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2006B1 - 에어백장치 - Google Patents

에어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2006B1
KR100552006B1 KR1020037008693A KR20037008693A KR100552006B1 KR 100552006 B1 KR100552006 B1 KR 100552006B1 KR 1020037008693 A KR1020037008693 A KR 1020037008693A KR 20037008693 A KR20037008693 A KR 20037008693A KR 100552006 B1 KR100552006 B1 KR 1005520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shower head
gas
injection hole
shower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8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4684A (ko
Inventor
다카하라이사무
Original Assignee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74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46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2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20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2Curtain-type airbags deploying mainly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ir top e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vehicle roof frames or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1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with means other than bag structure to diffuse or guide inflation fluid
    • B60R2021/2612Gas guiding means, e.g. ducts
    • B60R2021/2617Curtain bag nozz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백장치에 관한 것으로, 착석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접이식으로 차량의 일부에 수납되는 에어백(11)이 인플레이터(14)로부터 공급되는 가스에 의하여 팽창 전개되는 구조로 된 에어백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플레이터(14)로부터 공급되는 가스가 샤워헤드(13a)에 의하여 3차원방향으로 분산되어 에어백(11)의 가스통로(11b)로 공급되도록 하는 에어백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에어백장치{AIR BAG APPARATUS}
본 발명은 차량에 구비되는 에어백장치, 즉, 착석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접이식으로 차량의 일부에 수납되는 에어백이 인플레이터로부터 공급되는 가스에 의하여 팽창 전개되는 구조의 에어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에어백장치는, 예를 들어, 착석자의 두부(head portion)를 보호하기 위하여, 루프 사이드 레일을 따라 수납되는 에어백이 인플레이터로부터 공급되는 가스에 의하여 차량의 컴파트먼트의 측벽을 따라 커튼형상으로 팽창 전개되는 구조, 및 착석자의 두부 및 흉부를 보호하기 위하여, 계기판에 수납되는 에어백이 인플레이터로부터 공급되는 가스에 의해 차량 컴파트먼트의 내부를 향하여 팽창 전개되는 구조를 포함한다.
상술된 종래의 에어백장치는, 예를 들어 일본국 특개평 제11-321536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인플레이터로부터 에어백으로 공급되는 가스에 의한 백의 손상을 억제하기 위하여 에어백의 가스통로(유입부)를 따라 안쪽에 내측튜브가 제공되는 구조 및 일본국 특개평 제11-301394호 및 2000-127886에 개시된 바와 같이, 인플레이터로부터 에어백으로 공급되는 가스에 의한 백의 손상을 억제하기 위하여 에어백의 가스통로를 따라 원통형몸체가 제공되는 구조를 포함한다.
이들 에어백장치에서는, 인플레이터로부터 에어백으로 공급되는 가스에 의한 백의 손상을 억제하기 위하여 상술된 내측튜브 또는 원통형몸체(보호부재)가 에어백의 가스통로에 제공되기 때문에, 상술된 내측튜브 또는 원통형몸체가 에어백을 접을 수 없게 하여 차량내에 에어백을 수납시키기 어렵게 하고 에어백장치의 원가가 높아지도록 할 우려가 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에어백장치에서는, 에어백의 팽창 전개 성능의 관점에서의 다양한 요건(팽창 전개의 개시후 완료될 때까지의 시간이 설정시간 이하가 되도록 하는 요건, 팽창 전개의 개시후 완료될 때까지의 초기 내부압력을 높은 설정압력 이상으로 유지시키는 요건, 초기압력을 팽창 전개의 완료후 초기의 사전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후의 사전설정된 시간동안 낮게 설정된 압력 이상으로 유지시키는 요건 등등)들을 충족시킬 필요가 있다.
에어백의 팽창 전개가 완료되는 시간을 줄이고 초기 내부압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인플레이터의 가스공급용적을 증가시키는 대안이 채용되고 있다. 하지만, 인플레이터의 가스공급용적을 증가시킬 경우, 백의 손상이 증가되며 내부압력을 유지시키는 시간을 늘리는 것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예를 들어 백의 손상을 억제하고 기밀성능(airtight performance)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에어백 표면에서의 기밀을 유지시키기 위한 충분한 코팅을 적용하거나, 에어백의 기밀성능을 증대시킬뿐 아니라 인플레이터의 가스공급용적도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에어백의 팽창 전개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은 모순이 있다. 이러한 문제는 저비용으로 구성될 수 있는 수단에 의해 에어백의 백의 손상을 제약함으로써 해결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형태에 따르면, 착석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접이식으로 차량의 일부에 수납되는 에어백이 인플레이터로부터 공급되는 가스에 의하여 팽창 전개되는 구조의 에어백장치로서, 인플레이터로부터 공급되는 가스가 에어백의 가스통로로 공급되도록 하기 위해 3차원방향으로 분산되는 에어백장치가 제공된다.
상술된 제1형태에 따르면, 인플레이터로부터 공급되는 가스가 에어백의 가스통로내에서 3차원방향으로 분산된다. 따라서, 에어백의 팽창 전개의 초기단계에서, 접이식으로 수납되는 에어백의 가스통로가 신속히 확장되어, 에어백의 영역이 가스압력하에서 증대되고, 가스통로의 유효 통로면적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다.
따라서, 에어백의 가스통로의 일부가 공급된 가스로 인한 큰 부하에 노출되지 않아, 상술된 부분에서의 백의 손상을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가스통로에 적용되는 대안, 즉 에어백의 가스압력에 대한 대안을 단순화시킬 수 있고, 에어백을 컴팩트하게 쉽게 접을 수 있고, 차량내에 보다 쉽게 에어백이 수납될 수 있도록 하며, 에어백의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가스통로의 유효 통로면적을 확보함으로써 가스통로의 가스공급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에어백의 팽창 전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형태에 따르면, 에어백의 가스통로로 노출되는 가스주입포트에서, 인플레이터로부터 공급되는 가스를 3차원방향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 인플레이터로부터 공급되는 가스의 흐름을 여러 갈래로 변경시키는 흐름분류수단 채용할 수도 있다. 상술된 구조에 따르면, 상술된 가스의 3차원방향으로의 분산으로 인하여 효율적으로 작동효과(operating effect)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형태에 따르면, 착석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차량의 일부분에 접이식으로 수납되는 에어백이 인플레이터로부터 공급되는 가스에 의하여 팽창 전개되는 구조의 에어백장치로서, 인플레이터로부터 공급되는 가스를 3차원방향으로 확산시키는 샤워헤드가 에어백의 가스통로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에어백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형태에 따르면, 상술된 가스의 3차원방향으로의 분산에 의하여 작동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술된 제2형태에서는, 샤워헤드가 복수의 주입공을 갖도록 한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술된 제2형태에서는, 샤워헤드가 반구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구면에 복수의 주입공을 구비한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구조에 따르면, 가스의 공급효율이 향상되도록 반경방향으로 가스를 분사 및 공급할 수 있다. 상기 구조에 따르면, 에어백의 팽창 전개 성능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들에 있어, 샤워헤드의 주입공들이 상기 샤워헤드의 중심점에 대하여 대칭으로 마련된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구조에 따르면, 샤워헤드가 그것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된 상태로 조립되는 경우에도, 변함없는 가스주입성능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샤워헤드가 인플레이터와 일체로 조립되는 경우에, 상기 인플레이터를 차량에 장착시키기 위한 유연도(flexibility)가 증가한다.
또한, 이들 경우에 있어, 착석자의 두부를 보호하기 위하여, 에어백이, 루프 사이드 레일을 따라 수납되고 인플레이터로부터 공급되는 가스로 인하여 차량 컴파트먼트의 측벽을 따라 커튼형상으로 팽창 전개되고, 상기 에어백에는 앞좌석 팽창부, 뒷좌석 팽창부 및 상기 두 팽창부 모두의 상부와 연통시키기 위한 가스통로가 제공되며, 상기 샤워헤드가 상기 가스통로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구조에 따르면, 인플레이터로부터 공급되는 가스는 샤워헤드에 의하여, 앞좌석 팽창부 및 뒷좌석 팽창부가 제공되는 에어백의 가스통로내에서 3차원방향으로 분산된다. 따라서, 상술된 3차원방향으로의 가스의 분산에 의하여 주어지는 작동효과를 얻을 수 있을뿐 아니라, 앞좌석 팽창부 및 뒷좌석 팽창부를 향하여 적절히 가스를 분배 및 공급할 수 있고, 앞좌석 팽창부 및 뒷좌석 팽창부를 적절히 팽창 전개시킬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 앞좌석 팽창부 및 뒷좌석 팽창부의 팽창실의 용적에 대응하여, 샤워헤드에 제공되는 앞좌석용 주입공 및 뒷좌석용 주입공의 개구부 면적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구조에 따르면, 에어백의 앞좌석 팽창부의 팽창 전개 타이밍과 뒷좌석 팽창부의 팽창 전개 타이밍을 실질적으로 일치시킬 수 있어, 에어백의 팽창 전개가 개시된 후 완료될 때까지의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에어백의 팽창 전개 동안의 움직임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샤워헤드는 메시(mesh)에 의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샤워헤드는 다공성몸체에 의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이들 구조에 따르면, 가스의 3차원방향으로의 분산에 의하여 주어지는 작동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들 경우에 있어, 샤워헤드의 형태 또는 재료를 변경함으로써 분산성능을 쉽게 변경 및 설정할 수 있다. 이들 경우에, 샤워헤드는 반구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구조에 따르면, 3차원방향으로 전체적으로 균형이 잘 이루어 가스를 분사 및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샤워헤드가 인플레이터에 조립되는 확산관의 전방끝단부에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구조에 따르면, 공용가능한 인플레이터를 사용할 수 있는 확산관의 형상에 의하여 가스가 에어백 가스통로의 최적의 위치로 공급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샤워헤드는 인플레이터에 일체로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구조에 따르면, 인플레이터에서 에어백의 가스통로까지의 가스흐름통로의 길이를 줄일 수 있어, 에어백의 팽창 전개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이들 경우에 있어, 착석자의 두부를 보호하기 위하여, 에어백이, 루프 사이드 레일을 따라 수납되고 인플레이터로부터 공급되는 가스로 인해 차량 컴파트먼트의 측벽을 따라 커튼형상으로 팽창 전개되고, 상기 에어백에는 앞좌석 팽창부, 뒷좌석 팽창부 및 상기 두 팽창부 모두의 상부와 연통시키기 위한 가스통로가 제공되며, 가스가 가스통로내에서 교차하는 방식으로 흐르도록 샤워헤드가 배치되는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구조에 따르면, 인플레이터로부터 공급되는 가스는 샤워헤드에 의하여, 앞좌석 팽창부 및 뒷좌석 팽창부가 제공되는 에어백의 가스통로내에서 3차원방향으로 분산된다. 따라서, 상술된 3차원방향으로의 가스의 분산에 의하여 주어지는 작동효과를 얻을 수 있을뿐 아니라, 앞좌석 팽창부 및 뒷좌석 팽창부를 향하여 적절히 가스를 분배 및 공급할 수 있고, 앞좌석 팽창부 및 뒷좌석 팽창부를 적절히 팽창 전개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된 경우에서는, 샤워헤드가 에어백의 가스통로내로 돌출되지 않도록 한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구조에 따르면, 샤워헤드때문에 에어백이 접히지 않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에어백을 컴팩트한 방식으로 접을 수 있어, 에어백을 차량에 수납하기가 훨씬 쉬워진다.
또한, 상술된 경우에서는, 차량의 길이방향 중앙부에 인플레이터를 배치한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구조에 따르면, 인플레이터로부터 에어백의 앞좌석 팽창부 및 뒷좌석 팽창부까지의 가스흐름통로들 각각의 길이를 줄일 수 있어, 에어백의 앞좌석 팽창부 및 뒷좌석 팽창부의 팽창 전개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상술된 경우에서는, 인플레이터가 에어백 위의 루프 사이드 레일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거나, 인플레이터가 에어백 위의 루프 패널을 따라 차량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인플레이터의 장착 유연도가 높아진다.
상술된 경우에서는, 확산관이 대체로 J자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구조에 따르면, 인플레이터를 루프 사이드 레일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배치하거나, 루프 패널을 따라 차량의 폭 방향으로 배치할 수 있어, 부품의 공통적인 사용으로 인해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인플레이터에 조립되는 확산관의 끝단부에 제공되는 샤워헤드, 또는 인플레이터에 일체로 제공되는 샤워헤드가 에어백의 팽창실와 연통된 가스통로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동축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상술된 3차원방향으로의 가스의 분산에 의하여 주어지는 작동효과도 얻을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에어백으로부터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에 인플레이터가 배치되는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샤워헤드가 가스통로내의 팽창실과 연통되는 에어백 부분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술된 구조에 따르면, 샤워헤드에 의하여 가스의 일부를 3차원방향으로 에어백의 팽창실에 직접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샤워헤드에 제공되는 복수의 주입공이 샤워헤드의 전방끝단부 중심과 동심적으로 배치되어 복수의 라인을 형성하는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구조에 따르면, 주입공의 배열을 기초로 하여 가스의 분산효과를 적절히 설정할 수 있고, 백의 손상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균형이 잘 이루어진 가스공급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된 경우에 있어서, 동심적으로 배치되고 반경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복수의 내측 및 외측 주입공들이 둘레방향에서 지그재그 형태를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구조에 따르면, 동심적으로 배치되고 반경방향으로 인접한 복수의 내측 및 외측 주입공들이 서로를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샤워헤드의 각 주입공들로부터 에어백의 가스통로로 균형이 잘 이루어지게 가스를 분산시킬 수 있으며, 백의 손상을 더욱 저감시키고 가스공급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샤워헤드가 전방끝단부를 향하여 작아지는 복수의 계단을 갖는 계단형상으로 형성되고, 복수의 주입공들이 각각의 계단부에 경사진 방식으로 형성되는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구조에 따르면, 샤워헤드의 전방끝단부를 향하여 작아지는 복수의 계단을 구비한 계단형상으로 상기 샤워헤드가 형성되기 때문에, 샤 워헤드의 전방끝단부내 가스압력을 확보할 수 있고, 각 주입공내로 가스가 흐를 때의 가스 압력을 고르게 할 수 있으며, 상기 각 주입공을 통해 흐르는 가스흐름을 고르게 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주입공이 각 계단부에 경사진 방식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동심적이며 다중의 형상으로 하향 연장되는 대체로 원뿔형인 가스흐름을 형성시킬 수 있고 가스흐름을 균형이 잘 맞게 확산시킬 수 있다.
또한, 주입공이 전방끝단부를 향하여 확장되는 팬(fan)형상으로 형성되는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구조에 따르면, 전단저항(벽면저항)으로 인한 압력손실이 진원의 형상을 갖는 주입공의 구조에 비해 커지고, 가스흐름의 확산각이 증대된다. 따라서, 팬형상의 개구부 각도를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가스흐름 및 에어백의 전개특성과 방향성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샤워헤드의 전방끝단부가 그것의 중심축선에 대하여 비대칭 형상으로 형성되고 주입공들이 비대칭면에 형성되는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구조에 따르면, 샤워헤드의 전방끝단부 형상을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가스흐름 및 에어백의 전개특성과 방향성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주입공이 계단형상으로 형성되고 최소구멍부의 두께가 작게 제작된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구조에 따르면, 샤워헤드에 요구되는 강도를 확보해 주는 한편 주입공내 압력손실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샤워헤드의 전방끝단부 벽에 형성된 주입공이 전방끝단부 벽의 벽면에 대하여 경사져 있는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구조에 따르면, 경사진 구입공들의 겉보기(apparent) 개구부 면적이 줄고 압력의 손실량이 증가된다. 또한, 경사진 주입공의 분포 또는 경사각을 변경함으로써 가스흐름을 조정할 수 있고, 에어백의 전개특성 및 방향성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샤워헤드가 끝단폐쇄식 원통형상 또는 끝단폐쇄식 다각관형상으로 형성되고, 샤워헤드의 전방끝단부 벽에 주입공이 형성되며, 주입공이 샤워헤드의 전방벽 및 주변의 벽에 걸쳐 자리하도록 형성되는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구조에 따르면, 단순한 형상(구조)을 기초로 하여 여러방향으로 가스를 분산(확산)시킬 수 있다. 또한, 샤워헤드의 전방끝단부 벽과 주변의 벽에 걸쳐 자리한 주입공들이 샤워헤드의 전방끝단부를 비스듬히 절단함으로써 쉽게 형성될 수 있어, 샤워헤드의 제작이 쉽고, 샤워헤드의 원가를 줄일 수 있다.
또한, 확산관의 전방끝단부가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샤워헤드가 확산관의 전방끝단부 외주에 끼워맞춰져 고정되는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구조에 따르면, 샤워헤드를 교체함으로써 에어백의 형상 및 크기 등에 대응하여 가스의 분산특성을 쉽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샤워헤드가 별도로 제작될 수 있기 때문에, 샤워헤드에 주입공을 가공하기가 쉽고, 확산관을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어 원가를 대폭 줄일 수 있다.
상술된 경우에서는, 에어백의 일부를 형성하는 가스공급포트가 샤워헤드 및 확산관의 전방끝단부에 의하여 형성되는 계단부에 고정되는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구조에 따르면, 확산관과 샤워헤드에 의하여 형성되는 계단부를 상기 확산관 및 샤워헤드를 에어백에 고정시키는데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립작업성(assembling operability) 및 고정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샤워헤드에 제공되는 앞좌석 주입공과 뒷좌석 주입공의 구멍직경을 상이하게 제작하되, 앞좌석 팽창부와 뒷좌석 팽창부의 팽창실 용적에 대응하여 앞좌석 주입공 및 뒷좌석 주입공의 개구부 면적을 설정할 수 있는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구조에 따르면, 에어백의 앞좌석 팽창부의 팽창 전개 타이밍과 뒷좌석 팽창부의 팽창 전개 타이밍을 실질적으로 일치시킬 수 있어, 저비용으로 에어백의 팽창 전개가 개시된 후 완료될 때까지의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샤워헤드의 주입공에 적용되는 가공공정을 증가시키지 않고 에어백의 팽창 전개동안의 움직임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된 경우에서는, 앞좌석 주입공 및 뒷좌석 주입공이 각각 복수의 주입공들에 의하여 구성되고, 그 중 한쪽의 구멍직경이 샤워헤드의 전방끝단부 중심을 향하여 점진적으로 축소되는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구조에 따르면, 주입공의 구멍직경에 대응하여 분사되는 가스흐름을 점진적으로 줄일 수 있고, 가스에 방향성을 부여할 수 있으며, 에어백의 팽창 전개시의 움직임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샤워헤드에 제공되는 앞좌석 주입공 및 뒷좌석 주입공의 구멍의 개수를 상이하게 제작하되, 앞좌석 팽창부 및 뒷좌석 팽창부의 팽창실의 용적에 대응하여 앞좌석 주입공 및 뒷좌석 주입공의 개구부 면적을 설정할 수 있는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구조에 따르면, 동일 툴에 의한 샤워헤드의 주입공에 가해지는 가공공정(개구부 면적이 증대된 측의 주입공의 개수를 증가시키는 가공공정)에 의하여 에어백의 앞좌석 팽창부의 팽창 전개 타이밍과 뒷좌석 팽창부의 팽창 전개 타이밍을 실질적으로 일치시킬 수 있어, 에어백의 팽창 전개가 개시된 후 완료될 때 까지의 시간을 단축시키는 한편, 주입공의 개수 증가(가스의 유속을 저감)로 인한 백의 손상을 저감시킬 수 있고, 에어백의 팽창 전개시의 움직임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에어백내에, 샤워헤드의 전방끝단부 아래의 상단에서 가스통로와 연통되는 보조팽창실이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되는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구조에 따르면, 가스가 에어백의 팽창 및 전개시에 에어백의 보조팽창실로도 흘러, 에어백의 아랫쪽으로의 전개가 촉진된다. 따라서, 에어백의 전개가 완료될 때까지의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상술된 경우에서는, 보조팽창실의 하단이 앞좌석 팽창부 및 뒷좌석 팽창부 중 적어도 하나와 연통되는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구조에 따르면, 보조팽창실을 통하여 앞좌석 팽창부와 뒷좌석 팽창부 중 적어도 하나로 가스를 공급할 수 있고, 에어백의 전개가 완료될 때까지의 시간을 더욱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된 경우에서는, 보조팽창실을 앞좌석 팽창부와 연통시키는 통로의 개구부 면적 및 보조팽창실을 뒷좌석 팽창부와 연통시키는 통로의 개구부 면적이 앞좌석 팽창부 및 뒷좌석 팽창부의 용적에 대응하여 설정되는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구조에 따르면, 에어백의 앞좌석 팽창부의 팽창 전개 타이밍과 뒷좌석 팽창부의 팽창 전개 타이밍을 실질적으로 일치시키는 한편, 에어백의 팽창이 완료될 때까지의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샤워헤드 전방끝단부의 중심에 대한 길이방향으로의 분포가, 상기 샤워헤드에 제공되는 앞좌석 주입공 및 뒷좌석 주입공간에 상이하게 제작되는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구조에 따르면, 앞좌석 주입공 및 뒷좌석 주입공을 통과하는 가스의 주입압력을 조정할 수 있고, 에어백의 앞좌석 팽창부 및 뒷좌석 팽창부의 팽창 전개 타이밍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샤워헤드에 제공되는 주입공이 종방향으로 더욱 긴 구멍으로 형성되는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샤워헤드에 제공되는 복수의 주입공들 중에서 샤워헤드 전방끝단부의 중심으로부터 종방향으로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주입공의 개구부 면적이 다른 주입공들의 개구부 면적보다 크게 제작된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구조들에 따르면, 종방향으로의 가스흐름을 증가시킬 수 있고, 균일화된 가스흐름에 의하여 에어백을 확실하게 팽창 전개시킬 수 있으며, 종방향으로의 방향성을 유지하면서 에어백이 팽창 전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샤워헤드에 제공되는 주입공들의 개구부 면적이 차량 폭 방향으로 내측부와 외측부간에 상이하게 제작되는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샤워헤드에 제공되는 주입공의 수가 차량의 폭 방향으로 내측부와 외측부간에 상이하게 제작되는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구조들에 따르면, 샤워헤드가 배치되는 부분에서 차량 폭 방향으로 내측부 및 외측부를 향하여 에어백을 팽창 전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차량 폭 방향의 내측부를 향하여 에어백이 팽창 전개되도록 설정하는 경우에는, 팽창 전개중의 에어백이 B 지주 장식물 등의 상단부에 의하여 물리는(caught)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차량 폭 방향의 외측부를 향하여 에어백이 팽창 전개되도록 설정하는 경우에는, 측면 유리면을 따라 에어백을 팽창 전개시킬 수 있다.
또한, 샤워헤드가 삽입되는 에어백의 가스공급부가 가스통로를 향하여 사전설정된 각도로 확장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샤워헤드로부터 공급되는 가스의 확산각이 상기 사전설정된 각도 이하가 되도록 한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구조에 따르면, 에어백의 가스공급포트의 손상 저감 및 가스의 확산특성의 향상 둘 모두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에어백내에, 샤워헤드의 전방끝단부 아래의 상단에서 가스통로와 연통되고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보조팽창실이 제공되고, 가스가 보조팽창실 상단의 전방부에 배치되는 R 끝단점보다 더욱 앞쪽으로 분사되고, 상단의 후방부에 배치되는 R 끝단점보다 더욱 후방으로 분사될 수 있도록, 샤워헤드로부터 공급되는 가스의 길이방향으로의 확산각이 사전설정된 값 이상이되도록 설정되는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구조에 따르면, 가스통로의 전방부 및 후방부로 가스를 양호하게 분배하는 한편, 보조팽창실로의 가스의 유입을 확보할 수 있으며, 샤워헤드로부터 전방부, 후방부, 하향부를 향한 가스의 분배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된 경우에는, 샤워헤드로부터 전방으로의 가스의 확산각이 후방으로의 확산각과는 상이하게 이루어지는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구조에 따르면, 에어백의 형상(예를 들어, 앞좌석 팽창부 및 뒷좌석 팽창부의 팽창실 용적의 비 및 팽창실의 형상)에 대응하여 가스통로의 전방부 및 후방부로의 가스분배를 변경할 수 있고, 에어백을 최적의 상태로 팽창 전개시킬 수 있다.
또한, 인플레이터로부터 공급되는 가스를 확산시키는 확산수단이 에어백쪽에 제공되는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에, 3차원방향으로의 가스의 분산에 의하 여 주어지는 작동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두부보호 에어백장치에 본 발명을 적용함으로써 얻어진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는 측방향 입면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에어백모듈의 측방향 확대입면도,
도 3a 내지 도 3c는 도 2에 나타낸 에어백을 포함하는 3종의 에어백의 측방향 입면도,
도 4a 내지 도 4c는 도 2에 나타낸 인장포를 포함하는 3종의 에어백의 측방향 입면도,
도 5는 도 2에 나타낸 확산관 및 인플레이터의 측방향 입면도,
도 6은 도 2 및 도 5에 나타낸 확산관 및 샤워헤드의 확대사시도,
도 7은 도 6에 나타낸 샤워헤드의 수직방향의 확대단면도,
도 8은 도 7에 나타낸 샤워헤드의 저부측 입면도,
도 9는 인플레이터보다 먼 후방부에서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에어백을 접힌 채 수납된 상태로 수직방향으로 절단하여 얻어진 수직방향 이면의 확대단면도,
도 10은 B 지주부에서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에어백을 접힌 채 수납된 상태로 수직방향으로 절단하여 얻어진 수직방향 이면의 확대단면도,
도 11은 도 8에 나타낸 샤워헤드의 변형례를 나타내는 저부측 입면도,
도 12는 도 8에 나타낸 샤워헤드의 또 다른 변형례를 도시한 저부측 입면도,
도 13은 도 7에 나타낸 샤워헤드의 변형례를 도시한 수직방향 단면도,
도 14는 샤워헤드가 메시에 의하여 형성된 실시예의 수직방향 단면도,
도 15는 도 14에 나타낸 샤워헤드의 저부측 입면도,
도 16은 도 14에 나타낸 샤워헤드의 변형례를 도시한 수직방향 단면도,
도 17은 샤워헤드가 다공성몸체로 형성되는 실시예의 수직방향 단면도,
도 18은 도 17에 나타낸 샤워헤드의 변형례를 도시한 수직방향 단면도,
도 19는 샤워헤드가 인플레이터에 일체로 제공되는 실시예의 측방향 입면도,
도 20은 후방끝단부에 가스공급포트를 갖는 에어백에 본 발명이 적용된 실시예를 나타내는 주요부의 측방향 입면도,
도 21은 샤워헤드가 인플레이터에 일체로 제공되는 실시예의 변형례를 나타낸 측방향 부분 입면도,
도 22는 확산관의 변형례를 나타낸 도 9에 대응되는 수직방향 이면의 확대단면도,
도 23은 확산관의 전방끝단부가 B 지주부와 오버랩되도록 배치되는 변형례의 B 지주부를 수직방향으로 절단하여 얻어진 수직방향 이면의 확대단면도,
도 24는 복수의 주입공이 샤워헤드가 복수의 라인을 형성하도록 동심적으로 배치된 실시예의 저부측 입면도,
도 25는 복수의 주입공이 복수의 라인을 형성하도록 샤워헤드에 동심적으로 배치되고, 반경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내측 및 외측 주입공들이 둘레방향으로 지그재그형상을 형성하도록 배치된 실시예의 저부측 입면도,
도 26은 샤워헤드가 전방끝단부쪽으로 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복수의 계단을 구비하는 계단형상으로 형성되고, 복수의 주입공들이 각 계단부에 비스듬히 형성된 실시예의 수직방향 측단면도,
도 27은 도 26에 나타낸 실시예의 저부측 입면도,
도 28은 샤워헤드가 전방끝단부쪽으로 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복수의 계단을 구비하는 계단형상으로 형성되고, 복수의 주입공들이 각 계단부에 전방끝단부를 향하여 확장되는 팬형상으로 형성된 실시예의 수직방향 측단면도,
도 29는 도 28에 나타낸 실시예의 저부측 입면도,
도 30은 샤워헤드의 전방끝단부가 그것의 중심축선에 대하여 비대칭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주입공들이 비대칭면에 형성된 실시예의 수직방향 측단면도,
도 31은 주입공이 계단형상으로 형성되고, 최소구멍부의 두께가 축소된 실시예의 수직방향 측단면도,
도 32는 샤워헤드의 전방끝단부 벽에 형성된 주입공이 전방끝단부 벽의 벽면에 대하여 경사져 있는 실시예의 수직방향 측단면도,
도 33은 샤워헤드가 끝단폐쇄식 다각관형상으로 형성되고, 주입공들이 샤워헤드의 전방끝단부 벽에 형성되며, 상기 주입공들이 샤워헤드의 전방끝단부 및 둘레벽에 걸쳐 자리하도록 형성된 실시예의 사시도,
도 34는 확산관의 전방끝단부의 직경이 보다 작게 제작되고, 샤워헤드가 확산관 전방끝단부의 외주에 끼워맞춰져 고정된 실시예의 사시도,
도 35는 에어백의 일부를 형성하는 가스공급포트가 도 34에 나타낸 확산관의 전방끝단부에 의하여 형성된 계단부 및 샤워헤드에 의하여 형성된 계단부에 고정된 실시예의 수직방향 측단면도,
도 36은 샤워헤드에 제공되는 앞좌석용 주입공과 뒷좌석용 주입공의 구멍 직경이 상이하게 제작된 실시예의 저부측 입면도,
도 37은 샤워헤드에 제공되는 앞좌석 주입공 및 뒷좌석 주입공이 각각 복수의 주입공들로 구성되고, 앞좌석 주입공의 구멍 직경이 샤워헤드의 전방끝단부 중심을 향하여 점진적으로 축소되는 실시예의 저부측 입면도,
도 38은 샤워헤드에 제공되는 앞좌석 주입공의 개수가 뒷좌석 주입공의 개수보다 많게 제작된 실시예의 저부측 입면도,
도 39는 샤워헤드의 전방끝단부 아래의 상단에서 에어백의 가스통로와 연통되고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보조팽창실이 에어백에 제공된 실시예의 측방향 입면도,
도 40은 에어백에 제공되는 보조팽창실의 하단부가 뒷좌석 팽창부와 연통된 실시예의 측방향 입면도,
도 41은 에어백에 제공되는 보조팽창실의 하단부가 앞좌석 팽창부 및 뒷좌석 팽창부와 연통된 실시예의 측방향 입면도,
도 42는 샤워헤드에 제공되는 앞좌석 주입공과 뒷좌석 주입공간에 샤워헤드의 전방끝단부 중심에 대한 길이방향으로의 분포가 상이한 실시예의 저부측 입면도,
도 43은 샤워헤드에 제공되는 주입공이 종방향으로 더 긴 구멍으로 구성된 실시예의 저부측 입면도,
도 44는 샤워헤드에 제공되는 주입공들 중에서 샤워헤드 전방끝단부의 중심으로부터 종방향으로 가장 먼 주입공의 개구부 면적이 다른 주입공들보다 크게 제작된 실시예의 저부측 입면도,
도 45는 샤워헤드에 제공되는 주입공의 개구부 면적이 차량 폭 방향의 내부와 외측부간에 상이하게 제작된 실시예의 저부측 입면도,
도 46은 샤워헤드에 제공되는 주입공의 개수가 차량 폭 방향의 내부 및 외부간에 상이하게 제작된 실시예의 저부측 입면도,
도 47은 샤워헤드가 삽입되는 에어백의 가스공급부가 가스통로를 향하여 사전설정된 각도로 확장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샤워헤드로부터 공급되는 가스의 확산각이 사전설정된 각도 이하가 되도록 한 실시예의 측방향 입면도,
도 48은 에어백에 보조팽창실이 제공되고, 샤워헤드로부터 공급되는 가스의 길이방향으로의 확산각이 사전설정된 값 이상이 되도록 하고, 가스가 보조팽창실의 상단 전방부에 배치된 R 끝단점보다 먼 전방부까지 분사되고, 상기 상단의 후방부에 배치된 R 끝단점보다 먼 후방부까지 분사되는 실시예의 측방향 입면도,
도 49는 가스분산수단이 에어백쪽에 제공된 실시예의 측방향 입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10은 승용차용 두부(head portion)보호 에어백장치에 적용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장치에는, 차량 컴파트먼트의 측벽을 따라 커튼형상으로 팽창 전개되는 에어백(11), 에어백(11)의 전방끝단부에 조립된 인장포(tension cloth:12) 및 확산관(diffuser pipe:13)과 함께 에어백(11)의 가스공급포트(11a)에 기밀방식으로 조립된 인플레이터(14)로 구성되는 에어백모듈(10)이 제공된다.
에어백(11)은 결(texture)의 방향이 길이방향 및 수직방향이 되도록 이중 탄성 웨빙(webbing)에 따라 형성되고, 그 표면이 기밀을 유지하도록 코팅이 되어 있으며, 가스공급포트(11a), 길이방향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수직방향으로 그것의 하단부와 실질적으로 교차하는 가스통로(11b), 가스통로(11b)를 통하여 서로 연통되는 앞좌석용 팽창부(11c) 및 뒷좌석용 팽창부(11d)를 가지며, 중간의 비팽창부(11e), 전방끝단부의 비팽창부(11f) 및 4개의 장착용 피스부(11g)를 구비한다. 이 경우에, 지붕 측면 레일(21)로의 장착구멍(11g1)이 각 장착용 피스부(11g)에 제공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앞좌석 팽창부(11c)는, 앞좌석(sf)(B 지주(pillar:23)에 대응하여 배치된 좌석)에 앉아 있는 착석자(Mf)의 두부(Hf)를 보호하기 위한 구조로 되어 있고, 수직방향의 중앙에 제공되는 3개의 T자형 분할부(비팽창부:11c1, 11c2, 11c3)에 의하여 그 중앙 내부에서 4개의 팽창실(셀)(11c4, 11c5, 11c6, 11c7)로 분할되며, 각각의 팽창실(11c4 내지 11c7)은 상단과 하단 모두에서 서로 연통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뒷좌석 팽창부(11d)는, 뒷좌석(Sr)에 앉아 있는 착석자(Mr)의 두부(Hr)를 보호하기 위한 구조로 되어 있고, 수직방향의 중앙에 제공되는 2개의 T자형 분할부(비팽창부)에 의하여 그 중앙 내부에서 3개의 팽 창실(셀)(11d3, 11d4, 11d5)로 분할되며, 각각의 팽창실(11d3 내지 11d5)상단과 하단 모두에서 서로 연통되어 있다.
인장포(12)는 에어백(11)을 구성하고 있는 직물보다 얇으면서 저가인 무코팅 직물(non-coat woven fabric)에 의하여 삼각형상(그 형태는 적절히 변형가능함)으로 형성되며, 후방끝단부(12a)에서 에어백(11) 전방끝단부의 비팽창부(11f)에 꿰메어지며, 전방끝단부(12b)에 제공되는 장착구멍(12b1)에 의하여 A 지주(22)에 조립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도 1 참조).
도 2, 도 5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확산관(13)은, 얇고 대체로 J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플레어너트(13b)를 사용하여 인플레이터(14)의 가스주입포트(14a)에 제공되는 수나사부(14b)에 기밀방식으로 일체로 연결 고정되어 있는 상태의 체결밴드(15)를 사용하여 에어백(11)의 가스공급포트(11a)에 기밀방식으로 조립되고, 가스공급부(11a)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소정의 갭이 가스공급포트(11a)와 확산관(13) 사이에 형성되도록 설정된다. 이 갭은 확산관(13)의 전방끝단부에서 반경방향으로 가스가 주입되도록 하는 갭에 해당한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확산관(13)은, B 지주(23)의 후방으로 조금 떨어진 위치에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차창과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창유리(측면유리)면(41)을 따라 아랫쪽으로 비스듬하게 배향되며, 위로부터 에어백(1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스통로(11b)와 교차되도록 가스를 공급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3차원방향(방사상의 방향)으로 인플레이터(14)로부터 공급되는 가스를 분산(확산)시키는 샤워헤드(13a)는 확산관(13)의 전방끝단부(확산관(13)의 가스주입포트), 즉 에어백(11)의 가스통로(11b)와 마주한 부분에 일체로 제공되며, 확산관(13)의 전방끝단부의 길이는 샤워헤드(13a)가 에어백(11)의 가스통로(11b)내로 돌출되어 나오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다.
도 6 내지 도 8에 상세히 나타낸 바와 같이, 샤워헤드(13a)는 확산관(13)을 통해 인플레이터(14)로부터 에어백(11)으로 공급되는 가스를 3차원방향으로 분산시키는 역할을 하고, 금속원재료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반구형상(도 7 참조)으로 형성되며, 구면의 중심(O1)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주입공(13a1)이 샤워헤드(13a)의 중심(축선)의 일 지점에 대하여 대칭으로 구면상에 제공된다.
복수의 주입공(13a1)은 전방끝단부의 중앙에 제공되는 주입공 및 상기 주입공 위의 둘레방향에서 균등한 간격으로 제공되는 8개의 주입공으로 구성되며, 상기 8개의 주입공과 전방끝단부 중앙의 주입공은 동일한 직경을 가진다. 이 경우에, 둘레방향에서 균등한 간격으로 제공된 8개의 주입공은 전방끝단부 중앙의 주입공보다 큰(또는 작은) 직경을 갖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상기 중앙의 주입공은 생략될 수도 있음). 또한, 샤워헤드(13a)는 인플레이터(14)로부터 공급되는 가스의 흐름을 변화시키는 흐름변경수단으로서의 역할을 할 뿐 아니라, 인플레이터로부터 공급되는 가스의 흐름을 복수의 분할부로 나누는 분류수단으로서의 역할도 한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플레이터(14)는 차량의 측면충돌시나 차량의 전복시에 에어백(11)쪽으로 가스를 주입 및 공급하기 위한 구조로 되어 있으며, 볼트(16) 등을 사용하는 브래킷(14c)에 의하여 루프의 측면 레일(21)에 조립된다. 또한, 인플레이터(14)는 차량의 길이방향 중앙부의 에어백(11) 위에서 루프의 측면 레일(21)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배열되며, 루프 헤드라이닝(31)으로 덮이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 경우에, 도 9에 나타낸 브래킷(14c)은 외력에 대하여 쉽게 소성변형될 수 있는 원재료(에너지 흡수 원재료)에 의하여 형성되는 브래킷(EA 브래킷)에 해당하며, 루프의 측면 레일(21)과 접촉할 때까지 행정(S)에서의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다. 에너지량이 많은 경우에는, 가상의 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루프 헤드라이닝(31)의 뒷면에 에너지 흡수패드(39)를 부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된 방식으로 구성된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장치에서, 평상시의 에어백(11) 및 인장포(12)는 그들이 수직방향으로 여러층으로 접혀진 채 컴팩트한 방식으로 파열가능한 백(17)(도 9 및 도 10 참조)내에 수납된 상태로 지주(22) 및 루프의 측면 레일(21)을 따라 수납되어 있으며, 지주 장식물(garnish)(도시 안됨) 및 루프 헤드라이닝(31)에 의하여 덮여 있다.
도 10은 B 지주 장식물(33) 부분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B 지지 장식물(33) 상부의 뒷면에는 팽창 전개되는 에어백(11)이 B 지주 장식물(33)의 뒷부분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돌출부(38a)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 상기 돌출부(38a)는 도 10에서 가상의 선으로 나타낸 형상(윗쪽으로 굽은 부분에서 경사면을 갖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에어백(11)의 팽창 및 전개가 상기 경사면에 의하여 안내되어 B 지주 장식물(33)의 상단에 에어백이 물리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차량의 측방향 충돌이나 전복 등의 발생시, 가스가 인플레이터(14)로 부터 분출되어 확산관(13)을 통해 샤워헤드(13a)로부터 에어백(11)의 가스통로(11b)로 공급될 경우, 에어백(11)이 차량 컴파트먼트의 내부를 향하여 루프 헤드라이닝(31)의 해당부분을 변형시켜 아랫쪽으로 전개되고, 인장포(12)가 차량 컴파트먼트의 내부를 향하여 A 지주 장식물의 해당부분을 변형시켜 아랫쪽으로 전개됨으로써,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에어백(11)이 차량 컴파트먼트내의 측벽을 따라 커튼형상으로 팽창 전개된다. 이 때, 에어백(11)의 각 팽창부(11C, 11D)는 각 승객(Mf, Mr) 두부(Hf, Hr)의 측면부에 위치한 머리보호영역을 향하여 팽창 전개된다.
이 경우에 본 실시예에서는, 도 3a 내지 도 3c에 나타낸 3종류의 에어백(11A, 11B, 11C) 중 차량에 적합한 것이 에어백모듈(10)을 구성하는 에어백(11)으로서 선택되고, 도 4a 내지 도 4c에 나타낸 3개의 인장포(12A, 12B, 12C) 중에서 차량에 적합한 것이 인장포(12)로서 선택되며, 에어백(11)과 인장포(12)는 도 5에 나타낸 (전방끝단부에 샤워헤드가 제공되는) 단일 종류의 확산관(13) 및 인플레이터(14)와 조합됨으로써, 에어백모듈(10)이 구성된다.
도 3a 내지 도 3c에 나타낸 3종류의 에어백(11A, 11B, 11C)은 모든 종류의 승용차의 앞좌석과 뒷좌석간의 소정 거리(정확하게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방 슬라이드 및 후방 슬라이드의 기준 위치에 있는 앞좌석 및 뒷좌석(Sf, Sr)에 앉아 있는 착석자(Mf, Mr)의 엉덩이 지점들간의 거리(Lo)로서, 흔히 커플거리(couple distance)라 칭함)를 기초로 하여 내장되고, 각각의 종류(3종류)에 포함되는 여러 차종의 각 앞좌석의 모든 보호범위를 포함하는 앞좌석 팽창부(11c)(각각의 에어백(11A, 11B, 11C) 중 공통이거나 상이한 어느 하나 일 수 있음) 및 각 뒷좌석의 보호범위를 포함하는 뒷좌석 팽창부(11d)(각각의 에어백(11A, 11B, 11C) 중에서 공통이거나 상이한 어느 하나 일 수 있음)를 구비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도 1에는, 앞좌석(Sf)의 길이방향 슬라이딩량(Lf)이 또한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술된 보호범위는, 적어도 미국 여성중 작은 여성(AF05) 및 미국 남성 중 거구의 남성(AM95)을 포함하는, 각 좌석에 앉아 있는 사람의 두부보호영역의 범위에 해당한다. 이 경우에, 앞좌석(Sf)에는, 작은 여성(AF05)의 최전방에서의 통상적인 착석위치 및 거구 남성(AM95)의 최후방에서의 통상적인 착석위치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또한, 에어백을 채용하는 여러 차종의 각 에어백(11A,11B,11C)과 각 A 지주(22) 사이의 종방향의 길이를 기반으로 하여 3종류의 인장포(12A, 12B, 12C)의 형상 및 크기가 설정된다.
따라서, 모든 종류(여러 차종의 승용차를 생산하는 한 자동차 메이커에서 대략 20 내지 30 종)의 승용차에 적용되는 에어백모듈(10)의 구성부를 3종의 에어백(11A,11B,11C), 3종의 인장포(12A,12B,12C), 단일 종류의 확산관(18) 및 단일 종류의 인플레이터(14)로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모든 종류의 승용차에 적용되는 에어백모듈(10)을 위해 제작될 부품의 수(공급되는 부품의 수)를 줄일 수 있고 부품의 감소에 따라 원가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장치에는, 앞좌석 팽창부(11c)와 뒷좌석 팽창부(11d) 사이에 에어백(11)의 가스공급포트(11a)가 제공되어, 실질적으로 같은 타이밍에 앞좌석 팽창부(11c)와 뒷좌석 팽창부(11d)로 가스를 공급할 수 있으며, 실질적으로 짧은 시간 동안의 같은 타이밍에 에어백(11)의 앞좌석 팽창부(11c)와 뒷좌석 팽창부(11d)를 팽창 전개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에서는, 각 에어백(11A, 11B, 11C)의 수직방향의 크기가 같기 때문에, 모든 에어백 원재료의 수직방향의 크기를 동일하게 할 수 있어 에어백 자체의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인플레이터(14)로부터 공급되는 가스는, 확산관(13)에 제공되는 샤워헤드(13a)에 의하여 에어백(11)의 가스통로(11b)내로 3차원 방향(샤워헤드(13a)의 방사상의 방향, 즉 가스 흐름 방향의 분산 방향)으로 분산된다. 따라서, 에어백(11)의 팽창 및 전개 초기에, 접혀진 채 수납된 에어백(11)의 가스통로(11b)가 수직방향으로 신속히 팽창되어, 가스압력에 노출되는 에어백(11)의 면적이 커지고, 가스통로(11b)내의 유효(effective) 통과면적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다.
따라서, 에어백(11)내의 가스통로(11b)의 일부분이, 공급된 가스로 인한 큰 부하 하에 놓이지 않아 해당부분에서의 백의 손상을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가스압력에 대한 보호부재를 에어백(11)의 가스통로내에 제공할 필요가 없어(또는 보호부재의 개수를 줄일 수 있어), 에어백(11)을 단순화시킬 수 있고, 쉽게 에어백(11)을 컴팩트하게 접을 수 있으며, 차량에 에어백(11)을 보다 쉽게 수납하도록 할 수 있으며, 에어백(11)의 원가를 줄일 수 있다. 또한, 가스통로(11b)의 유효 통과면적을 확보함으로써, 가스통로(11b)의 가스공급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에어백(11)의 팽창 및 전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에어백(11)의 팽창 전개 시간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샤워헤드(13a)는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것의 구형면에 방사상으로 연장된 복수의 주입공(13a1)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가스를 반사상으로 분사 및 공급할 수 있어 가스의 분산 및 공급의 효율이 증대되도록 하여, 에어백(11)의 손상 억제효과를 증가시키고 에어백(11)의 팽창 및 전개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샤워헤드(13a)의 주입공(13a1)은 샤워헤드(13a)의 중심점(축선)에 대하여 대칭으로 제공되기 때문에, 샤워헤드(13a)가 그 중심부 주위에서 회전된 상태로 조립되는 경우에도 변함없이 가스 주입 성능을 그대로 얻을 수 있다. 따라서, 가스주입성능을 거의 변화시키기 않고 차량의 샤워헤드(13a), 확산관(13) 및 인플레이터(14)의 조립방향을 변화시킬 수 있어, 차량에의 인플레이터(14)의 장착 유연도가 증가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샤워헤드(13a)는 에어백(11)의 가스통로(11b)와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샤워헤드(13a)에 의하여 인플레이터(14)로부터 공급되는 가스가 에어백(11)의 가스통로(11b)내에서 3차원방향으로 분산된다. 따라서, 에어백(11)의 앞좌석 팽창부(11c) 및 뒷좌석 팽창부(11d)를 향하여 가스를 정확하게 분배 및 공급할 수 있고, 짧은 시간에 앞좌석 팽창부(11c) 및 뒷좌석 팽창부(11d)를 팽창 전개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샤워헤드(13a)가 에어백의 가스통로(11b)내로 돌출되지 않도록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에어백(11)을 접을 때 샤워헤드(13a)에 의해 방해받지 않고, 에어백(11)을 컴팩트한 방식으로 접을 수 있으며, 차량내에 에어백(11)을 수납하기 훨씬 용이해진다. 또한, 인플레이터(14)는 차량의 길이방향 중앙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인플레이터(14)로부터 에어백(11)의 앞좌석 팽창부(11c) 및 뒷좌석 팽창부(11d)로의 각 가스 흐름통로의 길이를 줄일 수 있으며, 에어백(11)의 앞좌석 팽창부(11c) 및 뒷좌석 팽창부(11d)의 팽창 전개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확산관(13)은 실질적으로 J자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에어백(11), 인플레이터(14) 및 확산관(13)을 동일 구조로 유지하면서, 루프 사이드 레일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인플레이터(14)을 배치하거나 또는 도 9에 나타낸 루프 패널(25)을 따라 차량의 폭 방향으로 인플레이터(14)를 배치시킬 수 있어, 공용부품의 사용으로 인한 원가의 절감을 가져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샤워헤드(13a)는 인플레이터(14)에 조립된 확산관(13)의 전방끝단부에 제공되기 때문에, 에어백(11)의 가스통로(11b)의 최적의 위치로 가스를 공급하고자 할 때는 확산관(13)의 형상을 그에 맞게 대응시킴으로써 인플레이터(14)를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에서는, 이중 탄성 웨빙에 따라 형성된 백이 에어백(11)으로 채용되었지만, 재봉한(sewn) 백 또는 접합식(열적으로 접합한) 백을 채용한 구조가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상술된 실시예에서는, 샤워헤드(13a)의 둘레방향에 균일한 간격으로 제공되는 8개의 주입공(13a1) 모두를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한 구조가 제공되었으나,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앞좌석 주입공(도면에서 좌측에 있는 3개의 주입공(13a1))을 뒷좌석 주입공(도면에서 우측에 있는 3개의 주입공(13a1))보다 크게 만들어, 그 개구 영역들을 앞좌석 팽창부(11c) 및 뒷좌석 팽창부(11d) 각각의 용적(복수의 팽창실의 총 용적)과 같도록 설정한 경우에는, 에어백(11) 앞좌석 팽창부(11c)의 팽창 전개 타이밍과 뒷좌석 팽창부(11d)의 팽창 전개 타이밍을 실질적으로 일치시킬 수 있기 때문에, 에어백(11)의 팽창 전개의 개시에서 완료까지의 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에어백(11)의 팽창 전개시의 움직임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된 실시예에서는, 반구형으로 형성된 샤워헤드(13a)가 제공되었으나, 도 1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전방끝단부에 베벨부(테이퍼부)(13a2)가 제공된 형상의 샤워헤드(13a)를 형성하고 그것에 반경방향 주입공(13a1)을 제공하는 구조를 얻을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전방끝단부 중심에 있는 주입공(13a1)의 직경은 나머지 주입공(13a1)의 직경과 같도록 만들어진다.
또한, 상술된 실시예에서는, 반구형상의 샤워헤드(13a)를 형성하고 그 내부에 반경방향 주입공을 마련한 구조가 제공되었으나,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확산관(13)의 전방끝단부에서 아랫쪽으로 확장되는 반경방향 연장부를 형성하고, 메시(mesh)(메시메탈)로 사워헤드(13a)를 형성하며, 전방끝단부를 대체로 반구형상으로 형성시킨 구조가 제작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메시의 웨빙이 주입공(13a1)을 형성하기 때문에, 샤워헤드(13a)의 형상(크기 및 웨빙의 개수)을 변경하여 가스의 분산성능을 용이하게 변화 및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대체로 반구형으로 형성된 메시의 샤워헤드(13a)로부터 3차원의 모든 방향으로 균형이 잘 맞도록 가스를 주입 및 공급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메시(금속메시)에 의한 샤워헤드(13a) 의 형성시,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확산관(13)의 전방끝단부에서 아랫쪽으로 확대되고 메시의 평면형의 샤워헤드(13a)로 덮힌 반경방향으로 확대부를 형성시키는 구조가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구형으로서, 통기가 가능한 다공성 몸체의 샤워헤드(13a)를 형성시킨 구조가 제공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많은 수의 다공성 몸체의 구멍들이 주입공(13a1)을 형성하기 때문에, 샤워헤드(13a)의 원재료를 바꾸어 가스의 분산성능을 용이하게 변화 및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반구형의 다공성 몸체로 된 샤워헤드(13a)로부터 모든 3차원방향으로 균형이 잘 맞도록 가스를 주입 및 공급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다공성 원재료에 의한 샤워헤드(13a)의 형성시, 원형판 형상으로 형성된 구조가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상술된 실시예에서는, 확산관(13)의 전방끝단부에 샤워헤드(13a)를 일체형으로 마련한 구조가 제공되었으나,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플레이터(14)의 가스주입포트(원통형 인플레이터의 둘레면상에 제공됨)에 샤워헤드(13a)를 일체형으로 마련한 구조가 제공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인플레이터(14)로부터 에어백(11)의 가스통로(11b)까지의 가스흐름통로의 길이를 줄일 수 있어 에어백(11)의 팽창 전개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도 19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에어백(11)의 가스공급포트(11a)가 인플레이터(14) 중앙부의 외주에, 체결밴드(15)를 사용하여 기밀방식으로 조립된다.
또한, 상술된 실시예에서는, 에어백(11) 중앙 상부에 가스공급포트(11a)를 구비한 에어백(11)의 구조가 제공되었으나, 당연히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 어백(11)의 후방끝단부에 가스공급포트(11a)를 구비한 에어백 및 에어백의 전방끝단부에 가스공급포트를 구비한 에어백(도시 안됨)의 실시예가 제공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20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직선 확산관(linear diffuser pipe:13)의 전방끝단부에 제공된 샤워헤드(13a)가 에어백(11)의 팽창실(앞좌석 팽창부 및 뒷좌석 팽창부의 각 팽창실)과 연통된 가스통로(11b)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동축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20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샤워헤드(13a)가 에어백(11)의 후방끝단부에서 팽창실(11d5)과 연통되어 있는 부분의 가스통로(11b)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에어백(11)의 팽창실(11d5)로 분산되는 가스의 일부를 샤워헤드(13a)에 의하여 3차원방향으로 직접 공급할 수 있어, 가스분산효과(백 손상의 저감효과)를 증대시키고 뒷좌석 팽창부(11d)의 팽창 전개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20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샤워헤드(13a)가 직선 확산관(13)의 전방끝단부에 제공되었으나,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확산관(13)을 생략하고 원통형 인플레이터(14)의 전방끝단부에 제공되는 가스주입포트에 샤워헤드(13a)를 일체형으로 제공한 구조가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확산관(13)을 생략함으로써, 인플레이터(14)로부터 에어백(11)의 가스통로(11b)로의 가스흐름통로의 길이를 줄일 수 있어, 에어백(11)의 팽창 전개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확산관(13)을 생략함으로써, 에어백모듈을 컴팩트하게 하여 원가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상술된 실시예에서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플레이터(14)가 루프의 측면 레일(21)에 조립되는 확산관(13)처럼 대체로 J 형상으로 형성된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확산관(13)의 전방끝단부가 도어의 유리면(41)과 실질적으로 평행을 이루었으나,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확산관(13)의 중앙부를 차량몸체의 외측(도 22에서 우측)으로 소정량 만곡시키고 확산관(13)의 전방끝단부가 도어의 유리면(41)과 실질적으로 평행을 이루도록 형성시킨 구조가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상술된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확산관(13)의 전방끝단부가 B 지주(23)의 후방으로 약간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도록 형성한 구조가 제공되었으나, 확산관(13)의 배치는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확산관(13)의 전방끝단부가 B 지주(23)와 오버랩되도록 배치시킨 구조가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한 경우의 레이아웃을 도 23에 예시해 놓았으며, 이 레이아웃에서는, B 지주 장식(33)에 제공되는 돌출부(33a)의 경사면이 확산관(13)의 전방끝단부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술된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어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샤워헤드(13a)에 복수의 주입공(13a1)을 제공할 때에, 전방끝단부의 중심에 하나의 구멍을 제공하고, 둘레방향의 하나의 라인상에 8개의 구멍을 제공한 구조가 제공었으나, 예를 들어, 샤워헤드(13a)를 끝단폐쇄식 원통형의 형상(원통형의 형상 외에 여타의 다각형의 관상의 형상)으로 형성시키고, 도 24 및 도 25에 나타낸 방식으로 그 저부벽(편평하거나 구형일 수 있음)에 복수의 주입공(13a1)을 제공하는 구조가 제공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도 24 및 도 25에서의 각 주입공(13a1)이 동일한 직경을 갖는다.
도 24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라인들이 8개의 구멍을 포함하고, 하 나의 구멍이 샤워헤드(13a) 전방끝단부의 중심에 제공되도록, 2개의 라인을 따라 샤워헤드(13a) 전방끝단부의 중심에 대하여 동심형으로(concentrically) 복수의 주입공(13a1)이 제공된다. 도 24에서의 2개의 라인을 따른 배치는 3개 이상의 라인을 갖는 배치로 대체될 수도 있으며, 각 라인내의 구멍의 개수는 8개로 제한되지 않고 적절히 증감될 수 있다. 따라서, 상술된 실시예에서는, 주입공(13a1)의 배치를 기초로 가스의 분산효과를 적절히 설정할 수 있고, 백의 손상을 줄이고 균형이 잘 맞추어 가스 공급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도 25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2개의 라인에 동심형으로 배치되고 반경방향으로 서로 인접해 있는 내측 및 외측의 주입공(13a1)이 둘레방향으로 지그재그 형태(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둘레방향의 내측 및 외측 둘레를 따라 반경방향으로 일렬을 이루지 않는 형태)로 배열되어 있다. 따라서, 상술된 실시예에서는, 2개의 라인에 동심형으로 배치되고 반경방향으로 서로 인접해 있는 내측 및 외측 주입공(13a1)으로부터 가스가 분사될 때 서로에 대한 간섭을 방지할 수 있고, 샤워헤드(13a)의 각 주입공(13a1)으로부터 에어백(11)의 가스통로(11b)로, 균형을 잘 맞추어 가스를 분산시킬 수 있어, 백의 손상을 더욱 줄이고 가스공급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된 실시예에서는, 도 6 내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구형의 샤워헤드(13a)를 형성시킨 구조가 제공될 수 있으나, 도 26 및 도 27 또는 도 28 및 도 2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방끝단부를 향하여 작아지는 복수의 단차를 갖는, 끝단폐쇄식 원통형의 형상으로 샤워헤드(13a)를 형성하거나(원통형상이 아닌 여타 의 다각관형상도 채택될 수 있음), 도 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것의 중심축선에 대하여 비대칭의 형상으로 샤워헤드(13a1)를 형성시키고 그 저부벽에 복수의 주입공(13a1)(도 28 및 도 29에서 13a1 및 13a3)을 제공한 구조가 제공될 수도 있다.
도 26 및 도 27에 나타낸 실시예에는, 주입공(13a1)이 축선방향으로 샤워헤드(13a)의 저부벽(2개의 단차를 갖는 계단식 저부벽)상의 전방끝단부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으며, 경사진 형태로 저부벽상에 형성된 각 계단부에 (전방끝단부 상기 중앙의 주입공(13a1)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복수의 주입공(13a1)이 형성되어 있다. 상술된 실시예에서는, 전방끝단부를 향하여 감소되는 직경을 갖는, 복수의 단차를 구비한 계단 형태로 샤워헤드(13a)가 형성되기 때문에, 샤워헤드(13a)의 전방끝단부내의 가스 압력을 확보하고(secure), 각 주입공(13a1)내로 가스가 흐를때의 가스 압력을 고르게 하며(level), 각 주입공(13a1)을 통해 흐르는 가스흐름을 고르게 할 수 있다. 또한, 각 계단부의 복수의 주입공(13a1)을 경사진 형태로 형성시킴으로써, 다양한 방식으로 하향 확장되는, 대체로 원뿔형태의 가스흐름을 동심형으로 형성시키고, 가스흐름이 균형이 잘 이루도록 확산시킬 수 있다. 또한, 각 주입공(13a1) 출구에서는, L자형단면을 갖는 계단식 벽면에 의하여 수행되는 확산(분산)의 억제로 인하여 가스흐름이 조정되고(rectified), 소정각의 소정방향으로 확산되어 흐른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도 28 및 도 29에는, 샤워헤드(13a)의 넓은 벽 전방끝단부의 중심에 진원형상을 갖는 주입공(13a1)이 형성되고, 경사진 방식으로 저부벽상에 형성되는 각 계단부에, 전방끝단부를 향하여 축선방향 및 둘레방향으로 확장되 는 팬 형상(어느 한방향으로 확장되는 팬형상이 채용될 수도 있음)을 갖는 복수의 주입공(13a3)이 형성되어 있다. 상술된 실시예에서는, 팬형상의 주입공(13a1)에서는 진원형상을 갖는 주입공(도 26 및 도 27에 나타낸 실시예에 따른 주입공(13a1))에 비해 전단 저항(shearing resistance)(벽면 저항)으로 인한 압력손실이 증대되고, 가스흐름의 확산각도가 커진다. 따라서, 팬형상의 개구부의 각도를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에어백(11)의 전개특성 및 방향성이 조정되도록 가스흐름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도 30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샤워헤드(13a)의 저부벽상의 전방끝단부 중심에서 축선방향으로 주입공(13a1)이 형성되고, 경사진 방식으로 그것의 비대칭면상에 (전방끝단부 중심의 주입공(13a1)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복수의 주입공(13a1)들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술된 실시예에서는, 샤워헤드(13a)의 비대칭형 전방끝단부의 형상을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에어백(11)의 전개특성 및 방향성이 조정되도록 가스흐름을 조정할 수 있다.
상술된 각각의 주입공(13a1)(진원형상을 갖는 주입공)은, 도 31에 예시한 바와 같이 큰 직경을 갖는 후방부 및 직경을 줄인 두께가 To인 최소 구멍부(Ho)를 계단형상으로 형성시켜 구성될 수도 있다. 상술된 실시예에 따르면, 샤워헤드(13a)에 필요한 강도를 확보하면서, 주입공에서의 압력손실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최소구멍부(Ho)의 두께(To)(최소구멍의 길이)를 변경시킴으로써, 압력손실량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술된 각각의 주입공(13a1)(진원형상을 갖는 주입공)은, 도 32에 예 시한 바와 같이 샤워헤드(13a)의 전방끝단부 벽(저부벽)상에 형성될 경우, 상기 전방끝단부 벽의 벽면에 대하여 경사를 부여한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술된 실시예에서는, 경사진 주입공(13a1)의 겉보기 개구부 면적(So)은 줄어들고, 압력의 양은 커진다. 또한, 경사진 주입공(13a1)의 분포 및 경사각을 변경시켜 가스흐름을 조정할 수 있으며, 또한, 에어백(11)의 전개특성 및 방향성을 조정할 수도 있다.
또한, 도 33에 예시한 바와 같이 폐쇄식 직사각형 관형상(기타 끝단폐쇄식 다각형 관형상 또는 끝단폐쇄식 원통형상이 채용될 수도 있음)으로 샤워헤드를 형성시키고, 샤워헤드(13a)의 전방끝단부 벽의 중심에 진원형상을 갖는 주입공(13a1)을 형성시키고, 샤워헤드(13a)의 전방끝단부 벽과 둘레의 벽에 걸쳐 자리하도록 대체로 삼각형상을 갖는 4개의 주입공(13a4)을 형성시킨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에 따르면, 단순한 형상(구조)를 기초로 하여 여러 방향으로 가스를 분산(확산)시킬 수 있다. 또한, 샤워헤드(13a)의 전방끝단부 벽과 둘레의 벽에 걸쳐 자리한, 대체로 삼각형상을 갖는 주입공(13a4)은 샤워헤드(13a)의 전방끝단부를 비스듬히 절단함으로써 쉽게 형성될 수 있어 샤워헤드(13a)의 제작이 용이하며 상기 샤워헤드(13a)의 원가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상술된 실시예에서는, 도 6 내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샤워헤드(13a) 상단부의 내경 및 외경이 확산관(13) 하단부의 내경 및 외경과 대체로 동일해지도록 형성하고, 그들을 용접 등의 방법에 따라 연결한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하지만, 도 34 및 도 3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확산관(13) 하단부(전방끝단부)의 내경 및 외경이 샤워헤드(13a) 상단부의 내경 및 외경보다 작아지도록 형 성하고, 예를 들어 스프링체결(또는 코킹(caulking), 용접 등)에 의해 상기 샤워헤드(13a)를 확산관(13)의 하단부 외주에 고정시킨 구조가 제공될 수도 있다. 상술된 실시예에 따르면, 샤워헤드(13a)를 교체함으로써, 예를 들어, 에어백(11)의 형상, 크기 등에 대응하는 가스분산특성을 쉽게 변경시킬 수 있다. 또한, 샤워헤드(13a)를 독립적으로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샤워헤드(13a)에 대하여 주입공(13a1)을 가공하기(work)가 쉽고, 확산관(13)의 공통적인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원가를 크게 줄일 수 있다.
또한, 도 34 및 도 35에 나타낸 확산관(13) 및 샤워헤드(13a)가 채용된 상태에서, 도 35에 나타낸 바와 같은 체결밴드(15)를 사용하여, 에어백(11)의 가스공급포트(11a)를 형성하는 부분이, 확산관(13) 및 샤워헤드(13a)의 전방끝단부에 의하여 형성된 계단부에 고정되도록 구성된 실시예에서는, 확산관(13) 및 샤워헤드(13a)에 의하여 형성된 계단부를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상기 확산관(13) 및 샤워헤드(13a)를 고정시킴으로써 조립작업성 및 고정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된 실시예에서는, 예들 들어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샤워헤드(13a)에 복수의 주입공(13a1)을 제공할 때, 길이방향(도면에서는 횡방향)에 대하여 대칭으로 제공되는 구조가 구성될 수 있으나, 도 36, 도 37 또는 도 3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길이방향(도면에서는 횡방향)에 대하여 비대칭으로 복수의 주입공(13a1)이 제공된 구조가 구성될 수도 있다.
도 36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도면의 좌측에 제공된 3개의 앞좌석 주입공(13a1)(Fr)의 (전방끝단부 중심의 주입공(13a1)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구멍 직경이, 도면의 우측에 제공된 3개의 뒷좌석 주입공(13a1)(Rr)보다 크게 만들어지고, 각각 3개의 앞좌석 주입공(13a1)(Fr) 및 뒷좌석 주입공(13a1)(Rr)의 개구면적(앞좌석 주입공의 개구면적(Sf) 및 뒷좌석 주입공의 개구면적(Sr))이 에어백(11)의 앞좌석 팽창부(11c) 및 뒷좌석 팽창부(11d)의 팽창실의 용적에 대응하여 설정되어 있다.
상술된 실시예에서는, 샤워헤드(13a)의 각 주입공(13a1, 13a1(Fr), 13a1(Rr))을 가공하기(work) 위한 인시(man hour)를 증가시키지 않고, 에어백(11d)의 앞좌석 팽창부(11c)의 팽창 전개 타이밍과 뒷좌석 팽창부(11d)의 팽창 전개 타이밍을 실질적으로 일치시킬 수 있어, 저비용으로 에어백(11)의 팽창 및 전개의 개시에서 완료까지의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에어백(11)의 팽창 전개시의 움직임을 개선할 수 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도 37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도면의 좌측에 제공된 3개의 앞좌석 주입공(13a1)(Fr)의 구멍 직경(전방끝단부 중심의 주입공(13a1)의 구멍직경보다 큼)이 샤워헤드(13a) 전방끝단부의 중심을 향하여 점진적으로 축소되어 있다(특히, 좌측끝단부에 있는 것이 큰 직경을 가지고, 그것의 우측에 있는 2개는 중간크기의 직경을 가진다). 상술된 실시예에서는, 도면 좌측에 있는 주입공(13a1)(Fr)의 구멍직경에 대응하여, 주입되는 가스흐름을 점진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고, 가스가 방향성을 갖도록 할 수 있으며, 에어백(11)의 팽창 전개시의 움직임을 조정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도 37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도면 우측에 제공된 3개의 뒷좌석 주입공(13a1)(Rr)의 구멍직경은 전방끝단부 중심에 있는 주입 공(13a1)의 구멍직경과 동일하게 설정된다.
또한, 도 38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도면 좌측에 제공된 앞좌석 주입공(13a1)(Fr)의 개수(5개)가, 도면 우측에 제공된 뒷좌석 주입공(13a1)(Rr)의 개수(3개)보다 많게 설정되어 있고, 앞좌석 주입공(13a1)(Fr) 및 뒷좌석 주입공(13a1)(Rr)의 개구부 면적(앞좌석 주입공의 개구부 면적(Sf) 및 뒷좌석 주입공의 개구부 면적(Sr))은 에어백(11)의 앞좌석 팽창부(11c) 및 뒷좌석 팽창부(11d)의 팽창실의 용적에 대응하여 설정되어 있다(Sf > Sr로 설정됨). 또한, 각 앞좌석 주입공(13a1)(Fr)의 구멍직경 및 각 뒷좌석 주입공(13a1)(Rr)의 구멍직경은 전방끝단부 중심에 있는 주입공(13a1)의 구멍직경과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상술된 실시예에서는, 같은 툴에 의하여 샤워헤드(13a)의 각 주입공(13a1, 13a1(Fr), 13a1(Rr))을 가공(개구부 면적이 커지는 쪽으로 주입공의 개수가 증가되도록 가공)함으로써 에어백(11)의 앞좌석 팽창부의 팽창 전개 타이밍과 뒷좌석 팽창부(11d)의 팽창 전개 타이밍을 실질적으로 일치시킬 수 있고, 주입공 개수의 증가(가스 유속의 감소)로 인하여 백의 손상이 감소되는 한편 에어백(11)의 팽창 전개의 개시부터 완료까지의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에어백(11)의 팽창 전개시의 움직임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상술된 실시예에서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팽창실이 에어백(11) 샤워헤드(13a)의 전방끝단부 아래(가스공급포트(11a)의 바로 아래)에 제공되지 않도록 형성시킨 구조가 구성되었으나, 도 39, 도 40 또는 도 4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어백(11)의 가스공급포트(11a) 바로 아래(샤워헤드 전방끝단부 아래) 에 보조 팽창실(11h)이 제공되도록 형성시킨 구조가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도 39, 도 40 또는 도 41에 나타낸 에어백(11)에서는, 앞좌석 팽창부(11c) 및 뒷좌석 팽창부(11d)의 각 팽창실(셀)이 상단부에서만 가스통로(11b)와 연통되어 있다.
도 39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에어백(11)의 보조 팽창실(11h)이 수직방향으로 확장되도록 가스공급포트(11a)의 바로 아래(샤워헤드의 전방끝단부 아래)의 상단부에서 가스통로(11b)와 연통되어 있다. 상술된 실시예에서는, 에어백(11)의 팽창 전개시에 상기 에어백(11)의 보조 팽창챔버(11h)로 가스가 흘러, 에어백(11)이 아랫쪽으로 전개되도록 촉진한다. 따라서, 에어백(11)의 전개가 완료될 때까지의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도 40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에어백(11)의 가스공급포트(11a)가 도 39에 비해 전방으로 변위되도록 제공되고, 보조팽창실(11h)이 앞좌석 팽창부(11c)와 밀접하게 제공된다. 또한, 보조 팽창실(11h)의 하단부는 뒷좌석 팽창부(11d)의 하단부와 연통되어 있다. 상술된 실시예에 따르면, 에어백(11)의 가스공급포트(11a)로부터 앞좌석 팽창부(11c)로 신속히 가스를 공급할 수 있을뿐 아니라, 보조 팽창실(11h)을 통해 뒷자석 팽창부(11d)의 하단부로 가스를 공급할 수 있어, 에어백(11)의 전개가 완료될 때까지의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여기서, 에어백(11)의 가스공급포트(11a)가 도 39와 비교해 후방으로 변위되도록 제공될 경우에는, 보조 팽창실(11h)은 뒷좌석 팽창부(11d)와 밀접하게 제공되고, 그 하단부는 앞좌석 팽창부(11c)의 하단부와 연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41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에어백(11)의 가스공급포트(11a)가 도 39에 비해 전방으로 변위되도록 제공되고, 보조 팽창실(11h)은 앞좌석 팽창실(11c)과 밀접하게 제공되어 있다. 또한, 보조 팽창실(11h)의 하단부는 앞좌석 팽창부(11c) 및 뒷좌석 팽찰부(11d)의 각 하단부와 연통되어 있다. 상술된 실시예에서는, 에어백(11)의 가스공급포트(11a)로부터 앞좌석 팽창부(11c)로 신속히 가스를 공급할 수 있을뿐 아니라, 보조 팽창실(11h)을 통하여 앞좌석 팽창부(11c) 및 뒷좌석 팽창부(11d)의 각 하단부로 가스를 공급할 수 있어, 에어백(11)의 전개가 완료될 때까지의 시간을 더욱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도 39, 도 40 또는 도 41에 나타낸 실시예에서, 앞좌석 팽창부(11c) 및 뒷좌석 팽창부(11d)의 팽창실의 용적에 따라, 보조 팽창실(11h)을 앞좌석 팽창부(11c)와 연통시키는 통로의 개구부 면적(도 39 및 도 40에 나타낸 실시예에서의 상부 가스통로(11b)의 전방부의 개구부 면적, 및 도 41에 나타낸 실시예에서의 상부 가스통로(11b)의 전방부의 개구부 면적과 하부 가스통로(11i)의 개구부 면적의 합) 및 보조 팽창실(11h)을 뒷좌석 팽창부(11d)와 연통시키는 통로의 개구부 면적(도 39에 나타낸 실시예에서의 상부 가스통로(11b) 후방부의 개구부 면적, 및 도 41 및 도 41에 나타낸 실시예에서의 상부 가스통로(11b) 후방부의 개구부 면적과 하부 가스통로(11i) 후방부의 개구부 면적의 합)을 적절히 설정한 경우에는, 에어백(11)의 전개가 완료될 때까지의 시간을 단축시키면서 에어백(11)의 앞좌석 팽창부(11c)와 팽창 전개 타이밍과 뒷좌석 팽창부(11d)의 팽창 전개 타이밍을 실질적으로 일치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도 4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성할 경우에는, (주입공(13a1) 이 제공되는) 샤워헤드 전방끝단부의 중심에 대하여 샤워헤드(13a)에 제공되는 앞좌석 주입공(13a1)(Fr) 및 뒷좌석 주입공(13a1)(Rr)의 길이방향에서의 분포를 달리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에서는, 앞좌석 주입공(13a1)(Fr) 및 뒷좌석 주입공(13a1)(Rr)을 통과하는 가스의 주입압력을 조정할 수 있고(도 42에서는, 전방으로의 가스의 주입압력을 강화시킬 수 있음), 에어백(11)의 앞좌석 팽창부(11c) 및 뒷좌석 팽창부(11d)의 팽창 전개 타이밍을 조정할 수 있다. 이 경우에, 각 주입공(13a1, 13a1(Fr), 13a1(Rr))의 구멍직경은 동일하다.
또한, 도 4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방향의 길이가 긴, 긴 구멍으로, 샤워헤드에 제공되는 직사각형 주입공(13a5)을 형성시키거나, 도 4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샤워헤드(13a)에 제공되는 주입공(13a1)들 중에서 샤워헤드 전방끝단부의 중심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주입공 13a1(Fr) 및 13a1(Rr)의 개구부 면적(구멍직경)을 다른 주입공들의 개구부 면적(구멍직경)보다 크게 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길이방향으로의 가스흐름을 강화할 수 있고, 동일한 가스흐름을 기초로 하여 확실히 에어백(11)의 팽창 및 전개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길이방향으로의 배향성을 적용하면서 에어백(11)을 팽창 및 전개시킬 수 있다.
또한, 도 4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샤워헤드(13a)에 제공되는 주입공(13a1)의 개구부 면적(구멍직경)을 차량의 폭 방향의 내측과 외측 사이에서 달리하거나(도 45에서는, 차량의 폭 방향으로 내측 개구부 면적이 더 큼), 또는 도 4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샤워헤드(13a)에 제공되는, 동일 직경을 갖는 주입공의 개수(13a1)를 차량의 폭 방향으로 내측과 외측 사이에서 달리할 수 있다(도 46에서는, 차량 폭 방향으로 내측 주입공의 개수가 더 많음).
상술된 실시예에서는, 차량의 폭 방향으로 내측 또는 외측을 향하여 샤워헤드(13a)가 배치되는 에어백(11)을 팽창 전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차량 폭 방향의 내측을 향하여 에어백이 팽창 전개되도록 설정할 경우에는, 팽창 전개중의 에어백(11)이 B 지주 등의 상단부에서 물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차량 폭 방향의 외측을 향하여 에어백(11)이 팽창 및 전개되도록 설정할 경우에, 도어 유리(측유리)면(41)을 따라 에어백(11)이 팽창 전개될 수 있다.
또한, 도 4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샤워헤드(13a)가 가스통로(11b)를 향하여 소정 각도(θo)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삽입되는 에어백(11)의 가스공급부(11a)를 형성시킬 수 있고, 샤워헤드(13a)로부터 공급되는 가스의 길이방향으로의 확산각(θf + θr)이 상기 소정 각(θo) 이하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에 따르면, 에어백(11) 가스공급부(11a)의 어떤 위치에 샤워헤드(13a)가 배치되던 간에, 샤워헤드(13a)로부터 분사되는 가스가 에어백(11)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는 가스공급포트와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게 되어, 에어백(11)의 일부를 형성하는 가스공급포트(11a)에서의 손상을 저감시키는 동시에 확산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4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어백내에 샤워헤드의 전방끝단부 아래의 상단에서 가스통로(11b)와 연통되고,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보조 팽창실(11h)이 제공될 뿐 아니라, 보조 팽창실(11h) 상단의 전방에서의 R 끝단점(Pf) 보다는 전방부를 향해 그리고 상단의 후방에 있는 R 끝단점(Pr) 보다는 후방부를 향해 가스가 분사되도록, 샤워헤드(13a)로부터 공급되는 가스의 길이방향으로의 확산각(θf + θr)을 소정값 이상이 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팽창실(11h)로의 가스의 유입을 안정적으로 확보해주는 이외에도, 가스통로(11b)의 전방부 및 후방부로 가스가 잘 분배될 수 있도록 하고, 샤워헤드(13a)의 전방부, 후방부 및 하부로의 가스의 분배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4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샤워헤드(13a)로부터 전방부로 확산되는 가스의 확산각(θf)이 후방부로의 확산각(θr)과는 상이하게 설정되는 경우에도(도 48에서, 앞좌석 팽창부(11c)와 뒷좌석 팽창부(11d)와의 팽창실의 용적의 비에 따라 θf>θr로 설정됨), 에어백(11)의 형상(예를 들어, 팽창실의 용적의 비 또는 앞좌석 팽창실(11c)과 뒷좌석 팽창실(11d) 사이의 팽창실의 형상)에 따라 가스통로(11b)의 전방부 및 후방부로의 가스의 분배를 변화시킬 수 있고, 에어백(11)을 최적의 상태로 팽창 전개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된 실시예에서는, 인플레이터(14)로부터 3차원방향으로 공급되는 가스가 에어백(11)의 가스통로(11b)로 공급되도록 분산시키기 위하여, 가스공급측에 분산수단(샤워헤드(13a))을 마련한 구조가 제공되었으나, 도 4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어백쪽에 분산수단(삼각형상의 백 베이스 직물(triangular bag base fabric:11j))을 마련한 구조가 제공될 수도 있다. 제봉된 에어백(11)이 (접합면에 밀봉제가 미리 도포된) 2개의 기저 직물에 의하여 제작될 경우에, (앞면과 뒷면 모두에 밀봉제(seal agent)가 미리 도포된) 상기 삼각형상의 백 베이스 직물(11j)은, 상기 두 기저 직물사이에 물려 삼각형상의 주변에지를 따라 재봉되며, 이 때, 인플레이터로부터 확산관(13)을 통하여 공급되는 가스를 3차원방향으로 분산시켜 에어 백(11)내의 가스통로(11b)로 공급하기 위하여 확산관(13)의 개구부 바로 아래에 그 최상부가 존재하도록 한다.
또한, 상술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이 승용차용 두부보호 에어백에 적용되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적절한 변경을 가하여, 승용차 이외의 차량을 위한 머리보호용 에어백장치에 적용하거나, 접이식으로 차량의 일부에 수납되어 있는 에어백이 착석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인플레이터로부터 공급되는 가스에 의해 팽창 전개되는 구조의 여타 다양한 에어백 장치, 예를 들어 계기판에 조립되어 있는 보조운전석용 에어백장치, 좌석의 각 부분에 조립되어 있는 에어백 장치 등에 적용될 수 있다.

Claims (50)

  1. 착석자의 두부를 보호하기 위하여, 에어백(11)이 루프 사이드 레일(21)을 따라 수납되고 인플레이터(14)로부터 공급되는 가스로 인해 차량 컴파트먼트의 측벽을 따라 커튼형상으로 팽창 전개되는 에어백장치(10)로서, 상기 에어백에 앞좌석용 팽창부(11c)와 뒷좌석용 팽창부(11d) 및 상기 두 팽창부 모두와 연통되는 가스통로(11b)가 제공되는 상기 에어백장치(10)에 있어서,
    상기 인플레이터(14)로부터 공급되는 가스를 3차원방향으로 분산시키는 샤워헤드(13a)가 상기 에어백(11)의 가스통로(11b)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장치(1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워헤드(13a)는 복수의 주입공(13a1)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장치(10).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샤워헤드(13a)는 반구형상으로 형성되고, 그것의 구면에 복수의 주입공(13a1)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장치(10).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샤워헤드(13a)의 주입공(13a1)이 상기 샤워헤드(13a)의 중심점(O1)에 대하여 대칭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장치(10).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워헤드(13a)에 제공되는 앞좌석용 주입공 및 뒷좌석용 주입공의 개구부 면적은 상기 앞좌석 팽창부(11c) 및 상기 뒷좌석 팽창부(11d)의 팽창실의 용적에 따라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장치(10).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워헤드(13a)가 메시(mesh)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장치(10).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샤워헤드(13a)가 반구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장치(10).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워헤드(13a)가 다공성몸체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장치(10).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샤워헤드(13a)가 반구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장치(10).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워헤드(13a)가 상기 인플레이터(14)에 조립된 확산관(13)의 전방끝단부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장치(10).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워헤드(13a)가 상기 인플레이터와 일체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장치(10).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착석자의 두부 보호를 위하여, 상기 에어백은 루프 사이드 레일을 따라 수납되어, 상기 인플레이터로부터 공급되는 가스에 의해 차량의 컴파트먼트의 측벽을 따라 커튼형상으로 팽창 전개되고, 상기 에어백에는 앞좌석용 팽창부와 뒷좌석용 팽창부 및 이들 두 팽창부 모두의 상부와 연통되는 가스통로가 제공되며, 상기 샤워헤드(13a)는, 가스가 상기 가스통로(11b)내에서 교차하는 방식으로 흐를 수 있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장치(10).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샤워헤드(13a)는 상기 에어백(11)의 가스통로(13c)내로 돌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장치(10).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인플레이터(14)가 차량의 길이방향 중앙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장치(10).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인플레이터(14)가 상기 에어백(11) 위의 루프 사이드 레일(21)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장치(10).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인플레이터(14)가 상기 에어백(11) 위의 루프 패널(25)을 따라 차량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장치(10).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관(13)이 실질적으로 J자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장치(10).
  18.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샹기 샤워헤드(13a)가 상기 에어백(11)의 팽창실(11c, 11d)과 연통되는 가스통로(11b)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동축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장치(10).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인플레이터(14)가 차량 에어백(11)의 전방 또는 후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장치(10).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샤워헤드(13a)가 가스통로(11b)에서, 상기 팽창실(11c, 11d)과 연통되는 상기 에어백의 일부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장치(10).
  2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샤워헤드(13a)에 제공되는 복수의 주입공(13a1)이, 복수의 라인이 형성되도록 상기 샤워헤드의 전방끝단부 중심과 동심형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장치(10).
  22. 제21항에 있어서,
    동심형으로 배치되고 반경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내측 및 외측의 복수의 주입공(13a1)이, 둘레방향에서 지그재그 형태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장치(10).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샤워헤드(13a)는 전방끝단부쪽으로 작아지는 복수의 계단(step)을 갖는 계단형상으로 형성되고, 복수의 주입공(13a1)은 상기 각 계단부에 경사진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장치(10).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공(13a1)은 전방끝단부쪽으로 확장되는 팬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장치(10).
  2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샤워헤드(13a)의 전방끝단부가 그 중심축선에 대하여 비대칭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주입공(13a1)들이 비대칭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장치(10).
  2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공(13a1)은 계단형상으로 형성되고, 최소 구멍부의 두께가 작게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장치(10).
  27.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샤워헤드(13a)의 전방끝단부 벽에 형성된 주입공(13a1)은 상기 전방끝단부 벽의 벽면에 대하여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장치(10).
  2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샤워헤드(13a)는 끝단폐쇄식 원통형상 또는 끝단폐쇄식 다각관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주입공(13a1)은 상기 샤워헤드(13a)의 전방끝단벽에 형성되며, 상기 주입공은 샤워헤드(13a)의 전방벽과 주변의 벽에 걸쳐서 자리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장치(10).
  29.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관(13)의 전방끝단부는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샤워헤드(13a)는 상기 확산관(13) 전방끝단부의 외주부에 끼워맞춰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장치(10).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11)의 일부를 형성하는 가스공급포트(11a)는 상기 확산관(13) 및 샤워헤드(13a)의 전방끝단부에 의하여 형성되는 계단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장치(10).
  3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샤워헤드(13a)에 제공되는 주입공의 직경을 앞좌석 주입공과 뒷좌석 주입공간에 상이하게 제작함에 있어, 상기 앞좌석 주입공 및 뒷좌석 주입공의 개구부 면적을 앞좌석 팽창부(11c) 및 뒷좌석 팽창부(11d)의 팽창실의 용적에 따라 설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장치(10).
  32. 제31항에 있어서,
    앞좌석 주입공 및 뒷좌석 주입공을 각각 복수의 주입공들로 구성하고, 그들 중 어느 한쪽의 구멍직경이 샤워헤드(13a) 전방끝단부의 중심을 향하여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장치(10).
  33. 제5항에 있어서,
    샤워헤드(13a)에 제공되는 주입공의 개수를 앞좌석 주입공과 뒷좌석 주입공간에 상이하게 제작함에 있어, 상기 앞좌석 주입공과 뒷좌석 주입공의 개구부 면적을 앞좌석 팽창부(11c)와 뒷좌석 팽창부(11d)의 팽창실의 용적에 따라 설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장치(10).
  34.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샤워헤드(13a)의 전방끝단부 아래의 상단에서 가스통로(11b)와 연통되는 보조팽창실(11h)이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에어백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장치(10).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팽창실(11h)의 하단부가 상기 앞좌석 팽창부(11c)와 뒷좌석 팽창부(11d) 중 적어도 하나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장치(10).
  36. 제34항 또는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팽창실(11h)을 상기 앞좌석 팽창부(11c)와 연통시키기 위한 통로(11i)의 개구부 면적 및 상기 보조팽창실(11h)을 상기 뒷좌석 팽창부(11d)와 연통시키기 위한 통로(11i)의 개구부 면적이, 앞좌석 팽창부 및 뒷좌석 팽창부의 팽창실의 용적에 따라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장치(10).
  3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워헤드(13a)에 제공되는 앞좌석 주입공과 뒷좌석 주입공간에, 상기 샤워헤드(13a)의 전방끝단부 중심에 대한 길이방향으로의 분포가 상이하게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장치(10).
  3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워헤드(13a)에 제공되는 주입공(13a5)은 종방향으로의 길이가 더 긴 구멍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장치(10).
  3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워헤드에 제공되는 복수의 주입공(13a1)들 중에서, 상기 샤워헤드의 전방끝단부 중심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가장 멀리 떨어진 주입공의 개구부 면적이 다른 주입공들의 개구부 면적보다 크게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장치(10).
  4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워헤드(13a)에 제공되는 주입공의 개구부 면적이 차량 폭 방향의 내부와 외부간에 상이하게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장치(10).
  4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워헤드(13a)에 제공되는 주입공(13a1)의 개수가 차량 폭 방향의 내부와 외부간에 상이하게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장치(10).
  4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워헤드(13a)가 삽입되는 에어백(11)의 가스공급부(11a)가 가스통로(11b)를 향하여 사전설정된 각도(θo)로 확장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샤워헤드(13a)로부터 공급되는 가스의 확산각(θf+θr)은 상기 사전설정된 각 이하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장치(10).
  4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워헤드(13a) 전방끝단부 아래의 상단에서 가스통로(11b)와 연통되고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보조팽창실(11h)이 에어백에 제공되고, 보조팽창실(11h) 상단의 전방부에 배치된 R 끝단점(Pf)보다 전방으로 더 멀리 분사되고 상기 상단 후방부에 배치되는 R 끝단점(Pr)보다 후방으로 더 멀리 분사될 수 있도록 상기 샤워헤드(13a)로부터 공급되는 가스의 길이방향으로의 확산각(θf+θr)이 사전설정된 값(θo) 이상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장치(10).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샤워헤드(13a)로부터 전방으로의 가스의 확산각(θf)이 후방으로의 확산각(θr)과는 상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장치(10).
  45. 삭제
  46. 삭제
  47. 삭제
  48. 삭제
  49. 삭제
  50. 삭제
KR1020037008693A 2000-12-27 2001-12-27 에어백장치 KR1005520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398692 2000-12-27
JPJP-P-2000-00398692 2000-12-27
JP2001172112A JP3528818B2 (ja) 2000-12-27 2001-06-07 エアバッグ装置
JPJP-P-2001-00172112 2001-06-07
PCT/IB2001/002692 WO2002051671A2 (en) 2000-12-27 2001-12-27 Air ba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4684A KR20030074684A (ko) 2003-09-19
KR100552006B1 true KR100552006B1 (ko) 2006-02-20

Family

ID=26606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8693A KR100552006B1 (ko) 2000-12-27 2001-12-27 에어백장치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3) US7147244B2 (ko)
EP (1) EP1347894B1 (ko)
JP (1) JP3528818B2 (ko)
KR (1) KR100552006B1 (ko)
CN (1) CN100406308C (ko)
BR (1) BR0116632B1 (ko)
CA (1) CA2432420C (ko)
CZ (1) CZ299858B6 (ko)
DE (1) DE60106081T2 (ko)
ES (1) ES2223934T3 (ko)
MX (1) MXPA03005815A (ko)
PL (1) PL206786B1 (ko)
WO (1) WO2002051671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1235B1 (ko) * 2007-12-12 2010-02-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커튼에어백에 설치된 인플레이터 가스 가이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77424B2 (en) * 2002-06-17 2006-07-18 Toyoda Gosei Co., Ltd. Head protecting airbag device
US7404572B2 (en) * 2003-03-24 2008-07-29 Key Safety Systems, Inc Curtain air bag
GB2401839B (en) * 2003-05-21 2006-03-22 Autoliv Dev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seat belt presenter
FR2855124B1 (fr) * 2003-05-22 2006-05-26 Aerazur Sac de securite gonflable, a dispositif de maintien du generateur de gaz
JP2005178612A (ja) * 2003-12-19 2005-07-07 Takata Corp 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JP4856092B2 (ja) * 2004-12-11 2012-01-18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アクティエボラーグ ガス発生機の推力中立な出口断面を有するエアバッグ装置
US7789418B2 (en) * 2005-05-10 2010-09-07 Key Safety Systems, Inc. Curtain air bag assembly
DE102005047703B4 (de) * 2005-09-27 2015-11-12 TAKATA Aktiengesellschaft Gassackanordnung für ein Kraftfahrzeug
JP2007118817A (ja) * 2005-10-28 2007-05-17 Takata Corp 乗員拘束装置
JP4923531B2 (ja) * 2005-11-15 2012-04-25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ベルト装置
DE102006006865B4 (de) * 2006-02-15 2012-01-12 Autoliv Development Ab Gassack-Einheit
US20080007035A1 (en) * 2006-06-26 2008-01-10 Trw Automotive Gmbh Airbag module
US8002311B2 (en) * 2006-10-26 2011-08-23 Tk Holdings Inc. Airbag with sections of different deployment lengths
US7658401B2 (en) * 2007-01-31 2010-02-0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flatable curtain airbag systems
US7850202B2 (en) * 2007-03-02 2010-12-14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Inflatable curtain
JP4388106B2 (ja) * 2007-07-24 2009-12-24 株式会社バンダイ ゲーム装置、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KR100980930B1 (ko) * 2007-12-13 2010-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커튼 에어백용 가스 가이더의 회전 방지장치
US8110068B2 (en) * 2008-03-20 2012-02-07 Novellus Systems, Inc. Gas flow distribution receptacles, plasma generator systems, and methods for performing plasma stripping processes
US9591738B2 (en) 2008-04-03 2017-03-07 Novellus Systems, Inc. Plasma generator systems and methods of forming plasma
JP5154297B2 (ja) * 2008-05-08 2013-02-27 タカタ株式会社 カーテンエアバッグ用ブラケット及び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JP5314918B2 (ja) 2008-04-23 2013-10-16 芦森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及びエアバッグ装置
DE102008048340B3 (de) * 2008-09-22 2010-01-14 Autoliv Development Ab Vorrichtung zum Aufblasen eines wenigstens zweilagigen, zu einem aufblasbaren Gurt gefalteten Gassackes für ein Sicherheitssystem eines Kraftfahrzeuges
DE102011009560A1 (de) 2010-02-19 2011-08-25 Autoliv Development Ab Vorrichtung zum Aufblasen eines wenigstens zweilagigen Gassackes für ein Sicherheitssystem eines Kraftfahrzeuges
EP2543558B1 (en) * 2010-03-04 2014-09-03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Arrangement structure for curtain airbag device
DE102010021007A1 (de) 2010-05-20 2011-11-24 Daimler Ag Vorrichtung zum Aufblasen eines wenigstens zweilagigen, zu einem aufblasbaren Gurt gefalteten Gassackes für ein Sicherheitssystem eines Kraftfahrzeuges
JP5238090B1 (ja) * 2012-08-31 2013-07-17 株式会社バンダイ ゲーム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40113536A1 (en) * 2012-10-23 2014-04-24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Zonal airflow system for a vehicle
CN105564359B (zh) * 2015-12-11 2018-01-26 李金秀 及时充气的安全气囊
CN109515368B (zh) * 2018-10-29 2021-06-01 淮阴工学院 一种液罐车侧翻缓冲装置及其控制方法
KR102576838B1 (ko) * 2021-08-12 2023-09-11 국방과학연구소 유도무기용 에어백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유도무기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06281A (en) 1967-10-06 1970-04-14 Eaton Yale & Towne Vehicle safety apparatus
US3868125A (en) * 1973-04-09 1975-02-25 Atlantic Res Corp Inflation system for vehicle crash bag
JPS5211971B2 (ko) 1973-06-22 1977-04-04
US4966495A (en) 1988-07-19 1990-10-30 Goldman Jerome L Semisubmersible vessel with captured constant tension buoy
US4913238A (en) 1989-04-18 1990-04-03 Exxon Production Research Company Floating/tensioned production system with caisson
JPH0633620Y2 (ja) 1989-08-25 1994-08-31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押釦スイツチ
JP2616529B2 (ja) 1992-04-13 1997-06-0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ハブ付きディスク、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およびディスク基板用射出成形金型
US5483896A (en) 1994-07-12 1996-01-16 Morton International, Inc. Pyrotechnic inflator for an air bag
DE4442202C2 (de) * 1994-11-17 1998-10-15 Petri Ag Beifahrer-Airbag-Modul
GB2326385B (en) 1995-02-20 1999-08-25 Autoliv Dev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safety device
GB9523133D0 (en) * 1995-11-11 1996-01-10 United Technologies Automotive Crash protection device
US5611563A (en) 1996-01-05 1997-03-18 Morton International, Inc. Airbag inflator attachment with snap-in sleeve
DE19707997C2 (de) * 1997-02-27 2000-10-26 Hs Tech & Design Beifahrerairbagvorrichtung
JP2894274B2 (ja) 1996-04-08 1999-05-24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側面衝突用エアバッグ
JPH09277899A (ja) 1996-04-16 1997-10-28 Tokai Rika Co Ltd エアバッグ装置
US5826904A (en) 1996-06-10 1998-10-27 Morton International, Inc. Directional compressed gas inflator
DE19727832A1 (de) * 1997-06-23 1998-12-24 Petri Ag Flammschutzvorrichtung für Gassäcke von Airbagmodulen
JP3110709B2 (ja) * 1997-09-04 2000-11-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DE29718305U1 (de) 1997-10-15 1998-02-12 Trw Repa Gmbh Aufblasbare Schutzeinrichtung für Fahrzeuginsassen zum Schutz vor einem Seitenaufprall im Kopf- und Thoraxbereich
US5941563A (en) * 1998-01-28 1999-08-24 Illinois Tool Works, Inc. Airbag diffuser
US6073961A (en) 1998-02-20 2000-06-13 Breed Automotive Technology, Inc. Inflatable side airbag curtain module
EP0940304B1 (de) 1998-03-06 2005-08-03 TRW Automotive GmbH Verbindungsleitung für ein Gassack-Insassenschutzsystem
US6457740B1 (en) * 1998-06-19 2002-10-01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Vehicle occupant safety apparatus
JP3558865B2 (ja) 1998-04-22 2004-08-25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JP3414255B2 (ja) 1998-05-12 2003-06-09 豊田合成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のエアバッグ
JP3876560B2 (ja) 1998-08-20 2007-01-31 タカタ株式会社 自動車乗員頭部の保護バッグ
JP4096412B2 (ja) 1998-08-20 2008-06-04 タカタ株式会社 インフレータアッセンブリ及びエアバッグ装置
JP2000085510A (ja) * 1998-09-14 2000-03-28 Takata Kk エアバッグ装置とインフレータとの連結構造
DE29823008U1 (de) 1998-12-17 1999-03-11 Petri Ag Einrichtung zum Einblasen von Gas aus einem Gasgenerator in einen Gassack einer Airbageinheit für Kraftfahrzeuge
US6554314B1 (en) * 1999-02-03 2003-04-29 Takata Corporation Protective cushion for vehicle occupant's head
JP2000225913A (ja) 1999-02-08 2000-08-15 Takata Corp エアバッグ装置とインフレータとの連結構造
JP3324996B2 (ja) 1999-04-15 2002-09-1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乗員拘束装置
JP3089473B1 (ja) 1999-04-15 2000-09-1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乗員拘束装置
JP3421782B2 (ja) 1999-05-28 2003-06-30 豊田合成株式会社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のエアバッグ
US6103984A (en) * 1999-06-02 2000-08-15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Vehicle inflatable side curtain assembly
JP2000355263A (ja) 1999-06-11 2000-12-26 Toyo Tire & Rubber Co Ltd エアバッグ装置
JP2002067868A (ja) 2000-09-04 2002-03-08 Takata Corp エアバッグ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1235B1 (ko) * 2007-12-12 2010-02-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커튼에어백에 설치된 인플레이터 가스 가이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L206786B1 (pl) 2010-09-30
US7547041B2 (en) 2009-06-16
US20070035112A1 (en) 2007-02-15
DE60106081D1 (de) 2004-11-04
CZ299858B6 (cs) 2008-12-17
CA2432420A1 (en) 2002-07-04
CN100406308C (zh) 2008-07-30
ES2223934T3 (es) 2005-03-01
PL362983A1 (en) 2004-11-02
CZ20031851A3 (cs) 2003-12-17
CN1482973A (zh) 2004-03-17
US7147244B2 (en) 2006-12-12
US20040070184A1 (en) 2004-04-15
CA2432420C (en) 2006-07-04
JP3528818B2 (ja) 2004-05-24
EP1347894B1 (en) 2004-09-29
EP1347894A2 (en) 2003-10-01
JP2002255008A (ja) 2002-09-11
KR20030074684A (ko) 2003-09-19
DE60106081T2 (de) 2006-02-16
US20090115173A1 (en) 2009-05-07
US7677597B2 (en) 2010-03-16
WO2002051671A3 (en) 2002-12-05
MXPA03005815A (es) 2004-02-26
BR0116632A (pt) 2003-12-23
BR0116632B1 (pt) 2010-11-16
WO2002051671A2 (en) 2002-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2006B1 (ko) 에어백장치
US6962364B2 (en) Curtain air bag assembly
KR100541391B1 (ko) 두부 보호용 에어백장치
EP1347893B1 (en) Window airbag device and adaptation method thereof to vehicles
JP2002283945A (ja)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JP2003146181A (ja) エアバッグ装置
JP5362501B2 (ja) エアバッグ及びエアバッグ装置
KR20220158441A (ko) 루프 장착형 에어백
EP4035955A1 (en) Side airbag device
JP5852847B2 (ja) エアバッグ装置
JP2002240674A (ja) 頭部保護装置
KR20110058036A (ko) 커튼에어백 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