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7941B1 - 수지조성물 - Google Patents

수지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7941B1
KR100767941B1 KR1020067008607A KR20067008607A KR100767941B1 KR 100767941 B1 KR100767941 B1 KR 100767941B1 KR 1020067008607 A KR1020067008607 A KR 1020067008607A KR 20067008607 A KR20067008607 A KR 20067008607A KR 100767941 B1 KR100767941 B1 KR 1007679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composition
imidazole
composition according
polyol
silan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8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5922A (ko
Inventor
히로노리 고바야시
가쓰유키 쓰치다
마사시 구마가이
Original Assignee
닛코킨조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코킨조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코킨조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859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59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79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79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2805Compounds having only one group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288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one heteroatom other than oxygen or nitrogen
    • C08G18/289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one heteroatom other than oxygen or nitrogen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62Polymers of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08G18/6216Polymers of alpha-beta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or of derivatives thereof
    • C08G18/622Polymers of esters of alpha-beta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 C08G18/6225Polymers of esters of acrylic or methacrylic aci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7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having heteroatoms in addition to th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nitrogen and oxygen or sulfur
    • C08G18/78Nitrogen
    • C08G18/7806Nitrogen containing -N-C=0 groups
    • C08G18/7818Nitrogen containing -N-C=0 groups containing ureum or ureum derivative groups
    • C08G18/7831Nitrogen containing -N-C=0 groups containing ureum or ureum derivative groups containing biuret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5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5/544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C08K5/5477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containing nitrogen in a heterocyclic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5/00Adhesive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75/04Polyuretha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폴리올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에 있어서, 촉매로서 제 3 급 아민화합물을 이용했을 경우의 불쾌한 악취 등의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 또한 이러한 수지의 경화를 촉진하여, 금속, 무기재료 또는 유기재료와의 밀착성을 향상시킨 수지조성물로서 이하의 성분을 필수성분으로서 이루어지는 수지조성물을 제공한다.
(A) 폴리올,
(B) 폴리이소시아네이트,
(C) 이미다졸기를 함유한 실란커플링제.
(단, 상기 조성물중, (B)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중의 이소시아네이트기수와 (A)의 폴리올중의 수산기수의 비(NCO/OH)가 0.6∼4.0이고, 또한 {(A)+(B)}: (C)의 중량비가 100:0.01∼100:10)

Description

수지조성물{RESIN COMPOSITION}
본 발명은, 폴리올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함유하는 수지조성물에 있어서, 수지의 경화를 촉진시키고, 또한 금속, 무기재료 또는 유기재료와의 밀착성을 개선시킨 수지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도료, 접착제, 폼(foams), 엘라스토머의 분야에 이용할 수 있다.
폴리올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은, 일반적으로 우레탄계 도료(2액(two-pack)타입 또는 습기 경화 1액타입), 우레탄계 접착제(2액타입 또는 핫멜트), 우레탄계 폼, 엘라스토머, 실온 경화형 불소계 도료의 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종래 이러한 반응에는, 제 3 급 아민화합물이나 유기 금속화합물을 촉매로서 이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들 촉매는 단독으로 또는 병용하는 것에 의해 공업적으로도 다용되고 있다.
이들 촉매중, 특히 제 3 급 아민화합물은 생산성, 성형성이 뛰어난 것에 의해 폴리우레탄수지 제조용의 제 3 급 아민촉매로서 넓게 이용되고 있다. 한편, 금속계 촉매는 생산성, 성형성이 악화되는 것에 의해, 대부분의 경우 제 3 급 아민촉매와 병용되는 것이 많고, 단독으로의 사용은 적다.
그러나, 상기한 제 3 급 아민촉매는 일반적으로 불쾌한 악취를 갖고, 또한 높은 휘발성을 갖기 때문에 제조공정에서 다양한 문제를 일으킨다.
제 3 급 아민촉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 2003-206329호 공보에는 이미다졸 화합물을 촉매로서 이용하는 것이 개시되고 있다. 이 이미다졸 화합물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는 촉매로서의 효과는 갖지만, 무기재료, 유기재료에의 밀착성에 대해서는 충분히 만족할 만한 것은 아니었다.
또한, 도료의 분야에 있어서는, 도장 작업에 관한 비용의 삭감이나 환경에의 부하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도장막의 수명을 길게 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한 하나의 해결책으로서 도료와 기재의 밀착성의 향상을 들 수 있지만, 현재 상태로서는 반드시 이 요구를 만족한다고는 말할 수 없다.
또한, 접착제의 분야에서도 기재와의 밀착성의 향상에 대한 요구는 해마다 높아지고 있지만, 이러한 분야에 있어서도 현재 상태로서는 반드시 이 요구를 만족한다고는 말할 수 없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폴리올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에 있어서, 촉매로서 제 3 급 아민화합물을 이용했을 경우의 불쾌한 악취 등의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 또한 이러한 수지의 경화를 촉진하고, 금속, 무기재료 또는 유기재료와의 밀착성을 향상시킨 수지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자들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예의 검토를 거듭하였다. 그 결과, 폴리올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시에 이미다졸기를 함유한 실란커플링제를 이용하면, 종래와 같이 불쾌한 악취가 없고, 또한, 수지의 경화가 촉진되어, 금속 등의 기재와의 밀착성이 더 향상되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이하와 같다.
(1) 이하의 성분을 필수성분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수지조성물:
(A) 폴리올,
(B)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C) 이미다졸기를 함유한 실란커플링제.
(단, 상기 조성물중, (B)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중의 이소시아네이트기수와 (A)의 폴리올중의 수산기수의 비(NCO/OH)가 0.6∼4.0이고, 또한 {(A)+(B)}: (C)의 중량비가 100:0.01∼100:10으로 한다.)
(2) 상기 (A)폴리올이, 폴리에스테르폴리올, 아크릴폴리올, 폴리에테르폴리올, 또는 플루오로에틸렌 함유 폴리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에 기재된 수지조성물.
(3) 상기 (B)폴리이소시아네이트가,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TDI), 디페닐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MDI), 디페닐메탄-2,4'-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HDI), 비스(4-이소시아네이토시클로헥실)메탄(H12MDI),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IPDI) 또는 이들을 올리고머화한 유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수지조성물.
(4) 상기 (C) 이미다졸기를 함유한 실란커플링제가, 분자중에 히드록실기를 갖는 것, 또는 그 유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3)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지조성물.
(5) 상기 (C) 이미다졸기를 함유한 실란커플링제가, 이미다졸 화합물과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의 반응에 의해 얻어진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4)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지조성물.
(6) 상기 (1)∼(5)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지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한 우레탄계 도료.
(7) 상기 (1)∼(5)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지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한 불소계 도료.
(8) 상기 (1)∼(5)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지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한 우레탄계 접착제.
(9) 상기 (1)∼(5)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지조성물을 유효 성분으로 한 우레탄 폼.
(10) 상기 (1)∼(5)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지조성물을 유효 성분으로 한 엘라스토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올로서는, 일반적으로 도료나 접착제의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폴리에테르폴리올, 폴리에스테르폴리올, 아크릴폴리올, 또는 불소계 도료로 사용되고 있는 플루오로에틸렌 함유 폴리올, 또는 인함유 폴리올이나 할로겐 함유 폴리올 등의 난연폴리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폴리올은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적당히 혼합하여 병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종래 공지의 것이면 좋고, 예를 들면,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TDI), 디페닐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MDI), 디페닐메탄-2,4'-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HDI), 비스(4-이소시아네이토시클로헥실)메탄(H12MDI),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IPDI) 및 이들의 혼합체를 들 수 있다. 또한, 안전 위생상의 관점으로부터, 상기 디이소시아네이트를 올리고머화한 유도체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유도체는, 예를 들면 TDI의 트리메틸올프로판 애덕트체(adduct)나 TDI의 이소시아누레이트체, MDI의 올리고머, HDI의 비울렛체(biuret), HDI의 이소시아누레이트체, HDI의 우레토디온(uretodion), TDI/HDI 코폴리머, IPDI의 이소시아누레이트체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미다졸기를 함유하는 실란커플링제는, 이미다졸기와 알콕시시릴기가 1분자중에 포함되어 있는 화합물이면 본 발명의 효과를 발휘한다. 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 평성 05-186479, 일본 특허공개 평성 05-039295, 일본 특허공개 평성 09-295992, 일본 특허공개 2000-297094호 공보 등에 기재되어 있는 것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바람직한 것은, 이미다졸 화합물과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과의 반응에 의해 얻어진 화합물, 또는 이미다졸 화합물과 3-메타크릴록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과의 반응에 의해 얻어진 화합물이다. 특히 바람직한 것으로서는, 히드록실기를 분자중에 함유한 이미다졸 화합물과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과의 반응에 의해 얻어진 화합물이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이미다졸기 함유 실란커플링제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나 폴리올과 반응하여, 수지중에 3차원적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경화물의 물성을 향상할 수 있다. 이러한 이미다졸기 함유 실란커플링제 중에서도 분자중에 히드록실기를 갖는 것은, 히드록실기의 부분이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매우 효율적으로 반응하여, 보다 발달한 네트워크 구조를 구축하기 때문에, 기재와의 밀착성의 향상 등이라고 하는 점에서 특별히 뛰어나다고 하는 특징을 갖는다. 또한, 이미다졸기 함유 실란커플링제의 이미다졸기에 포함되는 질소원자가 제 3 급 아민으로서의 성질을 갖기 때문에, 이미다졸 화합물은 수지의 경화에 대해서 촉진작용을 나타낸다. 또한, 휘발성 아민 등을 이용했을 경우에 비해 휘발성이 낮고, 악취 등의 문제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수지조성물의 혼합방법은, 이미다졸실란화합물을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올 중의 어느 한 쪽, 또는 양쪽에 첨가한 후에 양자를 혼합하여 경화시키거나, 또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올과 이미다졸실란화합물을 동시에 혼합하는 것에 의해, 본 발명의 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있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올의 사용비율로서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중의 이소시아네이트기수와 폴리올중의 수산기수와의 비(NCO/OH)가 0.6∼4.0이지만, 각각의 용도에 의해서 그 비율을 바꾸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2액타입의 도료나 접착제의 경우는, 0.8∼1.2의 범위이다. 또한, 습기 경화형 1액타입의 도료나 접착제는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과잉으로 하기 위해, 1.1∼3.0의 범위에서 사용한다. 또한, 연질 폼, 반경질 폼의 제조에서는 일반적으로 0.6∼1.3의 범위이며, 경질 폼 및 우레탄 엘라스토머의 제조에서는 일반적으로 0.6∼4.0의 범위이다. 상기의 범위를 넘어 폴리이소시아네이트가 존재했을 경우에서는, 습기에 의한 경화를 기다리지 않으면 안되어, 본 발명의 특징인 경화 촉진작용을 나타내지 않게 된다. 또한, 폴리올이 과잉으로 존재했을 경우에서는, 경화하지 않게 되어 버린다.
이미다졸기 함유 실란커플링제의 첨가량은, 수지 전체(폴리올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합계)를 100중량부로 하면, 이것에 대해 0.01∼10중량부 첨가하면 좋고, 바람직하게는 0.1∼5중량부이다. 상기의 범위를 큰 폭으로 초과하여 실란커플링제를 첨가했을 경우, 수지의 포트라이프(pot life)에 악영향을 미치는 데다가, 수지의 가격이 고가인 것이 되어 버리기 때문에 본 발명의 의의가 희미해져 버린다. 또한, 0.01중량부 미만의 경우에는 이미다졸기 함유 실란커플링제의 성능이 충분히 발휘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수지조성물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촉매를 병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다른 촉매로서는, 예를 들면, 종래 공지의 유기 금속촉매, 제 3 급 아민류나 제 4 급 암모늄염류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조성물을 우레탄 폼으로서 사용하는 경우는 발포제를 첨가한다. 그 발포제로서는, 물과 저비점 유기화합물이다. 저비점 유기화합물로서는, 탄화수소계, 할로겐화 탄화수소계의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필요하면, 계면활성제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계면활성제로서는, 종래 공지의 유기 실리콘계 계면활성제이며, 그 사용량은, 폴리올 100중량부에 대해서 0.1∼10중량부이다.
그 외, 필요하면, 변성제, 용제, 안료, 소광제(matting agents), 레벨링제, 증점제, 탈포제, 가교제 또는 사슬 연장제, 난연제, 노화방지제, 그 외 공지의 첨가제 등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종류, 첨가량은 공지의 형식과 순서를 일탈하지 않는다면 통상 사용되는 범위에서 충분히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4에 있어서의 도장막중의 이소시아네이트기 잔존율을 FT-IR에 의해 측정한 그래프이다.
다음에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2, 및 비교예 1∼4
이미다졸기 함유 실란커플링제의 경화촉진 작용의 확인
이하의 조성, 순서에 의해 이미다졸기 함유 실란커플링제의 우레탄수지에 대한 경화촉진작용에 대해 평가하였다. 이미다졸기 함유 실란커플링제로서는, 분자내에 히드록실기를 갖는 것{일본 특허공개 평성 05-186479호 공보에 기재된 이미다졸 화합물과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의 반응에 의해 얻어진 화합물(이하, 이미다졸실란 A라고 한다)}(실시예 1)와 히드록실기를 갖지 않는 것(일본 특허공개 2000-297094호 공보에 기재된 이미다졸 화합물과 3-메타크릴록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의 반응에 의해 얻어진 화합물(이하, 이미다졸실란 B라고 한다)}(실시예 2)에 관해서 평가하였다. 또한, 비교예로서 다른 일반적인 실란커플링제(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비교예 1), 종래부터의 촉매인 이미다졸 화합물(2-에틸 -4-메틸이미다졸)(비교예 2)나 제 3 급 아민(트리에틸아민)(비교예 3)이나, 또한 촉매 미첨가의 계(비교예 4)에 대해서도 평가하였다.
수지기본조성
(이소시아네이트기수와 수산기수의 비(NCO/OH)=1.01)
폴리올(스미카 베이어, 데스모펜A 365 BA/X) 76중량부
폴리이소시아네이트(스미카 베이어, 스미듀어 N3200) 24중량부
첨가제(이미다졸실란 A, 또는 이미다졸실란 B, 또는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또는 2-에틸-4-메틸이미다졸, 또는 트리에틸아민) 0.5중량부
상기 수지조성물을 50중량부의 크실렌으로 희석한 후, 스핀코트법에 의해 두께 약 20㎛의 도장막을 아연 도금강판(니폰 테스트패널제 진코트 EGC-C, 아세톤과 헥산에 의해 탈지한 것) 상에 제작하였다. 이 도장막중의 이소시아네이트기 잔존율을 FT-IR에 의해 측정하여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낸다.
이미다졸기 함유 실란커플링제를 가한 계에서는, 통상의 촉매인 트리에틸아민이나 이미다졸화합물과 같이, 촉매를 가하지 않은 계보다 이소시아네이트기의 잔존율이 적어지고 있고, 폴리올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이 촉진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3∼4, 및 비교예 5∼11
이미다졸기 함유 실란커플링제의 기재와의 밀착성 향상에의 기여의 확인
이하의 조성, 순서에 의해 이미다졸실란 화합물이 수지와 기재의 밀착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실시예로서는, 첨가제의 이미다졸실란 화합물로 서 상기 이미다졸실란 A(실시예 3), 및 이미다졸실란 B(실시예 4)에 관해서 평가하였다. 또한, 비교예로서, 다른 일반적인 실란커플링제인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비교예 5),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비교예 6), 3-메르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비교예 7), 종래부터의 촉매인 이미다졸 화합물로서 2-에틸-4-메틸이미다졸(비교예 8)이나 제 3 급 아민인 트리에틸아민(비교예 9)이나 데스모라피드 PP(스미카 베이어제, 제 3 급 아민)(비교예 10), 또한 촉매 미첨가의 계(비교예 11)에 대해서도 평가하였다.
수지기본조성
{이소시아네이트기수와 수산기수의 비(NCO/OH)=1.01}
폴리올(스미카 베이어, 데스모펜A 365 BA/X) 76중량부
폴리이소시아네이트(스미카 베이어, 스미듀어 N3200) 24중량부
첨가제(이미다졸실란 A, 또는 이미다졸실란 B, 또는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또는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또는 3-메르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또는 2-에틸-4-메틸이미다졸, 또는 트리에틸아민, 또는 데스모라피드 PP) 0.5중량부
상기 수지조성물을 50중량부의 크실렌으로 희석한 후, 스핀코트법에 의해 두께 약 20㎛의 도장막을 아연 도금강판(니폰 테스트패널제 진코트 EGC-MO, 아세톤과 헥산에 의해 탈지한 것) 상에 제작하였다.
5일간 이상 방치 후, 이 도장막에 대해서 JIS-K5600-5-6에 준거한 크로스컷 테이프(crosscut tape) 시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표 1
크로스컷 테이프 시험
첨가제 결과
실시예 3 이미다졸실란A
실시예 4 이미다졸실란B
비교예 5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비교예 6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비교예 7 3-메르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비교예 8 2-에틸-4-메틸이미다졸
비교예 9 트리에틸아민
비교예 10 데스모라피드 PP(스미카 베이어제, 제 3 급 아민)
비교예 11 미첨가 ×
◎ : 수지의 벗겨짐은 보이지 않는다.
○ : 수지의 벗겨짐이 조금 보인다.
△ : 수지의 상당한 부분이 벗겨지고 있다.
× : 수지의 거의 모두가 벗겨져 버리고 있다.
이상의 결과에 의해, 이미다졸기 함유 실란커플링제가 수지와 기재의 밀착성의 향상에 기여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이러한 이미다졸기 함유 실란커플링제 중에서도 분자중에 히드록실기를 갖는 것(이미다졸실란 A)이 특히 기재와의 밀착성의 향상에 기여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5∼6, 및 비교예 12∼15
염수( saltwater ) 분무시험
이하의 조성, 순서에 의해 염수 분무시험을 실시하여 이미다졸기 함유 실란커플링제가 금속에 미치는 방청작용, 즉 수지와 금속의 밀착성의 향상에의 기여를 조사하였다. 실시예에서는, 첨가제에 이미다졸실란 화합물로서 상기 이미다졸실란A(실시예 5), 및 이미다졸실란 B(실시예 6)에 관해서 평가하였다. 또한, 비교예로 서 다른 일반적인 실란커플링제(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비교예 12), 종래부터의 촉매인 이미다졸 화합물(2-에틸-4-메틸이미다졸)(비교예 13)나 제 3 급 아민(트리에틸아민)(비교예 14)나, 또한 촉매 미첨가의 계(비교예 15)에 대해서도 평가하였다.
수지기본조성
{이소시아네이트기수와 수산기수의 비(NCO/OH)= 1.01}
폴리올(스미카 베이어, 데스모펜A 365 BA/X) 76중량부
폴리이소시아네이트(스미카 베이어, 스미듀어N3200) 24중량부
첨가제(이미다졸실란 A, 또는 이미다졸실란 B, 또는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또는 2-에틸-4-메틸이미다졸, 또는 트리에틸아민) 0.5중량부
상기 수지조성물을 50중량부의 크실렌으로 희석한 후, 스핀코트법에 의해 두께 약 20㎛의 도장막을 아연 도금강판(니폰 테스트패널제, 진코트 EGC-MO, 아세톤과 헥산에 의해 탈지한 것) 상에 제작하였다.
5일간 이상 방치 후, 이 도장막에 대해서 염수 분무시험(JIS Z 2371에 준거, 시험조건 : 식염수 농도 5%, 식염수 온도 35±2℃, 분무 실내온도 35±2℃, 분무량 1∼2ml/80cm2/hour)을 실시하여, 흰색 녹이 발생할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표 2
염수 분무시험의 결과
첨가제 흰색 녹이 발생하기까지의 시간
실시예 5 이미다졸실란A 240시간 이상
실시예 6 이미다졸실란B 240시간 이상
비교예 12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120시간
비교예 13 2-에틸-4-메틸이미다졸 96시간
비교예 14 트리에틸아민 72시간
비교예 15 미첨가 72시간
이상의 결과에 의해 이미다졸기 함유 실란커플링제가 방청성의 향상에 기여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트리에틸아민의 경우, 작업중에 불쾌한 아민냄새가 났지만, 이미다졸실란 A 또는 이미다졸실란 B의 경우는 불쾌한 냄새가 나지 않고, 작업 환경성에도 우수하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폴리올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반응시킬 때에, 이미다졸기를 함유한 실란커플링제를 첨가하는 것에 의해, 수지조성물의 경화를 촉진시키고, 금속 등의 기재와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조성물은 우레탄계 또는 불소계 도료, 우레탄 접착제, 우레탄폼, 우레탄 엘라스토머의 기본 조성이며, 이러한 용도의 경화촉진제 및 밀착 향상제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6)

  1. 이하의 성분을 필수성분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수지조성물:
    (A) 폴리올,
    (B)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C) 이미다졸기를 함유한 실란커플링제.
    (단, 상기 조성물중, (B)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중의 이소시아네이트기수와 (A)의 폴리올중의 수산기수의 비(NCO/OH)가 0.6∼4.0이고, 또한 {(A)+(B)}: (C)의 중량비가 100:0.01∼100:1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폴리올이, 폴리에스테르폴리올, 아크릴폴리올, 폴리에테르폴리올, 또는 플루오로에틸렌 함유 폴리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폴리이소시아네이트가,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TDI), 디페닐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MDI), 디페닐메탄-2,4'-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HDI), 비스(4-이소시아네이토시클로헥실)메탄(H12MDI),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IPDI), 또는 이것들을 올리고머화한 유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이미다졸기를 함유한 실란커플링제가, 분자중에 히드록실기를 갖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이미다졸기를 함유한 실란커플링제가, 이미다졸 화합물과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의 반응에 의해 얻어진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조성물.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지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한 우레탄계 도료.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지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한 불소계 도료.
  8.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지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한 우레탄계 접착제.
  9.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지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한 우레탄 폼.
  10.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지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한 엘라스토머.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B) 폴리이소시아네이트가,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TDI), 디페닐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MDI), 디페닐메탄-2,4'-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HDI), 비스(4-이소시아네이토시클로헥실)메탄(H12MDI),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IPDI), 또는 이것들을 올리고머화한 유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조성물.
  1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C) 이미다졸기를 함유한 실란커플링제가, 분자중에 히드록실기를 갖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조성물.
  13.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C) 이미다졸기를 함유한 실란커플링제가, 분자중에 히드록실기를 갖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조성물.
  1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C) 이미다졸기를 함유한 실란커플링제가, 이미다졸 화합물과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의 반응에 의해 얻어진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조성물.
  1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C) 이미다졸기를 함유한 실란커플링제가, 이미다졸 화합물과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의 반응에 의해 얻어진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조성물.
  1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C) 이미다졸기를 함유한 실란커플링제가, 이미다졸 화합물과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의 반응에 의해 얻어진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조성물.
KR1020067008607A 2003-10-10 2004-09-30 수지조성물 KR1007679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52546 2003-10-10
JPJP-P-2003-00352546 2003-10-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5922A KR20060085922A (ko) 2006-07-28
KR100767941B1 true KR100767941B1 (ko) 2007-10-17

Family

ID=34431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8607A KR100767941B1 (ko) 2003-10-10 2004-09-30 수지조성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70123681A1 (ko)
EP (1) EP1672028B1 (ko)
JP (1) JP4734605B2 (ko)
KR (1) KR100767941B1 (ko)
CN (1) CN100478399C (ko)
TW (1) TWI289145B (ko)
WO (1) WO20050356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06952A (ja) * 2005-10-17 2007-04-26 Asahi Glass Coat & Resin Co Ltd 塗料用組成物、塗料、塗料用キットおよび塗装物品
JP4560742B2 (ja) * 2006-01-13 2010-10-13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磁性構造体の芯部材
US8344262B2 (en) * 2006-09-14 2013-01-01 Panasonic Corporation Epoxy resin composition for printed wiring board, resin composition varnish, prepreg, metal clad laminate, printed wiring board and multilayer printed wiring board
JP2008185502A (ja) * 2007-01-31 2008-08-14 Sekisui House Ltd 塗装鋼板の複合劣化試験方法
PL2496619T3 (pl) * 2009-11-04 2014-11-28 Huntsman Int Llc Ciekłe kompozycje izocyjanianowe
JP5764883B2 (ja) * 2010-08-13 2015-08-19 日立化成株式会社 ウレタン樹脂組成物及び光半導体装置
WO2012065942A1 (de) * 2010-11-19 2012-05-24 Basf Coatings Gmbh Beschichtungsmittel mit hohem festkörpergehalt und gutem verlauf sowie daraus hergestellte mehrschichtlackierungen und deren verwendung
JP6240172B2 (ja) * 2012-05-23 2017-11-29 シーカ テクノロジー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シラン基含有ポリマー
JP6320014B2 (ja) * 2012-12-13 2018-05-09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用部材、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装置
CN103320001A (zh) * 2013-06-24 2013-09-25 丹阳市佳美化工有限公司 双组份pu涂料
CN103333574B (zh) * 2013-06-25 2016-03-09 丹阳市佳美化工有限公司 防屏蔽导电涂料
CN107541177A (zh) * 2017-09-07 2018-01-05 深圳市康利邦科技有限公司 硅烷功石墨烯的制备方法、抗静电有机硅压敏胶及其制备方法
WO2020245037A1 (en) * 2019-06-03 2020-12-10 Covestro Intellectual Property Gmbh & Co. Kg A composition for manufacturing a polyurethane foam
TW202336202A (zh) * 2021-12-13 2023-09-16 日商積水化學工業股份有限公司 接著劑組成物、電子零件用接著劑及行動電子機器用接著劑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92482A (ja) * 1988-01-28 1989-08-02 Kobe Steel Ltd 消耗電極式両極性アーク溶接方法
JPH09295992A (ja) * 1996-04-30 1997-11-18 Japan Energy Corp 新規有機ケイ素化合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る表面処理剤および樹脂添加剤
JP2000297094A (ja) * 1999-04-15 2000-10-24 Japan Energy Corp 新規有機ケイ素化合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る表面処理剤および樹脂添加剤
JP2000297093A (ja) * 1999-04-15 2000-10-24 Japan Energy Corp 新規有機ケイ素化合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る表面処理剤および樹脂添加剤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024869C2 (de) * 1980-07-01 1982-06-09 Th. Goldschmidt Ag, 4300 Essen Verwendung eines Gemisches eines Copolymerisates auf Acrylatbasis und eines Isocyanates als härtbares Klebmittel
US4622369A (en) * 1985-04-30 1986-11-11 Ppg Industries, Inc. Urethane resins containing hydrolyzable moieties from organosilane compounds
US4732858A (en) * 1986-09-17 1988-03-22 Brewer Science, Inc. Adhesion promoting product and process for treating an integrated circuit substrate
JPH0352976A (ja) * 1989-07-19 1991-03-07 Dainippon Ink & Chem Inc 塗料用樹脂組成物
JPH0768256B2 (ja) * 1991-08-01 1995-07-26 株式会社ジャパンエナジー 新規イミダゾールシラン化合物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る金属表面処理剤
US5391664A (en) * 1992-09-03 1995-02-21 Nippon Shokubai Co., Ltd. Process for producing polymer
JP3600625B2 (ja) * 1993-09-02 2004-12-15 三井化学株式会社 二成分系ポリウレタン発泡型シーリング材組成物、シーリング方法及び灯具
EP0857473B1 (en) * 1994-01-21 2003-03-26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Orthopedic casting material
DE19646879A1 (de) * 1995-11-23 1997-05-28 Henkel Kgaa Einkomponenten-Polyurethan-Reaktionsklebstoff
JPH09278861A (ja) * 1996-04-12 1997-10-28 Dainippon Ink & Chem Inc 発泡性難燃組成物及び発泡成形体の製造方法
JP3812986B2 (ja) * 1997-04-01 2006-08-23 旭シュエーベル株式会社 イミダゾール基含有表面処理剤およびガラスクロス
JP3555825B2 (ja) * 1997-09-22 2004-08-18 株式会社日鉱マテリアルズ 新規有機ケイ素化合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る表面処理剤および樹脂添加剤
JPH11310768A (ja) * 1998-02-27 1999-11-09 Sekisui Chem Co Ltd 接着剤組成物
JP3536014B2 (ja) * 2000-04-07 2004-06-07 株式会社日鉱マテリアルズ イミダゾール有機モノカルボン酸塩誘導体反応生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る表面処理剤、樹脂添加剤および樹脂組成物
JP2002322232A (ja) * 2001-04-24 2002-11-08 Nippon Polyurethane Ind Co Ltd 硬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用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硬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造方法
JP2002348392A (ja) * 2001-05-28 2002-12-0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プリプレグ及び積層板
JP2002356534A (ja) * 2001-05-29 2002-12-13 Nippon Polyurethane Ind Co Ltd 硬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用ポリイソシアネート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硬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造方法
JP2003071378A (ja) * 2001-09-05 2003-03-11 Toray Ind Inc マグネシウム合金成形物の塗装方法
DE10158491A1 (de) * 2001-11-28 2003-06-12 Bayer Ag Metall-Polyurethan-Laminate
JP2003277717A (ja) * 2002-03-25 2003-10-02 Dainippon Ink & Chem Inc 反応性ホットメルト接着剤
JP4276923B2 (ja) * 2003-02-27 2009-06-1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光硬化性着色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カラーフィルター
JP4619636B2 (ja) * 2003-08-29 2011-01-26 ヘンケルジャパン株式会社 湿気硬化型ホットメルト接着剤組成物
US20050238899A1 (en) * 2004-04-27 2005-10-27 Isao Nagata High solids clearcoat compositions containing silane functional compound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92482A (ja) * 1988-01-28 1989-08-02 Kobe Steel Ltd 消耗電極式両極性アーク溶接方法
JPH09295992A (ja) * 1996-04-30 1997-11-18 Japan Energy Corp 新規有機ケイ素化合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る表面処理剤および樹脂添加剤
JP2000297094A (ja) * 1999-04-15 2000-10-24 Japan Energy Corp 新規有機ケイ素化合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る表面処理剤および樹脂添加剤
JP2000297093A (ja) * 1999-04-15 2000-10-24 Japan Energy Corp 新規有機ケイ素化合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る表面処理剤および樹脂添加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72028B1 (en) 2013-08-21
EP1672028A1 (en) 2006-06-21
EP1672028A4 (en) 2010-05-05
CN100478399C (zh) 2009-04-15
US20070123681A1 (en) 2007-05-31
WO2005035662A1 (ja) 2005-04-21
CN1863872A (zh) 2006-11-15
JP4734605B2 (ja) 2011-07-27
KR20060085922A (ko) 2006-07-28
JPWO2005035662A1 (ja) 2006-12-21
TWI289145B (en) 2007-11-01
TW200519132A (en) 2005-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7941B1 (ko) 수지조성물
US10093765B2 (en) Alkoxysilane-functionalized allophanates
JP2010513618A5 (ko)
JP2619248B2 (ja) 二成分接着剤
RU2015102163A (ru) Композиции для нанесения покрытия, содержащие изоцианат-функциональный преполимер, полученный из трициклодекан полиола, способы их применения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ие субстраты с нанесенным покрытием
KR20180034560A (ko) 블록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 1액형 코팅 조성물, 도막 및 도장 물품
JPH02221287A (ja) シラン基含有オキサゾリジン
DE102008024352A1 (de) Polyharnstoffzusammensetzung
EP3824011B1 (en) A coating composition
KR20150034712A (ko) 폴리우레탄 페인트를 위한 코팅 방법 및 경화제
US6756465B1 (en) Moisture curable compounds and compositions
KR20080068686A (ko) 폴리우레아 코팅 제조를 위한 조성물
EP3877437B1 (en) A coating composition
JP6171330B2 (ja) 接着剤組成物
US20030118720A1 (en) Method of coating bare, untreated metal substrates
JP2018505246A (ja) 新規ポリウレタン硬化剤
US11041043B2 (en) Polycarbamide resins for metal coating applications
KR100799453B1 (ko) 비시클로-오르토에스테르-작용기 화합물,이소시아네이트-작용기 화합물 및 티올-작용기 화합물을포함하는 코팅 조성물
CN110776822A (zh) 透明涂层组合物和形成透明涂层组合物的方法
EP3387037B1 (en) Water-dispersible polyisocyanates
EP3626755A1 (en) A coating composition
EP3966271B1 (en) Silane-based coating composition
JPH08120222A (ja) 電着塗料組成物
EP3771720A1 (en) Blocked polyisocyanate composition, resin composition, resin film and laminate
JP7058571B2 (ja) 水分散ブロックポリイソシアネート組成物、水分散体、水系コーティング組成物及びコーティング基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