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6133A - 용기마개 및 그가 결합된 용기 - Google Patents

용기마개 및 그가 결합된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6133A
KR20240046133A KR1020240040550A KR20240040550A KR20240046133A KR 20240046133 A KR20240046133 A KR 20240046133A KR 1020240040550 A KR1020240040550 A KR 1020240040550A KR 20240040550 A KR20240040550 A KR 20240040550A KR 20240046133 A KR20240046133 A KR 202400461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ntainer closure
contents
cover
closur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40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진희
Original Assignee
안진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진희 filed Critical 안진희
Publication of KR202400461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61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 B65D83/049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the dispensing means forming a part of a removable closure, e.g. gripping teeth, cav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3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pills or tabl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12Containers with closing means, e.g. ca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076Medicament distribu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6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powdered or granular materi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덮개와 몸체로 구성되는 2 피스의 병마개를 용기의 입구에 결합하여 사용하는 완제품에 있어서, 올바로 서있는 이 완제품을 90~180도 거꾸로 뒤집었다가 다시 올바로 세우는 동작 후에 몸체와 나사선으로 결합하고 있는 덮개를 개봉하면 용기 내부공간에 보관 중이던 내용물 중에서 원하는 숫자만큼 보관홈의 보관홈에 머무르게 하는 다양한 구조를 몸체 또는 덮개에 갖는 병마개 관한 모든 것이다.

Description

용기마개 및 그가 결합된 용기 {Bottle cap, and vessel coupled with the same}
본 발명은, 알갱이 형상을 가지는 내용물을 보관하는 용기의 용기입구에 결합되는 용기마개 및 그가 결합된 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는, 용기 내부에 보관 중인 내용물을 용기마개를 열고 꺼내는 경우, 필요량 이상 즉 여러 알을 쏟아 내어 사용하지 않는 일부 내용물들을 다시 용기 내에 넣음으로써, 이용자의 손바닥이나 손가락의 오염 물질이 내용물 표면에 묻혀 들어가 용기 내의 내용물(알약)들이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손바닥이나 손가락에 물기가 묻어 있을 경우에는 이미 꺼낸 내용물에 물기가 묻어 들어감으로써 보관 중인 내용물들이 물기에 의하여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용기마개가 결합된 용기의 단면도이다.
종래의 용기마개(1)는, 내부(56)에 알갱이 형상을 가지는 내용물(73)이 담긴 용기(10)의 용기입구(12)에 결합된다.
그리고 알갱이 형상을 가지는 내용물(73)은, 용기바닥(57)에서부터 쌓여 있게 되며, 사용자는 용기입구(12)로부터 용기마개(1)를 분리하고, 용기입구(12)에 결합된 실링부재(71)를 분리(최초)한 후에 알갱이 형상을 가지는 내용물(73)을 꺼내게 된다.
여기서 용기마개(1)는, 용기입구(12)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부(54)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7)이 내주면에 형성되며, 사용자가 용기마개(1)를 잡고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외주면에 복수의 널(knurl)들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종래의 용기마개는, 용기입구를 단순 개봉함에 따라서 실링부재의 분리, 내용물을 꺼내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손에 의한 오염, 외부 이물질의 유입 등 사용과정에서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이자 출원자가 출원한 한국특허출원 제2014-0123827호, 한국특허출원 제2014-0196112호를 통하여 실링부재의 분리, 내용물을 꺼내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손에 의한 오염, 외부 이물질의 유입 등 사용과정에서 비위생적인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발명자이자 출원자가 출원한 한국특허출원 제2014-0123827호, 한국특허출원 제2014-0196112호에 미비점이 있는바, 이를 개선하고자 네 가지 방법(본 발명의 실시예들 참조)으로 보완한 것으로서, 용기마개(덮개 및 용기마개 몸체)의 구조를 개선하여 상기의 문제점을 우선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용기입구에 결합되어 용기 내부에 보관된 내용물을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개수만큼 꺼낼 수 있는 용기마개 및 그가 결합된 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 알갱이 형상을 가지는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10)의 용기입구(12)와 결합되며 상기 용기(10)에 수용된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구(102)가 형성된 용기마개몸체(100)와; 상기 용기마개몸체(100)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배출구(102)를 통해 배출되는 내용물이 수용되는 하나 이상의 보관홈(302)이 형성된 보관부(300)와; 상기 보관부(300)에서 상기 보관홈(302)에 담긴 내용물 외의 내용물을 상기 용기(10)로 낙하시키는 내용물제거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를 개시한다.
상기 용기마개는, 상기 용기마개몸체(100)와 결합되며 상기 용기(10)가 뒤집어져 상기 보관홈(302)에 내용물이 담긴 후 상기 보관홈(302)을 외부로 개방시키는 덮개(20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내용물제거부(400)는, 상기 용기마개몸체(100) 및 상기 덮개(200)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내용물제거부(400)는, 상기 덮개(200)의 상기 용기마개몸체(100)를 향하는 면에서 상기 용기마개몸체(100)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선형이동 및 회전이동 중 적어도 하나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보관홈(302)을 지나면서 상기 보관홈(302)에 담긴 내용물 외의 내용물을 상기 용기(10)로 낙하시키는 돌출부(40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덮개(200)는, 상기 용기마개몸체(100)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내용물제거부(400)는, 상기 덮개(200) 및 상기 용기마개몸체(100)의 상대회전에 의하여 상기 보관홈(302)을 지나면서 상기 보관홈(302)에 담긴 내용물 외의 내용물을 상기 용기(10)로 낙하시키는 돌출부(40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용물제거부(400)는, 상기 덮개(200)의 저면에서 돌출되며 상기 덮개(2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덮개(200)는, 상기 용기마개몸체(100)와 언더컷 또는 스크류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덮개(200)는, 상기 보관홈(302)에 담긴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보조개구(20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덮개(200)는, 상기 덮개(200)에 대하여 회전이동 및 선형이동 중 적어도 하나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보조개구(202)를 개폐하는 개폐부재(50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돌출부(402)는, 상기 개폐부재(50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500)는, 상기 덮개(200)의 저면과 수평인 상태로 선형이동될 수 있다.
상기 배출구(102)는, 상기 보관부(300)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용기마개몸체(100)는, 상기 용기마개몸체(100)에 대하여 회전이동 및 선형이동 중 적어도 하나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배출구(102)를 개폐하는 개폐부재(50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내용물제거부(400)는, 상기 개폐부재(500) 중 상기 보관부(300)를 향하는 면에서 상기 보관부(300)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선형이동 및 회전이동 중 적어도 하나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보관홈(302)을 지나면서 상기 보관홈(302)에 담긴 내용물 외의 내용물을 상기 용기(10)로 낙하시키는 돌출부(40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알갱이 형상을 가지는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10)의 용기입구(12)와 결합되며 상기 용기(10)에 수용된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구(102)가 형성된 용기마개몸체(100)와; 상기 배출구(102)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용기마개몸체(100)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배출구(102)를 통해 배출되는 내용물이 수용되는 하나 이상의 보관홈(302)이 형성된 보관부(300)와; 상기 용기마개몸체(100)에 대하여 회전이동 및 선형이동 중 적어도 하나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배출구(102)를 개폐하는 개폐부재(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를 개시한다.
상기 개폐부재(500)는, 상기 용기마개몸체(100)의 저면과 수평인 상태로 선형이동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500)는, 상기 용기마개몸체(100)의 저면과 평행한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500)는,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에 의하여 상기 배출구(102)를 개폐하는 개폐부분(520)과; 상기 개폐부분(520)과 반대쪽에 연장되어 상기 개폐부분(520)이 개방될 때 상기 용기의 내부 및 상기 배출구(102)를 차단하는 차단부분(5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관홈(302)은, 하나의 내용물이 담기도록 내용물의 외형의 일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본 신제품의 발명자이자 출원자가 이미 출원한(한국특허출원 제2014-0123827호, 한국특허출원 제2014-0196112호) 두 종류 특허의 발명품의 구조가 갖는 미비점을 네가지 방법(실시예를 참조 바람)으로 보완한 것으로서, 우선 스크루 캡 용기마개(덮개 및 용기마개 몸체)의 구조를 개선하여 상기의 문제점을 우선 해결하고자 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용기마개의 일정 위치에 다양한 형상들의 보관홈(302)을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설치한다.
덮개(200) 차단판(3) 하부면에 일체형으로 내용물제거부(400)를 설치한다.
이 보관홈(302)의 구조는, 내용물인 일정한 알약의 숫자 또는 일정한 분말의 양을 보관할 수 있도록 그 크기와 형태를 조정하여 설치한다.
상기한 크기와 형상은 도면을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 보관홈(302)의 설치 위치는 1) 용기마개 차단판(3)의 하부면과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설치, 2) 용기입구(12) 내부 공간 또는 용기입구(12)의 수직 상부면에 용기마개몸체(100)와 일체형으로 설치, 3) 용기입구(12) 측면의 외부면에 위치토록 하는 세 종류이다.
본 개발제품의 사용 방법은, 상기 보관홈(302)을 구비한 완제품(용기마개 + 용기)을 90도에서 180도 사이의 각도로 뒤집듯이 뉘인 후에 다시 복원하여 용기마개를 여는 방향으로 개봉하면 원하는 수량의 알약이 보관홈(302)에 저장된다.
구체적인 설명은 도시하는 도면들과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의 네 가지 실시 예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마개는, 알약을 용기로부터 원하는 숫자 내지 분량을 꺼내어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조작이 간단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용기마개는, 원하는 숫자 내지 분량 이상의 알약이 외부에 외부에 노출되지 않으므로, 용기에 보관 중인 알약을 청결하게 끝까지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용기마개는, 기존 용기와 동일한 조립 방법으로 결합이 가능하기 때문에, 생산을 위한 추가 시설비용이 요구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용기의 입구에 용기마개를 장착한 기존 제품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용기마개가 용기 입구에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내용물제거부를 구비한 용기마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내용물제거부를 구비한 용기마개를 보여주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보관홈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보관홈의 평면도이다.
도 7a는, 일정량의 내용물 외의 내용물이 보관부에서 제거되기 전의 모습을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7b는, 일정량의 내용물 외의 내용물이 보관부에서 제거된 후의 모습의 모습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8a는, 일정량의 내용물 외의 내용물이 보관부에서 제거되기 전의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면 8b는, 일정량의 내용물 외의 내용물이 보관부에서 제거된 후의 모습의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9a는, 도 8a 및 도 8b에 있는 내용물제거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면 9b는, 도 8a 및 도 8b에 있는 내용물제거부를 보여주는 저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용기마개의 차단판에 힌지결합된 개폐부재를 구비한 용기마개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있는 덮개의 단면도이다.
도면 12a 내지 도 12c는, 본 발명에 의한 용기마개에 있어서, 일정량의 내용물 외의 내용물이 보관부에서 제거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13a 내지 도 13c는, 본 발명에 의한 용기마개에 있어서, 일정량의 내용물 외의 내용물이 보관부에서 제거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14a 내지 도 14e는, 본 발명에 의한 보관부에 구비된 보관홈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보관부에 구비되어 알약을 수용하는 보관홈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하여 제습 케이스를 보관홈의 하부면에 장착한 부분을 보여주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하여 제습 케이스를 보관홈의 하부면에 장착한 부분을 보여주는 확대 저면도이다.
도 18a는, 본 발명에 의하여 단절판과 제거링이 설치된 용기마개몸체와 나사선으로 결합하는 덮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18b는 단절판이 제거된 용기마개몸체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용기마개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마개는, 도 2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갱이 형상을 가지는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10)의 용기입구(12)와 결합되며 상기 용기(10)에 수용된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구(102)가 형성된 용기마개몸체(100)와;
상기 용기마개몸체(100)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배출구(102)를 통해 배출되는 내용물이 수용되는 하나 이상의 보관홈(302)이 형성된 보관부(300)와;
상기 보관부(300)에서 상기 보관홈(302)에 담긴 내용물 외의 내용물을 상기 용기(10)로 낙하시키는 내용물제거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용기마개몸체(100)는,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10)의 용기입구(12)와 결합되는 구성으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여기서 내용물이란, 알갱이 또는 입자 형상을 가지는 다양한 물질이 될 수 있다. 예로서, 상기 내용물은, 껌, 알약(과립)에 해당될 수 있다. 이하, 내용물이 알약인 경우를 예로서 설명하나 본 발명의 범위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기마개몸체(100)는, 용기입구(12)를 복개하는 면에 상기 용기(10)에 수용된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구(10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용기마개몸체(100)는, 스크류결합 또는 언더컷결합을 통해 용기(1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보관부(300)은, 기 설정된 일정량의 알약이 사용자에 의해 외부로 꺼내지기 전에 위치되는 장소를 제공하기 위해 구비되는 구성으로, 상기 용기마개몸체(100)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관부(300)는, 상기 배출구(102)를 통해 배출되는 내용물이 수용되는 하나 이상의 보관홈(302)이 형성되는 구성으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보관부(300)은, 용기마개몸체(100)의 내측에 결합되거나 또는 용기마개몸체(100)의 내측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관부(3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마개몸체(100)의 배출구(102)를 통해 배출된 알약이 위치되기 위해 상면의 보관홈(302)을 제외한 부분이 편평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용기마개는, 상기 용기마개몸체(100)와 결합되며 상기 용기(10)가 뒤집어져 상기 보관홈(302)에 내용물이 담긴 후 상기 보관홈(302)을 외부로 개방시키는 덮개(20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덮개(200)는, 상기 용기마개몸체(100)과 언더컷 또는 스크류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용기(10)를 90ㅀ 내지 180ㅀ의 범위에서 회전시키는 경우, 배출구(102)를 통해 알약이 보관부(300)과 덮개(200) 사이로 이동될 수 있고, 사용자가 다시 용기(10)를 다시 원위치로 되돌리면 알약들이 보관부(300)에 의해 막혀 다시 용기(10) 내부로 이동되지 못하고 보관부(300)의 상면 또는 보관홈(302)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보관홈(302)는, 알약의 모양 및 크기에 따라 다양한 평면형상을 가질 수 있고, 다양한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보관홈(302)은, 하나의 내용물 또는 복수의 내용물이 담기도록 내용물의 외형의 일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보관홈(302)은, 도 15a 내지 도 1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약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져 각각이 하나의 알약을 수용하거나 또는 복수의 알약을 수용할 수 있다.
상기 보관홈(302)는, 보관부(300)과 개별적으로 구성되어 보관부(30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거나 또는 보관부(30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관홈(302)는, 도 14b 내지 도 1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보관홈(302)들 각각은, 하나의 알약만을 수용하도록 형성되거나 또는 복수의 알약들을 수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어, 기설정된 일정량이 알약 3개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보관부(300)은, 각각이 하나의 알약을 수용하는 3개의 보관홈(302)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일정량의 알약을 꺼내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일정량의 알약을 제외한 나머지 알약들을 상기 보관부(300)에서 제거하기 위한 구성이 추가로 요구된다. (예를들어,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일정량의 알약은 3개이나 보관부(300)에 5개의 알약이 위치된 경우)
그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 보관부(300)에서 상기 보관홈(302)에 담긴 알약 외의 알약을 상기 용기(10)로 낙하시키는 내용물제거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용물제거부(400)는, 도 12a 내지 도 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관홈(302)에 수용되지 않은 채로 보관부(300)의 일면에 위치된 알약들을, 빈 보관홈(302)이 있는 경우 알약을 빈 보관홈(302)에 위치시키고, 빈 보관홈(302)이 없는 경우 다시 용기(10) 내부로 낙하시키는 구성으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내용물제거부(400)는, 상기 용기마개몸체(100) 및 상기 덮개(200)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
예로서, 상기 내용물제거부(400)는, 상기 덮개(200)의 상기 용기마개몸체(100)를 향하는 면에서 상기 용기마개몸체(100)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선형이동 및 회전이동 중 적어도 하나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보관홈(302)을 지나면서 상기 보관홈(302)에 담긴 알약 외의 알약을 상기 용기(10)로 낙하시키는 돌출부(402)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덮개(200)는, 상기 용기마개몸체(100)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경우, 상기 내용물제거부(40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덮개(200) 및 상기 용기마개몸체(100)의 상대회전에 의하여 상기 보관홈(302)을 지나면서 상기 보관홈(302)에 담긴 알약 외의 알약을 상기 용기(10)로 낙하시키는 돌출부(40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돌출부(402)는, 덮개(200)의 용기마개몸체(100)를 향하는 면(저면)에서 돌출되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덮개(200)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예로서, 상기 돌출부(402)는, 상기 덮개(200)가 용기마개몸체(100)에 스크류결합된 경우, 사용자가 덮개(200)를 용기마개몸체(100)로부터 탈착하기 위해 덮개(200)를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덮개(200)와 함께 회전되어 상기 보관부(300)의 일면에 상대이동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용기마개는, 상기 덮개(200)에 상기 보관홈(302)에 담긴 알약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보조개구(202)가 형성된 경우, 상기 덮개(200)에 결합되며 상기 덮개(200)에 대하여 회전이동 및 선형이동 중 적어도 하나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보조개구(202)를 개폐하는 개폐부재(50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돌출부(402)는, 도 7a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부재(50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500)는, 상기 덮개(200)의 저면과 수평인 상태로 선형이동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용기마개는, 상기 용기마개몸체(100)의 보관부(300)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출구(102)가 형성된 경우, 용기마개몸체(100)에 결합되며 상기 용기마개몸체(100)에 대하여 회전이동 및 선형이동 중 적어도 하나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배출구(102)를 개폐하는 개폐부재(50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내용물제거부(400)는, 상기 개폐부재(500) 중 상기 보관부(300)를 향하는 면에서 상기 보관부(300)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선형이동 및 회전이동 중 적어도 하나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보관홈(302)을 지나면서 상기 보관홈(302)에 담긴 알약 외의 알약을 상기 용기(10)로 낙하시키는 돌출부(402)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용물제거부(400)는, 용기마개몸체(100)와 독립적인 구성으로 용기마개몸체(100)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상대이동 가능하게 용기마개몸체(100)에 결합되는 슬라이드판(404)과; 슬라이드판(404)의 보관부(300)을 향하는 면에 보관부(300)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40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판(404)은, 용기마개몸체(100)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상대이동하며 배출구(102)를 개폐하는 구성으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슬라이드판(404)은, 상기 용기마개몸체(100)와 상대이동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하여 상대이동 방향에 평행한 측면에 결합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돌기는, 슬라이드판(404)이 용기마개몸체(100)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선형이동되는 경우, 용기마개몸체(100)의 일면에 선형이동방향으로 형성된 결합부분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402)는, 슬라이드판(404)의 보관부(300)을 향하는 면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보관부(300)의 상면(알약이 위치되는 면)에 보관홈(302)에 담긴 알약 외의 알약을 용기(10)로 낙하시키는 구성으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돌출부(402)는, 슬라이드판(404)이 선형이동되는 경우, 상기 선형이동의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에 따른 용기마개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갱이 형상을 가지는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10)의 용기입구(12)와 결합되며 상기 용기(10)에 수용된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구(102)가 형성된 용기마개몸체(100)와; 상기 배출구(102)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용기마개몸체(100)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배출구(102)를 통해 배출되는 내용물이 수용되는 하나 이상의 보관홈(302)이 형성된 보관부(300)와; 상기 용기마개몸체(100)에 대하여 회전이동 및 선형이동 중 적어도 하나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배출구(102)를 개폐하는 개폐부재(50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개폐부재(500)는, 상기 용기마개몸체(100)의 배출구(102)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용기마개용체(100)와 결합되어 상기 용기마개몸체(100)의 저면과 수평인 상태로 선형이동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개폐부재(500)는, 상기 용기마개몸체(100)의 배출구(102)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용기마개용체(100)와 결합되어 상기 용기마개몸체(100)의 저면과 평행한 힌지축(510)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개폐부재(500)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축(510)을 중심으로 한 회전에 의하여 상기 배출구(102)를 개폐하는 개폐부분(520)과; 상기 개폐부분(520)과 반대쪽에 연장되어 상기 개폐부분(520)이 개방될 때 상기 용기의 내부 및 상기 배출구(102)를 차단하는 차단부분(5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500)는, 상기 배출구(102)가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경우, 다각형의 변들 중 하나의 변에 힌지결합되어 힌지결합된 변을 힌지축(510)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차단부분(530)은, 상기 개폐부분(520)과 반대쪽에 연장되어 형성되므로, 상기 개폐부분(520)이 개방될 때 상기 용기의 내부 및 상기 배출구(102)를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차단부분(530)은, 개폐부분(520)이 개방될 때 보관부(300)의 상면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 1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은, 용기의 입구에 스크루 용기마개를 장착한 기존 제품에 대한 단면도이다. 일반화되어 있는 제품으로서, 용기입구(12)에 용기마개를 체결한 기본 완제품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일정량의 알약만을 꺼내 사용할 수 없는 구조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그대로 갖는다.
다음으로,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용기마개가 용기입구(12)에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내부 공간(56)에 알약(73)을 저장한 용기입구(12)에 새롭게 개발한 용기마개(덮개(200) + 용기마개몸체(100))를 체결한 완제품의 단면도이다. 용기마개몸체(100)와 용기입구(12) 외부면은 나사선(33,54) 또는 언더컷으로 결합한다. 용기마개몸체(100)와 덮개(200)는 서로 나사선(7, 33)으로 결합한다. 덮개(200)는 차단판(3)과 측면벽(4)으로 형성된다. 차단판(3)의 하부면(16)에 일체형으로 돌출부(402)를 설치한다. 돌출부(402)의 길이는 차단판 중심부에서 직각 연결부위(9) 까지 이며 막대형으로서 하나 이상 설치된다. 돌출부의 최대 돌출높이(17)는 보관부(300)에 닿아서는 아니 된다. 상기 돌출부(402)의 막대 형상은 기본형이며, 조건에 따라 다양한 모양으로 설치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돌출부를 구비한 용기마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2의 설명을 참조하기 바란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돌출부을 구비한 용기마개를 보여주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돌출부(402)은 덮개(200) 차단판(3)의 하부면(16)에 돌출형으로 하나 이상 설치된다. 돌출 높이(17)는 보관부(300)과 차단판(3) 하부면(16)과의 간격보다 짧게 설치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보관홈(302)의 단면도이다. 용기마개몸체(100) 내벽과 일체형으로 설치된다. 몸체 내경보다 항상 작아야 한다. 보관부(300)과 보관홈(302)으로 구성된다. 하나 이상의 보관홈(302)을 갖는다. 보관홈(302)의 보관부(300)은 수평으로 설치하는 것을 기본형으로 한다. 보관부(300)에는 하나 이상의 보관홈(302)을 갖는다. 보관홈(302)은 상부가 개방되고 중공의 컵형, 원통형이 기본형이다. 보관홈(302)의 직경은 항상 보관부(300) 보다 작아야 한다. 보관홈(302)의 하부면에는 제습제(72)와 같은 제품을 끼워 넣을 수 있는 홈이나 그립형 장치를 구비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보관홈(302)의 평면도이다. 도 5의 설명을 참조하길 바란다.
다음으로, 도 7a 내지 9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7a는, 일정량의 내용물 외의 내용물이 보관부에서 제거되기 전의 모습을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7b는, 일정량의 내용물 외의 내용물이 보관부에서 제거된 후의 모습의 모습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슬라이드판(404)의 크기는 차단판의 원주 크기보다 항상 작아야 한다. 슬라이드판(404)은 슬라이드판 몸체(22), 요철형 결합턱(15), 손잡이(13) 및 펜스벽(24)으로 구성되며, 일면에 돌출부(402)를 구비할 수 있다. 사각형인 슬라이드판(404)의 네변에는 요철형 결합턱(15) 들을 가지며 하부면은 3변에 일정 높이의 벽을 수직으로 구비한다. 슬라이드판 하부면의 세 변 내부의 공간은 비어 있다. 네변 중에서 개폐 방향의 양편에 위치하고 서로 마주보는 두변에는 수직으로 일정 높이의 펜스벽(24)을 갖는다. 상기 팬스벽(24)의 기능은 알약이 보관부(300)으로 진입할 대에 보관부(300)의 양편으로 벗어나지 않도록 펜스 역할을 한다. 제거턱(21)은 몸체 측면벽(4) 방향에 설치되며 그 역할은 슬라이드판(404)을 여는 방향으로 전진시키면, 보관홈(302)에 보관된 알약을 제외한 보관부(300)의 알약들을 용기로 다시 밀어낸다. 나머지 한변은 열려있다. 슬라이드판(404)의 한쪽 끝에는 윗 방향으로 적정 길이의 손잡이(13)가 설치되고 아래 방향으로 적정 높이의 돌출부(404)이 설치된다. 구체적인 것은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한다.
슬라이드판(404)을 원주 중심 방향으로 밀면 덮개(200)의 보조개구(202)가 드러난다. 슬라이드판(404)이 장착되는 차단판(3)의 위치에는 상하가 뚫려 있는 보조개구(202)를 비치한다. 상기 슬라이드판(404)은 보조개구(202)를 완벽하게 커버하는 크기이고, 보조개구(202)의 네변에는 요철형 결합턱(15)을 설치한다. 상기 요철형 결합턱(15)을 슬라이드판(404)의 네 변에도 설치한다. 슬라이드판(404)은 차단판(3)과 분리형이다. 상기의 두 요철형 결합턱(15)들을 결합하는 방법은 요철 구조를 이용한다. 상기 슬라이드판(404)은 보관부(300) 바로 위의 보조개구(202)를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도 8a는, 일정량의 내용물 외의 내용물이 보관부에서 제거되기 전의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면 8b는, 일정량의 내용물 외의 내용물이 보관부에서 제거된 후의 모습의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9a는, 도 8a 및 도 8b에 있는 내용물제거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면 9b는, 도 8a 및 도 8b에 있는 내용물제거부를 보여주는 저면도이다.
슬라이드판(404)은 슬라이드판 몸체(22), 손잡이(13), 돌출부(404)으로 구성된다. 슬라이드판의 한쪽 끝에는 몸체(22) 높이 보다도 윗 방향으로 적정 길이의 손잡이(19)가 설치되고, 몸체 높이 보다도 아래 방향으로 적정 높이의 돌출부(404)이 설치된다.
다음으로,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용기마개의 차단판에 힌지결합된 개폐부재를 구비한 용기마개의 사시도이다.
보조덮개(500)의 크기는 차단판(3)의 원주 크기보다 항상 작아야 한다. 보조덮개(500)가 장착되는 차단판(3)의 위치에는 상하가 뚫려 있는 보조개구(202)를 비치한다. 상기 보조덮개(500)는 보조개구(202)를 완벽하게 커버하는 크기이고, 보조개구(202)의 네변에는 요철형 결합턱(15)을 설치되며 차단판의 네변에 설치된 요철형 결합턱(15)에 의하여 결합한다. 보조덮개(500)의 한변은 힌지(10)에 의하여 차단판(3)과 연결한다.
도 11은, 도 10에 있는 덮개의 단면도이다. 힌지(10)로 연결되는 보조덮개(500)에 대한 설명은 도 10을 참고한다. 보조개구(202) 바로 밑에 보관 공간(23)을 구비한다. 보관 공간(23)의 아래 부분은 수평으로 설치되는 보관부(300)에 의하여 나머지 공간과 구분한다. 보관부(300)은 용기마개몸체(100)의 측면벽(4)의 내부면과 일체형으로 설치한다. 보관부(300)의 넓이는 보조개구(202)의 넓이와 같거나 작아야 한다. 보조덮개(500)의 하부 부위의 일정 위치에 차단벽(510)을 직각의 돌출형으로 설치한다. 차단벽(510)의 높이는 보관부(300) 상부면(41)과 차단판(3)의 하부면(16)과의 간격(높이)보다 짧아야 한다. 차단벽(510)의 위치는 보조덮개(500)로 보조개구(202)를 덮었을 때에 보관부(300) 상부면(41) 내에 머물러야 한다. 보조덮개(500)를 닫을 때에 힌지(10)가 설치된 위치의 아래 부위의 보조덮개(500)의 일부분이 진입할 수 있도록 차단판의 하부면에 진입 공간을 설치한다. 상기 진입 공간의 크기는 접혀 들어 가는 보조덮개(500)보다 넓어야 한다. 보조덮개(500)가 보조개구(202)를 밀봉한다. 보조덮개(500)는 차단판(3) 하부면, 보관부(300) 상부면과 용기마개몸체(100) 내부면에 의하여 보관부(300)이 세면이 막혀 형성된다. 열려 있는 알약 유입구(76)를 통하여 알약은 보관 공간(23)에 유입된다. 보조덮개(500)를 개방하는 즉시 보조덮개(500) 차단벽(510)에 의하여 알약 유입구(76)는 막히게 되고, 보관 공간(23)에 유입되어 있는 알약 들은 보조개구(202)를 통하여 꺼내어 사용한다.
이하, 도 12a 내지 14e를 참조하여, 보관홈(302)에 알약이 수용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면 12a 내지 도 12c는, 본 발명에 의한 용기마개에 있어서, 일정량의 내용물 외의 내용물이 보관부에서 제거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12a는, 돌출부(402) 통과전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돌출부(402)이 보관홈(302)에 아직 못미치고 있다. 도 12b는, 돌출부(402)이 보관홈(302)을 통과 중인 단면도이다. 도 12c는, 돌출부(402)이 보관홈(302)을 통과하면서 보관홈(302)에 들어 있는 알약을 제외하고 보관부(300) 위에 불안정하게 머무르는 알약을 쓸어서 제거하는 단면도이다.
도 13a 내지 도 13c는, 본 발명에 의한 용기마개에 있어서, 보관부(300)에 슬라이드부재가 슬라이딩되기 전부터 슬라이딩된 후까지의 과정을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본 그림들에서는 덮개(200)의 돌출부(402)만을 도시하였다. 도 12a 내지 도 12c의 설명을 참고한다.
도 14a 내지 도 14e는, 본 발명에 의한 보관부(300)에 구비된 보관홈(302)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14a는, 보관홈(302)이 1개인 경우, 도 14b는, 보관홈(302)이 2개인 경우, 도 14c는, 보관홈(302)이 3개인 경우, 도 14d는, 보관홈(302)이 4개인 경우, 도 14e는, 보관홈(302)이 5개인 경우에 대한 도면이다. 보관홈(302)은, 상부가 개방되고 바닥과 측면벽이 막히고 컵형, 중공의 원통형을 기본으로 한다. 보관홈(302)은 몸체 측면벽(32)의 내부면과 일체형으로 설치되며 몸체 내부 원주의 넓이 보다 항상 작게 설치된다. 남는 공간은 알약 유입구(76)가 설치된다. 보관홈(302)의 직경은 보관부(300)의 넓이보다 항상 작게 설치된다.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보관부(300)에 구비되어 알약을 수용하는 보관홈(302)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보관홈(302)은, 1개 이상의 알약을 수용할 수 있다. 도 15a는, 알약을 한알 보관하는 보관홈(302)의 단면도이다. 도 15b는, 알약을 두 개 보관하는 보관홈(302)의 단면도이다. 도 15c는, 알약을 세 개 보관하는 보관홈(302)의 단면도이다. 보관홈(302) 하나에 여러개의 알약을 보관할 수 있도록 홈의 깊이를 임의로 조정이 가능한 상부 개방형 보관홈(302)이다. 보관부(300)에 하나 이상의 보관홈(302)이 설치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하여 제습 케이스를 보관홈(302)의 하부면에 장착한 부분을 보여주는 확대 단면도이다. 보관부(300)의 하부면에 설치한다. 경사면은 배출구(102) 방향으로 높게 경사를 이룬다. 경사면 사이에 제습제를 보관할 수 있는 구조와 공간을 갖는다.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하여 제습 케이스를 보관홈(302)의 하부면에 장착한 부분을 보여주는 확대 저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의하여 단절판(44)과 단절판제거링(45)이 설치된 용기마개몸체(100)와 나사선으로 결합하는 덮개(200)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용기마개몸체(100) 측면의 내부 원주와 일체형으로 보관부(300)과 단절판(44)을 갖는다. 단절판(44)의 상부면에는 단절판제거링(45)이 제거링대(46)에 의하여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단절판(44)의 외주면과 보관홈(302) 및 측면벽 내부면 사이에는 분리홈(47)을 갖는다. 단절판(44)은, 단절판제거링(45)에 의하여 분리홈(47)을 경계로 분리된다. 단절판(44)을 제거한 자리는 배출구(102)가 생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용기마개를 이용하여 일정량의 알약을 보관부(300)에 위치시키는 방법으로서 4가지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실시예1
실시예1은 기본형으로서, 용기마개를 용기입구(12)에 결합하여 사용 방법이다. 용기마개는 덮개(200)와 용기마개몸체(100)로 구성된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실시예1은 다음과 같다.
용기 내부 공간에 알약을 보관한 용기입구(12)의 나사선에 용기마개몸체(100)를 체결하고 이 몸체와 나사선으로 결합한 덮개(200)를 총칭하여 완제품으로 칭한다. 사용 단계는 1) 똑바로 세워진 완제품을 거꾸로 약 90도 ~ 180도 뒤집는다. 2) 다시 올바로 세운다. 3) 덮개(200)를 용기마개몸체(100)로부터 분리한다. 4) 보관홈(302)에 올라와 있는 일정 수량의 알약을 꺼낸다. 5) 덮개(200)를 닫은 후에 완제품을 적정 위치에 보관한다.
본 발명의 기능을 설명하면, 완제품을 뒤집으면 용기 보관 공간(23)에 있던 다수의 알약들이 배출구(102)를 통하여 보관부(300) 위 및 보관홈(302)으로 진입한다. 진입 숫자는 필요량을 상회한다. 보관홈(302)에 저장한 알약을 제외한 다른 알약들을 제거해야 한다. 제거를 위하여 사용하는 구조가 돌출부(402)이다. 덮개(200) 차단판(3)의 하부면에 일체형으로 설치한 돌출부(402)은 덮개(200)를 개봉 하기 위하여 회전할 때에 함께 회전하면서 보관부(300) 위에 저장된 알약들을 쓸어 내어 배출구(102)를 통하여 용기의 내부공간(56)으로 돌려 보낸다. 덮개(200)를 개봉하면, 결국 보관홈(302)에는 필요한 알약만이 남게된다. 이를 꺼내어 사용한다.
실시예2
실시예2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관홈(302)에 올라온 알약을 덮개(200)의 차단판(3)에 설치한 보조덮개(500)의 개폐와 보조개구(202)를 통하여 꺼내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용 단계는 1) 똑바로 세워진 완제품을 거꾸로 약 90도 ~ 180도 뒤집는다. 2) 다시 올바로 세운다. 3) 보조덮개(500)를 개봉한다. 이때에 차단벽(510)이 알약 유입구(76)를 차단한다. 4) 보조개구(202)를 통하여 보관홈(302)에 저장 중인 알약을 꺼낸다. 5) 덮개(200)를 닫은 후에 완제품을 적정 위치에 보관한다.
본 발명의 기능을 설명하면, 완제품을 뒤집으면 용기 보관 공간(23)에 있던 다수의 알약들이 배출구(102)를 통하여 보관부(300)으로 진입한다. 원하는 숫자만을 진입 시키려면 알약의 크기에 맞추어 보관 공간을 설정해야 한다.
실시예3
실시예3은, 도 7a 내지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관홈(302)에 올라온 알약을 덮개(200)와 결합한 슬라이드판(404)의 개폐와 제 2 배출구를 통하여 꺼내는 구조를 말한다. 사용 단계는 1) 똑바로 세워진 완제품을 거꾸로 약 90도 ~ 180도 뒤집는다. 2) 다시 올바로 세운다. 3) 슬라이드판(404)을 밀어서 제 2 배출구를 개봉한다. 4) 보관부(300)의 보관 공간에 보관된 적정 알약을 꺼낸다. 5) 슬라이드판(404)을 닫은 후에 완제품을 적정 위치에 보관한다.
실시예4
실시예4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절판(44)과 보관부(300)이 설치된 용기마개몸체(100)가 나사선에 의하여 덮개(200)와 결합된 용기마개의 실시 예이다.
사용 단계는 1) 덮개(200)를 용기마개몸체(100)로부터 개봉한다. 2) 단절판 제거링(45)을 이용하여 단절판(44)을 제거하면 제거된 자리는 배출구(102)가 생성된다. 3) 덮개(200)를 닫는다. 4) 똑바로 세워진 완제품을 거꾸로 약 90도 ~ 180도 뒤집는다. 6) 다시 올바로 세운다. 7) 덮개(200)를 연다. 8) 보관홈(302)에 올라온 내용물을 꺼낸다. 9) 덮개(200)를 닫는다. 두 번째 사용 때부터는 4)항부터 9)항 까지 만을 사용한다.
상기한 기능은 본 발명의 용기마개몸체(100)의 측벽 내부면과 용기입구(12)의 외부면에 스크류(나사)를 설치한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원터치 캡(일명 듀마-캡, 용기+용기마개) 제품에도 일부 또는 전부를 응용하여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고안한 내용은, 다른 분야인 어떠한 포장 제품 류, 기계류, 각종 시설류, 등의 일부 또는 전부에 응용될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01: 용기마개
10: 용기 12: 용기입구
04 : 측면 벽 6 : 차단막(Crab's Claw)
07, 33, 54 : 나사선 08 : 걸림 돌기(Knurl)
09 : 직각 연결 부위
13 : 손잡이
15 : 요철형 결합턱 16 : 차단판 하부면
17 : 돌출부 돌출높이
19 : 손잡이
22 : 슬라이드판 몸체 23 : 보관 공간
24 : 펜스벽
32 : 병마개몸체 하단 측면벽
41 : 보관부 상부면
43 : 상단 측면벽 44 : 단절판
45 : 단절판 제거링 46 : 제거 링대
47 : 분리 홈 52 : 용기 몸체
55 : 허리부위 56 : 내부 공간
57 : 용기 바닥 58 : 걸림턱
71 : 실링 부재
72 : 제습제 73, 77 : 알약
74 : ⇒ ; 알약 이동 경로
75 : 보관 공간 높이 76 : 알약 유입구
77 : 남은 알약 100: 병마개몸체
102: 배출구 200: 덮개
202: 보조개구 300 : 보관부
303 : 보관홈 400 : 내용물제거부
402 : 돌출부 404 : 슬라이드판
500 : 개폐부재 510 : 힌지축

Claims (14)

  1. 알갱이 형상을 가지는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10)의 용기입구(12)와 결합되며 상기 용기(10)에 수용된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구(102)가 형성된 용기마개몸체(100)와;
    상기 용기마개몸체(100)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배출구(102)를 통해 배출되는 내용물이 수용되는 하나 이상의 보관홈(302)이 형성된 보관부(300)와;
    상기 보관부(300)에서 상기 보관홈(302)에 담긴 내용물 외의 내용물을 상기 용기(10)로 낙하시키는 내용물제거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기마개몸체(100)와 결합되며 상기 용기(10)가 뒤집어져 상기 보관홈(302)에 내용물이 담긴 후 상기 보관홈(302)을 외부로 개방시키는 덮개(200)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내용물제거부(400)는, 상기 용기마개몸체(100) 및 상기 덮개(200)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제거부(400)는,
    상기 덮개(200)의 상기 용기마개몸체(100)를 향하는 면에서 상기 용기마개몸체(100)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선형이동 및 회전이동 중 적어도 하나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보관홈(302)을 지나면서 상기 보관홈(302)에 담긴 내용물 외의 내용물을 상기 용기(10)로 낙하시키는 돌출부(40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덮개(200)는, 상기 용기마개몸체(100)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돌출부(402)는, 상기 덮개(200) 및 상기 용기마개몸체(100)의 상대회전에 의하여 상기 보관홈(302)을 지나면서 상기 보관홈(302)에 담긴 내용물 외의 내용물을 상기 용기(10)로 낙하시키는 돌출부(40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5.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제거부(400)는, 상기 덮개(200)의 저면에서 돌출되며 상기 덮개(200)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6.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덮개(200)는, 상기 용기마개몸체(100)와 언더컷 또는 스크류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덮개(200)는, 상기 보관홈(302)에 담긴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보조개구(202)가 형성되고,
    상기 덮개(200)는, 상기 덮개(200)에 대하여 회전이동 및 선형이동 중 적어도 하나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보조개구(202)를 개폐하는 개폐부재(500)가 결합되며,
    상기 돌출부(402)는, 상기 개폐부재(500)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500)는, 상기 덮개(200)의 저면과 수평인 상태로 선형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102)는, 상기 보관부(300)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용기마개몸체(100)는, 상기 용기마개몸체(100)에 대하여 회전이동 및 선형이동 중 적어도 하나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배출구(102)를 개폐하는 개폐부재(500)가 결합되며,
    상기 내용물제거부(400)는,
    상기 개폐부재(500) 중 상기 보관부(300)를 향하는 면에서 상기 보관부(300)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선형이동 및 회전이동 중 적어도 하나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보관홈(302)을 지나면서 상기 보관홈(302)에 담긴 내용물 외의 내용물을 상기 용기(10)로 낙하시키는 돌출부(40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10. 알갱이 형상을 가지는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10)의 용기입구(12)와 결합되며 상기 용기(10)에 수용된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구(102)가 형성된 용기마개몸체(100)와;
    상기 배출구(102)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용기마개몸체(100)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배출구(102)를 통해 배출되는 내용물이 수용되는 하나 이상의 보관홈(302)이 형성된 보관부(300)와;
    상기 용기마개몸체(100)에 대하여 회전이동 및 선형이동 중 적어도 하나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배출구(102)를 개폐하는 개폐부재(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500)는, 상기 용기마개몸체(100)의 저면과 수평인 상태로 선형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500)는, 상기 용기마개몸체(100)의 저면과 평행한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500)는,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에 의하여 상기 배출구(102)를 개폐하는 개폐부분(520)과;
    상기 개폐부분(520)과 반대쪽에 연장되어 상기 개폐부분(520)이 개방될 때 상기 용기의 내부 및 상기 배출구(102)를 차단하는 차단부분(5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1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청구항 7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보관홈(302)은, 하나의 내용물이 담기도록 내용물의 외형의 일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KR1020240040550A 2015-07-13 2024-03-25 용기마개 및 그가 결합된 용기 KR2024004613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0457 2015-07-13
KR1020150100457 2015-07-13
KR1020160088757A KR20170008189A (ko) 2015-07-13 2016-07-13 용기마개 및 그가 결합된 용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8757A Division KR20170008189A (ko) 2015-07-13 2016-07-13 용기마개 및 그가 결합된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6133A true KR20240046133A (ko) 2024-04-08

Family

ID=5775795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8757A KR20170008189A (ko) 2015-07-13 2016-07-13 용기마개 및 그가 결합된 용기
KR1020240040550A KR20240046133A (ko) 2015-07-13 2024-03-25 용기마개 및 그가 결합된 용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8757A KR20170008189A (ko) 2015-07-13 2016-07-13 용기마개 및 그가 결합된 용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80282053A1 (ko)
KR (2) KR20170008189A (ko)
CN (1) CN108135773A (ko)
WO (1) WO20170108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40008A (zh) * 2017-06-16 2018-03-27 台州普雷斯医药包装有限公司 能定量倒出颗粒物或粉末物的存储瓶
AU2018416635B2 (en) * 2018-03-27 2022-01-20 Gc Corporation Container for dental material
CN108910276B (zh) * 2018-07-17 2019-12-24 中北大学 一种组合多用药瓶
JP7266280B2 (ja) * 2018-12-17 2023-04-28 伸晃化学株式会社 計量キャップ
CN111891571B (zh) * 2020-07-15 2022-03-08 李德龙 一种药粒定量取出瓶盖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62190A (en) * 1958-04-21 1960-11-29 Horland Richard Pill dispensing unit
US5850944A (en) * 1992-11-19 1998-12-22 Edward S. Robbins, III Measuring cap with pivoting dispenser
CN2303793Y (zh) * 1997-01-24 1999-01-13 元济敦 安全液体容器塞子
JP3808195B2 (ja) * 1997-12-26 2006-08-09 株式会社吉野工業所 錠剤容器
US7100797B2 (en) * 2003-07-09 2006-09-05 Talisman Technologies, Llc One dose at-a-time pill dispenser and container having same
JP4846454B2 (ja) * 2006-05-30 2011-12-28 株式会社吉野工業所 錠剤容器
KR20100101025A (ko) * 2009-03-03 2010-09-16 임효빈 용기 마개
EP2700589A4 (en) * 2011-04-18 2014-10-01 Seong-Jae Lee DEVICE FOR RECEIVING HETEROUS SUBSTANCES
MX345491B (es) * 2011-06-21 2017-02-01 Riwisa Ag Cierre rellenable que comprende un botón pulsador de disparo.
KR102063542B1 (ko) * 2012-05-11 2020-01-09 필립스-메디사이즈 에이/에스 분배 장치
KR20140019715A (ko) * 2012-08-07 2014-02-17 안진희 알약의 일정량을 배출하기 위한 보관컵과 보관 공간을 장착한 1 피스 기능성 병마개
KR20140085029A (ko) * 2012-12-27 2014-07-07 김종훈 용기뚜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135773A (zh) 2018-06-08
KR20170008189A (ko) 2017-01-23
US20180282053A1 (en) 2018-10-04
WO2017010809A1 (ko) 2017-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40046133A (ko) 용기마개 및 그가 결합된 용기
EP0531394B1 (en) Dispensing container for tablets
US20150321804A1 (en) Child-resistant cap and container assembly
US5535908A (en) Receptacle combination for milk powder
EP3040289B1 (en) Content receiving device, opening/closing mechanism, and packaging container comprising same
US10562696B2 (en) Container for storing and individually discharging capsules
KR20120058706A (ko) 이종물질 배출장치
US20050263430A1 (en) Container for effervescent tablets
KR20110119143A (ko) 재사용 가능한 이종물질 혼합용 용기
KR20230069071A (ko) 일정량의 알약을 꺼내는 구조를 갖는 병마개
KR200439902Y1 (ko) 분말 세제 배출 장치
WO2011110752A1 (fr) Distributeur de comprimes
KR20170054129A (ko) 용기뚜껑에 돌출리브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FR2967657A1 (fr) Distributeur unitaire de capsules de beaute
FR3070260B1 (fr) Capsule distributrice a disque obturateur eclipsable pour gelules ovales ou comprimes
KR20160032645A (ko) 내용물을 한두 알씩 꺼낼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원터치 캡 또는 스크류 캡
AU2015246004B2 (en) A cap with a closure assembly
KR20200052193A (ko) 스푼이 필요 없는 특수 기능 용기 마개 구조
KR101908285B1 (ko) 캡슐형 내용물이 낱개로 배출되는 포장용기
JP6473006B2 (ja) 錠剤取出用具
KR101635471B1 (ko) 이종물질을 수용한 배출장치
KR200481151Y1 (ko) 껌 수납용기
KR20140011233A (ko) 알약을 일정량 분배하기 위한 보관컵을 장착한 1 피스 기능성 병마개
KR20160082221A (ko) 용기에서 알약을 한두 알씩 꺼낼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한 원터치 캡 또는 스크류 캡
JP2591275Y2 (ja) 2種剤混合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