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2965B1 - 작업차 - Google Patents

작업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2965B1
KR100602965B1 KR1020040012854A KR20040012854A KR100602965B1 KR 100602965 B1 KR100602965 B1 KR 100602965B1 KR 1020040012854 A KR1020040012854 A KR 1020040012854A KR 20040012854 A KR20040012854 A KR 20040012854A KR 100602965 B1 KR100602965 B1 KR 1006029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main body
cabin
outside air
conditioner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2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0974A (ko
Inventor
하라게이이찌
고가겐조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3063868A external-priority patent/JP378989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063867A external-priority patent/JP378989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063870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4268802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040080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09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2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29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E02F9/0891Lids or bonnets or doors or detail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02Link constructions
    • A44C5/022Link constructions with links threaded on at least one filamentary core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1/00Watch chains; Ornamental chains
    • A44C11/007Tennis type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7/00Making jewellery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LMAKING METAL CHAINS
    • B21L11/00Making chains or chain links of special shape
    • B21L11/005Making ornamental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357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 B60H1/00378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for tractor or load vehicle cab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6Filtering
    • B60H3/0608Filter arrangements in the air stream
    • B60H3/0616Filter arrangements in the air stream with provisions for replacing the filter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Abstract

백 호우 등의 작업차(1)에 있어서, 캐빈(48) 내의 공조를 행하는 에어컨 장치가 운전석(8)의 하방에 설치되는 에어컨 본체(63)와, 상기 캐빈 중 도어(47)를 설치한 측면과 반대측의 측면 근방에 설치되는 송흡기 박스(7l)와, 상기 송흡기 박스에 상기 에어컨 본체로부터의 공조 공기를 이송하는 송풍관(72)으로 구성되고, 상기 송풍관은 스텝(43)의 하방에 설치되어 있다.
작업차, 캐빈, 에어컨 본체, 송흡기 박스, 송풍관, 스텝

Description

작업차{WORK VEHICLE}
도1은 백 호우(backhoe)의 측면도.
도2는 백 호우의 본네트 전방 및 본네트 내의 측면도.
도3은 백 호우의 평면도.
도4는 백 호우의 에어컨 장치 부분의 측면도.
도5는 캐빈 내의 측면도.
도6은 송흡기 박스의 측면도.
도7은 송흡기 박스의 바닥면도.
도8은 송흡기 박스 부분의 정면 단면도.
도9는 송흡기 박스 부분의 분해 정면도.
도10은 우측벽의 측면도.
도11은 스텝 및 송풍관 부분의 평면도.
도12는 에어컨 본체 및 송풍관 부분의 정면도.
도13은 스텝 부분의 평면도.
도14는 스텝 부분의 바닥면도.
도15는 스텝 부분의 우측면도.
도16은 송풍관의 후단부측의 우측 단면도.
도17은 송풍관의 전단부측의 측단면도.
도18은 중앙 본네트 부재의 정면도.
도19는 히터 호스의 배관 구조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20은 히터 호스의 배관 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21은 히터 호스 등의 중앙 본네트 부재에의 삽통 부분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22는 히터 호스의 중앙 본네트 부재에의 삽통 부분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23은 절환 밸브의 조작 기구를 도시하는 구성도.
도24는 쿨러 호스의 배관 구조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25는 쿨러 호스의 배관 구조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26은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정면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백 호우
2 : 선회체
3 : 주행 장치
4 : 크롤러 주행체
6 : 선회대
9 : 엔진
14 : 본네트
19 : 선회 프레임
22 : 선회 기판
48 : 캐빈
63 : 에어컨 본체
본 발명은 작업차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캐빈과, 상기 캐빈 내에 설치되는 운전석과, 상기 운전석에 안착하기 위해 상기 캐빈의 하부에 설치되는 스텝 및 상기 캐빈 내의 공조를 행하는 에어컨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에어컨 장치가 에어컨 본체와, 송흡기 박스와, 상기 송흡기 박스에 상기 에어컨 본체로부터의 공조 공기를 이송하는 송풍관을 구비한 작업차에 관한 것이다.
백 호우 등의 작업차에서는 캐빈 내를 공조하는 에어컨 장치를 구비한 것이 있다. 이러한 종류의 종래의 작업차의 에어컨 장치는 에어컨 본체와, 에어컨 본체로 외기를 도입하는 흡기 부재(송흡기 박스의 일부)와, 에어컨 본체로부터의 공조 공기를 캐빈 내로 송출하기 위한 송기 부재(송흡기 박스의 다른 일부)와, 에어컨 본체로부터 송기 부재로 공조 공기를 이송하는 송풍관을 구비하여 이들을 캐빈 내에 설치하고 있다(예를 들어, 일본국 실용신안 공개 평6-6023호 공보 참조).
그러나, 종래의 경우, 에어컨 본체와 흡기 부재와 송기 부재와 송풍관으로 캐빈 내를 좁혀 캐빈 내의 거주성을 손상시키거나, 작업의 방해 등이 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에 비추어 에어컨 본체와 흡기 부재와 송기 부재와 송풍관으로 캐빈 내를 좁혀 거주성을 손상시키거나, 이들이 작업 등의 방해 등이 되지 않도록 한 작업차의 에어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작업차의 특징 구성은 상기 캐빈의 일측면에 승강 도어가, 타측면에 상기 송흡기 박스가 각각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에어컨 본체가 상기 운전석의 하방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송풍관이 상기 스텝의 하방에 설치되어 있는 점에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에어컨 본체는 운전석 하방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에어컨 본체가 캐빈 내를 좁히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작업의 방해 등이 되는 일도 없어진다. 또한, 캐빈 내의 승강 도어가 없는 측의 측면에 송흡기 박스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송흡기 박스가 캐빈 내를 좁히거나, 작업의 방해 등이 되거나 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송풍관이 스텝의 하방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송풍관으로 캐빈 내를 좁히거나, 송풍관이 작업 등의 방해가 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송흡기 박스는 상기 에어컨 본체에 외기를 도입하기 위한 흡기 부재와, 상기 에어컨 본체로부터의 공조 공기를 상기 캐빈 내로 송출하기 위한 송기 부재로 이루어지지만, 이들 흡기 부재 및 송기 부재가 유닛화되어 있으면, 흡기 부재와 송기 부재를 간단하게 조립하여 캐빈 내에 간단하게 장착할 수 있는 동시에, 에어컨 본체에 대해 보다 간단하게 접속할 수 있다. 이 때, 적합한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송흡기 박스에 상기 캐빈의 상기 일측면으로부터 착탈 가능한 필터가 설치되고, 상기 캐빈의 상기 일측면으로 외기를 도입하기 위한 외기 도입창과 이 외기 도입창을 막기 위한 커버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필터가 상기 커버 부재를 개방함으로써 상기 외기 도입창을 거쳐서 교환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커버 부재에 상기 외기 도입창으로 연통하는 외기 도입 구멍이 마련되고, 상기 외기 도입 구멍이 상기 외기 도입창 및 외기 필터를 거쳐서 상기 송흡기 박스의 흡기 부재측에 연통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커버 부재를 상기 일측면으로부터 제거함으로써, 외기 도입창으로부터 손가락 등을 삽입하여 볼트 등의 체결구를 제거하고, 외기 필터를 외기 도입창으로부터 취출하여 외기 필터를 간단하게 교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다른 적합한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송흡기 박스로부터의 상기 에어컨 본체로의 외기 도입과, 상기 에어컨 본체로의 내기 도입이 동시에 행해진다. 이 구성에 따르면, 공조 대상으로서 충분한 양의 공기를 에어컨 본체로 취입할 수 있다. 이 때에는, 예를 들어 상기 에어컨 본체에 상기 흡기 부재로부터의 상기 외기 도입과, 상기 캐빈 내로부터 상기 에어컨 본체로의 내기 도입을 행하기 위한 공기 도입부가 설치되고, 또한 상기 흡기 부재의 하면에 외기 송출구가 설치되는 동시에, 이 외기 송출구로부터의 외기를 상기 공기 도입부에 연통시키기 위한 흡기관이 상기 스텝의 하방에 연장 설치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상기 송풍관에다가 흡기관도 스텝의 하방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흡기관으로 캐빈 내를 좁히거나, 흡기관이 작업 등의 방해가 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대신에 상기 송흡기 박스로부터의 상기 에어컨 본체로의 외기 도입과, 에어컨 본체로의 내기 도입이 절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면, 예를 들어 외기 및 내기 중 공조 목표 온도에 가까운 쪽의 공기를 선택적으로 에어컨 본체로 취입함으로써 공조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다른 적합한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주행 장치의 후방부에 엔진과, 이 엔진 중 적어도 전방을 덮는 전방벽을 갖는 커버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커버 부재의 상기 전방벽에 상기 에어컨 장치로의 공조 매체 배관이 삽통되고, 이 배관의 삽통 부분이 쿠션재로 밀봉되어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엔진 룸(본네트 내 공간)과 캐빈 내 공간에 걸쳐서 공조 매체 배관을 배치한 후에 양 공간 사이의 밀봉을 쉽고 또한 양호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적합 실시 형태를 작업차의 일예로서의 백 호우(1)를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도1 내지 도3에 있어서, 이 백 호우(1)는 상부의 선회체(2)와, 하부의 주행 장치(3)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백 호우(1)의 주행 방향(도1의 좌우 방향)을 전후 방향이라 하고, 이 전후 방향으로 직교하는 횡방향(도1의 종이면 관통 방향)을 좌우 방향이라 한다.
주행 장치(3)는 트랙 프레임(3A)의 좌우 양측에 아이들러(3B), 구동륜(3C), 트랙 롤러 및 캐리어 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이들에 크롤러 주행체(4)를 권취하여 구동륜(3C)을 유압 모터 등으로 구동하여 이루어지는 크롤러식 주행 장치가 채용되어 있다. 주행 장치(3)의 전방부에는 도우저(5)가 구비되어 있다.
선회체(2)는 주행 장치(3) 상에 상하 축심(X) 주위에 선회 가능하게 지지된 선회대(6)와, 선회대(6)의 전방부에 설치된 작업 장치(굴삭 장치)(7)와, 선회대(6) 상에 설치된 운전석(8)과, 엔진(9), 연료 탱크, 유압 펌프, 작동유 탱크, 라디에이터 등의 선회대(6)에 탑재된 각종 기기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선회대(6)에는 상기 선회대(6)에 탑재된 엔진(9), 연료 탱크 등의 각종 기기를 덮는 본네트(14)가 설치되어 있다.
선회대(6)는 선회 프레임(19)과, 이 선회 프레임(19)의 후방부에 부착 고정되어 있고, 엔진(9) 등과 함께 선회대(6) 전방부에 구비한 작업 장치(7) 등에 대한 중량 밸런스를 도모하고, 또한 선회대(6)의 후방부를 구성하는 카운터 웨이트(20)(프로텍터)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선회 프레임(19)의 좌우 측면, 전방면 및 상면의 운전석(8) 전방측 등은 적절하게 커버 부재(23) 등에 의해 덮여 있다.
선회 프레임(19)은 주행 장치(3) 상에 선회 베어링(21)을 거쳐서 상하 축심(X) 주위에 선회 가능하게 지지된 선회 기판(22)을 구비하는 동시에, 이 선회 기판(22) 상에 보강 부재나, 각종 기기 등을 부착 고정하기 위한 부착 부재 등을 고정하여 이루어진다. 선회대(6)의 바닥벽을 구성하는 선회 기판(22) 상에는 전방부로부터 후방부로 연장되는 보강용 세로 리브(24, 25)가 선회 축심(X)을 협지하여 좌우 한 쌍 설치되어 있다.
선회 기판(22)의 전방부에는 선회대(6)로부터 전방 돌출형으로 상하 한 쌍의 지지 브래킷(26)이 설치되고, 이 지지 브래킷(26)에는 요동 브래킷(swing bracket)(27)이 상하축 주위에 좌우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요동 브래킷(27)에, 횡축 주위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붐(28)과, 이 붐(28)의 선단부측에 횡축 주위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아암(29)과, 이 아암(29)의 선단부측에 스윙 덤프 동작 가능하게 부착된 버킷(30)으로 상기 작업 장치(7)가 주로 구성되어 있고, 이들 붐(28), 아암(29), 버킷(30)은 각각 유압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붐 실린더(31), 아암 실린더(32), 버킷 실린더(33)에 의해 작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네트(14) 내에는 선회 프레임(19)에 고정한 지지 프레임(37)이 구비되어 있다. 지지 프레임(37)은 좌우 한 쌍의 후방 다리부(38)와, 좌우 한 쌍의 전방 다리부(39)와, 이들 다리부(38, 39)의 상단부에 연결되는 상부 판(40)으로 주로 구성되어 있고, 엔진(9)을 걸치도록 배치되어 있고, 각 후방 다리부(38) 및 전방 다리부(39)의 하단부가 구획벽을 거쳐서 선회 기판(22) 등에 부착 고정되어 있다.
운전석(8)은 본네트(14)의 전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4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선회 기판(22)에 세워 설치한 구획벽(42) 등을 거쳐서 스텝(43)이 지지되어 있다. 스텝(43)은 복수의 판재에 의해 구성되어 선회대(6)의 상벽을 구성하고 있다. 스텝(43) 상에 캐빈(48)이 설치되고, 캐빈(48) 내에 스텝(43)에 세워 설치한 지지 부재(44) 등을 거쳐서 운전석(8)이 지지되어 있다.
운전석(8)의 좌우 양측에는 좌우 한 쌍의 조종대(45)가 배치되고, 운전석(8)의 전방에는 좌우의 크롤러 주행체(4)를 따로따로 조작하는 좌우 한 쌍의 주행용 조종 레버(46)가 배치되어 있다. 여기에, 운전석(8)과 이 좌우에 배치한 조종대(45) 등에 의해 운전 조종 장치를 구성하고 있고, 이 운전 조종 장치는 승강 도어(47)를 갖는 캐빈(48)에 의해 포위되어 있다.
도1, 도2 및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빈(48)은 운전석(8)을 포위하도록 선회대(6)에 탑재되고, 크게 구별하여 캐빈 본체(52)와 지붕(53)을 갖는다.
캐빈 본체(52)는 좌우 한 쌍의 전방 지주(55L, 55R)와, 좌측의 중도 지주(56)와, 좌우 한 쌍의 후방 지주(57L, 57R)를 갖는다. 전방 지주(55L, 55R) 사이에 도시 생략의 전방 유리가 배치되고, 좌측의 전방 지주(55L)와 중도 지주(56) 사이에 승강 도어(47)가 설치되고, 우측의 전방 지주(55R)와 후방 지주(57R) 사이에 측벽 프레임(61)이 설치되고, 측벽 프레임(61)의 상방측에 사이드 유리(59)가 설치되는 동시에, 사이드 유리(59)의 하방에 위치하고, 도5 및 도8 내지 도10에 도시하는 금속(철)제의 우측벽(60)이 설치되어 있다. 우측벽(60)은 측벽 프레임(61)에 볼트 또는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우측벽(60)의 전단부로 외기를 도입하기 위한 외기 도입창(62)이 설치되어 있다.
본네트(14) 내에 쿨러용 압축기(257), 쿨러용 콘덴서(258), 쿨러용 리시버(수액기)(259) 등의 쿨러 기기가 설치되어 있다. 캐빈(48) 내의 운전석(8) 하방에 에어컨 본체(63)가 설치되어 있다. 에어컨 본체(63)는 스텝(43) 상에 배치되어 있다.
도3, 도4, 도11 및 도12에 있어서, 에어컨 본체(63)의 후방면에 냉매 도입구와 냉매 취출구가 설치되고, 에어컨 본체(63)의 좌측단부에 공기 도입부(66)가 설치되고, 에어컨 본체(63)의 하면의 우측에 공기 토출구가 설치되어 있다. 에어컨 본체(63)는 증발기와 팽창 밸브와 송풍기를 구비하여 캐빈(48)의 실외 또는 실내로부터 도입한 공기를 냉매에 의해 냉각하여 그 냉각 공기를 송출하는 동시에, 캐빈(48)의 실외 또는 실내로부터 도입한 공기를 엔진(9)에 의해 가열한 온수에 의해 가열하고, 그 가열 공기를 송출하도록 구성되어 냉방과 난방을 절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냉방과 난방을 위한 배관 구조에 대해서는 후에 상세하게 설명함). 또한, 에어컨 본체(63)로 공기를 공기 도입부(66)로부터 에어컨 본체(63) 내로 강제적으로 흡입하기 위한 흡입 팬 등이 설치되어 있다.
에어컨 본체(63) 등을 설치한 스텝(43)에는 에어컨 본체(63)의 공기 토출구에 대응하여 공기 유통창(68)이 설치되고, 에어컨 본체(63)의 공기 도입부(66)의 죄측 근방에 외기 유통 구멍(69)이 마련되어 있다.
도3 내지 도10에 있어서, 캐빈(48) 내의 전단부이며 승강 도어(47)가 없는 측인 우측단부에 송흡기 박스(71)가 설치되어 있다. 에어컨 본체(63)로부터 송흡기 박스(71)로 공기를 이송하는 송풍관(72)이 스텝(43)의 하방에 설치되고, 송풍관(72)은 스텝(43)의 하면에 근접하여 배치되고, 볼트 등에 의해 스텝(43)에 부착되어 있다.
송흡기 박스(71)는 외기를 도입하기 위한 흡기부와 공조용 공기를 캐빈(48) 내로 송출하기 위한 송기부를 유닛화(일체화)한 것으로, 캐빈(48)의 우측벽(60)측[측부 프레임(61)]의 전단부에 장착되어 있다.
도5 내지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송흡기 박스(71)는 에어컨 본체(63)로부터의 공기를 캐빈(48) 내로 송출하기 위한 송기 부재(75)와, 에어컨 본체(63)로 외 기를 도입하기 위한 흡기 부재(76)와, 외기 필터(77)와, 압박판(78)을 구비하고 있다.
송기 부재(75)는 합성 수지 등에 의해 형성되어 상하부와 전후방부를 갖는 L 자형의 송풍 덕트(80)와, 흡기 부재(76)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부(81)를 일체로 갖고 송기 부재(75)는 캐빈(48)의 측벽 프레임(6l)에 스테이(82)를 거쳐서 볼트 등의 부착구(83)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송풍 덕트(80)의 하단부에 공기 취입구(85)가 설치되고, 송풍 덕트(80)의 상하부의 후방면측에 제1 그릴(토출구)(86)이 설치되고, 송풍 덕트(80)의 전단부 내측면(좌측면)에 제2 그릴(87)이 설치되고, 송풍 덕트(80)의 상면에 제3 그릴(88)이 설치되고, 이들 그릴(86, 87, 88)로부터 에어컨 본체(63)로부터의 공기를 캐빈(48) 내로 송출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2 그릴(87)로부터 캐빈(48)의 전방 유리를 향해 공기를 분무하고, 이에 의해 전방 유리를 흐림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송기 부재(75)의 부착부(81)는 좌우 방향 내측(좌측)으로 몰입한 오목형으로 형성되고, 여기에 흡기 부재(76)를 우측 외측방으로부터 내부 끼움하여 볼트 등의 체결구(90)에 의해 흡기 부재(76)를 체결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흡기 부재(76)는 상하 방향으로 긴 각이진 통형의 외기 도입 덕트(92)를 갖고 외기 도입 덕트(92)의 하단부에 외기 송출구(93)가 하방으로 돌출 설치되어 있다. 이 외기 송출구(93)에 흡기 호스(흡기관의 일 실시예)(94)가 접속되어 있다. 흡기 부재(76)의 외기 도입 덕트(92)의 우측방에 우측방이 개구된 필터 수납부(96)가 설치되어 있다.
외기 도입 덕트(92)의 외측벽(우측벽)에, 우측벽(60)의 외기 도입창(62)에 대응하여 외기 도입구(99)가 설치되고, 외기 도입 덕트(92)의 외측벽의 상하 양단부에 외기 필터(77)의 상부 플랜지부와 하부 플랜지부를 압박판(78)으로 압박하여 너트(100)에 나사 결합하는 볼트 등의 체결구(101)로 체결함으로써, 외기 필터(77)가 외기 도입구(99)를 막도록 흡기 부재(76)의 외측벽에 고정되어 필터 수납부(96)에 수납되어 있다. 또한, 너트(100)는 외기 도입 덕트(92)의 외측벽에 고정 부착되어 있다. 흡기 부재(76)의 필터 수납부(96)의 개구 모서리부는 트림(102) 등을 거쳐서 우측벽(60)에 외기 도입창(62)을 둘러싸도록 밀착형으로 접촉되어 있다. 압박판(78)에 우측벽(60)의 외기 도입창(62)에 대응하여 외기 도입구(105)가 설치되어 있다.
캐빈(48)의 우측벽(60)에 우측 외측으로부터 외기 도입창(62)을 막도록 커버 부재(107)가 설치되고, 이 커버 부재(107)는 우측벽(60)에 고정 부착한 너트(108)에 나사 결합하는 볼트 등의 체결구에 의해 우측벽(60)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커버 부재(107)에 우측벽(60)의 외기 도입창(62)에 연통하는 복수의 외기 도입 구멍(109)이 마련되는 동시에, 외기 도입 구멍(109)으로부터 캐빈(48) 내로 빗물 등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차양(110)이 외기 도입 구멍(109)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캐빈(48)의 우측 외측방으로부터 커버 부재(107)의 외기 도입 구멍(109), 우측벽(60)의 외기 도입창(62), 외기 필터(77), 압박판(78)의 외기 도입구(105) 및 외기 도입 덕트(92)의 외기 도입구(99)를 통해 외기 도입 덕트(92) 내로 외기가 도입되고, 도입된 외기가 외기 도입 덕트(92)의 외기 송출구(93)로부 터 송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커버 부재(107)를 우측벽(60)으로부터 제거함으로써, 외기 도입창(62)으로부터 손가락 등을 삽입하여 체결구(101)를 제거하고, 외기 필터(77)를 외기 도입창(62)으로부터 취출하여 외기 필터(77)를 간단하게 교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11 내지 도17에 있어서, 송풍관(72)의 후단부에 상향으로 개구된 공기 취입구(개구단부)(115)가 설치되고, 송풍관(72)의 전단부에 상향으로 개구된 공기 취출구(개구단부)(116)가 설치되고, 공기 취입구(115) 및 공기 취출구(116)의 개구 모서리부에 그 전체 주위에 걸쳐서 트림(117, 118)이 각각 외부 끼움형으로 장착되어 있다.
스텝(43)의 전방측의 상면에는 보유 지지 프레임 부재(120)가 공기 유통창(68)을 둘러싸도록 설치되고, 스텝(43) 상면의 보유 지지 프레임 부재(120)의 내측에 밀봉재(119)가 공기 유통창(68)을 둘러싸도록 접착되고, 보유 지지 프레임 부재(120)에 의해 에어컨 본체(63)의 공기 토출구를 외부 끼움 보유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스텝(43)의 전방측의 하면에 공기 유통창(68)을 둘러싸도록 밀봉재(121)가 접착 고정되고, 송풍관(72)의 공기 취입구(115)가 트림(117) 및 밀봉재(121)를 거쳐서 스텝(43)의 공기 유통창(68)의 개구 모서리부에 하측으로부터 접촉되고, 이에 의해 송풍관(72)이 에어컨 본체(63)[에어컨 본체(63)의 공기 토출구]에 접속되어 에어컨 본체(63)로부터의 공조 공기가 누설되지 않도록 송풍관(72)으로 송출하도록 되어 있다.
도5 및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텝(43)의 전방측에 송기 부재(75)의 공기 취입구(115)에 대응하여 삽통창(122)이 설치되고, 송풍관(72)의 공기 취출구(116)가 스텝(43)의 하면측으로부터 스텝(43)의 삽통창(122)을 상하로 관통하여 송풍 덕트(80)의 공기 취입구(85) 내에 설치한 밀봉재(123)에 하측으로부터 접촉되고, 이에 의해 송풍관(72)이 송흡기 박스(71)[공기 취입구(85)]에 접속되어 공조 공기가 송풍관(72)으로부터 송기 부재(75)의 송풍 덕트(80)로 누설되지 않게 송출하도록 되어 있다.
도4, 도11, 도12, 도14 및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에어컨 본체(63)에는 상기 에어컨 본체(63)로부터 나오는 드레인수를 배수하기 위한 드레인 파이프(125)가 복수개(나타낸 예에서는 3개) 설치되고, 각 드레인 파이프(125)는 에어컨 본체(63)의 하면의 좌측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고, 스텝(43)에 설치한 관통 구멍(126)에 삽통되어 스텝(43)의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스텝(43)의 하면측에 드레인 파이프(125)로부터의 드레인수를 받아 하방측으로 배출하는 드레인 받침(127)이 설치되어 있다. 드레인 받침(127) 내의 드레인수를 배수구(128)로부터 도시 생략의 배수 호스를 거쳐서 세로 리브(24, 25)의 선회 축심(X)측으로 배출하도록 하고 있다.
외기를 도입하는 흡기 부재(76)로부터의 외기를 에어컨 본체(63)로 유도하기 위한 상기 흡기 호스(94)는 스텝(43)의 하면측에 배치되고, 이 흡기 호스(94)의 하류측에 흡기 덕트(129)를 설치하고 있다. 흡기 덕트(129)는 상하 방향에 편평형으로 형성되어 드레인 받침(127)의 근방에 수평 방향으로 늘어서도록 배치되어 있다. 흡기 덕트(129)의 전방측 개구부에 흡기 호스(94)의 하류측단부가 연결되고, 흡기 덕트(129)의 후방측 개구부는 스텝(43)의 외기 유통 구멍(69)에 연통되어 있다.
따라서, 송흡기 박스(71)로부터의 외기는 외기 도입 덕트(92)로부터 흡기 호스(94) 및 흡기 덕트(129)를 통해 외기 유통 구멍(69)으로부터 에어컨 본체(63)의 공기 도입부(66)의 근방으로 송출되고, 외기가 공기 도입부(66)로부터 에어컨 본체(63) 내로 공급되는 동시에, 캐빈(48) 내의 내기가 공기 도입부(66)로부터 에어컨 본체(63) 내로 공급되어 에어컨 본체(66)의 외기 도입과 내기 도입이 동시에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르면, 외기가 캐빈(48)의 우측 외측방으로부터 커버 부재(107)의 외기 도입 구멍(109), 우측벽(60)의 외기 도입창(62), 외기 필터(77)를 통해 외기 도입 덕트(92) 내로 도입되고, 이 외기는 외기 도입 덕트(92)로부터 흡기 호스(94) 및 흡기 덕트(129)를 통해 외기 유통 구멍(69)으로부터 에어컨 본체(63)의 공기 도입부(66)의 근방으로 송출되고, 외기가 공기 도입부(66)로부터 에어컨 본체(63) 내로 공급된다. 또한, 동시에 캐빈(48) 내의 내기가 공기 도입부(66)로부터 에어컨 본체(63) 내로 공급된다. 따라서, 에어컨 본체(66)에 대해 외기 도입과 내기 도입이 동시에 행해져 충분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에어컨 본체(63)로부터의 공조 공기는 스텝(43)의 하방에 배치한 송풍관(72)을 통과하여 송기 부재(75)의 송풍 덕트(80)로 송출되고, 송풍 덕트(80)의 제1 그릴(86), 제2 그릴(87) 및 제3 그릴(88)로부터 캐빈(48) 내로 송풍된다.
이 경우, 에어컨 본체(63)는 운전석(8) 하방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에어컨 본체(63)가 캐빈(48) 내를 좁히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작업의 방해 등이 되는 일도 없어진다. 또한, 흡기 부재(76)와 송기 부재(75)를 유닛화하여 송흡기 박스(71)로 하고 있으므로, 양자를 최대한 콤팩트하게 형성할 수 있고, 또한 캐빈(48) 내의 전단부이며 승강 도어가 없는 측의 측단부인 우측단부에 송흡기 박스(71)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송흡기 박스(71)가 캐빈(48) 내를 좁히거나, 작업의 방해 등이 되거나 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송풍관(72)이 스텝(43)의 하방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송풍관(72)으로 캐빈(48)내를 좁히거나, 송풍관(72)이 작업 등의 방해가 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에어컨 본체(63)에 외기를 도입하기 위한 흡기 부재(76)와, 에어컨 본체(63)로부터의 공기를 캐빈(48) 내로 송출하기 위한 송기 부재(75)를 유닛화한 송흡기 박스(71)가 설치되므로, 흡기 부재(76)와 송기 부재(75)를 따로따로 조립하여 각각 별도로 캐빈(48) 내 등에 부착할 필요가 없어져 흡기 부재(76)와 송기 부재(75)를 일체로서 간단하게 조립하여 캐빈(48) 내에 간단하게 장착할 수 있고, 흡기 부재(76) 및 송기 부재(75)의 에어컨 본체(63)에의 접속도 보다 간단해진다.
또한, 외기 필터(77)를 교환하는 경우에는 커버 부재(107)를 우측벽(60)으로부터 제거함으로써, 외기 도입창(62)으로부터 외기 필터(77)를 취출할 수 있어 외기 필터(77)를 간단하게 교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2, 도18 및 도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네트(12)는 그 좌우 방향 중앙부를 구성하는 중앙 본네트 부재(고정 본네트 부재, 커버 부재)(237)를 갖고, 이 중앙 본네트 부재(237)는 엔진(9)의 전방을 덮는[엔진(9) 등의 수용 공간의 전방벽 을 구성함] 전방벽(238)과, 엔진(9)의 상측을 덮는[엔진(9) 등의 수용 공간의 상벽을 구성함] 상벽(239)을 구비하여 좌우 양측 및 후방측이 개방형으로 되어 있다.
전방벽(238)은 점검용 등의 개구부(240)를 갖는 본체 부분(238A)과, 상기 개구부(240)를 폐색하는 덮개판(238B)으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전방벽(238)의 본체 부분(238A)의 하부 좌측 및 덮개판(238B)의 하부에는 하방에 개방형이 된 절결부(241, 242)가 설치되어 있다.
도19 내지 도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어컨 장치의 히터용 왕복 호스(공조 매체 배관의 일예)(290A, 290B)는 일단부측이 에어컨 본체(63) 내의 열교환기에 접속되어 있는 동시에, 에어컨 본체(63)로부터 중앙 본네트 부재(237)의 전방벽(238)을 관통하여 본네트(12) 내에 배치되고, 타단부측이 엔진(9)에 구비된 워터 재킷에 접속되어 있고, 워터 재킷에서 가열된 온수가 한 쪽의 히터 호스(290A)를 거쳐서 에어컨 본체(63) 내의 열교환기로 유입하고, 이 열교환기에서 에어컨 본체(63) 내로 취입된 공기가 데워지고, 열교환기로 유입된 온수는 다른 쪽의 히터 호스(290B)를 거쳐서 워터 재킷으로 복귀되게 되어 있다.
또한, 히터용 온수의 복귀 호스(290B)는 분할되어 그 접속 부분에 절환 밸브(291)가 설치되어 있고, 이 절환 밸브(291)에 의해 온수를 흐르게 하는 상태와, 온수의 유동을 정지시키는 상태로 절환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절환 밸브(291)는 조종대(45)에 설치된 조작 레버(292)에 푸쉬풀 케이블(293)을 거쳐서 연동 연결되어 있고, 조작 레버(292)에 의해 절환 밸브(291)의 절환 조작이 운전석측에서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히터 호스(290A, 290B) 및 푸쉬풀 케이블(293)은 중앙 본네트 부재(237)의 전방벽(238)의 덮개판(238B)에 설치된 절결부(242)를 삽통하고 있고, 이 히터 호스(290A, 290B)의 절결부(242)를 삽통하는 부분에는 쿠션재(294)가 외부 끼움되고, 푸쉬풀 케이블(293)의 절결부(242)를 삽통하는 부분에는 밀봉재(295)가 외부 끼움되어 있고, 이들 쿠션재(294), 밀봉재(295)에 의해 엔진 룸[본네트(14) 내]과 캐빈(48) 내 사이의 밀봉이 이루어져 있다.
상기 쿠션재(294)에는 절결부(242)의 모서리부에 끼워 맞추는 홈부(29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히터 호스(290A, 290B)의 배관 구조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히터 호스(290A, 290B) 및 푸쉬풀 케이블(293)을 중앙 본네트 부재(237)의 전방벽(238)의 개구부(240)에 삽통한 후, 밀봉재(295)를 푸쉬풀 케이블(293)에 끼워 맞춘 상태에서 절결부(242)에 하단부측으로부터 삽입하고, 그 후, 쿠션재(294)를 외부 끼움한 상태에서 절결부(242)의 모서리부에 쿠션재(294)의 홈부(296)를 끼워 맞추도록 쿠션재(294)를 절결부(242)에 하단부측으로부터 삽입하고, 이 상태에서 덮개판(238B)을 전방벽(238)의 본체 부분(238A)에 부착함으로써 히터 호스(290A, 290B) 및 푸쉬풀 케이블(293)을, 중앙 본네트 부재(237)를 삽통한 상태로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다.
도3, 도24 및 도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축기(257)로부터 콘덴서(258), 리시버(259)를 경유한 냉매를 에어컨 본체(63)의 증발기로 이송하는 이송용 쿨러 호스(공조 매체 배관의 일예)(298A)와, 에어컨 본체(63)의 증발기로부터 압축기(257) 로 복귀시키는 복귀용 쿨러 호스(공조 매체 배관의 일예)(298B)는 중앙 본네트 부재(237)의 전방벽(238)의 본체 부분(238A)에 형성된 절결부(241)를 통해 에어컨 본체(63)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쿨러 호스(298A, 298B)의 단부에는 에어컨 본체(63)측의 접속부에 접속되는 접속 부재(299A, 299B)를 구비하고 있고, 이 쿨러 호스(298A, 298B)의 에어컨 본체(63)에의 접속 부분에는 쿠션재(300)가 외부 끼움되어 있고, 이 쿠션재(300)는 단열재가 접착된 커버(301)에 형성된 하단부 개방형의 절결부(302)에 끼워 맞추어져 있고, 상기 커버(301)는 중앙 본네트 부재(237)의 전방벽(238)에, 볼트 등에 의해 부착 고정되어 있고, 쿠션재(300)에 의해 엔진 룸[본네트(14) 내]과 캐빈(54) 내 사이의 밀봉이 이루어져 있다.
상기 구성의 쿨러 호스(298A, 298B)의 배관 구조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쿨러 호스(298A, 298B)를 에어컨 본체(63)측에 접속한 후에 상기 접속 부분에 쿠션재(300)를 씌워 밀봉하는 동시에 쿠션재(300)를 커버(301)에 부착하고, 그 후, 커버(301)를 전방벽(238)에 부착함으로써 쿨러 호스(290A, 290B)의 접속을 한 후에 중앙 본네트 부재(237)를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다.
(그 밖의 실시 형태)
(1) 도26은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에어컨 본체(63)의 좌측단부에 밀폐 커버(135)가 외측방 돌출형으로 외부 끼움 고정되고, 밀폐 커버(135)와 스텝(43) 사이에서 에어컨 본체(63)의 외측방에 밀폐 공간(136)을 형성하고 있다. 에어컨 본체(63)의 공기 도입부(66)의 좌측방에 흡기 덕트(129)의 외기 송출구(137)가 스텝(43)에 관통되어 밀폐 공간(136) 내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밀폐 커버(135)의 외측벽에 통형의 내기 도입구(139)가 내방 돌출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밀폐 공간(136) 내에 외기 송출구(137)와 내기 도입구(139)를 폐색하는 덮개 부재(140)가 설치되고, 덮개 부재(140)는 전후 방향의 지지축(141)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외기 송출구(137)와 내기 도입구(139)를 선택적으로 폐색하도록 되어 있다. 이 덮개 부재(140)는 도시 생략의 연동 기구나 모터 등을 거쳐서 운전석(8) 상 등으로부터 회전 조작 가능하게 되어 에어컨 본체(63)에의 외기 도입과 내기 도입을 절환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 밖의 점은 상기 실시 형태의 경우와 같은 구성이다.
(2)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르면, 흡기 부재(76)와 송기 부재(75)를 별도로 구성하여 송기 부재(75)에 흡기 부재(76)를 내부 끼움 장착하여 유닛화(일체화)한 송흡기 박스(71)를 구성하고 있지만, 이 대신에, 흡기 부재(76)와 송기 부재(75)를 합성 수지 등에 의해 일체 형성하여 유닛화(일체화)된 송흡기 박스(71)를 구성하도록 해도 좋다.
(3)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캐빈(48) 내의 전단부이며 캐빈(48)의 우측단부에 송흡기 박스(71)가 설치되어 있지만, 캐빈(48) 내의 좌단부에 송흡기 박스(71)를 설치하고, 송흡기 박스(71)를 캐빈(48)의 좌측벽측에 장착하도록 해도 좋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에어컨 본체, 흡기 부재, 송기 부재 및 송 풍관이 캐빈 내를 좁히거나, 작업의 방해 등이 되거나 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캐빈의 거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9)

  1. 캐빈(48)과,
    상기 캐빈 내에 설치되는 운전석(8)과,
    상기 운전석에 안착하기 위해 상기 캐빈의 하부에 설치되는 스텝(43)과,
    에어컨 본체(63)와, 송흡기 박스(71)와, 상기 송흡기 박스에 상기 에어컨 본체로부터의 공조 공기를 이송하는 송풍관(72)을 구비하고, 상기 캐빈 내의 공조를 행하는 에어컨 장치를 포함하는 작업차에 있어서,
    상기 캐빈(48)의 일측면에 승강 도어(47)가, 타측면에 상기 송흡기 박스(71)가 각각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에어컨 본체(63)가 상기 운전석의 하방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송흡기 박스(71)로부터 상기 에어컨 본체(63)로 외기를 보내는 흡기관(94)이 더 설치되고, 상기 흡기관(94)과 상기 송풍관(72)이 상기 스텝(43)의 하방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흡기 박스(71)가 상기 에어컨 본체(63)로 외기를 도입하기 위한 흡기 부재(76)와, 상기 에어컨 본체(63)부터의 공조 공기를 상기 캐빈(48) 내로 송출하기 위한 송기 부재(75)를 구비하고,
    상기 흡기 부재 및 송기 부재가 일체화되어 있는 작업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송흡기 박스(71)에 상기 캐빈(48)의 상기 일측면으로 부터 착탈 가능한 필터(77)가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캐빈(48)의 상기 일측면으로 외기를 도입하기 위한 외기 도입창(62)과 이 외기 도입창(62)을 막기 위한 커버 부재(107)가 설치되고,
    상기 필터(77)가 상기 커버 부재를 개방함으로써 상기 외기 도입창(62)을 거쳐서 교환 가능하게 되어 있는 작업차.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107)에 상기 외기 도입창(62)으로 연통하는 외기 도입 구멍(109)이 마련되고, 상기 외기 도입 구멍(109)이 상기 외기 도입창(62) 및 외기 필터(77)를 거쳐서 상기 흡기 부재(76)에 연통되어 있는 작업차.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 부재(76)로부터 상기 에어컨 본체(63)로의 외기 도입과, 상기 캐빈(48) 내로부터 상기 에어컨 본체(63)로의 내기 도입이 동시에 행해지는 작업차.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컨 본체(63)에, 상기 흡기 부재(76)로부터의 상기 외기 도입과 상기 캐빈(48) 내로부터의 상기 에어컨 본체(63)로의 내기 도입을 행하기 위한 공기 도입부(66)가 설치되어 있는 작업차.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 부재(76)의 하면에 외기 송출구(93)가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외기 송출구(93)로부터의 외기가 상기 흡기관(94)을 거쳐서 상기 공기 도입부(66)에 연통되어 있는 작업차.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 부재(76)로부터 상기 에어컨 본체(63)로의 외기 도입과, 상기 캐빈(48) 내로부터 에어컨 본체(63)로의 내기 도입이 절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작업차.
  9. 제1항에 있어서, 당해 작업차의 주행 장치(3)의 후방부에 엔진(9)과, 상기 엔진 중 적어도 전방을 덮는 전방벽(238)을 갖는 커버 부재(237)가 설치되고,
    상기 커버 부재의 상기 전방벽에 상기 에어컨 장치로의 공조 매체 공급 배관(290A, 290A, 298A, 298A)이 삽통되고, 상기 배관의 삽통 부분이 쿠션재(294, 300)로 밀봉되어 있는 작업차.
KR1020040012854A 2003-03-10 2004-02-26 작업차 KR1006029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063868A JP3789897B2 (ja) 2003-03-10 2003-03-10 作業車のエアコン装置
JP2003063867A JP3789896B2 (ja) 2003-03-10 2003-03-10 作業車のエアコン装置
JPJP-P-2003-00063870 2003-03-10
JPJP-P-2003-00063868 2003-03-10
JPJP-P-2003-00063867 2003-03-10
JP2003063870A JP2004268802A (ja) 2003-03-10 2003-03-10 作業車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0974A KR20040080974A (ko) 2004-09-20
KR100602965B1 true KR100602965B1 (ko) 2006-07-20

Family

ID=32776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2854A KR100602965B1 (ko) 2003-03-10 2004-02-26 작업차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021074B2 (ko)
EP (1) EP1457364B1 (ko)
KR (1) KR100602965B1 (ko)
CN (1) CN1270032C (ko)
DE (1) DE602004000211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547570T1 (de) * 2002-03-26 2012-03-15 Kobelco Constr Machinery Ltd Kleine schwenkschaufel
CN100482901C (zh) * 2004-03-29 2009-04-29 株式会社久保田 具有旋转台的旋转作业机
JP4226546B2 (ja) * 2004-03-29 2009-02-18 株式会社クボタ 旋回作業機
KR100693978B1 (ko) 2004-11-19 2007-03-12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선회 작업기
JP4459027B2 (ja) * 2004-11-19 2010-04-28 株式会社クボタ 旋回作業機
JP4378358B2 (ja) * 2006-03-16 2009-12-02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の空調構造
GB2452928A (en) * 2007-09-19 2009-03-25 Agco Gmbh & Co A filter installation
KR20090049334A (ko) * 2007-11-13 2009-05-18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굴삭기용 엔진 회전수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4555350B2 (ja) * 2008-01-29 2010-09-29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US9216777B2 (en) 2008-07-25 2015-12-22 Kubota Corporation Work vehicle
US8414082B2 (en) * 2008-07-25 2013-04-09 Kubota Corporation Work vehicle
GB2466765A (en) * 2008-10-27 2010-07-07 Agco Gmbh Tractor HVAC system ducting and air filter arrangement
US8485589B2 (en) 2010-03-30 2013-07-16 Kubota Corporation Cabin system
IT1401209B1 (it) * 2010-07-02 2013-07-12 Cnh Italia Spa Cabina per veicolo agricolo attrezzata con un sistema di ventilazione e di condizionamento dell'aria
US8967309B2 (en) * 2010-11-29 2015-03-03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Construction machine
JP5106662B1 (ja) * 2011-08-08 2012-12-26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バックホーローダ
JP6121655B2 (ja) * 2012-05-28 2017-04-26 ヤンマー株式会社 旋回作業車
JP6823459B2 (ja) 2016-08-10 2021-02-03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車両および運転室ユニット
US10118464B2 (en) 2016-09-29 2018-11-06 Deere & Company Off-road utility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CN107457267B (zh) * 2017-10-08 2024-01-09 湖南匡楚科技有限公司 土壤修复系统及其修复方法
DE102021208812A1 (de) 2021-08-12 2023-02-16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Mobile Arbeitsmaschine mit mehreren Gleichspannungsnetzen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176346A5 (ko) 1972-03-13 1973-10-26 Kloeckner Humboldt Deutz Ag
US4344356A (en) * 1980-06-23 1982-08-17 Deere & Company Air distribution system
WO1982002086A1 (en) 1980-12-12 1982-06-24 Marques Jerry G Filter arrangement for an air circulatory system
US4612975A (en) * 1984-02-07 1986-09-23 Kabushiki Kaisha Komatsu Seisakusho Air conditioning device installed in a cabin of an earth-moving vehicle
US4874036A (en) * 1987-07-14 1989-10-17 Sanden Corporation Heating and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 forklift
US4989500A (en) * 1990-01-10 1991-02-05 J. I. Case Company Cab duct arrangment for service of air filters through a single access opening
EP0609207B1 (en) * 1991-10-28 1996-07-10 Caterpillar Inc. An air circulatory system for an enclosure
JP3240687B2 (ja) 1992-06-18 2001-12-1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子部品の実装方法
US5833528A (en) * 1997-05-02 1998-11-10 Case Corporation Cab air inlet and service access arrangement
JPH11139145A (ja) * 1997-11-04 1999-05-25 Sanden Corp 建設車両用空調装置
JP2001097017A (ja) 1999-09-28 2001-04-10 Hitachi Constr Mach Co Ltd 作業車両の車高調整装置
JP3976246B2 (ja) * 2002-05-14 2007-09-12 新キャタピラー三菱株式会社 建設機械における空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0974A (ko) 2004-09-20
EP1457364A1 (en) 2004-09-15
EP1457364B1 (en) 2005-12-07
DE602004000211T2 (de) 2006-07-06
US7021074B2 (en) 2006-04-04
DE602004000211D1 (de) 2006-01-12
US20050178136A1 (en) 2005-08-18
CN1270032C (zh) 2006-08-16
CN1530495A (zh) 2004-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2965B1 (ko) 작업차
EP2180100B1 (en) Construction machine
JP4261962B2 (ja) 油圧ショベルの空調装置
EP0301494B1 (en) An air intake structure of an automobile
JP6121655B2 (ja) 旋回作業車
KR20130060118A (ko) 작업 차량
JP2006273055A (ja) 旋回作業機
JP3789896B2 (ja) 作業車のエアコン装置
JP4909960B2 (ja) 油圧ショベルの空調装置
GB2417440A (en) An air induction system for a work machine
JP4753496B2 (ja) 上部旋回機能を備える作業車両
JP3789897B2 (ja) 作業車のエアコン装置
JP2007062575A (ja) 作業車のキャビン用空調構造
JP2000096621A (ja) 建設機械
JP2004268802A (ja) 作業車
JP2004268801A (ja) 作業車
JP2009255920A (ja) 作業車のキャビン用空調構造
CN214688920U (zh) 一种专用车新能源顶置电动空调
WO2024004700A1 (ja) 作業機
JP2000094947A (ja) 移動車輌のキャビンの空調装置
JP2024005559A (ja) 作業機
KR20150111809A (ko) 콤바인
JP2002145127A (ja) 低車高型キャビン付きトラクタ
JP2004155226A (ja) キャビンの空調装置及び通風構造
JPH06255538A (ja) トラクタの吸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