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5726Y1 - 위조 방지용 캔 마개 - Google Patents
위조 방지용 캔 마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65726Y1 KR200365726Y1 KR20-2004-0020343U KR20040020343U KR200365726Y1 KR 200365726 Y1 KR200365726 Y1 KR 200365726Y1 KR 20040020343 U KR20040020343 U KR 20040020343U KR 200365726 Y1 KR200365726 Y1 KR 20036572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opper
- inlet
- counterfeiting
- container
- handl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61—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with telescopic, retractable or reversible spouts, tubes or nozz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12—Cans, casks, barrels, or drums
- B65D1/20—Cans, casks, barrels, or drums characterised by location or arrangement of filling or discharge apertur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5/00—Accessories for container 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5/02—Locking devices; Means for discourag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of closure
- B65D55/024—Closures in which a part has to be ruptured to gain access to the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캔 마개의 구성부재를 줄여 조립 및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하면서도 위조 방지 기능의 부여로 인한 제품 안전성은 더욱 확실하게 보장될 수 있도록 한 위조 방지용 캔 마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이를 위하여 캔 용기(1)의 주입구(2)를 밀봉 결합하는 위조 방지용 캔 마개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주입구(2)를 밀봉하기 위하여 가장자리 둘레로 상기 주입구(2)가 감합 수용되는 감합요구(142)가 형성되고, 이 감합요구(142)에 상기 주입구(2)의 걸림단부(2a)가 상호 걸려지는 걸림턱(144)이 형성된 결합부(149)가 일체로 구비된 내부마개(100); 및 상기 내부마개(100)에 대하여 나사 결합되고, 양 재침부(222)를 통해 상측으로 들려올려지는 손잡이(220)가 다수의 연결편들(224)에 의해 결합단관(210)과 일체로 연결되게 구성하여 상기 손잡이(220)의 상부 재침에 따른 연결편들(224)이 끊어지는 것을 통해 위조 여부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한 외부마개(200)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캔 용기의 주입구에 밀봉 결합되는 위조 방지용 캔 마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캔 용기의 주입구에 대하여 내부마개에 일체로 형성된 결합부가 직접 결합 고정되고, 또한 내부마개의 내부로 나사 결합되는 외부마개로는 손잡이를 다수의 위조 방지용 연결편들로 연결 구성하여 캔 마개 구조를 간단히 하면서도 위조 방지 기능은 그대로 확보될 수 있도록 한 위조 방지용 캔 마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용유나 액상의 페인트, 오일, 윤활유 등의 다양한 액상 내용물을 담아 보관할 수 있는 캔 용기의 주입구로는 내용물의 위조를 방지하면서도 해당 내용물을 쉽게 따라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위조 방지용 캔 마개가 채용되고 있고, 또한 보다 강력한 위조 방지를 통해 내용물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위조 방지용 캔 마개가 매우 다양하게 개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종래 사용되고 있는 캔 마개의 경우 통상적으로 캔 마개의 주입구가거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절곡 형성된 형태이고, 마개 구조 역시 이에 맞추어 제작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위조를 방지하기 위한 캔 마개 구조가 자연적으로 복잡하게 구성될 수 밖에 없어 제품성이나 조립성이 양호하지 못하였던 것으로서, 도1 및 도2를 참조하여 종래 캔 마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1 및 2를 참조하면, 종래 캔 마개는, 캔 용기(1)의 주입구(2)가 외측 방향으로 일정 높이로 돌출되게 절곡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주입구(2)에 밀봉 결합되는 마개는 신장 가능한 굴신부(3a)가 구비된 내부마개(3)와, 이 내부마개의 내부에 나사 결합되고, 양 재침부(4a-1)를 통해 상측으로 들어 올려지는 손잡이(4a)가 구비된 외부마개(4) 및 이 내부 마개(3) 및 외부마개(4)를 캔 용기(1)의 주입구(2)에 대하여 강한 압박력으로 체결 고정하기 위한 걸림턱(5a-1)이 구비된 결합부(5a)가 구비되고, 또한 다수의 연결편들(5b-1)(5c-1)로 연결 구성된 당김고리(5b) 및 위조 방지테(5c)가 구비된 안전마개(6)로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종래 구성의 경우 위조 방지를 위한 캔 마개의 구성이 내부마개(3), 외부마개(4) 및 손잡이(4a)가 자유상태로 구비된 안전마개(5)로 구성되고, 또한 주입구(2)가 외향으로 절곡된 형태임과 동시에 내부마개(3)가 주입구(2)에 직접 압입 결합되는 구조가 아니기 때문에 필수적으로 결합부(5a)를 갖추고 있는 별도의 안전마개(5)가 반드시 필요로하게 되었으며, 또한 외부마개(4)에 대하여 손잡이(4a)가 단순히 재침부(4a-1)를 통해 나머지 부분이 상측으로 들어 올려지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손잡이(4a)를 통한 내부마개(4)의 임의적인 분리를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위조 방지테(5c)를 안전마개(5)에 더 형성할 수 밖에 없었던것이다.
그러므로 종래 캔 마개 구조에 따르면, 주입구(2)에 대하여 내부마개(3)를 압입 고정하고, 이 내부마개(3)의 내부로 외부마개(4)를 나사 결합한 다음 최종적으로 안전마개(5)를 주입구(2)에 대하여 압박하면, 이 안전마개(5)로 형성된 결합부(5a)의 걸림턱(5a-1)이 주입구(2)의 걸림단부(2a)에 걸려 고정되고, 또한 내부마개(3)의 가장자리 상부면이 결합부(5a)의 내부면과 밀착 결합되는 것이어서, 결국 종래 캔 마개 구조에 따르면, 안전마개(5)의 추가 조립으로 인한 위조 방지성은 어느 정도 증대되는 것이기는 하나 이로 인한 마개의 조립 공수가 증대되고, 이 조립 공수의 증대로 인한 생산성 저하는 물론 안전마개의 추가 제작으로 인한 제조원가의 상승 및 사출 재료의 낭비가 초래되는 등의 여러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고안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마개의 구성부재를 줄여 조립 및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하면서도 위조 방지 기능의 부여로 인한 제품 안전성은 확실하게 보장될 수 있도록 한 위조 방지용 캔 마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1은 종래 위조 방지용 캔 마개의 분리 사시도;
도2는 종래 위조 방지용 캔 마개의 조립 측 단면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위조 방지용 캔 마개의 일부 절단 분리 사시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위조 방지용 캔 마개의 조립 측 단면도;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내부마개의 저면도;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외부마개의 평면도;
도7은 본 고안에 따른 외부마개가 내부마개로 부터 분리되어 상측으로 들어올려진 상태의 조립 측 단면도;
도8은 본 고안에 따른 결합부의 다른 실시 구조를 보인 확대 발췌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캔 용기 2: 주입구
2a: 걸림단부 10: 위조 방지용 캔 마개
100: 내부마개 110: 주 출입구
120: 체결부 130: 굴신부
140: 결합부 142: 감합요구
142a,142b: 내 외측단 144: 걸림턱
146: 핀(fin)형태의 밀폐용 돌기 150: 차단막
200: 외부마개 210: 체결단관
220: 손잡이 222: 재침부
224: 연결편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특징은, 캔 용기의 주입구를 밀봉하기 위한 위조 방지용 캔 마개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주입구를 밀봉하기 위하여 가장자리 둘레로 상기 주입구가 감합 수용되는 감합요구가 형성되고, 이 감합요구에 상기 주입구의 걸림단부와 걸려지는 걸림턱이 형성된 결합부가 일체로 구비된 내부마개 및; 상기 내부마개에 대하여 나사 결합되고, 양 재침부를 통해 상측으로 들려올려지는 손잡이가 다수의 연결편들에 의해 결합단관과 일체로 연결되게 구성하여 상기 손잡이의 상부 재침에 따른 연결편들이 끊어지는 것을 통해 위조 여부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한 외부마개로 구성된 위조 방지용 캔 마개에 의에 충분히 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캔 용기의 주입구는 걸림단부가 내측으로 돌출되게 절곡 형성되고, 또한 내부마개의 결합부로 형성되는 걸림턱은 상기 걸림단부와 대응되는 감합요구의 내측단으로 형성되어 진 점에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캔 용기의 주입구는 그 걸림단부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절곡 형성되고, 또한 내부마개의 결합부로 형성되는 걸림턱은 상기 걸림단부와 대응되는 감합요구의 외측단으로 형성되어 진 점에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내부마개의 감합요구 주면으로는 주입구에 대한 강한 밀폐력을 제공하기 위한 핀(fin)형태의 밀폐용 돌기가 일체로 다수 형성되어 진 점에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밀폐용 돌기는 감합요구의 주면을 따라 환상으로 연속 형성되거나 또는 간헐적으로 분리 형성된 점에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위조 방지용 캔 마개의 구조를 보인 일부 절개 분리사시도이고, 도4는 이의 조립 측 단면도이고, 도5는 내부마개의 저면도이고, 도6은외부마개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이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캔 용기(1) 및 주입구(2)의 도면 부호는 도1 및 도2와 동일한 구성으로서 이후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도3 및 도4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위조 방지용 캔 마개(10)는, 캔 용기(1)의 주입구(2)에 밀봉 결합되는 내부마개(100)와, 이 내부마개(100)에 나사 결합되는 외부마개(200)로 구성된다.
내부마개(100)는 그 중앙으로 주출입구(110)를 구성하기 위한 체결부(120)가 형성되어 있고, 이 체결부(120)의 개구 상단 외주면으로는 체결용의 숫나사(12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체결부(120)의 하부로는 내용물 배출시 상부로 펼침되거나 또는 접힘 가능한 굴신부(13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굴신부(130)는 체결부(120)에 비하여 단면 두께를 박육상태로 형성하여 굴신 조작이 더욱 부드럽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체결부(120)에 대하여 굴신부(130)로 연설된 단부로는 결합부(14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결합부(140)는 굴신부(130)에 비하여 일정한 압박 강도를 갖도록 비교적 두께운 두께로 형성되고, 그 하부로는 캔 용기(1)의 주입구(2)가 밀착 상태로 감입되는 감합요구(14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감합요구(142)로는 주입구(2)의 걸림단부(2a)에 상호 걸림되는 걸림턱(144)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걸림턱(144)은 캔 용기(1)에 형성되는 주입구(2)의 걸림단부(2a)가내측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경우에는 이에 대응되는 위치로 각각 형성된다.
예컨대,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입구(2)의 걸림단부(2a)가 캔 용기(1)의 내측으로 절곡 형성된 경우에는 감합요구(142)의 내측단(142a) 주면으로 걸림 가능하게 대응 형성된다.
또한, 감합요구(142)의 내주면으로는 핀(fin) 형태의 밀폐용 돌기(146)가 일체로 다수 형성되어 있다. 이 때 밀폐용 돌기(146)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합요구(142)의 주면을 따라 환상으로 연속 형성되거나 또는 간헐적으로 분리 형성시켜 주입구(2)에 대한 압입 장착 및 밀착력을 더욱 높일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체결부(120)의 내주면으로는 주출입구(110)를 차단하기 위한 차단막(150)이 작은 힘에 의해서도 쉽게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이 차단막(150)의 외측으로는 내용물의 배출 사용시 이를 제거하기 위한 당김고리(15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차단막(150)의 개봉 여부는 이후 설명될 외부마개(200)의 손잡이(220) 재침에 따른 내용물의 위 변조 여부 파악하는 것과 아울러 동일한 기능을 보충적으로 하게되는 기능을 한다.
외부마개(200)는, 원통 형상의 결합단관(210)과, 이 결합단관(210)의 외주면으로 대향되게 형성된 손잡이(220)를 포함한다.
결합단관(210)은, 하부로 개방되도록 상부벽(212)의 가장자리로 측벽(214)이 일체로 일정 길이 만큼 연장 형성된 형태이고, 이 측벽(214)의 내주면으로는 내부마개(100)의 체결부(120)로 형성된 숫나사(122)에 체결되는 암나사(215)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그 내측으로는 결합시 체결부(120)가 끼워지는 수용공간(216)을 형성하기 위한 관체상의 리브(218)가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관체상의 리브(218)는 그외주면이 체결부(120)의 내주면과 밀접되는 상태로 결합 가능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손잡이(220)는 결합단관(210)에 대하여 양 재침부(222)를 중심으로 상측으로 들려올려지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 손잡이(220)로는 손 가락을 집어넣어 상부 재침이 용이하도록하기 위한 손가락 걸림편(221)이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손잡이(220)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연결편들(224)을 통해 결합단관(210)과 일체로 연결되게 구성되어 있고, 이 연결편들(224)의 분리 및 미 분리 상태를 통해 내용물의 위 변조 여부,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마개(200)의 부정 목적 개방상태를 쉽게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편들(224)은 잘 끊어지도록 얇은 막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손잡이(220)에 어느 정도의 힘을 가하여 물리적으로 잡아 당기는 경우에만 강제로 끊어지도록 구성함이 가장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연결편들(224)이 아주 작은 힘에 의해서도 쉽게 끊어지게되면, 캔 용기(1)의 유통 과정에서 발생될 수도 있는 작은 외력에 의해서도 쉽게 끊어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되고, 이는 오히려 제품의 신뢰도를 저하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즉, 캔 용기(1)내에 담겨진 내용물을 위조 또는 변조하기 위해서는 외부마개(200)를 제거해야 하는데 이때 내부마개(100)로부터 외부마개(200)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먼저 손잡이(220)를 상측으로 들어 올린 다음 일방향으로 회전 조작시켜 제거해야 하지만, 이 경우 손잡이(220)로부터 연결편들(224)이 동시에 분리되기 때문에 외부마개(200)의 부정 개폐 여부, 예컨대 내용물의 위 변조 여부를 쉽게 파악 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경우 외부마개(200)는 내부마개(100)와의 결합시 내부마개(100)의 결합부(140) 상면보다 약간 상측으로 노출되는 형태로 조립되어도 연결편들(224)의 자체 탄성력에 의해 손잡이(220)에 대하여 타 물체와의 접촉 또는 눌림 등의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연결편들(224)이 쉽게 끊어지지는 않기 때문에 도4와 같이 손잡이(220)가 결합부(140)보다 약간 상측으로 노출되게 설계되어도 무방하지만, 그래도 가급적이면, 외부마개(200)의 손잡이(220)이 상면이 내부마개(100)의 결합부(140) 상면과 동일 수평면이 유지되도록 조립 하거나 또는 이보다 낮은 상태로 결합하여 캔 용기(1)의 운반 취급에 따른 손잡이(220)의 연결편들(224)이 의도되지 않은 상태에서 임의적으로 쉽게 끊어지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설계하여 제품 안전성을 더욱 높이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캔 마개의 조립 상태를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내부마개(100)를 캔 용기(1)의 주입구(2)에 대하여 강제로 밀어 끼우면, 그 압박력에 의해 주입구(2)는 내부마개(100)의 결합부(140)로 형성된 감합요구(142) 내로 밀착 결합된다. 그리고 주입구(2)의 내측으로 절곡 형성된 걸림단부(2a)는 이에 대응되는 위치로 형성된 감합요구(142)의 걸림턱(144)에 상호 탄력적으로 단단히 걸림된다.
한편, 주입구(2)에 대한 내부마개(100)의 결합시, 결합부(140)로 형성된 감합요구(142)내에 밀착 지지되는 주입구(2)는 감합요구(142)의 내주면으로 형성된 다수의 밀폐용 돌기(146)들에 의해 부분적으로 재차 밀착 지지되기 때문에 강한 밀착력을 받게되는 것이어서 이를 통한 내용물의 누출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주입구(2)에 대한 내부마개(100)의 결합이 완료되면, 상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주입구(2)는 결합부(140)의 외측단(142b)에 의해 커버되어 외력에 의한 주입구(2)의 인위적인 변형 방지가 가능하고, 또 내측단(142a)을 비롯하여 내부마개(100)를 구성하는 굴신부(130)는 캔 용기(1)의 내부로 위치되게 상호 밀봉 결합된다.
그리고, 주입구(2)에 대한 내부마개(100)의 밀봉 결합이 완료되면, 체결부(120)에 형성된 숫나사(122)에 대하여 외부마개(200)의 결합단관(210)으로 형성된 암나사(215)를 상호 나사 결합하는 것에 의해 캔 마개(1)의 조립이 완료된다. 물론, 이 경우 사전에 내부마개(100)에 대하여 위와 동일한 방식으로 외부마개(200)를 미리 결합한 상태에서 내부마개(100)를 주입구(2)에 대하여 결합해도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경우 주입구(2)에 결합되는 결합부(140)가 내부마개(100)에 직접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만큼 캔 마개(1)의 조립이 신속 용이하게 되는 것이고, 또한, 외부마개(200)의 손잡이(220)가 결합단관(210)에 대하여 다수의 연결편들(224)에 의해 일체로 연결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위 변조 여부의 식별이 용이하게되는 것이어서 종래 처름 위 변조 방지를 위한 별도의 안전마개가 전혀 불필요하게 됨으로 인한 구성 부품 감소와 더불어 조립 공수의 절감이 가능하고. 또한 단위 시간당 생산량을 증대 시킬 수 있는 등의 구조적인 여러 이점을 갖는 것이다.
한편, 도7은 본 고안에 따른 캔 용기(1)로부터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내부마개(100)로부터 외부마개(200)가 분리되고, 또한 내부마개(100)의 주출입구(110)가 굴신부(130)의 펼침 조작에 의해 상측으로 들어올려진 상태의 조립 측단면도 인 바, 여기서 내부마개(100)는 결합부(140)가 주입구(2)에 단단히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주출입구(110)를 상측으로 노출시키기 위해 굴신부(130)를 상측으로 잡아 당긴다 하더라도 강한 결합력이 상시 유지되어 임의적인 분리가 방지된다.
또한, 내부마개(100)로부터 분리되는 외부마개(200)는 손잡이 걸림편(221)에 손가락을 집어 넣고 당겨주는 것에 의해 양 손잡이(220)는 재침부(222)를 중심으로 상호 상측으로 들어 올려지게 되고, 이와 동시에 결합단관(210)과 일체로 연결 구성된 연결편들(224)로 부터도 끊어지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손잡이(224)를 풀림 방향으로 회전 조작시켜 주면, 결합단관(210)의 측벽(214)으로 형성된 암나사(215)가 내부마개(100)의 체결부(120)로 형성된 숫나사(122)로부터 풀림되어 분리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외부마개(200)가 분리된 다음 다시 이 외부마개(200)의 제거로 인해외부로 노출되는 내부마개(100)의 차단막(150)을 당김고리(152)를 이용하여 최종 제거하면 주출입구(110)가 개방되어지게 되고, 이 주출입구(110)를 통해 내용물을 따라 사용하면 된다.
그리고 내용물이 캔 용기(1)에 많아 있는 경우에는 분리 제거된 외부마개(200)를 다시 내부마개(100)에 결합하고, 내부마개(100)의 굴신부(130)를 하방으로 눌러 집어 넣는 것에 의해 주출입구(110)는 다시 도4와 같은 상태로 복귀되어지게 된다. 물론 이 경우에는 내용물을 한번 따라 사용한 후이기 때문에 그 후 캔 용기(1)에 보관되는 내용물의 위 변조 여부는 본 고안에서 추구하는 최초 개봉하기 전까지의 내용물 위변조를 방지하는 것과는 사뭇 다른 것이다.
한편, 도8은 본 고안에 따른 외부마개(200)의 결합부(140) 구성을 달리 보인 확대 발췌 단면도로서, 주입구(2)의 걸림단부(2a)를 외측 방향으로 절곡 형성한 경우에 있어서, 결합부(140)의 감합요구(142)로 형성되는 걸림턱(144) 역시 감합요구(142)의 외측단(142b)으로 걸림 가능하게 대응 형성한 구성으로서, 이는 일반적으로 캔 용기(1)의 주입구(2)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캔 용기에도 본 고안에 따른 위조 방지용 캔 마개(10)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경우에도 주입구(2)가 외측단(142b)에 의해 완전히 커버되어지기 때문에 외력에 의한 주입구(2)의 인위적인 변형 또한 방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위조 방지용 캔 마개의 구성을 결합부가 일체로 형성된 내부마개와, 연결편들로 연결 구성된 손잡이가 일체로 구비된 외부마개로 구성하여 줌으로서, 캔 마개 전체 구성 수를 줄일 수 있어 제품의 조립 및 생산성의 향상과 더불어 불필요한 부재의 제작으로 인한 사출재료의 절감을 통한 제조단가를 현저히 낮출 수 있고, 또한, 캔 마개의 구성 수가 줄어지더라도 손잡이를 결합단관에 대하여 다수의 연결편들로 연결 구성하여 의도되지 않은 외부마개의 개방을 통한 내용물의 위 변조를 쉽게 파악 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갖기 때문에 캔 마개 구조의 간단화를 실현하면서도 내용물의 위 변조 방지에 따른 제품 안전성 확보 및 신뢰도를 더욱 높일 수 있는 등의 여러 이점을 갖는 것이다.
비록 본 고안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기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많은 수정 및 변경이 있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5)
- 캔 용기(1)의 주입구(2)를 밀봉 결합하는 위조 방지용 캔 마개(10)를 구성함에 있어서:상기 주입구(2)를 밀봉하기 위하여 가장자리 둘레로 상기 주입구(2)가 감합 수용되는 감합요구(142)가 형성되고, 이 감합요구(142)에 상기 주입구(2)의 걸림단부(2a)가 상호 걸려지는 걸림턱144)이 형성된 결합부(140)가 일체로 구비된 내부마개(100); 및상기 내부마개(100)에 대하여 나사 결합되고, 양 재침부(222)를 통해 상측으로 들려올려지는 손잡이(220)가 다수의 연결편들(224)에 의해 결합단관(210)과 일체로 연결되게 구성하여 상기 손잡이(220)의 상부 재침에 따른 연결편들(224)이 끊어지는 것을 통해 위조 여부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한 외부마개(20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 방지용 캔 마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캔 용기(1)의 주입구(2)는 그 걸림단부(2a)가 내측으로 돌출되게 절곡 형성되고, 또한 내부마개(100)의 결합부(140)로 형성되는 걸림턱(144)은 상기 걸림단부(2a)와 대응되는 감합요구(142)의 내측단(142a)으로 형성되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 방지용 캔 마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캔 용기(1)의 주입구(2)는 그 걸림단부(2a)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절곡 형성되고, 또한 내부마개(100)의 결합부(140)로 형성되는 걸림턱(144)은 상기 걸림단부(2a)와 대응되는 감합요구(142)의 외측단(142b)으로 형성되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 방지용 캔 마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마개(100)의 감합요구(142) 주면으로는 주입구(2)에 대한 강한 밀폐력을 제공하기 위한 핀(fin)형태의 밀폐용 돌기(146)가 일체로 더 형성되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 방지용 캔 마개.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용 돌기(146)는 감합요구(142) 주면을 따라 환상 형태로 연속 형성되거나 또는 간헐적으로 분리 형성되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 방지용 캔 마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4-0020343U KR200365726Y1 (ko) | 2004-07-16 | 2004-07-16 | 위조 방지용 캔 마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4-0020343U KR200365726Y1 (ko) | 2004-07-16 | 2004-07-16 | 위조 방지용 캔 마개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39132A Division KR20050113965A (ko) | 2004-05-31 | 2004-05-31 | 위조 방지용 캔 마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65726Y1 true KR200365726Y1 (ko) | 2004-10-27 |
Family
ID=49351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4-0020343U KR200365726Y1 (ko) | 2004-07-16 | 2004-07-16 | 위조 방지용 캔 마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65726Y1 (ko) |
-
2004
- 2004-07-16 KR KR20-2004-0020343U patent/KR200365726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RU2524876C1 (ru) | Укупорочное средство с элементом контроля первого вскрытия | |
KR100671720B1 (ko) | 내·외부캡이 한 뭉치로 취급되는 용기의 마개 | |
US20080217335A1 (en) | Vacuum seal cover of circular container | |
JP5049823B2 (ja) | キャップ | |
JP7307529B2 (ja) | ヒンジキャップ | |
KR200365726Y1 (ko) | 위조 방지용 캔 마개 | |
KR200425667Y1 (ko) | 액체용기의 용기 마개 | |
JP3938306B2 (ja) | 注出キャップ | |
JP2002154570A (ja) | 注出キャップ | |
KR20050113965A (ko) | 위조 방지용 캔 마개 | |
KR101518258B1 (ko) | 열림 방지용 용기 마개 | |
JP2559266Y2 (ja) | 中 栓 | |
JP2660552B2 (ja) | ヒンジ付キャップ | |
JP3442345B2 (ja) | 瓶の口部構造 | |
JP3938869B2 (ja) | ヒンジキャップ | |
JP4178527B2 (ja) | 混合分配容器 | |
KR200313957Y1 (ko) | 뚜껑을 외부에 체결 할수 있는 내용물 위조방지용 속마개 | |
PL201577B1 (pl) | Gwintowane opakowanie z funkcją klikania | |
EP2263947A1 (en) | Container with hermetic seal provided with a safety device | |
KR200286570Y1 (ko) | 위조 방지용 캔마개 | |
CN216995691U (zh) | 一种封闭容器 | |
KR200439893Y1 (ko) | 액체용기의 용기 마개 | |
JP5832242B2 (ja) | 中栓付き容器 | |
JP4399759B2 (ja) | 注出キャップ | |
JP7102095B2 (ja) | 封緘付きねじキャップ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107 |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G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J204 |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60321 Effective date: 20070322 |
|
EXTG | Extingu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