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3855B1 -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및 그 사용 - Google Patents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및 그 사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3855B1
KR100623855B1 KR1020057000576A KR20057000576A KR100623855B1 KR 100623855 B1 KR100623855 B1 KR 100623855B1 KR 1020057000576 A KR1020057000576 A KR 1020057000576A KR 20057000576 A KR20057000576 A KR 20057000576A KR 100623855 B1 KR100623855 B1 KR 1006238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ecular weight
diol
polyurethane
segment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0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1465A (ko
Inventor
고시로요시타카
나카무라스스무
사토야스유키
다카하시신
Original Assignee
다이니치 세이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우키마 고세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니치 세이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우키마 고세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니치 세이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214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14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38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38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30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12Special coverings, i.e. outer layer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63B37/0023Cov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63B37/007Characteristics of the ball as a whole
    • A63B37/0072Characteristics of the ball as a whole with a specified number of layers
    • A63B37/0075Three piece balls, i.e. cover, intermediate layer and cor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63B37/007Characteristics of the ball as a whole
    • A63B37/0072Characteristics of the ball as a whole with a specified number of layers
    • A63B37/0076Multi-piece balls, i.e. having two or more intermediate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63B37/007Characteristics of the ball as a whole
    • A63B37/0077Physical properties
    • A63B37/0095Scuff resis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65Low-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with 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66Compounds of groups C08G18/42, C08G18/48, or C08G18/52
    • C08G18/6666Compounds of group C08G18/48 or C08G18/52
    • C08G18/667Compounds of group C08G18/48 or C08G18/52 with compounds of group C08G18/32 or polyamines of C08G18/38
    • C08G18/6674Compounds of group C08G18/48 or C08G18/52 with compounds of group C08G18/32 or polyamines of C08G18/38 with compounds of group C08G18/3203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고반발탄성율을 갖고, 또한 저온도역에서의 반발탄성율의 저하가 적은, 즉, 외부공기온도의 변화에 의한 반발탄성율의 변화가 적은 특징을 갖고 있는, 고분자량 디올로 구성된 세그먼트 A와, 1,4-비스(히드록시에톡시)벤젠 및 1,3-프로판디올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저분자량 디올로 구성된 세그먼트 B와,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 구성된 세그먼트 C가, 우레탄결합에 의해서 선형상으로 결합하고 있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으로서, 상기 세그먼트 B의 양이,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중에서 1∼30질량%를 차지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이다.

Description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및 그 사용{THERMOPLASTIC POLYURETHANE AND USE THEREOF}
본 발명은, 특히 골프공의 커버재에 사용되는 고반발탄성율을 갖고, 또한 온도변화에 의한 반발탄성율의 변화가 작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이하 단순히 '폴리우레탄'이라고 한다) 및 그것을 사용한 성형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폴리우레탄은, 고강도이고, 내마모성, 내굴곡성 등에 뛰어난 특성을 갖고, 종래부터 내압호스, 패킹, 컨베이어벨트나 구두밑창 등의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한편, 골프공 분야에서는, 근년, 볼의 스핀특성, 비거리성능, 타격시의 감촉, 내구성, 양산성 등의 점에서, 멀티피스 골프공(이하 단순히 '골프공'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의 커버재로서 폴리우레탄이 사용되도록 되고 있다(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성 6-182002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성 9-271538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성 11-l78949호 공보 및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성 11-253580호 공보 참조). 그러나, 종래의 골프공의 커버재로서 사용되고 있는 폴리우레탄은, 반발탄성율은 그다지 크지 않고, 또한, 온도에 의한 반발탄성율의 변화도 크고, 특히 외부공기온도가 낮은 경우에는 반발탄성율이 현저히 저하한다고 하는 결점이 있어, 이들 과제의 해결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폴리우레탄의 상기 결점이 개량된 폴리우레탄, 특히 골프공의 커버재용 폴리우레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여러 가지 검토한 결과, 폴리우레탄의 제조에 있어서, 고분자량 디올과 함께 1,4-비스(히드록시에톡시)벤젠(이하 'BHEB'라고 한다) 및/또는 1,3-프로판디올을 저분자량 디올로서 사용한 폴리우레탄은, 고반발탄성율을 갖고, 또한, 저온도역에서의 반발탄성율의 저하가 작고, 즉, 외부공기온도의 변화에 의한 반발탄성율의 변화가 적다고 하는 특징을 갖고 있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상기 목적은 이하의 본 발명에 의해서 달성된다. 즉, 본 발명은, 고분자량 디올로 구성된 세그먼트 A와, BHEB 및 1,3-프로판디올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저분자량 디올로 구성된 세그먼트 B와,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 구성된 세그먼트 C가, 우레탄결합에 의해서 선형상으로 결합하고 있는 폴리우레탄으로서, 상기 세그먼트 B의 양이, 상기 폴리우레탄 중에서 1∼30질량%를 차지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을 제공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는, 또한, BHEB 및 1, 3-프로판디올 이외의 저분자량 디올로 구성된 세그먼트 D를 함유하는 것; 세그먼트 A가, 폴리실록산디올 혹은 변성 폴리실록산디올로 구성된 세그먼트 E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는, 고분자량 디올이, 폴리테트라메틸렌에테르글리콜(이하 'PTMG'이라고 한다),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디올, 폴리카보네이트디올 및 폴리실록산디올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수평균분자량 600∼4,000중 적어도 1종이고, 저분자량 디올이 BHEB이고, 폴리이소시아네이트가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이하 'MDI'라 한다)이고, 이들 성분의 사용비율이, 고분자량 디올 100질량부, 저분자량 디올 10∼120질량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20∼170질량부인 폴리우레탄은, 여러 가지의 성형품용으로서 유용하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는, 고분자량 디올이, 수평균분자량 1,000∼2,000의 PTMG이고, 저분자량 디올이 BHEB이고, 폴리이소시아네이트가 MDI이고, 이들 성분의 사용비율이, 고분자량 디올 100질량부, 저분자량 디올 11∼42질량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39∼76질량부인 폴리우레탄은, 골프공용 커버재를 포함하는 여러 가지 성형품용으로서 유용하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는, 고분자량 디올이, 수평균분자량 800∼l,200의 PTMG이고, 저분자량 디올이 BHEB이고, 폴리이소시아네이트가 MDI이고, 이들 성분의 사용비율이, 고분자량 디올 100질량부, 저분자량 디올 20∼30질량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50∼60질량부인 폴리우레탄은, 특히 골프공용 커버재용으로서 적합하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은, 23℃에서의 반발탄성율이, 50∼90%일 때; 및 0℃에서의 반발탄성율이, 23℃에서의 반발탄성율의 0.6배 이상일 때에 특히 골프공용 커버재용으로서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을 폴리머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및 성 형용 조성물은, 여러 가지 성형용 수지로서 사용할 수 있지만, 특히 골프공의 커버재용으로서 유용하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다음에, 바람직한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은 여러 가지의 용도에 유용하지만, 특히 골프공의 커버재용으로서 유용하기 때문에, 골프공의 커버재를, 용도의 대표예로서 이하에 설명한다.
본 발명은, 코어와 커버로 이루어지는 골프공의 커버를 형성하는 커버재용 폴리우레탄에 관한 것으로, 이 폴리우레탄은, 폴리우레탄 합성원료인 저분자량 디올로서 BHEB 및/또는 1,3-프로판디올을 사용하여 합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골프공은, 반발탄성율에 뛰어난 시스1,4-폴리부타디엔 가교물 등으로 이루어지는 코어에 폴리우레탄 등의 커버재로 이루어지는 커버를 피복하여 이루어지는 구조를 갖고, 코어 및 1층의 커버로 이루어지는 투피스 골프공이나, 이것에 더욱 커버를 씌운 2층의 커버를 갖는 쓰리피스 골프공 등이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은 상기와 같은 골프공의 커버를 형성하는 커버재용으로서 유용하다.
폴리우레탄은, 통상 고분자량 디올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반응시켜 얻어지지만,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은, 고분자량 디올과 동시에, BHEB 및/또는 1,3-프로판디올을, 필요에 따라 1,4-부탄디올 등의 다른 저분자량 디올과 동시에 사용하여,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시켜 얻어지는 것이다. BHEB 및 1,3-프로판디올 중에서 특히 바람직한 저분자량 디올은 BHEB이다.
상기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은, 예를 들면, 식{-(A-C-B-C-B)-}의 결합단위를 반복한 것으로 표현할 수가 있다. 여기서 A는 고분자량 디올로 구성된 세그먼트를 나타내고, B는 BHEB 및/또는 1,3-프로판디올로 구성된 세그먼트를 나타내고, C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 구성된 세그먼트를 나타내고 있고, 각각의 세그먼트는 우레탄결합에 의해서 결합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세그먼트 B가 폴리우레탄중에서 1∼30질량%의 양으로 존재하고 있다. 또, 상기 식은 예시로서 폴리우레탄의 제조시에 사용하는 원료의 종류 및 양에 의해서 변화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세그먼트 A를 구성하는 고분자량 디올은, 폴리우레탄의 제조에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는 공지의 것을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지만, 수평균분자량(말단기 정량법에 의함)이 1,000∼10,00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분자량 디올로서는, 폴리에스테르디올, 폴리에테르디올, 폴리카보네이트디올, 폴리락톤디올, 폴리실록산디올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디올로서는, 예를 들면, 이염기산(예를 들면, 호박산, 글루타르산, 아디핀산, 세바신산, 푸마르산, 말레인산,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나프탈렌디카르본산, 주석산, 옥살산, 말론산, 피멜린산, 스베린산, 글루타콘산, 아젤라인산, 1,4-시클로헥실디카르본산, α-하이드로뮤콘산, β-하이드로뮤콘산, α-부틸-α-에틸글루타르산, α,β-디에틸석신산 등) 또는 그들의 무수물과, 글리콜(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트리프로필렌글리콜, 1,2-프로판디올, 1,3-프로판디올, 1,2-부타디엔디올,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3-메틸-1,5-펜탄디올, 1,8-옥탄디 올, 1,9-노난디올, 네오펜틸글리콜 등의 지방족 글리콜; 비스히드록시메틸시클로헥산, 시클로헥산-1,4-디올 등의 지환족 글리콜; 크실렌글리콜 등의 방향족 글리콜 혹은 C1∼C18의 알킬디에탄올아민 등을 축중합시켜 얻어진 것으로,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아디페이트디올,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디올, 폴리헥사메틸렌아디페이트디올 등의 축합폴리에스테르디올 등이 있다.
폴리락톤디올로서는, 예를 들면, 상기 디올 등을 개시제로서 락톤을 개환(開環)중합시켜서 얻어지는 폴리락톤디올, 폴리카프로락톤디올, 폴리메틸발레로락톤디올 등의 락톤폴리에스테르디올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에테르디올로서는, 예를 들면, PTMG, 폴리에틸렌에테르글리콜, 폴리프로필렌에테르글리콜 등의 알킬렌옥사이드의 호모폴리에테르디올 및 이종(異種)의 알킬렌옥사이드의 코폴리에테르디올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카보네이트디올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1,6-헥산카보네이트디올, 폴리1,4-부틸렌카보네이트디올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고분자량 디올의 일부 또는 전부로써 폴리실록산디올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실록산디올은,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지만, 하기 일반식 (I), (II) 및 (III)으로 나타나는 폴리실록산디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폴리실록산디올은,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에 있어서 세그먼트 E를 구성한다.
Figure 112005001616700-pct00001
(상기 식 중의 R1a∼R1h는 각각 독립하여, 탄소수 1∼8의 알킬기 또는 아릴기를, R 2a∼R2c는 각각 독립하여, 알킬렌기 혹은 에스테르결합 또는 에테르결합을 갖는 2가의 치환기를, n은 1∼300정도의 정수를 각각 나타낸다.)
상기와 같은 폴리실록산디올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하기의 폴리실록산디올을 들 수 있다.
Figure 112005001616700-pct00002
Figure 112005001616700-pct00003
Figure 112005001616700-pct00004
Figure 112005001616700-pct00005
Figure 112005001616700-pct00006
본 발명에 있어서는, 폴리우레탄의 제조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량 디올과 함께, 저분자량 디올로서 BHEB 및/또는 1,3-프로판디올을 사용하지만, 필요에 따라 상기 저분자량 디올에 더하여, 다른 저분자량 디올을 병용할 수가 있다. 이 다른 저분자량 디올이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의 세그먼트 D를 구성한다.
상기 다른 저분자량 디올로서는, 폴리우레탄의 제조에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는 공지의 저분자량 디올을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지만, 수평균분자량(말단기 정량법에 의함)이 2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트리프로필렌글리콜, 1,2-프로판디올, 1,2-부탄디올,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3-메틸-1,5-펜탄디올, 1,8-옥탄디올, 1,9-노난디올, 네오펜틸글리콜 등의 지방족 글리콜, 비스히드록시메틸시클로헥산, 시클로헥산-1,4-디올 등의 지환족 글리콜, 크실렌글리콜 등의 방향족 글리콜을 들 수 있다.
BHEB 및/또는 1,3-프로판디올의 사용량은, 이들 디올로 구성되는 세그먼트 B 가, 얻어지는 폴리우레탄중에서 1∼30질량%로 이루어지는 양으로, 보다 바람직하게는 5∼25질량%가 되는 양이다. 이들 세그먼트 B의 양이 지나치게 적으면, 얻어지는 폴리우레탄의 경도가 지나치게 낮고, 한편, 지나치게 많으면 얻어지는 폴리우레탄의 반발탄성율이 낮아진다. 또한, BHEB 및/또는 1,3-프로판디올을 다른 저분자량 디올과 병용하는 경우에는, BHEB 및/또는 1,3-프로판디올의 비율은, 저분자량 디올 전체량내에서 30∼100질량%, 바람직하게는 65∼100질량%이다. BHEB 및/또는 1,3-프로판디올의 비율이 30질량% 미만에서는, 얻어지는 폴리우레탄의 반발탄성율이 낮고, 65질량% 이상에서는, 얻어지는 폴리우레탄의 반발탄성율이 높아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서는, 종래 공지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1,6-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HDI), 2,2,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라이신메틸에스테르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프로필렌디이소시아네이트, 라이신디이소시아네이트, 1,5-옥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다이머산(dimer acid)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 4,4'-디시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IPDI), 수소첨가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시클로헥산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프로필리덴시클로헥실-4,4'-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환족 이소시아네이트; 2,4-또는 2,6-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TDI), MDI, 1,5-나프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XDI), 트리페닐메탄트리이소시아네이트, 트리스(4-페닐이소시아네이트)티오포스페이트, 트리진디이소시아네이트, p-페 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에테르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술폰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의 각 성분을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을 얻을 수 있지만, 제조방법은 종래 공지의 폴리우레탄의 제조방법을 사용할 수 있고, 고분자량 디올과 저분자량 디올 양자와,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의 사용비율은, NCO/OH의 당량비로 0.95∼1.1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중, 고분자량 디올이, PTMG,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디올, 폴리카보네이트디올 및 폴리실록산디올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수평균분자량 600∼4,000의 적어도 1종이고, 저분자량 디올이 BHEB이고, 폴리이소시아네이트가 MDI이고, 이들 성분의 사용비율이, 고분자량 디올 100질량부, 저분자량 디올 10∼120질량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20∼170질량부인 폴리우레탄은 여러 가지 성형품의 성형용으로서 유용하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중, 고분자량 디올이, 수평균분자량 1,000∼2,000의 PTMG이고, 저분자량 디올이 BHEB이고, 폴리이소시아네이트가 MDI이고, 이들 성분의 사용비율이, 고분자량 디올 100질량부, 저분자량 디올 11∼42질량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39∼76질량부인 폴리우레탄은, 골프공의 커버재를 포함하는 여러 가지 성형품의 성형용으로서 유용하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중, 고분자량 디올이 수평균분자량 800∼1,200의 PTMG이고, 저분자량 디올이 BHEB이고, 폴리이소시아네이트가 MDI이고, 이들 성분의 사용비율이, 고분자량 디올 100질량부, 저분자량 디올 20∼30질량부, 폴 리이소시아네이트 50∼60질량부인 폴리우레탄은, 특히 골프공의 커버재로서 유용하다.
이상의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은, 23℃에서의 반발탄성율이 50∼90%인 것이 바람직하다. 23℃에서의 반발탄성이 50% 미만에서는, 이 폴리우레탄을 커버재로서 작성한 골프공의 비거리가 나쁘고, 90%를 넘는 것은 폴리우레탄 자체의 합성이 곤란하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은, 23℃의 반발탄성율(Rb)에 대한 0℃에서의 반발탄성율의 비(Rb(0℃)/Rb(23℃))가 0.6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비가 0.60 미만에서는, 외부공기온도가 높을 때와 낮을 때, 이 폴리우레탄을 커버재로서 작성한 볼의 비거리, 타구감이 크게 달라져 버린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의 JIS K7311에 따라서 측정한 경도는 JIS A60∼JIS D8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은, 특히 멀티피스(multi-piece) 골프공의 커버재로서 사용되지만, 코어와 중간층과 커버로 이루어지는 멀티피스 골프공의 중간층 형성재료로서도 사용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을 골프공의 커버용 재료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을 주성분으로 하고, 필요에 따라 다른 폴리머성분을 병용하여 성형용 조성물로서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이 조성물에 종래부터 사용되는 착색제, 산화방지제, 자외선방지제, 이형제 등의 첨가제를 배합하더라도 좋다.
이상,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의 용도를 골프공의 커버재를 대표예로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의 용도는, 골프공의 커버재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기어, 패킹, 롤러, 캐스터, 고반발튜브, 고반발호스, 전선피복, 고반발벨트, 고반발필름 등의 공업부품, 스포츠화, 볼링 등의 스포츠용구 등의 재료로서도 유용하다.
이하에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 문장 중 '부' 또는 '%'는 특별히 언급이 없는 한 질량기준이다.
또, 실시예 및 비교예의 폴리우레탄의 강도특성 및 경도는, JIS K7311에 따라서, 반발탄성율은 JIS K7311에 따라서, 각각 류프케(Lupke)식 시험장치로 측정하였다. 또한, 유동특성은 JIS K7311에 따라서, 고화식(高化式) 플로우테스터로써 1mm(지름) ×10mm(길이)의 노즐, 하중 4.9MPa(50kgf/㎠), 승온속도 3℃/분의 조건으로 측정하였다.
(실시예 1)
수평균분자량 2,000의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디올 1,000부에, BHEB 196부 및 MDI 387부를 균일하게 교반하고, 트레이중에 주입하여 110℃에서 반응시켰다. 얻어진 반응생성물을 분쇄후, 압출기를 사용하여 200∼230℃에서 펠릿화하여, 폴리우레탄(U1)의 펠릿을 얻었다. 이 펠릿을 사출성형에 의해 시험편으로 가공하여(이하의 실시예 및 비교예도 마찬가지이다), 경도, 강도특성(23℃), 유동특성 및 반발탄성율(0℃, 23℃)을 측정하여, 그 측정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2)
수평균분자량 1,700의 PTMG 1,000부에, BHEB 178부 및 MDI 401부를 균일하게 교반하고, 트레이내에 주입하여 110℃에서 반응시키고, 이하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펠릿화 폴리우레탄(U2)을 얻었다. 이 폴리우레탄의 여러 가지 특성의 측정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3)
수평균분자량 2,000의 폴리ε-카프로락톤디올 1,000부에, BHEB 200부 및 MDI 393부를 균일하게 교반하고, 트레이내에 주입하여 110℃에서 반응시키고, 이하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펠릿화 폴리우레탄(U3)을 얻었다. 이 폴리우레탄의 여러 가지 특성의 측정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4)
수평균분자량 2,000의 헥사메틸렌카보네이트디올 1,000부에, BHEB 189부 및 MDI 378부를 균일하게 교반하고, 트레이내에 주입하여 110℃에서 반응시키고, 이하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펠릿화 폴리우레탄(U4)을 얻었다. 이 폴리우레탄의 여러 가지 특성의 측정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5)
수평균분자량 3,200의 하기 구조의 알콜변성 실록산오일(KF-6002; 신에츠화학공업사제)과 ε-카프로락톤을 공중합하여 얻어지는 수평균분자량 5,200이고 실록산분 60%의 에스테르변성 폴리실록산디올 1,000부와, 수평균분자량 1,700의 PTMG 450부에, BHEB 258부 및 MDI 514부를 균일하게 교반하고, 트레이내에 주입하여 110℃에서 반응시키고, 이하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펠릿화 폴리우레탄(U5)을 얻었다. 이 폴리우레탄의 여러 가지 특성의 측정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112005001616700-pct00007
(n은 OH가가 35가 되는 수)
(비교예 1)
수평균분자량 1,700의 PTMG 1,000부에, 1,4-부탄디올 111부 및 MDI 474부를 균일하게 교반하고, 트레이내에 주입하여 100℃에서 반응시키고, 이하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펠릿화 폴리우레탄(U6)을 얻었다. 이 폴리우레탄의 여러 가지 특성의 측정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2)
수평균분자량 2,000의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디올 1,000부에, 1,4-부탄디올 153부 및 MDI 573부를 균일하게 교반하고, 트레이내에 주입하여 100℃에서 반응시키고, 이하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펠릿화 폴리우레탄(U7)을 얻었다. 이 폴리우레탄의 여러 가지 특성의 측정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표 1
PU의 종류 경도 (JIS A) M100 (MPa) TB (MPa) EB (%) 유동 개시점 (℃) 용융점도 (dPa·S :210℃) 반발탄성율(%) 반발 탄성율비 ((1)/(2))
(1)0℃ (2)23℃
실시예1 U1 88 7.6 37.3 385 188 1.7 ×104 44.1 61.1 0.72
실시예2 U2 85 7.2 36.7 410 179 1.6 ×104 55.2 74.6 0.74
실시예3 U3 92 8.1 40.2 374 212 2.3 ×104 46.8 62.5 0.75
실시예4 U4 91 8.2 36.7 388 204 2.1 ×104 43.3 60.9 0.71
실시예5 U5 85 7.1 18.7 352 181 4.8 ×104 63.1 78.9 0.80
비교예1 U6 88 7.6 38.4 506 182 1.8 ×104 18.3 41.5 0.44
비교예2 U7 92 7.8 45.5 452 198 4.1 ×104 14.5 36.5 0.40
(주) PU : 폴리우레탄
M100 : 100% 모듈러스
TB : 인장강도
EB : 파탄시의 신장(elongation)
표 1의 결과로부터, 실시예 1∼5의 BHEB를 1∼30%의 범위로 포함하는 폴리우레탄(U1∼U5)에서는, 반발탄성율이 23℃에서 50∼90%인 동시에, 0℃에서의 반발탄성율이 23℃의 반발탄성율의 0.60배 이상이고, 외부공기온도의 변화에 영향받지 않는 고반발탄성율을 갖고 있어, 커버재로서 적절한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비교예 1 및 2의 BHEB를 포함하지 않는 폴리우레탄(U6, U7)에서는, 23℃에서의 반발탄성율이 50% 이하로 작은 동시에, 0℃에서의 반발탄성율이 23℃에서의 반발탄성율의 0.60배 이하로서, 외부공기온도의 변화에 반발탄성율이 크게 영향을 받아, 골프공의 커버재로서 부적절한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6)
수평균분자량 2,000의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디올 1,000부에, 1,3-프로판디올 124부 및 MDI 554부를 균일하게 교반하고, 트레이내에 주입하여 100℃에서 반응시키고, 이하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펠릿화 폴리우레탄(U8)을 얻었다. 이 폴리우레탄의 여러 가지 특성의 측정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7)
수평균분자량 1,700의 PTMG 1,000부에, 1,3-프로판디올 98부 및 MDI 487부를 균일하게 교반하고, 트레이내에 주입하여 100℃에서 반응시키고, 이하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펠릿화 폴리우레탄(U9)을 얻었다. 이 폴리우레탄의 여러 가지 특성의 측정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8)
수평균분자량 2,000의 폴리ε-카프로락톤디올 1,000부에, 1,3-프로판디올 105부 및 MDI 490부를 균일하게 교반하고, 트레이내에 주입하여 100℃에서 반응시키고, 이하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펠릿화 폴리우레탄(U10)을 얻었다. 이 폴리우레탄의 여러 가지 특성의 측정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9)
수평균분자량 2,000의 헥사메틸렌카보네이트디올 1,000부에, 1,3-프로판디올 113부 및 MDI 515부를 균일하게 교반하고, 트레이내에 주입하여 100℃에서 반응시키고, 이하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펠릿화 폴리우레탄(U11)을 얻었다. 이 폴리우레탄의 여러 가지 특성의 측정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10)
수평균분자량 3,200의 하기 구조의 알콜변성 실록산오일(KF-6002: 신에츠화학공업사제)와 ε-카프로락톤을 공중합하여 얻어지는 수평균분자량 5,200이고, 실록산분 60%의 에스테르변성 폴리실록산디올 1,000부와, 수평균분자량 1,700의 PTMG 450부에, 1,3-프로판디올 190부 및 MDI 827부를 균일하게 교반하고, 트레이내에 주입하여 100℃에서 반응시키고, 이하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펠릿화 폴리우레탄(U12)을 얻었다. 이 폴리우레탄의 여러 가지 특성의 측정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112005001616700-pct00008
(n은 OH가가 35가 되는 수)
표 2
PU의 종류 경도 (JIS A) M100 (MPa) TB (MPa) EB (%) 유동 개시점 (℃) 용융점도 (dPa·S :210℃) 반발탄성율(%) 반발 탄성율비 ((1)/(2))
(1)0℃ (2)23℃
실시예6 U8 90 7.9 40.2 407 191 1.9 ×104 42.4 60.2 0.70
실시예7 U9 89 7.8 38.8 375 183 2.2 ×104 52.7 72.8 0.72
실시예8 U10 88 7.2 41.0 402 186 1.7 ×104 44.3 62.5 0.71
실시예9 U11 92 8.2 39.1 386 194 2.9 ×104 41.0 59.4 0.69
실시예10 U12 86 7.1 18.7 352 203 6.1 ×104 62.7 76.6 0.82
(주) PU, M100, TB, EB는 표 1의 것과 동일
표 2의 결과로부터, 실시예 6∼10의 1,3-프로판디올로 구성되는 세그먼트 B를 1∼30%의 범위로 포함하는 폴리우레탄(U8∼U12)에서는, 반발탄성율이 23℃에서 50∼90%인 동시에, 0℃에서의 반발탄성율이 23℃의 반발탄성율의 0.60배 이상이고, 외부공기온도의 변화에 영향받지 않는 고반발탄성율을 갖고 있어, 골프공의 커버재로서 적절한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에 의하면, 고반발탄성율을 갖고, 반발탄성율이 외부공기온도에 좌우되지 않는(온도변화에 의한 반발탄성율의 변화가 적다) 폴리우레탄이 제공된다. 이 폴리우레탄은 여러 가지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동시에, 특히 골프공의 커버재로서 유용하다.

Claims (11)

  1. 고분자량 디올로 구성된 세그먼트 A와, 1,4-비스(히드록시에톡시)벤젠으로 구성된 세그먼트 B와,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 구성된 세그먼트 C가, 우레탄결합에 의해 선형상으로 결합하고 있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으로서,
    상기 고분자량 디올이 폴리테트라메틸렌에테르글리콜,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디올, 폴리카보네이트디올 및 폴리실록산디올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수평균분자량이 600∼4,000인 적어도 1종이고,
    상기 세그먼트 B가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중에서 1∼30질량%의 양으로 존재하며,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가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이고,
    각 성분의 사용비율이, 고분자량 디올 100질량부, 저분자량 디올 10∼120질량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20∼170질량부이고,
    23℃에서의 반발탄성율이 50∼90%이고, 0℃에서의 반발탄성율이 23℃에서의 반발탄성율의 0.6배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의 커버재에 사용되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량 디올이 수평균분자량 1,000∼2,000의 폴리테트라메틸렌에테르글리콜이고, 각 성분의 사용비율이, 고분자량 디올 100질량부, 저분자량 디올 11∼42질량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39∼76질량부인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량 디올이 수평균분자량 800∼1,200의 폴리테트라메틸렌에테르글리콜이고, 각 성분의 사용비율이, 고분자량 디올 100질량부, 저분자량 디올 20∼30질량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50∼60질량부인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057000576A 2003-01-27 2004-01-26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및 그 사용 KR1006238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017255 2003-01-27
JPJP-P-2003-00017254 2003-01-27
JP2003017254 2003-01-27
JP2003017255 2003-01-27
PCT/JP2004/000654 WO2004067598A1 (ja) 2003-01-27 2004-01-26 熱可塑性ポリウレタンおよびその使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1465A KR20050021465A (ko) 2005-03-07
KR100623855B1 true KR100623855B1 (ko) 2006-09-13

Family

ID=32828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0576A KR100623855B1 (ko) 2003-01-27 2004-01-26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및 그 사용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50261447A1 (ko)
EP (1) EP1589053B1 (ko)
JP (1) JP4542347B2 (ko)
KR (1) KR100623855B1 (ko)
CN (1) CN100348638C (ko)
TW (1) TWI283687B (ko)
WO (1) WO200406759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02591A1 (en) * 2010-07-01 2012-01-05 Dongsung Highchem Co., Ltd. Bio-friendly thermoplastic polyurethane elastomer composition having superior scuff resistance and rebound resilience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01290B2 (en) * 2005-05-04 2009-10-13 Bridgestone Sports Co., Ltd. Method for producing golf ball
US7479533B2 (en) * 2005-05-04 2009-01-20 Bridgestone Sports Co., Ltd. Golf ball
WO2007103346A2 (en) 2006-03-08 2007-09-13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Chapel Hill Polyester based degradable composition and implantable biomedical articles
JP5002389B2 (ja) * 2007-09-21 2012-08-15 勝治 松永 ゴルフボール
JP5590779B2 (ja) * 2008-06-20 2014-09-17 ダンロップ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ボール
CN101628964B (zh) * 2009-08-17 2011-09-07 旭川化学(苏州)有限公司 用于制作聚氨酯鞋底材料的双组份
JP5397143B2 (ja) * 2009-10-09 2014-01-22 三菱化学株式会社 ポリウレタン及びその製造方法
CN102712736B (zh) 2009-10-30 2014-12-17 三菱化学株式会社 聚酯多元醇、使用该聚酯多元醇的聚氨酯及其制造方法以及聚氨酯成形体
EP2595710A1 (en) 2010-07-21 2013-05-29 Nike International Ltd. Golf ba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golf ball
US20160122465A1 (en) * 2013-06-04 2016-05-05 Basf Se Soft thermoplastic polyurethane elastomers and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KR20160143700A (ko) * 2014-03-25 2016-12-14 바스프 에스이 Tpu 공압 호스
CN104086904A (zh) * 2014-07-25 2014-10-08 贵州师范大学 一种抗超低温冲击韧性的pp-r管材材料及其制备方法
CN106626202A (zh) 2017-01-16 2017-05-10 美瑞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膨胀型热塑性聚氨酯弹性体制品的制备方法
CN106832184B (zh) 2017-02-10 2020-09-01 美瑞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热塑性有机硅聚氨酯弹性体及其制备方法
US20220289970A1 (en) * 2019-08-05 2022-09-15 Lubrizol Advanced Materials, Inc. Thermoplastic polyurethane and process for making a thermoplastic polyurethane and components thereof
EP4010392A1 (en) * 2019-08-05 2022-06-15 Lubrizol Advanced Materials, Inc. Thermoplastic polyurethane containing a polysiloxane caprolactone polyol
JP2021054933A (ja) * 2019-09-30 2021-04-08 大日精化工業株式会社 熱可塑性ポリウレタン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成形物
JP2023531337A (ja) * 2020-07-02 2023-07-24 ネクセン コーポレーション ゴルフボールカバー用樹脂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62273Y1 (ko) * 1965-08-05 1971-01-26
US4675361A (en) * 1980-02-29 1987-06-23 Thoratec Laboratories Corp. Polymer systems suitable for blood-contacting surfaces of a biomedical device, and methods for forming
JPS6049941A (ja) * 1983-08-31 1985-03-19 日本ポリウレタン工業株式会社 弾性積層材料の製造方法
US4532316A (en) * 1984-05-29 1985-07-30 W. L. Gore & Assoc., Inc. Phase separating polyurethane prepolymers and elastomers prepared by reacting a polyol having a molecular weight of 600-3500 and isocyanate and a low molecular weight chain extender in which the ratios of reactants have a limited range
US4663413A (en) * 1985-01-04 1987-05-05 Thoratec Laboratories Corp. Polysiloxane-polylactone block copolymers
US4793555A (en) * 1988-04-22 1988-12-27 Dow Corning Corporation Container, method and composition for controlling the release of a volatile liquid from an aqueous mixture
JP3296371B2 (ja) * 1992-02-18 2002-06-24 三井武田ケミカル株式会社 ポリウレタンエラストマー及びその製造法
NZ248078A (en) 1992-07-06 1995-05-26 Acushnet Co Applying cover to treated golfball core using split mould
JPH07165856A (ja) * 1993-12-15 1995-06-27 Sanyo Chem Ind Ltd ポリウレタン樹脂の製造方法およびポリウレタン樹脂組成物
JP2752317B2 (ja) * 1994-01-12 1998-05-18 鐘紡株式会社 耐熱性に優れたポリウレタン弾性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H08231669A (ja) * 1995-02-28 1996-09-10 Mitsubishi Chem Corp 注型用ポリウレタン系エラストマー組成物及びその成形品
JP3402059B2 (ja) 1996-04-03 2003-04-28 ブリヂストン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ボール
US6486261B1 (en) * 1998-12-24 2002-11-26 Acushnet Company Thin-layer-covered golf ball with improved velocity
US5959059A (en) * 1997-06-10 1999-09-28 The B.F. Goodrich Company Thermoplastic polyether urethane
JP3704897B2 (ja) * 1997-07-14 2005-10-12 タカタ株式会社 シリコーン変性熱可塑性ポリウレタン樹脂製エアバッグ
US5863627A (en) * 1997-08-26 1999-01-26 Cardiotech International, Inc. Hydrolytically-and proteolytically-stable polycarbonate polyurethane silicone copolymers
JP4038625B2 (ja) 1997-12-17 2008-01-30 ブリヂストンスポーツ株式会社 ソリッドゴルフボール及びソリッドゴルフボールの製造方法
JPH11253580A (ja) * 1998-03-16 1999-09-21 Bridgestone Sports Co Ltd マルチピースソリッドゴルフボール
JP2000157647A (ja) * 1998-11-27 2000-06-13 Sumitomo Rubber Ind Ltd マルチピースゴルフボール
JP3617383B2 (ja) * 1999-08-31 2005-02-02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導電性組成物
US6435986B1 (en) * 1999-12-03 2002-08-20 Acushnet Company Golf ball comprising water resistant polyurethane elastomer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6861492B2 (en) * 2003-04-04 2005-03-01 Acushnet Company Golf ball cover compositions
US6593444B2 (en) * 2000-02-29 2003-07-15 Shell Oil Company Thermoplastic polyurethane elastomers (TPUs) prepared with polytrimethylene carbonate soft segment
EP1268599A2 (en) * 2000-03-27 2003-01-02 Shell Internationale Researchmaatschappij B.V. THERMOPLASTIC POLYURETHANE ELASTOMERS (TPUs) PREPARED WITH POLYTRIMETHYLENE CARBONATE SOFT SEGMENT
JP4267198B2 (ja) * 2000-11-08 2009-05-27 ブリヂストン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ボール
JP3794914B2 (ja) * 2000-12-06 2006-07-12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セラミック接着剤
JP4031330B2 (ja) * 2001-09-21 2008-01-09 大日精化工業株式会社 ゴルフボールのカバー材用シリコーン変性熱可塑性ポリウレタンおよびゴルフボールのカバー成形用組成物
US6739987B2 (en) * 2001-10-22 2004-05-25 Acushnet Company Golf balls with thermoplastic silicone-urethane copolymers
US6855793B2 (en) * 2001-10-22 2005-02-15 Acushnet Company Golf balls with thermoplastic polycarbonate-urethane copolymers
JP3965557B2 (ja) * 2002-02-01 2007-08-29 美津濃株式会社 マルチピースゴルフボール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02591A1 (en) * 2010-07-01 2012-01-05 Dongsung Highchem Co., Ltd. Bio-friendly thermoplastic polyurethane elastomer composition having superior scuff resistance and rebound resilience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89053A1 (en) 2005-10-26
EP1589053B1 (en) 2013-07-10
TW200424225A (en) 2004-11-16
EP1589053A4 (en) 2007-08-15
US20050261447A1 (en) 2005-11-24
JP2004250683A (ja) 2004-09-09
WO2004067598A1 (ja) 2004-08-12
CN100348638C (zh) 2007-11-14
CN1697847A (zh) 2005-11-16
TWI283687B (en) 2007-07-11
KR20050021465A (ko) 2005-03-07
JP4542347B2 (ja) 2010-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3855B1 (ko)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및 그 사용
US5959059A (en) Thermoplastic polyether urethane
KR101861214B1 (ko) 블루밍 경향이 감소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KR0157982B1 (ko) 열가소송 폴리우레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53333B1 (ko) 2액 경화형 발포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 그것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성형체, 및 신발창
EP2203492B1 (en) Soft, elastic, plasticizer-free thermoplastic polyurethane and process to synthesize the same
US6521164B1 (en) Injection-moldable thermoplastic polyurethane elastomer
TW201307416A (zh) 具有降低起霧傾向之源自生物基質二醇之熱塑性聚胺甲酸酯
KR20070094914A (ko) 코팅제 조성물 및 그의 용도
KR20130052578A (ko) 스커프 저항성과 반발탄성이 우수한 골프공 용 친환경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4031330B2 (ja) ゴルフボールのカバー材用シリコーン変性熱可塑性ポリウレタンおよびゴルフボールのカバー成形用組成物
JPH11286601A (ja) 自己潤滑性ポリウレタンエラストマーの製造法
KR100864615B1 (ko) 열가소성 폴리우레탄과, 열가소성 고무와, 열가소성폴리우레탄 및 고무 공중합체
JP5675007B1 (ja) 耐塩素性樹脂組成物、耐塩素性熱可塑性成形品、およびベルト
WO2024111459A1 (ja) ポリウレタン系樹脂
JP2006193562A (ja) 熱可塑性ポリウレタン
WO2015064140A1 (ja) 耐塩素性樹脂組成物、耐塩素性熱可塑性成形品、およびベルト
JP3601609B2 (ja) タイヤ滑り止め装置成形用熱可塑性ポリウレタン樹脂エラストマー組成物及びタイヤ滑り止め装置成形品
KR20230173180A (ko)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및 아민 사슬 말단을 포함하는 폴리에테르 블록 및 폴리아미드 블록을 갖는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조성물
JPH0597960A (ja) ポリウレタン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