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0583B1 - 전기 세탁기 - Google Patents

전기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0583B1
KR100470583B1 KR10-2002-0018378A KR20020018378A KR100470583B1 KR 100470583 B1 KR100470583 B1 KR 100470583B1 KR 20020018378 A KR20020018378 A KR 20020018378A KR 100470583 B1 KR100470583 B1 KR 1004705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water
detergent
electrolytic cell
cour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8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9460A (ko
Inventor
마에신지
오꾸노아끼라
구로다고오이찌
마쯔모또마사까즈
아라끼야스시
사라다기요시
반바요시까즈
요시다겐지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79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94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0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05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35/003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electrochemical cel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세제를 사용하지 않고 세탁물을 빠는 세탁 코스를 실현하여, 세제의 사용량을 대폭 줄이는 것이다.
사용자에 의해 표준 코스가 선택된 경우에는, 세제액(수돗물에 세제를 혼입한 액)이 저장된 외조(2) 내에서 수류를 발생시켜 세탁물을 빠는 세탁 운전이 행해진다. 한편, 사용자에 의해 세제 제로 코스가 선택된 경우에는 전해 장치(31)에 의한 전기 분해로 생성된 전해액이 저장된 외조(2) 내에서 수류를 발생시켜, 세제를 사용하는 일 없이 세탁물을 빠는 세탁 운전이 행해진다. 전해 장치(31)는 유닛화되어 외조(2)의 외측면(66)의 하부에 부착하는 물처리 유닛(60)이 되고, 박형 상자형의 전해조(32)와, 양쪽으로 보유 지지된 한 쌍의 전극(33)과, 한 쌍의 통수로(34, 35)를 갖는다. 한 쌍의 통수로(34, 35)는 상하로 늘어서서, 패킹(81)을 통해 외조(2)와 전해조(32)를 연결한다. 조립 등의 작업성이 좋으며, 물을 효율적으로 전해하여 세정에 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 세탁기{Electric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세탁기에서는 통상 세제를 이용하여 세탁을 행하고 있다.
본 발명은 세제를 사용하지 않고 세탁물을 빨 수 있는 전기 세탁기를 제공한다.
본 출원의 제1 발명에 관한 전기 세탁기는 세탁물을 수용하는 세탁조와, 세탁조 내에 수류를 발생시키는 수류 발생 수단과, 세정조 내에 공급하는 수돗물 혹은 공급된 수돗물에, 특정한 처리를 행함으로써 세제를 혼입하는 일 없이 세정 성능을 갖게 하는 물처리 수단과, 수돗물에 세제가 혼입하여 이루어지는 세제액이 저장된 상기 세탁조 내에서 수류를 발생시켜 세탁물을 빠는 제1 세탁 코스의 시퀀스와, 상기 물처리 수단의 처리에 의해 수돗물에 세정 성능을 갖게 하여 이루어지는 세정액이 저장된 상기 세탁조 내에서 수류를 발생시켜, 세제를 사용하는 일 없이 세탁물을 빠는 제2 세탁 코스의 시퀀스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사용자가 상기 제1 세탁 코스 또는 상기 제2 세탁 코스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수단과, 이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세탁 코스의 시퀀스에 의거하여 상기 수류 발생 수단 및 상기 물처리 수단의 동작을 제어하고, 이 세탁 코스의 세탁 운전을 실행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물처리 수단은 수돗물을 전기 분해하기 위한 한 쌍의 전극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한 쌍의 전극에 통전하여 수돗물을 전기 분해하여, 상기 세정액을 만들어 내는 것이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또한 세탁물의 양을 검지하는 부하량 검지 수단과, 이 부하량 검지 수단에서의 검지된 부하량에 따른 세제량을 알리는 알림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1 세탁 코스의 세탁 운전에서는 부하량 검지 수단을 동작시켜 부하량을 검지하고, 검지한 부하량에 따른 세제량을 상기 알림 수단에 알리는 동시에, 상기 제2 세탁 코스의 세탁 운전에서는 상기 알림 수단에 세제량을 알리지 않는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세제를 투입하지 않은 것을 알리는 제2 알림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2 세탁 코스의 세탁 운전에 있어서 상기 제2 알림 수단을 동작시키는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혹은, 세탁물의 양을 검지하는 부하량 검지 수단과, 이 부하량 검지 수단에서의 검지된 부하량에 따른 세제량을 투입하는 투입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1 세탁 코스의 세탁 운전에서는 부하량 검지 수단을 동작시켜 부하량을 검지하고, 검지한 부하량에 따른 세제량을 상기 투입 수단에 투입시키는 동시에, 상기 제2 세탁 코스의 세탁 운전에서는 상기 투입 수단에 세제를 투입시키지 않는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사용자에 의해 제1 세탁 코스가 선택된 경우에는 세제액(수돗물에 세제를 혼입한 액)이 저장된 세탁조 내에서 수류를 발생시켜 세탁물을 빠는 세탁 운전이 행해진다. 구체적으로는, 세탁조 내에 수용된 세탁물의 부하량을 검지한다. 그리고, 검지된 부하량에 따른 세제량을 알리고(표시나 음성), 이에 의해 사용자에 의해 적절한 양의 세제가 투입된다. 혹은, 검지된 부하량에 따라서 세제를 자동 투입한다.
또, 세제가 투입되는 장소는, 예를 들어 세탁조나 세제 박스이다. 요는 세탁조 내에 저장된 물에 세제가 혼입하기 위한 장소이면 좋다.
그리고, 세제가 혼입한 물(세제액)이 세탁조 내에 저장되면, 수류를 발생시켜 세탁물을 빤다. 세탁물에 부착된 오염은 세제의 효과와 수류의 효과에 의해 떨어지게 된다.
사용자에 의해 제2 세탁 코스가 선택된 경우에는 물처리 수단의 처리에 의해 만들어진 세정액(예를 들어, 전해액)이 저장된 세탁조 내에서 수류를 발생시켜, 세제를 사용하는 일 없이 세탁물을 빠는 세탁 운전이 행해진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세탁조나 세탁조에 연통한 방 등, 세탁조 내의 수돗물을 전기 분해할 수 있는 장소에 한 쌍의 전극이 배치되어 있다. 우선, 세탁조 내에 물을 저장한다. 다음에, 한 쌍의 전극에 통전하여 세탁조 내의 수돗물을 전기 분해하여, 세정액으로 이루어지는 전해수를 생성한다. 이렇게 하여, 세탁조 내에 전해수가 저장된 상태에서 수류를 발생시켜 세탁물을 빤다. 이 때의 세탁 운전에 있어서는 부하에 따른 세제량 알림을 행하지 않고, 세제를 투입하지 않은 것을 알린다. 혹은, 세제의 자동 투입을 행하지 않도록 한다.
수돗물에는 철, 칼슘, 마그네슘, 염소 등의 함유물이 미량 포함되어 있고, 전기 분해를 행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작용이 생긴다. 즉, 중성에서 알칼리성이 된다. 또한, 활성 산소가 발생한다. 또는, 차아염소산 및 차아염소산 이온이 발생한다. 세탁물에 부착된 오염은 알칼리수의 효과, 활성 산소의 효과 및 수류의 효과에 의해 떨어지게 된다. 또한, 차아염소산 및 차아염소산 이온의 효과에 의해 세탁물의 균 제거가 행해진다.
또, 수류에 의한 세탁은 물처리(전기 분해)를 하면서 행해도 좋고, 물처리를 끝낸 후에 행해도 좋다. 또한, 세탁조에 저장된 수돗물을 처리(전기 분해)하는 것은 아니며, 세탁조로 공급하는 전단계의 장소에 물처리 수단(한 쌍의 전극)을 설치하고, 처리를 행하여 세정액을 생성한 후에 이 세정액을 세탁조 내에 공급하도록 해도 좋다.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세제를 사용하지 않고 세탁물을 빠는 세탁 코스를 실현하고 있으므로, 세제의 사용량을 대폭 줄일 수 있다.
또, 세제를 사용하는 제1 세탁 코스에서는 부하량에 따른 세제량 알림을 행하고, 세제를 사용하지 않는 제2 세탁 코스에서는 세제량 알림을 행하지 않도록 하고 있으므로, 제1 세탁 코스에 있어서는 적절한 양의 세제를 투입할 수 있어, 세제의 과부족을 없앨 수 있는 동시에, 세제를 사용하지 않는 제2 세탁 코스에서는 세제를 사용하지 않는 것을 명시할 수 있어, 사용자가 실수로 세제를 투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세탁 코스에 있어서는 세제를 사용하지 않는 것을 알림으로써, 사용자가 세제를 투입하는 것을 한층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세제를 사용하는 제1 세탁 코스에서는 부하량에 따른 세제량의 투입을 자동으로 행하고, 세제를 사용하지 않는 제2 세탁 코스에서는 세제의 자동 투입을 행하지 않도록 하고 있으므로, 제1 세탁 코스에 있어서는 적절한 양의 세제를 투입할 수 있어, 세제의 과부족을 없앨 수 있는 동시에, 세제를 사용하지 않는 제2 세탁 코스에서는 불필요하게 세제를 사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제2 발명에 관한 전기 세탁기는 세제를 이용하여 세탁물을 빠는 제1 세탁 코스와, 제1 세탁 코스와는 다른 세탁 방법에 의해 세제를 이용하지 않고 세탁물을 빠는 제2 세탁 코스를 선택적으로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세제를 사용하지 않고 세탁물을 빠는 세탁 코스를 실현하고 있으므로, 세제의 사용량을 대폭 줄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제3 발명에 관한 전기 세탁기는 세탁에 사용하는 물을 전기 분해함으로써, 세제를 혼입하는 일 없이 물에 세정 성능을 갖게 하는 물처리 유닛을 갖고, 상기 물처리 유닛이 세탁조의 외측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에 의해, 세제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고, 게다가 물처리 유닛을 세탁조의 외측으로부터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어 세탁조로의 물처리 유닛의 조립 작업, 물처리 유닛에 대한 보수 작업, 리사이클을 위한 분해 작업 등이 용이해진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의 물처리 유닛은 전해조와, 전해조 내에 배치된 적어도 한 쌍의 전극과, 전해조로부터 연장 돌출된 한 쌍의 통수로를 갖고, 한 쌍의 통수로는 세탁조에 연결되어 있어, 한 쪽의 통수로를 통해 세탁조의 물이 전해조로 유입하고, 다른 쪽 통수로를 통해서 전해조에서 처리된 물이 세탁조로 유출하는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물처리 유닛을 조립이나 보수시에 단일 부재로 취급할 수 있어, 작업이 보다 용이해진다.
또한, 한 쌍의 통수로에 의해 물을 전해조와 세탁조 사이에서 효율적으로 흐르게 할 수 있으므로, 처리된 물을 낭비 없이 세탁조 내에 공급하여 세탁에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고, 세탁조로부터의 물을 전해조 내로 유동시키면서 효율적으로 전해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의 전해조는 세탁조의 외면에 대한 깊이 치수가 작은 박형 상자형을 이루고, 전극은 그 박형 상자형에 대응한 평판형을 이루고, 각 평판형 전극은 양측이 보유 지지되어, 소정의 전극간 피치로 유지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세탁조의 외면으로부터의 물처리 유닛의 돌출을 적게 할 수 있어, 공간 절약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자형의 전해조 내에 전극을 양쪽으로 보유 지지하므로, 물처리 유닛을 취급할 때에 엄중한 주의를 기울이지 않게 된다. 따라서, 조립, 보수, 분해 등의 작업을 하기 쉽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의 전해조는 세탁조의 외측면에 부착되어, 한 쪽의 통수로(유입로)는 전해조의 하방으로부터 연장 돌출하고, 다른 쪽의 통수로(유출로)는 전해조의 상방으로부터 연장 돌출하고 있어, 각각 패킹을 통해 세탁조에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물처리 유닛을 세탁조에 부착할 때에 패킹을 이용함으로써, 치수오차를 흡수할 수 있어,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고, 게다가 통수로와 세탁조 사이의 밀봉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세탁조의 외측면에 설치한 박형 상자형의 전해조에 높이 위치가 다른 한 쌍의 통수로를 설치하였으므로, 물을 상하로 흐르게 하여 효율적으로 전해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의 전해조의 상부는 경사가 져 한 쪽 측방이 높아져 있으며, 그 높아진 위치로부터 유출로가 연장 돌출하고, 전해조의 하단부 위치로부터 유입로가 연장 돌출하고 있는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전해조 내의 물을 쉽게 유동시킬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의 전해조의 하부에는 공기가 공급되는 공기 공급구가 형성되어 있고, 공기 공급구로부터 전해조 내로 공급되는 공기는 상부의 통수로를 통해서 세탁조로 흐르고, 공기의 흐름에 의해 전해조 내에 저장된 물이 유동되는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전해조 내의 물을 쉽게 흐르게 할 수 있어, 효율적으로 전해할 수 있다. 게다가, 이를 위한 공기는 세탁조로 유도되어, 세정력의 향상에도 기여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공기는 전극에 접촉되지 않도록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기에 기인하는 전해 효율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의 전극의 코너부에는 라운딩이 부여되고, 전극의 간격 및 전극과 전해조와의 간격은 실부스러기가 부착되지 않는 거리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실부스러기가 전극에 부착되기 어려워지므로, 실부스러기에 기인하는 전해 효율의 저하가 방지된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세탁기의 일실시 형태인 전자동 세탁기에 대해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실시 형태의 전자동 세탁기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 단면도이다. 이 세탁기의 하우징(1)의 내부에는 바닥이 있는 원통 형상의 외조(2)가 전방 현수봉(3) 및 후방 현수봉(4)(도면에서는 각 1개씩이 보이고 있지만 실제로는 각 2개씩 존재함)에 의해 전방을 향해 경사지도록 현수 지지되어 있다. 이 외조(2)의 상부 전방으로의 돌출에 대응하여 하우징(1)의 전방면 상부도 돌출되어 있다. 또, 하우징(1)의 전방면은 크게 개구되어 있고, 이 개구부(16)는 착탈 가능하게 전방면 패널(17)에 의해 덮여져 있다. 이로 인해, 전방면 패널(17)의 상부가 외조(2)의 상부의 돌출에 대응하여 돌출하게 된다.
외조(2)의 내부에는 주위벽에 다수의 탈수 구멍을 갖는 세탁겸 탈수조(5)가 탈수조축(6)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저어널되어 있다. 외조(2) 및 세탁겸 탈수조(5)는 본 발명의 세탁조를 구성하고 있다. 세탁겸 탈수조(5)의 바닥부에는 외조(2) 내에 수류를 발생시켜 세탁물을 교반하기 위한 펄세이터(7)(본 발명의 수류 발생 수단에 상당)가 배치되어 있다. 외조(2)의 바닥부에는 펄세이터(7) 및 세탁겸 탈수조(5)를 구동하는 구동 기구(10)가 설치되어 있다. 이 구동 기구(10)는 탈수조축(6), 탈수조축(6)에 내장된 펄세이터(7)의 회전축인 블레이드축(9), 탈수조축(6) 및 블레이드축(9)과 동축으로 설치된 모터(8), 모터(8)의 동력을 블레이드축(9)에만 전달하는지, 블레이드축(9)과 탈수조축(6)의 양쪽에 전달하는지를 절환하는 클러치를 구비한다. 그리고, 이 구동 기구(10)에 의해 주로 세탁 운전이나 헹굼 운전시에는 펄세이터(7)만을 일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회전시키고, 탈수 운전시에는 세탁겸 탈수조(5)와 펄세이터(7)를 일체로 일방향(이를 정회전 방향이라 함)으로 회전시킨다. 또, 세탁겸 탈수조(5)는 모터(8)가 1회전하는 것에 따라 1회전한다. 한편, 블레이드축(9)의 도중에는 감속 기구(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펄세이터(7)는 감속 기구에 의한 감속비에 따라서 회전한다.
외조(2)의 상부 후방에는 내부에 수용한 세제 등을 투입하기 위한 세제 용기(11a)를 구비한 주수구(11)가 설치되어 있다. 주수구(11)에는 도중에 급수 밸브(13)가 설치된 급수관(12)이 접속되어 있고, 급수 밸브(13)가 개방되면, 외부의 급수전 등으로부터 급수관(12)을 통해서 주수구(11)에 수돗물이 유입하여, 하방의 외조(2) 내를 향해 주수구(11)로부터 수돗물이 토출된다. 외조(2) 바닥부의 전방 단부, 즉 최저부에는 배수관(14)의 일단부가 접속되어 있고, 이 배수관(14)은 배수 밸브(15)에 의해 개폐되도록 되어 있다. 배수관(14)의 타단부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기립 가능한 배수 호스를 통해 외부의 배수구에 연결되어 있다. 배수 밸브(15)의 개폐 동작은 상술한 클러치의 절환 동작과 관련되어 있어, 부설된 토크 모터(도1 중에서는 생략)가 동작하지 않을 때에는 배수 밸브(15)는 폐쇄한 상태에서, 펄세이터(7)는 세탁겸 탈수조(5)와 분리되어 단독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토크 모터를 작동시켜 와이어를 도중까지 견인하면, 배수 밸브(15)가 폐쇄된 상태에서 펄세이터(7)와 세탁겸 탈수조(5)가 연결되고, 와이어를 다시 견인하면, 펄세이터(7)와 세탁겸 탈수조(5)가 연결된 채로 배수 밸브(15)가 개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세탁기에서는 외조(2) 및 세탁겸 탈수조(5)를 전방으로 경사지게 함으로써, 그 상면 개구가 수직 상방보다도 전방을 향하고 있다. 즉, 외조(2)의 중심 축선(CL)은 수직선(VL)에 대해, 미리 정한 경사 각도(α)만큼 기울어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로 인해, 이 세탁기의 전방에 선 사용자가 세탁겸 탈수조(5)의 바닥부를 확인하기 쉽고, 또한 세탁물을 쉽게 취출할 수 있다. 여기서, 경사 각도(α)를 5 내지 20도 정도의 범위로 하면, 충분히 세탁물을 쉽게 취출할 수 있는 동시에, 하우징(1)의 돌출을 그다지 크게 하지 않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경사 각도(α)를 약 10도로 설정하고 있다.
그런데, 외조(2)의 외주벽 하부에는 전해 장치(31)(본 발명의 물처리 수단에 상당)가 구비되어 있다. 이 전해 장치(31)는 유닛화되어 있고, 외조(2)와는 별도의 부재로 만들어져, 나사 등에 의해 외조(2)에 부착되어 있다. 이 전해 장치(31)는 외조(2)의 전방측에 구비되어 있으며, 전방면 패널(17)을 제거하는 것만으로, 전해 장치(31)가 드러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전해 장치(31)의 수리 및 교환 등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 전해 장치(31)는 외조(2)와는 별실로서 설치된 전해조(32)와, 이 전해조(32) 내에 배치된 한 쌍의 전극(33)과, 전해조(32)의 상부(69)와 외조(2)를 연결하는 상부 통수로(34)와, 전해조(32)의 하부와 외조(2)를 연결하는 하부 통수로(35)를 갖고 있다.
한 쌍의 전극(33)은 제1 전극(33a)과 제2 전극(33b)으로 이루어지며, 제1 전극(33a) 및 제2 전극(33b)은 모두 사각형의 박형 판형을 띠고 있다. 전해조(32)는 외조(2)의 주위벽면에 대한 깊이 치수(D1 참조)가 작아지는 박형 상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전극(33a) 및 제2 전극(33b)은 각각의 전극 표면이 외조 주위벽에 대면하는 방향에서, 소정 간격을 두고 나란히 전해조(32) 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외조(2)로부터 외측으로의 전해 장치(31)의 돌출량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탈수에 있어서, 외조(2)가 진동했을 때에 전해 장치(31)가 하우징(1)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1)의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다.
그런데, 전해 장치(31)의 전해조(32)를 외조(2)에 일체로 형성하고, 전극(33)을 외조(2)의 내부에 부착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좁은 외조(2)의 내부에서는 전극(33)을 부착하기 어렵고, 또한 전극(33)을 보수나 리사이클시에 제거하기 어렵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의 전해 장치(31)는 외조(2)의 외측에 부착되어 있는 물처리 유닛(60)을 갖고 있다.
물처리 유닛(60)은 조립시에 일체적으로 취급할 수 있게 되어, 예를 들어 단독으로 상술한 전해 장치(31)를 구성하도록 전해조(32)와, 전해조(32) 내에 배치된 한 쌍의 전극(33)과, 전해조(32)로부터 연장 돌출한 한 쌍의 통수로(34, 35)를 갖는다. 전해조(32)와 한 쌍의 통수로(34, 35)는 합성 수지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물처리 유닛(60)은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조(2)의 전방측 하부에 정면에서 보아 우측에 부착되고, 하우징(1) 내의 구석부와 외조(2) 사이의 빈 공간을 이용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한, 물처리 유닛(60)에는 통전 회로(30)(도6 참조)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통전 회로(30)는 트랜스(61) 등을 갖고 있다. 트랜스(61)는 통상 대중량이지만, 정면에서 보아 우측이 되는 하우징(1)의 코너를 이루어 고강도의 전방면부(62)에 안정되게 고정된다. 또한, 트랜스(61)를 외조(2)의 바닥부(64)에 부착해도 좋으며, 이 경우 트랜스(61)의 대중량을 이용하여 외조(2)의 진동을 억제하는 데 바람직하다.
물처리 유닛(60) 및 트랜스(61)는 하우징(1)의 서비스용 개구부(16)의 근방에 있으며, 서비스용 개구부(16)를 통해, 조립 작업, 수리나 교환 등의 보수 작업, 리사이클을 위한 분해 작업 등이 용이해진다. 또한, 물처리 유닛(60) 및 트랜스(61)는 서로 근접하고 있으므로, 상호 전기적 접속도 용이하다. 또, 물처리 유닛(60) 및 트랜스(61)는 나사 체결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므로, 상술한 작업에 있어서 바람직하다.
또한, 물처리 유닛(60) 및 트랜스(61)는 모터 회전 제어용 전기 장착 부품, 예를 들어 모터(8)에 내장된 모터용 회전 센서(24)(도6 참조), 하우징(1)의 좌측 전방면부(63)에 부착된 인버터 구동부(23)(도6 참조)를 포함하는 제어용 회로 기판(65), 이들을 접속하는 배선 부품(도시하지 않음) 등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고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트랜스(61) 등으로부터 전해시에 생기는 노이즈가 모터(8)의 회전 제어에 미치는 악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전극(33)은,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박형 상자형의 전해조(32)의 최대면, 예를 들어 전방면부(71)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이 전방면부(71)에 대응한 크기의 평판형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전극(33)은 대면적으로 가능해, 소요의 표면적을 소수의 전극(33)으로 실현할 수 있다. 전극(33)은 금속제로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각 평판형 전극(33)은 이 판면에 따르는 방향의 양측이 되는 대향 단부로 보유 지지되어, 소정의 전극간 피치로 유지되어 있다. 한 쌍의 전극(33)에 서로 역극성이 되는 전압이 인가되어 물을 전해한다.
또, 전극(33)은 상호 역극성이 되는 한 쌍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3매의 전극(33)을 그 판면끼리를 대향시켜 나란히 배치해도 좋다. 또한, 5매의 전극(33)을 그 판면끼리를 대향시켜 나란히 배치해도 좋다. 이들의 경우에는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전극(33)이 상호 역극성이 되도록, 전극(33)의 극성을 교대로 교체시켜 배치하면 좋다. 요는, 적어도 한 쌍의 전극(33)이 있으면 좋고, 이하 한 쌍의 전극(33)이 설치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전극(33)은 그 상하 양단부를 전해조(32)에 의해 보유 지지된다. 전극(33)의 상단부가 전해조(32)의 내부에 형성된 오목부(77) 내에 보유 지지된다. 이 오목부(77)는 전해조(32)의 상면부(75)에 내부측을 향해 세워 설치된 한 쌍의 리브 사이에 구획되어 있다. 또한, 전극(33)의 하단부가 단자 커버(85)를 통해 전해조(32)의 하면부(76)에 보유 지지된다. 단자 커버(85)는 실부스러기가 저장되지 않도록, 전극(33)의 하단부를 덮으면서, 전해조(32)의 하면부(76)와 전극(33)의 하단부 사이를 밀봉한다. 또, 전극(33)은 좌우의 양측에서 보유 지지되어도 좋다.
전극간 피치(D2 참조),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극(33)끼리의 간격(D3 참조)은, 예를 들어 2밀리 이상 또한 5밀리 이하의 치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간격이 2밀리 미만인 경우에는 실부스러기가 전극(33)끼리의 사이에 들어가면 부착되기 쉬워져, 전해 효율이 쉽게 저하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며, 또 내구성도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간격이 5밀리를 넘으면, 전해 효율을 높게 유지하기 위해 높은 전압을 인가할 필요가 있어, 실용적으로 구성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간격은 2밀리 이상 또한 5밀리 이하이면, 높은 내구성과 높은 전해 효율을 실용적으로 실현할 수 있다.
전해조(32)는 외조(2)와 다른 재질로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한편, 전해조(32)를 외조(2)와 동일한 종류의 재질로 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리사이클시의 전해조(32)의 취급이 용이해진다. 예를 들어, 전해조(32)의 재료는 올레핀 수지,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PP)을 포함한다. 이 수지는 외조(2)에도 이용되어, 세제나 표백제 등의 약제를 포함하는 물에 대하여 내약품성을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전해조(32)의 재료는 유리 섬유 등의 보강재를 포함하는 것이 수온 상승시의 강도 저하를 억제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전해조(32)는, 도3 및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면부(76)와, 이 하면부(76)의 주위로부터 상승하는 전방면부(71), 후방면부(72), 우측면부(73) 및 좌측면부(74)와, 상면부(75)를 갖고 있다. 이들 각 면부(71 내지 76)에 의해 둘러싸이는 내부에 전극(33)이 배치되어, 물이 저장되도록 되어 있다. 전해조(32)는 전방면부(71) 및 후방면부(72)가 대향하는 방향에 따라서, 얇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전극(33)은 전방면부(71)에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전해조(32)는 상하로 분할 가능한 한 쌍의 분할 부재(78, 79)(도2 참조)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전해조(32)의 상부(69)는 경사져 있어, 한 쪽의 측방이 높아져 있으며, 전해조(32)의 상면부(75)가 정면에서 보아 우측 상방으로 경사져 있다. 그 높아진 위치에 대응하는 후방면부(72)로부터 상부 통수로(34)가 연장 돌출하고 있다. 전해조(32)의 하단부 위치가 되는 후방면부(72)로부터 하부 통수로(35)가 연장 돌출하고 있다.
한 쌍의 통수로(34, 35)는 상호 대략 평행하게, 상하 방향에 따라서 늘어서 있다. 통수로(34, 35)는 단면 원형인 관으로 이루어지며, 전해조(32)의 후방면부(72)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 한 쌍의 통수로(34, 35)는 전해조(32) 내와 외조(2) 내를 연통하여, 물을 통과시킬 수 있는 공간을 구획하는 부재이면 좋으며, 형상은 관에 한정되지 않고, 전해조(32)와 별개의 부재로 형성되는 것이나, 외조(2)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하부 통수로(35)를 통해 물은 외조(2) 내로부터 전해조(32)로 유입하고, 하부 통수로(35)는 유입로로서 기능한다. 또한, 상부 통수로(34)를 통해 전해조(32)에서 처리된 물이 외조(2)로 유출되도록 되어 있다. 상부 통수로(34)는 유출로로서 기능한다. 이러한 흐름은, 예를 들어 펄세이터(7)의 회전에 의한 외조(2) 내의 수류에 의해 발생시킬 수 있다.
또, 한 쌍의 통수로(34, 35)에서의 물의 흐름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상술한 흐름 방향과 반대로 되어 있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유입과 유출에 대응하는 한 쌍의 통수로(34, 35)가 있으면 좋고, 이들 중 적어도 한 쪽의 통수로를 복수의 통수로에 의해 구성하여, 예를 들어 3개 이상의 통수로를 설치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통수로를 일체로 형성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단일 통수로를 설치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일 통수로 내에, 유입과 유출을 위한 한 쌍의 수로를 구획하지 않고 설치하여, 통수로를 유입과 유출로 겸용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하부 통수로(35)를 유입로로 하고, 상부 통수로(34)를 유출로로 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또한, 한 쌍의 통수로(34, 35)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킹(81)을 통해 외조(2)에 연결되어 있다. 패킹(81)은 양 통수로(34, 35)에 대해서 마찬가지이며, 통수로(34)에 대해서 설명한다.
패킹(81)은 통형의 고무 등의 탄성 부재로 이루어진다. 통수로(34)의 외주면에 패킹(81)의 내주가 끼워져 있다. 패킹(81)의 외주가 외조(2)의 외측면(66)(주위벽면)에 있는 접속 구멍(67)에 외조(2)의 외측으로부터 끼워져 있다. 패킹(81)은 관형의 통수로(34)와 접속 구멍(67) 사이에서 긴 밀봉 거리를 확보한다. 패킹(81)은 그 통의 직경 방향으로 소정량 압축된 상태로 부착되고, 접속 구멍(67)의 내주와 통수로(34)의 외주와의 사이를 밀봉한다. 패킹(81)은 그 통의 직경 방향 및 축방향에 따라서 탄성 변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패킹(81)은 대응하는 접속 구멍(67) 및 통수로(34)의 각각의 치수 오차를 흡수할 수 있다. 또한, 패킹(81)은 한 쌍의 통수로(34, 35)끼리의 피치와, 한 쌍의 접속 구멍(67)끼리의 피치 사이의 치수 오차를 흡수할 수 있다. 패킹(81)은 외조(2)에 온수를 저장한 때에 생기는 열변형을 흡수하여, 파손이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또, 패킹(81)으로서 상술의 통형인 것 외에, O링이나 시트형인 것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전해조(32)에는 한 쌍의 통수로(34, 35)의 근방에 외조(2)에 나사 체결하기 위한 복수, 예를 들어 4개의 부착부(80)가 형성되어 있다. 부착부(80)의 삽입 통과 구멍을 통과하는 나사(86)가 외조(2)의 외측면(66)에 세워 설치된 보스(68)에 외측으로부터 나사 삽입되어 있다.
전극(33)의 단자(84)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해조(32)의 하면부(76)를 통해서 외부로 도출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가령 결로나 세탁조로부터 물이 넘침에 의해, 물방울이 전해조(32)의 외벽에 부착된다고 해도, 이러한 물방울이 한 쌍의 전극(33)의 단자(84)끼리를 단락하는 것이 생기기 어렵게 된다. 이에 의해, 단자(84) 사이의 절연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전극(33)의 단자(84)끼리의 사이를 구획하는 칸막이 판(87)이 설치되어 있다. 칸막이 판(87)은 상술한 물방울의 이동을 저지하여 절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칸막이 판(87)은 전해조(32)에 일체로 형성된 부착부(80)와 겸용되어 부품 갯수를 삭감할 수 있다.
물처리 유닛(60)의 조립은 이하와 같이 이루어진다. 전해조(32)의 분할 부재(78, 79)를 분리시킨 상태에서, 한 쪽의 분할 부재(78)에 전극(33)을 조립한다. 한 쌍의 분할 부재(78, 79)를 맞춰 그 이음매를 밀봉하여, 물처리 유닛(60)의 조립이 완료된다. 상자형의 전해조(32)를 갖는 물처리 유닛(60)에서는 외조(2)로의 부착 전에 그 단일 부재로, 예를 들어 밀봉 성능이나 전해 성능을 시험할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통수로(34, 35)를 패킹(81)을 거쳐서 외조(2)의 접속 구멍(67)에 외측으로부터 끼워 넣는다. 전해조(32)의 부착부(80)를 외조(2)의 보스(68)에 나사 체결 고정한다. 전극(33)의 단자(84)와 통전 회로(30)를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또한, 반대의 조작에 의해, 물처리 유닛(60)을 외조(2)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보수 작업이나 리사이클을 위한 분해 작업이 용이하다.
이와 같이 물처리 유닛(60)은 외조(2)의 외측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물처리 유닛(60)의 외조(2)로의 부착 작업, 물처리 유닛(60)에 대한 보수 작업, 리사이클을 위한 분해 작업 등을 외조(2)의 외측으로부터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외조(2)와 세탁겸 탈수조(5) 사이에 전극(33)을 배치하는 경우에는, 외조(2) 내의스페이스나 그곳에 저장하는 물이 더 필요하게 되지만, 이에 대해 물처리 유닛(60)을 외조(2)의 외측에 부착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스페이스나 물이 더 필요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은 작업하기 쉬운 물처리 유닛(60)으로서는 외조(2)와 별도의 부재로 형성되어 일체적으로 취급할 수 있는 것이면 좋다. 예를 들어, 물처리 유닛(60)은 한 쌍의 전극(33)과, 외조(2)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부(80)를 포함하고, 단일 부재 또는 외조(2)와 협동하여 세탁에 사용하는 물을 전기 분해함으로써, 세제를 혼입하는 일 없이 물에 세정 성능을 갖게 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면 좋다.
또한, 물처리 유닛(60)을 외조(2)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함으로써, 제거의 작업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특히, 귀금속을 포함하는 전극(33)인 경우에는 리사이클하기 쉬워 바람직하다.
또, 물처리 유닛(60)이 전해조(32)와 한 쌍의 전극(33)을 포함함으로써, 물처리 유닛(60)을 조립이나 보수시에 단일 부재로 취급할 수 있어, 작업이 보다 한층 용이해진다.
또한, 상자형의 전해조(32) 내에 전극(33)을 양쪽으로 보유 지지함으로써, 물처리 유닛(60)을 취급할 때에 엄중한 주의를 기울이지 않게 된다. 따라서, 조립, 보수, 분해 등의 작업을 보다 한층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세탁겸 탈수조(5)가 외조(2) 내에 수용되어 있어 탈수시에 진동하는 경우라도, 전극(33)은 양쪽으로 견고하게 보유 지지된다. 이에 의해, 전극(33)이 전해조(32) 내에서 탈락하는 것을 어렵게 할 수 있다.
물처리 유닛(60)과 외조(2) 사이에 개재하는 패킹(81)을 설치함으로써, 물처리 유닛(60)을 외조(2)에 부착할 때에, 패킹(81)의 탄성 변형에 의해 외조(2)와 이에 대응하는 물처리 유닛(60)의 부분과의 사이의 치수 오차를 흡수할 수 있어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고, 게다가 물처리 유닛(60)과 외조(2) 사이의 밀봉도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밀봉을 위한 접착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조립 시간을 경감할 수 있고, 또한 제거나 분해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통수로(34, 35)를 설치함으로써, 전해조(32)와 외조(2) 사이의 물의 유입과 유출을 분담할 수 있고, 물을 전해조(32)와 외조(2) 사이에서 효율적으로 흐르게 할 수 있으므로, 처리된 물을 낭비 없이 외조(2) 내에 공급하여 세탁에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어, 세정력 및 항균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외조(2)로부터의 물을 전해조(32) 내로 유동시켜, 효율적으로 전해할 수 있다.
한 쌍의 통수로(34, 35)를 서로 이격시킴으로써, 예를 들어 처리된 물이 전해조(32)로부터 나온 후에 바로 전해조(32)로 복귀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외조(2)의 외측면(66)에 설치한 박형 상자형의 전해조(32)에 높이 위치가 다른 한 쌍의 통수로(34, 35)를 설치함으로써, 물의 고임이나 공기 정체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물을 상하로 흐르게 하여 효율적으로 전해할 수 있다(도3의 화살표 참조).
또한, 전해조(32) 내에서 물이 상부를 향해 흐르는 경우에는 경사형으로 높아진 전해조(32)의 상부(69)에 상부 통수로(34)를 설치함으로써, 전해조(32) 내를 상방을 향해 흐르는 물을 경사에 따르게 하여 상부 통수로(34)로 안내할 수 있고, 신속하게 유출시켜 물을 쉽게 유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전해조(32) 하단부의 하부 통수로(35)는 전해조(32) 내의 물의 고임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전해조(32) 내의 물을 쉽게 유동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전극(33)은 물이 흐르는 장소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효율적으로 전해할 수 있다. 특히, 전극(33)은 물이 외조(2) 내에 대해 순환할 수 있는 장소에 설치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전해된 물의 이용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외조(2) 내의 물을 입구로부터 흡입 출구로 나옴으로써 강제적으로 순환시키는 순환 기구를 설치하여, 이 순환 기구에 전극(33)을 배치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순환 기구는 외조(2)의 하부와 상부를 연결하는 통수 가능한 관으로 이루어지는 수로와, 이 수로에 물을 흐르게 하는 전동 펌프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순환 기구의 구성은 본 출원 출원인의 다른 출원인 일본 특허 출원 2000-196894호 등에 개시된 것이다. 또, 이 밖의 물을 순환시키는 공지의 구성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전해조(32)가 외조(2)의 외면에 대한 깊이 치수가 작은 박형 상자형이 됨으로써, 외조(2)의 외면으로부터의 물처리 유닛(60)의 돌출을 적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조(2)의 외면으로서의 외측면(66)에 따르는 박형의 전해조(32)의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탈수시의 물처리 유닛(60)과 하우징(1)과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하우징(1)의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어, 공간 절약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외조(2)의 외면으로서의 바닥부(64)에 따르는 박형의 전해조(32)인 경우에는 사용 후에 전해조(32)로부터 배수하기 위한 배관 등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어, 공간 절약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전해조(32)를 외조(2)의 하부, 예를 들어 바닥부(64) 및 외측면(66)의 하부에 설치함으로써, 외조(2) 내에 낮은 수위로 저장된 물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조(2)로의 급수의 도중으로부터 전해 처리하여, 전해를 위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저수위로 물을 전해하여 이용하는 코스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전해조(32)를 외조(2)의 외측면(66)에 설치하고, 또한 통수로(35)를 전해조(32)의 하단부에 설치함으로써, 외조(2)로부터의 배수시에, 전해조(32) 내부의 물을 통수로(35)를 통해서 외조(2)로 유출시킬 수 있다.
또, 전해조(32)의 적어도 일부를 외조(2)와 일체로 형성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전해조(32)는 외조(2)의 외면에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또는 외조(2)의 내면에 오목부를 이루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외조(2)의 내형을 대개 유지할 수 있으므로, 외조(2) 내의 스페이스 효율이 저하하는 것이나, 필요 이상으로 물을 소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해조(32)의 내면과 외조(2)의 내면이 연속되는 경우에는 내면끼리를 경사지게 하여, 물이 외조(2) 내와 전해조(32) 내 사이에서 쉽게 흐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외조(2)로부터의 물에는 실부스러기가 섞여 있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실부스러기가 전극(33)에 부착되면, 전극(33)의 내구성을 저하시키거나 전해 효율을 저하시키는 것이 염려된다. 이로 인해, 이하와 같이 하여 실부스러기가 물처리 유닛(60)에 들어가더라도 문제가 없도록 하고 있다.
전극(33)의 코너부(82)에는 라운딩(83)(도4에 일부만 도시)이 부여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전극(33)에 엣지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실부스러기가 전극(33)의 코너부(82)에 걸리기 어렵고, 또한 이탈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가령 실부스러기가 걸린다고 해도, 수류에 의해 코너부(82)로부터 자율적으로 이탈할 수 있다.
라운딩(83)으로서는 전극(33)의 판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본 때에 보이는 라운딩 외에, 판면에 따른 방향으로부터 본 때에 보이는 라운딩도 포함한다. 라운딩은 적어도 일부의 코너부에 있으면 좋지만, 보다 많은 코너부, 특히 물 속에 있는 모든 코너부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극(33)끼리의 간격(D3)은 실부스러기가 부착되지 않는 거리로 되어 있다. 이 거리로서는, 예를 들어 2밀리 이상이 바람직하다. 2밀리 미만인 거리에서는 실부스러기가 쉽게 막히기 때문이다. 또한, 전극(33)과 전해조(32)와의 간격(D4)은 상술한 거리로서도 좋으며, 또는 0, 즉 전극(33)과 전해조(32) 사이에 간극을 개방하지 않도록 해도 좋다.
이에 의해, 실부스러기의 부착에 의한 물 유동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물의 전극(33)으로의 접촉이 실부스러기에 의해 방해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실부스러기에 기인하는 전해 효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어, 전해 효율을 높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실부스러기가 물처리 유닛(60) 내로 들어가는 것을 허용할 수 있으므로, 실부스러기용의 필터를 설치하지 않게 되어, 실부스러기에 대한 보수도 불필요하게 할 수 있다.
그런데, 세탁기에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정력을 높이기 위해, 외조(2)의 바닥부(64)로부터 기포를 발생시키는 기포 발생 장치(88)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있다. 이 기포 발생 장치(88)와 물처리 유닛(60)을 조합하는 경우에는, 보다 한층 효율적으로 전해할 수 있다.
기포 발생 장치(88)는 공기 펌프(89)와, 이 공기 펌프(89)의 공기 토출구에 접속되어 공기를 보내기 위한 공기 호스(90)와, 공기 호스(90)의 단부가 접속되어 외조(2) 내에 공기를 분출하기 위한 노즐(도시하지 않음)을 갖고 있다. 세탁시에 기포 발생 장치(88)를 동작시키면, 노즐로부터 공기가 분출되고, 세탁겸 탈수조(5)의 구멍을 통해 그 내부로 들어가 펄세이터(7) 하방으로 기포가 발생한다. 이 기포는 회전하는 펄세이터(7)에 의해 교반되어, 다수의 미세한 기포에 파괴된다. 이 미세한 기포가 세탁물에 접촉하여 파열할 때에, 초음파를 발생한다. 이 때에 초음파 영역의 충격파가 생겨, 이에 의해 세탁물에 부착되어 있는 오염 성분의 박리가 촉진되므로, 기포를 가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세정 능력을 높일 수 있다.
기포 발생 장치(88)는 세정력을 높이는 원래의 기능에다가, 전해조(32)의 하부(70)로부터 전해조(32) 내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 공급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공기 공급 수단은 물처리 유닛(60)의 전해조(32) 내에서의 물을 상방을 향해 흐르도록 촉진함으로써 수류를 발생시킨다. 상술한 공기 호스(90)는 도중에서 분기하고 있어, 한 쪽의 단부가 노즐에 이르고, 다른 쪽 단부가 전해조(32)에 연결되어 있다.
전해조(32)의 하부(70)에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 호스(90)로부터의 공기가 공급되는 단일의 공기 공급구(91)가 형성되어 있다. 공기 공급구(91)는 복수라도 좋다. 전해 처리시에 공기 펌프(89)는 동작된다. 공기 공급구(91)로부터 전해조(32) 내로 공급되는 공기는 기포(E)가 되며, 전해조(32) 내를 부상하여, 상부 통수로(34)를 통해 외조(2)로 흐른다(도4의 일점 쇄선의 화살표 참조). 이에 수반하여, 공기의 흐름에 의해 전해조(32) 내에 저장된 물이 유동되게 된다(도4의 파선 화살표 참조). 특히, 전해조(32)의 상부(69)가 경사져서 그 높이 위치에 통수로(34)가 있는 경우에는, 기포가 전해조(32)로부터 신속하게 유출되므로, 물도 보다 한층 더 쉽게 흐르게 된다. 기포가 전극(33) 사이에 저장되는 일도 없다. 그 결과, 전해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소정의 전해 능력을 얻기 위해 필요한 전압을 낮게 할 수 있고, 트랜스(61) 등의 전장 부품을 소형화하거나, 저비용인 것을 이용할 수 있으며, 또한 그 소비 전력량을 삭감할 수도 있다.
또한, 공기 공급구(91)는 평면에서 보아 전극(33)과 겹치지 않도록 하여 배치되고, 또한, 전극(33)을 향하지 않도록 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공기는 전극(33)에 접촉되지 않도록 공급된다. 따라서, 공기에 기인하는 전해 효율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공기 공급구(91)는 전해조(32)의 하면부(76)의 구석에, 전극(33)의 단부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소정 거리 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소정 거리는 공기가 전극(33)에 통상 접촉하지 않는 거리, 예를 들어 10밀리로 되어 있다.
또한, 공기 공급구(91)와 상부 통수로(34)는 정면에서 보아 대각선 상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공기가 전해조(32) 내를 흐르는 거리가 길어지므로, 물을 쉽게 움직이게 할 수 있다. 공기 공급구(91)와 하부 통수로(35)는 정면에서 보아 좌우로 분리되어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하부 통수로(35)로부터 멀리에 있는 흐르기 어려운 물을 공기에 의해 쉽게 흐르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해조(32) 내의 물을 쉽게 흐르게 할 수 있어, 효율적으로 전해할 수 있다. 게다가, 이를 위한 공기는 외조(2) 내로 유도되어, 세정력의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다. 또, 상술한 공기 펌프(89)는 전해조(32)에만 공기를 공급하는 것으로 해도 상관없다. 이하에서는 기포 발생 장치(88)를 생략한 경우를 설명한다. 도1로 복귀하여 설명한다.
하우징(1)의 상면은 상면판(18)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상면판(18)의 중앙에는 세탁물의 투입구(18a)가 설치되어 있고, 이 투입구(18a)는 상부 덮개(19)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덮여져 있다. 상면판(18)의 전방부에는 조작 패널(48)이 설치되어 있다.
도5는 조작 패널(48)의 평면도이다. 조작 패널(48)에는 조작부(21) 및 표시부(28)가 구비되어 있다. 조작부(21)는 본체에 전원을 투입하기 위한 전원키(49),세탁 운전을 개시하기 위한 스타트키(36), 세탁 코스를 선택하기 위한 코스키군(37)(본 발명의 선택 수단에 상당)으로 이루어진다. 코스키군(37)은 표준 코스를 설정하기 위한 표준 코스키(38), 자동 흐름 코스를 설정하기 위한 자동 흐름 코스키(39), 급속 코스를 설정하기 위한 급속 코스키(40), 집중 헹굼 코스를 설정하기 위한 집중 헹굼 코스키(41), 세제 제로 코스를 설정하기 위한 세제 제로 코스키(42)를 포함한다.
표준 코스는 표준적인 세탁 운전을 행하는 세탁 코스이다. 자동 흐름 코스는 사용자가 설정한 내용으로 세탁 운전을 행하는 세탁 코스이다. 급속 코스는 세탁 운전의 시간이 짧은 세탁 코스이다. 집중 헹굼 코스는 헹굼의 시간이나 횟수를 많게 하여 헹굼을 집중적으로 행하는 세탁 코스이다. 이들의 세탁 코스는 세제를 사용하는 코스이며, 이들의 코스에서는 세제가 혼입된 수돗물(세제액)을 외조(2) 내에 저장하고, 펄세이터(7)의 회전에 의해 수류를 발생시켜 세탁물을 빤다. 이들 코스는 본 발명의 제1 세탁 코스에 상당한다.
세제 제로 코스는 세제를 사용하지 않는 코스이며, 이 코스에서는 외조(2) 내에 저장한 수돗물을 전해 장치(31)에 의해 전기 분해하여 전해수로 하는 동시에, 펄세이터(7)의 회전에 의해 수류를 발생시켜 세탁물을 빤다. 이 세제 제로 코스는 본 발명의 제2 세탁 코스에 상당한다.
표시부(28)는 어떤 세탁 코스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표시하는 코스 표시부(43)와, 세탁물의 부하량에 따른 세제량을 표시하기 위한 세제량 표시부(44)(본 발명의 알림 수단에 상당)와, 세제를 투입하지 않는 것을 LED의 점등에 의해 표시하는 세제 제로 표시부(45)(본 발명의 제2 알림 수단에 상당)로 이루어진다. 코스 표시부(43)에서는 상기 각 코스키의 근방에 각각 LED(46)가 설치되고, 설정된 세탁 코스에 대응한 LED를 점등시킨다. 세제량 표시부(44)에서는 세제 컵의 도안 내에 복수개의 LED(47)가 구비되어, 세제량에 대응한 갯수의 LED가 점등함으로써 세제량을 표시한다.
도6은 본 실시 형태의 전자동 세탁기의 전기계 구성도이다. 제어의 중심에는, CPU, RAM, ROM, 타이머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어부(20)(본 발명의 제어 수단에 상당)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어부(20)는 마이크로 컴퓨터로 구성된다. 제어부(20)에는 조작부(21)로부터 조작 신호가 입력되고, 외조(2)의 내부에 저장된 물의 수위를 검지하기 위한 수위 센서(22)로부터 수위 검지 신호가 입력된다. 제어부(20)는 인버터 구동부(23)를 통해 모터(8)의 회전을 제어하는 동시에, 부하 구동부(25)를 통해 토크 모터(26)와 급수 밸브(13)의 동작을 제어한다. 토크 모터(26)는 전술한 바와 같이 클러치(27)와 배수 밸브(15)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20)는 표시부(28) 및 운전의 종료나 이상을 알리는 부저(29)의 동작을 제어한다. 모터(8)에는 그 회전에 따른 펄스 신호를 출력하는 회전 센서(24)가 설치되어 있고, 그 펄스 신호는 제어부(20)에 입력되어 있다. 이 회전 센서(24)는 모터(8) 즉, 세탁겸 탈수조(5)의 회전 속도를 검출하기 위해 설치된 것이다.
한 쌍의 전극(33)은 트랜스(61) 등으로 이루어지는 통전 회로(30)를 통해 제어부(20)의 출력측에 접속되어 있다. 제어부(20)로부터 통전을 지시하는 신호가 출력되면, 통전 회로(30)가 동작하여 한 쌍의 전극(33)에 통전된다.
제어부(20)의 ROM(20a)(본 발명의 기억 수단에 상당) 내에는, 상기한 각 세탁 코스의 시퀀스가 기억되어 있다.
코스키군(37)의 조작에 의해 세탁 코스가 선택되면, 이 세탁 코스에 대응한 시퀀스가 ROM(20a) 내에서 판독된다. 그리고, 제어부(20)는 이 시퀀스에 따라서 모터(8) 등의 각종 부하를 제어하고, 선택된 세탁 코스의 세탁 운전을 실행한다.
그런데, 상기한 구성에 의거하는 본 실시 형태의 전자동 세탁기의 동작을 설명한다. 처음에, 세제가 사용되는 세탁 코스의 대표적인 코스인 표준 코스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경우에 대해서, 도7의 흐름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스타트키(36)가 눌러져 세탁 운전의 개시가 지시되면, 급수를 행하기 전에, 세탁겸 탈수조(5)에 투입된 세탁물의 양 즉 부하량을 검지한다(스텝 S1). 구체적으로는 펄세이터(7)를 단시간 회전시켜, 그에 따른 타성 회전이 계속되는 시간에 따라서 부하량을 결정하고 있다. 이 경우, 펄세이터(7) 및 제어부(20)에 의해 본 발명의 부하량 검지 수단이 구성되게 된다. 물론, 부하량 검지는 이 방법에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방법을 이용해도 좋다.
다음에, 검지된 부하량에 따른 세탁 수위를 설정하는 동시에(스텝 S2), 이 부하량에 따른 세제량을 세제량 표시부(44)에 표시한다(스텝 S3). 사용자는 이 세제 표시부(44)의 표시를 보고, 적절한 양의 세제를 세탁겸 탈수조(5) 내에 투입한다.
다음에, 수돗물의 급수를 개시하여 설정한 세탁 수위까지 급수한다(스텝 S4 내지 S6). 이에 의해, 수돗물에 세제가 용해되어 생긴 세제액이 외조(2) 내에 저장된다.
다음에, 펄세이터(7)를 소정 속도로 일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외조(2) 내에서 수류를 발생시켜, 세탁물의 세탁을 행한다(스텝 S7). 세탁물에 부착된 오염은 세제 및 수류의 효과에 의해서 떨어지게 된다. 그리고, 소정의 세탁 시간이 경과하면, 펄세이터(7)는 정지하여 세탁을 종료한다(스텝 S8, S9).
이렇게 하여, 세탁이 종료되면, 중간 탈수 1, 헹굼 1, 중간 탈수 2, 헹굼 2, 최종 탈수를 차례로 행하고 세탁 운전을 종료한다.
그런데 다음에, 세제를 사용하지 않는 세제 제로 코스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경우에 대해, 도8의 흐름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스타트키(36)가 눌러져 세탁 운전의 개시가 지시되면, 세제량 표시부(44)의 표시는 행하지 않고, 대신에 세제 제로 표시부(45)의 LED를 점등한다(스텝 S11). 이에 의해, 세제를 투입하지 않은 것이 사용자에게 알려진다.
다음에, 수돗물의 급수를 개시한다(스텝 S12). 급수는 미리 정해진 세제 제로 코스에 있어서의 세탁 수위(구체적으로는 저수위)까지 행해진다. 세탁 수위보다도 낮고, 또한 전해 장치(31)의 한 쌍의 전극(33)이 수몰하는 소정의 수위로 외조(2) 내의 수위가 도달하면 전해 장치(31)가 동작하는, 즉 한 쌍의 전극(33)에 통전한다(스텝 S13, S14). 또, 펄세이터(7)를 소정 속도로 일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외조(2) 내에서 수류를 발생시킨다(스텝 S15).
수돗물에는 철, 칼슘, 마그네슘, 염소 등의 함유물이 미량으로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전해조(32) 내에서는 전기 분해가 행해져 전해수가 생성되고, 또한 전해조(32) 내와 외조(2) 내 사이에서 수돗물이 왕래함으로써, 외조(2) 내는 서서히 전해수로 채워지게 된다. 이 전해수는 약알칼리성의 성질을 갖는다. 또한, 전해조(32) 내의 전해수 중에는 활성 산소가 발생하고 있는 동시에, 차아염소산(HC1O) 및 차아염소산 이온(C1O-)이 발생하고 있다. 차아염소산 및 차아염소산 이온은 전해수와 함께 외조(2) 내로 흐른다. 외조(2) 내에 있어서, 세탁물에 부착된 오염은 알칼리수의 효과 및 수류의 효과에 의해 떨어지게 된다. 또한, 차아염소산 및 차아염소산 이온의 효과에 의해 세탁물의 균 제거가 행해진다. 세탁물로부터 떨어지게 된 오염은 전해조(32) 내에서 활성 산소의 효과에 의해 분해되어, 오염이 세탁물에 다시 부착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렇게 하여, 세탁 수위에 도달하면 급수를 정지한다(스텝 S16, S17). 한편, 전해 장치(31) 및 펄세이터(7)의 동작은 계속된다. 그리고, 소정의 세탁 시간이 종료되면, 전해 장치(31)의 동작[한 쌍의 전극(33)으로의 통전]을 정지하는 동시에 펄세이터(7)를 정지하여, 제1회째의 세탁을 종료한다(스텝 S18 내지 S20).
다음에, 중간 탈수를 행한 후, 제1회째의 세탁과 마찬가지의 세탁을 제2회째의 세탁으로서 행한다. 그리고, 이 제2회째의 세탁이 종료되면, 최종 탈수를 행하여, 세제 제로 코스의 세탁 운전을 종료한다.
또, 표준 코스 등 세제를 사용하는 세탁 코스에 있어서, 헹굼시(헹굼 1이나 헹굼 2)에 전해 장치(31)를 동작시켜, 전해수를 이용하여 헹굼을 행해도 좋다. 이에 의해, 세탁물의 헹굼과 마찬가지로 균 제거를 행할 수 있다.
또한, 검지한 부하량에 따른 적절한 양의 세제를 자동 투입하는 세제 자동 투입기(본 발명의 투입 수단에 상당)를 구비하고, 표준 코스 등 세제를 사용하는 세탁 코스에서는 세제를 자동 투입하고, 세제 제로 코스에서는 세제를 투입하지 않도록 해도 좋다. 상기한 세제 자동 투입기로서는 종래부터 알려진 것을 이용하면 좋고, 여기서는 구성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이하에 개시한 바와 같이, 상기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세탁기는 전자동 세탁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외조와 외조 내에 설치된 횡축형의 드럼으로 세탁조를 구성하는, 이른바 드럼식 세탁기라도 좋다. 또한, 세탁조를 일조로 하여 탈수조를 별도로 설치한, 소위 이조식 세탁기라도 좋다.
본 발명의 물처리 수단은 전해 장치에 한정되지 않고, 그 밖의 수돗물에 특정한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세정 성능을 갖게 하는 처리 수단이면 좋다. 또, 본 발명은 수돗물만을 전기 분해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수돗물의 전기 분해를 촉진하기 위해, 식염이나 탄산수소 나트륨을 수돗물에 가하여 전해 용액으로 하여, 이를 전기 분해하도록 해도 좋다.
본 발명의 수류 발생 수단은 펄세이터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세탁겸 탈수조를 회전시켜 수류를 발생시켜도 좋고, 이 경우 세탁겸 탈수조가 수류 발생 수단이 된다. 요는, 세탁조 내에서 물의 흐름을 발생하는 수단이면 좋다.
본 발명의 알림 수단 및 제2 알림 수단은 세제량 표시부 및 세제 제로 표시부와 같이 표시하는 수단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세제량이나 세제를 넣지 않은 것을 음성으로 알리는 수단이라도 좋다.
기타, 본 발명의 취지의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나 수정을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세제를 사용하지 않고 세탁물을 빨 수 있는 전기 세탁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의한 전자동 세탁기의 측면 단면도.
도2는 도1에 도시한 전자동 세탁기의 정면 일부 단면도.
도3은 물처리 유닛의 일부 단면 측면도.
도4는 물처리 유닛의 정면으로부터 본 개략 구조를 도시한 모식도.
도5는 조작부 및 표시부의 구성을 도시한 조작 패널의 평면도.
도6은 본 실시 형태의 전자동 세탁기의 전기계 구성도.
도7은 본 실시 형태의 전자동 세탁기에 있어서의 표준 코스의 세탁 운전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도8은 본 실시 형태의 전자동 세탁기에 있어서의 세제 제로 코스의 세탁 운전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외조(세탁조)
5 : 세탁겸 탈수조(세탁조)
7 : 펄세이터(수류 발생 수단, 부하량 검지 수단)
20 : 제어부(제어 수단, 부하량 검지 수단)
20a : ROM(기억 수단)
31 : 전해 장치(물처리 수단)
32 : 전해조
33 : 한 쌍의 전극(물처리 수단)
34 : 상부 통수로(다른 쪽의 통수로, 유출로)
35 : 하부 통수로(한 쪽의 통수로, 유입로)
37 : 코스키군(선택 수단)
44 : 세제량 표시부(알림 수단)
45 : 세제 제로 표시부(제2 알림 수단)
60 : 물처리 유닛
64 : 외조의 바닥부(세탁조의 외면)
66 : 외조의 외측면(세탁조의 외측면, 외면)
69 : 전해조의 상부
70 : 전해조의 하부
81 : 패킹
82 : 전극의 코너부
83 : 라운딩
91 : 공기 공급구
D1 : 깊이 치수
D2 : 전극간 피치
D3 : 전극의 간격
D4 : 전극과 전해조와의 간격

Claims (14)

  1. 세탁물을 수용하는 세탁조와,
    세정조 내에 공급하는 수돗물 또은 공급된 수돗물에, 특정한 처리를 행함으로써 세제를 혼입하는 일 없이 세정 성능을 갖게 하는 물처리 수단과,
    수돗물에 세제가 혼입하여 이루어지는 세제액이 저장된 상기 세탁조 내에서 세탁물을 빠는 제1 세탁 코스의 시퀀스와, 상기 물처리 수단의 처리에 의해 수돗물에 세정 성능을 갖게 하여 이루어지는 세정액이 저장된 상기 세탁조 내에서, 세제를 사용하는 일 없이 세탁물을 빠는 제2 세탁 코스의 시퀀스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사용자가 상기 제1 세탁 코스 또는 제2 세탁 코스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수단과,
    이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세탁 코스의 시퀀스에 기초하여, 이 세탁 코스의 세탁 운전을 실행하는 제어 수단과,
    세탁물의 양을 검지하는 부하량 검지 수단과,
    이 부하량 검지 수단으로 검지된 부하량에 따른 세제량을 알리는 알림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1 세탁 코스의 세탁 운전에서는 부하량 검지 수단을 동작시켜 부하량을 검지하고, 검지한 부하량에 따른 세제량을 상기 알림 수단에 알리는 한편, 상기 제2 세탁 코스의 세탁 운전에서는 상기 알림 수단에 세제량을 알리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세탁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처리 수단은 수돗물을 전기 분해하기 위한 한 쌍의 전극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한 쌍의 전극에 통전하여 수돗물을 전기 분해하여, 상기 세정액을 만들어 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세탁기.
  3. 삭제
  4. 세탁물을 수용하는 세탁조와,
    세정조 내에 공급하는 수돗물 또은 공급된 수돗물에, 특정한 처리를 행함으로써 세제를 혼입하는 일 없이 세정 성능을 갖게 하는 물처리 수단과,
    수돗물에 세제가 혼입하여 이루어지는 세제액이 저장된 상기 세탁조 내에서 세탁물을 빠는 제1 세탁 코스의 시퀀스와, 상기 물처리 수단의 처리에 의해 수돗물에 세정 성능을 갖게 하여 이루어지는 세정액이 저장된 상기 세탁조 내에서, 세제를 사용하는 일 없이 세탁물을 빠는 제2 세탁 코스의 시퀀스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사용자가 상기 제1 세탁 코스 또는 제2 세탁 코스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수단과,
    이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세탁 코스의 시퀀스에 기초하여, 이 세탁 코스의 세탁 운전을 실행하는 제어 수단과,
    세탁물의 양을 검지하는 부하량 검지 수단을 구비하고,
    제1 세탁 코스의 세탁 운전에서는 부하량 검지 수단을 동작시켜 부하량을 검지하고, 검지한 부하량에 따른 세제량을 알리는 한편, 상기 제2 세탁 코스의 세탁 운전에서는 세제를 투입하지 않는 것을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세탁기.
  5. 세탁물을 수용하는 세탁조와,
    세정조 내에 공급하는 수돗물 또은 공급된 수돗물에, 특정한 처리를 행함으로써 세제를 혼입하는 일 없이 세정 성능을 갖게 하는 물처리 수단과,
    수돗물에 세제가 혼입하여 이루어지는 세제액이 저장된 상기 세탁조 내에서 세탁물을 빠는 제1 세탁 코스의 시퀀스와, 상기 물처리 수단의 처리에 의해 수돗물에 세정 성능을 갖게 하여 이루어지는 세정액이 저장된 상기 세탁조 내에서, 세제를 사용하는 일 없이 세탁물을 빠는 제2 세탁 코스의 시퀀스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사용자가 상기 제1 세탁 코스 또는 제2 세탁 코스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수단과,
    이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세탁 코스의 시퀀스에 기초하여, 이 세탁 코스의 세탁 운전을 실행하는 제어 수단과,
    세탁물의 양을 검지하는 부하량 검지 수단과,
    이 부하량 검지 수단으로 검지된 부하량에 따른 세제량을 투입하는 투입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1 세탁 코스의 세탁 운전에서는 부하량 검지 수단을 동작시켜 부하량을 검지하고, 검지한 부하량에 따른 세제량을 상기 투입 수단에 투입시키는 한편, 상기 제2 세탁 코스의 세탁 운전에서는 상기 투입 수단에 세제를 투입시키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세탁기.
  6. 삭제
  7. 세탁에 사용하는 물을 전기 분해함으로써, 세제를 혼입하는 일 없이 물에 세정 성능을 갖게 하는 물처리 유닛을 갖고,
    상기 물처리 유닛이 세탁조의 외측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물처리 유닛은 전해조와, 전해조 내에 배치된 적어도 한 쌍의 전극을 가지고,
    전해조는 세탁조의 외면에 대한 깊이 치수가 작은 박형 상자형을 이루고,
    전극은 그 박형 상자형에 대응한 평판형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세탁기.
  8. 세탁에 사용하는 물을 전기 분해함으로써, 세제를 혼입하는 일 없이 물에 세정 성능을 갖게 하는 물처리 유닛을 가지고,
    상기 물처리 유닛은 세탁조의 외측에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물처리 유닛은 전해조와, 전해조 내에 배치된 적어도 한 쌍의 전극과, 전해조로부터 연장 돌출한 한 쌍의 통수로를 갖고,
    한 쌍의 통수로는 세탁조에 연결되어 있어, 한 쪽 통수로를 통해서 세탁조의 물이 전해조로 유입하고, 다른 쪽 통수로를 통해서 전해조에서 처리된 물이 세탁조로 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세탁기.
  9. 세탁에 사용하는 물을 전기 분해함으로써, 세제를 혼입하는 일 없이 물에 세정 성능을 갖게 하는 물처리 유닛을 가지고,
    상기 물처리 유닛은 세탁조의 외측에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물처리 유닛은 전해조와, 전해조 내에 배치된 적어도 한 쌍의 평판형의 전극을 갖고, 각 평판형 전극은 양측이 보유 지지되어, 소정의 전극간 피치로 유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세탁기.
  10. 제8항에 있어서, 전해조는 세탁조의 외측면에 부착되고,
    한 쪽의 통수로인 유입로는 전해조의 하방으로부터 연장 돌출하고,
    다른 쪽의 통수로인 유출로는 전해조의 상방으로부터 연장 돌출하고 있어,
    각각 패킹을 통해 세탁조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세탁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전해조의 상부는 경사가 져 한 쪽의 측방이 높아져 있으며, 그 높아진 위치로부터 유출로가 연장 돌출하고,
    전해조의 하단부 위치로부터 유입로가 연장 돌출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세탁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전해조의 하부에는 공기가 공급되는 공기 공급구가 형성되어 있고, 공기 공급구로부터 전해조 내로 공급되는 공기는 상부의 통수로를 통해서 세탁조로 흐르고, 공기의 흐름에 의해 전해조 내에 저장된 물이 유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세탁기.
  13. 제12항에 있어서, 공기는 전극에 접촉되지 않도록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세탁기.
  14. 제8항에 있어서, 전극의 코너부에는 라운딩이 부여되고, 전극의 간격 및 전극과 전해조와의 간격은 실부스러기가 부착되지 않는 거리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세탁기.
KR10-2002-0018378A 2001-04-05 2002-04-04 전기 세탁기 KR1004705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106923 2001-04-05
JPJP-P-2001-00106923 2001-04-05
JPJP-P-2001-00133254 2001-04-27
JP2001133254 2001-04-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9460A KR20020079460A (ko) 2002-10-19
KR100470583B1 true KR100470583B1 (ko) 2005-03-08

Family

ID=26613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8378A KR100470583B1 (ko) 2001-04-05 2002-04-04 전기 세탁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296444B2 (ko)
EP (1) EP1386995A4 (ko)
JP (1) JPWO2002081809A1 (ko)
KR (1) KR100470583B1 (ko)
CN (1) CN100427664C (ko)
TW (1) TW579399B (ko)
WO (1) WO200208180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0684B1 (ko) 2003-12-12 2011-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수질감지장치
US11725327B2 (en) 2021-04-30 2023-08-15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Laundry appliances cold water sanitiza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57616B2 (ja) 2002-11-19 2007-08-15 シャープ株式会社 イオン溶出ユニット及びこれを搭載した機器
JP2005087712A (ja) * 2003-08-08 2005-04-07 Sharp Corp 給水装置、給水方法、給水装置を備えた撒水装置、および給水装置を備えた洗濯機
JP3638018B1 (ja) * 2003-11-10 2005-04-13 シャープ株式会社 洗濯機
KR101169268B1 (ko) * 2004-06-21 2012-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펄세이터를 구비한 경사형 드럼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014726B1 (ko) * 2004-06-21 2011-0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펄세이터를 구비한 경사형 건조겸용 드럼세탁기
US7886391B2 (en) 2004-06-21 2011-02-15 Lg Electronics Inc. Tilted drum-type washing machine with puls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128787B1 (ko) * 2004-06-21 2012-03-26 엘지전자 주식회사 펄세이터를 구비한 경사형 드럼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657478B1 (ko) * 2004-10-21 2006-1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 세탁기의 제어 방법
CN1811045B (zh) * 2005-01-25 2010-05-12 海尔集团公司 一种洗衣机外桶
US8046867B2 (en) 2006-02-10 2011-11-01 Tennant Company Mobile surface cleaner having a sparging device
US7891046B2 (en) 2006-02-10 2011-02-22 Tennant Company Apparatus for generating sparged, electrochemically activated liquid
US8016996B2 (en) 2006-02-10 2011-09-13 Tennant Company Method of producing a sparged cleaning liquid onboard a mobile surface cleaner
US8007654B2 (en) 2006-02-10 2011-08-30 Tennant Company Electrochemically activated anolyte and catholyte liquid
US8156608B2 (en) 2006-02-10 2012-04-17 Tennant Company Cleaning apparatus having a functional generator for producing electrochemically activated cleaning liquid
US8025786B2 (en) 2006-02-10 2011-09-27 Tennant Company Method of generating sparged, electrochemically activated liquid
US8012340B2 (en) 2006-02-10 2011-09-06 Tennant Company Method for generating electrochemically activated cleaning liquid
US8025787B2 (en) 2006-02-10 2011-09-27 Tennant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pplying and neutralizing an electrochemically activated liquid
FR2902804B1 (fr) * 2006-06-21 2008-08-08 Brandt Ind Sas Machine a laver le linge equipee d'une boite pour des produits de lavage
WO2008096350A2 (en) * 2007-02-06 2008-08-14 Lev Gurevich Laundering method system
KR101192001B1 (ko) * 2007-04-06 2012-10-18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KR101287532B1 (ko) * 2007-04-11 2013-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KR101228937B1 (ko) * 2007-08-13 2013-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WO2009046279A2 (en) 2007-10-04 2009-04-09 Tennant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neutralizing electrochemically activated liquids
US8485140B2 (en) 2008-06-05 2013-07-16 Global Patent Investment Group, LLC Fuel combustion method and system
MX2010014390A (es) 2008-06-19 2011-03-29 Tennant Co Celda de electrolisis tubular que comprende electrodos concéntricos y meétodo correspondiente.
WO2009155545A2 (en) 2008-06-19 2009-12-23 Tennant Company Hand-held spray bottle electrolysis cell and dc-dc converter
US8371315B2 (en) 2008-12-17 2013-02-12 Tennant Company Washing systems incorporating charged activated liquids
JP2012515634A (ja) * 2009-01-23 2012-07-12 テナント カンパニー 荷電活性化液を組み込む洗浄システム
EP2278062B1 (en) * 2009-07-14 2014-06-18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Sensorless safety system for determining rotation of an electric household appliance laundry drum powered by a three-phase asynchronous motor
JP5516290B2 (ja) * 2010-09-30 2014-06-1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機
US9953278B2 (en) * 2011-05-02 2018-04-24 Sears Brands, L.L.C. System and methods for interacting with networked home appliances
KR102160976B1 (ko) * 2013-11-07 2020-09-29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세탁기의 조립방법
KR101623009B1 (ko) * 2014-07-09 2016-05-20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세탁 장치 및 세탁 방법
CN107354663A (zh) * 2017-08-14 2017-11-17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滚筒洗衣机
CN107488969B (zh) * 2017-08-14 2020-08-11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波轮洗衣机
JP6937467B2 (ja) * 2018-02-27 2021-09-2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洗濯機
CN112875809A (zh) * 2019-11-29 2021-06-01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电解装置及衣物处理设备
DE102020000316A1 (de) * 2020-01-20 2021-07-22 Emz-Hanauer Gmbh & Co. Kgaa Trübungssensor sowie hiermit ausgerüstetes wasserführendes Haushaltsgerät
CN111472142B (zh) * 2020-06-02 2024-06-28 慈溪市天泉电器科技有限公司 一种混气式消毒洗衣机机筒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58258A (ja) * 1997-03-19 1998-09-29 Hoshizaki Electric Co Ltd 電解水生成装置付き洗浄装置
KR20000045171A (ko) * 1998-12-30 2000-07-15 전주범 알칼리성 전해수를 이용하여 세탁물을 세탁하는 방법
KR20000045173A (ko) * 1998-12-30 2000-07-15 전주범 알칼리성 전해수를 이용한 저수형 전기세탁기
KR20000045175A (ko) * 1998-12-30 2000-07-15 전주범 전기분해장치 및 중화장치를 이용한 저수형 전기세탁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160140A (fr) 1979-12-20 1984-01-10 Alain Groult Machine et methode automatique a laver le linge ou la vaisselle
IT1147149B (it) * 1981-12-14 1986-11-19 Zanussi A Spa Industrie Macchina lavabiancheria provvista di cella elettrochimica
JPS61154892A (ja) 1984-12-28 1986-07-14 共同印刷株式会社 携帯用カ−ド
JPS61154892U (ko) * 1985-03-18 1986-09-25
JPS61263485A (ja) 1985-05-17 1986-11-2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洗濯機
JPS61280883A (ja) 1985-06-06 1986-12-1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洗濯機
JPS6227590A (ja) 1985-07-30 1987-02-05 Showa Alum Corp アルミニウム表面の自然発色皮膜形成方法
JPH0765042B2 (ja) 1986-08-01 1995-07-12 株式会社トクヤマ 液晶性組成物
JPH0420394A (ja) 1990-04-23 1992-01-23 Toshiba Corp 洗濯機
JPH0568784A (ja) 1991-09-10 1993-03-23 Easy Net:Kk 洗濯機
IT1256270B (it) 1991-10-11 1995-11-29 Zanussi Elettrodomestici Procedimento di misurazione del peso della biancheria per macchina lavatrice di biancheria.
JPH05123489A (ja) 1991-11-05 1993-05-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洗濯機
JPH05123488A (ja) 1991-11-05 1993-05-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洗濯機
JPH05200183A (ja) 1992-01-28 1993-08-10 Sharp Corp 洗濯機
JPH0615090A (ja) 1992-06-30 1994-01-25 Suzuki Sogyo Co Ltd 電気的洗浄方法並びにその装置
JPH0679092A (ja) 1992-09-04 1994-03-22 Hidenobu Yagi 電解水活用洗濯機
JPH06182089A (ja) 1992-12-18 1994-07-05 Toshiba Corp 洗濯機
JPH0780185A (ja) 1993-09-09 1995-03-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洗濯機
JP3437275B2 (ja) 1994-08-18 2003-08-18 三菱電機株式会社 洗濯機
JP3355846B2 (ja) 1995-01-26 2002-12-0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洗濯機
JPH0929254A (ja) 1995-07-14 1997-02-04 Tokico Ltd 電解水生成器
JPH09108490A (ja) 1995-10-23 1997-04-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洗浄機
JPH11137888A (ja) * 1997-11-10 1999-05-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洗濯機
JPH11244857A (ja) 1998-02-27 1999-09-14 Sanyo Electric Co Ltd 電解イオン水生成器
KR20000003802A (ko) 1998-06-29 2000-01-25 전주범 공기 방울 오존 세탁기에서의 세탁 방법
US5960649A (en) * 1998-09-15 1999-10-05 Envirocleanse Systems, Inc. Ozonated laundry system including adapter and sparging rod
KR100391075B1 (ko) 1998-12-30 2003-08-1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전기분해장치 및 중화장치를 이용한 저수형 전기세탁기
TW465610U (en) 1999-04-30 2001-11-21 Sanyo Electric Co Washing machine
JP3443362B2 (ja) 1999-04-30 2003-09-02 三洋電機株式会社 洗濯機
JP2000312795A (ja) 1999-04-30 2000-11-14 Sanyo Electric Co Ltd 洗濯機
JP2001170392A (ja) 1999-12-21 2001-06-26 Toshiba Corp 洗濯機
JP2001353393A (ja) 2000-06-14 2001-12-25 Sanyo Electric Co Ltd 洗濯機
KR100392798B1 (ko) * 2000-11-16 2003-07-28 (주)에코에이드 기능수 세탁기
US6513180B2 (en) * 2001-05-10 2003-02-04 Maytag Corporation Washing machine incorporating a bleach activat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58258A (ja) * 1997-03-19 1998-09-29 Hoshizaki Electric Co Ltd 電解水生成装置付き洗浄装置
KR20000045171A (ko) * 1998-12-30 2000-07-15 전주범 알칼리성 전해수를 이용하여 세탁물을 세탁하는 방법
KR20000045173A (ko) * 1998-12-30 2000-07-15 전주범 알칼리성 전해수를 이용한 저수형 전기세탁기
KR20000045175A (ko) * 1998-12-30 2000-07-15 전주범 전기분해장치 및 중화장치를 이용한 저수형 전기세탁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0684B1 (ko) 2003-12-12 2011-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수질감지장치
US11725327B2 (en) 2021-04-30 2023-08-15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Laundry appliances cold water sanitiz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02081809A1 (ja) 2004-07-29
US20040144136A1 (en) 2004-07-29
EP1386995A4 (en) 2005-12-07
CN1379143A (zh) 2002-11-13
CN100427664C (zh) 2008-10-22
US7296444B2 (en) 2007-11-20
TW579399B (en) 2004-03-11
KR20020079460A (ko) 2002-10-19
WO2002081809A1 (en) 2002-10-17
EP1386995A1 (en) 2004-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0583B1 (ko) 전기 세탁기
KR20020079456A (ko) 전기 세탁기
KR100476296B1 (ko) 세탁기 및 세정기
KR100478669B1 (ko) 세탁기 및 세정기
KR100476295B1 (ko) 세탁기 및 세정기
JP4204579B2 (ja) 洗濯機、及び洗浄機
JP2008188460A (ja) 洗濯機、及び洗浄機
KR20030007108A (ko) 세탁기 및 세정기
JP3631219B2 (ja) 電気洗濯機
JP4549405B2 (ja) 洗濯機
JP3631217B2 (ja) 電気洗濯機
JP2003154195A (ja) 電気洗濯機
JP3631218B2 (ja) 電気洗濯機
JP2004358274A (ja) 洗濯機、及び洗浄機
JP2003126592A (ja) 電気洗濯機
JP3634812B2 (ja) 電気洗濯機
JPH11151397A (ja) 洗濯機
JP2003154194A (ja) 電気洗濯機
JP2003154193A (ja) 電気洗濯機
JP2003126593A (ja) 電気洗濯機
JP2003000992A (ja) 洗濯機
JP2003000990A (ja) 洗濯機
JP2003000993A (ja) 洗濯機、及び洗浄機
JP2003000988A (ja) 洗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