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4500Y1 - 캔 용기용 밀폐마개 및 이를 구비한 캔 용기 - Google Patents

캔 용기용 밀폐마개 및 이를 구비한 캔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4500Y1
KR200474500Y1 KR2020130006627U KR20130006627U KR200474500Y1 KR 200474500 Y1 KR200474500 Y1 KR 200474500Y1 KR 2020130006627 U KR2020130006627 U KR 2020130006627U KR 20130006627 U KR20130006627 U KR 20130006627U KR 200474500 Y1 KR200474500 Y1 KR 2004745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ding
rim
skirt
blocking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66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정헌
Original Assignee
평안제관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평안제관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평안제관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300066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45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45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450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28Caps combined with sto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9/00Closures arranged within necks or pouring openings or in discharge apertures, e.g. stoppers
    • B65D39/04Cup-shaped plugs or like hollow flanged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캔 용기에 더욱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한 밀폐마개 및 이를 구비한 캔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밀폐마개는 내부 수용부, 상기 수용부와 연결되도록 상하 관통 형성된 상부 주입구, 상기 주입구의 가장자리에 상방 돌출 형성된 결합부, 상기 결합부의 상단부에 내향 돌출 형성된 내향플랜지부, 그리고 상기 내향플랜지부의 내측 가장자리에 하방 돌출 형성된 스커트부를 갖는 캔 용기의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주입구를 밀폐시키게 되는 것으로서,
하부 차단부; 상기 차단부의 가장자리에 상방 돌출 형성되어 상기 스커트부의 내측에 끼워지게 되는 테두리부; 상기 테두리부의 상단부에 외향 돌출 형성되어 상기 내향플랜지부의 상면에 얹히게 되는 외향플랜지부; 및 상기 테두리부의 하단부 외측에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스커트부의 하단부에 걸리게 되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밀폐마개와 캔 용기의 결합시, 밀폐마개의 고정부가 캔 용기의 스커트부에 걸리어 상방 이탈이 방지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캔 용기의 내부 압력 상승 등에 의하여 밀폐마개가 캔 용기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캔 용기용 밀폐마개 및 이를 구비한 캔 용기{Sealing plug for cans, and the cans having the same}
본 고안은 캔 용기용 밀폐마개 및 이를 구비한 캔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밀폐마개가 캔 용기에 더욱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한 밀폐마개 및 캔 용기에 관한 것이다.
캔 용기용 밀폐마개에 관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22347호(2006.07.25.공고, 이하 '선행기술'이라고 함) "용기의 마개구조"]가 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상면에 당김고리가 착설된 밀봉판과, 상기 밀봉판에서 상향 돌설되며 용기 결합구의 내향플랜지에 끼워지는 측벽과, 상기 측벽 상단에서 외측으로 돌설되어 결합구의 내향플랜지 상면에 지지되는 외향플랜지로 구성되는 내부마개와; 측면에는 결합구의 측면에 형성된 스크류와 치합되는 스크류가 형성된 외부마개를 포함하되, 상기 내부마개의 외행플랜지가 외부마개의 내측면에 끼워져서 내부마개가 외부마개 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마개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결합할 수 있으며, 밀봉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기술이다.
상기 선행기술은 내부마개를 외부마개의 내측에 조립하여 용기에 함께 결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마개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고, 내부마개의 외향플랜지와 외부마개의 내측 상단에 각각 제1 및 제2 하향돌기를 형성함으로써 밀봉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고는 있으나,
내부마개 및 외부마개가 기온 상승이나 외부 충격 등에 의한 용기 내부의 압력 상승으로 인하여 용기 결합구에서 쉽게 분리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에 대하여 본 고안은 캔 용기의 본체와 마개의 결합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캔 용기의 마개가 본체에 더욱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한 캔 용기용 밀폐마개 및 이를 구비한 캔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해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캔 용기용 밀폐마개는,
내부 수용부, 상기 수용부와 연결되도록 상하 관통 형성된 상부 주입구, 상기 주입구의 가장자리에 상방 돌출 형성된 결합부, 상기 결합부의 상단부에 내향 돌출 형성된 내향플랜지부, 그리고 상기 내향플랜지부의 내측 가장자리에 하방 돌출 형성된 스커트부를 갖는 캔 용기의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주입구를 밀폐시키게 되는 것으로서,
하부 차단부;
상기 차단부의 가장자리에 상방 돌출 형성되어 상기 스커트부의 내측에 끼워지게 되는 테두리부;
상기 테두리부의 상단부에 외향 돌출 형성되어 상기 내향플랜지부의 상면에 얹히게 되는 외향플랜지부; 및
상기 테두리부의 하단부 외측에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스커트부의 하단부에 걸리게 되는 고정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해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캔 용기는,
내부 수용부, 상기 수용부와 연결되도록 상하 관통 형성된 상부 주입구, 상기 주입구의 가장자리에 상방 돌출 형성된 결합부, 상기 결합부의 상단부에 내향 돌출 형성된 내향플랜지부, 그리고 상기 내향플랜지부의 내측 가장자리에 하방 돌출 형성된 스커트부를 갖는 본체;
상기 스커트부의 내측에 끼워져 상기 주입구를 밀폐시키는 밀폐마개; 및
상기 결합부의 외측에 결합되어 상기 밀폐마개를 덮는 보조마개;
를 포함하되,
상기 밀폐마개는
하부 차단부;
상기 차단부의 가장자리에 상방 돌출 형성되어 상기 스커트부의 내측에 끼워지게 되는 테두리부;
상기 테두리부의 상단부에 외향 돌출 형성되어 상기 내향플랜지부의 상면에 얹히게 되는 외향플랜지부; 그리고
상기 테두리부의 하단부 외측에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스커트부의 하단부에 걸리게 되는 고정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밀폐마개와 캔 용기의 결합시, 밀폐마개의 고정부가 캔 용기의 스커트부에 걸리어 상방 이탈이 방지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캔 용기의 내부 압력 상승 등에 의하여 밀폐마개가 캔 용기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캔 용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캔 용기의 분해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캔 용기의 결합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밀폐마개의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되, 캔 용기의 구성을 위주로 밀폐마개의 구성을 함께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캔 용기는 크게 본체(100), 밀폐마개(200) 및 보조마개(300)로 이루어진다.
본체(100)는 사각 통 형태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내부 수용부(110), 수용부(110)와 연결되도록 상하 관통 형성된 상부 주입구(120), 주입구(120)의 가장자리에 상방 돌출 형성된 결합부(130), 결합부(130)의 상단부에 내향 돌출 형성된 내향플랜지부(140), 그리고 내향플랜지부(140)의 내측 가장자리에 하방 돌출 형성된 스커트(skirt)부(150)를 갖는다.
여기서 결합부(130)는 후술될 보조마개(300)가 나사식으로 체결될 수 있도록 그 외측 둘레에 나선부(160)가 형성된다.
스커트부(150)는 내향플랜지부(140)의 내측 단부를 하방 절곡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내향플랜지(140)의 가장자리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밀폐마개(200)는 본체(100)의 스커트부(150) 내측에 끼워져 주입구(120)를 밀폐시키게 되는 것으로서, 하부 차단부(210), 차단부(210)의 가장자리에 상방 돌출 형성되어 스커트부(150)의 내측에 끼워지게 되는 테두리부(220), 테두리부(220)의 상단부에 외향 돌출 형성되어 본체(100)의 내향플랜지부(140) 상면에 얹히게 되는 외향플랜지부(230), 그리고 테두리부(220)의 하단부 외측에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어 스커트부(150)의 하단부에 걸리게 되는 고정부(2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차단부(210)는 밀폐마개(200)의 바닥을 이루며, 밀폐마개(200)와 본체(100)의 결합시 주입구(120)의 내측으로 진입하여 주입구(120)를 폐쇄하게 된다.
테두리부(220)는 스커트부(150)의 내측에 면밀하게 끼워져, 차단부(210)와 함께 주입구(120)를 밀폐시키게 된다.
외향플랜지부(230)는 밀폐마개(200)와 본체(100)의 결합시 본체(100)의 내향플랜지(140) 상면에 걸리어 밀폐마개(200)의 삽입량을 제한하게 된다.
고정부(240)는 밀폐마개(200)와 본체(100)의 결합시 스커트부(150)의 하단부에 걸리게 되며, 이에 의해 본체(100)에 장착된 밀폐마개(200)의 상방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결국, 밀폐마개(200)는 고정부(240)가 스커트부(150)의 하단부에 걸리어 본체(100)에 견고하게 장착됨으로써, 기온 상승이나 외부 충격에 따른 캔 용기의 내부 압력 상승으로 인하여 본체(10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캔 용기의 낙하 등으로 인한 급작스런 압력 상승에 의하여 본체(100) 내에 저장된 내용물이 밀폐마개(200)와 함께 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조마개(300)는 본체(100)의 결합부(130) 외측에 결합되어 밀폐마개(200)를 덮개된다.
보조마개(300)와 본체(100)의 결합을 위하여, 보조마개(300)의 내측 둘레에는 결합부(130)에 형성된 나선부(160)에 체결되는 대응나선부(310)가 형성된다.
결국, 보조마개(300)는 밀폐마개(200)를 덮도록 본체(100)의 결합부(130)에 결합됨으로써, 밀폐마개(200)가 상방 이탈되지 않도록 밀폐마개(200)를 지지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캔 용기는 밀폐마개(200)가 본체(100)에 견고하게 장착되는바, 밀폐마기(200)에는 본체(100)의 주입구(120)를 개방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차단부(210)를 테두리부(220)에서 절취하기 위한 커팅수단이 마련된다.
상기 커팅수단은 차단부(210)의 상측에 마련된 파지부(250), 차단부(210)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노치(notch)부(260), 그리고 노치부(260)와 인접하도록 차단부(210)의 상면 일측에 돌출 형성되어 차단부(210)와 파지부(250)를 연결하는 중계부(2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파지부(250)는 환형(環形)으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손가락을 걸어 당길 수 있도록 구성되며, 노치부(260)는 차단부(210)의 상면에서 하방 요입(凹入) 형성되어 차단부(210)의 절취를 위한 선을 제공하게 된다.
결국, 사용자는 본체(100)에서 보조마개(300)를 분리한 후 파지부(250)를 잡아당겨 차단부(210)를 테두리부(220)에서 절취함으로써, 본체(100)의 주입구(120)를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밀폐마개(200)에서 차단부(210)의 유무를 확인하는 것으로서, 캔 용기의 최초 개봉 여부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마개(200)의 외향플랜지부(230)는 테두리부(220)의 두께(t)에 대하여 3 내지 5배 큰 높이(h)를 갖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밀폐마개(200)의 외향플랜지부(230)는 매우 두꺼운 높이(h)를 갖게 되는데, 이에 의해 외향플랜지부(230)는 보조마개(300)와 본체(100)의 결합시 보조마개(300)에 의해 더욱 강한 압력으로 하방 가압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외향플랜지부(230)는 본체(100)의 내향플랜지부(140)와 보조마개(300)의 내측에 면밀하게 접촉되어 캔 용기의 밀폐력을 향상시키게 되며, 특히 밀폐마개(200)에서 차단부(210)가 절취된 후에도 캔 용기가 충분한 밀폐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캔 용기용 밀폐마개 및 이를 구비한 캔 용기"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본체
110 ; 수용부 120 ; 주입구
130 ; 결합부 140 ; 내향플랜지부
150 ; 스커트부 160 ; 나선부
200 ; 밀폐마개
210 ; 차단부 220 ; 테두리부
230 ; 외향플랜지부 240 ; 고정부
250 ; 파지부 260 ; 노치부
270 ; 중계부
300 ; 보조마개
310 ; 대응나선부

Claims (6)

  1. 내부 수용부(110), 상기 수용부(110)와 연결되도록 상하 관통 형성된 상부 주입구(120), 상기 주입구(120)의 가장자리에 상방 돌출 형성된 결합부(130), 상기 결합부(130)의 상단부에 내향 돌출 형성된 내향플랜지부(140), 그리고 상기 내향플랜지부(140)의 내측 가장자리에 하방 돌출 형성된 스커트부(150)를 갖는 캔 용기의 본체(100)에 결합되어 상기 주입구(120)를 밀폐시키게 되는 것으로서,
    하부 차단부(210);
    상기 차단부(210)의 가장자리에 상방 돌출 형성되어 상기 스커트부(150)의 내측에 끼워지게 되는 테두리부(220);
    상기 테두리부(220)의 상단부에 외향 돌출 형성되어 상기 내향플랜지부(140)의 상면에 얹히게 되는 외향플랜지부(230);
    상기 테두리부(220)의 하단부 외측에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스커트부(150)의 하단부에 걸리게 되는 고정부(240); 및
    상기 차단부(210)를 상기 테두리부(220)에서 절취하기 위한 커팅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커팅수단은
    상기 차단부(210)의 상측에 마련된 파지부(250);
    상기 차단부(210)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노치부(260); 및
    상기 노치부(260)와 인접하도록 상기 차단부(210)의 상면 일측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차단부(210)와 상기 파지부(250)를 연결하는 중계부(2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용기용 밀폐마개.
  2. 내부 수용부(110), 상기 수용부(110)와 연결되도록 상하 관통 형성된 상부 주입구(120), 상기 주입구(120)의 가장자리에 상방 돌출 형성된 결합부(130), 상기 결합부(130)의 상단부에 내향 돌출 형성된 내향플랜지부(140), 그리고 상기 내향플랜지부(140)의 내측 가장자리에 하방 돌출 형성된 스커트부(150)를 갖는 캔 용기의 본체(100)에 결합되어 상기 주입구(120)를 밀폐시키게 되는 것으로서,
    하부 차단부(210);
    상기 차단부(210)의 가장자리에 상방 돌출 형성되어 상기 스커트부(150)의 내측에 끼워지게 되는 테두리부(220);
    상기 테두리부(220)의 상단부에 외향 돌출 형성되어 상기 내향플랜지부(140)의 상면에 얹히게 되는 외향플랜지부(230); 및
    상기 테두리부(220)의 하단부 외측에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스커트부(150)의 하단부에 걸리게 되는 고정부(240);를 포함하되,
    상기 외향플랜지부(230)는 상기 테두리부(220)의 두께에 대하여 3 내지 5배 큰 높이를 갖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용기용 밀폐마개.
  3. 내부 수용부(110), 상기 수용부(110)와 연결되도록 상하 관통 형성된 상부 주입구(120), 상기 주입구(120)의 가장자리에 상방 돌출 형성된 결합부(130), 상기 결합부(130)의 상단부에 내향 돌출 형성된 내향플랜지부(140), 그리고 상기 내향플랜지부(140)의 내측 가장자리에 하방 돌출 형성된 스커트부(150)를 갖는 본체(100);
    상기 스커트부(150)의 내측에 끼워져 상기 주입구(120)를 밀폐시키는 밀폐마개(200); 및
    상기 결합부(130)의 외측에 결합되어 상기 밀폐마개(200)를 덮는 보조마개(300);를 포함하되,
    상기 밀폐마개(200)는
    하부 차단부(210);
    상기 차단부(210)의 가장자리에 상방 돌출 형성되어 상기 스커트부(150)의 내측에 끼워지게 되는 테두리부(220);
    상기 테두리부(220)의 상단부에 외향 돌출 형성되어 상기 내향플랜지부(140)의 상면에 얹히게 되는 외향플랜지부(230);
    상기 테두리부(220)의 하단부 외측에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스커트부(150)의 하단부에 걸리게 되는 고정부(240); 및
    상기 밀폐마개(200)에는 상기 차단부(210)를 상기 테두리부(220)에서 절취하기 위한 커팅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커팅수단은
    상기 차단부(210)의 상측에 마련된 파지부(250);
    상기 차단부(210)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노치부(260); 및
    상기 노치부(260)와 인접하도록 상기 차단부(210)의 상면 일측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차단부(210)와 상기 파지부(250)를 연결하는 중계부(2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용기.
  4. 내부 수용부(110), 상기 수용부(110)와 연결되도록 상하 관통 형성된 상부 주입구(120), 상기 주입구(120)의 가장자리에 상방 돌출 형성된 결합부(130), 상기 결합부(130)의 상단부에 내향 돌출 형성된 내향플랜지부(140), 그리고 상기 내향플랜지부(140)의 내측 가장자리에 하방 돌출 형성된 스커트부(150)를 갖는 본체(100);
    상기 스커트부(150)의 내측에 끼워져 상기 주입구(120)를 밀폐시키는 밀폐마개(200); 및
    상기 결합부(130)의 외측에 결합되어 상기 밀폐마개(200)를 덮는 보조마개(300);를 포함하되,
    상기 밀폐마개(200)는
    하부 차단부(210);
    상기 차단부(210)의 가장자리에 상방 돌출 형성되어 상기 스커트부(150)의 내측에 끼워지게 되는 테두리부(220);
    상기 테두리부(220)의 상단부에 외향 돌출 형성되어 상기 내향플랜지부(140)의 상면에 얹히게 되는 외향플랜지부(230); 및
    상기 테두리부(220)의 하단부 외측에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스커트부(150)의 하단부에 걸리게 되는 고정부(2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밀폐마개(200)의 외향플랜지부(230)는 상기 테두리부(220)의 두께에 대하여 3 내지 5배 큰 높이를 갖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보조마개(300)는 상기 본체(100)와의 결합시 상기 외향플랜지부(230)의 상면을 하방 가압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용기.
  5. 삭제
  6. 삭제
KR2020130006627U 2013-08-09 2013-08-09 캔 용기용 밀폐마개 및 이를 구비한 캔 용기 KR2004745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6627U KR200474500Y1 (ko) 2013-08-09 2013-08-09 캔 용기용 밀폐마개 및 이를 구비한 캔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6627U KR200474500Y1 (ko) 2013-08-09 2013-08-09 캔 용기용 밀폐마개 및 이를 구비한 캔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4500Y1 true KR200474500Y1 (ko) 2014-09-26

Family

ID=51999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6627U KR200474500Y1 (ko) 2013-08-09 2013-08-09 캔 용기용 밀폐마개 및 이를 구비한 캔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450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1181A (ko) 2015-03-16 2016-09-26 김충구 캔용기 마개
KR101808728B1 (ko) * 2017-05-26 2017-12-14 조영진 포장용기 및 이에 사용되는 뚜껑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3376Y1 (ko) * 2001-05-07 2001-10-12 우성제관주식회사 용기의 주입구마개
KR200324202Y1 (ko) * 2003-05-23 2003-08-25 김충구 용기의 마개조립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3376Y1 (ko) * 2001-05-07 2001-10-12 우성제관주식회사 용기의 주입구마개
KR200324202Y1 (ko) * 2003-05-23 2003-08-25 김충구 용기의 마개조립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1181A (ko) 2015-03-16 2016-09-26 김충구 캔용기 마개
KR101808728B1 (ko) * 2017-05-26 2017-12-14 조영진 포장용기 및 이에 사용되는 뚜껑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89871B2 (ja) 真空容器用ゴム封止材及びこれを用いた真空容器蓋
JP6059489B2 (ja) 吐出容器
JP5801596B2 (ja) キャップ及び蓋付容器
RU2007135348A (ru) Система укупоривания с улучшенной герметизацией крышки
JP2013142004A (ja) ボタン式容器栓
KR101396617B1 (ko) 캔 덮개의 4중 밀폐구조
KR200474500Y1 (ko) 캔 용기용 밀폐마개 및 이를 구비한 캔 용기
RU2007137265A (ru) Многоэлементный запор из пластмассы
KR101252567B1 (ko) 밀폐 용기
KR200439997Y1 (ko) 내부 씰링막 설치가 가능한 밀폐용기
KR20180002202U (ko) 분리결합이 용이한 가압밀폐용기
KR20070120007A (ko) 원터치식 밀폐용기
KR200467260Y1 (ko) 견고하게 밀봉되는 액체용기용 마개
CN201737280U (zh) 新型密封盒
KR101395317B1 (ko) 진공용기용 고무밀봉재 및 이를 이용한 진공용기 뚜껑
KR200479274Y1 (ko) 진공팩용 체크밸브 어셈블리
KR20150003532U (ko) 기울이면 자동으로 개방이 되는 물병
KR20110007691U (ko) 탈착이 용이한 밀폐용기뚜껑
KR101669228B1 (ko) 밀폐부재를 이용한 밀폐용기
KR200441597Y1 (ko) 식품 보관용 밀폐용기
KR102288254B1 (ko) 스파우트 조립체
KR200432654Y1 (ko) 튜브용기의 실링을 쉽게 제거할 수 있는 튜브용기뚜껑
KR20150000375A (ko) 용기 입구의 구경이 다른 여러 용기를 장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병마개
KR101479649B1 (ko) 식품 실링 포장용 락 용기
JP5137450B2 (ja) 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