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9546B1 - 광 디스크장치 - Google Patents

광 디스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9546B1
KR100489546B1 KR10-2002-0056493A KR20020056493A KR100489546B1 KR 100489546 B1 KR100489546 B1 KR 100489546B1 KR 20020056493 A KR20020056493 A KR 20020056493A KR 100489546 B1 KR100489546 B1 KR 1004895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prepit
information
laser light
optical di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6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5824A (ko
Inventor
우에노케이시
Original Assignee
티아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1288304A external-priority patent/JP373640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292578A external-priority patent/JP3760825B2/ja
Application filed by 티아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티아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258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58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95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95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4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sensing features on the record carrier other than the transducing track ; sensing signals or marks recorded by another method than the main recor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4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7/0045Recor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4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7/005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1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of read-only, rewritable, or recordable type
    • G11B2220/215Recordable discs
    • G11B2220/216Rewritable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1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of read-only, rewritable, or recordable type
    • G11B2220/215Recordable discs
    • G11B2220/218Write-once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62DVDs [digital versatile discs]; Digital video discs; MMCDs; HDC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7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 carrier, e.g. form of tracks, actual track shape, e.g. wobbled, or cross-section, e.g. v-shaped; Sequential information structures, e.g. 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 G11B7/00745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Landscapes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 광 픽업(14)은 그루브에 메인 빔을 조사함과 동시에, 메인 빔을 분할하여 얻어진 서브빔을 인접한 랜드에 조사한다. 그 서브빔으로부터의 귀환 광은 4분할 광검출기에 의해 전기신호로 변환되어, 프리피트 검출부(26)에 공급된다. 프리피트 검출부(26)는, 4분할 광검출기 중 원주방향으로 분할된 2개의 광 검출기로부터의 신호의 합 또는 차를 산출하여 프리피트 정보를 검출하고, 게이트회로에서 워블신호의 정점에 위치하는 프리피트 정보만을 추출하여 콘트롤러(20)에 공급한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은 그루브에 인접한 랜드에 프리피트가 형성된 광 디스크에 기록재생을 하는 광 디스크장치에 있어서, 프리피트 정보를 확실히 검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광 디스크장치{OPTICAL DISK DEVICE}
본 발명은 광 디스크장치, 특히, DVD-R/RW 등의 프리피트 정보가 형성된 광 디스크에 대하여 기록재생을 행하는 광 디스크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DVD-R/RW 등에서는, 정보기록트랙인 그루브에 인접한 랜드에 프리피트가 형성되어 있고, 기록 재생시에는 이 프리피트를 검출하여 디코드함으로써 광 디스크의 면내위치(어드레스)를 확정하여 데이터를 기록 및 재생한다.
일반적으로, 프리피트 정보는, 광 디스크에 조사되는 레이저광의 귀환 광을 광 디스크의 반경방향 및 원주방향으로 각각 2분할된 4분할 광 검출기에서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반경방향으로 분할된 2개의 광 검출기로부터의 신호의 차이를 연산함으로써 얻는다. 그리고, 상기 연산에 의해 기록 파워의 변조성분을 제거하고, 차신호에 포함되는 프리피트 신호를 추출하여 디코딩한다.
일본 특허공개 2000-311344호 공보에는, 마크기간(기록파워를 조사하여 광 디스크에 피트를 형성하는 기간)에서 프리피트를 검출하는 회로와 공간기간(마크와 마크 사이의 기간)에서 프리피트를 검출하는 회로를 병렬로 설치하여, 마크기간과 공간기간 각각에서 프리피트를 검출하고, 양자의 논리합을 출력하는 프리피트 검출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반경방향으로 분할된 2개의 광 검출기의 차(푸시-풀 신호)에 의거하여 프리피트 신호를 검출하는 구성에서는, 그루브에 형성되는 피트(마크)의 반사율변화가 노이즈로서 혼입하여, 프리피트 신호만을 검출하는 것은 곤란하다. 물론, 이 노이즈들을 제거하기 위한 회로를 부가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회로구성이 더 복잡해져, 비용증가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으로 프리피트 정보를 검출할 수 있고, 이에 의거하여 데이터를 기록 또는 재생할 수 있는 광 디스크장치를 제공하는 데 제 1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반경방향으로 분할된 광 검출기로부터의 2개의 신호의 차를 연산한 경우, 기록파워의 변조성분을 완전히 제거할 수 없고, 특히 기록개시직후와 기록완료직후의 엣지 부분에서 잔존하고, 노이즈로서 남게 된다. 더구나, 기록파워시에는 재생파워시보다도 레이저 파워가 크고, 기록파워시의 귀환 광량도 증대하기 때문에, 기록파워시의 노이즈 레벨은 커져, 재생파워시의 프리피트 레벨과 같은 정도 또는 그 이상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기록파워시의 노이즈와 재생파워시의 프리피트 신호를 레벨상으로는 구별할 수 없고, 차신호를 소정의 한계치로 2값화하여 프리피트 신호를 추출하려고 해도, 재생파워의 프리피트 신호를 추출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즉, 한계치를 크게 하여 기록파워시의 노이즈를 제거하고자 하면, 재생파워시의 프리피트 신호까지 제거되고, 한계치를 작게 하여 재생파워시의 프리피트 신호를 추출하고자 하면, 기록파워시의 노이즈도 프리피트 신호로서 추출된다. 이때, 기록파워를 인가하는 기간은 마크기간, 재생파워를 인가하는 기간은 공간기간이므로, 상기한 문제는 공간기간에서의 프리피트 신호를 추출하는 것이 곤란하다고 바꾸어 말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일본 특허공개 2000-311344호 공보와 같이, 마크기간에서 프리피트를 검출하는 회로와, 공간기간에서 프리피트를 검출하는 회로를 병렬로 설치하여, 마크기간과 공간기간 각각에서 프리피트를 검출함으로써 상기 문제를 해결할 수도 있지만, 마크기간과 공간기간에 있어서 각각 신호처리하기 위한 게이트신호를 생성하는 회로가 필요해져, 회로구성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공간기간, 또는 재생파워의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기간에서도 프리피트 정보를 확실히 검출할 수 있는 광 디스크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제 2 목적이 있다.
먼저, 상기 제 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광 디스크에 미리 형성된 프리피트 정보를 검출하면서 기록 또는 재생하는 광 디스크장치에 있어서, 정보기록트랙에 메인 레이저광을 조사함과 동시에, 상기 정보기록트랙에 관한 프리피트가 형성된 트랙에 서브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조사수단과, 상기 서브 레이저광의 귀환 광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프리피트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검출수단은, 상기 광 디스크의 반경방향 및 원주방향으로 각각 2분할되어, 상기 서브 레이저광으로부터의 귀환 광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4분할 광 검출기와, 상기 4분할 광 검출기의 원주방향으로 분할된 2개의 광 검출기로부터의 신호의 합 또는 차를 연산하는 가감산기와, 상기 가감산기로부터의 신호를 슬라이스(slice)처리함으로써 프리피트 정보를 추출하는 추출수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추출수단은, 상기 4분할 광 검출기의 반경방향으로 분할된 2개의 광 검출기중 상기 정보기록트랙측의 광 검출기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정보기록트랙의 워블신호를 검출하는 수단과, 상기 워블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가감산기로부터의 신호에 처리 윈도우를 설정하는 수단을 갖고, 상기 워블신호에 동기한 프리피트 정보를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검출수단은, 상기 광 디스크의 반경방향 및 원주방향으로 각각 2분할되어, 상기 서브 레이저광으로부터의 귀환 광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4분할 광 검출기와, 상기 4분할 광 검출기의 원주방향으로 분할된 2개의 광 검출기로부터의 신호의 레벨을 조정하는 이득조정기와, 이득 조정된 2개의 신호의 차를 연산하는 감산기와, 상기 감산기로부터의 신호를 슬라이스 처리함으로써 프리피트 정보를 추출하는 추출수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추출수단은, 상기 4분할 광 검출기의 반경방향으로 분할된 2개의 광 검출기중 상기 정보기록트랙측의 광 검출기로부터의 신호를 재생파워의 타이밍으로 샘플링함으로써 상기 정보기록트랙의 워블신호를 검출하는 수단과, 상기 워블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감산기로부터의 신호에 처리 윈도우를 설정하는 수단을 갖고, 상기 워블신호에 동기한 프리피트 정보를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장치에 있어서, 또한, 상기 메인 레이저광과 서브 레이저광의 서로 대향적 위치 관계에 의거하여, 검출된 상기 프리피트 정보를 지연 처리하는 수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종래와 같이 단일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이 레이저광의 귀환 광에 포함되는 프리피트 신호를 검출하는 것이 아니고, 정보기록트랙에 메인 레이저광(main beam)을 조사함과 동시에, 정보기록트랙에 관한 프리피트가 형성된 트랙(예를 들면, 랜드)에 서브 레이저광(서브빔)을 조사한다. 그리고, 서브 레이저광의 귀환 광신호에 의거하여 프리피트 정보를 검출한다. 서브 레이저광에는 피트에 의한 반사율 변화가 생기지 않기 때문에, 회로구성을 복잡화시키지 않고 프리피트 정보만을 확실히 검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때, 메인 레이저광으로 데이터를 기록재생함과 동시에, 서브 레이저광으로 프리피트 정보를 검출하는 경우, 메인 레이저광과 서브 레이저광의 서로 대향적 위치가 다르기 때문에, 서브 레이저광으로 검출된 프리피트 위치를 메인 레이저광 위치에 일치시키도록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브 레이저광을 메인 레이저광보다도 선행시킨 경우, 검출한 프리피트 정보를 지연시킴으로써 달성된다.
한편, 상기 제 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광 디스크에 미리 형성된 프리피트 정보를 검출하면서 기록을 하는 광 디스크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 디스크에 기록파워의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데이터를 기록할 때의 귀환 광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적어도 상기 광 디스크의 반경방향으로 2분할된 광 검출기와, 상기 2분할된 광 검출기로부터의 2개의 신호의 이득을 각각 조정하는 이득 조정기와, 이득 조정된 2개의 신호의 상한레벨을 제한하는 리미터와, 상기 리미터로부터의 2개의 신호의 차를 연산하는 연산기와, 상기 연산기로부터의 차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프리피트 정보를 추출하는 추출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리미터의 제한레벨은, 기록파워의 귀환 광레벨 보다 작고 재생파워의 귀환 광레벨 보다도 큰 레벨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득 조정된 2개의 신호의 차를 연산하는 제 2 연산기와, 상기 제 2 연산기로부터의 차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프리피트 정보를 추출하는 제 2 추출수단과, 상기 추출수단과 상기 제 2추출수단의 논리합을 연산하는 수단을 더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 디스크장치에서는, 광 디스크의 반경방향으로 적어도 2분할된 광 검출기, 예를 들면 4분할 광 검출기로부터의 2개의 신호의 이득을 조정한 후, 2개의 신호의 상한레벨을 리미터로 제한한다. 리미터에 의한 상한레벨의 제한은, 바꿔 말하면 신호의 기록파워시의 귀환 광신호 레벨을 일정값으로 대체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기록파워시의 귀환 광신호에 포함되는 노이즈 성분이 제거되고, 2개의 신호의 차를 연산함으로써 기록파워시의 노이즈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고 재생파워시(공간기간)의 프리피트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때, 기록파워시의 프리피트 정보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상한레벨을 제한하지 않고 2개의 신호의 차를 연산하여, 그 차신호에 포함되는 프리피트 정보를 검출하면 되고, 마크기간에서의 프리피트 정보와 상술한 공간기간에서의 프리피트 정보의 논리합을 연산함으로써, 마크기간 및 공간기간 중 어디에 있더라도 프리피트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예>
[제 1 실시예]
먼저, 도 1 내지 도 9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실시형태에 관해서, DVD-R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1에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광 디스크장치의 블록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광 디스크(DVD-R)(10)는, 스핀들 모터(12)에 의해 CAV(또는 CLV) 회전 구동된다. 광 디스크(10)의 정보기록트랙인 그루브의 사이의 영역(랜드)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프리피트(랜드 프리피트: LPP; land pre-pit)가 형성되어 있고, 이 프리피트를 검출함으로써 광 디스크(10)의 면내위치를 특정한다.
광 픽업(14)은, 광 디스크(10)에 대향 배치되어, 기록파워의 레이저광을 광 디스크(10)에 조사하여 데이터를 기록함과 동시에, 재생파워의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기록데이터를 재생한다. 기록시에는, 콘트롤러(20)로부터의 기록데이터를 인코더(18)로 변조하고, 또한 LD 구동부(16)에 의해 구동신호로 변환하여 광 픽업(14)의 레이저다이오드(LD)를 구동한다. 또한, 재생시에는, 광 검출기에서 전기신호로 변환된 귀환 광신호를 RF 신호처리부(22)에 공급하고, 또한 디코더(24)로 복조한 후, 재생데이터로서 콘트롤러(20)에 공급한다.
종래에는, 광 픽업(14)으로부터 광 디스크(10)에 조사되는 레이저광으로서는, 정보기록트랙인 그루브에 조사되는 메인 레이저광이었지만, 본 제 1 실시예에서는 이 메인 레이저광과 아울러, 해당 그루브에 관한 프리피트 정보가 형성된 랜드에 서브 레이저광(서브빔)을 조사한다. 서브 레이저광은, 메인 레이저광을 분할하여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광 픽업(14)에는, 메인 레이저광으로부터의 귀환 광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메인용 4분할 광 검출기 및 서브 레이저광으로부터의 귀환 광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서브용 4분할 광 검출기가 설정되고, 메인용 4분할 광 검출기로부터의 신호는 상술한 것처럼 RF 신호처리부(22)에 공급되어, 서브용 4분할 광 검출기로부터의 전기신호는 후술하는 프리피트 검출부(26)에 공급된다.
RF 신호처리부(22)는, 앰프, 이퀼라이저, 2값화부, PLL부 등을 갖고, RF 신호를 부스트(boost)한 후에 2값화하여, PLL부에서 동기클록을 생성하여 디코더(24)에 출력한다. 디코더(24)는, 재생 2값화신호 및 동기클록에 의거하여 재생신호를 디코드하고, 오차(error) 정정을 하여 콘트롤러(20)에 공급한다.
프리피트 검출부(26)는, 서브용 4분할 광 검출기로부터 공급된 4개의 신호에 의거하여, 프리피트 정보를 검출하여 콘트롤러(20)에 공급한다. 프리피트 검출처리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이때, 이밖에도 포커스 오차신호나 트랙킹 오차신호를 생성하여, 광 픽업(14)의 포커스 및 트랙킹을 제어하는 서보계가 있지만, 이들에 관해서는 종래기술과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2에는, 본 제 1 및 제 2 실시예에서의 광 디스크(10)의 기록방식이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술한 것처럼, 광 디스크(10)에는, 그루브에 인접한 랜드에 소정의 간격으로 프리피트(LPP)(100)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그루브에 기록된 데이터는 미리 정보단위인 SYNC 프레임마다 분할되어, 26개의 SYNC 프레임으로 1섹터가 구성되고, 16섹터로 1 ECC 블록이 구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SYNC 프레임의 선두에 SYNC 프레임마다의 동기를 취하기 위한 동기정보(SYNC)(200)가 삽입된다. 동기정보 SYNC로서는, 확실히 SYNC 프레임동기를 얻을 수 있도록 데이터 변조부분에 출현하는 최장의 11T보다도 충분히 긴 14T가 사용된다. DVD-R의 규격으로서는, 14T의 SYNC 펄스로서 마크 또는 공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서, 그루브는 소정의 주파수로 워블(지그재그)하고 있지만, 이 워블 주파수를 검출함으로써 광 디스크(10)의 회전수를 검출하여 제어할 수 있다.
도 3에는, 마찬가지로, 본 제 1 및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SYNC 프레임과 동기정보(SY) 및 프리피트의 관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SYNC 프레임은, 짝수 프레임과 홀수 프레임으로 대별되고, 프리피트는 통상 짝수 프레임에 대응시켜 형성된다. 단지, 기록해야 할 프레임의 양 이웃 랜드의 대략 동일 위치에 프리피트가 배치된 경우에는, 귀환 광에 2개의 프리피트 성분이 혼입하여 버린다. 그래서, 이러한 경우에는 홀수 프레임에 시프트하여 배치된다.
또한, 워블주파수는 SYNC 프레임 주파수의 8배가 되고, 프리피트는 하나의 SYNC 프레임중의 최초의 3개의 워블의 정점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그 중의 최초의 프리피트가 동기위치를 나타내는 SYNC 프리피트가 된다. 광 디스크장치는, 재생신호로부터 이 SYNC 프리피트를 검출함으로써 동기위치를 검출할 수 있고, 이 동기위치에 동기정보(SYNC 데이터)의 14T를 할당하여 데이터를 기록한다. 또한, 이 3비트의 프리피트가 1섹터 중에 13개(26 프레임중의 13개의 짝수 프레임) 존재하기 때문에, 1섹터 중에 3×13의 프리피트 정보가 포함된다. SYNC 프레임의 0, 2, 4, 6, 8에는 서로 대향 어드레스가 형성되고, SYNC 프레임의 10, 12, 14, 16, 18, 20, 22, 24에는 사용자 데이터가 형성된다. 3개의 정점 중의 최초의 프리피트가 동기위치를 나타낸 SYNC 프리피트가 되고, 광 디스크장치는 SYNC 프리피트를 검출함으로써 동기위치를 검출할 수 있고, 데이터 기록시에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이 동기위치에 14T의 동기정보를 할당하여 데이터를 기록한다.
본 실시예들에서는, 프리피트가 하나의 SYNC 프레임 중의 최초의 3개의 워블의 정점에 위치하는 것, 즉 워블신호에 동기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이용하여, 이 타이밍으로 처리윈도우를 설정하고 노이즈를 배제하여 프리피트 정보를 검출하고 있다.
도 4에는, 광 픽업(14)으로부터 광 디스크(10)에 조사되는 레이저광과 그루브 및 랜드의 위치관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광 픽업(14)으로부터의 메인 레이저광(300)은 그루브에 조사되어, 데이터의 기록 및 재생이 행하여진다. 한편, 이 메인 레이저광(300)을 분광하여 얻어지는 서브 레이저광(400)은 이 그루브의 프리피트(LPP)가 형성된 인접 랜드의 대략 중앙에 조사된다. 즉, 메인 레이저광(300)과 서브 레이저광(400)은, 트랙의 반주기분만큼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때, 도면에서는 그루브의 외주측에 위치하는 랜드에 프리피트(LPP)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외주측의 랜드에 서브 레이저광(400)을 조사하고 있지만, 메인 레이저광(300)을 3분할하여, 그루브에 인접한 2개의 랜드에 동시에 서브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면에서, 이러한 서브 레이저광(500)이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단, 내주측에 위치하는 랜드에 형성되는 프리피트(LPP)는, 더 그 내주측에 위치하는 그루브의 프리피트(LPP)로, 이 정보를 직접 이용하는 경우는 없다.
도 5에는, 광 픽업(14)에 설치되는 2개의 4분할 광 검출기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 5a는 메인용 4분할 광 검출기의 구성으로, 반경방향으로 2분할됨과 동시에, 원주방향으로 2분할되어 4분할 광 검출기를 구성한다. 각각의 광 검출기를 광 검출기 A∼D로 한다. 반경방향으로 2분할된 2개의 광 검출기는(A와 D) 및 (B와 C)이고, 원주방향으로 2분할된 2개의 광 검출기는(C와 D) 및 (A와 B)이다. 메인 레이저광(300)의 귀환 광은, 이 메인용 4분할 광 검출기에 입사한다.
한편, 도 5b에는 서브용 4분할 광 검출기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고, 메인용 4분할 광 검출기와 마찬가지로 반경방향 및 원주방향으로 각각 2분할되어 구성된다. 각각의 광 검출기를 광 검출기 E∼H로 한다. 반경방향으로 분할된 2개의 광 검출기는 (E와 H) 및 (F와 G)이고, 원주방향으로 분할된 2개의 광 검출기는 (G과 H) 및 (E와 F)이다. 서브 레이저광(400)의 귀환 광은, 이 서브용 4분할 광 검출기에 입사한다. 이때, 서브용 4분할 광 검출기에 있어서, (G와 H)가 광 디스크(10)의 회전방향에 대하여 상류측에 위치한다. 즉, 프리피트는 우선 (G과 H)에서 검출되고, 그 후 (E와 F)에서 검출된다.
도 6에는, 도 1에서의 프리피트 검출부(26)의 블록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프리피트 검출부(26)는, 가산기(26a, 26g, 26i), 자동이득제어기(AGC)(26b, 26h), 가감산기(26c), 필터(26d, 26k), 슬라이서(26e, 26m), 샘플 홀드(S/H)회로(26j) 및 게이트회로(26f)를 갖는다.
서브용 4분할 광 검출기를 구성하는 광 검출기 E 및 F에서의 신호는, 가산기(26a)에서 가산되어, AGC(26b)에 출력된다. 또한, 서브용 4분할 광 검출기를 구성하는 광 검출기 G 및 H에서의 신호는, 가산기(26g)에서 가산되어, AGC(26h)에 공급된다. AGC(26b, 26h)에서는, 2개의 신호의 이득을 조정하여 그 레벨을 일치시켜, 가감산기(26c)에 출력한다. 이때, 재생시에는 광 픽업(14)으로부터 재생파워의 레이저광이 조사되어, 서브 레이저광(400)도 항상 일정한 파워가 되기 때문에, 광 검출기 E∼H에서의 신호레벨은, 대략 동일하고, AGC(26b, 26h)에서 특별히 이득을 조정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재생시에는 AGC(26b, 26h)의 동작을 OFF로 할 수도 있다(후술하는 것처럼, 2개의 신호의 합을 연산하는 경우에는 특히 불필요하다). 구체적으로는, 기록/재생의 선택신호를 콘트롤러(20)로부터 AGC(26b, 26h)에 공급하여, 이 선택신호에 따라서 AGC(26b, 26h)의 동작을 ON, OFF하여도 된다. AGC(26b, 26h)는, 이득 조정된 신호를 가감산기(26c)에 출력한다.
가감산기(26c)는, AGC 26b에서의 (E+F)신호 및 AGC 26h에서의 (G+H)신호의 합 또는 차를 연산하여 필터(26d)에 출력한다. 재생시에는 합 또는 차의 모두 좋고, 기록시에는 차를 연산한다. 합 또는 차의 모두를 연산할지는, 상술한 선택신호에 따라서 바꿀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특히 재생시에 있어서 프리피트 정보를 검출하는 경우에 관해서 설명하고, 가감산기(26c)는 2개의 신호의 합을 연산하는 것으로 한다.
필터(26d)는, 가감산기(26c)에서의 합신호, 즉 (E+F)+(G+H)를 평활화하여, 슬라이서(26e)에 출력한다.
슬라이서(26e)는, 소정의 한계 레벨, 구체적으로는 기준 레벨보다도 소정량만큼 큰 레벨로 (E+F)+(G+H)신호의 상부레벨을 추출하여 게이트회로(26f)에 출력한다.
한편, 광 검출기 F 및 G로부터의 신호는 가산기(26i)에도 공급된다. 가산기(26i)는, 2개의 신호를 가산하여 (F+G)신호로 하여, 샘플 홀드(S/H)회로(26j)에 공급한다. 샘플 홀드회로(26j)는, 레이저광 파워가 재생파워인 타이밍에서 신호를 샘플 홀드하는 것이고, 재생시에는 항상 재생파워이기 때문에 그 기능은 특별히 필요하지 않다. 샘플 홀드회로(26j)의 ON, OFF는 선택신호에 의거하여 바꿀 수 있다. 샘플 홀드회로(26j)는, (F+G)신호를 필터(26k)에 출력한다.
필터(26k)는, (F+G)신호를 평활화하여 슬라이서(26m)에 공급한다.
슬라이서(26m)는, 소정의 한계 레벨, 구체적으로는 제로레벨로 (F+G)신호의 상부레벨과 하부레벨을 추출하여, 게이트회로(26f)에 공급한다. 광 검출기 F 및 G는, 그루브측에 위치하는 광 검출기로, 그루브의 워블신호가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이 (F+G)신호의 상부레벨과 하부레벨을 슬라이스함으로써, 워블신호의 정점과 골짜기를 검출할 수 있다.
게이트회로(26f)는, 슬라이서(26m)에서의 신호에 의거하여 처리 윈도우를 설정하고, 구체적으로는 워블신호의 정점에서 게이트를 ON하여 신호를 출력하고, 그 이외의 타이밍에서 게이트를 OFF로 하여서 신호를 차단한다. 이에 따라, 슬라이서(26e)로부터의 신호 중, 워블신호의 정점에 위치하는 신호만을 추출하여 프리피트 신호(LPP)로서 콘트롤러(20)에 출력한다.
도 7 및 도 8에는, 이상 서술한 처리의 타이밍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a는, 가산기(26g)로부터의 출력, 즉 (G+H)신호이다. 광 검출기 G 및 H로부터의 신호에는 그루브의 워블에 대응한 워블신호가 포함되고, 이 워블신호의 정점에 LPP가 존재한다. 이때, 실제로는 LPP이 존재하는 부위에서는, 레이저광이 회절되기 때문에 귀환 광량은 감소하지만,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이것을 반전한 신호로서 도시하고 있다.
도 7b는, 가산기(26a)로부터의 출력, 즉 (E+F)신호이다. 이 신호에도 워블신호가 포함되고, 워블의 정점에 LPP가 존재한다. 원주방향으로 2분할된 2개의 광 검출기 (E+F) 및 (G+H)은 프리피트에 대하여 전후의 위치관계에 있다. 따라서, 도 7a, 7b에 도시된 것처럼, 우선 (G+H)신호에서 LPP가 출현하고, 소정시간만큼 지연되어 (E+F)신호에 LPP가 출현한다. 따라서, 가감산기(26c)에서 이들 2개의 신호를 가산하면, 양 신호에 포함된 LPP가 가산되어, 도 7c에 도시된 것과 같은 신호를 얻는다. 이때, 실제의 신호에는 여러 가지의 노이즈가 포함되고, LPP의 레벨은 비교적 작기 때문에, 이것들의 노이즈와 레벨상 구별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한편, 도 8a는 도 7c에 도시된 (E+F)+(G+H)신호로, LPP 외에 노이즈가 포함된 것을 나타낸다.
도 8b는, 가산기(26i)로부터의 출력, 즉 (F+G)이다. 워블신호를 나타낸다. 이때, 이 신호에도 LPP는 포함되지만, 후에 슬라이서(26m)에서 슬라이스처리 되기 때문에, 이 도면에서는 생략한다.
도 8c는, 가산기(26i)로부터의 신호를 필터(26k)에서 평활화하고, 또한 슬라이서(26m)로 슬라이스처리하여 얻어진 신호가 2값 신호로서 도시되어 있다. 워블의 정점에서 ON이 되고, 골짜기에서 OFF가 되는 2값 신호이다. 게이트회로(26f)에서는, 이 2값 신호에 의거하여 슬라이서(26e)로부터 공급된 신호를 처리한다. 즉, 2값 신호가 ON인 경우에 게이트를 ON하고, 2값 신호가 OFF인 경우에 게이트를 OFF로 한다. 이에 따라, 워블신호의 정점 근방에서만 신호가 출력되게 되어, 도 8d에 도시된 것처럼, 워블신호의 정점에 위치하는 신호만이 원래의 LPP로서 추출되고, 워블신호의 정점에 위치하지 않는 신호는 노이즈로서 제거된다.
이와 같이, 본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재생시에 서브 레이저광(400)의 귀환 광에 의거하여 프리피트 정보를 추출할 수 있지만, 프리피트 정보는 서브 레이저광(400)의 위치에서 검출된 것으로, 종래와 같이 메인 레이저광(300)의 위치로 검출된 것이 아니다. 따라서, 콘트롤러(20)에 있어서 메인 레이저광(300)으로 검출된 프리피트 정보에 의거하여 동기위치나 어드레스를 검출하는 알고리즘을 사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검출된 프리피트 정보를 소정시간만 지연시키는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메인 레이저광(300)과 서브 레이저광(400)의 원주방향(광 디스크(10)의 회전방향)에서의 이격거리와 선속도로부터 지연시간을 산출하여, 콘트롤러(20)내에서 소프트웨어적으로 지연시키거나 또는 지연회로를 프리피트 검출부(26)의 후단에 설치하여 하드웨어적으로 지연시킨다. 이에 따라, 마치 메인 레이저광(300)으로 프리피트를 검출하는 것처럼 처리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상술한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재생시에 프리피트 정보를 검출하는 경우에 관해서 설명하였다. 본 제 2 실시형태에서는, 기록모드시, 즉 광 픽업(14)으로부터 기록파워의 레이저광이 조사될 때에 프리피트 정보를 검출하는 경우에 관해서 설명한다. 이때, 광 디스크(10)에 데이터를 기록할 때, 멀티펄스로 기록하는 것으로 한다. 즉, 3T의 신호에 대해서는 단일펄스로 데이터를 기록하고, 4T 이상의 데이터에 대해서는 복수의 펄스로 데이터를 기록하는 것으로 한다.
도 9에는, 본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타이밍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블록 구성도는 도 1에 도시된 블록 구성도와 동일이지만, 콘트롤러(20)로부터의 선택신호에 의거하여, AGC(26b, 26h) 및 샘플 홀드회로(26j)는 동작이 ON되고, 가감산기(26c)는 2개의 신호의 차를 연산하는 점에 주의하기 바란다.
도 9a는 기록펄스로, 멀티펄스가 도시되어 있다. 1군의 멀티펄스에서 하나의 데이터가 기록된다. 프론트 펄스의 펄스폭 및 후속펄스의 듀티(duty) 등은 소정의 규칙에 따라서 결정되어, 4T∼14T의 신호가 형성된다.
도 9b는 가산기(26g)의 출력, 즉 (G+H)신호이다. 이때, 설명의 편의상, 워블성분에 관해서는 생략한다. 실제의 신호는, 도 9b의 신호에 도 8a 또는 도 8b에 도시된 워블신호가 중첩한 것이다. 메인 레이저광(300)이 귀환 광일 경우, 기록펄스의 초기에서 피트가 아직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그 귀환 광량은 커서, 피트가 형성되면 그 회절에 의해 귀환 광량은 감소한다고 하는 복잡한 신호변화가 되어, 신호변화의 일부에 LPP가 포함되게 된다. 한편, 서브 레이저광(400)의 귀환 광에서는, 도시된 것처럼 피트에 의한 영향이 없고, 단순히 기록펄스에 의한 레이저파워의 변조만이 나타나서, 이 변조에 LPP가 포함되게 된다.
도 9c는 가산기(26a)로부터의 출력, 즉 (E+F)신호로, (G+H)신호에 대하여 소정시간 Δt만큼 지연시켜 LPP가 출현된다. (E+F)신호 및 (G+H)신호는, AGC(26b, 26h)에서 이득이 조정되어, 그 레벨이 대략 동일해진 후, 가감산기(26c)에서 차연산되어, (G+H)-(E+F)가 출력된다. 차연산을 함으로써, 레이저파워의 변조성분 및 워블성분이 제거된다.
도 9d는 가감산기(26c)로부터의 출력, 즉 (G+H)-(E+F)신호로, LPP만이 추출된다. 이후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고, 게이트회로(26f)에 의해 워블신호의 정점 타이밍에서 게이트를 ON시켜, 노이즈를 제거하여 원래의 LPP만을 추출하여 콘트롤러(20)에 출력한다. 단, 샘플 홀드(S/H)회로(26j)에서 재생파워시(공간구간)에 샘플링하여 레이저파워의 변조에 영향받지 않고서 워블신호의 정점위치를 검출한다. 또한, 슬라이서(26e)에서는, 상부 또는 하부의 어느 쪽을 추출하여도 되고, 상부 및 하부의 양쪽을 슬라이스 처리하여 LPP를 검출하고, 양쪽 모두 LPP가 검출된 경우는 출력하고, 한 쪽만 검출된 경우는 노이즈라고 판정하여 무시하여도 된다. 프리피트 검출부(26)에서 검출된 프리피트 정보를 지연시키기 위한 수단에 관해서는,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록시에 서브 레이저광(400)의 귀환 광에 의거하여 프리피트 정보를 추출하기 때문에, 메인 레이저광(300)으로부터 추출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간단한 구성이고, 또한 확실히 프리피트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실시형태와 제 2 실시형태를 병행함으로써, 재생시 및 기록시 중 어디에 있더라도, 프리피트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에 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록시에 샘플 홀드회로에서 재생파워시, 즉 공간기간에 샘플링하고 있지만, 기록파워시, 즉 마크기간에 샘플링하여도 된다.
또한, 본 제 1 실시예에서는, 서브 레이저광(400)의 귀환 광에 따라서 프리피트 정보를 검출하고 있지만, 종래와 같이 메인 레이저광(300)의 귀환 광도 사용하여 프리피트 정보를 검출하여, 오류율이 작은 쪽을 사용할 수도 있다.
[제 2 실시예]
이하, 도 10 내지 도 17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관해서, 광 디스크로서 DVD-R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먼저, 도 10은 본 제 2 실시예에 따른 광 디스크장치의 블록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광 디스크(DVD-R)(10)는, 상기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또한, 상기 제 1 실시예에서 설명되지 않은 광 픽업(14)의 기록시의 구체적인 동작은, 피트를 형성하는 마크기간에서는, 3T에 관해서는 단일의 기록파워의 펄스로 기록하고, 4T∼14T에 관해서는 복수의 기록파워의 펄스(멀티펄스 또는 펄스 트레인)로 기록한다. 공간기간에서는 재생파워(바이어스 파워)의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피트를 형성하지 않는다. 또한, 재생시에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광 검출기에서 전기신호로 변환된 귀환 광신호를 RF 신호처리부(22)에 공급하고, 또한 디코더(24)로 복조한 후, 재생데이터로서 콘트롤러(20)에 공급한다.
RF 신호처리부(22)는, 앰프나 이퀼라이저, 2값화부, PLL부 등을 갖고, RF 신호를 부스트한 후 2값화 하고, 동기클록을 생성하여 디코더(24)에 출력한다. 또한, 재생 RF 신호는 프리피트 검출부(36)에도 공급한다.
이 프리피트 검출부(36)는, 재생 RF 신호에 포함되는 그루브에 인접한 랜드(그루브의 외주측에 인접하는 랜드)에 형성된 프리피트의 신호성분을 검출하여, 콘트롤러(20)에 공급한다. 프리피트 검출부(36)의 구성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콘트롤러(20)는, 마이컴 등으로 구성되고, 기록데이터를 인코더(18)에 공급함과 동시에, 검출된 프리피트 정보를 인코더(18)에 공급한다. 인코더(18)는, 기록데이터를 변조함과 동시에, 이 프리피트 검출 정보에 의거하여 동기정보를 주기적으로 삽입하여 LD 구동부(16)에 데이터신호를 공급한다.
또, 이밖에도 포커스 오차신호나 트랙킹 오차신호를 생성하여, 포커스서보 및 트랙킹서보에 의해 포커스 및 트랙킹을 제어하는 서보계가 있지만, 이것에 관해서는 종래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에는, 광 픽업(14)내의 4분할 광 검출기의 배열이 레이저 스폿과의 관계로 도시되어 있다. 4분할 광 검출기는, 광 디스크(10)의 반경방향으로 2분할됨 과 동시에, 원주방향으로 2분할된다. 반경방향으로 2분할된 광 검출기는 (A와 D) 및 (B와 C)이고, 원주방향으로 분할된 광 검출기는 (A와 B) 및 (C와 D)이다. 랜드 프리피트(LPP)(100)가 형성되어 있는 랜드측에 위치하는 광 검출기는 (A와 D)이다.
도 12에는, 도 10에서의 프리피트 검출부(36)의 내부 블록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프리피트 검출부(36)는, 가산기(36a, 36b), 자동이득제어기(AGC)(36c, 36d), 리미터 앰프(36g, 36h), 차동 앰프(36e, 36i), 2값화기(36f, 36j) 및 논리합 연산기(36k)로 구성된다.
4분할 광 검출기의 A 및 D로부터의 신호는 가산기(36a)에 공급된다. 가산기(36a)는, 2개의 신호의 합을 연산하여 (A+D)신호를 AGC(36c)에 공급한다.
한편, 광 검출기 B 및 C로부터의 신호는 가산기(36b)에 공급된다. 가산기(36b)는, 2개의 신호의 합을 연산하여 (B+C)신호를 AGC(36d)에 공급한다.
AGC(36c 및 36d)는, 이들 (A+D)신호 및 (B+C)신호의 레벨이 대략 일치하도록 이득을 조정하여 차동 앰프(36e)에 출력한다. 즉, (A+D)신호를 비반전 입력단자(+)에 출력하고, (B+C)신호를 반전 입력단자(-)에 출력한다.
차동 앰프(36e)는, 제 2 연산기로서 기능하고, 2개의 신호의 차를 연산하여 (A+D)-(B+C)신호를 2값화기(36f)에 출력한다.
2값화기(36f)는, 제 2 추출수단으로서 기능하고, 차동 앰프(36e)로부터의 (A+D)-(B+C)신호를 소정의 한계치로 2값화 하고, 프리피트 정보를 추출하여 논리합 연산기(36k)에 출력한다. 이들 가산기(36a, 36b), AGC(36c, 36d), 차동 앰프(36e) 및 2값화기(36f)의 구성은, 반경방향으로 분할된 2개의 광 검출기로부터의 신호의 차를 연산하여 프리피트 정보를 검출하는 종래의 회로와 동일하고, 한계치를 적당히 조정함으로써(마크기간에서의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는 정도의 한계치), 마크기간에서의 프리피트 신호를 추출할 수 있지만, 공간기간에서의 프리피트 신호를 추출하는 것이 곤란하다. 그 이유는, 전술한 것처럼, 마크기간에서는 레이저광은 기록파워이고, 그 귀환 광량에 포함되는 노이즈 레벨도 크고, 공간기간에서의 프리피트 신호의 레벨과 동일 또는 그 이상이 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본 제 1 실시예에서의 프리피트 검출부(36)는, 상술한 종래의 회로구성에 아울러, 리미터 앰프(36g, 36h), 차동 앰프(36i) 및 2값화기(36j)를 설치하여, 이들에 의해 공간기간에서의 프리피트 정보를 검출한다. 그리고, 2값화기(36f)로부터의 마크기간에서의 프리피트 정보와 논리합 연산함으로써 마크 및 공간 양기간에서의 프리피트 정보를 검출한다.
즉, AGC(36c)로부터 이득이 조정된 (A+D)신호는, 차동 앰프(36e)에 공급됨과 동시에, 리미터 앰프(36h)에도 공급된다. 리미터 앰프(36h)는, 입력신호의 상한레벨을 제한하는 앰프로, 바꿔 말하면 입력신호의 상한치가 소정의 상한치를 넘는 경우에는, 그 상한치로 치환하여 출력하는 앰프이다. 리미터 앰프(36h)로부터의 상한레벨이 제한된 (A+D)신호는 차동 앰프(36i)에 공급된다.
한편, AGC(36d)로부터의 이득이 조정된 (B+C)신호는, 차동 앰프(36e)에 공급됨과 동시에, 리미터 앰프(36g)에도 공급된다. 리미터 앰프 36g도 리미터 앰프 36h와 마찬가지로 입력신호의 상한레벨을 제한하는 앰프로, 리미터 앰프 36g로부터의 상한레벨이 제한된 (B+C)신호는 차동 앰프(36i)에 공급된다.
이때, 리미터 앰프(36h 및 36g)에서의 상한치는, 예를 들면 공간기간에서의 귀환 광 레벨보다도 일정량 큰 레벨로, 기록파워에서의 귀환 광레벨보다도 작은 레벨로 한다. 즉, 기록파워의 귀환 광 레벨(피트가 형성된 후의 귀환 광레벨 B)> 상한치> 재생파워의 귀환 광 레벨이다. 2개의 리미터 앰프(36g, 36h)의 상한치는, 동일해도 된다.
차동 앰프(36i)는, 연산기로서 기능하고, 상한레벨이 제한된 2개의 신호의 차를 연산하여 (A+D)-(B+C)신호를 2값화기(36j)에 출력한다. 마크기간에서의 노이즈나 프리피트 신호는, 리미터 앰프(36g, 36h)에서 제거되지만, 공간기간에서의 프리피트 신호는 리미터 앰프(36g, 36h)에 의해 제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차연산에 의해 기록파워의 변조성분 및 노이즈가 제거되어 프리피트 신호만이 남고, 2값화기(36j)에서는 마크기간에서의 노이즈성분에 영향을 받지 않고 공간기간에서의 프리피트 신호를 확실히 추출할 수 있다.
논리합 연산기(36k)는, 2개의 신호의 논리합을 연산하여 콘트롤러(20)에 출력한다. 2값화기(36f)에서는, 마크기간에서의 프리피트 신호가 출력되고, 2값화기(36j)에서는 공간기간에서의 프리피트 신호가 출력되기 때문에, 양자의 논리합을 연산함으로써 마크기간 및 공간기간의 프리피트 신호가 함께 검출되게 된다.
이상의 처리를 타이밍도를 사용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3에는, 광 검출기 A∼D의 신호가 표시되어 있다. 도 6a는 광 검출기 A로부터의 신호, 도 6b는 광 검출기 B로부터의 신호, 도 6c는 광 검출기 C로부터의 신호, 도 6d는 광 검출기 D로부터의 신호이다. 마크기간에서는 레이저광의 파워가 기록파워로 증대하기 때문에, 그 귀환 광의 신호레벨도 증대한다. 이때, 기록펄스는 멀티펄스이기 때문에, 그 귀환 광신호도 멀티펄스형이 되지만,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실제의 귀환 광신호의 포락선을 보이고 있다. 기록파워 조사 직후에서는 아직 피트가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그 귀환 광의 신호레벨도 극대가 되고(레벨 A), 피트형성에 따라 해당 피트에 의한 회절로 귀환 광신호 레벨도 감소하여 결국 일정값(레벨 B)이 된다. 한편, 공간기간에서는 재생파워의 레이저광이 조사되기 때문에, 그 귀환 광의 신호레벨도 일정값이 된다. 마크기간에서 프리피트 신호 LPP가 존재하면, 이 LPP에 의한 신호가 귀환 광신호에 포함되게 되어, LPP에 의한 회절분만큼 그 신호레벨이 감소한다. 공간기간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도면에서, LPPw는, 마크기간에서의 LPP 성분을 나타내고, LPPr은 공간기간에서의 LPP를 나타낸다. LPP는 마크기간 또는 공간기간 중 어느 하나에 임의로 출현한다.
이때, 광 검출기 A, D는, 프리피트 LPP가 형성된 랜드측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LPPw 또는 LPPr은 레벨이 감소하는 신호로서 출현하지만, 광 검출기 B, C에서의 신호는 빛의 회절현상에 의해 레벨이 반대로 증대하는 신호(위상이 반전한 신호)로서 출현한다.
도 14a 및 도 14b에는, AGC(36c, 36d)에서 이득이 조정된 (A+D)신호 및 (B+C)신호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14c에는, 차동 앰프(36e)의 출력(A+D)-(B+C)신호가 도시되어 있다. 마크기간에서의 노이즈레벨과 공간기간에서의 프리피트 LPPr의 레벨은 같은 정도로, 마크기간에서의 프리피트 LPPw는 검출할 수 있지만, LPPr를 검출하는 것이 곤란한 것을 알 수 있다.
도 15a 및 도 15b에는, 리미터 앰프 36h에서의 신호 및 리미터 앰프 36g에서의 신호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서, 점선부분은 리미터 앰프 36h, 36g에 의해 그 상한레벨이 일정값으로 제한되었기 때문에 결핍된 것을 나타낸다. 마크기간에서의 노이즈는 제거되고, 공간기간에서의 LPPr는 그대로 남아 있다. 마크기간에서의 LPPw도 노이즈와 마찬가지로 제거되지만, LPPw는 2값화기(36f)에서 검출되기 때문에 문제없다.
도 16a 및 도 16b에는, 차동 앰프(36i)로부터의 신호 및 2값화기(36j)로부터의 신호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2개의 신호의 차를 연산함으로써, 마크기간에서의 기록파워변조에 따른 성분과 노이즈가 제거되어, 공간기간에서의 LPPr만이 존재한다. 이러한 신호를 도면에서는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소정의 한계치를 사용하여 2값화하면, 공간기간에서의 LPPr만을 확실히 추출할 수 있다.
도 17에는, 논리합 연산기(36k)로부터 콘트롤러(20)에 공급되는 신호가 도시되어 있다. 논리합 연산기(36k)에서는, 2값화기 36f로부터의 마크기간 LPPw와 2값화기 36j로부터의 공간기간 LPPr의 논리합이 출력되므로,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LPPw, LPPr가 혼재한 신호가 출력된다. 따라서, LPP가 마크기간 또는 공간기간 중 어디에 존재하더라도 LPP를 확실히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제 2 실시예에서는, 종래와 같이 마크기간과 공간기간에서 각각 귀환 광신호를 샘플 홀딩 등을 하여 LPP를 검출하는 것이 아니라, 간단히 신호의 상한레벨을 제한함으로써 공간기간에서의 LPP를 검출할 수 있기 때문에, 구성을 간단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제 2 실시예에서는 DVD-R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프리피트가 형성된 임의의 광 디스크(DVD-RW 등)에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제 2 실시예에서, 차동 앰프(36i)의 후단에 로우패스필터를 설치하여 노이즈를 제거하고, 그 후 2값화기(36j)에서 2값화할 수도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LPP는 워블의 정점에 위치하는, 즉 워블신호에 동기하여 존재하기 때문에, 회전수를 제어하기 위해서 검출하는 워블신호를 사용하여 게이트를 설정하고, 2값화기 36j에서 워블의 정점근방에서만 LPPr를 추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2값화기 36f에서도 워블신호를 사용하여 게이트를 설정하여, LPPw를 추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먼저, 상기 제 1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으로 확실히 프리피트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은, 공간기간에서의 프리피트 정보를 확실히 추출할 수 있고, 마크기간에서의 프리피트 정보와 더불어, 마크 및 공간 양기간에서 프리피트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도 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광 디스크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광 디스크의 그루브와 랜드 및 프리피트의 관계를 나타낸 설명도,
도 3은 워블신호와 프리피트의 관계를 나타낸 설명도,
도 4는 본 제 1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광의 조사 설명도,
도 5는 메인용 4분할 광 검출기 및 서브용 4분할 광 검출기의 구성 설명도,
도 6은 도 1에서의 프리피트 검출부의 블록 구성도,
도 7은 제 1 실시형태의 타이밍도,
도 8은 제 1 실시형태의 다른 타이밍도,
도 9는 제 2 실시형태의 타이밍도,
도 10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광 디스크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11은 4분할 광 검출기의 배치 설명도,
도 12는 도 10에서의 프리피트 검출부의 블록 구성도,
도 13은 제 2 실시예에서의 제 1 타이밍도,
도 14는 제 2 실시예에서의 제 2 타이밍도,
도 15는 제 2 실시예에서의 제 3 타이밍도,
도 16은 제 2 실시예에서의 제 4 타이밍도,
도 17은 제 2 실시예에서의 논리합 연산기로부터의 출력신호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광 디스크 12 : 스핀들 모터
14 : 광 픽업 16 : LD 구동부
18 : 인코더 20 : 콘트롤러
22 : RF 신호처리부 24 : 디코더
26, 36 : 프리피트 검출부

Claims (9)

  1. 광 디스크에 미리 형성된 프리피트 정보를 검출하면서 기록 또는 재생을 하는 광 디스크장치에 있어서,
    정보기록트랙에 메인 레이저광을 조사함과 동시에, 상기 정보기록트랙에 관한 프리피트가 형성된 트랙에 서브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조사수단; 및
    상기 서브 레이저광의 귀환 광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프리피트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수단으로서, 상기 광 디스크의 반경방향 및 원주방향으로 각각 2분할되어 상기 서브 레이저광으로부터의 귀환 광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4분할 광 검출기와, 상기 4분할 광 검출기의 원주방향으로 분할된 2개의 광 검출기로부터의 신호의 합 또는 차를 연산하는 가감산기와, 상기 가감산기로부터의 신호를 슬라이스 처리함으로써 프리피트 정보를 추출하는 추출수단을 포함하는 검출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수단은,
    상기 4분할 광 검출기의 반경방향으로 분할된 2개의 광 검출기 중 상기 정보기록트랙측의 광 검출기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정보기록트랙의 워블신호를 검출하는 수단과,
    상기 워블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가감산기로부터의 신호에 처리 윈도우를 설정하는 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워블신호에 동기한 프리피트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장치.
  4. 광 디스크에 미리 형성된 프리피트 정보를 검출하면서 기록 또는 재생을 하는 광 디스크장치에 있어서,
    정보기록트랙에 메인 레이저광을 조사함과 동시에, 상기 정보기록트랙에 관한 프리피트가 형성된 트랙에 서브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조사수단; 및
    상기 서브 레이저광의 귀환 광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프리피트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수단으로서, 상기 광 디스크의 반경방향 및 원주방향으로 각각 2분할되어 상기 서브 레이저광으로부터의 귀환 광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4분할 광 검출기와, 상기 4분할 광 검출기의 원주방향으로 분할된 2개의 광 검출기로부터의 신호의 레벨을 조정하는 이득조정기와, 이득 조정된 2개의 신호의 차를 연산하는 감산기와, 상기 감산기로부터의 신호를 슬라이스 처리함으로써 프리피트 정보를 추출하는 추출수단을 포함하는 검출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수단은,
    상기 4분할 광 검출기의 반경방향으로 분할된 2개의 광 검출기 중 상기 정보기록트랙측의 광 검출기로부터의 신호를 재생파워의 타이밍으로 샘플링함으로써 상기 정보기록트랙의 워블신호를 검출하는 수단과,
    상기 워블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감산기로부터의 신호에 처리 윈도우를 설정하는 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워블신호에 동기한 프리피트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장치.
  6. 제 1 항, 제 3 항, 제 4 항 및 제 5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레이저광과 서브 레이저광의 서로 대향적 위치 관계에 의거하여 검출된 상기 프리피트 정보를 지연처리하는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장치.
  7. 광 디스크에 미리 형성된 프리피트 정보를 검출하면서 기록을 하는 광 디스크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 디스크에 기록파워의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데이터를 기록할 때의 귀환 광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적어도 상기 광 디스크의 반경방향으로 2분할된 광 검출기와,
    상기 2분할된 광 검출기로부터의 2개의 신호의 이득을 각각 조정하는 이득조정기와,
    이득 조정된 2개의 신호의 상한레벨을 제한하는 리미터와,
    상기 리미터로부터의 2개의 신호의 차를 연산하는 연산기와,
    상기 연산기로부터의 차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프리피트 정보를 추출하는 추출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리미터의 제한레벨은, 기록파워의 귀환 광레벨보다 작고 재생파워의 귀환 광레벨보다도 큰 레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장치.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이득 조정된 2개의 신호의 차를 연산하는 제 2 연산기와,
    상기 제 2 연산기로부터의 차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프리피트 정보를 추출하는 제 2 추출수단과,
    상기 추출수단과 상기 제 2 추출수단의 논리합을 연산하는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장치.
KR10-2002-0056493A 2001-09-21 2002-09-17 광 디스크장치 KR1004895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288304A JP3736404B2 (ja) 2001-09-21 2001-09-21 光ディスク装置
JPJP-P-2001-00288304 2001-09-21
JP2001292578A JP3760825B2 (ja) 2001-09-25 2001-09-25 光ディスク装置
JPJP-P-2001-00292578 2001-09-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5824A KR20030025824A (ko) 2003-03-29
KR100489546B1 true KR100489546B1 (ko) 2005-05-16

Family

ID=26622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6493A KR100489546B1 (ko) 2001-09-21 2002-09-17 광 디스크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054246B2 (ko)
KR (1) KR100489546B1 (ko)
CN (1) CN1267901C (ko)
TW (1) TWI23899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5804B1 (ko) * 2001-12-13 2006-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워블 위상 동기 루프에서의 워블신호 검출장치 및 방법
JP4598355B2 (ja) * 2002-10-10 2010-12-15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プリピット検出方法
JP2004134002A (ja) * 2002-10-10 2004-04-30 Sony Corp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プリピット検出方法
JP3803641B2 (ja) * 2003-01-22 2006-08-0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デジタルagc回路
JP4357890B2 (ja) * 2003-08-08 2009-11-04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ランドプリピット検出装置および方法
KR20050019622A (ko) 2003-08-20 2005-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랜드 프리 피트 데이터 검출 장치 및 방법
JP2005116079A (ja) * 2003-10-08 2005-04-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ランドプリピットアドレス復調装置
TWI338294B (en) * 2004-02-19 2011-03-01 Mediatek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high speed optical storage device
JP2005267808A (ja) * 2004-03-19 2005-09-29 Nec Corp 光学式データ再生装置、記録装置、該再生装置又は記録装置に用いられる情報検出方法及び情報検出回路
KR100688557B1 (ko) * 2005-07-12 2007-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위상 조정으로 광디스크 드라이브에서 워블 신호를검출하는 장치 및 방법
US8270264B2 (en) * 2007-11-29 2012-09-18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Optical head apparatus, optical disk apparatus and optical disk
ES2841076T3 (es) 2015-07-23 2021-07-07 Enaay Tecnologias Sa De Cv Dispositivo de detección espacial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41260A (ja) * 1997-02-24 1998-09-11 Pioneer Electron Corp 情報記録装置
JP2000260025A (ja) * 1999-03-11 2000-09-22 Ricoh Co Ltd プリピット検出装置および光情報記録再生装置
JP2001236650A (ja) * 2000-02-23 2001-08-31 Yamaha Corp 光ディスク記録装置
KR20010092389A (ko) * 2000-03-21 2001-10-24 이데이 노부유끼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및 워블 정보 생성 방법
JP2002074672A (ja) * 2000-08-30 2002-03-15 Victor Co Of Japan Ltd 光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JP2003051120A (ja) * 2001-08-03 2003-02-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ディスク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66622A (ja) 1988-12-20 1990-06-27 Fujitsu General Ltd 光ディスクおよびその記録再生装置
JPH08235593A (ja) 1994-10-31 1996-09-13 Hitachi Maxell Ltd 光記録媒体並びにその記録・再生方法及び装置
JPH0917029A (ja) * 1995-06-26 1997-01-17 Pioneer Electron Corp 光ディスクとその読取装置および光ディスク製造方法
JPH09128758A (ja) 1995-11-01 1997-05-16 Sanyo Electric Co Ltd 光ディスク、光ディスク装置
JPH10283730A (ja) 1997-04-02 1998-10-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ディスク再生装置および方法
US6487149B1 (en) * 1998-10-09 2002-11-26 Ricoh Company, Ltd. Optical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s for optical disk
JP3754566B2 (ja) 1998-11-11 2006-03-15 株式会社リコー 光ディスクへの情報記録方法
JP3872235B2 (ja) * 1998-10-21 2007-01-24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プリピット検出装置
JP2000285455A (ja) 1999-03-31 2000-10-13 Ricoh Co Ltd ウォブル信号検出装置及び情報記録装置
JP3968193B2 (ja) * 1999-04-26 2007-08-29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プリピット検出装置
JP2001093147A (ja) 1999-09-20 2001-04-06 Teac Corp 光ディスク装置のウォブル信号検出回路
JP2001297445A (ja) * 2000-04-10 2001-10-26 Toshiba Corp 光ディスクと光ディスク装置と光ディスクのトラックずれ判断方法
US6754157B2 (en) * 2000-08-07 2004-06-22 Victor Company Of Japan, Limited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and recording and/or reproducing method capable of detecting a land pre-pit on disc securely at a high precision
JP2002085455A (ja) 2000-09-20 2002-03-26 Araco Corp 移乗機
JP3440071B2 (ja) 2000-11-07 2003-08-25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書き込み可能型光ディスク、プリピット情報の記録方法及び光ディスクの読取装置
JP2002237053A (ja) * 2001-02-09 2002-08-23 Pioneer Electronic Corp 光ディスク読取合成信号生成装置
JP4355459B2 (ja) * 2001-07-24 2009-11-04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情報記録再生装置及びプリピット検出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41260A (ja) * 1997-02-24 1998-09-11 Pioneer Electron Corp 情報記録装置
JP2000260025A (ja) * 1999-03-11 2000-09-22 Ricoh Co Ltd プリピット検出装置および光情報記録再生装置
JP2001236650A (ja) * 2000-02-23 2001-08-31 Yamaha Corp 光ディスク記録装置
KR20010092389A (ko) * 2000-03-21 2001-10-24 이데이 노부유끼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및 워블 정보 생성 방법
JP2002074672A (ja) * 2000-08-30 2002-03-15 Victor Co Of Japan Ltd 光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JP2003051120A (ja) * 2001-08-03 2003-02-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ディス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409300A (zh) 2003-04-09
CN1267901C (zh) 2006-08-02
US20030058764A1 (en) 2003-03-27
KR20030025824A (ko) 2003-03-29
TWI238997B (en) 2005-09-01
US7054246B2 (en) 2006-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94210B2 (en) Disc drive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wobble information
KR100489546B1 (ko) 광 디스크장치
JP2001134943A (ja) 光ディスク記録装置のプッシュプル信号処理回路およびウォブル抽出回路ならびにプリピット検出回路
JP2000285455A (ja) ウォブル信号検出装置及び情報記録装置
KR100489545B1 (ko) 광 디스크장치
JP3736404B2 (ja) 光ディスク装置
JP3972256B2 (ja) 光ディスク駆動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2237052A (ja) 光記録媒体のプリピット検出装置
US7561503B2 (en) Clock signal generating device and an optical disc apparatus incorporating the device
JP2002170243A (ja) 光ディスク装置
US7529173B2 (en) Optical disc device, circuit for optical disc device, wobble signal reproduction method, and land pre-pit signal reproduction method
KR100570926B1 (ko) 기록 정보 평가 방법과 장치 및 그 정보 기록 매체
JP2007042201A (ja) 光ディスク装置及び光ディスクのウォブル再生方法
JP3760825B2 (ja) 光ディスク装置
JP3481133B2 (ja) 光ディスク用データ読み出し装置
JP2766178B2 (ja) 光ディスク装置のミラー信号検出方法及びその回路
JP4268578B2 (ja) 光ディスク装置
JP2002074675A (ja) プリピット信号検出装置及び検出方法
JP2002032962A (ja) クロック信号発生装置
JPH07311962A (ja) 円盤状記録媒体用の記録再生装置
JP2002352437A (ja) ウォブル信号再生装置及び光ディスク装置
US7317667B2 (en) Wobble signal extraction circuit and optical disk device
KR20010084663A (ko) 광 기록매체의 제어 장치
JP2005353195A (ja) ウォブル信号検出回路及び光ディスク装置
JP2006048841A (ja) ウォブル信号検出回路、光ディスク装置及びウォブル信号検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