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2645A - 내용물을 한두 알씩 꺼낼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원터치 캡 또는 스크류 캡 - Google Patents

내용물을 한두 알씩 꺼낼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원터치 캡 또는 스크류 캡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2645A
KR20160032645A KR1020140123827A KR20140123827A KR20160032645A KR 20160032645 A KR20160032645 A KR 20160032645A KR 1020140123827 A KR1020140123827 A KR 1020140123827A KR 20140123827 A KR20140123827 A KR 20140123827A KR 20160032645 A KR20160032645 A KR 201600326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ontainer
cap
bottle cap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3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진희
Original Assignee
안진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진희 filed Critical 안진희
Priority to KR1020140123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32645A/ko
Publication of KR20160032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26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 B65D83/0445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all the articles being stored in individual compartments
    • B65D83/045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all the articles being stored in individual compartments the whole forming a circular container with rotating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덮개, 힌지, 병마개 몸체로 구성되는 병마개를 용기의 입구에 결합하여 사용하는 완제품에 있어서, 보관컵과 유도판으로 구성하는 덮개의 내부 구조를 이용하여 용기 내에 보관 중인 내용물(알약)을 한두 알씩 꺼낼 수 있는 기능을 갖는 병마개 구조를 갖도록 하는 새로운 병마개 구조에 관한 발명품으로서, 상기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덮개(Cover)를 열고 유도판 제거링을 이용하여 유도판을 제거하고 다시 덮개를 닫은 후에, 1) 우선 똑 바로 세운다. 2) 180도 뒤집는다. 3) 다시 똑바로 세운다. 4) 덮개를 개봉한다. 이런 절차로 인하여, 내용물이 보관컵의 저장 공간에 한 두알이 위치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다. 이런 기능을 갖도록 병마개 및 용기 입구의 내부에 새로운 구조를 갖는 것에 관한 모든 것이다.

Description

내용물을 한두 알씩 꺼낼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원터치 캡 또는 스크류 캡{Structure of Cap and Bottle for using one tablet under one time}
본 발명은, 병마개를 열고 용기 내의 내용물(15, 알약)을 한 알 또는 두 알씩 꺼내서 사용 할 수 있는 병마개 및 이와 결합하는 용기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병마개를 용기 입구로부터 개봉하고 용기 안에 보관하는 내용물(15, 알약)을 용기 밖으로 꺼내어 사용하는 기술(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분야의 종래 기술은, 용기 내부 공간에 보관 중인 내용물(15, 알약)을 병마개를 열고 꺼내는 경우에, 필요량 이상 즉 여러 알을 쏟아 내어 사용하지 않는 일부 내용물(15, 알약) 들을 다시 용기 내에 넣어 줌으로써, 이용자의 손바닥이나 손가락의 오염 물질이 내용물(15, 알약) 표면에 묻혀 들어감으로써 용기 내의 내용물(알약) 들이 오염 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손바닥이나 손가락에 물기가 묻어 있을 경우에는 이미 꺼낸 내용물(알약)에 물기가 묻어 들어감으로써 보관 중인 내용물(15, 알약) 들이 물기가 오염 되는 피해를 입는다. 따라서, 한 두알 만을 꺼낼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여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원터치 캡의 병마개의 구조를 개선하여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품의 사용 방법은, 내용물(15, 알약)이 용기 안에 충전되고 병마개가 결합한 후에 똑바로 서있는 완제품을 병마개의 윗면이 수직 아래 방향으로 향하도록 180도 손으로 뒤집어 세웠다가, 다시 똑바로 세운 후에, 병마개를 개봉하면, 용기 내의 내용물(15, 알약)이 용기 입구 내부면(06)의 일정한 위치에 설치된 보관컵(30)의 저장 공간(18)에 올라와 있다. 이 내용물(15, 알약)을 손가락을 이용하여 끄집어내어 사용한다. 상기 기능을 갖기 위하여 병마개(01)는 덮개(02), 병마개 몸체 측면(07), 힌지(08), 보관판(09)으로 구성한다. 덮개(02)에 본 발명의 핵심 기술이 그 구조 속에 들어 있다. 구체적인 설명은 도시하는 여러 도면들과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내용물인 알약을 한 두알 씩만 꺼내어 사용 할 수 있다.
2. 용기에 보관 중인 내용물(15, 알약)을 청결하게 끝까지 사용할 수 있다.
3. 생산 시에, 기존 원터치 캡과 유사한 조립 방법으로 결합이 가능하기 때문에, 추가 생산 비용이 거의 들지 않는다.
도면 1은, 기존 원터치 캡(병마개+ 용기, 일명 : 듀마캡)의 외부 단면도이다.
도면 2는, 본 발명에 의한 원터치 캡(병마개+ 용기)의 대표도인 입체도이다.
도면 3은, 본 발명에 의한 원터치 캡(병마개+ 용기)의 투영 단면도이다.
도면 4는, 본 발명에 의한 병마개의 보관판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면 5는, 본 발명에 의한 병마개의 보관판에 대한 저면도이다.
도면 6은, 본 발명에 의한 병마개의 보관판에 대한 단면 확대도이다.
도면 7은, 본 발명에 의한 병마개의 몸체 내부면의 전개도이다.
도면 8은, 본 발명에 의한 용기 입구 외부면의 전개도이다.
도면 9는, 본 발명에 의한 완제품(병마개+ 용기)에 내용물을 충전한 후, 유도판을 제거하기 전의 똑바로 세운 상태에 대한 투영 입체도이다.
도면 10은, 본 발명에 의한 완제품(병마개+ 용기)에 내용물을 충전한 후, 유도판을 제거하고 똑바로 세운 상태에 대한 투영 입체도이다.
도면11은, 본 발명에 의한 완제품(병마개+ 용기)에 내용물을 충전한 후에 거꾸로 세운 상태를 확대한 투영 단면도이다.
도면12은, 본 발명에 의한 완제품(병마개+ 용기)에 내용물을 충전한 후에 다시 똑바로 세우기 직전의 상태를 확대한 투영 단면도이다.
도면13은, 본 발명에 의한 완제품(병마개+ 용기)에 내용물을 충전한 후에 다시 똑바로 세운 상태를 분해(마개와 용기)한 투영 입체도이다.
도면14는, 본 발명에 의하여 다양한 형상을 갖는 차단판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01 : 병마개, 02 : 덮개,
03 : 용기, 04 : 용기 입구
05 : 외부면, 06 : 내부면
07 : 병마개 측면 몸체 08 : 힌지(연결 고리),
09 : 보관판(31+ 30) 10 : 차단판(덮개)
11 : 허리 부위 12 : 용기 몸체
13 : 용기 바닥 14 : 경사형 차단판
15 : 내용물(알약) 16 : 저장 공간(보관컵)
17 : 이중벽 18 : 집합 공간
23 : 유도 공간, 24 : 유도 공간 외벽,
26 : 손잡이(덮개, Cover) 27 : 보관판,
28 : 유도 통로 29 : 차단막(Crab's Claw)
30 : 보관컵 31 : 유도판,
32 : 유도판 제거 링 34 : 링대,
35 : 분리 절취선(보관판) 36 : 내주면
37 : 외주면 38 : 바닥판
39 : 보관컵 몸체 40 : 유도 막대
44 : 걸림턱 45 : 나사선,
46 : 결합 유도턱 47 : 진입홈
49 : 상부면, 50 : 차단턱
52 : 사용 흔적 벨트 53 : 제거 손잡이
54 : 분리 절취선(사용 흔적벨트) 55 : 결합 유지 벨트
56 : 차단 홈(용기 입구 상부면) 57 : 진입 홈
58 : 수평 결합판(수평형 또는 수직형) 59 : 밀봉턱
61 : 덮개 수직벽
결합 : 병마개를 용기 입구에 끼우는 것.
결속 : 결합한 병마개의 차단판 하부면과 용기 입구의 상부면의 밀착을 강화하기 위하여 '병마개를 좌측 방향으로 일정폭을 회전'시켜 주는 것.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서는, 우선 도면을 통하여 설명하고, 실시예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면 1은, 기존 원터치 캡(병마개+ 용기, 일명 : 듀마캡)의 외부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은 이미 잘 알려진 기존 원터치 캡 및 이와 결합하는 용기에 대한 설명이다. 기존 제품(일명 : 원터치 캡 및 용기 또는 듀마 캡)은 병마개(01)의 몸체 측면(03) 내부면과 용기(03)의 용기입구(04)의 외부면이 결합하여 완제품을 형성 한다. 상기한 병마개는 차단판(10), 몸체 측면(07), 손잡이(26), 사용 흔적 벨트(52), 절취선(54), 힌지(08), 분리절취선(35)을 이용하여 분리하는 제거 손잡이(53), 결합 유지 벨트(55)로 구성된다. 용기(50)는 용기 입구, 허리 부위(11), 용기 몸체(12), 용기 바닥(13)으로 구성된다. 도면 2는, 본 발명에 의한 원터치 캡(병마개+ 용기)의 대표도인 입체도이다. 병마개가 용기 입구에 결합한 상태도이다. [샘플 I]의 그림 1은, 덮개를 병마개 몸체결합하고 이를 용기에 결속한 그림이다. 그림 2는, 덮개를 연 상태를 나타낸 그림이다. 그림 3은, 유도판을 제거한 그림이다. [샘플 II]인 그림 4는, 차단판이 2 중 경사면을 갖는 그림이다. 외부에서 보는 본 발명품은 병마개(01)는 덮개(02), 힌지(08), 병마개 측면 몸체(07)로 구성된다. 병마개 측면 몸체(07)와 덮개(02)는 힌지(08)로 연결한다. 덮개(02)는 경사를 이루는 차단판(14), 유도 공간 외벽(24), 수평 결합판(58), 밀봉 턱(59), 손잡이(26)로 구성된다. 수평 결합판(58)은 용기 입구(04) 상부면(49)과 밀착 결합한다. 덮개의 밀봉턱(59)은 용기 입구의 외부 면(05과 58)로 결합한다. 도면 3은, 본 발명에 의한 원터치 캡(병마개+ 용기)의 투영 단면도이다. 본 발명품의 병마개는 덮개(02), 힌지(08), 병마개 측면 몸체(07)로 구성된다. 덮개(02)는 한쪽은 높고 한쪽은 낮은 경사를 이루는 차단판(14), 덮개 내부 공간에 유도 공간(23)을 가지며, 유도 공간 외벽(24), 수평 결합판(58), 밀봉턱(59), 손잡이(26)로 구성 된다. 힌지(08)는 덮개(07)와 병마개 몸체 측면(07) 사이에 설치된다. 병마개 몸체는 측면(07)벽, 보관판(27)으로 구성된다. 병마개 측면 몸체(07)의 외부 상부 위치에 밀봉 턱(59)을 가지며 용기 입구(04)에 설치되는 밀봉턱(59)과 결합하여 밀봉 기능을 갖는다. 측면벽(07)의 내부면(06)과 일체형으로 보관판(27)을 설치한다. 보관판(27)은 병마개 측면 몸체의 측벽(07) 내부면(06)과 일체형으로 보관컵(30), 분리 절취선(35), 유도판(31)으로 구성된다. 유도판(31)은 유도판 제거 링(32), 링대(34)를 구비한다. 보관컵(30)은 상부가 개방되고 중공의 원통형을 기본으로 하고, 바닥판(38), 보관컵 몸체(39), 유도 막대(40)로 구성되며, 병마개 몸체 측면(07) 벽의 내주면(36)과 일체형으로 설치되고 분리 절취선(35)에 의하여 유도판(31)과 구분된다. 도면 4는, 본 발명에 의한 병마개의 보관판에 대한 평면도이다. 보관판(27)은 병마개 측면 몸체의 측벽(07) 내부면(06)과 일체형으로 보관컵(30), 분리 절취선(35), 유도판(31)으로 구성된다. 유도판(31)은 유도판 제거 링(32), 링대(34)를 구비한다. 보관컵(30)은 상부가 개방되고 중공의 원통형을 기본으로 하고, 바닥판(38), 보관컵 몸체(39), 유도 막대(40)로 구성되며, 병마개 몸체 측면(07) 벽의 내주면(36)과 일체형으로 설치되고 분리 절취선(35)에 의하여 유도판(31)과 구분된다. 도면 5는, 본 발명에 의한 병마개의 보관판에 대한 저면도이다. 수평 결합판(58)의 내주면(36)과 보관판의 외주면(37)이 일체형으로 연결된다. 단, 유도판은 분리 절취선(35)으로 둘러쌓여 있다. 보관판은 유도판(31), 분리 절취선(35), 보관컵(30)으로 구성된다. 보관컵(30)의 하부면에는 돌출한 일체형으로 유도 막대(40)가 하나 이상 설치된다. 도면 6은, 본 발명에 의한 병마개의 보관판에 대한 단면 확대도이다. 병마개 측면 몸체(07)의 내부면(06)과 원주를 따라 일체형으로 설치되는 보관판(27)이다. 편편한 유도판(31)은 분리 절취선(35)으로 둘러 싸여 있다. 분리 절취선(35)에 의하여 유도판(31)과 보관컵(27)은 구분된다. 보관컵(27)은 상부가 개방되고 중공의 원통형이다. 바닥판(38), 보관컵 몸체(39), 유도 막대(40)로 형성된다(그림 2). 보관컵(27)을 대신하여 보관판 중심부로부터 병마개 측면 몸체(07) 내부면(06)을 향하여 낮게 기우러지는 편편한 수평판(그림 3)을 사용할 수 있다. 도면 7은, 본 발명에 의한 병마개의 몸체 내부면의 전개도이다. 도면 8은, 본 발명에 의한 용기 입구 외부면의 전개도이다. 본 도면의 제반 구조는 출원인의 종전 발명품인 국내 출원번호 10-2014-0102482와 10-2014-0108424의 일부를 응용한 것이다. 도면 9는, 본 발명에 의한 완제품(병마개+ 용기)에 내용물을 충전한 후, 유도판을 제거하기 전의 똑바로 세운 상태에 대한 투영 입체도이다. 내용물이 용기 내부 공간에 위치한 상태이다. 도면 10은, 본 발명에 의한 완제품(병마개+ 용기)에 내용물을 충전한 후, 유도판을 제거하고 똑바로 세운 상태에 대한 투영 입체도이다. 도면11은, 본 발명에 의한 완제품(병마개+ 용기)에 내용물을 충전한 후에 거꾸로 세운 상태를 확대한 투영 단면도이다. 유도판(31)을 제거한 후에, 완제품을 거꾸로 세운 그림이다. 내용물들이 보관컵(30) 하부면에 설치한 유도막대(40)의 인도를 따라 제거된 유도판(31)의 자리인 유도 통로(28)을 통과한 후에 경사를 이루는 차단판 하부 공간 즉 유도 공간(42)에 머무른다. 도면12은, 본 발명에 의한 완제품(병마개+ 용기)에 내용물을 충전한 후에 다시 똑바로 세우기 직전의 상태를 확대한 투영 단면도이다. 도면13은, 본 발명에 의한 완제품(병마개+ 용기)에 내용물을 충전한 후에 다시 똑바로 세운 상태를 분해(마개와 용기)한 투영 입체도이다. 중력에 의해 내용물(15)은 다시 용기 내부 공간으로 내려간다. 내용물 일부는 보관 컵(30)의 저장 공간(16)에 머무른다. 도면14는, 본 발명에 의하여 다양한 형상을 갖는 차단판에 대한 단면도이다. 그림 1은 본 발명의 기본 단면도이다. 경사면을 갖는 차단판(14), 저장 공간(16), 유도 공간 외벽(24)으로 구성된다. 그림 2, 3, 4, 5는 본 발명에 의한 다양한 형상의 그림으로서, 하나 이상의 경사면을 이루는 경사형 차단판(14)과 수직 형인 유도 공간 외벽(24)을 다양하게 조합하여 설치한다. 상기 도면을 근거하여, 실시 예를 설명한다. 다음과 같은 순서로 완제품 내의 내용물(알약)을 꺼내는 방법을 조작한다. 1) 완제품의 덮개(02)를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손잡이를 쥐고 상부 방향으로 개봉한다. 2) 유도판 제거링(32)에 손가락을 끼워 잡아 당겨서 유도판(31)을 제거한다. 3) 병마개(01)가 수직 상부 방향으로 향하고 용기가 밑에 가도록 똑바로 세운다. 4) 상하의 위치가 서로 바뀌도록 180도 회전시켜서 상기 병마개(01)가 밑으로 위치하고 용기(03)가 위로 위치하도록 한다. 5) 다시 상하로 180도 회전 시켜서 상기 용기가 밑으로 위치하고 병마개가 위로 위치하도록 한다. 6) 덮개를 열면 보관컵(30)에 하나 또는 두 알의 내용물(15, 알약)이 보관된다. 상기한 기능은 본 개발 제품인 원터치 캡(일명 듀마-캡, 용기+ 병마개)에만 한정되지 않고 스크류 기능을 병마개 및 용기 입구에 설치한 제품에도 적용한다. 또한 다른 분야인 어떠한 포장 제품 류, 기계류, 각종 시설류 등에도 적용 또는 응용될 수 있다.

Claims (26)

  1. 상부가 개방한 용기의 용기 입구를 통하여 내용물을 충전하고 언더 컷 타입 또는 스크루 타입의 병마개로 결합하여 내용물을 외부 공기와 차단하는 완제품(용기+ 병마개)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순서를 밟아 목적하는 기능(내용물을 용기 밖으로 꺼내는 것)을 구현하는 방법 즉, 1) 병마개가 수직 상부(하늘) 방향을 향하고 용기가 밑(땅 방향)으로 가도록 똑바로 세운다. 2) 병마개와 용기의 위치가 서로 바뀌도록 180도 회전시켜서 상기 병마개가 밑(땅 방향)으로 위치하고 용기가 위(하늘)로 위치하도록 한다. 3) 다시 상하로 180도 회전 시켜서 원래 상태인 용기가 밑으로 위치하고 병마개가 위로 위치하도록 한다. 4) 덮개를 열면 보관컵의 보관 공간에 하나 이상의 내용물(예 : 알약)이 보관되어 지는 구조를 갖는 병마개 및 용기에 관한 모든 것
  2. 청구항 1에 있어서,
    덮개, 힌지, 병마개 측면 몸체로 구성되는 병마개
  3. 청구항 2에 있어서,
    경사면을 구비하는 차단판, 결합판(마개 측면 몸체 상부면과 결합), 결합판 하부면의 원주를 따라 돌출로 설치되는 차단턱, 유도 공간, 유도 공간 외벽, 손잡이, 결합 부위, 차단막(Crab's Claw)으로 구성되는 덮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유도 공간 외벽의 내주면과 수직으로 결합하고 경사면을 구비한 차단판
    유도 공간 외벽의 외주면과 수평으로 결합하는 결합판
    결합판의 하부면 내주면에 요철로 구비되는 차단턱
    덮개의 차단판의 하부와 유도 공간 외벽의 내부에 의하여 형성되는 유도 공간
    다양한 각도의 경사면을 이루는 차단판의 외주면과 내주면으로 결합하는 유도 공간 외벽
    결합판 외부 수직면의 일정 위치에 수평 돌출의 일정 길이로 설치되는 손잡이
  5. 청구항 2에 있어서,
    덮개의 수평판의 측면과 병마개 몸체와 연결하는 힌지
  6. 청구항 2에 있어서,
    차단막(Crab's Claw), 보관판과 측면벽으로 구성되는 병마개 몸체
  7. 청구항 6에 있어서,
    보관컵, 유도판, 유도판 제거 링, 링대, 분리 절취선으로 구성되며, 몸체 측면(07) 벽의 내부면의 원주를 따라 보관판의 외주면이 일체를 이루는 보관판
  8. 청구항 7에 있어서,
    바닥판, 보관컵 몸체, 유도 막대로 구성되며, 병마개 몸체의 내주면과 일체형으로 설치되는 보관컵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부면에 일체형으로 링대 및 유도판 제거 링 구비하는 유도판
  10. 청구항 6에 있어서,
    보관판의 외주면과 일체형으로서 일정 길이를 갖는 중공, 원통형의 병마개 몸체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외부면에 걸림돌기를 하나 이상 구비하고, 내부면에 걸림턱, 나사선, 결합 유도턱, 역회전 저지턱을 돌출형으로 하나 이상 구비하는 것과 하나 이상의 진입홈을 구비하고 상부면에는 원주를 따라 계단식 차단턱을 구비하는 병마개 몸체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정 삼각형의 결합 유도턱을 하나 이상 구비하는 것과 나사선과 나사선 사이에 진입홈을 하나 이상 설치하는 것과 일정 위치에 역회전 저지턱을 각각 돌출형으로 하나 이상 설치하는 병마개 몸체 내부면
  13. 청구항 7에 있어서,
    유도판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분리 절취선(유도판과 일체형을 이루는 경계선 즉, 보관컵과의 경계선 및 몸체 측면 내부면과 경계선에 설치되는 분리 절취선)
  14. 청구항 8에 있어서,
    상부가 개방되고 원통형을 기본으로 하는 보관 컵의 구조를 설명하면, 바닥은 편편한 바닥판으로 설치되고, 바닥판의 하부면과 일체형으로 용기 몸체를 향하여 방사형으로 경사를 이루고 유도판을 향하여 경사각을 갖는 하나 이상의 돌출형 유도 막대와, 바닥판 외주선을 따라 수직 원통으로 형성되는 보관컵 몸체(39)를 갖는 보관컵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일정한 넓이의 편편한 수평판을 보관컵을 대신하여 사용하는 것
  16. 청구항 11에 있어서,
    좌측은 낮고 우측은 높거나, 좌측이 높고 우측이 낮은 사선형이며 돌출형인 나사선
  17. 청구항 1에 있어서,
    걸림턱, 나사선, 결합 유도턱, 역회전 저지턱을 돌출형으로 하나 이상 구비하는 것과 하나 이상의 진입홈을 각각 구비하는 용기 입구 외부면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좌측은 낮고 우측은 높은 사선형이며 돌출형인 나사선과, 역 삼각형의 결합 유도턱을 하나 이상 돌출형으로 구비하는 것과 나사선과 나사선 사이에 진입홈을 하나 이상 설치하는 것과 일정 위치에 역회전 저지턱을 각각 돌출형으로 하나 이상 설치하는 용기 입구 외부면
  19. 청구항7에 있어서,
    분리 절취선을 경계로 하여 유도판과 보관컵이 구분되는 보관판에 있어서, 유도판과 접하는 분리 절취선과 닿은 부위는 바닥판이 높고 몸체 측면 내벽과 일체를 이루는 부위 쪽으로는 경사를 이루며 바닥판이 점점 낮아지는 구조를 갖는 보관컵
  20. 청구항19에 있어서,
    구조가 편편한 수평판으로 설치되거나, 상부가 일부 또는 전부가 개방되고 중공의 원통형으로 설치되는 것을 대표 구조로 하며, 또는 다양한 여러 형상을 갖는 보관컵
  21. 청구항 3에 있어서,
    경사면과 수직면을 혼용하여 설치하고 하부가 개방된 차단판(도면 12 참조)
  22. 청구항 7에 있어서,
    보관컵은 마개의 손잡이와 가깝게 설치하고 유도판은 힌지와 가깝게 설치하는 것과,
    보관컵을 힌지와 가깝게 설치하고 유도판을 마개의 손잡이에 가깝게 위치하도록 설치하는 보관판(다양하게 위치하도록 하는 것)
  23. 청구항 1에 있어서,
    본 특허의 병마개와 결합하는 용기에 있어서, 하부 부위에서 상부 부위로 갈수록 수평 직경의 길이가 점점 짧아지는 몸통을 갖는 용기
  24. 청구항 3에 있어서,
    집합 공간 또는 그 역할을 행하는 공간을 필요한 위치에 다양한 형상으로 설치되는 마개
  25. 병마개 몸체 내부면과 용기 입구 외부면에 나사선을 장착한 일명 스크류 캡에도 적용할 수 있으면, 본 특허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2 피스( 병마개, 용기)가 기본형이지만, 3피스 이상(병마개, 용기, 별도의 부속물,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26. 다음과 같은 순서를 밟아 목적하는 기능(내용물을 용기 밖으로 꺼내는 것)을 구현하는 방법 즉, 1) 병마개가 수직 상부(하늘) 방향을 향하고 용기가 밑(땅 방향)으로 가도록 똑바로 세운다. 2) 병마개와 용기의 위치가 서로 바뀌도록 180도 회전시켜서 상기 병마개가 밑(땅 방향)으로 위치하고 용기가 위(하늘)로 위치하도록 한다. 3) 다시 상하로 180도 회전 시켜서 원래 상태인 용기가 밑으로 위치하고 병마개가 위로 위치하도록 한다. 4) 덮개를 열면 보관컵에 하나 이상의 내용물(예 : 알약)이 보관되어 지는 구조를 갖는 개폐 기구에 관한 모든 것
KR1020140123827A 2014-09-16 2014-09-16 내용물을 한두 알씩 꺼낼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원터치 캡 또는 스크류 캡 KR201600326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3827A KR20160032645A (ko) 2014-09-16 2014-09-16 내용물을 한두 알씩 꺼낼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원터치 캡 또는 스크류 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3827A KR20160032645A (ko) 2014-09-16 2014-09-16 내용물을 한두 알씩 꺼낼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원터치 캡 또는 스크류 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2645A true KR20160032645A (ko) 2016-03-24

Family

ID=55651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3827A KR20160032645A (ko) 2014-09-16 2014-09-16 내용물을 한두 알씩 꺼낼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원터치 캡 또는 스크류 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3264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74587A1 (de) * 2016-04-06 2017-10-12 Slawomir Baranski Spender zur ausgabe eines spendegut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74587A1 (de) * 2016-04-06 2017-10-12 Slawomir Baranski Spender zur ausgabe eines spendegut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40046133A (ko) 용기마개 및 그가 결합된 용기
US20150321804A1 (en) Child-resistant cap and container assembly
JP2015516200A (ja) 異種内容物の混合使用が可能なスポイド型化粧品容器
CN106458352B (zh) 用于柔性容器的配件
JP6619582B2 (ja) 樹脂製の二重蓋式注出具
CN108025840A (zh) 带有盖帽装置的容器闭合件
KR20160032645A (ko) 내용물을 한두 알씩 꺼낼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원터치 캡 또는 스크류 캡
ITTO20120506A1 (it) Cappuccio per un flacone atto alla conservazione di sostanze da mantenersi separate fino alla loro applicazione.
KR20230069071A (ko) 일정량의 알약을 꺼내는 구조를 갖는 병마개
JP6469478B2 (ja) キャップ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US20170121076A1 (en) Medicinal storage-incorporating cover for cups
EP3128868B1 (en) A cap with a closure assembly
FR3070260B1 (fr) Capsule distributrice a disque obturateur eclipsable pour gelules ovales ou comprimes
KR20150000375A (ko) 용기 입구의 구경이 다른 여러 용기를 장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병마개
CN216685584U (zh) 一种快拆塑料药瓶
CN104229289A (zh) 一种容器封盖及用于容纳产品的包装
KR20140011233A (ko) 알약을 일정량 분배하기 위한 보관컵을 장착한 1 피스 기능성 병마개
CN205686776U (zh) 一种小包装化学试剂防挥发容器
CN203801943U (zh) 一种杯子
JP2014008977A (ja) ヒンジキャップ
CN203903078U (zh) 带盖容器
JP3932580B2 (ja) 開封刃を内蔵する注出口栓
CN206156026U (zh) 塑料容器的便携式单手开盖机构
JP6449705B2 (ja) キャップ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CN203372588U (zh) 一种容器封盖及用于容纳产品的包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