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2166B1 - 일련의 콘텐츠 데이터를 서로 다른 기록매체에 기록가능한기록장치 및 기록방법 - Google Patents

일련의 콘텐츠 데이터를 서로 다른 기록매체에 기록가능한기록장치 및 기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2166B1
KR100702166B1 KR1020040102826A KR20040102826A KR100702166B1 KR 100702166 B1 KR100702166 B1 KR 100702166B1 KR 1020040102826 A KR1020040102826 A KR 1020040102826A KR 20040102826 A KR20040102826 A KR 20040102826A KR 100702166 B1 KR100702166 B1 KR 1007021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recording medium
recorded
video data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2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55605A (ko
Inventor
쿠도토시미치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3409017A external-priority patent/JP390303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409018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5174391A/ja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55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56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21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21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7921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for more than one processing mod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 plurality of record carriers or indexed parts, e.g. tracks, thereof, e.g. for edit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4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5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1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not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11B27/327Table of contents
    • G11B27/329Table of contents on a disc [VTOC]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6Monitoring, i.e. supervising the progress of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17Card-like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1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of read-only, rewritable, or recordable type
    • G11B2220/215Recordable discs
    • G11B2220/216Rewritable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1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of read-only, rewritable, or recordable type
    • G11B2220/215Recordable discs
    • G11B2220/218Write-once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08Magnetic discs
    • G11B2220/2516Hard disk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62DVDs [digital versatile discs]; Digital video discs; MMCDs; HDC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40Combinations of multiple record carriers
    • G11B2220/41Flat as opposed to hierarchical combination, e.g. library of tapes or discs, CD changer, or groups of record carriers that together store one titl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40Combinations of multiple record carriers
    • G11B2220/45Hierarchical combination of record carriers, e.g. HDD for fast access, optical discs for long term storage or tapes for backup
    • G11B2220/455Hierarchical combination of record carriers, e.g. HDD for fast access, optical discs for long term storage or tapes for backup said record carriers being in one device and being used as primary and secondary/backup media, e.g. HDD-DVD combo device, or as source and target media, e.g. PC and portable play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1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disks or dru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84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 H04N5/85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on discs or dru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4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 H04N9/8205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7Regeneration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 H04N9/8715Regeneration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volving the mixing of the reproduced video signal with a non-recorded signal, e.g. a text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기록장치는, 제1 기록매체에 대해 화상 데이터를 기록하는 제1 기록부와, 제2 기록매체에 대해 상기 화상 데이터를 기록하는 제2 기록부와, 일련의 콘텐츠를 나타내는 상기 화상 데이터를 상기 제1 기록매체에 기록한 후 이어서 상기 제2 기록매체에 대해 기록함과 아울러, 상기 제1 기록매체와 제2 기록매체에 분할되어 기록된 분할기록화상 데이터인 것을 나타내는 식별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제1 기록매체와 제2 기록매체에 그 식별정보를 기록하는 상기 제1 기록부와 상기 제2 기록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기록매체 중 한쪽만이 재생되는 경우라도, 사용자는 그 일련의 콘텐츠를 서로 다른 기록매체에 분할기록되어 있는 것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기록장치, 기록매체, 식별정보, 분할, 제어부, 기록부

Description

일련의 콘텐츠 데이터를 서로 다른 기록매체에 기록가능한 기록장치 및 기록방법{RECORD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THOD CAPABLE OF RECORDING SERIES OF CONTENT DATA ON DIFFERENT RECORDING MEDIA}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기록/재생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콘텐츠 선택 화면의 표시예,
도 3은 콘텐츠 관리 정보의 구조를 나타낸 설명도,
도 4는 릴레이 녹화시의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5는 릴레이 녹화시에 광 디스크에 기록된 메시지 정보화면,
도 6은 광 디스크 및 HDD에 기록된 콘텐츠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재생시의 처리 흐름도,
도 8은 재생시의 처리 흐름도,
도 9는 조작 스위치군의 상세를 설명하는 도면,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록/재생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11은 릴레이 기록시의 광 디스크에 기록된 메시지 정보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재생시의 콘텐츠 선택화면의 표시예,
도 13은 부분소거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부분소거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를 설명하는 도면,
도 15는 메뉴의 기능을 선택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16은 부분소거를 설명하는 도면,
도 17은 부분소거의 표시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18은 부분소거에서 부분소거 개시점의 결정까지의 표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9는 부분소거에서 부분소거 범위 결정부터 실행확인까지의 표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20은 릴레이 녹화 콘텐츠에 대한 부분소거시의 표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21은 기록가능 예약용량 인디케이터의 변화를 설명하는 도면,
도 22는 HDD녹화부 이동 확인 다이얼로그의 표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23은 광 디스크내의 콘텐츠에 대한 부분소거 실행시의 흐름도,
도 24는 하드디스크내의 콘텐츠에 대한 부분소거 실행시의 흐름도,
도 25는 콘텐츠 소거 확인 다이얼로그의 표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26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시스템의 표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27은 본 발명을 적용하는 기록/재생장치의 다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8은 디지털 인터페이스에 의한 데이터 전송을 설명하는 시퀀스도,
도 29는 도 27의 장치에 의해 기록된 콘텐츠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기록/재생장치 105 : HDD
106 : 메모리 107 : 음성출력단자
108 : 디코더 109 : 영상출력단자
110 : 제어부 112 : 조작 스위치군
116 : 디스크 I/F
본 발명은, 기록장치 및 기록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복수의 서로 다른 기록매체에 대하여 일련의 정보를 기록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VHS 테이프 등의 자기테이프를 기록매체로서 사용한 가정용 비디오 레코더가 보급되어 왔다. 또 최근에는, 퍼스널 컴퓨터의 보급에 따라,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이하, HDD라고 한다)등의 기록 디바이스의 대용량화, 저가격화도 진행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비디오 기기의 디지탈화도 진행되고 있다. 특히, 비디오 카메라에서는 DV방식이 주류로 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가정용 비디오 레코더에도 디지털화가 시작되었다. 재기록가능 DVD 매체 등의 광 디스크나 HDD를 기록매체로 하여 MPEG2 방식으로 화상 및 음성 데이터를 부호화해서 기록/재생한 제품이 나오고 있다. 이들 제품은, 종래의 자기테이프를 기록매체로 한 비디오 카세트와 비교하여, 랜덤 액세스성을 이점으로 하는 기록/재생 기능을 갖는다. 특히, 랜덤 액세스성을 사용하는 콘텐츠 관리 또는 재생, 압축 코딩에 의한 장시간 녹화, 및 녹화하면서 이미 녹화된 콘텐츠의 재생을 행하는 녹화/재생 동시실행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유용한 기능들은 실현된다.
또한, 하이브리드 레코더도 많은 기종이 제품화되어,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하이브리드 레코더는, 대용량 HDD와 착탈가능한 광 디스크를 기록매체로서 사용하는 광 디스크 드라이브를 구비한다. 이러한 제품에서, 사용자는 녹화하기 위한 광 디스크나 HDD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한쪽으로부터 다른쪽으로 기록된 파일을 복사하거나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일부 기종은, 녹화 매체로서 광 디스크를 선택해서 예약 녹화를 실행할 때에, 광 디스크가 장착되어 있지 않거나 또는 장착된 광 디스크의 잔 용량이 미리 선택된 프로그램을 기록하는데 부족한 경우에, 처음부터 자동적으로 HDD에 프로그램을 녹화하는 기능이나, 광 디스크에 녹화중, 잔 용량이 소정 레벨 이하로 되면 자동적으로 HDD에 녹화를 연속하여 실행하는 기능을 갖는다(일본특개평 2002-74839(특허문헌 1)). 후자의 기능에서, 광 디스크와 HDD에 걸쳐서 한 개의 프로그램(콘텐츠)이 기록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특허문헌 1에서는, 광 디스크와 HDD 상에 하나의 콘텐츠를 녹화하고, 그 2개의 기록매체 상에 녹화된 콘텐츠(이하, 릴레이 콘텐츠라고 한다) 중의 광 디스크에 녹화된 데이터만을 다른 장치에 의해 재생한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에, 사용자는, 광 디스크에 녹화된 콘텐츠가 완전히 정지되었는지 또는 더욱 수행되고 있는지를 인식할 수 없다. 즉, 사용자는, 상기 재생된 데이터가 릴레이 콘텐츠인지를 인식할 수 없다.
마찬가지로, 릴레이 콘텐츠의 전반부분이 기록된 광 디스크는 레코더에 장착되지 않았고, HDD에 기록된 릴레이 콘텐츠의 후반부분의 데이터만이 재생된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에, 사용자는 그 콘텐츠의 전반부분의 데이터가 따로따로 기록되었는지의 여부를 인식할 수 없다. 그 콘텐츠가 릴레이 콘텐츠인 경우라도, 사용자에게 그것을 알리는 방법은 없다.
그 특허문헌 1에서, 하나의 디스크에 그 릴레이 콘텐츠를 모두 기록하고 싶다고 사용자가 원하면, 광 디스크에 기록된 부분을 임시로 HDD에 저장해야 한다. 그리고 나서, 사용자는 블랭크 디스크를 새롭게 삽입한다.
또한, 예를 들면 비디오테이프 등으로부터 재생된 화상 데이터를 광 디스크에 기록하고, 광 디스크의 저장용량 부족에 의해 기록되지 않은 부분을 HDD에 연속적으로 기록(릴레이 기록)한다고 가정한다. 이 때, HDD에 기록은, 시작하기 적절한 점부터 실행될 수 없다.
그래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고, 그 목적은, 복수의 기록매체 상에 하나의 콘텐츠가 분할기록되는 것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단한 조작으로 한쪽의 기록매체에, 릴레이 기록된 콘텐츠의 부분을 기록가능하게 하는데 있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국면에 따른 기록장치는, 제1 기록매체에 대하여 정보 데이터를 기록하는 제1 기록수단과, 제2 기록매체에 대하여 상기 정보 데이터를 기록하는 제2 기록수단과, 일련의 콘텐츠를 나타내는 상기 정보 데이터를 상기 제1 기록매체에 기록한 후 상기 제2 기록매체에 기록하고, 상기 정보 데이터가 상기 제1 기록매체와 제2 기록매체에 분할 기록된 분할기록 정보데이터인 것을 나타내는 식별정보를 발생하고, 그 식별정보를 제1 기록매체와 제2 기록매체에 기록하도록 상기 제 1 기록수단과 상기 제2 기록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따른 기록장치는, 제1 기록매체에 비디오데이터를 기록하는 제1 기록수단과, 상기 비디오데이터를 제2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제 2 기록수단과, 일련의 콘텐츠를 나타내는 상기 비디오데이터를 상기 제1 기록매체에 기록한 후 상기 제2 기록매체에 기록하고, 상기 제1 기록매체에 기록된 상기 비디오데이터가 상기 제1 기록매체와 제2 기록매체에 분할 기록된 분할기록 비디오데이터인 것을 사용자에게 통지하기 위해 통지 비디오데이터를 발생하고, 그 통지 비디오데이터를 상기 제1 기록매체에 기록하기 위해 상기 제1 기록수단과 상기 제2 기록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에 따른 기록장치는, 제1 기록매체에 비디오데이터를 기록하는 제1 기록수단과, 상기 비디오데이터를 제2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제 2 기록수단과, 일련의 콘텐츠를 나타내는 상기 비디오데이터를 상기 제1 기록매체와 상 기 제2 기록매체에 분할 기록하기 위해 상기 제1 기록수단과 상기 제2 기록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1 기록매체에 기록된 복수의 콘텐츠의 비디오데이터의 대표 화상을 단일 화면 위에 표시함과 아울러, 상기 제1 기록매체에 기록된 복수의 콘텐츠 중 상기 제1 기록매체와 제2 기록매체에 분할해서 기록된 분할 기록 콘텐츠의 대표 화상의 근방에 소정의 아이콘을 표시하는 제1 대표 화상 표시모드와, 상기 제2 기록매체에 기록된 복수의 콘텐츠의 비디오데이터의 대표 화상을 단일 화면 위에 표시함과 아울러, 상기 제2 기록매체에 기록된 복수의 콘텐츠 중 상기 분할 기록 콘텐츠의 대표 화상의 근방에 소정의 아이콘을 표시하는 제2 대표 화상 표시모드간을 전환하는 모드 설정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에 따른 제1 기록매체와 제2 기록매체에 정보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방법은, 일련의 콘텐츠를 나타내는 정보 데이터를 상기 제1 기록매체에 기록한 후 상기 제2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단계와, 그 정보 데이터가 상기 제1 기록매체와 제2 기록매체에 분할 기록된 분할 기록 정보 데이터인 것을 나타내는 식별정보를 생성해서 상기 제1 기록매체와 제2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에 따른 제1 기록매체와 제2 기록매체에 비디오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방법은, 일련의 콘텐츠를 나타내는 비디오데이터를 상기 제1 기록매체에 기록한 후 상기 제2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단계와, 상기 제1 기록매체에 기록한 비디오데이터가 상기 제1 기록매체와 제2 기록매체에 분할 기록된 분할 기록 비디오데이터인 것을 사용자에게 통지하기 위한 통지 비디오데이터를 생성 하여, 상기 제1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에 따른 제1 기록매체와 제2 기록매체에 비디오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방법은, 일련의 콘텐츠를 나타내는 비디오데이터를 상기 제1 기록매체와 상기 제2 기록매체에 분할해서 기록하되,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기록매체에 기록된 복수의 콘텐츠의 비디오데이터의 대표 화상을 단일 화면 위에 표시함과 아울러, 상기 제1 기록매체에 기록된 복수의 콘텐츠 중 상기 제1 기록매체와 제2 기록매체에 분할 기록된 분할 기록 콘텐츠의 대표 화상의 근방에 소정의 아이콘을 표시하는 제1 대표 화상 표시모드와, 상기 제2 기록매체에 기록된 복수의 콘텐츠의 비디오데이터의 대표 화상을 단일 화면 위에 표시함과 아울러, 상기 제2 기록매체에 기록된 복수의 콘텐츠 중 상기 분할 기록 콘텐츠의 대표 화상의 근방에 소정의 아이콘을 표시하는 제2 대표 화상 표시모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에 따른 기록장치는, 제1 기록매체에 대하여 정보 데이터를 기록하는 제1 기록수단과, 제2 기록매체에 대하여 상기 정보 데이터를 기록하는 제2 기록수단과, 일련의 콘텐츠를 나타내는 상기 정보 데이터를 상기 제1 기록매체와 상기 제2 기록매체에 분할해서 기록한 후, 상기 제1 기록매체가 상기 제1 기록매체로부터의 정보 데이터의 삭제처리의 결과로서 상기 제2 기록매체에 분할기록된 정보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는 기록가능용량이 얻어지는 경우, 상기 제2 기록매체에 분할해서 기록된 상기 정보 데이터를 상기 제1 기록매체로 이동해서 상기 제1 기록매체에 상기 정보 데이터를 기록하도록 상기 제1 기록수단과 상기 제2 기록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국면에 따른 제1 기록매체와 제 2 기록매체에 정보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방법은, 일련의 콘텐츠를 나타내는 상기 정보 데이터를 상기 제1 기록매체와 상기 제2 기록매체에 분할해서 기록하는 단계와, 상기 제1 기록매체가 상기 제1 기록매체로부터의 정보 데이터의 삭제처리의 결과로서 상기 제2 기록매체에 분할기록된 정보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는 기록가능용량이 얻어지는 경우, 상기 제1 기록매체로 이동해서 상기 제1 기록매체에 상기 제2 기록매체에 분할 기록된 정보데이터를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따른 기록장치는, 제1 기록매체에 대하여 정보 데이터를 기록하는 제1 기록수단과, 제2 기록매체에 대하여 상기 정보 데이터를 기록하는 제2 기록수단과, 일련의 콘텐츠를 나타내는 상기 정보 데이터를 상기 제1 기록매체에 기록한 후 상기 제2 기록매체에 기록하고, 상기 정보 데이터가 상기 제1 기록매체와 제2 기록매체에 분할 기록된 분할기록 정보데이터인 것을 나타내는 식별정보를 발생하고, 그 식별정보를 제1 기록매체와 제2 기록매체에 기록하도록 상기 제 1 기록수단과 상기 제2 기록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기록매체가 상기 제1 기록매체로부터의 정보 데이터의 삭제처리의 결과로서 상기 제2 기록매체에 분할기록된 정보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는 기록가능용량이 얻어지는 경우, 상기 제어수단은, 제2 기록매체에 분할해서 기록된 상기 정보 데이터를 상기 제1 기록매체로 이동해서 상기 제1 기록매체에 상기 정보 데이터를 기록하도록 상기 제1 기록수단과 상기 제2 기록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것외의 다른 목적들 및 이점은, 다음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 의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확해질 것이다. 본 설명에서는, 도면의 일부를 구성하고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예들의 예시를 설명하는 첨부도면들을 참조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예시는, 본 발명의 상기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속속들이 규명해 낸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범위를 판정하는 본 설명의 뒤에 오는 청구범위를 참조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해서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기록/재생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제어부(110)는, 기록/재생장치(100)의 각 부를 제어한다. 제어부(110)는, 마이크로컴퓨터 및 그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불휘발성 메모리(ROM 또는 NVRAM), 작업 영역이 되는 휘발성 메모리(RAM), 다른 하드웨어에/로부터 데이터를 송신/수신하거나 제어용 레지스터를 액세스하기 위한 외부 버스, 시간을 계측하는 타이머를 적어도 가지고 있다.
버스(103)에는, 제어부(110)의 외부 버스 외에, 후술하는 각 블록이 접속되어 있다. 이 버스(103)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서 데이터를 송신/수신하는 전송로이다. 튜너(101)는, 안테나나 케이블을 통해서 수신하는 방송파로부터,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채널을 선택하여, 그 선택된 채널의 비디오신호를 출력한 다. 인코더(102)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기록시에는 튜너(101)로부터 출력된 비디오신호를 받고, 그 신호를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방식의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로 순차적으로 변환한다.
또한, 디지털 비디오데이터는, 버스(103)의 어드레스 공간에서, 제어부(110)에 의해 지정된 어드레스로부터 출력된다. 메모리(106)는, 각 블록이 작업용으로 사용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면부호 104는 ATA(ATAPI) 인터페이스부(이후, ATAPI_I/F부라고 한다)이고, 105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이다. ATAPI_I/F부(104)는, 버스(103)에 접속되는 제어부(110)나 메모리(106)와의 인터페이스와, HDD(105)와의 인터페이스나 광 디스크 드라이브로서 디스크 I/F(116)를 가진다. ATAPI_I/F부(104)는, 제어부(110)로부터 HDD(105)의 제어 레지스터 또는 디스크 I/F(116)에 액세스하기 위한 변환을 행한다.
디스크 I/F(116)는, 헤드 및 모터를 포함하는 기계적 데크, 그것들을 제어하는 제어회로, 및 ATAPI_I/F부(104)와 접속가능한 인터페이스를 가진다. 이 디스크 I/F(116)는, 착탈가능한 기록매체인 광 디스크 D로부터/에 데이터를 판독/기록한다. ATAPI_I/F부(104)에는, 버스(103)상의 선두 어드레스와 데이터양, 및 HDD(105)(또는 광 디스크 D)의 선두 섹터를 지정할 때, 판독 또는 기록 데이터를 자동 전송하는 소위 직접 메모리 접근(DMA)기능이 갖추어져 있다. 이 광 디스크 D는 (도시되지 않은) 배출(eject) 기구에 의해, 기록/재생장치(100)에 대하여, 장착 및 배출된다.
한편, HDD(105)는 상기 기록/재생장치(100)에 내장되므로 일반 사용자가 용 이하게 그것을 제거할 수 없다.
디코더(108)는, 제어부(110)에서 지정된 버스(103)상의 어드레스에 대한 디지털 비디오데이터를 순차적으로 판독하여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로 변환해서 출력한다. 도면부호 107은 음성출력단자, 109는 영상출력단자이다. 영상출력단자(109) 및 음성출력단자(107)는 디코더부(108)에 의해 변환된 NTSC방식의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각각 외부기기에 출력하기 위한 단자이다. 이들 단자는, 텔레비전 수상기 등에 접속된다.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OSD)부(113)는, 각 종 설정메뉴, 타이틀 및 시간 등의 정보를 비디오 출력에 중첩한다.
표시 패널(111)은, 본체 전방면에 배치되어, 최저한의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조작 스위치군(112)은, 전원의 투입, 기록매체(HDD 또는 광 디스크)의 선택, 녹화모드 또는 재생모드의 선택, 화질 결정을 사용자가 행하기 위한 입력부이다. 리모트 컨트롤 수광부(114)는, 적외선 리모트 컨트롤부 R로부터의 신호를 수광하고, 펄스로서 제어부(110)에 그 신호를 전달한다. 제어부(110)는 그 펄스를 데이터로 변환해서 제어 커맨드로서 인식한다. 적외 리모트 컨트롤부 R은, 조작 스위치군(112)과 같은 사용자의 입력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조작 스위치군(112)의 조작은, 기본적으로 적외 리모트 컨트롤부 R을 조작하여 실행되어도 된다.
실시간 클록(115)은, 카렌다 및 시간정보를 제어부(110)에 전달한다. 또 초기치와 카운트 시작 명령은 사용자가 조작 스위치군(112)에 의해 입력하고, 제어부(110)를 통해서 공급된다. 예를 들면, 녹화 예약 기능은 이 실시간 클록(115)에 의 해 생성된 시간정보를 이용한다. 또한 녹화 콘텐츠에 부가된 타임 스탬프 정보도 이 시간정보를 사용한다.
제어부(110)는 소정의 파일 시스템을 취급하는 소프트웨어를 탑재한다. 이 파일 시스템에 따라서 HDD(105) 또는 광 디스크 D에의 데이터의 읽고 쓰기가 행해진다. 또 일회의 녹화 시작부터 종료까지를 기본적으로 하나의 콘텐츠로서 관리한다. 콘텐츠 리스트를 표시하는 경우에도, 이 콘텐츠 단위가 기본이 된다.
적외 리모트 컨트롤부 R 및 조작 스위치군(112)에 구비된 스위치들의 일례를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전원 키(901)는, 기록/재생장치(100)의 전원을 온/오프한다. HDD선택 키(902)가 눌리면, 녹화재생하는 기록매체로서 HDD(105)를 선택한다. 디스크 선택 키(903)가 눌리면, 역시 녹화재생하는 기록매체로서 광 디스크 D를 선택한다. 녹화 모드 키(904)는, 기록시의 화질을 선택하는데 사용된다. 녹화 키(905)는, 녹화의 시작을 지시한다. 정지 키(906), 일시정지 키(907) 및 재생 키(908)는, 각각 대응한 동작을 지시한다. 되감기 키(913) 및 급속전진 키(FF key)(914)는, 빠른 스캔을 지시한다.
메뉴 키(909)는, 예를 들면, 각 종 설정화면을 불러오는데 사용된다. 소거 키(910)는, 화면에 선택되어 있는 콘텐츠의 소거를 지시한다. 십자 키(911)는, 제어부(110)와 OSD부(113)에 의해 표시되는 TV 수상기 등에 표시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와 결합하여 사용된다. 이 십자 키(911)는, 포커스를 상하 좌우로 이동시키는 경우에 사용된다. 리턴 키(916)는, GUI에 있는 계층적 메뉴의 상부층으로 이동하거나 선행 화면으로 즉시 복귀하는데 사용된다. 결정 키(917)는, 십자 키(911)로 선택한 항목의 선택을 결정하거나 동작의 실행을 지시하는데 사용한다. 도면부호 912는 튜너(101)의 선국 키이다. 리스트 키(915)는, 콘텐츠 선택 리스트를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도 9의 각종 키가 적외 리모트 컨트롤부 R에 구비되어 있는 경우, 리모트 컨트롤 수광부(114)를 통해서 소정의 코드로서 제어부(110)에 눌려진 키의 정보가 전달된다. 도 9에서 설명한 스위치들은 조작 스위치군(112)에 설치된 모든 스위치가 아니다. 본 실시예의 설명에 필요한 스위치들만을 설명했다.
다음에, 기록 동작을 설명한다. HDD 선택 키(902)가 조작되어, 기록매체로서 HDD(105)가 선택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우선, 장치에 전원이 투입되면, 제어부(110)는 HDD(105)로부터 전술한 파일 시스템에 준해서 기록가능(공백)공간을 검색한다. 그리고, 기록가능용량을 산출한다. 기록가능용량과 녹화 모드 키(904)에 의해 설정된 기록 모드에 의거하여 기록가능시간을 산출한다. 이후, 기록하는 동안에는 기록가능용량의 감소를 감시하고, 주기적으로 기록가능시간을 갱신한다. 한편, 사용자는 조작 스위치군(112)을 사용하여 원하는 채널을 선국하는 조작을 제어부(110)에 전해준다. 제어부(110)는 항상 조작 스위치군(112)의 상태를 검출하고, 사용자의 조작을 감시한다. 이때, 제어부(110)는, 선국 조작을 검출하여, 튜너부(101)를 제어하여 채널을 변경한다. 이하, 사용자의 조작은 다른 특정한 경우가 없으면, 조작 스위치군(112)을 통해서 제어부(110)에 전달된다.
다음에, 사용자가 기록 개시 요구를 발생시키면, 제어부(110)는 선국된 방송프로그램의 기록을 개시하도록 각 블록을 제어한다. 우선, 제어부(110)는, 인코더(102)에는 인코드 처리를 개시시키고, 디지털 비디오데이터를 메모리(106)의 소정 어드레스로부터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소정량의 데이터를 저장할 때마다, 인코더(102)는 제어부(110)에 인터럽트 등의 수단에 의해 그것을 통지한다. 제어부(110)는 이러한 통지를 받을 때, 다음에 저장해야 할 선두 어드레스를 인코더(102)에 통지한다. 또한 제어부(110)는 인코더(102)에 의해 메모리(106)에 저장된 디지털 비디오데이터를 HDD(105)에 기록하도록 ATAPI_I/F부(104)에 커맨드를 발행한다.
이때, HDD(105)에 기록하는 영역은, 파일 시스템에 준해서 검색된 기록가능(공백)영역이다. 이 인코드 처리로 HDD(105)에의 기록까지의 일련의 처리가, 기록 정지 요구가 발생할때 까지 반복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록 시작 지시로부터 기록 정지 지시까지의 사이에 기록된 일련의 데이터를 하나의 파일(콘텐츠)로서 기록한다. 또한, 콘텐츠의 기록 시간, 기록 일시, 채널, 타이틀 또는 특수재생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는 관리 정보를 파일의 헤더(또는 푸터(footer))로서 부가한다. 이와는 달리, 콘텐츠 관리 파일을 생성하여 HDD(105)에 기록한다.
다음에, 재생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에도 역시, 사용자에 의한 조작 스위치군(112)의 조작에 의해 재생하려고 하는 콘텐츠를 선택한다. 콘텐츠 리스트, 또는 콘텐츠에 관련된 대표 화상(섬네일)을 표시한다(이후, 이 화면을 콘텐츠 선택 화면이라고 한다). 포인터를 원하는 콘텐츠까지 이동시켜, 결정 키를 눌러 재생을 시작한다. 이러한 시퀀스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또는, 직접 재생 키(또는 재생 명령을 발행하기 위해서 할당된 키)를 누름으로써, 예를 들면 선두의 콘텐츠, 전회 재생시의 계속, 최후에 기록한 콘텐츠 등을 재생해도 된다.
제어부(110)는, 이렇게 결정한 콘텐츠의 디지털 비디오데이터를 HDD(105)로부터 판독한다. 구체적으로는, 기록시와는 반대로 HDD(105)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해 메모리(106)에 저장하도록 ATAPI_I/F부(104)에 커맨드를 발행한다. 기록시와 마찬가지로, HDD(105)의 판독 선두 섹터, 메모리(106)의 기록 선두 어드레스, 데이터양은 제어부(110)가 지정한다. 다음에, 제어부(110)는 디코더부(108)에 대하여, 메모리(106)에 저장된 디지털 비디오데이터를 디코드 처리하도록 커맨드를 발행한다. 콘텐츠가 종료하거나, 정지 또는 일시정지 등의 사용자 조작이 입력될 때까지, 디코더부(108)에 디코드 처리하는 디지털 비디오데이터가 연속적으로 되도록 일련의 처리가 반복해 실행된다.
콘텐츠 선택 화면의 일례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표시 화면(201)은, 영상출력단자(109)로부터 출력되어, 텔레비전 수상기 등에 표시되는 것이다. 도면부호 203∼208은 콘텐츠의 대표 화상이다. 선택 프레임(211)은, 선택되어 있는 콘텐츠를 사용자가 알도록 하기 위해서 표시된다. 사용자는 순차적으로 키 조작에 의해 상기 선택 프레임(211)을 이동시킨다. 그 선택 프레임(211)을 원하는 콘텐츠까지 이동시키고 재생을 지시하면, 원하는 콘텐츠의 재생이 개시된다. 이때, 도 2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콘텐츠의 기록일, 타이틀 및 기록 모드 등의 정보를 표시해도 된다.
상술한 기록 및 재생동작은, 광 디스크 D의 기록 및 재생에도 적용된다. 또 한 HDD(105)와 광 디스크 D 사이에서 데이터의 복사 또는 이동도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가능하다.
다음에, 본 발명의 특징이 되는 기록 동작을 도 4의 흐름도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기록 키를 눌렀을 때 기록 동작에 들어가면, 기록매체로서 선택되어 있는 것이 광 디스크 D인지를 판정한다(S401). 여기에서, 광 디스크 D가 아니라 HDD(105)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 HDD(105)에의 기록처리를 상술한 것처럼, 기록 정지 명령이 발생할때 까지 실행한다(S405).
광 디스크 D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 HDD(105)에의 기록과 마찬가지로, 광 디스크 D에의 기록을 시작한다(S402). 그리고, 광 디스크 D에의 기록을 행하면서, 광 디스크 D의 기록가능시간이 소정 값 이상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S403). 그 스텝 S403에서 예이면, 사용자 조작에 의해 기록 정지 명령이 발생한 것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S404). 스텝 S404에서 예이면, 본 흐름도에 의한 제어를 종료한다.
또한, 스텝 S403에서 아니오이면, HDD(105)에 대한 데이터의 기록을 시작한다(S405b). 이 처리 내용은 스텝 S405와 거의 마찬가지이지만, 여기서는, HDD(105)에 대한 기록을 시작하고 나서 소정시간 광 디스크 D에의 기록을 정지한다. 또한, 스텝 S405b에서의 HDD(105)에의 데이터의 기록은, 역시 사용자에 의한 기록 정지 명령이 발생했을 때에 종료한다.
스텝 S405b의 처리에 의해, 광 디스크 D에 대한 기록 정지 직전의 데이터를 HDD(105)에도 공통으로 기록한다. 광 디스크 D에 대한 기록을 정지한 후는 HDD(105)에 대하여 계속해서 데이터를 기록한다. 이후, 이 동작을 릴레이 기록이라고 한다. 릴레이 기록시에, 광 디스크 D로부터 HDD(105)에의 전환부분 근방의 소정 구간은 양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다. 이 구간을 중복영역/기간으로 한다.
이와 같이 릴레이 기록 후에 기록 정지의 지시가 있다면, 광 디스크 D의 잔 용량과 HDD(105)에 릴레이 기록된 데이터양을 비교한다(S408). HDD(105)에 릴레이 기록된 데이터양은, HDD(105)에 새롭게 기록된 콘텐츠로부터 중복영역/기간을 제외한 데이터양이다.
여기서, 광 디스크 D의 잔 용량쪽이 HDD(105)에 릴레이 기록된 데이터양보다도 큰 경우, HDD(105)에 릴레이 기록된 데이터를 광 디스크 D로 이동한다. 즉, 스텝 S406에서 디스크의 잔 용량쪽이 크다면, 그것은, HDD(105)에 실제로 릴레이 기록했지만, 결과적으로는 광 디스크 D에 데이터를 계속하여 기록하는 경우라도, 그 데이터가 광 디스크 D에 전부 기록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HDD(105)에 릴레이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광 디스크 D로 이동해 하나의 파일로서 결합한다.
그러나, 여기서는, 하나의 기록매체에서의 중복영역/기간은 삭제한 뒤에 결합한다. 결합이란, 광 디스크 D에 기록된 파일에 데이터를 보충하기 위한 처리로, 즉, 둘로 분할된 스트림을 하나의 파일에 시계열로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광 디스크 D의 관리 파일은 동시에 갱신된다.
한편, 스텝 S406에서 HDD(105)에 릴레이 기록된 데이터양보다 광 디스크 D의 잔 용량이 작은 경우, 광 디스크 D와 HDD(105)에 걸쳐서 기록된 콘텐츠(릴레이 콘텐츠)를 관리하기 위한 릴레이 기록 관리 정보를 생성하여, HDD(105)와 그 디스크 D에 기록한다(S407). 이 릴레이 기록 관리 정보는, 전술한 콘텐츠 관리 파일에 기재해도 된다. 제어부(110)는, 복수의 광 디스크로부터 특정한 콘텐츠, 즉 상기 릴레이 기록 관리 정보에 관련된 콘텐츠가 기록되어 있는 디스크를 특별히 지정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광 디스크에 기록하는 콘텐츠 관리 정보 또는 콘텐츠 파일에, 릴레이 기록된 콘텐츠이고, 그 릴레이 기록된 콘텐츠와 관련된 릴레이 기록 관리 정보인지 식별하는 부호를 부여하여 기록한다.
여기에서, 릴레이 기록 관리 정보에 대해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HDD(105)에 기록된 릴레이 기록 관리 정보의 일례이다. HDD 콘텐츠 관리 데이터(301)에서, HDD 콘텐츠 ID, 기록 일시, 시작 위치, 기록 시간, 용량 등의 항목은, HDD(105)에 기록된 부분에 관련된 것이다. 또한, 릴레이 ID는 릴레이 기록된 콘텐츠가 있을 때만 부여된다. 릴레이 기록된 콘텐츠가 아닐 때에는, 예를 들면 "0"으로 기록된다. 제어부(110)는, 이 릴레이 기록 관리 정보를 HDD(105)에 기록한 콘텐츠 파일마다 생성하여 기록한다.
도면부호 302는 광 디스크 D에 기록된 릴레이 기록 콘텐츠에 관한 식별 데이터이다(이하, 릴레이 기록 디스크부 정보라고 한다). DISC_ID는 광 디스크마다 유일하게 되도록 부여한 정보이다. 콘텐츠 ID, 기록 일시, 기록 시간, 잔 용량 등의 모든 정보는, 광 디스크에 관련되어 있다. 릴레이 기록 디스크부 정보(302)는 릴레이 ID에 의해 관련되어 있다. 제어부(110)는, 이 릴레이 기록 디스크부 정보(302)를 HDD(105)에 기록된 릴레이 기록 콘텐츠 파일마다 생성하여, HDD(105)의 소정의 영역에 그 정보(302)를 기록한다. 아울러, 제어부(110)는, 동일한 정보를 광 디스 크 D에 기록된 릴레이 기록 콘텐츠 파일마다 기록한다.
이와 같이, HDD(105)에 기록한 릴레이 기록 관리 정보와 광 디스크 D에 기록한 릴레이 기록 디스크부 정보(302)를 비교하면, 광 디스크 D와 HDD(105)에 기록된 릴레이 기록 콘텐츠를 서로에 대해 대응시킬 수 있다.
이때, DISC_ID는, 광 디스크 D를 처음으로 본체에 삽입했을 때, 또는 포맷했을 때 시스템이 추가한 정보이다. 규격상 모든 디스크에 개별 ID가 기록되어 있는 경우, 또는 무선 ID 태그와 같은 식별수단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그 ID를 이용하여도 된다.
다음에, 광 디스크에 기록한 최후의 콘텐츠에는, 릴레이 기록된 나머지의 데이터가 별도로 기록되어 있는 것을 알리는 메세지 정보를 생성하여, 디스크 D에 기록한다. 예를 들면, 도 5와 같은 영상을 소정시간 동안 재생하기 위한 비디오데이터를 기록한다. 이 데이터는, 인코더(102)에 의한 압축방식과 동일방식으로 압축처리된 비디오데이터이다. 또한, 그 데이터는, 미리 압축되어 있고, 제어부내의 프로그램으로서 ROM에 기록되거나, 또는 HDD(105)에 제조시에 기록된다.
상술한 도 4의 흐름도의 제어를 행하면, 릴레이 기록이 가능하다. 아울러, 광 디스크 D에 기록된 데이터만을 다른 기기로 재생한 경우에도, 사용자는 릴레이 기록된 콘텐츠가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에, 도 4의 흐름도에 의거하여 기록된 콘텐츠의 상태를,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의 횡축은 비디오데이터의 용량을 나타낸다. Ds 내지 De가 광 디스크 D 에 기록가능한 최대의 비디오데이터의 데이터양이다. D1 내지 De가 스텝 S403에서 릴레이 기록을 행할 것인지 아닌지를 판별하기 위한 잔 용량 임계값에 해당한다. D2 내지 De가 도 5의 비디오데이터를 기록하는데 필요한 용량이다. Hs의 우측은, HDD(105)에 기록된 데이터를 나타낸다. A, B, C, D는 도 4의 흐름도에서 화살표 A 내지 D에 따라 기록된 비디오데이터의 양 및 배치의 예들을 나타낸다. 도면부호 601∼609는 각각 기록되는 비디오데이터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그들은, 예를 들면 비디오데이터(601)와 같이 표현될 것이다. 도면부호 610은 릴레이 기록 관리 정보이다.
도 6의 상태 A에서는, 기록매체로서 HDD(105)를 선택하고 있으므로, 광 디스크 D에 데이터는 기록되지 않는다. 상태 B에서는, 광 디스크 D의 용량이 부족하기 전에 기록을 정지시키므로, HDD(105)에의 릴레이 기록은 행하지 않는다.
상태 C는, 릴레이 기록이 발생한 경우이다. 비디오데이터(603)의 기록도중에 디스크 D의 잔용량이 D1보다 작아지면, 스텝 S403로부터 스텝 S405b로 천이하고, HDD(105)에의 기록이 개시되어, 비디오데이터 606 및 608이 기록된다. 또한 비디오데이터(603)의 기록이 계속되어 그 잔 용량이 D2에 도달하였을 때, 광 디스크 D에의 기록을 정지한다. 또한, 비디오데이터 603의 D1 내지 D2의 구간의 데이터와, HDD(105)에 기록된 비디오데이터 606은, 동시에 기록되고, 동일한 비디오 스트림을 포함한다(이들 부분은 전술한 중복영역/기간에 해당함). 또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비디오데이터(605)는, 전술한 것처럼, 기록 종료 후에 기록된다. 비디오데이터 606, 608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분리되었다. 실제로는, 이들 데이터는, 하나의 콘텐츠(파일)로서 HDD(105)에 기록된다.
상태 D에서, 비디오데이터는 임시로 HDD(105)에 릴레이 기록된다. 그러나, 광 디스크 D의 잔 용량은 HDD(105)에 릴레이 기록된 데이터(609a)보다 크다. 즉,
|(D2-De)|≥비디오데이터(609a)의 양.
이 때문에, HDD(105)에 일단 릴레이 기록된 비디오데이터 609a를 디스크 D로 이동하고, 비디오데이터 609로서 기록한다. 전술한 것처럼, 비디오데이터 604와 609는 하나의 콘텐츠로서 기록된다. 결과적으로는, 그 데이터는 B의 패턴과 용량에 있어서만 다르다. 이동 후는 HDD(105)로부터 비디오데이터(607, 609a)를 삭제한다.
다음에, 재생시의 처리에 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광 디스크 D 및 HDD(105) 중 한쪽을 선택하고, 선택된 매체에 기록된 콘텐츠 중의 하나를 선택해서 재생하는 경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우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광 디스크 D가 선택된 경우의 재생동작에 대해서 도 7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디스크 D에 기록된 콘텐츠 중 하나가 선택되어서 재생이 지시되면, 전술한 릴레이 기록 관리 정보에 의거하여, 그 재생 지시된 콘텐츠가 릴레이 기록된 콘텐츠인지 아닌지를 판별한다(S701). 스텝 S701에서 예이면, 이 재생 지시된 콘텐츠에 대응하는 콘텐츠가 HDD(105)에 기록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HDD(105)에 기록되어 있는 릴레이 기록 디스크부 정보(302)의 릴레이 ID와 디스크 D로부터 재생한 릴레이 기록 관리 정보의 릴레이 ID를 비교하여, 판정한다(S702).
스텝 S702에서 예이면, 광 디스크 D로부터 선택된 콘텐츠의 재생을 실행한다 (S703). 그리고, 광 디스크 D에 기록된 콘텐츠의 재생점이 종료 부분에 근접하였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S704). 구체적으로는, 도 6의 상태 C의 경우에, 비디오데이터(603)를 D1까지 재생하였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 그 비디오데이터가 D1까지 재생되었을 때, 릴레이 기록 디스크부 정보(302)에 의거하여 HDD(105)에 기록된 릴레이 기록된 콘텐츠의 재생을 시작한다(S705).
그리고, 디코더(108)와 OSD(113)를 제어하여, 도 6의 비디오데이터(603)에서의 D1 내지 D2의 데이터를 재생하고 있는 기간동안에, 영상출력단자(109)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와, 음성출력단자(107)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HDD(105)로부터의 재생 데이터로부터 얻어진 신호들로 전환하여, 광 디스크 D의 재생을 정지한다.이때, 당연, 도 6의 데이터(605)로서 기록되어 있는, 도 5에 도시한 메세지 화면은 재생되지 않는다.
그 후, HDD(105)에 기록된 릴레이 기록 콘텐츠의 나머지 부분을 재생한다.
또한, 스텝 S701 또는 S702에서 아니오이면, 릴레이 기록 콘텐츠가 존재하지 않거나 또는 그 콘텐츠는 자기 기록 콘텐츠가 아니다. 이 때문에, 스텝 S706에서, 통상 재생을 하여 본 제어를 종료한다.
여기서, 재생 지시된 콘텐츠가 다른 장치에 의해 기록된 릴레이 기록 콘텐츠인 경우, 즉, 스텝 S702로부터 천이한 경우에는, 광 디스크 D의 콘텐츠 재생 종료시에 도 5의 메시지 화면이 재생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다른 장치에 콘텐츠의 계속이 있는 것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이상 설명한 릴레이 기록기능을 탑재하지 않은 장치에서, 디스크 D에 기록된 릴레이 기록 콘텐츠를 재생한 경우에도, 역시 도 5의 메세지 화면이 표시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계속이 있는 것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다음에, HDD(105)가 선택된 경우의 재생동작을 도 8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HDD(105)에 기록된 콘텐츠 중 하나가 선택되어서 재생이 지시되면, 전술한 릴레이 기록 관리 정보에 의거하여 재생 지시된 콘텐츠가 릴레이 기록된 콘텐츠인지 아닌지를 판별한다(S801).
스텝 S801에서 예이면, 이 재생 지시된 콘텐츠에 대응하는 콘텐츠가 광 디스크 D에 기록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HDD(105)에 기록되어 있는 릴레이 기록 디스크부 정보(302)의 릴레이 ID와 디스크 D로부터 재생한 릴레이 기록 관리 정보의 릴레이 ID를 비교하여 판정한다(S802).
스텝 S802에서 예이면, 도 3의 릴레이 기록 관리 정보에 의거하여 광 디스크 D에 기록된 상기 대응하는 릴레이 기록 콘텐츠를 검출하여, 광 디스크 D로부터 이 릴레이 기록 콘텐츠의 재생을 실행한다(S803). 그리고, 광 디스크 D에 기록된 콘텐츠가 종료부분에 근접하였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S804). 구체적으로는, 도 6의 상태 C의 경우에 있어서, 비디오데이터(603)를 D1까지 재생한 것인지 아닌지를 판별한다. 그 비디오데이터가 D1까지 재생된 시점에서, HDD(105)에 기록된 릴레이 기록 콘텐츠의 재생을 시작한다(S805).
그리고, 디코더(108)와 OSD(113)를 제어하여, 도 6의 비디오데이터(603)에서의 D1 내지 D2의 데이터를 재생하고 있는 기간동안에, 영상출력단자(109)로부터 출 력되는 영상신호와, 음성출력단자(107)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HDD(105)로부터의 재생 데이터로부터 얻어진 신호들로 바꾸고, 광 디스크 D의 재생을 정지한다. 이때, 당연히, 도 6의 데이터(605)로서 기록되어 있는 도 5에 나타낸 메세지 화면은 재생하지 않는다.
그 후, HDD(105)에 기록된 릴레이 기록 콘텐츠의 나머지 부분을 재생한다.
스텝 S801 또는 S802에서 아니오이면, 릴레이 기록 콘텐츠가 존재하지 않거나 또는 그 콘텐츠는 자기 기록 콘텐츠가 아니다. 이 때문에, 스텝 S806에서 통상 재생을 하여 본 제어를 종료한다.
여기서, 재생 지시된 콘텐츠가 릴레이 기록 콘텐츠이고, 광 디스크 D가 삽입되지 않거나 그 삽입된 광 디스크 D가 상기 대응하는 릴레이 콘텐츠를 기록한 광 디스크가 아닌 경우, 즉 스텝 S802로부터 천이한 경우에는, HDD(105)의 콘텐츠 재생 시작시에 도 5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메시지 화면이 재생되어도 된다. 이 경우, 사용자는 그 콘텐츠의 시작부분이 광 디스크 D에 있는 것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적절한 광 디스크 D를 삽입하여 상기 시작부분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상기 릴레이 콘텐츠를 감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릴레이 기록을 행한 장치에서 릴레이 기록 콘텐츠를 재생하는 경우(자기 기록/재생)와, 대응하는 릴레이 기록 콘텐츠가 광 디스크 D와 HDD(105)에 기록되어 있는 경우에, 사용자는 상기 선택된 매체, 즉 광 디스크 D 또는 HDD(105)에 상관없이 재생을 지시하는 것만으로, 광 디스크 D로부터 HDD(105)에 릴레이 기 록된 데이터를 연속해서 감상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착탈가능한 광 디스크에 기록중, 예를 들면 용량부족으로 인해 하드디스크 등의 내부의 대용량 기록매체에 백업 기록(릴레이 기록)을 실행한 경우에, 광 디스크에 기록한 릴레이 기록 콘텐츠의 최후에 릴레이 기록을 행한 것을 나타내는 메세지 화면의 정보를 부가해서 기록하고 있다. 그러므로, 이 광 디스크에 기록된 릴레이 기록 콘텐츠를 다른 장치로 재생한 경우에도, 사용자는 콘텐츠의 계속이 기록장치에 기록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릴레이 기록을 행한 경우에, 광 디스크와 HDD에 대하여, 릴레이 기록 콘텐츠를 서로 대응시키기 위한 식별정보를 기록한다. 재생시에는, 이 식별정보에 따라서 광 디스크와 HDD에 기록된 릴레이 기록 콘텐츠를 자동적으로 연속해서 재생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광 디스크에 기록된 원하는 콘텐츠를 선택해서 재생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HDD에 기록되어 있는 콘텐츠도 시청 가능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릴레이 기록이 발생한 경우, 광 디스크의 릴레이 기록 콘텐츠를 재생한 후에 도 5의 메세지 화면이 표시되도록 기록하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 정보는, 관리 정보로서 기록해도 된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각 기기간에 호환이 유지되도록 미리 정보의 의미를 정의하여 놓아야 한다.
또한, 메세지 화면의 비디오데이터 대신에, 콘텐츠가 릴레이 기록 콘텐츠인 것을 사용자에게 통지하기 위한 음성 데이터를 부호화해서 광 디스크에 기록해 둔 다. 광 디스크의 릴레이 기록 콘텐츠를 재생한 후에, 이 메세지 음성 데이터를 재생하여도 된다.
<제 2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화상 기록/재생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과 번호가 동일한 블록은 도 10과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인코더(102)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튜너(101)로부터의 비디오데이터를 받아, 그 데이터를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방식의 디지털 비디오데이터로 순차적으로 변환한다. 또한, 본 장치는, (후술하는) 디코더(918)로부터의 음성신호와, OSD부(919)로부터의 영상신호를 입력하는 인터페이스를 구비한다. 또한, 그 신호들은 MPEG데이터로 변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디코더(918)는 제어부(110)에서 지정된 버스(103)상의 어드레스로부터 MPEG 데이터를 순차로 판독 및 복호해서 출력한다.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OSD)부(919)는, 튜너(101)로부터의 디지털 비디오데이터에 비트맵 데이터를 중첩한다. 디코더(918) 및 OSD부(919)는 인코더(102)에도 그 신호들을 출력 가능하도록 고안되어 있다.
도 10의 구성에서는, 제어부(110)에 의해 지정된 비트맵 화면을 OSD부(919)에 의해 생성하여, 인코더(102)에 출력한다. 이에 따라서, 그 비트맵 화면은 MPEG데이터로 부호화되어서 HDD(105) 또는 광 디스크 D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제 1 실시예에서는, 광 디스크 D에 기록하는 릴레이 기록의 메세지 정 보화면은 고정이었다. 그러나, 제 2 실시예에서는, 적절하게 변화하는 메세지 정보를 만드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도 5의 릴레이 기록 정보를 도 11과 같이 변경한다.
화면(1011)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OSD부(919)에 의해 생성된다. 또한, 이 화면을 인코더(102)에 의해 압축 부호화하여, 릴레이 기록 콘텐츠의 재생시의 최후에 재생되도록 광 디스크 D에 기록한다. 정보 메시지(1012)는, 도 5와 다른 것은 가변가능한 문자열, 즉 "1시간"이라고 하는 문자열이 가해져 있다는 점이다. 이 "1시간"이란, HDD(105)에 릴레이 기록된 기록시간이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HDD(105)에 대한 릴레이 기록이 종료한 시점에서, HDD(105)에 기록된 릴레이 기록 콘텐츠의 재생 시간을 검출하고, 이 재생 시간 정보에 의거하여 메세지 화면을 생성하고 있다.
또한, "관리자"는, 미리 장치에 등록된 문자열, 예를 들면 소유자의 이름, 닉네임, 연락처 등으로 대체해도 된다. 또한, 배경으로서는 HDD에 기록된 영역에 있는 화상이나 음성을 사용해도 된다.
마찬가지로, 그 콘텐츠의 전반부분의 존재를 나타낸 메시지는, 광 디스크 D에 기록된 부분의 길이를 검출하여 생성되어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 2 실시예에 의하면, 릴레이 기록된 광 디스크를 다른 장치로 재생하는 경우, 사용자는 보다 정확하게 나머지 부분의 정보를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전반부분을 갖는 광 디스크 D를 삽입하지 않고 HDD(105)에 기록된 콘텐츠에 대한 재생지시를 입력하는 경우라도, 사용자는 광 디스크 D에 기록된 전반부분의 시간을 알 수 있다.
<제 3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광 디스크 D 혹은 HDD(105)에 기록된 각 콘텐츠의 대표 화상들로서 섬네일 리스트로부터 재생하고 싶은 콘텐츠를 사용자가 선택할 때에, 릴레이 콘텐츠를 인식할 수 있다. 이렇게 하기 위해서, 본 실시예에서는 릴레이 콘텐츠를 나타내는 아이콘을 표시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도면부호 1101은, 본 실시예의 콘텐츠 선택화면의 일례이다. 이 섬네일 리스트 표시 화면에 있어서, 아이콘(1120)은, 제어부(110)가 릴레이 기록된 콘텐츠라고 판단한 콘텐츠의 섬네일의 근방에 표시된다. 도 12에 도시된 예에서, 대표 화상(205 및 208) 위에 표시하고 있는 아이콘(1120)은, 이들 섬네일에 대응하는 콘텐츠가 릴레이 기록 콘텐츠인 것을 시각적으로 보이고 있다. 또한, 이 아이콘(1120)은, 재생을 위해 선택된 기록매체, 즉 HDD(105) 또는 광 디스크 D에 상관없이 표시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HDD(105)가 선택된 상태에서 섬네일 리스트 화면의 표시 지시가 입력되면, HDD(105)에 기록된 각 콘텐츠의 대표 화상을 도 12와 같이 리스트로 표시한다. 아울러, 릴레이 기록 관리 정보에 근거하여, 릴레이 기록 콘텐츠의 대표 화상의 근방에 아이콘(1120)을 표시한다. 한편, 광 디스크 D가 선택된 상태에 서 섬네일 리스트 화면의 표시 지시가 입력되면, 마찬가지로, 광 디스크 D에 기록된 각 콘텐츠의 대표 화상을 도 12와 같이 리스트로 표시한다. 아울러, 릴레이 기록 관리 정보에 근거하여, 릴레이 기록 콘텐츠의 대표 화상의 근방에 아이콘(1120)을 표시한다.
예를 들면, HDD(105)가 선택되고, 그 아이콘(1120)이 표시될 때, 사용자는 이 콘텐츠의 선두부분이 HDD(105)에 기록되어 있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광 디스크 D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자기 기록/재생이 아니면 릴레이 기록 콘텐츠를 끝까지 볼 수 없는 것을 재생전에 알 수 있다. 또한, 광 디스크가 자기 기록/재생 디스크가 아니거나 그 선두부분을 갖는 광 디스크 D가 삽입되지 않은 경우에는, 아이콘(1120)의 색이나 형태를 변화시켜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는, 콘텐츠 선택시에 릴레이 기록된 콘텐츠인지 아닌지를 알 수 있고, 미리 적절한 디스크를 준비할 수 있다.
또한, HDD에 기록된 릴레이 기록 콘텐츠에 대응하는 전반부분의 데이터가 현재 삽입된 광 디스크에 기록되어 있지 않거나, 광 디스크 D가 삽입된 경우, 제어부(110)는, 지정된 콘텐츠가 릴레이 기록된 콘텐츠이며, 전반부분의 데이터가 다른 광 디스크에 기록된 것을 사용자에게 메세지 화면을 생성해서 출력하도록 OSD부를 제어하여도 된다.
이때, 상기 삽입된 광 디스크가 상기 선택된 콘텐츠의 전반부분이 기록된 매체가 아닌 경우, 사용자는 그 매체를 교환하도록 통지해도 된다.
<제 4 실시예>
상술한 것처럼, 릴레이 기록을 행한 경우, 기록종료 후에 광 디스크에 필요한 공백 공간이 확보되면, 릴레이 기록된 콘텐츠, 즉 도 4 또는 도 6의 시퀀스 C로 HDD(105)에 기록된 부분의 콘텐츠를 광 디스크로 이동하여, 그 전반부분의 데이터와 결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를 위해서는, 예를 들면 콘텐츠 단위로 소거하는 콘텐츠 소거, 또는 콘텐츠의 일부를 소거하는 부분소거 등의 편집기능에 의해, 사용자가 광 디스크(재기록가능한 디스크)에 공백 공간을 만든다. 콘텐츠 소거는, 도 2의 콘텐츠 선택 화면에서 소거하고 싶은 콘텐츠에 선택 프레임(211)을 이동시키고, 소거 키(910)를 눌러 소거가 실행된다. 또한 소거하고 싶은 콘텐츠를 재생중에 소거 키(910)를 눌러도 된다.
다음에, 부분소거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도 6과 마찬가지로, 콘텐츠의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횡축은 시간을 나타낸다. 도면부호 1001은 일련의 콘텐츠를 나타낸다. 좌측 방향에서 우측 방향으로 시간이 경과한다. 도면부호 1002는 콘텐츠(1001)의 최초의 장면이며, 여기에서는 장면 A라고 하고, 도면부호 1003은 불필요 인(IN) 점, 1004는 불필요 아웃(OUT) 점이다. 불필요 인 점(1003)으로부터 불필요 아웃 점(1004)까지가, 예를 들면 CM 등 사용자가 소거하고 싶다고 생각하고 있는 영역으로 한다.
도면부호 1005는 콘텐츠(1001)의 장면 B이고, 도면부호 1011은 불필요 인 점 (1003)의 영상이고, 1012는 불필요 아웃 점(1004)의 영상이다. 부분소거 실행 후는, 1001b로 나타낸 것처럼, 장면 A(1002)와 장면 B(1005)만을 포함하는 콘텐츠가 광 디스크 D 위에 남게 된다.
이 조작을 실현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2의 콘텐츠 선택 화면의 상태(콘텐츠 대표 화상(205) 선택)에서, 메뉴 키(909)가 조작된다. 따라서, 실행가능한 기능 리스트가 제어부(110)에 의해 TV 수신기등의 표시장치(미도시됨) 상에 표시된다. 이 상태를 도 14에 나타낸다. 도면부호 1101은 기능 리스트이다. 도 14에 도시된 예에서는, 정보, 타이틀 설정, 부분소거 등을 선택할 수 있다. 초기 상태에서, "정보"를 선택한다.
도 15는 기능 리스트(1101)만을 나타낸 도면이다. 포커스(1201)는, 현재 선택되어 있는 기능을 나타낸다. 십자 키(911)를 조작하여 도 15와 같이 포커스(1201)를 이동시켜 간다. 또한, 결정 키(917)를 조작하면, 기능 선택이 결정된다.
도 16은 이 조작에 의해 부분소거를 선택했을 때의 표시예이다.
전체 표시 화면(1301) 상에, 콘텐츠 대표 화상(205)에 관련된 콘텐츠를 표시한다. 또한, 이후 설명하는 각종 정보를 합성해서 표시하고 있다. 이때, 이 콘텐츠는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같다고 한다. 도면부호 1302는 재생상태를 나타낸 정보이다. 현재는 보통 재생이므로, "재생"이라고 표시하고 있다. 이 밖에 "일시정지", "급속전진(fast-forward)" 및 "되감기"가 있다. 각 상태를 나타내는 그래픽 패턴이 표시되어도 된다. 카운터 값(1303)은, 현재 재생되어 있는 카운터 값(시간)을 표시하고 있다. 인 점의 영상(1304)은, 부분소거의 시작점의 영상을 나타낸 다. 도 16에서는 인 점이 아직 선택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제어부(110)가 생성한 초기화면으로 표시되어 있다. 아웃 점의 영상(1305)은, 부분소거의 종료점의 영상을 나타낸다. 도 16에서는 아웃 점이 아직 선택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제어부(110)가 생성한 초기화면으로 표시되어 있다.
도면부호 1306은 그 선택된 기능의 정보이다. 그 정보(1306)는, 현재 부분소거기능의 실행중인 것을 표시하고 있다. 도 17a는 재생이 계속되거나, 또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급속전진 조작을 실행한 상태를 나타내고, 도 13의 불필요 인 점(1003)에서 일시정지가 설정된다. 도 17a는 일시정지 직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면부호 1301b는 불필요 인 점(1003)의 영상(1011)에 도 16에서 설명한 각종 정보를 중첩한 화면이고, 도면부호 1302b는 재생상태를 나타낸 정보이다. 그 정보(1302b)는, 현재 일시정지인 것을 표시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결정 키(917)를 누르면 부분소거의 인 점이 결정된다. 이 상태의 표시 화면이 도 17b이다. 이 영상은, 현재 일시정지하고 있는 영상의 섬네일 화상(1304c)으로 대체된다.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OSD부(113)가 일시정지 위치의 1 프레임의 화상 데이터를 추출하여, 축소해서 그것을 합성하여 그 화면을 생성한다. 또한, 제어부(110)는, 불필요 인 점의 결정과 동시에 현재의 위치를 부분소거 개시위치로서 기억한다.
그 후, 마찬가지로 부분소거 종료점도 결정된다. 제어부(110)는 부분소거 종료 위치도 기억한다. 이때의 표시 화면이 도 18a이다.
도면부호 1301d는 불필요 아웃 점(1004)의 영상에, 도 16에서 설명한 각종 정보를 중첩한 화면을 나타낸다. 그 영상은, 현재 일시정지하고 있는 영상의 섬네일 화상(1305d)으로 대체된다. 도 18b는, 도 18a의 화면과 동시이거나, 혹은 소정 시간 후(예를 들면, 1초 후)에 표시하는 화면이다. 도면부호 1511은 다이얼로그, 1512는 메세지, 1513은 "예" 버튼 이미지, 1514는 "아니오" 버튼 이미지이다.
도 18b에 나타낸 것처럼, 사용자에게 현재 지정되어 있는 부분을 소거할 것인지 아닌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메시지(1512)를 포함하는 다이얼로그(1511)를 표시한다. 사용자는 십자 키(911)를 조작하여, "예" 버튼 이미지(1513)나, "아니오" 버튼 이미지(1514)를 선택하고, 결정 키(917)로 그 선택을 결정한다. "예" 버튼 이미지(1513)를 선택 결정한 경우에는, 부분소거가 실행된다. 이 작업을 반복함으로써, 사용자는 소거하고 싶은 장면만을 소거할 수 있다.
다음에, 릴레이 기록 콘텐츠를 포함하는 광 디스크에서 부분소거를 행한 경우의 정보표시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9는 릴레이 기록된 콘텐츠를 포함하는 광 디스크에 녹화되어 있는 콘텐츠 중 하나에 대하여 부분소거를 행할 때의 표시화면을 나타낸다.
도면부호 1621은 릴레이 기록 연결 아이콘, 1622는 릴레이 기록 연결 인디케이터, 그리고 1623은 기록가능용량의 정보이다. 릴레이 기록 연결 아이콘(1621)은, 우측에 표시된 인디케이터가 릴레이 기록 연결 인디케이터(1622)인 것을 나타낸다. 기록가능용량(1623)은, HDD(105)에 기록되어 있는 릴레이 기록 콘텐츠의 일부를 광 디스크 D로 이동해서 그것을 연결하기 위해서 사용가능한 광 디스크 D의 용량을 나타내고 있다. 이때, 기록가능용량(1623)이 릴레이 녹화 연결 인디케이터(1622)의 우단까지 왔을 때, HDD(105)에 기록되어 있는 부분의 릴레이 기록 콘텐츠를 광 디스크 D로 이동 가능한 것을 나타낸다. 이후, 그 인디케이터들(1621∼1623)을 릴레이 기록 연결 정보 인디케이터라고 한다.
예를 들면, HDD(105)에 기록된 릴레이 기록 콘텐츠의 후반부분의 데이터를 이동하는 데에는 광 디스크 D는 1GB의 잔 용량을 가져야 하고, 현재 500MB의 잔 용량이 있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에, 기록가능용량(1623)을 릴레이 기록 연결 인디케이터(1622)의 딱 중간점에 표시한다. HDD(105)에 기록된 릴레이 기록 콘텐츠의 데이터를 광 디스크 D로 이동 및 연결한 후, 중복영역/기간으로서 기록되었던 비디오데이터(605)의 기록 영역은 빈 영역이 된다. 따라서, 기록가능용량(1623)도 0으로는 안된다.
다음에, 전술한 것처럼, 릴레이 기록 콘텐츠를 포함하는 광 디스크에 대해 부분소거를 행한 경우에, 기록가능용량(1623)의 변화방식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20은, 도 19의 상태로부터 부분소거를 시작하고, 불필요 인 점이 결정되어, 불필요 아웃 점을 지정하기 위해 더욱 재생을 진행시켜, 도 13의 t1 점까지 되어 있는 상태이다. 기록가능 예약용량(1731)은, 현재 소거 후보로 되어 있는 영역, 즉 불필요 인 점으로부터 t1까지를 소거한 경우에 새롭게 발생하는 잔 용량을 나타낸다.
또한, 도 21을 참조하여 기록가능 예약용량(1731)의 변화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부호 1801은 불필요 인 점이 결정될때 까지의 표시를 나타낸다. 아직 기 록가능 예약용량(1731)은 존재하지 않는다. 이후, 불필요 아웃 점을 검색하기 위해, 급속전진 및 재생 조작에 의해 콘텐츠의 재생점은 앞으로 이동된다. 이때의 표시예가 도면부호 1802 및 1803이다. 그 표시예 1802, 1803은, 각각 도 13의 t1 및 t2에 해당한다. 표시상태(1804)는, 불필요 아웃 점까지 재생점을 진행시켰을 때 얻어진다.
표시상태(1805)는, 소거가 결정되고, 도 18b의 다이얼로그(1511)가 표시되고, 사용자가 "예" 버튼 이미지(1513)를 선택하고, 부분소거가 실행된 때에 얻어진다. 여기에서는 기록가능 예약용량(1731)의 영역은, 기록가능 용량 인디케이터 1623와 합성되어, 기록가능 용량 인디케이터 1623d로 된다. 또한, "아니오" 버튼 이미지(1514)를 선택한 경우에는, 그 표시상태는 1801로 되돌아가게 된다.
이와 같이 기록가능 예약용량(1731)은 실시간으로 변화된다. 그 영역이 실제로 소거되면, 기록가능 예약용량(1623)으로 바뀐다. 이 동작을 반복하여, 기록가능용량(1623)이 릴레이 기록 연결 인디케이터(1622)의 우단까지 왔을 때, HDD(105)에 기록된 릴레이 기록 콘텐츠를 광 디스크 D로 이동 가능한 것을 나타내고, 도 22의 다이얼로그를 표시한다. 도면부호 1901은 HDD 녹화부 이동 확인 다이얼로그이며, 1902는 HDD녹화부 이동 확인 메시지이다. 사용자가 "예" 버튼 이미지(1513)를 선택하면 소거가 실행된다. 사용자가 "아니오" 버튼 이미지(1514)를 선택하면, 그 처리가 취소된다.
이러한 부분소거 처리 및 그것에 관련된 릴레이 기록 콘텐츠의 이동 처리에 대해서 도 23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광 디스크 D에 대하여 콘텐츠의 부분소거를 시작하면, 광 디스크 D에 릴레이 기록된 콘텐츠가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S2001). 스텝 S2001에서 예이면, 전술한 것처럼, 릴레이 녹화 연결 정보를 표시해서 부분소거 처리를 행한다(S2002). 부분소거가 종료하면, 다시 릴레이 기록 콘텐츠가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S2003). 여기에서, 존재하지 않는 것은 부분소거를 행한 대상이 릴레이 기록 콘텐츠이며, 그 릴레이 기록 콘텐츠의 모든 장면을 소거해버렸을 때이다. 그 경우에는, (후술하는) 스텝 S2007로 천이한다. 그 릴레이 기록 콘텐츠가 소거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HDD(105)에 기록된 릴레이 기록 콘텐츠의 데이터양과 광 디스크 D의 잔 용량을 비교한다(S2004).
그리고, 광 디스크 D의 잔 용량쪽이 큰 경우, 광 디스크 D에 대하여 HDD(105)에 기록된 릴레이 기록 콘텐츠부의 이동 요구가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S2005). 이것은, HDD(105)에 기록된 릴레이 기록 콘텐츠를 광 디스크 D로 이동할 것인지를 사용자에게 확인을 하는 처리이다. OSD부(113)를 제어해서 도 22에서 설명한 다이얼로그를 표시하고, 사용자의 입력을 기다린다.
스텝 S2005에서 예이면, HDD(105)에 기록된 릴레이 기록 콘텐츠 부분의 데이터를 재생하여, 광 디스크 D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광 디스크 D 및 HDD(105)에 기록되어 있는 릴레이 관리 정보를 갱신한다(S2007).
또한, 스텝 S2003에서 아니오이고, 스텝 S2004에서 아니오이거나, 또는 스텝 S2005에서 아니오인 경우라도, 스텝 S2007에서 릴레이 관리 정보를 갱신한다.
또한, 스텝 S2001에서 아니오이면, 도 16∼도 18b에서 설명한 일반적인 부분 소거 처리를 실행한다.
상술한 것처럼, 광 디스크에 릴레이 기록 콘텐츠가 기록되어 있는 경우에, 디스크 D로부터 불필요한 부분을 소거해서 용량을 작성한다. 이에 따라서, HDD(105)에 기록되어 있던 릴레이 기록 콘텐츠 부분을 디스크 D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HDD(105)에 기록된 릴레이 기록 콘텐츠의 양이 상기 릴레이 기록 콘텐츠의 일부를 소거하여서 광 디스크 D의 잔 용량보다 작게 되어 있는 경우, 그 릴레이 기록 콘텐츠를 광 디스크 D로 이동할 수도 있다. 도 24는, 상술한 것처럼, HDD(105)에 기록된 릴레이 기록 콘텐츠의 일부를 삭제함으로써 그 데이터양을 감소하여, 광 디스크 D로 이동할 때의 제어부(110)의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HDD(105)에 기록된 콘텐츠에 대한 부분소거의 지시가 발생되면, 부분소거가 지시된 콘텐츠가 릴레이 기록 콘텐츠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S2101). 여기서, 스텝 S2101에서 예이면, 도 20 및 도 21에서 설명한 처리와 마찬가지의 부분소거처리를 실행한다(S2102). 그러나, 이 경우에는, 기록가능 예약용량(1731)은 HDD(105)로부터 릴레이 기록 콘텐츠를 소거하여 증가하게 된다.
부분소거처리의 결과, 대상의 릴레이 기록 콘텐츠의 일부가 HDD(105)에 남아있는지 아닌지를 다시 판정한다(S2103). 스텝 S2103에서 예이면, HDD(105)와 광 디스크 D에 기록된 릴레이 관리정보에서의 디스크 ID들(DISC_ID)이 서로 일치하는지를 판정한다(S2104). 스텝 S2104에서 아니오이면, OSD부(113)를 제어하여 광 디스크가 이동하려고 하는 HDD(105)의 릴레이 기록 콘텐츠에 대응하는 릴레이 기록 콘텐츠를 기록한 디스크와 다른 것을 나타내는 경고정보를 표시하고, 그 대응한 디스 크가 장착될 때까지 처리를 기다린다(S2105).
스텝 S2104에서 예인 경우, 광 디스크 D의 잔 용량과 HDD(105)에 남겨진 릴레이 기록 콘텐츠의 데이터양을 비교한다(S2106). 그 결과, 광 디스크 D의 잔 용량쪽이 큰 경우에는, 광 디스크 D에 대하여 HDD(105)에 기록된 릴레이 기록 콘텐츠 부분의 이동 요구가 있는지 없는지를 판정한다(S2107). 이것은, HDD(105)에 기록된 릴레이 기록 콘텐츠를 광 디스크 D로 이동할 것인지 어떤지를 사용자에게 확인을 행하는 처리이다. OSD부(113)를 제어해서 도 22에서 설명한 다이얼로그를 표시하고, 사용자의 입력을 기다린다.
스텝 S2107에서 예인 경우, HDD(105)에 기록되어 있는 릴레이 기록 콘텐츠 부분을, 전술한 것처럼, 광 디스크 D로 이동한다(S2108). 또한, 광 디스크 D와 HDD(105)의 릴레이 관리 정보를 갱신한다.
또한, 스텝 S2103에서 아니오이고, 스텝 S2106에서 아니오이거나, 스텝 S2107에서 아니오인 경우도, 스텝 S2109에서 릴레이 관리 정보를 갱신한다.
또한, 스텝 S2101에서 아니오인 경우, 도 16∼도 18b를 참조하여 설명한 일반적인 부분소거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광 디스크 D에 기록된 콘텐츠 중, 릴레이 기록 콘텐츠 이외의 콘텐츠를 소거할 때에 표시하는 다이얼로그를 도 25에 나타낸다. 다이얼로그(2201)은, 상술한 것처럼, 콘텐츠를 소거할 때에 표시한다. 도 25의 다이얼로그(2201)는, 부분소거가 아니라, 예를 들면 재생중, 또는 도 2의 콘텐츠 선택 화면표시중에 소거 키(910)를 사용자가 조작한 경우, 전체적으로 소거하는 경우에, 표시하는 확인 메세 지이다. 기록가능 예약용량(1721e)은, 현재 선택되어 있는 콘텐츠를 소거함으로써 발생하는 용량에 해당한다. 또한 기록가능 예약용량(1721e)이 릴레이 기록 연결 인디케이터(1622)의 우단까지 오면, 부분소거시와 마찬가지로 이동 다이얼로그(1902)를 표시하고, HDD 녹화부의 이동 확인을 행한다.
그 이동은, 광 디스크와 HDD에 걸쳐서 기록된 콘텐츠를, 광 디스크에 두고, 처음부터 모두 광 디스크에 기록한 것과 마찬가지로 취급할 수 있도록 연결하고, 각 관리 정보를 재기록하는 처리도 포함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착탈가능한 광 디스크와 HDD에 콘텐츠를 분할 기록한 후, 광 디스크에 기록된 불필요한 데이터를 소거해서 HDD에 기록된 데이터를 광 디스크로 이동한다. 이때, HDD에 기록된 릴레이 기록 콘텐츠의 기록에 필요한 데이터양을 광 디스크의 데이터 삭제 화면 위에 표시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용자는 광 디스크의 잔 용량이 이동하는데에 충분한 용량인지 아닌지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HDD에 분할 기록된 릴레이 기록 콘텐츠를 용이하게 광 디스크로 이동 및 결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5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와 같은 기록/재생장치에는, 외부기기에/로부터 데이터와 커맨드를 송신/수신하기 위한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탑재하고 있는 기기가 많다. 예를 들면, 디지털 인터페이스의 예로는 IEEE1394와 USB이 있다.
도 26은 디지털 I/F를 구비한 기기를 접속한 시스템(230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6에서, 도면부호 230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록/재생장치이다. 이 기록/재생장치의 구성을 도 27에 나타낸다. 자기테이프를 기록매체로서 사용한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2302)는, 기록/재생장치(2301)와 접속 가능한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있다. 또한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2302)는, 기록 개시 부분에 기준 마커를 기록한다. 또한 사용자 조작에 의해 임의의 부분에 기준 마커를 기록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기록/재생장치(2301)와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2302)를 케이블(2303)로 접속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러한 시스템을 사용하여, 예를 들면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2302)로 촬영된 비디오데이터를 기록/재생장치(2301)에 송신하고, DVD-R 또는 DVD-RAM과 같은 재기록가능한 광 디스크에 복사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기록/재생장치(2301)의 구성을 도 27에 나타낸다.
이때, 도 27의 기록/재생장치는, 디지털 I/F부(117)를 제외하고는 도 1의 기록/재생장치와 거의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이 디지털 I/F(117)를 거쳐서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2302) 또는 그 밖의 기기에/로부터 데이터의 송신/수신이 가능하다.
기록/재생장치(2301)와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2302)를 접속하여, 그 비디오 카메라(2302)로부터 송신된 비디오데이터를 기록/재생장치(2301)에 의해 기록할 때의 데이터의 흐름에 대해서 도 2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8은 소위 시퀸스 도면으로, 기록/재생장치(2301)와 디지털 비디오 카메 라(2302) 사이의 데이터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도면부호 2501은 기록/재생장치(2301)로부터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2302)에 대하여 송신된 데이터이다. 이러한 예에서, 그 데이터(2501)는 제어 커맨드이다. 도면부호 2502는 제어 커맨드(2501)에 대한 응답 메시지이고, 도면부호 2503은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3202)로부터 기록/재생장치(2301)에 대하여 송신된 비디오데이터이다.
예를 들면, 제어 커맨드(2501)는 재생 명령이다. 이 명령(2501)에 따라, 비디오테이프의 재생이 개시되어, 비디오데이터(2503)를 송신한다. 그 비디오데이터의 전송중에도, 제어 커맨드의 송수신은 행할 수 있도록 고안되어 있다.
따라서, 소정 간격으로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2302)의 상태를 요구하는 제어 커맨드를 발행함에 의해, 기준 마커의 유무, 타임 코드 및 녹화 일시 등의 각종 정보를 취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기록/재생장치(2301)는 수신한 비디오데이터를 광 디스크 D 또는 HDD(105)에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광 디스크 D와 HDD(105)에 동시에 또는 교대로 그 데이터를 실시간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시스템에 있어서,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2302)로부터 수신한 비디오데이터를 기록/재생장치(2301)가 광 디스크에 기록하는 동작에 대해서, 도 2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9는, 비디오데이터의 이미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부호 2602는 광 디스크 D에 기록된 데이터이고, 2603은 HDD(105)에 기록된 영역이다. 사용자에 의해 광 디스크 D가 선택되어, 기록 개시의 지시가 있다면, 디지털 I/F부(117)를 통해 수신한 비디오데이터의 기록을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광 디스크 D와 HDD(105)의 양자에 대하여 데이터의 기록을 개시한다. 도면부호 2601a∼2601d는 수신한 비디오데이터에 포함되는 기준 마커의 위치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기록을 행한 결과, 광 디스크 D에는 기간(2604) 동안의 데이터를 기록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나머지의 데이터에 관해서는, 디스크 D가 용량부족 때문에 기록될 수 없다. 본 실시예에서는, 광 디스크 D에 기록된 최후의 기준 마커(2601d)로부터 기록 정지점까지의 데이터를 HDD(105)에서 백업한다. 그 기준 마커(2601d) 이전에 HDD(105)에 기록된 데이터는 HDD(105)로부터 삭제한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HDD(105)에 기록되는 것은 기간 2605 중의 데이터뿐이다.
이 동작에 의해, 예를 들면 사용자는 그 디스크를 새로운 광 디스크로 교환하여, HDD(105)에 백업 데이터로서 기록된 기준 마커(2601d)로부터 그 데이터를 새로운 디스크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도 29에 있어서, 기준 마커를 검출할 때마다, HDD(105)에 백업 데이터로서 기록한 데이터를 삭제해도 된다. 또한, 기록을 종료할 때, 광 디스크 D에 기록된 데이터 중, 기준 마커(2601d)로부터의 데이터를 삭제해도 된다. 이때, 그 데이터를 삭제할 것인지 아닌지를 사용자에게 문의해도 된다. 또한, 기록을 개시할 때,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로부터 테이프 잔 용량정보를 취득하여도 된다. 광 디스크 D에 그 데이터가 모두 기록가능한 경우에, HDD(105)에의 백업 기록을 정지해도 된다.
또한, HDD(105)에 백업 기록할 때에,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릴레이 기록 관리 정보를 기록해 두고,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재생하여도 된 다. 또한, 기준 마커가 아니라, 두 나라 말로된 국어, 스테레오 또는 모노랄 등의 음성 모드의 전환위치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로부터의 더빙을 설명하였다. 방송파를 기록할 때에는, 음성의 전환위치를 검출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실시예에 의하면,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등의 외부기기로부터 송신된 비디오데이터를 수신해서 광 디스크에 기록한다. 비디오데이터의 데이터양이 광 디스크의 기록 잔 용량을 초과하여도, HDD에 그 데이터를 백업할 수 있다. 이때, 수신한 비디오데이터내의 기준 마커를 검출해서 광 디스크와 HDD에 기록된 데이터의 경계를 결정하므로, 콘텐츠의 적절한 부분에서 그 데이터를 분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같은 기능이 실현되는 경우, 상술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화면 구성 및 디자인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튜너를 내장한 퍼스널 컴퓨터 상에서 동작하여, 상기와 같은 기능을 실현하는 소프트웨어에 적용될 수 있다.
기록하는데 필요한 용량을 기록 프로그래밍에서처럼 미리 산출할 수 있는 경우, 릴레이 기록은 행할 필요가 없다. 그 광 디스크의 용량이 너무 작으면, 데이터를 HDD에 기록하여도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의하면, 착탈가능한 기록매체에 녹화중, 용량부족으로 인한 내부의 대용량 기록매체에 백업 기록(릴레이 기록)된다고 가정한다. 후에 착탈가능한 기록매체에 용량이 생성된 경우에는, 그 백업 기록된 부분을 공백 공간으로 이동가능한지 아닌지가 자동으로 판별된다. 따라서, 사용자에 의한 확인조작이 불필요해진다. 또한, 이동가능시에는, 자동적으로 데이터를 이동시키는 것도 가능한 기록/재생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미리 필요한 기록 용량을 검출할 수 없는 외부기기로부터 동화상을 광 디스크에 기록하는 경우, 그 데이터양이 광 디스크의 잔 용량을 초과하여도, 적절한 위치로부터의 영역을 대용량 기록매체에 백업하는 것이 가능해져, 간단하게 다음의 광 디스크에 그 부분을 기록할 수 있는 기록/재생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명백하고 폭넓게 서로 다른 다양한 실시예들을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게 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것 이외의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두개의 기록매체에 분할해서 기록한 일련의 콘텐츠를 간단한 조작으로 하나의 기록매체에 전체적으로 저장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분할 기록된 콘텐츠가 다른 기록매체에 기록되었는지 아닌지를 아는 것이 가능해진다. 분할되어 있는 경우, 나중에 어느 정도인지도 아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재생개시전에, 분할된 콘텐츠인지 아닌지를 아는 것이 가능해진다.

Claims (43)

  1. 제1 기록매체에 대하여 정보 데이터를 기록하는 제1 기록수단과,
    제2 기록매체에 대하여 상기 정보 데이터를 기록하는 제2 기록수단과,
    상기 제1 기록매체로부터 상기 정보 데이터를 재생하는 제1 재생수단과,
    상기 제2 기록매체로부터 상기 정보 데이터를 재생하는 제2 재생수단과,
    일련의 콘텐츠를 나타내는 상기 정보 데이터를 상기 제1 기록매체에 기록한 후 상기 제2 기록매체에 기록하고, 상기 제1 기록매체와 제2 기록매체에 분할 기록된 분할 기록 정보 데이터인 것을 나타내는 식별정보를 발생하여, 상기 제1 기록매체와 제2 기록매체에 기록하도록 상기 제 1 기록수단과 상기 제2 기록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제1 기록매체와 제2 기록매체에 기록된 식별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제1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분할 기록 정보 데이터에 대응하는 분할 기록 정보 데이터가 상기 제2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검출하고, 이 검출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재생수단과 제2 재생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제1 기록매체와 제2 기록매체에 기록된 식별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분할 기록 정보 데이터를, 상기 제1 기록매체로부터 재생한 후 상기 제2 기록매체로부터 재생하도록 상기 제1 재생수단과 제2 재생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제1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분할 기록 정보 데이터에 대응하는 분할 기록 정보 데이터가 상기 제2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1 기록매체와 제2 기록매체에 기록된 식별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분할 기록 정보 데이터를, 상기 제1 기록매체로부터 재생한 후 상기 제2 기록매체로부터 재생하도록 상기 제1 재생수단과 제2 재생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제1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분할 기록 정보 데이터에 대응하는 분할 기록 정보 데이터가 상기 제2 기록매체에 기록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기록매체에 기록된 분할 기록 정보 데이터를 재생한 후에 재생을 정지하도록 상기 제1 재생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데이터는 비디오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기록장치는,
    상기 제1 기록매체와 제2 기록매체 중 한쪽을 임의로 선택하는 선택수단과,
    상기 제1 기록매체에 기록된 복수의 콘텐츠의 비디오데이터의 대표 화상을 단일화면 위에 표시함과 아울러, 상기 식별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제1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복수의 콘텐츠 중의 상기 분할 기록 콘텐츠의 대표 화상의 근방에 소정의 영상 정보를 표시하는 제1 대표 화상 표시모드와, 상기 제2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복수의 콘텐츠 중의 비디오데이터의 대표 화상을 단일 화면 위에 표시함과 아울러, 상기 식별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제2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복수의 콘텐츠 중의 상기 분할 기록 콘텐츠의 대표 화상의 근방에 소정의 영상정보를 표시하는 제2 대표 화상 표시모드 사이를 전환하는 모드 설정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제1 대표 화상 표시모드에서 표시된 복수의 콘텐츠의 대표 화상 중, 선택된 대표 화상에 대응하는 콘텐츠의 비디오데이터를 상기 제1 기록매체로부터 재생하도록 상기 제1 재생수단을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제2 대표 화상 표시모드에서 표시된 복수의 콘텐츠의 대표 화상 중, 선택된 대표 화상에 대응하는 콘텐츠의 비디오데이터를 상기 제2기록매체로부터 재생하도록 상기 제2 재생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7. 제1 기록매체에 대하여 정보 데이터를 기록하는 제1 기록수단과,
    제2 기록매체에 대하여 상기 정보 데이터를 기록하는 제2 기록수단과,
    상기 제1 기록매체로부터 상기 정보 데이터를 재생하는 제1 재생수단과,
    상기 제2 기록매체로부터 상기 정보 데이터를 재생하는 제2 재생수단과,
    일련의 콘텐츠를 나타내는 상기 정보 데이터를 상기 제1 기록매체에 기록한 후 상기 제2 기록매체에 대하여 기록함과 아울러, 상기 제1 기록매체와 제2 기록매체에 분할 기록된 분할 기록 정보 데이터인 것을 나타내는 식별정보를 발생하여, 상기 제1 기록매체와 제2 기록매체에 기록하도록 상기 제 1 기록수단과 상기 제2 기록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제1 기록매체와 제2 기록매체에 기록된 식별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제2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분할 기록 정보 데이터에 대응하는 분할 기록 정보 데이터가 상기 제1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검출하고, 이 검출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재생수단과 제2 재생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제2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분할 기록 정보 데이터에 대응하는 분할 기록 정보 데이터가 상기 제1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2 기록매체에 기록된 상기 분할 기록 정보 데이터의 재생 시작의 지시에 따라, 상기 식별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분할 기록 정보 데이터를, 상기 제1 기록매체로부터 재생한 후 상기 제2 기록매체로부터 재생하도록 상기 제1 재생수단과 제2 재생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9. 제1 기록매체에 대하여 비디오데이터를 기록하는 제1 기록수단과,
    제2 기록매체에 대하여 상기 비디오데이터를 기록하는 제2 기록수단과,
    일련의 콘텐츠를 나타낸 상기 비디오데이터를 상기 제1 기록매체에 기록한 후 상기 제2 기록매체에 대하여 기록하고, 상기 제1 기록매체에 기록한 비디오데이터가 상기 제1 기록매체와 제2 기록매체에 분할 기록된 분할 기록 비디오데이터인 것을 사용자에게 통지하기 위한 통지 비디오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1 기록매체에 상기 통지 비디오데이터를 기록하도록 상기 제1 기록수단과 상기 제2 기록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입력된 비디오데이터를 부호화해서 그 비디오데이터의 정보량을 압축하는 부호화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기록수단은 상기 부호화 수단에 의해 부호화된 비디오데이터와, 상기 부호화 수단에 의해 부호화된 상기 통지 비디오데이터를 상기 제1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록수단은, 상기 제1 기록매체에 기록된 분할 기록 비디오데이터 다음에 상기 통지 비디오데이터를 재생하도록 상기 통지 비디오데이터를 상기 제1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록매체로부터 상기 정보 데이터를 재생하는 제1 재생수단과,
    상기 제2 기록매체로부터 상기 정보 데이터를 재생하는 제2 재생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제1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분할 기록 정보 데이터에 대응하는 분할 기록 정보 데이터가 상기 제2 기록매체에 기록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기록매체에 기록된 분할 기록 정보 데이터 다음에 상기 통지 비디오데이터를 재생한 후, 재생을 정지하도록 상기 제1 재생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13. 제 7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제2 기록매체에 대하여 상기 분할 기록 정보 데이터의 기록을 정지한 후, 상기 제2 기록매체에 기록한 상기 분할 기록 정보 데이터의 기록 시간에 의거하여 상기 통지 비디오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14. 제1 기록매체에 대하여 비디오데이터를 기록하는 제1 기록수단과,
    제2 기록매체에 대하여 상기 비디오데이터를 기록하는 제 2 기록수단과,
    일련의 콘텐츠를 나타내는 상기 비디오데이터를 상기 제1 기록매체와 상기 제2 기록매체에 대하여 분할해서 기록하도록 상기 제1 기록수단과 제2 기록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1 기록매체에 기록된 복수의 콘텐츠의 비디오데이터의 대표 화상을 단일 화면 위에 표시함과 아울러, 상기 제1 기록매체에 기록된 복수의 콘텐츠 중 상기 제1 기록매체와 제2 기록매체에 분할해서 기록된 분할 기록 콘텐츠의 대표 화상의 근방에 소정의 아이콘을 표시하는 제1 대표 화상 표시모드와, 상기 제2 기록매체에 기록된 복수의 콘텐츠의 비디오데이터의 대표 화상을 단일 화면 위에 표시함과 아울러, 상기 제2 기록매체에 기록된 복수의 콘텐츠 중 상기 분할 기록 콘텐츠의 대표 화상의 근방에 소정의 아이콘을 표시하는 제2 대표 화상 표시모드간을 전환하는 모드 설정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15. 제1 기록매체와 제2 기록매체에 대하여 정보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법으로서,
    일련의 콘텐츠를 나타낸 상기 정보 데이터를 상기 제1 기록매체에 기록한 후 상기 제2 기록매체에 대하여 기록하는 단계와,
    상기 제1 기록매체와 제2 기록매체에 분할 기록된 분할 기록 정보 데이터인 것을 나타내는 식별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제1 기록매체와 제2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단계와,
    상기 제1 기록매체와 제2 기록매체에 기록된 식별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제1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분할 기록 정보 데이터에 대응하는 분할 기록 정보 데이터가 상기 제2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검출하고, 이 검출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기록매체로부터 상기 정보 데이터를 재생하는 동작과, 상기 제2 기록매체로부터 상기 정보 데이터를 재생하는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방법.
  16. 제1 기록매체와 제2 기록매체에 대하여 비디오데이터를 기록하는 방법으로서,
    일련의 콘텐츠를 나타낸 상기 비디오데이터를 상기 제1 기록매체에 기록한 후 상기 제2 기록매체에 대하여 기록하는 단계와,
    상기 제1 기록매체에 기록한 비디오데이터가 상기 제1 기록매체와 제2 기록매체에 분할 기록된 분할 기록 비디오데이터인 것을 사용자에게 통지하기 위한 통지 비디오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제1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방법.
  17. 제1 기록매체와 제2 기록매체에 대하여 비디오데이터를 기록하는 방법으로서,
    일련의 콘텐츠를 나타내는 상기 비디오데이터를 상기 제1 기록매체와 상기 제2 기록매체에 분할해서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기록매체에 기록된 복수의 콘텐츠의 비디오데이터의 대표 화상을 단일 화면 위에 표시함과 아울러, 상기 제1 기록매체에 기록된 복수의 콘텐츠 중 상기 제1 기록매체와 제2 기록매체에 분할 기록된 분할 기록 콘텐츠의 대표 화상의 근방에 소정의 아이콘을 표시하는 제1 대표 화상 표시모드와, 상기 제2 기록매체에 기록된 복수의 콘텐츠의 비디오데이터의 대표 화상을 단일 화면 위에 표시함과 아울러, 상기 제2 기록매체에 기록된 복수의 콘텐츠 중 상기 분할 기록 콘텐츠의 대표 화상의 근방에 소정의 아이콘을 표시하는 제2 대표 화상 표시모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방법.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KR1020040102826A 2003-12-08 2004-12-08 일련의 콘텐츠 데이터를 서로 다른 기록매체에 기록가능한기록장치 및 기록방법 KR1007021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409017A JP3903039B2 (ja) 2003-12-08 2003-12-08 記録装置
JP2003409018A JP2005174391A (ja) 2003-12-08 2003-12-08 記録再生装置
JPJP-P-2003-00409017 2003-12-08
JPJP-P-2003-00409018 2003-12-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5605A KR20050055605A (ko) 2005-06-13
KR100702166B1 true KR100702166B1 (ko) 2007-03-30

Family

ID=34525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2826A KR100702166B1 (ko) 2003-12-08 2004-12-08 일련의 콘텐츠 데이터를 서로 다른 기록매체에 기록가능한기록장치 및 기록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603023B2 (ko)
EP (1) EP1542231A1 (ko)
KR (1) KR100702166B1 (ko)
CN (1) CN100477768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35333A (ja) * 2004-02-20 2005-09-02 Canon Inc 再生装置
KR100612211B1 (ko) * 2004-07-06 2006-08-16 삼성전자주식회사 릴레이 기록후 자동으로 하나의 타이틀을 만드는광기록재생장치 및 그 방법
JP2006217060A (ja) * 2005-02-01 2006-08-17 Sony Corp 記録装置、記録再生装置および記録方法並びに記録再生方法
JP4459179B2 (ja) * 2005-03-30 2010-04-28 株式会社東芝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方法
JP4517943B2 (ja) * 2005-05-31 2010-08-04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これらの装置の処理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
JP2007149189A (ja) * 2005-11-25 2007-06-14 Funai Electric Co Ltd ハードディスク付きdvdレコーダ
JP2007328901A (ja) * 2006-05-09 2007-12-20 Canon Inc 記録装置及び記録方法
JP4868513B2 (ja) * 2006-07-28 2012-02-01 シャープ株式会社 抵抗変化型不揮発性メモリ素子及び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
JP4285512B2 (ja) * 2006-07-31 2009-06-24 ソニー株式会社 記録装置、記録方法、再生装置、再生方法、記録再生装置、記録再生方法、撮像記録装置及び撮像記録方法
JP4967572B2 (ja) * 2006-09-29 2012-07-04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再生装置及び記録再生方法
JP4659714B2 (ja) * 2006-09-29 2011-03-30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再生装置及びコンテンツ管理方法
JP5142554B2 (ja) * 2007-02-26 2013-02-13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制御装置及び記録制御装置の制御方法
JP4392845B2 (ja) * 2007-06-04 2010-01-06 株式会社沖データ 画像処理装置
US20090103404A1 (en) * 2007-10-22 2009-04-23 Chai-Chang Chiu Optic disk drive power management method for computer system
JP4636343B2 (ja) * 2008-09-02 2011-02-23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JP5755035B2 (ja) * 2011-06-08 2015-07-29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CN103297739B (zh) * 2012-02-22 2016-08-31 安凯(广州)微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音视频录制方法及装置
CN109561266A (zh) * 2016-07-26 2019-04-02 青岛海信电器股份有限公司 电视的截屏方法及电视
US10897593B2 (en) * 2016-08-30 2021-01-1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ultiple tape video data splitter

Family Cites Families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48282A (ja) 1981-09-14 1983-03-22 Toshiba Corp ビデオデイスクの再生装置
JP2513901B2 (ja) * 1990-06-01 1996-07-10 パイオニア株式会社 複数の記録ディスクによるビデオフォ―マット信号記録再生方法
JP3006158B2 (ja) 1991-05-09 2000-02-07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記録装置及びディスク再生装置
JPH05114196A (ja) 1991-10-22 1993-05-07 Mitsubishi Electric Corp 映像信号再生装置
JPH06266507A (ja) 1993-03-12 1994-09-22 Victor Co Of Japan Ltd マルチボリウム連続再生装置
JP3529406B2 (ja) 1993-09-10 2004-05-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記録装置および記録信号供給装置
JPH07326175A (ja) * 1994-05-30 1995-12-12 Sony Corp 記録又は再生装置
JPH0877681A (ja) 1994-09-05 1996-03-22 Sanyo Electric Co Ltd 複数記録媒体の記録再生装置及び方法
JPH09102185A (ja) 1995-10-05 1997-04-15 Nippon Columbia Co Ltd 担体記録装置と担体再生装置及びこれら担体記録方法と担体再生方法並びにこれらに用いる担体
US5731923A (en) * 1995-10-05 1998-03-24 Nippon Columbia Co., Ltd. Medium recording apparatus and medium reproducing apparatus, and medium recording method and medium reproducing method, and medium used therefor
JPH09106658A (ja) 1995-10-06 1997-04-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記録方法および情報記録再生装置
JPH09322057A (ja) 1996-05-28 1997-12-12 Canon Inc 撮像装置
JP3608887B2 (ja) 1996-10-30 2005-01-12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情報記録再生装置及び情報記録再生方法
US6573930B2 (en) 1996-11-15 2003-06-03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ickup apparatus for storing, reading-out and processing a signal during predetermined time periods
US6734901B1 (en) 1997-05-20 2004-05-11 Canon Kabushiki Kaisha Vibration correction apparatus
US7289723B2 (en) * 1997-12-12 2007-10-30 Kabushiki Kaisha Toshiba Digital recording system using variable recording rate
JPH11185365A (ja) 1997-12-18 1999-07-09 Sony Corp 情報記録方法、情報記録システムおよび情報記録装置
JPH11297047A (ja) 1998-04-08 1999-10-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ータ記録方法およびデータ記録装置
JP2000040346A (ja) 1998-07-17 2000-02-08 Sanyo Electric Co Ltd 信号記録再生装置
JP2000184320A (ja) * 1998-12-11 2000-06-30 Nec Corp 記録再生装置および電子番組ガイド表示装置
JP2000182358A (ja) * 1998-12-16 2000-06-30 Sanyo Electric Co Ltd 情報記録方法および情報再生方法
US7178106B2 (en) * 1999-04-21 2007-02-13 Sonic Solutions, A California Corporation Presentation of media content from multiple media sources
JP2001008160A (ja) 1999-06-22 2001-01-12 Hitachi Ltd 文字表示制御機能付き記録再生装置および監視情報記録再生装置
JP4136205B2 (ja) 1999-07-22 2008-08-20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コンテンツの記録再生システム
JP3583953B2 (ja) 1999-08-06 2004-11-04 三洋電機株式会社 操作ガイド装置
JP2001086462A (ja) 1999-09-17 2001-03-30 Sharp Corp 動画像記録装置及び動画像再生装置
JP4599740B2 (ja) * 2000-04-21 2010-12-15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JP2001318881A (ja) 2000-05-11 2001-11-16 Sony Corp ネットワーク上の情報伝送方法および電子情報機器
JP2001344877A (ja) * 2000-05-31 2001-12-14 Toshiba Corp 情報記録装置、情報記録方法、及び光ディスク交換タイミング制御方法
US7000242B1 (en) * 2000-07-31 2006-02-14 Jeff Haber Directing internet shopping traffic and tracking revenues generated as a result thereof
JP3514223B2 (ja) * 2000-08-29 2004-03-31 船井電機株式会社 Dvdオートチェンジャ
JP2002074839A (ja) 2000-09-01 2002-03-15 Hitachi Ltd ディジタル信号記録再生方法及び装置
JP3636053B2 (ja) 2000-09-27 2005-04-06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記録再生装置
EP1193712B1 (en) * 2000-09-27 2007-07-18 Victor Company of Japan, Ltd. Information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US7127736B2 (en) * 2000-11-17 2006-10-24 Sony Corporation Content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ent processing method for digest information based on input of a content user
JP2002304822A (ja) 2001-04-09 2002-10-18 Sony Corp 情報記録方法、情報記録装置、情報記録管理方法および情報記録管理装置
JP2003134456A (ja) 2001-10-26 2003-05-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ジタル記録装置、デジタル記録方法及びデジタル記録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現させるプログラム並びに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100890305B1 (ko) * 2001-11-29 2009-03-26 파나소닉 주식회사 기록장치, 기록매체 및 기록방법
JP2003230079A (ja) 2002-01-31 2003-08-15 Olympus Optical Co Ltd 撮像装置及び撮像画像記録方法
JP2003324690A (ja) 2002-02-26 2003-11-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映像記録再生装置
JP3569272B2 (ja) * 2002-05-31 2004-09-22 株式会社東芝 記録装置
JP3870123B2 (ja) 2002-06-11 2007-01-1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4323870B2 (ja) 2003-06-10 2009-09-02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
JP2005057692A (ja) 2003-08-07 2005-03-03 Canon Inc 記録装置、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122863A1 (en) 2005-06-09
EP1542231A1 (en) 2005-06-15
KR20050055605A (ko) 2005-06-13
CN100477768C (zh) 2009-04-08
US7603023B2 (en) 2009-10-13
CN1627419A (zh) 2005-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2166B1 (ko) 일련의 콘텐츠 데이터를 서로 다른 기록매체에 기록가능한기록장치 및 기록방법
EP1193712B1 (en) Information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US20050008346A1 (en) Record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playback apparatus
US6775085B2 (e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information and information reproducing method
EP1195768A2 (en) Information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US6636687B1 (en) Integrated recording and editing apparatus and system
KR100252144B1 (ko) 텔레비젼 방송용 리시버/레코더
KR100828228B1 (ko) 방송프로그램 기록장치 및 방법
US20080089661A1 (en)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US8369681B2 (en) Video reproducing apparatus
JP3903039B2 (ja) 記録装置
JP2006302337A (ja) 記録再生装置
JP2005174391A (ja) 記録再生装置
KR100971154B1 (ko) 장면들을 캡쳐링하는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는 수단을갖는 레코더
JP3900363B2 (ja) Avhdd及びハードディスクレコーダ
JP2003309806A (ja) 記録装置、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プログラム、記録方法
JP2008172567A (ja) 番組データ記憶編集装置
JP2002100168A (ja) 記録再生装置
JP2008288655A (ja) 録画装置
JP2002112150A (ja) 記録再生装置
JP4056779B2 (ja) 記録再生装置
JP4037852B2 (ja) 動画像再生装置
JP2004007724A (ja) ディジタル信号再生装置及び記録装置
JP2004007725A (ja) ディジタル信号再生装置及び記録装置
JP2008035326A (ja) 番組記録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