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4042B1 - 프로세스 카트리지 재생 방법 - Google Patents

프로세스 카트리지 재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4042B1
KR100344042B1 KR1020000063701A KR20000063701A KR100344042B1 KR 100344042 B1 KR100344042 B1 KR 100344042B1 KR 1020000063701 A KR1020000063701 A KR 1020000063701A KR 20000063701 A KR20000063701 A KR 20000063701A KR 100344042 B1 KR100344042 B1 KR 1003440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er
developing
container
seal
developing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3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0213A (ko
Inventor
히게따아끼라
가꾸미요시유끼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60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02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4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40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03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 G03G21/181Manufacturing or assembling, recycling, reuse, transportation, packaging or storag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03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 G03G21/1828Prevention of damage or soiling, e.g. mechanical abrasion
    • G03G21/1832Shielding members, shutter, e.g. light, heat shielding, prevention of toner scatter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03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 G03G21/1817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having a submodular arrange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987Remanufacturing, i.e. reusing or recycling parts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bstract

프로세스 카트리지 재생 방법에 있어서,
(a) 토너 수용부, 토너 공급 개구, 현상 롤러 및 현상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감광 드럼과 상기 현상 롤러 사이의 간극을 측정하기 위한 레이저 비임을 통과시키는 절결부가 상기 양 단부 부근에 마련된 토너 현상 용기와,
전자 사진 감광 드럼을 포함하는 세척제 용기와,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양 종단부에서 상기 토너 현상 용기 및 상기 세척제 용기를 결합하기 위한 핀을 포함하는, 사용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마련하는 단계와,
(b)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로부터 상기 핀을 해체함으로써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상기 토너 현상 용기 및 상기 세척제 용기로 분리하는 용기 분리 단계와,
(c) 상기 용기 분리 단계에 의해 분리된 상기 토너 현상 용기로부터 상기 현상 롤러를 해체시키는 현상 롤러 해체 단계와,
(d) 상기 용기 분리 단계에 의해 분리된 상기 토너 현상 용기로부터 상기 현상 블레이드를 해체시키는 현상 블레이드 해체 단계와,
(e) 토너 현상제 용기의 절결부를 시일로 밀봉하는 절결부 밀봉 단계와,
(f) 장착된 시일로 밀봉된 절결부를 갖는 상기 토너 현상제 용기 상에 현상 블레이드를 장착하는 현상 블레이드 장착 단계와,
(g) 장착된 시일로 밀봉된 절결부를 갖는 토너 현상제 용기 상에 현상 롤러를 장착하는 현상 롤러 장착 단계와,
(h) 상기 시일, 상기 현상 블레이드 및 상기 현상 롤러를 갖는 상기 토너 현상 용기의 토너 수용부에 토너를 재충전하는 토너 재충전 단계와,
(i) 핀을 꽂아서 상기 시일, 상기 현상 블레이드 및 상기 현상 롤러를 갖는 상기 토너 현상 용기를 세척제 용기와 결합시키는 용기 결합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Description

프로세스 카트리지 재생 방법 {PROCESS CARTRIDGE RE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재생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현상 수단으로서 적어도 현상 롤러 및 전자 사진 감광 부재를 유닛으로 포함하며,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카트리지이다.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는 화상이 전자 사진 화상 형성 프로세스를 사용한 기록재(기록 용지, 직물 등) 상에 형성되는 장치이며, 전자 진사진 복사기, 전자 사진 프린터(LED 프린터), 레이저 비임 프린터 등과, 전자 사진 프린터식 팩스기, 전자 사진 워드 프로세서 등을 포함한다.
전자 사진 화상 형성 프로세스를 사용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서, 전자 사진 감광 부재 및 전자 사진 감광 부재 상에서 작용 가능한 프로세스 수단을 일체로 포함하며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사용된다. 이러한 프로세스 카트리지 종류에서는, 장치의 유지보수가 서비스맨 없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스 카트리지 종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분야에서 널리 사용된다.
이러한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토너로 기록재 상에 화상을 형성한다. 따라서, 토너는 화상 형성 작업에 따라 소비된다. 토너가 사용자가 화질을 만족할 수 없는 정도까지 소비되면,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상업적 가치는 없어진다.
용이한 방법에 의해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재생함으로써 이러한 사용된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상업적 가치가 다시 주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 목적은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재생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반송될 때 토너가 누설되는 것이 방지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재생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화질을 만족하지 못하는 정도까지 토너가 소비된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소정의 상업적 가치로 재활용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재생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한가지 특징에 따르면, 프로세스 카트리지 재생 방법에 있어서,
(a) 토너 수용부, 토너 공급 개구, 현상 롤러 및 현상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감광 드럼과 상기 현상 롤러 사이의 간극을 측정하기 위한 레이저 비임을 통과시키는 절결부가 상기 양 단부 부근에 마련된 토너 현상 용기와,
전자 사진 감광 드럼을 포함하는 세척제 용기와,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양 종단부에서 상기 토너 현상 용기 및 상기 세척제 용기를 결합하기 위한 핀을 포함하는, 사용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마련하는 단계와,
(b)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로부터 상기 핀을 해체함으로써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상기 토너 현상 용기 및 상기 세척제 용기로 분리하는 용기 분리 단계와,
(c) 상기 용기 분리 단계에 의해 분리된 상기 토너 현상 용기로부터 상기 현상 롤러를 해체시키는 현상 롤러 해체 단계와,
(d) 상기 용기 분리 단계에 의해 분리된 상기 토너 현상 용기로부터 상기 현상 블레이드를 해체시키는 현상 블레이드 해체 단계와,
(e) 토너 현상제 용기의 절결부를 시일로 밀봉하는 절결부 밀봉 단계와,
(f) 장착된 시일로 밀봉된 절결부를 갖는 상기 토너 현상제 용기 상에 현상 블레이드를 장착하는 현상 블레이드 장착 단계와,
(g) 장착된 시일로 밀봉된 절결부를 갖는 토너 현상제 용기 상에 현상 롤러를 장착하는 현상 롤러 장착 단계와,
(h) 상기 시일, 상기 현상 블레이드 및 상기 현상 롤러를 갖는 상기 토너 현상 용기의 토너 수용부에 토너를 재충전하는 토너 재충전 단계와,
(i) 핀을 꽂아서 상기 시일, 상기 현상 블레이드 및 상기 현상 롤러를 갖는 상기 토너 현상 용기를 세척제 용기와 결합시키는 용기 결합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프로세스 카트리지 재생 방법에 있어서,
(a) 토너 수용부, 토너 공급 개구, 현상 롤러 및 현상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감광 드럼과 상기 현상 롤러 사이의 간극을 측정하기 위한 레이저 비임을 통과시키는 절결부가 양 단부 부근에 마련된 토너 현상 용기와,
전자 사진 감광 드럼을 포함하는 세척제 용기와,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양 종단부에서 상기 토너 현상 용기 및 상기 세척제 용기를 결합하기 위한 핀을 포함하는, 사용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마련하는 단계와,
(b)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로부터 상기 핀을 해체함으로써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상기 토너 현상 용기 및 상기 세척제 용기로 분리하는 용기 분리 단계와,
(c) 상기 용기 분리 단계에 의해 분리된 상기 토너 현상 용기로부터 상기 현상 롤러를 해체시키는 현상 롤러 해체 단계와,
(d) 상기 용기 분리 단계에 의해 분리된 상기 토너 현상 용기로부터 상기 현상 블레이드를 해체시키는 현상 블레이드 해체 단계와,
(e) 토너 현상제 용기의 절결부를 시일로 밀봉하는 절결부 밀봉 단계와,
(f) 상기 현상 롤러가 상기 토너 현상 용기에 장착될 때 상기 현상 롤러의 종방향을 따라 연장하도록 절결부를 갖는 상기 토너 현상 용기에 가요성 시트를 장착하는 가요성 시트 장착 단계와,
(g) 절결부를 갖는 상기 토너 현상 용기 상에 장착된 상기 가요성 시트의 종단부에 제1 측면 시일을 연속적으로 장착하고 절결부를 갖는 상기 토너 현상 용기 상에 장착된 상기 가요성 시트의 타종단부에 제2 측면 시일을 연속적으로 장착하는 제1 및 제2 측면 시일 장착 단계와,
(h) 장착된 시일로 밀봉된 절결부를 갖는 상기 토너 현상제 용기 상에 현상 블레이드를 장착하는 현상 블레이드 장착 단계와,
(i) 장착된 시일로 밀봉된 절결부를 갖는 상기 토너 현상제 용기 상에 현상롤러를 장착하는 현상 롤러 장착 단계와,
(j) 상기 시일, 상기 현상 블레이드 및 상기 현상 롤러를 갖는 상기 토너 현상 용기의 토너 수용부에 토너를 재충전하는 토너 재충전 단계와,
(k) 핀을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시일, 상기 현상 블레이드 및 상기 현상 롤러를 갖는 상기 토너 현상 용기를 세척제 용기와 결합시키는 용기 결합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프로세스 카트리지 재생 방법에 있어서,
(a) 토너 수용부, 토너 공급 개구, 현상 롤러 및 현상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감광 드럼과 상기 현상 롤러 사이의 간극을 측정하기 위한 레이저 비임을 통과시키는 절결부가 마련된 토너 현상 용기와,
전자 사진 감광 드럼을 포함하는 세척제 용기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양 종단부에서 상기 토너 현상 용기 및 상기 세척제 용기를 결합하기 위한 핀을 포함하는, 사용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마련하는 단계와,
(b)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로부터 상기 핀을 해체함으로써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상기 토너 현상 용기 및 상기 현상 용기로 분리하는 용기 분리 단계와,
(c) 상기 용기 분리 단계에 의해 분리된 상기 토너 현상 용기로부터 상기 현상 롤러를 해체시키는 현상 롤러 해체 단계와,
(d) 상기 용기 분리 단계에 의해 분리된 상기 토너 현상 용기로부터 상기 현상 블레이드를 해체시키는 현상 블레이드 해체 단계와,
(e) 토너 현상제 용기의 절결부를 시일로 밀봉하는 절결부 밀봉 단계와,
(f) 장착된 시일로 밀봉된 절결부를 갖는 상기 토너 현상제 용기 상에 현상 블레이드를 장착하는 현상 블레이드 장착 단계와,
(g) 장착된 시일로 밀봉된 절결부를 갖는 토너 현상제 용기 상에 현상 롤러를 장착하는 현상 롤러 장착 단계와,
(h) 시일을 갖는 상기 토너 현상 용기의 토너 공급 개구를 거쳐 상기 시일, 상기 현상 블레이드 및 상기 현상 롤러를 갖는 상기 토너 현상 용기의 토너 수용부에 토너를 재충전하는 토너 재충전 단계와,
(i) 핀을 꽂아서 상기 시일, 상기 현상 블레이드 및 상기 현상 롤러를 갖는 상기 토너 현상 용기를 세척제 용기와 결합시키는 용기 결합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프로세스 카트리지 재생 방법에 있어서,
(a) 토너 수용부, 토너 공급 개구, 현상 롤러 및 현상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감광 드럼과 상기 현상 롤러 사이의 간극을 측정하기 위한 레이저 비임을 통과시키는 절결부가 양단부 부근에 마련된 토너 현상 용기와,
전자 사진 감광 드럼을 포함하는 세척제 용기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양 종단부에서 상기 토너 현상 용기 및 상기 세척제 용기를 결합하기 위한 핀을 포함하는, 사용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마련하는 단계와,
(b)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로부터 상기 핀을 해체함으로써 상기 프로세스카트리지를 상기 토너 현상 용기 및 상기 현상 용기로 분리하는 용기 분리 단계와,
(c) 상기 용기 분리 단계에 의해 분리된 상기 토너 현상 용기로부터 상기 현상 롤러를 해체시키는 현상 롤러 해체 단계와,
(d) 상기 용기 분리 단계에 의해 분리된 상기 토너 현상 용기로부터 상기 현상 블레이드를 해체시키는 현상 블레이드 해체 단계와,
(e) 토너 현상제 용기의 절결부를 시일로 밀봉하는 절결부 밀봉 단계와,
(f) 상기 현상 롤러가 상기 토너 현상 용기에 장착될 때 상기 현상 롤러의 종방향을 따라 연장하도록 절결부를 갖는 상기 토너 현상 용기에 가요성 시트를 장착하는 가요성 시트 장착 단계와,
(g) 절결부를 갖는 상기 토너 현상 용기 상에 장착된 상기 가요성 시트의 종단부에 제1 측면 시일을 연속적으로 장착하고 절결부를 갖는 상기 토너 현상 용기 상에 장착된 상기 가요성 시트의 타종단부에 제2 측면 시일을 연속적으로 장착하는 제1 및 제2 측면 시일 장착 단계와,
(h) 장착된 시일로 밀봉된 절결부를 갖는 상기 토너 현상제 용기 상에 현상 블레이드를 장착하는 현상 블레이드 장착 단계와,
(i) 장착된 시일로 밀봉된 절결부를 갖는 토너 현상제 용기 상에 현상 롤러를 장착하는 현상 롤러 장착 단계와,
(j) 시일을 갖는 상기 토너 현상 용기의 토너 공급 개구를 거쳐 상기 시일, 상기 현상 블레이드 및 상기 현상 롤러를 갖는 상기 토너 현상 용기의 토너 수용부에 토너를 재충전하는 토너 재충전 단계와,
(k) 핀을 꽂아서 상기 시일, 상기 현상 블레이드 및 상기 현상 롤러를 갖는 상기 토너 현상 용기를 세척제 용기와 결합시키는 용기 결합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설명을 고려할 때,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을 명확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종방향 단면도.
도2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종방향 단면도.
도3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사시도.
도4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종방향 단면도.
도5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사시도.
도6은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측면도.
도7은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일부 절결된 측면도.
도8은 토너 현장 용기의 프레임의 평면도.
도9는 드럼 셔터의 측면도.
도10은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평면도.
도11은 토너 현상 용기 및 세척제 용기의 분해조립도.
도12는 세척제 용기의 개략적인 전개도.
도13은 토너 현상 용기의 수평 단면도.
도14는 현상 롤러가 제거된 토너 현상 용기의 사시도.
도15는 현상 롤러용 지지 수단의 분해조립 사시도.
도16은 토너 현상 용기의 분해조립 사시도.
도17은 현상 롤러 및 현상 블레이드가 제거된 토너 현상 용기의 평면도.
도18은 도17의 부분 E의 확대도.
도19는 도17의 부분 F의 확대도.
도20은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장착 방향으로부터 반대 방향으로 본 토너 현상 용기의 전면도.
도21은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종방향 단면도.
도22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측면도.
도23은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측면도.
도24는 토너 현상 용기의 측면도.
도25는 토너 현상 용기의 측면도.
도26은 토너 현상 용기와 세척제 용기 사이의 연결 부분의 종방향 단면도.
도27은 토너 현상 용기와 세척제 용기의 사시도.
도28은 토너 현상 용기의 평면도.
도29는 세척 블레이드의 사시도.
도30은 절결부를 위한 밀봉 단계를 도시하는 전면도.
도31은 도30에서 도시된 장치의 평면도.
도32는 도30에서 도시된 장치의 측면도.
도33은 측면 패드의 전면도.
도34는 측면 덮개 시일이 장착된 후의 측면도.
도35는 단부 측면 시일의 평면도.
도36은 단부 측면 시일의 배치를 도시하는 A-A선 단면도.
도37은 홈 충전 시일의 장착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38은 홈 충전 시일의 장착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39는 홈 충전 시일의 사시도.
도40은 홈 충전 시일의 장착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41은 도40에서 도시된 장치의 측면도.
도42는 홈 충전 시일과 밀봉 시일 사이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43은 홈 충전 시일과 조오(jaw) 시일 사이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44는 저면으로부터 본 토너 현상 용기의 그리고 종방향에서 현상 롤러의 정면도.
도45는 단부 시일부의 종방향 단면도.
도46은 토너 현상 용기의 평면도.
도47은 감광 드럼용 지지 구조의 종방향 단면도.
도48은 충전 롤러용 지지 구조의 측면도.
도49는 세척제 용기용 세척 장치의 종방향 단면도.
도50은 세척 장치의 노즐의 사시도.
도51은 세척 기능의 흐름도.
도52는 화상 형성 작업 중 현상 롤러 및 감광 드럼의 사시도.
도53은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반송 중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종방향 단면도.
도54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반송 중 감광 드럼과 대전 롤러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55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반송 중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사시도.
도5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너 충전의 종방향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광학 시스템
2: 기록 재료
7 : 감광 드럼
8 : 대전 롤러
10 : 현상 수단
12 : 토너 현상 용기
13 : 세척제 용기
14 : 주 조립체
16 : 안내 홈
31 : 토너 시일
34 : 단부 시일
42 : 조오 시일
62, 66 : 측면 시일
69 : 카버 시일
g : 간극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일반적인 구조에 대해 설명하고, 그 후,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그 후,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분해 및 재조립 단계와 재조립된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토너가 소비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재생은 토너 현상 용기 및 세척제 용기로 분해되고, 토너 현상 용기가 부분적으로 분해되고, 이들이 재조립되어 새로운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기능은 비슷하지만 새로운 프로세스 카트리지와는 다른 구조를 갖는 토너 현상 용기를 갖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제공한다.
도1 내지 도5를 참조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의 일반적인 구조에 대해 설명하고, 그 후, 카트리지 프레임의 구조에 대해 그리고 프레임의 커플링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일반적인 구조)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는, 드럼 형태의 전자 사진 감광 부재가 광 시스템(1)으로부터의 화상 정보에 따라 변조된 정보 광에 노광되어 잠상이 감광 부재 상에 형성되고 잠상이 토너 화상으로 현상되는, 도1에서 도시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레이저 비임 프린터)(A)이다. 토너 화상의 구성과 동기하여, 기록재(2)는 기록재(2)의 상부면의 모서리에 압접된 픽업 롤러(3b) 및 분리 클로(3c)를 사용하여 시트 공급 카세트(3a)로부터 하나씩 공급되며, 시트는 공급 경로(3d) 및 한 쌍의 일치 롤러를 포함하는 공급 수단(3)에 의해 공급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 내에 전자 사진 감광 부재 상에 형성된 토너 화상은 반송 롤러(4)의 형태의 반송 수단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기록재(2)에 전사되며, 그 후, 기록재(2)는 공급 경로(3f) 상의 고정 수단(5)에 공급된다. 고정 수단(5)은 구동 롤러(5a) 및 내부에 히터(5b)를 포함하는 고정 롤러(5c)를 포함하며, 압력 및 열이 통과되는 기록재(2)에 부가되며, 그에 의해 전사된 토너 화상은 기록재 상에 고정된다. 기록재(2)는 방출 롤러에 의해 다시 공급되어 역전 공급 경로를 통해 방출부(6)로 방출된다.
한편,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전자 사진 감광 부재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스 수단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프로세스 수단은 전자 사진 감광 부재를 전기 대전시키는 대전 수단과, 전자 사진 감광 부재 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 수단과, 잔여 토너를 제거하도록 전자 사진 감광 부재의 표면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 수단을 포함한다. 도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프로세스 카트리지(B)에서, 감광층을 갖는 전자 사진 감광 드럼(7)의 형태의 전자 사진 감광 부재가 회전되며, 대전 수단인 대전 롤러(8) 상에 전압이 인가되어, 감광 드럼(7)의 표면은 균일하게 대전되며, 감광 드럼(7)은 개구(9)를 통해 광 시스템(1)으로부터의 광 화상에 노광되며, 그에 의해 정전 잠상이 형성되며, 화상이 현상 수단(10)에 의해 현상된다.
현상 수단(10)에서, 토너 수용부(10a) 내의 토너는 회전 가능한 토너 공급 부재(10b)의 형태의 공급 수단에 의해 공급되며, 내부에 고정 자석을 포함하는 현상 롤러(10d)가 회전되며, 그에 의해 현상 블레이드(10e)에 의해 마찰전기 대전된 토너 입자의 층이 현상 롤러(10d)의 표면 상에 형성된다. 토너는 감광 드럼(7)에 선택적으로 전사되어 토너 화상을 형성한다. 현상 롤러(10d)는 감광 드럼(7)에 토너를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현상 블레이드(10e)는 현상 롤러(10d)의 표면 상의 토너층의 두께를 조절하도록 기능한다.
전사 롤러(4)에는 토너 화상의 극성과 반대 극성을 갖는 전압이 인가되며, 그에 의해 토너 화상은 기록재(2)에 전사된다. 그 후, 감광 드럼(7) 상에 남은 잔여 토너는 세척 블레이드(11a)에 의해 긁어져, 제거된 토너는 수용 시트(11b)에 의해 수납되며, 수납된 토너는 제거된 토너 수용부(11c) 내로 수집된다.
(카트리지 장착 수단)
감광 드럼(7)과 같은 여러 가지 부품이, 토너 현상 용기(12) 및 세척제 용기(13)를 결합함으로써 제고된 카트리지 프레임 내에 지지되고 수용된다. 카트리지는 장치의 주 조립체(14)에 장착된다.
카트리지 장착 수단에서, 덮개 부재(15)가 샤프트(15a)에 대해 회전됨으로써개방될 때(도1, 도2), 도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 장착 공간의 좌측 및 우측 각각에 후방측을 향해 소정 크기로 경사진 안내 홈(16)이 있다. 안내 홈(16)은 대체로 대칭으로 배치된다. 안내 홈(16)은 대체로 선형이다. 안내 홈(16)의 입구 측에, 위치설정부(16c)(주 조립체측 위치설정부(16c))가 제공된다.
한편,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대향 외부 단부에, 안내 홈(16)에 의해 안내되도록 안내 홈(16)에 상응하는 안내부가 제공된다. 안내부는 종방향 대향 단부에 대체로 대칭으로 각각 돌출된다. 도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부는 일체로된 보스(18) 및 리브(19)를 포함한다. 보스(18) 및 리브(19)는 감광 드럼(7)의 회전축(rotational excess)의 연장선상에 배치되고, 리브(19)는 도5에서 화살표 C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삽입 방향으로 보스(18)로부터 연장된다. 리브(19)는 안내 홈(16)과 일치하여 하향으로 경사 연장된다.
이러한 구조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도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 부재(15)가 개방되며 리브(19)가 안내 홈(16) 내로 결합되며, 그 후,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의 주 조립체(14) 내로 삽입된다. 삽입되면,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병진 운동, 즉 경사 하향 선형 운동을 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더 삽입되면,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보스(18)는 안내 홈(16)의 입구 내로 주 조립체측 위치설정부(16c) 상에 안착된다.
마찬가지로, 리브(19)의 자유단(19a)은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중량에 의해 형성된 보스(18)에 대해 일정 모멘트만큼 안내 홈(16)의 멈치 면(16a)에 대해 지지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중심은 보스(18)의 리브(19)측에 있다. 따라서,감광 드럼(7)의 단부에 고정된 드럼 기어(51a)(도5)는 주 조립체(14)에 제공된 구동 기어(22)(도2)와 결합되어, 구동력이 프로세스 카트리지(B)에 전달될 수 있다.
그 후, 덮개 부재(15)가 폐쇄되며, 그에 의해 덮개 부재와 관련된 셔터 개구 레버(55)가 위치(55a)로부터 위치(55b)로 샤프트(55c)에 대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셔터 개구 레버는 도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 셔터 부재(28) 상에 제공된 핀(28a)과 결합되며, 드럼 셔터 부재(28)는 스프링(27)의 스프링력에 대해 세척제 용기(13)에 장착된 핀(29)에 대해 개방되어, 반송 개구(13n)를 개방시킨다. 코일 스프링(27)은 핀(29) 주위로 결합되며, 일 단부가 세척제 용기(13)에 결합되고 다른 단부가 드럼 셔터 부재(28)에 결합되며, 따라서 덮개 부재(15)가 개방될 때 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주 조립체(14) 외부에 있을 때, 드럼 셔터 부재(28)는 코일 스프링(27)의 스프링력에 의해 반송 개구(13n)를 폐쇄시킨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인출될 때, 덮개 부재(15)가 개방되며, 셔터 개방 레버(55)는 위치(55b)로부터 위치(55a)로 복귀되도록 샤프트(55c)에 대해 회전된다. 그 후, 드럼 셔터 부재(28)는 코일 스프링(27)의 스프링력에 의해 핀(29)에 대해 회전되며, 따라서 반송 개구(13n)를 폐쇄시킨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보스(18)에서 위치설정부(16c)로부터 이격되도록 당겨지며, 그 후,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더 당겨져서 리브(19)가 안내 홈(16)에 의해 안내된다.
(카트리지 프레임의 구조)
카트리지 프레임의 구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카트리지 프레임은 사출 성형에 의해 폴리스티롤 수지 재질로 제조되며, 도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현상 프레임(12b)이 현상 장치 프레임(12a)의 측면에 용접되며, 캡 부재(12c)가 상부에 용접되며, 따라서 토너 현상 용기(12)를 구성한다. 캡 부재(13b)는 세척제 용기(13)을 구성하도록 세척 프레임(13a)의 상부에 용접된다. 그 후, 세척제 용기(13)는 카트리지 프레임을 구성하도록 토너 현상 용기(12)와 결합된다.
현상 장치 프레임(12a)은 일 단부에 토너 공급 개구(12a1)가 제공되고, 도13 및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방향 일 단부에 토너 충전 개구(12a2)가 또한 제공된다. 현상 장치 프레임(12a)은 종방향으로 다수의 기립 지지 부재(도시되지 않음)가 내주에 제공된다. 토너 공급 개구(12a1)는 토너 수용부(10a)로부터 현상 롤러(10d)로 토너의 공급을 가능하게 한다. 토너 수용부 내의 토너는 토너 공급 개구(12a1)를 통해 현상 롤러(10d)에 공급된다.
현상 수단이 위치에 장착될 때, 도4 및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너 공급 부재(10b)는 현상 장치 프레임(12a) 내에 장착되며, 그 후, 캡 부재(12c)가 현상 장치 프레임(12a)에 용접된다. 그 후, 막 형태의 토너 시일(31)이 개구(12a1)를 밀봉하도록 토너 현상 용기(12)의 토너 공급 개구(12a1)의 원주 주위에 형성된 시트의 표면(12a5) 상에 용접된다.
그 다음, 토너는 토너 충전 개구(12a2)를 통해 충전되고, 그 후에 충전 개구(12a2)는 토너 수용부(10a)를 밀봉하기 위해 캡(32)에 의해 폐쇄된다. 토너 공급 개구(12a1)를 밀봉하는 토너 시일(31)은 도13에 도시된 것처럼, 개구(12a1)의 한쪽 종방향 단부에서 후방으로 접혀지고, 그의 자유 단부는 현상 장치 프레임(12a)의 슬릿(12a8)을 통해 외부로 연장된다. 토너 시일(31)의 자유 단부는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파지되어 사용자가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사용을 개시할 때 당겨진다.
토너 시일이 외부로 당겨질 때, 토너 시일(31)이 토너 현상 용기(12)를 통해 연장되는 부분에서 밀봉이 불완전하다.
따라서, 도13에 도시된 것처럼, 펠트와 같은 탄성 밀봉 재료(10h)가 자유 단부에 근접한 토너 시일(31)의 단부에서 슬릿(12a8) 내에 제공된다.
도13에 도시된 것처럼, 탄성 밀봉 재료(10h)는 토너 시일(31) 상에 중첩되어 토너 시일(31)을 압박한다. 따라서, 토너 시일(31)이 외부로 당겨졌을 때, 탄성 밀봉 재료(10h)는 현상 장치 프레임(12a)의 벽에 가압 접촉되도록 토너 시일(31)에 의해 메워져 있던 슬릿(12a8)을 메우고, 따라서 토너의 외부 누출을 방지한다.
탄성 밀봉 재료(10h)의 장착에 대해 설명된다. 도15에 도시된 것처럼, 현상 장치 프레임(12a)의 아치형 부분(12a6)의 일부는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각진 홈(12a26)을 구비한다. 각진 홈(12a26)의 바닥은 토너 시일 접착 시트 표면(12a5)과 같은 평면에 있다. 펠트와 같은 탄성 밀봉 재료(10h)는 각진 홈(12a26) 내에 결합된 부품(10j) 상에 접착된다.
이러한 구조로, 토너 시일(31)이 외부로 당겨지더라도, 토너는 슬릿(12a8)을 통해 토너 현상 용기(12)의 외부로 누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 다음, 하부 현상 프레임(12b)이 현상 장치 프레임(12a)에 용접된다. 도8에 도시된 것처럼, 현상 장치 프레임(12a)은 단부 시일(34)들이 장착될 아치형 부분(12a6)을 구비한 토너 공급 개구(12a1)의 대향 종방향 단부들에 제공된다. 편평한 플랜지(12a16)가 시일 접착 시트 표면(12a5) 아래의 아치형 부분(12a6)들 사이에서 연장되고, 플랜지(12a16)는 시일 접착 시트 표면(12a5)에 대해 대체로 수직이다. 한편으로, 하부 현상 프레임(12b)은 아치형 부분(12a6)의 종방향으로 대향된 표면들 내에 결합된다. 따라서, 제조 오류에 중점을 두어서, 하부 현상 프레임(12b)은 아치형 부분(12a6)의 대향 표면들 사이의 거리보다 더 작은 2 x g 만큼의 길이를 갖고, 여기서 g는 각각의 단부에서의 간극이다. 플랜지(12a16)는 구멍(12a17)을 구비하고, 하부 현상 프레임(12b)은 구멍(12a17)들과 각각 결합하기 위한 다우얼(dowel: 12b3)들을 구비한다. 다우얼(12b3)이 각각의 구멍(12a17)과 결합된 상태에서, 하부 현상 프레임(12b)의 바닥 표면과 현상 장치 프레임(12a)의 플랜지(12a16)의 상부 표면이 서로에 대해 용접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간극(g)이 각각의 단부에서 아치형 부분(12a6)과 하부 현상 프레임(12b) 사이에 형성된다. 하부 현상 프레임(12b)이 현상 장치 프레임(12a)에 고정되어 있으면 간극(g)의 치수는 일정하다.
하부 현상 프레임(12b)이 현상 장치 프레임(12a)과 결합하면, 펠트와 같은 밀봉 재료(39)는 현상 장치 프레임(12a)과, 하부 현상 프레임(12b)의 각각의 종방향 대향 단부들 사이에 삽입된다.
하부 현상 프레임(12b)의 대향 단부들 각각은 외향 돌출부(12b2)를 구비한다 (도8). 현상 장치 프레임(12a)은 단부들 각각에서, 다우얼(12b3)이 하부 현상 프레임(12b)의 용접 또는 접착을 목적으로 구멍(12a17)과 결합할 때 돌출부(12b2)와 결합하기 위한 리세스(12a18)를 구비한다. 도20에 도시된 것처럼, 간극(g1)이 리세스(12a18)와 돌출부(12b2) 사이에 제공된다. 간극은 하부 현상 프레임(12b)과 아치형 부분(12a6) 사이에 형성된 간극(g)과 대체로 동일하다.
도8에 도시된 것처럼, 현상 장치 프레임(12a)의 아치형 부분(12a6)은 단부 시일(34)이 접착되는 접착부(12a20)를 구비한다. 접착부(12a20)는 아치형 부분(12a6)의 종방향 외부에 제공된 아치형 부분(12a21)과 공동 축을 갖는 아치형 주연 표면을 갖는다. 축은 토너 현상 용기(12) 내의 현상 롤러(10d)의 회전축이다. 접착부(12a20)는 외측 아치형 부분(12a21)보다 작은 반경을 갖는 아치형 표면을 구비한다. 접착부(12a20)의 단부는, 도8에 도시된 것처럼, 외측 아치형 부분(12a21)의 원주(내부)에 못 미쳐서 종료된다.
도17, 도18, 도19에 도시된 것처럼, 하부 현상 프레임이 현상 장치 프레임(12a)에 용접 또는 접착되면, 슬릿(12d)이 아치형 부분(12a6)과 하부 현상 프레임(12b) 사이에 제공된다.
슬릿(12d)은 도21 내지 도23에 도시된 것처럼, 감광 드럼(7)과, 감광 드럼(7) 및 현상 롤러(10d)의 대향 단부들 각각에 배치된 스페이서 롤러(10d1)에 의해 제공된 현상 롤러(10d) 사이에 형성된 간극(현상 간극)을 통과하는 레이저 빔의 광학 경로 상에 있다. 광학 경로는 슬릿(12d), 금속 블레이드(10e2) 내에 제공된 슬릿(10e6), 캡 부재(13b) 내에 형성된 구멍(13b1)을 통과한다.
도21에서, 레이저 광원(86)에서 발산된 레이저 빔은 감광 드럼(7)과 현상 롤러(10d) 사이의 간극(대략 300㎛)보다 큰 폭을 갖는다. 레이저 광원(86)에서 발산된 레이저 빔은 구멍(13b1), 슬릿(10e6), 감광 드럼(7)과 현상 롤러(10d) 사이의간극, 슬릿(12d)을 통해 이동한 다음, 광수신기(87)에 의해 수신된다. 광수신기(87)에 의해 수신된 레이저 빔의 폭은 도21의 도면 시트의 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측정된다. 그러므로, 현상 간극이 검출될 수 있다.
레이저 빔을 이용한 감광 드럼(7)과 현상 롤러(10d) 사이의 간극의 측정은 감광 드럼(7)의 대향 종방향 단부들 각각(두 위치)에서 수행된다. 그러므로, 구멍(13b1) 및 슬릿(10e6, 12d)은 적어도 두 위치(인접한 대향 종방향 단부)에 각각 제공된다.
하부 현상 프레임(12b)이 현상 장치 프레임(12a)에 용접된 후에, 단부 시일(34) 및 단부 시일(35)이 장착된다.
도16에 도시된 것처럼, 단부 시일(34)은 현상 장치 프레임(12a), 현상 블레이드(10e)의 각각의 단부들, 현상 롤러(10d)의 각각의 단부들 사이에 밀봉을 제공하는 기능을 하고, 원주방향 표면을 따라 현상 롤러(10d)에 접촉 가능한 아치형 부분(34a)과 금속 블레이드(10e2)의 단부들 각각의 후방 표면을 따른 일체형 선형 부분(34b)을 포함한다. 아치형 부분(34a)의 외측 원주부는 현상 장치 프레임(12a)의 접착부(12a20)에 접착된다.
도4에 도시된 것처럼, 우레탄 폼 등의 시일(35)이 장착되어 토너 방출을 위한 토너 방출 개구(12a1) 위에 형성된 블레이드 장착 시트 표면(12a4)들 사이로 연장되고, 현상 블레이드(10e)는 시일(35)과 함께 블레이드 장착 시트 표면(12a4) 상에 나사 결합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시일(35)은 금속 블레이드(10e2)와 현상 장치 프레임(12a) 사이에서 밀봉이 달성되도록 금속 블레이드(10e2)와 현상 장치 프레임(12a) 사이에서 압축된다.
도16 및 도24에 도시된 현상 홀더(36)가 현상 장치 프레임(12a)의 단부들 중 하나에 고정되고, 도16 및 도25에 도시된 현상 홀더(37)가 현상 장치 프레임의 단부들 중 다른 하나에 고정된다. 현상 홀더(36, 37)들은 소형 나사(56, 57)에 의해 현상 장치 프레임(12a)에 고정된다.
현상 롤러(10d)의 샤프트(10d2)는 일 단부에서, 도15 및 도16에 도시된 현상 홀더(37)와 일체인 샤프트 형상의 고정식 베어링(33b)과 결합된다. 현상 롤러 샤프트(10d2)는 현상 롤러(10d)의 다른 단부에서 베어링(33a)의 베어링 구멍(33a2)에 의해 수납되고, 도15에 도시된 것처럼 구멍(33a4)이 종방향 단부들 중 하나의 외부에서 현상 장치 프레임(12a) 상에 제공된 위치설정 다우얼(12a7)과 결합된다. 그 다음, 현상 롤러 기어(10f)는 현상 롤러 샤프트(10d2)와 결합된다. 베어링(33a)의 결합부는 현상 홀더(36)의 부분 원통형 결합부(36a)와 결합된다. 이 때에, 현상 롤러 기어(10f)는 현상 홀더(36) 내에 수용된다. 소형 나사(56)가 현상 홀더(36)의 구멍(36c)을 관통하고, 베어링(33a)의 구멍(33a1)이 현상 장치 프레임(12a)의 암나사(12a13) 내로 나사 결합된다. 현상 홀더(36) 외부의 기어 수용부(36b)는 부분 원통형이고, 토너 현상 용기(12) 및 세척제 용기(13)가 연결되면 현상 롤러 기어(10f)는 기어 수용부(36b)의 개방부를 통해 드럼 기어(51a)와 결합되게 된다.
현상 홀더(36, 37)들 각각은, 연결을 위한 연결부가 토너 현상 용기(12) 및 세척제 용기(13) 내에서 하는 것과 같은 작용을 하는 일체형 아암 부분(38)을 구비한다.
현상 수단을 구성하는 다양한 부재를 갖는 토너 현상 용기(12), 그리고 감광 드럼(7), 대전 롤러(8), 세척 수단을 구성하는 다양한 부재를 갖는 세척제 용기(13)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구성하도록 아암 부분(38)에 의해 연결된다.
(토너 현상 용기와 세척제 용기 사이의 연결)
도7, 도11, 도24, 도25, 도26을 참조해서, 토너 현상 용기(12)와 세척제 용기(13) 사이의 연결에 대해서 설명된다. 도7 및 도11은 용기(12, 13)들 사이의 연결을 도시하는 측면도 및 사시도이고, 도26은 연결부 내부를 도시하고, 도24 및 도25는 토너 현상 용기(12)의 구리 단부의 측면도이다. 용기(12, 13)들은 대향 단부들에서 아암(38)을 통해 회전식으로 연결된다. 좌측 및 우측 단부에서의 덮개 구조가 동일하므로, 단지 일단부에 대해서만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좌측과 우측 사이에 다른 부분은 각각의 단부에 대해 설명될 것이다.
도11 및 도24에 도시된 것처럼, 현상 장치 프레임(12a)은 압축 코일 스프링(40)이 장착된 일체형 스프링 장착부(12a28)를 구비한다. 압축 코일 스프링(40)의 위치는 현상 장치 프레임(12a)의 종방향 단부들 중 하나에 인접하고, 종방향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아암 부분(38)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다. 압축 코일 스프링(40)은 아암 부분(38)과 평행하게 외향 연장된다. 압축 코일 스프링(40)이 제공된 종방향 단부의 아암 부분(38)의 자유 단부에서, 관통 구멍(38b)이 이하에서 설명될 핀(41)을 수납하기 위해 제공된다. 도26에 도시된 것처럼, 세척제 용기(13)의 외측 벽(13q)은 핀(41)을 수납하기 위한 구멍(13c)을 구비하고, 세척제 용기의 내측 벽(13d)은 핀(41)에 의해 끼워맞춰지기 위한 구멍(13e)을 구비한다.구멍(13c) 및 구멍(13e)은 감광 드럼(7)과 평행한 선을 따라 정렬된다. 신장된 보어(38b1)가 아암 부분(38) 및 세척제 용기(13)의 다른 단부 내에 형성되고, 신장된 보어(38b1) 및 구멍(38b)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이 구멍(13c, 13e)들의 중심을 통과한다. 신장된 보어(38b1)는 감광 드럼(7)의 중심과 현상 롤러(10d)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과 평행한 방향으로 신장되고, 신장된 보어(38b1)의 폭은 핀(41)의 직경과 동일하다.
토너 현상 용기(12)와 세척제 용기(13)가 서로 연결되면, 도7 및 도11에 도시된 것처럼 토너 현상 용기(12)의 아암 부분(38)은 세척제 용기(13)의 리세스(13h) 내로 삽입되고, 핀(41)은 세척제 용기(13)의 구멍(13c, 13e), 아암 부분(38)의 관통 구멍(38b), 신장된 보어(38b1)를 순서대로 관통해서 내측 벽(13d)의 구멍(13c, 13e) 내로 끼워맞춰진다. 이렇게 함으로써, 토너 현상 용기(12) 및 세척제 용기(13)가 핀(41) 둘레에서 회전하도록 회전식으로 연결된다. 이 때에, 현상 장치 프레임(12a)에 장착된 압축 코일 스프링(40)이 세척제 용기(13)의 스프링 시트(13f, 도26)와 접촉하여 압축된다. 감광 드럼(7) 및 현상 롤러(10d)는 현상 롤러(10d)의 스페이서 롤러(10d1)들이 감광 드럼(7)에 대해 가압 접촉되도록 핀(41) 둘레에서 서로를 향해 압박된다.
신장된 보어(38b1)의 제공으로 인해, 감광 드럼(7) 및 현상 롤러(10d)의 스페이서 롤러(10d1)는 그들이 생성한 라인에서 서로에 대해 접촉된다. 생성 라인은 감광 드럼(7) 및 현상 롤러(10d)의 중심선과 평행하다.
도7은 압축 코일 스프링(40)이 제공된 단부로부터 대향하는 단부 표면 부분을 도시한다. 인장 코일 스프링(59)의 대향 단부들은 세척제 용기(13)의 스프링 후크(13p) 및 토너 현상 용기(12)의 현상 장치 프레임(12a)의 스프링 후크(12a29)와 각각 결합된다. 인장 코일 스프링(59)의 방향은 감광 드럼(7) 및 현상 롤러(10d)의 중심들을 연결하는 선과 대체로 평행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압축 코일 스프링(40) 및 인장 코일 스프링(59)에 의해, 토너 현상 용기(12) 내에 장착된 현상 롤러(10d)는 세척제 용기(13) 내에 장착된 감광 드럼(7)을 향해 압박되어, 현상 롤러(10d)의 대향 종방향 단부들에서의 스페이서 롤러(10d1)들이 감광 드럼(7)에 접촉되고, 이에 의해 현상 롤러(10d)가 감광 드럼(7)에 대한 올바른 위치에 있게 된다. 감광 드럼(7)의 단부에 고정된 드럼 기어(51a)가 현상 롤러(10d)에 고정된 현상 롤러 기어(10f)와 결합되게 되어, 구동력이 전달될 수 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재생)
(실시예1)
(토너 현상 용기와 세척제 용기 사이의 분리 단계)
도7에 도시된 인장 코일 스프링(59)이 세척제 용기(13)의 스프링 후크(13p)로부터 분리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감광 드럼(7)과 현상 롤러(10d) 사이의 힘이 압축 코일 스프링(40)에 의해서만 제공된다. 그러므로, 토너 현상 용기(12) 및 세척제 용기(13)가 핀(41) 둘레에서 서로에 대해 회전 가능하다.
그 다음, 핀(41)이 제거된다. 이는 핀(41)이 프로세서 카트리지(B) 외부로돌출되면 플라이어 등을 이용해서 핀(41)을 뽑아냄으로써 수행된다. 그렇지 않으면, 핀(41)은 분리되도록 프로세스 카트리지 내로 밀어 넣어진다.
따라서, 용기 분리 단계는 완료되고, 이에 의해 토너 수용부(10a), 토너 공급 개구(12a1), 현상 롤러(10d) 및 현상 블레이드(10e)를 포함하는 토너 현상 용기(12)와, 감광 드럼(7)을 포함하는 세척제 용기(13)가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양쪽 종방향 단부에서 핀(41)을 분리함으로써 서로로부터 분리된다. 도11은 이렇게 분리된 토너 현상 용기(12)와 세척제 용기(13)를 도시한다.
(현상 롤러의 제거 단계)
도28에 도시된 것처럼, 분리된 토너 현상 용기(12)는 이에 장착된 현상 롤러(10d) 및 현상 블레이드(10e)를 포함한다.
첫째로, 현상 장치 프레임(12a)의 대향 단부에 고정된 현상 홀더(36, 37)들이 제거된다. 현상 홀더(36)와 베어링(33a)을 현상 장치 프레임(12a)에 체결시키는 소형 나사(56)가 도15에 도시된 것처럼 제거되고, 현상 홀더(36)는 종방향 외측으로 이동된다. 그 다음, 현상 롤러 기어(10f)가 현상 롤러 샤프트(10d2)로부터 뽑힌다. 현상 롤러(10d)를 지지하는 베어링(33a)이 현상 롤러(10d)의 샤프트(10d2)로부터 제거된다. 현상 롤러(10d)가 현상 홀더(37)의 베어링(33b)으로부터 제거되도록 실제 방향으로 당겨져서, 현상 롤러(10d)는 토너 현상 용기(12)로부터 제거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현상 롤러 탈착 단계가 완료되고, 이에 의해 토너 현상 용기(12)에 장착된 현상 롤러(10d)가 제거된다. 도14는 현상 롤러(10d)가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다. 토너 공급 부재(10b)를 구동하기 위한 기어 트레인(61, 도25)이 검사되고, 현상 홀더(37)가 소형 나사(57)를 제거함으로써 현상 장치 프레임(12a)으로부터 제거된다.
(현상 블레이드 탈착 단계)
현상 롤러(10d)가 제거된 후에, 현상 블레이드(10e)가 제거된다. 현상 블레이드(10e)는 현상 블레이드(10e)를 도14에 도시된 것처럼 현상 장치 프레임(12a)의 블레이드 장착 시트 표면(12a4)에 고정시키는 소형 나사(10e4)를 풀어서 이동된 다음, 현상 블레이드(10e)를 블레이드 장착 시트 표면(12a4)으로부터 멀리 이동시킨다.
따라서, 현상 블레이드 탈착 단계가 완료되고, 토터 현상 용기(12)에 장착된 현상 블레이드(10e)가 분리 단계에 의해 분리된다. 도17은 현상 블레이드(10e)가 제거된 토너 현상 장치 프레임(12a)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29는 (사이드 패드(65)를 제외하고) 제거된 현상 블레이드(10e)를 도시한다.
여기서, 토너 현상 장치 프레임(12a)으로부터 제거되어야 하는 모든 요소들이 제거되었다. 드럼 셔터 부재(28)는 제거되지 않고 유지된다.
(토너 현상 용기용 밀봉 재료의 적용)
토너 밀봉부(31)가 복원되면 재생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실질적으로 새로운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동일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토너 밀봉부(31)는 수리되거나 또는 복원되지 않는다. 현상 수단이 토너 현상 용기에 장착될 때 토너가 누설되지 않으면 토너 밀봉부(31) 없이도 충분할 것이다.
(단부 밀봉)
각각의 또는 하나의 밀봉 단부(34)가 새로운 것으로 교체되면 검사 후에 파손된 것으로 확인된다.
(현상 장치 프레임과 하부 현상 프레임 사이에 간극 내로의 밀봉 재료 충전)
현상 장치 프레임(12a)과 하부 현상 프레임(12b) 사이에서, 간극(g)은 각각의 단부 부분에서 단부 밀봉부(34)의 내부 표면을 따라 연장된다. 토너 현상 용기(12)의 외측으로부터 보았을 때, 간극(g)은 도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극(g1)쪽으로 연장된 크랭크 형태이다.
먼저, 간극(g, g1)들이 밀봉된다. 도20(해칭선), 도30 및 도3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런 밀봉은 하부 현상 프레임(12b)과 아치형 부분(12a6)의 외주연 상의 점착 테이프인 현상 용기 카버측 밀봉부(62)를 연속으로 접착함으로써 달성된다. 밀봉은 간극(g, g1)의 전체 길이 및 슬릿(12d)을 또한 덮는다.
그 다음, 간극(g)은 밀봉 재료(64)로 충전된다. 밀봉 재료(64)는 아치형 부분(12a6)의 내측으로부터 공급된다. 밀봉 재료(64)가 간극(g) 내로 충전되면, 밀봉 재료(64)는 실질적으로 공구(도시되지 않음)를 사용하여 간극 길이의 중간 위치 내로 분사된 후에, 밀봉 재료(64)는 간극(g) 길이의 일 단부와 타 단부 쪽으로 확장되어 밀봉 재료(64)는 간극(g)의 전체 길이 내로 충전된다.
밀봉 재료(64)는 플라스틱성으로 변형가능하다. 이와 같은 밀봉 재료(64)의 예는 열 가소성의 중합체 재료 또는 경화성의 중합체 재료를 포함한다. 밀봉 재료는 경화성 실리콘 접착 재료를 갖는 중합체 재료인 실리콘 접착재를 포함한다. 열가소성의 중합체 재료는 고온 용융 플라스틱 수지 재료를 포함한다.
실리콘 접착재가 밀봉 재료(64)로 사용될 때, 예를 들어, 밀봉 재료는 충전되고, 이는 약 6시간 동안 놓여지고, 카버측 밀봉부(62)는 접착재가 건조된 후에 제거된다.
(측면 패드의 접착)
도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극(S)은 현상 블레이드(10e)의 탄성 블레이드(10e1)의 종단부와 단부 밀봉부(34)의 사이에서 감소된다. 화상 형성 작동 중에 토너는 간극(S)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단부 밀봉부(34)가 제공됨으로서 누설되지 않는다. 그러나, 밀봉부(34)와 밀봉부(35)의 코너 부분이 단부 밀봉부(34)의 직선 부분(34b)이기 때문에 토너는 이송 중에 누설될 수도 있으므로 이는 현상 롤러(10d)와 밀착 접촉되지 않는다. 따라서, 측면 패드가 구비된다.
도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 패드(65, 밀봉체)는 블레이드의 종단부를 지나 연장되도록 각각의 대향 단부 부분에서 현상 블레이드(10e)의 탄성 블레이드(10e1)의 종방향 표면에 접착된다.
패드는 탄성 블레이드(10e1)의 배면에 접착된다. 즉, 이는 측면이 점착성 재료를 사용하는 현상 롤러(10d)에 대면하지 않는다. 측면 패드(65)는 밀봉부(35) 및 단부 밀봉부(34)에 의해 형성된 코너 내로 압착되는 크기를 가지므로 측면 패드는 탄성적으로 밀봉부 및 단부 밀봉부에 접촉되고, 일 측면은 탄성 블레이드(10e1)의 자유 단부와 실질적으로 대등하다.
현상 롤러(10d)가 장착될 때, 측면 패드(65)는 단부 밀봉부(34)와 탄성 블레이드(10e1)의 단부 사이를 밀봉한다. 측면 패드(65)는 단부 밀봉부(34) 및 밀봉부(35)에 압착 접촉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토너는 전송 중에 현상 롤러(10d)의 대향 단부에서 현상 장치 프레임(12a)과 현상 블레이드(10e) 사이를 통해 누설되는 것이 방지된다.
현상 블레이드(10e)가 재 사용 가능하면, 측면 패드(65)는 재 사용된 현상 블레이드(10e) 상에 장착된다. 현상 블레이드(10e)가 새로운 부품으로 교체될 때, 새로운 현상 블레이드(10e)에는 측면 패드(65)가 이미 제공된다.
예로써, 측면 패드(65)는 스폰지와 같은 탄성 재료로 제조된다.
(단부 후방 밀봉)
조오(jaw) 밀봉부(42, 분출 방지 밀봉부)가 접착된 후, 하부 현상 프레임(12b)의 조오 밀봉 접착 시트 표면(12b5, 도4)은 편평면이고, 그의 연장부는 단부 밀봉부(34)의 아치형 부분(34a)의 내면(현상 롤러(10d)에 접촉된 면)의 아치형 표면의 연장부 보다 낮다. 조오 밀봉 점착 시트 표면(12b5)이 단부 밀봉부(34)의 상부 표면과 같은 평면에 있다. 따라서, 조오 밀봉부(42)가 접착될 때, 간극은 그의 종단부에 밀봉부(42)의 대응부 사이에 유지된다. 대응 부재는 밀봉된 간극(g)을 갖는 밀봉 재료(64)이다.
따라서, 탄성 부재의 단부 후방 밀봉부(66)는, 현상 롤러(10d)의 종방향 내측과 토너 수용부(10a)가 구비된 측면으로부터 대향된 측면에서 현상 롤러(10d)의 각각의 단부 및 타 단부에 제공된 단부 밀봉부(34)에 대해 장착된다.
도35는 평면에서 확대된 단부 후방 밀봉부를 도시한다. 도36은 선 A-A를 따른 단면도이다.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 간극은 부재들 사이에서 볼 수 있다. 그러나, 실제로, 도36에서 도시된 부재들은 간극 없이 접촉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 후방 밀봉부(66)는 밀봉 재료(64) 및 단부 밀봉부(34)의 코너에서 하부 현상 프레임에 접착 재료에 의해 접착된다. 후술되는 바와 같이, 통상 조오 밀봉부(42)는 먼저 재생 프로세스 내로 접착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단부 후방 밀봉부(34)는 단부 밀봉부(34), 밀봉 재료(64) 및 하부 현상 프레임(12b)에 밀착 접촉된다. 간극(S1)은 조오 밀봉부(42), 하부 현상 프레임(12b)과 단부 후방 밀봉부(66) 사이에서 측면 카버 밀봉부(69)에 의해 감소되고, 외측으로부터 밀봉된다.
도36 및 도4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오 시일(42)의 양단부는 측부 시일(66) 및 단부 시일(34)의 단부에서 겹쳐 있다.
상술한 공정에서는 조오 시일(42)과 단부 시일(43) 사이에 밀봉이 제공된다.
(현상 간극 측정용 슬릿을 위한 시일)
전술한 바와 같이, 토너 밀봉은 밀봉 재료(64), 측부 패드(65), 단부 측면 시일(66) 및 시일(42)에 의해 완벽하게 성취된다. 그러나, 토너가 조오 시일(42)과 단부 측면 시일(66) 사이를 통과하게 되면 토너는 현상 간극의 측정을 위한 광학 통로를 보장하도록 제공된 슬릿(12d)에 도달하게 된다. 이 점에서, 밀봉은 슬릿(12d)에 도달한 토너가 누설되지 않게 해주도록 제공되는 것이다.
도37은 현상 롤러(10d)의 종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보아 슬릿(12d)을 구성하는 절결부의 정면도이다. 도3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오 홈 충전 시일(68)은절결부(12d)의 거의 전체 폭에 걸쳐서 충전된다.
이하에 그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37, 40 및 41에 도시한 바와같이, 양면 접착 테이프 등을 비교적 얇은 직사각형 밀봉 재료(68a)의 일면(68b) 상에 부착하고, 또 밀봉 재료(64)의 단부, 단부 시일(34)의 직물 펠트부(34c), 그와 거의 같은 높이로 된 절결부(12d) 바닥에 부착한다. 단부 시일(34)은 마찰 계수가 작은 섬유로 제작된 펠트부(34c) 및 슬라이딩부(34d)를 포함한다.
밀봉 재료(68a)는 도3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호형부(12a6)의 호가 외측을 향해서 이어진 코너(A)로부터 90° 굽혀져서 슬릿(12d)이 실제로 폐쇄되어 있다. 그러나, 슬릿을 완전 폐쇄하려는 것은 아니다. 도4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밀봉 재료(68a)의 일면(68b)의 상부가 단부 시일(34)의 단부와 일부 겹치게 되면, 토너는 측부 시일(66) 및 조오 시일(42) 사이를 통과하여 슬릿(12d)에 도달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이런 토너가 누설되는 것이 방지되고, 이로써 도4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간극(g2)이 절결부(12d)의 측벽(12d1)과 밀봉 재료(38a)(후술하는 측부 카버 시일(69))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조오 시일의 장착)
전술한 각종 시일을 장착한 후에, 조오 시일(42)은 시트면(12b5) 상에 부착된다. 도42, 4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오 시일(42)은 부착된다. 조오 시일(42)의 양 종단부는 관련된 단부 시일(34)에 올라타고 접착제에 의해 부착된다. 도4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오 시일(42)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자유 단부는 현상 롤러의 표면의 주위 운동에 관하여 같은 방향으로 현상 롤러에대해 압박된다.(본 실시예에서, 신규 카트리지에는 조오 시일이 제공되어 있지 않은데, 그 이유는 현상제 용기 내의 토너가 시일(31)에 의해 내부에 갇혀 있기 때문이다.
(측면 카버 시일)
측면 카버 시일은 조오 시일(42)의 단부와 조오 홈 충전 시일(68)의 굽힘부가 단부 측면 시일(66)과 겹쳐 있는 부분에서 보완 및 토너 누설 방지 목적으로 제공되어 있다.
도4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상 롤러(10d)에 직면하지 않은 현상 장치 프레임(12a)의 호형부(12a6)의 표면에는 리브(12a36)가 제공된다. 하부 현상 프레임(12b)에는 리브들 사이에 배치된 현상 장치 프레임(12a)의 하부 현상 프레임(12b)과 호형부(12a6) 사이의 종방향 간극(g)을 두고 리브(12a36)와 평행한 리브(12b6)가 제공되어 있다. 측면 카버 시일(69)은 리브(12a36 및 12b6) 사이의 간극과 같은 폭(P)을 갖는다. 측면 카버 시일(69)은 현상 장치 프레임(12a)을 덮는 현상 장치 프레임의 플랜지(12a16)(도4 및 도8)의 자유단(폭방향, 즉 종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에서 위치(C)에 부착되고 그로부터 연장된 후 자유단부(D) 뒤로 접혀져서 도4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홈 충전 시일(68)과 조오 시일(42)을 둘러싼다. 이렇게 함으로써, 하부 현상 프레임(12b)의 조오 시일 부착 시트 면(12b5)의 종방향 연장부의 조오 시일(42)은 조오 홈 충전 시일(68)에 밀착되고, 조오 시일(42)은 시일(68)의 측면의 에지에서 부착 시트면(12b5)으로부터 용이하게 제거되지 않는다.
(현상 블레이드의 장착)
현상 장치 프레임(12a)이 변형되면 예를 들어 금속 블레이더(10e2) 사이에 간극이 제공된다. 여기서, 시일(35)은 길기 때문에, 밀봉 성능은 그리 좋지 못하다. 이 점에서, 이하에는 토너 현상 용기(12)의 성능이 새것과 동일한 것으로 재조립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밀봉은 토너 현상 용기(12)의 시일(35)의 밀봉 성능이 저하되는 경우를 고려하여 시일(35)에 부가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제거된 현상 블레이드(10e)는 공기 흡입 및 공기 취입 등을 동시에 받게 되어 부착된 토너를 블레이드로부터 제거하여 청소한다.
그 후, 현상 블레이드(10e)는 재사용 가능한 것인지 결정하기 위해 검사한다. 검사 결과 성능이 소정 표준 보다 낮으면 새것으로 교환한다.
현상 장치 프레임(12a)의 양단부에 있는 블레이드 장착 시트면(12a4)들 사이에는 장착 시트(12a3)가 제공된 플랜지가 제공된다.
도16에 도시한 현상 블레이드(10e)의 금속 블레이드(10e2)의 굽힘부(10e3)는 사이에 시일(35)이 협착된 상태로 현상 장치 프레임(12a)의 플랜지의 시트(12a3)를 향해 압박되며, 금속 블레이드(10e2)의 구멍(10e7)들은 현상 블레이드 장착 시트면(12a4) 상에 제공된 위치 결정 은못(12a11) 주위에 끼워진다. 그 후, 작은 나사(10e4)(금속 블레이드(10e2)의 종단부 하나만 도시함)는 금속 블레이드(10e2)의 양 종단부 각각에 인접하여 제공된 구멍(10e7)을 통해 현상 블레이드 장착 시트면(12a4)에 나사 결합되어 현상 블레이드(10e)는 현상 장치 프레임(12a)에 고정된다.
이는 분리된 토너 현상 용기(12)에 현상 블레이드 장착 단계의 마지막 부분이다.
(현상 롤러 장착 단계)
제거된 현상 롤러(10d)는 흡입 및 동시 공기 취입 또는 다른 공정을 거치면서 부착된 토너를 제거하여 세척하게 된다.
그 후, 현상 롤러(10d)를 검사하고 재사용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이 부정적이면, 즉 작업자가 소정 기준을 만족하지 못하면, 현상 롤러는 새 것으로 교환한다.
현상 롤러(10d)는 현상 블레이드(10e)와의 마찰 때문에 마모될 수 있다. 따라서, 현상중 혹은 재생중의 검사를 기초로 하여 교환이 필요하다면 현상 롤러는 검사 없이 새것으로 교환하고, 이렇게 하여 재생 동작도 효율화된다.
현상 롤러(10d) 검사시에, 현상 롤러의 본체, 자석(10c), 베어링(33a, 33b), 스페이서 롤러(10d1), 롤러 전극(도시 않음), 현상 롤러 기어(10f) 등등으로 분해되고, 각각 검사하여 재사용 가능한 부품을 가려낸다. 재사용 불가능한 부품들은 새 것으로 교환한다.
현상 장치 프레임(12a)과 하부 현상 프레임(12b) 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토너 공급 부재(10b)를 구동하기 위한 기어열(61)에 대해서는, 현상 홀더(37)가 제거되고, 기어열이 세척 및 검사되고, 사용 가능한 부품으로 교환하고, 사용 완료 또는 새로운 현상 롤러(10d)의 조립 전에 재조립된다.
도15 및 도16을 참조하여, 토너 현상 용기(12)에 현상 롤러(10d)를 장착하는 공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현상 홀더(37)는 현상 장치 프레임(12a)에 결합된다. 소형 나사(57)는 현상 홀더(37)를 통해 현상 장치 프레임(12a)에 나사 결합되어 현상 홀더(37)는 현상 장치 프레임(12a)에 고정된다. 그 후, 현상 롤러(10d)의 단부에 있는 저어널 구멍은 현상 홀더(37)의 베어링(33b)과 결합된다. 그 후, 베어링(33b)과는 반대쪽에 있는 종단부에서는, 현상 롤러(10d)의 타단부에서 저어널 내에 결합되고, 베어링(33a)은 현상 장치 프레임(12a)와 정렬된다. 베어링(33a) 너머로 외향 돌출된 현상 롤러(10d)의 저어널 단부에 제공된 D자형 축부에는, 상보형 형상 및 치수의 구멍을 갖는 현상 롤러 기어(10f)가 제공되어 있다.
이리하여, 현상 홀더(36)의 결합부(36a)는 베어링(33a)의 원통형 결합부(33a3)와 결합한다. 이 때, 자석(10c)의 한 단부에는 베어링 구멍 너머로 종방향 외향 연장되는 D자형 구멍(36d)이 결합되어 있다. 자석(10c)의 단부에 있는 축부는 D자형 구멍(36d)과 상보형 형상 및 크기를 갖는다. 그 후, 소형 나사(56)는 현상 홀더(36)의 구멍(36c)과 베어링(33a)의 구멍(33a1)을 통해 현상 장치 프레임(12a)의 암나사(12a13)에 나사 결합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현상 홀더(37, 36)는 현상 장치 프레임(12a)에 고정되고, 현상 롤러(10d)는 토너 현상 용기에 의해 지지된다.
이는 분리된 토너 현상 용기(12)에 현상 롤러(10d)를 장착하는 과정의 말기 부분이다.
현상 롤러(10d)가 장착되는 토너 현상 용기(12)는 도11에 도시되어 있다. 재생된 토너 현상 용기(12)를 가진 새로운 토너 현상 용기(12)는 도11에 도시한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되어 있다.
(현상 블레이드 상부 시일)
토너 현상 용기(12), 특히 그 시일(35)이 부착되는 표면이 운반 중에 변형되면 금속 블레이드(10e2)와 시일(35)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된다.
그래서, 금속 블레이드(10e2)의 종단 에지와 현상 장치 프레임(12a) 사이에 토너가 누설될 가능성이 남아 있다.
이 점에서, 도4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일은 금속 블레이드(10e2)와 캡 부재(12c)에 걸쳐서 토너 현상 장치 프레임(12a)의 외측상에 부착된다. 시일은 블레이드 상부 시일(49)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도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크레이퍼(60)는 금속 블레이드(10e2)에 고정된다. 도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크레이퍼(60)는 금속 블레이드(10e2)에 고정된다. 스크레이퍼(60)의 자유단(60a)은 그 탄성력에 의해 현상 롤러(10d)에 접촉된다. 자유단(10a)은 현상 롤러(10d)의 외곽선에 대해 경사져 있다.
자유단(60a)의 경사 방향은 종방향 내측을 향해 현상 롤러(10d)의 주위 운동에 대해 하류측이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현상 롤러(10d) 상에 부착된 토너는 종방향 외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어, 토너는 조오 시일(42)의 단부로부터 조오 시일(42)과 현상 롤러(10d) 사이로 복귀된다.
금속 블레이드(10e2)와 캡 부재(12c) 사이의 간극을 종방향으로 폐쇄하도록금속 블레이드(10e2)와 캡 부재(12c)에 부착된 블레이드 상부 시일(49)의 종단부는 스크레이퍼(60)가 존재하는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현상 블레이드(10e)의 금속 후미부와 토너 현상 용기(12)에 걸쳐 토너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시일을 부착하기 위한 시일 부착 단계가 완료된다.
시일 부착 단계는 토너 현상 용기(12)에 현상 블레이드(10e)를 장착한 직후에 수행할 수도 있다.
(토너 충전 단계)
토너는 상술한 각 위치에서 밀봉된 토너 현상 장치 프레임(12a)에 토너 충전 개구(12a2)를 통해 충전되고, 토너 캡(32) 또는 플러그는 토너 충전 개구(12a2)에 억지 끼움되어 이를 밀봉한다.
다른 방법으로는, 토너는 현상 블레이드(10e)와 현상 롤러(10d)가 재장착되기 전에 충전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도5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토너 현상 용기(12)에는 상향으로 된 토너 공급 개구(12a1)와 하방에 배치된 토너 퇴적부(10)가 배치된다. 깔때기(47)의 자유단부는 개구(12a1)에 삽입되고, 토너는 토너 병(48)으로부터 깔때기(47)로 낙하하게 된다. 토너 충전 후에, 현상 블레이드(10e)와 현상 롤러(10d)는 상술한 경우와 같은 방법으로 재장착된다.
오우거가 제공된 계량 공급 장치는 깔때기 내에 제공되는 것이 적합한데, 그 이유는 그렇게 하면 토너가 효율적으로 공급되기 때문이다.
이리하여, 토너 공급 개구(12a1)를 통해 토너 퇴적부(10a)에 토너 공급 단계가 완료된다.
토너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공된 밀봉제(64) 때문에, 현상 장치 프레임(12a)과 하부 현상 프레임(12b)의 단부에 있는 크랭크 형태의 간극(g)을 통해 누설되지 않게 된다.
토너 단부 측면 시일(66)은 조오 시일(블로우 아웃 방지 시일)(42)과 단부 시일(34) 사이에 발생하게 되는 누설을 방지하는 데 효과적이다.
측면 시일(66) 이외에도, 조오 홈 충전 시일(68)은 단부 시일(34)의 단부를 밀봉하는 데 효과적이고, 또, 측부 카버 시일(69)은 토너 누설을 더욱 방지할 수 있으므로, 조오 시일(42)과 단부 시일(34)의 밀봉 기능을 보완하는 데 효과적이다.
게다가, 현상 블레이드(10e)의 탄성 블레이드(10e1) 상에 부착된 측면 패드(65)는 시일(35)과 단부 시일(34) 사이에 형성된 코너에 접촉되므로, 탄성 블레이드(10e1)의 종단부는 현상 롤러(10d)에 밀착되며, 측면 패드(65)에 의해 밀봉되고, 토너는 탄성 블레이드(10e1)의 종단부로부터 누설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정상 운반 및 취급 과정 중에 현상 롤러(10d)와 현상 블레이드(10e)를 가진 토너 현상 용기(12)의 내측으로부터 토너는 전혀 누설되지 않게 된다.
(토너 현상 용기와 세척제 용기의 결합)
토너 현상 용기(12)와 세척제 용기(13)를 위한 결합 단계는 토너 현상 용기(12)와 토너 시일을 구비한 세척제 용기(13)를 위한 결합과 유사하다. 따라서, 이하에는 도11, 도7 및 도26과 관련한 설명을 행하기로 한다.
도11에서, 토너 현상 용기(12)의 아암부(38)는 세척제 용기(13)의 요홈(13h)에 삽입된다. 도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통 구멍(38b)과 아암부(38)의 긴 보어(38b1)는 세척제 용기(13)의 외벽면(13q)상의 구멍(13c)과 정렬된다. 구멍(13c)과 관통 구멍(38b)과 긴 보어(38b1)가 정렬되면, 관통 구멍(38b) 및 긴 보어(38b1)가 세척제 용기(13)의 내벽의 표면(13d)의 구멍(13e)과 정렬된다. 그러면, 핀(41)은 세척제 용기(13)의 구멍(13c)과 토너 현상 용기(12)의 아암부(38)의 긴 보어(38b1)를 통해 삽입된다. 또, 핀(41)은 세척제 용기(13)의 내벽에 있는 구멍(13e)에 압입된다.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장 코일 스프링(59)의 단부는 토너 현상 용기(12)의 스프링 후크(12a29) 상에 걸려서, 인장 코일 스프링(59)이 신장된다. 이로써, 감광 드럼(7)은 현상 롤러(10d)의 단부에 있는 스페이서 롤러(10d1)에 압접된다.
이런 방법으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재생은 토너 시일(31)을 재장착하지 않고도 가능하다.
(세척제 용기의 재생)
토너 현상 용기(12)의 재생 중에, 분리된 세척제 용기(13)가 재생된다.
도11은 감광 드럼(7), 대전 롤러(8), 세척 블레이드(11a)를 갖는 세척제 용기(13)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47은 감광 드럼(7)이 세척제 용기(13)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48은 세척제 용기(13) 상에 대전 롤러(8)를 지지하기 위한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4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광 드럼(7)은 위에는 감광 층을 구비한 드럼 실린더(7a)(중공 알루미늄 실린더)의 한 단부에는 플랜지(51)가, 다른 단부에는 플랜지(52)가 제공되어 있다. 플랜지(51)에는 드럼 기어(51a)가 제공되어 있다. 플랜지(52)에는 전사 롤러 구동 기어(52a)가 제공되어 있다. 플랜지(51, 52)를 관통하는 드럼 축(53a, 53b)은 세척제 용기(13)의 구멍(13k, 13m)에 의해 수납되어 있고 세척제 용기(13)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14)에 장착되면 드럼 기어(51a)는 도2에 도시한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14)의 구동 기어(22)와 결합하게 되고, 전사 롤러 구동 기어(52a)는 전사 롤러(4)에 고정된 도시하지 않은 기어와 결합하게 된다. 세척제 용기(13)와 토너 현상 용기(12) 사이의 결합이 완료되면 드럼 기어(51a)는 현상 롤러(10d)의 현상 롤러 기어(10f)와 결합하게 된다.
도4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전 롤러(8)는 금속 축(8a)과, 중간 저항을 갖는 고무 롤러를 포함하며, 금속 축(8a)은 단부가 노출되어 있다.
도4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전 롤러(8)의 축(8a)은 감광 드럼(7)과 대전 롤러(8)의 중심들을 잇는 선상에서 실제로 연장된 안내 홈에 미끄럼 가능하게 결합된 대전 롤러 베어링(8c)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대전 롤러 베어링(8c)은 안내 홈(13g)의 한 단부에 있는 스프링 시트(13s)와 대전 롤러 베어링(8c) 사이에 압축 코일 스프링에 의해 감광 드럼(7)을 향해 압박되고 있어서, 대전 롤러(8)는 감광 드럼(7)에 압접된다. 압축 코일 스프링(8b)은 베어링(8c)에 유지되어 있다.
도시하지 않은 전극은 대전 롤러(8)로부터 얻을 수 있는 금속축(8a)에 접촉되며,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외부로 연장된다, 전극의 외부 접촉부는 주 조립체의 외부 접촉부와 연결된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14)의 접촉부와 전기적으로접촉한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척 블레이드(11a)는 금속 블레이드(11a2)에 고정되고 감광 드럼(7)의 외곽선을 따라서 접촉된 고무 등으로 된 탄성 블레이드(11a1)와 금속 블레이드(11a2)를 포함한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척 블레이드(11a)는 금속 블레이드(11a2)의 단부에서 구멍을 통해 소형 나사(11a4)를 조여서 세척제 용기(13)에 고정된다.
이하에는 감광 드럼(7)과 대전 롤러(8)의 해체 및 감광 드럼(7)의 세척제 용기(13)로부터의 해체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감광 드럼(7)은 도4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53a, 53B)을 플랜지(51, 52)의 중앙 구멍(51b, 52b)으로부터 뽑을 때 세척제 용기(13)로부터 해체된다.
감광 드럼(7)이 해체될 때, 대전 롤러(8)는 축선에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되어 베어링(8C)은 안내 홈을 따라 제거되고 대전 롤러(8)와 함께 안내 홈(13g)으로부터 해체된다. 베어링(8c)은 축(8a)으로부터 해체되고 압축 코일 스프링(8b)도 해체된다. 이런 식으로, 세척 블레이드(11a)와 리셉터 시트(11b) 사이에서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개구(G)가 나타나게 된다(도4).
제거된 감광 드럼(7), 대전 롤러(8) 및 베어링(8c)은 재사용할 것인지 결정하기 위해서 검사를 하게 되고, 재사용할 것이라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재조립 작업에서 세척제 용기(13)에 조립되고, 재사용할 것이 아니라면 새로운 부품을 사용한다. 그러나, 보통은 감광 드럼(7)은 토너 고갈시에도 계속 사용할 수 있을 정도의 긴 수명을 갖고 있다.
(세척제 용기의 잔류 토너 제거)
세척제 용기(13) 내의 잔류 토너는 감광 드럼(7), 대전 롤러(8) 및 베어링(8c) 등이 제거된 후에 제거된다.
도49, 도50 및 도51을 참조하여, 세척제 용기(13)의 제거된 토너 수용부(11c)에 수용된 토너의 제거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49는 세척제 용기를 위한 세척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세척제 용기(13)는 세척 장치(70)의 케이싱(70a) 내에 세트된다. 케이싱(70a)은 대기압에 대해 내측을 밀봉한다. 세척제 용기(13)는 피봇 장치(73) 상에 보유된 충격 장치(77)에 의해 충격을 받고, 잔류 토너는 흡입 장치(79)에 의해 그 세트로부터 흡출된다. 동시에, 세척제 용기(13)는 요동 장치(73)에 의해 축(76b)에 대해 요동된다.
도50은 흡입 장치(79)의 에어 블록(79a)의 세부를 도시한 것이다. 에어 블록(79a)은 일반적으로 중공이며, 세척제 용기(13)의 개구(G)의 에지에 접촉하도록 된 밀착면(79g)을 갖고 있고, 상기 밀착면(79g)은 배출 개구(79d)와 흡입 개구(79e)를 제외하고는 고무형 시일 부재(79b)로 피복되어 있다.
세척제 용기(13) 내로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 튜브(79c)는 에어 블록(79a) 내에 배치되어 있고, 공기 취출 개구(79d)는 상술한 밀착면(79g)의 종단부에 인접한 부분에서 개방된다. 게다가, 에어 블록(79a)에는 흡입 튜브(79f)가 배치되어 있고, 흡입 튜브(79f)의 흡입 개구(79e)는 밀착면(79g)의 타단부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공기 취출 개구(79d)와 흡입 개구(79e)를 구비한 밀착면(79g)은 세척 위치(M2)로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된 세척제 용기(13)의 세척 블레이드(11a)와 리셉터시트(11b)에 접촉되어 그들의 에지 사이의 개구(G)를 완전히 덮는다. 이는 도50에서 개구(G)의 쇄선으로 표시하였다. 특히, 밀봉 범위는 A1으로, 공기 배출 개구는 A2로, 공기 토출구는 A3로 표시하였다. 밀봉 범위(A1), 공기 배출 개구(A2) 및 공기 토출구(A3)는 밀착면(79g), 공기 취출 개구(79d), 및 흡입 개구(79e)와 각각 대응한다. 흡입 장치(79)에 있어서, 압축 공기(Q1)은 급기 튜브(79c)로부터 공기 배출 개구(A2)에 밀착된 공기 취출 개구(79d)를 통해, 그리고 개구(G)를 통해(화살표(Q2) 방향으로) 에어 블록(79a)에 밀착된 세척제 용기(13)에 공급되어 잔류 토너를 날리게 되고, 잔류 토너와 공기는 세척제 용기(13)로부터 흡인되어 공기 토출구(A3)에 밀착된 흡입 개구(79e)를 통해(화살표(Q3) 방향으로) 흡입 튜브(79f)로(화살표 (Q4) 방향으로) 보내진다.
공기 블록(79a)과 세척제 용기(13)로부터 누설된 잔류 토너는 도4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입 장치(75) 내의 대기압하의 보조 흡입 장치(도시 않음)에 의해 주위 흡입 개구(78)를 통해 흡인된다.
도49 및 도50과 도51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세척 장치(70)의 동작과 세척제 용기(13)의 세척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세척 장치(70)(세척기)의 동작은 스텝(S1)으로부터 개시된다. 세척할 세척제 용기(13)는 이 때(S2) 원위치에 있는 테이블(72)의 상부에 배치된다. 카버(70b)는 폐쇄되어 있으며(S3), 이는 센서(도어 스위치)(70d)에 의해 검출되고(S4), 파지 장치(도시 않음)의 에어 실린더가 작동되어(S5), 세척제 용기(13)의 상부측이 밀리게 된다.
이로써, 세척제 용기(13)는 테이블(72) 상의 소정 위치에 파지된다. 테이블(72)에 직접 연결된 피스톤 로드를 구비한 공기 실린더(75)가 작동되어(S7), 테이블(72)은 미끄럼 베이스(71)상의 원위치(M1)으로부터 요동 장치(73) 내의 세척 위치(M2)까지 이동하고(S8), 세척제 용기(13)의 개구(G)는 흡입 장치(79)의 표면(79g)에 밀착한다.
이 때, 모터(77a)가 작동하고(S9), 충격 장치(77)가 시동되어 모터(77a)의 축이 고정되는 크랭크의 핀(77b)이 요우크(77c)를 지지하는 핀(77d)에 대해 요동한다. 충격은 요우크(77c)에 고정된 판 스프링 아암(77e)의 단부에 고정된 진동기(77g)에 의해 세척제 용기(13)의 상면측에 있는 지점(P)(도50)에 가해진다(S10). 이렇게 함으로써, 세척제 용기(13)의 내벽상에 부착된 잔류 토너는 강제로 떨어지고, 잔류 토너의 이동성이 향상된다. 로터리 작동기(76)가 스타트되고(S11), 요동 장치(73)의 요동 테이블(73a)은 α=0° 내지 80° 범위에서 요동 테이블(73a)을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76b)에 대해 왕복하게 된다. 요동 테이블(73a)은 위치 조정이 가능한 맞닿음 스토퍼(71a, 71b)에 의해 정지된다. 압축 공기를 위한 정지 테이블(도시 되지 않음)이 개방되어(S13, S14), 공기 취출 개구(79d)(도50)와 개구(G)를 통해 세척제 용기(13)에 압축 공기를 공급하게 되고, 동시에 세척제 용기 내의 공기는 잔류 토너와 함께 개구(G)와 흡입 개구(79e)를 통해 흡인된다. 작동은 적당한 기간 동안 계속된다.
요동 테이블(73a)은 일회 왕복을 통해 요동한다(S15). 회전 작동기(76)를 끄고(S16), 요동 테이블(73a)의 수평 위치(N1)를 검사하고(S17), 그 후 모터(77a)를 끄면(S18, S19) 위치(N1)에 해머로 가한 충격이 멈춘다. 정지 밸브는 폐쇄된다(S20, S21). 공기 실린더(75)는 리셋 방향으로 밀리게 되고(S22), 세척 위치(M2)에 위치된 테이블(72)은 원위치(M1)로 복귀된다. 이에 응답하여, 도시하지 않은 파지 공기 실린더가 꺼지고(S24), 테이블(72)에 대한 세척제 용기(13)의 파지가 해제된다(S25). 그 후, 카버(70b)가 개방되고(S26), 세척제 용기(13)는 케이싱(70a)으로부터 벗어나게 된다(S27). 이로써 세척제 용기(13)을 위한 세척 동작이 종료된다.
세척 단계에서, 장치(77)가 세척제 용기(13)에 가하는 충격은 도51의 플로우 차트에서의 스텝(S9 및 S18) 사이의 기간 동안 이어지며, 그와 함께 순간적으로 세척제 용기(13)의 요동 동작과 잔류 토너의 흡입이 수행된다. 따라서, 세척제 용기(13)의 내벽 등에 부착된 잔류 토너를 떨어내고, 잔류 토너는 개구(G)를 향해 원활하게 이동된다. 공기 취입 개구(79d)로부터 취출된 압축 공기는 세척제 용기(13) 내에 뿌리는데 효과적이며, 잔류 토너는 흡입 개구(79e)로부터 흡입된다. 이런 일련의 동작 과정에 의해, 잔류 토너는 세척제 용기(13)로부터 거의 완전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세척 후에, 세척 블레이드(11a)는 소형 나사(11a4)를 제거함으로써 세척제 용기(13)로부터 제거된다(도4). 그 후, 리셉터 시트(11b)는 세척제 용기(13)로부터 제거된다. 그 후, 세척제 용기(13)의 내측으로부터 공기를 흡인함으로써, 압축 공기는 세척제 용기(13) 내로 취입되고, 세척제 용기(13)의 내측을 세척하게 된다. 그 후, 새로운 리셉터 시트(11b)를 세척제 용기(13)에 부착한다. 신규 세척제 용기(13)의 단부에 있는 구멍(11a3)(도11에는 한단부만 도시함)은 세척제 용기(13)의 위치 결정 돌기(13i)와 결합하게 되고, 소형 나사(11a4)는 금속 블레이드(11a2)의 구멍을 통해 세척제 용기(13)에 나사 결합된다.
그러면, 압축 코일 스프링(8b)이 장착되는 베어링(8c)에 결합된 대전 롤러(8)는 축(8a)에 장착된다. 이는, 압축 코일 스프링(8b)을 선행측으로 한 상태에서 안내 홈(13g)에 베어링(8c)을 결합함으로써 행해진다. 그 후, 도4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광 드럼(7)은 세척제 용기(13)의 단부벽들 사이에 결합되며, 플랜지(51, 52)의 중앙 구멍(51b, 52b)은 세척제 용기(13)의 양단부에서 단부벽에 고정되고, 그 후, 드럼축(53a, 53b)은 구멍(13k, 51b, 52b, 13m)에 결합된다. 드럼축(53a, 53b)은 구멍(13m, 13k)에 압입되며, 드럼축(53a, 53b)은 구멍(51b, 52b)과 미끄럼 결합한다. 유닛 내의 감광 드럼(7)은 드럼축(53a, 53b) 상에서 회전 가능하다.
(감광 드럼과 현상 롤러 사이의 간극)
감광 드럼(7)과 현상 롤러(10d)가 서로 접촉되면 드럼 기어(51a) 및 현상 롤러 기어(10f)는 서로 맞물림 결합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드럼 기어(51a)와 함께 반송되고, 현상 롤러 기어(10f)는 서로 결합하게 되며, 기어의 치면들이 접촉하게 되고 따라서 이들이 충격 또는 진동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회전 방향은 도52에서 화살표(A)로 표시한 바와 같으며(화상 형성 동작과 같은 방향), 문제는 없다. 그러나, 반송중의 진동이나 충격은 일정하지 않게 일어나므로 회전 방향은 확실하지 않다. 감광 드럼(7)은 화살표(B)방향으로 회전한다. 즉, 감광 드럼(7)과 현상롤러(10d)는 정상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토너는 조오 시일(42)(날림 방지 시트)과 현상 롤러(10d) 사이를 통해 누설되게 되며, 심한 경우에는 상기 방지 시트가 현상 롤러에 반대 방향으로 접촉하게 되어 시일(42)이 현상 롤러 주위에서 손상을 입게 되는 경우도 있다. 게다가, 현상 블레이드(10e)의 양단부 각각에 장착되어 현상 롤러(10d)의 양단부에서 토너를 내측으로 안내하기 위한 기능을 하는 스크레이퍼(60)는 현상 롤러(10d)가 정상 방향으로 회전할 때는 정확하게 동작할 수 있고, 따라서, 나쁜 방향으로 회전되면 토너는 현상 롤러(10d)의 양단부에서 누설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드럼 기어(51a)와 현상 롤러 기어(10f) 사이의 결합의 후방 여유는 반송 중의 치면들 사이의 맞닿음을 회피하기 위해 화상 형성 과정에서 보다는 더 크게 되어 있다. 다른 대안으로는, 반송을 위해서 이들을 분해하는 방법이 있다.
도54를 참조하여, 분해 상태와 드럼 기어(51a)와 현상 롤러 기어(10f)사이의 큰 후방 여유를 유지하는 수단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53의 경우에, 테이프(81)는 토너 현상 용기(12)와 세척제 용기(13)에 걸쳐서 부착되고, 드럼 기어(51a)와 현상 롤러 기어(10f)는 서로 분해되거나 큰 여유 간극을 갖게 된다.
특히, 토너 현상 용기(12)와 세척제 용기(13)에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고, 도53에서 화살표(N)로 도시한 바와 같이 감광 드럼(7)과 현상제 롤러(10d)가 제공되는 부분으로부터 토너 현상 용기(12)와 세척제 용기(13) 사이에서 피봇되는 지점(P)을 통과하는 수직면을 가로질러 위치하며, 드럼기어(51a)와 현상롤러 기어(10f) 사이의 간극이 증가되거나 서로 분리되어 버리게 된다. 이 힘은 인장 코일 스프링(59)(도7)과 압축 코일 스프링(40)(도11)에 의해 제공되는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감광 드럼(7)과 현상 롤러(10d)를 서로를 향해 밀어붙이는 힘이다. 따라서, 테이프(81)는 스프링(40, 59)에 의해 인장된다. 따라서, 테이프(81)는 반송중의 응력이 허용 가능한 범위가 되기에 충분한 폭 및 두께를 가지며, 또 접착 재료 또는 테이프의 접착 재료는 토너 현상 장치 프레임(12a)과 세척제 용기(13)에 대한 충분한 접착 강도를 갖는다.
전술한 실시예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프로세스 카트리지 재생 방법에 있어서,
(a) 토너 수용부(10a), 토너 공급 개구(12a1), 현상 롤러(10d) 및 현상 블레이드(10e)를 포함하고 상기 감광 드럼과 상기 현상 롤러 사이의 간극을 측정하기 위한 레이저 비임을 통과시키는 절결부(12d)가 상기 양 단부 부근에 마련된 토너 현상 용기(12)와,
전자 사진 감광 드럼(7)을 포함하는 세척제 용기(13)와,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양 종단부에서 상기 토너 현상 용기(12) 및 상기 세척제 용기(13)를 결합하기 위한 핀을 포함하는, 사용된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마련하는 단계와,
(b)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B)로부터 상기 핀을 해체함으로써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상기 토너 현상 용기(12) 및 상기 세척제 용기(13)로 분리하는 용기 분리 단계와,
(c) 상기 용기 분리 단계에 의해 분리된 상기 토너 현상 용기(12)로부터 상기 현상 롤러(10d)를 해체시키는 현상 롤러 해체 단계와,
(d) 상기 용기 분리 단계에 의해 분리된 상기 토너 현상 용기(12)로부터 상기 현상 블레이드(10e)를 해체시키는 현상 블레이드(10e) 해체 단계와,
(e) 토너 현상제 용기의 절결부를 시일로 밀봉하는 절결부(12d) 밀봉 단계와,
(f) 장착된 시일로 밀봉된 절결부를(12d) 갖는 상기 토너 현상제 용기 상에 현상 블레이드(10e)를 장착하는 현상 블레이드(10e) 장착 단계와,
(g) 장착된 시일로 밀봉된 절결부(12d)를 갖는 토너 현상제 용기 상에 현상 롤러(10d)를 장착하는 현상 롤러(10d) 장착 단계와,
(h) 상기 시일, 상기 현상 블레이드(10e) 및 상기 현상 롤러(10d)를 갖는 상기 토너 현상 용기(12)의 토너 수용부(10a)에 토너를 재충전하는 토너 재충전 단계와,
(i) 핀(41)과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시일, 상기 현상 블레이드(10e) 및 상기 현상 롤러(10d)를 갖는 상기 토너 현상 용기(12)를 세척제 용기(13)와 결합시키는 용기 결합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이로써, 절결부(12d)를 통한 토너 누설은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2. 제1 항목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절결부(12d) 밀봉 단계 후 및 상기 토너 재충전 단계 전에, 상기 현상 롤러(10d)가 상기 토너 현상 용기(12)에 장착될 때 상기 현상 롤러(10d)의 종방향을 따라 연장하도록 상기 토너 현상용기(12)에 가요성 시트(42)를 장착하는 가요성 시트(42) 장착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 항목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시트(42) 장착 단계에서, 상기 가요성 시트(42)의 각각의 종단부는 상기 밀봉재의 일부와 상기 단부 시일(34)의 일부를 넘어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2 또는 제3 항목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시트(42) 장착 단계 후, 상기 토너 현상 용기(12) 상에 장착된 상기 가요성 시트(42)의 종단부와 상기 토너 현상 용기(12) 상에 제1 측면 시일(64)을 연속적으로 장착하고, 상기 가요성 시트(42)의 타종단부와 상기 토너 현상 용기(12) 상에 제2 측면 시일(64)을 연속적으로 장착하는 제1 및 제2 측면 시일(64) 장착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이로써, 시일(42)과 밀봉 재료(63)를 통한 누설은 방지될 수 있다.
5. 프로세스 카트리지 재생 방법에 있어서,
(a) 토너 수용부(10a), 토너 공급 개구(12a1), 현상 롤러(10d) 및 현상 블레이드(10e)를 포함하고 상기 감광 드럼과 상기 현상 롤러(10d) 사이의 간극을 측정하기 위한 레이저 비임을 통과시키는 절결부(12d)가 양 단부 부근에 마련된 토너 현상 용기(12)와,
전자 사진 감광 드럼(7)을 포함하는 세척제 용기(13)와,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양 종단부에서 상기 토너 현상 용기(12) 및 상기 세척제 용기(13)를 결합하기 위한 핀을 포함하는, 사용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마련하는 단계와,
(b)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B)로부터 상기 핀을 해체함으로써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상기 토너 현상 용기(12) 및 상기 세척제 용기로 분리하는 용기 분리 단계와,
(c) 상기 용기 분리 단계에 의해 분리된 상기 토너 현상 용기(12)로부터 상기 현상 롤러(10d)를 해체시키는 현상 롤러 해체 단계와,
(d) 상기 용기 분리 단계에 의해 분리된 상기 토너 현상 용기(12)로부터 상기 현상 블레이드를 해체시키는 현상 블레이드(10e) 해체 단계와,
(e) 토너 현상제 용기의 절결부를 시일로 밀봉하는 절결부(12d) 밀봉 단계와,
(f) 상기 현상 롤러(10d)가 상기 토너 현상 용기(10d)에 장착될 때 상기 현상 롤러(10d)의 종방향을 따라 연장하도록 절결부(12d)를 갖는 상기 토너 현상 용기(12)에 가요성 시트(42)를 장착하는 가요성 시트(42) 장착 단계와,
(g) 절결부(12d)를 갖는 상기 토너 현상 용기(12) 상에 장착된 상기 가요성 시트(42)의 종단부에 제1 측면 시일을 연속적으로 장착하고 절결부(12d)를 갖는 상기 토너 현상 용기(12) 상에 장착된 상기 가요성 시트의 타종단부에 제2 측면 시일을 연속적으로 장착하는 제1 및 제2 측면 시일 장착 단계와,
(h) 장착된 시일로 밀봉된 절결부(12d)를 갖는 상기 토너 현상제 용기 상에 현상 블레이드(10e)를 장착하는 현상 블레이드(10e) 장착 단계와,
(i) 장착된 시일로 밀봉된 절결부(12d)를 갖는 상기 토너 현상제 용기 상에현상 롤러(10d)를 장착하는 현상 롤러(10d) 장착 단계와,
(j) 상기 시일, 상기 현상 블레이드(10e) 및 상기 현상 롤러(10d)를 갖는 상기 토너 현상 용기(12)의 토너 수용부(10a)에 토너를 재충전하는 토너 재충전 단계와,
(k) 핀(41)을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시일, 상기 현상 블레이드(10e) 및 상기 현상 롤러(10d)를 갖는 상기 토너 현상 용기(12)를 세척제 용기(13)와 결합시키는 용기 결합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이로써, 토너 공급 개구(12a1)를 밀봉하지 않고도 토너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6. 제1 또는 제5 항목에 있어서, 상기 현상 블레이드(10e) 해체 단계 후, 상기 시일은 상기 토너 현상 용기(12) 상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 내지 제6 항목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시일은 소성 변형 가능한 재료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스폰지 밀봉 재료는 절결부(12d)의 벽에 접촉된다. 소성 변형 가능한 상기 밀봉 재료는 간극 없이 절결부(12d)를 밀봉할 수 있다.
8. 제1 내지 제7 항목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토너 재충전 단계는 상기 절결부 밀봉 단계와, 상기 현상 블레이드 장착 단계와, 상기 현상 롤러 장착 단계 후 토너 충전 개구를 거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1 내지 제8 항목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현상 블레이드(10e) 장착 단계에서, 새로운 현상 블레이드(10e) 또는 사용된 현상 블레이드(10e)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1 내지 제9 항목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현상 롤러 장착 단계(10d)에서, 새로운 또는 사용된 현상 롤러(10d)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 내지 제10 항목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용기 결합 공정에 앞서, 상기 전자 사진식 감광 드럼(7)과 상기 세척 블레이드는 상기 세척제 용기로부터 해체되고, 상기 전자 사진식 감광 드럼(7)으로부터 제거되고 상기 세척제 용기에 수용된 토너가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1 항목에 있어서, 상기 토너가 제거된 후, 새로운 또는 사용된 전자 사진 감광 드럼(7)과 새로운 또는 사용된 세척 블레이드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 내지 제12 항목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재생 방법은 상기 토너 수용부(10a)에 수용된 토너를 상기 현상 롤러(10d)로 공급하기 위해 당겨진 상기 현상 롤러(10d)에 상기 토너 수용부(10a)에 수용된 토너를 공급하도록 마련된 토너 공급 개구(12a1)를 밀봉하기 위한 토너 시일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 내지 제5 항목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7)과 동축으로 고정된 기어 및 상기 현상 롤러(10d)와 동축으로 고정된 기어를 포함하고, 이 기어들은 맞물림 결합을 하며, 상기 용기 결합 단계 후, 상기 토너 현상 용기(12) 및 상기 세척제 용기는 상기 기어들을 서로 해체하거나 맞물림 결합의 후방 유격을 화상 형성 작업 중의 유격보다 크게 하기 위해 상기 핀(41) 둘레에서 회전되거나, 상기 해체 상태 또는 큰 후방 유격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4 항목에 있어서, 상기 토너 현상 용기(12) 및 상기 세척제 용기는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7)으로부터 상기 핀(41)을 가로지르는 부분에서 상기 핀(41) 둘레에서 서로를 향해 회전되며, 테이프는 해체 상태 또는 큰 후방 유격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토너 현상 용기(12) 및 상기 세척제 용기 상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본 발명에 따르면, 토너 누설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용이한 재생 방법이 얻어진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 구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개선을 목적으로 하는 변경 또는 변형이나 이하 청구 범위의 범주 내에 속하는 것까지 포함하는 것이다.

Claims (29)

  1. 프로세스 카트리지 재생 방법에 있어서,
    (a) 토너 수용부, 토너 공급 개구, 현상 롤러 및 현상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감광 드럼과 상기 현상 롤러 사이의 간극을 측정하기 위한 레이저 비임을 통과시키는 절결부가 상기 양 단부 부근에 마련된 토너 현상 용기와,
    전자 사진 감광 드럼을 포함하는 세척제 용기와,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양 종단부에서 상기 토너 현상 용기 및 상기 세척제 용기를 결합하기 위한 핀을 포함하는, 사용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마련하는 단계와,
    (b)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로부터 상기 핀을 해체함으로써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상기 토너 현상 용기 및 상기 세척제 용기로 분리하는 용기 분리 단계와,
    (c) 상기 용기 분리 단계에 의해 분리된 상기 토너 현상 용기로부터 상기 현상 롤러를 해체시키는 현상 롤러 해체 단계와,
    (d) 상기 용기 분리 단계에 의해 분리된 상기 토너 현상 용기로부터 상기 현상 블레이드를 해체시키는 현상 블레이드 해체 단계와,
    (e) 토너 현상제 용기의 절결부를 시일로 밀봉하는 절결부 밀봉 단계와,
    (f) 장착된 시일로 밀봉된 절결부를 갖는 상기 토너 현상제 용기 상에 현상 블레이드를 장착하는 현상 블레이드 장착 단계와,
    (g) 장착된 시일로 밀봉된 절결부를 갖는 토너 현상제 용기 상에 현상 롤러를 장착하는 현상 롤러 장착 단계와,
    (h) 상기 시일, 상기 현상 블레이드 및 상기 현상 롤러를 갖는 상기 토너 현상 용기의 토너 수용부에 토너를 재충전하는 토너 재충전 단계와,
    (i) 핀을 꽂아서 상기 시일, 상기 현상 블레이드 및 상기 현상 롤러를 갖는 상기 토너 현상 용기를 세척제 용기와 결합시키는 용기 결합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결부 밀봉 단계 후 및 상기 토너 재충전 단계 전에, 상기 현상 롤러가 상기 토너 현상 용기에 장착될 때 상기 현상 롤러의 종방향을 따라 연장하도록 상기 토너 현상 용기에 가요성 시트를 장착하는 가요성 시트 장착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시트 장착 단계에서, 상기 가요성 시트의 각각의 종단부는 상기 밀봉재의 일부와 상기 단부 시일의 일부를 넘어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시트 장착 단계 후, 상기 토너 현상 용기 상에 장착된 상기 가요성 시트의 종단부와 상기 토너 현상 용기 상에 제1 측면 시일을 연속적으로 장착하고, 상기 가요성 시트의 타종단부와 상기 토너 현상 용기 상에 제2 측면 시일을 연속적으로 장착하는 제1 및 제2 측면 시일 장착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프로세스 카트리지 재생 방법에 있어서,
    (a) 토너 수용부, 토너 공급 개구, 현상 롤러 및 현상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감광 드럼과 상기 현상 롤러 사이의 간극을 측정하기 위한 레이저 비임을 통과시키는 절결부가 양 단부 부근에 마련된 토너 현상 용기와,
    전자 사진 감광 드럼을 포함하는 세척제 용기와,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양 종단부에서 상기 토너 현상 용기 및 상기 세척제 용기를 결합하기 위한 핀을 포함하는, 사용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마련하는 단계와,
    (b)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로부터 상기 핀을 해체함으로써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상기 토너 현상 용기 및 상기 세척제 용기로 분리하는 용기 분리 단계와,
    (c) 상기 용기 분리 단계에 의해 분리된 상기 토너 현상 용기로부터 상기 현상 롤러를 해체시키는 현상 롤러 해체 단계와,
    (d) 상기 용기 분리 단계에 의해 분리된 상기 토너 현상 용기로부터 상기 현상 블레이드를 해체시키는 현상 블레이드 해체 단계와,
    (e) 토너 현상제 용기의 절결부를 시일로 밀봉하는 절결부 밀봉 단계와,
    (f) 상기 현상 롤러가 상기 토너 현상 용기에 장착될 때 상기 현상 롤러의 종방향을 따라 연장하도록 절결부를 갖는 상기 토너 현상 용기에 가요성 시트를 장착하는 가요성 시트 장착 단계와,
    (g) 절결부를 갖는 상기 토너 현상 용기 상에 장착된 상기 가요성 시트의 종단부에 제1 측면 시일을 연속적으로 장착하고 절결부를 갖는 상기 토너 현상 용기 상에 장착된 상기 가요성 시트의 타종단부에 제2 측면 시일을 연속적으로 장착하는 제1 및 제2 측면 시일 장착 단계와,
    (h) 장착된 시일로 밀봉된 절결부를 갖는 상기 토너 현상제 용기 상에 현상 블레이드를 장착하는 현상 블레이드 장착 단계와,
    (i) 장착된 시일로 밀봉된 절결부를 갖는 상기 토너 현상제 용기 상에 현상 롤러를 장착하는 현상 롤러 장착 단계와,
    (j) 상기 시일, 상기 현상 블레이드 및 상기 현상 롤러를 갖는 상기 토너 현상 용기의 토너 수용부에 토너를 재충전하는 토너 재충전 단계와,
    (k) 핀을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시일, 상기 현상 블레이드 및 상기 현상 롤러를 갖는 상기 토너 현상 용기를 세척제 용기와 결합시키는 용기 결합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블레이드 해체 단계 후, 상기 시일은 상기 토너 현상 용기 상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은 소성 변형 가능한 재료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재충전 단계는 상기 절결부 밀봉 단계와, 상기 현상 블레이드 장착 단계와, 상기 현상 롤러 장착 단계 후 토너 충전 개구를 거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블레이드 장착 단계에서, 새로운 현상 블레이드 또는 사용된 현상 블레이드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롤러 장착 단계에서, 새로운 또는 사용된 현상 롤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결합 공정에 앞서, 상기 전자 사진식 감광 드럼과 상기 세척 블레이드는 상기 세척제 용기로부터 해체되고, 상기 전자 사진식 감광 드럼으로부터 제거되어 상기 세척제 용기에 수용된 토너가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가 제거된 후, 새로운 또는 사용된 전자 사진 감광 드럼과 새로운 또는 사용된 세척 블레이드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방법은 상기 토너 수용부에 수용된 토너를 상기 현상 롤러로 공급하기 위해 당겨진 상기 현상 롤러에 상기 토너 수용부에 수용된 토너를 공급하도록 마련된 토너 공급 개구를 밀봉하기 위한 토너 시일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과 동축으로 고정된 기어 및 상기 현상 롤러와 동축으로 고정된 기어를 포함하고, 이 기어들은 맞물림 결합을 하며, 상기 용기 결합 단계 후, 상기 토너 현상 용기 및 상기 세척제 용기는 상기 기어들을 서로 해체하거나 맞물림 결합의 후방 유격을 화상 형성 작업 중의 유격보다 크게 하기 위해 상기 핀 둘레에서 회전되거나, 상기 해체 상태 또는 큰 후방 유격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현상 용기 및 상기 세척제 용기는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으로부터 상기 핀을 가로지르는 부분에서 상기 핀 둘레에서 서로를 향해 회전되며, 테이프는 해체 상태 또는 큰 후방 유격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토너 현상 용기 및 상기 세척제 용기 상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프로세스 카트리지 재생 방법에 있어서,
    (a) 토너 수용부, 토너 공급 개구, 현상 롤러 및 현상 블레이드를 포함하고상기 감광 드럼과 상기 현상 롤러 사이의 간극을 측정하기 위한 레이저 비임을 통과시키는 절결부가 마련된 토너 현상 용기와,
    전자 사진 감광 드럼을 포함하는 세척제 용기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양 종단부에서 상기 토너 현상 용기 및 상기 세척제 용기를 결합하기 위한 핀을 포함하는, 사용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마련하는 단계와,
    (b)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로부터 상기 핀을 해체함으로써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상기 토너 현상 용기 및 상기 현상 용기로 분리하는 용기 분리 단계와,
    (c) 상기 용기 분리 단계에 의해 분리된 상기 토너 현상 용기로부터 상기 현상 롤러를 해체시키는 현상 롤러 해체 단계와,
    (d) 상기 용기 분리 단계에 의해 분리된 상기 토너 현상 용기로부터 상기 현상 블레이드를 해체시키는 현상 블레이드 해체 단계와,
    (e) 토너 현상제 용기의 절결부를 시일로 밀봉하는 절결부 밀봉 단계와,
    (f) 장착된 시일로 밀봉된 절결부를 갖는 상기 토너 현상제 용기 상에 현상 블레이드를 장착하는 현상 블레이드 장착 단계와,
    (g) 장착된 시일로 밀봉된 절결부를 갖는 토너 현상제 용기 상에 현상 롤러를 장착하는 현상 롤러 장착 단계와,
    (h) 시일을 갖는 상기 토너 현상 용기의 토너 공급 개구를 거쳐 상기 시일, 상기 현상 블레이드 및 상기 현상 롤러를 갖는 상기 토너 현상 용기의 토너 수용부에 토너를 재충전하는 토너 재충전 단계와,
    (i) 핀을 꽂아서 상기 시일, 상기 현상 블레이드 및 상기 현상 롤러를 갖는 상기 토너 현상 용기를 세척제 용기와 결합시키는 용기 결합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절결부 밀봉 단계 후 및 상기 토너 재충전 단계 전에, 상기 현상 롤러가 상기 토너 현상 용기에 장착될 때 상기 현상 롤러의 종방향을 따라 연장하도록 상기 토너 현상 용기에 가요성 시트를 장착하는 가요성 시트 장착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시트 장착 단계에서, 상기 가요성 시트의 각각의 종단부는 상기 밀봉재의 일부와 상기 단부 시일의 일부를 넘어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시트 장착 단계 후, 상기 토너 현상 용기 상에 장착된 상기 가요성 시트의 종단부와 상기 토너 현상 용기 상에 제1 측면 시일을 연속적으로 장착하고, 상기 가요성 시트의 타종단부와 상기 토너 현상 용기 상에 제2 측면 시일을 연속적으로 장착하는 제1 및 제2 측면 시일 장착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프로세스 카트리지 재생 방법에 있어서,
    (a) 토너 수용부, 토너 공급 개구, 현상 롤러 및 현상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감광 드럼과 상기 현상 롤러 사이의 간극을 측정하기 위한 레이저 비임을 통과시키는 절결부가 양단부 부근에 마련된 토너 현상 용기와,
    전자 사진 감광 드럼을 포함하는 세척제 용기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양 종단부에서 상기 토너 현상 용기 및 상기 세척제 용기를 결합하기 위한 핀을 포함하는, 사용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마련하는 단계와,
    (b)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로부터 상기 핀을 해체함으로써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상기 토너 현상 용기 및 상기 현상 용기로 분리하는 용기 분리 단계와,
    (c) 상기 용기 분리 단계에 의해 분리된 상기 토너 현상 용기로부터 상기 현상 롤러를 해체시키는 현상 롤러 해체 단계와,
    (d) 상기 용기 분리 단계에 의해 분리된 상기 토너 현상 용기로부터 상기 현상 블레이드를 해체시키는 현상 블레이드 해체 단계와,
    (e) 토너 현상제 용기의 절결부를 시일로 밀봉하는 절결부 밀봉 단계와,
    (f) 상기 현상 롤러가 상기 토너 현상 용기에 장착될 때 상기 현상 롤러의 종방향을 따라 연장하도록 절결부를 갖는 상기 토너 현상 용기에 가요성 시트를 장착하는 가요성 시트 장착 단계와,
    (g) 절결부를 갖는 상기 토너 현상 용기 상에 장착된 상기 가요성 시트의 종단부에 제1 측면 시일을 연속적으로 장착하고 절결부를 갖는 상기 토너 현상 용기 상에 장착된 상기 가요성 시트의 타종단부에 제2 측면 시일을 연속적으로 장착하는제1 및 제2 측면 시일 장착 단계와,
    (h) 장착된 시일로 밀봉된 절결부를 갖는 상기 토너 현상제 용기 상에 현상 블레이드를 장착하는 현상 블레이드 장착 단계와,
    (i) 장착된 시일로 밀봉된 절결부를 갖는 토너 현상제 용기 상에 현상 롤러를 장착하는 현상 롤러 장착 단계와,
    (j) 시일을 갖는 상기 토너 현상 용기의 토너 공급 개구를 거쳐 상기 시일, 상기 현상 블레이드 및 상기 현상 롤러를 갖는 상기 토너 현상 용기의 토너 수용부에 토너를 재충전하는 토너 재충전 단계와,
    (k) 핀을 꽂아서 상기 시일, 상기 현상 블레이드 및 상기 현상 롤러를 갖는 상기 토너 현상 용기를 세척제 용기와 결합시키는 용기 결합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16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블레이드 해체 단계 후, 상기 시일은 상기 토너 현상 용기 상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16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은 소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재료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제16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블레이드 장착 단계에서, 새로운 또는 사용된 현상 블레이드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제16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롤러 장착 단계에서, 새로운 또는 사용된 현상 롤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5. 제16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결합 공정에 앞서, 상기 전자 사진식 감광 드럼과 상기 세척 블레이드는 상기 세척제 용기로부터 해체되고, 상기 전자 사진식 감광 드럼으로부터 제거되어 상기 세척제 용기에 수용된 토너는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가 제거된 후, 새로운 또는 사용된 전자 사진 감광 드럼과 새로운 또는 사용된 세척 블레이드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7. 제16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방법은 상기 토너 수용부에 수용된 토너를 상기 현상 롤러로 공급하기 위해 당겨진 상기 현상 롤러에 상기 토너 수용부에 수용된 토너를 공급하도록 마련된 토너 공급 개구를 밀봉하기 위한 토너 시일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8. 제16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과 동축 상에서 고정된 기어 및 상기 현상 롤러와 동축 상에서 고정된 기어를 포함하고, 이 기어들은 맞물림 결합을 하며, 상기 용기 결합 단계 후, 상기 토너 현상 용기 및 상기 세척 용기는 상기 기어들을 서로 해체하거나 맞물림 결합의 후방 유격을 화상 형성 작업 중의 유격보다 크게 하기 위해 상기 핀 둘레에서 회전되며, 상기 해체 상태 또는 큰 후방 유격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현상 용기 및 상기 세척 용기는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으로부터 상기 핀을 가로지르는 부분에서 상기 핀 둘레에서 서로를 향해 회전되며, 테이프가 해체 상태 또는 큰 후방 유격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토너 현상 용기 및 상기 세척 용기 상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00063701A 1999-10-29 2000-10-28 프로세스 카트리지 재생 방법 KR1003440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309102 1999-10-29
JP11309102A JP3103548B1 (ja) 1999-10-29 1999-10-29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産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0213A KR20010060213A (ko) 2001-07-06
KR100344042B1 true KR100344042B1 (ko) 2002-07-20

Family

ID=17988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3701A KR100344042B1 (ko) 1999-10-29 2000-10-28 프로세스 카트리지 재생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397025B1 (ko)
EP (1) EP1096337B1 (ko)
JP (1) JP3103548B1 (ko)
KR (1) KR100344042B1 (ko)
CN (1) CN1135446C (ko)
DE (1) DE60027106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20403B2 (ja) * 2000-06-28 2002-09-03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産方法
JP3564080B2 (ja) * 2001-04-27 2004-09-08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産方法
JP3754910B2 (ja) 2001-10-31 2006-03-15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産方法
JP2003271040A (ja) * 2002-03-15 2003-09-25 Fuji Xerox Co Ltd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方法、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装置
JP3592312B2 (ja) 2002-04-26 2004-11-2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産方法
US6980755B2 (en) 2002-09-30 2005-12-27 Canon Kabushiki Kaisha Recycling method for developer supplying unit including the step of driving a feeding member in a direction to feed developer from a developer supply port to a developer accommodating portion
JP2004151563A (ja) * 2002-10-31 2004-05-27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産方法
US6975822B2 (en) * 2002-12-13 2005-12-13 Fuji Xerox Co., Ltd. Recycle developer bearing body, inspection method and inspection device thereof, method of recycling a developer bearing body, and method of recycling a used process cartridge
CN101923308B (zh) * 2010-07-27 2012-07-18 珠海天威飞马打印耗材有限公司 一种显影剂盒的改制方法
CN101923307B (zh) * 2010-07-27 2012-07-18 珠海天威飞马打印耗材有限公司 显影剂盒的改制方法
US8929768B2 (en) 2013-05-17 2015-01-06 Xerox Corporation Method of remanufacturing a toner cartridge and remanufactured toner cartridge
JP6223053B2 (ja) 2013-08-09 2017-11-01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7118715B2 (ja) * 2017-05-29 2022-08-16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の製造方法
JP7180432B2 (ja) * 2019-02-14 2022-11-30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データ処理装置、データ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283228B2 (ja) * 2019-05-27 2023-05-30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測定装置、画像形成装置、および、測定方法
JP7370945B2 (ja) * 2020-07-21 2023-10-3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4040A (ja) * 1992-10-10 1994-05-06 Ricoh Co Ltd 画像形成用ユニット
JPH07168512A (ja) * 1993-10-19 1995-07-04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H07302031A (ja) * 1994-05-10 1995-11-14 Canon Inc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H0926740A (ja) * 1995-07-11 1997-01-28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H0962167A (ja) * 1995-08-25 1997-03-07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方法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49781A (ja) 1990-02-28 1991-11-07 Canon Inc 現像剤漏出防止装置、及びこれを有する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3200141B2 (ja) 1991-04-08 2001-08-2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に着脱自在な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3126532B2 (ja) 1992-02-10 2001-01-22 キヤノン株式会社 クリーニング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5331373A (en) 1992-03-13 1994-07-19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process cartridge mountable within it and method for attaching photosensitive drum to process cartridge
JPH05323693A (ja) * 1992-05-20 1993-12-07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3352155B2 (ja) 1992-06-30 2002-12-03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5475467A (en) 1993-04-19 1995-12-12 Canon Kabushiki Kaisha Sealing member, and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same
JPH06308819A (ja) 1993-04-19 1994-11-04 Canon Inc シール部材及び前記シール部材を用いた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DE69434930T2 (de) * 1993-07-14 2007-06-28 Canon K.K. Dichtung, Wiederaufbereitungsverfahren einer Prozesseinheit und Bilderzeugungsgerät
JPH0792887A (ja) 1993-07-20 1995-04-07 Canon Inc シール部材、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組立方法
JP3313900B2 (ja) 1993-08-31 2002-08-1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フレーム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H07181857A (ja) 1993-12-22 1995-07-21 Canon Inc クリーニング装置及びクリーニング装置の組立て方法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組立て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JPH07219295A (ja) 1994-01-31 1995-08-18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3267465B2 (ja) 1994-06-24 2002-03-18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H08202242A (ja) 1995-01-27 1996-08-09 Canon Inc 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クリーニング装置及び現像装置
JP3471950B2 (ja) 1995-02-02 2003-12-0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3382409B2 (ja) 1995-04-28 2003-03-0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方法
JP3347549B2 (ja) 1995-09-12 2002-11-20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方法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3524334B2 (ja) 1997-02-10 2004-05-10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ユニット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トナーシール
JP3796325B2 (ja) 1997-07-03 2006-07-12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ブレードホルダ取り付け構造
JP3618984B2 (ja) 1997-11-11 2005-02-09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H11237821A (ja) 1998-02-24 1999-08-31 Fuji Xerox Co Ltd ブレード取付構造,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4040A (ja) * 1992-10-10 1994-05-06 Ricoh Co Ltd 画像形成用ユニット
JPH07168512A (ja) * 1993-10-19 1995-07-04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H07302031A (ja) * 1994-05-10 1995-11-14 Canon Inc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H0926740A (ja) * 1995-07-11 1997-01-28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H0962167A (ja) * 1995-08-25 1997-03-07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方法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027106D1 (de) 2006-05-18
EP1096337A1 (en) 2001-05-02
CN1304064A (zh) 2001-07-18
JP3103548B1 (ja) 2000-10-30
JP2001125460A (ja) 2001-05-11
CN1135446C (zh) 2004-01-21
DE60027106T2 (de) 2006-11-02
US6397025B1 (en) 2002-05-28
KR20010060213A (ko) 2001-07-06
EP1096337B1 (en) 2006-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9087B1 (ko) 프로세스 카트리지 재생 방법
KR100404412B1 (ko)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재생 방법
KR100344042B1 (ko) 프로세스 카트리지 재생 방법
KR100408617B1 (ko) 프로세스 카트리지용 재생 방법
KR100408618B1 (ko) 프로세스 카트리지 재제조 방법
KR100389085B1 (ko) 프로세스 카트리지 재생 방법
KR100389246B1 (ko) 프로세스 카트리지 재생 방법
KR100344367B1 (ko) 프로세스 카트리지
JP3103547B1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産方法
JP3126968B1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産方法
JP3188434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産方法
JP2001290370A (ja)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産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7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