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3376Y1 - 용기의 주입구마개 - Google Patents

용기의 주입구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3376Y1
KR200243376Y1 KR2020010013190U KR20010013190U KR200243376Y1 KR 200243376 Y1 KR200243376 Y1 KR 200243376Y1 KR 2020010013190 U KR2020010013190 U KR 2020010013190U KR 20010013190 U KR20010013190 U KR 20010013190U KR 200243376 Y1 KR200243376 Y1 KR 2002433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container
inlet
contact
contain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31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창수
Original Assignee
우성제관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성제관주식회사 filed Critical 우성제관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131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337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33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3376Y1/ko

Link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용기의 주입구마개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상면으로부터 소정 돌출되고 둘레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주입구를 가지는 용기에 있어서, 상기 수나사부에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외부마개와; 적어도 일부영역이 상기 주입구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에 수용된 유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내부마개와; 상기 외부마개와 상기 내부마개중 어느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에 접촉가능하게 돌출형성되어 상기 내부마개가 상기 주입구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용기본체의 내부에 수용된 수용물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용기의 주입구마개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용기의 주입구마개{STOPPER FOR INLET OF CONTAINER}
본 고안은, 용기의 주입구마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본체의 내부에 수용된 수용물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용기의 주입구마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용기의 주입구 영역의 확대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의 확대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는 내부에 소정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용기본체(111)와, 용기본체(111)의 상부 일측에 용기본체(111)의 내부와 상호 연통되고 상하방향을 따라 소정 돌출된 주입구(113)와, 주입구(113)의 내부에 일영역이 수용되어 주입구(113)를 차단하는 내부마개(115)와, 주입구(113)의 외측에 결합되는 외부마개(119)를 구비하고 있다.
내부마개(115)의 상면에는 주입구(113)의 상단면에 접촉될 수 있도록 반경방향을 따라 연장된 플랜지(117)가 형성되어 있으며, 주입구(113)의 둘레면에는 수나사부(114)가 형성되어 있다. 외부마개(119)는 주입구(113) 및 내부마개(115)가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구된 통형상을 가지며, 내부에는 수나사부(114)와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암나사부(120)가 형성되어 있다. 외부마개(119)의 외부 상부영역에는 외부마개(119)와 주입구(113)의 상호 분리 및 결합시 미끄럼이 방지될 수 있도록 널링부(121)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외부마개(119)는 암나사부(120) 및 널링부(121)의 형성을 위한 최소한의 높이를 가지며, 주입구(113)는 제작상 일정 이하의 높이를 가지도록 되어 있어, 외부마개(119)의 높이가 주입구(113)의 높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되어 외부마개(119)와 주입구(113)의 상단 사이에는 틈새가 불가피하게 존재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용기의 주입구마개에 있어서는, 주입구(113)에 내부마개(115)를 삽입하고, 주입구(113)의 둘레에 외부마개(119)를 단순히 나사결합하도록 되어 있을 뿐 내부마개(115)를 지지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아니하여, 용기본체(111)의 내외부간의 압력차 등에 의해 내부마개(115)가 주입구(113)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이 발생되며 이에 기인하여 용기본체(111)의 내부에 수용된 수용물이 외부로 누설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용기본체의 내부에 수용된 수용물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용기의 주입구마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용기의 주입구 영역의 확대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의 확대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용기의 주입구영역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결합상태의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용기의 주입구마개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용기의 주입구마개의 결합상태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용기본체 13 : 주입구
15 : 내부마개 21 : 외부마개
25 : 접촉리브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상면으로부터 소정 돌출되고 둘레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주입구를 가지는 용기에 있어서, 상기 수나사부에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외부마개와; 적어도 일부영역이 상기 주입구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에 수용된 유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내부마개와; 상기 외부마개와 상기 내부마개중 어느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에 접촉가능하게 돌출형성되어 상기 내부마개가 상기 주입구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주입구마개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내부마개의 상부면으로부터 상기 외부마개의 내면에 접촉가능하게 돌출되고 상기 내부마개의 둘레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복수의 접촉돌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내부마개의 상부면으로부터 상기 외부마개의 내면에접촉가능하게 돌출되고 상기 내부마개의 둘레방향을 따라 연장된 접촉리브를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외부마개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내부마개의 상면에 접촉가능하게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용기의 주입구영역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결합상태의 확대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용기본체(11)와, 용기본체(11)의 상면에 소정 돌출되며 소정 구간에 수나사부(14)가 형성되어 있는 주입구(13)와, 주입구(13)의 내부에 일 영역이 삽입되어 주입구(13)를 차단하는 내부마개(15)와, 주입구(13)의 수나사부(14)에 나사결합되는 외부마개(21)와, 내부마개(15)의 상부면으로부터 외부마개(21)의 내면에 접촉가능하게 돌출되고 둘레방향을 연장된 접촉리브(25)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외부마개(21)에는 주입구(13)의 수나사부(14)에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암나사부(22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하방향을 따라 암나사부(22a)의 상측에는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도록 널링부(22b)가 형성되어 있다.
내부마개(15)는 주입구(13)의 내부에 삽입되어 주입구(13)를 차단할 수 있도록 상향 개구된 원통형상의 원통부(18a)와, 원통부(18a)의 상단에 반경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저부면이 주입구(13)의 상단에 접촉되어 원통부(18a)가 일정 이상 주입구(13)의 내부로 삽입되지 않도록 하는 플랜지(18b)를 구비하고 있다. 원통부(18a)에는 주입구(13)로부터 내부마개(15)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고리형상의 손잡이부(18c)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플랜지(18b)의 상부면에는 플랜지(18b)에 비해 축소된 폭을 가지고 외부마개(21)의 내면에 접촉가능하게 상향 돌출되고 둘레방향을 따라 연장된 접촉리브(25)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플랜지(18b)의 저부면이 주입구(13)의 상단에 접촉되도록 원통부(18a)를 삽입하고 주입구(13)의 수나사부(14)에 외부마개(21)의 암나사부(22a)를 나사결합되도록 하면, 접촉리브(25)의 상단부는 외부마개(21)의 내면에 접촉지지되어 내부마개(15)가 주입구(13)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용기의 주입구마개의 사시도이다. 전술 및 도시한 실시예와 동일 및 동일 상당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용기의 주입구마개는, 용기의 주입구(13)의 수나사부(14)에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암나사부(22a)가 형성되어 있는 외부마개(21)와, 주입구(13)의 내부에 수용되어 주입구(13)를 차단하는 내부마개(15)를 가진다.
내부마개(15)는 주입구(13)의 내부에 삽입되는 원통부(18a)와, 원통부(18a)의 상단에 형성되어 원통부(18a)의 삽입깊이를 제한하는 플랜지(18b)를 구비하고 있으며, 원통부(18a)에는 고리형상의 손잡이부(18c)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플랜지(18b)의 상면에는 결합시 외부마개(21)의 내부면에 접촉되어 지지됨으로써 원통부(18a)가 주입구(13)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플랜지(18b)의 상부면으로부터 상하방향을 따라 소정 높이로 돌출되고 플랜지(18b)의 둘레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배치된 복수의 접촉돌기(27)가 형성되어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용기의 주입구마개의 결합상태의 단면도이다. 전술 및 도시한 실시예와 동일 및 동일 상당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용기의 주입구마개는, 용기의 주입구(13)에 소정 삽입되어 주입구(13)를 차단하는 내부마개(15)와, 주입구(13)의 수나사부(14)에 나사결합되는 외부마개(21)를 가진다.
내부마개(15)는 주입구(13)의 내부에 삽입되는 원통부(18a)와, 원통부(18a)의 상단에 반경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플랜지(18b)와, 고리형상의 손잡이부(18c)를 구비하고 있다.
외부마개(21)는 하향 개구된 원통형상을 가지며, 상하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 구간에 걸쳐 널링부(22b) 및 암나사부(22a)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한편, 외부마개(21)의 상부영역에는 결합시 내부마개(15)와 접촉가능하게 상부면으로부터 함몰되고 저부면으로부터 돌출되고 둘레방향을 따라 연장된 리브형상의 돌출부(29)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돌출부(29)는 상부면으로부터 함몰되고 저부면으로부터 돌출되고 둘레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배치되는 복수의 돌기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내부마개(15)를 주입구(13)에 삽입결합하고, 외부마개(21)의 암나사부(22a)를 주입구(13)의 수나사부(14)에 나사결합되도록 하면, 돌출부(29)의 하단이 내부마개(15)의 플랜지(18b)의 상부면에 접촉됨으로써 내부마개(15)가 용기본체(11)의 내외부간의 압력차에 의해 주입구(13)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용기의 주입구의 내부에 삽입결합되는 내부마개와, 용기의 주입구에 나사결합되는 외부마개와, 외부마개와 내부마개중 어느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와 접촉가능하게 돌출되어 내부마개가 주입구로부터 이탈되는 이탈방지부를 마련함으로써, 용기의 내부에 수용된 수용물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는 용기의 주입구마개가 제공된다.

Claims (4)

  1.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상면으로부터 소정 돌출되고 둘레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주입구를 가지는 용기에 있어서, 상기 수나사부에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외부마개와; 적어도 일부영역이 상기 주입구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에 수용된 유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내부마개와; 상기 외부마개와 상기 내부마개중 어느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에 접촉가능하게 돌출형성되어 상기 내부마개가 상기 주입구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주입구마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내부마개의 상부면으로부터 상기 외부마개의 내면에 접촉가능하게 돌출되고 상기 내부마개의 둘레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복수의 접촉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주입구마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내부마개의 상부면으로부터 상기 외부마개의 내면에접촉가능하게 돌출되고 상기 내부마개의 둘레방향을 따라 연장된 접촉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주입구마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외부마개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내부마개의 상면에 접촉가능하게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주입구마개.
KR2020010013190U 2001-05-07 2001-05-07 용기의 주입구마개 KR2002433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3190U KR200243376Y1 (ko) 2001-05-07 2001-05-07 용기의 주입구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3190U KR200243376Y1 (ko) 2001-05-07 2001-05-07 용기의 주입구마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3376Y1 true KR200243376Y1 (ko) 2001-10-12

Family

ID=73101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3190U KR200243376Y1 (ko) 2001-05-07 2001-05-07 용기의 주입구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337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3581B1 (ko) * 2012-09-10 2014-04-09 원정제관(주) 속마개
KR200474500Y1 (ko) * 2013-08-09 2014-09-26 평안제관주식회사 캔 용기용 밀폐마개 및 이를 구비한 캔 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3581B1 (ko) * 2012-09-10 2014-04-09 원정제관(주) 속마개
KR200474500Y1 (ko) * 2013-08-09 2014-09-26 평안제관주식회사 캔 용기용 밀폐마개 및 이를 구비한 캔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4711B1 (ko) 용기 및 용기용 플러그
KR101160369B1 (ko) 액체 탱크 장착용 커넥터 및 그를 구비한 액체 탱크
KR100508275B1 (ko) 패스닝 기구용 압축 기체 캐니스터와 중간 밀폐부에 끼워넣기 위한 어댑터 캡
KR101059660B1 (ko) 탱크로부터의 액체공출용 커넥터
KR200243376Y1 (ko) 용기의 주입구마개
KR200253673Y1 (ko) 파우더 용기
JP5049823B2 (ja) キャップ
RU2554787C2 (ru) Транспортная заглушка
CN110177745B (zh) 塞孔塞封闭件
EP1518525A1 (en) A droplet nozzle for use in eye drop container
JP4869914B2 (ja) 容器
JP2001158456A (ja) 液体収納容器及び該容器用リフィル容器
KR200358459Y1 (ko) 워터디스펜스용 물탱크
KR200336105Y1 (ko) 이종액체용기
KR200391774Y1 (ko) 액상화장품 펌핑용기
KR200336104Y1 (ko) 이종액체용기
JP2000085804A (ja) 嵌合容器
KR200289169Y1 (ko) 액체용기의 주입구캡
JP5593135B2 (ja) 中栓付き容器
JP4705793B2 (ja) 中栓
JP2011073718A (ja) キャップ付容器
JP5101242B2 (ja) 医療用具用液体ポートの封止構造並びに封止構造を有する医療用具
KR200174563Y1 (ko) 깔대기 겸용 바가지
KR101579402B1 (ko) 액상 케미컬 디스펜싱 시스템
KR100810744B1 (ko) 음료취출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2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