몸체(11)에 형성되는 유체통로는 외부로부터 저장탱크의 내부로 유체가 이동하는 통로이면서, 후술되는 구성요소가 설치되는 공간이 된다.
상기 밸브몸체(11)에 형성되는 유체통로는 중간부분에 밸브홀더(12), 플러그(13)가 설치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과 이어져 상기 밸브몸체(11)로부터 상기 저장탱크로 유입되는 통로가 형성된다. 밸브홀더(12), 플러그(13)가 설치되는 공간과 상기 저장탱크로 유입되는 통로의 단면적에 차이가 있고, 상기 공간에서 상기 통로로 연결되는 부위를 개폐함으로써, 상기 저장탱크로 유입되는 유체를 단속(斷續)할 수 있다.
상기 밸브몸체(11)의 외측둘레에는 상기 밸브몸체(11)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밸브몸체(11)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플랜지부(11a)가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부(11a)에는 상기 밸브몸체(11)의 둘레를 따라 상기 밸브몸체(11)를 상기 저장탱크에 체결시키는 체결수단이 관통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플랜지부(11a)에는 본 발명에 따른 충진밸브 어셈블리(10)를 작동시켜 개폐시키는 공구, 충진 어댑터(30) 등이 체결되었을 때, 체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체결볼트(미도시)가 끼워지는 체결공(11b)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플랜지부(11a)의 저면에는 상기 플랜지부(11a)와 저장탱크 사이를 기밀하는 오링(19)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밸브몸체(11)의 하단은 상기 밸브몸체(11)로 유입된 유체가 상기 저장탱크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상기 밸브몸체(11)와 상기 저장탱크를 연결하는 연결관(20)이 설치된다.
볼밸브(14)는 상기 밸브몸체(11)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밸브몸체(11)에 형성된 유로를 개폐하거나, 폐쇄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충진밸브 어셈블리(10)를 통하여 유체를 단속(斷續)한다. 즉, 상기 볼밸브(14)는 상기 밸브몸체(11)에서 단면적이 변경하는 부위에 접하게 설치되어, 단면적이 감소하는 부위를 개폐한다.
밸브홀더(12)는 상기 볼밸브(14)를 수용한다. 상기 밸브홀더(12)는 단면이 U자 형태로 형성되고, 저면이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밸브홀더(12)의 수용된 볼밸브(14)의 일부가 상기 관통공을 통하여 상기 밸브홀더(12)의 외부로 노출된다.
플러그(13)는 상부가 상기 밸브몸체(11)에 체결되고 하부는 상기 밸브홀더(12)의 상부에 체결된다. 상기 플러그(13)는 상기 밸브몸체(11)의 중간에 형성된 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밸브몸체(11)의 상부를 향하고 있는 상기 플러그(13)의 일단은 상기 밸브몸체(11)의 내측면과 나사식으로 체결되고, 타단은 상기 밸브홀더(12)와 체결된다. 또한, 상기 플러그(13)의 내부에도 유체가 유동할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된다.
상기 플러그(13)의 내부에 형성되는 유로는 상기 밸브몸체(11)에 형성된 유체통로와 연통되는데, 상기 플러그(13)의 상단으로부터 유입된 유체는 상기 플러그(13)의 측면으로 배출된다. 상기 플러그(13)의 외측면과 상기 밸브몸체(11)의 내측면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플러그(13)의 측면으로 배출된 유체는 상기 밸브몸체(11)의 내부에 형성된 유체통로로 유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러그(13)의 상부면에는 상기 플러그(13)를 회전시킬 수 있는 공구, 충진 어댑터(30) 등이 삽입되는 플러그 회전홈(13a)이 형성된다. 상기 플러그 회전홈(13a)은 단면이 다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 회전홈(13a)의 단면과 일치하는 형태의 공구, 어댑터 등을 상기 플러그 회전홈(13a)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플러그(13)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플러그(13)의 하단은 상기 밸브홀더(12)와 체결되면서, 상기 밸브홀더(12)에 수용된 볼밸브(14)를 구속한다. 상기 플러그(13)의 상단은 상기 밸브몸체(11)의 내측면과 나사식으로 체결되는데, 상기 플러그(13)를 최대로 체결시키면, 상기 볼밸브(14)가 상기 밸브몸체(11)에 형성된 유로를 폐쇄하고, 상기 플러그(13)를 최대로 체결된 위치로부터 풀어내면, 상기 볼밸브(14)가 상기 밸브몸체(11)의 유로를 개방시켜 유체가 유동될 수 있다. 상기 플러그(13)를 풀어낼수록 상기 볼밸브(14)가 상기 밸브몸체(11)에 형성된 유로를 더 개방시키게 되므로 유동하는 유체의 유량이 증대된다.
밸브캡(15)은 상기 밸브몸체(11)의 상단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밸브캡(15)은 유체를 저장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밸브몸체(11)의 상단을 폐쇄하고, 상기 저장탱크로 유체를 충진시키는 동안에는 상기 밸브몸체(11)로부터 분리된다.
또한, 상기 밸브캡(15)의 하단은 상기 플러그(13)의 플러그 회전홈(13a)에 삽입된다.
아울러, 상기 밸브캡(15)은 상기 밸브몸체(11)에 끼워졌을 때, 상기 밸브캡(15)의 측면은 상기 밸브몸체(11)에 설치된 기밀수단과 접촉한다. 상기 밸브몸체(11)에서 상단에 인접한 부위의 내측면에는 오링(17), 가스켓(18) 등이 상기 밸브몸체(11)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데, 상기 밸브캡(15)의 측면은 상기 오링(17), 가스켓(18)과 같은 기밀수단과 접촉함으로써, 상기 저장탱크로부터 유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밸브커버(16)는 상기 밸브몸체(11)의 상단 외측에 끼워진다. 상기 밸브커버(16)는 상기 밸브몸체(11)에 끼워져 상기 밸브캡(15)이 상기 밸브몸체(11)에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밸브몸체(11)의 내측으로 가압한다. 상기 밸브커버(16)는 상기 밸브몸체(11)는 서로 체결되도록 상기 밸브몸체(11)의 외측면과 상기 밸브커버(16)의 내측면에 각각 결합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밸브몸체(11)의 외측면으로 돌출되도록 제1결합돌기(11c)가 형성되고, 상기 밸브커버(16)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1결합돌기(11c)에 걸리도록 상기 밸브커버(16)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결합돌기(16a)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밸브커버(16)를 상기 밸브몸체(11)에 끼우면, 상기 제1결합돌기(11c)와 상기 제2결합돌기(16a)가 서로 걸리게 되어, 상기 밸브커버(16)가 상기 밸브몸체(11)에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충진밸브 어셈블리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충진밸브 어셈블리(10)의 평상시, 즉 저장탱크 내부에 유체를 저장하고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플러그(13)가 상기 밸브몸체(11)에 최대로 조여진 상태로 체결되어 있어서, 상기 볼밸브(14)가 상기 밸브몸체(11)에 형성된 유체통로를 폐쇄하고 있다. 또한, 상기 플러그(13)에는 상기 밸브캡(15)이 삽입되어 있어서, 상기 플러그(13)의 회전을 방지하고 있으며, 상기 플러그(13)는 상기 밸브몸체(11)의 내측면에 설치된 가스켓(18), 오링(17)과 접촉하여 다중으로 유체의 누설을 방지하고 있다. 아울러, 상기 밸브캡(15)은 상기 밸브몸체(11)의 상단에 끼워진 밸브커버(16)에 의해 상기 플러그(13) 쪽으로 가압되고 있어서, 상기 밸브캡(15)의 기밀성능이 유지되도록 한다.
먼저, 상기 충진밸브 어셈블리(10)를 통하여 저장탱크의 내부로 유체를 주입하기 위하여, 상기 충진밸브 어셈블리(10)에서 밸브몸체(11)에 삽입된 밸브커버(16)와 밸브캡(15)을 각각 탈거한다.
상기 충진밸브 어셈블리(10)에서 밸브커버(16)와 밸브캡(15)에 탈거된 상태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진밸브 어셈블리(10)에 상기 충진밸브 어셈블리(10)를 조작하기 위한 충진어댑터(30)를 체결시킨다. 상기 충진어댑터(30)는 내부에 유로가 형성된 어댑터 몸체(31)와, 상기 어댑터 몸체(3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어댑터 몸체(31)에 형성된 유로와 연통되는 유로가 형성된 어댑터 핸들(32)을 포함한다.
상기 충진어댑터(30)가 상기 충진밸브 어셈블리(10)에 삽입되면, 단면이 다각형으로 형성된 상기 어댑터 핸들(32)의 하단이 상기 플러그(13)의 플러그 회전홈(13a)에 삽입된다.
상기 플러그 회전홈(13a)에 상기 어댑터 핸들(32)의 하단이 완전히 삽입되면, 상기 어댑터 핸들(32)을 회전시켜, 상기 플러그(13)가 일부 풀어지도록 한다. 유체를 저장중인 상태에서는 상기 플러그(13)가 상기 밸브몸체(11)에 최대로 조여진 상태로 체결되어 있지만, 상기 플러그(13)가 일부 풀어지면, 상기 볼밸브(14)가 상기 밸브몸체(11)에 형성된 유체통로와 이격되어 유체가 유동할 수 있는 공간이 생기게 된다.
상기 플러그(13)에 어댑터 핸들(32)이 완전히 삽입되고, 상기 플러그(13)가 일부 풀려진 상태가 되면, 상기 충진어댑터(30)의 내부에서도 유체가 유동할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된다. 다만, 본 발명은 충진밸브 어셈블리(10)에 관한 것이므로, 상기 충진어댑터(30)의 구조, 작용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상기 플러그(13)에 충진어댑터(30)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충진어댑터(30)를 회전시켜, 유체가 유동할 수 있는 유로가 형성되면, 상기 충진어댑터(30)를 통하여 상기 충진밸브 어셈블리(10)의 내부로 유체가 유동할 수 있고, 상기 유체는 상기 저장탱크의 내부로 공급됨으로써, 상기 저장탱크의 내부를 유체로 충진할 수 있다.
충진중에는 상기 밸브몸체(11)의 내측면에 설치된 기밀수단, 즉 가스켓(18)과 오링(17)이 상기 충진어댑터(30)에 밀착되어 충진중 발생하는 유체의 누설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저장탱크의 내부로 유체의 충진이 완료되면, 상기 어댑터 핸들(32)을 반대로 회전시켜, 상기 플러그(13)를 최대로 조인다. 상기 충진어댑터(30)로 상기 플러그(13)를 조이면, 상기 볼밸브(14)는 다시 밸브유로에 형성된 유체통로를 폐쇄한다.
이후, 상기 충진어댑터(30)를 상기 플러그(13)로부터 탈거하고, 다시 밸브캡(15)과 밸브커버(16)를 다시 결합하여, 충진상태를 유지한다.
10 : 충진밸브 어셈블리 11 : 밸브몸체
11a : 플랜지 11b : 체결공
11c : 제1결합돌기 12 : 밸브홀더
13 : 플러그 13a: 플러그 회전홈
14 : 볼밸브 15 : 밸브캡
16 : 커버 16a : 제2결합돌기
17 : 오링 18 : 가스켓
19 : 오링 20 : 연결관
30 : 충진어댑터 31 : 어댑터 몸체
32 : 어댑터 핸들

Claims (12)

  1. 내부에 유체가 저장되는 저장탱크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저장탱크의 내부로 유체를 유입시키는 충진밸브 어셈블리에 있어서,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유체가 유동하는 유체통로가 형성되는 밸브몸체와,
    상기 저장탱크의 내부로 유체를 충진시킬 때에는 상기 유체통로를 개방시키고, 상기 저장탱크의 내부에 유체를 저장하는 동안에는 상기 유체통로를 폐쇄시켜, 상기 유체의 유동을 단속하는 볼밸브와,
    상기 볼밸브를 수용하고, 일측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상기 볼밸브의 일부가 노출되는 밸브홀더와,
    일단은 상기 밸브몸체의 내측면과 나사식으로 체결되고, 타단은 상기 밸브홀더에 체결되며 상기 밸브몸체에 형성된 유체통로와 연통되는 또 다른 유체통로가 형성되며, 플러그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탱크의 내부로 유체를 충진시킬 때에는 상기 플러그를 상기 밸브몸체로부터 상기 플러그를 풀어 상기 볼밸브가 상기 유체통로를 개방시키고, 상기 저장탱크의 내부에 유체를 저장하는 동안에는 상기 플러그를 최대로 조여 상기 볼밸브가 상기 유체통로를 폐쇄하도록 하며,
    상기 플러그의 상부면에는 상기 플러그를 회전시키는 공구가 결합되고 단면이 다각형인 플러그 회전홈이 형성되고,
    상기 밸브몸체의 상단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단은 상기 플러그 회전홈에 끼워지며, 상기 밸브몸체의 상단에 끼워지는 밸브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진밸브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몸체 내부에 형성된 유동통로는 상기 플러그의 외측면과 간극이 형성되고, 상기 볼밸브는 상기 유동통로의 폭이 좁아지는 부위를 개폐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진밸브 어셈블리.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몸체의 상단부에 인접한 부위에는 상기 밸브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기밀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밸브캡은 상기 밸브몸체에 끼워지면, 상기 밸브캡의 외측면이 상기 기밀수단과 접촉하여 기밀되어 기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진밸브 어셈블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밀수단은 상기 밸브몸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오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진밸브 어셈블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밀수단은 상기 밸브몸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가스켓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진밸브 어셈블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몸체의 상단에는 상기 밸브몸체의 상부와 결합되고, 상기 밸브캡을 상기 밸브몸체로 가압하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진밸브 어셈블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몸체의 상단 둘레에는 상기 밸브몸체의 상단둘레를 따라 상기 밸브몸체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의 내측면에는 상기 커버의 내측 둘레를 따라 상기 제1결합돌기와 결합되는 제2결합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진밸브 어셈블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의 내부에는 상기 플러그의 상단으로부터 유입된 유체가 상기 플러그의 측면으로 배출되도록 유체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의 하단은 상기 밸브홀더의 내부에서 상기 볼밸브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진밸브 어셈블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몸체의 하부에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유체를 상기 저장탱크로 유입시키는 연결관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진밸브 어셈블리.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몸체에는 외측 둘레에 상기 밸브몸체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에는 상기 밸브몸체를 상기 저장탱크와 체결시키는 체결수단이 관통하는 복수의 체결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진밸브 어셈블리.

KR1020150030393A 2015-03-04 2015-03-04 충진밸브 어셈블리 KR1016221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0393A KR101622129B1 (ko) 2015-03-04 2015-03-04 충진밸브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0393A KR101622129B1 (ko) 2015-03-04 2015-03-04 충진밸브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2129B1 true KR101622129B1 (ko) 2016-05-18

Family

ID=56113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0393A KR101622129B1 (ko) 2015-03-04 2015-03-04 충진밸브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21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2384A (ko) * 2022-05-20 2023-11-28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배출밸브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3765B2 (ja) * 1987-01-06 1996-09-11 日本瓦斯株式会社 小型ボンベ用バルブ
JP2001041397A (ja) * 1999-05-21 2001-02-13 Neriki:Kk ガスボンベ用バルブ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3765B2 (ja) * 1987-01-06 1996-09-11 日本瓦斯株式会社 小型ボンベ用バルブ
JP2001041397A (ja) * 1999-05-21 2001-02-13 Neriki:Kk ガスボンベ用バルブ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2384A (ko) * 2022-05-20 2023-11-28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배출밸브
KR102626460B1 (ko) * 2022-05-20 2024-01-17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배출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47198C2 (ru) Соединение для заполнения, сосуд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ий способ заполнения
KR100794711B1 (ko) 용기 및 용기용 플러그
KR102090634B1 (ko) 가스 실린더 밀봉을 위한 방법 및 기기
ES2562335T3 (es) Conexión de llenado, recipiente, procedimiento de llenado y toma de acondicionamiento
KR102151471B1 (ko) 충전장치
TWI779143B (zh) 液體注射裝置及其製造方法
US11054845B2 (en) Flow direction restriction valve mechanism and valve device
US20190178399A1 (en) Non-return valve mechanism and one-way valve device
CN110173584B (zh) 阀装置
KR101622129B1 (ko) 충진밸브 어셈블리
JP3876219B2 (ja) バルブ装置の気密検査用ガス漏れ検出孔
JP7408079B2 (ja) 導通口と配管端部とを接続した接続構造、開閉バルブ装置及び封止部材の取外し方法
US5787921A (en) Gas container valve
JP6279411B2 (ja) 差圧式容器弁
KR101724687B1 (ko) 반도체 제조용 특수가스통 마개장치
CN108136699B (zh) 漏气轮胎修补液容纳容器
JP7430028B2 (ja) パンク修理液収容容器
KR102391620B1 (ko) 엘피지 용기밸브
KR102507067B1 (ko) 도통구와 배관 단부의 접속 구조, 개폐 밸브 장치 및 제거 지그
KR101804503B1 (ko) 반도체 특수가스용기 배기방지 마개장치
KR101840798B1 (ko) 배관 연결부의 커버장치
KR101205478B1 (ko) 건설중장비용 연료탱크 누유방지구조
KR200447198Y1 (ko) 천연가스차량용 연료탱크의 실링박스
KR200331149Y1 (ko) 서비스 용기 덮개
JP2001173801A (ja) 容器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