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8541B1 -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8541B1
KR100678541B1 KR20057001267A KR20057001267A KR100678541B1 KR 100678541 B1 KR100678541 B1 KR 100678541B1 KR 20057001267 A KR20057001267 A KR 20057001267A KR 20057001267 A KR20057001267 A KR 20057001267A KR 100678541 B1 KR100678541 B1 KR 1006785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processing
address
task
control
processing func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57001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5987A (ko
Inventor
다까시 오노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259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59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8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85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0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 H04N1/00209Transmitting or receiving image data, e.g. facsimile data, via a computer, e.g. using e-mail, a computer network, the internet, I-fa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35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involving non-standard use of addresses for implementing network functionalities, e.g. coding subscription information within the address or functional addressing, i.e. assigning an address to a fun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50Address allocation
    • H04L61/5092Address allocation by self-assignment, e.g. picking addresses at random and testing if they are already in u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0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 H04N1/00236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using an image reading or reproducing device, e.g. a facsimile reader or printer, as a local input to or local output from a compu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04L2012/5603Access techniq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4Multifunctional device, i.e. a device capable of all of reading, reproducing, copying, facsimile transception, file transcep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간단하고 저비용의 구성에 의해 복합 기능의 화상 처리 장치의 조작성을 개선하며 필요한 시스템 소프트웨어를 용이하게 설계할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된다. 본 장치는 기동 후 네트워크 상의 IPv6 라우터에 접속하여, 상기 IPv6 라우터로부터 프리픽스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한 프리픽스 정보에 기초하여 프린팅, 스캐닝, 팩시밀리 송신 등의 화상 처리 기능 각각에 대해 고유의 IP 어드레스를 생성하며, 상기 각각의 화상 처리 기능마다 생성된 IP 어드레스를 사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상의 다른 기기와 통신하고, 상기 통신 결과에 따라서 각각의 화상 처리 기능이 동작된다. 전송 태스크는, 각 가능마다 서로 다른 IP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프린트 태스크, 스캔 태스크, 팩시밀리 태스크 사이에서 전송하며, 각 태스크는 OS에 의한 태스크 전환을 이용하여 시분할로 구동된다.
IPv6 라우터, 복합 기능, 프린트, 스캔, 팩시밀리

Description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기록매체{IMAGE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복수의 화상 처리 기능을 갖는 화상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네트워크(인터넷 등의 WAN, LAN 등)에 접속하여 이용하는 PC(퍼스널 컴퓨터)나 프린터, 스캐너 등과 같은 각종의 정보 처리 장치가 알려져 있다.
IP(Internet Protocol)는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기기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는 프로토콜이다. 이러한 IP 방식에서는 각 기기에 고유의 IP 어드레스가 할당되는 IP 어드레스 베이스로 각 기기를 식별한다.
종래의 IP 규약(IPv4: IP 버전4)에서는, 단말 장치를 네트워크 상의 다른 단말과 구별하기 위한 어드레스로서, 하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대하여 하나의 어드레스를 부여하고 있었다.
한편, 최근 보급되고 있는 IPv6(IP 버전6)에서는, 단말이 라우터에 접속되면 라우터와 통신을 행하여 자동적으로 IP 어드레스를 취득하는 기술이 정의되어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한 방식에서는 하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대하여 하나의 IP 어드레스를 취득하도록 동작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스캐너, 프린터, 팩시밀리 등의 복수의 기능이 복합된 복합 기능 화상 처리 장치와 같은 복합 기능 단말의 경우에도, 전술한 종래 방식에 따르면 단말 장치를 네트워크 상의 다른 단말과 구별하기 위한 어드레스는 하나이다.
상기한 종래 방식에 따르면, 대부분의 경우 단지 하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갖는 기기에 할당할 수 있는 IP 어드레스는 하나이다. 따라서, 예를 들면 스캐너, 프린터, 팩시밀리 등의 복수의 기능을 갖는 복합 기능 단말의 경우에도, 네트워크 상의 다른 기기로부터 단지 하나의 단말로서 식별된다. 또한, 이 기기는 이 IP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모든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따라서, 복합 기능 화상 처리 장치와 같은 복합 기능 단말용의 드라이버 소프트웨어는 각 기능들의 성능뿐만 아니라 각 기능들 사이의 조정을 포함한 복잡한 처리를 필요로 하며, 복합 기능이기 때문에 드라이버 소프트웨어의 설계에 많은 단계가 요구된다.
또한, 복합 기능 화상 처리 장치와 같은 복합 기능 단말을 이용하는 측의 PC에는, 프로그램 용량이 크고 동작이 복잡한 드라이버 소프트웨어를 인스톨해야만 하므로 큰 부하를 초래한다. 예를 들면, 복합 기능 단말이 프린터로만 사용되는 경우에도, 스캐너 및 PC-FAX와 같은 기능을 포함한 복합 기능의 드라이버 소프트웨어를 PC에 인스톨해야 하므로, PC에는 부하가 큰 드라이버 소프트웨어가 인스톨된다. 또한, PC 사용자측에서 보면, 복합 기능 화상 처리 장치 자체의 드라이버 소프트웨어를 기동시키고 나서, 적어도 복합 기능 화상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기능(화상판독, 인쇄 및 FAX 송신 등)을 선택해야 하기 때문에, 조작이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다.
종래의 1-어드레스 1-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방식에서도, 복합 기능 단말의 스캐너, 프린터 및 팩시밀리 등의 각 기능에 IP 어드레스를 할당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각 기능마다 이더넷(상표명) 카드와 같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설치해야 하므로 구성이 복잡하고 고가로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고 IPv6 기술을 이용하여 간단하고 저비용의 구성에 의해 복합 기능 화상 처리 장치의 조작성을 개선하고 필요한 시스템 소프트웨어를 용이하게 설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IP 어드레스를 각 화상 처리 기능에 할당함으로써, 이러한 기능의 기기들이 LAN에 독립적으로 접속되어 있도록 이들 기능을 구비한 화상 처리 장치가 PC에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PC에 인스톨되는 드라이버 소프트웨어를 각 기능마다 독립적으로 설계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이러한 방식은 드라이버 소프트웨어 설계의 단계를 줄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드라이버 소프트웨어의 구성을 간단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PC에서의 부하가 가벼운 드라이버 소프트웨어를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각 기능마다 드라이버 소프트웨어가 생성되므로, 사용자는 필요시에 필요한 드라이버를 기동하면 되고 PC측에서의 조작성이 개선된다. 또한, 필요한 기능의 드라이버만을 인스톨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을 채용한 단말 장치로서의 복합 기능 화상 처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장치의 제어 태스크의 구성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3은 도 1의 장치의 버퍼 메모리의 구성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4는 도 1의 장치에서의 IP 어드레스 취득 처리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1의 장치에서의 전송 태스크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1의 장치에서의 프린트 태스크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도 1의 장치에서의 스캔 태스크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도 1의 장치에서의 팩시밀리 통신 태스크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9는 IPv6에서의 인터페이스 ID의 생성 방법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구현된 단말 장치로서의 스캐너, 프린터 및 팩시밀리의 복수의 기능을 조합한 화상 처리 장치(복합 기능 화상 처리 장치)(201)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1에 있어서, 제어부(101)는 시스템 제어부이고 도시된 각 블록의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는 단말 장치 전체를 제어한다.
ROM(102)에는 제어부(101)의 제어 프로그램이나 오퍼레이팅 시스템(OS) 프로그램 등이 저장된다. 제어부(101)는 ROM(102)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서 단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ROM(102)에 저장되어 있는 각 제어 프로그램은 [ROM(102) 또는 다른 기억 매체에 저장된] OS 프로그램의 제어하에 스케쥴링이나 태스크 전환 등의 소프트웨어 제어를 받는다.
RAM(103)은 연산 처리를 위해 사용되며, 조작자에 의해 등록된 설정값이나 장치의 제어 데이터 등을 기억하거나, 단말 장치가 IPv6 라우터에 접속할 때 취득되는 IP 어드레스를 기억하는데 사용된다.
버퍼 메모리(104)는 판독한 화상 데이터나 수신한 화상 데이터를 축적하거나, LAN을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 패킷을 축적하는데 사용된다. 버퍼 메모리(104)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린터 에리어(104a), 스캔 에리어(104b), PC-FAX 에리어(104c), 화상 에리어(104d) 등으로 에리어가 분할되어 있다. 각 기능의 제어 태스크는 분할된 버퍼 메모리(104) 상의 각 태스크용 버퍼 에리어에 데이터 패킷을 송수신한다.
조작부(105)는 각종 입력 키, LED, LCD 등으로 구성되며, 조작자가 각종 입력 조작을 실행하거나 화상 처리 장치의 동작 상황을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판독 처리부(106)는 광전 변환 소자에 의해서 원고를 광학적으로 판독하여 전기적인 화상 데이터로 변환하여 얻은 화상 신호에 2치화 처리, 중간조 처리 등의 각종 화상 처리를 실시하여 고정밀 화상 데이터를 출력한다.
판독 처리부(106)는 ROM(102)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의 스캔 제어 태스크 프로그램에 의해서 제어된다. 판독부(107)는 CCD나 컨택트 이미지 센서 등의 광전 변환 소자로 구성된다.
기록 처리부(108)는 기록부(109)에 의해 화상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해 기록 화상 데이터에 해상도 변환 처리나 스무딩 처리를 한다. 또한, 기록부(109)에 용지없음, 용지걸림, 토너(또는 잉크)부족 등의 장해(fault)가 발생하게 되면, 기록 처리부(108)는 기록부(109)로부터 장해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제어부(101)에 통지한다.
기록 처리부(108)는 ROM(102)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의 프린터 제어 태스크 프로그램에 의해서 제어된다. 또한, 기록부(109)는 레이저빔 프린터나 잉크젯 프린터 등으로 구성되며, 기록용지 검지 수단, 토너(또는 잉크) 검지 수단, 잼 검지 수단을 포함한다.
통신 처리부(110)는 모뎀(변/복조기), NCU(망 제어 장치) 등으로 구성된다. 통신 처리부(110)는 PSTN(공중 전화 교환망) 등의 통신 회선(301)에 접속되며 ITU-T(국제전기통신연합 전기통신 표준화 부문) 권고안에 따른 T.30 프로토콜에 기초한 통신 제어, 및 통신 회선을 통한 발호 및 착신 등의 회선 제어를 행한다. 통신 처리부(110)는 ROM(102)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의 통신 제어 태스크 프로그램에 의해서 제어된다.
CODEC 처리부(111)는, 화상 데이터를 압축 신장하는 부호/복호화 처리를 하며, 주로 팩시밀리 통신에서 이용되는 MH(Modified Hoffman), MR(Modified READ(Relative Element Address Designate)) 등의 부호/복호화 방식 또는 장치의 사양에 따라서는 JPEG, MPEG 등의 부호/복호화 방식을 지원한다.
LAN 제어부(115)는 LAN을 통하여 다른 기기와 통신하기 위한 제어를 행한다. LAN 제어부(115)는 이더넷(상표명) 카드와 같은 NIC(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및 NIC의 제어 회로로 구성된다(NIC의 제어 수단은 제어부(101)의 소프트웨어로 구성할 수도 있다).
LAN 제어부(115)를 사용함으로써 이더넷(상표명)과 같은 물리적 네트워크 상에서 TCP/IP 등의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프로토콜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면 10 Base/T의 속도로, 단말 장치의 각 기능에 대해 취득된 IP 어드레스를 갖는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고 단말 장치로부터의 데이터 패킷을 송신할 수 있다. LAN 제어부(115)는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면 제어부(101)에 그 수신을 통지한다.
LAN 제어부(115)는 LAN 케이블(302)을 통하여 IPv6-지원 라우터(303)에 접속된다.
도 1의 부호 120은 각 블록 구성요소를 제어부(101)에 접속하기 위한 시스템 버스이다.
도 1의 장치는 LAN에 접속된 PC로부터의 커맨드에 따라서, 프린터, 스캐너, PC-FAX로서 동작할 수 있다. 이하, 각 동작의 상세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전제로서 IPv6에서 표준으로 되어 있는 자동 어드레스 취득 방식(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IPv6에 따르면, 단말 장치(도 1의 201)가 IPv6 라우터(도 1의 303)에 접속되면, 단말 장치는 라우터에 대하여 라우터에 할당된 고유의 64비트의 수치('프리픽스'라고 알려짐)를 송신할 것을 요구한다. 상기한 프리픽스가 수신되면, 단말 장치는 '인터페이스 ID'라고 불리는 64비트의 수치를 자체적으로 생성하고, 이 인터 페이스 ID를 라우터로부터 전송된 프리픽스와 조합하여, 합계 128비트의 IP 어드레스를 완성한다. 그런 다음, 단말 장치는 이렇게 구성된 IP 어드레스를 LAN 상에 송신하여, 동일한 IP 어드레스를 사용하고 있는 다른 단말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조사한다. 중복이 없으면, 이 IP 어드레스를 그 단말 장치의 IP 어드레스로서 결정한다. 중복이 있으면, 인터페이스 ID의 수치를 바꾼 다음 어드레스의 중복 여부를 재확인한다. 중복이 없다면, 변경된 어드레스를 IP 어드레스로서 결정한다. 이것이 IPv6-기반 자동 어드레스 취득 방식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단말 장치에서의 상기한 어드레스 취득 시퀀스를 도 4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 이후의 흐름도에서의 제어 수순은 제어부(101)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한다.
도 4의 단계 S101에서 단말 장치(도 1의 201)가 IPv6 라우터(도 1의 303)에 접속된 것으로 확인되면 다음과 같은 제어가 수행된다.
우선, 단계 S102에서 제어부(101)는 라우터에 대하여 LAN 제어부로부터 라우터의 프리픽스를 요구하는 커맨드를 송신한다.
단계 S103에서 라우터로부터 프리픽스를 수신하면, 단계 S104에서 제어부(101)는 수신한 프리픽스에 미리 결정된 64비트의 수치를 갖는 인터페이스 ID를 부가하여 IP 어드레스를 생성한다.
IP 어드레스를 생성한 다음, 단계 S105에서, 제어부(101)는 생성한 어드레스를 네트워크에 송신하여, 그 라우터 아래에 동일한 어드레스를 갖는 다른 단말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단계 S106에서 어드레스 중복이 확인되지 않으면, 제어부(101)는 단계 S107로 진행하여, 그 어드레스를 그 단말의 IP 어드레스로서 결정한다. 제어부(101)는 첫번째 IP 어드레스를 결정하면 그 어드레스를 프린터용의 IP 어드레스로서 인식한다.
첫번째 IP 어드레스를 결정한 다음, 제어부(101)는 단계 S102에 복귀한다. 그런 다음, 제어부(101)는 LAN 제어부를 통하여 라우터에 대하여 프리픽스 요구 커맨드를 재송신하여 동일한 어드레스 취득 동작을 반복한다. 단계 S104에서 제어부(101)는 라우터로부터 프리픽스가 송신되면, 전회에 프리픽스에 부가된 이전의 수치에 "1"을 부가한("1"을 더한) 수치를 프리픽스에 부가하여 어드레스를 생성한다(즉 전회에서 취득한 어드레스와는 다른 새로운 어드레스를 생성한다). 단계 S105에서 제어부(101)는 이 새로운 어드레스를 LAN 상에 송신한다.
다음으로, 단계 S106에서 전회에서와 마찬가지로 IP 어드레스의 중복을 확인하여, 중복이 없으면 그 어드레스를 두번째 IP 어드레스로서 결정한다. 제어부(101)는 두번째 IP 어드레스가 결정되면, 이 어드레스를 스캐너용의 IP 어드레스로서 인식한다.
두번째 어드레스가 결정되면, 제어부(101)는 단계 S102에 복귀하여 LAN 제어부를 통하여 라우터에 대하여 프리픽스 요구 커맨드를 재송신하여 어드레스 취득 동작을 반복한다.
다음으로, 단계 S1O4에서는, 라우터로부터 프리픽스가 송신되면, 제어부(101)는 전회에 프리픽스에 부가된 이전의 수치에 "1"을 부가한("1"을 더한) 수치 를 프리픽스에 부가하여 새로운 어드레스를 생성하고, 단계 S105에서 이 새로운 어드레스를 LAN 상에 송신한다. 그런 다음, 단계 S106에서 IP 어드레스의 중복을 전회와 마찬가지로 확인하여, 중복이 없으면 이 어드레스를 세번째 IP 어드레스로서 결정한다. 제어부(101)는 세번째 IP 어드레스가 결정되면, 이 어드레스를 PC-FAX 용의 IP 어드레스로서 인식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라우터를 통한 플러그앤플레이(Plug and Play) 제어에 의해 복수의 IP 어드레스가 취득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의 단말 장치가 프린터, 스캐너, PC-FAX로서의 3개의 기능을 구비하므로, 3개의 IP 어드레스를 취득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단계 S109에서는 이들 3개의 IP 어드레스가 취득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3개의 IP 어드레스가 취득되고 나면 도 4의 IP 어드레스 취득 처리가 종료된다.
도 1의 단말 장치는 프린터, 스캐너, PC-FAX로서의 3개의 기능을 구비하므로, 도 4에서는 3개의 IP 어드레스가 취득된다. PC에서 복수의 기능을 동작시키는 단말 장치에서는, 그 기능의 수만큼 상기한 어드레스 취득 동작이 반복된다.
또한, 도 4에서는 어드레스 취득 동작 중에, 어드레스가 중복된 경우에는, 단계 S108로 진행하여, 프리픽스에 부가되는 수치를 "1"씩 증가시키고, 어드레스 취득 동작을 반복하여 중복되지 않는 어드레스를 검색한다.
또한, 프리픽스에 부가되는 인터페이스 ID의 64비트의 수치는, 단말 장치에 할당된 MAC(Media Access Contorol)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생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IPv6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48비트 MAC 어드레스의 중간 필드에 [fffe](16진수)와 같은 고정값을 삽입하는 방법이 규정되어 있다.
도 9에서는(모든 어드레스 수치는 16진수로 표기됨), 48비트 MAC 어드레스(901)가 24비트의 2개의 블록(901a, 901b)으로 2분할되고(상위 블록(901a)의 7번째 비트는 반전되어 [01]로부터 [03]으로 변환됨), MAC 어드레스의 중간 필드에 [fffe](16진수)의 블록(901c)이 삽입되어, 인터페이스 ID(902)가 생성된다. 전술한 라우터로부터 취득된 프리픽스(900)와 인터페이스 ID(902)로부터 최종 IP 어드레스(903)가 생성되게 된다.
도 4의 처리에 의해, 장치의 기능의 수에 대응하는 필요한 수의 IP 어드레스가 취득되므로 단말 장치의 각 기능에 대해 IP 어드레스를 취득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각 기능에 대하여 IP 어드레스가 취득됨으로써, 물리적으로는 하나의 단말 장치가 네트워크에 연결되지만, LAN 상의 PC 등의 다른 기기에는, 프린터, 스캐너, PC-FAX가 각각 독립적으로 LAN에 접속되어 있는 것처럼 보이게 된다.
다음으로, PC(또는 LAN 상의 다른 기기)로부터의 커맨드에 의한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단말 장치의 제어 프로그램 구성과 데이터 패킷의 흐름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단말 장치의 제어 프로그램은 제어부(101)에 의해 실행되며, 프린팅, 스캐닝, PC-FAX 각각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태스크(1011, 1012, 1013), LAN과의 데이터 패킷의 송/수신를 제어하는 전송 태스크(1014), 및 이들 제어 태스크를 전체적으로 관리하는 메인 태스크(1010)로 구성된다. 각 제어 태스크는 OS에 의해 관리되며 최적의 태스크 전환에 의해 시분할 처리된다. 데이터 패킷은 전송 태스크(1014)를 통하여 LAN 접속 수단(115)과 각각의 액티브 태스크 사이에서 송수신된다.
상기한 태스크 중에서, 전송 태스크(1014)는 각각의 액티브 제어 태스크와 PC 사이의 데이터 패킷의 송/수신을 제어하는 태스크 프로그램으로서 규정된다. LAN 제어부가 PC로부터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면, 전송 태스크(1014)가 기동되어(부팅되며) 그 데이터 패킷의 목적지 IP 어드레스를 확인하고 IP 어드레스에 의해 지정된 제어 태스크의 버퍼 에리어(도 3의 104a, 104b, ...)에 데이터 패킷을 저장한다.
또한, OS의 태스크 전환에 의해 태스크가 기동된 경우, 각 기능의 제어 태스크(1011∼1013)의 버퍼 에리어를 조사하여 송신 패킷이 존재하면, 그 송신 패킷을 전송 태스크(1014)를 통하여 LAN 제어부(115)에 전송하여 상기 패킷을 송신한다. 물론, 이 패킷 송신(및 수신) 처리는 IP 프로토콜, 즉 IPv6에 따라서 수행된다.
도 5는 전송 태스크(1014)의 구체적인 제어 수순을 도시한 것이다.
전송 태스크(1014)가 기동되면, 우선 단계 S201에서 데이터 패킷이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패킷이 수신되었다면, 단계 S202로 진행하여, LAN 제어부(115)로부터 수신된 패킷을 판독하고, 그 목적지 IP 어드레스를 확인한다.
다음으로 단계 S203에서는, 그 패킷을 버퍼 메모리(104) 내의 IP 어드레스에 의해 지정된 제어 태스크의 버퍼 에리어에 저장한다.
다음으로 단계 S204에서는, 버퍼 메모리의 프린트 에리어(104a)에 송신 패킷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조사한다. 송신 패킷이 존재하면, 단계 S205에서 그 패킷 을 LAN 제어부(115)에 전송하여 LAN 상에 송신한다.
또한, 단계 S206에서 버퍼 메모리의 스캔 에리어(104b)에 송신 패킷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조사한다. 송신 패킷이 존재하면, 단계 S207에서 그 패킷을 LAN 제어부(115)에 전송하여 LAN 상에 송신한다. 계속해서, 단계 S208에서 버퍼 메모리의 PC-FAX 에리어(104c)에 송신 패킷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조사한다. 송신 패킷이 존재하면, 단계 S209에서 그 패킷을 LAN 제어부(115)에 전송하여 LAN 상에 송신한다.
이하, 프린트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PC(또는 LAN 상의 다른 단말)는 기록하고자 하는 화상을 PC에 인스톨된 프린터 드라이버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단말 장치의 프린터에 최적인 화상 데이터로 변환한 다음, 화상 데이터의 데이터 패킷을 프린트에 필요한 커맨드와 함께 LAN을 통하여 단말 장치의 프린터의 IP 어드레스에 송신한다. LAN 제어부(115)는 송신된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고 이를 제어부(101)에 통지한다. 제어부(101)는 전송 태스크(1014)를 기동하여, LAN 제어부(115)에 수신된 데이터 패킷의 목적지 어드레스를 확인하고, 목적지가 프린터인 경우, 이 데이터 패킷을 버퍼 메모리의 프린트 에리어(104a)에 저장한다. 전송 태스크(1014)는 프린터에 어드레스된 데이터 패킷이 수신될 때마다 버퍼 메모리의 프린트 에리어(104a)에 데이터 패킷을 순차 저장한다. 프린터의 IP 어드레스에 도착된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면, 제어부(101)는 프린트 제어 태스크(1011)를 기동한다.
프린트 제어 태스크(1011)는 버퍼 메모리의 프린트 에리어(104a)에 저장된 데이터를 순차 판독하여, 그로부터 프린트 커맨드를 해석하고, 그 커맨드에 따라서 순차적으로 송신된 화상 데이터를 기록부를 이용하여 기록한다.
도 6은 프린트 제어 태스크(1011)의 제어 수순을 도시한 것이다.
프린트 태스크가 기동되면, 우선 단계 S301에서 버퍼 메모리의 프린트 에리어(104a)에 데이터 패킷이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조사한다. 패킷이 수신되었다면 단계 S302로 진행하여 수신된 패킷이 화상 데이터인지 기록을 위한 커맨드 데이터인지를 조사한다. 커맨드 데이터인 경우에는, 단계 S303에서 커맨드를 해석하여, PC가 요구하는 기록 환경을 갖춘다. 단계 S302에서 패킷이 화상 데이터인 경우에는, 단계 S304로 진행하여, 커맨드 데이터에 따라서 화상 데이터를 기록부(109)에 정합시키는 데이터 처리가 수행된다. 단계 S305에서는 이렇게 처리된 화상 데이터가 기록부(109)에 전송되고 화상이 기록된다. 단계 S306에서 종료 커맨드나 기록 데이터의 종단을 검출함으로써 기록 처리의 종료가 판정된다.
다음으로 스캔 동작에서는, PC에 인스톨된 스캔 드라이버 스프트웨어에 의해서, 판독 해상도, 판독 모드, 판독 사이즈 등의 판독 동작을 지정하는 커맨드와 판독 개시 커맨드를 패킷화하여, 이 패킷을 LAN을 통하여 단말 장치의 스캐너의 IP 어드레스에 송신한다. 상기한 프린터의 동작과 마찬가지로, LAN 제어부(115)는 송신된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여, 이를 제어부(101)에 통지한다. 제어부(101)는 전송 태스크(1014)를 기동하여, LAN 제어부(115)에 수신된 데이터 패킷의 목적지 어드레스를 확인하고, 목적지가 스캐너인 경우 이 데이터 패킷을 버퍼 메모리의 스캐너 에리어(104b)에 저장한다. 전송 태스크(1014)는 스캐너에 어드레스된 데이터 패킷이 수신될 때마다 버퍼 메모리의 스캔 에리어(1O4b)에 데이터 패킷을 순차 저장한 다. 스캐너의 IP 어드레스에 도착된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면, 제어부(101)는 스캔 제어 태스크(1012)를 기동한다.
스캔 제어 태스크(1012)는 버퍼 메모리의 스캔 에리어(104b)에 저장된 커맨드 데이터를 해석하여, 그 커맨드에 지정된 판독 방법으로 단말 장치의 원고대에 놓인 원고를 판독한다. 그런 다음, 스캔 제어 태스크(1012)는 판독 처리부에서 화상 처리된 판독 데이터에 PC의 목적지를 부가하여 패킷화하여, 이렇게 얻은 패킷을 버퍼 메모리의 스캐너 에리어(104b)에 순차 저장한다. 전송 태스크(1014)가 기동될 때, 버퍼 메모리의 스캐너 에리어(104b)에 스캔 데이터의 송신 패킷이 기입되어 있으면, 전송 태스크(1014)는 상기한 데이터를 LAN 제어부(115)로부터 PC에 송신한다.
도 7은 스캔 태스크(1012)의 제어 수순을 도시한 것이다. 스캔 태스크(1012)가 기동될 때, 단계 S401에서 버퍼 메모리의 스캔 에리어(104b)에 데이터 패킷이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조사한다. 패킷을 수신되었다면, 단계 S402로 진행하여 수신된 패킷의 커맨드를 해석한다.
단계 S403에서 판독부(107)는 단계 S402에서 해석한 스캔 커맨드에 따라서 스캔 동작을 개시한다. 단계 S404에서 1라인의 화상이 판독되면, 단계 S405에서 화상 처리부(106)는 화상 처리를 실시하여, 화상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한다. 단계 S406에서, 지정된 IP 어드레스에 어드레스된 패킷이 생성되어 버퍼 메모리의 스캔 에리어(104b)에 저장된다. 단계 S404로부터 S406까지의 동작은 커맨드에 지정된 라인 수에 대응하는 소정의 수만큼 반복된다. 버퍼 메모리의 스캔 에리 어(1O4b)에 저장된 패킷은 전술한 전송 태스크(1014)를 통해 LAN 상에 송신된다. 단계 S407에서 용지 부족 등의 이벤트(조건)를 검출함으로써 스캔 종료가 판정된다.
PC-FAX 동작에서 화상 데이터를 FAX 송신하는 경우에는, PC에 인스톨된 PC-FAX 드라이버 소프트웨어에 의해서 송신 목적지의 전화번호, 화상의 해상도, 화상 사이즈, 통신 속도 등을 나타내는 FAX 통신 동작을 지정하는 커맨드와 송신 화상 데이터를 패킷화하여, 이 패킷을 LAN을 통하여 단말 장치의 PC-FAX의 IP 어드레스에 송신한다. LAN 제어부(115)는 송신된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고 이를 제어부(101)에 통지한다. 제어부(101)는 전송 태스크(1014)를 기동하여 LAN 제어부(115)에 수신된 데이터 패킷의 목적지 어드레스를 확인하고, 목적지가 PC-FAX인 경우에는 이 데이터 패킷을 버퍼 메모리의 PC-FAX 에리어(104c)에 저장한다. 전송 태스크(1014)는 PC-FAX에 어드레스된 데이터 패킷이 수신될 때마다 버퍼 메모리의 PC-FAX 에리어(104c)에 데이터 패킷을 순차 저장한다. PC-FAX의 IP 어드레스에 도착된 데이터 패킷이 수신되면, 제어부(101)는 PC-FAX 제어 태스크(1013)를 기동한다.
PC-FAX 제어 태스크(103)는 버퍼 메모리의 PC-FAX 에리어에 저장된 커맨드 데이터를 해석하여, 통신 제어부(110)의 NCU를 제어하여 그 커맨드에 의해 지정된 FAX 송신 목적지의 전화번호에 발호하고, CCITT(Consultative Committee for International Telegraph and Telephone)의 T.30 권고안에 따른 통신 프로토콜을 실행하여, 송신 목적지 FAX가 지원하는 부호화 방식에 의해 PC로부터 송신된 화상 데이터를 [부호/복호화 처리부(111)에서] 부호화하고, 통신 처리부(110)의 모뎀에 의해 상기 화상 데이터를 변조하여 부호화된 화상 데이터를 송신한다. 이 때, 송신 목적지 FAX가 PC에서 지정된 해상도나 통신 속도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적절하게 폴백(fall-back) 처리가 실행된다.
도 8은 PC-FAX 태스크(1013)의 제어 수순을 도시한 것이다. PC-FAX 태스크(1013)가 기동될 때, 단계 S501에서 버퍼 메모리의 PC-FAX 에리어(104c)에 데이터 패킷이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조사한다. 패킷이 수신되어 있으면, 단계 S502로 진행하여 수신된 패킷이 화상 데이터인지 FAX 송신을 위한 커맨드 데이터인지를 조사한다.
FAX 송신을 위한 커맨드 데이터를 검출하고 있는 경우에는 단계 S503에서 그 커맨드를 해석하여, 송신 조건, 송신 목적지 전화번호 등을 확인한다. 또한, 단계 S502에서 패킷이 화상 데이터이면, 단계 S504로 진행하여, 화상 데이터를 버퍼 메모리의 화상 에리어(104d)에 저장한다.
단계 S505에서, 송신하여야 할 모든 화상 데이터가 수신되면, 단계 S506에서 PC에서 지정된 전화번호에 발호한다. 목적지의 FAX가 응답하면, 단계 S507에서 CCITT의 T.30 권고안에 따른 팩시밀리 전수순(pre-procedure)을 실행한다. 단계 S508에서 송신 목적지의 FAX에 합치하도록 버퍼 메모리에 저장된 화상 데이터를 CODEC 처리부(111)에 의해 부호화하고, 단계 S509에서 통신 처리부(110)를 통하여 화상 데이터를 변조하여 전화회선에 송신한다.
단계 S510에서 모든 화상 데이터가 송신된 것으로 확인되면, 단계 S511에서 팩시밀리 후수순을 실행하고 통신을 종료한다. 단계 S506의 발호로부터 단계 S511 의 팩시밀리 후수순까지의 동작은 CCITT의 T.30 권고안에 따른 FAX 송신 수순이다. CCITT의 T.30 권고안에 의한 팩시밀리 송신 수순은 공지된 것이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프린트, 스캔, FAX 송수신을 제어하는 각 제어 태스크(1011∼1013)는 OS에 의해 관리되며 최적의 태스크 전환을 이용하여 시분할 처리된다. PC와의 패킷 데이터의 송수신은 단말 장치 내의 버퍼 메모리의 각 제어 태스크 에리어(도 3) 사이에서 물리적으로 수행된다. PC에서 복수의 동작을 동시에 요구하는 경우에도 그 처리를 동시에 실행할 수 있다. 즉, 프린트, 스캔, FAX 송/수신을 제어하는 각 제어 태스크(1011∼1013)는 시분할 처리되므로 단일 기능의 장치가 개별적으로 동작하고 있는 것처럼 실행된다.
예를 들어 프린트 동작과 스캔 동작이 동시에 요구된 경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PC로부터 프린트 데이터가 송신된 경우, 전송 태스크(1014)가 기동되어 LAN 제어부로부터 수신한 프린트 데이터를 버퍼 메모리의 프린트 에리어(104a)에 순차 축적한다. 계속해서 OS의 태스크 전환에 의해 프린트 태스크(1011)가 기동되면, 이 프린트 태스크(1011)는 버퍼 메모리에 축적된 프린트 데이터를 판독하여 이들 프린트 데이터를 기록한다. 다음으로 태스크 전환에 의해 스캔 태스크(1012)가 기동되면, 이 스캔 태스크(1012)는 생성된 스캔 데이터를 버퍼 메모리의 스캔 에리어(104b)에 축적한다. 다음으로 전송 태스크(1014)가 기동되었을 때 버퍼 메모리의 스캔 에리어(104b)에 스캔 데이터가 이미 대기하고(준비되어) 있다면, 전송 태스크(1014)는 그 스캔 데이터를 LAN 제어부(115)에 전송한 다음 상기한 데이터를 PC에 송신한다.
이와 같이, 상기한 방식에서는 PC로부터 송신된 프린트 데이터가 버퍼 메모리에 축적되고, 프린트 태스크(1011)가 실행되고 있는 기간에만 버퍼 메모리에 축적된 프린트 데이터의 기록을 행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프린트 태스크(1011)가 실행되고 있지 않더라도 프린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스캔 동작에 있어서도, 스캔 데이터를 생성하는 동작과 스캔 데이터를 PC에 전송하는 동작이 별개의 태스크에 의해 수행된다. 전송 태스크(1O14)가 기동되었을 때 스캔 데이터가 버퍼 메모리의 스캔 에리어(104b)에 존재하고 있다면, 스캔 데이터는 PC에 송신된다. 따라서, 스캔 태스크는 OS에 의해서 할당된 시간 동안만 스캔 데이터를 생성하면 되므로, 프린트 동작과 스캔 동작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이상, 프린트 처리와 스캔 처리의 조합에 대해 설명했지만, 전술한 시분할 다중 처리는 도 1의 단말을 구성하는 각 기능을 임의로 조합함으로써 마찬가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복수의 동작이 동시에 요구되더라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제어부와 하나의 LAN 접속 수단만을 이용하여, 복수의 기능(상기한 예에서는 프린트, 스캔, 팩시밀리 통신 기능)마다 고유의 복수의 IP 어드레스가 취득됨으로써, 단말 장치가 이들 기능을 상기한 IP 어드레스를 통하여 마치 LAN 상에서 독립하여 동시 동작이 가능한 개별 기기인 것처럼 동작시키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르면, 단일의 LAN 접속 수단만을 이용한 간단하고 저비용의 구성에 의해 복합 기능의 화상 처리 장치의 각 기능마다 고유의 복수의 IP 어드 레스가 취득되고, 화상 처리 장치의 각 기능을 이들 IP 어드레스를 통하여 독립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기 때문에, 화상 처리 장치의 조작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화상 처리 장치의 각 기능은 그에 대응하는 IP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입출력하고, 태스크 전환에 의해 시분할 구동되는 태스크 프로그램에 따라서 독립적으로 동작한다. 또한, 각 태스크의 버퍼 메모리 영역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입출력할 수 있기 때문에, 화상 처리 장치의 각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시스템 소프트웨어를 독립성이 높은 태스크 프로그램 모듈로서 보다 용이하게 설계 개발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네트워크 상에서 운용되는 단일 기능의 기기의 소프트웨어를(기기가 프린터이면 프린터에 대한 소프트웨어만, 또는 기기가 스캐너이면 스캐너에 대한 소프트웨어만) 단순히 재설계함으로써 화상 처리 장치의 각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태스크 프로그램 모듈로 전용(轉用)할 수 있다.
또한, 본 화상 처리 장치를 이용하는 PC측에서 보면, 본 화상 처리 장치의 각 기능은, 네트워크 상에서 독립한(고유의) IP 어드레스를 갖는 별개의 기기로서 보이게 된다. 그리고, PC측에는, 프린터 기능이 필요하면 프린터용의 드라이버 프로그램, 스캐너 기능이 필요하면 스캔용의 드라이버 프로그램과 같이,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기능을 지원하는 드라이버 프로그램이 인스톨되므로, 사용자는 이 드라이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화상 처리 장치의 각 기능에 액세스할 수 있고, 따라서 종래의 복합 기능 화상 처리 장치에서 요구되는 복잡하고 대용량의 드라이버 프로그램을 PC에 인스톨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PC의 메모리와 디스크의 자원을 크게 절약할 수 있다.
상기한 설명에서는 라우터(도 1의 303)를 통하여 화상 처리 장치가 접속되는 네트워크가 "LAN"인 것으로 설명했지만, 라우터와 관련하여 설명한 네트워크가 인터넷과 같은 "WAN"인 경우에도 상기한 설명은 모두 그대로 적용된다.
또한, 상기한 설명에서는 IP 프로토콜보다 상위층의 통신 프로토콜(TCP/IP, UDP/IP[User Datagram Protocol/Internet Protocol], 또는 보다 상위의 소켓 서비스 등)에 대해서는 상세히 설명하지 않았지만, 임의 방식의 자원 공유 서비스(예를 들면 프린터/파일 공유 서비스) 및 그 프로토콜을 이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도 4 내지 도 8의 흐름도에 도시된 제어 수순은 통상적으로 ROM(102)에 저장되어, 그대로 또는 RAM(103)에 전개된 다음에 실행되지만, 본 발명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기억 매체는 상기한 ROM(102)에 한정되지 않으며, 플렉시블 디스크, MO, CD-ROM 등의 임의의 기억 매체일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의 공급 경로는 상기한 기억 매체에 한정되지 않으며,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운로드/인스톨되는 방식을 채택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의 장치는, 프린트, 스캔, 팩시밀리 통신의 3개의 기능을 복합한 복합 기능의 화상 처리 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독립한(고유의) IP 어드레스가 할당되는 복수의 기능의 종류나 수는 상기한 3개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화상 처리 기능을 갖는 화상 처리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그 제어 프로그램은, 상기한 장치가 네트워크 상의 IPv6 라우터에 접속하여, 상기 IPv6 라우터로부터 프리픽스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한 프리픽스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화상 처리 기능의 각각 에 대해 고유의 IP 어드레스를 생성하여, 각각의 화상 처리 기능마다 생성된 IP 어드레스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상의 다른 기기와 통신하고, 통신 결과에 따라서 복수의 화상 처리 기능의 각각을 동작시키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따라서, IPv6 기술을 이용함으로써 간단하고 저비용의 구성에 의해 복합 기능의 화상 처리 장치의 조작성을 개선하고 필요한 시스템 소프트웨어를 용이하게 설계할 수 있게 되는 우수한 효과가 얻어진다.

Claims (10)

  1. 복수의 화상 처리 기능을 갖는 화상 처리 장치로서,
    네트워크 상의 IPv6 라우터에 접속되어, 상기 IPv6 라우터로부터 프리픽스 정보를 취득하며, 상기 취득한 프리픽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화상 처리 기능의 각각에 대해 고유의 IP 어드레스를 생성하는 IP 어드레스 생성 수단; 및
    모든 화상 처리 기능마다 생성된 IP 어드레스를 사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상의 다른 기기와 통신하고, 상기 통신 결과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화상 처리 기능을 각각 동작시키는 제어 수단
    을 포함하는 화상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복수의 화상 처리 기능에 각각 대응하는 제어 태스크 프로그램을 태스크 전환을 이용하여 시분할로 실행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화상 처리 기능을 실행하고, 상기 복수의 화상 처리 기능에 각각 대응하는 상기 제어 태스크 프로그램을 단위로 하여, 상기 모든 화상 처리 기능마다 생성된 IP 어드레스를 이용한 통신을 상기 제어 태스크 프로그램을 기초로 수행하는 화상 처리 장치.
  3. 복수의 화상 처리 기능을 갖는 화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네트워크 상의 IPv6 라우터에의 접속을 설정하여, 상기 IPv6 라우터로부터 프리픽스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취득된 프리픽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화상 처리 기능의 각각에 대해 고유의 IP 어드레스를 생성하는 IP 어드레스 생성 단계; 및
    상기 모든 화상 처리 기능마다 생성된 IP 어드레스를 사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상의 다른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통신 결과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화상 처리 기능을 각각 동작시키는 제어 단계
    를 포함하는 화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복수의 화상 처리 기능에 각각 대응하는 제어 태스크 프로그램을 태스크 전환을 이용하여 시분할로 실행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화상 처리 기능을 실행하고, 상기 복수의 화상 처리 기능에 각각 대응하는 상기 제어 태스크 프로그램을 단위로 하여, 상기 모든 화상 처리 기능마다 생성된 IP 어드레스를 이용한 통신을 상기 제어 태스크 프로그램을 기초로 수행하는 화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5. 복수의 화상 처리 기능을 갖는 화상 처리 장치의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로서,
    네트워크 상의 IPv6 라우터에의 접속을 설정하여, 상기 IPv6 라우터로부터 프리픽스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취득된 프리픽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화상 처리 기능의 각각에 대해 고유의 IP 어드레스를 생성하는 IP 어드레스 생성 단계; 및
    상기 모든 화상 처리 기능마다 생성된 IP 어드레스를 사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상의 다른 기기와 통신하고, 상기 통신 결과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화상 처리 기능을 각각 동작시키는 제어 단계
    를 포함하는 화상 처리 장치의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복수의 화상 처리 기능에 각각 대응하는 제어 태스크 프로그램을 태스크 전환을 이용하여 시분할로 실행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화상 처리 기능을 실행하고, 상기 복수의 화상 처리 기능에 각각 대응하는 상기 제어 태스크 프로그램을 단위로 하여, 상기 모든 화상 처리 기능마다 생성된 IP 어드레스를 이용한 통신을 상기 제어 태스크 프로그램을 기초로 수행하는 화상 처리 장치의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화상 처리 기능으로서 적어도 프린터 기능 및 스캐너 기능을 포함하는 복합(composite) 화상 처리 장치인 화상 처리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P 어드레스 생성 수단은, 상기 생성된 IP 어드레스를 상기 라우터에 송신하여 상기 IP 어드레스의 중복을 조사하며, 상기 IP 어드레스가 중복인 경우, 상기 IP 어드레스 생성 수단은 상기 프리픽스에 기초하여 이전에 생성된 IP 어드레스와는 다른 IP 어드레스를 생성하는 화상 처리 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화상 처리 기능으로서 적어도 프린터 기능 및 스캐너 기능을 포함하는 복합 화상 처리 장치인 화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IP 어드레스 생성 단계는, 상기 생성된 IP 어드레스를 상기 라우터에 송신하여 상기 IP 어드레스의 중복을 조사하며, 상기 IP 어드레스가 중복인 경우, 상기 IP 어드레스 생성 단계는 상기 프리픽스에 기초하여 이전에 생성된 IP 어드레스와는 다른 IP 어드레스를 생성하는 화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KR20057001267A 2002-07-25 2003-07-25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기록매체 KR1006785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215965A JP3631225B2 (ja) 2002-07-25 2002-07-25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画像処理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JPJP-P-2002-00215965 2002-07-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5987A KR20050025987A (ko) 2005-03-14
KR100678541B1 true KR100678541B1 (ko) 2007-02-06

Family

ID=31184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7001267A KR100678541B1 (ko) 2002-07-25 2003-07-25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기록매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907295B2 (ko)
EP (1) EP1530875A4 (ko)
JP (1) JP3631225B2 (ko)
KR (1) KR100678541B1 (ko)
CN (1) CN100349452C (ko)
RU (1) RU2293446C2 (ko)
WO (1) WO20040124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41671A1 (en) * 2003-07-28 2005-02-24 Naoya Ikeda Network system and an interworking apparatus
JP2007081957A (ja) * 2005-09-15 2007-03-29 Ricoh Co Ltd 画像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4979220B2 (ja) * 2005-10-12 2012-07-1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4979294B2 (ja) * 2006-07-28 2012-07-18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4237215B2 (ja) * 2006-09-14 2009-03-11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読取システム、サーバ装置、画像読取装置、および端末装置
JP5025318B2 (ja) * 2007-05-01 2012-09-1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画像処理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JP5211602B2 (ja) * 2007-09-14 2013-06-12 株式会社リコー ネットワーク機器、サービス提供方法、及びサービス提供プログラム
FI20075972A0 (fi) 2007-12-28 2007-12-28 Navigil Oy Tietoliikennejärjestelmä
US8782278B2 (en) * 2008-03-21 2014-07-15 Qualcomm Incorporated Address redirection for nodes with multiple internet protocol addresses in a wireless network
JP5369860B2 (ja) * 2008-07-10 2013-12-1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子機器と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活用システム
JP5199827B2 (ja) * 2008-10-28 2013-05-15 理想科学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印刷システム
US20120044527A1 (en) * 2010-08-18 2012-02-23 Snap-On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ed Ethernet Switching
US9117321B2 (en) 2010-08-18 2015-08-25 Snap-On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to use remote and local control modes to acquire and visually present data
US8830510B2 (en) 2011-06-07 2014-09-09 Canon Kabushiki Kaisha Transmission apparatus, reception apparatus, serial communication apparatus, and printing apparatus including the serial communication apparatus
JP6355418B2 (ja) * 2014-05-13 2018-07-1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システム
US10560418B2 (en) * 2014-10-02 2020-02-11 Facebook, Inc. Techniques for managing discussion sharing on a mobile platform
CN105069075B (zh) * 2015-07-31 2018-02-23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照片共享方法和装置
CN105095873B (zh) * 2015-07-31 2018-12-18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照片共享方法、装置
CN105577847A (zh) * 2015-12-14 2016-05-11 邦彦技术股份有限公司 Ip地址生成方法及装置
JP6904826B2 (ja) * 2017-07-14 2021-07-21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82266A (ja) * 1984-02-29 1985-09-17 Canon Inc 通信装置
DE3606661A1 (de) * 1985-03-01 1986-09-04 Canon K.K., Tokio/Tokyo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ilduebertragung
US4897831A (en) * 1987-03-02 1990-01-30 Canon Kabushiki Kaisha Data transmission/reception apparatus
US5075783A (en) * 1988-04-20 1991-12-24 Canon Kabushiki Kaisha Facsimile apparatus and facsimile communication method
US5216705A (en) * 1989-07-12 1993-06-01 Canon Kabushiki Kaisha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with an abbreviated dial key having a plurality of dial data and capable of selecting one of two communication functions
JPH04336875A (ja) * 1991-05-14 1992-11-25 Canon Inc データ通信装置
US5638497A (en) * 1992-12-18 1997-06-10 Dataproducts Corporation Virtual printer
US5835577A (en) * 1996-04-25 1998-11-10 Copytele, Inc. Multi-functional personal telecommunications apparatus
JPH108447A (ja) 1996-06-24 1998-01-13 Hokoku Eng Kk 貫入試験方法とその装置
JP3707509B2 (ja) * 1996-09-05 2005-10-1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多機能並行処理型電子装置
US6288790B1 (en) * 1998-05-15 2001-09-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obility support for printing
US6247057B1 (en) * 1998-10-22 2001-06-12 Microsoft Corporation Network server supporting multiple instance of services to operate concurrently by having endpoint mapping subsystem for mapping virtual network names to virtual endpoint IDs
EP1860519B1 (en) * 1999-02-26 2011-07-27 Henry Haugland Mass Generation of Individual Virtual Servers, Virtual Web Sites and Virtual Web Objects
JP3975045B2 (ja) 2000-01-24 2007-09-12 パナソニック 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制御装置及びリモート表示装置
JP3776705B2 (ja) * 2000-09-28 2006-05-17 株式会社東芝 通信システム、移動端末装置、ゲートウェイ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JP4491980B2 (ja) * 2001-03-05 2010-06-30 ソニー株式会社 通信処理システム、通信処理方法、および通信端末装置、並びにプログラム
GB2367986B (en) * 2001-03-16 2002-10-09 Ericsson Telefon Ab L M Address mechanisms in internet protocol
JP2003108448A (ja) * 2001-07-16 2003-04-11 Canon Inc ネットワークデバイスの管理装置、管理方法及び管理プログラム
US6934932B2 (en) * 2001-10-16 2005-08-23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workflow using a plurality of scripts
JP4339536B2 (ja) * 2001-11-02 2009-10-07 ソニー株式会社 アドレス自動割り当て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3912582B2 (ja) * 2001-11-20 2007-05-0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ネットワークデバイス、ウェブページ作成方法、ウェブページ作成用プログラムおよびデータ送信用プログラム
JP3725070B2 (ja) * 2001-12-21 2005-12-07 株式会社東芝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ルータ、ホスト、プレフィクス管理方法及びipアドレス管理方法
US7873028B2 (en) * 2002-01-25 2011-01-18 Quanta Comput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 flexible peripheral access router
US20030220900A1 (en) * 2002-03-28 2003-11-27 Bajko Gabor Method and apparatus for deprecating IP addresses
US7185074B2 (en) * 2002-09-30 2007-02-27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Method of discovering and installing clients for digital copier services
EP1560109A4 (en) * 2002-11-06 2011-05-18 Panasonic Corp PRINTING SYSTEM, PRINTING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PRINTING INSTRUC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349452C (zh) 2007-11-14
EP1530875A1 (en) 2005-05-18
CN1672397A (zh) 2005-09-21
KR20050025987A (ko) 2005-03-14
US7907295B2 (en) 2011-03-15
US20050225794A1 (en) 2005-10-13
JP3631225B2 (ja) 2005-03-23
RU2005105076A (ru) 2005-07-20
JP2004064162A (ja) 2004-02-26
EP1530875A4 (en) 2005-09-07
RU2293446C2 (ru) 2007-02-10
WO2004012439A1 (en) 2004-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8541B1 (ko)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기록매체
US7369257B2 (en) System including proxy server for processing data in place of client terminal
JP2005079929A (ja)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通信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US6785022B1 (en) Data communication method of apparatus connected to LAN
JP4183922B2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4856472B2 (ja) 通信端末及び通信方法
JPH07288634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CN1242602C (zh) 传输目的地转发方法和具有中继功能的传真设备
US20050232266A1 (en)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JP4349572B2 (ja) ネットワークファクシミリ装置及びその通信網自動選択処理方法
JPH118648A (ja) ネットワーク接続装置
JP2009111819A (ja) 機能拡張装置、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システム
JP3780005B2 (ja) ファクシミリ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4080452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画像処理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JP3879752B2 (ja) ネットワークファクシミリ装置およびデータ転送方法
JP3991831B2 (ja) 画像形成システム、ネットワーク制御装置
JPH08214172A (ja) 画像処理装置
JP2003264706A (ja) ネットワークファクシミリ装置
JP2001189857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および画像処理方法および記憶媒体
JP4008587B2 (ja) ファクシミリ通信システムと通信方法
JP2005101777A (ja) 通信装置
JP2009147854A (ja) データ通信装置、データ通信方法、データ通信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08187261A (ja) 画像通信装置、画像通信プログラム
JPH07162552A (ja) 通信装置
JP2002300340A (ja) インターネットファクシミリ装置およびファクシミリ転送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