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7216B1 - 작업차 - Google Patents

작업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7216B1
KR101397216B1 KR1020130024886A KR20130024886A KR101397216B1 KR 101397216 B1 KR101397216 B1 KR 101397216B1 KR 1020130024886 A KR1020130024886 A KR 1020130024886A KR 20130024886 A KR20130024886 A KR 20130024886A KR 101397216 B1 KR101397216 B1 KR 1013972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loop
vehicle body
path
exha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4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1313A (ko
Inventor
도모아키 후쿠나가
게이시로오 니시
히로오 후지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1400413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13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72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72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357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 B60H1/00378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for tractor or load vehicle cab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60H1/00535Mounting or fastening of the housing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6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with ai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6/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 B60K6/2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 B60K6/22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apparatus, components or means specially adapted for HEVs
    • B60K6/4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apparatus, components or means specially adapted for HEVs characterised by the assembly or relative disposition of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2001/003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with means for cooling the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B60K2001/0405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characterised by their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1Trac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03/00Hybrid electric vehicles, HEVS
    • Y10S903/902Prime movers comprising electrical and internal combustion motors
    • Y10S903/903Prime movers comprising electrical and internal combustion motors having energy storing means, e.g. battery, capacitor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루프부에 전원 유닛 및 전원 유닛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 구조를 구비하면서, 전원 유닛 및 냉각 구조를 적절한 위치에 배치하여, 차체의 차고를 최대한 낮게 하는 것이다.
운전자가 탑승하는 캐빈의 루프부(20)에, 전원 유닛(51)와, 그 전원 유닛(51)에 캐빈 밖의 공기를 공급하는 흡기로(61)와, 전원 유닛(51)에 공급된 공기를 루프부(20)의 외부로 배기하는 배기로(62)를 구비하고, 전원 유닛(51)은 차체 횡 폭 방향의 중앙측 부위에 배치되고, 흡기로(61)는 차체 횡 폭 방향의 중앙부에 구비된 흡기구(63)로부터 흡기되는 공기를 전원 유닛(51)으로 유도하고, 배기로(62)는 평면에서 보아 전원 유닛(51)에 공급된 공기를 차체 횡 폭 방향의 일단부에 구비된 배기구(64)를 향해 굴곡시켜서 통류시키는 굴곡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작업차 {WORK VEHICLE}
본 발명은 전원 유닛으로부터의 전력에 의해 작동하는 전동 모터의 구동력을 주행 전동계에 전달하는 작업차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작업차로서, 전원 유닛을 수납한 수납 박스가 차체의 루프부의 상면에 부착되고, 그 수납 박스로 빗물 등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수납 박스의 상부 및 횡측부의 주위를 덮는 방수 커버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수납 박스에 수납하는 전원 유닛에 대해서는 온도 상승을 방지하기 위하여 냉각 구조를 구비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작업차에서는, 방수 커버와 루프부 사이에 간극을 마련하고, 방수 커버 밖의 공기를 그 간극을 통하여 방수 커버 내로 흡기시키고, 그 공기를 흡기 덕트 및 흡기구를 통하여 수납 박스 내에 공급하여 전원 유닛을 냉각하고 있다. 전원 유닛을 냉각한 공기는, 배기구 및 배기 덕트를 통하여 수납 박스 밖으로 배기되어, 방수 커버와 루프부 사이의 간극을 통하여 방수 커버 밖으로 배기시키고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9-154826호 공보
상기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작업차에서는, 전원 유닛뿐만 아니라, 그 전원 유닛을 냉각하기 위해서, 공기를 통류시키는 유로나 팬 등의 냉각 구조도 루프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전원 유닛이나 냉각 구조가 루프부보다도 상방측으로 돌출되게 되어, 차체의 차고가 높아져 버린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전원 유닛 및 냉각 구조를 루프부에 구비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지만, 예를 들어 루프부에는 그 밖의 부재도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루프부의 한정된 공간에 다른 부재와 간섭하지 않도록, 전원 유닛 및 냉각 구조를 배치시켜야만 해, 전원 유닛 및 냉각 구조를 루프부에 구비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예를 들어, 트랙터 등의 작업차에서는, 운전자가 탑승하는 캐빈을 공조하기 위한 공조 장치를 루프부에 구비하고 있는 것이 있다. 이 트랙터에서는, 루프부에 공조 장치 및 전원 유닛을 구비하는 데 있어서, 공조 장치 및 전원 유닛의 양자를 가능한 한 차체 횡 폭 방향의 중앙측 부위에 배치하고자 하는 요망이 있다. 이 요망에 부응하기 위해서, 예를 들어 차체 전후 방향으로 전원 유닛과 공조 장치를 나란히 배치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차체 횡 폭 방향의 중앙측 부위에 배치된 전원 유닛에 대하여 공기를 공급하여 냉각하는 냉각 구조를 구비하게 되므로, 이 냉각 구조와 공조 장치가 간섭하지 않도록 배치해야만 해 공조 장치에 대하여 냉각 구조를 어떻게 배치시킬지가 문제가 된다. 예를 들어, 공조 장치와 냉각 구조를 상하 방향으로 겹치게 배치하면, 차체의 차고가 높아진다는 문제가 현저해져 버린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루프부에 전원 유닛 및 그 전원 유닛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 구조를 구비하면서, 그 전원 유닛 및 냉각 구조를 적절한 위치에 배치하여, 차체의 차고를 최대한 낮게 할 수 있는 작업차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작업차의 특징 구성은, 전원 유닛으로부터의 전력에 의해 작동하는 전동 모터의 구동력을 주행 전동계에 전달하는 작업차에 있어서,
운전자가 탑승하는 캐빈의 루프부에, 상기 전원 유닛과, 그 전원 유닛에 상기 캐빈 밖의 공기를 공급하는 흡기로와, 상기 전원 유닛에 공급된 공기를 상기 루프부의 외부로 배기하는 배기로를 구비하고,
상기 전원 유닛은 차체 횡 폭 방향의 중앙측 부위에 배치되고,
상기 흡기로는 차체 횡 폭 방향의 중앙부에 구비된 흡기구로부터 흡기되는 공기를 상기 전원 유닛으로 유도하고,
상기 배기로는, 평면에서 보아 상기 전원 유닛에 공급된 공기를 차체 횡 폭 방향의 일단부에 구비된 배기구를 향해 굴곡시켜 통류시키는 굴곡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루프부에 있어서 차체 횡 폭 방향의 중앙측 부위에 전원 유닛을 배치시킬 수 있고, 그 전원 유닛을 냉각시키기 위한 공기를 공급하는 흡기로와 전원 유닛에 공급된 공기를 배기하는 배기로도 루프부에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흡기로는, 차체 횡 폭 방향의 중앙부에 구비된 흡기구로부터 차체 횡 폭 방향의 중앙측 부위에 구비된 전원 유닛으로 공기를 유도만 해도, 그 형상 및 구성을 간이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배기로는 차체 횡 폭 방향의 중앙측 부위에 구비된 전원 유닛으로부터 차체 횡 폭 방향의 일단부에 구비된 배기구를 향해 굴곡시켜서 공기를 통류시키므로, 그 굴곡된 부위보다도 후방측에 빈 공간을 구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 빈 공간에, 루프부에 구비하는 다른 부재를 배치시킬 수 있어, 다른 부재와 냉각 구조가 상하 방향으로 겹치는 일 없이 냉각 구조를 배치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루프부에 전원 유닛 및 그 전원 유닛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 구조를 구비하여, 다른 부재와의 간섭을 피하면서, 전원 유닛 및 냉각 구조를 적절한 위치에 배치하여, 차체의 차고를 최대한 낮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작업차의 또 다른 특징 구성은, 상기 루프부는 평면에서 보아, 상기 캐빈보다도 차체 횡 폭 방향의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 부위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배기구는 상기 루프부의 상기 돌출 부위에 있어서 하방측을 향해 공기를 배기시키고 있는 점에 있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배기구는 루프부의 돌출 부위에 있어서 하방측을 향해 공기를 배기시키고 있으므로, 빗물 등이 배기구를 통하여 배기로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작업차의 또 다른 특징 구성은, 상기 루프부에는 상기 캐빈에 공조 공기를 공급하는 공조 장치가 구비되고, 그 공조 장치는 상기 전원 유닛보다도 차체 전후 방향의 후방측에서 차체 횡 폭 방향의 중앙측 부위에 배치되고, 상기 배기로는 평면에서 보아 상기 공조 장치로부터 벗겨지도록 굴곡되어 있는 점에 있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전원 유닛 및 공조 장치를 차체 횡 폭 방향의 중앙측 부위에 배치하고자 하는 요망에 부응할 수 있으면서, 배기로를 평면에서 보아 공조 장치로부터 벗겨지도록 굴곡시켜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배기로와 공조 장치가 상하 방향으로 겹치는 부위가 거의 없어, 차체의 차고를 가능한 한 낮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작업차의 또 다른 특징 구성은, 상기 루프부에는 차체 횡 폭 방향의 양단부에, 상기 공조 장치에 의해 공조된 공조 공기를 상기 캐빈에 공급하는 공조 공기 공급로가 구비되고, 상기 전원 유닛을 그 상부에 지지하는 지지체는 평면에서 보아 상기 공조 공기 공급로의 사이에 있어서, 상기 공조 공기 공급로의 상단부보다도 하방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점에 있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전원 유닛의 배치 위치로서, 평면에서 보아 공조 공기 공급로 사이의 공간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어, 전원 유닛과 공조 공기 공급로와의 간섭을 피하면서 그 양자를 적절하게 배치할 수 있다. 게다가, 전원 유닛을 그 상부에 지지하는 지지체는, 공조 공기 공급로의 상단부보다도 하방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므로, 공조 공기 공급로에 대하여 전원 유닛이 상방측으로 돌출된 부위의 높이를 최대한 낮게 할 수 있어, 그만큼 차체의 차고를 가능한 한 낮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작업차의 또 다른 특징 구성은, 상기 루프부는 이너 루프와 아우터 루프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이너 루프의 상부를 덮도록 상기 아우터 루프를 적재시켜서 상기 아우터 루프와 상기 이너 루프 사이에 상기 전원 유닛의 수용 공간을 형성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흡기구 및 상기 배기구는 상기 아우터 루프에 구비되고, 상기 흡기로는 상기 이너 루프측에 구비된 이너측 유로 부위와 상기 아우터 루프측에 구비된 아우터측 유로 부위를 구비하고, 상기 배기로는 상기 이너 루프측에 구비된 이너측 유로 부위와 상기 아우터 루프측에 구비된 아우터측 유로 부위를 구비하고, 상기 흡기로 및 상기 배기로에 있어서의 상기 이너측 유로 부위와 상기 아우터측 유로 부위와의 접속에 대해서는, 상기 이너 루프의 상부를 덮도록 상기 아우터 루프를 적재시킴으로써 행해지고 있는 점에 있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이너 루프의 상부를 덮도록 아우터 루프를 적재시키는 것만으로, 아우터 루프와 이너 루프 사이에 전원 유닛의 수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너 루프의 상부를 덮도록 아우터 루프를 부착하므로, 그 부착 시에 흡기로 및 배기로에 있어서의 이너측 유로 부위와 아우터측 유로 부위를 접속하는 접속 작업을 행하는 경우에, 아우터 루프를 일단 상방측으로 들어올리면서 접속 작업을 행하는 등, 그 접속 작업이 수고가 들게 되어 있었다. 따라서, 본 특징 구성에서는, 흡기로 및 배기로에 있어서의 이너측 유로 부위와 아우터측 유로 부위와의 접속에 대해서도, 이너 루프의 상부를 덮도록 아우터 루프를 적재시키는 것만으로 행하고 있다. 이에 의해, 흡기로 및 배기로에 있어서의 이너측 유로 부위와 아우터측 유로 부위를 접속하기 위한 접속 작업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어, 루프부의 조립 작업의 간소화 및 그 작업에 걸리는 시간의 단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작업차의 또 다른 특징 구성은, 상기 흡기로 및 상기 배기로에 있어서의 상기 이너측 유로 부위와 상기 아우터측 유로 부위와의 접속부는, 상기 이너 루프의 상부에 상기 아우터 루프를 적재시키는 적재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는 경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흡기로 및 배기로에 있어서의 이너측 유로 부위와 아우터측 유로 부위를 접속하는 데 있어서, 이너측 유로 부위와 아우터측 유로 부위가 위치 어긋나 있어도, 경사 형상의 접속부에 의해 적절한 위치로 안내시키면서 접속할 수 있다. 따라서, 그 접속 작업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그 접속 작업을 적절하게 행할 수 있다.
도 1은 트랙터의 전체 측면도.
도 2는 트랙터의 제어 블록도.
도 3은 루프부의 종단 측면도.
도 4는 루프부의 평면도.
도 5는 루프부의 차체 전후 방향의 중앙측 부위에서의 종단 배면도.
도 6은 루프부의 차체 전후 방향의 후방측 부위에서의 종단 배면도.
도 7은 루프부의 아우터 루프를 제거한 상태에서의 사시도.
도 8은 차체 전후 방향의 후방측 부위에서의 시일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9는 차체 전후 방향의 후방측 부위에서의 시일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전체 구성]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작업차는, 예를 들어 하이브리드형의 트랙터이다. 이 트랙터는 조향 조작(조타) 가능한 좌우 한 쌍의 전방 차륜(1)과 좌우 한 쌍의 후방 차륜(2)을 갖는 주행 기체(3)와, 그 주행 기체(3)의 전방부의 엔진 본네트(4)의 내부에 배치된 디젤형의 엔진(5)과, 이 엔진(5)의 후방면측에 배치된 제네레이터 모터(6)(전동 모터의 일례)를 구비하고 있다. 제네레이터 모터(6)는 전동 하우징(7)에 수용되어 있고, 그 전동 하우징(7)의 후방면에 미션 케이스(8)가 연결되어 있다. 주행 기체(3)의 후방부에서 좌우의 후방 차륜(2)의 상방을 덮도록 주행 기체(3)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좌우의 후방부 펜더(9)가 구비되고, 그 좌우의 후방부 펜더(9) 사이에 운전 좌석(10)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이 트랙터는, 운전 좌석(10)을 수용하는 운전 공간을 형성하는 캐빈(11)을 구비하고 있다.
주행 기체(3)의 후방부[미션 케이스(8)의 후단부측]에는, 승강용 작동기로서 유압형의 승강 실린더(12)와, 이 승강 실린더(12)의 작동에 의해 상하로 요동하는 좌우 한 쌍의 리프트 아암(13)이 구비되어 있고, 미션 케이스(8)의 후단부에는 구동력의 외부로 취출을 가능하게 하는 동력 취출축(14)이 구비되어 있다. 이에 의해, 좌우의 리프트 아암(13)에 의해 승강 가능해지는 3점 링크 기구(도시하지 않음)를 거쳐 로터리 경운 장치나 플라우 등의 대지 작업 장치를 연결할 수 있게 되어, 로터리 경운 장치 등의 구동형의 대지 작업 장치에 대하여 동력 취출축(14)으로부터의 구동력을 전달하여 경작 작업을 행할 수 있다.
이 트랙터에서는, 제네레이터 모터(6)가 엔진(5)의 구동력에 의해 발전을 행하는 삼상 교류 발전기의 기능과,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회전 작동하는 삼상 교류 모터의 기능을 겸비하는 것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빈(11)의 루프부(20)의 내부에 리튬 이온형이나 니켈 수소형 등의 이차 전지(52)(배터리)와 전지 관리 시스템(53)을 갖는 전원 유닛(51)이 구비되어 있다. 이 전원 유닛(51)으로부터의 직류 전력을 삼상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제네레이터 모터(6)에 공급하는 제1 전력 제어 유닛(55)과, 유압계를 구동하는 제2 전력 제어 유닛(56)이, 좌우의 후방부 펜더(9)로 분산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네레이터 모터(6)로 발전된 삼상 교류 전류를 직류 전류로 변환 승압하여 전원 유닛(51)에 공급하는 제어와, 제1, 제2 전력 제어 유닛(55, 56)의 제어를 행하는 주제어 시스템이 운전 좌석(10)의 하측에 배치되어 있다.
[주제어 시스템]
주제어 시스템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제어 유닛(101)과, 엔진 제어 유닛(102)과, 하이브리드 제어 유닛(103)과, 모터 제어 유닛(104)과, 정류 승압 유닛(105)을 구비하고 있고, 이들은 ECU로 구성되어 있다. 이 주제어 시스템은 충방전 수단으로서 기능을 하는 것이며, 주행 전동계에 작용하는 부하가 작은 경우에는 제네레이터 모터(6)로부터의 발전 전력을 전원 유닛(51)의 이차 전지(52)에 충전하는 충전 모드를 선택하고, 주행 전동계에 작용하는 부하가 임계값을 초과한 경우에는 전원 유닛(51)으로부터의 전력을 제1 전력 제어 유닛(55)에 의해 삼상 교류로 변환하여 제네레이터 모터(6)에 공급하는 구동 모드를 선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구동 모드에서는, 제네레이터 모터(6)의 구동력을 주행 전동계에 전달함으로써 엔진 회전을 어시스트하여 구동력 부족이나 엔진 스탑을 초래하는 일이 없는 주행을 행하도록 하고 있다. 또, 주행 전동계라 함은 엔진(5)의 구동력을 전방 차륜(1)과 후방 차륜(2)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갖는 미션 케이스(8) 등의 전동 기구이다.
[캐빈]
캐빈(11)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부에서 지주 형상이 되는 좌우 한 쌍의 전방 필러(31)와, 전후 방향의 중간에서 지주 형상이 되는 좌우 한 쌍의 중간 필러(32)와, 후방부에서 지주 형상이 되는 좌우 한 쌍의 후방 필러(33)와, 이들의 상부에 연결하는 톱 프레임(34)과, 이 톱 프레임(34)을 덮는 위치에 배치되는 루프부(20)를 구비하고 있다. 캐빈(11)의 전방부 위치에서 좌우의 전방 필러(31)에 협지되는 위치에 전방 유리(35)를 구비하고, 양측부에서 전방 필러(31)와 중간 필러(32) 사이에 유리로 된 도어(36)를 개폐 가능하게 구비하고, 이 도어(36)의 후방 위치에서 중간 필러(32)와 후방 필러(33) 사이에 사이드 유리(37)를 구비하고, 후방부 위치에서 좌우의 후방 필러(33)에 협지되는 위치에 후방 유리(38)를 구비하고 있다. 좌우 한 쌍 전방 필러(31)와 좌우 한 쌍의 중간 필러(32)와 좌우 한 쌍의 후방 필러(33)가 단면 형상 역 ㄷ자 형상이 되는 강재가 사용되고, 이들의 상단부에 대하여 톱 프레임(34)이 용접 고정되어 있다.
캐빈(11)의 내부에는, 운전 좌석(10)의 전방부 위치에는 전방 차륜(1)의 조향 조작을 행하는 스티어링 휠(15)이 배치되어 있고, 도시는 생략하지만, 스티어링 휠(15)의 우측 및 좌측의 하방에는, 클러치 페달, 브레이크 페달, 액셀러레이터 페달 등의 각종 페달이 좌우로 분산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지만, 운전 좌석(10)의 측부에는 미션 케이스(8)의 변속을 행하는 주변속 레버, 승강 실린더(12)를 제어하는 승강 레버 등의 각종 레버가 배치되어 있다.
이 캐빈(11)은 외부의 먼지나 소음 등의 운전 공간 내로의 침입을 저지하는 기밀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루프부(20)의 중앙측 부위에는 전원 유닛(51)이 구비되어 있고, 루프부(20)의 후방부에는 캐빈(11) 내의 냉방과 난방을 행하는 공조 장치(40)가 구비되어 있다.
[루프부의 구성]
루프부(2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방측의 이너 루프(21)와 상방측의 아우터 루프(22)를 구비하고 있다. 이너 루프(21)는 톱 프레임(34)에 지지되어 있고, 캐빈(11) 내의 천장벽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평면에서 보아 이너 루프(21)의 중앙부는, 상방측으로 팽출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캐빈(11) 내의 거주 공간을 최대한 넓게 하도록 하고 있다. 아우터 루프(22)는 하벽부(23)와 상벽부(24)를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구비하고, 하벽부(23)와 상벽부(24) 사이에 중공 공간(K1)이 형성된 이중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도 3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우터 루프(22)는 그 중앙부가 상방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가는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평면에서 보아 캐빈(11)보다도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 부위(25)를 구비하고 있다. 이 돌출 부위(25)는, 차체 횡 폭 방향의 양측 및 차체 전후 방향의 양측에 있어서, 캐빈(11)보다도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공조 장치(40)와 전원 유닛(51)을 루프부(20)에 구비하기 위해서, 루프부(20)의 내부에 전원 유닛(51)을 수납하는 수납 공간(K2) 및 공조 장치(40)를 수납하는 공조용 수납 공간(K3)이 형성되어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너 루프(21)의 상부 전체를 덮도록 아우터 루프(22)를 톱 프레임(34)의 상부에 적재시킴으로써, 이너 루프(21)와 아우터 루프(22) 사이에, 수납 공간(K2)을 형성하고 있고, 또한 이너 루프(21)의 후단부에 구비된 하부 커버(43)에다가, 이너 루프(21)와 아우터 루프(22)와 하부 커버(43) 사이에 공조용 수납 공간(K3)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수납 공간(K2)은, 차체 전후 방향의 중앙측 부위에 형성되어 있고, 공조용 수납 공간(K3)은 차체 전후 방향의 후방측 부위에 형성되어 있다.
[캐빈의 공조 구성]
공조 장치(4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루프부(20)의 후단부 위치에서 후방 필러(33)보다 더욱 후방으로 돌출된 위치에 구비되어 있다. 좌우 한 쌍의 후방 필러(33)의 상단부보다 낮은 배치 높이로, 좌우 한 쌍의 후방 필러(33)에 걸쳐서 횡 프레임(41)이 구비되고(도 8 참조), 그 횡 프레임(41)의 상부에는 후방측으로 연장되는 지지 스테이(42)가 구비되어 있다. 공조 장치(40)는 이 지지 스테이(42)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횡 프레임(41)과 아우터 루프(22)의 후단부에 걸쳐서 하부 커버(43)가 구비되어 있고, 이 하부 커버(43)에 의해 공조 장치(40)의 후방 하부를 덮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이너 루프(21)의 후단부와 아우터 루프(22)의 후방측 부위와 하부 커버(43)에 의해, 공조 장치(40)를 수납하는 공조용 수납 공간(K3)이 형성되어 있다.
공조 장치(4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증발기(도시하지 않음)와 전기 히터를 가진 공조 유닛(44)과, 이 공조 유닛(44)으로 공기를 보내는 송풍 팬(45)을 구비하고 있다. 공조 유닛(44)은 차체 횡 폭 방향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고, 송풍 팬(45)은 차체 횡 폭 방향에서 공조 유닛(44)에 인접하는 좌측 측부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캐빈(11) 내의 공기, 또는 캐빈(11) 내의 공기에 캐빈(11) 밖의 외기를 혼입되게 한 공기를 공조 장치(40)에 공급함으로써, 공조 장치(40)에 의해 그 공기를 공조하고 있고, 공조 장치(40)에 의해 공조된 공조 공기가 공조 공기 공급로(46)(공조 덕트)를 통하여 캐빈(11) 내에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빈(11) 내의 공기를 공조 장치(40)에 공급하기 위해서, 이너 루프(21)에 있어서 경사 하방측으로 연장되는 후방측 부위에 내기 공급구(47)가 구비되어 있다. 이 내기 공급구(47)에 의해, 캐빈(11) 내와 공조용 수납 공간(K3)이 연통되어 있고, 캐빈(11) 내의 공기가 내기 공급구(47)를 통하여 공조용 수납 공간(K3)에 공급되고 있다.
도 4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빈(11) 밖의 외기를 공조 장치(40)에 공급하기 위해서, 아우터 루프(22)에 있어서 후방 좌측으로 돌출된 돌출 부위(25)에 외기 공급구(48)가 구비되어 있다. 이 외기 공급구(48)에 의해, 캐빈(11)의 외부와 아우터 루프(22)에 있어서의 중공 공간(K1)이 연통되어 있고, 캐빈(11) 밖의 외기가 외기 공급구(48)를 통하여 중공 공간(K1)에 공급되고 있다. 그리고 외기 공급구(48)는, 그 개구가 하방측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빗물 등이 중공 공간(K1)으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루프부(20)의 후방측 부위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통 덕트(49)가 구비되고, 이 연통 덕트(49)에 의해, 아우터 루프(22)에 있어서의 중공 공간(K1)과 공조용 수납 공간(K3)이 연통되어 있다. 이에 의해, 캐빈(11) 밖의 외기는, 외기 공급구(48)를 통하여 아우터 루프(22)에 있어서의 중공 공간(K1)에 공급되고, 연통 덕트(49)를 통하여 중공 공간(K1)으로부터 공조용 수납 공간(K3)에 공급되고 있다.
공조 장치(40)에 캐빈(11) 내의 공기를 공급하는 데 있어서, 상하 요동식의 셔터(50)를 구비함으로써, 캐빈(11) 내의 공기만을 공급하는 상태와, 캐빈(11) 내의 공기에 캐빈(11) 밖의 외기를 혼입되게 한 공기를 공급하는 상태로 절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연통 덕트(49)는 그 하방측 개구가 내기 공급구(47)와 상하 방향에서 대향하는 위치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셔터(50)는 상하 요동함으로써, 연통 덕트(49)의 하방측 개구를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도 3 중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셔터(50)에 의해 연통 덕트(49)의 하방측 개구를 닫음으로써, 캐빈(11) 내의 공기만을 공조 장치(40)에 공급하는 상태로 전환하고 있다. 도 3 중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연통 덕트(49)의 하방측 개구를 개방하도록 셔터(50)를 전환하여, 캐빈(11) 내의 공기에 캐빈(11) 밖의 외기를 혼입되게 한 공기를 공조 장치(40)에 공급하는 상태로 전환하고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조 공기 공급로(46)는 공조 유닛(44)에 의해 공조된 공조 공기를 캐빈(11) 내에 공급하기 위한 것이고, 차체 횡 폭 방향의 양단부의 각각에 배치되어 있다. 공조 공기 공급로(46)는 차체 전후 방향의 후방측으로부터 전방측을 향해 연장되도록 구비되어 있고, 차체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구비된 복수의 분출구(16)로부터 공조 공기를 캐빈(11) 내에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원 유닛의 수납 구성]
전원 유닛(51)의 이차 전지(52)는 전지로서 기능을 하는 복수의 셀을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구성되어 있고, 차체 횡 폭 방향 및 차체 전후 방향에 있어서 루프부(20)의 중앙측 부위에 배치되어 있다. 전지 관리 시스템(53)은 이차 전지(52)의 전방 근방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원 유닛(51)을 수납하는 수납 공간(K2)은, 이너 루프(21)의 상부 전체를 덮도록 아우터 루프(22)를 적재시킴으로써, 이너 루프(21)와 아우터 루프(22)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그 수납 공간(K2)에는, 전원 유닛(51)을 수납하는 수납 케이스(54)가 구비되어 있다.
전원 유닛(51)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체 횡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 형상의 제1 케이스 지지체(57)(지지체에 상당함)의 상부에 지지되어 있다. 제1 케이스 지지체(57)는 좌우의 톱 프레임(34)에 연결된 제2 케이스 지지체(58)에 걸쳐 구비되어 있고, 전원 유닛(51)을 지지하는 제1 케이스 지지체(57)의 지지면이 차체 횡 폭 방향의 양단부의 각각에 구비된 공조 공기 공급로(46)의 상단부보다도 하방측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납 케이스(54)에 수납되는 전원 유닛(51)은 평면에서 보아 공조 공기 공급로(46) 사이의 공간을 유효하게 활용하여 배치되어 있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조 공기 공급로(46)보다도 전원 유닛(51)의 상방측으로 돌출된 부위의 높이가 최대한 낮아지도록 하고 있다.
[전원 유닛의 냉각 구조]
전원 유닛(51)은 이차 전지(52)의 온도 상승을 억제하기 위해서, 캐빈(11) 밖의 공기를 흡인하여 냉각 공기로서 이차 전지(52) 및 전지 관리 시스템(53)에 공급하는 냉각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이 냉각 구조는 루프부(20)에 구비되어 있다.
냉각 구조로서,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루프부(20)에는 전원 유닛(51)에 캐빈(11) 밖의 공기를 공급하는 흡기로(61)와, 전원 유닛(51)에 공급된 공기를 루프부(20)의 외부로 배기하는 배기로(62)가 구비되어 있다. 흡기로(61)는 차체 횡 폭 방향의 중앙부에 구비된 흡기구(63)로부터 흡기되는 공기를 전원 유닛(51)으로 유도하는 차체 전후 방향을 따르는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배기로(62)는 전원 유닛(51)으로부터의 공기를 차체 횡 폭 방향의 일단부(우측단부)에 구비된 배기구(64)로 유도하는 평면에서 보아 굴곡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캐빈(11) 밖의 공기는, 흡기구(63)를 통하여 흡기로(61)에 공급되고, 그 흡기로(61)에 의해 통류 방향을 후방측으로 하여 루프부(20) 내를 통류하고, 냉각 공기로 하여 수납 케이스(54) 내에 공급되고 있다. 그리고 수납 케이스(54) 내에 공급된 공기는 수납 케이스(54)의 후단부로부터 배기로(62)에 공급되고, 그 배기로(62)에 의해 평면에서 보아 통류 방향을 비스듬히 우측 후방측으로 하여 루프부(20) 내를 통류하고, 배기구(64)를 통하여 루프부(20)의 외부로 배기되고 있다.
흡기구(63)는 아우터 루프(22)의 전방면부에 있어서 차체 횡 폭 방향의 중앙부에 구비되어 있고, 그 개구가 전방측을 향하는 횡 길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흡기로(61)는 그 공기의 통류 방향의 상류측부터 순서대로, 평면에서 보아 흡기구(63)의 개구 폭과 동일한 유로 폭인 채 후방측으로 연장된 후, 유로 폭을 차체 횡 폭 방향의 중앙측으로 좁히고 있는 제1 유로 부위(65), 전방부 팬(66), 평면에서 보아 유로 폭을 후방측만큼 확장한 제2 유로 부위(67)가 구비되어 있다. 제1 유로 부위(65)에는 에어 필터(68)가 구비되고, 그 후단부가 전방부 팬(66)의 흡인부에 접속되어 있다. 제2 유로 부위(67)는 그 전단부가 전방부 팬(66)의 분출부에 접속되고, 그 후단부가 수납 케이스(54)의 전방면부에 접속되어 있다.
흡기로(61)에 있어서 그 공기의 통류 방향의 상류측 단부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의 통류 방향을 하방측으로부터 상방측으로 되접는 굴곡 유로 부위(69)가 구비되어 있다. 이 굴곡 유로 부위(69)에 의해, 빗물 등이 흡기로(61)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지만, 굴곡 유로 부위(69)에 있어서 공기의 통류 방향을 하방측으로부터 상방측으로 되접는 폴딩부에는, 체류하는 빗물 등을 그 하부로 배출하기 위한 구멍부가 구비되어 있다.
배기로(62)는 그 공기의 통류 방향의 상류측부터 순서대로, 평면에서 보아 수납 케이스(54)의 가로 폭과 동일한 유로 폭인 채로 후방측으로 연장된 후, 공기의 통류 방향을 비스듬히 우측 후방측을 향하게 한 평면에서 보아 경사 형상의 제3 유로 부위(70), 후방부 팬(71), 이 후방부 팬(71)으로부터의 공기를 배기구(64)로 유도하는 제4 유로 부위(72)가 구비되어 있다. 배기구(64)는 차체 전후 방향의 후방측이고 또한 차체 횡 폭 방향에서 캐빈(11)보다도 우측 외측으로 돌출된 아우터 루프(22)의 돌출 부위(25)에 구비되어 있고, 그 개구가 하방측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빗물 등이 배기로(62)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덧붙여서 말하면, 전방부 팬(66)은 좌우 축심 주위로 회전 구동되는 시로코 팬이 사용되고, 후방부 팬(71)은 전후 축심 주위로 회전 구동되는 축류 팬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냉각 구조에 있어서의 팬으로서는, 전방부 팬(66)과 후방부 팬(71) 중 어느 한쪽만을 구비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루프부(20)에는 공조 장치(40)와 전원 유닛(51)의 양자를 차체 횡 폭 방향의 중앙측 부위에 구비하면서, 공조 장치(40)뿐만 아니라, 전원 유닛(51)을 냉각하기 위한 흡기로(61) 및 배기로(62)를 포함한 냉각 구조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배기로(62)는, 평면에서 보아 공조 장치(40)로부터 벗겨지도록 굴곡되어 있으므로, 공조 장치(40)와 냉각 구조로 상하 방향으로 겹치는 부위가 거의 없어, 차체의 차고를 최대한 낮게 할 수 있다. 또한, 공조 장치(40)와 캐빈(11) 내의 사이에서 공조을 위하여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유로와, 전원 유닛(51)의 냉각을 위하여 흡기로(61) 및 배기로(62)를 포함한 공기를 통류시키는 유로를 구획시켜서 루프부(20)에 구비하고 있다. 이에 의해, 전원 유닛(51)을 냉각한 공기가 공조 장치(40)에 공급되는 일도 없고, 반대로 공조 장치(40)에 의해 공조된 공조 공기가 전원 유닛(51)에 공급되는 일도 없으므로, 각 유로의 설치 공간으로서 루프부(20)를 유효하게 활용하면서, 캐빈(11)의 공조과 전원 유닛(51)의 냉각의 양자를 적절하게 행할 수 있다. 게다가, 상술한 바와 같이, 전원 유닛(51)을 지지하는 제1 케이스 지지체(57)의 지지면이 공조 공기 공급로(46)의 상단부보다도 하방측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부터도, 차체의 차고를 한층 더 낮게 할 수 있다.
[흡기로 및 배기로의 접속 구성]
흡기로(61)는 이너 루프(21)측에 구비된 이너측 유로 부위와 아우터 루프(22)측에 구비된 아우터측 유로 부위에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배기로(62)도, 흡기로(61)와 마찬가지로, 이너 루프(21)측에 구비된 이너측 유로 부위와 아우터 루프(22)측에 구비된 아우터측 유로 부위에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흡기로(61)에 대해서는, 도 3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유로 부위(65)(아우터측 유로 부위에 상당함)가 아우터 루프(22)측에 흡기구(63)와 연통되도록 구비되어 있고, 전방부 팬(66) 및 제2 유로 부위(67)(이너측 유로 부위에 상당함)가 이너 루프(21)측에 전방부 팬(66)의 분출구와 제2 유로 부위(67)가 연통하고 또한 제2 유로 부위(67)와 수납 케이스(54)가 연통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배기로(62)에 대해서는,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유로 부위(70)와 후방부 팬(71)(이너측 유로 부위에 상당함)이, 이너 루프(21)측에 제3 유로 부위(70)와 후방부 팬(71)의 흡인부가 연통되도록 구비되어 있고, 제4 유로 부위(72)(아우터측 유로 부위에 상당함)는 아우터 루프(22)측에 배기구(64)에 연통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흡기로(61) 및 배기로(62)는 이너측 유로 부위와 아우터측 유로 부위를 접속함으로써, 그 유로가 형성되어 있다. 흡기로(61) 및 배기로(62)에 있어서의 이너측 유로 부위와 아우터측 유로 부위와의 접속에 대해서는, 이너 루프(21)의 상부 전체를 덮도록 아우터 루프(22)를 톱 프레임(34)의 상부에 적재시킴으로써 행해지고 있다. 즉, 이너 루프(21)의 상부를 덮도록 아우터 루프(22)를 적재시키는 것만으로, 흡기로(61)에 있어서의 제1 유로 부위(65)(아우터측 유로 부위)와 전방부 팬(66)(이너측 유로 부위)이 접속되는 동시에, 배기로(62)에 있어서의 후방부 팬(71)(이너측 유로 부위)과 제4 유로 부위(72)(아우터측 유로 부위)가 접속된다.
도 3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기로(61)에 있어서의 제1 유로 부위(65)(아우터측 유로 부위)와 전방부 팬(66)(이너측 유로 부위)과의 흡기측 접속부(73)는 이너 루프(21)의 상부 전체를 덮도록 아우터 루프(22)를 적재시키는 적재 방향인 상하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는 경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기로(62)에 있어서의 후방부 팬(71)(이너측 유로 부위)과 제4 유로 부위(72)(아우터측 유로 부위)와의 배기측 접속부(74)도, 상하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는 경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이너 루프(21)의 상부에 아우터 루프(22)를 적재시킬 때에, 흡기로(61)에 있어서의 제1 유로 부위(65)(아우터측 유로 부위)와 전방부 팬(66)(이너측 유로 부위)이 위치 어긋나 있어도, 흡기측 접속부(73)의 경사에 의해 적절한 위치로 안내되어, 제1 유로 부위(65)(아우터측 유로 부위)와 전방부 팬(66)(이너측 유로 부위)과의 접속을 적절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배기로(62)에 있어서의 후방부 팬(71)(이너측 유로 부위)과 제4 유로 부위(72)(아우터측 유로 부위)와의 접속에 대해서도, 배기측 접속부(74)의 경사에 의해 적절한 위치로 안내되어 적절하게 접속할 수 있다.
덧붙여서 말하면, 흡기측 접속부(73) 및 배기측 접속부(74)의 각각에 있어서, 시일성을 향상하기 위해서, 흡기로(61) 및 배기로(62)에 있어서의 아우터측 유로 부위와 이너측 유로 부위와의 사이에 시일 부재를 개재시켜서 접속할 수도 있다.
[시일 구조]
상술한 바와 같이, 이너 루프(21)의 상부 전체를 덮도록 아우터 루프(22)를 적재시킴으로써, 이너 루프(21)와 하부 커버(43)와 아우터 루프(22)와의 사이에 수납 공간(K2) 및 공조용 수납 공간(K3)을 형성하고 있다. 그 수납 공간(K2) 및 공조용 수납 공간(K3)으로의 빗물 등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아우터 루프(22)와 톱 프레임(34) 사이 및 아우터 루프(22)와 하부 커버(43) 사이에 제1 시일 구조(80)가 구비되어 있다.
이 제1 시일 구조(80)는 도 3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톱 프레임(34) 및 하부 커버(43)측에 구비된 하방측 시일면부(81)와, 아우터 루프(22)측에 구비된 상방측 시일면부(82)와, 그 하방측 시일면부(81)와 상방측 시일면부(82)와의 사이에 배치되는 시일 부재(83)가 구비되어 있다. 하방측 시일면부(81)는 톱 프레임(34)의 상단부에 있어서, 차체 전후 방향의 전단부에 있어서 차체 횡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위와 차체 횡 폭 방향의 양단부에 있어서 차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위에 걸쳐 동일 높이로 일련에 연속되는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아우터 루프(22)에 있어서 상방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가는 중앙측 부위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동일 높이로 일련에 연속되는 홈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홈부의 저부가 상방측 시일면부(82)로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시일 부재(83)는 그 상방측 시일면부(82)를 형성하는 홈부에 끼워 넣어진 상태에서, 상방측 시일면부(82)의 길이 방향으로 일련에 연속되어 구비되어 있다.
또한,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조용 수납 공간(K3)을 형성하는 횡 프레임(41)과 하부 커버(43)와의 사이에도 제2 시일 구조(84)가 구비되어 있다. 횡 프레임(41)은 측면에서 보아 역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후방측에 대향하는 후방측 벽부(41a)가 그 상방측만큼 전방측에 위치하는 경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하부 커버(43)는 그 전단부측 부위가 횡 프레임(41)의 상면부에 포개어져 볼트 체결 등에 의해 횡 프레임(41)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하부 커버(43)의 전단부측 부위에는 횡 프레임(41)의 후방측 벽부(41a)에 대향하는 동시에, 후방측 벽부(41a)와 마찬가지로 경사지는 대향 벽(43a)을 구비하도록 굴곡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시일 구조(84)에서는, 횡 프레임(41)의 후방측 벽부(41a)가 전방측 시일면부로서 구성되고, 하부 커버(43)의 대향 벽(43a)이 후방측 시일면부로서 구성되어 있고, 그 후방측 벽부(41a)와 대향 벽(43a) 사이에 시일 부재(85)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후방측 벽부(41a) 및 대향 벽(43a)이 경사 형상으로 형성 되어 있으므로, 횡 프레임(41)과 하부 커버(43)를 연결할 때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다른 실시 형태]
(1)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평면에서 보아 배기로(62)를 우측 경사 후방으로 굴곡시키고 있지만, 반대로 평면에서 보아 배기로(62)를 좌측 경사 후방으로 굴곡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아우터 루프(22)에 구비하는 외기 공급구(48)와 배기구(64)를 좌우 반대측에 구비하게 된다.
(2)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공조 장치(40)를 전원 유닛(51)보다도 차체 전후 방향의 후방측에서 차체 횡 폭 방향의 중앙측 부위에 배치하고 있지만, 공조 장치(40) 이외의 다른 부재를, 전원 유닛(51)보다도 차체 전후 방향의 후방측에서 차체 횡 폭 방향의 중앙측 부위에 배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 경우에도, 배기로(62)를 평면에서 보아 다른 부재로부터 벗겨지도록 굴곡시킬 수 있다.
(3)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배기구(64)가 공기를 하방측에 배기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예를 들어 아우터 루프(22)의 횡측부에 배기구를 구비하고, 그 배기구로부터 차체 횡 폭 방향을 따라서 공기를 배기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4)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작업차로서, 트랙터에 적응한 예를 나타냈지만, 그 외에, 각종 작업차에 적응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원 유닛으로부터의 전력에 의해 작동하는 전동 모터의 구동력을 주행 전동계에 전달하는 작업차에 있어서, 루프부에 전원 유닛 및 그 전원 유닛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 구조를 구비하면서, 그 전원 유닛 및 냉각 구조를 적절한 위치에 배치하여, 차체의 차고를 최대한 낮게 할 수 있는 각종 작업차에 적응 가능하다.
6 : 제네레이터 모터(전동 모터)
8 : 미션 케이스(주행 전동계)
11 : 캐빈
20 : 루프부
21 : 이너 루프
22 : 아우터 루프
25 : 돌출 부위
40 : 공조 장치
46 : 공조 공기 공급로
51 : 전원 유닛
61 : 흡기로
62 : 배기로
63 : 흡기구
64 : 배기구
73 : 흡기측 접속부
74 : 배기측 접속부
K2 : 수납 공간

Claims (6)

  1. 전원 유닛으로부터의 전력에 의해 작동하는 전동 모터의 구동력을 주행 전동계에 전달하는 작업차이며,
    운전자가 탑승하는 캐빈의 루프부에, 상기 전원 유닛과, 그 전원 유닛에 상기 캐빈 밖의 공기를 공급하는 흡기로와, 상기 전원 유닛에 공급된 공기를 상기 루프부의 외부로 배기하는 배기로를 구비하고,
    상기 전원 유닛은 차체 횡 폭 방향의 중앙측 부위에 배치되고,
    상기 흡기로는 차체 횡 폭 방향의 중앙부에 구비된 흡기구로부터 흡기되는 공기를 상기 전원 유닛으로 유도하고,
    상기 배기로는, 평면에서 보아 상기 전원 유닛에 공급된 공기를 차체 횡 폭 방향의 일단부에 구비된 배기구를 향해 굴곡시켜 통류시키는 굴곡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작업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부는 평면에서 보아, 상기 캐빈보다도 차체 횡 폭 방향의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 부위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배기구는 상기 루프부의 상기 돌출 부위에 있어서 하방측을 향해 공기를 배기시키고 있는, 작업차.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부에는 상기 캐빈에 공조 공기를 공급하는 공조 장치가 구비되고, 그 공조 장치는 상기 전원 유닛보다도 차체 전후 방향의 후방측에서 차체 횡 폭 방향의 중앙측 부위에 배치되고, 상기 배기로는 평면에서 보아 상기 공조 장치로부터 벗겨지도록 굴곡되어 있는, 작업차.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부에는 차체 횡 폭 방향의 양단부에, 상기 공조 장치에 의해 공조된 공조 공기를 상기 캐빈에 공급하는 공조 공기 공급로가 구비되고, 상기 전원 유닛을 그 상부에 지지하는 지지체는, 평면에서 보아 상기 공조 공기 공급로 사이에 있어서, 상기 공조 공기 공급로의 상단부보다도 하방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작업차.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부는 이너 루프와 아우터 루프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이너 루프의 상부를 덮도록 상기 아우터 루프를 적재시켜서 상기 아우터 루프와 상기 이너 루프 사이에 상기 전원 유닛의 수용 공간을 형성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흡기구 및 상기 배기구는 상기 아우터 루프에 구비되고, 상기 흡기로는 상기 이너 루프측에 구비된 이너측 유로 부위와 상기 아우터 루프측에 구비된 아우터측 유로 부위를 구비하고, 상기 배기로는 상기 이너 루프측에 구비된 이너측 유로 부위와 상기 아우터 루프측에 구비된 아우터측 유로 부위를 구비하고, 상기 흡기로 및 상기 배기로에 있어서의 상기 이너측 유로 부위와 상기 아우터측 유로 부위와의 접속에 대해서는, 상기 이너 루프의 상부를 덮도록 상기 아우터 루프를 적재시킴으로써 행해지고 있는, 작업차.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로 및 상기 배기로에 있어서의 상기 이너측 유로 부위와 상기 아우터측 유로 부위와의 접속부는, 상기 이너 루프의 상부에 상기 아우터 루프를 적재시키는 적재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는 경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작업차.
KR1020130024886A 2012-09-27 2013-03-08 작업차 KR1013972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215240 2012-09-27
JP2012215240A JP5684768B2 (ja) 2012-09-27 2012-09-27 作業車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1313A KR20140041313A (ko) 2014-04-04
KR101397216B1 true KR101397216B1 (ko) 2014-05-20

Family

ID=47779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4886A KR101397216B1 (ko) 2012-09-27 2013-03-08 작업차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944199B2 (ko)
EP (1) EP2712752B1 (ko)
JP (1) JP5684768B2 (ko)
KR (1) KR101397216B1 (ko)
CN (1) CN10369289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66810A (ja) * 2013-02-28 2014-09-11 Iseki & Co Ltd 作業車両のキャビン
WO2014181612A1 (ja) * 2014-03-31 2014-11-13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車両
EP3131773B1 (en) * 2014-04-16 2019-10-16 Denso Thermal Systems Spa Cabin pressurization system for agricultural machines, having a filtration system
US10752094B2 (en) * 2014-07-09 2020-08-25 Cnh Industrial America Llc Selective filtration level air treatment system
JP2016030559A (ja) * 2014-07-30 2016-03-07 ヤンマー株式会社 作業車両
CN104260787B (zh) * 2014-10-15 2017-08-15 雷沃重工股份有限公司 拖拉机驾驶室顶盖
US10315489B2 (en) * 2015-05-27 2019-06-11 Yanmar Co., Ltd. Work vehicle
CN105539609A (zh) * 2015-12-30 2016-05-04 江苏靖江叉车有限公司 一种电动牵引车拱形车架
JP6666429B2 (ja) * 2016-03-16 2020-03-1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動車両の高電圧機器冷却システム
WO2017162292A1 (en) * 2016-03-24 2017-09-28 Volvo Truck Corporation A vehicle cab body for a vehicle
JP6631565B2 (ja) * 2017-03-08 2020-01-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ダクト構造
DE102017115126A1 (de) 2017-07-06 2019-01-10 Claas Selbstfahrende Erntemaschinen Gmbh Kabine für ein landwirtschaftliches Arbeitsfahrzeug
DE102018206111A1 (de) 2018-04-20 2019-10-24 Deere & Company Dachstruktur
FR3084526B1 (fr) * 2018-07-26 2020-07-31 Psa Automobiles Sa Systeme de refroidissement d’une batterie de reseau de bord au lithium-ion
JP7403438B2 (ja) * 2020-12-24 2023-12-22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
US20230116011A1 (en) * 2021-10-12 2023-04-13 Caterpillar Inc. Secondary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mounting with service orienta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66889A (ja) * 2002-08-02 2004-03-04 Mitsubishi Fuso Truck & Bus Corp バッテリユニット搭載構造
KR20070025932A (ko) * 2005-08-31 2007-03-08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작업차의 캐빈용 공조 구조
JP2007269072A (ja) * 2006-03-30 2007-10-18 Iseki & Co Ltd 作業車両
JP2009154826A (ja) * 2007-12-27 2009-07-16 Mitsubishi Fuso Truck & Bus Corp バッテリ収納部の換気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41502A (en) * 1985-01-09 1987-02-10 The Duo-Therm Corporation Roof mount air conditioner
JPS61203823U (ko) * 1985-06-12 1986-12-22
JPH08276731A (ja) * 1995-02-07 1996-10-22 Paramaunto Corp:Kk 自動車
JP3164993B2 (ja) * 1995-02-17 2001-05-14 株式会社クボタ 農用車輛におけるエアコンユニットの接続構造
US5913566A (en) * 1996-11-12 1999-06-22 New Holland North America, Inc. Combine cab roof
US5921619A (en) * 1997-07-17 1999-07-13 Case Corporation Air handling system for vehicle cab
JP3485794B2 (ja) * 1998-03-20 2004-01-13 日産ディーゼル工業株式会社 キャパシタ冷却装置
US6397965B1 (en) * 2000-08-31 2002-06-04 New Flyer Industries Limited Engine configuration for mass transit vehicle
US7571785B2 (en) * 2006-03-15 2009-08-11 Ferdows Houshang K Modular roof-mounted radiator compartment and other roof-mounted utility compartments for buses
JP4376874B2 (ja) * 2006-05-17 2009-12-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源装置および車両
US7377848B2 (en) * 2006-07-12 2008-05-27 Cnh America Llc Filter purge control for HVAC variable air circulation system
JP2009078777A (ja) * 2007-09-27 2009-04-16 Kubota Corp 作業機の運転キャビンにおける排水構造
DE102009035860A1 (de) * 2009-07-31 2011-02-24 Voith Patent Gmbh Dachmodul
US8302997B2 (en) * 2010-11-01 2012-11-0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fuel storage system
JP5576328B2 (ja) * 2011-03-30 2014-08-20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
KR101302262B1 (ko) * 2011-03-30 2013-09-02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작업차
JP5678872B2 (ja) * 2011-11-29 2015-03-04 井関農機株式会社 作業車両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66889A (ja) * 2002-08-02 2004-03-04 Mitsubishi Fuso Truck & Bus Corp バッテリユニット搭載構造
KR20070025932A (ko) * 2005-08-31 2007-03-08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작업차의 캐빈용 공조 구조
JP2007269072A (ja) * 2006-03-30 2007-10-18 Iseki & Co Ltd 作業車両
JP2009154826A (ja) * 2007-12-27 2009-07-16 Mitsubishi Fuso Truck & Bus Corp バッテリ収納部の換気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4069617A (ja) 2014-04-21
US8944199B2 (en) 2015-02-03
EP2712752B1 (en) 2015-09-23
JP5684768B2 (ja) 2015-03-18
KR20140041313A (ko) 2014-04-04
CN103692893B (zh) 2016-05-04
US20140083784A1 (en) 2014-03-27
EP2712752A1 (en) 2014-04-02
CN103692893A (zh) 2014-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7216B1 (ko) 작업차
JP5664788B2 (ja) 車両の冷却装置
JP4285405B2 (ja) ハイブリッド自動車
JP2013193706A (ja) 自動車
EP2473722A1 (en) Air introduction structure
JP5576328B2 (ja) 作業車
US10583714B2 (en) Vehicle
JP3979176B2 (ja) 車両のエンジン配設構造
JP2008195259A (ja) 自動車
WO2013183501A1 (ja) 電動車両の冷却風排気ダクト構造
EP3498511B1 (en) Method for converting a vehicle with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into an electrical vehicle
JP6121222B2 (ja) ハイブリッド作業車の動力制御装置
JP2012210840A (ja) 作業車
US11407285B2 (en) Vehicle cooling mechanism
KR20140093123A (ko) 전기자동차
JP5379821B2 (ja) 作業車
JP2013233929A (ja) 作業車
WO2024004907A1 (ja) 作業車両
WO2024004906A1 (ja) 作業車両
WO2024004905A1 (ja) 作業車両
WO2024004914A1 (ja) 農業トラクタ
WO2024004916A1 (ja) 作業車両
WO2024004915A1 (ja) 農業用作業車両
WO2024004913A1 (ja) 作業車両
WO2013183498A1 (ja) 電動車両の冷却風排気ダクト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