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3783B1 - 작업차 - Google Patents

작업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3783B1
KR101943783B1 KR1020177024131A KR20177024131A KR101943783B1 KR 101943783 B1 KR101943783 B1 KR 101943783B1 KR 1020177024131 A KR1020177024131 A KR 1020177024131A KR 20177024131 A KR20177024131 A KR 20177024131A KR 101943783 B1 KR101943783 B1 KR 1019437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air
piece
air conditioner
cei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4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5067A (ko
Inventor
타카유키 시마다
Original Assignee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5108014A external-priority patent/JP644971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5108013A external-priority patent/JP6475089B2/ja
Application filed by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15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50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3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37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60H1/00535Mounting or fastening of the housing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2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HVAC devices with respect to the passenger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357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357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 B60H1/00378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for tractor or load vehicle cab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57Details of ducts or cables
    • B60H1/00564Details of ducts or cables of air 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1/04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 B60H1/08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from other radiator than main radiator
    • B60H1/1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from other radiator than main radiator the other radiator being situated in a duct capable of being connected to atmosphere outside vehicle
    • B60H1/1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from other radiator than main radiator the other radiator being situated in a duct capable of being connected to atmosphere outside vehicle using an air blo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6Fixed roof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6Drivers' cabs
    • B62D33/0617Drivers' cabs for tractors or off-the-roa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9/00Tr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2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HVAC devices with respect to the passenger compartment
    • B60H2001/00235Devices in the roof area of the passenger compar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용이하게 에어컨 본체를 부착할 수 있는 작업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운전부를 피복하는 캐빈의 천장부에 에어컨 본체를 배치하기 위한 에어컨 본체 배치부를 캐빈의 좌우 한 쌍의 후방부 지주편 보다 후방으로 돌출형상으로 설치한 작업차로서, 에어컨 본체 배치부는 좌우 한쌍의 후방부 지주편의 상단부 간에 횡으로 걸친 후방 상부 보편에 후방을 향해서 돌출형상으로 길게 설치한 본체 지지체를 구비하고, 본체 지지체는 에어컨 본체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기 위한 지지 강성을 갖고, 본체 지지체에는 에어컨 본체를 상방으로부터 부착 가능하게 했다.

Description

작업차
본 발명은 작업차, 상세하게는 운전부를 피복하는 캐빈의 천장부에 배치한 에어컨 본체의 지지 구조를 갖는 작업차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작업차의 일형태로서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것이 있다. 즉, 특허문헌 1(특히, 도 4)에는 트랙터의 운전부를 피복하는 캐빈의 천장부의 후방부에 에어컨 본체가 배치된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천장부의 후방부에는 내측 천장편의 후단부와 외측 천장편의 후방부와 후방부 천장편에 의해 폐색되는 에어컨 본체 배치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캐빈의 일부를 형성하는 좌우 한 쌍의 후방부 지주편의 상부 간에는 좌우 방향으로 연신하는 후방부 보편이 가설되어 있고, 후방부 보편의 앞면에는 내측 천장편의 후단 가장자리가 연결되어 설치되어 있다. 후방부 보편의 좌우 중도부 상에는 저프레임부와, 측면부와, 후면부를 갖는 브래킷이 후방을 향해 돌출되고, 이 브래킷의 저프레임부 상에는 에어컨 본체가 재치 고정됨과 아울러, 브래킷의 측면부와 후면부에는 에어컨 본체의 측면과 후방부가 지지 고정되어 있다. 후방부 천장편은 후방부 지주편에 전단 가장자리부가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서 외측 천장편의 후단 가장자리부에 후방부 천장편의 후단 가장자리부가 접촉되어 있다.
일본 특허공개 2002-68026호 공보(도 4)
그런데 브래킷에 에어컨 본체의 측면과 후방부를 지지 고정시킬 경우에는 볼트 등의 고정 수단을 측방과 후방으로부터 나사 부착해서 고정시킬 필요가 있지만, 그때 미리 후방부 천장편을 부착하고 있으면 후방부 천장편이 볼트 등의 나사 부착 작업에 지장이 된다. 또한, 브래킷에 에어컨 본체를 고체시킨 후에 후방부 천장편을 부착할 경우에는 에어컨 본체에 접속되어 있는 냉매 안내 파이프나 드레인 파이프를 후방부 천장편에 의해 하방으로부터 밀어올릴 기미로 지지하면서 후방부 지주편에 후방부 천장편의 전단 가장자리부를 부착할 필요가 있지만, 그때 부착하는 후방부 천장편의 지상고가 높은 위치에 있기 때문에 냉매 안내 파이프나 드레인 파이프를 지지하면서 후방부 천장편을 하방으로부터 부착하는 작업이 번잡하게 되어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용이하게 에어컨 본체를 부착할 수 있는 작업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운전부를 피복하는 캐빈의 천장부에 에어컨 본체를 배치하기 위한 에어컨 본체 배치부를 캐빈의 좌우 한 쌍의 후방부 지주편보다 후방으로 돌출형상으로 설치한 작업차로서,
에어컨 본체 배치부는 좌우 한 쌍의 후방부 지주편의 상단부 간에 횡으로 걸친 후방 상부 보편에 후방을 향해서 돌출형상으로 길게 설치한 본체 지지체를 구비하고,
본체 지지체는 에어컨 본체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기 위한 지지 강성을 갖고,
본체 지지체에는 에어컨 본체를 상방으로부터 부착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에어컨 본체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기 위한 지지 강성을 갖는 본체 지지체에 에어컨 본체를 상방으로부터 부착 가능하게 하고 있기 때문에 본체 지지체로의 에어컨 본체의 부착 작업이 상방으로부터 용이하게 행해진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본체 지지체는 강성을 갖는 박육 판금에 의해 일체 성형한 수평 돌출형상의 수평 돌출면부와 수평 돌출면부의 후단 가장자리부로부터 상방으로 기립하는 형상의 기립면부를 구비하고,
기립면부에는 복수의 부착 스테이를 내방을 향해서 수평으로 돌출시키고, 복수의 부착 스테이를 통해 에어컨 본체를 상방으로부터 가설형상으로 부착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본체 지지체가 구비하는 기립면부에 복수의 부착 스테이를 내방을 향해서 수평으로 돌출시키고, 복수의 부착 스테이를 통해 에어컨 본체를 상방으로부터 가설형상으로 부착 가능하게 하고 있기 때문에 본체 지지체로의 에어컨 본체의 부착 작업이 상방으로부터 안정시킨 상태로 용이하고 또한 견실하게 행해진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에어컨 본체는 본체 케이스 내에 냉기와 난기를 생성하는 기기 등을 배치해서 구성하고,
본체 케이스의 측벽에는 복수의 부착편을 각 부착 스테이와 대향시켜서 외방으로 돌출형상으로 돌출시키고,
각 부착편과 각 부착 스테이는 상하 방향으로 서로 겹치게 해서 이들의 서로 겹치는 부분에 부착 볼트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시켜서 나사 부착함으로써 각 부착 스테이에 각 부착편을 통해 에어컨 본체를 상방으로부터 가설형상으로 부착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에어컨 본체의 본체 케이스의 측벽에 복수의 부착편을 각 부착 스테이와 대향시켜서 외방으로 돌출형상으로 돌출시키고, 각 부착편과 각 부착 스테이를 상하 방향으로 서로 겹치게 해서 이들의 서로 겹치는 부분에 부착 볼트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시켜서 나사 부착함으로써 각 부착 스테이에 각 부착편을 통해 에어컨 본체를 상방으로부터 가설형상으로 부착 가능하게 하고 있기 때문에 본체 지지체에 에어컨 본체를 재치하고 나서 볼트 체결할 때까지의 부착 작업의 전부를 상방만으로부터 능률 좋게 행해진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본체 지지체와, 본체 지지체에 각 부착 스테이 및 각 부착편을 통해 가설형상으로 부착된 에어컨 본체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본체 지지체에 에어컨 본체를 부착했을 경우에 본체 지지체와 에어컨 본체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공간을 통과해서 빗물이나 세정수 등이 배출할 수 있다. 바꿔 말하면 에어컨 본체에 빗물이나 세정수 등이 막아져서 본체 지지체 상에 체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캐빈의 좌우측 상부를 형성하는 좌우 한 쌍의 상부 도리편 사이에 중공 편평판형상으로 형성한 천장부를 가설하고, 천장부 내에 에어컨 본체를 배치하여 에어컨 본체에 외기를 공급 가능하게 한 작업차로서,
상부 도리편은 전후 방향으로 연신하는 통형상으로 형성하고, 상부 도리편의 전방부에 천장부 내와 연통하는 연통구를 형성하는 한편, 개구하는 후단부를 외기 도입구로 하고,
외기 도입구로부터 도입된 외기가 상부 도리편 사이를 통과해 연통구로부터 천장부 내의 에어컨 본체에 공급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외기 도입구로부터 도입된 외기가 상부 도리편 사이를 통과해 연통구로부터 천장부 내의 에어컨 본체에 공급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외기 도입구로부터 에어컨 본체까지 외기가 공급되는 유로를 장척으로 형성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외기에 포함된 진애가 공급 도중에 유로 내에 낙하되어 에어컨 본체에는 진애가 유입하지 않는다. 그 결과 외기 중의 진애가 에어컨 본체에 설치된 송풍 팬(시로코 팬)의 막힘의 원인이 되어 그 송풍 기능이 저감된다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천장부 내에는 그 후방부에 에어컨 본체를 배치하고,
외기 도입구와 에어컨 본체 사이에는 외기 공급 유로를 개재하여 설치함과 아울러,
외기 공급 유로는 외기 도입구로부터 도입된 외기가 상부 도리편 사이를 통과해 연통구로부터 천장부 내의 후방부에 배치한 에어컨 본체에 공급되도록 각각 되접힌 형상으로 굴곡시켜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외기 도입구와 에어컨 본체 사이에 개재하여 설치한 외기 공급 유로를 외기 도입구로부터 도입된 외기가 상부 도리편 사이를 통과해 연통구로부터 천장부 내의 후방부에 배치한 에어컨 본체에 공급되도록 되접힌 형상으로 굴곡시켜서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외기 공급 유로를 보다 한층 장척화해서 형성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청구항 1의 발명에서 나타내어지는 작용 효과를 확보할 수 있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천장부 내에는 그 후방부에 배치한 에어컨 본체와, 에어컨 본체로부터 전방으로 연신시켜서 형성한 급기 덕트를 설치하고,
급기 덕트 내에는 좌우 한 쌍의 통형상의 상부 도리편 사이에 형성되는 도입로와 연통하는 급기로를 형성하고, 좌우 한 쌍의 도입로와 급기로에 의해 좌우 한 쌍의 외기 공급 유로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급기 덕트 내에 좌우 한 쌍의 통형상의 상부 도리편 사이에 형성되는 도입로와 연통하는 급기로를 형성하고, 좌우 한 쌍의 도입로와 급기로에 의해 좌우 한 쌍의 외기 공급 유로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좌우 한 쌍의 외기 공급 유로를 콤팩트하게 형성할 수 있음과 아울러, 좌우 한 쌍의 외기 공급 유로를 통해 외기의 도입량을 견실하게 확보할 수 있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천장부는 내측 천장편과, 외측 천장편과, 양 내·외측 천장편의 후단 가장자리부 사이에 개재하여 설치한 후방부 천장편으로 형성하고,
좌우 한 쌍의 도리편의 후단부와 본체 지지체를 후방부 천장편에 의해 피복하고,
후방부 천장편은 그 상단 가장자리부를 외측 천장편의 후단 가장자리부 상에 서로 겹치는 상태로 배치하고, 그 서로 겹치는 부에 형성되는 간극으로부터 외기를 흡입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흡입된 외기가 본체 지지체와 후방부 천장편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통과해 각 상부 도리편의 후단부에 개구된 외기 도입구에 도입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좌우 한 쌍의 상부 도리편의 후단부와 본체 지지체를 피복하는 후방부 천장편의 상단 가장자리부를 외측 천장편의 후단 가장자리부 상에 서로 겹치는 상태로 배치하고, 그 서로 겹치는 부에 형성되는 간극으로부터 외기를 흡입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흡입된 외기가 본체 지지체와 후방부 천장편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통과해 각 상부 도리편의 후단부에 개구된 외기 도입구에 도입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빗물이나 고압 세정수 등이 간극으로부터 침입했다고 하더라도 외기 도입구로부터 외기 공급 유로 내에 침입하는 것을 견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에어컨 본체는 본체 케이스와, 본체 케이스 내에 냉기를 생성하는 이배퍼레이터와, 본체 케이스 내에 난기를 생성하는 히터 코어와, 본체 케이스 내에 외기를 흡인함과 아울러, 이배퍼레이터 및 히터 코어에 송풍하는 송풍 팬을 구비하고,
본체 케이스에는 복수의 송기 덕트의 기단 개구부를 연통 연결함과 아울러,
일방의 기단 개구부는 히터 코어에 근접시켜 배치해서 난기를 도입 가능하게 하는 한편, 타방의 기단 개구부는 이배퍼레이터에 근접시켜 배치하여 냉기를 도입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본체 케이스에 복수의 송기 덕트의 기단 개구부를 연통 연결함과 아울러, 일방의 기단 개구부는 히터 코어에 근접시켜 배치해서 난기를 도입 가능하게 하는 한편, 타방의 기단 개구부는 이배퍼레이터에 근접시켜 배치하여 냉기를 도입 가능하게 하고 있기 때문에 난기와 냉기가 각각 별도로 송기되는 송기 덕트를 배치할 수 있고, 각 송기 덕트를 통해 캐빈 내의 소망의 위치로부터 난기 또는 냉기를 송풍할 수 있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난기를 공급하는 송기 덕트는 천장부 내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으로 연신시켜서 형성하고, 캐빈의 전방 창부의 근방에 선단 개구부를 배치하여 선단 개구부로부터 전방 창부를 향해서 난기를 송풍 가능하게 하는 한편,
냉기를 공급하는 송기 덕트는 천장부 내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으로 연신시켜서 형성하고, 천장부의 중도부에 선단 개구부를 배치하여 선단 개구부로부터 캐빈 내의 운전부에 착좌한 오퍼레이터를 향해서 냉기를 송풍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전방 창부를 향해서 난기를 송풍 가능하게 하고 있기 때문에 이 난기를 디프로스터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또한, 캐빈 내의 운전부에 착좌한 오퍼레이터를 향해서 냉기를 송풍 가능하게 하고 있기 때문에 온난화된 캐빈 내에서 오퍼레이터가 작업 중에 현기증이 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캐빈 내를 두한 족열이라는 쾌적한 작업 환경으로 할 수 있다.
청구항 11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후방 반송부의 좌우 측방에는 각각 난기를 공급하는 한 쌍의 송기 덕트와 냉기를 공급하는 한 쌍의 송기 덕트를 병렬형상으로 배치하고,
난기를 공급하는 한 쌍의 송기 덕트는 후방 반송부에 근접시켜서 배치함과 아울러, 분기 도입부의 직하방에 입체 교차상으로 배치하고, 캐빈 전방 창부의 근방에 선단 개구부를 배치하고,
냉기를 공급하는 한 쌍의 송기 덕트는 각 상부 도리편에 근접시켜서 배치함과 아울러, 분기 도입부의 근방에 선단 개구부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1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난기를 공급하는 한 쌍의 송기 덕트가 후방 반송부에 근접시켜서 배치됨과 아울러, 분기 도입부의 직하방에 입체 교차상으로 배치되고, 캐빈 전방 창부의 근방에 선단 개구부가 배치되어 냉기를 공급하는 한 쌍의 송기 덕트가 각 상부 도리편에 근접시켜서 배치됨과 아울러, 분기 도입부의 근방에 선단 개구부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천장부 내에 급기 덕트와 송기 덕트를 콤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천장부를 중공 편평판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고, 차고가 높아지는 것을 억제한 채 캐빈 내의 거주 공간을 크게 확보할 수 있다.
청구항 1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0 또는 청구항 11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난기를 공급하는 송기 덕트와 냉기를 공급하는 송기 덕트의 각 기단 개구부는 서로 근접시켜서 배치하고, 이들 기단 개구부의 근방에 송입량 조정체를 요동 조정 가능하게 배치함과 아울러, 송입량 조정체에 의해 난기와 냉기의 송입량을 상반적으로 조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12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송입량 조정체에 의해 난기와 냉기의 송입량을 상반적으로 조정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난기와 냉기의 송입량을 간단하게 조정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용이하게 에어컨 본체를 부착할 수 있는 작업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트랙터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의 트랙터의 평면도이다.
도 3은 후방부 강도 멤버의 좌측 전상방으로부터의 사시 설명도이다.
도 4는 후방부 강도 멤버의 우측 후하방으로부터의 사시 설명도이다.
도 5는 보닛의 분해 사시 설명도이다.
도 6은 에어컨 본체 배치부의 중앙 단면 측면도이다.
도 7은 에어컨 본체 배치부의 우측부 단면 측면도이다.
도 8은 천장부 본체를 구비하는 캐빈의 평면도이다.
도 9는 천장부 본체의 단면 측면 설명도이다.
도 10은 천장부 본체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천장부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송풍 팬으로의 공기 공급 설명도이다.
도 13은 스위칭 구동부의 사시 설명도이다.
도 14는 에어컨 본체의 내부를 나타내는 천장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에어컨 본체의 내부를 나타내는 확대 평면 설명도이다.
도 16은 에어컨 본체의 내부를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17은 난·냉기의 방출 설명도이다.
도 18은 캐빈 후방부의 측면도이다.
도 19는 후방부 지주편으로부터 지주편 커버체를 분리한 캐빈 후방부의 측면 설명도이다.
도 20은 지주편 커버체와 그것을 분리한 후방부 지주편의 측면 설명도이다.
도 21은 캐빈의 좌측 후방부의 분해 설명도이다.
도 22는 도 19의 I-I선 단면도이다.
도 23은 개폐 지원 수단의 부착 상태 설명도이다.
도 24는 원동기부의 사시 설명도이다.
도 25는 보닛 지지기 프레임의 사시 설명도이다.
도 26은 보닛 보강 프레임의 사시 설명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A는 작업차의 일형태인 캐빈 타입의 트랙터이며, 이하에서는 트랙터(A)의 전체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고, 계속해서 트랙터(A)의 특징이 되는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고, 그 후에 트랙터(A)의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트랙터의 전체 구성의 설명]
트랙터(A)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연신시켜서 프레임워크 형성한 기체 프레임(10)의 전방부에 원동기부(11)를 설치함과 아울러, 기체 프레임(10)의 후단부에 미션 케이스(12)를 설치하고 있다. 원동기부(11)와 미션 케이스(12)는 동력 전동 샤프트(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연동 연결하고 있다. 그리고 기체 프레임(10)의 전방부에는 좌우 방향으로 축선을 향한 프런트 액슬 케이스(13)를 부착하고, 프런트 액슬 케이스(13)의 좌우측 단부에 전륜축(14)을 통해 전륜(15)을 부착하고 있다. 또한, 미션 케이스(12)의 좌우측부에는 각각 리어 액슬 케이스(16)를 부착하고, 각 리어 액슬 케이스(16)에 후륜축(17)을 통해 후륜(18)을 연동 연결하고 있다. 미션 케이스(12)와 프런트 액슬 케이스(13)는 전륜 구동 샤프트(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연동 연결하고, 전·후륜(15, 18)을 구동하는 사륜 구동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19는 연료 탱크이다.
트랙터(A)는 기체 프레임(10) 상에 있어서 원동기부(11)의 직후방에 운전부(20)를 배치하고 있고, 운전부(20)는 캐빈(C)에 의해 피복되어 있다.
(캐빈의 구성의 설명)
캐빈(C)은 도 1, 도 2,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육면체를 형성하도록 프레임워크 형성한 캐빈 프레임(200)과 캐빈 프레임(200)을 형성하는 각 편 사이에 개재하여 설치한 각 면부로 형성하고 있다.
즉, 캐빈 프레임(200)은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연신하는 좌우 한 쌍의 전방부 지주편(202)과, 중도부 지주편(204)과, 후방부 지주편(206)을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형성하여 배치하고 있다. 이들 지주편(202, 204, 206)의 상단부 간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신하는 좌우 한 쌍의 상부 도리편(208)을 가설하는 한편, 이들 지주편(202, 204, 206)의 하단부 간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신하는 좌우 한 쌍의 하부 도리편(210)을 가설하고 있다.
좌우 한 쌍의 하부 도리편(210)은 하부 도리편 전방부(212)를 바닥면부(21)의 좌우측단 가장자리부를 따르게 해서 수평한 직선형상으로 형성함과 아울러, 하부 도리편부(214)를 좌우 한 쌍의 펜더(29)의 상면을 따르게 해서 만곡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좌우 한 쌍의 전방부 지주편(202)의 상단부 간에는 좌우 방향으로 연신하는 전방부 보편(216)을 횡으로 걸치고 있다. 한편, 좌우 한 쌍의 후방부 지주편(206)의 상단부 간에는 좌우 방향으로 연신함과 아울러, 후방으로 돌출형상으로 만곡시켜서 형성한 후 상부 보편(218)을 횡으로 걸치고 있다. 좌우 한 쌍의 후방부 지주편(206)의 하단부 간에는 좌우 방향으로 연신함과 아울러, 후방으로 돌출형상으로 만곡시켜서 후방 상부 보편(218)과 대략 동일상으로 형성한 후방 하부 보편(220)을 횡으로 걸쳐서 형성하고 있다.
좌우 한 쌍의 상부 도리편(208)의 후단 간에는 후방 상부 보편(218)을 따라 후방으로 돌출형상으로 만곡시켜서 형성한 본체 지지체(222)를 가설하고 있다. 본체 지지체(222)는 후방 상부 보편(218)을 따라 만곡하는 수평 돌출형상으로 띠형상의 수평 돌출면부(224)와, 수평 돌출면부(224)의 후단 가장자리부로부터 상방으로 기립형상의 기립면부(226)와, 기립면부(226)의 상단 가장자리부로부터 전방으로 굴곡해서 연장형상의 전방 연장면부(228)를 강성을 갖는 박육 판금에 의해 일체로 성형하고 있다.
이렇게 형성한 캐빈 프레임(200)은 후방부 강도 멤버(230)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고, 후방부 강도 멤버(230)는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캐빈 프레임(200)의 일부를 형성하는 좌우 한 쌍의 하부 도리편 전방부(212) 간에 바닥면부(21)의 본체를 이루는 수평면상의 상판(232)을 길게 설치하고 있다.
상판(232)의 상면에는 매트(도시하지 않음)를 길게 설치해서 바닥면부(21)를 형성하고 있다. 상판(232)의 전단 가장자리 중앙부에는 원동기부(11)와 운전부(20) 사이를 차폐하는 차폐판(22)을 세워서 설치하고 있다.
차폐판(22)은 원동기부(11)의 배면을 전면 피복 가능한 필요 최저한의 형상·크기로 형성하고, 원동기부(11)에 있어서 생성된 열기가 운전부(20)측에 유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차폐판(22)의 좌우측 상부와 좌우 한 쌍의 전방부 지주편(202)의 중도부 사이에는 좌우측 방향에 수평으로 연신하는 좌우 한 쌍의 보강편(234)을 개재하여 설치하고 있다.
상판(232)의 후단 가장자리부에는 단차가 형성된 볼록조에 형성한 지지 프레임면판(236)의 전단 가장자리부를 접속하고, 지지 프레임면판(236)을 통해 미션 케이스(12) 상에 운전석(28)을 재치하여 설치하고 있다. 지지 프레임면판(236)의 후단 가장자리부에는 후방 하부 보편(220)을 향해서 전저 후고의 경사형상으로 배면판(238)을 연장해서 길게 설치하고 있다. 지지 프레임면판(236) 및 배면판(238)의 좌우측 가장자리부와 좌우 한 쌍의 하부 도리편 후방부(214) 사이에는 좌우 한 쌍의 펜더(29)를 각각 개재하여 설치하고 있다.
상판(232)의 좌우측 전방부에 있어서의 차폐판(22)의 좌우측 하단부와 전방부 지주편(202)의 하단부 사이에는 좌우 방향으로 연신하는 좌우 한 쌍의 전방 하부 횡편(240)을 횡으로 걸치고 있다. 좌우 한 쌍의 전방 하부 횡편(240)의 내측 단부와 후방 하부 보편(220)의 중도부 사이에는 상판(232)과, 지지 프레임면판(236)과, 배면판(238)을 따라 하방으로 볼록형상으로 만곡하는 좌우 한 쌍의 바닥면 도리(242)를 가설하고, 좌우 한 쌍의 바닥면 도리(242)에 의해 상판(232)과, 지지 프레임면판(236)과, 배면판(238)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하고 있다. 244는 좌우 한 쌍의 전방 하부 횡편(240)의 내측 하면에 부착한 좌우 한 쌍의 전방부 방진체이며, 또한 246은 좌우 한 쌍의 바닥면 도리(242)의 중도부에 설치한 후방부 방진체다.
이렇게 구성한 후방부 강도 멤버(230)는 좌우 한 쌍의 전방부 방진체(244)와 좌우 한 쌍의 후방부 방진체(246)를 통해 기체 프레임(10) 상에 재치하여 설치함으로써 캐빈(C)을 방진 구조로 하고 있다.
캐빈(C)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성하고 있다. 즉, 좌우 한 쌍의 상부 도리편(208)과, 전방부 보편(216)과, 후방 상부 보편(218)과, 본체 지지체(222)에 의해 프레임형상으로 형성되는 천장면부에는 편평 상자형상으로 형성한 천장부(250)를 길게 설치하고 있다.
좌우 한 쌍의 전방부 지주편(202)과, 전방부 보편(216)과, 좌우 한 쌍의 보강편(234)에 의해 프레임형상으로 형성되는 전방면 상부에는 전방 창부(252)를 길게 설치함과 아울러, 좌우 한 쌍의 전방부 지주편(202)과, 좌우 한 쌍의 보강편(234)과, 좌우 한 쌍의 전방 하부 횡편(240)에 의해 프레임형상으로 형성되는 전방면 하부에는 좌우 한 쌍의 전방 벽부(254)를 길게 설치하고 있다.
좌우 한 쌍의 전방부 지주편(202)과, 중도부 지주편(204)과, 상부 도리편(208)과, 하부 도리편(210)에 의해 프레임형상으로 형성되는 좌우측면부에는 좌우 한 쌍의 승강 도어부(256)를 개폐 가능하게 길게 설치하고 있다. 좌우 한 쌍의 중도부 지주편(204)과, 후방부 지주편(206)과, 상부 도리편(208)과, 하부 도리편(210)에 의해 프레임형상으로 형성되는 좌우측면부에는 좌우 한 쌍의 측창부(258)를 개폐 가능하게 길게 설치하고 있다. 좌우 한 쌍의 후방부 지주편(206)과, 후방 상부 보편(218)과, 후방 하부 보편(220)에 의해 위요상태로 형성되는 후방면부에는 후방 창부(260)를 개폐 가능하게 길게 설치하고 있다. 259는 측창부 개폐 손잡이, 262는 프론트 와이퍼, 264는 리어 와이퍼, 266은 저속도 마크, 268은 승강 스텝이다.
천장부(250)에는 좌우 한 쌍의 후방부 지주편(206)보다 후방으로 돌출형상으로 에어컨 본체 배치부(270)를 설치하고 있고, 에어컨 본체 배치부(270)는 후방부 천장편(222)에 의해 지지되고 있다. 에어컨 본체 배치부(270) 내에는 에어컨 장치(300)의 일부를 구성하는 에어컨 본체(310)를 배치하고 있다. 에어컨 장치(300)는 에어컨 본체(310)와, 에어컨용의 콘덴서(49)와, 에어컨용의 컴프레서(59)와, 리시버 드라이어(51) 등을 구비하고 있다. 전방 창부(252)의 중앙 하부에는 차폐판(22)의 상단부에 형성한 와이퍼 부착 구멍(22a)을 통해 프론트 와이퍼(262)의 베이스부를 부착하고 있다.
(천장부의 구성의 설명)
천장부(250)의 구성에 대해서 도 5, 도 8, 도 9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즉, 천장부(25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좌우 한 쌍의 상부 도리편(208)과, 전방부 보편(216)과, 후방 상부 보편(218)과, 본체 지지체(222)에 의해 프레임형상으로 형성되는 천장면부에 있어서 천장부 본체(278)와, 천장부 본체(278)의 내측벽을 형성하는 판형상의 내측 천장편(272)과, 내측 천장편(272)의 직상방에 대향시켜서 배치하고, 천장부 본체(278)의 외측벽을 형성하는 판형상의 외측 천장편(274)과, 양 내·외측 천장편(272, 274)의 후단 가장자리부 사이에 개재하여 설치하여 에어컨 본체 배치부(270)의 하부 및 후방부 벽을 형성하는 후방부 천장편(276)으로 형성하고 있다.
천장부 본체(278)는 덕트 배치부(280)와 에어컨 본체 배치부(270)로 형성하고 있다. 덕트 배치부(280)에는 후술하는 급기 덕트(370)와 송기 덕트를 배치하고 있다. 내측 천장편(272)은 전방부 보편(216)의 하단면부에 전단 가장자리부를 부착하는 한편, 후방 상부 보편(218)의 하단면부에 후단 가장자리부를 부착하고 있다. 외측 천장편(274)은 전방부 보편(216)의 상단면부에 전단 가장자리부를 부착함과 아울러, 측면으로부터 볼 때 유선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외측 천장편(274)의 후방부에는 후방 상부 보편(218)보다 후방으로 돌출형상으로 연장시켜서 후방 연장부(290)를 형성하고 있다.
외측 천장편(274)은 천장부 본체(278)를 상방으로부터 피복하고 있고, 외측 천장편(274)의 하면과, 천장부 본체(278)의 주위를 프레임형상으로 위요하는 각 편의 상면 사이에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으로부터 볼 때 프레임형상으로 형성한 실링재(282)를 개재하여 설치하고, 천장부(250)의 실링성을 양호하게 확보하고 있다. 즉, 천장부(250) 내에 빗물이나 세정수 등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실링재(282)는 전방부 보편(216)의 상후방 가장자리부의 상면을 따르게 해서 좌우 방향으로 연신시켜서 형성한 전방 가장자리부(284)와, 좌우 한 쌍의 상부 도리편(208)의 내측 상방 가장자리부의 상면을 따르게 해서 전후 방향으로 연신시켜서 형성한 좌·우측 가장자리부(286)와, 본체 지지체(222)의 전방 연장면부(228)의 상면을 따르게 해서 좌우 방향으로 연신시켜서 형성한 후방 가장자리부(288)로 프레임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후방부 천장편(276)은 후방 상부 보편(218)의 후단면부에 전단 가장자리부(294)를 부착하여 후방으로 연장시킴과 아울러, 상방으로 기립하고, 상단 가장자리부(296)를 전방에 절곡시켜서 형성하고 있다. 전단 가장자리부(294)에는 후술하는 간극(298)으로부터 다목적 공간(348) 내에 침입한 빗물이나 세정수 등을 기외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 구멍(도시 없음)을 형성하고 있다. 후방부 천장편(276)의 상단 가장자리부(296)는 후방 연장부(290)의 후단 가장자리부(292)의 상면에 서로 겹치게 해서 기립면부(226)의 상부에 설치한 브래킷(227)에 볼트(229) 및 너트(231)에 의해 부착하고 있다. 그리고 후방 연장부(290)와 후방부 천장편(276)에 의해 에어컨 본체 배치부(270)를 후방으로 돌출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에어컨 본체 배치부(270) 내에는 에어컨 장치(300)의 일부를 형성하는 에어컨 본체(310)를 배치하고 있다.
에어컨 장치(300)는 냉방 사이클 기구와 난방 사이클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즉, 에어컨 장치(300)는 에어컨 본체 배치부(270) 내에 배치한 에어컨 본체(310)와, 후술하는 원동기부(11)에 배치한 에어컨용의 콘덴서(49), 에어컨용의 컴프레서(59) 및 리시버 드라이어(51)와, 이들을 유체적으로 접속하는 냉매 배관(322) 등을 구비하고 있다.
에어컨 본체(310)는 냉기를 생성하는 이배퍼레이터(312)와, 이배퍼레이터(312) 내의 압력 조정을 하는 팽창 밸브·스로틀 밸브로 이루어진 익스팬션 밸브(314)(도 15 참조)와, 난기를 생성하는 히터 코어(316)와, 이들이 생성한 냉기와 난기를 송풍하는 송풍 팬(318)과, 이들을 수용하는 본체 케이스(320)를 구비하고 있다.
냉방 사이클 기구는 냉매를 압축하는 컴프레서(59)와, 압축되어 고온 고압이 된 냉매를 차게 해서 액화하는 콘덴서(49)와, 내부에 냉매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스트레이너와,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제가 수용되어 있고, 콘덴서(49)에 의해 액화된 냉매를 일시적으로 모아두는 탱크인 리시버 드라이어(51)와, 이배퍼레이터(312)의 입구에 부착되어 있고, 고온 고압의 액화 냉매가 이곳을 통하면 액으로부터 안개형상의 기체로 변화하고 있어서 분사되는 익스팬션 밸브(314)와, 기화한 냉매가 열을 빼앗으면서 통과해 가 그 자체가 냉각되는 것인 이배퍼레이터(312)와, 이들을 유체적으로 접속하고, 액체 또는 기체의 상태의 냉매를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 유로를 형성하는 냉매 배관(322)으로 구성하고 있다.
난방 사이클 기구는 후술하는 엔진(40)에 연동 연결한 워터 펌프(도시하지 않음)와, 에어컨 본체(310) 내에 설치해서 열교환기로서 기능하는 히터 코어(316)와, 이들을 연통 연결하는 온수 배관(324)으로 구성하고 있다. 온수 배관(324)은 도 15 및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토출측 온수관(326)과 리턴측 온수관(328)으로 형성하고 있다.
이어서, 트랙터(A)의 특징이 되는 구성, 즉 천장부(250) 내에 배치한 에어컨 본체(310)의 지지 구조와, 에어컨 본체(310)로의 외기 도입 구조와, 에어컨 본체(310)로부터의 냉·난기 방출 구조와, 측창부(258)의 개폐 피봇팅 구조의 설명에 대해서 이 순서로 설명한다.
[에어컨 본체의 지지 구조의 설명]
에어컨 본체(310)의 지지 구조에 대해서 도 5~도 8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즉, 에어컨 본체(310)를 배치하기 위한 에어컨 본체 배치부(270)는 운전부(20)를 피복하는 캐빈(C)의 천장부(250)에 캐빈 프레임(200)의 일부를 형성하는 좌우 한 쌍의 후방부 지주편(206)보다 후방으로 돌출형상으로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에어컨 본체 배치부(270)는 좌우 한 쌍의 후방부 지주편(206)의 상단부 간에 횡으로 걸친 후방 상부 보편(218)에 본체 지지체(222)를 후방을 향해서 돌출형상으로 길게 설치하고 있다. 본체 지지체(222)는 캐빈 프레임(200)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고, 에어컨 본체(310)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기 위한 지지 강성을 갖고 있다. 그리고 본체 지지체(222)에는 에어컨 본체(310)를 상방으로부터 부착 가능하게 하고 있다.
본체 지지체(222)는 강성을 갖는 박육 판금에 의해 일체 성형한 수평 돌출형상의 수평 돌출면부(224)와 수평 돌출면부(224)의 후단 가장자리부로부터 상방으로 기립형상의 기립면부(226)를 구비하고 있다. 기립면부(226)에는 복수개(본 실시형태에서는 4개)의 부착 스테이(330)를 각 부착 스테이(330)의 상면이 가상 동일 수평면상에 위치하도록 내방을 향해서 수평으로 돌출시키고, 각 부착 스테이(330)를 통해 에어컨 본체(310)를 상방으로부터 수평으로 가설형상으로 부착 가능하게 하고 있다.
에어컨 본체(310)는 본체 케이스(320) 내에 냉기와 난기를 생성하는 기기 등을 배치해서 구성하고 있다. 본체 케이스(320)의 측벽인 좌우측벽과 후방측벽에는 복수개(본 실시형태에서는 5개)의 부착편(340)을 각 부착 스테이(330)와 대향시켜서 외방으로 돌출형상으로 돌출시키고 있다. 각 부착편(340)과 각 부착 스테이(330)는 상하 방향으로 서로 겹치게 해서 이들의 서로 겹치는 부분에 부착 볼트(346)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시켜서 나사 부착함으로써 각 부착 스테이(330)에 각 부착편(340)을 통해 에어컨 본체(310)를 상방으로부터 가설형상으로 부착 가능하게 하고 있다. 본체 지지체(222)와, 본체 지지체(222)에 각 부착 스테이(330) 및 각 부착편(340)을 통해 가설형상으로 부착된 본체 케이스(320)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체 지지체(222)의 기립면부(226)는 후방으로 팽창하는 평면으로부터 볼 때 만곡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기립면부(226)에는 그 좌측단부에 제 1 부착 스테이(330)를 우측방을 향해서 수평으로 돌출시키고, 그 좌측부에 제 2 부착 스테이(330)를 우측 전방을 향해서 수평으로 돌출시키고, 그 우측부에 제 3 및 제 4 부착 스테이(330)를 각각 전방을 향해서 수평으로 돌출시키고 있다. 또한, 우측의 상부 도리편(208)의 내측 후단부에는 제 5 부착 스테이(330)를 우측방을 향해서 수평으로 돌출시키고 있다.
에어컨 본체(310)의 본체 케이스(320)는 하면이 개구하는 상자형의 상부 케이스 형성편(332)의 하단 가장자리부와 상면이 개구하는 상자형의 하부 케이스 형성편(334)의 상단 가장자리부를 감합 상태로 접속해서 형성하고 있다. 상부 케이스 형성편(332)에는 그 천장면에 있어서의 제 1~제 5 부착 스테이(330)와 대응하는 위치에 상부편(336)을 수평으로 돌출시키고 있다. 한편, 하부 케이스 형성편(334)에는 각 상부편(336)과 상하방에 면접촉하도록 정합하는 하부편(338)을 수평으로 돌출시키고 있다. 면접촉하는 각 상부편(336)과 각 하부편(338)에서 각 부착편(340)을 형성하고 있다.
각 부착편(340)에는 각각 상하 방향으로 개구하는 볼트 삽입 통과 구멍(342)을 형성하는 한편, 각 부착 스테이(330)에는 볼트 나사 부착부(344)를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각 부착 스테이(330)의 볼트 나사 부착부(344)에 각 부착편(340)의 볼트 삽입 통과 구멍(342)을 상방으로부터 정합시켜서 정합하는 볼트 삽입 통과 구멍(342)과 볼트 나사 부착부(344) 중에 부착 볼트(346)를 나사 부착함으로써 본체 지지체(222)에 본체 케이스(320), 즉 에어컨 본체(310)를 가설형상으로 부착 가능하게 하고 있다.
에어컨 본체(310)는 본체 지지체(222)로부터는 격리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에어컨 본체(310)와 본체 지지체(222) 사이에는 다목적 공간(348)이 형성되어 있다. 다목적 공간(348)은 빗물이나 세정수 등의 배수를 위한 공간, 외기를 흡입함과 아울러, 흡입한 외기를 외기 도입구(354)에 도입하기 위한 공간 및 배관을 위한 공간 등으로서 기능하는 공간이다. 350은 본체 케이스(320)의 후방벽에 관통 상태로 부착한 온도 센서이며, 온도 센서(350)는 이배퍼레이터(312)에 의해 생성된 냉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것이다.
이렇게 구성한 에어컨 본체(310)의 지지 구조에서는 에어컨 본체(310)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기 위한 지지 강성을 갖는 본체 지지체(222)에 에어컨 본체(310)를 상방으로부터 부착 가능하게 하고 있기 때문에 본체 지지체(222)로의 에어컨 본체(310)의 부착 작업이 상방으로부터 용이하게 행해진다.
그리고 본체 지지체(222)가 구비하는 기립면부(226)에는 복수의 부착 스테이(330)를 내방을 향해서 수평으로 돌출시키고, 복수의 부착 스테이(330)를 통해 에어컨 본체(310)를 상방으로부터 가설형상으로 부착 가능하게 하고 있기 때문에 본체 지지체(222)로의 에어컨 본체(310)의 부착 작업이 상방으로부터 안정시킨 상태로 용이하게 또한 견실하게 행해진다.
또한, 에어컨 본체(310)의 본체 케이스(320)의 측벽에는 복수개(본 실시형태에서는 5개)의 부착편(340)을 각 부착 스테이(330)와 대향시켜서 외방으로 돌출형상으로 돌출시키고, 각 부착편(340)과 각 부착 스테이(330)를 상하 방향으로 서로 겹치게 해서 이들 서로 겹치는 부분에 부착 볼트(346)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시켜서 나사 부착함으로써 각 부착 스테이(330)에 각 부착편(340)을 통해 에어컨 본체(310)를 상방으로부터 가설형상으로 부착 가능하게 하고 있기 때문에 본체 지지체(222)에 에어컨 본체(310)를 재치하고 나서 볼트 체결할 때까지의 부착 작업 전부를 크게 개방된 상방으로부터만 능률 좋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체 지지체(222)에 에어컨 본체(310)를 부착했을 경우에 본체 지지체(222)와 에어컨 본체(310) 사이에 다목적 공간(348)이 형성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다목적 공간(348)을 통해서 빗물이나 세정수 등을 기외로 배출할 수 있다. 바꿔 말하면 에어컨 본체(310)에 빗물이나 세정수 등이 막혀 본체 지지체(222) 상에 체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다목적 공간(348)은 그것을 통해서 콤팩트한 배관이나 배선이 가능해진다.
[에어컨 본체로의 외기 도입 구조의 설명]
에어컨 본체(310)로의 외기 도입 구조에 대해서 도 5~도 1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즉, 중공 편평판형상으로 형성한 천장부(250)는 캐빈(C)의 좌우측 상부를 형성하는 좌우 한 쌍의 상부 도리편(208) 간에 가설하고 있고, 천장부(250)는 덕트 배치부(280)와 에어컨 본체 배치부(270)로부터 천장부 본체(278)를 형성하고 있다. 덕트 배치부(280)에는 급기 덕트(370)와 송기 덕트를 배치하는 한편, 에어컨 본체 배치부(270)에는 에어컨 본체(310)를 배치하고, 급기 덕트(370)를 통해서 에어컨 본체(310)에 외기를 공급 가능하게 하고 있다.
상부 도리편(208)은 전후 방향으로 직선형상으로 연신하는 통형상으로 형성하고, 상부 도리편(208)의 전방부에 천장부(250) 내의 급기 덕트(370)와 연통하는 연통구(352)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부 도리편(208)은 그 후단부를 후방을 향해서 점차 확경하는 나팔형상으로 형성하고, 도 12 및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후단 개구를 외기 도입구(354)로 하고 있다. 외기 도입구(354)에는 외기 필터(355)를 길게 설치한 통형상의 필터 케이스(356)를 배치하고 있다. 그리고 외기 도입구(354)로부터 도입되는 외기 중의 진애 등은 외기 필터(355)에 의해 제거되도록 하고 있다. 외기 도입구(354)로부터 도입된 외기는 상부 도리편(208) 사이를 통과하고, 연통구(352)로부터 천장부(250) 내의 급기 덕트(370)를 통해서 에어컨 본체(310)에 공급되도록 하고 있다.
천장부(250)는 내측 천장편(272)과, 외측 천장편(274)과, 양 내·외측 천장편(272, 274)의 후단 가장자리부 사이에 개재하여 설치한 후방부 천장편(276)으로 형성하고, 좌우 한 쌍의 상부 도리편(208)의 후단부를 도리편 커버체(616)에 의해 피복함과 아울러, 본체 지지체(222)를 후방 천장편(276)에 의해 피복하고 있다. 후방부 천장편(276)은 그 상단 가장자리부(296)를 외측 천장편(274)의 후방 연장부(290)에 단차가 형성된 오목조에 형성된 후단 가장자리부(292) 상에 서로 겹치는 상태로 배치하고,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서로 겹치는 부에 형성되는 간극(298)으로부터 외기(W1)를 흡입 가능하게 하고 있다. 간극(298)으로부터 흡입된 간극 흡입 외기(W2)는 본체 지지체(222)와 후방부 천장편(276) 및 도리편 커버체(616) 사이에 형성되는 다목적 공간(348)을 통하고, 각 상부 도리편(208)의 후단부에 개구된 외기 도입구(354)에 외기 필터(355)를 통해서 도입되도록 하고 있다.
천장부(250) 내에는 그 후방부에 에어컨 본체(310)를 배치하고 있다. 외기 도입구(354)와 에어컨 본체(310)에 설치한 송풍 팬(318)의 흡기구(358) 사이에는 좌우 한 쌍의 외기 공급 유로(360)를 개재하여 설치하고 있다. 각 외기 공급 유로(360)는 상부 도리편(208) 사이에 형성되는 외기 도입로(362)와 급기 덕트(370) 내에 형성되는 급기로(364)로 되접힌 형상으로 굴곡시켜서 형성하고 있다. 즉, 외기 공급 유로(360)는 역 U자형상으로 우회시켜서 장척으로 형성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외기 도입구(354)로부터 도입된 도입 외기(W3)가 상부 도리편(208) 사이의 외기 도입로(362)를 통과해서 연통구(352)까지 도입되고, 연통구(352)로부터 공급 외기(W4)가 급기 덕트(370) 내의 급기로(364)를 통과해서 천장부(250) 내의 후방부에 배치한 에어컨 본체(310)의 송풍 팬(318)의 흡기구(358)에 공급되도록 하고 있다.
천장부(250) 내에는 그 후방부에 배치한 에어컨 본체(310)와 에어컨 본체(310)에 급기하는 급기 덕트(370)를 설치하고 있다. 급기 덕트(370)는 좌우 한 쌍의 상부 도리편(208)에 각각 형성한 연통구(352)를 통과해서 도입된 도입 외기(W3)를 도입하는 좌우 한 쌍의 분기 도입부(372)와, 분기 도입부(372)에 의해 도입된 공급 외기(W4)를 합류시켜서 후방으로 반송하는 후방 반송부(374)와, 후방 반송부(374)를 통과해서 반송된 공기(공급 외기(W4) 또는 공급 내기(W6))를 에어컨 본체(310)에 설치한 송풍 팬(318)의 흡기구(358)에 수집해서 급기하는 수집 급기부(376)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급기 덕트(370)는 좌우 한 쌍의 분기 도입부(372)를 좌우 방향으로 직선형상으로 연신하는 덕트형상으로 형성하고, 후방 반송부(374)를 좌우 한 쌍의 분기 도입부(372)의 합류부로부터 후방으로 직선형상으로 연장하는 덕트형상으로 형성하고, 수집 급기부(376)를 송풍 팬(318)의 흡기구(358)에 공기가 수집되도록 깔때기형상으로 형성하여 급기 덕트(370) 내에 급기로(364)를 형성하고 있다. 여기에서 좌우 한 쌍의 분기 도입부(372)와 후방 반송부(374)는 평면으로부터 볼 때 T자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또한, 전후 방향으로 연신하는 통형상으로 형성한 좌우 한 쌍의 상부 도리편(208) 사이에는 각각 외기 도입로(362)를 형성하고, 양 외기 도입로(362)와 급기로(364)를 연통시켜서 좌우 한 쌍의 외기 공급 유로(360)를 형성함과 아울러, 각 외기 공급 유로(360)를 장척으로 형성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좌우 한 쌍의 상부 도리편(208)의 전방부에는 전후 가로로 긴 사각형의 연통구(352)(도 21 참조)를 형성하고, 연통구(352)에는 그 둘레 가장자리부를 따르게 해서 사각형 프레임형상으로 형성한 프레임체(380)를 설치하고 있다. 급기 덕트(370)는 분기 도입 저면편(382)과, 후방 반송 저면편(384)과, 본체 케이스(320)의 상부 케이스 형성편(332)의 상면부과, 전단부 덕트 형성편(386)과, 좌우 한 쌍의 중도부 덕트 형성편(388)과, 좌우 한 쌍의 측부 덕트 형성편(390)과, 후방부 덕트 형성편(392)과, 외측 천장편(274)으로 형성하고 있다.
분기 도입 저면편(382)은 분기 도입부(372)의 저면부를 형성하고 있다. 후방 반송 저면편(384)은 후방 반송부(374)의 저면부를 형성하고 있다. 전단부 덕트 형성편(386)은 분기 도입 저면편(382)의 전단 가장자리부를 따르게 해서 좌우 방향으로 직선형상으로 연신시켜서 형성하고, 좌우 한 쌍의 프레임체(380)의 전단 가장자리부 사이에 개재하여 설치하고 있다. 중도부 덕트 형성편(388)은 분기 도입 저면편(382)의 후단 가장자리부를 따르게 해서 좌우 한 쌍의 프레임체(380)의 후단 가장자리부로부터 내방으로 직선형상으로 연신시켜서 형성하고 있다. 좌우 한 쌍의 측부 덕트 형성편(390)은 좌우 한 쌍의 후방 반송부(374)의 좌우측 가장자리부를 따르게 해서 각 중도부 덕트 형성편(388)의 내측단부로부터 후방의 에어컨 본체(310)를 향해서 직선형상으로 연신시켜서 형성하고 있다. 후방부 덕트 형성편(392)은 양측부 덕트 형성편(390)의 후단 사이에 좌우측 단부를 연결함과 아울러, 본체 케이스(320)의 상면부에 있어서 중도부를 송풍 팬(318)의 흡기구(358)의 직후방 위치까지 팽출시켜서 형성하고 있다.
외기 공급 유로(360)는 전후 방향으로 연신하는 통형상으로 형성한 좌우 한 쌍의 상부 도리편(208) 사이에 형성되는 외기 도입로(362)와 급기 덕트(370) 내에 형성되는 급기로(364)로부터 평면으로부터 볼 때 역 U자형상으로 우회시켜서 장척으로 형성한 유로로 하고 있다. 그리고 도입된 외기 중의 진애 등은 외기 도입구(354)에 길게 설치한 외기 필터(355)에 의해 대부분이 제거됨과 아울러, 약간 도입된 잔여 진애 등은 외기가 장척으로 형성한 외기 공급 유로(360)를 통해서 유동되는 동안에 외기 공급 유로(360) 내에 침강(낙하)된다. 그 때문에 송풍 팬(318)의 흡기구(358)에는 진애 등이 거의 포함되지 않는 상태에서 급기가 이루어진다.
후방 반송부(374)의 중도부에는 외기 순환 유로와 내기 순환 유로를 스위칭하는 유로 스위칭 수단(400)을 설치하고 있다. 즉, 외기 순환 유로는 외기를 에어컨 본체(310)에 설치한 송풍 팬(318)의 흡기구(358)에 급기하고, 에어컨 본체(310) 내에서 생성한 난기 및/또는 냉기를 캐빈(C) 내의 운전부(20)에 공급하고, 그 후 기외로 배기함으로써 캐빈(C) 내를 통해서 외기를 순환시키는 유로이다. 내기 순환 유로는 캐빈(C) 내의 운전부(20)의 내기(W5)를 에어컨 본체(310)에 설치한 송풍 팬(318)의 흡기구(358)에 급기하고, 에어컨 본체(310) 내에서 생성한 난기 및/또는 냉기를 캐빈(C) 내의 운전부(20)에 공급함으로써 캐빈(C) 내에 있어서 에어컨 장치(300)와 운전부(20) 사이에서 내기(W5)를 순환시키는 유로이다.
유로 스위칭 수단(400)은 후방 반송부(374)의 상류측에 배치하여 내·외기 순환 유로를 스위칭하는 유로 스위칭부(402)와, 후방 반송부(374)에 있어서의 유로 스위칭부(402)보다 하류측에 배치하여 유로 스위칭부(402)를 스위칭 구동하는 스위칭 구동부(404)를 구비하고 있다.
유로 스위칭부(402)는 덕트형상으로 형성한 후방 반송부(374)의 전방부에 외기유입구(406)를 형성한 유입구 형성편(408)을 전저 후고의 경사형상(후방 경사형상)로 배치하고 있다. 외기 유입구(406)의 직하방에 위치하는 내측 천장편(272)과 후방 반송 저면편(384)의 부분에는 각각 제 1 내기 유입구(410)와 제 2 내기 유입구(412)를 형성하고 있다. 외기 유입구(406)와 제 2 내기 유입구(412)는 좌우 횡으로 긴 사각형의 대략 동일 형태로 형성하는 한편, 제 1 내기 유입구(410)는 2개의 좌우 횡으로 긴 사각형상을 좌우로 병설해서 형성하고 있다. 제 1 내기 유입구(410)에는 내기 필터(414)를 길게 설치하고 있다.
유입구 형성편(408)과 후방 반송 저면편(384) 사이에는 유로 스위칭편(416)을 배치하고 있다. 유로 스위칭편(416)은 사각형 판형상으로 형성하고, 후방 반송 저면편(384)에 전단 가장자리부(418)를 부착함과 아울러, 전단 가장자리부(418)를 중심으로 해서 후단 가장자리부측을 상하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하고 있다. 유로 스위칭편(416)의 상면에는 외기 유입구(406)를 폐색하는 폐색 패드(420)를 길게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유로 스위칭편(416)이 상방으로 요동되어서 후방 경사형상의 경사 자세를 채용하면 폐색 패드(420)를 통해 외기 유입구(406)가 하방으로부터 폐색된다. 또한, 유로 스위칭편(416)이 하방으로 요동되어서 수평상태의 횡와 자세를 채용하면 제 1·제 2 내기 유입구(410, 412)가 상방으로부터 폐색된다. 즉, 유로 스위칭편(416)에 의해 외기 유입구(406)가 폐색되면 제 1·제 2 내기 유입구(410, 412)가 개방되어 캐빈(C) 내의 내기가 제 1·제 2 내기 유입구(410, 412)를 통해서 송풍 팬(318)의 흡기구(358)에 급기되는 내기 순환 유로가 형성된다. 또한, 유로 스위칭편(416)에 의해 제 1·제 2 내기 유입구(410, 412)가 폐색되면 외기 유입구(406)가 개방되어 외기 도입로(362)를 통해서 도입된 외기가 외기 유입구(406)를 통해서 송풍 팬(318)의 흡기구(358)에 급기되는 외기 순환 유로가 형성된다.
스위칭 구동부(404)는 후방 반송 저면편(384) 상에 재치한 캠 구동 모터(422)와, 캠 구동 모터(422)에 회전 구동되는 이형 원판형상의 캠 편(424)과, 캠 편(424)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캠 홈(426)을 통해 연결된 좌우 요동 암(428)과, 좌우 요동 암(428)의 좌우 요동 동작에 연동해서 유로 스위칭편(416)을 상하 요동시키는 연동 암(430)을 구비하고 있다.
캠 구동 모터(422)는 구동축(432)을 상방을 향해서 돌출시키고 있다. 구동축(432)의 상단부에는 이형 원판형상의 캠 편(424)을 편심시켜서 부착하고, 캠 편(424)이 수평으로 회전 구동되도록 하고 있다. 이형 원판형상의 캠 편(424)의 상면에는 그 둘레 가장자리부를 따라 상방이 개구된 평면으로부터 볼 때 무단형상의 캠 홈(426)을 형성하고 있다.
좌우 요동 암(428)은 후방 반송 저면편(384) 상에 캠 구동 모터(422)의 우측후방에 위치시켜서 암 기단부(434)를 상하 방향의 축선 둘레에 요동 가능하게 피봇팅하고 있다. 암 선단부(436)는 캠 편(424)의 우측방에 있어서 전방을 향해서 연장시키고 있다. 좌우 요동 암(428)의 중도부에는 연동편(438)을 캠 홈(426)의 직상방을 향해서 돌출시키고, 캠 홈(426) 중에 연동편(438)의 선단부에 수직 설치한 슬라이딩편(도시하지 않음)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감입시키고 있다.
그리고 캠 편(424)이 회전 구동되면 캠 홈(426) 중에서 슬라이딩편이 슬라이딩되어서 연동편(438)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좌우 요동 암(428)이 암 기단부(434)를 중심으로 해서 좌우 방향으로 일정 폭 내에서 요동된다.
연동 암(430)은 후방 반송 저면편(384)의 단차가 형성된 볼록부에 전후 방향의 축선 둘레에 피봇팅한 피봇팅부(442)와 피봇팅부(442)로부터 상방으로 돌출시켜서 형성한 암 결합편(444)과, 피봇팅부(442)로부터 우측방으로 돌출시켜서 형성한 연결편(446)을 구비하고 있다. 암 결합편(444)은 배면으로부터 볼 때 U자형상으로 형성하고, 암 결합편(444)에 좌우 요동 암(428)의 암 선단부(436)에 형성한 구형상의 감입편(448)을 회전 슬라이딩 가능하게 감입시켜서 결합하고 있다. 연결편(446)의 선단부에는 좌우 방향에 가로로 긴 긴 구멍(450)을 형성하고 있다. 긴 구멍(450) 중에는 유로 스위칭편(416)의 후단 가장자리부에 형성한 기립편(452)의 중도부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한 연동핀(454)을 삽입 통과시키고 있다.
그리고 좌우 요동 암(428)의 선단부가 좌우 방향으로 요동되면 좌우 요동 암(428)의 선단부에 결합되어 있는 암 결합편(444)도 그 피봇팅부(442)를 중심으로 해서 좌우 방향으로 연동해서 요동됨과 아울러, 연결편(446)도 그 피봇팅부(442)를 중심으로 해서 상하 방향으로 연동해서 요동되어 연동핀(454)을 통해 유로 스위칭편(416)이 상하 요동된다. 이렇게 유로 스위칭편(416)은 콤팩트하게 형성된 스위칭 구동부(404)에 의해 외기 순환 유로와 내기 순환 유로로 견실하게 스위칭 동작된다.
에어컨 본체(310)의 본체 케이스(320)는 좌우 방향으로 횡으로 긴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고, 본체 케이스(320) 내에는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측부에 송풍 팬(318)을 배치하고, 송풍 팬(318)의 우측방에 이배퍼레이터(312)를 배치하고, 이배퍼레이터(312)의 직전방에 히터 코어(316)를 배치하고 있다.
송풍 팬(318)은 시로코 팬이며, 팬 축(460)의 축선 방향(본 실시형태에서는 상하 방향)에 위치하는 본체 케이스(320)의 상면 좌측부에 흡기구(358)를 개구시켜서 형성함과 아울러, 팬 축(460)의 외주를 피복하는 본체 케이스(320)의 좌측벽과 본체 케이스(320)의 후방벽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횡으로 긴 형상의 송풍로(462)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송풍 팬(318)은 팬 축(460)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 구동됨으로써 흡기구(358)로부터 공급 외기(W4) 또는 공급 내기(W6)를 도입함과 아울러, 송풍로(462)에 송풍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압송된 송풍은 송풍로(462)를 따라 전방을 향해서 송풍 안내된다.
이배퍼레이터(312)는 송풍로(462)의 직전방에 배치하고 있다. 즉, 송풍이 압송되는 송풍 유로(470)의 상류측에 배치하고 있다. 이배퍼레이터(312)는 도 6 및 도 7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배퍼레이터 형성관(464)을 좌우 방향으로 횡으로 긴 폭이며 또한 사행형상으로 형성하고, 이배퍼레이터 형성관(464)에 다수의 냉각용 열교환 플레이트(466)를 좌우 방향으로 간격을 형성하여 부착해서 냉각용 열교환 플레이트군(468)을 형성하고, 각 냉각용 열교환 플레이트(466) 간에 송풍 팬(318)으로부터의 송풍이 유통될 때에 열교환됨으로써 송풍이 냉기가 되어서 보내지도록 하고 있다. 이배퍼레이터 형성관(464)은 냉매 배관(322)에 접속되어 있다.
히터 코어(316)는 이배퍼레이터(312)의 직전방에 배치하고 있다. 즉, 송풍이 압송되는 송풍 유로(470)의 하류측에 배치하고 있다. 히터 코어(316)는 히터 코어 형성관(도시하지 않음)을 좌우 방향으로 횡으로 긴 폭(단, 이배퍼레이터(312)보다 약간 짧은 폭)이며 또한 사행형상으로 형성하고, 히터 코어 형성관(도시하지 않음)에 다수의 가열용 열교환 플레이트(도시하지 않음)를 좌우 방향으로 간격을 형성하여 부착해서 가열용 열교환 플레이트군(476)을 형성하고, 각 가열용 열교환 플레이트 간에 송풍 팬(318)으로부터의 송풍이 유통될 때에 열교환됨으로써 송풍이 난기로 되어서 보내지도록 하고 있다. 히터 코어 형성관은 온수 배관(324)에 접속되어 있다. 온수 배관(324)은 토출측 온수관(326)과 리턴측 온수관(328)으로 형성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이배퍼레이터(312)에 의해 냉기가 생성되는 한편, 히터 코어(316)로의 온수의 공급을 정지시켜서 난기의 생성을 중단함으로써 냉기의 온도를 최저 온도로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반대로 이배퍼레이터(312)에 의한 냉기의 생성을 중단하는 한편, 히터 코어(316)에 온수가 공급되어서 난기가 생성됨으로써 난기의 온도를 최고 온도로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이배퍼레이터(312)에 의한 냉기의 생성과, 히터 코어(316)에 의한 난기의 생성을 가감하면서 양방 생성으로써 냉기 또는 난기의 온도를 적당히 조정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송풍 팬(318)에 의해 생성된 송풍에 의해 송풍 유로의 상류측에 배치된 이배퍼레이터(312)에 의해 생성된 냉기가 송풍 유로의 하류측에 배치된 히터 코어(316)에 유통됨으로써 히터 코어(316)에 의해 생성된 난기의 온도가 적당히 저감되도록 하고 있다.
이렇게 구성한 에어컨 본체(310)로의 외기 도입 구조에서는 외기 도입구(354)로부터 도입된 외기가 상부 도리편(208) 사이에 형성되는 외기 도입로(362)를 통해서 연통구(352)로부터 천장부(250) 내의 에어컨 본체(310)에 공급되도록 하고 있다. 그 때문에 외기 도입구(354)로부터 에어컨 본체(310)까지 외기가 공급되는 외기 공급 유로(360)를 외기 도입로(362)에 의해 장척으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외기에 포함된 진애가 공급 도중에 외기 도입로(362) 내에 낙하하여 에어컨 본체(310)에는 진애가 유입하지 않는다. 그 결과 외기 중의 진애가 에어컨 본체(310)에 설치된 송풍 팬(시로코 팬)(318)의 막힘의 원인이 되어 그 송풍 기능이 저감된다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외기 도입구(354)와 에어컨 본체(310) 사이에 개재하여 설치한 외기 공급 유로(360)를 상부 도리편(208) 사이에 형성되는 외기 도입로(362)와 천장부(250) 내에 형성되는 급기로(364)로부터 되접힌 형상으로 굴곡시켜서 형성하고, 외기 도입구(354)로부터 도입된 외기가 외기 도입로(362)를 통과해서 연통구(352)까지 도입되어 연통구(352)로부터 급기로(364)를 통해서 후방부에 배치한 에어컨 본체(310)에 공급되도록 하고 있다. 그 때문에 외기 공급 유로(360)를 한층 더 장척화해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장척화한 외기 공급 유로(360)에 의한 작용 효과를 보다 한층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급기 덕트(370) 내에는 좌우 한 쌍의 통형상의 상부 도리편(208) 사이에 형성되는 외기 도입로(362)와 연통하는 급기로(364)를 형성하고, 좌우 한 쌍의 외기 도입로(362)와 급기로(364)에 의해 좌우 한 쌍의 외기 공급 유로(360)를 형성하고 있다. 그 때문에 좌우 한 쌍의 외기 공급 유로(360)를 콤팩트하게 형성할 수 있음과 아울러, 좌우 한 쌍의 외기 공급 유로(360)를 통해서 외기의 도입량을 견실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좌우 한 쌍의 상부 도리편(208)의 후단부와 본체 지지체(222)를 피복하는 후방부 천장편(276)의 상단 가장자리부(296)를 외측 천장편(274)의 후방 연장부(290)의 후단 가장자리부(292) 상에 서로 겹치는 상태로 배치하고, 그 서로 겹치는 부에 형성되는 간극(298)으로부터 외기를 흡입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흡입된 외기(W1)가 본체 지지체(222)와 후방부 천장편(276) 사이에 형성되는 다목적 공간(348)을 통해서 각 상부 도리편(208)의 후단부에 개구된 외기 도입구(354)에 도입되도록 하고 있다. 그 때문에 빗물이나 고압 세정수 등이 간극(298)으로부터 침입했다고 하더라도 빗물이나 고압 세정수 등은 다목적 공간(348)의 종단부측인 후방부 천장편(276)의 전단 가장자리부(294)에 형성한 배출 구멍을 통해서 기외로 배출되어 외기 도입구(354)로부터 외기 공급 유로(360) 내에 침입할 일은 없다.
종래 일본 특허공개 2014-111456호 공보(특히 도 9 및 도 10)에는 트랙터의 운전부를 피복하는 캐빈의 천장부의 후방부에 에어컨 본체와, 에어컨 본체에 외기를 공급하는 외기 공급 유로와, 외기 공급 유로에 외기를 도입하는 외기 도입구를 구비한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외기 공급 유로는 천장부의 중도부에 편평형상의 공간으로서 형성되어서 이 편평형상의 공간이 에어컨 본체와 개폐구를 통해 연통되는 한편, 천장부의 좌측 후방부가 편평형상의 공간과 연통하는 중공형상으로 형성되고, 천장부의 좌측 후방부에 외기를 도입하기 위한 외기 도입구가 형성되어 있다. 외기 도입구에는 외기 중의 진애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가 장착 구비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는 외기 도입구와 편평형상의 공간으로서 형성된 외기 도입구가 근접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외기 도입구로부터 외기 공급 유로를 통해서 에어컨 본체에 공급되는 유로가 단척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외기 도입구에 필터가 장착 구비되어 있지만 필터에 진애가 제거되는 일 없이 외기 중에 진애가 포함된 채 에어컨 본체에 공급되어서 외기 중의 진애가 에어컨 본체에 설치된 송풍 팬(시로코 팬)의 막힘의 원인이 되어 그 송풍 기능이 저감된다는 문제가 있다.
이 점 상기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외기에 포함된 진애가 공급 도중에 외기 공급 유로 내에 낙하되어서 에어컨 본체에 진애가 유입하지 않도록 구성한 작업차를 제공할 수 있다.
[에어컨 본체로부터의 냉·난기 방출 구조의 설명]
에어컨 본체(310)로부터의 냉·난기 방출 구조에 대해서 도 8~도 1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즉, 에어컨 본체 배치부(270)에 배치한 에어컨 본체(310)는 본체 케이스(320)와, 본체 케이스(320) 내에 냉기를 생성하는 이배퍼레이터(312)와, 본체 케이스(320) 내에 난기를 생성하는 히터 코어(316)와, 본체 케이스(320) 내에 공급 외기(W4) 또는 공급 내기(W6)를 흡인함과 아울러, 이배퍼레이터(312) 및 히터 코어(316)에 송풍하는 송풍 팬(318)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에어컨 본체(310)에서는 공급된 외기(W4) 또는 내기(W6)를 난·냉기로 해서 송풍하도록 하고 있다. 덕트 배치부(280)에는 에어컨 본체(310)에서 생성된 난·냉기를 소망의 위치까지 반송하는 복수개(본 실시형태에서는 4개)의 송기 덕트인 난기 덕트(480)와 냉기 덕트(482)를 배치하고 있다.
본체 케이스(320)에는 복수의 난·냉기 덕트(480, 482)의 기단 개구부(484, 486)를 연통 연결하고 있다. 일방의 기단 개구부(484)는 히터 코어(316)에 근접시켜서 배치하여 난기를 도입 가능하게 하고, 타방의 기단 개구부(486)는 이배퍼레이터(312)에 근접시켜서 배치하여 냉기를 도입 가능하게 하고 있다.
난기를 공급하는 송기 덕트인 난기 덕트(480)는 천장부(250) 내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연신시켜서 형성하고, 캐빈(C)의 전방 창부(252)의 근방에 선단 개구부(488)를 배치하고, 선단 개구부(488)로부터 전방 창부(252)를 향해서 난기를 송풍 가능하게 하고 있다. 한편, 냉기를 공급하는 송기 덕트인 냉기 덕트(482)는 천장부(250) 내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으로 연신시켜서 형성하고, 천장부(250)의 중도부에 선단 개구부(490)를 배치하고, 선단 개구부(490)로부터 캐빈(C) 내의 운전부(20)에 착좌한 오퍼레이터를 향해서 냉기를 송풍 가능하게 하고 있다.
후방 반송부(374)의 좌우 측방에는 각각 한 쌍의 난기 덕트(480)와 한 쌍의 냉기 덕트(482)를 병렬형상으로 배치하고 있다. 한 쌍의 난기 덕트(480)는 후방 반송부(374)에 근접시켜서 배치함과 아울러, 분기 도입부(372)의 직하방을 입체 교차상으로 배치하고, 캐빈(C) 전방 창부(252)의 근방에 선단 개구부(488)를 배치하고 있다. 한 쌍의 냉기 덕트(482)는 각 상부 도리편(208)에 근접시켜서 배치함과 아울러, 분기 도입부(372)의 직후방이며 또한 근방에 선단 개구부(490)를 배치하고 있다.
복수의 송기 덕트, 즉 일측방에 인접시켜서 배치한 난기 덕트(480)와 냉기 덕트(482)의 기단 개구부(484, 486)는 서로 근접시켜서 배치하고, 이들 기단 개구부(484, 486)의 근방에 송입량 조정체(492)를 요동 조정 가능하게 배치함과 아울러, 송입량 조정체(492)에 의해 난기와 냉기의 송입량을 상반적으로 조정하도록 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좌우 한 쌍의 2개의 난기 덕트(480)는 전후 방향으로 연신하는 통형상으로 형성하고, 전방 창부(252)의 근방에 난기를 공급하도록 하고 있고, 또한 좌우 한 쌍의 2개의 냉기 덕트(482)는 전후 방향으로 연신하는 통형상으로 형성하고, 운전부(20)에 착좌하고 있는 오퍼레이터측에 냉기를 공급하도록 하고, 이들 4개의 덕트(480, 482)는 좌우 선대칭으로 배치하고 있다.
난기 덕트(480)는 냉기 덕트(482)의 내측면에 근접시키고, 또한 따르게 해서 후방 반송부(374)의 외측방에 배치하고, 그 선단부를 전방 창부(252)의 바로 앞까지 연신시키고 있다. 난기 덕트(480)의 선단부는 전방 창부(252)를 따르게 해서 내방으로 굴곡시켜서 형성하고, 선단부에는 선단 개구부(488)를 형성하고 있다. 선단 개구부(488)에는 내측 천장편(272)의 전단부로부터 캐빈(C) 내에 노출시켜서 설치한 전방 창측 분출구부(487)를 접속하고, 전방 창측 분출구부(487)로부터 전방 창부(252)의 내면을 따르게 해 난기를 하방을 향해서 분출 가능하게 하고 있다. 즉, 전방 창측 분출구부(487)는 디프로스터로서 기능 가능하게 하고 있다. 난기 덕트(480)의 전방부에는 내측 천장편(272)의 전방부로부터 캐빈(C) 내에 노출시켜서 설치한 전방부 분출구부(489)를 접속하고, 전방부 분출구부(489)로부터 캐빈(C)의 전방부로부터 하방을 향해서 분출 가능하게 하고 있다.
냉기 덕트(482)는 상부 도리편(208)의 내측면에 근접시키고, 또한 따르게 해서 배치하고, 그 선단부를 분기 도입부(372)의 바로 앞까지 연신시키고 있다. 냉기 덕트(482)의 선단부에는 선단 개구부(490)를 형성하고 있고, 선단 개구부(490)에는 내측 천장편(272)의 측가장자리 중도부로부터 캐빈(C) 내에 노출시켜서 설치한 오퍼레이터측 분출구부(491)를 접속하고, 오퍼레이터측 분출구부(491)로부터 운전부(20)에 착좌하고 있는 오퍼레이터를 향해서 냉기를 분출 가능하게 하고 있다.
캐빈(C) 내의 좌측부와 우측부에 각각 배치하고 있는 냉기 덕트(482)의 기단부에는 내측 전방을 향해서 개구하는 기단 개구부(486)를 형성하고 있다. 기단 개구부(486)는 에어컨 본체(310)의 본체 케이스(320)의 측벽 전방부에 측방으로부터 접속하고 있다. 또한, 냉기 덕트(482)에 인접시켜서 배치하고 있는 난기 덕트(480)의 기단부에는 후방을 향해서 개구하는 기단 개구부(484)를 형성하고 있다. 기단 개구부(484)는 에어컨 본체(310)의 본체 케이스(320)의 전방벽측부에 전방으로부터 접속하고 있다. 난기 덕트(480)의 기단 개구부(484)와 냉기 덕트(482)의 기단 개구부(486)는 동형 동대로 형성하고, 어느 한쪽의 기단 개구부(484, 486)를 단일 송입량 조정체(492)에 의해 폐색 가능하게 하고 있다.
본체 케이스(320) 내에 있어서의 난기 덕트(480)의 기단 개구부(484)와 냉기 덕트(482)의 기단 개구부(486)가 최근접하는 외측부 사이에는 상하 방향으로 축선을 향한 조정체 지지축(494)을 그 축선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하고 있다. 조정체 지지축(494)에는 사각형 판형상으로 형성한 송입량 조정체(492)의 기단 가장자리부를 부착하고 있다. 그리고 송입량 조정체(492)는 조정체 지지축(494)을 중심으로 하여 난기 덕트(480)의 기단 개구부(484)를 폐색하는 폐색 위치와, 냉기 덕트(482)의 기단 개구부(486)를 폐색하는 폐색 위치 사이에서 요동 조정 가능하게 하여 송입량 조정체(492)의 요동 조정 자세에 의해 각 기단 개구부(484, 486)로의 난기와 냉기의 송입량을 상반적으로 조정하도록 하고 있다.
즉, 송입량 조정체(492)가 난기 덕트(480)의 기단 개구부(484)를 폐색(개방)하면 냉기 덕트(482)의 기단 개구부(486)는 개방(폐색)되어서, 개방된 기단 개구부[486(484)]에만 난기 또는 냉기가 송입된다. 송입량 조정체(492)가 난기 덕트(480)의 기단 개구부(484)를 작게 개방(크게 개방)하면 냉기 덕트(482)의 기단 개구부(486)는 크게 개방(작게 개방)되어서, 크게 개방된 기단 개구부[486(484)]에는 대량인 난기 또는 냉기가 송입되는 한편, 작게 개방된 기단 개구부[484(486)]에는 소량의 난기 또는 냉기가 송입된다. 송입량 조정체(492)가 난기 덕트(480)의 기단 개구부(484)와 냉기 덕트(482)의 기단 개구부(486) 한가운데에 배치되면 각 기단 개구부(484, 486)에는 동량의 난기 또는 냉기가 송입된다.
상기한 조정체 지지축(494)과 송입량 조정체(492)는 본체 케이스(320) 내의 좌우측 전단부에 좌우 한 쌍 설치하고 있고, 양 조정체 지지축(494) 간에는 본체 케이스(320)의 직상방에 있어서의 조정체 구동 기구부(500)를 개재하여 설치하고 있다.
조정체 구동 기구부(500)는 본체 케이스(320) 상에 재치한 편심 캠 구동 모터(502)와, 편심 캠 구동 모터(502)에 회전 구동되는 이형 원판형상의 편심 캠 편(504)과, 편심 캠 편(504)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편심 캠 홈(506)을 통해 연결된 좌우 요동 기구(508)와, 좌우 요동 기구(508)의 좌우 요동 동작에 연동해서 좌우 방향으로 압인 동작되는 좌우 한 쌍의 압인 로드(510)와, 양 압인 로드(510)의 압인 동작에 연동해서 전후 요동 동작되는 좌우 한 쌍의 전후 요동 암(512)을 구비하고 있고, 각 전후 요동 암(512)의 기단부는 조정체 지지축(494)의 상단부에 부착하고 있다.
편심 캠 구동 모터(502)는 구동축(503)을 상방을 향해서 돌출시키고 있다. 구동축(503)의 상단부에는 이형 원판형상의 편심 캠 편(504)을 편심시켜서 부착하고, 편심 캠 편(504)이 수평으로 회전 구동되도록 하고 있다. 이형 원판형상의 편심 캠 편(504)의 상면에는 그 둘레 가장자리부를 따라 상방이 개구된 무단형상의 편심 캠 홈(506)을 형성하고 있다.
좌우 요동 기구(508)는 편심 캠 편(504)의 좌측방에 제 1 레버(514)를 배치함과 아울러, 또한 그 좌측방에 제 2 레버(516)를 배치하는 한편, 편심 캠 편(504)의 우측방에 제 3 레버(518)를 배치하고 있다. 제 1 레버(514)는 편심 캠 홈(506)에 일단을 결합하고, 편심 캠 편(504)의 회전 동작에 연동해서 타단이 좌우 요동 동작한다. 제 2 레버(516)는 제 1 레버(514)의 타단에 일단을 연결하고, 제 1 레버(514)의 타단의 좌우 요동 동작에 연동해서 타단이 상반적으로 좌우 요동 동작한다. 제 3 레버(518)는 편심 캠 홈(506)에 일단을 결합하고, 편심 캠 편(504)의 회전 동작에 연동해서 타단이 좌우 요동 동작한다. 즉, 제 2 레버(516)의 타단과 제 3 레버(518)의 타단은 상반적으로 좌우 요동 동작한다.
좌우 한 쌍의 압인 로드(510)는 좌우 방향으로 직선형상으로 연신시켜서 형성하고 있다. 좌측의 압인 로드(510)는 제 2 레버(516)의 타단에 내측단을 연결하는 한편, 좌측의 전후 요동 암(512)의 선단에 외측단을 연결하고 있다. 우측의 압인 로드(510)는 제 3 레버(518)의 타단에 내측단을 연결하는 한편, 우측의 전후 요동 암(512)의 선단에 외측단을 연결하고 있다.
따라서, 편심 캠 편(504)의 회전 동작에 조정체 구동 기구부(500)를 통해 좌우 한 쌍의 송입량 조정체(492)가 연동해서 요동된다. 그때, 좌우 한 쌍의 송입량 조정체(492)는 좌우 선대칭에 요동 동작된다.
조정체 구동 기구부(500)의 배후에는 송기 유로 변경 수단(520)을 배치하고 있다. 즉, 송기 유로 변경 수단(520)은 좌우 한 쌍의 송기 유로 변경체(522)와 양 송기 유로 변경체(522)를 좌우 선대칭으로 요동 동작시키는 변경체 구동 기구부(524)를 구비하고 있다.
좌우 한 쌍의 송기 유로 변경체(522)는 각각 사각형 판형상으로 형성하고, 히터 코어(316)의 좌우 측방에 각각 형성한 송기 유로(526)에 기립형상로 배치하고 있다. 기립형상로 배치하고 있는 송기 유로 변경체(522)의 중앙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축선을 향한 변경체 지지축(528)을 설치하고, 본체 케이스(320)에 변경체 지지축(528)을 그 축선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축가(軸架)하고 있다. 그리고 송기 유로 변경체(522)는 그 면을 전후 방향을 향해서 송기 유로(526)를 폐색하는 폐색 자세와 외측부가 전방에 위치함과 아울러, 내측부가 후방에 위치한 경사 상태에서 송기 유로(526)를 개방하는 경사 개방 자세로 자세 변경 가능하게 하고 있다. 523은 난기(W8)와 냉기(W9)를 전후 방향으로 분류하는 사각형 판형상의 분류체이며, 분류체(523)는 송기 유로 변경체(522)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좌측의 송기 유로(526)에 있어서 하부 케이스 형성편(334) 상에 세워서 설치하고 있다.
변경체 구동 기구부(524)는 암 구동 모터(530)와, 암 구동 모터(530)로부터 상방으로 돌출시킨 구동축(532)의 상단부에 기단부를 부착한 좌우 요동 구동 암(534)과, 좌우 요동 구동 암(534)의 좌우 요동 동작에 연동해서 좌우 한 쌍의 송기 유로 변경체(522)의 자세를 변경 동작하는 연동 기구(536)를 구비하고 있다.
연동 기구(536)는 본체 케이스(320)의 직상방에게 배치하고 있고, 본체 케이스(320)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우측의 변경체 지지축(528)의 상단부에 제 1 연동 레버(538)의 기단부와 제 2 연동 레버(540)의 기단부를 서로 연결 설치해서 동축적으로 부착하고 있다. 제 1 연동 레버(538)의 선단부는 좌우 요동 구동 암(534)의 선단부와 피봇팅 연결하고 있다. 본체 케이스(320)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좌측의 변경체 지지축(528)의 상단부에는 제 3 연동 레버(542)의 기단부를 부착하고 있다. 제 3 연동 레버(542)의 선단부와 제 2 연동 레버(540)의 선단부 사이에는 좌우 방향으로 연신하는 연결 로드(544)를 개재하여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암 구동 모터(530)에 의해 좌우 요동 구동 암(534)이 좌우 요동되면 연동 기구(536)를 통해 좌우 한 쌍의 송기 유로 변경체(522)가 좌우 선대칭으로 자세 변경되어서 송기 유로(526)의 유로폭이 변경되도록 하고 있다. 즉, 송기 유로 변경체(522)를 송기 유로(526)가 폐색되는 폐색 자세로 하면 송풍 팬(318)으로부터의 송풍은 전부가 이배퍼레이터(312)를 통과해서 히터 코어(316)를 통과하고, 좌우측의 난·냉기 덕트(482)측으로 유동 안내된다.
이때, 이배퍼레이터(312)에 의해 냉기가 생성되는 한편, 히터 코어(316)에 의한 난기의 생성이 정지되어 있을 경우에는 냉기만이 좌우측의 난·냉기 덕트(480, 482)측으로 유동 안내된다. 즉, 난기 덕트(480)로부터도 냉기가 공급된다. 반대로 이배퍼레이터(312)에 의한 냉기의 생성이 정지되는 한편, 히터 코어(316)에 의해 난기가 생성될 경우에는 난기만이 좌우측의 난·냉기 덕트(480, 482)측으로 유동 안내된다. 즉, 냉기 덕트(482)로부터도 난기가 공급된다.
송기 유로 변경체(522)를 송기 유로(526)가 개방되는 경사 개방 자세로 하면,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송풍 팬(318)으로부터의 송풍(W7)은 일부가 이배퍼레이터(312)를 통과해서 히터 코어(316)를 통과하고, 좌우측의 난·냉기 덕트(482)측으로 유동 안내됨과 아울러, 잔부가 이배퍼레이터(312)를 통과해서 바로 좌우측의 난·냉기 덕트(482)측으로 유동 안내된다.
이때, 이배퍼레이터(312)에 의해 냉기(W9)가 생성되는 한편, 히터 코어(316)에 의해 난기(W8)가 생성될 경우에는 일부의 송풍이 이배퍼레이터(312)를 통과해서 냉기(W9)가 되고, 그 냉기(W9)가 히터 코어(316)를 통과해서 난기화되어서 그 난기(W8)가 난기 덕트(480)의 기단 개구부(484)에 안내된다.
그리고 난기(W8)는 난기 덕트(480)를 통해서 전방 창측 취출구부(487)와 전방부 취출구부(489)로부터 캐빈(C) 내의 전방부로 방출된다. 또한, 잔부의 송풍은 이배퍼레이터(312)를 통과해서 냉기(W9)가 되고, 그 냉기가 곧 냉기 덕트(482)의 기단 개구부(486)에 안내된다. 그리고 냉기(W9)는 냉기 덕트(482)를 통해서 오퍼레이터측 분출구부(491)로부터 오퍼레이터를 향해서 캐빈(C) 내로 방출된다.
이 경우에는 미리 송입량 조정체(492)는 송기 유로 변경체(522)의 자세 변경 동작과 동기해서 난기 덕트(480)의 기단 개구부(484)와 냉기 덕트(482)의 기단 개구부(486)의 양쪽이 개구된 상태로 조정되도록 하고 있다.
캐빈(C) 내의 우측 상부에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부(670)를 설치하고 있다. 조작부(670)에는 에어컨 장치(300)를 시동·정지시키는 시동·정지 스위치(672)와, 외기 순환 유로와 내기 순환 유로를 스위칭하는 유로 스위칭 스위치(674)와, 에어컨 제어 시간을 설정하는 제어 시간 설정 볼륨 스위치(676)와, 송기 패턴을 설정하는 송기 패턴 설정 볼륨 스위치(678)와, 캐빈(C) 내의 온도를 설정하는 온도 설정 볼륨 스위치(680)를 배치하고 있다.
조작부(670)에 배치한 각종 스위치나 온도 센서(350)는 컴퓨터 기능을 갖는 제어부(도시하지 않음)의 입력측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한편, 제어부의 출력측에는 익스팬션 밸브(314)나 히터 코어(316)에 열수를 공급·정지하는 밸브 등의 구동부, 캠 구동 모터(422) 및 편심 캠 구동 모터(502) 등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다. 그리고 조작부(670)의 각종 스위치를 적당히 조작함으로써 제어부를 통해 에어컨 장치(300)의 작동을 적절하게 제어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냉·난기 방출 구조에서는 본체 케이스(320)에 복수의 송기 덕트(난기 덕트(480)와 냉기 덕트(482))의 기단 개구부(484, 486)를 연통 연결함과 아울러, 일방의 난기 덕트(480)의 기단 개구부(484)는 히터 코어(316)에 근접시켜서 배치해서 난기를 도입 가능하게 하는 한편, 타방의 냉기 덕트(482)의 기단 개구부(486)는 이배퍼레이터(312)에 근접시켜서 배치해서 냉기를 도입 가능하게 하고 있기 때문에 난기와 냉기가 각각 별도에 송기 되는 송기 덕트를 배치할 수 있고, 각 송기 덕트를 통과해서 캐빈(C) 내의 소망의 위치로부터 난기 또는 냉기를 송풍할 수 있다.
그리고 난기는 전방 창부(252)를 향해서 송풍 가능하게 하고 있기 때문에 이 난기를 디프로스터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또한, 냉기는 캐빈(C) 내의 운전부(20)에 착좌한 오퍼레이터를 향해서 송풍 가능하게 하고 있기 때문에 온난화된 캐빈(C) 내에서 오퍼레이터가 작업 중에 현기증이 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캐빈(C) 내를 두한 족열이라는 쾌적한 작업 환경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난기를 공급하는 한 쌍의 송기 덕트인 난기 덕트(480)가 후방 반송부(374)에 근접시켜서 배치함과 아울러, 분기 도입부(372)의 직하방에 입체 교차상으로 배치되고, 캐빈(C)의 전방 창부(252)의 근방에 선단 개구부(488)가 배치되어 냉기를 공급하는 한 쌍의 송기 덕트인 냉기 덕트(482)가 각 상부 도리편(208)에 근접시켜서 배치함과 아울러, 분기 도입부(372)의 근방에 선단 개구부(490)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천장부(250) 내에 급기 덕트(370)와 송기 덕트를 콤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천장부(250)를 중공 편평판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고, 차고가 높아지는 것을 억제한 채 캐빈 내의 거주 공간을 크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송입량 조정체(492)에 의해 난기와 냉기의 송입량은 상반적으로 조정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난기와 냉기의 송입량을 간단하게 조정할 수 있다.
[측창부의 개폐 피봇팅 구조의 설명]
측창부(258)의 개폐 피봇팅 구조에 대해서 도 18~도 2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측창부(258)는 좌우 한 쌍의 중도부 지주편(204)과, 후방부 지주편(206)과, 상부 도리편(208)과, 하부 도리편(210)에 의해 프레임형상으로 형성되는 좌우측면부에 각각 개폐 가능하게 피봇팅하고, 좌우측에 한 쌍 길게 설치하고 있다. 좌우 한 쌍의 측창부(258)의 개폐 피봇팅 구조는 동일 구조로 하고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좌측의 측창부(258)의 개폐 피봇팅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즉, 측창부(258)는 캐빈 프레임(200)의 일부를 형성하는 후방부 지주편(206)에 상하 한 쌍의 피봇팅체(550)를 통해 후단 가장자리부가 부착되어서 전단측이 외측방으로 개폐 가능하게 되어 있다. 후방부 지주편(206)은 상하 방향으로 직선형상으로 연신하는 통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외측면부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상부 단차가 형성된 오목형상부(552)와 하부 단차가 형성된 오목형상부(554)를 형성하고 있다. 각 피봇팅체(550)는 전후 방향으로 직사각형상의 세장(細長)판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상·하부 단차가 형성된 오목형상부(552, 554) 내에는 각 피봇팅체(550)의 기단부(556)를 각각 수용 상태로 배치하는 한편, 측창부(258)의 후단 가장자리부의 상하부 위치에 각 피봇팅체(550)의 선단부(558)를 부착용 볼트(551)에 의해 부착하고, 양 피봇팅체(550)를 통해 측창부(258)를 개폐 가능하게 피봇팅하고 있다. 259는 측창부(258)의 내면 전방부에 부착한 측창부 개폐 손잡이이며, 측창부 개폐 손잡이(259)를 통해 측창부(258)를 캐빈(C)의 내방으로부터 개폐 조작 가능하게 하고 있다.
상부의 피봇팅체(550)의 기단부(556)에는 피봇팅체(550)를 복수 단계의 개방 각도에 있어서의 임시 고정하는 임시 고정 수단(560)을 설치하고, 임시 고정 수단(560)을 설치한 피봇팅체(550)를 통하여 측창부(258)를 복수 단계(본 실시형태에서는 2단계)의 개방 각도로 임시 고정해서 개방 가능하게 하고 있다.
즉, 임시 고정 수단(560)은 상부 단차가 형성된 오목형상부(552) 내에 부착 브래킷(562)을 통해 수용 상태로 배치하고 있다. 임시 고정 수단(560)은 상하 방향으로 축선을 향한 원통형상으로 형성함과 아울러, 그 상단면부에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3개)의 결합 오목부(564, 566, 568)를 형성한 보스편(570)과, 보스편(570) 중에 관통시킨 피봇축편(572)과, 피봇축편(572)의 상부에 그 반경 방향으로 돌출시키고, 어느 하나의 결합 오목부와 결합하는 핀형상으로 형성한 결합편(574)과, 피봇축편(572)의 하부의 외주면에 권회해서 피봇축편(572)을 하방으로 탄성 바이어싱하는 압박 스프링(576)을 구비하고 있다.
각 결합 오목부는 보스편(570)의 상단면부에 결합편(574)이 감입 가능한 V자상으로 노치해서 형성하고 있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보스편(570)의 둘레 방향으로 연속시켜서 또는 간격을 형성하여 결합 오목부로서의 창부 폐색 위치용 오목부(564)와, 제 1 창부 개방 위치용 오목부(566)와, 제 2 창부 개방 위치용 오목부(568)를 형성하고 있다. 피봇축편(572)의 하단부에는 스프링 받이편(578)을 부착하고, 스프링 받이편(578)에 압박 스프링(576)의 하단을 접촉시키는 한편, 보스편(570)의 하단면에 압박 스프링(576)의 상단을 접촉시키고 있다. 보스편(570)의 둘레면에는 보스편(570)의 축선 방향으로 연신하는 판형상의 연결 돌출편(580)을 돌출시키고, 연결 돌출편(580)을 통해 부착 브래킷(562)에 보스편(570)을 부착 볼트(582)에 의해 부착하고 있다.
그리고 결합편(574)은 압박 스프링(576)에 의해 피봇축편(572)을 통해 각 결합 오목부에 결합하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싱되어 있다. 또한, 결합편(574)은 피봇축편(572)을 그 축선 둘레로 회동시킴으로써 탄성 바이어싱력에 저항해서 다른 결합 오목부에 결합 변경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피봇축편(572)의 상부에는 상부의 피봇팅체(550)를 통해 측창부(258)의 후측 가장자리부의 상부를 부착하고 있다. 그 때문에 측창부(258)를 압박 스프링(576)의 탄성 바이어싱력에 저항해서 피봇축편(572)의 축선 둘레로 회동시켜서 폐색 위치에 배치하면, 창부 폐색 위치용 오목부(564)에 결합편(574)이 압박 스프링(576)에 의해 탄성 바이어싱된 상태로 결합되어 측창부(258)가 폐색 위치로 유지된다.
또한, 측창부(258)를 압박 스프링(576)의 탄성 바이어싱력에 저항해서 피봇축편(572)의 축선 둘레로 개방 방향으로 약간 회동시켜서 제 1 창부 개방 위치에 배치하면 제 1 창부 개방 위치용 오목부(566)에 결합편(574)이 탄성 바이어싱된 상태로 결합되어 측창부(258)가 제 1 창부 개방 위치에 유지된다.
또한, 측창부(258)를 압박 스프링(576)의 탄성 바이어싱력에 저항해서 피봇축편(572)의 축선 둘레로 개방 방향에 따라 크게 회동시켜서 제 2 창부 개방 위치에 배치하면, 제 2 창부 개방 위치용 오목부(568)에 결합편(574)이 압박 스프링(576)에 의해 탄성 바이어싱된 상태로 결합되어 측창부(258)가 제 2 창부 개방 위치로 유지된다. 반대로 제 2 창부 개방 위치용 오목부(568)→제 1 창부 개방 위치용 오목부(566)→창부 폐색 위치용 오목부(564)에 적당히 결합편(574)을 결합시킴으로써 측창부(258)를 소망의 개폐 위치로 유지시킬 수 있다.
하부의 피봇팅체(550)의 기단부(556)는 하부 단차가 형성된 오목형상부(554) 내에 배치한 창 피봇팅부(584)에 피봇팅 연결되어 있다. 창 피봇팅부(584)는 하부 단차가 형성된 오목형상부(554) 내에 수용 상태로 고정 설치한 축지지편(586)에 축편(588)을 그 축선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가설해서 형성하고 있다. 축편(588)에는 하부의 피봇팅체(550)의 기단부(556)를 부착하고 있다. 그리고 측창부(258)는 하부의 피봇팅체(550)를 통해 창 피봇팅부(584)에 피봇팅 연결되어 있다. 여기에서 축편(588)은 임시 고정 수단(560)의 피봇축편(572)과 동축적으로 배치하고, 상·하부의 피봇팅체(550)를 통해 측창부(258)를 개폐 가능하게 피봇팅하고 있다.
상부 단차가 형성된 오목형상부(552) 내에 배치한 임시 고정 수단(560)의 피봇축편(572)에 부착하는 상부의 피봇팅체(550)와, 하부 단차가 형성된 오목형상부(554) 내에 배치한 창 피봇팅부(584)의 축편(588)에 부착하는 하부의 피봇팅체(550)는 각각 후반부를 내방으로 절곡시켜서 형성하고, 양 후반부가 후술하는 지주편 커버체(590)에 의해 피복되도록 하고 있다.
후방부 지주편(206)의 외측면부는 지주편 커버체(590)에 의해 피복함과 아울러, 지주편 커버체(590)의 외측면은 폐색 상태의 측창부(258)의 외측면과 대략 면일하게 형성하고 있다. 즉, 지주편 커버체(590)는 전방부 커버편(592)과 후방부 커버편(594)에 2분할해서 형성하고 있다. 전방부 커버편(592)은 상부 도리편(208)의 하면으로부터 하부 도리편(210)의 상면에 걸쳐 상하 방향으로 연신시켜서 형성하고 있고, 전후 방향으로 면을 향해서 배치되는 앞면편(596)과 앞면편(596)의 좌측단 가장자리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시켜서 배치되는 측면편(598)으로 단면 평면 L자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전방부 커버편(592)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간섭 회피 구(600)를 형성하고, 각 간섭 회피구(600)를 통해 각 피봇팅체(550)와 전방부 커버편(592)이 간섭하는 것을 회피하고 있다.
후방부 커버편(594)은 상부 도리편(208)의 하면으로부터 펜더(29)의 상면에 걸쳐 상하 방향으로 연신시켜서 형성하고 있고, 측면편(598)과 면일형상으로 배치되는 외측면편(602)과, 외측면편(602)의 후단 가장자리부로부터 내측 후방을 향해서 연장시켜서 배치되는 후면편(604)과, 후면편(604)의 내측단 가장자리부로부터 후방부 지주편(206)의 후면부를 향해서 연장시켜서 배치되는 내측면편(606)으로부터 단면평면 대략 コ자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후방부 지주편(206)에는 전방부 커버편(592)의 앞면편(596)과 연결하는 앞면편 연결 브래킷(608)과, 후방부 커버편(594)의 외측면편(602)의 전단 가장자리부로부터 전방을 향해서 돌출시킨 연결용 돌출편(610)를 연결하는 외측면편 연결 브래킷(612)과, 후방부 커버편(594)의 내측면편(606)과 연결하는 내측면편 연결 브래킷(614)을 돌출시키고 있다. 전방부 커버편(592)의 측면편(598)의 후단 가장자리부와 후방부 커버편(594)의 외측면편(602)의 전단 가장자리부는 인롱(印籠) 감합시켜 접속 가능하게 하고 있다. 후방부 커버편(594)의 상단부와 후방부 천장편(276)의 좌측부 사이에는 외기 도입구(354)를 직후방으로부터 피복하는 도리편 커버체(616)를 착탈 가능하게 개재하여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도리편 커버체(616)만을 적당히 분리함으로써 외기 도입구(354)에 필터 케이스(356)를 통해 부착한 외기 필터(355)의 유지보수 등을 편안히 행할 수 있다.
지주편 커버체(590)의 내부에는 콤비네이션 램프(620)를 설치하고, 콤비네이션 램프(620)에 의해 후방을 향해서 표시하는 복수의 램프 표시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콤비네이션 램프(620)는 브레이크 램프·윙커 램프·백 램프·테일 램프 등의 복수의 램프류를 일체로 한 램프이며, 발광 다이오드(LED) 등의 발광체(도시하지 않음)와 지주편 커버체(590)의 중도부를 형성하는 투광성 창(622)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투광성 창(622)을 통해서 발광체가 발하는 광을 후방으로 조사하고, 소망의 램프 표시를 적당히 선택 표시 가능하게 하고 있다.
후방부 지주편(206)의 외면부와 지주편 커버체(590)의 내면부 사이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신하는 배치 공간(624)을 형성하고 있다. 배치 공간(624) 내에는 유체 반송용의 배관이나 전류 반송용의 배선을 수용 가능하게 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배치 공간(624) 내에 본체 케이스(320)에 기단부를 접속한 제 1 드레인 호스(626)를 배관하고 있다. 제 1 드레인 호스(626)는 중도부를 배치 공간(624) 내에서 하방으로 연장하고, 선단부를 펜더(29)의 내측면을 따르게 해서 기외로 개구시키고 있다.
또한, 배치 공간(624) 내에는 발광체에 전류를 반송하는 전선을 배선하고 있다.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좌측의 후방부 지주편(206) 중에는 히터 코어(316)에 접속한 온수 배관(324)을 형성하는 토출측 온수관(326)과 리턴측 온수관(328)을 배관함과 아울러, 제 2 드레인 호스(627)를 배관하고 있다. 제 2 드레인 호스(627)는 중도부를 후방부 지주편(206) 중에서 하방으로 연장하고, 선단부를 하부 도리편 후방부(214)의 외측면을 따르게 해서 하부 도리편 전방부(212)의 후방부로부터 하방을 향해서 기외로 개구시키고 있다. 또한, 우측의 배치 공간(624) 내에는 제 1 드레인 호스(626)와 와셔 파이프(도시하지 않음)를 배관하고 있다.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우측의 후방부 지주편(206) 중에는 냉매 배관(322)과 제 2 드레인 호스(627)를 배관하고 있다.
캐빈 프레임(200)의 좌우측 후방부를 형성하는 각 후방부 프레임(628)은 전후 방향으로 연신하는 상부 도리편(208)의 후방부 외측반부(630)와, 상방으로 볼록형상으로 만곡하는 하부 도리편 후방부(214)와, 상하 방향으로 연신하는 중도부 지주편(204)과, 상하 방향으로 연신하는 후방부 지주편(206)을 측면으로부터 볼 때 우물형상으로 일체 성형하고 있다. 632는 상부 도리편(208)의 내측반부, 634는 외기 도입로(362)의 종단을 형성하는 종단 형성벽이다.
중도부 지주편(204)에는 도어 피봇팅체(648)를 통해 승강 도어부(256)를 개폐 가능하게 부착하고 있다. 상방으로 볼록상의 만곡형상으로 형성되는 하부 도리편 전방부(212)의 후단부와 하부 도리편 후방부(214)의 전단부는 전후 방향으로부터 인롱 감합하고, 이 인롱 감합부의 위치에 승강 도어부(256)에 기단부를 부착한 개폐 지원 수단(640)의 선단부를 부착하고, 개폐 지원 수단(640)에 의해 승강 도어부(256)의 개폐를 지원하도록 하고 있다.
승강 도어부(256)는 상하 한 쌍의 도어 피봇팅부(642)를 통해 중도부 지주편(204)에 개폐 가능하게 부착하고 있다. 도어 피봇팅부(642)는 승강 도어부(256)의 내측면 후방 가장자리부에 부착한 문측 연결체(644)와, 중도부 지주편(204)에 돌출시킨 지주편측 피봇팅 연결체(646)와, 양 연결체(644, 646) 사이에 개재하여 설치한 도어 피봇팅체(648)로 형성하고 있다.
도어 피봇팅체(648)는 도어측 연결체(644)에 선단부(전단부)를 연결함과 아울러, 지주편측 피봇팅 연결체(646)에 기단부(후단부)를 상하 방향의 축선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피봇팅 연결하고 있다. 하부의 도어측 연결체(644)는 승강 도어부(256)에 면접촉하는 판형상의 면접편(650)과 면접편(650) 하단 가장자리부로부터 내방으로 돌출시킨 후방부 돌출편(652)으로 형성하고 있다.
면접편(650)의 내면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신시켜서 형성한 승강 도어 개폐 손잡이(654)의 후단부를 부착하고 있다. 후방부 돌출편(652)의 하면에는 개폐 지원 수단(640)의 기단부(658)를 부착하고 있다. 하부 도리편(210)의 후방부의 전단부에는 내측방을 향해서 전방부 돌출편(656)를 연장시켜서 일체 성형하고, 전방부 돌출편(656)에 개폐 지원 수단(640)의 선단부(660)을 부착하고 있다. 개폐 지원 수단(640)으로서는, 예를 들면 전후 방향으로 연신시켜서 형성한 가스 스프링을 채용할 수 있다. 그리고 가스 스프링은 승강 도어부(256)를 개폐시켰을 때에 신축 작동하고, 승강 도어부(256)의 개폐 저항을 경감화, 즉 개폐 지원하도록 하고 있다.
이렇게 구성한 측창부(258)의 개폐 피봇팅 구조에서는 후방부 지주편(206)의 외측면부에 상부 단차가 형성된 오목형상부(552)와 하부 단차가 형성된 오목형상부(554)를 형성하고, 각 단차가 형성된 오목형상부(552, 554) 내에 각각 피봇팅체(550)의 기단부(556)를 배치하는 한편, 측창부(258)의 후단 가장자리부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피봇팅체(550)의 선단부(558)를 부착하고, 피봇팅체(550)를 통하여 측창부(258)를 개폐 가능하게 하고, 후방부 지주편(206)의 외측면부는 지주편 커버체(590)에 의해 피복함과 아울러, 지주편 커버체(590)의 외측면은 폐색 상태의 측창부(258)의 외측면과 대략 면일하게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외관상 캐빈(C) 특히 후방부 지주편(206)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후방부 지주편(206)에 측창부(258)를 크게 개방 가능하게 피봇팅할 수 있다.
그리고 측창부(258)는 임시 고정 수단(560)을 설치한 피봇팅체(550)를 통해 복수 단계(본 실시형태에서는 2단계)의 개방 각도로 개방 가능하게 하고 있기 때문에 오퍼레이터의 기호에 의해 측창부(258)를 소망의 개방 각도로 단계적으로 개방할 수 있다.
또한, 콤비네이션 램프(620)를 설치하고, 콤비네이션 램프(620)에 의해 후방을 향해서 표시하는 복수의 램프 표시를 가능하게 하고 있기 때문에 캐빈(C)의 후방부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지주편 커버체(590)의 배후로부터 시인하기 쉬운 높이 위치에 콤비네이션 램프(620)를 설치함으로써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후방부 지주편(206)의 외면부와 지주편 커버체(590)의 내면부 사이에 상하 방향으로 연신해서 형성되는 배치 공간(624) 내에는 유체 반송용의 배관이나 전류 반송용의 배선을 수용 가능하게 하고 있기 때문에 배치 공간(624)을 유효 이용하고, 배관이나 배선을 콤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음과 아울러, 캐빈(C)의 후방부의 외적 미관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캐빈 프레임(200)의 좌우측 후방부를 형성하는 각 후방부 프레임(628)은 측면으로부터 볼 때 우물형상으로 일체 성형하고 있기 때문에 부품수를 삭감해서 제조 비용을 삭감할 수 있음과 아울러, 후방부 프레임체(628)의 강도와 외적 미관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방으로 볼록상인 만곡형상으로 형성되는 하부 도리편 전방부(212)의 후단부와 하부 도리편 후방부(214)의 전단부는 전후 방향으로부터 인롱 감합하고, 이 인롱 감합부의 위치에 승강 도어부(256)에 기단부를 부착한 개폐 지원 수단(640)의 선단부를 접속하고 있기 때문에 이 접속 개소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트랙터의 다른 구성의 설명]
다음에 트랙터(A)의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원동기부의 구성의 설명)
원동기부(11)는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체 프레임(10)의 전방부에 엔진(40) 등을 배치해서 구성하고 있다. 즉, 기체 프레임(10)은 원동기부(11)를 지지하는 기체 프레임(10)의 전방부와 운전부(20)를 지지하는 기체 프레임(10)의 후방부로 형성하고 있다.
기체 프레임(10)의 전방부는 전후 방향으로 연신하는 좌우 한 쌍의 띠형상의 전방부 전후 방향 연신편(10a)을 좌우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형성하여 대면 상태로 배치하고, 양 전방부 전후 방향 연신편(10a)의 전단 간에 좌우 방향으로 횡으로 긴 판 형상으로 형성한 좌우 방향 횡으로 긴 편(10b)을 횡으로 걸쳐서 형성하고 있다.
기체 프레임(10)의 후방부는 전후 방향으로 연신하는 좌우 한 쌍의 띠형상의 후방부 전후 방향 연신편(10c)(도 1 참조)을 좌우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형성하여 대면 상태로 배치하고, 양 후방부 전후 방향 연신편(10c)의 전방부 간에 배면으로부터 볼 때 U자형상으로 형성한 횡가설편(10d)(도 25참조)을 횡으로 걸쳐서 형성하고 있다.
좌우 한 쌍의 전방부 전후 방향 연신편(10a)의 후단부에는 좌우 한 쌍의 후방부 전후 방향 연신편(10c)의 전단부를 외측으로부터 서로 겹치는 상태로 연결해서 일체로 하고, 좌우 한 쌍의 후방부 전후 방향 연신편(10c)의 후단부 간에는 미션 케이스(12)의 전방부를 개재하여 설치한 상태로 연결하고 있다.
주된 구성 부재인 엔진(40)은 그 하부를 좌우 한 쌍의 전방부 전후 방향 연신편(10a)의 후방부 간에 감입시켜서 탑재하고 있다. 엔진(40)의 후단부에는 클러치 하우징(66)을 일체적으로 형성하고 있다. 엔진(40)의 직전방에는 전후 방향으로 축선을 향한 팬 축(41)을 통해 냉각 팬(42)을 연동 연결하고 있다.
좌우 한 쌍의 전방부 전후 방향 연신편(10a)의 전방부 간 상에는 지지판(43)을 가설형상으로 재치하여 설치하여 지지판(43) 상에서 라디에이터(45) 등을 지지하고 있다. 지지판(43)의 전단 가장자리부(44)는 후술하는 보닛(80)의 하단 가장자리 전방부와 조합하는 산형상으로 형성하여 폐색 시의 보닛(80)을 지지하고 있다.
냉각 팬(42)의 직전방에는 라디에이터(45)를 냉각 팬(42)과 대면 상태로 지지판(43)의 후방부 상에 세워서 설치하고 있다. 라디에이터(45)의 직전방에는 먼지나 진애가 라디에이터에 부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라디에이터 스크린(46)을 라디에이터(45)의 전방면이 피복되는 상태로 배치하고 있다. 라디에이터 스크린(46)의 직전방의 상부와 하부에는 오일 쿨러(47)와 연료 쿨러(48)를 배치하고 있다. 이들 쿨러(47, 48)의 직전방에는 에어컨용의 콘덴서(49)를 배치하고 있다. 콘덴서(49)의 직전방의 좌측부와 우측부에는 서브 탱크(50)와 리시버 드라이어(51)를 배치하고 있다. 지지판(43)의 후방부 상에는 라디에이터(45)의 좌우 측방과 상방을 둘러싸도록 정면으로부터 볼 때 문형으로 형성한 문형 지지체(52)를 세워서 설치하고, 문형 지지체(52)에 의해 배관 등을 지지하고 있다.
엔진(40)의 좌측 직상방 위치에는 전후 방향으로 축선을 향한 원통 상자형으로 형성한 디젤·파티큘레이트·필터(이하, 「DPF」로 약칭한다)(53)를 배치하고 있다. PDF(53)의 후단부는 배기관(54)을 통해 엔진(40)의 배기구부와 연통 연결하고 있다. PDF(53)의 전단부에는 테일 파이프(55)의 기단부를 연통 연결하고, 테일 파이프(55)의 선단부를 좌측 하방으로 개구시키고 있다.
엔진(40)의 우측 후방부의 직상방 위치에는 기단측 흡입기관(57)을 통해 엔진(40)의 흡기구부와 연통 연결한 에어클리너(56)를 배치하고 있다. 에어클리너(56)에는 선단측 흡기관(58)을 연통 연결하고 있고, 그 선단부는 문형 지지체(52)의 우측 상부에 고정해서 전방을 향해서 개구시키고 있다. 엔진(40)의 우측 전방부의 직상방 위치에는 에어컨용의 컴프레서(59)를 배치함과 아울러, 컴프레서(59)는 연동 벨트 기구를 통해 팬 축(41)과 연동 연결되어 있다.
(보닛 지지기 프레임의 구성의 설명)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한 원동기부(11)에는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방부 강도 멤버로서의 보닛 지지기 프레임(60)을 설치하고, 보닛 지지기 프레임(60)에 보닛(80)을 개폐 가능하게 부착하고, 보닛(80)에 의해 원동기부(11)를 개방·폐색 가능하게 하고 있다.
보닛 지지기 프레임(60)은 전방부 프레임(61)과, 후방부 프레임(62)과, 중간 프레임(63)으로 형성하고 있다. 전방부 프레임(61)은 정면으로부터 볼 때 세로로 긴 사각형 문형에 형성해서 지지판(43)에 세워서 설치하고 있고, 오일 쿨러(47) 및 연료 쿨러(48)의 좌우 측방과 상방을 위요하도록 배치하고 있다. 전방부 프레임(61)의 상부에는 보닛 로크 기구(64)를 설치하고 있다. 지지판(43)에는 전방부 프레임(61)의 직전방에 있어서의 좌우 한 쌍의 보조 프레임(65)을 세워서 설치하고 있어 양 보조 프레임(65)의 상단부는 전방부 프레임(61)의 상단부에 연장하고 있다.
후방부 프레임(62)은 엔진(40)의 후단부에 형성한 클러치 하우징(66) 상에 지지대(67)를 재치하여 설치하고, 지지대(67)로부터 지지 본체편(68)을 상방을 향해서 일으켜서 기립형상로 형성하고 있다. 중간 프레임(63)은 전후 방향으로 연신하는 단면 원형 파이프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중간 프레임(63)의 전단부는 연결체(69)를 통해 전방부 프레임(61)의 중앙 상부와 연결하는 한편, 중간 프레임(63)의 후단부는 지지체(70)를 통해 지지 본체편(68)의 상단부와 연결되어 있다.
지지체(70) 상에는 보닛(80)을 개폐 가능하게 피봇팅하는 피봇팅부(71)를 설치하고 있다. 연결체(69)는 전방부 프레임(61)의 중앙 상부로부터 라디에이터(45)의 상단면 너머로 후방으로 돌출형상으로 돌출시킨 전방측 연결편(69a)과 중간 프레임(63)의 전단부에 교차상으로 부착한 후방측 연결편(69b)을 라디에이터(45)의 배면 상부 위치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부터 맞대는 형상으로 연결해서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연결체(69)는 지지판(43)에 세워서 설치한 라디에이터(45)의 상단부를 지지하고 있다.
피봇팅부(71)는 정면으로부터 볼 때 U자형상으로 형성한 피봇팅편(72)과, 피봇팅편(72)의 상단부 간에 좌우 방향으로 축선을 향해서 횡으로 걸친 피봇축(도시하지 않음)과, 피봇축에 회전 가능하게 외감한 보스부(74)와, 보스부(74)에 기단 가장자리부를 부착한 개폐 암(75)으로 형성하고 있다. 개폐 암(75)은 암 전방부(76)를 사각형판 링형상으로 형성하는 한편, 암 후방부(77)를 측면으로부터 볼 때 U자형상으로 하방으로 만곡시켜서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암 후방부(77)는 후단 가장자리부가 보스부(74)를 통해 피봇축에 피봇팅되어 있고, 전단 가장자리부가 암 전방부(76)의 후단 가장자리부와 일체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암 전방부(76)에는 보닛(80)의 후단부가 전후 연신 프레임(93)을 통해 연결 볼트(78)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보닛(80)은 피봇축을 보닛 지점으로 하고, 그것을 중심으로 전단측을 상방을 향해서 회동시킴으로써 개방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때, 개폐 암(75)의 암 후방부(77)는 하방으로 만곡시켜서 형성함으로써 보닛(80)의 후단 가장자리부가 피봇축의 직상방을 피복하고 있는 후술의 배열 커버(30)를 간섭하여 보닛(80)의 개방 동작에 지장이 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피봇팅편(72)의 일부를 형성하는 좌우 한 쌍의 기립편(72a)의 상단부에는 각각 외측방을 향해서 커버 전방부 부착편(72b)을 돌출시키고, 커버 전방부 부착편(72b)에는 상하 방향으로 개구하는 커버 전방부 부착 구멍(72c)을 형성하고 있다. 지지체(70)의 좌우측 후방부에는 커버 후방부 부착편(72d)를 돌출시키고, 커버 후방부 부착편(72d)에는 상하 방향으로 개구하는 커버 후방부 부착 구멍(72e)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각 부착편(72b, 72d)을 통해 후술하는 배열 커버(30)를 부착하고 있다.
(보닛의 구성의 설명)
보닛(80)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저를 거꾸로 한 것 같은 형태(소위, 선저 천장)로 형성한 천장면부(81)와, 망눈형상의 앞면부(프론트 그릴)(82)와, 좌·우측면부(83, 83)로부터 하방과 후방이 개구하는 상자형으로 형성하고 있고, 피봇팅부(71)를 통해 원동기부(11)의 대부분을 개폐 가능하게 하고 있다. 즉, 보닛(80)은 풀 오픈형으로 형성하고 있다. 보닛(80)에 의해 피복할 수 없는 부분, 즉 잔여가 되는 원동기부(11)의 하부의 좌우 측방은 편평 부채형상으로 형성한 좌우 한 쌍의 사이드 커버(84)에 의해 약간 피복하고 있다. 사이드 커버(84)는 보닛 지지기 프레임(60)에 고정되어 있다. 84a는 사이드 커버(84)에 다수 정렬시켜서 형성한 통기 구멍이다.
천장면부(81)는 평탄한 천장면(81a)과, 천장면(81a)의 좌우측 가장자리부와 전단 가장자리부에 외방으로 팽출형상으로 만곡시켜서 수직 설치한 좌우측면(81b, 81b)으로 형성하고 있다. 앞면부(82)의 좌우측 상부에는 좌우 한 쌍의 전조등(85)을 부착하고 있다. 천장면부(81)의 내면에는 보닛 보강 프레임(90)을 설치하고 있다.
(보닛 보강 프레임의 구성의 설명)
보닛 보강 프레임(90)은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닛(80)의 내면의 전방부와 후방부에 있어서의 그 내면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만곡시켜서 형성한 전방부 문형 프레임(91)과 후방부 문형 프레임(92)을 부착하고 있다. 천장면부(81)의 내면의 중앙부에는 그 내면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신시켜서 형성한 전후 연신 프레임(93)을 상기 문형 프레임(91, 92)과 교차시켜서 부착하고 있다. 전방부 문형 프레임(91)의 좌우측 단부에는 문형 지지체(52)를 따라 형성된 좌우측 가장자리부와, 지지판(43)의 전단 가장자리부(44)를 따라 형성된 전방 가장자리부로부터 만곡 보강 프레임(94)을 정면으로부터 보았을 때 U자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만곡 보강 프레임(94)의 중앙부와 전후 연신 프레임(93)의 전단부 사이에는 전단 직선형상 프레임(95)을 가설형상으로 개재하여 설치하고 있다. 전후 연신 프레임(93)의 전단부에는 좌우측면(81b, 81b)의 전방부 내면을 따라 좌우 측방에 돌출형상으로 오버행 프레임(96)을 돌출시키고 있다. 이들 프레임(91~96)은 보닛(80)을 내방으로부터 보강하고 있다.
보닛 로크 기구(64)의 직상방에 위치하는 폐색 상태의 천장면부(81)에는 전후 연신 프레임(93)을 통해 피로크편(97)을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보닛 로크 기구(64)에 피로크편(97)이 로킹됨으로써 보닛(80)이 폐색 상태로 유지되는 한편, 보닛 로크 기구(64)에 피로크편(97)이 로크 해제됨으로써 보닛(80)을 개방 가능하게 하고 있다. 보닛 로크 기구(64)의 로크·해제 동작은 와이어(98)를 통해 지지판(43)의 우측 전방부의 하방에 있어서 조작 가능하게 하고 있다. 99는 전방부 프레임(61)의 상부에 설치한 좌우 한 쌍의 압박 스프링이며, 압박 스프링(99)은 보닛(80)을 개방하는 상방향으로 압박 바이어싱하고 있다.
보닛 보강 프레임(90)의 전후 연신 프레임(93)의 중도부에 설치한 제 1 연결편(93a)과 보닛 지지기 프레임(60)의 중간 프레임(63)의 후방부 사이에는 지원 수단으로서의 하나의 일방 가스 댐퍼(86)를 개재하여 설치하고 있다. 중간 프레임(63)의 전방부에 설치한 제 2 연결편(63a)과 개폐 암(75)의 암 전방부(76) 사이에는 지원 수단으로서의 또 하나의 타방 가스 댐퍼(87)를 개재하여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일방 가스 댐퍼(86)는 보닛(80)을 손쉽게 개방 가능하게 지원하도록 개재하여 설치함과 아울러, 타방 가스 댐퍼(87) 보닛(80)을 손쉽게 폐색 가능하게 지원하도록 개재하여 설치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원동기부(11)를 피복하는 보닛(80)과 캐빈(C) 사이에는 배열 구멍(34)을 갖는 배열 커버(30)를 개재하여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원동기부(11)에서 생기된 열기는 배열 구멍(34)을 통해서 기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고 있다. 35는 보닛(80)의 천장면부(81)의 후단 가장자리부에 형성한 배열 커버 배치 오목부이며, 배열 커버 배치 오목부(35)에 배열 커버(30)를 감합상태로 배치하고 있다.
A : 트랙터 C : 캐빈
10 : 기체 프레임 11 : 원동기부
12 : 미션 케이스 20 : 운전부
222 : 본체 지지체 250 : 천장부
270 : 에어컨 본체 배치부 310 : 에어컨 본체
330 : 부착 스테이 354 : 외기 도입구
360 : 외기 공급 유로 362 : 외기 도입로
364 : 급기로 370 : 급기 덕트
480 : 난기 덕트 482 : 냉기 덕트
552 : 상부 단차가 형성된 오목형상부
554 : 하부 단차가 형성된 오목형상부 590 : 지주편 커버체

Claims (12)

  1. 운전부를 피복하는 캐빈의 천장부에 에어컨 본체를 배치하기 위한 에어컨 본체 배치부를 캐빈의 좌우 한 쌍의 후방부 지주편보다 후방으로 돌출형상으로 설치한 작업차로서,
    에어컨 본체 배치부는 좌우 한 쌍의 후방부 지주편의 상단부 간에 횡으로 걸친 후방 상부 보편에 후방을 향해서 돌출형상으로 길게 설치한 본체 지지체를 구비하고,
    본체 지지체는 에어컨 본체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기 위한 지지 강성을 갖고,
    본체 지지체에는 에어컨 본체를 상방으로부터 부착 가능하게 하고,
    본체 지지체는 수평 돌출형상의 수평 돌출면부와 수평 돌출면부의 후단 가장자리부로부터 상방으로 기립하는 형상의 기립면부를 구비하고,
    기립면부에는 복수의 부착 스테이를 내방을 향해서 돌출시키고, 복수의 부착 스테이를 통해 에어컨 본체를 상방으로부터 가설형상으로 부착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
  2. 제 1 항에 있어서,
    에어컨 본체는 본체 케이스 내에 냉기와 난기를 생성하는 기기 등을 배치해서 구성하고,
    본체 케이스의 측벽에는 복수의 부착편을 각 부착 스테이와 대향시켜서 외방으로 돌출형상으로 돌출시키고,
    각 부착편과 각 부착 스테이는 상하 방향으로 서로 겹치게 하고, 이들의 서로 겹치는 부분에 부착 볼트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시켜서 나사 부착함으로써 각 부착 스테이에 각 부착편을 통해 에어컨 본체를 상방으로부터 가설형상으로 부착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
  3. 제 2 항에 있어서,
    본체 지지체와, 본체 지지체에 각 부착 스테이 및 각 부착편을 통해 가설형상으로 부착된 에어컨 본체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77024131A 2015-05-27 2016-03-22 작업차 KR1019437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08014A JP6449719B2 (ja) 2015-05-27 2015-05-27 作業車
JPJP-P-2015-108014 2015-05-27
JPJP-P-2015-108013 2015-05-27
JP2015108013A JP6475089B2 (ja) 2015-05-27 2015-05-27 作業車
PCT/JP2016/059061 WO2016189939A1 (ja) 2015-05-27 2016-03-22 作業車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5067A KR20170115067A (ko) 2017-10-16
KR101943783B1 true KR101943783B1 (ko) 2019-01-29

Family

ID=57393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4131A KR101943783B1 (ko) 2015-05-27 2016-03-22 작업차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315489B2 (ko)
EP (1) EP3305630B1 (ko)
KR (1) KR101943783B1 (ko)
WO (1) WO20161899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30559A (ja) * 2014-07-30 2016-03-07 ヤンマー株式会社 作業車両
US10882378B2 (en) * 2017-08-18 2021-01-05 Zhejiang CFMOTO Power Co., Ltd. ATV air heat exchanger with mounting structure and linkage
JP6971773B2 (ja) * 2017-10-20 2021-11-24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車両のキャブ、作業車両およびホイールローダ
JP7396315B2 (ja) * 2021-03-03 2023-12-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トラクタ
USD1002489S1 (en) 2021-12-23 2023-10-24 Cnh Industrial America Llc Grab rail assembly for a roof assembly of a work vehicle
USD1002490S1 (en) 2021-12-23 2023-10-24 Cnh Industrial America Llc Roof panel for a roof assembly of a work vehicle
US11878734B2 (en) 2021-12-23 2024-01-23 Cnh Industrial America Llc Roof assembly for a work vehicle
CN114348122B (zh) * 2022-01-04 2022-10-25 第一拖拉机股份有限公司 一种自成空调独立风道并具泄压功能的驾驶室外顶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15024A (ja) * 2009-03-13 2010-09-30 Kubota Corp キャビン付き作業車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55212A (ja) 1985-09-04 1987-03-10 Iseki & Co Ltd 動力車輛の空調装置
US4926655A (en) * 1989-05-01 1990-05-22 Thermo King Corporation Air conditioner unit suitable for mounting on the roof of a vehicle
JP2571962Y2 (ja) 1991-11-07 1998-05-20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のキャビン構造
JP3579279B2 (ja) 1999-01-28 2004-10-20 株式会社クボタ キャビン
JP2002068026A (ja) 2000-09-04 2002-03-08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トラクタのキャビン
JP4032987B2 (ja) 2003-02-12 2008-01-16 株式会社デンソー 車載用空調装置
JP4443485B2 (ja) 2005-08-31 2010-03-31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のキャビン用空調構造
US8033899B2 (en) 2005-08-31 2011-10-11 Kubota Corporation Cabin for a work vehicle
JP4535467B2 (ja) 2008-03-17 2010-09-01 ヤンマー株式会社 空気調和機を取り付けるキャビンの構造
JP5644585B2 (ja) 2011-02-25 2014-12-24 井関農機株式会社 キャビン
JP5684768B2 (ja) * 2012-09-27 2015-03-18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
JP2014166810A (ja) * 2013-02-28 2014-09-11 Iseki & Co Ltd 作業車両のキャビン
WO2015065495A1 (en) * 2013-11-04 2015-05-07 Bergstrom, Inc. Low profile air conditioning system
KR101961058B1 (ko) * 2015-05-22 2019-03-21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트랙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15024A (ja) * 2009-03-13 2010-09-30 Kubota Corp キャビン付き作業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05630A4 (en) 2019-05-08
KR20170115067A (ko) 2017-10-16
US20180134115A1 (en) 2018-05-17
EP3305630A1 (en) 2018-04-11
WO2016189939A1 (ja) 2016-12-01
US10315489B2 (en) 2019-06-11
EP3305630B1 (en) 2022-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3783B1 (ko) 작업차
JP4880757B2 (ja) 建設機械
JP4847073B2 (ja) トラクタ
TWI523783B (zh) Operating vehicle
JP2009012609A (ja) トラクタの原動部構造
US20130236281A1 (en) Construction machine
JP6278694B2 (ja) 収穫機
JP6150722B2 (ja) 収穫機
JP6453709B2 (ja) トラクタ
JP6449719B2 (ja) 作業車
JP6475089B2 (ja) 作業車
JP2007062575A (ja) 作業車のキャビン用空調構造
JP2009255919A (ja) 作業車のキャビン用空調構造
JP6249764B2 (ja) 収穫機
JP2004268802A (ja) 作業車
JP4850820B2 (ja) スピードスプレーヤの空調システム
JP3630550B2 (ja) トラクタの空調構造
JP3630625B2 (ja) 農用トラクター
JPH0761226A (ja) 車両の空調装置
JP3717386B2 (ja) 農用トラクター
JP5915761B2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JP2013052722A (ja) 作業用車両
JP2014180920A (ja) 作業車両
JP2005001450A (ja) 運搬車両用空調装置
JP2000038036A (ja) エンジン付き車両における熱交換器の取り付け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