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45173A - 알칼리성 전해수를 이용한 저수형 전기세탁기 - Google Patents

알칼리성 전해수를 이용한 저수형 전기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5173A
KR20000045173A KR1019980061724A KR19980061724A KR20000045173A KR 20000045173 A KR20000045173 A KR 20000045173A KR 1019980061724 A KR1019980061724 A KR 1019980061724A KR 19980061724 A KR19980061724 A KR 19980061724A KR 20000045173 A KR20000045173 A KR 200000451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shing
pulsator
tank
wash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61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기현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80061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45173A/ko
Publication of KR20000045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5173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06F39/08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um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40Driving arrangements  for driving the receptacle and an agitator or impeller, e.g. alternative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7Water level measuring or regula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칼리성 전해수를 이용하여 세탁하는 전기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저수조(10)에 저장된 세탁수를 순환관(36)으로 배출시켜 순환관(36)에 연결설치된 전기분해장치(70)로 전기분해하여 그 알칼리성 전해수를 순환펌프(37)로 저수조(10)안에 순환공급하여 이 알칼리성 전해수로 세탁을 행함으로써 세제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세탁물을 세탁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세제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수질환경오염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알칼리성 전해수를 이용한 저수형 전기세탁기 ( Washing machine using alkali electrolytic water)
본 발명은 저수형 전기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저수조에 저장한 물을 전기분해하여 알칼리성 전해수로 세탁물을 세탁하도록 된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에 사용되고 있는 세탁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대개 저수조(10)와, 저수조(10)안에 설치되는 세탁조(20)와, 급수관(30)을 통해 저수조(10)안에 급수를 공급 또는 차단하는 급수밸브(31)와, 세탁조(20)내의 세탁수를 배수관(40)을 통해 배수 또는 차단하는 배수밸브(41)와, 세탁 및 헹굼시 세탁수와 세탁물을 혼합하는 펄세이터(50)와, 모터(65)로부터 동력을 펄세이터(50)의 회전축으로 전달하거나 차단하는 클러치(60) 및 상기 급수밸브(31), 배수밸브(41), 펄세이터(50) 및 구동모터(56), 클러치(60) 등을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제어하는 제어부(80)를 포함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전기세탁기는 합성세제를 사용하여 세탁물을 세탁한다. 즉 세탁조에 세탁물을 넣고 합성세제를 적당량 투입한 다음, 전원스위치를 켜면 제어부는 우선 급수밸브를 열어서 급수관을 통해 저수조에 물을 공급한다.
그리고 저수조에 물이 세탁물 량에 따라 적정량 투입되면 수위감지센서가 제어부에 신호를 보내어 급수밸브를 닫아서 물의 공급을 중단한다. 이어서 제어부는 모터를 회전시키고 클러치를 작동시켜 펄세이터를 회전시켜 수류를 발생시킴으로써 세탁이 진행된다.
이 펄세이터는 제어부에 미리 입력된 시간동안 작동하다가 타이머에 의해 클러치가 단속되어 작동중지하게 된다. 그러면 제어부는 배수밸브를 열고 세탁수를 배수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저수조에 물이 전부 배출되고 나면 제어부는 배수밸브를 닫고 다시 헹굼작업을 위하여 급수밸브를 열어 저수조 안으로 급수한다. 이어서 세탁조를 회전시켜 헹굼을 한다. 이때 종래의 세탁기는 합성세제를 사용하므로 세탁물에 남아 있는 세제를 씻어내기 위해 통상 헹굼작업을 2회 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의 세탁기는 합성세제를 사용하므로 이 합성세제 세척을 위하여 헹굼작업을 2회 이상 하여야 하므로 물의 낭비나 전력 낭비가 많은 단점이 있다.
또 합성세제는 세탁력이 우수하여 세탁물을 깨끗이 세탁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수질등 환경을 오염시키는 주된 원인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환경오염을 줄이기 위한 여러 가지 합성세제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예컨대 식물성 세제나 세탁력을 강력하게 하여 적은 량으로 동일한 세탁효과를 얻을 수 있게 하는 세제등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합성세제는 수질오염을 근본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아니고, 오염정도를 줄이는 방법에 지나지 않으므로 수질오염을 줄이는 직접적인 효과가 미약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합성세제를 사용하는 종래 일반적인 전기세탁기의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합성세제를 사용하지 않고, 물을 전기분해하여 생성된 알칼리성 전해수를 사용하는 전기세탁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세탁하는 과정중에 그 세탁수를 계속 전기분해장치를 거쳐 알칼리성 전해수로 분해하여 순환시키는 전기세탁기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저수조의 세탁수가 순환하도록 저수조 바닥면에서 저수조 상단으로 연통한 순환관을 연결설치하고, 이 순환관에 전기분해장치와 순환펌프를 차례로 연결설치하여 세탁과정중에 세탁수를 전기분해하면서 순환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전기분해장치와 순환펌프는 제어부에 연결되어 제어를 받게 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합성세제를 사용하지 않고 알칼리성 전해수로 세탁물을 세탁하므로 합성세제에 의한 수질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합성세제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헹굼작업을 1회만 하면 되므로 세탁시간이 단축될 뿐 아니라 세탁수 낭비를 막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세탁과정중에 세탁수가 계속 순환하면서 알칼리성 전해수로 전환되므로써 세탁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종래 일반적인 세탁기의 구조를 도시한 결합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세탁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저수조 11: 커버
20: 세탁조 30: 급수관
31: 급수밸브 34: 저수위 감지센서
35: 고수위 감지센서 36: 순환관
37: 순환펌프
40: 배수관 41: 배수밸브
50: 펄세이터 60: 클러치
65: 모터 70: 전기분해장치
80: 제어부
이하, 본 발명의 전기세탁기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세탁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수조(10)와, 저수조(10)안에 설치되는 세탁조(20)와, 급수관(30)을 통해 저수조(10) 안에 급수를 공급 또는 차단하는 급수밸브(31)와, 세탁조(20) 내의 세탁수를 배수관(40)을 통해 배수 또는 차단하는 배수밸브(41)와, 세탁 및 헹굼시 세탁수와 세탁물을 혼합하는 펄세이터(50)와, 모터(65)로부터 동력을 펄세이터(50)의 회전축으로 전달하거나 차단하는 클러치(60) 및 상기 급수밸브(31), 배수밸브(41), 펄세이터(50) 및 구동모터, 클러치(60) 등을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제어하는 제어부(80)를 포함하고 있다.
한편, 저수조(10)의 바닥면에는 저수조(10)의 세탁수를 유입시켜 다시 저수조(10)안으로 공급시켜 주는 순환관(36)이 연결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순환관(36)에는 전기분해장치(70)와 순환펌프(37)가 차례로 연결설치되어 순환관(36)을 따라 순환하는 세탁수를 알칼리성 전해수로 분해하여 공급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저수조(10)의 내측벽에는 저수위 감지센서(34)와 고수위 감지센서(35)가 일정높이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저수위 및 고수위 감지센서(34,35)는 제어부(80)에 연결되어 저수위 감지센서(34)가 감지작동하면 제어부(80)는 상기 전기분해장치(70)와 순환펌프(37)에 전원을 공급하여 저수조(10)에서 순환관(36)안으로 유입된 저수조(10)의 세탁수를 전기분해시켜 순환펌프(37)로 다시 저수조(10)안으로 공급하게 되어 있다.
그러다가 고수위 감지센서(35)가 감지작동하면 제어부(80)는 전기분해장치(70)와 순환펌프(37)를 계속 작동시키면서 급수밸브(31)는 닫아 급수를 중단하고, 모터(65)를 구동시켜 펄세이터(50)를 회전시켜 세탁을 진행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기분해장치(70)를 거쳐 발생한 알칼리성 전해수는 순환펌프(37)에 의해 다시 저수조(10)의 안으로 공급되게 되며, 산성 전해수는 배수관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작동을 설명한다.
전원스위치를 누르면 제어부(80)는 급수밸브(31)를 열어 급수관(30)을 통하여 저수조(10)에 급수를 공급한다.
저수조(10)의 물이 상승하여 저수위 감지센서(34)가 감지작동하면 제어부(80)는 상기 전기분해장치(70)와 순환펌프(37)에 전원을 공급하여 저수조(10)에서 순환관(36)안으로 유입된 저수조(10)의 세탁수를 전기분해하여 알칼리성 전해수만 순환펌프(37)로 저수조(10)에 다시 공급시킨다.
이때 저수조(10)에는 급수관(30)을 통하여 급수가 계속 공급되어 순환관(36)을 통하여 공급되는 알칼리성 전해수와 혼합되게 된다.
저수조(10)의 세탁수 수위가 일정이상되어 고수위 감지센서(35)가 감지작동하면 제어부(80)는 급수밸브(31)를 차단하여 급수를 중단하고, 모터(65)를 구동시켜 펄세이터(50)를 회전시킴으로써 세탁을 진행하게 된다.
이때 전기분해장치(70)와 순환펌프(37)에는 계속 전원이 공급되어 저수조(10)에 저장된 세탁수가 순환관(36)을 따라 전기분해장치(70)를 거치면서 알칼리성 전해수로 분해되어 저수조(10)에 다시 공급되게 되므로 저수조(10)의 알칼리성 전해수의 농도는 증가하게 되어 세탁에 적합하게 된다.
이때 저수조(10)의 세탁수가 전기분해장치(70)에 의해 알칼리성 전해수로 전부 분해하는 동안 저수조(10)의 알칼리성 전해수는 세탁조(20)의 세탁물을 불림시키게 된다.
한편 전기분해장치(70)에서 알칼리성 전해수와 함께 생성되는 산성 전해수는 집수되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따라서 세탁조(20)의 세탁물을 세제없이 알칼리성 전해수로만 세탁한다.
세탁이 끝나면 제어부(80)는 순환펌프(37)와 전기분해장치(70)를 정지시키고, 배수밸브(41)를 열어서 저수조(10)내의 세탁수를 배수관(40)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시킨다. 이때 저장용기에 일시 저장된 산성수도 배출되어 세탁수와 함께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배수가 끝나고 나면 제어부(80)는 급수밸브(31)를 열어서 전기분해되지 않은 일반 급수를 저수조(10)에 공급한 후, 모터를 구동하여 세탁조(20)를 회전시키면서 헹굼작업을 한다. 이때 제어부(80)는 전기분해장치(70)와 순환펌프(37)는 작동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헹굼과정중에는 전해수가 생성되지 않고 자연수만으로 헹굼과정을 행한다.
헹굼작업이 끝나면 다시 배수밸브(41)를 열어서 저수조(10)의 세탁수를 배출시키고나서 세탁조(20)만을 회전시켜 세탁물을 탈수시킨다.
이상의 과정을 거쳐 세탁이 완료된다.
이상과 같이 작동하는 본 발명에 따르면 세제를 사용하지 않고 알칼리성 전해수로 세탁하게 되므로 세제에 의한 수질환경오염을 막을 수 있고, 아울러 헹굼작업도 1회만 행하게 되므로 세탁시간이 줄어들며, 헹굼에 소요되는 물의 량도 줄일 수 있어 경제적이다.

Claims (1)

  1. 저수조(10)와, 저수조(10)안에 설치되는 세탁조(20)와, 급수관을 통해 저수조(10) 안에 급수를 공급 또는 차단하는 급수밸브와, 세탁조(20) 내의 세탁수를 배수관(40)을 통해 배수 또는 차단하는 배수밸브(41)와, 세탁 및 헹굼시 세탁수와 세탁물을 혼합하는 펄세이터(50)와, 모터로부터 동력을 펄세이터(50)의 회전축으로 전달하거나 차단하는 클러치(60) 및 상기 급수밸브, 배수밸브(41), 펄세이터(50) 및 구동모터, 클러치(60) 등을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제어하는 제어부(80)를 포함한 전기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10)에 바닥면에 한쪽 선단이 연결되고 다른 쪽 선단은 저수조(10)의 상부에 연결된 순환관(36)과, 상기 순환관(36)에 연결되어 순환관(36)을 통하여 유입되는 저수조(10)의 세탁수를 전기분해하여 알칼리성 전해수를 생성하는 전기분해장치(70) 및 상기 전기분해장치(70)를 통과하면서 생성된 알칼리성 전해수를 순환관(36)을 따라 저수조(10)안으로 순환시키는 순환펌프(37)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칼리성 전해수를 이용하는 전기세탁기.
KR1019980061724A 1998-12-30 1998-12-30 알칼리성 전해수를 이용한 저수형 전기세탁기 KR200000451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1724A KR20000045173A (ko) 1998-12-30 1998-12-30 알칼리성 전해수를 이용한 저수형 전기세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1724A KR20000045173A (ko) 1998-12-30 1998-12-30 알칼리성 전해수를 이용한 저수형 전기세탁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5173A true KR20000045173A (ko) 2000-07-15

Family

ID=19568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61724A KR20000045173A (ko) 1998-12-30 1998-12-30 알칼리성 전해수를 이용한 저수형 전기세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4517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5965B1 (ko) * 2001-11-30 2003-08-27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세탁기의 세탁방법 및 장치
KR100432737B1 (ko) * 2001-11-30 2004-05-24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세탁기의 세탁방법 및 장치
KR100470583B1 (ko) * 2001-04-05 2005-03-08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전기 세탁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0583B1 (ko) * 2001-04-05 2005-03-08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전기 세탁기
KR100395965B1 (ko) * 2001-11-30 2003-08-27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세탁기의 세탁방법 및 장치
KR100432737B1 (ko) * 2001-11-30 2004-05-24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세탁기의 세탁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2536B1 (ko) 세탁기
KR100662300B1 (ko) 세탁기 조세정 방법
KR100531335B1 (ko) 세탁 장치의 운전 방법
KR20100027031A (ko) 드럼세탁기의 세탁수 순환 장치 및 방법
CN100545340C (zh) 洗衣机的运行方法
KR20000045173A (ko) 알칼리성 전해수를 이용한 저수형 전기세탁기
KR20000045171A (ko) 알칼리성 전해수를 이용하여 세탁물을 세탁하는 방법
KR20000045170A (ko) 알칼리성 전해수를 이용한 저수형 전기세탁기
KR20000045172A (ko) 알칼리성 전해수를 이용한 전기세탁기
JP2003117292A (ja) 洗濯機
ES8701261A1 (es) Maquina automatica para el lavado de articulos en un bano que contiene sustancias tensioactivas
KR0161932B1 (ko) 세탁기의 세탁행정 제어방법
JP2003236287A (ja) 洗濯機
JP2003325419A (ja) 食器洗浄機
KR100609502B1 (ko) 세탁기
JP3588807B2 (ja) 全自動洗濯機
KR20030056721A (ko) 전기 분해 장치와 일체로 형성된 세탁기와 세탁 방법
KR20020089776A (ko) 드럼세탁기의 세탁수 펌핑 장치 및 이에 따른 세탁 제어방법
KR100447503B1 (ko) 무세제 세탁기의 전기 분해 장치 세척 방법
KR200170585Y1 (ko) 세탁기
JPH0397497A (ja) 洗濯機
KR19980026736A (ko) 세탁기
KR100224453B1 (ko) 세탁기의 헹굼제어방법
CN115491851A (zh) 一种洗衣机及其控制方法
JPH032174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