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4651B1 - 롤타입 점착 클리너와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롤타입 점착 클리너와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4651B1
KR100454651B1 KR10-2002-7014827A KR20027014827A KR100454651B1 KR 100454651 B1 KR100454651 B1 KR 100454651B1 KR 20027014827 A KR20027014827 A KR 20027014827A KR 100454651 B1 KR100454651 B1 KR 1004546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core
adhesive
adhesive tape
side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4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94010A (ko
Inventor
히로타다카유키
시즈노아키히토
다카바야시게이마
오츠카히로시
우에마츠다케히코
와다미노루
Original Assignee
가오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오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가오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940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40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4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46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0Domestic clean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02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using sheet or web-like material
    • B29C63/04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using sheet or web-like material by folding, winding, bending or the like
    • B29C63/08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using sheet or web-like material by folding, winding, bending or the like by winding helically
    • B29C63/1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using sheet or web-like material by folding, winding, bending or the like by winding helically around tubular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0Domestic clean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L25/005Domestic clean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sing adhesive or tacky surfaces to remove dirt, e.g. lint rem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CMAKING WOUND ARTICLES, e.g. WOUND TUB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C3/00Making tubes or pipes by feeding obliquely to the winding mandrel centre line
    • B31C3/04Seam proce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CMAKING WOUND ARTICLES, e.g. WOUND TUB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C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56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 B29C53/58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helical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4Layer or component removable to expose adhesi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4Layer or component removable to expose adhesive
    • Y10T428/149Sectional layer removable
    • Y10T428/1495Adhesive is on removable lay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박리 개시 단부를 찾기 쉽고, 2장 박리를 발생시키지 않으며, 제조설비를 소형화할 수 있으며, 정밀도를 요하지도 않는, 비용적으로 유리한 롤타입 점착 클리너 및 그 성형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롤타입 점착 클리너는, 일면이 접착제 도포면(A)으로 되고 타면이 박리면(H)으로 된 띠형상의 단면 점착 테이프(T)를 코어(11)상에, 상기 접착제 도포면(A)이 외측이 되도록 하여 복수장 층형상으로 접착함과 아울러 당해 단면 점착 테이프(T)의 측연부(s)가 상기 코어(11)의 축선에 대해 경사방향으로 연신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각 층의 상기 단면 점착 테이프(T)의 측연부(s)가 중합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롤타입 점착 클리너와 그 제조방법{Roll type adhesive cleaner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의복이나 카페트 등에 부착된 먼지나 쓰레기를 제거하는 수단으로서, 롤타입 점착 클리너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점착 클리너는 코어에 단면 점착 테이프(one-side adhesive tape)가 복수장 적층되고, 접착제 도포면에 많은 먼지가 부착된 상태가 되면, 1장씩 박리하여 새로운 접착제 도포면으로 한다.
종래의 점착 클리너의 중심은 코어상에 사용폭의 단면 점착 테이프를 층형상으로 감은, 이른바 레코드 감기 또는 겹쳐 감기 타입의 것인데, 먼지가 너무 많은 상태의 단면 점착 테이프의 박리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띠형상의 단면 점착 테이프가 코어의 축선에 대해 경사방향으로 연신하도록 한, 이른바 스파이럴 타입의 것도 있다.
스파이럴 타입의 점착 클리너로서, 일본 특허공개 평11-216096호 공보에는 이하의 제조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먼저, 코어 메탈에 외주에 코어용 테이프를 둘러감아서 코어를 형성한다. 이어서, 이 코어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접착제 도포면이 외측이 되도록 제1 단면 점착 테이프를 코어의 외측에 경사방향으로부터 둘러감음과 동시에 박리면측에는 접착제를 도포하고, 이것을 코어에 부착한다.
그리고, 다른 단면 점착 테이프를 상기 제1 단면 점착 테이프상에 다수 경사방향으로 둘러감아서 적층체를 형성한다. 이 경우, 코어 메탈 또는 코어의 측부에 다수 배치된 단면 점착 테이프를 공급하는 릴 부재(보빈)로부터 풀어내어진 단면 점착 테이프를 각 층에서 맞댄다. 즉, 단면 점착 테이프의 측단부가 접하도록 둘러감는다.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된 적층체를 축방향 소정 길이마다 절단한다. 소정 길이의 적층체는 핸들에 회전가능하게 형성된 롤러에 부착하고, 의복이나 카페트 등의 표면을 따라서 굴려서, 먼지나 쓰레기를 점착 테이프에 부착시킨다.
그러나, 이와 같은 스파이럴 타입의 점착 클리너나 그 제법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조설비의 관점 및 박리성의 관점에서 불리하다.
이와 같은 점착 테이프를 맞댄 적층체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점착 테이프를 풀어내는 다수의 릴 부재(보빈)가 필요하게 되는데, 이들 릴 부재 상호간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해야만 하고, 또한 정밀도좋게 풀어내어 맞대야만 하기 때문에, 릴 부재의 설치 부분에 있어서의 축방향 길이가 길어지고, 설비 전체가 대형화하여, 제조 스페이스도 큰 것이 필요하게 되며, 또한 정밀도가 높은 설비도 필요하므로, 비용적으로는 아주 불리하다.
또한, 적층체를 축방향 소정 길이마다 절단하면, 박리할 단면 점착 테이프의 단부가 예각의 첨예단(尖銳端)이 되고, 각 단면 접착 테이프의 박리 조작이 용이하게 되며, 절단용의 천공을 형성할 필요도 없어서 유리하지만, 단면 점착 테이프의 측단부가 접하도록 맞대고 있으므로, 적층체의 표면이 전체적으로 요철이 없는 면이 되기 때문에, 각 층의 단면 접착 테이프의 박리 개시 단부를 찾기 어렵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상층의 점착 테이프를 벗겨내었을 때에, 하층의 점착 테이프가 함께 벗겨지게 되는 2장 박리를 발생시키기 쉽다는 결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박리 개시 단부를 찾기 쉽고, 2장 박리를 발생시키지 않으며, 제조설비를 소형화할 수 있으며, 정밀도를 요하지도 않고, 비용적으로 유리한 롤타입 점착 클리너 및 그 성형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복수장 적층한 점착 테이프의 접착제 도포면에 먼지 등을 부착시키고, 먼지가 너무 많아지면, 점착 테이프를 1장씩 박리하도록 한 롤타입 점착 클리너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를 나타낸 롤타입 점착 클리너의 적층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2-2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상기 롤타입 점착 클리너의 성형 상태를 나타낸 요부 개략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를 나타낸 롤타입 점착 클리너의 요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5-5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상기 롤타입 점착 클리너의 성형 상태를 나타낸 요부 개략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를 나타낸 롤타입 점착 클리너의 적층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를 나타낸 롤타입 점착 클리너의 적층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표식이 형성된 롤타입 점착 클리너의 적층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표식이 형성된 롤타입 점착 클리너의 적층체를 나타낸 사시도(도 9에 상응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표식이 형성된 롤타입 점착 클리너의 적층체를 나타낸 사시도(도 9에 상응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표식이 형성된 롤타입 점착 클리너의 적층체를 나타낸 사시도(도 9에 상응하는 도면)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각각 도 9에 나타낸 단면 점착 테이프를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은 수단에 의해 달성된다.
(1)일면이 접착제 도포면으로 되고 타면이 박리면으로 된 띠형상의 단면 점착 테이프를 코어상에, 상기 접착제 도포면이 외측이 되도록 하여 복수장 층형상으로 접착함과 아울러 당해 단면 점착 테이프의 측연부(側緣部;side edge parts)가 상기 코어의 축선에 대해 경사방향으로 연신하도록 형성된 롤타입 점착 클리너에 있어서, 각 층의 상기 단면 점착 테이프의 측연부가 중합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타입 점착 클리너.
(2)상기 단면 점착 테이프는 상기 측연부에 접착제를 도포하지 않는 비도포 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의 롤타입 점착 클리너.
(3)코어 메탈상에 코어용 테이프를 감아서 코어을 형성하는 코어 형성 공정과, 상기 코어상에, 외면측이 접착제 도포면으로 되고 내면측이 박리면(H)으로 된 띠형상의 단면 점착 테이프를 측연부가 상기 코어의 축선에 대해 경사방향으로 연신하도록 다수장 층형상으로 둘러감아서 적층체를 형성하는 적층체 형성 공정과, 당해 적층체를 축방향 소정 길이마다 절단하는 절단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롤타입 점착 클리너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각 층의 상기 단면 점착 테이프의 측연부가 서로 중합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타입 점착 클리너의 제조방법.
(4)띠형상의 단면 점착 테이프를 코어상에 복수장 층형상으로 접착함과 아울러 당해 단면 점착 테이프의 측연부가 상기 코어의 축선에 대해 경사방향으로 연신하도록 형성된 롤타입 점착 클리너에 있어서, 상기 코어과 접하는 층의 점착 테이프를, 접착제 도포면이 외측이 되도록 감은 표면 테이프와, 접착제 도포면이 내측이 되도록 감은 이면 테이프를 번갈아 형성하고, 이들 표면 및 이면 테이프 상에 상기 단면 점착 테이프(T)가 복수장 층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타입 점착 클리너.
(5)상기 표면 테이프와 이면 테이프는 측연부가 포개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4)의 롤타입 점착 클리너.
(6)코어 메탈상에 코어용 테이프(21)를 감는 코어 형성 공정과, 상기 코어와 접하는 내면이 접착제 도포면이 되는 이면 테이프와 외면이 접착제 도포면이 되는 표면 테이프를 번갈아 상기 코어의 축선에 대해 경사 방향으로 연신하도록 형성하는 표면 및 이면 테이프 부착 공정과, 상기 표면 및 이면 테이프상에, 외면이 접착제 도포면으로 되고 내면이 박리면으로 된 띠형상의 단면 점착 테이프를 측연부가상기 코어의 축선에 대해 경사방향으로 연신하도록 다수장 층형상으로 둘러감아서 적층체를 형성하는 적층체 형성 공정과, 당해 적층체를 축방향 소정 길이마다 절단하는 절단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롤타입 점착 클리너의 제조방법.
(7)상기 표면 테이프와 이면 테이프는 측연부가 포개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6)의 롤타입 점착 클리너의 제조방법.
(8)일면이 접착제 도포면으로 되고 타면이 박리면으로 된 띠형상의 단면 점착 테이프를 코어상에, 상기 접착제 도포면이 외측이 되도록 하여 복수장 층형상으로 접착함과 아울러 당해 단면 점착 테이프의 측연부가 상기 코어의 축선에 대해 경사방향으로 연신하도록 형성된 롤타입 점착 클리너에 있어서, 각 층의 상기 단면 점착 테이프의 측연부 사이에 간극이 존재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타입 점착 클리너.
(9)일면이 접착제 도포면으로 되고 타면이 박리면으로 된 띠형상의 단면 점착 테이프를 코어상에, 상기 접착제 도포면이 외측이 되도록 하여 복수장 층형상으로 접착함과 아울러 당해 단면 점착 테이프의 측연부가 상기 코어의 축선에 대해 경사방향으로 연신하도록 형성된 롤타입 점착 클리너에 있어서, 상기 단면 점착 테이프의 측연단부(側緣端部) 또는 측면에, 박리 위치를 나타내는 표식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타입 점착 클리너.
(10)상기 표식은 상기 단면 점착 테이프의 측연부를 따라서 전체길이에 걸쳐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9)의 롤타입 점착 클리너.
이하,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설명하겠다.
〈제1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를 나타낸 롤타입 점착 클리너의 적층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2-2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롤타입 점착 클리너(10)는 도 1,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면측이 접착제 도포면(A)(도 1에서 모래땅으로 나타냄)으로 되고, 내면측이 박리면(H)으로 된 띠형상의 단면 점착 테이프(T)를 코어(11)상에 복수장 층형상으로 접착하여, 적층체(12)로 한 것이다.
이 단면 점착 테이프(T)는 접착제 도포면(A)을 외면으로 하고, 측연부(s)는 코어(11)의 축선에 대해 경사방향으로 연신하도록 코어(11)에 형성되는데, 본 실시형태의 적층체(12)는 각 층에 있어서 각 단면 접착 테이프(T)의 측연부(s1)가 이웃하게 되는 테이프(T)의 측연부(s2)와 중합(도 1에서 사선으로 나타냄)하도록 나선형으로 감겨져 있다. 이 적층체(12)는 길다란 것을 미리 형성하고, 커터(cutter)에 의해 축방향 소정 길이마다 절단하여, 롤타입 점착 클리너(10)로 하고 있다.
이 롤타입 점착 클리너(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층의 단면 접착테이프(T)의 측연부(s)가 중합되어 있으므로, 박리 개시 단부를 찾기 쉽고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게 된다.
단면 접착 테이프(T)나 접착제(13)는 통상 먼지의 부착이 눈에 띄기 쉽도록 백색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단면 점착 테이프(T)의 측연부(s)가 중합되면, 먼지가 부착되기 전에는, 이 중합 부분인 측연부(s)의 백색이 다른 부분보다 하얗게 보이며, 테이프(T)의 측연부(s)이라는 것을 알기 쉽게 되며, 즉 박리 개시 단부이라는 것을 알기 쉽게 된다.
또한, 먼지가 부착된 후에는 중합 부분이 다른 부분보다 들떠있기 때문에, 이 부분에 먼지가 부착되기 쉽고, 다른 부분보다도 검게 보이기 때문에, 상기 사용전과 마찬가지로 박리 개시 단부를 알기 쉽게 된다.
이 때문에, 사용전 사용후의 여하를 불문하고, 육안으로 박리 개시 단부를 찾기 쉬워지며, 게다가 박리 개시 단부는 중합 부분으로 되어 있으며 단차가 있으므로, 접착제(13)가 도포된 접착제 도포면(A)에 비비듯이 외력을 가하면, 당해 단면 점착 테이프(T)를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다.
〈제법〉
이와 같은 롤타입 점착 클리너(10)의 제법에 관하여, 도 3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겠다. 여기서, 도 3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롤타입 점착 클리너의 성형 상태를 나타낸 요부 개략 사시도이다.
〈코어 형성 공정〉
먼저, 코어 메탈(20)상에 복수장의 코어용 테이프(21a∼21c)를 감는다. 코어 메탈(20)는 회전축(22)에 지지되어 있으며, 회전체(22)는 도시하지 않은 모터의 회전이 회전 전달부를 통해 전달되어, 회전된다.
코어 메탈(20)의 측부에는, 코어용 테이프(21a∼21c)를 경사 후방부터 전방을 향하여 풀어내는 릴 부재(21a∼21c)(보빈)가 배치되며, 제1 릴 부재(23a)로부터 풀어내어진 코어용 테이프(21a)는, 접착제가 도포되지 않고 코어 메탈(20)의 외주면에 둘러감겨지며, 제2, 제3 등의 릴 부재(23b, 23c)로부터 풀어내어진 코어용 테이프(21b, 21c)는 접착제 도포 부재(24)에 의해 내면에 접착제(13)가 도포되며, 앞서 코어 메탈(20)에 둘러감겨진 상기 코어용 테이프(21a)상에 둘러감겨진다. 이와 같이 하여 각 코어용 테이프(21a∼21c)가 중합 접착된 코어(11)가 된다.
이 코어(11)는 이송 롤러(25)에 장착된 벨트(도시하지 않음)의 구동에 의해 코어 메탈(20)을 따라서 축방향으로 보내진다. 적층체(12)의 형성시에 코어(11)에는 코어 메탈(20)이 회전하는 힘과, 단면 접착 테이프를 코어에 둘러감는 힘이 반대방향으로 가해지므로, 이들 힘에 맞서 파괴되지 않도록 하는 강도가 필요하다. 특히, 코어를 2부위에서 고정하여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서 7Nm이상의 토크를 가하더라도, 변형이나 파열이 생기지 않는 강도가 코어에는 필요하다.
〈양면 테이프 부착 공정〉
코어 메탈(20)상에 형성된 코어(11)에 대하여 양면 테이프(26)를 경사 방향으로 점착한다. 이 양면 테이프(26)는 나중의 점착 테이프(T)에 의한 적층체(12)를 코어(11)에 고정하는 것이다.
다만, 적층체(12)를 코어(11)에 고정하는 수단은 반드시 양면 테이프(26)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접착제를 코어(11)상에 도포하거나 또는 단면 접착 테이프(T)에 접착제 도포 부재(24)에 의해 접착제를 도포해도 좋다. 경우에 따라서는 단면 접착 테이프(T)의 표면 및 이면을 반대로 한 것을 한쌍 형성하고, 서로 측단이 중합하도록 해도 좋다.
〈적층체 형성 공정〉
이와 같이 하여 양면 테이프(26) 등이 점착된 상태의 코어(11)가 이동하는 코어 메탈(20)의 측부에는, 띠형상의 단면 점착 테이프(T)를 경사 후방에서 전방을 향하여 풀어내는 릴 부재(27)(보빈)가 소정 갯수 배치되어 있다. 각 릴 부재(271, 272, 273, …27n) 등으로부터 풀어내어진 단면 점착 테이프(T1, T2, T3, …Tn)는 외면측이 접착제 도포면(A), 내면측이 박리면(H)으로 되어 있으며, 하위층의 접착제 도포면(A)에 상위층의 박리면(H)이 합쳐지게 된다.
이 단면 접착 테이프(T1∼Tn)는 측연부(s)가 코어(11)의 축선에 대해 경사방향으로 연신하도록 차례차례로 둘러감겨진다. 특히, 본 실시형태의 적층체(12)는 각 층에 있어서 단면 점착 테이프(T)의 측연부(s1)가 이웃하는 단면 점착 테이프(T)의 측연부(s2)와 중합 상태가 되도록 둘러감겨진다.
이와 같이 점착 테이프(T)의 측연부(s)를 중합 상태로 하면, 다수의 릴 부재(27)(보빈) 상호간을 근접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으며, 릴 부재(27)가 설치되어 있는 축방향 길이를 단축할 수 있으며, 설비 전체가 소형화되고, 제조 스페이스도 큰 것이 필요하지 않게 된다. 또한, 단면 점착 테이프(T)의 측연부(s)를 맞대는 경우에 비하여 풀어냄 정밀도를 높게 할 필요도 없으므로, 설비 비용적으로 유리하게 된다.
〈절단 공정〉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된 적층체(12)는 축방향 소정 길이마다 절단하는 커터(30)에 의해 절단된다. 이 경우, 적층체(12)는 이동하고 있기 때문에 커터(30)도 이동하면서 절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실시형태〉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를 나타낸 롤타입 점착 클리너의 요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5-5선을 따른 단면도, 도 6은 상기 롤타입 점착 클리너의 성형 상태를 나타낸 요부 개략 사시도이며, 상기 도 1∼도 3에 나타낸 부재와 공통하는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하겠다.
본 실시형태의 롤타입 점착 클리너(10)는 도 4,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어(11)와 접하는 제1 층의 단면 점착 테이프(T1)를, 접착제 도포면(A)이 외측이 되도록 감은 표면 테이프(Ta)와, 접착제 도포면(A)이 내측이 되도록 감은 이면 테이프(Tb)를, 측연부(s1, s2)가 포개지도록 형성하고, 이들 표면 및 이면 테이프(Ta,Tb)상에 단면 점착 테이프(T2∼Tn)를 접착제 도포면(A)이 외측이 되도록 복수장 층형상으로 형성하여, 적층체(12)로 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제1 실시형태와 같이 양면 테이프(26)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적층체(12)를 코어(11)에 고정할 수 있으며, 또한 코어용 테이프(21) 이외에는 모두 단면 점착 테이프(T)를 사용하지 않게 되므로, 재고 관리나 테이프의 부착 작업 등이 용이하게 된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상기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코어 메탈(20)상에 코어용 테이프(21a∼21c)를 감고, 코어(11)을 형성한 후, 코어 메탈(20)의 측부에 형성된 릴 부재(27a, 27b)부터, 경사 후방에서 전방을 향하여 표면 테이프(Ta)와 이면 테이프(Tb)를 둘러감는다.
먼저, 표면 테이프(Ta)부터 감기 시작한다. 이 경우, 표면 테이프(Ta) 상호간의 측단간의 거리는 이면 테이프(Tb)의 폭보다도 작게 설정해 둔다. 그리고, 이면 테이프(Tb)를 권회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표면 테이프(Ta) 상호간을 이면 테이프(Tb)의 폭보다도 작게 설정하면, 표면 테이프(Ta) 사이에 중합하도록 이면 테이프(Tb)를 설치할 수 있다. 이 결과, 상기 이면 테이프(Tb)는 표면 테이프(Ta)의 접착면에 고정적으로 부착된다.
이와 같이 하여 표면 및 이면 테이프(Ta, Tb)의 부착이 완료되면, 상기 제1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단면 점착 테이프(T1∼Tn)를 측연부가 포개지도록 감아서, 적층체(12)를 형성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표면 테이프(Ta)와 이면 테이프(Tb)를 측연부(s)가 포개지도록 감았으나, 이것 대신에, 표면 테이프(Ta)의 이면에 접착제 도포 부재(24)에 의해 접착제를 도포하면, 이 측연부(s)가 포개지지 않더라도 표면 테이프(Ta)를 부착할 수 있다.
〈제3 실시형태〉
상기 제1, 제2 실시형태는 단면 접착 테이프(T)의 측연부(s)가 서로 포개진 것인데, 박리성만을 고려한다면, 각 층의 단면 점착 테이프(T)의 측연부(s) 사이에 간극(도시하지 않음)이 존재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맞댄 것에 비하여 릴 부재(27)의 설치 스페이스는 커지지만, 단면 점착 테이프(T) 상호간의 박리성이 향상된다.
〈제4 실시형태〉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를 나타낸 롤타입 점착 클리너의 적층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롤타입 점착 클리너(10)도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외면측이 접착제 도포면(A)으로 되고, 내면측이 박리면(H)로 된 띠형상의 단면 점착 테이프(T)를 코어(11)상에 나선형으로 복수장 층형상으로 접착하고, 각 층의 단면 점착 테이프(T)의 측연부(s1)가 이웃하는 단면 점착 테이프(T)의 측연부(s)와 중합해 있다. 그리고, 박리 개시 단부로부터 박리 완료 단부까지 전체길이에 걸쳐서, 상기 단면 점착 테이프(T)의 측연부(s)에 접착제(13)를 도포하고 있지 않은 비도포 영역(15)을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박리 개시 단부를 잡아서 단면 점착 테이프(T)를 박리하였을 때에, 그 박리가 하층에 위치하는 단면 점착 테이프에 영향을 주기 어려워지며, 2장 박리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구성하면, 상기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백지에서의 백색이 들뜬 부분의 위치를 나타내는 것이 되므로, 육안으로 박리 개시 단부를 찾기 쉽게 될 뿐만 아니라, 눈이 부자유스런 분이나 노인분 등의 경우에도, 이 박리 개시 단부를 명확하고도 간단히 판별할 수 있게 되어, 찾기 쉬워진다.
상세하게는, 단면 점착 테이프(T)를 감을 때에, 서로 중합된 측연부(s1및 s2)는 접착제(13)가 도포되어 있지 않은 부분끼리가 중합되게 되며, 먼지의 부착 전후를 불문하고, 박리 개시 단부를 알기 쉽게 된다.
육안에 의한 경우에는, 먼지의 부착전에는, 백색의 들뜸에 의해, 먼지의 부착후에는 접착제가 도포된 부분에는 먼지가 부착되어 검고, 비도포 영역(15)에는 먼지는 부착되지 않고, 원래의 바탕 그대로가 되며, 나선형상으로 백지가 들뜨게 되어 박리 개시 단부를 쉽게 찾아낼 수 있다.
또한, 눈이 부자유스런 분 등의 경우에는, 먼지의 부착 전후를 불문하고, 비도포 영역(15)을 따라서 손가락을 이동하거나, 또는 점착 클리너(10)의 축방향 양단부 외주 모서리부를 손가락으로 더듬으면, 접착제(13)를 도포하고 있지 않은 박리 개시 단부를 간단히 찾아낼 수 있다. 게다가, 접착제의 도포 영역이 적어지므로, 비용적으로도 유리하게 된다.
〈제5 실시형태〉
도 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를 나타낸 롤타입 점착 클리너의 적층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롤타입 점착 클리너(10)는 상기 제4 실시형태의 개량형이며, 또한 박리 개시 단부를 명확하고도 간단히 판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실시형태의 단면 점착 테이프(T)는 상기 제4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박리 개시 단부로부터 박리 완료 단부까지 전체 길이에 걸쳐서, 측연부(s)에 접착제(13)를 도포하고 있지 않은 비도포 영역(15)을 형성함과 아울러 단면 점착 테이프(T)의 측연단부 또는 측면에 박리 위치를 나타내는 표식(16)을 형성한 것이다. 표식(16)은 테이프(T)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또는 불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여기서, "표식"이란 적어도 상기 박리 개시 단부이라는 것을 사용자에게 인식시킬 수 있는 수단이며, 예를 들면 도형, 기호 또는 문자 등의 인쇄에 의한 표시, 밀봉의 점착, 펀칭에 의한 블랭킹 또는 엠보스 가공에 의한 요철부착 형태를 들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박리 개시 단부에, 상기 박리 개시 단부에 인접하는 부위와의 경계를 식별할 수 있는 착색을 실시함으로써 "표식"으로 하고 있다.
특히, 접착제(13)를 도포하고 있지 않은 비도포 영역(15)에 있어서의 단면점착 테이프(T)의 측연단부 또는 측면에 표식(16)을 형성하는 경우, 상기 박리 개시 단부에 원 포인트적으로 착색을 실시해도 되지만, 테이프(T)의 측연부(s)를 따라서 전체 길이에 걸쳐서 착색을 실시하면, 박리 개시 단부부터 박리 완료 단부까지의 박리 라인이 명시될 뿐만 아니라 접착제(13)가 도포되어 있지 않은 비도포 영역(15), 즉 비접착 부분도 확실하게 되며, 취급성이 향상된다. 또한, 축방향으로 나선형의 선이 들어가기 때문에, 의장적 효과도 생기며 상품 가치도 증대된다.
이와 같이, 표식(16)이 테이프(T)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손가락을 비도포 영역(15)을 따라서 이동하거나 또는 점착 클리너(10)의 축방향 양단부 외주 모서리부를 손가락끝으로 더듬지 않고, 박리 개시 단부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찾아낼 수 있다.
표식(16)의 구체적인 형태로는 도 9∼도 12에 나타낸 것을 들 수 있다. 도 9에 나타낸 점착 클리너에 있어서의 단면 접착 테이프(T)는 백지의 것으로, 한쪽의 측연단부를 포함하는 거의 세로 절반이 길이방향 전체 길이에 걸쳐서 착색되어, 표식(16)을 형성하고 있다. 착색되어 표식(16)을 형성하고 있는 부분에는 단면 점착 테이프(T)의 박리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가 인쇄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화살표 대신에 또는 화살표와 함께 박리방향을 나타내는 문자를 형성해도 좋다. 단면 점착 테이프(T)에 있어서의 표식(16)을 형성하고 있는 부분의 측연단부에는, 단면 점착 테이프(T)의 길이방향 전체 길이에 걸쳐서,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지 않은 비도포 영역(15)이 형성되어 있다. 단면 접착 테이프(T)에 있어서의 비도포 영역(15) 이외의 영역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다. 단면 점착 테이프(T)를 나선형으로 감으면,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면 점착 테이프(T)에 있어서의 백지 부분위에, 표식(16)이 형성된 착색 부분이 포개지므로, 2색의 색의 차이로부터, 박리 개시 단부를 육안으로 쉽게 찾아낼 수 있다. 또한, 단면 점착 테이프(T)의 박리 조작중에, 상기 테이프(T)가 도중에서 찢어진 경우에도, 찢어진 단부를 쉽게 찾아낼 수 있다.
도 10에 나타낸 점착 클리너에 있어서의 단면 점착 테이프(T)도 도 9에 나타낸 단면 점착 테이프와 마찬가지로 백지의 것이다. 다만, 도 10에 나타낸 단면 점착 테이프(T)에 있어서는, 착색되어 표식(16)을 형성하고 있는 부분이, 도 9에 나타낸 단면 점착 테이프와 좌우 반대로 되어 있다. 그리고, 단면 점착 테이프(T)에 있어서의 표식(16)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의 측연단부에, 단면 점착 테이프(T)의 길이방향 전체 길이에 걸쳐서,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지 않은 비도포 영역(15)이 형성되어 있다. 도 10에 나타낸 단면 점착 테이프(T)를 나선형으로 감으면, 단면 점착 테이프(T)에 있어서의 표식(16)이 형성된 착색 부분위에, 백지의 부분이 포개진다. 따라서, 도 9에 나타낸 단면 점착 테이프와 마찬가지로, 2색의 색의 차이로부터, 박리 개시 단부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찾아낼 수 있다.
도 11에 나타낸 점착 클리너에 있어서의 단면 점착 테이프(T)에는, 그 한쪽의 측연단부에 길이방향 전체 길이에 걸쳐서 폭이 좁게 착색이 실시되어, 표식(1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측연단부에, 단면 점착 테이프(T)의 길이방향 전체 길이에 걸쳐서,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지 않은 비도포 영역(15)이 형성되어 있다. 비도포 영역(15)도 폭이 좁은데, 표식(16)보다도 큰 폭으로 되어 있다. 환언하면, 비도포 영역(15)은 표식(16) 전체를 포함하고 있다.
도 12에 나타낸 점착 클리너에 있어서의 단면 점착 테이프(T)는 도 11에 나타낸 단면 점착 테이프와 거의 동일하며, 양자가 다른 점은 도 12에 나타낸 단면 점착 테이프(T)에는, 그 박리 개시 단부에 비교적 큰 삼각형의 표식(16a)이 더 형성되어 있는 점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도 11에 나타낸 단면 점착 테이프에 비하여, 박리 개시 단부를 한층 용이하게 찾아낼 수 있다.
측단 부위에 착색이 실시된 단면 점착 테이프를 제조하는 방법을, 도 9에 나타낸 단면 점착 테이프를 예로 들어 도 13a 및 도 13b를 참조하면서 설명하겠다. 먼저, 도 1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면 점착 테이프의 폭의 수배의 폭을 갖는 띠형상 연속체(17)를 원반(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풀어내고, 그 일면에, 폭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어 폭이 두꺼운 줄무늬 형상의 착색 부분(18, 18…)을 그라비아 인쇄 등의 방법에 의해 복수개 형성한다. 이어서, 띠형상 연속체(17)에 있어서의 착색 부분(18)이 형성된 면 위에, 접착제(도시하지 않음)를 폭이 두꺼운 줄무늬 형상으로 복수개 도공한다. 접착제의 도포폭은 제조하고자 하는 단면 점착 테이프의 폭보다도 약간 작게 하여 복수개 도포한다. 접착제의 도포폭은 제조하고자 하는 단면 점착 테이프의 폭보다도 약간 작게 하여, 서로 이웃하는 줄무늬 형상의 접착제 사이에 폭이 좁은 비도포 영역(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도록 한다. 비도포 영역을 형성하는 위치는, 도 13a에 있어서의 각 착색 부분(18)에 있어서의 우측단으로부터 수밀미미터 내지 수십 밀리미터 내측으로 치우친 위치로 한다.
다음으로, 도 1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띠형상 연속체(17)를 슬리터(slitter) 등의 재단(裁斷) 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소정폭으로 재단하고, 착색에 의해형성된 표식(16)을 갖는 단면 점착 테이프(T)를 얻는다. 재단 위치(C)는 각 착색 부분(18)에 있어서의 우측단으로 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그러나, 재단 장치의 정밀도에 따라서는, 재단 위치(C)가 우측단으로부터 내측 또는 외측으로 변이하는 경우가 있으며, 특히 재단 위치(C)가 우측단으로부터 외측으로 변이한 경우에는, 얻어지는 단면 점착 테이프(T)에 있어서의 표식(16)의 외측단에, 착색되어 있지 않은 폭이 좁은 부위가 나타나게 되어 외관상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재단 위치의 정밀도를 고려하여, 재단 위치(C)는 도 1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착색 부분(18)에 있어서의 우측단으로부터 수밀리미터 정도 내측으로 치우친 위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단면 점착 테이프(T)에 있어서는, 그 좌측단에, 착색된 폭이 좁은 부위가 나타나게 되는데, 통상 상기 폭이 좁은 부위는 단면 점착 테이프(T)를 포개어 감아서 감출 수 있으므로, 제품의 외관상 특히 문제는 생기지 않는다. 다만 포개어 감을 때의 정밀도에 따라서는, 상기 폭은 좁은 부위를 감출 수가 없으며, 의도하지 않았지만 상기 폭이 좁은 부위가 표식(16)과 포개지게 되어, 박리 개시 단부를 발견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이더라도, 예를 들면 단면 점착 테이프(T)의 박리 조작중에, 상기 테이프(T)가 도중에서 찢어진 경우에는, 찢어진 단부를 쉽게 찾아낼 수 있다.
이상은 단면 점착 테이프의 측연단부에 표식을 형성하는 경우의 방법인데, 다음으로 단면 점착 테이프의 측면에 표식을 형성하는 경우의 방법도 설명하겠다. 먼저, 이미 접착제가 도포되고 또한 비도포 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단면 점착 테이프의 연속체를 감아서, 원통형상의 원반을 제작한다. 이 원통형상의 원반에 있어서의 상면 또는 하면의 어느 한쪽에, 소정 수단에 의해 착색을 실시한다. 이에 따라, 단면 점착 테이프의 한 측면이 착색되어 표식이 형성된다.
도 8∼도 12에 나타낸 실시형태에서 사용한 표식(16)은 특히 설명할 것도 없이, 제1 실시형태 및 제2 실시형태의 롤타입 점착 클리너에 적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단면 점착 테이프(T)의 측연부(s) 사이에 간극이 존재해도록 한, 이른바 오픈 감기타입의 제3 실시형태의 롤타입 점착 클리너에도, 표식(16)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생산 효율이 문제되지 않는 한도에서, 단면 점착 테이프(T)의 측연부(s)가 접하도록 맞대어져 있는, 이른바 맞대어 감기타입의 롤타입 점착 클리너에도, 표식(16)을 적용할 수 있다. 특히, 포개어 감기 및 맞대어 감기타입의 롤타입 점착 클리너의 경우에 효과적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청구범위내에서 여러가지로 변경사용할 수 있다.
청구의 범위의 청구항 1, 3의 발명에서는, 각 층의 단면 점착 테이프의 측연부가 중합하도록 하였으므로, 박리 개시 단부를 찾기 쉽고, 제조 설비도 소형화할 수 있으며, 높은 정밀도를 요하지도 않으며, 비용적으로 유리하다.
청구의 범위의 청구항 2의 발명에서는, 각 층의 단면 점착 테이프의 측연부에 접착제를 도포하지 않도록 하였으므로, 2장 박리를 초래하지도 않고, 박리 개시 단부를 찾기 쉬우며, 비용적으로 유리하다.
청구의 범위의 청구항 4, 5, 6, 7의 발명에서는, 표면 테이프와 이면 테이프의 측연부가 포개지도록 하였으므로, 양면 테이프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적층체를 코어에 고정할 수 있으며, 코어용 테이프 이외에는 모두 단면 점착 테이프의 사용이 되고, 재고 관리나 테이프의 부착 작업 등이 용이하게 된다.
청구의 범위의 청구항 8의 발명에서는, 각 층의 단면 점착 테이프의 측연부 사이에 간극이 존재하도록 하였으므로, 단부의 박리성이 아주 향상된다.
청구의 범위의 청구항 9의 발명에서는, 각 층의 단면 점착 테이프의 측연단부 또는 측면에 박리 위치를 나타내는 표식을 형성하였으므로, 박리 개시 단부를 찾기 쉬워진다. 특히, 단면 점착 테이프의 측연부를 서로 포갠 경우, 및 상기 측연부를 맞댄 경우에 효과적이다.
청구의 범위의 청구항 10의 발명에서는, 상기 표식을 단면 점착 테이프의 측연부를 따라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하였으므로, 비접착 부분도 확실하게 되어 더욱 박리 개시 단부를 찾기 쉬우며, 또한, 축방향으로 나선형의 선이 들어가기 때문에, 의장적 효과도 생기고 상품 가치도 증대된다.

Claims (10)

  1. 일면이 접착제 도포면(A)으로 되고 타면이 박리면(H)으로 된 띠형상의 단면 점착(one-side adhesive) 테이프(T)를 코어(11)상에, 상기 접착제 도포면(A)이 외측이 되도록 하여 복수장 층형상으로 접착함과 아울러 당해 단면 점착 테이프(T)의 측연부(s)가 상기 코어(11)의 축선에 대해 경사방향으로 연신하도록 형성된 롤타입 점착 클리너에 있어서,
    각 층의 상기 단면 점착 테이프(T)의 측연부(側緣部;side edge parts)(s)가 중합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타입 점착 클리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면 점착 테이프(T)는 상기 측연부(s)에 접착제(13)를 도포하지 않는 비도포 영역(15)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타입 점착 클리너.
  3. 코어 메탈(20)상에 코어용 테이프(21)를 감아서 코어(11)를 형성하는 코어 형성 공정과,
    상기 코어(11)상에, 외면측이 접착제 도포면(A)으로 되고 내면측이 박리면(H)으로 된 띠형상의 단면 점착 테이프(T)를 측연부(s)가 상기 코어(11)의 축선에 대해 경사방향으로 연신하도록 다수장 층형상으로 둘러감아서 적층체(12)를 형성하는 적층체 형성 공정과,
    당해 적층체(12)를 축방향 소정 길이마다 절단하는 절단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롤타입 점착 클리너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각 층의 상기 단면 점착 테이프(T)의 측연부(s)가 서로 중합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타입 점착 클리너의 제조방법.
  4. 띠형상의 단면 점착 테이프(T)를 코어(11)상에 복수장 층형상으로 접착함과 아울러 당해 단면 점착 테이프(T)의 측연부(s)가 상기 코어(11)의 축선에 대해 경사방향으로 연신하도록 형성된 롤타입 점착 클리너에 있어서,
    상기 코어(11)와 접하는 층의 점착 테이프를, 접착제 도포면(A)이 외측이 되도록 감은 표면 테이프(Ta)와, 접착제 도포면(A)이 내측이 되도록 감은 이면 테이프(Tb)를 번갈아 형성하고, 이들 표면과 이면 테이프(Ta, Tb) 상에 상기 단면 점착 테이프(T)가 복수장 층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타입 점착 클리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테이프(Ta)와 이면 테이프(Tb)는 측연부(s)가 포개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타입 점착 클리너.
  6. 코어 메탈(20)상에 코어용 테이프(21)를 감는 코어 형성 공정과,
    상기 코어(11)와 접하는 내면이 접착제 도포면(A)이 되는 이면 테이프(Tb)와외면이 접착제 도포면(A)이 되는 표면 테이프(Ta)를 번갈아 상기 코어(11)의 축선에 대해 경사 방향으로 연신하도록 형성하는 표면 및 이면 테이프 부착 공정과,
    상기 표면 및 이면 테이프(Ta, Tb)상에, 외면이 접착제 도포면(A)으로 되고 내면이 박리면(H)으로 된 띠형상의 단면 점착 테이프(T)를 측연부(s)가 상기 코어(11)의 축선에 대해 경사방향으로 연신하도록 다수장 층형상으로 둘러감아서 적층체(12)를 형성하는 적층체 형성 공정과,
    당해 적층체(12)를 축방향 소정 길이마다 절단하는 절단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롤타입 점착 클리너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테이프(Ta)와 이면 테이프(Tb)는 측연부(s)가 포개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타입 점착 클리너의 제조방법.
  8. 일면이 접착제 도포면(A)으로 되고 타면이 박리면(H)으로 된 띠형상의 단면 점착 테이프(T)를 코어(11)상에, 상기 접착제 도포면(A)이 외측이 되도록 하여 복수장 층형상으로 접착함과 아울러 당해 단면 점착 테이프(T)의 측연부(s)가 상기 코어(11)의 축선에 대해 경사방향으로 연신하도록 형성된 롤타입 점착 클리너에 있어서,
    각 층의 상기 단면 점착 테이프(T)의 측연부(s) 사이에 간극이 존재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타입 점착 클리너.
  9. 일면이 접착제 도포면(A)으로 되고 타면이 박리면(H)으로 된 띠형상의 단면 점착 테이프(T)를 코어(11)상에, 상기 접착제 도포면(A)이 외측이 되도록 하여 복수장 층형상으로 접착함과 아울러 당해 단면 점착 테이프(T)의 측연부(s)가 상기 코어(11)의 축선에 대해 경사방향으로 연신하도록 형성된 롤타입 점착 클리너에 있어서,
    상기 단면 점착 테이프(T)의 측연단부(側緣端部) 또는 측면에, 박리 위치를 나타내는 표식(16)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타입 점착 클리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표식(16)은 상기 단면 점착 테이프(T)의 측연부(s)를 따라서 전체길이에 걸쳐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타입 점착 클리너.
KR10-2002-7014827A 2001-03-06 2002-02-26 롤타입 점착 클리너와 그 제조방법 KR1004546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062009 2001-03-06
JP2001062009 2001-03-06
JPJP-P-2001-00249103 2001-08-20
JP2001249103 2001-08-20
JP2001379284A JP3731652B2 (ja) 2001-03-06 2001-12-12 ロール式粘着クリーナとその製造方法
JPJP-P-2001-00379284 2001-12-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4010A KR20020094010A (ko) 2002-12-16
KR100454651B1 true KR100454651B1 (ko) 2004-11-03

Family

ID=27346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4827A KR100454651B1 (ko) 2001-03-06 2002-02-26 롤타입 점착 클리너와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20030165650A1 (ko)
EP (1) EP1393668A4 (ko)
JP (1) JP3731652B2 (ko)
KR (1) KR100454651B1 (ko)
CN (1) CN1223307C (ko)
TW (1) TWI222859B (ko)
WO (1) WO200206978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6412A (ko) 2017-02-16 2017-03-08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점착 클리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필름 라미네이팅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0074A (ja) * 2001-10-18 2003-07-08 Kao Corp 粘着ロールクリーナ
JP3886450B2 (ja) 2002-12-26 2007-02-28 花王株式会社 粘着ロールクリーナ
US20040134003A1 (en) * 2003-01-09 2004-07-15 Helmac Products Corporation Adhesive roller
GB0310527D0 (en) * 2003-05-08 2003-06-11 Jevtec Ltd Spool for adhesive tape
US8539631B2 (en) * 2004-07-09 2013-09-2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Roller for providing benefits to fabric
EP1765139A1 (en) * 2004-07-09 2007-03-28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Roller for providing benefits to fabric
KR100800267B1 (ko) * 2007-11-12 2008-02-01 류태현 접착 롤 크리너와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WO2010061737A1 (ja) * 2008-11-25 2010-06-03 日鉱金属株式会社 銅箔又は銅張り積層板の巻取り方法
JP6043359B2 (ja) * 2012-10-10 2016-12-14 株式会社 ドリームライク 粘着ローラー式掃除用具
JP6050646B2 (ja) * 2012-10-10 2016-12-21 株式会社ニトムズ 粘着式クリーナー
JP2014204790A (ja) * 2013-04-11 2014-10-30 アズマ工業株式会社 カーペットクリーナー用粘着テープロール
US10166566B2 (en) * 2015-02-13 2019-01-01 Tube Tape, LLC Flexible tubular tape
CN108784628A (zh) * 2018-08-30 2018-11-13 浙江山联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清洁滚筒
CN114017578B (zh) * 2021-11-08 2023-06-16 张一平 工业创可贴的敷设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85512A (en) * 1929-09-20 1930-12-16 Harold S Buttenheim Cleaner for shoe linings
US2623445A (en) * 1944-07-24 1952-12-30 Robinson Ernest Bradbury Method of producing helically wound containers
US2807039A (en) * 1954-12-20 1957-09-24 Lindley E Butler Roller for removing lint
US2960753A (en) * 1955-01-13 1960-11-22 Mount Hope Machinery Ltd Sheet-engaging rolls
US3016137A (en) * 1957-11-06 1962-01-09 Reynolds Metals Co Plastic film roll system
US3343194A (en) * 1965-04-22 1967-09-26 Ramelson Samuel Lint remover
US3342325A (en) * 1966-07-01 1967-09-19 Donald F Dreher Lint removers
FR1492319A (fr) * 1966-07-06 1967-08-18 Lincrusta Perfectionnements apportés aux brosses adhésives
CH635764A5 (en) * 1979-02-15 1983-04-29 Collimex Ag Clothes roller, in particular for removing hairs from clothing
JPS6080769U (ja) * 1983-11-08 1985-06-05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式クリ−ナ
JPS60218248A (ja) * 1984-04-13 1985-10-31 Teraoka Seisakusho:Kk 粘着テ−プの巻取方法
JPH0719413Y2 (ja) * 1985-03-25 1995-05-10 株式会社ニトムズ クリ−ナ用粘着テ−プ
US4727616A (en) * 1986-09-15 1988-03-01 Ronald Kucera Pick up roller
US5027465A (en) * 1988-06-20 1991-07-02 Mckay Nicholas D Lint remover
JPH0623547Y2 (ja) * 1989-05-26 1994-06-22 東洋インキ製造株式会社 粘着テープ巻重体
DE4234609C1 (de) * 1992-10-14 1993-12-23 Gebrauchs Geraete Gmbh Klebebandrolle
US5548861A (en) * 1993-02-25 1996-08-27 Hukuba; Hiroshi Adhering cleaning tool
DE9402146U1 (de) * 1994-02-09 1994-03-31 Pharmex Chemical Ag Basel Spiralgewickelte Fusselrolle mit nichthaftender Randzone
US5763038A (en) * 1997-02-25 1998-06-09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Progressively perforated tape roll
JP4027489B2 (ja) * 1998-02-02 2007-12-26 日東電工株式会社 ロ−ル式粘着クリ−ナ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6412A (ko) 2017-02-16 2017-03-08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점착 클리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필름 라미네이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3135365A (ja) 2003-05-13
KR20020094010A (ko) 2002-12-16
CN1223307C (zh) 2005-10-19
EP1393668A1 (en) 2004-03-03
EP1393668A4 (en) 2009-06-17
JP3731652B2 (ja) 2006-01-05
US20070104916A1 (en) 2007-05-10
US20030165650A1 (en) 2003-09-04
TWI222859B (en) 2004-11-01
WO2002069780A1 (fr) 2002-09-12
CN1457243A (zh) 2003-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4651B1 (ko) 롤타입 점착 클리너와 그 제조방법
JP5067559B2 (ja) 清掃用具
CA2409559A1 (en) Paper core turnup apparatus
JP4173875B2 (ja) ロール式粘着クリーナとその製造方法
KR19990067421A (ko) 라벨 제조방법
JP2001000383A (ja) 粘着テープクリーナおよび同クリーナ用ロール体の製造方法
JP4736154B2 (ja) 両面接着テープ
KR20090105305A (ko) 제진롤, 제진롤의 제조방법 및 표면 세정장치
JPH09108170A (ja) 除塵用粘着テープ
JP2015006934A (ja) フィルム巻取用巻芯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0284395A (ja) 清掃用具
JP2925958B2 (ja) 貼着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22131632A (ja) 粘着テープ
JPH0734913Y2 (ja) 粘着テープ
US20050221043A1 (en) Adhesive roller assembly
WO2014024580A1 (ja) ラベルロール
JP2024007808A (ja) フィルムロールおよびフィルムロールにおける接着テープの剥離方法
JPH0519154B2 (ko)
JP4462539B2 (ja) アルミニウム箔の巻物
JP2001311059A (ja) 粘着テープロール
JP3008141U (ja) 自動貼り用帯状積層体
JP2003164411A (ja) 清掃用具用粘着ローラ
JP4780934B2 (ja) 感圧性接着テープ
JPH069894B2 (ja) ラベルの製造方法
JP2544153Y2 (ja) 粘着クリーナ用テープ巻回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