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5003A - 공조장치를 탑재한 작업차용 캐빈 - Google Patents

공조장치를 탑재한 작업차용 캐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5003A
KR20140145003A KR20130067333A KR20130067333A KR20140145003A KR 20140145003 A KR20140145003 A KR 20140145003A KR 20130067333 A KR20130067333 A KR 20130067333A KR 20130067333 A KR20130067333 A KR 20130067333A KR 20140145003 A KR20140145003 A KR 201401450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abin
conditioning unit
outside air
air conditio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67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6975B1 (ko
Inventor
박인현
이헌중
Original Assignee
대동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동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동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67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6975B1/ko
Publication of KR20140145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50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6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69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35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 B60H1/00849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for selectively commanding the induction of outside or inside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357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64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damper doors
    • B60H1/00671Damper doors moved by rotation; Grilles
    • B60H1/00678Damper doors moved by rotation; Grilles the axis of rotation being in the door plane, e.g. butterfly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6Drivers' cabs
    • B62D33/0617Drivers' cabs for tractors or off-the-roa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2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HVAC devices with respect to the passenger compartment
    • B60H2001/00235Devices in the roof area of the passenger compar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기체의 운전석을 덮는 캐빈 상방에 공조장치를 탑재한 작업차용 캐빈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차용 캐빈은, 천장판, 이너루프, 아우터루프로 캐빈의 루프가 구성되고, 천장판에는 공조유닛이 탑재되며, 이너루프와 아우터루프 사이에는 소정의 외기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이너루프의 후단 격벽에는 상기 외기수용공간에 도입된 외부공기가 천장판에 탑재된 상기 공조유닛 쪽으로 유동할 수 있게 일정 면적의 외기유입구가 있고, 외기유입구에 내외기 조절유닛이 장치된 것을 구성의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공조장치를 탑재한 작업차용 캐빈{Cabin equipped with air conditioning unit for agricultural vehicle}
본 발명은 작업차용 캐빈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기체의 운전석을 덮는 캐빈 상방의 루프 내부에 공조장치를 탑재한 구성의 작업차용 캐빈에 관한 것이다.
외부 환경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고 작업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정숙성을 향상시켜 보다 쾌적한 환경에서 기체 조작을 행할 수 있도록, 트랙터와 같은 작업차 운전석에 캐빈(cabin)을 적용하는 추세에 있다. 이를 통상적으로 '캐빈형 작업차'라 하며, 캐빈은 투명한 유리로 된 박스 형태의 구조물로서 운전석 공간을 덮도록 되어 있다.
공간의 효율적 활용을 위해 작업차의 상기 캐빈의 루프에 공조장치를 탑재하고 있으며, 공조장치를 통해 공조 처리된 공기를 캐빈 내 운전석 사방으로 취출하여 캐빈 내부의 공기를 정화, 냉각, 가열, 감습, 또는 가습시킴으로써, 쾌적한 운전 환경을 조성하고, 유리창에 김이 서리거나 성애가 끼이는 것을 방지 또는 제거를 위해 공조장치가 이용되고 있다.
종래 캐빈의 공조장치는 대한민국등록특허 제751978호의 공조 유닛을 탑재한 작업차용 캐빈을 비롯해 다수의 공지기술에 기재된 바와 같이, 천장판과 외부커버 사이에 공조유닛을 배치하고, 공조유닛이 취출하는 공조 처리된 공기를 덕트를 이용해 여러 위치에서 캐빈 내부로 취출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 등에 나타난 종래 구성은 외기도입모드 또는 내기순환모드의 선택 절환용 내외기 조절유닛이 루프부 천장판에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내외기 조절유닛을 체결했을 때 견고히 고정되도록 하는 강화 플라스틱이나 금속재와 같은 특정한 재질로 천장판이 제한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천장판의 재질이 강화 플라스틱이나 금속재와 같이 특정 재질로 제한되면, 실내 미관 및 운전자의 안전을 고려해 쿠션체를 내장한 직물시트 등을 운전석 상방으로 노출된 상기 천장판 저면에 덧대는 작업이 별도로 행해져야 하므로, 작업공수가 증가하고 작업이 상당히 번거롭다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751978호(공고일 2007. 08. 28)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공조장치를 탑재하는 캐빈 천장에 내외기 조절유닛을 장치함에 있어 천장판 재질이 특정하게 한정되는 문제를 해소하고, 내외기 조절유닛 구성의 단순화와 장착의 용이함을 도모할 수 있는 작업차용 캐빈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천장판, 이너루프, 아우터루프로 캐빈의 루프가 구성되고, 천장판에는 공조유닛이 탑재되며, 이너루프와 아우터루프 사이에는 소정의 외기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이너루프의 후단 격벽에는 상기 외기수용공간에 수용된 외부공기가 천장판에 탑재된 상기 공조유닛 쪽으로 유동할 수 있게 일정 면적의 외기유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외기유입구의 개폐 단속을 위한 내외기 조절유닛을 구비하는 공조장치를 탑재한 작업차용 캐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공조유닛은, 캐빈 외부공기와 캐빈 내부공기 또는 캐빈 내부공기만을 흡입하여 공조 처리하고 토출하는 공조기기, 공조 처리된 공기를 캐빈 내 운전석 사방으로 유입시키기 위한 공기유동경로를 형성하는 다수의 공조덕트로 이루어진 구성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너루프에는 이너루프와 아우터루프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외기수용공간으로의 외기 도입을 위한 외기도입구가 마련되고, 상기 외기도입구에는 필터부재가 설치되어, 상기 외기수용공간에는 상기 필터부재를 통해 여과 처리된 외부공기만이 도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기도입을 위한 외기도입구는 이너루프 후단부 좌, 우측에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공조유닛의 공기 흡입 측이 내외기 조절유닛이 설치되는 상기 격벽의 외기유입구에 인접하게 위치하도록 공조유닛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 상기 내외기 조절유닛은, 외기유입구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회전 자유롭게 장치된 작동축과, 상기 작동축에 연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천장판을 관통해 캐빈 공간으로 연장된 조절레버와, 상기 작동축에 결합되고 조절레버 조작에 연동한 작동축 회전에 따라 상기 외기유입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조절판으로 된 구성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작동축은 프레임의 좌, 우측 세로부재에 설치되는 고정힌지에 양단이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도록 프레임에 횡행 설치되고, 상기 조절레버는 작동축 일측 단부에 수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작동축의 전동식 회전 구현을 위한 전동기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조장치를 탑재한 작업차용 캐빈에 의하면, 천장판, 아우터루프 사이로 이너루프가 위치하게 캐빈의 루프가 구성되고 이너루프에 내외기 조절유닛이 설치됨으로써, 내외기 조절유닛 설치를 위해 천장판 재질이 제한될 수 밖에 없던 종래에 비해 천장판 재질 선택에 있어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천장판의 재질 선택에 특별한 제한이 없게 되면, 종래 쿠션체를 내장한 직물시트 등을 내외기 조절유닛 장착 후 천장판 저면에 덧대는 작업을 천장판 제작 시 일원화시켜 제작 가능하므로, 작업공정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으며, 내외기 조절유닛의 구조 또한 단순하여 장착이 용이하고 조립성을 개선할 수 있다.
더욱이, 루프 내부에 외기를 수용하는 외기수용공간이 형성됨으로써, 외기 절환 시 공조유닛을 구성하는 공조기기의 흡입구는 여유공간에 수용된 보다 많은 양의 공기에 노출된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공기를 흡입하게 되므로, 덕트와 같이 협소한 공기유동경로를 통해 외기를 흡입하던 종래와 비교해 공조기기의 모터에 걸리는 흡입부하를 현저히 줄일 수 있다.
또한, 내기 절환 시 캐빈 내부에 있는 공기를 공조 처리하여 지속적으로 순환시키는 일반적인 자동차 공조시스템과 같은 내기모드가 구현되지만, 외기로 절환하게 되면 일반적인 자동차의 공조시스템과는 달리 내기는 계속적으로 순환하는 상태에서 외기도 함께 도입되어 공조 처리되고 캐빈으로 유입되므로, 실내 환경을 보다 쾌적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도 1은 캐빈형 작업차(트랙터)의 전체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캐빈의 루프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캐빈의 루프부를 다른 각도에서 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캐빈의 루프부를 평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캐빈의 루프부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6은 도 5에서 내외기 조절유닛 측을 확대 도시한 요부 확대도.
도 7은 이너루프에 장치되는 내외기 조절유닛의 사시도.
도 8는 캐빈 뒤쪽에서 바라본 도 8의 내외기 조절유닛 배면도.
도 9는 내외기 조절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캐빈형 작업차(트랙터)의 전체 측면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빈이 장착되는 작업차의 전체적인 구성부터 개략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캐빈을 장착한 작업차로서 트랙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캐빈형 트랙터는 전륜(FW)과 후륜(RW)으로 구분되는 주행륜을 갖고, 기체 조작을 위한 운전석(1)을 투명한 유리로 된 박스 형태의 캐빈(cabin, 2)이 덮어 보호하며, 캐빈(2)의 전방에는 엔진(5)을 비롯하여 차량 구동에 관련한 주요부품이 탑재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엔진룸(3)이 형성되어 있다.
엔진(5)은 풋악셀페달 또는 핸드악셀레버의 변위를 센서가 감지하고 그 감지된 변위 값을 기반으로 한 엔진제어유닛(ECU, 미도시)의 제어로서 출력이 조절되는 전자식 다기통 디젤엔진(diesel-engine) 또는 케이블 변위로 출력이 조절되는 기계식 엔진일 수 있으며, 보닛(4)으로 보호되는 엔진룸(3) 저부에 차체 길이방향을 따르도록 가로로 배치된다.
엔진룸(3)에는 또한, 엔진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에 포함된 유해물질을 산화시키고 걸러내는 일련의 정화처리를 위한 후처리장치(6)가 설치되며, 엔진(3) 과열 방지를 위한 냉각수가 냉각될 수 있도록 순환경로를 형성하는 라디에이터(7)가 차량 주행 시 도입되는 외기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엔진룸 앞쪽에 배치된다.
캐빈(2) 내 운전석(1) 공간에는 전륜 조향을 위한 조향력이 입력되는 조향 핸들(스티어링 휠, 11)을 비롯해 각종 조작레버, 버튼, 그리고 스위치가 마련되어 있으며, 조향실린더(미도시)로 공급될 작동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파워스티어링유닛이 스티어링컬럼유닛(10)을 매개로 상기 조향 핸들(11)에 연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운전석(1) 바닥을 경계로 운전석(1) 아래에는 변속기(8)가 엔진룸(3)에 배치된 상기 엔진(5)과 동력 전달 가능하게 직결됨으로써, 엔진(5)에서 출력된 동력은 변속기로 입력되고 변속기를 통해 주행 또는 작업에 적합한 동력으로 변속이 이루어지고, 변속기 출력축과 연결되는 동력전달축(미도시)을 통해 주행륜(FW)(RW)으로 전달된다.
캐빈(2)은 골조를 이루는 캐빈 프레임(21)과 캐빈 프레임(21) 사이로 장착되는 여러 개의 창과 출입 도어(부호 생략), 그리고 캐빈 상부를 덮는 루프(20)로 구성되며, 여기서 창은 다시, 전면창, 후면창, 측면 보조창으로 구분되고, 출입 도어는 상기 캐빈 프레임(21)에 힌지체를 매개로 외향 여닫이식 개폐 가능하게 연결된다.
캐빈 상부를 덮는 상기 루프(20)에는 일정 체적의 내부공간이 있으며, 이 내부공간에 캐빈 내 공기조화를 위한 공조유닛(30)이 장치된다. 이때 공조유닛(30)은 모터, 휀, 가열수단, 냉방수단 등을 모듈화한 공조기기(32)에 이 공조기기(32)를 통해 공조 처리된 공기를 캐빈 사방에서 운전석으로 유입시키는 공기유동경로를 형성하는 다수의 공조덕트(34)가 연결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후술될 도 4 참조).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공조유닛이 탑재되는 캐빈 루프 구성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캐빈의 루프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캐빈의 루프를 다른 각도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캐빈의 루프를 평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캐빈의 루프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캐빈 루프(20)는 크게, 천장판(22), 이너루프(24), 아우터루프(26)로 구성된다. 천장판(22)에는 앞서 설명한 공조유닛(30)이 탑재되며, 이너루프(24)와 아우터루프(26)는 포개지듯 결합되되 포개지듯 결합되는 이너루프(24)와 아우터루프(26) 사이에는 일정체적의 외기수용공간(23)이 형성되어 있고, 외기수용공간(23)에는 루프(20) 내부로 유입되는 외부공기가 수용된다.
이너루프(24)에 의해 상기 캐빈 루프(20)의 내부공간이 공조유닛(30)이 탑재되는 공간과 상기 외기수용공간(23)으로 분리 구획되며, 공간을 분리 구획하는 이너루프(24)의 후단 격벽(24a)에는 상기 외기수용공간(23)에 도입된 외부공기가 천장판(22)에 탑재된 상기 공조유닛(30) 쪽으로 유동할 수 있게 일정 면적으로 외기유입구(도 6참조)가 형성되고, 외기유입구에 내외기 조절유닛(40)이 설치된다.
내외기 조절유닛(40)은 상기 외기유입구(24b)의 개폐를 단속함으로써 내기모드로만 공조가 행해지도록 하거나 내기순환은 물론 외기를 함께 도입시켜 공조될 수 있도록 하며, 이로 인해 공조유닛(30)은 내부공기만을 흡입하거나 내부공기와 함께 상기 외기수용공간(23)으로 수용된 외부공기를 동시에 흡입하고 공조 처리하여 캐빈 내부로 유입시킨다.
이너루프(24)에는 외부와 연통하고 이너루프(24)와 아우터루프(26)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외기수용공간(23)으로의 외기 도입을 위한 외기도입구(24c)가 여러 개소에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외기도입구(24c)에는 필터부재(25)가 설치됨으로써, 상기 외기수용공간(23)에는 상기 필터부재(25)를 통해 여과 처리된 외부공기만이 머무르게 된다.
외기도입을 위한 상기 외기도입구(24c)는 도면을 통해 나타낸 바와 같이, 이너루프(24) 후단부 좌, 우측에 한 쌍이 대칭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외기도입구(24c) 각각에 필터부재(25)가 설치되는 구성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개수 및 설치 개소에 있어 특별한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며, 면적이나 형상 역시 외기만 원활히 도입될 수 있다면 특별한 제한은 없다.
외기수용공간(23)은 상기 외기도입구(24c)를 통해 유입된 외기를 수용하는 동시에, 수용된 공기가 상기 외기유입구(24b) 쪽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공기유동경로를 형성하며, 공조유닛(30) 구동 시 캐빈 바깥의 외부공기가 외기도입구(24c)와 내외기 조절유닛(40)을 거쳐 공조기기(32)의 흡입구(33)까지 도달되기 전, 모터 부하가 유발되지 않고 일정량의 공기를 선흡입할 수 있을 정도의 체적으로 형성된다.
외기도입구(24c)와 외기수용공간(23)은 항상 연통되어 있으며, 공조유닛(30)을 구성하는 공조기기(32)의 흡입구(33)는 외기수용공간(23)에 수용된 보다 많은 양의 공기에 노출된 상태에서 외기모드로 동작할 때 지속적으로 공기를 흡입하게 됨에 따라, 덕트와 같이 협소한 공기유동경로를 통해 외기를 흡입해야 했던 종래와 비교해 공조기기(32)의 모터에 걸리는 흡입부하가 현저히 줄게 된다.
공조유닛(30)을 구성하는 상기 공조기기(32)의 공기 흡입구(33) 측이 내외기 조절유닛(40)이 설치되는 상기 격벽(24a)의 내외기 조절유닛(40)에 인접하게 위치하도록 천장판(22) 상에 공조유닛(30)을 배치한다면(도 4 또는 도 6참조), 외기도입 시 공기의 유동경로를 최단으로 구현할 수 있어 외기 흡입을 위해 상기 모터에 걸리는 흡입부하를 더욱 줄일 수 있다.
도면부호 22a(도 2 참조)는 내기모드에서 캐빈 내 운전석 공간에 존재하는 내부공기가 캐빈 루프(20)의 상기 공조유닛(30) 쪽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통로인 내기유입구로서, 이러한 내기유입구(22a) 역시 내기 흡입 시 모터에 걸리는 흡입부하 최소화를 위해 공조유닛(30)을 구성하는 공조기기(32)의 상기 공기 흡입구(33)에서 가장 가까운 위치의 천정판에 형성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이너루프의 상기 외기유입구에 설치되는 내외기 조절유닛과 관련한 도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내외기 조절유닛(40)은, 외기유입구(24b)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되는 프레임(42)에 회전 자유롭게 장치된 작동축(44)을 구비하며, 작동축(44)에 결합되어 이 작동축(44)의 회전에 따라 상기 외기유입구(24b)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조절판(46)을 포함한다. 작동축(44)에는 조절레버(48a)가 연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조절레버(48a)는 상기 천장판(22)을 관통해 캐빈 내 운전석 공간으로 연장된다.
작동축(44)은 프레임의 좌, 우측 세로부재에 설치되는 고정힌지(43)에 양단이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도록 프레임(42)에 횡행 설치되며, 상기 조절레버(48a)는 운전석의 시트부에 착좌 상태에 있는 운전자가 그 착좌 상태에서 천장판(22)으로부터 돌출된 조절레버(48a)의 끝부분을 조작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로 형성되며 작동축(44) 일측 단부와 링크부재(47)를 매개로 연결된다.
조절판(46)은 천장판(22)을 관통해 운전석 상방으로 노출된 상기 조절레버(48a)를 위로 들어올리거나 아래로 내리는 동작에 연동한 상기 작동축(44)의 정, 역회전에 따라, 상기 외기유입구(24b)와 사이의 개도 면적을 늘이거나 줄이는 방향으로 회동하고, 이를 통해 외기 절환 시 도입되는 외기의 양을 원하는 형태로 늘이거나 줄일 수 있다.
조절판(46)에 의해 상기 외기유입구(24b)가 폐쇄된 상태에서 공조유닛(30)이 작동되면 천장판(22)에 형성되는 상기 내기유입구(22a)를 통해 캐빈 내부의 공기가 공조유닛(30)으로 흡입되고 공조 처리되어 다시 캐빈 내부로 내부 유입되며, 조절판(46) 동작으로 외기유입구(24b)가 개방된 때에는 상기 내부공기와 함께 신선한 외부공기가 유입되어 공조 처리되고 캐빈 내부로 유입된다.
즉, 내외기 조절유닛(40)을 내기로 절환 했을 때에는 캐빈 내부에 있는 공기를 공조 처리하여 지속적으로 순환시키는 일반적인 자동차 공조시스템과 같은 내기모드가 구현되지만, 외기로 절환하게 되면 일반적인 자동차의 공조시스템과는 달리 내기는 계속적으로 순환하는 상태에서 외기도 함께 도입되어 공조 처리되어 캐빈으로 유입되는 것이다.
한편, 조절판(46)에 의해 외기유입구(24b)가 폐쇄된 내기모드 상태에서도 어느 정도는 신선한 외기가 지속적으로 유입되어 환기가 구현될 수 있도록, 프레임(42)과 조절판(46) 사이에는 외기유입을 위해 항시 개방된 통로(49)가 더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통로(49)는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절판(46) 모서리나 가장자리를 소정의 크기로 잘라냄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도 9는 내외기 조절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운전자 수동조작에 의해 내외가 절환되는 상기한 일 실시예에 따른 매뉴얼 타입(manual type)과는 달리, 전동수단(48b) 예컨대, 전동모터 등에 의해 조절판(46)의 회동조작이 구현되는 전동식 타입(electric type)의 내외기 조절유닛(40)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9의 예시와 같이, 상기 내외기 조절유닛(40)은 조절레버(48a) 수동조작에 따라 내외기가 절환되는 구성뿐 아니라, 운전자 스위치 조작에 연동한 전동모터 동작으로 내외기가 절환되는 구성으로 변형될 수 있으며, 이때 작동축(44)과 전동수단(48b) 간 동력전달구조는 특정하게 한정되지 않고, 전동수단 또한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 등으로 대체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조장치를 탑재한 작업차용 캐빈에 의하면, 천장판, 아우터루프 사이로 이너루프가 위치하게 캐빈의 루프가 구성되고 이너루프에 내외기 조절유닛이 설치됨으로써, 내외기 조절유닛 설치를 위해 천장판 재질이 제한될 수 밖에 없던 종래에 비해 천장판 재질 선택에 있어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천장판의 재질 선택에 특별한 제한이 없게 되면, 종래 쿠션체를 내장한 직물시트 등을 내외기 조절유닛 장착 후 천장판 저면에 덧대는 작업을 천장판 제작 시 일원화시켜 제작 가능하므로, 작업공정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으며, 내외기 조절유닛의 구조 또한 단순하여 장착이 용이하고 조립성을 개선할 수 있다.
더욱이, 루프 내부에 외기를 수용하는 외기수용공간이 형성됨으로써, 외기 절환 시 공조유닛을 구성하는 공조기기의 흡입구는 여유공간에 수용된 보다 많은 양의 공기에 노출된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공기를 흡입하게 되므로, 덕트와 같이 협소한 공기유동경로를 통해 외기를 흡입하던 종래와 비교해 공조기기의 모터에 걸리는 흡입부하를 현저히 줄일 수 있다.
또한, 내기 절환 시 캐빈 내부에 있는 공기를 공조 처리하여 지속적으로 순환시키는 일반적인 자동차 공조시스템과 같은 내기모드가 구현되지만, 외기로 절환하게 되면 일반적인 자동차의 공조시스템과는 달리 내기는 계속적으로 순환하는 상태에서 외기도 함께 도입되어 공조 처리되고 캐빈으로 유입되므로, 실내 환경을 보다 쾌적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캐빈을 설명함에 있어 캐빈형 작업차로서 트랙터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에 따른 캐빈이 장착되는 작업차는 상기 트랙터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콤바인, 지게차, 굴삭기 등과 같이 캐빈을 적용하는 모든 작업차에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며, 이들 작업차에 장착하는 실시예 역시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운전석 2 : 캐빈
3 : 엔진룸 4 : 보닛
20 : 루프 21 : 캐빈 프레임
22 : 천장판 22a : 내기유입구
23 : 외기수용공간 24 : 이너루프
24a : 격벽 24b : 외기유입구
24c : 외기도입구 25 : 필터부재
26 : 아우터루프 30 : 공조유닛
32 : 공조기기 33 : 공기 흡입구
40 : 조절유닛 42 : 프레임
43 : 고정힌지 44 : 작동축
46 : 조절판 48a : 조절레버
48b : 전동수단 49 : 통로

Claims (9)

  1. 기체의 운전석을 덮는 캐빈 상방에 공조장치를 탑재한 작업차용 캐빈에 있어서,
    천장판, 이너루프, 아우터루프로 캐빈의 루프가 구성되고, 천장판에는 공조유닛이 탑재되며, 이너루프와 아우터루프 사이에는 소정의 외기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이너루프의 후단 격벽에는 상기 외기수용공간에 수용된 외부공기가 천장판에 탑재된 상기 공조유닛 쪽으로 유동할 수 있게 일정 면적의 외기유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외기유입구의 개폐 단속을 위한 내외기 조절유닛을 구비하는 공조장치를 탑재한 작업차용 캐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유닛은,
    캐빈 외부공기와 캐빈 내부공기 또는 캐빈 내부공기만을 흡입하여 공조 처리하고 토출하는 공조기기;
    공조 처리된 공기를 캐빈 내 운전석 사방으로 유입시키기 위한 공기유동경로를 형성하는 다수의 공조덕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장치를 탑재한 작업차용 캐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루프에는 이너루프와 아우터루프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외기수용공간으로의 외기 도입을 위한 외기도입구가 마련되고, 상기 외기도입구에는 필터부재가 설치되어, 상기 외기수용공간으로 도입되는 외부공기는 필터부재를 통해 여과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장치를 탑재한 작업차용 캐빈.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외기도입을 위한 외기도입구는 이너루프 후단부 좌, 우측에 대칭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장치를 탑재한 작업차용 캐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유닛의 공기 흡입 측이 내외기 조절유닛이 설치되는 상기 격벽의 외기유입구에 인접하게 위치하도록 공조유닛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장치를 탑재한 작업차용 캐빈.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내외기 조절유닛은,
    외기유입구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회전 자유롭게 장치된 작동축과,
    상기 작동축에 연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천장판을 관통해 캐빈 공간으로 연장된 조절레버와,
    상기 작동축에 결합되고 조절레버 조작에 연동한 작동축 회전에 따라 상기 외기유입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조절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장치를 탑재한 작업차용 캐빈.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축은 프레임의 좌, 우측 세로부재에 설치되는 고정힌지에 양단이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도록 프레임에 횡행 설치되고,
    상기 조절레버는 작동축 일측 단부에 수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장치를 탑재한 작업차용 캐빈.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판이 프레임에 밀착된 때기 프레임과 조절판 사이에는 지속적인 외기유입을 위해 상시 개방된 통로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장치를 탑재한 작업차용 캐빈.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축의 전동식 회전 구현을 위한 전동기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장치를 탑재한 작업차용 캐빈.
KR1020130067333A 2013-06-12 2013-06-12 공조장치를 탑재한 작업차용 캐빈 KR1021169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7333A KR102116975B1 (ko) 2013-06-12 2013-06-12 공조장치를 탑재한 작업차용 캐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7333A KR102116975B1 (ko) 2013-06-12 2013-06-12 공조장치를 탑재한 작업차용 캐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5003A true KR20140145003A (ko) 2014-12-22
KR102116975B1 KR102116975B1 (ko) 2020-05-29

Family

ID=52675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7333A KR102116975B1 (ko) 2013-06-12 2013-06-12 공조장치를 탑재한 작업차용 캐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697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81618A (zh) * 2020-08-19 2020-11-24 咸宁新创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可内循环的屋顶风机
RU207350U1 (ru) * 2021-02-25 2021-10-25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РЕССА" Кабин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8738A (ko) * 2003-06-12 2006-03-31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공조 유닛을 탑재한 작업차용 캐빈
KR100751978B1 (ko) 2005-08-31 2007-08-28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작업차의 캐빈용 공조 구조
JP2009255919A (ja) * 2009-08-07 2009-11-05 Kubota Corp 作業車のキャビン用空調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8738A (ko) * 2003-06-12 2006-03-31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공조 유닛을 탑재한 작업차용 캐빈
KR100751978B1 (ko) 2005-08-31 2007-08-28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작업차의 캐빈용 공조 구조
JP2009255919A (ja) * 2009-08-07 2009-11-05 Kubota Corp 作業車のキャビン用空調構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81618A (zh) * 2020-08-19 2020-11-24 咸宁新创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可内循环的屋顶风机
RU207350U1 (ru) * 2021-02-25 2021-10-25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РЕССА" Кабин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6975B1 (ko) 2020-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80425B1 (en) Natural air ventilation system for a vehicle cab
EP0756955B2 (en) Air-handl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US6361428B1 (en) Vehicle ventilation system
US7517280B2 (en) Air duct assembly for a vehicle
CN106660590B (zh) 作业车辆
JPH06156049A (ja) 自動車の車室用の暖房・換気・空調装置
KR102116975B1 (ko) 공조장치를 탑재한 작업차용 캐빈
EP2673151B1 (en) Hvac system for a work vehicle
KR102359648B1 (ko) 트랙터의 캐빈
JP4456340B2 (ja) 農用トラクタのキャビン用空調構造
JP2009196511A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2409457B1 (ko) 캐빈형 농작업차
JP2004182224A (ja) 車両のための空調機器
JP2017112961A (ja) コンバイン
JP2009090867A (ja) 車両用掃気システム
CN110562208A (zh) 车内仪表盘清洁系统和方法
JPH045362Y2 (ko)
JP2011195063A (ja) 車室構成部品冷却装置
JP3102011B2 (ja) トラクタ
JP3903984B2 (ja) トラクタのエアコン取付装置
JP3688193B2 (ja) 農用トラクター
JP6280464B2 (ja) 作業車両
JP2002200915A (ja) 特殊車両用空調装置
JP6346023B2 (ja) トラクタ
JP2006199215A (ja) キャビンのダクト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