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6838B1 - 유도무기용 에어백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유도무기 - Google Patents

유도무기용 에어백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유도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6838B1
KR102576838B1 KR1020210106888A KR20210106888A KR102576838B1 KR 102576838 B1 KR102576838 B1 KR 102576838B1 KR 1020210106888 A KR1020210106888 A KR 1020210106888A KR 20210106888 A KR20210106888 A KR 20210106888A KR 102576838 B1 KR102576838 B1 KR 1025768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bracket
gas
thin plate
central axis
guided weap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6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24756A (ko
Inventor
이동훈
강춘길
김정영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2101068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6838B1/ko
Publication of KR20230024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47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68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68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10/00Means for influencing, e.g. improving, the aerodynamic properties of projectiles or missiles; Arrangements on projectiles or missiles for stabilising, steering, range-reducing, range-increasing or fall-retarding
    • F42B10/02Stabilising arrangements
    • F42B10/14Stabilising arrangements using fins spread or deployed after launch, e.g. after leaving the barr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00Wings
    • B64C3/38Adjustment of complete wings or parts thereof
    • B64C3/56Folding or collapsing to reduce overall dimensions of aircra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15/00Self-propelled projectiles or missiles, e.g. rockets; Guided missiles
    • F42B15/01Arrangements thereon for guidance or control

Abstract

본 발명은 유도무기 몸체의 전단부에 각각 체결되며, 상호 결합되어 상기 유도무기 몸체의 전방을 덮고, 상호 결합된 결합력이 해제되면 상기 유도무기 몸체와 체결된 체결부를 기준으로 각각 회전하여 전개되는 제1 덮개 및 제2 덮개, 상기 제1 덮개 및 상기 제2 덮개 각각의 내측면에 서로 대응되게 결합되며, 주입된 가스에 의해 팽창함으로써 상기 결합력을 해제시키는 에어백 장치를 포함하는 유도무기로서, 본 발명에 의하면, 유도무기 전방의 협소한 공간에 가스발생기를 구비한 에어백 장치를 구현하여 고속 비행 중에도 효율적으로 에어백의 전개가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유도무기용 에어백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유도무기{AIR-BAG APPARATUS FOR A GUIDED WEAPON AND THE GUIDED WEAPON}
본 발명은 유도무기에 장착되어 필요시 전개되는 에어백 장치와 그것을 포함하는 유도무기에 관한 것이다.
화약을 연소시켜 고압의 가스를 발생시키는 가스발생기는 소형이면서도 큰 힘을 발생시킬 수 있어 작은 공간에서 높은 하중을 받는 기계장치의 작동원으로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가스발생기를 기계장치의 작동원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순간적인 고열과 고압의 가스를 효과적으로 수집하여 필요한 형태의 하중으로 변환시킬 수 있는 장치를 필요로 한다.
에어백은 작은 공간에 수납된 형태에서 압력을 이용하여 순간적으로 큰 부피로 팽창함으로써 힘과 변위를 발생시키는 대표적인 기구이다.
하지만, 기존의 고무 또는 천과 같은 유연한 재질의 에어백은 가스발생기에서 생성된 고온 가스에 손상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순간적인 폭발 압력 하중에 대한 내구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에어백의 팽창 속도가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종래 미국등록특허 제5,615,914호는 오토바이에 적용 가능한 승객 보호용 금속 블래더에 관한 기술이다. 해당 기술에서 알루미늄, 구리, 동, 스테인리스강 등을 적용할 수 있으며 적용 두께는 0.1~0.75mm이다. 그리고, 2개의 금속 박판을 용접(welding), 브레이징(brazing), 납땜(soldering), 볼트 등으로 접합하여 금속 블래더 구조 구현을 제안하였다.
또한, 화약 연소에 의해 발생하는 가스는 고온이며 인체에 유해하므로, 기존 직물 재질의 에어백은 고온 가스에 의해 손상을 받을 수 있으며 다공성(porous) 특성 때문에 유독 가스가 차량 내 탑승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이 적용되는 유도무기에는 큰 작동력을 필요로 하는 다양한 형태의 기계장치들을 매우 협소한 공간에 장착하여야 하는 경우가 많다. 공압을 이용한 날개 전개, 폭발볼트 등을 이용한 절개나 분리 등의 기계장치들은 매우 협소한 공간을 효과적으로 이용하는 대표적인 사례들이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들은 설계 공간 확보가 가능하고 비교적 큰 힘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가스발생기를 작동원으로 사용하는 사례는 없다.
고속 유도무기는 비행 중 공력가열로부터 탐색기 등 내부 탑재장비를 보호하고 필요한 시점에 전개되는 덮개 구조를 적용한다. 덮개는 유도무기 전방에 위치하며 항력 감소를 위해 유선형의 모습을 나타낸다. 덮개 전개에는 빠른 비행속도로 인하여 큰 힘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덮개 내부 공간은 탐색기 등의 장비가 탑재되어 있어 충분한 설계공간을 확보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가스발생기의 소형화 및 큰 압력을 이용할 수 있는 장치 개발을 필요로 한다.
이상의 배경기술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미국등록특허공보 제5,615,914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유도무기 전방의 협소한 공간에 가스발생기를 구비한 에어백 장치를 구현하여 고속 비행 중에도 효율적으로 에어백의 전개가 가능하게 하는 유도무기용 에어백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유도무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의한 유도무기는, 유도무기 몸체의 전단부에 각각 체결되며, 상호 결합되어 상기 유도무기 몸체의 전방을 덮고, 상호 결합된 결합력이 해제되면 상기 유도무기 몸체와 체결된 체결부를 기준으로 각각 회전하여 전개되는 제1 덮개 및 제2 덮개, 상기 제1 덮개 및 상기 제2 덮개 각각의 내측면에 서로 대응되게 결합되며, 주입된 가스에 의해 팽창함으로써 상기 결합력을 해제시키는 에어백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에어백 장치는, 테두리부가 서로 결합된 평판의 제1 박판 및 제2 박판, 상기 제2 박판에 형성된 브라켓 삽입홀에 상단부가 결합되며, 길이 방향으로 연통된 연결 브라켓 및 상기 연결 브라켓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연소 가스를 상기 연결 브라켓에 주입하는 가스 발생기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브라켓 삽입홀은 상기 제2 박판의 중앙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 브라켓의 하부에는 상기 연소 가스가 주입되는 하부 개방 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 브라켓의 상부에는 상기 하부 개방 홈으로부터 상기 연결 브라켓의 상단면으로 관통된 복수 개의 가스 방출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복수 개의 상기 가스 방출홀 중 상기 연결 브라켓의 중심축에 형성되는 가스 방출홀은 상기 연결 브라켓의 중심축과 평행하고, 복수 개의 상기 가스 방출홀은 관통 방향이 상기 연결 브라켓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경사진 가스 방출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복수 개의 상기 가스 방출홀 중, 상기 연결 브라켓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직선 거리상 먼 거리에 형성된 가스 방출홀의 관통 방향은 상기 연결 브라켓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직선 거리상 먼 거리에 형성된 가스 방출홀보다 가까운 거리에 형성된 가스 방출홀의 관통 방향보다 상기 연결 브라켓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보다 큰 경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1 박판 및 상기 제2 박판은 금속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박판 및 상기 제2 박판은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리스강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박판 및 상기 제2 박판 각각의 두께는 0.1mm~0.4m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의한 유도무기용 에어백 장치는, 유도무기의 측방으로 전개 가능한 상기 유도무기의 덮개의 내측면에 결합되며, 테두리부가 서로 결합된 평판의 제1 박판 및 제2 박판, 상기 제2 박판에 형성된 브라켓 삽입홀에 상단부가 결합되며, 길이 방향으로 연통된 연결 브라켓 및 상기 연결 브라켓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연소 가스를 상기 연결 브라켓에 주입하는 가스 발생기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 브라켓의 하부에는 상기 연소 가스가 주입되는 하부 개방 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 브라켓의 상부에는 상기 하부 개방 홈으로부터 상기 연결 브라켓의 상단면으로 관통된 복수 개의 가스 방출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복수 개의 상기 가스 방출홀 중 상기 연결 브라켓의 중심축에 형성되는 가스 방출홀은 상기 연결 브라켓의 중심축과 평행하고, 복수 개의 상기 가스 방출홀은 관통 방향이 상기 연결 브라켓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경사진 가스 방출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복수 개의 상기 가스 방출홀 중, 상기 연결 브라켓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직선 거리상 먼 거리에 형성된 가스 방출홀의 관통 방향은 상기 연결 브라켓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직선 거리상 먼 거리에 형성된 가스 방출홀보다 가까운 거리에 형성된 가스 방출홀의 관통 방향보다 상기 연결 브라켓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보다 큰 경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1 박판 및 상기 제2 박판은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리스강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박판 및 상기 제2 박판 각각의 두께는 0.1mm~0.4m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유도무기의 덮개 내부 공간에 탑재 가능하고 가스발생기를 이용하여 팽창하는 평판형 금속재 에어백 전개기구를 설명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전개기구는 단순하고 소형화된 구조로 덮개 내 협소한 설계 공간에 수납이 용이하다.
그리고, 에어백 재질에 금속을 적용함으로써 가스발생기의 순간적인 고열/고압의 하중조건에서도 생존이 가능하고 높은 압력을 유지할 수 있다.
사각형의 두 금속 박판을 포개어 놓은 후 네 모서리를 용접하여 주머니와 같이 팽창할 수 있는 에어백 구조를 구현함으로써, 가스발생기의 높은 압력과 금속 소재의 높은 연신율을 이용하여 충분한 전개력(압력) 및 전개거리(팽창변위)를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연결 브래킷 내 다수의 가스 방출 구멍을 방사형으로 설계하여 가스발생기의 화염 및 연소 비산물에 의한 에어백 중앙부 손상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유도무기의 외형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유도무기의 전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유도무기용 에어백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3의 에어백 장치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에어백 장치의 연결 브라켓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연결 브라켓의 단면 형상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유도무기용 에어백 장치의 전개 전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이의 전개 후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의 기술이나 반복적인 설명은 그 설명을 줄이거나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유도무기의 외형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유도무기의 전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유도무기용 에어백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도 3의 에어백 장치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유도무기용 에어백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유도무기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유도무기는 고속으로 비행하며, 유도무기 전방에 탐색기 등의 탑재장비들이 내장되고, 이를 보호하기 위해 유도무기 몸체(230) 전단부에 제1 덮개(210)와 제2 덮개(220)가 결합된다.
즉, 비행 중 공력가열로부터 탐색기 등 내부 탑재장비를 보호하고, 필요한 시점에 전개되는 덮개 구조를 적용한다. 덮개는 유도무기 전방에 위치하며 항력 감소를 위해 도시와 같이 유선형으로 구성된다.
도 2와 같이 제1 덮개(210)와 제2 덮개(220)의 내측면에 각각 구비되는 에어백(110)이 가스발생기(130)로부터 주입되는 가스에 의한 연소압력을 이용하여 팽창시킴으로써 전개에 소요되는 힘과 변위를 발생시킨다.
즉, 제1 덮개(210)와 제2 덮개(220)는 일정한 결합력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에어백(110)의 팽창력이 결합력을 넘어서면서 제1 덮개(210)와 제2 덮개(220)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전개되게 한다.
도시와 같이, 제1 덮개(210)와 제2 덮개(220)의 일 측부는 유도무기 몸체(230)에 힌지 방식으로 체결되며, 체결부를 기준으로 회전 동작하여 전개된다.
에어백 장치는 이 같은 덮개 전개를 위해 에어백(110), 연결 브라켓(120), 가스 발생기(130)가 구비된다.
도시와 같이 제1 덮개(210), 제2 덮개(220) 각각에 구비된 에어백(110)은 각 덮개의 대향되는 내측면에 서로 마주보며 배치되고, 제1 덮개(210), 제2 덮개(220) 내측에 각각 연결 브라켓(120)과 가스 발생기(130)가 삽입 결합되며, 유도무기의 협소한 덮개 공간에 도시와 같이 에어백(110)이 접혀져 있어 협소한 공간의 유도무기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후 전개 시점에 가스 발생기(130)에서 생성된 고압 가스가 연결 브라켓(120)을 통해 에어백(110)에 전달되어 에어백(110)을 팽창시켜 요구되는 전개력(압력) 및 전개거리(팽창변위)를 생성한다.
에어백(110)은 제1 박판(111)과 제2 박판(112)이 테두리부가 서로 결합되어 내측에 고압 가스 주입시 팽창 가능한 형태로 구비된다. 제1 박판(111)과 제2 박판(112)의 테두리부는 용접 등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협소한 공간상 배치를 위해 박판 형태로 구비되며, 금속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 알루미늄 재질일 수 있다.
이는 가스 발생기(130)의 고온의 폭발 압력에 대한 생존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강도가 높고 열 소산 능력이 뛰어난 금속을 에어백 재질로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즉, 가스 발생기(130)로부터의 고압 가스를 이용하여 에어백(110)을 변형시켜야 하므로 연신율이 높은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리스강 등의 금속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때 금속 박판은 0.1mm~0.4mm 두께의 소재가 바람직하다. 두께가 0.4mm 이상으로 두꺼우면 소성변형에 많은 에너지를 사용하므로 에어백 팽창 형상 구현이 어려우며 0.1mm 이하로 얇아지면 용접 특성이 좋지 않다.
에어백(110) 내부에 화약의 연소가스를 일정시간 수납하기 위해서는 매우 짧은 시간이지만 높은 열과 압력을 견딜 수 있어야 하므로, 금속 팽창 구조물은 기밀 성능이 보장되기 때문이며, 제1 박판(111), 제2 박판(112)은 도시된 사각 평판 외에 원형, 삼각형 등의 평판일 수 있다.
제2 박판(112)에는 브라켓 삽입홀(113)이 형성되고, 브라켓 삽입홀(113)은 팽창을 위해 중앙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결합된 연결 브라켓(120)을 통해 제1 박판(111)과 제2 박판(112) 간의 공간에 고압 가스가 주입될 수 있게 한다.
연결 브라켓(120)은 상단면 테두리가 브라켓 삽입홀(113) 내측면에 맞닿아 결합되고 용접 결합될 수 있다.
연결 브라켓(120)의 하부는 개방되어 가스 발생기(130)에 결합됨으로써, 이를 통해 가스 발생기(130)로부터의 고압 가스의 주입 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하부 개방 홈을 통해서 주입된 가스는 연결 브라켓(120)의 상부에 형성된 복수 개의 가스 방출홀(121, 122, 123)을 통해서 하부 개방 홈으로부터 상단면을 통해 제1 박판(111)과 제2 박판(112) 간의 공간으로 주입되고, 가스 방출홀(121, 122, 123)은 하부 개방 홈으로부터 연결 브라켓(120)의 상단면으로 관통하여 형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에어백 장치의 연결 브라켓의 단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연결 브라켓의 단면 형상이다.
연결 브라켓(120)은 수직 방향의 상면과 하면이 개방된 하나의 홀이 형성되어 이를 통해 고압 가스가 공급될 수도 있으나, 주입 압력이 브라켓 삽입홀(113)을 통해 일정 영역에 집중될 경우 해당 부분의 파손이 우려될 수 있으며, 제1 박판(111)과 제2 박판(112) 간 공간을 전체적으로 빠르게 팽창시키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따라서, 하부 개방홈의 상부에는 복수 개의 가스 방출홀(121, 122, 123)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가스 방출홀(121, 122, 123)을 통해서 고압 가스는 하부 주입구로부터 상부 주입구를 통해 에어백(110) 사이 공간으로 주입되게 되는데, 주입 가스의 분산을 위해서 복수 개의 가스 방출홀은 연결 브라켓(120)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경사진 가스 방출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연결 브라켓(120)의 중심축에 형성되는 가스 방출홀(121)은 연결 브라켓(120)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고, 중심축과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가스 방출홀(122, 123)은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부 주입구가 하부 주입구보다 먼 거리가 되도록 경사진(관통 방향이 경사진) 가스 방출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중심축으로부터 직선 거리가 먼 거리에 배치 형성되는 가스 방출홀(123)일수록 이보다 중심축으로부터 직선 거리가 가까운 거리에 형성되는 가스 방출홀(122)의 경사보다 큰 경사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에서 θ1, θ2는 수평 방향을 기준으로의 각도이므로, θ1이 θ2보다 크며, 중심축으로부터 외측의 가스 방출홀(123)이 그보다 중심축에 가까운 가스 방출홀(122)보다 중심축을 기준으로 더 큰 경사를 가진다.
이와 같이 복수 개의 가스 방출홀의 경사 각도를 달리 형성함으로써 화염 및 연소 비산물이 분산되어 제1 박판(!11)의 일정 부위에 압력이 집중되어 발생할 수 있는 손상을 최소화할 수가 있다.
이상 살펴본 본 발명의 에어백 장치는 도 7과 같은 전개 전 상태에서 가스 발생기(130)로부터 고온, 고압의 가스가 연결 브라켓(120)의 통로를 통해 제1 박판(111)과 제2 박판(112) 간 공간에 주입됨으로써 도 8과 같이 제1 박판(111) 및 제2 박판(112)이 소성변형하여 주머니와 같이 부푼 형상으로 팽창되게 되며, 이 같은 팽창 압력이 제1 덮개(210)과 제2 덮개(220)의 결합력을 초과하여 제1 덮개(210)와 제2 덮개(220)의 결합이 해제되어 힌지 체결부를 기준으로 회전 동작하여 전개되게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 에어백
111 : 제1 박판
112 : 제2 박판
113 : 브라켓 삽입홀
120 : 연결 브라켓
121 : 제1 가스 방출홀
122 : 제2 가스 방출홀
123 : 제3 가스 방출홀
130 : 가스 발생기
210 : 제1 덮개 220 : 제2 덮개
230 : 유도무기 몸체

Claims (15)

  1. 유도무기 몸체의 전단부에 각각 체결되며, 상호 결합되어 상기 유도무기 몸체의 전방을 덮고, 상호 결합된 결합력이 해제되면 상기 유도무기 몸체와 체결된 체결부를 기준으로 각각 회전하여 전개되는 제1 덮개 및 제2 덮개;
    상기 제1 덮개 및 상기 제2 덮개 각각의 내측면에 서로 대응되게 결합되며, 주입된 가스에 의해 팽창함으로써 상기 결합력을 해제시키는 에어백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백 장치는,
    테두리부가 서로 결합된 평판의 제1 박판 및 제2 박판;
    상기 제2 박판에 형성된 브라켓 삽입홀에 상단부가 결합되며, 길이 방향으로 연통된 연결 브라켓; 및
    상기 연결 브라켓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연소 가스를 상기 연결 브라켓에 주입하는 가스 발생기를 포함하며,
    상기 브라켓 삽입홀은 상기 제2 박판의 중앙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연결 브라켓의 하부에는 상기 연소 가스가 주입되는 하부 개방 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 브라켓의 상부에는 상기 하부 개방 홈으로부터 상기 연결 브라켓의 상단면으로 관통된 복수 개의 가스 방출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복수 개의 상기 가스 방출홀 중 상기 연결 브라켓의 중심축에 형성되는 가스 방출홀은 상기 연결 브라켓의 중심축과 평행하고,
    복수 개의 상기 가스 방출홀은 관통 방향이 상기 연결 브라켓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경사진 가스 방출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복수 개의 상기 가스 방출홀 중, 상기 연결 브라켓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직선 거리상 먼 거리에 형성된 가스 방출홀의 관통 방향은 상기 연결 브라켓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직선 거리상 먼 거리에 형성된 가스 방출홀보다 가까운 거리에 형성된 가스 방출홀의 관통 방향보다 상기 연결 브라켓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보다 큰 경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1 박판 및 상기 제2 박판은 금속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무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박판 및 상기 제2 박판은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리스강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무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 박판 및 상기 제2 박판 각각의 두께는 0.1mm~0.4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무기.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유도무기의 측방으로 전개 가능한 상기 유도무기의 덮개의 내측면에 결합되며, 테두리부가 서로 결합된 평판의 제1 박판 및 제2 박판;
    상기 제2 박판에 형성된 브라켓 삽입홀에 상단부가 결합되며, 길이 방향으로 연통된 연결 브라켓; 및
    상기 연결 브라켓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연소 가스를 상기 연결 브라켓에 주입하는 가스 발생기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브라켓의 하부에는 상기 연소 가스가 주입되는 하부 개방 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 브라켓의 상부에는 상기 하부 개방 홈으로부터 상기 연결 브라켓의 상단면으로 관통된 복수 개의 가스 방출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복수 개의 상기 가스 방출홀 중 상기 연결 브라켓의 중심축에 형성되는 가스 방출홀은 상기 연결 브라켓의 중심축과 평행하고,
    복수 개의 상기 가스 방출홀은 관통 방향이 상기 연결 브라켓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경사진 가스 방출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복수 개의 상기 가스 방출홀 중, 상기 연결 브라켓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직선 거리상 먼 거리에 형성된 가스 방출홀의 관통 방향은 상기 연결 브라켓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직선 거리상 먼 거리에 형성된 가스 방출홀보다 가까운 거리에 형성된 가스 방출홀의 관통 방향보다 상기 연결 브라켓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보다 큰 경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1 박판 및 상기 제2 박판은 금속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무기용 에어백 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1 박판 및 상기 제2 박판은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리스강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무기용 에어백 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1 박판 및 상기 제2 박판 각각의 두께는 0.1mm~0.4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무기용 에어백 장치.
KR1020210106888A 2021-08-12 2021-08-12 유도무기용 에어백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유도무기 KR1025768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6888A KR102576838B1 (ko) 2021-08-12 2021-08-12 유도무기용 에어백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유도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6888A KR102576838B1 (ko) 2021-08-12 2021-08-12 유도무기용 에어백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유도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4756A KR20230024756A (ko) 2023-02-21
KR102576838B1 true KR102576838B1 (ko) 2023-09-11

Family

ID=85328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6888A KR102576838B1 (ko) 2021-08-12 2021-08-12 유도무기용 에어백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유도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683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49027A1 (ja) * 2010-05-28 2011-12-0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96599A (ja) * 1996-01-23 1997-07-31 Mitsubishi Heavy Ind Ltd 飛しょう体のシーカドーム
JP3528818B2 (ja) * 2000-12-27 2004-05-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49027A1 (ja) * 2010-05-28 2011-12-0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4756A (ko) 2023-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2750B1 (ko) 차량탑승자구속장치및그구속장치의전개방법
KR100242917B1 (ko) 측방 충돌 에어백 모듈
KR0183410B1 (ko) 차량 탑승자 구속 시스템용 하이브리드 팽창기
KR100335538B1 (ko) 에어백용하이브리드팽창기
US6253683B1 (en) Air bag gas inflator
KR0131594B1 (ko) 에어백용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
CN101970265B (zh) 用于对气囊充气的气体发生器和方法以及气囊模块
US6266926B1 (en) Gas generator deployed occupant protection apparatus and method
KR100517442B1 (ko) 에어백 모듈
US8387507B2 (en) Weapon interceptor projectile with deployable frame and net
JPH05505990A (ja) エア・クッション用のインフレータおよびエア・クッション装置
EP0812740B1 (en) Directional compressed gas inflator
US3618976A (en) Inflatable bag and gas diffusing device
US7338073B2 (en) Inflator
US3532358A (en) Inflatable device
KR102576838B1 (ko) 유도무기용 에어백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유도무기
US8353247B2 (en) Gas generator
US5236675A (en) Gas generator with circumferential joints
JP4198063B2 (ja) 冷ガス発生器
KR102639435B1 (ko) 유도체용 에어백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유도체
CN101758810B (zh) 一种汽车隔舱气帘
JP2006506274A (ja) 推進点火筒
JP4633918B2 (ja) ガス発生器
US20060170201A1 (en) Multi-stage gas generator
US11135994B2 (en) Pyrotechnical gas generator for an airba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