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1809A - 콤바인 - Google Patents

콤바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1809A
KR20150111809A KR1020140117233A KR20140117233A KR20150111809A KR 20150111809 A KR20150111809 A KR 20150111809A KR 1020140117233 A KR1020140117233 A KR 1020140117233A KR 20140117233 A KR20140117233 A KR 20140117233A KR 20150111809 A KR20150111809 A KR 201501118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side air
loop
conditioner unit
air conditioner
clea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7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2205B1 (ko
Inventor
미츠루 다케나카
가즈시 사코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150111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18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2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22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208Tanks for grain or chaf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252Anti-dust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외기 도입부로부터 흡입되는 진애의 양을 저감 가능한 콤바인이 요청되어 있다. 루프부(7)를 갖는 운전 캐빈(6)과, 루프부(7)에 내장되고, 운전 캐빈(6) 내를 공조하는 에어컨 유닛(11)과, 루프부(7)의 후방부에 설치되고, 에어컨 유닛(11)에의 외기를 도입하는 외기 도입부(12)와, 운전 캐빈(6)의 후방부 상방에 구비되는 엔진용의 프리클리너(9)를 구비하고, 외기 도입부(12) 및 프리클리너(9)는 외기 도입부(12)의 외기 도입구(30a)가 프리클리너(9)의 흡기구(9a)보다도 높은 위치가 되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콤바인{COMBINE}
본 발명은, 루프부를 갖는 운전 캐빈과, 루프부에 내장되고, 운전 캐빈 내를 공조하는 에어컨 유닛과, 루프부의 후방부에 설치되고, 에어컨 유닛에의 외기를 도입하는 외기 도입부를 구비하는 콤바인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콤바인으로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콤바인이 이미 알려져 있다. 이 콤바인은, 루프부(문헌에서는 「루프 유닛」)를 갖는 운전 캐빈(문헌에서는 「캐빈」)을 구비하고 있다. 루프부에는, 운전 캐빈 내를 공조하는 에어컨 유닛(문헌에서는 「에어컨」)이 내장되어 있다. 루프부의 후단부에서의 하면에는, 에어컨 유닛에의 외기를 도입하는 외기 도입부(문헌에서는 「외기 취입부」)가 설치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0-188868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콤바인에서는, 외기 도입부가 루프부의 후단부에서의 하면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외기 도입부로부터 루프부의 후방부 하방의 진애(예를 들어, 탈곡 장치에서 발생한 진애)를 흡입하기 쉽다. 외기 도입부에서 흡입되는 진애의 양이 증가하면, 에어컨 유닛을 통해서 운전 캐빈 내에 침입하는 진애의 양이 증가하거나, 외기 도입부(필터)의 메인터넌스의 빈도가 많아지거나 하기 쉽다.
상기 상황을 감안하여, 외기 도입부로부터 흡입되는 진애의 양을 저감 가능한 콤바인이 요청되어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루프부를 갖는 운전 캐빈과,
상기 루프부에 내장되고, 상기 운전 캐빈 내를 공조하는 에어컨 유닛과,
상기 루프부의 후방부에 설치되고, 상기 에어컨 유닛에의 외기를 도입하는 외기 도입부와,
상기 운전 캐빈의 후방부 상방에 구비되는 엔진용의 프리클리너를 구비하고,
상기 외기 도입부 및 상기 프리클리너는, 상기 외기 도입부의 외기 도입구가 상기 프리클리너의 흡기구보다도 높은 위치가 되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것에 있다.
본 특징 구성에 따르면, 외기 도입부의 외기 도입구가 프리클리너의 흡기구보다도 높은 위치에 있으므로, 루프부의 후방부 하방의 진애가 외기 도입부보다도 먼저 프리클리너에 의해 흡입된다. 따라서, 외기 도입부로부터 흡입되는 진애의 양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외기 도입부는, 상기 루프부의 후단부에서의 후방벽에 설치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특징 구성에 따르면, 하면에 설치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루프부의 돌출 길이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프리클리너는, 상기 외기 도입부보다도 기체 횡외방측에 배치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특징 구성에 따르면, 진애가 기체 횡외방측에서 말아 올라간 경우에도, 진애가 외기 도입부보다도 먼저 프리클리너에 의해 흡입된다. 따라서, 외기 도입부로부터 흡입되는 진애의 양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에어컨 유닛은, 상기 루프부의 후단부에 내장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특징 구성에 따르면, 에어컨 유닛이 루프부의 후단부에서 외기 도입부의 근방에 위치하므로, 외기 도입부로부터 에어컨 유닛에의 외기의 도입 통로가 짧아져, 원활한 외기의 도입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에어컨 유닛의 전방에, 상기 외기 도입부로부터의 외기가 유입되는 외기 유입구가 설치되고,
상기 외기 도입부로부터 상기 외기 유입구에의 외기 유입 통로가, 상기 루프부의 내부에서 상기 에어컨 유닛의 상방에 설치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특징 구성에 따르면, 루프부의 후방부의 외기 도입부로부터 에어컨 유닛의 전방까지 이르는 외기 유입 통로를, 루프부의 외부로 돌출시키지 않고, 루프부의 내부에서 에어컨 유닛 상방의 공간을 이용해서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에어컨 유닛은, 상기 루프부의 후단부에 내장되고, 또한, 상기 루프부의 좌우 방향의 중심에 대해 기체 횡외방측에 오프셋하여 배치되고,
상기 루프부 중 기체 횡내방측의 후단부에, 후방측일수록 상기 루프부의 좌우 방향의 중심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진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특징 구성에 따르면, 에어컨 유닛이 루프부의 후단부에서 외기 도입부의 근방에 위치하므로, 외기 도입부로부터 에어컨 유닛에의 외기의 도입 통로가 짧아져, 원활한 외기의 도입이 가능하게 된다. 게다가, 루프부 중 기체 횡내방측의 후단부가, 후방측일수록 루프부의 좌우 방향의 중심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져 있으므로, 루프부의 기체 횡내방측에 위치하는 다른 장치와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곡립을 저류하는 곡립 저류부를 구비하고,
상기 곡립 저류부에, 저장 위치와 배출 위치에 걸쳐서 상하 방향의 선회 축심 주위로 선회 가능한 곡립 배출용의 언로더가 구비되고,
상기 경사부는, 평면에서 볼 때 상기 저장 위치에서의 상기 언로더와 대략 평행하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특징 구성에 따르면, 언로더와 경사부의 간격을 적절하게 확보할 수 있어, 루프부와 언로더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콤바인을 도시하는 우측면도이다.
도 2는 콤바인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루프부를 도시하는 평면 일부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있어서의 IV-IV 단면도이다.
도 5는 루프부의 후방부를 도시하는 우측면도이다.
도 6은 루프부의 후방부를 도시하는 우측면 단면도이다.
도 7은 운전 캐빈의 상부를 도시하는 배면 단면도이다.
도 8의 (a)는 운전 캐빈의 좌측부를 도시하는 좌측면도,
도 8의 (b)는 좌측 창부를 샤시에 설치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 단면도이다.
도 8의 (c)는 좌측 창부를 샤시에 설치한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 단면도이다.
도 9는 운전 캐빈을 조립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분해 우측면도이다.
도 10의 (a)는 도어록을 도시하는 우측면도이다.
도 10의 (b)는 도어록을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11은 스토퍼를 도시하는 우측면 일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콤바인의 전체 구성〕
도 1 및 도 2에는, 콤바인의 일례로서의 자탈형 콤바인을 도시하고 있다. 이 콤바인은, 크롤러식의 주행 장치(1)와, 주행 장치(1)에 의해 지지되는 기체 프레임(2)을 구비하고 있다. 기체 프레임(2)의 전방부에는, 식립 곡간을 예취하는 승강 가능한 예취부(3)가 구비되어 있다. 기체 프레임(2)의 후방부에는, 예취 곡간을 탈곡하는 탈곡 장치(4)와 곡립을 저류하는 곡립 탱크(5)(본 발명에 관한 「곡립 저류부」에 상당)가, 좌우 방향으로 배열하는 상태로 구비되어 있다. 기체 프레임(2)의 전방부이며 곡립 탱크(5)의 전방에는, 운전부를 덮는 운전 캐빈(6)이 구비되어 있다. 운전 캐빈(6)은 운전부의 상방을 덮는 루프부(7)를 갖고 있다. 운전 캐빈(6)의 하방에는 엔진(8)이 구비되어 있다. 운전 캐빈(6)의 후방부 상방에는, 엔진(8)용의 사이클론식의 프리클리너(9)가 구비되어 있다. 곡립 탱크(5)에는 곡립 배출용의 언로더(10)가 구비되어 있다.
언로더(10)는, 저장 위치와 배출 위치에 걸쳐서 상하 방향의 선회 축심 Z1 주위로 선회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언로더(10)는 저장 위치에서 언로더 받이부(10a)로 지지되어 있다.
〔루프부〕
도 3 내지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루프부(7)에는 운전 캐빈(6) 내를 공조하는 에어컨 유닛(11)이 내장되어 있다. 루프부(7)의 후방부에는, 에어컨 유닛(11)에의 외기를 도입하는 외기 도입부(12)가 설치되어 있다. 루프부(7)의 내부에는, 외기 도입부(12)로부터 에어컨 유닛(11)측[외기 유입구(18a)]에의 외기 유입 통로(13)가 설치되어 있다. 루프부(7)의 내부에는, 에어컨 유닛(11)으로 공조된 공기를 운전 캐빈(6) 내에 송풍하는 송풍 덕트(14)가 설치되어 있다.
루프부(7)는 아우터 루프(15)와, 이너 루프(16)를 갖고 있다. 아우터 루프(15)는 아우터 외측부(17)와, 아우터 내측부(18)를 갖고 있다. 아우터 내측부(18) 중 에어컨 유닛(11)의 전방에는, 외기 도입부(12)로부터의 외기가 유입되는 외기 유입구(18a)가 형성되어 있다. 이너 루프(16) 중 에어컨 유닛(11)의 전방에는, 내기가 유입되는 내기 유입구(16a)가 형성되어 있다. 아우터 루프(15) 중 기체 횡내방측(좌측 방향측)의 후단부에는, 후방측일수록 루프부(7)의 좌우 방향의 중심 C1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진 경사부(15a)가 형성되어 있다. 경사부(15a)는, 평면에서 볼 때 저장 위치에서의 언로더(10)와 대략 평행하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도 2 참조).
〔에어컨 유닛〕
에어컨 유닛(11)은 루프부(7)의 후단부에 내장되어 있다. 루프부(7)의 후단부에는 에어컨 유닛(11)이 수용되는 수용부(19)가 형성되어 있다. 에어컨 유닛(11)은 운전 캐빈(6)의 후방벽(20)의 상단부에 적재 지지되어 있다. 운전 캐빈(6)의 후방벽(20)의 상단부에는 에어컨 유닛(11)이 적재 지지되는 적재부(20a)가 형성되어 있다.
에어컨 유닛(11)은 증발기나 히터 등을 포함하는 열교환기(21)와, 열교환기(21)에 공기를 송풍하는 팬(22)을 좌우 방향으로 배열하는 상태로 갖고 있다. 에어컨 유닛(11)은 외기 도입과 내기 순환을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에어컨 유닛(11)의 전방에는 외기 도입과 내기 순환을 전환하는 셔터(24)가 구비되어 있다. 에어컨 유닛(11)은 루프부(7)의 좌우 방향의 중심 C1에 대해 기체 횡외방측(우방측)으로 오프셋하여 배치되어 있다. 즉, 에어컨 유닛(11)은 열교환기(21)의 좌우 방향의 중심 C2이 루프부(7)의 좌우 방향의 중심 C1에 대해 기체 횡외방측(우방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에어컨 유닛(11)의 저부로부터는, 에어컨 유닛(11)으로부터의 배수를 배출하는 2개의 배수 호스(11a)가, 좌측과 우측으로 할당되어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배수 호스(11a)는 운전 캐빈(6)의 프레임 내를 통과시켜 기체 프레임(2)의 하방까지 연장되어 있다.
〔수용부〕
수용부(19)는 운전 캐빈(6)의 후방벽(20)보다도 후방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수용부(19)의 상부는 아우터 내측부(18)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수용부(19)의 하부는 하부 커버(23)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하부 커버(23)는 아우터 내측부(18)에 대해 하방으로부터 설치되어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하부 커버(23)의 전단부에는 하방측에 대략 수직으로 굴곡되는 전방 굴곡부(23a)가 형성되어 있다. 전방 굴곡부(23a)는 운전 캐빈(6)의 후방벽(20)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하부 커버(23)의 후단부에는, 후방측에 대략 수평하게 굴곡되는 후방 굴곡부(23b)가 형성되어 있다. 아우터 내측부(18)의 후단부에는, 후방 굴곡부(23b)가 인입되는 오목부(18b)가 형성되어 있다. 후방 굴곡부(23b)는 아우터 내측부(18)의 후단부에 대해, 오목부(18b)에 인입하여 하방으로부터 대어진 상태로 연결되어 있다.
〔적재부〕
적재부(20a)는 전방측에 대략 수평하게 굴곡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적재부(20a)에는 이너 루프(16)가 연장 루프(25)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연장 루프(25)는 적재부(20a)에 대해 하방으로부터 대어진 상태로 연결되어 있다. 이너 루프(16)는 연장 루프(25)에 대해 하방으로부터 대어진 상태로 연결되어 있다.
〔셔터〕
셔터(24)는 좌우 방향의 요동 축심 X1 주위에서 내기 유입구(16a)를 폐쇄하는 위치와 외기 유입구(18a)를 폐쇄하는 위치 사이에서 요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내기 유입구(16a)가 셔터(24)에 의해 폐쇄됨으로써, 외기가 외기 유입구(18a)로부터 에어컨 유닛(11)측에 유입되어, 에어컨 유닛(11)이 외기 도입으로 전환된다. 외기 유입구(18a)가 셔터(24)에 의해 폐쇄됨으로써, 내기가 내기 유입구(16a)로부터 에어컨 유닛(11)측에 유입되어, 에어컨 유닛(11)이 내기 순환으로 전환된다.
〔송풍 덕트〕
송풍 덕트(14)는 아우터 루프(15)와 이너 루프(16) 사이에 설치되고, 운전 캐빈(6)의 전방부까지 연장되어 있다. 송풍 덕트(14)는 중앙 덕트부(26)와, 좌측 덕트부(27)와, 우측 덕트부(28)를 갖고 있다.
중앙 덕트부(26)는 에어컨 유닛(11)으로 공조된 공기를 좌측 덕트부(27)측과 우측 덕트부(28)측으로 분배한다. 중앙 덕트부(26)의 후단부는 에어컨 유닛(11)의 전단부에 연통 접속되어 있다. 중앙 덕트부(26)는 결로를 방지하기 위해, 중공 유리 비즈를 폴리프로필렌에 의해 끼우는 3층 구조의 재료에 의해 성형되어 있다. 이에 의해, 중앙 덕트부(26)의 전체 둘레에 결로 방지용의 패킹을 부착할 필요가 없으므로, 작업 효율의 향상 및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패킹을 부착하는 경우와 같은 품질의 변동도 없다.
좌측 덕트부(27)는 에어컨 유닛(11)으로 공조된 공기를 운전 캐빈(6) 내의 좌측에 송풍한다. 좌측 덕트부(27)의 후단부는 중앙 덕트부(26)의 좌측부에 연통 접속되어 있다. 좌측 덕트부(27)의 후단부는 우측 덕트부(28)의 후단부보다도 루프부(7)의 좌우 방향의 중심 C1측에 위치하도록 만곡하고 있다.
우측 덕트부(28)는 에어컨 유닛(11)으로 공조된 공기를 운전 캐빈(6) 내의 우측에 송풍한다. 우측 덕트부(28)의 후단부는 중앙 덕트부(26)의 우측부에 연통 접속되어 있다.
〔외기 도입부〕
외기 도입부(12)는 루프부(7)의 후단부에서의 후방벽에 설치되어 있다. 외기 도입부(12)는 루프부(7)의 좌우 방향의 중심 C1에 대해 기체 횡외방측(우방측)에 오프셋하여 배치되어 있다. 아우터 루프(15)의 후단부에는 상방측과 후방측에 걸쳐서 팽출하는 팽출부(29)가 형성되어 있다. 팽출부(29)의 전단부는, 그 좌우 방향의 중앙부일수록 전단부에 위치하는 돌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도 2 참조). 팽출부(29)의 후방벽(30)은, 측면에서 볼 때 하단부측일수록 후방측에 위치하는 경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팽출부(29)의 후방벽(30)에는 좌우 방향으로 긴 대략 직사각 형상의 외기 도입구(30a)가 형성되어 있다. 외기 도입구(30a)는 후방상방측을 향해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외기 도입구(30a)에는 외기 청정용의 필터(31)가 끼워 넣어져 있다. 외기 도입구(30a)에는 외기 도입구(30a)에 대해 외기를 안내하는 안내판(32)이 설치되어 있다. 안내판(32)은 하방측에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외기 유입 통로〕
외기 유입 통로(13)는 루프부(7)의 내부에서 에어컨 유닛(11)의 상방에 설치되어 있다. 외기 유입 통로(13)는 팽출부(29)와 아우터 내측부(18)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아우터 내측부(18) 중 외기 유입 통로(13)에 대응하는 부분은, 하방으로 오목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외기 유입 통로(13)는, 평면에서 볼 때 외기 도입부(12)측으로부터 외기 유입구(18a)측을 향해 좌우 방향의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프리클리너〕
프리클리너(9)는 외기 도입부(12)보다도 기체 횡외방측(우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프리클리너(9)는, 측면에서 볼 때 및 배면에서 볼 때 외기 도입부(12)와 중복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프리클리너(9)는, 그 저면에 외기를 흡입하는 흡기구(9a)가 형성되어 있다. 프리클리너(9)는 접속관(33)을 통하여 엔진(8)측의 에어클리너(도시 생략)와 연통 접속되어 있다. 프리클리너(9)는 프리클리너 스테이(34)를 통하여 운전 캐빈(6)의 후방벽(20)에 외팔보 지지되어 있다. 프리클리너 스테이(34)는 운전 캐빈(6)의 후방벽(20)으로부터 후방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프리클리너 스테이(34)는 기단부측 스테이(35)와, 선단부측 스테이(36)를 갖고 있다. 기단부측 스테이(35)는, 대략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기단부측 스테이(35)의 기단부(전단부)는 운전 캐빈(6)의 후방벽(20) 중 후방 창부(37)에 대해 기체 횡외방측(우방측)의 부위에 연결되어 있다. 선단부측 스테이(36)는, 대략 크랭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선단부측 스테이(36)의 선단부(후단부)에는 프리클리너(9)가 끼워 넣어져 고정되어 있다.
〔외기 도입부와 프리클리너의 배치 관계〕
외기 도입부(12) 및 프리클리너(9)는 외기 도입부(12)의 외기 도입구(30a)의 높이 위치 P1이 프리클리너(9)의 흡기구(9a)의 높이 위치 P2보다도 높은 위치가 되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프리클리너(9)는 흡기구(9a)의 높이 위치 P2가 루프부(7) 중 가장 하단부의 높이 위치 P3보다도 높은 위치가 되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외기 도입부(12)의 외기 도입구(30a)의 높이 위치 P1이란, 필터(31) 중 외기 도입구(30a)에 면하는 측의 하단부 높이 위치를 의미하고 있다.
〔좌측 창부의 샤시 구조〕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운전 캐빈(6)의 좌측부에는 전후 미닫이식의 좌측 창부(38)가 설치되어 있다. 좌측 창부(38)는 상부 프레임(39)과 하부 프레임(40) 사이에서, 샤시(41)에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좌측 창부(38)를 샤시(41)에 설치할 때, 도 8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샤시(41)의 상부 중 전후 방향의 중앙 부분을 상방측으로 들어올리고 나서, 좌측 창부(38)를 샤시(41)의 개구부에 삽입하고 있다. 그러나, 샤시(41)가 원래의 위치로 완전히 복귀되기 어려우므로, 샤시(41)와 좌측 창부(38)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고, 좌측 창부(38)의 진동음이 발생하기 쉽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8의 (a),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샤시(41)의 상부 중 전후 방향의 중앙 부분과 상부 프레임(39) 사이에, 탄성재(42)(예를 들어, 고무)를 설치하고 있다. 이에 의해, 샤시(41)가 탄성재(42)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강제적으로 복귀되므로, 샤시(41)와 좌측 창부(38) 사이의 간극이 해소되어, 좌측 창부(38)의 진동음의 발생을 저감할 수 있다.
〔운전 캐빈의 결합 구조〕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운전 캐빈(6)은 상부측의 캐빈부(43)와, 하부측의 본체부(44)를 갖고 있다. 캐빈부(43)의 상측 개구부(58) 및 본체부(44)의 하측 개구부(59)에는 우측 창부(45)가 설치된다. 우측 창부(45)는, 그 후단부가 상하 방향의 요동 축심 주위로 캐빈부(43)측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본체부(44)는 운전 캐빈(6)을 구비하지 않는 운전부의 본체부에도 사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캐빈부(43)와 본체부(44)는, 용접에 의해 일체 구조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캐빈부(43)와 본체부(44)를 시일 부품에 의해 결합하는 경우에 비해, 운전 캐빈(6)의 기밀성이 향상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운전 캐빈(6)을 조립 라인으로 제조하는 경우, 캐빈부와 본체부를 시일 부품에 의해 결합하는 방법에서는, 우선, 본체부를 조립 라인에 적재하고, 다음에, 그 본체부에 캐빈부를 적재하는, 즉, 2회의 들어올리기 작업이 발생한다. 게다가, 조립 라인 상의 본체부에 캐빈부를 적재하는 경우, 캐빈부를 들어올리는 높이는, 조립 라인의 높이에 본체부의 높이를 맞춘 높이이며, 들어올리기 작업에 노동력을 필요로 한다.
이 점, 캐빈부(43)와 본체부(44)를 용접에 의해 결합으로 하는 방법에서는, 캐빈부(43)와 본체부(44)를 기초 조립(basic assembly)한 상태에서 조립 라인을 적재할 수 있는, 즉, 1회의 들어올리기 작업밖에 발생하지 않는다. 게다가, 캐빈부(43)와 본체부(44)를 기초 조립한 상태에서 조립 라인에 적재하는 경우, 이들을 들어올리는 높이는, 조립 라인의 높이분만으로 되므로, 들어올리기 작업을 편안하게 행할 수 있다.
〔도어록〕
도 9 및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캐빈부(43)에는 도어록(47)이 설치되어 있다. 도어록(47)은 래치(48)를 갖고 있다. 래치(48)에는 좌측 창부(38)측의 훅(도시 생략)이 후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래치(48)는 스테이(49)를 통하여 캐빈부(43)의 전방 지주(50)에 지지되어 있다. 스테이(49)는, 그 하단부가 그 상단부에 대해 기체 횡외방측(우방측)으로 치우치도록 형성되어 있다. 스테이(49)의 상단부는 캐빈부(43)의 전방 지주(50)의 전방면에 연결부(51)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스테이(49)의 하단부 중 기체 횡내방측의 측면(좌측면)에는 래치(48)가 연결부(52)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스테이(49)의 상하 중간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긴 구멍(49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부(44)의 세로 프레임(53)의 상단부로부터는, 스테이(54)를 통하여 보스부(55)가 기체 횡외방측(우방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세로 프레임(53)의 상단부에는 본체부(44)의 상부에서 좌우 방향에 걸치는 가로 프레임(56)의 우측 단부가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캐빈부(43)와 본체부(44)를 용접에 의해 결합하는 경우, 캐빈부(43)와 본체부(44)의 위치 결정을, 도어록(47)을 이용해서 행할 수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캐빈부(43)를 본체부(44) 상에 적재한 상태에서, 캐빈부(43)측의 스테이(49)의 긴 구멍(49a)과, 본체부(44)측의 보스부(55)에, 볼트(57)를 삽입함으로써, 캐빈부(43)와 본체부(44)의 위치 결정(임시 고정)을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스테이(49)의 하단부[연결부(52)]를 본체부(44)[예를 들어, 세로 프레임(53)]측에 용접에 의해 고정(본 고정)하면 된다. 이에 의해, 캐빈부(43)의 상측 개구부(58)와, 본체부(44)의 하측 개구부(59)를, 대략 동일 평면 상에 위치시킬 수 있으므로, 우측 창부(45)를 상측 개구부(58) 및 하측 개구부(59)에 간극이 없는 상태로 설치할 수 있다.
〔우측 창부의 스토퍼〕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측 창부(45)는 상부측의 슬라이드 창(60)과, 하부측의 고정 창(61)을 갖고 있다. 슬라이드 창(60)은 창틀(62)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드 창(60)의 하단부는, 그 전후 방향의 중앙부일수록 하단부에 위치하는 돌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창틀(62)에는 슬라이드 창(60)의 하방측에의 이동을 규제하는 스토퍼(63)(예를 들어, 고무제)가 설치되어 있다.
스토퍼(63)의 상단부(63a)는 전단부일수록 하방측에 위치하는 경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스토퍼(63)의 상단부(63a)와, 슬라이드 창(60) 중 중앙부보다도 후방측의 부분(60a)이, 대략 평행하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스토퍼(63)의 상단부(63a)의 경사 각도와, 슬라이드 창(60) 중 중앙부보다도 후방측의 부분(60a)의 경사 각도가, 대략 동일하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스토퍼(63)와 슬라이드 창(60)이 면 접촉으로 되고, 슬라이드 창(60)과의 접촉에 의한 스토퍼(63)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스토퍼(63)의 전단부 중 상단부에는, 전방측으로 돌출된 돌출부(63b)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스토퍼(63)의 상단부(63a)가 길어지므로, 슬라이드 창(60)에 의한 스토퍼(63)에의 접촉 하중이 분산되어, 슬라이드 창(60)과의 접촉에 의한 스토퍼(63)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 창(60) 중 중앙부보다도 후방측의 부분(60a)과, 본체부(44) 중 엔진(8)의 기체 횡외방측(우방측)을 덮는 방진 커버(64)의 경사부(64a)가, 가능한 한 평행하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슬라이드 창(60) 중 중앙부보다도 후방측의 부분(60a)의 경사 각도와, 본체부(44)의 방진 커버(64)의 경사부(64a)의 경사 각도가, 가능한 한 동일하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슬라이드 창(60)의 하방측에의 개구량을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스토퍼(63)의 전단부 중 상단부에, 돌출부(63b)가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다른 실시 형태〕
(1)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외기 도입부(12)는 루프부(7)의 후단부에서의 후방벽에 설치되어 있지만, 외기 도입부(12)의 외기 도입구(30a)가 프리클리너(9)의 흡기구(9a)보다도 높은 위치이면, 루프부(7)의 후단부에서의 상면, 하면, 좌측면 혹은 우측면, 또는 루프부(7)의 후방부 중 후단부 이외의 부위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2)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프리클리너(9)는 외기 도입부(12)보다도 기체 횡외방측에 배치되어 있지만, 외기 도입부(12)보다도 기체 횡내방측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프리클리너(9)는 기체 횡방향에서 외기 도입부(12)의 존재 범위 내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3)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외기 유입 통로(13)가 루프부(7)의 내부에서 에어컨 유닛(11)의 상방에 설치되어 있지만, 루프부(7)의 내부에서 에어컨 유닛(11)의 하방, 좌측 방향 또는 우측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외기 유입 통로(13)가 루프부(7)의 외부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4)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에어컨 유닛(11)은 루프부(7)의 후단부에 내장되어 있지만, 루프부(7)의 후방부 중 후단부 이외의 부위, 루프부(7)의 전방부 또는 루프부(7)의 전후 방향의 중간부에 내장되어 있어도 좋다.
(5)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에어컨 유닛(11)은 루프부(7)의 좌우 방향의 중심 C1에 대해 기체 횡외방측에 오프셋하여 배치되어 있지만, 루프부(7)의 좌우 방향의 중심 C1에 대해 기체 횡내방측에 오프셋하여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에어컨 유닛(11)은 열교환기(21)의 좌우 방향의 중심 C2가 루프부(7)의 좌우 방향의 중심 C1과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은, 자탈형 콤바인 외에, 보통형 콤바인에도 이용 가능하다.
5 : 곡립 탱크(곡립 저류부)
6 : 운전 캐빈
7 : 루프부
8 : 엔진
9 : 프리클리너
9a : 흡기구
10 : 언로더
11 : 에어컨 유닛
12 : 외기 도입부
13 : 외기 유입 통로
15a : 경사부
18a : 외기 유입구
30a : 외기 도입구
C1 : 중심
Z1 : 선회 축심

Claims (7)

  1. 루프부를 갖는 운전 캐빈과,
    상기 루프부에 내장되고, 상기 운전 캐빈 내를 공조하는 에어컨 유닛과,
    상기 루프부의 후방부에 설치되고, 상기 에어컨 유닛에의 외기를 도입하는 외기 도입부와,
    상기 운전 캐빈의 후방부 상방에 구비되는 엔진용의 프리클리너를 구비하고,
    상기 외기 도입부 및 상기 프리클리너는, 상기 외기 도입부의 외기 도입구가 상기 프리클리너의 흡기구보다도 높은 위치가 되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콤바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기 도입부는, 상기 루프부의 후단부에서의 후방벽에 설치되어 있는, 콤바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클리너는, 상기 외기 도입부보다도 기체 횡외방측에 배치되어 있는, 콤바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컨 유닛은, 상기 루프부의 후단부에 내장되어 있는, 콤바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컨 유닛의 전방에, 상기 외기 도입부로부터의 외기가 유입되는 외기 유입구가 설치되고,
    상기 외기 도입부로부터 상기 외기 유입구에의 외기 유입 통로가, 상기 루프부의 내부에서 상기 에어컨 유닛의 상방에 설치되어 있는, 콤바인.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컨 유닛은, 상기 루프부의 후단부에 내장되고, 또한, 상기 루프부의 좌우 방향의 중심에 대해 기체 횡외방측에 오프셋하여 배치되고,
    상기 루프부 중 기체 횡내방측의 후단부에, 후방측일수록 상기 루프부의 좌우 방향의 중심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진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콤바인.
  7. 제6항에 있어서,
    곡립을 저류하는 곡립 저류부를 구비하고,
    상기 곡립 저류부에, 저장 위치와 배출 위치에 걸쳐서 상하 방향의 선회 축심 주위로 선회 가능한 곡립 배출용의 언로더가 구비되고,
    상기 경사부는, 평면에서 볼 때 상기 저장 위치에서의 상기 언로더와 대략 평행하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콤바인.
KR1020140117233A 2014-03-26 2014-09-03 콤바인 KR1023722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63823 2014-03-26
JP2014063823A JP6226796B2 (ja) 2014-03-26 2014-03-26 コンバイン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1809A true KR20150111809A (ko) 2015-10-06
KR102372205B1 KR102372205B1 (ko) 2022-03-08

Family

ID=54345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7233A KR102372205B1 (ko) 2014-03-26 2014-09-03 콤바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226796B2 (ko)
KR (1) KR1023722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5241A (ko) 2017-09-01 2019-03-11 전남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Hmd를 이용한 vr탐사 인터렉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4217A (ja) * 1988-07-11 1990-01-26 Iseki & Co Ltd コンバイン等の空気調整装置
JPH11346538A (ja) * 1998-06-15 1999-12-21 Kubota Corp コンバイン
JP2004114749A (ja) * 2002-09-24 2004-04-15 Kubota Corp 作業機の外気導入構造
JP2004180650A (ja) * 2002-12-06 2004-07-02 Iseki & Co Ltd コンバインのキャビン
JP2010188868A (ja) 2009-02-18 2010-09-02 Yanmar Co Ltd 作業機のキャビンのルーフ構造
JP2012065614A (ja) * 2010-09-24 2012-04-05 Mitsubishi Agricultural Machinery Co Ltd コンバインにおけるオーガリモコンの配置構造
KR20130023140A (ko) * 2011-08-25 2013-03-07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콤바인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4217A (ja) * 1988-07-11 1990-01-26 Iseki & Co Ltd コンバイン等の空気調整装置
JPH11346538A (ja) * 1998-06-15 1999-12-21 Kubota Corp コンバイン
JP2004114749A (ja) * 2002-09-24 2004-04-15 Kubota Corp 作業機の外気導入構造
JP2004180650A (ja) * 2002-12-06 2004-07-02 Iseki & Co Ltd コンバインのキャビン
JP2010188868A (ja) 2009-02-18 2010-09-02 Yanmar Co Ltd 作業機のキャビンのルーフ構造
JP2012065614A (ja) * 2010-09-24 2012-04-05 Mitsubishi Agricultural Machinery Co Ltd コンバインにおけるオーガリモコンの配置構造
KR20130023140A (ko) * 2011-08-25 2013-03-07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콤바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5241A (ko) 2017-09-01 2019-03-11 전남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Hmd를 이용한 vr탐사 인터렉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2205B1 (ko) 2022-03-08
JP2015182743A (ja) 2015-10-22
JP6226796B2 (ja) 2017-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76097B2 (en) Cowl structure of vehicle
US10093150B2 (en) Pressurization system and kit for pressurizing pickup truck bed closed at its top by a cover
US7069736B2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hydraulic shovel
JP6035967B2 (ja) 車両用バッテリパック
CN102667013B (zh) 工程机械
KR100602965B1 (ko) 작업차
US11780286B2 (en) Cabin
KR20150111809A (ko) 콤바인
KR20160036651A (ko) 콤바인
JP3789896B2 (ja) 作業車のエアコン装置
JP2007062575A (ja) 作業車のキャビン用空調構造
JP2007099107A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07030723A (ja) ダンパーユニットおよび空調装置
JP2009255919A (ja) 作業車のキャビン用空調構造
JP7137134B2 (ja) 車両の前部構造
US20210214014A1 (en) Vehicle front structure
JP4681523B2 (ja) 作業車の防水シール構造
US8376820B2 (en) Fender-accessible air filter
JP5214257B2 (ja) 車両用シートの空調ユニット排気構造
JP7148468B2 (ja) 建設機械
JP3789897B2 (ja) 作業車のエアコン装置
JP6579133B2 (ja) エンジンの吸気構造
JP5775192B2 (ja) 作業車
JP2019064380A (ja) エンジンルーム冷却構造
JP4884878B2 (ja) エレベータ用空調装置の制振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