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3976B1 - 평탄한 제품 섹션을 이송하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평탄한 제품 섹션을 이송하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3976B1
KR100633976B1 KR1020027008725A KR20027008725A KR100633976B1 KR 100633976 B1 KR100633976 B1 KR 100633976B1 KR 1020027008725 A KR1020027008725 A KR 1020027008725A KR 20027008725 A KR20027008725 A KR 20027008725A KR 100633976 B1 KR100633976 B1 KR 1006339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ing
plane
conveying device
clamping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8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1920A (ko
Inventor
페터 라인더스
Original Assignee
슈말레-홀딩 게엠베하 운트 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슈말레-홀딩 게엠베하 운트 코 filed Critical 슈말레-홀딩 게엠베하 운트 코
Publication of KR20020071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19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3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39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0/00Advancing webs
    • B65H20/16Advancing webs by web-gripping means, e.g. grippers, clips
    • B65H20/18Advancing webs by web-gripping means, e.g. grippers, clips to effect step-by-step advancement of web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43/00Other methods, machines or appliances
    • A41H43/02Handling garment parts or blanks, e.g. feeding, piling, separating or reversing
    • A41H43/0235Feeding or advanc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4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from or with transverse cutters or perforator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3/00Devices incorporated in sewing machines for supplying or removing the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4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 B65H2301/443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4433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by means holding th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4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 B65H2301/447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transferring material between transport devices
    • B65H2301/4471Grippers, e.g. moved in paths enclosing an area
    • B65H2301/44718Grippers, e.g. moved in paths enclosing an area reciprocated in rectilinear path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4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 B65H2301/447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transferring material between transport devices
    • B65H2301/4473Belts, endless moving elements on which the material is in surface cont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20Belts
    • B65H2404/26Particular arrangement of belt, or belts
    • B65H2404/268Arrangement of belts facing a transport surface, e.g. contact glass in copy machi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04Proces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04Processes
    • Y10T83/0448With subsequent handling [i.e., of produ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202With product handling means
    • Y10T83/2092Means to move, guide, or permit free fall or flight of product
    • Y10T83/2183Product mover including gripper means
    • Y10T83/2187Reciprocating product handl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202With product handling means
    • Y10T83/2092Means to move, guide, or permit free fall or flight of product
    • Y10T83/2192Endless convey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444Tool engages work during dwell of intermittent workfeed
    • Y10T83/445With work-moving clamp jaw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444Tool engages work during dwell of intermittent workfeed
    • Y10T83/4453Work moved solely by movable abut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444Tool engages work during dwell of intermittent workfeed
    • Y10T83/4594Dwell caused by clamping or blocking work during continuous operation of feed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444Tool engages work during dwell of intermittent workfeed
    • Y10T83/463Work-feed element contacts and moves with work
    • Y10T83/4632Comprises a work-moving gripper

Abstract

본 발명은 제품 라인(1)으로부터 분리된 제품 섹션(1')을 이송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제품 섹션은 제 1 이송 수단으로부터 제 2 이송 수단으로 이송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상기 분리된 제품 섹션(1')을 지지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이송 수단의 이송 방향(5)은 제품 라인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향하는 반면, 상기 제 2 이송 수단의 이송 방향(6)은 제품 라인의 길이 방향에 대해 가로로 향한다. 상기 제품 섹션(1')은 제 1 이송 수단의 평면(I.)으로부터 제 2 이송 수단의 평면(II.)으로 변위될 수 있고, 클램핑 장치(2)에 의해서 상기 제 2 이송 수단으로 이송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은 수의 사이클에 도달할 수 있는 상기와 같은 유형의 이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위해서, 각각의 클램핑 장치(2)는 한 쌍의 클램핑 조오(12, 13)로 이루어지고, 상기 개별 클램핑 조오(12, 13)는 서로 독립적으로 변위될 수 있는데, 특히 상기 제품 라인(1) 또는 상기 제품 섹션(1')의 평면에 대해서는 수직으로 및 상기 제품 섹션(1')의 이송 방향(6)과는 평행하게 그리고 상기 제 2 이송 수단의 이송 방향(6)과도 평행하게 변위될 수 있다. 제 1 위치에서는, 상기 클램핑 조오(12, 13)가 분리된 제품 섹션(1')을 제 1 이송 수단의 평면(I.)에서 클램핑 및 지지하고, 상기 분리 섹션을 제 2 이송 수단의 평면(II.)으로 이송하며, 제 2 이송 수단으로 움직일 수 있다. 제 2 위치에서는, 상기 클램핑 조오(12, 13)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움직이며, 제 1 클램핑 조오(12)는 제 2 이송 수단의 방향으로 전방으로 뻗은 다음에 제 1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제 3 위치로 되돌아간다. 상기 제 2 위치에서, 제 2 클램핑 조오(13)는 제 2 이송 수단의 이송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제 2 이송 수단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고, 제 1 이송 수단의 평면(I.)으로 되돌아갈 수 있으며, 상기 평면으로부터 제 2 클램핑 조오는 제 1 위치로 되돌아갈 수 있다.

Description

평탄한 제품 섹션을 이송하기 위한 장치 {DEVICE FOR TRANSPORTING A FLAT SECTION OF A PRODUCT}
본 발명은, 제품 라인으로부터 분리된 평탄한 제품 섹션, 예를 들어 직물 재료, 종이, 판지, 플라스틱, 시이트(sheet) 또는 박막으로 이루어진 제품 라인의 한 섹션을 이송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제품 섹션은 주로 수평 방향으로 제 1 이송 수단으로부터 제 2 이송 수단으로 이송될 수 있고, 불연속적으로 작동하는 제 1 이송 장치(제 1 이송 수단) 및 연속적으로 작동하는 제 2 이송 장치(제 2 이송 수단)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이송 장치에 의해서는 하나의 제품 라인이 제품 저장소로부터 빼내지거나 배출될 수 있고, 상기 라인의 분리될 자유 단부는 팽창되지 않은 상태로 혹은 팽창된 상태로 유지되며, 상기 제 2 이송 장치의 이송 평면은 상기 제 1 이송 장치의 이송 평면에 대해 평행하게 간격을 두고 뻗고, 분리된 제품 섹션을 지지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이송 장치의 이송 방향은 제품 라인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향하고, 상기 제 2 이송 장치의 이송 방향은 제품 라인의 길이 방향에 대해 가로로 향하며, 바람직하게 상기 제 1 이송 장치는 제품 라인을 위한 클램핑 집게(clamping plier) 및 이송 집게로 이루어지며, 상기 집게는 클램핑 집게 쪽으로 및 상기 클램핑 집게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움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클램핑 집게와 이송 집게 사이에 분리 장치가 배치되며, 상기 분리 장치에 의해서는 분리된 제품 섹션을 형성하기 위한 제품 라인이 양단될 수 있고, 상기 분리된 제품 섹션은 분리 절단 공정 및 배출 공정이 이루어진 후에 또는 상기 공정들과 동시에 제 1 이송 장치에 의해서, 특히 클램핑 집게 및 이송 집게에 의해서 이송 수단을 통해 제 1 이송 장치의 평면으로부터 제 2 이송 장치의 평면으로 변위될 수 있고 상기 제 2 이송 장치의 평면에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이송 수단은 클램핑 장치로 이루어지며, 상기 클램핑 장치에 의해서는 제 2 이송 장치의 이송 방향과 평행하게 향하는 영역, 바람직하게는 분리된 제품 섹션의 경계부가 상기 제품 섹션의 경계부 에지로부터 간격을 두고 제 1 이송 장치의 평면에 클램핑되고, 상기 클램핑 장치에 의해서 상기 영역은 제 2 이송 장치의 평면으로 움직일 수 있으며, 그 결과 상기 클램핑 장치는 제 2 이송 장치의 평면에서 상기 이송 장치 쪽으로 및 상기 이송 장치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선행 기술에는 제품 섹션, 특히 직물 라인으로부터 분리된 직물 섹션을 이송하기 위한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상기 이송 장치는 불연속적으로 작동하는 제 1 이송 장치 및 연속적으로 작동하는 제 2 이송 장치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이송 장치에 의해서는 하나의 직물 라인이 제품 저장소로부터 빼내지거나 배출될 수 있고, 상기 라인의 분리될 자유 단부는 팽창되지 않은 상태로 혹은 팽팽하게 팽창된 상태로 유지되며, 상기 제 2 이송 장치의 이송 평면은 상기 제 1 이송 장치의 이송 평면에 대해 평행하게 뻗지만 상기 이송 평면이 수평으로 정렬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 1 이송 평면 아래에서 뻗고, 분리된 제품 섹션을 지지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이송 장치의 이송 방향은 배출된 제품의 레일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향하고, 상기 제 2 이송 장치의 이송 방향은 상기 레일 길이 방향에 대해 가로로 향한다. 상기 제 1 이송 장치는 바람직하게 직물 라인을 위한 클램핑 집게 및 이송 집게로 이루어지며, 상기 집게는 수평면에서 클램핑 집게 쪽으로 및 상기 클램핑 집게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움직일 수 있다. 상기 클램핑 집게와 이송 집게 사이에는 분리 장치가 배치되며, 상기 분리 장치에 의해서는 분리된 직물 섹션을 형성하기 위한 직물 라인이 양단될 수 있다. 상기 분리된 직물 섹션은 분리 절단 공정 및 배출 공정이 이루어진 후에 또는 상기 공정들과 동시에 제 1 이송 장치에 의해서, 특히 클램핑 집게 및 이송 집게에 의해서 이송 수단을 통해 제 1 이송 장치의 평면으로부터 제 2 이송 장치의 평면으로 변위될 수 있고, 상기 제 2 이송 장치의 평면에 제공될 수 있다.
선행 기술에서는 하나의 직물 라인을 제품 저장소로부터 빼내고 상기 직물 라인으로부터 일부분의 섹션을 분리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분리된 상기 직물 섹션은 나중에 처리 스테이션에서 추가로 처리되거나 또는 이송 스테이션으로 계속해서 제공된다. 직물 라인이 제품 저장소로부터 빼내지는 바로 그 영역으로부터 직물 섹션이 수송되자마자, 다른 직물 섹션이 상기 직물 라인으로부터 분리되어 재차 수송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직물 섹션의 분리가 이루어지는 영역으로부터 상기 분리된 직물 섹션이 수송되는 기간 동안에는 다른 직물 섹션이 전혀 분리될 수 없거나, 또는 다른 직물 섹션이 적어도 제 2 평면으로는 이송될 수 없고, 이미 분리된 직물 섹션이 제 2 평면에 있는 배출 영역으로부터 완전히 수송되는 경우에 비로소 적어도 다른 직물 섹션이 분리될 수 있는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실시예가 단점이 된다.
위·아래로 겹쳐서 배치된 가로 이송 평면 및 세로 이송 평면을 갖는 장치도 이미 공지되어 있다. 상기 장치에서 직물 섹션은 니들 렛지(needle ledge)상에 고정되고, 직물 라인으로부터 분리되며, 상기 니들 렛지로부터 가로 이송 수단으로서의 니들 체인으로 움직이고 이송된다. 이와 같은 장치는 니들 렛지의 형성 및 정렬과 관련하여 복잡하고 처리하기가 어려우며, 또한 상기 니들 렛지에 의해 예컨대 직물 가공품의 손상이 야기되어 많은 경우에 바람직하지 않게 된다는 단점을 갖는다.
예전의 제안에서는 이미, 2개의 이송 장치를 거의 위·아래로 겹쳐 배치함으로써, 분리될 제품 섹션의 치수에 상응하는 정도까지 제품 섹션, 특히 직물 라인을 제품 저장소로부터 빼내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법이 제시되었다. 그 다음에 상기 제품 섹션은 분리의 목적으로 라인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며, 상기 분리 공정은 원형 나이프에 의해서 또는 절단용 바아(bar)에 의해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분리 공정 전에는, (제품 라인의 방향으로 볼 때) 가로 경계부 에지에 있는 분리될 제품 섹션이 클램핑 장치에 의해서 캣치되어 저장이 용이하도록 고정된다. 그 다음에 클램핑 장치는 분리된 제품 섹션과 함께 제 2 이송 평면으로 이송되고, 상기 제 2 이송 평면에는 연속적으로 작동하는 제 2 이송 장치가 배치되어 있다. 이때 제품 섹션은, 경계부가 양 경계부 에지에 배치된 2개의 클램핑 장치 위로 돌출하도록 경계부 에지에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나서 분리된 제품 섹션이 클램핑 장치에 의해 제 2 이송 장치의 평면에서 상기 이송 장치 쪽으로 움직여서 상기 이송 장치로 이송된다.
제품 섹션이 클램핑 장치내에 무리 없이 고정되어 제품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고 응력이 없는 상태로 유지된다면, 상기와 같은 실시예는 바람직하다. 그럼으로써 제품 섹션 자체에서의 드래프팅(drafting) 현상도 피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서의 문제점은 이전과 마찬가지로, 그 위에 있는 분리될 직물 섹션이 차지하는 커버링 영역을 벗어날 정도까지 이송 수단이 제 2 이송 장치에 있는 이송 장소의 방향으로 밀릴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그 경우에만 클램핑 장치의 부품이 스타팅 위치로 되돌아갈 수 있으며, 상기 위치에서 클램핑 장치의 하나의 부품은 상부 평면에 있는 분리될 직물 섹션의 상부에 배치되고, 클램핑 장치의 다른 부품은 제 1 평면에 있는 분리될 직물 섹션의 하부에 배치되며, 그에 의해서 직물 섹션이 분리되는 경우에 또는 분리되는 동안에 상기 직물 섹션은 캐치된다. 그럼으로써 동작 시퀀스가 악영향을 받게 되고, 이와 같은 악영향은 전체적으로 불만스러운 개수의 제품 섹션이 배출되게끔 한다.
상기와 같은 과거의 해결책으로부터 출발하는 본 발명의 목적은, 더욱 높은 사이클에 도달할 수 있는, 즉 동일한 시간에 더 많은 수의 직물 섹션이 분리되어 제 2 이송 장치로 이송될 수 있는, 전술한 바와 같은 유형의 장치를 제작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각각의 클램핑 장치가 한 쌍의 클램핑 조오(clamping jaw) 또는 측면이 서로 이격된 두 쌍의 클램핑 조오로 이루어지며, 상기 클램핑 조오 쌍의 클램핑 조오는 서로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데, 특히 제품 라인 또는 제품 섹션의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그리고 제품 섹션의 이송 방향과 평행하게 및 제 2 이송 장치의 이송 방향과 평행하게, 더욱이 이송 방향으로 및 이송 방향과 반대로 움직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제품 섹션 위에 있는 제 1 클램핑 조오는 서로 비동시적으로 움직이거나 또는 동시적으로 움직일 수도 있고, 제품 섹션 아래에 있는 제 2 클램핑 조오는 서로 비동시적으로 움직이거나 또는 동시적으로 움직일 수도 있으며, 그 결과 상기 클램핑 조오 쌍이 제 1 위치에 있는 경우에 상기 제 1 클램핑 조오 및 제 2 클램핑 조오는 제 1 이송 장치의 평면에 있는 분리된 제품 섹션을 클램핑 및 지지하고, 제 2 이송 장치의 평면으로 이송시키며, 이 경우 두 쌍의 클램핑 조오는 폐쇄된 상태에서 이송 동작에 후속하여 또는 이송 동작 동안에 제 1 평면으로부터 제 2 평면으로 제 2 이송 장치 쪽으로 움직일 수 있거나 또는 움직이며, 제 2 이송 장치에 의한 전달 동작이 적어도 개시되었거나 이루어졌으며, 제품 섹션이 여전히 제 1 이송 장치의 평면으로부터 제 2 이송 장치의 평면으로 이송되는 경로 안에 있는 제 2 위치에서는, 클램핑 조오가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이동되고, 제 1 클램핑 조오는 제 2 이송 장치의 방향으로 움직이며, 상기 이송 경로로부터 완전히 벗어난 후에는 제 1 이송 장치의 평면 건너편에 (위에) 있는 위치로 움직일 수 있고, 제 3 위치로 되돌아가며, 상기 제 3 위치로부터 클램핑 조오는 제 1 위치로 움직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제 2 위치에서는 또한 제 2 클램핑 조오가 제 2 이송 장치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장치의 이송 방향과 반대로 움직일 수 있고, 제 2 이송 장치로 이송된 제품 섹션에 의해 형성된 커버링 영역으로부터 완전히 벗어난 후에는 제 1 이송 장치의 평면 앞에 (아래에) 있는 제 3 위치로 되돌아가며, 상기 제 3 위치로부터 클램핑 조오는 제 1 위치로 움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대상은 또한, 제 1 이송 장치 및 제 2 이송 장치를 구비한, 분리된 평탄한 제품 섹션을 이송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장치에서 제품 섹션은 제 1 이송 장치로부터 제 2 이송 장치로 이송될 수 있으며, 상기 이송 장치의 이송 평면은 납땜하기 알맞은 간격을 두고 제 1 이송 장치의 이송 평면과 평행하게 뻗고, 분리된 제품 섹션을 지지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이 경우 상기 제 1 이송 장치의 이송 방향 및 제 2 이송 장치의 이송 방향은 서로 교차하도록 향하고 있으며, 이 경우 제 1 이송 장치의 이송 평면에 있는 제품 섹션은 지지 수단에 의해서 지지되고, 이송 수단에 의해서 제 1 평면에 고정될 수 있으며, 제 1 이송 장치의 평면으로부터 제 2 이송 장치의 평면으로 이동될 수 있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제 2 이송 장치의 평면에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이송 수단은 클램핑 장치로 이루어지며, 상기 클램핑 장치에 의해서는 제 2 이송 장치의 이송 방향과 평행하게 향하는 제품 섹션의 영역이 제 1 이송 장치의 평면에서 클램핑 되고, 상기 제품 섹션은 클램핑 장치에 의해서 제 2 이송 장치의 평면으로 움직이며, 제 2 이송 장치의 평면에 있는 클램핑 장치는 바람직하게 상기 이송 장치 쪽으로 및 상기 이송 장치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고, 하기와 같은 장점을 갖는다:
각각의 클램핑 장치는 한 쌍의 클램핑 조오 또는 측면이 서로 이격된 두 쌍의 클램핑 조오로 이루어지며, 상기 클램핑 조오 쌍의 클램핑 조오는 서로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데, 특히 이송 장치의 평면에 납땜하기 적합하도록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이송 장치 및/또는 제품 섹션의 이송 방향과 평행하게 및 제 2 이송 장치의 이송 방향과 평행하게, 더욱이 이송 방향으로 및 이송 방향과 반대로 움직일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상기 클램핑 조오 쌍이 제 1 위치에 있는 경우에 상기 제 1 클램핑 조오 및 제 2 클램핑 조오가 제 1 이송 장치의 평면에 있는 분리된 제품 섹션을 클램핑 및 지지하고, 제 2 이송 장치의 평면으로 이송시키도록 상기 클램핑 조오가 제어 장치에 의해서 움직일 수 있으며, 이 경우 두 쌍의 클램핑 조오 또는 적어도 제 1 클램핑 조오는 폐쇄된 상태에서 이송 동작에 후속하여 또는 이송 동작 동안에 제 1 평면으로부터 제 2 평면으로 제 2 이송 장치의 입력측 쪽으로 움직일 수 있거나 또는 움직이며, 제 2 이송 장치에 의한 전달 동작이 적어도 개시되었거나 이루어졌으며, 제품 섹션이 여전히 제 1 이송 장치의 평면으로부터 제 2 이송 장치의 평면으로 이송되는 경로 안에 있는 제 2 위치에서는, 클램핑 조오가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이동되고, 제 1 클램핑 조오가 제 2 이송 장치의 방향으로 움직이거나 또는 상기 방향과 반대로 움직일 수 있으며, 상기 제품 섹션의 이송 경로로부터 평면의 반대편에 있는 위치로 완전히 벗어난 후에는 제 2 이송 장치의 평면과 반대편에 있는 제 1 이송 장치 평면의 측면으로 움직일 수 있고, 제 3 위치로 되돌아가며, 상기 제 3 위치로부터 클램핑 조오는 제 1 위치로 움직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제 2 위치에서는 또한 제 2 클램핑 조오가 정지 상태로 유지되거나 또는 제품 섹션이 제 1 클램핑 조오의 동작에 의해서 제 2 이송 장치의 방향으로 이동되며, 이 경우 제품 섹션이 제 1 평면으로부터 제 2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제품 섹션의 이송 경로로부터 완전히 벗어난 후에 상기 클램핑 조오는 제 2 이송 장치의 평면 쪽을 향하고 있는 제 1 이송 장치의 측면에서 상기 제 1 이송 장치의 평면 앞에 있는 제 3 위치로 되돌아가거나, 또는 상기 제 2 클램핑 조오가 제 2 이송 장치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장치의 이송 방향과 반대로 움직일 수 있고, 제 2 이송 장치로 이송된 제품 섹션에 의해 형성된 커버링 영역으로부터 완전히 벗어난 후에 상기 클램핑 조오는 제 2 이송 장치의 평면 쪽을 향하고 있는 제 1 이송 장치의 측면에서 상기 제 1 이송 장치의 평면 앞에 있는 제 3 위치로 되돌아가며, 상기 제 3 위치로부터 클램핑 조오가 제 1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장치에 의해서는, 제품 섹션의 상이한 취급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분리된 평탄한 제품 섹션이 수평 정렬 상태로 제 1 이송 장치내에 지지되고, 제품 섹션이 제 1 이송 장치의 평면으로 이송되어야 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품 섹션이 먼저 제 1 이송 장치의 이송 평면에서 클램핑 조오 또는 이송 집게 혹은 그와 유사한 수단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와 같은 위치에서는, 상기 제품 섹션의 경계부 영역에서 각각 제 1 클램핑 조오가 제품 섹션 위에 배치되고 제 2 클램핑 조오가 제품 섹션 아래에 배치되도록 클램핑 조오 쌍의 위치가 설정된다. 그 다음에 클램핑 조오가 클램핑 상태로 이동됨으로써, 제품 섹션은 클램핑 조오에 의해서 제 1 이송 장치의 평면에 클램핑 된다.
그 다음에, 적합한 구동 장치에 의해 구동된, 바아 형태로 형성된 클램핑 조오가 제어 장치에 의해서 움직이며, 이 경우 클램핑 조오는 제품 섹션과 함께 예를 들어 수직으로 아래로, 제 2 이송 장치의 평면으로 움직인다. 2개의 클램핑 조오가 수직으로 움직일 뿐만 아니라 수평으로도 움직이도록 배치되어 고정되면, 상기 수직 이동과 겹쳐서 제 2 이송 장치 방향으로의 이동도 또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바와 같이, 단지 제 1 클램핑 조오만이 제 2 이송 장치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면, 제 1 클램핑 조오가 정지 상태를 유지하는 제 2 클램핑 조오에 대해 상대적으로 제 2 이송 장치의 방향으로 앞쪽으로 움직이는 동시에 제품 섹션이 상기 제 1 클램핑 조오에 의해 함께 구동되어 제 2 클램핑 조오를 따라 움직이는 방식으로 동작이 연속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나중에 제품 섹션과 제 2 클램핑 조오 사이에 상대 운동이 이루어지는 한편, 제 1 클램핑 조오와 제품 섹션 사이에서는 상대 운동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거나 또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는다. 제품 섹션이 상응하는 중간 위치에 도달하자마자, 즉 예를 들어 제 2 이송 장치에 의한 이송 동작이 개시되었거나 또는 이미 종료된 경우에는 클램핑 조오가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이동될 수 있으며, 이 목적을 위해 클램핑 조오는 제품 섹션이 고정되어 있는 평면 쪽으로 납땜하기 적합하도록 움직인다. 그 다음에는, 재차 출발 위치에 도달하도록 하기 위한 클램핑 조오의 상이한 동작이 가능해진다. 제 1 가능성은, 제품 섹션 아래에 있는 제 2 클램핑 조오가 상기 제품 섹션의 이송 방향으로 제 2 이송 장치를 향해서 이동될 수 없고, 다만 수직으로만, 즉 수직으로 제품 섹션 쪽으로 또는 상기 제품 섹션이 고정된 표면 쪽으로만 이동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 경우 제 2 클램핑 조오는, 상기 클램핑 조오 위에 있는 제품 섹션이 완전히 상기 클램핑 조오 위의 공간을 벗어날 때까지 하부 위치에(제 2 평면에) 머물러야만 한다. 그런 다음에야 비로소 하부 제 2 클램핑 조오는 납땜하기에 적합하도록 위로 제 1 평면으로 되돌아갈 수 있다. 제 2 평면에서 제품 섹션 위에 있는 제 1 클램핑 조오는, 상기 클램핑 조오가 제 1 이송 장치의 평면 안에 있는 다음 제품 섹션에 의해 차지되는 영역 밖에 있게 될 정도까지 전방으로, 제 2 이송 장치의 방향으로 이동된다. 제 1 클램핑 조오의 전방 이동이 선호될 수 있는 이유는, 상기 전방 이동으로 인해 전체 장치의 길이가 연장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오히려 상기 클램핑 조오는 제 2 이송 장치 위에서 상기 이송 장치의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이송 장치를 지나서 변위될 수도 있다. 그때 상응하는 빈 공간이 형성된다. 대안적으로는, 상기 제 1 클램핑 조오가 제 2 이송 장치의 평면에서 반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음으로써, 결국 상기 클램핑 조오는 제 2 이송 장치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특히 상기 제 1 클램핑 조오가 그 위에 있는, 제 1 이송 장치의 평면에 배치된 다음 제품 섹션의 표면 밖에 있게 될 정도의 거리만큼 이동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 다음에는 상기 제 1 클램핑 조오가 납땜하기에 적합하도록 위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클램핑 조오는 제 1 이송 장치의 평면에 고정된 제품 섹션 위의 위치에 있게 된다. 클램핑 조오의 수직 이동 및 상기 수직 이동에 대한 수평 이동이 중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이동 부재의 병진 운동은 수평 방향으로 및 수직 방향으로 이루어진다. 그 다음에는 상기 제 1 클램핑 조오가 제 1 이송 장치의 평면에 있는 제품 섹션 위의 위치로 되돌아갈 수 있음으로써, 결국 상부 클램핑 조오 및 하부 클램핑 조오는 재차 위·아래로 겹쳐서 배치되고, 상기 제 1 이송 장치의 평면에 있는 제품 섹션을 지지하기 위해서 연속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 다음의 추가 동작 시퀀스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다.
또한, 제 2 클램핑 조오를 납땜하기에 적합하도록 제품 섹션 쪽으로뿐만 아니라 상기 제품 섹션이 고정된 평면과 평행하게 이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 목적을 위한 제 1 클램핑 조오의 동작 시퀀스는 전술한 정렬 상태의 경우와 동일하다. 제 2 클램핑 조오의 동작은 하기와 같다. 클램핑 조오가 제 1 이송 장치의 평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제 2 이송 장치의 평면으로 이동되며, 이 경우에는 상기 클램핑 조오가 동시에 중복되어 연속적으로 제 2 이송 장치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수직 성분 및 수평 성분으로 구성된 제품 섹션의 병진 운동이 이루어진다. 제 2 이송 장치에 의해 제품 섹션이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하게 이송된 후에는, 제 2 클램핑 조오도 또한 제 2 이송 장치의 평면에 있는 제품 섹션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그 다음에는, 제 2 클램핑 조오가 제 2 이송 장치의 평면에 있는 제품 섹션의 커버링 영역 밖에 있게 될 정도로, 상기 제 2 클램핑 조오가 제 2 이송 장치와 반대로 리턴 동작할 수 있다. 그 후에 제 2 클램핑 조오가 제 1 이송 장치의 평면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음으로써, 상기 클램핑 조오는 상기 평면에 있는 다음 제품 섹션 아래에 배치된다. 제 1 클램핑 조오 및 제 2 클램핑 조오를 상기 위치에 제공함으로써, 제 1 이송 장치의 평면에 있는 제품 섹션은 클램핑 되어 전술한 시퀀스와 유사하게 움직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는 바람직하게, 각 클램핑 조오 쌍의 클램핑 조오가 동시에 제 3 위치에 도달할 수 있도록 상기 클램핑 조오의 동작 시퀀스가 조절되는 것이 제안된다.
상기 장치를 또한 다양한 폭의 제품 섹션에 맞게 조절할 수 있기 위해서, 클램핑 조오 쌍의 상호 측면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 제안된다.
클램핑 조오 쌍의 클램핑 조오가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고, 분리될 직물 섹션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뿐만 아니라 제 2 이송 장치의 이송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도 이동될 수 있음으로써, 2개 집게의 동작 시퀀스를 서로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한 동시에 2개 평면에서 한 번의 작업이 가능해지며, 포착된 제품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고, 응력 없이 지지된다. 그에 따른 결과로서, 보다 큰 사이클, 즉 단위 시간당 더 많은 생산량에 도달하게 된다.
본 발명은 개략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서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주요 구성 부분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과 동일한 부분을 수직축을 중심으로 90°만큼 회전시킨 측면도이며,
도 3 내지 도 6은 도 2에 따른 도시와 유사한 측면도이다.
도면에는, 제품 라인(1)으로부터 분리된 제품 섹션(1'), 바람직하게는 직물 라인으로부터 분리된 직물 섹션을 이송하기 위한 장치의 주요 부재들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장치는 실제로 불연속적으로 작동하는 제 1 이송 장치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송 장치에 의해서는 제품 라인(1)이 도시되지 않은 제품 저장소 또는 제품 보관소로부터 빼내질 수 있거나 배출될 수 있고, 상기 라인의 분리될 자유 단부는 팽창되지 않은 상태로 (약간 늘어진 상태로) 혹은 팽창된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 장치는 또한 연속적으로 작동하는 제 2 이송 장치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이송 장치의 이송 평면(II.)은 제 1 이송 장치의 이송 평면(I.)과 평행하게 뻗고, 분리된 제품 섹션(1')을 지지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제품 섹션(1')은 팽창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거나 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팽창되지 않은 상태로, 즉 아래로 늘어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제 1 이송 장치의 이송 방향은 도 1에서 도면 부호 (5)로 지시되어 있다. 제 2 이송 장치의 이송 방향은 도 1에 따라 도시 평면에 대해 직각이고, 도 2에서는 화살표(6)로 지시되어 있다. 상기 2개 이송 장치의 이송 평면(I. 및 II.)은 서로 평행하고 그리고 위·아래로 간격을 두고 뻗는다. 제 1 이송 장치의 이송 방향(5)은 제품 라인(1)의 라인 길이 연장부와 평행하게 뻗는 한편, 제 2 이송 장치의 이송 방향은 라인 길이 방향에 대해 가로로 향한다.
상기 제 1 이송 장치는 제품 라인(1)을 위한 클램핑 집게(7) 및 이송 집게(4)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송 집게(4)는 이동 화살표(8)에 상응하게 클램핑 집게 쪽으로 움직일 수 있고, 평면(I.)에서는 상기 집게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움직일 수 있다. 클램핑 집게(7)와 이송 집게(4) 사이에서 클램핑 집게(7) 가까이에는 분리 수단(9)이 제공되며, 상기 분리 수단에 의해서 제품 라인(1)은 분리된 제품 섹션(1')을 형성하기 위해 양단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분리 수단(9)은 가위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분리 수단은 수동으로 작동 가능한 가위이거나 또는 모터로 작동되는 롤러 블레이드이거나, 또는 압축 공기식으로 혹은 전동식으로 작동되는 분리용 바아 혹은 그와 유사한 것일 수 있다. 분리된 제품 섹션(1')은 분리 절단 공정을 실시한 후에 또는 상기 분리 절단 공정을 실시하는 것과 동시에 클램핑 집게(7) 및 이송 집게로부터 분리되고, 이송 수단에 의해서 제 1 이송 장치의 평면(I.)으로부터 제 2 이송 장치의 평면(II.)으로 이동된다.
상기 이송 수단은 클램핑 장치(2)로 이루어진다. 상기 클램핑 장치는 또한 2개의 클램핑 조오(12, 13) 쌍으로 이루어지며, 하나의 클램핑 조오(12)는 제품 라인(1) 위에 배치되어 있고, 다른 하나의 클램핑 조오(13)는 제품 라인(1) 아래에 배치되어 있으며, 이 경우 분리된 제품 섹션(1')은 클램핑 장치(2)의 클램핑 조오(12, 13)의 폐쇄 동작에 의해서 고정된다. 그 다음에 클램핑 장치(2)의 클램핑 조오(12, 13)는 분리된 제품 섹션(1')과 함께 도 1에 일점쇄선으로 표시된 위치로부터 도 1에 실선으로 표시된 위치로 이동된다. 클램핑 장치(2)의 클램핑 조오(12, 13)가 분리된 직물 섹션과 상기 섹션의 측면 경계부 에지 사이의 간격을 적게 유지함으로써, 이송 방향(5)에 대해 가로로 향하는 경계부 에지는 클램핑 조오의 측면 위로 돌출하게 된다. 클램핑 장치(2)는 제 2 이송 장치의 평면으로 이동된다. 클램핑 조오(12, 13)의 동작 시퀀스는 하기에서 계속 설명된다. 제 2 이송 장치는 무한적으로 순환하는 벨트로서 형성된 컨베이어 벨트(3)로 형성된다.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하부 스트랜드(strand)는 대응면(10)상에 지지된다. 특히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클램핑 장치(2)가 제 2 이송 장치의 컨베이어 벨트(3) 옆 측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2개의 장치(2 또는 3)는 상기 장치들이 상기 동작 중에 서로 방해를 하거나 또는 접촉되지 않으면서, 서로 오버래핑되는 방식으로 접근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클램핑 장치(2)는 한 쌍의 클램핑 조오로 이루어지며, 이 경우에는 서로 측면으로 이격된 두 쌍의 클램핑 조오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클램핑 조오(12, 13)는 서로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데, 특히 제품 라인(1)의 또는 제품 섹션(1')의 평면(I. 및 II.)에 대하여 직각으로 그리고 제품 섹션(1')의 이송 방향과 평행하게 및 제 2 이송 장치의 이송 방향(6)과 평행하게 움직일 수 있고, 더욱이 상기 이송 방향으로뿐만 아니라 상기 이송 방향과 반대로도 움직일 수 있다. 제품 섹션(1') 위에 있는 제 1 클램핑 조오(12)는 서로 비동시적으로 움직이거나 또는 강제로 동시적으로 움직인다. 그와 마찬가지로 제품 섹션(1') 아래에 있는 제 1 클램핑 조오(13)도 서로 비동시적으로 움직이거나 또는 동시적으로 움직인다.
도 3에 도시된 제 1 위치에서는, 제 1 및 제 2 클램핑 조오(12, 13)가 분리된 제품 섹션(1')을 (상기와 같은 2개 제품 섹션(1')의 실시예에서는) 제 1 이송 장치의 평면(I.)에서 클램핑한다. 클램핑 조오(12, 13)의 이동 동작은 화살표(14, 15)로 지시되어 있다. 분리 수단(9)을 이용해 분리 절단 공정을 실시한 후에는, 도 4에 있는 도 3의 연속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클램핑 쌍의 클램핑 조오(12, 13)가 제 2 이송 장치의 평면(II.)으로 이동된다. 이때 클램핑 조오(12, 13)는 클램핑 위치를 유지하면서 아래로 및 도면에서는 좌측으로 이동 화살표(16)에 상응하게 움직인다. 도 4에는, 분리된 직물 섹션(1')이 제 2 이송 장치로 전달되거나 또는 적어도 전달 과정이 개시되는 위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따른 도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때에는 클램핑 조오(12, 13)가 아직도 직물 라인(1)에 의해 상부가 커버링 된 영역 내에 있기 때문에, 결국 클램핑 조오(12)는 즉각적으로 위로 움직일 수 없게 되는데, 그 이유는 직물 라인(1)이 이와 같은 동작을 저지하기 때문이다. 그 다음에 클램핑 조오(12, 13)는 도 5 및 도 6에서 설명되는 제 2 위치로 이동된다. 먼저, 클램핑 조오(12, 13)가 클램핑 위치로부터 개방된다. 즉, 클램핑 조오(12)가 제품 부분 섹션(1')에 대해 약간 위로 직각으로 상대적으로 움직이고, 클램핑 조오(13)는 상기 부분 섹션(1')에 대해 상대적으로 아래로 직각으로 움직인다. 그 다음에 상부 클램핑 조오(12)는 이동 화살표(17)에 상응하게, 상기 클램핑 조오가 평면(I.)에서 상기 클램핑 조오 위에 있는 제품 라인(1)의 커버링부 밖에 있게 될 정도까지 이송 방향(6)으로 움직인다. 그와 동시에 클램핑 위치로부터 아래로 이동된 집게 조오(13)가 화살표(18)의 방향으로 움직이는데, 특히 상기 집게 조오가 평면(II.)에 있는 제품 부분 섹션(1')의 커버링부 밖에 있게 될 정도까지 움직인다. 그리고나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게 조오(12)가 이동 화살표(19)에 상응하게 위로 움직일 뿐만 아니라 집게 조오(13)도 이동 화살표(20)에 상응하게 위로 움직임으로써, 결국 상기 2개의 집게 조오 사이에 평면(I.)이 고정된다. 그와 동시에 또는 그 다음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집게 조오(12, 13)가 재차 폐쇄될 때까지, 집게 조오(12)는 이동 화살표(21)에 상응하게 그리고 집게 조오(13)는 이동 화살표(22)에 상응하게 우측으로 또는 좌측으로 움직인다.
동작 시퀀스는 반복된다.
집게 조오들의 자유로운 동작 가능성은 장치 프레임에서의 상응하는 지지 동 작에 의해서 달성되며, 이 경우에는 예를 들어 압축 공기식 구동 장치, 유압식 구동 장치 또는 부스터와 같이 동작 시퀀스를 실행하기 위한 통상적인 구동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제품 부분 섹션(1')이 하나의 부분 섹션으로 형성되어 있는 한편, 도 3 내지 도 6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평면(I.)에 2개의 제품 라인(1)이 제공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품 라인(1)은 동시에 2개의 부분 섹션(1')으로 분할되고, 상기 2개의 부분 섹션(1')은 나중에 클램핑 장치(집게 조오(12, 13))에 의해서 전달되고, 제 1 평면으로부터 제 2 평면으로 그리고 그 다음에 배치된 이송 장치로 이송된다.
본 발명은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고, 오히려 공개의 범주내에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명세서 및/또는 도면에 공개된 모든 새로운 개별적인 특징들 및 조합적인 특징들은 본 발명에 중요한 요소로서 간주된다.

Claims (4)

  1. 직물 재료, 종이, 판지, 플라스틱, 시이트 또는 박막으로 이루어진 제품 라인의 한 섹션인 제품 라인(1)으로부터 분리된 평탄한 제품 섹션(1')을 이송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제품 섹션(1')은 주로 수평 방향으로 제 1 이송 수단으로부터 제 2 이송 수단으로 이송될 수 있고, 불연속적으로 작동하는 제 1 이송 장치(제 1 이송 수단) 및 연속적으로 작동하는 제 2 이송 장치(제 2 이송 수단)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이송 장치에 의해서는 하나의 제품 라인(1)이 제품 저장소로부터 빼내지거나 배출될 수 있고, 상기 라인의 분리될 자유 단부는 팽창되지 않은 상태로 혹은 팽창된 상태로 유지되며, 상기 제 2 이송 장치의 이송 평면(II.)은 상기 제 1 이송 장치의 이송 평면(I.)에 대해 평행하게 간격을 두고 뻗고, 분리된 제품 섹션(1, 1')을 지지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이송 장치의 이송 방향(5)은 제품 라인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향하고, 상기 제 2 이송 장치의 이송 방향(6)은 제품 라인의 길이 방향에 대해 가로로 향하며, 상기 제 1 이송 장치는 제품 라인(1)을 위한 클램핑 집게(7) 및 이송 집게(4)로 이루어지며, 상기 집게(4)는 클램핑 집게(7) 쪽으로 및 상기 클램핑 집게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움직일 수 있고, 상기 클램핑 집게(7)와 이송 집게(4) 사이에 분리 장치(9)가 배치되며, 상기 분리 장치에 의해서는 분리된 제품 섹션(1')을 형성하기 위한 제품 라인(1)이 양단될 수 있고, 상기 분리된 제품 섹션(1')은 분리 절단 공정 및 배출 공정이 이루어진 후에 또는 상기 공정들과 동시에 제 1 이송 장치에 의해서, 그리고 클램핑 집게(7) 및 이송 집게(4)에 의해서 이송 수단을 통해 제 1 이송 장치의 평면(I.)으로부터 제 2 이송 장치의 평면(II.)으로 변위될 수 있고 상기 제 2 이송 장치의 평면에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이송 수단은 클램핑 장치(2)로 이루어지며, 상기 클램핑 장치에 의해서는 제 2 이송 장치(3)의 이송 방향과 평행하게 향하는 영역인 분리된 제품 섹션(1')의 경계부가 상기 제품 섹션의 경계부 에지로부터 간격을 두고 제 1 이송 장치의 평면(I.)에 클램핑되고, 상기 클램핑 장치(2)에 의해서 상기 영역은 제 2 이송 장치(2)의 평면(II.)으로 움직일 수 있으며, 그 결과 상기 클램핑 장치(2)가 제 2 이송 장치(3)의 평면(II.)에서 상기 이송 장치 쪽으로 및 상기 이송 장치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된 이송 장치에 있어서,
    각각의 클램핑 장치(2)는 한 쌍의 클램핑 조오(12, 13) 또는 측면이 서로 이격된 두 쌍의 클램핑 조오로 이루어지며, 상기 클램핑 조오 쌍의 클램핑 조오(12, 13)는 서로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데, 제품 라인(1) 또는 제품 섹션(1')의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그리고 제품 섹션(1')의 이송 방향(6)과 평행하게 및 제 2 이송 장치의 이송 방향(6)과 평행하게, 그리고 이송 방향으로 및 이송 방향과 반대로 움직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제품 섹션(1') 위에 있는 제 1 클램핑 조오(12)는 서로 비동시적으로 움직이거나 또는 동시적으로 움직일 수도 있고, 제품 섹션(1') 아래에 있는 제 2 클램핑 조오(13)는 서로 비동시적으로 움직이거나 또는 동시적으로 움직일 수도 있으며, 그 결과 상기 클램핑 조오 쌍이 제 1 위치에 있는 경우에 상기 제 1 클램핑 조오 및 제 2 클램핑 조오(12 및 13)는 제 1 이송 장치의 평면(I.)에 있는 분리된 제품 섹션(1')을 클램핑 및 지지하고, 제 2 이송 장치의 평면(II.)으로 이송하며, 이 경우 두 쌍의 클램핑 조오는 폐쇄된 상태에서 이송 동작에 후속하여 또는 이송 동작 동안에 제 1 평면으로부터 제 2 평면으로 제 2 이송 장치 쪽으로 움직일 수 있거나 또는 움직이며, 제 2 이송 장치에 의한 전달 동작이 시작되었거나 종료되었으며, 제품 섹션(1')이 여전히 제 1 이송 장치의 평면(I.)으로부터 제 2 이송 장치의 평면(II.)으로 이송되는 경로 안에 있는 제 2 위치에서는, 클램핑 조오(12, 13)가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이동되고, 제 1 클램핑 조오(12)는 제 2 이송 장치의 방향으로 움직이며, 상기 이송 경로로부터 완전히 벗어난 후에는 제 1 이송 장치의 평면(I.) 건너편에 있는 위치로 움직일 수 있고, 제 3 위치로 되돌아가며, 상기 제 3 위치로부터 클램핑 조오는 제 1 위치로 움직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제 2 위치에서는 또한 제 2 클램핑 조오(13)가 제 2 이송 장치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장치의 이송 방향과 반대로 움직일 수 있고, 제 2 이송 장치로 이송된 제품 섹션(1')에 의해 형성된 커버링 영역으로부터 완전히 벗어난 후에는 제 1 이송 장치의 평면(I.) 앞에 있는 제 3 위치로 되돌아가며, 상기 제 3 위치로부터 클램핑 조오는 제 1 위치로 움직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각 클램핑 조오 쌍의 클램핑 조오(12, 13)가 동시에 제 3 위치에 도달하도록, 상기 클램핑 조오(12, 13)의 동작 시퀀스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조오 쌍의 상호 측면 간격이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장치.
  4. 제 1 이송 장치 및 제 2 이송 장치를 구비한, 분리된 평탄한 제품 섹션(1')을 이송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장치에서 제품 섹션(1')은 제 1 이송 장치로부터 제 2 이송 장치로 이송될 수 있으며, 상기 이송 장치의 이송 평면(II.)은 납땜하기 알맞은 간격을 두고 제 1 이송 장치의 이송 평면(I.)과 평행하게 뻗고, 분리된 제품 섹션(1')을 지지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이 경우 상기 제 1 이송 장치의 이송 방향(5) 및 제 2 이송 장치의 이송 방향(6)은 서로 교차하도록 향하고 있으며, 이 경우 제 1 이송 장치의 이송 평면(I.)에 있는 제품 섹션(1')은 지지 수단에 의해서 지지되고, 이송 수단에 의해서 제 1 평면(I.)에 고정될 수 있으며, 제 1 이송 장치의 평면(I.)으로부터 제 2 이송 장치의 평면(II.)으로 이동될 수 있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제 2 이송 장치의 평면에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이송 수단은 클램핑 장치(2)로 이루어지며, 상기 클램핑 장치에 의해서는 제 2 이송 장치(3)의 이송 방향과 평행하게 향하는 제품 섹션(1')의 영역이 제 1 이송 장치의 평면(I.)에서 클램핑 되고, 상기 제품 섹션(1')은 클램핑 장치(2)에 의해서 제 2 이송 장치(3)의 평면(II.)으로 움직이며, 제 2 이송 장치(3)의 평면(II.)에 있는 클램핑 장치(2)는 상기 이송 장치 쪽으로 및 상기 이송 장치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으며,
    각각의 클램핑 장치(2)가 한 쌍의 클램핑 조오(12, 13) 또는 측면이 서로 이격된 두 쌍의 클램핑 조오로 이루어지며, 상기 클램핑 조오 쌍의 클램핑 조오(12, 13)는 서로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데, 이송 장치의 평면(I., II.)에 납땜하기 적합하도록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이송 장치 및/또는 제품 섹션(1')의 이송 방향(6)과 평행하게 및 제 2 이송 장치의 이송 방향(6)과 평행하게, 그리고 이송 방향으로 및 이송 방향과 반대로 움직일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상기 클램핑 조오 쌍이 제 1 위치에 있는 경우에 상기 제 1 클램핑 조오 및 제 2 클램핑 조오(12 및 13)가 제 1 이송 장치의 평면(I.)에 있는 분리된 제품 섹션(1')을 클램핑 및 지지하고, 제 2 이송 장치의 평면(II.)으로 이송시키도록 상기 클램핑 조오(12, 13)가 제어 장치에 의해서 움직일 수 있으며, 이 경우 두 쌍의 클램핑 조오 또는 제 1 클램핑 조오(12)는 폐쇄된 상태에서 이송 동작에 후속하여 또는 이송 동작 동안에 제 1 평면으로부터 제 2 평면으로 제 2 이송 장치의 입력측 쪽으로 움직일 수 있거나 또는 움직이며, 제 2 이송 장치에 의한 전달 동작이 시작되었거나 종료되었으며, 제품 섹션(1')이 여전히 제 1 이송 장치의 평면(I.)으로부터 제 2 이송 장치의 평면(II.)으로 이송되는 경로 안에 있는 제 2 위치에서는, 클램핑 조오(12, 13)가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이동되고, 제 1 클램핑 조오(12)는 제 2 이송 장치의 방향으로 움직이거나 또는 상기 방향과 반대로 움직일 수 있으며, 상기 제품 섹션(1')의 이송 경로로부터 평면(I.)의 반대편에 있는 위치로 완전히 벗어난 후에는 제 2 이송 장치의 평면(II.)과 반대편에 있는 제 1 이송 장치 평면(I.)의 측면으로 움직일 수 있고, 제 3 위치로 되돌아가며, 상기 제 3 위치로부터 클램핑 조오는 제 1 위치로 움직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제 2 위치에서는 또한 제 2 클램핑 조오(13)가 정지 상태로 유지되거나 또는 제품 섹션(1')이 제 1 클램핑 조오(12)의 동작에 의해서 제 2 이송 장치의 방향으로 이동되며, 이 경우 제품 섹션(1')이 제 1 평면(I.)으로부터 제 2 평면(II.)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제품 섹션(1')의 이송 경로로부터 완전히 벗어난 후에 상기 클램핑 조오는 제 2 이송 장치의 평면(II.) 쪽을 향하고 있는 제 1 이송 장치의 측면에서 상기 제 1 이송 장치의 평면(I.) 앞에 있는 제 3 위치로 되돌아가거나, 또는 상기 제 2 클램핑 조오(13)가 제 2 이송 장치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장치의 이송 방향과 반대로 움직일 수 있고, 제 2 이송 장치로 이송된 제품 섹션(1')에 의해 형성된 커버링 영역으로부터 완전히 벗어난 후에 상기 클램핑 조오는 제 2 이송 장치의 평면(II.) 쪽을 향하고 있는 제 1 이송 장치의 측면에서 상기 제 1 이송 장치의 평면(I.) 앞에 있는 제 3 위치로 되돌아가며, 상기 제 3 위치로부터 클램핑 조오가 제 1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장점을 갖는, 이송 장치.
KR1020027008725A 2000-01-06 2000-12-19 평탄한 제품 섹션을 이송하기 위한 장치 KR1006339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00100262 DE10000262C2 (de) 2000-01-06 2000-01-06 Vorrichtung zum Transport eines flächigen Warenstückes
DE10019383A DE10019383B4 (de) 2000-01-06 2000-04-19 Vorrichtung zum Transport eines flächigen Warenstückes
DE10000262.5 2000-04-19
DE10019383.8 2000-04-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1920A KR20020071920A (ko) 2002-09-13
KR100633976B1 true KR100633976B1 (ko) 2006-10-16

Family

ID=26003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8725A KR100633976B1 (ko) 2000-01-06 2000-12-19 평탄한 제품 섹션을 이송하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27)

Country Link
US (1) US6601489B2 (ko)
EP (1) EP1244593B1 (ko)
JP (1) JP4716153B2 (ko)
KR (1) KR100633976B1 (ko)
CN (1) CN1227148C (ko)
AR (1) AR026800A1 (ko)
AT (1) ATE391102T1 (ko)
AU (1) AU770405B2 (ko)
BR (1) BR0016925B1 (ko)
CZ (1) CZ20022242A3 (ko)
DE (3) DE10000262C2 (ko)
EE (1) EE04637B1 (ko)
EG (1) EG23020A (ko)
ES (1) ES2299444T3 (ko)
HR (1) HRP20020290B1 (ko)
HU (1) HUP0203861A2 (ko)
LT (1) LT4971B (ko)
LV (1) LV12842B (ko)
MX (1) MXPA02000996A (ko)
MY (1) MY128275A (ko)
PL (1) PL208663B1 (ko)
PT (1) PT1244593E (ko)
RS (1) RS49961B (ko)
SI (1) SI20869B (ko)
TR (1) TR200200079T2 (ko)
TW (1) TW512122B (ko)
WO (1) WO200105318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00262C2 (de) * 2000-01-06 2002-08-29 Schmale Holding Gmbh & Co Vorrichtung zum Transport eines flächigen Warenstückes
MXPA05009995A (es) * 2003-03-19 2005-11-17 Schmale Holding Gmbh & Co Dispositivo para el transporte de una pieza de tela.
DE102008020301A1 (de) * 2008-04-22 2009-10-29 Krones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Palettierung von Stückgut
US9284082B2 (en) 2008-11-13 2016-03-15 Kee Plastics Ab Method and device for preparation of piping bags for prefilling
TWI639536B (zh) * 2011-06-21 2018-11-01 凱依塑膠公司 打開管狀袋之裝置及方法
ITVI20110337A1 (it) * 2011-12-27 2013-06-28 Athena Spa Apparato per la lavorazione in continuo di un materiale laminare avvolto in bobina e metodo di lavorazione in continuo di un materiale laminare avvolto in bobina
JP6303811B2 (ja) 2014-05-23 2018-04-04 株式会社Ihi 搬送装置
GB2561853B (en) * 2017-04-25 2022-02-09 Rfast Ltd Apparatus for and method of assembling flexible articles
US11235941B2 (en) 2017-05-05 2022-02-01 Meevo—Trading E Representações, Lda Device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binding printed textile panels, or printed textile panels with flexible material strips
CN109179033B (zh) * 2018-09-28 2020-07-07 利辛县富亚纱网有限公司 一种挂帘多级收卷机构
ES2894357B2 (es) * 2020-08-07 2022-11-02 Keeltek Eng Solutions S L Maquina y procedimiento para la colocacion de una malla sobre material laminar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99521A (en) * 1969-06-25 1971-08-17 Alves Photo Service Inc Automatic film cutter
JPS50992Y1 (ko) * 1970-02-27 1975-01-11
US3722435A (en) * 1971-01-27 1973-03-27 Nemo Ind Inc Cloth cutting and hemming method and apparatus
JPS522037B2 (ko) * 1972-06-12 1977-01-19
US3882744A (en) * 1973-08-24 1975-05-13 Xerox Corp Electrostatographic web feeding apparatus
US4519595A (en) * 1984-07-10 1985-05-28 N.C.A. Co., Ltd. Apparatus for unwinding fabric from a roll
US5072637A (en) * 1990-04-30 1991-12-17 Sealed Air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segmenting continuous webs into predetermined lengths
AT393389B (de) * 1990-06-22 1991-10-10 Fehrer Textilmasch Vorrichtung zum gleichsinnigen aufbringen eines vliesbandes auf eine bewegte traegerbahn
JPH0484989A (ja) * 1990-07-26 1992-03-18 Matsuya Hosei Kiki Hanbai Kk 筒状物製造装置
DE4207808A1 (de) * 1992-03-12 1993-09-16 Focke & Co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zufuehren von zwischenlagen zu einem stapel
US5445053A (en) * 1994-03-24 1995-08-29 Mima Incorporated Sheet cutting and placing apparatus, related method, and related package
US6003420A (en) * 1994-04-26 1999-12-21 Fuji Photo Film Co., Lt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photographic filmstrips
US5772838A (en) * 1995-09-28 1998-06-30 Pacific Trinetics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laminated electrical or electronic devices from a continuous tape coated on one side with ceramic material
DE19748789C2 (de) * 1997-11-05 2000-05-25 Boewe Systec Ag Vorrichtung zum Querschneiden einer Papierbahn
DE19824924A1 (de) * 1998-06-04 1999-12-09 Schmale Holding Gmbh & Co Vorrichtung zum Transport von aus einer textilen Bahn vereinzelten Textilstücken
DE19831992C2 (de) * 1998-07-16 2000-07-13 Schmale Holding Gmbh & Co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Transport von aus einer textilen Bahn vereinzelten Textilstücken
DE10000262C2 (de) * 2000-01-06 2002-08-29 Schmale Holding Gmbh & Co Vorrichtung zum Transport eines flächigen Warenstückes
JP2001293615A (ja) * 2000-04-17 2001-10-23 Tsune Seiki Co Ltd 切断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601489B2 (en) 2003-08-05
JP4716153B2 (ja) 2011-07-06
YU92101A (sh) 2003-02-28
LV12842B (lv) 2002-10-20
PT1244593E (pt) 2008-05-13
CZ20022242A3 (en) 2004-03-17
DE10000262C2 (de) 2002-08-29
CN1227148C (zh) 2005-11-16
WO2001053181A2 (de) 2001-07-26
US20020026861A1 (en) 2002-03-07
EP1244593A2 (de) 2002-10-02
ATE391102T1 (de) 2008-04-15
KR20020071920A (ko) 2002-09-13
DE10000262A1 (de) 2001-07-19
HRP20020290A2 (en) 2003-06-30
WO2001053181A3 (de) 2001-11-29
EE04637B1 (et) 2006-06-15
TW512122B (en) 2002-12-01
PL357386A1 (en) 2004-07-26
AU3359401A (en) 2001-07-31
DE50015082D1 (de) 2008-05-15
DE10019383B4 (de) 2005-06-16
DE10019383A1 (de) 2001-10-25
LT2002049A (en) 2002-10-25
RS49961B (sr) 2008-09-29
WO2001053181A8 (de) 2002-04-11
HUP0203861A2 (en) 2003-05-28
PL208663B1 (pl) 2011-05-31
CN1420835A (zh) 2003-05-28
BR0016925A (pt) 2002-11-19
AU770405B2 (en) 2004-02-19
SI20869B (sl) 2008-08-31
MXPA02000996A (es) 2002-10-31
EE200200257A (et) 2003-06-16
HRP20020290B1 (en) 2008-06-30
MY128275A (en) 2007-01-31
ES2299444T3 (es) 2008-06-01
AR026800A1 (es) 2003-02-26
BR0016925B1 (pt) 2009-05-05
JP2001253632A (ja) 2001-09-18
EP1244593B1 (de) 2008-04-02
TR200200079T2 (tr) 2002-09-23
LT4971B (lt) 2002-11-25
EG23020A (en) 2003-12-31
SI20869A (sl) 2002-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3976B1 (ko) 평탄한 제품 섹션을 이송하기 위한 장치
US5299793A (en) Multi-panel refolding transfer system with rotating transfer clamp
US8650999B2 (en) Cutting machine for the cutting of blocks of material
JP6718695B2 (ja) 印刷製品の開放されたフォーマットエッジの断裁動作の実行のための装置
DE19831992C2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Transport von aus einer textilen Bahn vereinzelten Textilstücken
US4235659A (en) Apparatus for making and stacking plastics bags
JPH0246456B2 (ko)
US20090180857A1 (en) Apparatus for collecting and conveying stacks of sheets
JPH0435895A (ja) シート積み上げ装置
US5018416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cutting pieces from an elongated textile web
JP7107814B2 (ja) 印刷製品の綴じられていないフォーマットの余白の断裁動作を実行するための装置
US4270908A (en) Apparatus for the stacking and connection of synthetic-resin foil or sheet bags
TWM530414U (zh) 液晶面板之折割裝置
US4047474A (en) Apparatus for separating and stacking blanks of a die cut sheet
RU2626943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плоских изделий
JPS63110000A (ja) ジグザグ状に折畳まれた材料ウエブの切断のための方法とその装置
US6711883B2 (en) Strapping machine for strapping a stack of products
JP2001039578A (ja) 印刷用紙を収集加工する搬送装置
US5071112A (en) Apparatus for superposing pieces of photographic film
NL1019053C2 (nl) Inrichting voor het verpakken van een product in foliemateriaal.
US7036410B2 (en) Transversely cutting and conveying a web
EP0949149A1 (en) Method and device for cutting tying bands of stacks or packs of labels or blanks
JP2554582B2 (ja) 単布製品の搬送装置
JPH0232916A (ja) 包装装置
SE442389B (sv) Forpackningsapparat for emballering av forem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