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0375A - 용기 입구의 구경이 다른 여러 용기를 장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병마개 - Google Patents

용기 입구의 구경이 다른 여러 용기를 장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병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0375A
KR20150000375A KR1020130073775A KR20130073775A KR20150000375A KR 20150000375 A KR20150000375 A KR 20150000375A KR 1020130073775 A KR1020130073775 A KR 1020130073775A KR 20130073775 A KR20130073775 A KR 20130073775A KR 20150000375 A KR20150000375 A KR 201500003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wall
bottle cap
horizontal
sid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3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진희
Original Assignee
안진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진희 filed Critical 안진희
Priority to KR10201300737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0375A/ko
Publication of KR20150000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03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65D51/280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 B65D51/285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displacing or removing an element enclosing it
    • B65D51/286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displacing or removing an element enclosing it the element being a plug or like element closing a passage between the auxiliary container and the main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17/00Details of mixing containers or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65D41/0407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integral sea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기존 병마개에 있어서는, 일정한 구경을 갖는 병마개는 같은 규격을 갖는 하나의 용기의 입구에 만 결합이 가능하였다. 본 발명에서의 병마개가 갖는 특징은 하나의 병마개를 가지고 구경이 다른 여러 용기들의 용기 입구에 캐핑을 할 수 있도록 독특한 구조를 갖는 것이다. 그 구조를 간단히 설명하면, 병마개 몸체의 하부에 구경이 다른 끼움벽 또는 계단벽을 하나 이상 설치한 새로운 병마개에 관한 것이다. 병마개의 끼움벽과 계단벽의 구경의 규격은 용기 입구의 외경에 대한 국제 규격을 기준으로 병마개의 끼움벽과 계단벽의 내경은 해당 용기들의 규격에 맞추어 제작한다.

Description

용기 입구의 구경이 다른 여러 용기를 장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병마개{Closure which is able to be capped for various sizes of bottle mouths}
병마개의 하부 구조에 하나의 결합벽(21)과 하나 이상의 직경이 다른 끼움벽(15)을 동시에 구비시켜서, 외경 또는 내경이 각각 다른 용기 입구에 장착이 가능한 기능을 갖도록 하는 새로운 구조를 추가한 병마개에 관한 것.
본 발명은, PCT WO 2011/099995 A1에서 이미 설명된 기술을 보완한 병마개로서, 용기 입구에 결합이 가능한 구조(하나 이상의 끼움벽을 구비)를 하부면에 추가한 병마개에 관한 것이다. 이 병마개 내부에 외부 공기를 차단하는 보관 공간(02)을 설치하고 이 보관 공간(02)에 파우더, 용액 등을 보관하다가 내용물을 용기 방향으로 내려 보내기 위하여 누름판을 누르면 마개 하부에 설치한 차단판 외주면과 병마개의 측면벽 내주면이 분리되며 내용물 유출구(18)가 형성되면서 내용물(07)이 빠져 나아갈 틈이 차단판(05)과 측면벽(12) 내부면 사이에 생긴다. 이렇게 분리된 틈(이하 '내용물 유출구'라 칭함)을 통하여 내용물(07)이 용기 내부로 하강하도록 구조를 갖는 병마개를 사용하여 용기 입구의 직경이 다른 여러 종류의 용기에 결합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 병마개에 관한 것이다.
이 분야의 종래 기술인 PCT WO 2011/099995 A1의 병마개에서 드러난 문제점(미비점)을 우선 설명한다. 기존 병마개는 하부면의 결합벽(21)이 하나로 일정하게 정하여져 있어서, 용기 입구의 구경이 약간만 달라져도 결합할 수 없다. 그 이유는 일정 규격의 직경을 갖는 하나의 용기 입구에 만 장착이 가능하도록 처음부터 설계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용기 입구의 구경이 서로 다른 두 종류 이상의 용기에 장착이 가능하도록 기존 병마개의 하부의 구조를 개선(변경)하였다. 즉, 결합벽(21) 보다 구경이 작은 하나 이상의 끼움벽(15) 또는 계단판(19)을 설치하여 그 문제점을 해소하도록 하였다. 본 발명은 하나의 병마개를 이용하여 구경이 다른 여러 용기 입구에 결합이 가능한 구조를 몸체의 하부에 설치한 새로운 병마개에 관한 것이다.
이렇게 용기 입구의 다른 구경을 가진 두 종류 이상의 용기에 장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새로운 병마개의 하부 구조는 하나 이상의 끼움벽(15) 또는 계단판(19)을 구비하도록 설계하여 상기 문제점을 해결한다. 구체적인 설명은 도면의 설명과,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의 내용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신제품은 완제품 용기에 분리형과 일체형의 두 종류로 대별된다. 분리형은 일체형(처음부터 완제품 용기에 장착하여 출시함)과 달리, 평소에 별도로 보관하다가 사용 직전에 용기 입구에 결합하여 사용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용기 입구의 내경 및 외경의 길이가 다른 여러 종류의 용기에 하나의 병마개만을 이용하여 장착할 수 있다.
2. 직경이 다른 여러 종류의 용기에 장착이 가능하므로, 용기 입구의 직경이 다른 여러 종류의 음료수 용기에 사용할 수 있고, 부피가 작은 본 병마개를 사용한 제품만을 야외, 피크닉 등에 휴대하여 생수 제품에 결합 후에 음용할 수 있다.
3. 병마개 구조가 간편하여 음료 용기 입구에 편리하게 결합이 가능하다.
도 1은, 대표 도면으로서 기존 제품이 용기 입구에 결합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사용 전(누름판을 누르기 전) 기존 제품의 하면도이다.
도 3은, 사용 후(누름판을 누른 후)의 기존 제품의 하면도이다
도 4는, 기존 제품의 상면도이다.
도 5는, 사용 전(누름판을 누르기 전) 기존 제품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사용 후(누름판을 누른 후) 기존 제품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품(수평판)에 있어서 사용 전(누름판 누르기 전)의 하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품(수평판)에 있어서 사용 후(누름판 누른 후)의 하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품(수평판)의 사용하기 전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품(수평판)의 사용 후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품(수평판)을 이용하여 누름판을 누르기 전의 28mm 용기 입구 외부면에 장착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품(수평판)을 이용하여 누름판을 누르기 전의 30mm 용기 입구 외부면에 장착한 단면도이다.
도13은, 본 발명품(수평판)을 이용하여 누름판을 누른 후의 28, 30, 33, 38mm 용기 입구에 장착한 단면도이다.
도14는, 본 발명품(계단판)을 이용하여 누름판을 누르기 전의 28mm 용기 입구에 장착한 단면도이다.
도15는, 본 발명품(계단턱)을 이용하여 누름판을 누르기 전의 30mm 용기 입구에 장착한 단면도이다.
도16은, 본 발명품(계단판)을 이용하여 누름판을 누른 후의 28, 30, 33, 38mm 용기 입구에 장착한 단면도이다.
도17은, 힌지로 연결되는 덮개를 구비한 본 발명품(계단판 또는 수평판)의 대표 단면도(30mm)이다.
도18은, 누름판을 보호하기 위하여 누름판을 구비한 분리형 덮개(누름판 기능 구비)를 장착한 본 발명품(대표도로서 사용전, 계단판을 구비한 도면임)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19는, 본 발명품(계단판)에 있어서 지지판을 설치한 병마개의 상면도이다.
도20은, 일반 병마개에 결합판, 끼움벽을 설치한 구조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21은, 일반 병마개에 결합판, 끼움벽을 설치한 구조로서 내용물 유출구를 설치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01) 보관 부위 02) 보관 공간
03) 누름판 04) 얇은 막
05) 차단판(보관 공간) 06) 분리 막대
07) 내용물 08) 덮개(힌지를 사용)
09) 힌지 10) 보호벽
11) 실링 부위(실링 면) 12) 측면벽(몸체 보관 공간)
13) 측면벽(결합용) 14) 수평판
15) 끼움벽 16) 돌출홈
17) 모서리 턱 18) 내용물 유출구
19) 계단판 20) 덮개(누름판을 구비)
21) 결합벽 22) 수평판 하부면
23) 수평판 상부면 24) 차단막(Crab's Claw)
25) 덮개(누름판과 얇은 막을 구비) 26) 차단판(일반 병마개)
30) 손잡이 31) 용기 입구 부위
32) 용기 입구 외부면 33) 용기 입구 내부면
34) 나사선(용기 입구) 35) 용기
36) 병마개 37) 지지판
39) 내부 공간(용기) 40) 나사선(병마개)
Figure pat00020
끼움벽 및 결합벽 내경
: A ⇒ 28mm, B ⇒ 30mm, C ⇒ 33mm, D ⇒38mm
※ 용어 해설 ※
보관 부위(01) = 보관 공간(02) + 누름판(03) + 얇은막(04) + 몸체 측면벽(12) + 차단판(05) + 분리막대(06) + 보호벽(10) + (덮개(08) + 힌지(09))로 구성한다.
1) 보관 부위(01) :
내용물을 저장하기 위하여 설치된 구조로서, 병마개에 구비된 핵심 부위
2) 보관 공간(02) :
외부 공기와 완벽하게 차단된 보관 부위 내에 내용물을 보관하는 공간
3) 누 름 판(03) :
손가락으로 누르는 힘에 의하여 분리막대가 수직 방향으로 하강하도록 누르는데 편리하도록 설치된 수평으로 형성된 판. 하부면에 분리막대(06)와 일체형으로 연결됨.
4) 얇은막(04) :
누름판(03) 및 분리 막대(06)가 균형을 이루며 수직 하강하도록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누름판 외경과 몸체 측면의 일정 위치를 빈틈없이 연결시켜 주는 균일한 두께로 형성되고 상하로 균일하게 쉽게 젖혀지도록 탄성이 강한 막
5) 차단판(05) :
보관 부위(01)의 하부를 차단하여 보관 공간(02)을 형성해 주는 판으로서, 몸체 측면벽(12) 하단의 내주면과 차단판의 외주면을 초음파에 의하여 실링부위(11)를 밀봉하여 보관 공간(02)을 형성한다.
6) 분리 막대(06) :
누름판 하부면에 일체형으로 연결되고 차단판의 상부면에 맞닿아 있는 수직 막대형으로서, 누름판이 하강함과 동시에 함께 수직 하강하면서 차단판(05)을 아래 방향(용기 방향)으로 밀어낸다. 차단판을 몸체 측면벽(12)과 분리 시켜서 보관 공간에 저장 중인 내용물(07)이 용기 방향으로 하강할 수 있도록 내용물 유출구(18)를 만드는 역할을 한다.
7) 내용물(07) :
보관 부위(01) 내의 보관 공간(02)에 저장되는 각종 물질(파우더, 용액, 기타 물질)
8) 덮개(08) :
누름판(03)과 얇은막(04)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몸체 측면벽(12)의 상부의 일정 위치와 힌지(09, 연결 고리)에 의하여 연결되는 일체형 보조 마개이다. 분리형 보조 마개도 있다.
9) 힌지 (09) :
덮개(08)와 몸체 측면벽(12)을 일체형으로 연결시켜 주는 연결고리
10) 보호벽(10) :
누름판(03)과 얇은막(04)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누름판의 높이와 같거나 높도록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측면벽의 원주를 따라 설치되며 몸체 측면벽(12)의 상부에 위치한다.
11) 실링 부위(접착면) :
차단판(05)의 외주면과 몸체 측면벽(12)의 내주면과 원주를 따라 초음파 또는 고주파 방법을 이용하여 접착(실링)하는 면
12) 측면벽 (보관 부위 용) :
보관 공간(02)의 측면을 구성하는 수직 원통형 벽, 상부에 보호벽(10)을 구비하고 하부는 수평판(14)이나 계단판(19)과 연결된다.
13) 결합벽 (21, 용기 입구와 결합용) :
병마개 몸체의 수평판(14)의 외주면과 직각으로 결합한다. 용기 입구 상부의 외주면과 결합벽의 내주면이 결합한다.
14) 수평판(14) :
몸체 측면벽의 하부와 몸체 하부 측면벽 사이를 수평으로 연결하는 일체형 고정판으로서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이다. 끼움벽(15)의 내부면에 돌출홈(16)을 하나 이상 가지며 하단에 TE(Tamper-Evident) band를 구비한다.
15) 끼움벽(15) :
용기 입구의 상부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에 치밀하게 결합되도록 하기 위하여 수평판의 하부면에 하부가 개방되고 수직 원통형을 기본으로 하여 설치되는 가운데가 비어 있는 원통을 말한다. 수평판 하부에 일체형으로 끼움벽을 하나 이상을 구비할 수 있다. 형상은 원통형, 사각형, 기타, 등의 다양한 모양을 가질 수 있으며, 용기 입구의 형상에 맞추어 결합이 가능한 상태로 설치된다. 결합 원통의 내경 또는 외경은 ∼ 28mm, 28mm(A), 30mm(B), 33mm(C), 38mm(D), 38mm ∼ , 기타의 크기로 만들어 질 수 있다.
16) 돌출홈(16, 언더 컷) :
용기 입구 상부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에 용기 입구와 병마개가 보다 더 타이트하게 결합하도록 결합벽(21) 및 끼움벽(15)의 내부면 또는 외부면에 하나 이상의 돌출한 홈(16, 언더 컷)을 갖는다.
17) 손잡이(30) :
몸체 측면벽 외부의 일정 위치에 원주를 따라 하나 이상의 돌출 턱을 갖는다. 병마개를 용기 입구로부터 용이하게 결합 및 해체하는 기능을 갖는다.
18) 계단 판(19) :
기존의 수평판을 계단식으로 처리하여 각 계단판의 각각의 폭이 용기 입구의 내경 및 외경과 일치되도록 설치한 하나 이상의 모서리 턱(17)을 갖는 판이다. 수평판과 같은 기능을 하며, 하나의 계단판(19)은 수직판과 수평판을 한 세트로 설치된다.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의 수직판의 직경은 어떤 용기 입구 상부의 외부면에 있어서 외경과 일치되게 설치된다.
19) 지지판(37) :
병마개 외부면에 있어서 모서리턱17)과 몸체 측면벽(12) 사이에 일체형으로 설치된다. 병마개를 수월하게 용기 입구로부터 결합하거나 분리시키는 역할을 한다
20) 모서리턱(17) :
계단판의 외부면에 위치하며, 몸체 하부의 수평판과 수직판이 직각으로 마주 닿아 생기는 턱
21) 차단막(24, Crab's Claw) :
계단판 및 수평판의 하부면에 원주를 따라 돌출 원주형으로 설치되며, 용기 입구 내주면 또는 외주면과 접촉하여 외부 공기와 차단하는 기능을 갖는다.
기존 병마개는, 직경이 일정한 하나의 용기의 입구에만 결합이 가능한 구조를 갖지만, 새롭게 발명한 병마개(36)는 직경이 서로 다른 용기 입구에 결합이 가능한 구조를 하단부위에 구비한 새롭게 개발한 병마개이다. 도 1은, 대표 도면으로서 기존 제품이 용기 입구에 결합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기존 병마개의 구조를 설명하면, 몸체의 하부면에 구비된 결합용 측면벽(13)과 돌출홈(16)에 의하여 용기 입구 외부면(32)에 결합한다. 보관부위는 보관공간(02), 누름판(03), 얇은막(04), 차단판(05), 분리막대(06), 보호벽(10)으로 구성된다. 보관 공간에는 내용물을 보관한다. 누름판을 누르면 하강하면서 누름판 하부면에 일체형으로 설치된 분리막대가 하강하며 차단판을 측면벽(12)으로부터 분리시켜 내용물 유출구(18)을 만든다. 마개의 하부면에는 하부가 개방된 끼움벽(15)이 형성되어있다. 도 2는, 사용 전(누름판을 누르기 전) 기존 제품의 하면도이다. 가장 외곽에 원주형의 끼움벽(15)이 있다. 보관 공간(02)의 측면벽(12)의 사이에 수평판(14)이 구비된다. 측면벽(12)의 내주면과 차단판(05)의 외주면은 실링부위(11)로 접착되어 있다. 도 3은, 사용 후(누름판을 누른 후)의 기존 제품의 하면도이다. 가장 외곽에 원주형의 끼움벽(15)이 있다. 보관 공간(02)의 측면벽(12)의 사이에 수평판(14)이 구비된다. 측면벽(12)의 내주면과 차단판(05)의 외주면 간에 접착되어 있던 실링부위(11)가 분리되면서 내용물 유출구(18)이 형성되고 이 유출구 사이로 보관 공간에 저장 중이던 내용물()이 흘러 나온다. 도 4는, 기존 제품의 상면도이다. 가장 바깥으로 상부가 개방한 원통형의 보호벽(10)이 있다. 보호벽(10)의 내부면과 누름판(03)의 외부면은 원주를 따라 얇은막(04)으로 연결된다. 도 5는, 사용 전(누름판을 누르기 전) 기존 제품의 단면도이다. 원통형 측면벽(12)의 상부의 보호벽(10)은 누름판(03)의 높이와 같거나 더 높게 유지되도록 설치된다. 측면벽(12)의 내부면의 원주를 따라 얇은막(04)의 외주면이 연결되며 누름판(03)의 외주면은 얇은막(04)의 내주면과 연결된다. 누름판의 하부면과 차단판(05)의 상부면은 일체형으로 분리막대(06)가 연결된다. 차단판(50)의 외주면은 측면벽(12)의 내부면과 접착되도록 설치된다. 도 6은, 사용 후(누름판을 누른 후) 기존 제품의 단면도이다. 누름판903)을 누르면 누름판의 하강하는 힘에 의하여 얇은막(04)이 밑으로 접혀지면서 분리막대(06)가 하강하며 차단판(05)을 밑으로 밀어낸다. 이 힘에 의하여 차단판의 외주면은 측면벽(12)의 내부면으로부터 분리되면서 내용물 유출구(18)를 형성한다. 용기 입구 외부면(32)은 하부가 개방된 끼움벽(15)과 결합하여 있는데, 보관공간(02)에 저장 중인 내용물(07)은 내용물 유출구(18)을 통하여 용기(35)의 내부 공간으로 내려간다. 도 7은, 본 발명품(수평판)에 있어서 사용 전(누름판 누르기 전)의 하면도이다. 몸체 하부면의 가장 와곽에 원주를 따라 하부가 개방된 구경 38mm의 결합용 측면벽(13)이 설치된다. 중심부 쪽으로 구경 33mm인 끼움벽(25)을 설치한다. 그 안쪽으로 구경 30mm의 끼움벽(26)과 28mm 끼움벽(27)을 설치한다. 도 8은, 본 발명품(수평판)에 있어서 사용 후(누름판 누른 후)의 하면도이다. 28mm 끼움벽(27)과 차단판 외부면 사이에는 실링부위(11)가 있다. 실링부위가 분리되면 내용물 유출구(18)이 생긴다. 도 9는, 본 발명품(수평판)의 사용하기 전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품(수평판)의 사용 후의 측면 단면도이다. 모든 끼움벽()의 내부 측면과 용기 입구 외부 측면이 결합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수평판의 하부면에 두개 이상의 끼움벽을 일체형으로 구비한다. 각각의 끼움벽의 직경은 서로 다르고, 하부가 개방된 수직의 원통형이다. 끼움벽의 내부면에는 하나 이상의 걸림홈이 설치되거나, 끼움벽의 하단에 용기와 결합할 나사선이 각각으로 설치된다. 도 11은, 본 발명품(수평판)을 이용하여 누름판을 누르기 전의 28mm 용기 입구 외부면에 장착한 단면도이다. 직경이 28mm인 용기 입구를 끼움턱의 내부면에 결합한 그림이다. 도 12는, 본 발명품(수평판)을 이용하여 누름판을 누르기 전의 30mm 용기 입구 외부면에 장착한 단면도이다. 직경이 30mm인 용기 입구를 끼움턱의 내부면에 결합한 그림이다. 도13은, 본 발명품(수평판)을 이용하여 누름판을 누른 후의 28, 30, 33, 38mm 용기 입구에 장착한 단면도이다. 누름판을 누르면 분리막대가 수직 하강하며 차단판을 측면벽 하단 부위의 실링부위로부터 분리시켜서 내용물 유출구를 만들면 중력에 의하여 보관 공간에 저장한 내용물을 용기로 내려가게 한다. 수평판 하부면에 설치된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 끼움벽의 내부면과 결합한 네 종류의 용기 입구의 직경이 다른 네 종류의 용기를 결합한 그림이다. 도14는, 본 발명품(계단판)을 이용하여 누름판을 누르기 전의 28mm 용기 입구에 장착한 단면도이다. 직경이 28mm인 용기 입구를 28mm에 맞는 계단판의 내부면에 결합한 그림이다. 도15는, 본 발명품(계단턱)을 이용하여 누름판을 누르기 전의 30mm 용기 입구에 장착한 단면도이다. 직경이 30mm인 용기 입구를 30mm에 맞는 계단판의 내부면에 결합한 그림이다. 도16은, 본 발명품(계단판)을 이용하여 누름판을 누른 후의 28, 30, 33, 38mm 용기 입구에 장착한 단면도이다. 누름판을 누르면 분리막대가 수직 하강하며 차단판()을 측면벽 하단 부위의 실링부위로부터 분리시켜서 내용물 유출구()를 만들면 중력에 의하여 보관 공간에 저장한 내용물을 용기로 내려가게 한다. 수평판 하부면에 설치된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 계단판()의 내부면과 결합한 네 종류의 용기 입구의 직경이 다른 네 종류의 용기를 결합한 그림이다. 도17은, 힌지로 연결되는 덮개를 구비한 본 발명품(수평판)의 대표 단면도(30mm)이다. 몸체 외부면과 덮개()를 힌지()로 연결하는 일체형 덮개를 구비한 병마개로서, 누름판()과 얇은막()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보호벽과 결합한다. 계단판을 구비한 병마개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도18은, 누름판을 보호하기 위하여 누름판을 구비한 분리형 덮개(누름판 기능 구비)를 장착한 본 발명품(대표도로서 사용전, 계단판을 구비한 도면임)에 대한 단면도이다. 분리형 덮개가 결합한 병마개로서, 누름판(03)과 얇은막(04)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보호벽(10)과 결합한다. 수평판(14)을 구비한 병마개(36)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덮개(25)에 누름판(03) 및 얇은막(04)을 구비할 수 있다. 도19는, 본 발명품(계단판)에 있어서 지지판을 설치한 병마개의 상면도이다. 본 병마개를 결합 및 분리시킬 때에 용이하도록 측면벽(12)으로부터 결합벽(21)의 모서리턱(17)에 이르도록 몸체와 일체형으로 지지판(37)을 원주를 따라 하나 이상 설치한다. 도20은, 일반 병마개에 결합판, 끼움벽을 설치한 구조에 대한 단면도이다. 이미 인지하고 있듯이, 기존 병마개는 한 종류 용기의 용기 입구에만 결합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본 병마개의 특징은 원주의 가장 외부에 결합벽(21)을 설치하고, 원주의 중심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끼움벽(15)이나 계단판(19)을 구비하여 구경이 다른 여러 종류의 용기를 장착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끼움벽(15)의 내부면에는 나사선 또는 언더컷을 돌출형으로 구비할 수 있다. 도 21은, 일반 병마개에 결합판, 끼움벽을 설치한 구조의 하면도이다. 본 병마개의 특징은 원주의 가장 외부에 결합벽(21)을 설치하고, 원주의 중심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끼움벽(15)이나 계단판(19)을 구비하며 끼움벽의 내부면에 돌출로 나사선을 설치한다. 구경이 다른 여러 종류의 용기를 장착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끼움벽(15)의 내부면에는 나사선 또는 언더컷을 돌출형으로 구비한다. 도 22는, 일반 병마개에 결합판, 끼움벽을 설치한 구조로서 내용물 유출구를 설치한 단면도이다. 병마개(36) 수평판의 하부면(22)에 원주 가장 바깥에 결합벽(21)을 갖는다. 원주의 중심을 향하여 하나 이상의 끼움벽(15)을 갖는다. 결합벽(21)과 끼움벽(15)의 내·외부면에 언더컷 또는 나사선(40)을 돌출형으로 갖는다. 결합벽(21)과 끼움벽(15)은 하부가 개방되고 원통형을 기본형으로 한다. 수평판(14)의 중심 부위에는 내용물 유출구(18)를 갖는다. 내용물 유출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병마개 몸체는 힌지()에 의하여 연결되는 덮개를 갖는다. 상기 덮개(08)는 수평판(14)을 갖는 것이 일반형이지만, 얇은막(04)과 누름판(03)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한 도면을 기준으로 실시 예를 통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실시예 1은, 병마개 몸체의 하단 부위에 수평판(14)과 결합벽(21), 끼움벽(15)을 구비한 병마개이다. 수평판(14)은 측면벽(12)의 하부에 직각, 수평으로 형성된다. 기존 병마개에서는 용기 입구가 하나의 직경을 가진 한 종류의 용기만 결합할 수 있다. 그러나 새롭게 발명한 본 병마개에서는 하나의 병마개를 이용하여 용기 입구의 구경이 서로 다른 여러 종류의 용기와 결합할 수 있다(도 12∼ 16참조). 구조를 설명하면, 가장 바깥에 위치하는 끼움벽(15)의 직경이 가장 길고, 원심 쪽으로 갈수록 직경은 짧아진다. 끼움벽(15)의 형상은 하부가 개방되고 원통형으로서 가장 큰 직경을 가진 결합벽(21)은 수평판(14)의 외주면과 직각으로 설치되어 모서리턱(17)을 갖는다. 도 1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 입구 부위(31)의 구경의 크기가 다른 용기들을 따로 따로 결합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참고로 용기 입구 직경이 28mm, 30mm, 33mm, 38mm 인 경우를 선택하였다. 그러나, 끼움벽의 직경의 크기는 다양하게 정할 수 있다. 몸체의 외부에는 수평판과 측면벽을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지지판(37)를 설치한다. 상기 지지판(37)은 수평판(14)의 원주를 따라 설치한다. 실시예 2는, 병마개 몸체의 하부에 계단판(19)을 구비한 병마개이다. 계단판(19)은 측면벽(12)의 하부에 계단 형태로 형성된다. 기존 병마개에서는 용기 입구 부위(31)가 하나의 직경을 가진 한 종류의 용기(35)만 결합할 수 있다. 그러나 새롭게 발명한 본 병마개에서는 하나의 병마개를 이용하여 용기 입구의 구경이 서로 다른 여러 종류의 용기와 결합할 수 있다(도 17 ∼ 22 참조). 구조를 설명하면, 가장 바깥에 위치하는 계단판(19)의 직경이 가장 길고, 원심 쪽으로 갈수록 직경은 짧아진다. 계단판(19)의 형상은 하부가 개방되고 원통형으로서 가장 큰 직경을 가진 계단판(19)은 모서리턱(17)을 갖는다. 도 2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 입구 부위(31)의 구경의 크기가 다른 용기를 결합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참고로 용기 입구 부위(31) 직경이 28mm, 30mm, 33mm, 38mm 인 경우를 선택하였다. 그러나, 계단판()의 직경의 크기는 다양하게 정할 수 있다. 몸체의 외부에는 계단판(19)과 측면벽(12)을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지지판(19)를 설치한다. 상기 지지판은 계단판(19)의 원주를 따라 설치한다. 실시예 3은, 일반 병마개에 하나 이상의 끼움벽(15)을 구비한 새로운 병마개이다. 끼움벽의 내부면에 나사선 또는 언더컥을 돌출로 설치한다. 수평판의 중심부를 원형 또는 다른 모양으로 개방하고 내용물 유출구(18)를 설치할 수 있다. 덮개를 이용하여 개폐하며 덮개는 일체형, 분리형을 사용한다. 도면 20∼23에서 자세히 도시한다. 상기의 수평판을 본 특허에서 상술한 계단판 구조로 대체할 수 있다. 기존 병마개에 있어서는, 일정한 구경을 갖는 병마개는 같은 규격을 갖는 하나의 용기의 입구에 만 결합이 가능하였다. 본 발명에서의 병마개가 갖는 특징은 하나의 병마개를 가지고 구경이 다른 여러 용기들의 용기 입구에 캐핑을 할 수 있도록 독특한 구조를 갖는 것이다. 그 구조를 간단히 설명하면, 병마개 몸체의 하부에 구경이 다른 끼움벽 또는 계단벽을 하나 이상 설치한 새로운 병마개에 관한 것이다. 병마개의 끼움벽과 계단벽의 구경의 규격은 용기 입구의 외경에 대한 국제 규격을 기준으로 병마개의 끼움벽과 계단벽의 내경은 해당 용기들의 규격에 맞추어 제작한다. 가장 효과적인 끼움벽의 숫자는 3∼4개의 벽들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개발한 원리는 병마개에 한정되지 않고 모든 산업이나 적용이 가능한 모든 제품(예 : 산업용 나사, 조인트, 등)에 적용된다.

Claims (20)

  1. 외부와 단절된 내부 공간에 내용물을 보관하는 기능을 갖는 플라스틱 병마개에 있어서, 그 구조는 용기 입구에 결합하는 결합벽를 구비하며, 상기 용기 입구와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병마개는 보관 부위의 몸체의 측면벽과;
    상기 측면벽과 얇은 막에 의하여 연결되어 눌릴 때에 용이하게 하강하는 누름판과;
    상기 누름판의 하부면과 차단파의 상부면에 일체형으로 수직 설치되어 상기 누름판이 눌리어 하강할 때에 동시에 하강하는 분리 막대와;
    하강하는 분리 막대의 하단 부위에 의하여 밀리어 내려가며 측면벽의 하단 부위의 내부면으로부터 분리되는 차단판과;
    몸체의 하부에 원통형으로서 하부가 개방되어 용기 입구와 결합하는 결합용 측면벽과;
    보관 공간의 측면벽의 하단과 용기 입구와 결합하는 결합용 측면벽의 상부위를 일체형으로 연결하는 수평판과;
    보관부위(누름판, 얇은 막, 측면벽, 차단판)에 의하여 형성된 보관 공간을 갖는 병마개에 있어서,
    상기 병마개의 하단 부위에 끼움벽과 계단판을 추가로 구비하는 병마개에 관한 것
  2. 제 1항에 있어서,
    수평판의 하부면에 수직으로 하부가 개방된 하나 이상의 끼움벽을 갖는 수평판
  3. 제 2항에 있어서,
    용기 입구의 외부면 또는 내부면의 직경에 맞추어 다양한 크기(28mm, 30mm, 33mm, 38mm, 기타)를 하나 이상 갖는 원통형 끼움벽
  4. 제 3항에 있어서,
    수평판의 하부면과 일체형으로 설치되며, 각각 하나 이상의 돌출형 걸림홈(언더컷)이나, 나사선을 내부면 또는 외부면의 일정 위치에 갖는 끼움벽
  5. 제 1항에 있어서,
    수평판과 대체하여, 수직판과 차단막(Crab's Claw)를 구비하는 수평판을 한 세트로 하여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계단판
  6. 제 5항에 있어서,
    용기 입구 상부의 원주 외부 직경 또는 내부 직경에 맞추어 다양한 크기(28mm, 30mm, 33mm, 38mm, 기타)를 갖는 하나 이상 갖는 계단판
  7. 제 5항에 있어서,
    수평판의 하부면과 일체형으로 구비되며, 각각 하나 이상의 돌출형 걸림홈을 일정 위치에 구비하는 수직판
  8. 제 5항에 있어서,
    하부가 개방되고 원주를 따라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원통형 수직판
  9. 제 8항에 있어서
    언더컷 또는 나사선을 수직 내주면에 갖는 수직판
  10. 제 1항에 있어서,
    측면벽의 외부면으로부터 시작하여 수평판 또는 계단판의 상부면의 가장 바깥 모서리턱 까지 일체형으로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지지판
  11. 청구항 3항에 있어서,
    내부 또는 외부면에 나사선을 구비하는 하나 이상의 끼움벽
  12. 용기 입구에 결합하고 몸체 상부면이 수평판으로 설치된 플라스틱 병마개에 있어서, 수평판의 하부면의 가장 바깥에 하부가 개방된 하나의 수직 원통형으로 된 결합벽을 가지며, 원주의 중심부를 향하여 끼뭄벽 사이이의 수평면 하부면에 차단막을 구비한 하나 이상의 끼움벽을 갖는 병마개에 관한 것(도20, 21, 22참조)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수직 원통형으로서 하부가 개방된 하나 이상의 끼움벽을 갖는 것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내부면에 돌출형 나사선을 구비한 끼움벽
  15. 청구항 12에 있어서,
    병마개 상부면에 내용물유출구를 구비하고 분리형 또는 일체형 덮개를 갖는 병마개
  16. 청구항 12에 있어서,
    여러 종류(원형, 마름모형, 그물형, 기타)로 설치될 수 있는 내용물 유출구
  17. 용기 입구에 결합하고 몸체 상부면이 계단판으로 설치된 플라스틱 병마개에 있어서, 계단판의 하부면의 가장 바깥에 하부가 개방된 하나의 수직 원통형으로 된 결합벽을 가지며, 원주의 중심부를 향하여 수평판과 대체하여 수직판과 수평판을 한 세트로 하여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계단판을 갖는 병마개에 관한 것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수직 원통형으로서 하부가 개방된 수직면 및 수평면을 한 세트로 하는 하나 이상의 계단판을 갖는 것
  19. 청구항 17에 있어서,
    수직면에 돌출로 나사선 또는 돌출홈을 갖는 계단판의 수직면
  20. 청구항 17에 있어서,
    차단막(Crab's Claw)를 갖는 수평면
KR1020130073775A 2013-06-24 2013-06-24 용기 입구의 구경이 다른 여러 용기를 장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병마개 KR201500003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3775A KR20150000375A (ko) 2013-06-24 2013-06-24 용기 입구의 구경이 다른 여러 용기를 장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병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3775A KR20150000375A (ko) 2013-06-24 2013-06-24 용기 입구의 구경이 다른 여러 용기를 장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병마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0375A true KR20150000375A (ko) 2015-01-02

Family

ID=52474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3775A KR20150000375A (ko) 2013-06-24 2013-06-24 용기 입구의 구경이 다른 여러 용기를 장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병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037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4605B1 (ko) * 2015-03-16 2016-06-29 주식회사 다솔프라스틱 병 용기 내용물 유동 방지용 텐션 홀더
CN110395480A (zh) * 2019-08-14 2019-11-01 赵航 一种即溶饮料的瓶盖及饮料瓶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4605B1 (ko) * 2015-03-16 2016-06-29 주식회사 다솔프라스틱 병 용기 내용물 유동 방지용 텐션 홀더
CN110395480A (zh) * 2019-08-14 2019-11-01 赵航 一种即溶饮料的瓶盖及饮料瓶
CN110395480B (zh) * 2019-08-14 2024-04-09 贵州大瑭本草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即溶饮料的瓶盖及饮料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273352C (zh) 用于一种袋的防窜动封闭结构
US7703642B2 (en) Tamper evident closure assemblies
WO2011078085A1 (ja) 合成樹脂製注出口栓
KR20090014699A (ko) 첨가물 첨가 가능한 용기마개
KR101950896B1 (ko) 클로저 및 이를 포함하는 젖병
KR102593975B1 (ko) 브이자형 위조방지스커트링을 가지는 수용부를 겸비한 투명캡
CA2473290A1 (en) Container for containing two different separate products and mixing them
CN106573706B (zh) 排出口栓以及包装容器
EP1910175B1 (en) Packaging with sealing lid and method for filling the package.
US20170023178A1 (en) Apparatus and method to package hydrogen enriched liquids
JP5662786B2 (ja) 合成樹脂製注出口栓
WO2008057540A3 (en) Plastic container and closure and system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CA2807234A1 (en) Container cap and seal assemblies
KR20150000375A (ko) 용기 입구의 구경이 다른 여러 용기를 장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병마개
KR20230116743A (ko) 투명외캡 내부를 불투명오버캡 투시창으로 볼 수 있는 용기마개
CN109715510A (zh) 用于食品包装的盖
KR200474500Y1 (ko) 캔 용기용 밀폐마개 및 이를 구비한 캔 용기
KR101528869B1 (ko) 적층 및 뚜껑 개폐가 가능한 음료수 병
CN206857302U (zh) 一种防伪花篮盖结构
JP4335601B2 (ja) 粉粒体容器の定量キャップ
CN211224585U (zh) 一种可排气的软包装容器吸嘴装置
CN216995735U (zh) 一种安全防伪瓶盖
KR102563954B1 (ko) 내캡의 중앙에 배출구를 설치하는 구조
KR20160032645A (ko) 내용물을 한두 알씩 꺼낼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원터치 캡 또는 스크류 캡
CN209225740U (zh) 一种抗菌制剂配置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