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1978B1 - 작업차의 캐빈용 공조 구조 - Google Patents

작업차의 캐빈용 공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1978B1
KR100751978B1 KR1020060025907A KR20060025907A KR100751978B1 KR 100751978 B1 KR100751978 B1 KR 100751978B1 KR 1020060025907 A KR1020060025907 A KR 1020060025907A KR 20060025907 A KR20060025907 A KR 20060025907A KR 100751978 B1 KR100751978 B1 KR 1007519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abin
conditioning unit
air condition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5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5932A (ko
Inventor
노부시게 이찌까와
쇼오따 나가사와
다이스께 이나바
히사오 무까이
아야 모또끼
겐이찌 사또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5251644A external-priority patent/JP452822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251645A external-priority patent/JP444348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251643A external-priority patent/JP4443485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070025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59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19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19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357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 B60H1/00378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for tractor or load vehicle cabi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A45D2200/056Reciprocating pumps, i.e. with variable volume chamber wherein pressure and vacuum are alternately gen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2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HVAC devices with respect to the passenger compartment
    • B60H2001/00235Devices in the roof area of the passenger compart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프론트 로더 작업을 행할 때의 작업 부위를 용이하게 눈으로 확인을 행할 수 있는 것을 제공하는 것이다.
캐빈(1)의 루프부(7)에 공조용 덕트(15)와, 공기에 조정을 부가하여 공조용 덕트(15)에 그 조정된 공기를 송입하는 공조 유닛(A)을 배치한다. 공조 유닛(A)을 운전석(12)의 착좌부의 후단부보다 기체 후방측에 배치한다. 캐빈(1)을 구성하는 프레임(B) 중 루프부(7)의 후방부에 배치되어 있는 횡프레임(6B) 근방에 상기 공조 유닛(A)을 부착하고 있다.
캐빈, 루프부, 공조용 덕트, 증발기, 시로코 팬

Description

작업차의 캐빈용 공조 구조{CABIN FOR WORK VEHICLE}
도1은 트랙터의 전체 측면도.
도2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프레임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3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캐빈 내의 종단 측면도.
도4는 도2에 있어서의 내측 루프부의 외측 루프측으로부터 본 내면을 도시하는 횡단 평면도.
도5는 루프부의 횡측부에 배치된 덕트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6은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프레임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7은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공조 유닛의 부착 구조를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
도8은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프레임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9는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공조 유닛의 부착 구조를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
도10은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프레임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11은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공조 유닛의 부착 구조를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
도12는 공조 덕트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횡단 평면도.
도13은 공조 덕트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횡단 평면도.
도14는 도13에 있어서의 공조 덕트의 배치 구성을 도시하는 배면도.
도15는 상부 프레임을 덕트에 겸용한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
도16a는 전방 지지 기둥의 상단부를 전후 배향 프레임보다 높게 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16b는 도16a에 있어서의 조종자의 전방 상방 시야를 나타내는 원리도.
도17a는 전방 지지 기둥의 상단부를 전후 배향 프레임의 전단부보다 후방에 위치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17b는 도17a에 있어서의 조종자의 전방 상방 시야를 나타내는 원리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캐빈
6A : 전후 배향 프레임
6B : 횡프레임
6C : 공조 유닛 부착 부분
7 : 루프부
12 : 운전석
15 : 공조용 덕트
20 : 증발기
21 : 히터
23 : 송풍용 팬
25 : 전방면 윈도우
31 : 커버체
A : 공조 유닛
B : 프레임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5-1537호 공보
본 발명은 운전석을 캐빈 내에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캐빈의 루프부에 공조용 덕트와, 공기 조정을 행하여 상기 공조용 덕트에 그 조정된 공기를 송입하는 공조 유닛을 배치하고 있는 작업차의 캐빈용 공조 구조에 관한 것이다.
공조 유닛을 배치하기 위해, 루프부의 전반부를 하향으로 팽출하는 하향 천정부에 형성하는 동시에, 그 하향 천정부의 전단부에 공조 유닛을 배치하고 있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5-1537호 공보(단락 번호[0016], 도1, 도2)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공조 유닛을 수납하기 위해 루프부를 하향 천정부에 형성하고 있으므로, 전방 상방 시야가 좁혀질 우려가 있었다. 그렇게 하면, 프론 트 로더 작업을 행할 때에, 운전석에 앉은 상태에서는 버킷으로 퍼올린 작업 부위의 확인이 어려운 면이 있으므로, 작업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조 유닛의 배치 구성에 연구를 집중시킴으로써, 전방 상방 시야의 양호화를 도모한 작업차의 캐빈용 공조 구조를 제공하는 점에 있다.
본원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공조 유닛을 상기 운전석의 착좌부의 후단부보다 기체(機體) 후방측에 배치하고, 상기 캐빈을 구성하는 프레임 중 상기 루프부의 후방부에 배치되어 있는 횡프레임의 근방에 배치하고 있는 점에 있다.
공조 유닛을 상기 운전석의 착좌부(즉 착좌하는 부분의 상면)의 후단부보다 기체 후방측에 배치하는 것으로 하였으므로, 캐빈의 루프부에 있어서의 전방부측에 공조 유닛을 수납하기 위해 부분을 형성할 필요가 없어 전방면 윈도우의 높이를 높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전방 상방 시야를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었다.
게다가, 공조 유닛 위치가 운전석의 착좌부의 후단부 위치보다 기체 후방측에 설정되어 있으므로, 운전석에 착좌한 운전자의 전방 시야를 좁히게 되지 않아 머리위 공간을 좁히는 것을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적합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횡프레임에 공조 유닛 부착 부분을 구비하여, 이 공조 유닛 부착 부분을 상기 횡프레임에 인접하는 양 옆의 프레임의 상단부보다 낮게 배치하고, 또한 상기 공조 유닛 부착 부분의 상측에 상기 공조 유닛을 부착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공조 유닛의 부착 높이를 높게 하는 일이 없어 루프부의 높이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횡프레임에 인접하는 양 옆의 프레임은 상기 횡프레임과 연결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프레임이라도 좋고, 상기 횡프레임과 연결된 전후 배향으로 연장되는 프레임이라도 좋다.
적합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공조 유닛은 상기 횡프레임의 전방측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적합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횡프레임에 공조 유닛 부착 부분을 구비하고, 이 공조 유닛 부착 부분을 상기 횡프레임에 인접하는 양 옆의 프레임보다 높게 배치하고, 또한 상기 공조 유닛 부착 부분의 하측에 상기 공조 유닛을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구성에 의해, 운전자의 머리위 공간이 좁혀지지는 않는다.
적합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공조 유닛을 상기 횡프레임의 후방측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공조 유닛을 횡프레임보다 더욱 기체 후방측에 위치시키고 있으므로, 운전석에 앉은 조종자로부터 횡프레임까지의 후방 공간에 공조 유닛을 배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그 부분의 천정면을 높게 취할 수 있어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적합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공조 유닛의 기체 전방측에서 기체 좌우 측방 위치에 각각 상기 공조용 덕트를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적합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공조 유닛의 기체 전방측에서 기체 좌우 방향 중간 위치에 주(主) 공조 덕트를 기체 전후 배향 자세로 배치하는 동시에, 상기 주 공조 덕트로부터 좌우 방향을 향해 분기 공조 덕트를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 다.
적합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공조용 덕트는 상기 공조 유닛의 전방측에 있어서 상기 캐빈의 좌우 단부 근방에 연장되는 폭을 갖고, 상기 공조 유닛의 전방으로부터 상기 캐빈의 전단부 근방까지 연장되는 길이를 갖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적합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외기를 취입하는 외기 도입구를 상기 공조 유닛의 후방에 배치하고, 상기 외기 도입구를 상기 공조 유닛에 연통시키는 외기 도입 덕트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적합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외기를 취입하는 외기 도입구를 상기 공조 유닛의 횡측방에 배치하고, 상기 외기 도입구를 상기 공조 유닛에 연통시키는 외기 도입 덕트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루프부의 횡측방측으로 돌출된 차양부를 구비하고, 상기 외기 도입구를 상기 차양부에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적합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캐빈 내의 공기를 상기 공조 유닛에 도입하는 내기 도입 덕트를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내기 도입 덕트를 상기 외기 도입 덕트에 연통 접속하여, 상기 연통 접속 부위에 내기를 상기 공조 유닛에 도입하는 상태와 외기를 상기 공조 유닛에 도입하는 상태로 절환하는 밸브 기구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밸브 기구의 절환 조작에 의해, 먼지가 일어나기 쉬운 경운 작업시 등에 있어서는 내기를 순환시키고, 노상 주행시에는 외기를 취입하는 등의 사용 방법이 가능하다.
적합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공조 유닛에 송풍용 팬, 증발기 및 히터를 구비하고, 기체의 좌우 한쪽에 송풍용 팬을 배치하고, 좌우 다른 쪽에 증발기와 히터를 기체 전후 방향에 인접하는 상태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송풍용 팬, 증발기 및 히터를 상하 방향이 아닌 좌우 횡배열로 배치하고 있으므로, 공조 유닛으로서 높이를 억제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게다가, 용적량이 큰 송풍용 팬에 대해 그 팬에 비교하여 용적량이 작은 증발기 및 히터를 병설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므로, 기체 전후 방향 및 기체 횡방향에 있어서도 콤팩트한 배치 구성으로 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와 같이 팬으로부터의 공기를 받아 공조를 실시하는 증발기 및 히터를 인접하는 상태로 배치할 수 있으므로, 팬과 증발기가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필요해지는, 팬으로부터의 공기를 증발기 등으로 유도하는 배관 등을 필요로 하지 않고, 공조 유닛을 루프부에 수납하는 것에 상응하는 구성의 것으로 할 수 있었다.
적합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공조 유닛의 송풍용 팬을 상기 횡프레임의 공조 유닛 부착 부분의 상측 또는 후방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합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캐빈을 구성하는 골조 프레임(framework frame) 중 전방면 윈도우를 지지하는 좌우의 전방 지지 기둥의 상단부를 상기 전방 지지 기둥의 하단부보다 후방에 위치하도록 구성하는 동시에, 상기 전방면 윈도우의 상단부 위치를 사이드 윈도우의 전단부 위치보다 후방에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운전석에 착좌한 조종자의 전방 시야의 올려다봄 각도를 크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프론트 로더 작업을 행할 때의 작업 부위의 확인이 용이해진다.
농업용 트랙터를 작업차의 일예로서 설명한다. 농업용 트랙터의 캐빈(1)은 도1 및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골조를 구성하는 프레임(B)의 종배향 프레임(2)과 그 종배향 프레임(2)으로 둘러싸인 부분을 덮는 투명 글래스면을 구비한 승강용 사이드 도어(3), 후방 사이드 윈도우(4), 후방면 윈도우(5)를 구비하고, 각 종배향 프레임(2)의 상면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는 환형의 상부 프레임(upper frame)(6)과 그 상부 프레임(6)에 적재되는 루프부(7)로 구성되어 있다.
캐빈(1) 내에는 운전 조종부(8)가 설치되어 있고, 그 운전 조종부(8)에는 엔진 보닛(9)측에 위치하는 핸들 포스트(10)에 조종 핸들(11)이 설치되어 있고, 핸들 포스트(10)의 후방에 운전석(12)이 배치되어 있다. 운전석(12)의 착좌부의 후단부는 운전자가 앉는 부분의 상면의 후단부를 의미한다. 또한, 착좌부의 후단부는, 운전석(12)이 시트부와 등받침(back rest) 부분이 별개 부재인 경우, 시트부의 후단부를 의미하는 것도 가능하다.
루프부(7)에는 캐빈(1) 내를 공조하는 공조 유닛(A)이 배치되어 있다.
[제1 실시 형태]
이후, 공조 유닛(A)의 부착 형태의 차이에 따라서 설명해 간다. 우선, 제1 실시 형태로서, 도2 및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조 유닛(A)이 프레임(B)을 구성하도록 종배향 프레임(2)의 상면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는 환형의 상부 프레임(6)의 후단부의 상방측에 위치하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것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에, 환형의 상부 프레임(6)에 있어서의 루프부(7)에 있어서의 후방부에 위치하는 후방 프레임 부분(6B)을 횡프레임이라 한다.
공조 유닛(A)을 부착하는 프레임(B)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형의 상부 프레임(6)에 있어서의 전후 배향 프레임 부분(6A)과 횡프레임으로서의 후방 프레임 부분(6B)과의 접속 구부러짐 부분에 좌우의 종배향 프레임(2, 2)을 수직 설치하여 후방 사이드 윈도우(4)의 창 프레임에 겸용하는 동시에, 양 종배향 프레임(2, 2)에 걸쳐서 또한 후방부 프레임 부분(6B)보다 한층 낮아진 높이 위치에 지지 프레임(6C)을 가설하고 있다.
이 지지 프레임(6C)의 상면과 이 지지 프레임(6C)을 지지하는 양 옆의 종배향 프레임(2, 2) 사이에 삽입하는 상태로 공조 유닛(A)을 적재하고 있다. 여기에, 지지 프레임(6C)을 공조 유닛 부착 부분이라 한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프레임(6C)의 상면에 좌우 한 쌍의 브래킷(16, 16)이 전후 배향 자세로 부착되는 동시에, 상기 유닛 케이스(24)로 둘러싸인 공조 유닛(A)이 좌우의 브래킷(16, 16) 상에 볼트로 적재 고정되어 있다.
루프부(7)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3 내지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루프부(7)는 외측 루프부(13)와 내측 루프부(14)로 이루어지고, 각각 상부 프레임(6)에 부착 지지되어 있다. 내측 루프부(14)는 수지의 일체 성형품으로, 운전석(12)의 상방에 위치하는 후반부는 하향으로 팽출한 하향 천정부에 형성되어 있고, 이 하향 천정부에 공조 유닛(A)을 수납하고 있다.
도2 및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 루프부(13)는 상부 프레임(6)의 상면에 적재되고, 그 적재면보다 넓은 평판 형상의 것이다. 외측 루프부(13)의 하향면에는 링 형상으로 형성된 직사각형 단면의 밀봉 링(19)을 장착하고 있고, 외측 루프부(13)를 상부 프레임(6) 상에 적재한 상태에서 밀봉 링(19)의 단면의 일부가 그 상부 프레임(6)의 상면에 접촉하여 외부와의 공기의 유통을 차단한다.
도3 내지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 루프부(13)의 상부 프레임(6)의 양 횡측방으로 돌출되는 횡배향 차양부(13E)의 하향면에는 외기 도입구(13B, 13B)가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밀봉 링(19)의 내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상기한 외기 도입구(13B)에 연통하는 외기 공급구(13C)를 형성하고 있다. 도면 중 33은 외기 도입구(13B)에 설치되어 있는 방진 필터이다.
외기 도입구(13B)로부터 취입된 외기는 외측 루프부(13)의 2중벽 내에 형성된 외기 도입 덕트로서의 연통로(b)를 통해 기체 전방측으로 유도되고, 상기 연통로(b)의 기체 전방측에 형성된 외기 공급구(13C)로부터 후기하는 공조 유닛(A)으로 통하는 공간(a)에 내뿜도록 구성되어 있다.
내측 루프부(14)의 내부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1 내지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조 유닛(A)은 증발기(20)와 그 전방에 위치하는 히터(21)를 구비하고, 증발기(20)는 도시하지 않은 압축기, 팽창 밸브, 콘덴서 등과 협동하여 냉매 순환 회로를 구성하고 있다. 히터(21)는 엔진 보닛(9) 내의 라디에이터(22)와 배관으로 연결되어 있다.
증발기(20)의 우측 측방에는 상기한 외기 공급구(13C)로부터 취입한 외기를 증발기(20)와 히터(21)를 향해 송입하는 시로코 팬(sirocco fan)(23)이 설치되어 있다.
외기 공급구(13C)로부터 도입된 외기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 루프부(13)의 하향면과 내측 루프부(14) 사이에 형성된 공간(a)을 유통로로 하여, 유닛 케이스(24)로 둘러싸인 시로코 팬(23)의 유도 구멍(24a)까지 흡인 유도된다.
도3 내지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증발기(20)와 시로코 팬(23)은 유닛 케이스(24)에 의해 둘러싸여 있고, 유닛 케이스(24)에 연속되는 상태에서 증발기(20)의 양측단부로부터 기체 전방측을 향해 공조 유닛(A)으로부터의 공조된 공기를 좌우 횡측단부로 유도하는 횡배향 자세의 후방 공조 덕트(15A)를 설치하고 있는 동시에, 후방 공조 덕트(15A)의 양측단부로부터 전방을 향해 횡공조 덕트(15B, 15B)가 연장 돌출되어 있다.
좌우의 횡공조 덕트(15B, 15B)에 대해 설명한다. 도3 내지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각각의 횡공조 덕트(15B, 15B)에는 내부 배향의 취출구(15b, 15b)가 마련되어 있고, 후방측 취출구(15b, 15b)가 운전자의 얼굴 근처로 적량의 시원한 바람을 보내는 위치 설정으로 되어 있다. 한편, 횡공조 덕트(15B, 15B)의 전단부에는 캐빈(1)의 전방면 윈도우(25)를 향해 공조풍을 내뿜는 전방측 하향의 취출구(15a, 15a), 그 취출구(15a, 15a)의 후방에 도어 글래스를 향해 성에 제거풍을 내뿜는 취출구(15d)가 형성되어 있다.
도2 및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 공조 덕트(15A)의 양측단부로부터 후방측을 향해 분기 덕트(15C, 15C)가 연장 돌출되어 있고, 연장 돌출단부에 후방 사 이드 윈도우(4), 후방면 윈도우(5)에 공조풍을 내뿜는 취출구(15c, 15c)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한 횡공조 덕트(15B) 등은 내측 루프부(14) 내에 위치하고 있고,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 루프부(14)의 양측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하향 천정부 내에 설치되어 있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 루프부(14)의 공조 유닛(A)의 수납부로부터 기체 전방측에는 캐빈 내의 공기를 취입하기 위해 순환구(14A)를 구비하고 있다. 순환구(14A)는 하측 내측 루프부(14b)의 하향 천정부를 형성하는 경사면의 상면으로부터 상향으로 유닛 케이스(24)를 따라 벽면을 수직 상승하여, 그 수직 상승된 부분(14c)의 상단부에 있어서의 수평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 상측 내측 루프부(14a)의 수직 상승 부분(14c)을 내기 도입 덕트라 한다.
한편, 외기 공급구(13C)와 순환구(14A)는 상하로 마주 향하는 상태에 위치하고 있고, 양자 사이에는 외기 공급구(13C)와 순환구(14A)를 개폐하는 밸브 기구로서는 개폐 밸브 부재(17)를 설치하고 있다. 외기 도입구(13B)를 통해, 외기를 내측 루프부(14)와 외측 루프부(13) 사이에 형성한 공간(a) 내에 취입하는 상태와, 외기를 차단하여 캐빈 내의 공기를 상기 공간(a)과의 사이에서 순환시키는 상태로 절환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밸브 기구로서는, 요동식의 것이 아니라, 슬라이드식의 것이라도 좋다. 또한, 도시는 하고 있지 않지만, 밸브 기구를 조작하는 절환 조작 레버가 운전석(12)의 상방 근방까지 수직 하강하여 설치되어 있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 루프부(14)는 캐빈 내의 공기를 취입하기 위 해 순환구(14A)를 구비하고 있지만, 그 순환구(14A)를 형성하고 있는 후방 상측 내측 루프 부분(14a)과 캐빈(1)의 전방부측에 위치하는 전방측 내측 루프 부분(14b)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내측 루프부(14)는 기체 전후 방향에서의 중간 위치에서 외측 루프부(13)에 밀착되어 있고, 밀착된 중간 위치에서 후방측 내측 루프 부분(14a)과 전방측 내측 루프 부분(14b)으로 격리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전방측 내측 루프 부분(14b)의 공간에 CD 라디오 카세트(29) 등을 수납 설치함으로써, 순환구(14A)로부터 취입된 실내 공기의 배압이 직접 CD 라디오 카세트(29) 등에 작용하지 않아, CD 라디오 카세트(29) 등이 먼지 등을 빨아들이는 일이 적어진다.
도3 내지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조 유닛(A)의 근방에 외기 도입구(13B)를 배치하고 있으므로, 외측 루프부(13) 내에 외기 도입구(13B)에 연통하는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연통로(b)를 짧게 할 수 있어, 시로코 팬(23)에 의한 흡입 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다.
지지 프레임(6C)의 후방측에는 지지 커버(18)가 연장 돌출되어 있어 공조 유닛(A)을 커버하고 있다. 지지 커버(18)의 하면에서 지지 프레임 부분(6C)에는 횡축심(X) 주위에서 후방 요동 가능하게 후방면 윈도우(5)가 지지되어 있고, 폐색 상태에 있어서는 후방면 윈도우(5)의 후방측으로의 돌출이 억제되어 있고, 도시는 하고 있지 않지만, 경운 장치 등을 지지하는 링크 기구 등과의 간섭을 회피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에, 제2 실시 형태로서,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조 유닛(A)이 환형의 상부 프레임(6)의 후단부보다 기체 전방측에 위치하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것에 대해 설명한다.
도6 및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조 유닛(A)을 둘러싸도록 외측 루프부(13)와 내측 루프부(14)가 배치되고, 외측 루프부(13)의 공조 유닛(A)의 전방측에 외기 공급구(13C)와 이 외기 공급구(13C)에 외기를 송입하는 외기 도입구(13B)가 외측 루프부(13)의 기체 후방으로 돌출된 차양부(13A)의 하향면을 설치하고 있다. 내측 루프부(14)에는 외기 공급구(13C)와 서로 대향하는 상태에서 캐빈(1) 내의 공기를 도입하는 순환구(14A)를 마련하고 있고, 외기 공급구(13C)와 순환구(14A) 사이에 외기 공급구(13C)와 순환구(14A)를 개폐하는 밸브 기구로서의 개폐 밸브 부재(17)를 설치하고 있다. 외기 도입구(13B)를 통해, 외기를 내측 루프부(14)와 외측 루프부(13) 사이에 형성한 공간(a) 내에 취입하는 상태와, 외기를 차단하여 캐빈 내의 공기를 상기 공간(a) 사이에서 순환시키는 상태로 절환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공간(a) 내에 취입된 공기는 공조 유닛(A)의 유닛 케이스(24)의 상면에 형성한 유도 구멍(24a)을 거쳐서 시로코 팬(23)에 흡입되어, 증발기(20) 등에 의해 공조를 받은 후에 공조 덕트(15A, 15B)에 압입된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증발기(20)의 양단부로부터 상기한 바와 같이 후방 공조 덕트부(15A)가 연장 돌출되고, 그 후방 공조 덕트부(15A)의 양측단부로부터 기체 전방부를 향해 횡공조 덕트(15B, 15B)가 연장 돌출되어 있어,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조정된 공기가 캐빈(1) 내에 취출 공급되는 것이다.
다음에, 후방 사이드 윈도우(4)와 후방면 윈도우(5)의 부착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7에 도시하는 것은 환형 상부 프레임(6)의 후단부의 기체 전방측에 공조 유닛(A)을 배치한 것이고, 공조 유닛(A)을 환형의 상부 프레임(6)의 후단부의 기체 전방측에 배치하는 구성을 채용하기 위해 환형의 상부 프레임(6)의 후단부를 후방면 윈도우(5)의 위치보다 후방으로 변위시켜 설치하고 있다. 이로 인해, 후방면 윈도우(5)와 후방 사이드 윈도우(4)의 경계선에 위치하는 종배향 프레임(2)으로서의 후방 필러와 상부 프레임(6)을 연결 프레임(30)으로 연결하여, 프레임끼리의 연결 강도를 높이고 있다. 또한, 후방면 윈도우(5)는 상부 프레임(6)의 후방부 프레임 부분(6B)에 부착된 브래킷(31)에 피봇 지지된 요동 아암(32)에 의해 후방으로 요동 개방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3 실시 형태]
다음에, 제3 실시 형태로서, 공조 유닛(A)이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횡프레임으로서의 후방부 프레임 부분(6B)에 형성한 현수 프레임 부분(6D)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는 것에 대해 설명한다.
공조 유닛(A)을 부착하는 프레임(B)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도8 및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형의 상부 프레임(6)에 있어서의 전후 배향 프레임 부분(6A)과 후방부 프레임 부분(6B)의 접속 구부러짐 부분에 좌우의 종배향 프레임(2, 2)을 수직 설치하여 후방 사이드 윈도우(4)의 창 프레임에 겸용하는 동시에, 양 종배향 프레임(2, 2)에 걸쳐서 또한 후방부 프레임 부분(6B)보다 한층 높아진 높이 위치에 현수 프레임 부분(6D)을 가설하고 있다.
이 현수 프레임 부분(6D)의 하면과 이 현수 프레임 부분(6D)을 지지하는 양 옆의 종배향 프레임(2, 2) 사이에 잠입시키는 상태로 공조 유닛(A)을 현수 지지하고 있다. 그래서, 현수 프레임 부분(6D)을 공조 유닛 부착 부분이라 한다.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수 프레임 부분(6D)의 하면에 좌우 한 쌍의 브래킷(27)을 전후 배향 자세로 부착하는 동시에, 유닛 케이스(24)로 둘러싸인 공조 유닛(A)을 좌우의 브래킷(27, 27)에 볼트로 고정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조 유닛(A)을 둘러싸도록 외측 루프부(13)와 내측 루프부(14)를 배치하고 있고, 외측 루프부(13)의 공조 유닛(A)의 전방측에 외기 공급구(13C)와, 이 외기 공급구(13C)에 외기를 송입하는 외기 도입구(도시하지 않음)가 외측 루프부(13)의 기체 횡측방에 돌출된 차양부(도시하지 않음)에 마련되어 있다. 내측 루프부(14)에는 외기 공급구(13C)와 서로 대향하는 상태에서 캐빈(1) 내의 공기를 도입하는 순환구(14A)를 마련하고 있고, 외기 공급구(13C)와 순환구(14A) 사이에 외기 공급구(13C)와 순환구(14A)를 개폐하는 밸브 기구로서의 개폐 밸브 부재(17)를 설치하고 있다. 외기 도입구(13B)를 통해, 외기를 내측 루프부(14)와 외측 루프부(13) 사이에 형성한 공간(a) 내에 취입하는 상태와, 외기를 차단하여 캐빈(1) 내의 공기를 상기 공간(a) 사이에서 순환시키는 상태로 절환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공간(a) 내에 취입된 공기는 공조 유닛(A)의 유닛 케이스(24)의 상면에 형성된 유도 구멍(도시하지 않음)을 거쳐서 시로코 팬(23)에 흡입되어, 증발기(20) 등에 의해 공조를 받은 후에 공조 덕트(15A, 15B)에 압입된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증발기(20)의 양단부로부터 상기한 바와 같이 후방 공조 덕트부(15A)가 연장 돌출되고, 그 후방 공조 덕트부(15A)의 양측단부로부터 기체 전방부를 향해 횡공조 덕트(15B, 15B)를 연장 돌출하고 있고, 제2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조정된 공기가 캐빈(1) 내에 취출 공급되는 것이다.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 루프부(14)의 종배향 프레임(2)보다 후방으로 돌출된 부분의 하면에는 후방면 윈도우(5)가 지지되어 있고, 후방측으로의 돌출을 억제하여, 도시는 하고 있지 않지만, 경운 장치 등을 지지하는 링크 기구 등과의 간섭을 회피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제4 실시 형태]
다음에, 제4 실시 형태로서, 공조 유닛(A)이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횡프레임으로서의 후방부 프레임 부분(6B)의 더 후방에 배치되어 있는 것에 대해 설명한다.
공조 유닛(A)을 부착하는 프레임(B)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도10 및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형의 상부 프레임(6)에 있어서의 전후 배향 프레임 부분(6A)과 후방부 프레임 부분(6B)의 접속 구부러짐 부분에 좌우의 종배향 프레임(2, 2)을 수직 설치하여 후방 사이드 윈도우(4)의 창 프레임에 겸용한다.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부 프레임 부분(6B)의 하면에 좌우 한 쌍의 브래킷(27)을 전후 배향 자세로 부착하는 동시에, 상기 유닛 케이스(24)로 둘러싸인 공조 유닛(A)을 좌우의 브래킷(27, 27)에 볼트로 고정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부 프레임 부분(6B)에 부착한 공조 유닛(A)을 둘러싸도록 후방부 커버(28)를 그 후방부 프레임 부분(6B)에 부착하여 설치하는 동시에, 후방부 프레임 부분(6B)에 지지하는 상태에서 외측 루프부(13)를 설치하고, 후방부 커버(28)에 지지하는 상태에서 내측 루프부(14)를 배치하고 있다.
외측 루프부(13)에는 외기 공급구(13C)가 마련되어 있고, 이 외기 공급구(13C)에 외기를 송입하는 외기 도입구(도시하지 않음)가 외측 루프부(13)의 기체 횡측방으로 돌출된 차양부(도시하지 않음)에 마련되어 있다. 내측 루프부(14)에는 외기 공급구(13C)와 서로 대향하는 상태에서 캐빈(1) 내의 공기를 도입하는 순환구(14A)가 마련되어 있고, 외기 공급구(13C)와 순환구(14A) 사이에 외기 공급구(13C)와 순환구(14A)를 개폐하는 밸브 기구로서의 개폐 밸브 부재(17)가 설치되어 있다. 외기 도입구(13B)로부터 도입한 외기를 내측 루프부(14)와 외측 루프부(13) 사이를 통해 후방부 커버부(28)의 내부 공간(a) 내로 취입하는 상태와, 외기를 차단하여 캐빈 내의 공기를 상기 내부 공간(a)과의 사이에서 순환시키는 상태로 개폐 밸브 부재(17)를 절환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도면 중 b는 외기 도입 가이드이고, 14c는 내기 도입 가이드이다.
공간(a) 내에 취입된 공기는 공조 유닛(A)의 유닛 케이스(24)의 상면에 형성된 유도 구멍(24a)을 거쳐서 시로코 팬(23)에 흡입되어, 증발기(20) 등에 의해 공조를 받은 후에 공조 덕트(15A, 15B)에 압입된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증발기(20)의 전방에 후방 공조 덕트부(15A)가 배치되고, 그 후방 공조 덕트부(15A)의 양측단부로부터 기체 전방부를 향해 횡공조 덕트(15B, 15B)를 연장 돌출하고 있고, 제1 내지 제3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조정 된 공기가 캐빈(1) 내에 취출 공급되는 것이다.
내측 루프부(14)와 후방부 커버부(28)와의 접속 부위의 하면에는 후방면 윈도우(5)가 지지되어 있고, 후방측으로의 돌출을 억제하여, 도시는 하고 있지 않지만, 경운 장치 등을 지지하는 링크 기구 등과의 간섭을 회피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다른 실시 형태]
이하에, 기재하는 다른 실시 구조에 대해서는, 상기한 제1 실시 형태 내지 제4 실시 형태에 적용하는 것으로 한다.
(1) 공조 덕트(15)의 다른 실시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는, 캐빈(1) 내의 루프부(7)의 좌우 중앙에 덕트(15)를 배치하는 것에 대해 설명한다.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증발기(20)와 시로코 팬(23)은 유닛 케이스(24)에 의해 둘러싸여 있고, 유닛 케이스(24)에 연속되는 상태에서 증발기(20)의 양측단부로부터 기체 전방측을 향해 공조 유닛(A)으로부터의 공조된 공기를 좌우 횡측단부로 유도하는 횡배향 자세의 후방 공조 덕트(15A)를 설치하고 있는 동시에, 후방 공조 덕트(15A)의 좌우 중심부보다 전방을 향해 주 공조 덕트로서의 중앙 공조 덕트(15E)가 연장 돌출되어 있다.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 공조 덕트(15E)에는 전후 중간 위치에 좌우 방향으로 돌출되는 분기 공조 덕트로서의 좌우의 중간 분기 공조 덕트(15F, 15F)가 설치되어 있고, 중간 분기 공조 덕트(15F)의 더욱 전방측에 좌우 끝까지 넓어지는 전방 공조 덕트(15G, 15G)가 설치되어 있다. 좌우의 중간 분기 공조 덕트(15F, 15F)에는 각각 취출구(15f, 15f)가 마련되어 있고, 취출구(15f, 15f)는 후방 배향으로 공조풍을 내뿜어 운전자의 얼굴 근처로 적량의 시원한 바람을 보내는 위치 설정을 행하고 있다. 한편, 전공조 덕트(15G, 15G)에는 캐빈(1)의 전방면 윈도우(25)를 향해 공조풍을 내뿜는 전방 하향의 전방 취출구(15a, 15a)가 마련되어 있고, 그 전방 취출구(15a, 15a)의 후방에 도어 글래스를 향해 성에 제거풍을 내뿜는 취출구(15d)가 마련되어 있다.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 공조 덕트(15A)의 양측단부로부터 후방측을 향해 분기 덕트(15C, 15C)가 연장 돌출되어 있고, 연장 돌출단부에 후방 사이드 윈도우(4), 후방면 윈도우(5)에 공조풍을 내뿜는 취출구(15c, 15c)가 마련되어 있다.
(2) 공조 덕트(15)의 다른 실시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는, 캐빈(1) 내의 루프부(7)에 있어서의 전방면에 걸쳐서 덕트(15)를 배치하는 것에 대해 설명한다. 도13 및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증발기(20)와 시로코 팬(23)은 유닛 케이스(24)에 의해 둘러싸여 있고, 유닛 케이스(24)에 연속하는 상태에서 증발기(20)의 양측단부로부터 기체 전방측을 향해 공조 유닛(A)으로부터의 공조된 공기를 기체 전방측으로 유도하는 전면 공조 덕트(15H)를 설치하고 있다.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 공조 덕트(15H)에는 전후 중간 위치에 취출구(15f, 15f)가 마련되어 있고, 취출구(15f, 15f)는 후방 배향으로 공조풍을 내뿜어 운전자의 얼굴 근처로 적량의 시원한 바람을 보내는 위치 설정을 행하고 있다. 한편, 캐빈(1) 내에는 캐빈(1)의 전방면 윈도우(25)를 향해 공조풍을 내뿜는 전방 하향의 취출구(15a, 15a)가 마련되어 있고, 그 취출구(15a, 15a)의 후방에 도어 글 래스를 향해 성에 제거풍을 내뿜는 취출구(15d, 15d)가 마련되어 있다.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 공조 덕트(15H)의 양측단부에 후방 사이드 윈도우(4), 도어 글래스 등에 공조풍을 내뿜는 취출구(15b, 15b)가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대략 전면에 걸쳐서 공조 덕트(15)를 설치함으로써, 임의의 위치에 취출구를 마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채용하는 전면 덕트(15H)에 외부 공기를 도입하는 구조로서는, 도13 및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 루프부(13)의 기체 횡측방측에 돌출된 차양부(13E)에 외기 도입구(13B)를 형성하여 구축하고 있다.
(3)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좌우의 횡공조 덕트(15B, 15B)와 후방 공조 덕트(15A)의 접속부에 벨로우즈 형상의 이음부를 설치해도 좋다. 그렇게 하면, 덕트 자체의 신축 및 제작 오차 등을 흡수할 수 있어 접속 상태가 안정된다.
(4)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증발기(20)로부터 배출되는 결로수를 피하기 위해 유닛 케이스(24)로부터 호스(26)를 연장 돌출시켜, 그 호스(26)를 유닛 케이스(24)에 인접하는 종배향 프레임(2) 내를 통해 기기 밖으로 배출하도록 구성한다.
(5) 계속해서, 상부 프레임(6)을 공조 덕트(15)로서 사용하는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 루프부(13)의 후방 배향 차양부(도시하지 않음)에 외기 도입구(도시하지 않음)를 형성하는 동시에, 외측 루프부(13)의 연통로(b)로부터 내측 루프부(14) 사이에 형성된 공간(a) 내에 취입하고, 유도 구멍(24a)을 통해 공조 유닛(A)에 도입한다.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입된 외기 및 내기는 공조 유닛(A)에서 조정된 상태로 유닛 케이스(24)의 출구(24A)로부터 송 출된다. 그 출구(24A)를 상부 프레임(6)의 내부 공간에 연통시켜, 상부 프레임(6)의 전후 배향 프레임 부분(6A)을 공조 덕트(15)에 구성한다.
따라서,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 배향 프레임 부분(6A)의 내부 배향 면에 공조된 공기의 취출구(6a, 6a)를 마련하여 상부 프레임(6)을 공조 덕트에 겸용하였으므로, 따로 공조 덕트를 구성할 필요는 없다.
공조 유닛(A)을 지지하는 형태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6) 캐빈(1)의 골조 프레임 구성으로서는 다음과 같은 것이라도 좋다.
도16a, 도1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B)에 있어서의 전방면 윈도우(25)를 지지하는 좌우의 전방 지지 기둥(2, 2)을 상부 프레임(6)의 좌우 전방 배향 프레임 부분(6A, 6A)으로부터 상방까지 연장 돌출시켜, 그들 전방 지지 기둥(2, 2)의 상단부끼리를 연결하는 좌우 배향 전방 상부 프레임 부분(6E)을 좌우 전방 배향 프레임 부분(6A, 6A)보다 상방에 위치하도록 설치한다. 이에 의해, 좌우 전방 배향 프레임 부분(6A, 6A)이 상방에 위치하게 되므로, 그만큼 전방면 윈도우(25)를 상방까지 높게 설치할 수 있어, 운전 조종자에의 시야의 확대화를 양호하게 도모할 수 있다.
도17a, 도1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 지지 기둥(2, 2)을 상단부 부분(2A, 2A)이 후방 경사 자세가 되도록 구부러짐 가공을 실시하여, 전방 지지 기둥(2, 2)을 하단부 부분에 비해 후단부 부분(2A)이 기체 후방측에 위치하도록 구성하고, 그 전방 지지 기둥(2, 2)의 상단부끼리에 걸쳐서 전방 상부 프레임 부분(6E)을 설치하고, 전방 상부 프레임 부분(6E)과 좌우 전방 배향 프레임 부분(6A, 6A)을 동일 높 이 위치로 설정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전방 상부 프레임 부분(6E)을 전방 지지 기둥(2, 2)의 하단부에 비해 후방에 위치시킬 수 있어, 운전 조종자의 올려다봄 시야를 광각으로 할 수 있어 상방까지 눈으로 확인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7) 외측 루프부(13)로서는, 상부 프레임(6)보다 횡측방 또는 전후 방향으로 비어져 나오는 차양부를 형성하여, 글래스면의 큰 캐빈에 직사일광이 들어가는 것을 저지하는 구성을 채용해도 좋다.
(8) 상기 실시 태양에 있어서는, 농업용 트랙터에 본 발명을 이용한 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콤바인 등의 다른 농업 기계나 건설 기계에 적용해도 좋다.
(9) 횡공조 덕트(15B)는 좌우 중 한쪽만 설치하는 것이라도 좋다.
(10) 루프부(7)의 차양부(13E)의 한쪽에만 외기 도입구(13B)를 구비할 수 있고, 특히 이것을 운전자가 통상 타는 좌측에 설치하는 경우, 좌측으로 차양부의 외기 도입구에 있는 필터를 점검, 청소할 때에 손이 닿기 쉽다. 또한, 송풍기가 우측에 있어, 외기 도입구가 좌측에서 떨어진 곳에 1군데 있음으로써 덕트 효과에 의해 유속이 빨라져 송풍기의 효율이 좋아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조 유닛의 배치 구성에 연구를 집중시킴으로써, 전방 상방 시야의 양호화를 도모한 작업차의 캐빈용 공조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8)

  1. 운전석을 캐빈 내에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캐빈의 루프(roof)부에 공조용 덕트와, 공기 조정을 행하여 상기 공조용 덕트에 그 조정된 공기를 송입하는, 증발기 및 히터를 포함하는 공조 유닛을 배치하고 있는 작업차의 캐빈용 공조 구조이며,
    상기 공조 유닛을 상기 운전석의 착좌부의 후단부보다 기체 후방측에 배치하고,
    또한, 상기 공조 유닛을 상기 캐빈을 구성하는 프레임 중 상기 루프부의 후방부에 설치되어 있는 횡프레임(6B)의 근방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의 캐빈용 공조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횡프레임(6B)에 공조 유닛 부착 부분(6C)을 구비하고, 이 공조 유닛 부착 부분(6C)을 상기 횡프레임에 인접하는 양 옆의 프레임(2)의 상단부보다 낮게 배치하고, 또한 상기 공조 유닛 부착 부분의 상측에 상기 공조 유닛을 부착하고 있는 작업차의 캐빈용 공조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 유닛은 상기 횡프레임의 전방측에 배치되어 있는 작업차의 캐빈용 공조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횡프레임(6B)에 공조 유닛 부착 부분(6C)을 구비하고, 이 공조 유닛 부착 부분(6C)을 상기 횡프레임에 인접하는 양 옆의 프레임(2)보다 높게 배치하고, 또한 상기 공조 유닛 부착 부분의 하측에 상기 공조 유닛을 부착하고 있는 작업차의 캐빈용 공조 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 유닛은 상기 횡프레임의 후방측에 배치되어 있는 작업차의 캐빈용 공조 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 유닛의 기체 전방측에서 기체 좌우 측방 위치에 각각 상기 공조용 덕트를 배치하고 있는 작업차의 캐빈용 공조 구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 유닛의 기체 전방측에서 기체 좌우 방향 중간 위치에 주 공조 덕트를 기체 전후 배향 자세로 배치하는 동시에, 상기 주 공조 덕트로부터 좌우 방향을 향해 분기 공조 덕트를 배치하고 있는 작업차의 캐빈용 공조 구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용 덕트는 상기 공조 유닛의 전방측에 있어서 상기 캐빈의 좌우 단부 근방에 연장되는 폭을 갖고, 상기 공조 유닛의 전방으로부터 상기 캐빈의 전단부 근방까지 연장되는 길이를 갖는 작업차의 캐빈용 공조 구조.
  9. 제1항에 있어서, 외기를 취입하는 외기 도입구를 상기 공조 유닛의 후방에 배치하고, 상기 외기 도입구를 상기 공조 유닛에 연통시키는 외기 도입 덕트를 설 치하고 있는 작업차의 캐빈용 공조 구조.
  10. 제1항에 있어서, 외기를 취입하는 외기 도입구를 상기 공조 유닛의 횡측방에 배치하고, 상기 외기 도입구를 상기 공조 유닛에 연통시키는 외기 도입 덕트를 설치하고 있는 작업차의 캐빈용 공조 구조.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캐빈 내의 공기를 상기 공조 유닛에 도입하는 내기 도입 덕트를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내기 도입 덕트를 상기 외기 도입 덕트에 연통 접속하고, 상기 연통 접속 부위에 내기를 상기 공조 유닛에 도입하는 상태와 외기를 상기 공조 유닛에 도입하는 상태로 절환하는 밸브 기구를 설치하고 있는 작업차의 캐빈용 공조 구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부의 횡측방측으로 돌출된 차양부를 구비하고, 상기 외기 도입구는 상기 차양부에 형성되어 있는 작업차의 캐빈용 공조 구조.
  13.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 유닛은 또한 송풍용 팬을 구비하고, 기체의 좌우 한쪽에 송풍용 팬을 배치하고, 좌우 다른 쪽에 증발기와 히터를 기체 전후 방향에 인접하는 상태로 배치하고 있는 작업차의 캐빈용 공조 구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 유닛의 송풍용 팬을 상기 횡프레임의 공조 유닛 부착 부분의 상측 또는 후방에 배치하고 있는 작업차의 캐빈용 공조 구조.
  15.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횡프레임에 인접하는 양 옆의 프레임(2)은 상기 횡프레임과 연결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프레임인 작업차의 캐빈용 공조 구조.
  16.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횡프레임에 인접하는 양 옆의 프레임(2)은 상기 횡프레임과 연결되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프레임인 작업차의 캐빈용 공조 구조.
  17.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빈을 구성하는 골조 프레임 중 전방면 윈도우를 지지하는 좌우의 전방 지지 기둥의 상단부를, 상기 전방 지지 기둥의 하단부보다 후방에 위치하도록 구성하는 동시에, 상기 전방면 윈도우의 상단부 위치를 사이드 윈도우의 전단부 위치보다 후방에 위치시키고 있는 작업차의 캐빈용 공조 구조.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차양부는 상기 루프부의 양 횡측에 구비되고, 상기 외기 도입구는 한쪽의 상기 차양부에만 형성되어 있는 작업차의 캐빈용 공조 구조.
KR1020060025907A 2005-08-31 2006-03-22 작업차의 캐빈용 공조 구조 KR1007519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251643 2005-08-31
JPJP-P-2005-00251645 2005-08-31
JP2005251644A JP4528227B2 (ja) 2005-08-31 2005-08-31 農用トラクタのキャビン用空調構造
JP2005251645A JP4443486B2 (ja) 2005-08-31 2005-08-31 作業車のキャビン用空調構造
JP2005251643A JP4443485B2 (ja) 2005-08-31 2005-08-31 作業車のキャビン用空調構造
JPJP-P-2005-00251644 2005-08-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5932A KR20070025932A (ko) 2007-03-08
KR100751978B1 true KR100751978B1 (ko) 2007-08-28

Family

ID=37735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5907A KR100751978B1 (ko) 2005-08-31 2006-03-22 작업차의 캐빈용 공조 구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5) US8033899B2 (ko)
KR (1) KR100751978B1 (ko)
CN (1) CN100465010C (ko)
FR (1) FR289000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5003A (ko) 2013-06-12 2014-12-22 대동공업주식회사 공조장치를 탑재한 작업차용 캐빈
KR20160034026A (ko) 2014-09-19 2016-03-29 대동공업주식회사 트랙터의 캐빈
KR20170008061A (ko) 2015-07-13 2017-01-23 대동공업주식회사 캐빈형 농작업차
KR20190087867A (ko) 2018-01-17 2019-07-25 대동공업주식회사 작업차용 캐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05633A1 (en) * 2006-03-01 2007-09-06 Waco Douglas L Roof system with integrated hvac ducting
US7334834B2 (en) * 2006-03-09 2008-02-26 Deere & Company Tractor cab roof with integral HVAC air ducts
SE531961C2 (sv) * 2007-10-16 2009-09-15 Mccii Holdings Ab Förfarande och anordning för lufthantering
JP5334161B2 (ja) * 2007-10-26 2013-11-06 太陽工業株式会社 車載用温度調節装置
IT1390714B1 (it) * 2008-07-11 2011-09-15 Spal Automotive Srl Sistema di ventilazione
GB2466765A (en) * 2008-10-27 2010-07-07 Agco Gmbh Tractor HVAC system ducting and air filter arrangement
US8403734B2 (en) * 2009-02-20 2013-03-26 Deere & Company Vent control system
US8056963B2 (en) * 2009-05-11 2011-11-15 Deere & Company Roof assembly windshield defogging system
US20110028077A1 (en) * 2009-07-28 2011-02-03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Headliner duct
US20110126566A1 (en) * 2009-11-30 2011-06-02 Jerry D. Jones Air-conditioner for use with trailer refrigeration unit
GB2476648A (en) * 2009-12-29 2011-07-06 Valtra Oy Ab Utility vehicle cab ventilation system
US8485589B2 (en) * 2010-03-30 2013-07-16 Kubota Corporation Cabin system
FR2962715B1 (fr) * 2010-07-13 2013-06-14 Airbus Operations Sas Systeme d'aeration pour aeronef.
US9370882B2 (en) * 2010-10-22 2016-06-21 Tata Technologies Pte Limited Cost effective and efficient air circulation system for a vehicle having rotomolded body assembly
DE102010062660A1 (de) * 2010-12-08 2012-06-14 Bombardier Transportation Gmbh Schienenfahrzeug mit einem Maschinenraum sowie mit mindestens einem Führerraum sowie Verfahren zur Erzeugung eines Überdrucks im Maschinenraum in Verbindungmit einer Klimatisierung mindestens eines Führerraumes
KR101302262B1 (ko) * 2011-03-30 2013-09-02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작업차
CN102320231B (zh) * 2011-07-04 2013-09-11 劲达技术(河源)有限公司 顶置式车辆空调机组
JP5678872B2 (ja) * 2011-11-29 2015-03-04 井関農機株式会社 作業車両
US20130207420A1 (en) * 2012-02-15 2013-08-1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limate control system for a vehicle
US9499179B2 (en) * 2012-02-23 2016-11-22 Kawasaki Jukogyo Kabushiki Kaisha Railroad vehicle provided with low roof structure
US9180891B2 (en) * 2012-03-30 2015-11-10 Electro-Motive Diesel, Inc. HVAC system for heating and cooling a mobile machine cabin
JP2014019270A (ja) * 2012-07-17 2014-02-03 Toyota Motor Corp 車両用空調装置
JP5684768B2 (ja) * 2012-09-27 2015-03-18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
FR3001412B1 (fr) * 2013-01-28 2015-01-30 Renault Sa Conduit de repartition d'air pour vehicule automobile
JP2014166810A (ja) * 2013-02-28 2014-09-11 Iseki & Co Ltd 作業車両のキャビン
US9434236B2 (en) * 2013-03-13 2016-09-06 Deere & Company Work vehicle HVAC control based on operator seat direction
CN103987548B (zh) * 2013-05-15 2015-11-25 株式会社小松制作所 驾驶室及作业车辆
US10259287B2 (en) * 2013-07-18 2019-04-16 Orvell B. Reynolds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n open motorized vehicle
JP6080750B2 (ja) * 2013-12-06 2017-02-15 ヤンマー株式会社 トラクタにおけるキャビンの空調ダクト構造
EP3127787B1 (en) * 2014-03-28 2018-12-19 Yanmar Co., Ltd. Industrial vehicle
JP2016030559A (ja) * 2014-07-30 2016-03-07 ヤンマー株式会社 作業車両
DE112016001898T5 (de) * 2015-04-24 2018-01-04 Denso Corporation Fahrzeugklimatisierungsvorrichtung
WO2016189939A1 (ja) 2015-05-27 2016-12-01 ヤンマー株式会社 作業車
US10131201B1 (en) * 2015-06-19 2018-11-20 Waymo Llc Cooling system for dome of autonomous vehicle
FR3041570B1 (fr) 2015-09-30 2017-12-01 Alstom Transp Tech Dispositif de climatisation pour une cabine de conduite, notamment de vehicule ferroviaire
CA2913473A1 (en) * 2015-11-27 2017-05-27 Christer Gotmalm Method and apparatus for cooling and heating in vehicles
US9931906B2 (en) * 2016-02-23 2018-04-03 Caterpillar Inc. Machine cab having improved operator visibility
CN105850377B (zh) * 2016-04-09 2017-12-15 宿迁市宇杰机械制造有限公司 联合收割机驾驶室
AU2016259391B1 (en) * 2016-08-10 2017-12-21 Komatsu Ltd. Work vehicle and operator's compartment unit
WO2018046832A1 (fr) * 2016-09-06 2018-03-15 Renault S.A.S. Agencement d'un dispositif de ventilation dans un encadrement structurel de toit et véhicule comportant un tel agencement
US10543733B2 (en) 2016-11-14 2020-01-28 Cnh Industrial America Llc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system of a work vehicle
US10239381B2 (en) * 2017-01-23 2019-03-26 TSI Products, Inc. Vehicle roof fan
US10766339B2 (en) 2017-01-26 2020-09-0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structural air duct
US10137761B2 (en) * 2017-03-22 2018-11-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tegrated roof bow and HVAC duct with a headliner providing a close-out wall of the duct
WO2019078873A1 (en) * 2017-10-19 2019-04-25 B & D Technologies, LLC CLIMATIC CONTROL SYSTEM FOR NON-CLOSED MOWER
US11052723B2 (en) 2017-10-19 2021-07-06 B & D Technologies, LLC Air conditioning system for use with unenclosed mowers
WO2019082829A1 (ja) * 2017-10-23 2019-05-02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
US11305740B2 (en) 2017-12-27 2022-04-19 Waymo Llc Air knife for sensor clearing
DE102018206111A1 (de) * 2018-04-20 2019-10-24 Deere & Company Dachstruktur
CN109017198A (zh) * 2018-06-21 2018-12-18 南京理工大学 一种汽车空调均匀送风道
USD863374S1 (en) * 2018-10-12 2019-10-15 B & D Technologies, LLC Hatch for mower cab
USD863372S1 (en) * 2018-10-12 2019-10-15 B & D Technologies, LLC Mower cab
USD863373S1 (en) * 2018-10-12 2019-10-15 B & D Technologies, LLC Door
USD863375S1 (en) * 2018-10-12 2019-10-15 B & D Technologies, LLC Mower cab
US10947698B2 (en) * 2019-06-12 2021-03-16 Caterpillar Inc. Low-profile machine cabin
KR20210030553A (ko) * 2019-09-09 2021-03-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시스템
US11440489B2 (en) * 2019-12-20 2022-09-13 Cnh Industrial America Llc Operator cab for a work vehicle with reduced noise reflection
EP4092191B1 (de) * 2021-05-20 2024-02-28 Joseph Vögele AG Strassenbaumaschine mit luftbarriereeinrichtung und verfahr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7319A (ko) * 1998-08-25 2000-03-25 유니팩 코포레이션 탭을 구비한 밀봉 용기 및 그를 제작하는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83607A (en) 1934-07-14 1937-06-15 Neo Aire Inc Air treating apparatus
US3868896A (en) * 1973-03-28 1975-03-04 Massey Ferguson Inc Vehicle cab enclosure with ventilation means
US4135591A (en) * 1977-10-17 1979-01-23 Eberle Keith F Snowmobile rollover protective structure
JPS60124324U (ja) 1984-01-31 1985-08-22 石川島芝浦機械株式会社 農用車輌のル−フ装置
US4612975A (en) * 1984-02-07 1986-09-23 Kabushiki Kaisha Komatsu Seisakusho Air conditioning device installed in a cabin of an earth-moving vehicle
JPS60209319A (ja) 1984-04-03 1985-10-21 Nippon Denso Co Ltd 車両用空調装置
JPS61205505A (ja) 1985-03-07 1986-09-11 Nippon Denso Co Ltd 車両用空調装置
JPH0687317A (ja) 1992-09-09 1994-03-29 Nippondenso Co Ltd 車両用空調装置
JP2776475B2 (ja) 1992-09-30 1998-07-16 新キャタピラー三菱株式会社 作業用走行車における空調用室内ユニツトの配設構造
US5881558A (en) * 1996-04-03 1999-03-16 Mitsubishi Heavy Industries, Ltd.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vehicles
JP3082664B2 (ja) 1996-04-23 2000-08-28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空調装置
JPH10101298A (ja) 1996-09-27 1998-04-21 Aichi Corp 作業車の安全装置
JP2000001118A (ja) 1998-06-16 2000-01-07 Mitsubishi Heavy Ind Ltd 車両の後部座席用空調装置
JP2000052889A (ja) * 1998-08-12 2000-02-22 Kubota Corp 走行動力車用キャビンのインナールーフおよびルーフ構造
JP2000289430A (ja) * 1999-04-08 2000-10-17 Mitsubishi Heavy Ind Ltd オーバーヘッド型車両用空調ユニット
US6279978B1 (en) * 1999-10-05 2001-08-28 Deere & Company Work vehicle roof structure
JP4224939B2 (ja) 2000-03-31 2009-02-18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
US6309012B1 (en) 2000-04-18 2001-10-30 Deere & Company One piece molded roof for a vehicle cab
DE10019571A1 (de) * 2000-04-20 2001-10-25 Behr Gmbh & Co Klimaanlage für ein Nutzkraftfahrzeug
JP2002068026A (ja) 2000-09-04 2002-03-08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トラクタのキャビン
JP4499897B2 (ja) 2000-09-04 2010-07-07 ヤンマー株式会社 空気調和機を取り付けるキャビンの構造
JP2003146052A (ja) 2001-11-14 2003-05-21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キャビンの構造
US6780097B2 (en) 2003-01-29 2004-08-24 Deere & Company Two piece vehicle roof structure having an integrated HVAC system
JP2004352085A (ja) * 2003-05-29 2004-12-16 Denso Corp 車両用空調装置
JP2005001472A (ja) * 2003-06-11 2005-01-06 Kasai Kogyo Co Ltd 車両の空調用エアダクト装置
US7252585B2 (en) * 2003-06-12 2007-08-07 Kubota Corporation Work-vehicle cabin having air-conditioning unit
JP4456340B2 (ja) 2003-06-12 2010-04-28 株式会社クボタ 農用トラクタのキャビン用空調構造
JP2005022607A (ja) * 2003-07-03 2005-01-27 Hitachi Constr Mach Co Ltd キャブの空調装置
JP2005112297A (ja) 2003-10-10 2005-04-28 Denso Corp 車両用空調装置
JP4114589B2 (ja) 2003-10-22 2008-07-09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
JP2005225249A (ja) 2004-02-10 2005-08-25 Denso Corp 車両用空調装置
JP4326421B2 (ja) 2004-07-23 2009-09-09 株式会社クボタ 走行車両用キャビンのドア取付支柱
FR2874369B1 (fr) 2004-08-19 2008-02-01 Jungo Voirie Soc Par Actions S Structure de cabine a toit monobloc pour vehicule de voiri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7319A (ko) * 1998-08-25 2000-03-25 유니팩 코포레이션 탭을 구비한 밀봉 용기 및 그를 제작하는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5003A (ko) 2013-06-12 2014-12-22 대동공업주식회사 공조장치를 탑재한 작업차용 캐빈
KR20160034026A (ko) 2014-09-19 2016-03-29 대동공업주식회사 트랙터의 캐빈
KR20170008061A (ko) 2015-07-13 2017-01-23 대동공업주식회사 캐빈형 농작업차
KR20190087867A (ko) 2018-01-17 2019-07-25 대동공업주식회사 작업차용 캐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118708A1 (en) 2013-05-16
US9227481B2 (en) 2016-01-05
CN1923553A (zh) 2007-03-07
KR20070025932A (ko) 2007-03-08
US20070044492A1 (en) 2007-03-01
FR2890002B1 (fr) 2022-08-19
US9481223B2 (en) 2016-11-01
US8376817B2 (en) 2013-02-19
US20100269530A1 (en) 2010-10-28
US8366524B2 (en) 2013-02-05
US20110030406A1 (en) 2011-02-10
US20160107500A1 (en) 2016-04-21
FR2890002A1 (fr) 2007-03-02
US8033899B2 (en) 2011-10-11
CN100465010C (zh) 2009-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1978B1 (ko) 작업차의 캐빈용 공조 구조
US7290829B2 (en) Working vehicle with a cab
JP4443485B2 (ja) 作業車のキャビン用空調構造
US7069736B2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hydraulic shovel
JP2010149731A (ja) 作業車の空調構造
JP4443486B2 (ja) 作業車のキャビン用空調構造
JP4246162B2 (ja) キャビンのダクト構造
JP4960997B2 (ja) 作業車のキャビン用空調構造
JP4381241B2 (ja) キャビン装置
JP4909960B2 (ja) 油圧ショベルの空調装置
JP4216773B2 (ja) キャビンの空調装置
JP2009255919A5 (ko)
JP4960998B2 (ja) 作業車のキャビン用空調構造
JP4528227B2 (ja) 農用トラクタのキャビン用空調構造
JP2018144666A (ja) 作業用車両
JP2006008076A5 (ko)
JP2009255920A5 (ko)
JP4681523B2 (ja) 作業車の防水シール構造
JP4226520B2 (ja) キャビン
JPH0516657A (ja) 車輌用キヤビンの空調装置
JP2010076497A (ja) 移動農機のキャビン
JP2006205764A (ja) キャビン装置
KR20150111809A (ko) 콤바인
JP2000094932A (ja) 作業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