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8061A - 캐빈형 농작업차 - Google Patents

캐빈형 농작업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8061A
KR20170008061A KR1020150099320A KR20150099320A KR20170008061A KR 20170008061 A KR20170008061 A KR 20170008061A KR 1020150099320 A KR1020150099320 A KR 1020150099320A KR 20150099320 A KR20150099320 A KR 20150099320A KR 20170008061 A KR20170008061 A KR 201700080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
air
conditioning unit
air conditioning
tubular pil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9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9457B1 (ko
Inventor
이헌중
박동균
천귀용
Original Assignee
대동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동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동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993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9457B1/ko
Publication of KR20170008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80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94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94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357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 B60H1/00378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for tractor or load vehicle cab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271HVAC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 parts or components and being connected to the vehicle HVAC unit
    • B60H1/00285HVAC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 parts or components and being connected to the vehicle HVAC unit for vehicle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57Details of ducts or cables
    • B60H1/00564Details of ducts or cables of air 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4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 B60H1/26Ventilating openings in vehicle exterior; Ducts for conveying ventilating air
    • B60H1/265Openings in window or door posts or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6Drivers' ca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운전석이 캐빈에 둘러싸여 보호되는 캐빈형 농작업차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캐빈형 농작업차는, 캐빈 저부에 배치되는 공조유닛, 공조유닛의 흡기구에 연결되며 공조유닛 내 외기 도입을 위한 공기유동경로를 형성하는 외기덕트, 캐빈 상부의 루프부와 펜더 프레임을 연결하며 외기덕트의 도입관부가 위치하도록 내부에 중공부를 형성한 관형 필라부, 관형 필라부 상단 또는 관형 필라부와 루프부의 이음부에 형성되는 외기 흡입부를 포함하며, 관형 필라부의 중공부에 상기 도입관부가 위치하며, 도입관부는 외기 흡입부에 관형 필라부를 통해 공기유동 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구성의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캐빈형 농작업차{Cabin type agricultural vehicle}
본 발명은 농작업차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운전석이 캐빈에 둘러싸여 보호되고 상기 캐빈 저부에 공조유닛이 배치된 캐빈형 농작업차에 관한 것이다.
농작업차 예컨대, 트랙터가 점차 대형화되고 고사양화 되는 추세에서, 외부 환경으로부터 운전석을 보호하고 정숙성을 향상시켜 보다 쾌적하고 안전한 운전환경을 보장하기 위해 투명한 유리로 된 박스 형태의 캐빈(cabin)이 운전석을 보호하는 구조를 널리 채택하고 있다. 이를 통상적으로 '캐빈형 농작업차'라 한다.
도 1은 종래 캐빈형 농작업차의 캐빈 상부 개략 측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캐빈형 농작업차의 캐빈은 전륜 조향을 위한 조향 핸들(105)을 비롯해, 기체 조작을 위한 각종 조작기구들이 배치된 운전석(100)을 덮어 보호하기 위해 기능하며, 캐빈 루프(210)와 캐빈 프레임(220), 그리고 프레임 사이에 장착되는 투광창(230) 들에 의해 대략 박스형 입체 구조물 형태로 제공된다.
캐빈 루프(210)에는 캐빈 내부의 운전석 실내 공간의 공조를 위한 공조장치(300)가 상기 탑재되어 있으며, 이를 위해 캐빈 루프(210)에는 공조장치가 안정적으로 탑재될 수 있을 정도의 체적을 갖는 내부 탑재공간을 형성하고 있고, 공조장치(300)에 의해 공조 처리된 공기는 운전석으로 취출되어 캐빈 내부의 공기를 쾌적하게 유지시킨다.
종래 캐빈형 농작업차에 있어 위와 같이 캐빈 루프에 공조장치가 탑재된 구성에 대해서는, 대한민국공개특허 제2004-106209호의 '공조 유닛을 탑재한 작업차용 캐빈'과 대한민국등록특허 제751978호의 '작업차의 캐빈용 공조 구조'를 포함하여 다수의 기술이 다양한 형태로 선행문헌을 통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공조장치가 캐빈 루프에 탑재된 종래의 기술은, 운전석의 시트부 상방에 공조장치가 배치됨에 따라, 시트 착석 시 운전자에게 공조장치의 구동소음이 상대적으로 크게 느껴지는 경향이 있으며 이로 인해 운전자로 하여금 불쾌감을 유발할 수 있다. 즉 조용하고 쾌적한 운전석 공간 구현에 있어 상기 공조장치가 장애요인이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당한 중량체인 공조장치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강성을 가지도록 캐빈 루프에 대한 설계가 이루어져야 함에 따라, 캐빈을 설계함에 있어 어려움이 있고, 공조장치가 탑재될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공간이 캐빈 루프에 마련되어야 하므로, 캐빈 루프의 부피가 클 수 밖에 없고 그 구조 또는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다.
더하여, 캐빈 루프의 부피가 커진 만큼 규정된 크기로 캐빈을 제작함에 있어 상대적으로 운전석 공간이 좁아지게 되는 문제가 있고, 공조장치가 탑재된 부분의 캐빈 루프의 내부 천장이 운전석 전방에서 운전자의 시야를 가리는 방향으로 하향 팽출됨에 따라 운전자의 시야가 좁아져 작업에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2004-106209호 (공개일 2004. 12. 17) 대한민국등록특허 제751978호(공고일 2007. 08. 28)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공조유닛 구동 시 발생하는 소음이 캐빈 내 운전석 공간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캐빈형 농작업차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캐빈 루프의 단순화와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는 캐빈형 농작업차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캐빈의 전체적인 부피를 키우지 않고도 캐빈에 의해 구획하는 운전석 공간을 충분히 크게 할 수 있는 캐빈형 농작업차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운전석이 캐빈에 의해 보호되는 캐빈형 농작업차에 있어서,
상기 캐빈 저부에 배치되는 공조유닛;
상기 공조유닛의 흡기구에 연결되며, 공조유닛 내 외기 도입을 위한 공기유동경로를 형성하는 외기덕트;
상기 캐빈 상부의 루프부와 펜더 프레임을 연결하며, 속이 빈 중공관 구조의 관형 필라부; 및
상기 관형 필라부 상단 또는 관형 필라부와 루프부의 이음부에 형성되는 외기 흡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관형 필라부의 내부에 상기 외기덕트의 도입관부가 위치하며, 도입관부는 상기 외기 흡입부에 상기 관형 필라부를 통해 공기유동 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빈형 농작업차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공조유닛은 공조 처리된 공기가 다방향에서 캐빈 내부로 유입되도록 송출하는 송출부를 구비하며, 블로워, 가열장치와 냉방장치를 모듈화 한 구성일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송출부에는 공조 처리된 공기를 운전석을 둘러싼 상기 캐빈 내부에 다방향에 걸쳐 유입되도록 공기유동경로를 형성하는 공조덕트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펜더 프레임에 차륜 일부를 둘러싸는 좌, 우측 펜더가 결합되고, 상기 좌, 우측 펜더 사이의 캐빈 저부에 공조유닛이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좌, 우측 펜더 사이의 시트 장착부 하부에 상기 공조유닛이 취부될 수 있다.
또한, 공조유닛의 좌측 또는 우측 후측면에 흡기구가 형성되고, 상기 흡기구에 상기 외기덕트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적용된 외기덕트는, 관형 필라부 내부에 위치하며 상부는 막혀 있고 측면부에 타공이 다수 형성된 도입관부와, 상기 도입관부의 하단 출구와 상기 공조유닛의 흡기구를 공기유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이송관부로 이루어진 구성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입관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속되는 하나 이상의 요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도입관부가 결합되는 관형 필라부 내주면에는 상기 요입부에 대응되는 볼록부가 관형 필라부 길이방향으로 연속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관부는 상기 캐빈의 후측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좌측 펜더 또는 우측 펜더를 경유하여 공조유닛의 흡기구에 연결될 수 있으며, 중간에 주름부가 형성된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외기덕트의 도입관부가 위치하는 관형 필라부는 상기 캐빈의 후단에 세로로 배치되는 좌측 리어 필라부 또는 우측 리어 필라부 중 어느 하나의 리어 필라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빈형 농작업차에 의하면, 캐빈 루프에 공조장치가 탑재된 종래구성과는 달리 공조장치가 캐빈 저부에 배치됨으로써, 캐빈의 구조적인 안정성을 증대시키면서도 캐빈 루프의 단순화와 경량화를 달성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비용 절감과 더불어 제품의 양산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종래 캐빈 루프에 공조유닛을 탑재한 구성에서는 캐빈 루프 내에 공간이 확보되어야 하기 때문에 캐빈 루프의 부피가 커지고 상대적으로 운전자의 헤드부 공간이 줄어들 수 밖에 없었지만, 본 발명은 캐빈 저부에 공조유닛이 배치됨에 따라 캐빈의 크기를 키우지 않고도 운전자의 헤드부 공간을 보다 넓게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하여, 상대적으로 운전자와의 거리가 가까운 운전석 저부에 공조유닛이 배치됨에 따라, 공조 처리된 공기가 캐빈 내부로 유입되는 경로를 짧게 할 수 있어 냉난방 효율의 극대화와 보다 만족도 높은 냉난방 편의를 제공할 수 있으며, 종래 기술에 비해 상대적으로 공조유닛의 구동 소음의 영향이 크게 줄어 실내 환경을 보다 정숙하고 쾌적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는 캐빈 루프에 공조유닛이 탑재됨에 따라 캐빈 루프의 내부 천장의 구조적인 형상이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는 문제가 있었으나, 본 발명은 캐빈 저부에 공조유닛이 배치됨에 따라 캐빈 루프 팽출에 따른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고, 따라서 작업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일층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실제 외기가 도입되는 외기덕트의 도입관부가 외부 환경에 직접 노출되지 않아 수분의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고, 외기가 기체 상부에서 유입되고 필라부를 따라 도입관부를 통해 공조유닛에 도입되는 구조임에 따라, 외기덕트를 기체 상부로 길게 연장하지 않고도 작업 또는 주행 시 분진에 상대적으로 노출이 덜한 기체 상부의 외기를 흡입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캐빈형 농작업차에 적용된 캐빈의 개략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캐빈형 농작업차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캐빈형 농작업차의 원동부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캐빈형 농작업차의 원동부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캐빈형 농작업차의 캐빈을 발췌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캐빈형 농작업차의 캐빈의 개략 사시도.
도 7은 도 6의 'A'부를 확대 도시한 본 발명의 요부 확대 사시도 및 평 단면도.
도 8은 도 7의 필라부를 Ⅰ-Ⅰ선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9는 도 6에서 'B'가 가리키는 부분을 확대 도시한 본 발명의 요부 확대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적용된 외기 흡입부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된 구성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또한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소지가 있는 구성에 대해서도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캐빈형 농작업차의 측면도이며, 도 3, 도 4는 각각 도 2에 도시된 캐빈형 농작업차의 원동부 측면 및 평면 개략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캐빈형 농작업차는 전륜(FW)과 후륜(RW)으로 이루어진 주행륜을 갖고, 운전석(1)을 보호하는 투명한 유리로 된 박스 형태의 캐빈(cabin, 2)을 포함한다. 캐빈(2)의 전방에는 엔진(5)을 비롯하여 차량 구동에 관여하는 주요부품들로서 원동부(3)를 구성하게 된다.
엔진(5)은 풋악셀페달 또는 핸드악셀레버의 변위를 센서가 감지하고 그 감지된 변위 값을 기반으로 한 엔진제어유닛(ECU, 미도시)의 제어로서 출력이 조절되는 전자식 다기통 디젤엔진(diesel-engine) 또는 케이블 변위로 출력이 조절되는 기계식 엔진일 수 있으며, 보닛(4)으로 덮인 원동부(3) 저부에 그 출력축이 차체 길이방향을 향하도록 길게 배치된다.
운전석(1)에는 전륜 조향을 위한 조향 핸들(스티어링 휠, 11)을 비롯해, 기체 조작을 위한 각종 레버, 버튼, 그리고 스위치가 마련되어 있으며, 조향 실린더로 공급될 작동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파워스티어링유닛(도시 생략)이 스티어링컬럼유닛(10)을 매개로 상기 조향 핸들(11)과 연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엔진(5)이 출력하는 동력 중 비변속 동력은 트랜스 미션(변속기, 9) 내에 배치되며 엔진 출력축에 직결되는 동력 취출용 PTO 축을 거쳐 차량 후미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작업기 구동을 위한 동력으로 출력되며, 트랜스 미션(9) 내 주변속장치와 부변속장치에 의한 변속동력은 미션 내 주행계 구동축을 통해 차량 기동을 위한 주행동력으로 제공된다.
원동부(3)를 구획하는 보닛(4)은, 좌우의 측면 커버(40a)(40b), 통기 가능한 전면 커버(42) 및 헤드라이트를 구비한 상부 커버(44)로 구성되어 있으며, 측면 커버(40a)(40b)와 전면 커버(42)는 앞차축 프레임(13) 및 보닛 취부대(14)에 지지를 받고, 상부 커버(44)는 보닛 취부대(14)의 상부에 구비된 힌지점(P)을 중심으로 상향 여닫이식 개폐된다.
원동부(3)의 상기 엔진(5) 전방에는 라디에이터(34)가 입설되어 엔진(5) 냉각수는 엔진 내 냉각 수 재킷(미도시)과 라디에이터(34) 사이를 순환 유동하며, 엔진(5)의 출력축(51)이 출력하는 동력으로 엔진(5) 전면에 배치된 냉각팬(24)과 엔진(5) 측부에 배치된 발전기(55)가 구동되고, 냉각팬(54) 구동으로 강제 도입된 외기에 의해 라디에이터(34)가 냉각된다.
라디에이터(34) 전방 상부에는 에어클리너(30)가 기체 전후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되, 엔진 룸 공간을 전후로 분리 구획하는 라디에이터(34) 후방의 칸막이(32)에 지지된 채 상기 라디에이터(34) 전방에 경사지게 배치된다. 그리고 에어클리너(30)의 후단에서부터 연장된 흡기관(36)이 엔진(5)의 우측면에 설치된 흡기매니폴드(50)에 접속된다.
흡기매니폴드(50)의 대향부 타측의 엔진에는 배기매니폴드(52)가 연결되며, 라디에이터(34) 후방의 배기매니폴드(52) 상부에는 원동부(3)를 평면에서 봤을 때 엔진 룸 좌측으로 치우치게 DPF와 같은 배기가스처리장치(60 또는 머플러)가 기체 전후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고 상기 배기매니폴드(52)가 배기가스처리장치(6)의 후단 입구에 접속된다.
트랜스 미션(9)은 캐빈(2)에 둘러싸인 상기 운전석(1) 하방에 차체 전후 길이방향으로 길게 배치된다. 트랜스 미션(9)의 입력축(미도시)이 원동부(3)에 배치된 상기 엔진(5)의 출력축(미도시)에 후방에 동력 전달 가능하게 직결되며, 운전석(1)을 둘러싸는 상기 캐빈(2) 저부에는 캐빈(2) 내부 운전석 공간의 환기, 냉난방 및 공기조화를 위해 공조유닛(7)이 배치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캐빈형 농작업차의 캐빈을 발췌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캐빈형 농작업차의 캐빈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캐빈(2)은 캐빈 상부의 루프부(20), 바닥 프레임(27), 펜더 프레임(25), 복수의 필라부(21) 및 필라부(21) 사이의 창(23, 전면창, 후면창, 측면창, 도어창 등)을 포함하며, 필라부(21)는 다시 캐빈(2) 전단과 후단에 세로로 배치되는 좌, 우 한 쌍의 프론트 필라부(21F)와 리어 필라부(21R)로 크게 구분된다.
캐빈(2) 저부에 배치된 공조유닛(7)은 블로워, 가열수단(히터), 냉방수단(증발기)을 하나의 유닛형태로 모듈화한 구성일 수 있으며, 공조유닛(7)의 전, 후면과 측면에는 캐빈(2) 내부 공간에 특정 영역에 편중됨이 없이 균일한 공조성능이 발휘될 수 있도록 공조처리 완료된 공기를 다방향으로 송출하는 다수의 송출부(미도시)가 형성된다.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상기 송출부에는 공조 처리된 공기를 운전석을 둘러싸는 상기 캐빈 내부에 다방향에 걸쳐 유입되도록 공기유동경로를 형성하는 공조덕트가 연결되며, 공조유닛(7)의 좌측 또는 우측 후측면에는 상기 블로워 구동에 따라 외부공기가 강제 유입되는 흡기구(70)가 형성된다.
흡기구(70)에는 외부공기를 상기 공조유닛(7) 내부로 도입시키는 공기유동경로를 형성하는 외기덕트(72)가 연결되되, 후술하는 도 7 및 도 8과 같이 상기 필라부(21)는 속이 빈 중공관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외기덕트(72)의 일부(도입관부)가 상기 중공관 구조의 필라부(21, 이하, '관형 필라부'라 함) 내에 위치하도록 연결된다.
관형 필라부(21) 상단 또는 관형 필라부(21)와 캐빈 루프부(20)의 사이의 이음부에는 외부와 관형 필라부(21) 내부를 연결하는 통로인 외기 흡입부(29)가 형성되며, 외기 흡입부(29)는 관형 필라부(21)를 통해 외기덕트(72)의 도입관부(73)와 공기 유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관형 필라부(21)가 상기 외기 흡입부(29)와 외기덕트(72)를 공기유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덕트가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블로워 구동으로 외기 흡입부(29)를 통해 외부공기가 관형 필라부(21) 내부로 유입되면, 관형 필라부(21) 내부에 형성된 통로를 따라 상기 외기덕트(72)(도입관부) 측으로 이동되고, 외기덕트(72)와 흡기구(70)를 통해 공조유닛(7) 내부로 유입된다. 이후 설정 조건에 맞는 공조 처리 후 미도시된 공조덕트를 통해 캐빈(2) 내부 공간에 유입된다.
공조유닛(7)은 도 6을 통해 도시한 바와 같이, 캐빈(2)의 양 후측면에 일체로 형성된 좌, 우측 펜더(8R, 8L)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좌, 우측 펜더(8R, 8L) 사이로 시트 장착을 위해 캐빈(2) 바닥면과 단차지게 형성되는 시트 장착부(28) 하부 공간에 도시하지 않은 별도의 취부대나 브라켓 등에 의해 이탈 없이 견고히 고정되도록 취부될 수 있다.
공조유닛(7) 좌측 또는 우측 후측면 상기 흡기구(70)가 형성될 수 있으며, 흡기구(70)에 상기 외기덕트(72)가 직접 연결되거나 별도의 관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공조유닛(7)의 상기 흡기구(70)에 연결되는 외기덕트(72)는 도입관부(73)와 이송관부(74)로 이루어진 구성일 수 있다. 도입관부(73)는 상기 관형 필라부(21) 내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이송관부(74)는 상기 도입관부(73)의 하단 출구와 공조유닛(7)의 상기 흡기구(70)를 공기유동 가능하게 연결한다.
이송관부(74)는 상기 캐빈(2)의 후측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좌측 펜더(8L) 또는 우측 펜더(8R)(도면에서는 좌측 펜더(8L)를 경유하는 것을 예시하고 있음)를 경유하여 공조유닛(7)의 상기 흡기구(70)에 연결되며, 외기덕트(72)의 도입관부(73)가 위치하는 관형 필라부(21)는 캐빈(2)의 후단에 세로로 배치되는 좌측 또는 우측 리어 필라부(21R) 중 하나일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서 도면부호 740은 이송관부(74) 중간지점에 형성된 주름부로서, 상기 도입관부(73)를 관형 필러부에 조립 시 조립의 유연성을 확보할 목적으로 형성된다.
도 7은 도 6의 'A'부를 확대 도시한 본 발명의 요부 확대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의 필라부를 Ⅰ-Ⅰ선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관형 필라부(21) 내에 위치하는 상기 도입관부(73)는 상부는 막혀 있고 측면부에 외부 공기 도입을 위해 일정 간격으로 타공이 다수 형성된 막대 모양 중공체일 수 있으며, 도입관부(73)와 상기 관형 필라부(21) 내연에는 각각의 길이방향으로 요입부(730)와 볼록부(210)가 하나 이상씩 형성될 수 있다.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방향과 직접적으로 마주하는 면인 상기 도입관부(73)의 상부가 막힌 구성을 이룸에 따라, 관형 필라부(21)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더라도 상기 도입관부(73)로 유입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고, 요입부(730)와 볼록부(210)에 의해 관형 필라부(21) 내 도입관부(73)의 조립 후 관형 필라부(21) 내 도입관부(73)의 좌, 우 유동이나 회전이 억제될 수 있다.
요입부(730)는 상기 도입관부(73)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되면서 도 8과 같이 도입관부(73) 중심을 향하도록 관의 일부를 오목하게 성형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고, 볼록부(210)는 상기 요입부(730)에 대략 대응되는 모양으로 관형 필라부(21)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되게 형성됨으로써 조립 시 상기 요면부가 볼록부(210)를 따라 슬라이드 조립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9는 도 6에서 'B'가 가리키는 부분을 확대 도시한 본 발명의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캐빈(2)의 외부와 관형 필라부(21) 내부를 연결하는 통로인 전술한 외기 흡입부(29)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형 필라부(21)와 캐빈(2) 루프부(20)의 이음부에 형성되는 틈새(g)를 이용한 것일 수 있다. 이때 틈새(g)는 인위적인 가공에 의해 형성되거나 이음부 허용 공차에 의해 미소한 크기로 자연스럽게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외기 흡입부(29)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이다.
도 10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기 흡입부(29)는, 캐빈(2) 루프부(20)에 인접한 관형 필라부(21) 상단에 다수의 통기홀(215)이 형성되고, 통기홀(215) 주변을 아래가 개방된 덮개(218)가 커버링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덮개(218) 아래쪽 개구부(219)를 통해 외부공기가 덮개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통기홀(215)을 통과하여 관형 필라부(21)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빈형 농작업차에 의하면, 캐빈 루프에 공조장치가 탑재된 종래의 구성과는 달리 공조장치가 캐빈 저부에 배치됨으로써, 캐빈의 구조적인 안정성을 증대시키면서도 캐빈 루프의 단순화와 경량화를 달성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비용 절감과 더불어 제품의 양산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종래 캐빈 루프에 공조유닛을 탑재한 구성에서는 캐빈 루프 내에 공간이 확보되어야 하기 때문에 캐빈 루프의 부피가 커지고 상대적으로 운전자의 헤드부 공간이 줄어들 수 밖에 없었지만, 본 발명은 캐빈 저부에 공조유닛이 배치됨에 따라 캐빈의 크기를 키우지 않고도 운전자의 헤드부 공간을 보다 넓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운전자와의 거리가 가까운 운전석 저부에 공조유닛이 배치됨에 따라, 공조 처리된 공기가 캐빈 내부로 유입되는 경로를 짧게 할 수 있어 냉난방 효율을 높일 수 있고 만족도 높은 냉난방 편의를 제공할 수 있으며, 종래 기술에 비해 상대적으로 공조유닛의 구동 소음의 영향이 크게 줄어 실내 환경을 보다 정숙하고 쾌적하게 할 수 있다.
더하여, 종래 기술에서는 캐빈 루프에 공조유닛이 탑재됨에 따라 캐빈 루프의 내부 천장의 구조적인 형상이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는 문제가 있었으나, 본 발명은 캐빈 저부에 공조유닛이 배치됨에 따라 캐빈 루프 팽출에 따른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고, 따라서 작업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일층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실제 외기가 도입되는 외기덕트의 도입관부가 외부 환경에 직접 노출되지 않아 수분의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고, 외기가 기체 상부에서 유입되고 필라부를 따라 도입관부를 통해 공조유닛에 도입되는 구조임에 따라, 외기덕트를 기체 상부로 길게 연장하지 않고도 작업 또는 주행 시 분진에 상대적으로 노출이 덜한 기체 상부의 외기를 흡입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운전석 2 : 캐빈
3 : 원동부 4 : 보닛
5 : 엔진 6 :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
7 : 공조장치 8R, 8L : 후륜팬더
9 : 트랜스 미션 10 : 스티어링컬럼유닛
20 : 루프부 21 : 필라부
21F : 프론트 필라부 21R : 리어 필라부(관형 필라부)
25 : 펜더 프레임 27 : 바닥 프레임
28 : 시트 장착부 29 : 외기 흡입부
72 : 외기덕트 73 : 도입관부
74 : 이송관부 210 : 볼록부
730 : 요입부 732 : 타공
740 : 주름관부

Claims (9)

  1. 운전석이 캐빈에 의해 보호되는 캐빈형 농작업차에 있어서,
    상기 캐빈 저부에 배치되는 공조유닛;
    상기 공조유닛의 흡기구에 연결되며, 공조유닛 내 외기 도입을 위한 공기유동경로를 형성하는 외기덕트;
    상기 캐빈 상부의 루프부와 펜더 프레임을 연결하며, 속이 빈 중공관 구조의 관형 필라부; 및
    상기 관형 필라부 상단 또는 관형 필라부와 루프부의 이음부에 형성되는 외기 흡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관형 필라부의 내부에 상기 외기덕트의 도입관부가 위치하며, 도입관부는 상기 외기 흡입부에 상기 관형 필라부를 통해 공기유동 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빈형 농작업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유닛은 공조 처리된 공기가 다방향에서 캐빈 내부로 유입되도록 송출하는 송출부를 구비하며, 블로워, 가열장치와 냉방장치를 모듈화 한 구성이고,
    상기 송출부에는 공조 처리된 공기를 운전석을 둘러싼 상기 캐빈 내부에 다방향에 걸쳐 유입되도록 공기유동경로를 형성하는 공조덕트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빈형 농작업차.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펜더 프레임에 차륜 일부를 둘러싸는 좌, 우측 펜더가 설치되고, 상기 좌, 우측 펜더 사이의 캐빈 저부에 상기 공조유닛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빈형 농작업차.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좌, 우측 펜더 사이의 시트 장착부 하부에 상기 공조유닛이 취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빈형 농작업차.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유닛의 좌측 또는 우측 후측면에 흡기구가 형성되고, 상기 흡기구에 상기 외기덕트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빈형 농작업차.
  6.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외기덕트는,
    관형 필라부 중공부에 위치하며 상부는 막혀 있고 측면부에 타공이 다수 형성된 도입관부와;
    상기 도입관부의 하단 출구와 상기 공조유닛의 흡기구를 공기유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이송관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빈형 농작업차.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도입관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속되는 하나 이상의 요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도입관부가 결합되는 관형 필라부 내주면에는 상기 요입부에 대응되는 볼록부가 관형 필라부 길이방향으로 연속해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빈형 농작업차.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관부는 상기 캐빈의 후측면의 좌측 펜더 또는 우측 펜더를 경유하여 공조유닛의 흡기구에 연결되며, 중간에 주름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빈형 농작업차.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기덕트의 도입관부가 위치하는 관형 필라부는 상기 캐빈의 후단에 세로로 배치되는 좌측 리어 필라부 또는 우측 리어 필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빈형 농작업차.
KR1020150099320A 2015-07-13 2015-07-13 캐빈형 농작업차 KR1024094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9320A KR102409457B1 (ko) 2015-07-13 2015-07-13 캐빈형 농작업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9320A KR102409457B1 (ko) 2015-07-13 2015-07-13 캐빈형 농작업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8061A true KR20170008061A (ko) 2017-01-23
KR102409457B1 KR102409457B1 (ko) 2022-06-16

Family

ID=57989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9320A KR102409457B1 (ko) 2015-07-13 2015-07-13 캐빈형 농작업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945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77693A (zh) * 2018-11-01 2019-01-1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客车
US20210291616A1 (en) * 2018-12-19 2021-09-23 Kubota Corporation Cabi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08741A (ja) * 1994-10-06 1996-04-30 Kubota Corp キャビン付トラクタの空調装置
JP2544232B2 (ja) * 1990-05-22 1996-10-16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用空調装置
KR20040106209A (ko) 2003-06-12 2004-12-17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공조 유닛을 탑재한 작업차용 캐빈
KR100751978B1 (ko) 2005-08-31 2007-08-28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작업차의 캐빈용 공조 구조
US20110250832A1 (en) * 2008-10-27 2011-10-13 Agco Gmbh Tractor Cab Heating and Ventilating System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4232B2 (ja) * 1990-05-22 1996-10-16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用空調装置
JPH08108741A (ja) * 1994-10-06 1996-04-30 Kubota Corp キャビン付トラクタの空調装置
KR20040106209A (ko) 2003-06-12 2004-12-17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공조 유닛을 탑재한 작업차용 캐빈
KR100751978B1 (ko) 2005-08-31 2007-08-28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작업차의 캐빈용 공조 구조
US20110250832A1 (en) * 2008-10-27 2011-10-13 Agco Gmbh Tractor Cab Heating and Ventilating Systems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77693A (zh) * 2018-11-01 2019-01-1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客车
CN109177693B (zh) * 2018-11-01 2020-11-0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客车
US20210291616A1 (en) * 2018-12-19 2021-09-23 Kubota Corporation Cabin
AU2019400384B2 (en) * 2018-12-19 2023-07-20 Kubota Corporation Cabin
US11780286B2 (en) * 2018-12-19 2023-10-10 Kubota Corporation Cabin
AU2019400384C1 (en) * 2018-12-19 2023-10-26 Kubota Corporation Cabi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9457B1 (ko) 2022-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7216B1 (ko) 작업차
JP6566817B2 (ja) 作業車
EP3176058B1 (en) Work vehicle
JP2009012609A (ja) トラクタの原動部構造
US7891409B2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JP3979176B2 (ja) 車両のエンジン配設構造
JP2007050803A (ja) 自動車のバッテリ搭載構造
KR20170008061A (ko) 캐빈형 농작업차
JP7072449B2 (ja) 作業車
KR102359648B1 (ko) 트랙터의 캐빈
JP2016203752A (ja) 作業車両
WO2010001629A1 (ja) 作業車両
JP2006199214A (ja) キャビンのダクト構造
ITTO990124A1 (it) Gruppo di scambio termico preassemblato e veicolo munito di talegruppo.
KR20150093007A (ko) 캐빈형 농작업차
CN114132170A (zh) 车体前部结构
JP2005146741A (ja) キャブおよび作業機械
JP5764012B2 (ja) コンバイン
KR20140145003A (ko) 공조장치를 탑재한 작업차용 캐빈
JP2021000860A (ja) 車両用冷却機構
WO2024090006A1 (ja) 作業車
WO2016189941A1 (ja) 作業車
JP5979380B2 (ja) 車両の吸気音伝達装置
JP6346023B2 (ja) トラクタ
JP6280464B2 (ja) 作業車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