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9715A - 알약의 일정량을 배출하기 위한 보관컵과 보관 공간을 장착한 1 피스 기능성 병마개 - Google Patents

알약의 일정량을 배출하기 위한 보관컵과 보관 공간을 장착한 1 피스 기능성 병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9715A
KR20140019715A KR1020120087230A KR20120087230A KR20140019715A KR 20140019715 A KR20140019715 A KR 20140019715A KR 1020120087230 A KR1020120087230 A KR 1020120087230A KR 20120087230 A KR20120087230 A KR 20120087230A KR 20140019715 A KR20140019715 A KR 201400197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plate
container
cover
cont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7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진희
Original Assignee
안진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진희 filed Critical 안진희
Priority to KR1020120087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19715A/ko
Publication of KR20140019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97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B65D51/20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병마개의 일부인 덮개의 하부면(81)에 보관 공간(72)을 구비하고, 덮개(70)와 힌지(27)로 연결한 병마개 몸체(11)의 차단판(35)에 보관컵(41) 또는 보관판(40)을 설치한 기능성 병마개이다. 본 병마개를 용기 입구(02)에 결합하여, 거꾸로 뒤집은 후에 다시 똑바로 세우는 동작을 통하여 용기에 보관 중인 내용물(07)의 일부를 병마개 몸체(11)에 설치한 중공의 접시형 보관컵(41) 또는 평평한 보관판(40)에 저장하도록 보관컵 또는 보관판 상부면(45)과 덮개 하부면(81) 사이에 일정한 높이와 체적을 확보한 보관 공간(72)을 갖도록 독특한 구조를 갖는 새로운 기능의 병마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알약의 일정량을 배출하기 위한 보관컵과 보관 공간을 장착한 1 피스 기능성 병마개 {1 piece closure with storage cup and storage space}
본 발명은, 용기 내부 공간(06)에 보관 중인 내용물(07)의 한두알을 새로운 병마개의 기능을 이용하여 용기(01) 밖으로 수월하게 꺼낼 수 있도록 새로운 구조와 기능을 갖는 보관 컵(41)과 보관 공간(72)이 설치된 1피스의 새로운 병마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배경 기술은 본 발명자가 이미 출원한 "10-2012-0063135의 청구항 17항 및 10-2012- 0078696" 의 발명 특허의 청구항 들을 보완한 특허이다. 시중에 유통 중인 기존 제품은, 용기(01)에 보관 중인 내용물(07)을 꺼낼 때에 덮개(11)를 개봉한 후에 용기 입구를 뒤집어 나오는 수량을 부정확하게 꺼내는 불편한 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병마개 내부에 상기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병마개 몸체의 일부인 차단판 (35)에 중공의 접시형 보관컵(41) 또는 평평한 보관판 (40)을 설치한다. 또한 차단판 상부면(34)과 덮개 하부면(81) 사이의 높이와 체적이 내용물(07)을 보관할 수 있도록 내용물의 크기에 따라 일정 간격을 갖도록 하는 새로운 기술 및 발명품에 관한 것이다.
용기의 내부 공간(06)에 내용물(07)을 보관하는 기존 제품(용기 + 병마개)에 있어서, 내용물(07)을 용기 밖으로 꺼내기 위하여 병마개(10)를 개봉한 후에 용기입구 (02)를 아래 방향으로 뒤집으면, 사용자가 원하는 양보다 많은 내용물(07)이 용기 입구(02)를 통하여 손바닥으로 쏟아져 나오는 불편한 점이 있다.
따라서, 내용물(07)을 꺼낼 시에 사용자가 원하는 수량만큼의 내용물(알약)을 꺼낼 수 있는 구조 및 기능을 갖는 새로운 병마개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새롭게 창안한 방법으로서, 병마개 몸체(11)의 차단판(35)에 상하로 개방된 내용물 유출입 통로(23)를 확보한다. 내용물을 보관할 수 있는 중공의 접시형 보관컵(41) 또는 평평한 보관판(40)을 차단판(35)에 설치한다. 차단판 상부면(34)과 덮개 하부면(81) 사이의 높이가 내용물(07)을 보관할 수 있도록 내용물의 크기에 따라 일정 간격(내용물의 낱개의 크기보다 큰)을 갖는 보관 공간(72)을 확보하는 새로운 병마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발명 효과가 있다.
1. 원하는 수량만큼만 용기에서 꺼내어 이용할 수 있기에 편리하다.
2. 꺼낸 후에 손바닥에 닿은 남은 알약을 용기 내에 다시 넣을 필요가 없기 위생적이다.
3. 기존 용기보다 내용물(알약)의 공기 노출이 많지 않아 내용물 보관이 장기적으로 유리하다.
도 1은, 기존 제품의 대표 단면도이다.
도 2는, 기존 제품의 덮개를 연 상태의 제거링을 제거하기 전 평면도이다.
도 3은, 기존 제품의 덮개를 연 상태의 제거링을 제거한 후의 평면도이다.
도 4는, 기존 제품의 보관 공간이 확보되지 않은 상태(h)의 단면도이다.
도 5는, 기존 병마개 몸체의 차단판에 있어서 제거링을 이용하여 분리 부위를 개봉하기 전의 유출입 통로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6은, 기존 병마개 몸체의 차단판에 있어서 제거링을 이용하여 분리 부위를 개봉한 후의 유출입 통로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보관 공간이 확보된 상태(H)의 대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덮개와 차단판 간의 보관 공간의 확보를 위한 덮개 상부면의 다양한 형상들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보관컵 또는 보관판의 보관 기능을 위하여 용기 입구 내부 공간의 다양한 위치에 설치된 단면도이다.
도10은, 하부면에 유도 막대를 설치한 보관컵 또는 보관판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11은, 하부면에 유도 막대를 설치한 보관컵 또는 보관판에 대한 저면 확대도이다.
도12는, 몸체의 상부면에 별도의 작은 덮개를 가지는 덮개의 평면도이다.
도13은, 몸체의 상부면에 별도의 작은 덮개를 가지는 덮개의 단면도이다.
도14는, 분리 부위가 차단판 중앙에 위치한 평면도이다.
도15는, 분리 부위가 차단판 중앙에 위치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용기 부문
01 : 용기, 02 : 용기 입구,
03 : 용기 입구 내벽, 04 : 용기 입구 내부 공간,
05 : 걸림턱(용기), 06 : 내부 공간(용기)
07 : 내용물(알약) 08 : 용기 입구 상부면
09 : 용기 내부 경사면 10 : 용기 입구 외벽
몸체 부문
11 : 몸체(병마개) 12 : 유출입 통로(내용물)
13 : 몸체 상부면 14 : 측면 벽
16 : 나사선(몸체), 19 : 손잡이 턱
20 : 분리 부위 21 : 분리 선
23 : 유출입 통로 24 : 걸림턱(언더 컷)
27 : 힌지 30 : 몸체 내벽
31 : 몸체 외벽 34 : 차단판 상부면
35 : 차단판 36 : 제거링(차단판)
37 : 연결 벨트(제거링) 38 : 분리 홈(차단판)
보관컵(보관판) 부문
40 : 보관판 41 : 보관컵,
42 : 보관 공간(보관컵 내), 43 : 보관컵 측면 벽,
44 : 보관컵 바닥, 45 : 보관컵 측벽 상부면,
46 : 몸체(보관컵) 47 : 연결대(보관컵)
48 : 보관컵 하부면 49 : 보관판 하부면
50 : 유도 막대 51 : T(내용물의 크기)
52 : h(기존 병마개의 차단판 상부면 과 덮개 하부면의 간격)
53 : H(신제품 병마개의 차단판 상부면과 덮개 하부면 간의 간격)
덮개 부문
70 : 덮개 71 : 덮개 몸체
72 : 보관 공간 (덮개) 73 : 경사판
74 : 공기 차단막(Crab's Claw) 75 : 상부면(덮개)
76 : 측면 벽 78 : 보관 공간 측면(덮개)
79 : 손잡이 80 : 보관 공간 상부면(덮개)
81 ; 덮개 하부면 82 : 작은 덮개
83 : 덮개 유출구 84 : 상부면(작은 덮개)
85 : 걸림턱(덮개)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보다 더 상세하게 이해하기 위하여 도면을 통하여 아래와 같이 설명한다.
도 1은, 기존 제품의 대표 단면도이다. 병마개는 몸체(11)와 덮개(70)가 힌지(27)에 의하여 일체형으로 결합한다. 몸체 내벽(30)에는 원주를 따라 일체형으로 차단판(35)이 설치된다. 차단판(35)은 제거링(36), 연결 벨트(37), 분리홈(38)으로 형성된다. 몸체 외벽(31)에는 용기 입구(02)의 외벽(10)에 설치된 걸림턱(15)과 결합하기 위한 걸림턱(24)이 설치된다. 덮개(70)는 힌지(27)에 의하여 병마개 몸체(11)와 연결된다. 덮개(70)는 몸체(11), 상부면(75), 측면 벽(76), 손잡이(79), 공기 차단막-Crab's Claw(74)으로 구성된다, 도 2는, 기존 제품의 덮개(70)를 연 상태의 제거링(36)을 제거하기 전 평면도이다. 용기 내부와 외부를 차단하는 차단판(35)은 차단판을 제거하여 유출입 통로(23)를 개통할 제거링(36)과 제거링(36)과 차단판(35)을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 벨트(37)와 차단판(35)을 몸체(11)로부터 쉽게 분리되도록 하는 분리홈(38)으로 구성된다. 도 3은, 기존 제품의 덮개(70)를 연 상태에서 제거링(36)을 제거한 후의 평면도이다. 제거링(36)을 손가락으로 끼워서 잡아당기면 분리부위(20)는 차단판(35)으로부터 분리되며 분리된 자리에는 유출입 통로(23)가 생긴다. 유출입 통로(23)의 역할은 용기 내부 공간(06)의 내용물(07)이 용기(01) 밖으로 나가는 통로이다. 도 4는, 기존 제품의 보관 공간이 확보되지 않은 상태(h)의 단면도이다. 차단판(35)과 덮개 하부면(81) 사이의 간격을 'h'로 설명한다. 기존 제품은 차단판 상부면(34)과 덮개의 하부면(81) 사이에 공간(h)가 거의 확보되지 않는다. 따라서, 덮개를 개봉하지 않고 용기를 거꾸로 뒤집으면 차단판 상부면(34)과 덮개의 하부면(81) 사이에 내용물(07)이 보관될 공간이 확보되지 않아서 유출입 통로(23)를 통과한 내용물(07)이 덮개(70)를 열지 않는 한 덮개의 하부면(81)과 차단판 상부면(34) 사이의 공간에 머무를 수가 없다. 기존 공간(h)의 높이는 내용물(07)의 크기에 비하여 매우 낮다. 도 5는, 기존 병마개 몸체의 차단판에 있어서 제거링을 이용하여 분리 부위를 개봉하기 전의 유출입 통로에 대한 평면도이다. 5-1도는 내용물이 알약인 경우에 사용하는 병마개 몸체(11)의 차단판(35)에 대한 개봉전의 평면도이다. 5-2도는 내용물이 용액(간장)인 경우에 사용하는 병마개 몸체(11)의 차단판(35)에 대한 개봉전의 평면도이다. 기존 차단판(35)은 사용 전에는 단지 용기 내부와 외부를 차단하였다가 분리부위(20)가 제거 된 후에는 단지 내용물을 용기 밖으로 내보내는 기능만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보관컵(40) 또는 보관판(41)은 설치되어 있지 않고, 제거링(36), 연결 벨트(37), 분리홈(38), 분리 부위(20)만으로 구성된다. 유출입 통로(23)는 다양한 형상으로 설치되고 있다. 여기에서는 대표적인 디자인 몇 가지만을 그림(평면도)으로 소개한다. 도 6은, 기존 병마개 몸체(11)의 차단판에 있어서 제거링(36)을 이용하여 분리 부위(20)를 개봉한 후의 유출입 통로(23)에 대한 평면도이다. 5-1도는 내용물이 알약인 경우에 사용하는 병마개 몸체(11)의 차단판(35)에 대한 개봉 후의 평면도이다. 5-2도는 내용물이 용액(간장)인 경우에 사용하는 병마개 몸체(11)의 차단판(35)에 대한 개봉 후의 평면도이다. 제거링(36)에 의한 분리 부위(20)가 제거된 후에는 단지 용기 내의 내용물을 유출입 통로(23)를 통하여 용기(01) 밖으로 내보내는 기능만을 갖는다. 분리 부위(20)가 분리된 후에는 차단판(35)에 분리선(21)만 남게 된다. 여기에서는 대표적인 디자인 몇 가지만을 그림(평면도)으로 소개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보관 공간이 확보된 상태(H)의 대표 단면도이다. 차단판 상부면(34)과 덮개 하부면(81) 사이에는 내용물의 보관이 가능한 보관 공간(72)을 갖는다. 보관 공간(72)을 확보하기 위하여 덮개(70)의 위치를 높이거나 차단판(35)의 위치를 낮추어 보관 공간(72)의 일정 높이를 확보하게 한다. 유출입 통로(23)를 통과한 내용물은 보관 공간(72)에 머무를 수 있다. 보관 공간의 높이와 체적은 내용물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크기(높이 및 체적)로 설치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덮개의 하부면(81)과 차단판 상부면(34) 간의 보관 공간(72)의 확보를 위한 덮개 상부면(75)의 다양한 형상들의 단면도이다. 내용물을 수월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덮개 상부면(75)은 돔형, 사각형, 타원형 등으로 다양하게 설치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보관컵(41) 또는 보관판(40)의 보관 기능을 위하여 용기 입구 내부 공간(04)의 다양한 위치에 설치된 단면도이다. 용기 입구 상부면(08)의 높이로 설치될 수 있다. 용기 입구 내부면의 하부면 높이에 설치될 수 있다. 용기 입구 상부면(08) 보다 더 높게 설치 될 수도 있다. 본 도면에서는 상기 세 가지 위치에 대하여 대표적으로 도시한다. (9-1)은 보관컵(41)의 설치된 위치가 용기 입구의 상부면(08)의 높이와 비슷하다. (9-2)는 보관컵(41)의 설치된 위치가 용기 입구의 하부면(09)의 높이와 비슷하다. (9-3)은 보관컵의 설치된 위치가 용기 입구의 상부면(08)의 높이보다 높다. 보관컵(41)의 위치에 따라 덮개 하부면(81)의 높이가 달라지며, 특히 내용물(07)의 크기에 맞추어 보관 공간(72)의 높이는 달라진다. 도10은, 하부면(48, 49)에 유도 막대(50)를 설치한 보관컵 또는 보관판에 대한 단면도이다. 용기를 거꾸로 뒤집었을 때에 용기 내부에 있는 내용물이 유출입 통로(23)로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유도 막대(50)를 하나 이상 보관컵의 하부면(48) 또는 보관판의 하부면(49)에 설치한다. 도11은, 하부면(48, 49)에 유도 막대(50)를 설치한 보관컵 또는 보관판에 대한 저면 확대도이다. 용기를 거꾸로 뒤집었을 때에 용기 내부에 있는 내용물이 유출입 통로(23)로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유도 막대(50)를 하나 이상 보관컵의 하부면(48) 또는 보관판의 하부면(49) 설치한다. 도12는, 몸체의 상부면에 별도의 작은 덮개를 가지는 덮개의 평면도이다.
도13은, 몸체의 상부면에 별도의 작은 덮개를 가지는 덮개의 단면도이다. 도12, 13에 있어서, 작은 덮개(82)의 외경은 몸체 상부면(13)의 직경보다 항상 작다. 중공의 접시형 보관컵(41) 또는 평평한 보관판 (40)의 바로 위에 위치한다. 작은 덮개는 작은 덮개의 몸체(11), 측면 벽(14), 손잡이(79), 공기 차단막(74)으로 구성되며 몸체 상부면(13)과 힌지(27)로 연결된다. 힌지는 작은 덮개(82)와 몸체 상부면(13)을 일체형으로 연결한다. 신제품 병마개는 몸체(11), 작은 덮개(82), 한쌍의 힌지(27)로 구성된다. 작은 덮개(82)는 몸체 상부면(13)의 범위 안에서 설치된다. 작은 덮개(82)와 중공의 접시형 보관컵(41) 또는 평평한 보관판 (40)은 수직으로 일직선상에 위치한다. 도14는, 분리 부위가 차단판(35) 중앙에 위치한 평면도이다. (14-1)은 분리 부위가 차단판(35)으로 부터 제거되지 않은 상태의 평면도로서, 차단판(35)의 정 중앙에 위치하는 분리 부위(20)는 제거링(36), 연결벨트(37)와 분리 부위(20)로 구성된다. (14-2)는 분리부위가 제거되고 제거된 자리에 내용물 유출입 통로가 생성된다. 분리되지 않은 도우넛 형 차단판(35)은 보관판(40) 또는 보관컵(41)의 역할을 하게 된다. 도15는, 분리 부위(20)가 차단판(35) 중앙에 위치한 단면도이다. (15-1)은 분리 부위가 차단판(35)으로 부터 제거되지 않은 상태의 단면도로서, 차단판(35)의 정 중앙에 위치하는 분리 부위(20)는 제거링(36), 연결벨트(37)와 분리 부위(20)로 구성된다. (15-2)는 분리부위가 제거되고 제거된 자리에 내용물 유출입 통로(23)가 생성된다. 분리되지 않은 도우넛 형 차단판은 보관판(40) 또는 보관컵(41)의 역할을 하게 된다. 중공의 접시형 보관컵(41) 또는 평평한 보관판 (40)이 설치되는 용기 입구 내의 위치는 다양한 높이에 설치될 수 있고, 유출입 통로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실시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기존 제품은 차단판(35)에 제거링(36)을 설치하고 제거링(36)을 제거하면 유출입 통로(23)가 개통된다. 덮개(70)를 열고 용기(01)를 거꾸로 세워 내용물(07)을 용기 입구(02) 밖으로 꺼내어 사용하는 구조이다. 현재 유통 중인 기존 제품은 제거링(36)을 이용하여 분리 부위(20)를 제거하여 유출입 통로(23)를 개통 시킨 후에 덮개(70)를 병마개 몸체(11)에 닫은 상태에서 용기(01)를 뒤집어도 내용물(07)이 보관될 공간이 덮개 하부면(81)과 차단판 상부면(34) 사이에 확보되지 않아 용기를 똑바로 세우면 모든 내용물은 용기 안으로 다시 내려간다. 그 이유는 내용물(07)이 보관될 수 있도록 차단판 상부면(34)과 덮개 하부면(81) 사이에 보관 공간(72)이 확보되지 않아 내용물(07)이 보관컵(41) 또는 보관판(40)의 상부 공간에 보관될 수 없다. 그러나 신제품은 차단판 상부면(34)과 덮개의 하부면(81) 간의 간격과 체적이 일정 규모 이상으로 확보되어 있어서 용기를 거꾸로 세우면 유출입 통로(23)를 통과한 내용물(07)이 보관컵(41) 또는 보관판(40)에 보관된다. 다시 똑바로 용기를 세우면 보관컵 또는 보관판의 보관 용량을 벗어난 내용물은 유출입 통로(23)를 통하여 용기 내부 공간(06)으로 다시 하강한다. 덮개(70)를 열고 보관컵(4·) 또는 보관판(40)에 보관 중인 내용물을 손가락으로 집어서 꺼낸다. 덮개(70)를 병마개 몸체(11)에 밀착하여 닫아 보관한다. 병마개 몸체(11)와 일체형으로 결합하는 차단판(35)의 구조는 이미 설명한 바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원리는 다른 제품 또는 어떤 기계 설비 등에 다양하게 응용될 수 있다. 특히 덮개(70)와 병마개의 몸체(11)를 일체형으로 연결하는 힌지(27)를 없애고, 나사선(05, 16) 또는 걸림턱(15, 24)을 각각 구비한 덮개(70)와 병마개의 몸체(11)를 서로 분리된 상태로 있다가 상기 두 부품을 나사선(05, 16) 또는 걸림턱(15, 24)을 이용하여 서로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덮개(70)의 보관 공간 측면(78)의 수직 각도와 경사판(73)의 사선으로 형성된 경사 각도는 항상 서로 달라야 하며 그 각도의 차이는 덮개(70)의 보관 공간(72)과 경사판(73)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미 설명하였듯이 덮개의 상부면(75)의 형상은 돔형, 사각형, 타원형, 유선형, 편심 돔형 등과 같이 다양하게 설치될 수 있다.

Claims (23)

  1. 병마개 몸체, 힌지, 덮개, 링 가스켓(실링부재)으로 구성되는 플리스틱 병마개로서,
    용기 입구를 거꾸로 뒤집어 세우면,
    용기 내부에 보관 중인 알약 형상의 고체 타입의 내용물(껌류, 쵸코렛류, 캔디류, 알약, 영양제류)이 차단판에 뚫려 있는 유출입 통로를 통과하여,
    덮개 하부면과 병마개 몸체와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구비되는 중공의 접시형 보관컵(41) 또는 평평한 보관판 (40) 상부면 사이에 확보되어 있는 보관 공간에 머무르다가,
    용기를 똑바로 다시 세우면,
    한두알의 내용물은 차단판에 설치된 중공의 접시형 보관컵(41) 또는 평평한 보관판 (40)에 머무르고,
    나머지 내용물은 용기 내부로 다시 내려오도록 하는 기능과 원리를 갖는 플라스틱 또는 메탈 등으로 제작되는 1 피스 이상의 병마개에 관한 모든 것
  2. 청구항 1에 있어서,
    병마개 몸체와 힌지 대신 나사선 또는 언더컷으로 결합하는 덮개(마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중공의 원통형 보관컵 또는 면이 다양한 보관판을 구비하고, 유출입 통로가 설치되고, 몸체 내부 측면의 원주를 따라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설치된 차단판
  4. 청구항 1에 있어서,
    용기 입구의 상부면과 결합한 덮개의 하부면과 차단판 간에 일정한 높이를 유지토록 하기 위하여, 용기 입구 내부 공간에 적절한 높이를 확보하여 설치되는 차단판(중공의 접시형 보관컵(41) 또는 평평한 보관판 (40) 포함)
  5. 청구항 1에 있어서,
    중공의 접시형 보관컵(41) 또는 평평한 보관판 (40)의 상부면과 덮개 하부면 사이의 높이와 체적이 내용물의 보관이 가능하도록 그 내용물의 크기보다 항상 크도록 설치되는 보관 공간
  6. 청구항 1에 있어서,
    분리 부위가 제거된 후의 차단판의 나머지가 컵형 또는 다양한 형상으로 설치되는 중공의 접시형 보관컵(41) 또는 평평한 보관판 (40)
  7. 청구항 1에 있어서,
    분리 부위가 제거된 후의 차단판의 나머지가 평판을 포함한 다양한 형상으로 설치되는 보관판
  8. 청구항 1에 있어서,
    제거링에 의하여 분리되는 부위, 분리홈, 제거링, 연결 벨트, 보관컵 또는 평평한 보관판을 병마개 몸체와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갖는 차단판
  9. .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유출입 통로와 보관컵 또는 유출입 통로와 평판을 포함한 다양한 형상으로 중공의 접시형 보관컵(41) 또는 평평한 보관판 (40)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중심부에 유출입 통로를 이미 구비하고 유출입 통로의 외경을 따라 도우넛 형상의 평판을 포함한 다양한 형상의 중공의 접시형 보관컵(41) 또는 평평한 보관판 (40)을 갖는 차단판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용기 입구 내부면 또는 용기 입구 상부면에 원주를 따라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설치되는 차단판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원형, 마름모형, 타원형 등의 다양한 형상을 갖는 유출입 통로와 이에 따라 다양한 구조로 몸체 내벽에 형성되는 중공의 접시형 보관컵(41) 또는 평평한 보관판 (40)
  14. 청구항 1에 있어서,
    도우넛형, 반달형, 초생달형 등의 다양한 형상을 병마개 몸체의 내부 벽에 일체형으로 갖는 중공의 접시형 보관컵(41) 또는 평평한 보관판 (40)
  15. 청구항 1에 있어서,
    돔형, 타원형, 사각형 등의 다양한 형상을 갖는 덮개의 하부면 및 상부면
  16. 청구항 1에 있어서,
    하부면에 용기 내부 방향으로 유도 막대를 하나 이상 설치한 중공의 접시형 보관컵(41) 또는 평평한 보관판 (40)
  17. 청구항 1에 있어서,
    분리부위의 일부만을 제거링을 이용하여 차단판에서 분리한 후에 남아 있는 차단판을 이용하여 중공의 접시형 보관컵(41) 또는 평평한 보관판 (40) 기능을 갖도록 하는 차단판
  18. 청구항 1에 있어서,
    차단판, 중공의 접시형 보관컵(41) 또는 평평한 보관판 (40), 유출입 통로, 보관 공간을 갖는 1 피스 이상의 병마개에 있어서, 힌지로 몸체와 연결되는 덮개의 상부면에 작은 덮개를 별도로 갖는 덮개
  19. 청구항 1에 있어서,
    내용물이 자유롭게 통과할 수 있도록 유출입 통로를 차단판의 일정 위치에 원래부터 설치한 차단판
  20. 병마개 몸체, 작은 덮개, 힌지(또는 나사선)로 구성되는 병마개
  21. 차단판, 제거링, 연결 벨트, 분리홈, 분리부위를 갖는 병마개 몸체와 몸체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작은 덮개와 몸체와 연결하는 힌지를 갖는 병마개
  22. 청구항 21에 있어서,
    몸체의 상부면에 설치되고 몸체 상부면의 직경보다 항상 작게 설치되는 작은 덮개
  23. 용기 입구를 거꾸로 뒤집어 세우면, 용기 내부에 보관 중인 고체 타입의 내용물(껌류, 쵸코렛류, 캔디류, 알약, 영양제류)이 차단판에 뚫려 있는 유출입 통로를 통과하여, 덮개 하부면과 병마개 몸체와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구비되는 중공의 접시형 보관컵(41) 또는 평평한 보관판 (40) 상부면 사이에 확보되어 있는 보관 공간에 보관 되다가, 용기를 똑바로 다시 세우면, 한 두알의 내용물은 차단판에 설치된 보관컵 또는 보관판에 머무르고, 나머지 내용물은 용기 내부로 다시 내려오도록 기능과 원리를 갖는 플라스틱 또는 메탈 등으로 제작되는 원리를 갖는 병마개에 관한 모든 것
KR1020120087230A 2012-08-07 2012-08-07 알약의 일정량을 배출하기 위한 보관컵과 보관 공간을 장착한 1 피스 기능성 병마개 KR201400197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7230A KR20140019715A (ko) 2012-08-07 2012-08-07 알약의 일정량을 배출하기 위한 보관컵과 보관 공간을 장착한 1 피스 기능성 병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7230A KR20140019715A (ko) 2012-08-07 2012-08-07 알약의 일정량을 배출하기 위한 보관컵과 보관 공간을 장착한 1 피스 기능성 병마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9715A true KR20140019715A (ko) 2014-02-17

Family

ID=50267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7230A KR20140019715A (ko) 2012-08-07 2012-08-07 알약의 일정량을 배출하기 위한 보관컵과 보관 공간을 장착한 1 피스 기능성 병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1971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10809A1 (ko) * 2015-07-13 2017-01-19 안진희 용기마개 및 그가 결합된 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10809A1 (ko) * 2015-07-13 2017-01-19 안진희 용기마개 및 그가 결합된 용기
CN108135773A (zh) * 2015-07-13 2018-06-08 安珍姬 容器盖及结合此的容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425194T3 (es) Cierre con utensilio
US20140034663A1 (en) Container closure with a spout and a lid
CN102459023B (zh) 防漏饮用杯和用于该防漏饮用杯的隔片
EP1693310A1 (en) Dosing cap
EA031088B1 (ru) Крышка с внутренней полостью
US10421597B2 (en) Pill shelf flip cap closure
ES2725880T3 (es) Cierre con tapa y membrana extraíble
WO2005105612A1 (ja) プラスチック容器
US11414248B2 (en) Dispenser with a membrane for sachets
KR20140019715A (ko) 알약의 일정량을 배출하기 위한 보관컵과 보관 공간을 장착한 1 피스 기능성 병마개
AU2016310593A1 (en) Receptacle and closure system
CN110282272A (zh) 一种活塞式直倒出物容器
KR20130139141A (ko) 알약을 일정량 분배하기 위한 보관컵을 장착한 용기 및 기능성 병마개
JP5517230B1 (ja) 包装容器
US20220234811A1 (en) Container system including lid with improved neck insulation
ES1075136U (es) Envase para contener separados y mezclar dos productos diferentes.
JP7044499B2 (ja) ヒンジキャップ
FR3070260B1 (fr) Capsule distributrice a disque obturateur eclipsable pour gelules ovales ou comprimes
KR20100006436U (ko) 액체 저장 용기
KR100797509B1 (ko) 원터치형 위생 병뚜껑의 결로 배출장치
KR20140011233A (ko) 알약을 일정량 분배하기 위한 보관컵을 장착한 1 피스 기능성 병마개
FR3019152A1 (fr) Distributeur de capsules molles ou de comprimes a sortie inferieure de produit
CN215795784U (zh) 一种即配式饮料瓶
JP3753230B2 (ja) 計量栓付き容器
KR20170008188A (ko) 일정량의 알약을 꺼내는 구조를 갖는 병마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