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1404B1 - 상 가열 장치 - Google Patents

상 가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1404B1
KR100421404B1 KR10-2001-0058917A KR20010058917A KR100421404B1 KR 100421404 B1 KR100421404 B1 KR 100421404B1 KR 20010058917 A KR20010058917 A KR 20010058917A KR 100421404 B1 KR100421404 B1 KR 1004214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sheet
movable member
recording material
thin film
n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8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4539A (ko
Inventor
다나까노리아끼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24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45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14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14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17Structural details of the fixing unit in general, e.g. cooling means, heat shielding means
    • G03G15/2028Structural details of the fixing unit in general, e.g. cooling means, heat shielding means with means for handling the copy material in the fixing nip, e.g. introduction guides, stripping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72Paper handling
    • G03G2221/1675Paper handling jam treat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x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상 가열 장치는 화상을 담지한 기록 재료를 개재 및 반송하는 닙을 구비하고 기록 재료와 접촉하는 회전 부재를 구비한 히터와, 가동 부재가 회전 부재에 대해 맞닿는 제1 위치와 가동 부재가 회전 부재로부터 떨어져 있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기록 재료의 이동 방향으로 닙의 하류에 배치된 가동 부재를 포함하고, 가동 부재는 기록 재료가 정상적으로 반송될 때 제2 위치에 배치되고, 기록 재료가 닙의 하류로 비정상적으로 반송될 때 가동 부재는 제1 위치로 이동한다.

Description

상 가열 장치 {IMAGE H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복사기 또는 프린터와 같은 화상 형성 장치 상에 장착된 열 정착 장치에 의해 나타낸 상 가열 장치, 및 화상등의 표면 특성을 향상하기 위해 기록 시트 상의 화상을 가열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예로, 토너 화상이 그 위에서 전사되는 기록 시트를 위한 토너 상 가열 정착 장치로서 전술된 상 가열 장치를 갖춘 전사 장치의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서, 잼 발생(jamming)과 같은 문제점이 닙부(nipping portion)의 하류에 발생되어 기록 시트의 반송이 차단되게 되면, 기록 시트는 어느 곳으로도 반송되지 않게 되고, 기록 시트는 가열 유닛에 포집되어, 잼 처리가 어려운 상태로 된다.
그러한 이유로 인해, 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지금까지 다양한 기술들이 일예로 일본 특허 공개 평10-74015호, 일본 특허 공개 평9-236958호등에 개시되어 왔다.
일본 특허 공개 평10-74015호는 분리 갈고리가 가열 유닛으로서 기능하는 정착 롤러와 압축 접촉되는 방향을 향해 분리 갈고리가 스프링에 의해 항상 압박되고, 분리 갈고리가 잼 발생 시트에 의해 정착 롤러에서 외주연 방향으로 이동될 때, 분리 갈고리의 이동은 기록 시트가 정착 롤러에 의해 포집되는 것을 검출하는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이용되는 정착 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평9-236958호는 가열 롤러 주위의 기록 시트의 뒤얽힘이 가열 유닛으로서 기능하는 가열 롤러와 구동 장치 사이에 배치되고 가열 롤러의 하중 토크를 검출하는 토크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토크값에 의해 검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4는 막 가열 방법과 압력 롤러 구동 방법을 채용하고 내열성 원통형 박막을 이용한 무장력 타입인 상 가열 장치의 일예를 도시한 구조적 개략도이다. 이러한 상 가열 장치는 일예로 일본 특허 공개 평4-44075호 및 평4-44033호등에 개시되어 있다.
가열 유닛(1)은 도1의 평면의 수직 방향 길이의 측방향으로 긴 부재이다. 가열 유닛(1)은 측방향 단면이 반원호 홈통 형태로 되고 내열성 및 강도를 갖는 지주(stay)(6)와, 측방향으로 길고 얇으며 낮은 열용량을 갖고 지주의 종방향을 따라 지주(6)의 하부면에 마련된 좌석 홈부 내로 고정식으로 끼워맞춰진 판형 가열 부재(일예로, 세라믹 히터)(H)와, 가열 부재(H)가 그에 부착된 지주(6) 상에 외부에서 헐겁게 끼워맞춰진 내열성 박막(5)과, 그 측방향 부분이 U자 형태이고 하향 지향되고 지주(6) 내로 삽입되는 강성 압력 부재(11)등으로 구성된다.
압력 롤러 유닛(2)은 코어(2a)의 외주연 상에서 롤러 형태로 동축상으로 성형되는 내열성 탄성 재료층(2b)과 코어(2a)로 구성된다. 압력 롤러 유닛(2)은 코어(2a)의 양단부가 (도시되지 않은) 베어링을 통해 전방의 (도시되지 않은) 측판과 장치 섀시(12)의 후방측 사이에서 회전식으로 유지되도록 배치된다.
가열 유닛(1)은 가열 부재(H)측이 하향 지향되도록 압력 롤러 유닛(2)과 평행하게 압력 롤러 유닛(2)의 상부측 상에 배치되고, 강성 압력 부재(11)의 양단부는 (도시되지 않은) 압력 압박 부재에 의해 압력 롤러 유닛(2)에 대해 압박되어, 가열부로서 주어진 폭을 갖는 닙부(N)를 형성하도록 가열 부재(H)의 하향 지향면은 내열성막(5)을 통해 주어진 압력하에서 탄성 재료층의 탄성에 대해 압력 롤러 유닛(2)의 내열성 탄성 재료층(2b)에 압박 접촉하게 된다.
압력 롤러 유닛(2)은 구동 수단(M)에 의해 화살표로 나타낸 반시계방향("a")으로 주어진 주연 속도로 회전 구동된다. 회전력은 압력 롤러 유닛(2)의 외부면과 내열성 박막(5) 사이의 닙부(N)에서 압력 롤러 유닛(2)의 회전에 의해 야기된 압박 접촉 마찰력으로 인해 원통형 내열성 박막(5) 상에 가해진다. 내열성 박막(5)은 지주(6)의 외주연 상에서 화살표에 의해 나타낸 시계 방향(a')으로 회전하게 되는 반면에 내열성 박막(5)의 내부면은 가열 부재(H)의 하향 지향면과 밀착 접촉하여 미끄러지게 된다.
압력 롤러 유닛(2)은 원통형 내열성 박막(5)이 압력 롤러 유닛(2)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게 되는 상태로 회전 구동된다. 또한, 가열 부재(H)는 통전되고, 가열 부재(H)의 온도는 상승하며 정해진 온도에 이르기 까지 조절된다. 그러한 상태에서, 비정착 토너 화상(T)을 담지한 기록 시트(S)는 닙부(N) 내의 압력 롤러 유닛(2)과 내열성 박막(5) 사이에 도입되고, 기록 시트(S)는 개재되어 기록 시트(S)의 토너 화상 담지면측이 정착 닙부(N)에서 내열성 박막(5)의 외부면과 밀착 접촉하는 상태에서 내열성 박막(5)과 함께 반송된다. 개재 및 반송 과정에서, 가열 부재(H)의 열은 내열성 박막(5)을 거쳐 기록 시트로 전달되고, 기록 시트(S) 상의 비정착 토너 화상(T)은 융합 고착물(T')을 만들도록 기록 시트(S) 상에서 가열 및 가압된다.
가열 유닛(1)의 지주(6)는 내열성 박막 회전 방향으로 닙부(N)의 하류의 기록 시트(S)의 가로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된 반원형 분리 만곡부(9)를 갖추고 있고, 내열성 박막(5)의 곡률은 부분적으로 더 크게 되어, 내열성 박막(5)으로부터 닙부(N)를 통과하는 기록 시트(S)를 자체 제거한다.
내열성 박막(5)으로부터 자체 제거된 기록 시트(S)는 상부 및 하부 안내판(13)을 통과하게 되고 반송 및 운반되도록 한 쌍의 운반 롤러(4)에 의해 공급된다.
또한, 가열 유닛(1)과 압력 롤러 유닛(2)은 온도가 높기 때문에, 사용자가 그들 유닛(1, 2)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가열 유닛(1)과 압력 롤러 유닛(2)을 덮는 고정 덮개(3)가 마련된다.
도15에 도시된 대로 전술된 상 가열 장치에서, 몇몇 원인으로 인해 잼이 발생할 때, 기록 시트(S)는 고정 덮개(3)의 내부에서 주름이 있는 상태(accordion state)로 되고, 기록 시트(S)의 말단부가 그 안으로 삽입되는 공간이 존재하지 않아, 기록 시트(S)와 내열성 박막(5)이 토너를 통해 서로 근접 접촉하게 되고 기록 시트가 닙부(N) 내로 재삽입되는 상태에서 내열성 박막(5)이 회전하게 되는 우려를 가져오게 된다. 그 결과, 기록 시트(S)의 말단부와 닙부(N) 내로 재삽입되는 기록 시트의 일부는 토너(T)로 서로 부착하게 되고, 잼 처리가 어렵게 된다.
위의 결함을 극복하기 위해, 도17에 도시된 대로, 리브(R)는 가열 유닛(1)의 하류의 고정 덮개(3)의 벽 상에 배치되고, 리브(R)와 가열 유닛(1) 간의 간극("t")은 내열성 박막(5) 주위의 기록 시트(S)의 뒤얽힘을 방지하도록 좁아지게 된다.
전술된 각각의 종래의 기술은 기록 시트(S)가 가열 유닛(1) 주위로 뒤얽히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지만, 다음의 문제를 향상하는 것이 요구된다.
즉, 일본 특허 공개 평10-74015호에 개시된 장치는 전술된 대로 가열 유닛과 뒤얽힘 검출부로서 기능하는 고정 롤러에 분리 갈고리를 압박 접촉시키기 위한 스프링용 레버 부재 및 축을 필요로 하고, 따라서 그 구조가 복잡해진다. 또한, 힘이 분리 갈고리가 고정 롤러에 압박 접촉하게 되는 방향으로 고정 롤러에 항상 가해지기 때문에, 고정 롤러 상에 고착된 적은 양의 토너는 분리 갈고리의 말단 상에 고착되어 적층화된다. 적층 토너가 정착 롤러 상에 재 고착되게 되면, 화상 얼룩이 기록 시트 상에 발생하거나, 또는 토너가 그에 고착되지 않는 값비싼 재료의 사용이 요구된다. 또한, 분리 갈고리가 정착 롤러에 대해 항상 압박되기 때문에, 내열성이 크고 정착 롤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값비싼 특정 재료가 선택되어야 한다. 또한, 분리 갈고리는 분리 갈고리를 정착 롤러에 대해 항상 압박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정착 롤러가 조립시에 손상되기 쉬운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평9-236958호에 개시된 장치는 전술된 대로 가열 유닛으로서 기능하는 가열 롤러와 구동 장치 사이에 배치되고 가열 롤러의 하중 토크를 검출하는 토크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토크값을 기초로 하여 기록 시트의 뒤얽힘을 검출한다. 가열 롤러가 열전달 효율을 위해 직경을 작게 만들고 또한 속도가 커지게 되면, 토크 검출 후의 구동 장치의 작동이 멈추게 되더라도, 기록 시트는 가열 롤러등의 관성에 의해 반송되고, 가열 롤러 주위로 뒤얽힌 기록 시트의 잼 처리가 어려워진다.
또한, 도17에 도시된 막 가열 장치의 상 가열 장치에서, 간극(t)이 전술된 대로 좁게 설정되더라도, 기록 시트(S) 상의 인쇄 밀도가 높을 때, 내열성 박막(5)과 기록 시트(S)가 토너를 통해 서로 근접 접촉하게 되고, 내열성 박막이 기록 시트(S)에 대해 밀리게 되고, 기록 시트(S)와 고정 덮개(3) 간의 간극(t)이 확장되고, 기록 시트(S)가 간극("t")을 통과하게 되고, 기록 시트(S)가 내열성 박막(5) 상에 권취되는 우려가 있게 된다.
전술된 문제점에 비추어 보아 본 발명이 이루어져 왔으며,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록 재료가 회전 부재 주위로 뒤얽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상 가열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회전 부재 상의 손상이 줄어드는 한편 기록 재료가 회전 부재 주위로 뒤얽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상 가열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계속해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록 재료의 잼 발생 후에 잼 처리를 쉽게 실행하는 상 가열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일예를 도시한 개략 구성도.
도2는 정착기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3은 분리 갈고리가 배치되어 있는 (유형 1의) 개략도.
도4는 분리 갈고리가 배치되어 있는 (유형 2의) 개략도.
도5는 잼 상태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6은 잼 처리 상태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정착기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8은 잼 상태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9는 잼 처리 상태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정착기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11은 잼 상태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12는 잼 처리 상태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정착기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14는 종래의 정착기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15는 기록 시트가 가열 유닛 주위로 뒤얽히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16은 뒤얽힌 기록 시트 상의 토너가 서로 부착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다이어그램.
도17은 가열 유닛 상의 기록 시트의 뒤얽힘에 대한 종래의 대책을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18은 종래의 대책에서 가열 유닛 주위로 기록 시트의 뒤얽힘이 발생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가열 유닛
3 : 고정 덮개
5 : 내열성 박막
7 : 분리 갈고리
21 : 감광 드럼
22 : 대전 롤러
27 : 전사 롤러
위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라, 화상을 담지한 기록 재료를 개재하여 반송하는 닙(nip)을 구비하고 기록 재료와 접촉하는 회전 부재를 구비한 가열 수단과, 가동 부재가 회전 부재에 대해 맞닿는 제1 위치와 가동 부재가 회전 부재로부터 떨어져 있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기록 재료의 이동 방향으로 닙의 하류에 배치된 가동 부재를 포함하고, 가동 부재는 기록 재료가 정상적으로 반송될 때 제2 위치에 배치되고, 기록 재료가 닙의 하류로 비정상적으로 반송될 때 가동 부재는 제1 위치로 이동하게 되는 상 가열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잘 알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첨부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 충분히 잘 알 수 있게 된다.
이제,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이 적용되는 상 가열 장치 및 정착기로서의 상 가열 장치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해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실시예)
(A) 화상 형성 장치의 예
도1은 토너 화상의 정착기로서 본 발명의 상 가열 장치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의 일예를 도시한 개략 구성도이다. 이러한 예의 화상 형성 장치(A)는 전사 전자사진 프로세스를 이용한 레이저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이후에는 "감광 드럼"으로 불리는) 드럼형 전자사진 감광 부재(21)는 화살표에 의해 나타낸 시계 방향으로 소정의 주연 속도로 회전 구동된다.
감광 드럼(21)은 그 회전 프로세스 중에 대전 롤러(22)에 의해 소정 극성의 균일한 대전 및 전위를 거치게 되고, 그후 레이저 스캐너(23)에 의해 화상 형성의 레이저 주사 노출광(L)을 거치게 되어, 그 주연면 상의 화상 형성에 대응하는 정전 잠상을 형성하게 된다. 도면 부호 24는 레이저 비임 편향 거울을 나타낸다.
감광 드럼(21)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은 현상 장치(25)에 의해 토너 화상으로서 반전 현상 또는 정상 현상을 거치게 된다. 현상 롤러(26)는 현상 장치(25) 내에 배치된다.
전사 롤러(27)는 전사 닙부를 형성하도록 감광 드럼(21)에 압박 접촉하게 된다.
기록 시트(기록 재료)(S)는 적층화되어 공급 카세트(28) 내에 포함된다. 하나의 기록 시트(S)는 공급 롤러(29)를 구동함으로써 공급 카세트(28)의 내부로부터 분리 및 공급되고, 그후 소정의 제어 시기에 정합 롤러(30)에 의해 전사 닙부로 공급되고, 감광 드럼(21) 표면측 상의 토너 화상은 기록 시트(S)의 표면으로 연속적으로 전사된다.
전사 닙부를 통과한 기록 시트(S)는 감광 드럼(21)의 표면으로부터 분리되고 그후 기록 시트(S)가 토너 화상의 열 고정 프로세스를 거치게 되는 정착기(31) 내로 도입되고, 그후에 기록 시트(S)는 운반 롤러(4) 쌍에 의해 장치의 외부로 운반된다.
또한, 비전사 토너와 같은 잔류 부착물은 기록 시트(S)가 세척 장치(32)에 의해 감광 드럼(21) 표면으로부터 분리된 후에 감광 드럼(21)의 표면으로부터 제거되어 감광 드럼(21) 표면은 세척되고, 감광 드럼(21)은 화상을 형성하도록 반복적으로 채용되게 된다.
(B) 정착기(31)
도2는 상 가열 장치로서의 정착기(31)를 도시한 개략 구성도이다. 정착기(31)는 도14에 도시된 전술된 정착기에서와 같이 원통형 내열성 박막을 이용한 막 가열 방식, 압력 롤러 구동 방식 및 무장력식의 상 가열 장치이다. 도14에 도시된 정착기와 동일한 구성 부재 및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부기되며, 그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면 부호 7은 분리 갈고리(가동 부재)를 나타내고, 일예로 하나의 분리 갈고리는 도3에 도시된 대로 종방향으로 가열 유닛(1)의 중앙에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거나, 또는 2개 이상의 분리 갈고리는 종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가열 유닛(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고정 덮개(3)는 도3 및 도4에서 생략되어 있다.
분리 갈고리(7)는 분리 갈고리(7)의 상단부측 상에 배치된 측방향 축부(7a)가 베어링에 의해 고정 덮개(3)측 상에 배치된 (도시되지 않은) 베어링부 상에 유지되고, 분리 갈고리(7)는 (기록 시트 반송 방향의 닙부의 하류의) 가열 유닛(1)의 닙부의 하류의 고정 덮개(3)로부터 매달려 있고 측방향 축부(7a)를 중심으로 하여 선회 가능하도록 설계된다. 또한, 분리 갈고리(7)의 상단부는 도면 우측 상의 실제 수직으로 절곡된 아암부(7b)를 갖추고 있고, 측방향 축부(7a)를 중심으로 하여 도면의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 모멘트는 아암부(7b)의 중량에 의해 분리 갈고리(7) 상에 가해진다. 그후, 고정 상태(자유 상태)에서, 아암부(7b)는 그 자중에 의해 낙하하게 되고 측방향 축부(7a)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고정 덮개(3)의 상부면 상에 배치된 수납부(3a)에 의해 수용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분리 갈고리(7)의 말단부는 가열 유닛(1)의 내열성 박막(5)의 표면으로부터 떨어져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내열성 박막(5)의 표면과 분리 갈고리(7)의 말단부 간의 간극은 0.2mm 내지 5mm, 바람직하게는 0.5mm 내지 2.5mm로 설정된다.
또한, 분리 갈고리(7)의 말단부와 내열성 박막(5)측은 R 0.5mm로 매끄럽게 형성된다.
고정 상태에서, 전사부에서 토너 화상의 전사를 거치게 되고 그후정착기(31) 내로 도입되는 기록 시트(S)는 정착기(31)의 닙부(N)에 의해 개재 및 반송되어, 히터(H)로부터의 열과 내열성 박막(5)을 통한 닙 압력으로 기록 시트 상의 토너 화상을 정착시킨다. 닙부(N)를 통과하고 토너와 함께 내열성 박막(5)과 근접 접촉하게 되는 기록 시트(S)는 지주(6)의 분리 만곡부(9)에 의해 내열성 박막(5)으로부터 분리되고, 그후 운반 롤러(4) 쌍으로 반송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분리 갈고리(7)는 분리 갈고리(7)가 가열 유닛(1)의 내열성 박막(5)의 표면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상태로 유지된다.
운반 센서 플랙(flag)(8)은 정착 닙부(N)의 외부로 나가게 되고, 정착막(5)으로부터 분리되고 그후 운반 롤러(4) 쌍으로 반송되는 기록 시트(S)와의 접촉에 의해 낙하하게 되어, (도시되지 않은) 센서부와 협력하여 운반 롤러(4) 쌍을 통과하는 기록 시트를 검출하게 된다.
다시 말해, 운반 센서 플랙(8)은 기록 시트(S)가 존재하지 않을 때 도2의 실선에 의해 나타낸 대로 직립 상태에 있게 되는 반면에, 센서부는 오프 상태에 있게 된다. 기록 시트가 정착 닙부(N)로부터 운반 롤러(4) 쌍으로 반송될 때, 운반 센서 플랙(8)은 이점 쇄선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기록 시트의 선행 단부에 의해 낙하하게 되고, 센서부가 온 상태로 유지되는 동안 기록 시트의 말단부가 운반 롤러(4) 쌍을 통과할 때 까지 낙하된 상태로 유지된다.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는 센서부로부터의 오프 신호에 응답하여 기록 시트의 부재를 검출하고, 온 신호에 응답하여 기록 시트의 존재를 검출한다.
제어부는 센서부로부터의 온 신호의 존속 기간이 소정 범위 내에 있을 때 기록 시트가 정상적으로 운반 및 반송되는 것을 인식한다. 온 신호의 존속 기간이 소정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 제어부는 기록 시트의 잼 발생이 정착 닙부(N)와 운반 롤러(4) 쌍 사이에서 발생하는 것을 인식하고, 압력 롤러 유닛 구동 수단(M)을 포함하는 프린터 구동 수단을 긴급 정지시키고 표시부 상에 잼 발생을 나타내고, 조작자의 잼 처리를 촉진시킨다.
전술된 구성에서, 기록 시트(S)가 몇몇 원인으로 인해 운반 롤러(4) 쌍으로부터 전방으로 반송되지 않을 때, 기록 시트(S)는 고정 덮개(3) 내에 및 운반 롤러(4) 쌍과 닙부(N) 사이에서 주름이 있는 상태로 되고, 잼 기록 시트부는 분리 갈고리(7)의 외부면측(가열 유닛(1)측 반대편의 분리 갈고리(7)의 표면)과 접촉하게 되어 압박되고, 그 결과 분리 갈고리(7)는 아암부(7b)의 자중에 의해 야기된 시계 방향의 회전 모멘트에 대해 가열 유닛(1)측을 향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개시되며, 0.5mm의 반경(R)을 갖는 분리 갈고리(7)의 매끄러운 말단부와 가열 유닛(1)의 내열성 박막(5)의 표면은 최종적으로 서로 맞닿게 된다.
또한, 기록 시트(S)가 반송될 때, 기록 시트(S)가 지나가게 되는 공간이 존재하지 않으며, 그 결과 기록 시트(S)와 내열성 박막(5)은 분리 만곡부(9)에서 서로로부터 분리되지 않으며, 기록 시트(S)는 토너를 통해 내열성 박막(5)과 근접 접촉하여 그 주위로 뒤얽히기 시작한다.
내열성 박막(5) 주위로 뒤얽히기 시작하는 기록 시트(S)는 가열 유닛(1)의 내열성 박막(5)의 표면에 대해 맞닿게 되는 분리 갈고리(7)에 의해 내열성 박막(5)으로부터 부분적으로 분리되어, 기록 시트(S)의 뒤얽힘을 차단하게 된다.
도5는 기록 시트(S)의 전술된 잼 발생 상태를 도시한 다이어그램이다. 분리 갈고리(7)는 측방향 축부(7a)를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그 말단부는 잼 발생된 기록 시트부를 분리 갈고리의 외부면에 접촉 압박함으로써 가열 유닛(1)의 내열성 박막(5)의 표면에 대해 맞닿게 되고, 아암부(7b)는 고정 덮개(3)의 상부면 상의 수납부(3a)로부터 상승 및 부상된다.
어느 곳으로도 갈 수 없는 기록 시트(S)가 더 멀리 반송될 때, 기록 시트(S)는 분리 갈고리(7)의 하부에서 조금 주름진 상태로 되거나, 닙부(N)에서 미끄러지게 된다.
제어부에 의한 잼 발생 검출에 따라 압력 롤러 유닛 구동 수단(M)을 포함하는 프린터 구동 수단의 긴급 정지는 운반 센서 플랙(8)의 낙하를 기초로 하여 센서부로부터의 온 신호의 지속 기간이 전술된 대로 주어진 범위를 초과하는 시간에 이루어진다.
이후에, 잼 처리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주름진 상태에 있는 기록 시트(S)가 운반 롤러(4) 쌍의 하류측으로부터 당겨질 때, 고정 덮개(3) 내의 하류측에서의 주름부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라지게 되고, 분리 갈고리(7)는 아암부(7b)의 자중에 의해 고정 상태 위치로 복원된다.
그후에, 기록 시트(S)는 어려움 없이 운반 롤러(4) 쌍측으로부터 당겨지고, 잼 발생된 시트가 찢어지는 일 없이 잼 처리가 달성된다.
전술된 대로, 잼 발생 기록 시트가 제거된 후에 프린터의 리셋(reset) 과정이 수행되어, 인쇄 작업을 재개시할 수 있게 된다.
전술된 대로, 이러한 실시예에 따라, 분리 갈고리(7)는 정상 정착 시간 동안 가열 유닛(1)의 내열성 박막(5)과 접촉함이 없이 배치되고, 분리 갈고리(7)는 잼이 발생할 때 까지 내열성 박막(5)과 접촉하지 않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내열성 박막(5)에 과도한 힘이 가해지지 않고, 내열성 박막(5)의 손상과 과도한 마모 및 분리 갈고리(7) 상의 토너 얼룩이 최대한 줄어들게 되고, 가열 유닛(1) 주위의 기록 시트(S)의 뒤얽힘이 비교적 비싸지 않은 기구로 방지되어, 사용자가 간단한 절차에 따라 잼 처리를 수행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분리 갈고리(7)의 배치 방법이 간단하고 분리 갈고리(7)가 고정 덮개(3)의 상부측으로부터 배치되기 때문에, 분리 갈고리(7)는 가열 유닛(1)의 손상 없이 조립될 수 있다.
또한, 분리 갈고리(7)의 말단부가 0.5mm의 반경(R)을 갖는 매끄러운 형상으로 되기 때문에, 내열성 박막(5)이 손상되는 것을 또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제2 실시예)
도7 내지 도9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정착기(31)를 도시한 개략 구성도이다.
정착기(31)는 분리 갈고리(7)의 고정 상태와 잼 발생시의 분리 갈고리(7) 간의 위치상 변화에 따라 잼 발생을 검출하고, 센서(10)에 의한 잼 발생 검출에 응답하여 압력 롤러 유닛 구동 수단(M)을 포함하는 프린터 구동 수단을 정지시키는 잼 검출 센서(10)를 갖추고 있다.
정착기 및 프린터의 다른 구성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며, 따라서 유사 구성 부재 및 부품은 동일한 도면부호에 의해 나타내며, 그 반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잼 검출 센서(10)는 일예로 고정 덮개(3)의 상부면 상에 배치된 광 커플러이다. 잼 검출 센서(10)에 대해 실제 직각으로 절곡된 분리 갈고리(7)의 아암부(7b)의 선행 단부(7c)는 센서 플랙과 관련되게 된다.
다시 말해, 고정 상태에서, 분리 갈고리(7)의 아암부(7b)는 아암부(7b)가 낙하하게 되고 아암부(7b)의 자중에 의해 측방향 축부(7a)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회전 위치 상태에 있게 되고, 그후 고정 덮개(3)의 상부면 상에 배치된 수납부(3a)에 의해 수용된다. 잼 검출 센서(10)로서 기능하는 광 커플러는 센서 광학 경로가 (도7의) 회전 위치 상태에 있는 아암부(7b)의 말단부 플랙부(7c)에 의해 차단되기 때문에 오프 상태에 있게 된다.
전술된 대로 잼이 발생할 때, 잼 발생 기록 시트부는 분리 갈고리의 외부면에 의해 접촉 및 압박되어, 분리 갈고리(7)가 측방향 축부(7a)를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고, 말단부는 가열 유닛(1)의 내열성 박막(5)의 표면에 대해 맞닿게 되고, 아암부(7b)는 고정 덮개(3)의 상부면 상의 수납부(3a)로부터 상승 및 부상되는 상태에 있게 되고, 아암부(7b)의 말단부 플랙부(7c)는 광 커플러(10)의 센서 광학 경로로부터 벗어나게 된다. 그 결과, 광 커플러(10)는 (도8의) 센서 광학 경로가 개방되기 때문에 온 상태로 된다.
광 커플러(10)의 온 신호는 잼 검출 신호이고, 제어 회로(100)는 잼 검출 신호를 기초로 하여 압력 롤러 유닛 구동 수단(M)을 포함한 프린터 구동 수단을 긴급 정지시킨다.
그 결과, 기록 시트(S)는 구동 수단(M)의 관성 만큼 반송되고 그후 정지한다. 전술된 대로, 잼 발생이 검출된 후에 구동 수단(M)이 즉시 정지하기 때문에, 내열성 박막(5)에 인가된 응력은 제1 실시예에서 보다 더 작아지게 된다.
이후에, 잼 처리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주름진 상태에 있는 기록 시트(S)가 운반 롤러(4) 쌍의 하류로부터 당겨질 때, 고정 덮개(3) 내의 하류측에서의 주름부는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라지게 되고, 분리 갈고리(7)는 아암부(7b)의 자중에 의해 고정 상태로 복원되고, 잼 검출 센서로서 기능하는 광 커플러(10)는 센서 광학 경로가 아암부(7b)의 말단부 플랙부(7c)에 의해 차단되기 때문에 오프 상태로 복원된다.
그후에, 기록 시트(S)는 어려움 없이 운반 롤러(4) 쌍으로부터 당겨지고, 잼 발생된 시트가 찢어지는 일 없이 잼 처리가 달성된다.
전술된 대로, 잼 발생 기록 시트가 제거된 후에 프린터의 리셋 과정이 수행되어, 인쇄 작업을 재개시할 수 있게 된다.
전술된 대로, 이러한 실시예에 따라, 분리 갈고리(7)는 정상 정착 시간 동안 내열성 박막(5)과 접촉함이 없이 배치되고, 분리 갈고리(7)의 매끄러운 말단부는 잼이 발생할 때 까지 내열성 박막(5)과 접촉하지 않게 되고, 잼 발생의 검출로 인해 구동 수단(M)은 정지한다. 그 결과, 내열성 박막(5)에 과도한 힘이 가해지지 않고, 내열성 박막(5)의 손상과 과도한 마모 및 분리 갈고리(7)에 의해 야기된 토너 얼룩이 최대한 줄어들게 되고, 가열 유닛(1) 주위의 기록 시트(S)의 뒤얽힘이 비교적 비싸지 않은 기구로 방지되어, 사용자가 간단한 절차에 따라 잼 처리를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잼 검출 센서(10)는 광 커플러에 한정되지 않고, 마이크로 스위치와 같은 또 다른 센서/계전기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실시예)
도10 내지 도12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정착기(31)를 도시한 개략 구성도이다.
정착기(31)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정착기(31)에서 슬라이더 헤드부(7d)가 분리 갈고리(7)의 상단부 상에 배치되고, 슬라이더 헤드부(7d)가 고정 덮개(3) 내에 마련된 슬릿 구멍 부재(12)의 슬릿 구멍(12a)과 결합하여 그에 의해 유지되고, 분리 갈고리(7)가 가열 유닛(1)의 닙부의 하류로(기록 시트 반송 방향의 닙부의 하류로) 고정 덮개(3)로부터 걸려있도록 설계된다.
슬릿 구멍(12a)은 기록 시트 반송 방향의 길이 방향으로 좌측 하향 경사져 있다. 경사각은 15°이상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리 갈고리(7)의 슬라이더 헤드부(7d)는 슬릿 구멍(12a)의 종방향을 따라 활주 가능하다. 즉, 분리 갈고리(7)는 분리 갈고리(7)가 슬라이더 헤드부(7d)를 슬릿 구멍(12a) 내에 활주시킴으로써 가열 유닛(1)에 접촉 및 그로부터 분리시키는 접촉 및 분리 방향으로 선형 이동 가능하다.
정착기 및 프린터의 다른 구성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며, 따라서 유사 구성 부재 및 부품은 동일한 도면부호에 의해 나타내며, 그 반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고정 상태에서, 도10에 도시된 대로, 분리 갈고리(7)의 헤드부(7d)는 그 자중에 의해 경사진 슬릿 구멍(12a)의 경사면을 따라 하방 활주하고 그후 헤드부(7d)가 그 측면에서 슬릿 구멍 단부에 의해 수용되는 위치로 유지되고, 분리 갈고리(7)의 선행 단부는 가열 유닛(1)의 내열성 박막(5)의 표면으로부터 떨어져 있게 된다.
전술된 구성에서, 기록 시트(S)가 몇몇 원인으로 인해 운반 롤러(4) 쌍으로부터 전방으로 반송되지 않을 때, 기록 시트(S)는 고정 덮개(3) 내에 및 운반 롤러(4) 쌍과 닙부(N) 사이에서 주름이 있는 상태로 되고, 잼 기록 시트부는 분리 갈고리(7)의 외부면측(가열 유닛(1)측 반대편의 분리 갈고리(7)의 표면)과 접촉하게 되어 압박되고, 그 결과 분리 갈고리(7)는 그 자중에 대해 밀리게 되고 슬릿 구멍(12a)을 따라 가열 유닛(1)측을 향해 이동 개시되며, 0.5mm의 반경(R)을 갖는 분리 갈고리(7)의 매끄러운 말단부와 가열 유닛(1)의 내열성 박막(5)의 표면은 최종적으로 서로 맞닿게 된다.
또한, 기록 시트(S)가 반송될 때, 기록 시트(S)가 지나가게 되는 공간이 존재하지 않으며, 그 결과 기록 시트(S)와 내열성 박막(5)은 분리 만곡부(9)에서 서로로부터 분리되지 않으며, 기록 시트(S)는 토너를 통해 내열성 박막(5)과 근접 접촉하여 그 주위로 뒤얽히기 시작한다.
내열성 박막(5) 주위로 뒤얽히기 시작하는 기록 시트(S)는 가열 유닛(1)의 내열성 박막(5)의 표면에 대해 맞닿게 되는 분리 갈고리(7)로 인해 내열성 박막(5)으로부터 부분적으로 분리되어, 기록 시트(S)의 뒤얽힘을 차단하게 된다.
도11은 기록 시트(S)의 전술된 잼 발생 상태를 도시한 다이어그램이다. 분리 갈고리(7)는 잼 발생 기록 시트부를 분리 갈고리의 외부면에 접촉하여 밀어냄으로써 그 자중에 대해 가열 유닛(1)측을 향해 밀리게 되고 그 결과 그 말단부는 가열 유닛(1)의 내열성 박막(5)의 표면에 대해 맞닿게 된다.
어느 곳으로도 갈 수 없는 기록 시트(S)가 더 멀리 반송될 때, 기록 시트(S)는 분리 갈고리(7)의 하부에서 조금 주름진 상태로 되거나, 닙부(N)에서 미끄러지게 된다.
제어부에 의한 잼 발생 검출에 따라 압력 롤러 유닛 구동 수단(M)을 포함하는 프린터 구동 수단의 긴급 정지는 제1 실시예에 기재된 대로 운반 센서 플랙(8)의 낙하를 기초로 하여 센서부로부터의 온 신호의 지속 기간이 소정 범위를 초과하는 시간에 이루어진다.
이후에, 잼 처리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주름진 상태에 있는 기록 시트(S)가 운반 롤러(4) 쌍의 하류측으로부터 당겨질 때, 고정 덮개(3) 내의 하류측에서의 주름부는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라지게 되고, 분리 갈고리(7)의 헤드부(7d)는 그 자중에 의해 경사진 슬릿 구멍(12a)의 경사면을 따라 하방 활주하고 그후 헤드부(7d)가 그 측면에서 슬릿 구멍 단부에 의해 수용되는 위치로 유지된다. 그후, 분리 갈고리(7)는 분리 갈고리의 선행 단부가 내열성 박막(5)의 표면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고정 상태 위치로 복원된다.
그후에, 기록 시트(S)는 어려움 없이 운반 롤러(4) 쌍측으로부터 당겨지고, 잼 발생된 시트가 찢어지는 일 없이 잼 처리가 달성된다.
전술된 대로, 잼 발생 기록 시트가 제거된 후에 프린터의 리셋 과정이 수행되어, 인쇄 작업을 재개시할 수 있게 된다.
전술된 대로, 이러한 실시예에 따라, 분리 갈고리(7)는 정상 정착 시간 동안가열 유닛(1)의 내열성 박막(5)과 접촉함이 없이 배치되고, 분리 갈고리(7)는 잼이 발생할 때 까지 내열성 박막(5)과 접촉하지 않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내열성 박막(5)에 과도한 힘이 가해지지 않고, 내열성 박막(5)의 손상과 과도한 마모 및 분리 갈고리(7)에 의해 야기된 토너 얼룩이 최대한 줄어들게 되고, 가열 유닛(1) 상의 기록 시트(S)의 뒤얽힘이 비교적 비싸지 않은 기구로 방지되어, 사용자가 간단한 절차에 따라 잼 처리를 수행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분리 갈고리(7)의 배치 방법이 간단하고 분리 갈고리(7)가 고정 덮개(3)의 상부측으로부터 배치되기 때문에, 분리 갈고리(7)는 가열 유닛(1)의 손상 없이 조립될 수 있다.
또한, 분리 갈고리(7)의 말단부가 0.5mm의 반경(R)을 갖는 매끄러운 형상으로 되기 때문에, 내열성 박막(5)이 손상되는 것을 또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제4 실시예)
전술된 각각의 실시예는 가열 유닛(1)으로서의 내열성 박막(5)을 이용한 예들을 나타낸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들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히터(H)가 도13에 도시된 대로 그 중앙에 배치된 가열 롤러형 가열 유닛(1A)으로 형성될 수 있다.
(기타)
1) 각각의 실시예의 상 가열 장치는 정착 장치이나, 본 발명에 따른 상 가열 장치는 정착 장치 뿐만 아니라 예비 정착 프로세스와, 에나멜링과 같은 표면 재성형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상 가열 장치를 포함한다.
2) 본 발명이 전자기 유도 가열 장치와 같은 또 다른 가열 장치의 상 가열 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3) 화상 형성 원리, 기록 시트의 프로세스 및 장치는 전사식 전자사진 장치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감광지 또는 정전 기록 시트, 정전 기록 장치, 자기 기록 장치등을 이용한 직접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된 예에 한정되지 않고, 기술적 사상이 동일한 수정예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선행 설명은 예증 및 설명을 위해 제공되어 왔다. 그 실시예는 남김없이 예를 들거나 본 발명을 기재된 바로 그 형태로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며, 수정 및 변형은 위의 사상에 비추어 보아 가능하며 또는 본 발명의 실행으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실시예들은 특정 용도에 적합한 다양한 수정예와 함께 그 기술 분야에 숙련된 자가 본 발명을 다양한 실시예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그 실제 적용 및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선택되고 설명되었다. 본 발명의 범주 및 동등예는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 한정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기록 재료가 회전 부재 주위로 뒤얽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기록 재료의 잼 발생 후에 잼 처리를 쉽게 실행하는 상 가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0)

  1. 화상을 담지한 기록 재료를 개재하여 반송하는 닙을 구비하고 기록 재료와 접촉하는 회전 부재를 구비한 가열 수단과,
    가동 부재가 회전 부재에 대해 맞닿는 제1 위치와 상기 가동 부재가 상기 회전 부재로부터 떨어져 있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기록 재료의 이동 방향으로 닙의 하류에 배치된 가동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 부재는 기록 재료가 정상적으로 반송되고 닙 근방에 위치하지 않을 때 제2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가동 부재는 기록 재료가 닙의 하류로 비정상적으로 반송될 때 제1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 가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가동 부재는 기록 재료가 닙의 하류로 비정상적으로 반송될 때 기록 재료에 의해 밀리게 되어 제1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 가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가동 부재는 상기 가동 부재가 기록 재료에 의해 밀리지 않게 될 때 그 자중에 의해 제2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 가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가동 부재는 회전 부재로부터 기록 재료를 분리하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 가열 장치.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가동 부재는 제2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가동 부재의 말단부와 회전 부재 간의 거리는 0.2mm 내지 5mm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 가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 가열 장치는 기록 재료의 비정상 반송을 검출하는 기능을 갖는 수단을 더 포함하고, 가동 부재는 그 기능의 일부로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 가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회전 부재의 주연면에 대향되는 덮개를 더 포함하고, 가동 부재는 상기 덮개 상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 가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회전 부재는 막형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 가열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회전 부재는 롤러형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 가열 장치.
KR10-2001-0058917A 2000-09-25 2001-09-24 상 가열 장치 KR1004214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291027A JP4579393B2 (ja) 2000-09-25 2000-09-25 像加熱装置
JPJP-P-2000-00291027 2000-09-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4539A KR20020024539A (ko) 2002-03-30
KR100421404B1 true KR100421404B1 (ko) 2004-03-09

Family

ID=18774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8917A KR100421404B1 (ko) 2000-09-25 2001-09-24 상 가열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615017B2 (ko)
EP (1) EP1191404B1 (ko)
JP (1) JP4579393B2 (ko)
KR (1) KR100421404B1 (ko)
CN (1) CN1158579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84814A (ja) * 2002-12-05 2004-07-02 Canon Inc 加熱装置
JP4160841B2 (ja) * 2003-02-19 2008-10-0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定着ジャム検出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US20050008408A1 (en) * 2003-07-11 2005-01-13 Kabushiki Kaisha Toshiba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5031348A (ja) * 2003-07-11 2005-02-03 Toshiba Corp 定着装置
JP2005091545A (ja) * 2003-09-16 2005-04-07 Brother Ind Ltd 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7070181B2 (en) * 2003-12-22 2006-07-04 Xerox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bi-directional passage of an object via an articulated flag member arrangement
JP2005345687A (ja) * 2004-06-02 2005-12-15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装置
JP2007256821A (ja) * 2006-03-24 2007-10-04 Kyocera Mita Corp 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定着装置
JP5084226B2 (ja) * 2006-11-08 2012-11-28 キヤノン株式会社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20090080952A1 (en) * 2007-09-25 2009-03-26 Russell Edward Lucas Belt Fuser Assembly Having Feature To Prevent Media Wrapping Of The Fuser Belt
CN101422980B (zh) * 2007-11-02 2014-05-07 致伸科技股份有限公司 具有胶膜检测机制的压膜机
US20100322684A1 (en) * 2009-06-19 2010-12-23 Kabushiki Kaisha Toshiba Fuser for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1043666A (ja) * 2009-08-21 2011-03-03 Ricoh Co Ltd 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11064773A (ja) * 2009-09-15 2011-03-31 Brother Industries Ltd 画像形成装置
CN102033470A (zh) * 2009-09-29 2011-04-27 株式会社东芝 定影装置、图像形成装置及残留色调剂的剥离方法
JP5018853B2 (ja) * 2009-09-29 2012-09-0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574748B2 (ja) 2010-02-24 2014-08-20 キヤノン株式会社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436295B2 (ja) * 2010-03-26 2014-03-05 キヤノン株式会社 定着装置
CN102213938A (zh) * 2010-04-05 2011-10-12 株式会社东芝 图像形成装置以及间隙调整方法
JP5471995B2 (ja) * 2010-09-14 2014-04-16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定着装置、画像形成装置
JP5360128B2 (ja) * 2011-05-06 2013-12-04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4002243A (ja) * 2012-06-18 2014-01-09 Ricoh Co Ltd 定着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6202950B2 (ja) * 2013-09-02 2017-09-2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加熱装置
JP6109030B2 (ja) * 2013-09-27 2017-04-05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20160209789A1 (en) * 2015-01-19 2016-07-21 Ricoh Company, Ltd. Sheet separation device,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6597322B2 (ja) * 2016-01-08 2019-10-30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TWI604285B (zh) * 2016-03-09 2017-11-01 虹光精密工業股份有限公司 具有分離爪偵測機構之定影模組及使用其之列印設備
JP2018034460A (ja) * 2016-09-01 2018-03-08 東芝テック株式会社 プリンタ
US10768569B2 (en) 2017-02-10 2020-09-08 Canon Kabushiki Kaisha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6686937B2 (ja) * 2017-03-01 2020-04-22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7005233B2 (ja) * 2017-08-31 2022-01-2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23072225A (ja) * 2021-11-12 2023-05-2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65120A (en) * 1975-10-17 1977-12-27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Copy paper stripping means
JPS587167A (ja) * 1981-07-07 1983-01-14 Ricoh Co Ltd 定着装置
JPS6460553A (en) * 1987-08-27 1989-03-07 Toshiba Corp Paper sheet conveyer in picture forming device
AU645060B2 (en) * 1990-03-06 1994-01-06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Heat roll fixing unit
JP2884714B2 (ja) 1990-06-11 1999-04-19 キヤノン株式会社 像加熱装置
DE69117806T2 (de) 1990-06-11 1996-08-22 Canon Kk Heizgerät mit Endlosfilm
JPH0444033A (ja) 1990-06-12 1992-02-13 Fuji Photo Film Co Ltd ハロゲン化銀写真感光材料
JPH04181977A (ja) * 1990-11-16 1992-06-29 Sharp Corp 画像形成装置
JPH05307336A (ja) * 1992-04-30 1993-11-19 Ricoh Co Ltd 定着装置の分離爪
JP3252501B2 (ja) * 1992-12-02 2002-02-0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H0968882A (ja) * 1995-08-31 1997-03-11 Canon Inc 定着装置
JPH09236958A (ja) 1996-03-01 1997-09-09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H1074015A (ja) 1996-08-30 1998-03-17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定着装置
JPH10111620A (ja) * 1996-10-04 1998-04-28 Ricoh Co Ltd 定着装置
JPH10319774A (ja) * 1997-05-14 1998-12-04 Canon Inc 像定着装置とその通電方法およびそれら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3847897B2 (ja) * 1997-05-27 2006-11-2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3622526B2 (ja) * 1997-10-16 2005-02-23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記録装置
JP3923670B2 (ja) * 1998-11-20 2007-06-06 株式会社沖データ 定着装置
JP2000219383A (ja) * 1999-01-29 2000-08-08 Canon Inc シート搬送装置、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0275992A (ja) * 1999-03-23 2000-10-06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191404A3 (en) 2005-12-28
US20020037186A1 (en) 2002-03-28
JP4579393B2 (ja) 2010-11-10
EP1191404A2 (en) 2002-03-27
CN1158579C (zh) 2004-07-21
JP2002099174A (ja) 2002-04-05
KR20020024539A (ko) 2002-03-30
EP1191404B1 (en) 2016-01-06
CN1347016A (zh) 2002-05-01
US6615017B2 (en) 2003-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1404B1 (ko) 상 가열 장치
JP3252501B2 (ja) 画像形成装置
US4965640A (e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detachable toner fixing unit
US5042790A (en) Toggled switch for use in a sheet feed apparatus
US9454111B2 (en) Image heating apparatus with cleaning web configured to clean collecting roller
JP2002287542A (ja) 定着装置及び該定着装置を有する画像形成装置
US664721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H07122773B2 (ja) 複写機
JP2001005311A (ja) 画像形成装置
JP3605042B2 (ja) 定着装置
US988600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fixing device controller
JP3907407B2 (ja)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781196B2 (ja) 画像記録装置
JP2008122719A (ja) 像加熱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532844B2 (ja) 表面性識別装置とこれを用いた加熱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3364555B2 (ja) 定着装置
JP7253144B2 (ja)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4233823A (ja) 画像形成装置
JPH0440204Y2 (ko)
JP4185258B2 (ja) 画像形成装置
JP3414927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3195677A (ja) 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H11149229A (ja) 画像形成装置
JP2004240283A (ja) 画像形成装置
JP2005017818A (ja) 定着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5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