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3988B1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3988B1
KR100763988B1 KR1020070023893A KR20070023893A KR100763988B1 KR 100763988 B1 KR100763988 B1 KR 100763988B1 KR 1020070023893 A KR1020070023893 A KR 1020070023893A KR 20070023893 A KR20070023893 A KR 20070023893A KR 100763988 B1 KR100763988 B1 KR 1007639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ite balance
primary color
display
emission
video sig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3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8666A (ko
Inventor
겐 구마꾸라
히데아끼 오끼
유이찌로 기무라
야수지 노구찌
다까유끼 오에
Original Assignee
후지츠 히다찌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츠 히다찌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지츠 히다찌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70048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86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3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39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2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 G09G3/28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 G09G3/291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controlling the gas discharge to control a cell condition, e.g. by means of specific pulse shap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2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 G09G3/28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 G09G3/291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controlling the gas discharge to control a cell condition, e.g. by means of specific pulse shapes
    • G09G3/29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controlling the gas discharge to control a cell condition, e.g. by means of specific pulse shapes for lighting or sustain discharge
    • G09G3/294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controlling the gas discharge to control a cell condition, e.g. by means of specific pulse shapes for lighting or sustain discharge by varying the frequency of sustain pulses or the number of sustain pulses proportionally in each subfield of the whole fram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2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 G09G3/28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 G09G3/296Driving circuits for producing the waveforms applied to the driving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71Adjustment of the gradation levels within the range of the gradation scale, e.g. by redistribution or clipping
    • G09G2320/0276Adjustment of the gradation levels within the range of the gradation scale, e.g. by redistribution or clipping for the purpose of adaptation to the characteristics of a display device, i.e. gamma correc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2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overall brightne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6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colour parameters, e.g. colour temperatur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6Calculation or use of calculated indices related to luminance levels in display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 Control Of Gas Discharge Display Tubes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Abstract

각 형광체(발광체)는 각 발광횟수에 대한 휘도비가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소정의 발광횟수로 화이트밸런스를 조정하여도, 발광횟수가 변화하면 화이트밸런스도 어긋나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입력된 복수의 원색 영상신호(R, G, B)에 대응하여 발광횟수 또는 강도를 제어하여 컬러표시를 행하는 표시장치로서, 상기 발광횟수 또는 강도를 검출하는 수단(3)과, 이 검출된 발광횟수 또는 강도에 따라 상기 복수의 원색 영상신호의 진폭을 조정하여 화이트밸런스를 보정하는 수단(11∼13, 2)를 구비하도록 구성한다.
화이트밸런스

Description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 방법{DISPLAY METHOD OF PLASMA DISPLAY APPARATUS}
도1은 면방전 교류구동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2는 도1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시퀀스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3은 도1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율(APL)과 발광횟수 및 소비전력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4는 종래의 화이트밸런스 조정회로의 일례를 나타낸 블록도.
도5는 적색, 녹색 및 청색의 3원색의 각 형광체의 발광횟수와 휘도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6은 본 발명에 의한 화이트밸런스 보정회로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7은 3원색의 형광체의 각 발광횟수의 휘도비를 청색을 기준으로 하여 나타낸 도면.
도8은 도6의 화이트밸런스 보정회로의 적색, 녹색 및 청색의 3원색의 각 승산계수(multiplication coefficient)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9는 도6의 화이트밸런스 보정회로에 의해 보정된 3원색의 형광체의 각 발 광횟수의 휘도비를 나타낸 도면.
도10은 도6의 화이트밸런스 보정회로의 APL 검출회로의 일례를 나타낸 블록도.
도11은 본 발명에 의한 화이트밸런스 보정회로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12는 본 발명에 의한 화이트밸런스 보정회로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13은 본 발명에 의한 화이트밸런스 보정회로의 제4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14는 본 발명에 의한 화이트밸런스 보정회로의 제5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15는 계조레벨과 발광횟수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그 1).
도16은 계조레벨과 발광횟수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그2).
도17은 적색, 녹색 및 청색의 3원색의 각 형광체의 계조레벨과 휘도비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18은 본 발명에 의한 화이트밸런스 보정회로의 제6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19는 도18의 화이트밸런스 보정회로의 적색, 녹색 및 청색의 3원색의 각 승산계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20은 도18의 화이트밸런스 보정회로에 의해 보정된 3원색의 형광체의 각 계조레벨의 휘도비를 나타낸 도면.
도21은 본 발명에 의한 화이트밸런스 보정회로의 제6실시예의 적용의 유무에 의한 3원색의 형광체의 휘도특성을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11, 12, 13 : 승산기
2 : 마이크로컴퓨터
3 : APL 검출회로
31, 33 : 가산기
32, 34 : 레지스터
4, 41, 42, 43 : γ보정회로
5 : 전류검출회로
6 : 패널구동회로
7 : 발광횟수 제어회로
8, 80, 102 : 어드레스 디코더
9, 91, 92, 93, 103 : 기억장치(ROM)
10 : 표시패널
11e : 어드레스 전극
12e : 주사·유지전극
13e : 유지전극
14 : 어드레스 구동회로
15 : 주사·유지펄스 출력회로
16 : 유지펄스 출력회로
17 : 구동제어회로
18 : 신호처리회로
101 : 입력계조레벨 검출부
141∼143 : 출력계조레벨 보정부
본 발명은 입력된 복수의 원색 영상신호에 대응하여 발광횟수 또는 강도를 제어하여 컬러표시를 행하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적색, 녹색 및 청색의 3원색의 형광체의 발광횟수를 제어하여 컬러표시를 행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이트밸런스 보정기술에 관한 것이다.
근년 여러가지의 표시장치의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며, 문자나 영상 등을 선명하게 표시할 수 있는 대화면의 평면형 표시장치로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플라즈마 디스플레이패널: PDP(plasma display panel))가 주목되고 있다. 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적색, 녹색 및 청색의 3원색의 형광체에 의해 표시를 행하고 있지만, 예를 들면 소비전력을 제한하기 위해서 화상의 표시율(평균휘도수준: APL(average picture level))에 따라 발광횟수(유지발광의 횟수)를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각 형광체는 각 발광횟수에 대한 휘도비가 일정하지 않아, 그 때문에, 예를 들면 소정 발광횟수로 화이트밸런스의 조정을 행하여도 발광횟수가 변화하면 화이트밸런스도 어긋나게 되어 있었다. 이 화이트밸런스 어긋남의 문제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뿐만 아니라, EL소자(일렉트로루미네슨스 소자)를 사용한 표시장치나 FED(field emission display), 또는 LED(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나 CRT(cathode ray tube) 등 여러 표시장치에서도 그 발광횟수 또는 강도의 변화에 의해 일어난다. 그래서 입력된 복수의 원색 영상신호에 대응하여 발광횟수 또는 강도를 제어하여 컬러표시를 행하는 표시장치에서 발광횟수나 강도에 관계없이 화이트밸런스를 유지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본원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뿐만 아니라 EL소자를 사용한 표시장치나 FED 및 CRT 등의 여러가지의 표시장치에 적용할 수 있지만, 이하의 설명에서는 적색, 녹색 및 청색의 3원색의 형광체 사이에서 잔광특성(殘光特性)이 상이한 표시장치로서 주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도1은 면방전 교류구동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1에서 참조부호 10은 표시패널, 11e는 어드레스 전극, 12e는 주사·유지전극, 13e는 유지전극, 14는 어드레스 구동회로, 15는 주사·유지펄스 출력회로, 16은 유지펄스 출력회로, 17은 구동제어회로, 18은 신호처리회로, 그리고 19는 격벽을 나타내고 있다.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어드레스 전극(11e), 주사·유지전극(12e), 유지전극(13e) 및 격벽(19)을 갖는 표시패널(10)과, 어드레 스 전극(11e)을 구동하기 위한 어드레스 구동회로(14)와, 주사·유지전극(12e)을 구동하기 위한 주사·유지펄스 출력회로(15)와, 유지전극(13e)을 구동하기 위한 유지펄스 출력회로(16)와, 이들 출력회로를 제어하는 구동제어회로(17)와, 입력신호의 처리를 행하는 신호처리회로(18)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표시패널(10)은 대향하는 2매의 유리판의 한쪽에 어드레스 전극(11e)을 설치하고, 다른 쪽에 주사·유지전극(12e) 및 유지전극(13e)을 설치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유리판 사이에 끼워진 공간이 격벽(19)에 의해 구획되고, 그 구획된 각각의 공간이 각각 방전 셀을 구성하고 있다.
방전 셀에는, 예를 들면 He-Xe, Ne-Xe와 같은 불활성가스가 봉입되어 있고, 주사·유지전극(12e)과 유지전극(13e)에 전압을 가하면, 방전이 일어나서 자외선이 발생한다. 또 각각의 방전 셀에는 적색, 녹색 및 청색 중의 어느 것으로 발광하는 형광체가 도포되어 있고, 상술한 바와 같이 발생한 자외선에 의해 이 형광체가 여기(勵起)하여 이 형광체에 따른 색광(色光)을 발광시킨다. 이 발광을 이용하여 영상신호에 따라 소망하는 색의 방전 셀을 선택함으로써 컬러화상표시를 행할 수 있다.
또 구동제어회로(17)는 영상신호(3원색 영상신호(R, G, B))에 의한 화상의 표시율(또는 표시전류)에 따라 주사·유지펄스 출력회로(15) 및 유지펄스 출력회로(16)를 거쳐서 영상신호의 발광횟수를 제어하여, 소비전력이 미리 정해진 값보다도 커지지 않도록 하고 있다.
도2는 도1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시퀀스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 한 도면이고, 상술한 발광원리를 사용한 시분할 구동법(이하 서브 필드법이라 칭한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서브 필드법이란 1프레임을 발광횟수의 상이(相異)에 의해 가중치가 부여(weighting)된 복수의 서브 필드(SF1∼SF4)로 분할하고, 화소마다 화소의 신호의 진폭에 따른 서브 필드를 선택하는 것으로 계조를 표현하는 방법이다.
도2에 나타낸 서브 필드법에 의한 구동시퀀스는 1프레임을 4개의 서브 필드(SF1∼SF4)로 분할하여 16계조를 표시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각 서브 필드의 주사기간(T1)은 그 서브 필드에서 발광하는 방전 셀(이하, 발광 셀이라 칭한다)을 선택하기 위한 기간이고, 또 방전유지기간(T2)은 그 선택된 발광 셀이 발광하고 있는 기간이다.
서브 필드(SF∼SF4)의 방전유지기간(T2)은 선택된 셀이 발광하는 시간을 나타내고, 각각은 8:4:2:1의 비율로 발광횟수에 가중치가 부여되어 있다. 그리고 영상신호수준에 따라 이들 서브 필드(SF1∼SF4) 중의 어느 것을 임의로 선택함으로써, 2의 4승=16계조의 표시가 가능하게 된다. 계조수를 늘리고자 하는 경우에는 서브 필드의 수를 늘리면 되며, 예를 들면 서브 필드수를 8로 하면, 2의 8승=256계조의 표시가 가능하게 된다. 또 각 서브 필드의 휘도레벨은 유지발광 횟수(발광횟수)에 의해 제어된다.
도3은 도1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율(APL)과 발광횟수 및 소비전력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3a는 발광 셀의 발광횟수와 소비전력의 관계를 나타내고, 도3b는 화상(표시패널)의 표시율(APL)과 발광횟수의 관계를 나타내 고, 또 도3c는 영상신호에 의한 화상의 표시율과 소비전력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도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소비전력은 표시 셀의 발광횟수의 증가에 따라 증가된다. 그 때문에 실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도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비전력을 미리 정해진 값 이하로 억제하기 위해서, 화상의 표시율(APL)이 높을 경우, 즉 화면 전체에서 발광이 행해지도록 화상(영상신호)이 표시된 경우에는, 상술한 각 서브 필드의 발광횟수의 가중치 부여 비율을 유지하면서 프레임 전체로서의 발광횟수를 제한하도록 되어 있다.
즉, 도3b에 있어서 표시계조수를 256계조로 한 경우, 예를 들면 A점의 발광횟수는, 512:256:128:64:32:16:8:4로 가중치가 부여되었다면 1020회로, 또 (B)점에서의 발광횟수는, 128:64:32:16:8:4:2:1로 가중치가 부여되었다면 발광횟수를 255회로 제한한다. 즉 도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광횟수를 APL에 따라 제한함으로써 APL이 높아져도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소비전력을 억제하도록 되어 있다.
도4는 종래의 화이트밸런스 조정회로의 일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4에 있어서 참조부호 11∼13는 승산기, 2는 마이크로컴퓨터(마이콤), 그리고 41∼43은 γ보정회로를 나타내고 있다.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화이트밸런스 조정회로는 입력된 영상신호(R, G, B)를 각각 γ보정회로(41∼43)에 의해 γ보정하고, 그 후 각 승산기(11∼13)에 의해, 마이크로컴퓨터(2)로부터의 승산계수(진폭계수)(Kr, Kg, Kb)를 승산한다. 즉 마이크로컴퓨터(2)는 적색, 녹색 및 청색의 휘도비를 바꿔서 화이트밸런스 를 조정하기 위해서 각 색의 영상신호(R, G, B)용의 계수(Kr, Kg, Kb)를 승산기(11∼13)에 부여한다. 여기서 계수(Kr, Kg, Kb)는 각 색의 영상신호(R, G, B)에 의해 같은 경우도 있고, 또 다른 경우도 있다. 즉 종래의 화이트밸런스 조정회로는 마이크로컴퓨터(2)로부터의 계수(Kr, Kg, Kb)를 승산기(11∼13)에 부여하여, 각 색의 영상신호(R, G, B)의 신호진폭을 제어함으로써 화이트밸런스를 조정한다.
여기서 종래의 화이트밸런스 조정회로에서는 화이트밸런스를 조정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소정 발광횟수에서 어떤 일정한 조정패턴(예를 들면 윈도 패턴 등)을 표시시켜서 소망하는 화이트밸런스가 얻어지도록, 각 색의 영상신호(R, G, B)의 신호진폭조정을 한다. 즉, 예를 들면 공장출하 전에, 각 세트(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마다 화이트밸런스를 조정하지만, 일정한 조정패턴을 소정의 발광횟수에서 표시시키고, 그 상태에서 마이크로컴퓨터(2)의 레지스터에 계수(Kr, Kg, Kb)를 설정하도록 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화이트밸런스 조정회로에서는 소정의 APL(즉, 소정발광횟수)에서 어떤 일정한 조정패턴을 표시하여 화이트밸런스를 조정하기 때문에 다른 발광횟수(APL)로는 화이트밸런스가 어긋나는 일이 있다.
도5는 적색, 녹색 및 청색의 3원색의 각 형광체의 발광횟수와 휘도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5a는 발광횟수와 휘도의 관계를 나타내고, 또 도5b는 에너지 변환효율의 감소에 의한 단위발광휘도 특성을 나타낸다.
도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색, 녹색 및 청색의 3원색의 각 형광체는 발광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휘도가 포화된다. 이것은 적색, 녹색 및 청색의 형광체의 잔광 특성, 즉 자외선에 의한 여기에 대한 형광체의 에너지 변환효율이, 도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광횟수의 증가에 따라 저하하기 때문에 생기는 것이다. 또 도5b의 종축은 단위발광당의 휘도를, 에너지 변환효율이 가장 높은 경우의 단위당의 발광휘도로 정규화된 값을 나타내고, 또 횡축은 발광횟수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도5a 및 도5b에 있어서, 예를 들면 발광횟수가 많은 A점에서 화이트밸런스를 조정하였다고 하면, 그 때의 화이트밸런스 값은 A점의 적색, 녹색 및 청색의 휘도비에 의해 결정된다. 그러나 APL이 높은 영상신호를 표시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소비전력을 미리 정해진 값 이내로 억제하기 위해서 발광횟수를 감소시키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발광횟수가 적은 B점인 경우에는, 도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외선에 의한 여기에 대한 형광체의 에너지 변환효율이 높아지기 때문에, 에너지 변환효율의 감소율이 녹색>적색>청색으로 되어 있으면, A점과 비교해서 상대적으로 녹색>적색>청색의 순서로 휘도가 높아진다. 즉, B점의 적색, 녹색 및 청색의 휘도비는 A점의 조정값과 다르기 때문에 A점과 B점에서는 화이트밸런스에 차이가 생긴다.
반대로 APL이 화이트밸런스 조정시보다도 낮은 영상신호를 표시하는 경우에는 발광횟수를 증가시키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에너지 변환효율이 보다 낮아지며, 발광횟수가 적은 경우와 마찬가지로 적색, 녹색 및 청색의 휘도비가 달라져서 화이트밸런스 값에 차이가 생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화이트밸런스 조정기술의 문제를 감안하여, 발광횟 수나 강도에 관계없이 화이트밸런스를 유지할 수 있는 화이트밸런스 보정회로, 보정방법 및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형태 및 제2형태는 입력된 복수의 원색 영상신호에 대응하여 발광횟수 또는 강도를 제어하여 컬러표시를 행하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형태의 표시장치는 발광횟수 또는 강도를 검출하는 수단과, 이 검출된 발광횟수 또는 강도에 따라 복수의 원색 영상신호의 진폭을 조정하여 화이트밸런스를 보정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발광횟수 또는 강도를 검출하는 수단은 복수의 원색 영상신호에 의한 화상의 표시율에서 그 발광횟수 또는 강도를 검출하거나, 복수의 원색 영상신호에 의한 화상표시 시(時)의 표시전류에서 검출하거나, 또는 외부로부터의 휘도조정입력으로부터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형태의 표시장치는 복수의 원색 영상신호에 의한 화상의 입력계조레벨에 따라, 이 복수의 원색 영상신호에 의한 화상의 출력계조레벨을 조정하여, 복수의 원색 영상신호의 발광횟수 또는 강도에 의해 변동하는 화이트밸런스를 보정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3형태는 입력된 복수의 원색 영상신호에 대응하여 발광횟수 또는 강도를 제어하여 컬러표시를 행하고, 이 발광횟수 또는 강도를 검출하는 수단을 구비한 표시장치의 화이트밸런스 보정회로에 관한 것이며, 복수의 원색 영상신호에 의한 화상의 입력계조레벨에 따라 그 복수의 원색 영상신호에 의한 화상의 출력계 조레벨을 조정하여, 복수의 원색 영상신호의 발광횟수 또는 강도에 의해 변동하는 화이트밸런스를 보정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4형태는 입력된 복수의 원색 영상신호에 대응하여 휘도를 제어하여 컬러표시를 행하는 표시장치의 화이트밸런스 보정방법에 관한 것이며, 복수의 원색 영상신호의 진폭비를 상기 원색 영상신호의 휘도에 따라 설정하여, 이 휘도에 의한 화이트밸런스의 변동을 억제하도록 되어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화이트밸런스의 보정은, 예를 들면 자외선에 의한 여기에 대하여 적색, 녹색 및 청색의 형광체의 에너지 변환효율특성의 상이에 의해 생기는 화이트밸런스의 변화를, 휘도비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신호진폭을 조정함으로써 보정한다. 이에 의해 발광횟수나 강도에 관계없이 화이트밸런스를 유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 조정하는 신호진폭은 휘도가 아니고 계조레벨에 대응하는 것이며, 따라서 진폭을 조정하는 것은 1프레임 내의 유지펄스수를 증감시켜서 절대적인 휘도를 변화시키는 것은 아니고, 점등 서브프레임을 변경하는 것을 의미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화이트밸런스 보정회로, 보정방법 및 표시장치의 각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이하의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예로 들고 있으나,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뿐만 아니라, EL소자를 사용한 표시장치나 FED 및 LED디스플레이나 CRT 등의 여러가지 표시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도6은 본 발명에 의한 화이트밸런스 보정회로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 도이고, 도7은 3원색의 형광체의 각 발광횟수의 휘도비를, 청색을 기준으로 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6에서, 참조부호 11∼13은 승산기, 2는 마이크로 컴퓨터(마이콤), 그리고 3은 APL 검출회로(평균휘도레벨(표시율) 검출회로)를 나타내고 있다. 또 참조부호 Kr, Kg, Kb는 각각 입력된 영상신호(디지털의 3원색 영상신호)(R, G, B)에 대한 승산계수(진폭계수)이다.
도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제1실시예의 화이트밸런스 조정회로는 입력된 영상신호(R, G, B)를 마이크로컴퓨터(2)로부터 주어진 승산계수(Kr, Kg, Kb)에 따라 승산기(11∼13)를 사용하여 진폭조정함으로써 화이트밸런스를 조정한다. 마이크로컴퓨터(2)는 APL 검출회로(3)로부터 얻은 APL(평균휘도레벨: 표시율)에 따라 발광횟수를 설정한다. 또 마이크로컴퓨터(2)는 발광횟수로부터 에너지 변환효율의 증감에 의한 R, G, B(적색, 녹색 및 청색)의 휘도비의 증감률을 연산하고, 그 증감률을 역보정하여 적색, 녹색 및 청색 사이에서, 휘도비가 일정하게 되도록 승산계수(Kr, Kg, Kb)를 연산하여 각 승산기(11∼13)에 공급한다.
예를 들면 최대 발광횟수시에 화이트밸런스 조정을 행하여, 그것에 맞추어서 각 발광횟수를 보정하기로 하고, 청색의 형광체가 가장 잔광특성이 짧다(즉 에너지 변환효율이 감소하지 않는다)고 하고, 청색의 휘도를 기준으로 한 경우, 각 발광횟수의 적색, 녹색 및 청색의 휘도비는 도7과 같은 특성으로 된다고 하자. 이 때 청색을 기준으로 한 휘도비를 α, 발광횟수 제로(0)인 때의 휘도비를 α0, 발광횟수를 N, 최대 발광횟수를 Nm으로 하고 녹색의 휘도비의 변화를 1차식으로 근사시키 면, α = ((1 - α0) / Nm)·N + α0이라는 식이 얻어진다.
각 발광횟수에서 화이트밸런스를 일정하게 하기 위해서는 휘도비의 증감률을 역보정해 주면 되므로 승산계수(Kg)는 휘도비 α의 역수 Kg = 1 /α로서 산출할 수 있다. 또 적색(R)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산출할 수 있다. 물론 기준으로 하는 색을 바꾸어도 마찬가지이다. 이렇게 하여 승산계수(Kr, Kg, Kb)를 마이크로컴퓨터(2)에 의해 연산하여, 승산기(1)에 설정하여 신호진폭을 조정하면 각 발광횟수에 있어서 휘도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화이트밸런스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 여기서는 1차식에 의해 근사시켰으나, 보다 고차식으로 근사시킴으로써 더 한층 정확한 보정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먼저 형광체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발광횟수와 휘도의 관계를 미리 측정하고, 예를 들면 도5a에 나타낸 것과 같은 발광횟수와 휘도의 관계를 얻는다. 또 측정한 데이터로부터 가장 리니어(linear)한 특성을 갖는 형광체(예를 들면 청색)를 기준으로 하여 각 형광체(적색, 녹색 및 청색)를 정규화하여, 각 발광횟수의 휘도비를 산출한다.
즉, 예를 들면, 도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청색을 기준으로 하여 이 청색에 대한 각 형광체의 휘도비를 산출한다. 여기서 A점의 적, 녹, 청의 휘도를 각각 Lar, Lag, Lab로 하고, 각 발광횟수의 휘도를 각각 Lr, Lg, Lb로 하여 정규화하면 다음과 같이 된다. 또 도7(실선: 적, 녹, 청)은 하기의 식에 의해 산출한 값을 그린 것이다.
적색의 청색에 대한 휘도비 = (Lr / Lar) / (Lb / Lab)
녹색의 청색에 대한 휘도비 = (Lg / Lag) / (Lb / Lab)
그런데 발광횟수에 의한 화이트밸런스의 변동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휘도비가 항상 일정하면 좋기 때문에, 휘도비의 변화를 도7(점선: 녹색)에 나타낸 바와 같이 1차식으로 근사시키고, 그 역수(승산계수 K)를 영상신호에 승산함으로써 화이트밸런스를 보정한다. 즉 K = 1/α = Nm / (N + α0(Nm - N))라는 식에 의해 승산계수 K를 산출한다.
도8은 도6의 화이트밸런스 보정회로의 적색, 녹색 및 청색의 3원색의 각 승산계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K = 1/α = Nm / (N + α0(Nm - N))라는 식에서 적색, 녹색, 청색의 승산계수(Kr, Kg, Kb)를 산출하여 그린 것이다. 또 참조부호 N은 발광횟수, Nm은 최대 발광횟수, α0는 최소 발광횟수시의 휘도비를 나타낸다.
여기서 도7에 나타내는 1차식은 형광체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며, 형광체가 정해지면 결정된다. 따라서 미리 그 역수를 산출하는 연산식(도8 참조)을 마이크로컴퓨터(2)에 프로그램해 두고, 이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각 발광횟수에 의한 승산계수를 연산한다.
도9는 이 마이크로컴퓨터(2)에 의해 연산된 승산계수에 의해 승산한 결과, 즉 도6의 화이트밸런스 보정회로에 의해 보정된 3원색의 형광체의 각 발광횟수의 휘도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9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적색, 녹색, 청색(3원색)의 형광체는 발광횟수에 관계없이 휘도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따라서 발광횟수에 관계없이 화이트밸런스를 유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최대 발광횟수의 녹색 및 청색의 휘도를 각각 200 cd/m2 및 80 cd/m2으로 하고, 최소 발광횟수의 휘도를 각각 60 cd/m2 및 20 cd/m2로 가정한다.
이 때 최대 발광횟수시의 청색과 녹색의 휘도비는,
청색:녹색 = 80:200 = 1:2.5가 된다.
또 최소 발광횟수시의 청색과 녹색의 휘도비는,
청색:녹색 = 20:60 = 1:3이 된다.
따라서 청색에 대한 녹색의 휘도비는 1.2배(3/2.5배)로 되고, 이것이 α0이므로 그 역수인 승산계수 K는,
K = 1 / α0 = 1 / 1.2 = 0.83이 된다. 즉 녹색 영상신호(G)에 관하여는 그 신호진폭에 0.83을 곱하여 보정을 하게 된다. 또 적색의 영산신호(R)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상술한 근사식을 사용하여 각 발광횟수의 승산계수를 연산하고, 그것을 영상신호에 승산함으로써 발광횟수에 관계없이 화이트밸런스를 유지할 수 있다.
도10은 도6의 화이트밸런스 보정회로의 APL 검출회로(3)의 일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10에서 참조부호 31 및 33은 가산기, 32 및 34는 레지스터를 나타내고 있다.
도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입력된 8 비트 영상신호는 가산기(31)에서 가산되고, 수평동기신호(H)에 대응하는 1라인마다의 영상출력(휘도)이 레지스터(32)에 저장된다. 또 레지스터(32)로부터의 각 라인마다로의 출력은 가산기(33) 에서 가산되고, 수직동기신호(V)에 대응하는 1화면마다의 영상출력이 레지스터(34)에 저장된다. 그리고 표시하는 화상의 평균휘도레벨(표시율)이 산출되도록 되어 있다. 또 이 APL 검출회로(3)는, 예를 들면 표시장치의 소비전력을 미리 정해진 값보다 작게 하기 위해서, APL(표시율)에 따라 발광횟수를 제어하기 때문에 사용하는 것을 그대로 적용할 수 있고, 다른 여러가지 구성이 가능하다.
도11은 본 발명에 의한 화이트밸런스 보정회로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11에서 참조부호 5는 전류검출회로, 6은 패널구동회로, 그리고 7은 발광횟수 제어회로를 나타내고 있다.
도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상술한 도6에 나타낸 제1실시예의 APL 검출회로(3) 대신에 전류검출회로(5)를 설치한 것으로, 전류검출회로(5)에 의해 패널구동회로(6)의 소비전류(표시전류)를 검출, 즉 제1실시예의 표시율에 대응하는 표시전류를 검출하고, 그에 따라 마이크로컴퓨터(2)가 승산계수를 연산하도록 되어 있다. 또 본 제2실시예에서는 각 형광체의 발광횟수의 제어도 전류검출회로(5)로부터의 출력을 마이크로컴퓨터(2)에서 수신하여, 예를 들면 표시장치의 소비전력이 미리 정해진 값보다 작아지도록 발광횟수 제어회로(7)를 거쳐서 발광횟수를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즉 전류검출회로(5)는 패널구동회로(6)에서 소비되는 전류를 검출하여 전압값으로 변환하여 마이크로컴퓨터(2)로 피드백하고, 마이크로컴퓨터(2)는 그 전압값에 따라 발광횟수 제어회로(7)로부터 발광횟수를 판독해서 발광횟수를 설정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마이크로컴퓨터(2)는 설정된 발광횟수에 따른 에너지 변환효율 의 증감률에 의한 휘도비의 변화를 연산하여, 적색, 녹색 및 청색의 휘도비율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승산계수 K(Kr, Kg, Kb)를 연산한다. 이 계수 Kr, Kg, Kb는 승산기(11, 12, 13)에 의해 영상신호(R, G, B)에 승산되어, 신호진폭의 조정이 행해져서 화이트밸런스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본 제2실시예에 의하면, 예를 들면 APL 검출회로를 가지고 있지 않는 표시장치에 대하여도 광범위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CRT 등에 대하여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도12는 본 발명에 의한 화이트밸런스 보정회로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12에서 참조부호 8은 어드레스 디코더, 그리고 9는 기억장치(ROM: read only memory)를 나타내고 있다.
도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제3실시예는 상술한 도6의 제1실시예의 마이크로컴퓨터(2) 대신에 어드레스 디코더(8) 및 ROM(9)을 설치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ROM(9)은 각 APL(표시율)에 대응한 각 영상신호용의 승산계수(Kr, Kg, Kb)가 각각 저장되어 있고, APL 검출회로(3)에 의해 검출된 APL에 대응한 승산계수를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즉 APL 검출회로(3)는 입력된 영상신호의 APL을 검출하여 어드레스 디코더(8)에 공급하고, 어드레스 디코더(8)는 검출된 APL에 대응하는 승산계수가 저장된 ROM(9)의 어드레스를 발생한다. 여기서 ROM(9)에는 미리 각 APL, 즉 각 발광횟수에 대응한 에너지 변환효율의 증감에 의한 휘도비 변화를 보정하기 위한 승산계수(Kr, Kg, Kb)가 저장되어 있고, 어드레스 디코더(8)로부터의 어드레스에 따라 그 대응하는 승산계수를 출력하여 각 승산기(11, 12, 13)에 설정된다.
본 제3실시예에 의하면, 예를 들면 발광횟수와 각 승산계수(Kr, Kg, Kb)가 간단한 식으로 근사시킬 수 없는 경우(예를 들면 각 형광체의 에너지 변환효율이 발광횟수에 의해 복잡하게 변화되는 경우)에도 화이트밸런스의 보정을 충분히 할 수 있다.
또 본 제3실시예에서도 상술한 제2실시예와 같이, APL 검출회로(3) 대신에 전류검출회로(5)를 설치하고, 표시율 대신에 표시전류(패널구동회로(6)의 소비전류)를 검출하여 마찬가지의 제어를 할 수도 있다.
도13은 본 발명에 의한 화이트밸런스 보정회로의 제4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13에서, 참조부호 80는 어드레스 디코더, 그리고 91, 92, 93은 ROM(기억장치)을 나타내고 있다.
도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제4실시예는 상술한 제3실시예의 ROM(9) 및 승산기(11∼13)를 ROM(91∼93)으로 치환한 것이며, 입력된 영상신호의 APL을 APL 검출회로(3)에 의해 검출하고, 그 검출치를 어드레스 디코더(80)로 각 ROM(91∼93)에 대한 어드레스로 변환한다. 각 ROM(91, 92, 93)에는 미리 각 APL, 즉 각 발광횟수에 대응한 에너지 변환효율의 증감에 의한 휘도비 변화를 보정하기 위해서, 각각 영상신호(R, G, B)에 어떤 계수를 승산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그리고, 예를 들면 어드레스 디코더(80)로부터 공급되는 어드레스를 상위 비트 어드레스로 하고, 또한 영상신호를 하위 비트 어드레스로 하여, 각 ROM(91, 92, 93)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판독하고, 그것에 의해 영상진폭을 조정하여 적색, 녹색 및 청색 사이의 휘도비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본 제4실시예에 의하면, 상기의 제3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발광횟수와 각 승산계수(Kr, Kg, Kb)가 간단한 식으로 근사시킬 수 없는 경우에도, 화이트밸런스의 보정을 충분히 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제4실시예에서도 APL 검출회로(3) 대신에 전류검출회로(5)를 설치하고, 표시율 대신에 표시전류를 검출하여 마찬가지의 제어를 할 수 있다.
도14는 본 발명에 의한 화이트밸런스 보정회로의 제5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부(예를 들면 유저)로부터의 휘도조정입력이 마이크로컴퓨터(2)에 입력되고, 이 휘도조정입력에 따라 발광제어회로(7) 및 패널구동회로(6)를 거쳐서 표시화상의 휘도를 설정하도록 되어 있다. 이 때, 본 제5실시예에서 마이크로컴퓨터(2)는 부여된 휘도조정입력에 따른 발광횟수로부터, 그 발광횟수에 따른 에너지 변환효율의 증감률에 의한 휘도비의 변화를 연산하여 적색, 녹색 및 청색의 휘도비율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승산계수 K(Kr, Kg, Kb)를 연산한다. 이 계수(Kr, Kg, Kb)는 승산기(11, 12, 13)에 의해 영상신호(R, G, B)에 승산되고, 신호진폭의 조정이 행해져서 화이트밸런스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또 본 제5실시예의 외부의 휘도조정입력에 의한 화이트밸런스의 보정은, 예를 들면 상술한 표시율 또는 표시전류를 검출하여 행하는 제1∼제4실시예의 화이트밸런스의 보정과 독립된 것이며, 각각 임의로 조합하여 화이트밸런스 보정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본 제5실시예와 도11에 나타낸 제2실시예를 조합하 여 적용한 경우에는 마이크로컴퓨터(2)로부터 출력되는 계수(Kr, Kg, Kb)는 전류검출회로(5)에 의해 검출된 패널구동회로(6)의 소비전류(표시전류) 및 외부로부터의 휘도조정입력의 각각에 의한 휘도비의 변화를 합친 것에 대하여 적색, 녹색 및 청색의 휘도비율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값으로 된다.
도15 및 도16은 계조레벨과 발광횟수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15 및 도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력된 복수의 원색 영상신호(예를 들면 3원색 영상신호(R, G, B))의 각 계조레벨(A∼F)을 다른 발광횟수의 조(組)(처리 P1∼P5, …)에 의해 표시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이것은 상술한 각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입력되는 영상신호에 의한 화상의 표시율 또는 표시전류를 검출하고, 이 검출된 표시율 또는 표시전류에 의해, 예를 들면 표시장치 전체의 소비전력이 소정의 값을 초과하지 않도록 계조레벨(A∼F)을 유지하면서 발광횟수를 저감하는 구동제어를 한다.
즉, 도15 및 도16의 참조부호 F를 300 계조레벨로 하고, C를 150 계조레벨로 할 때, 예를 들면 입력되는 영상신호에 의한 화상의 표시율을 높게 하여 소비전력을 충분히 저감시켜서 소정의 값 이하로 억제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각 계조레벨(F 및 C)을 구동전류가 작은 (전체적인 발광횟수가 적은) 구동처리(P1)의 Ff(예를 들면 유지발광 펄스: 150회) 및 Cf(예를 들면 유지발광펄스: 75회)에 의해 표시한다. 반대로, 예를 들면 입력하는 영상신호에 의한 화상의 표시율이 매우 낮은 경우에는 각 계조레벨(F 및 C)을 구동전류가 큰(전체적인 발광횟수가 많은) 구동처리(P5)의 Ff×5(예를 들면 유지발광펄스: 750회) 및 Cf×5(예를 들면 유지발광펄 스: 375회)에 의해 표시한다. 또 다른 계조(A, B, … 등)에 관하여도 마찬가지의 처리를 한다. 따라서 복수의 원색 영상신호에 의한 화상의 표시율(또는 표시전류)을 검출하고, 이 검출된 표시율(또는 표시전류)에 따라 복수의 원색 영상신호의 발광횟수 또는 강도를 제어하게 된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화이트밸런스 조정회로에서는 화이트밸런스를 조정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소정의 계조레벨에서, 어느 일정한 조정패턴(예를 들면 윈도패턴 등)을 표시시켜서 소망하는 화이트밸런스가 얻어지도록 각 색의 영상신호(R, G, B)의 신호진폭조정을 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소정의 계조레벨에서 어느 일정한 조정패턴을 표시하여 화이트밸런스를 조정(예를 들면, 공장출하전에 단 한번만 조정)한 것은 다른 계조레벨(입력계조레벨)에 대하여는 화이트밸런스가 어긋나고 있었다.
도17은 적색, 녹색 및 청색의 3원색의 각 형광체의 계조레벨과 휘도비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고, 최대계조레벨의 각 색의 휘도비를, 청색을 기준으로 하여 나타낸 것이다. 또 도18은 본 발명에 의한 화이트밸런스 보정회로의 제6실시예를 나타낸 블럭도이고, 도19는 도18의 화이트밸런스 보정회로의 적색, 녹색 및 청색의 3원색의 각 승산계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20은 도18의 화이트밸런스 보정회로에 의해 보정된 3원색의 형광체의 각 계조레벨의 휘도비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술한 도7∼도9와, 도17, 도19 및 도20의 비교에서도 명백한 바와 같이, 본 제6실시예의 3원색의 형광체의 각 계조레벨(입력계조레벨)과 휘도비α의 관계는, 예를 들면 제1실시예의 각 발광횟수와 휘도비에 대응시켜서 생각할 수 있다.
도18에서, 참조부호 11∼13은 승산기, 2는 마이크로컴퓨터, 41∼43은 γ보정회로, 101은 입력계조레벨 검출부, 102는 어드레스 디코더, 103은 기억장치(ROM), 그리고, 141∼143은 승산기(출력계조레벨 보정부)를 나타내고 있다. 또 승산기(11∼13), 마이크로컴퓨터(2) 및 γ보정회로(41∼43)는 상술한 도4의 종래예와 마찬가지의 것이어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제6실시예의 화이트밸런스 조정회로는 입력된 영상신호(R, G, B)의 각 입력계조레벨을 입력계조레벨 검출부(101)에서 검출(인식)하고, 그에 따라 어드레스 디코더(102) 및 기억장치(103)를 거쳐서 보정계수(Lr, Lg, Lb)를 출력한다. 여기서 각 보정계수(L)은 L = 1 / α의 관계, 즉 Lr = 1 / αr, Lg = 1 / αg, Lb = 1 / αb의 관계를 갖고 있다.
각 승산기(141, 142(143))에서는, 입력된 보정계수(Lr, Lg(Lb))에 의해, 이하의 연산식에 따른 보정을 행하여 출력계조레벨을 산출한다. 여기서 X를 입력계조레벨로 하고, Y를 출력계조레벨로 하고, β를 최대입력계조레벨로 한다.
Y(X) = L + (1 - L)·(X / β)
또 청색 영상신호를 기준(규격화)으로 한 경우에는, Lb = 1 / αb = 1 / 1 = 1로 되므로, 청색 영상신호의 입력계조레벨의 보정은 불필요하게 되고, 따라서 청색 영상신호용의 승산기(143)는 설치할 필요가 없다.
도18에 나타낸 제6실시예에서는 검출된 입력계조레벨에 따른 보정계수(L)를 기억장치(103)로부터 출력하도록 구성하였으나, 예를 들면 마이크로컴퓨터를 사용하여 입력계조레벨에 따른 보정계수(L)을 연산하고, 그것을 각 승산기(출력계조레 벨 보정부)(141∼143)로 공급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또 상술한 각 영상신호의 진폭을 발광횟수 또는 강도에 따라 조정하여 행하는 화이트밸런스의 보정과 겸용의 마이크로컴퓨터 등을 사용하여 화이트밸런스 보정회로를 구성할 수도 있다.
도21은 본 발명에 의한 화이트밸런스 보정회로의 제6실시예의 적용 유무에 의한 3원색의 형광체의 휘도특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21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본 제6실시예의 화이트밸런스 보정회로를 적용함으로써, 예를 들면 적색, 녹색 및 청색의 형광체의 각 계조레벨에 의한 화이트밸런스의 변화를, 휘도비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조정함으로써, 계조레벨에 관계없이 화이트밸런스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발명의 각 실시형태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예를 들면 적색, 녹색 및 청색 사이에서 잔광특성이 다른 발광체를 사용한 컬러표시장치(예를 들면 CRT, LED 디스플레이 등)에서도 발광횟수를 발광휘도(강도)와 치환하면, 본 발명을 그대로 적용하여 화이트밸런스를 보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부기] 본 발명은 이하의 특징을 갖는다.
(부기1) 입력된 복수의 원색 영상신호에 대응하여 발광횟수 또는 강도를 제어하여 컬러표시를 행하는 표시장치로서,
상기 발광횟수 또는 강도를 검출하는 수단과,
이 검출된 발광횟수 또는 강도에 따라 상기 복수의 원색 영상신호의 진폭을 조정하여 화이트밸런스를 보정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청구항 1).
(부기2) 부기1 기재의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광횟수 또는 강도를 검출하는 수단은 상기 복수의 원색 영상신호에 의한 화상의 표시율에서 상기 발광횟수 또는 강도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청구항 2).
(부기3) 부기2 기재의 표시장치에 있어서, 이 표시장치는 상기 화상의 표시율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원색 영상신호의 발광횟수 또는 강도를 제어하는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부기4) 부기3 기재의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이트밸런스를 보정하는 수단은 연산수단 및 복수의 승산수단을 구비하고, 이 연산수단은 상기 복수의 원색 영상신호의 진폭계수를 상기 화상의 표시율에 따라 연산하고, 이 각 승산수단은 이 연산된 진폭계수를 상기 각 원색 영상신호에 승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부기5) 부기3 기재의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이트밸런스를 보정하는 수단은 기억수단 및 복수의 승산수단을 구비하고, 이 기억수단은 상기 복수의 원색 영상신호의 진폭계수를 상기 화상의 표시율에 따라 출력하고, 이 각 승산수단은 이 기억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진폭계수를 상기 각 원색 영상신호에 승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부기6) 부기3 기재의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이트밸런스를 보정하는 수단은 기억수단을 구비하고, 이 기억수단은 상기 각 조정된 진폭의 원색 영상신호를 상기 복수의 원색 영상신호와 상기 화상의 표시율에 따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부기7) 부기1 기재의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광횟수 또는 강도를 검출하는 수단은 상기 복수의 원색 영상신호에 의한 화상표시 시의 표시전류로부터 상기 발광횟수 또는 강도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청구항 3).
(부기8) 부기7 기재의 표시장치에 있어서, 이 표시장치는 상기 화상표시 시의 표시전류에 따라 상기 복수의 원색 영상신호의 발광횟수 또는 강도를 제어하는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부기9) 부기8 기재의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이트밸런스를 보정하는 수단은 연산수단 및 복수의 승산수단을 구비하고, 이 연산수단은 상기 복수의 원색 영상신호의 진폭계수를 상기 화상표시 시의 표시전류에 따라 연산하고, 이 각 승산수단은 이 연산된 진폭계수를 상기 각 원색 영상신호에 승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부기10) 부기8 기재의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이트밸런스를 보정하는 수단은 기억수단 및 복수의 승산수단을 구비하고, 이 기억수단은 상기 복수의 원색 영상신호의 진폭계수를 상기 화상표시 시의 표시전류에 따라 출력하고, 이 각 승산수단은 이 기억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진폭계수를 상기 각 원색 영상신호에 승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부기11) 부기8 기재의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이트밸런스를 보정하는 수단은 기억수단을 구비하고, 이 기억수단은 상기 각 조정된 진폭의 원색 영상신호를 상기 복수의 원색 영상신호와 상기 화상표시 시의 표시전류에 따라 출력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부기12) 부기1 기재의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광횟수 또는 강도를 검출하는 수단은 외부의 휘도조정입력으로부터 상기 발광횟수 또는 강도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청구항 4).
(부기13) 부기12 기재의 표시장치에 있어서, 이 표시장치는 상기 외부의 휘도조정입력에 따라 상기 복수의 원색 영상신호의 발광횟수 또는 강도를 제어하는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부기14) 부기13 기재의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이트밸런스를 보정하는 수단은 연산수단 및 복수의 승산수단을 구비하고, 이 연산수단은 상기 복수의 원색 영상신호의 진폭계수를 상기 외부의 휘도조정입력에 따라 연산하고, 이 각 승산수단은 이 연산된 진폭계수를 상기 각 원색 영상신호에 승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부기15) 부기13 기재의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이트밸런스를 보정하는 수단은 기억수단 및 복수의 승산수단을 구비하고, 이 기억수단은 상기 복수의 원색 영상신호의 진폭계수를 상기 외부의 휘도조정입력에 따라 출력하고, 이 각 승산수단은 이 기억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진폭계수를 상기 각 원색 영상신호에 승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부기16) 부기13 기재의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이트밸런스를 보정하는 수단은 기억수단을 구비하고, 이 기억수단은 상기 각 조정된 진폭의 원색 영상신호를 상기 복수의 원색 영상신호와 상기 외부의 휘도조정입력에 따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부기17) 입력된 복수의 원색 영상신호에 대응하여 발광횟수 또는 강도를 제어하여 컬러표시를 행하는 표시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원색 영상신호에 의한 화상의 입력계조레벨에 따라 이 복수의 원색 영상신호에 의한 화상의 출력계조레벨을 조정하여, 이 복수의 원색 영상신호의 발광횟수 또는 강도에 의해 변동하는 화이트밸런스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청구항 5).
(부기18) 부기17 기재의 표시장치에 있어서, 이 표시장치는,
상기 복수의 원색 영상신호에 의한 화상의 입력계조레벨을 검출하는 수단과,
이 검출된 입력계조레벨에 따라 상기 복수의 원색 영상신호의 출력계조레벨을 조정하여 화이트밸런스를 보정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부기19) 부기18 기재의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이트밸런스를 보정하는 수단은, 연산수단 및 복수의 보정수단을 구비하고, 이 연산수단은 계조레벨의 보정계수를 상기 검출된 입력계조레벨에 따라 연산하고, 이 각 보정수단은 이 연산된 보정계수를 사용하여 입력계조레벨을 보정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부기20) 부기18 기재의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이트밸런스를 보정하는 수단은 기억수단 및 복수의 보정수단을 구비하고, 이 기억수단은 계조레벨의 보정계수를 상기 검출된 입력계조레벨에 따라 출력하고, 이 각 보정수단은 이 출력된 보정계수를 사용하여 입력계조레벨을 보정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부기21) 부기18∼20 중의 어느 1항 기재의 표시장치에 있어서, 이 표시장치는,
상기 복수의 원색 영상신호에 의한 화상의 표시율 또는 표시전류를 검출하는 수단과,
이 검출된 표시율 또는 표시전류에 따라 상기 복수의 원색 영상신호의 발광횟수 또는 강도를 제어하는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부기22) 부기1∼21 중의 어느 1항 기재의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원색 영상신호에 의한 발광은 적색, 녹색 및 청색의 3원색 형광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부기23) 부기1∼21 중의 어느 1항 기재의 표시장치에 있어서, 이 표시장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임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부기24) 입력된 복수의 원색 영상신호에 대응하여 발광횟수 또는 강도를 제어하여 컬러표시를 행하고, 이 발광횟수 또는 강도를 검출하는 수단을 구비한 표시장치의 화이트밸런스 보정회로로서,
상기 검출된 발광횟수 또는 강도에 따라 상기 복수의 원색 영상신호의 진폭을 조정하여 화이트밸런스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이트밸런스 보정회로(청구항 6).
(부기25) 부기24 기재의 화이트밸런스 보정회로에 있어서, 이 화이트밸런스 보정회로는,
상기 복수의 원색 영상신호의 진폭계수를 상기 발광횟수 또는 강도에 따라 연산하는 연산수단과,
이 연산된 진폭계수를 상기 각 원색 영상신호에 승산하는 복수의 승산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원색 영상신호의 진폭을 상기 제어된 발광횟수 또는 강도에 따라 조정하여, 이 복수의 원색 영상신호의 발광횟수 또는 강도에 의해 변동하는 화이트밸런스를 보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이트밸런스 보정회로.
(부기26) 부기24 기재의 화이트밸런스 보정회로에 있어서, 이 화이트밸런스 보정회로는,
상기 복수의 원색 영상신호의 진폭계수를 기억하고, 상기 발광횟수 또는 강도에 따라 출력하는 기억수단과,
이 연산된 진폭계수를 상기 각 원색 영상신호에 승산하는 복수의 승산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원색 영상신호의 진폭을 상기 제어된 발광횟수 또는 강도에 따라 조정하여, 이 복수의 원색 영상신호의 발광횟수 또는 강도에 의해 변동하는 화이트밸런스를 보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이트밸런스 보정회로.
(부기27) 부기24 기재의 화이트밸런스 보정회로에 있어서, 이 화이트밸런스 보정회로는,
상기 각 조정된 진폭의 원색 영상신호를 기억하고, 상기 복수의 원색 영상신호와 상기 발광횟수 또는 강도에 따라 출력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원색 영상신호의 진폭을 상기 제어된 발광횟수 또는 강도에 따라 조정하여, 이 복수의 원색 영상신호의 발광횟수 또는 강도에 의해 변동하는 화이트밸런스를 보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이트밸런스 보정회로.
(부기28) 부기24 기재의 화이트밸런스 보정회로에 있어서, 이 화이트밸런스 보정회로는,
상기 각 조정된 진폭의 원색 영상신호를 기억하고, 상기 복수의 원색 영상신호와 상기 발광횟수 또는 강도에 따라 출력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원색 영상신호의 진폭을 상기 제어된 발광횟수 또는 강도에 따라 조정하여, 이 복수의 원색 영상신호의 발광횟수 또는 강도에 의해 변동하는 화이트밸런스를 보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이트밸런스 보정회로.
(부기29) 부기24∼28 중의 어느 1항 기재의 화이트밸런스 보정회로에 있어서, 상기 발광횟수 또는 강도를 검출하는 수단은 상기 복수의 원색 영상신호에 의한 화상의 표시율에서 상기 발광횟수 또는 강도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이트밸런스 보정회로.
(부기30) 부기24∼28 중의 어느 1항 기재의 화이트밸런스 보정회로에 있어서, 상기 발광횟수 또는 강도를 검출하는 수단은 상기 복수의 원색 영상신호에 의한 화상표시 시의 표시전류로부터 상기 발광횟수 또는 강도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이트밸런스 보정회로.
(부기31) 부기24∼28 중의 어느 1항 기재의 화이트밸런스 보정회로에 있어서, 상기 발광횟수 또는 강도를 검출하는 수단은 외부로부터의 휘도조정입력에서 상기 발광횟수 또는 강도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이트밸런스 보정회로.
(부기32) 부기24∼28 중의 어느 1항 기재의 화이트밸런스 보정회로에 있어서, 이 화이트밸런스 보정회로는,
상기 복수의 원색 영상신호의 진폭계수를 상기 발광횟수 또는 강도에 따라 연산하는 연산수단과,
이 연산된 진폭계수를 상기 각 원색 영상신호에 승산하는 복수의 승산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원색 영상신호의 진폭을 상기 제어된 발광횟수 또는 강도에 따라 조정하여, 이 복수의 원색 영상신호의 발광횟수 또는 강도에 의해 변동하는 화이트밸런스를 보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이트밸런스 보정회로.
(부기33) 입력된 복수의 원색 영상신호에 대응하여 발광횟수 또는 강도를 제어하여 컬러표시를 행하고, 이 발광횟수 또는 강도를 검출하는 수단을 구비한 표시장치의 화이트밸런스 보정회로로서,
상기 복수의 원색 영상신호에 의한 화상의 입력계조레벨에 따라 이 복수의 원색 영상신호에 의한 화상의 출력계조레벨을 조정하여, 이 복수의 원색 영상신호의 발광횟수 또는 강도에 의해 변동하는 화이트밸런스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이트밸런스 보정회로(청구항 7).
(부기34) 부기33 기재의 화이트밸런스 보정회로에 있어서, 이 화이트밸런스 보정회로는,
상기 복수의 원색 영상신호에 의한 화상의 입력계조레벨을 검출하는 수단과,
이 검출된 입력계조레벨에 따라 상기 복수의 원색 영상신호의 출력계조레벨을 조정하여 화이트밸런스를 보정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이트밸런스 보정회로.
(부기35) 부기34 기재의 화이트밸런스 보정회로에 있어서, 이 화이트밸런스 보정회로는,
계조레벨의 보정계수를 상기 검출된 입력계조레벨에 따라 연산하는 연산수단과,
이 연산된 보정계수를 사용하여 입력계조레벨을 보정처리하는 복수의 보정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이트밸런스 보정회로.
(부기36) 부기34 기재의 화이트밸런스 보정회로에 있어서, 이 화이트밸런스 보정회로는,
계조레벨의 보정계수를 상기 검출된 입력계조레벨에 따라 출력하는 기억수단과,
이 출력된 보정계수를 사용하여 입력계조레벨을 보정처리하는 복수의 보정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이트밸런스 보정회로.
(부기37) 부기34∼36 중의 어느 1항 기재의 화이트밸런스 보정회로에 있어서, 이 화이트밸런스 보정회로는,
상기 복수의 원색 영상신호에 의한 화상의 표시율 또는 표시전류를 검출하는 수단과 이 검출된 표시율 또는 표시전류에 따라 상기 복수의 원색 영상신호의 발광횟수 또는 강도를 제어하는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이트밸런스 보정회로.
(부기38) 부기24∼37 중의 어느 1항 기재의 화이트밸런스 보정회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원색 영상신호에 의한 발광은 적색, 녹색 및 청색의 3원색 형광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이트밸런스 보정회로.
(부기39) 부기24∼37 중의 어느 1항 기재의 화이트밸런스 보정회로에 있어서, 상기 표시장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이트밸런스 보정회로.
(부기40) 입력된 복수의 원색 영상신호에 대응하여 휘도를 제어하여 컬러표시를 행하는 표시장치의 화이트밸런스 보정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원색 영상신호의 진폭비를 상기 원색 영상신호의 휘도에 따라 설정하여, 이 휘도에 의한 화이트밸런스의 변동을 억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이트밸런스 보정방법(청구항 8).
(부기41) 입력된 복수의 원색 영상신호에 대응하여 발광횟수 또는 강도를 제어하여 컬러표시를 행하는 표시장치의 화이트밸런스 보정방법으로서,
상기 발광횟수 또는 강도를 검출하고,
이 검출된 발광횟수 또는 강도에 따라 상기 복수의 원색 영상신호의 진폭을 조정하여 화이트밸런스를 보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이트밸런스 보정방법.
(부기42) 부기41의 화이트밸런스 보정방법에 있어서, 상기 발광횟수 또는 강도의 검출은 상기 복수의 원색 영상신호에 의한 화상의 표시율에서 구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이트밸런스 보정방법.
(부기43) 부기42의 화이트밸런스 보정방법에 있어서, 이 화이트밸런스 보정방법은, 또한 상기 복수의 원색 영상신호의 발광횟수 또는 강도를 상기 화상의 표시율에 따라 제어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이트밸런스 보정방법.
(부기44) 부기41의 화이트밸런스 보정방법에 있어서, 상기 발광횟수 또는 강도의 검출은 상기 복수의 원색 영상신호에 의한 화상표시 시의 표시전류에서 구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이트밸런스 보정방법.
(부기45) 부기44의 화이트밸런스 보정방법에 있어서, 이 화이트밸런스 보정방법은, 또한 상기 복수의 원색 영상신호의 발광횟수 또는 강도를 상기 화상표시 시의 표시전류에 따라 제어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이트밸런스 보정방법.
(부기46) 부기41의 화이트밸런스 보정방법에 있어서, 상기 발광횟수 또는 강도의 검출은 외부의 휘도조정입력으로부터 구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이트밸런스 보정방법.
(부기47) 부기46의 화이트밸런스 보정방법에 있어서, 이 화이트밸런스 보정방법은, 또한 상기 복수의 원색 영상신호의 발광횟수 또는 강도를 상기 외부로부터의 휘도조정입력에 따라 제어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이트밸런스 보정방법.
(부기48) 입력된 복수의 원색 영상신호에 대응하여 발광횟수 또는 강도를 제어하여 컬러표시를 행하는 표시장치의 화이트밸런스 보정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원색 영상신호에 의한 화상의 입력계조레벨에 따라, 이 복수의 원색 영상신호에 의한 화상의 출력계조레벨을 조정하여, 이 복수의 원색 영상신호의 발광횟수 또는 강도에 의해 변동하는 화이트밸런스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이트밸런스 보정방법.
(부기49) 부기48의 화이트밸런스 보정방법에 있어서, 이 화이트밸런스 보정방법은,
상기 복수의 원색 영상신호에 의한 화상의 입력계조레벨을 검출하고,
이 검출된 입력계조레벨에 따라, 상기 복수의 원색 영상신호의 출력계조레벨을 조정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이트밸런스 보정방법.
(부기50) 부기48의 화이트밸런스 보정방법에 있어서, 이 화이트밸런스 보정방법은, 또한 상기 복수의 원색 영상신호의 발광횟수 또는 강도를 상기 화상의 표시율 또는 표시전류에 따라 제어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이트밸런스 보정방법.
(부기51) 입력된 복수의 원색 영상신호에 대응하여 휘도를 제어하여 컬러표시를 행하는 표시장치의 화이트밸런스 보정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원색 영상신호의 진폭비를 상기 원색 영상신호의 휘도에 따라 설정하여, 이 휘도에 의한 화이트밸런스의 변동을 억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이트밸런스 보정방법.
(부기52) 부기51에 기재의 화이트밸런스 보정방법에 있어서, 상기 원색 영상신호의 휘도는 이 원색 영상신호의 발광횟수 또는 강도에 의해 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이트밸런스 보정방법.
(부기53) 부기51 또는 52 기재의 화이트밸런스 보정방법을 적용하고, 상기 복수의 원색 영상신호를 발광체에 의해 컬러표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이트밸런스 보정방법.
(부기54) 복수의 원색 영상신호를 사용하여 컬러표시를 행하는 표시장치의 화이트밸런스 보정회로로서,
상기 각 원색 영상신호의 진폭을 조정하는 조정수단과,
상기 복수의 원색 영상신호의 진폭을 보정하기 위한 신호진폭비를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이 기억수단에 기억된 신호진폭비를 상기 조정수단에 설정하는 설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원색 영상신호의 진폭비를 이 원색 영상신호의 발광횟수 또는 강도에 따라 설정하여, 이 복수의 원색 영상신호의 발광횟수 또는 강도에 의해 변동하는 화이트밸런스를 보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이트밸런스 보정회로.
(부기55) 복수의 원색 영상신호를 사용하여 컬러표시를 행하는 표시장치의 화이트밸런스 보정회로로서,
상기 각 원색 영상신호의 진폭을 조정하는 조정수단과,
상기 복수의 원색 영상신호의 발광횟수 또는 강도에서 이 각 원색 영상신호의 진폭비를 연산하는 연산수단과,
이 연산수단으로 산출된 진폭비를 이 조정수단에 설정하는 설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원색 영상신호의 진폭비를 이 원색 영상신호의 발광횟수 또는 강도에 따라 설정하여, 이 복수의 원색 영상신호의 발광횟수 또는 강도에 의해 변동하는 화이트밸런스를 보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이트밸런스 보정회로.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발광횟수나 강도에 관계없이 화이트밸런스를 유지할 수 있다.

Claims (5)

  1. 복수의 원색 영상 신호에 의해 칼라 표시를 수행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 방법으로서,
    표시 영상의 화질을 조정하기 위한 정보가 입력되는 단계와,
    상기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서브 필드에서의 유지 펄스 수를 변경하는 단계와,
    상기 유지 펄스 수가 변경된 경우, 상기 복수의 원색 영상 신호 중 적어도 하나가 1개의 원색 영상 신호의 계조 레벨을 변경하는 단계와,
    상기 계조 레벨이 변경된 원색 영상 신호를 이용하여 영상 표시하는 단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상의 화질을 조정하기 위한 정보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상의 화질을 조정하기 위한 정보는, 입력된 영상 신호의 표시율을 이용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상의 화질을 조정하기 위한 정보는, 원색 영상 신호마다의 정보가 아닌, 1개의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계조 레벨의 변경은, 상기 원색 영상 신호의 진폭에 대하여 소정의 계수를 승산한 것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 방법.
KR1020070023893A 2000-03-08 2007-03-12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 방법 KR1007639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63991A JP3939066B2 (ja) 2000-03-08 2000-03-08 カラー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JP-P-2000-00063991 2000-03-08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7055A Division KR100725165B1 (ko) 2000-03-08 2000-12-15 화이트밸런스 보정회로 및 보정방법, 및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8666A KR20070048666A (ko) 2007-05-09
KR100763988B1 true KR100763988B1 (ko) 2007-10-08

Family

ID=18583764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7055A KR100725165B1 (ko) 2000-03-08 2000-12-15 화이트밸런스 보정회로 및 보정방법, 및 표시장치
KR1020070023891A KR100769117B1 (ko) 2000-03-08 2007-03-12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 방법
KR1020070023893A KR100763988B1 (ko) 2000-03-08 2007-03-12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7055A KR100725165B1 (ko) 2000-03-08 2000-12-15 화이트밸런스 보정회로 및 보정방법, 및 표시장치
KR1020070023891A KR100769117B1 (ko) 2000-03-08 2007-03-12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5) US7439941B1 (ko)
EP (2) EP1906379A3 (ko)
JP (1) JP3939066B2 (ko)
KR (3) KR100725165B1 (ko)
TW (1) TW50366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39066B2 (ja) 2000-03-08 2007-06-27 富士通日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株式会社 カラー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864912B1 (ko) * 2001-05-25 2008-10-22 충화 픽처 튜브스, 엘티디. 동적인 색온도 및 색편차 교정방법
KR100432666B1 (ko) * 2001-08-24 2004-05-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장치 및 구동방법
KR20030067930A (ko) 2002-02-09 2003-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이트 밸런스 보상방법 및장치
JP5049445B2 (ja) * 2002-03-15 2012-10-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KR100482326B1 (ko) 2002-03-18 2005-04-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구동방법
US7742019B2 (en) 2002-04-26 2010-06-22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hnology Co., Ltd. Drive method of el display apparatus
JP4559847B2 (ja) 2002-04-26 2010-10-13 東芝モバイルディスプレイ株式会社 有機発光素子を用いた表示装置
JP4423848B2 (ja) * 2002-10-31 2010-03-03 ソニー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および、その色バランス調整方法
KR20040041940A (ko) 2002-11-12 2004-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JP2005025058A (ja) * 2003-07-04 2005-01-27 Pioneer Electronic Corp 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525737B1 (ko) 2003-09-26 2005-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장치 및 구동방법
KR100603295B1 (ko) * 2003-10-15 2006-07-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패널 구동 방법 및 장치
JP4058420B2 (ja) 2004-02-19 2008-03-12 キヤノン株式会社 映像信号補正方法及び映像信号補正装置
EP1615196A1 (en) 2004-07-09 2006-01-11 Deutsche Thomson-Brandt Gmbh Method and device for driving a display device with line-wise dynamic addressing
EP1622119A1 (en) 2004-07-29 2006-02-01 Deutsche Thomson-Brandt Gmbh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level control and/or contrast control of a display device
EP1624438B1 (en) * 2004-07-29 2010-09-22 Thomson Licen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level control and/or contrast control of a display device
CN100492464C (zh) * 2004-08-05 2009-05-27 富士通日立等离子显示器股份有限公司 平面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KR100648310B1 (ko) * 2004-09-24 2006-11-23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의 휘도 정보를 이용한 색변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디스플레이 장치
JP4539492B2 (ja) * 2004-11-19 2010-09-08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クライト装置、バックライト駆動方法及び液晶表示装置
KR100705831B1 (ko) * 2005-05-09 2007-04-09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화상처리 방법
JP2007025635A (ja) * 2005-06-17 2007-02-01 Fujitsu Hitachi Plasma Display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の処理方法
KR20070031756A (ko) * 2005-09-15 2007-03-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자방출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US20070085785A1 (en) * 2005-10-13 2007-04-19 Tohoku Pioneer Corporation Drive apparatus and drive method for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KR100839378B1 (ko) 2006-03-29 2008-06-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CN101410883B (zh) 2006-04-14 2011-05-04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驱动显示面板的驱动装置、驱动方法和ic芯片
CN101443834B (zh) 2006-05-24 2012-06-20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色温度补正装置及显示装置
KR100830465B1 (ko) * 2006-06-01 2008-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이트 밸런스 조정 방법 및 장치
JP4924009B2 (ja) * 2006-12-22 2012-04-25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画像処理装置
KR20080101700A (ko) * 2007-05-18 2008-11-21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표시 장치,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TWI466093B (zh) * 2007-06-26 2014-12-21 Apple Inc 用於視訊播放的管理技術
KR20090011071A (ko) * 2007-07-25 2009-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897141B1 (ko) * 2007-11-06 2009-05-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자방출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101139208B1 (ko) * 2008-12-11 2012-04-26 파나소닉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 방법
KR101065406B1 (ko) * 2010-03-25 2011-09-16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표시 장치, 영상 신호 보정 시스템, 및 영상 신호 보정 방법
JP2012155944A (ja) * 2011-01-25 2012-08-16 Rohm Co Ltd 発光駆動装置、照明装置、表示装置
JP2013127774A (ja) * 2011-11-16 2013-06-27 Canon Inc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TW201407579A (zh) * 2012-08-09 2014-02-16 Sony Corp 色信號處理電路、色信號處理方法、顯示裝置及電子機器
KR102014852B1 (ko) * 2013-08-30 2019-08-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화질 보상장치 및 보상방법
KR102197632B1 (ko) 2014-04-28 2021-01-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CN106023929B (zh) * 2016-07-20 2018-08-24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显示装置的白平衡调整方法及其系统
JP2019126025A (ja) * 2018-01-15 2019-07-25 キヤノン株式会社 色変換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11158285B2 (en) * 2018-01-15 2021-10-26 Canon Kabushiki Kaisha Color conversion processor, control method thereof and storage medium
KR20210156928A (ko) * 2020-06-18 2021-12-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1642A (ja) * 1994-08-08 1996-02-20 Fujitsu General Ltd 白バランス補正装置
JPH09281927A (ja) * 1996-04-19 1997-10-31 Fujitsu General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05317A (en) * 1977-02-25 1978-09-13 Hitachi Ltd Luminance adjusting circuit
FR2596941B1 (fr) * 1986-04-04 1988-06-17 Sfena Procede et dispositif de correction gamma pour tube cathodique multichrome
JP3002490B2 (ja) 1990-02-16 2000-01-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駆動回路,表示装置及び表示方法
JP2748678B2 (ja) 1990-10-09 1998-05-1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階調補正方法および階調補正装置
JPH04367189A (ja) * 1991-06-13 1992-12-18 Pioneer Electron Corp ホワイトバランス調整装置
JPH05127620A (ja) * 1991-11-06 1993-05-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液晶投写型カラーデイスプレイの調整方法および調整回路
KR0109898Y1 (en) * 1993-06-21 1997-11-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White balance compensation circuit for color crt
US5943032A (en) * 1993-11-17 1999-08-24 Fujitsu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gray scale of plasma display device
JPH089415A (ja) 1994-06-23 1996-01-12 Pioneer Electron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輝度及びホワイトバランス調整装置
JP2720801B2 (ja) 1994-10-27 1998-03-04 日本電気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およ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駆動装置
JP3309593B2 (ja) * 1994-10-28 2002-07-2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
JPH08223507A (ja) * 1995-02-20 1996-08-30 Fujitsu General Ltd 映像信号振幅制限回路
JP3470440B2 (ja) * 1995-02-28 2003-11-25 ソニー株式会社 ランプ信号生成方法、ランプ信号生成装置、液晶駆動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JP3891499B2 (ja) * 1995-04-14 2007-03-14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における輝度調整装置
JPH09319331A (ja) 1996-05-28 1997-12-12 Fujitsu General Ltd 表示装置における蛍光体の表示特性補正回路
JPH1013848A (ja) * 1996-06-20 1998-01-16 Fujitsu General Ltd Pdpの白バランス調整方式
KR980010984A (ko) * 1996-07-02 1998-04-30 구자홍 플라즈마 표시장치의 화이트 밸런스 구현방법
JPH1039829A (ja) 1996-07-18 1998-02-13 Fujitsu General Ltd ディスプレイ装置の階調歪み補正回路
JP3703247B2 (ja) 1997-03-31 2005-10-05 三菱電機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駆動方法
JPH10333639A (ja) * 1997-05-29 1998-12-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画像表示装置
EP0896317B1 (en) * 1997-08-07 2008-05-28 Hitachi, Ltd. Color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US6741227B2 (en) * 1997-08-07 2004-05-25 Hitachi, Ltd. Color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KR100508964B1 (ko) * 1998-01-23 2005-1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표시장치의 서스테인 펄스 인가방법
JP2000010522A (ja) 1998-06-19 2000-01-14 Pioneer Electron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輝度制御方法および装置
JP2000020013A (ja) 1998-06-30 2000-01-21 Fujitsu General Ltd 映像信号処理装置
JP2000066644A (ja) * 1998-08-25 2000-03-03 Sony Corp プラズマアドレス型液晶表示装置の駆動装置
JP3939066B2 (ja) 2000-03-08 2007-06-27 富士通日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株式会社 カラー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3029688A (ja) * 2001-07-11 2003-01-31 Pioneer Electronic Corp 表示パネルの駆動方法
JP2004294572A (ja) * 2003-03-26 2004-10-21 Pioneer Electronic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駆動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1642A (ja) * 1994-08-08 1996-02-20 Fujitsu General Ltd 白バランス補正装置
JPH09281927A (ja) * 1996-04-19 1997-10-31 Fujitsu General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공개특허공보 평08-051642호(1996.02.20) 1부
일본공개특허공보 평09-281927호(1997.10.3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8666A (ko) 2007-05-09
KR20010088300A (ko) 2001-09-26
JP2001255843A (ja) 2001-09-21
US8704735B2 (en) 2014-04-22
KR100725165B1 (ko) 2007-06-07
TW503667B (en) 2002-09-21
KR20070048665A (ko) 2007-05-09
EP1906379A3 (en) 2008-12-03
EP1906379A2 (en) 2008-04-02
EP1164562A2 (en) 2001-12-19
US20080068405A1 (en) 2008-03-20
EP1164562A3 (en) 2005-04-06
US8035578B2 (en) 2011-10-11
US20110316895A1 (en) 2011-12-29
US20130010011A1 (en) 2013-01-10
US8223174B2 (en) 2012-07-17
JP3939066B2 (ja) 2007-06-27
US20090040148A1 (en) 2009-02-12
KR100769117B1 (ko) 2007-10-22
US7439941B1 (en) 2008-10-21
US8405577B2 (en) 2013-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398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 방법
KR100619483B1 (ko) 표시 패널의 구동방법 및 패널 표시장치
JP5049445B2 (ja) 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KR100512104B1 (ko) 표시 장치의 계조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050052815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장치 및 방법
JP2006163283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0508937B1 (ko) 고효율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의 계조 표현 방법및 그 방법을 사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장치
KR10059974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장치 및 그 계조 표현방법
US20060125723A1 (en) Plasma display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JP5262896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の表示方法
KR10050598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비디오 데이터 처리 방법 및장치
JP4268988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の表示方法
JP4310346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の表示方法
JPH08179724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およ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駆動装置
JP4393157B2 (ja) 色温度変化補償方法、画像表示方法、及びプラズマ表示装置
KR20050060228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비디오 데이터 처리 방법 및장치
KR20060066760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상처리 장치 및 그의화상처리 방법
JP2005308949A (ja) 画像表示方法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101431620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역감마 보정방법
KR10062547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화상처리 방법
KR20070072121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화상처리 방법
KR20070072122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화상처리 방법
JP2009003461A (ja) 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