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4412B1 -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재생 방법 - Google Patents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재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4412B1
KR100404412B1 KR10-2001-0011623A KR20010011623A KR100404412B1 KR 100404412 B1 KR100404412 B1 KR 100404412B1 KR 20010011623 A KR20010011623 A KR 20010011623A KR 100404412 B1 KR100404412 B1 KR 1004044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ing
frame portion
holding frame
unit
t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1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0806A (ko
Inventor
히게따아끼라
야스다사또시
가꾸미요시유끼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100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08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4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44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0Collecting or recycling waste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03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 G03G21/181Manufacturing or assembling, recycling, reuse, transportation, packaging or storag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94Reconditioning of the developer unit, i.e. reusing or recycling parts of the unit, e.g. resealing of the unit before refilling with ton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987Remanufacturing, i.e. reusing or recycling parts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4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using seals, e.g. to prevent scattering of toner

Abstract

전자사진 감광 드럼을 지지하는 제1 유닛, 및 현상 롤러를 지지하는 현상 프레임과 상기 현상 롤러에 의해 현상을 위해 사용되는 현상제를 수용하는 현상제 수용부와 상기 현상제 수용부 내부에 수용된 현상제를 상기 현상 롤러에 공급하기 위한 현상제 공급 개구를 구비한 제2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유닛은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재생하는 방법은, (a) 제1 및 제2 유닛을 서로로부터 분리하는 유닛 분리 단계와, (b) 상기 분리 단계에 의해 분리된 제2 유닛에 장착된 현상 롤러를 분해하는 현상 롤러 분해 단계와, (c) 현상 롤러와 현상 프레임 사이를 통한 현상제의 누설을 방지하도록 현상 프레임의 종방향을 따라 현상 프레임에 장착된 원래의 밀봉체를 따라 추가의 밀봉체를 장착하는 추가의 밀봉체 장착 단계와, (d) 현상제를 상기 분리 단계에 의해 분리된 제2 유닛의 현상제 수용부 내부에 재충전하는 현상제 재충전 단계와, (e) 현상 롤러를 상기 분리 단계에 의해 분리된 제2 유닛에 재장착하는 현상 롤러 재장착 단계와, (f)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사용 개시시에 토너 밀봉체를 제거함으로써 밀봉 해제된 현상제 공급 개구에 토너 밀봉체를 재장착하지 않고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재생하도록 제1 유닛과 제2 유닛을 서로 재결합하는 유닛 재결합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재생 방법{REMANUFACTURING METHOD OF PROCESS CARTRIDGE}
본 발명은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단위체로서 카트리지 대전 수단, 현상 수단, 세척 수단 및 전자사진 감광 부재이며, 카트리지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전자사진 감광 부재 및 단위체로서 적어도 하나의 대전 수단, 현상 수단 및 세척 수단을 포함하는 카트리지 일 수 있으며, 카트리지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전자사진 감광 부재 및 단위체로서 적어도 현상 수단을포함하는 카트리지일 수 있으며, 카트리지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다. 화상 형성 장치는 전자사진 복사기, 전자사진 프린터(LED 프린터, 레이지 비임 프린터)등을 포함한다.
전자사진 화상 형성 방법을 이용한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전자사진 감광 부재 상에서 작동 가능한 프로세스 수단 및 전자사진 감광 부재를 일체로 포함하여 이용되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 형태에 따라,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유지는 보수 요원 없이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스 카트리지 형태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분야에서 널리 이용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현상제를 이용하여 기록 재료 상에 화상을 형성하도록 작동된다. 이때 현상제는 화상 형성 작업으로 소모된다. 화상의 질이 사용자에게 불만족스러울 정도로 현상제가 소모되었을 때,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상업적인 가치는 종료된다.
이러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상업적인 가치를 다시 부여하기 위한 용이한 재생 방법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 목적은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용이한 재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이동될 경우에도 현상제가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용이한 재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업적인 가치를 종료한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업적인 가치를 부여받고 상업적인 가치를 복귀할 수 있는 용이한 재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수직 단면도.
도2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수직 단면도.
도3은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분리 또는 조립 공정을 도시하기 위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사시도.
도4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분리 또는 조립 공정을 도시하기 위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사시도.
도5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분리 또는 조립 공정을 도시하기 위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좌측면도.
도6은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분리 또는 조립 공정을 도시하기 위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우측면도.
도7은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세척 및 현상 유닛을 결합함으로써 형성된 유닛의 사시도.
도8은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세척 및 현상 유닛을 결합함으로써 현상된 유닛의 사시도.
도9는 세척 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10은 현상 유닛의 토너 용기 측면의 분해 사시도.
도11은 부분적으로 분리된 현상 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12a 및 도12b는 토너 방출 개구가 어떻게 밀봉되었는지를 도시하는, 토너 유지 프레임 부분의 토너 방출 개구 부분의 수평 단면도.
도13은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 부분의 사시도.
도14는 현상 유닛의 정면도.
도15는 우측 정면 위로 비스듬하게 도시되어진, 오버홀 이전에 현상 유닛의 정면부의 사시도.
도16은 좌측 정면 위로 비스듬하게 도시되어진, 오버홀 이전에 현상 유닛의 후방부의 사시도.
도17은 좌측 정면 위로 비스듬하게 도시되어진, 현상 유닛의 전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18은 좌측 정면 아래로부터 도시된 오버홀 이전에 현상 유닛의 후방부(바닥 측면)의 사시도.
도19는 현상 유닛이 도16에 도시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도시된, 토너 유지 프레임 부분과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 부분 사이의 접합부의 상부 우측 부분의 사시도.
도20은 접합부가 도시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도시되어진, 도19에 도시된 접합부의 동일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
도21은 오버홀 이전에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의 우측면 플레이트의 내부면을도시한 사시도.
도22는 우측 정면으로부터 비스듬하게 도시되어진, 실러의 인가 및 "블로우-바이(blow-by)" 방지 백업 밀봉체의 부착 이후에 현상 유닛의 정면부의 사시도(이는 도15에 상응한다).
도23은 좌측 정면으로부터 비스듬하게 도시되어진, 실러의 인가 및 "블로우-바이" 방지 백업 밀봉체의 부착 이후에 현상 유닛의 후방부의 사시도(이는 도18에 상응한다).
도24는 밀봉체가 인가된 이후에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 부분의 측면 플레이트의 내부 측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는 도21에 상응한다).
도25는 좌측으로부터 비스듬하게 도시되어진, 밀봉체가 인가된 이후에 현상 유닛의 정면부의 사시도(이는 도16에 상응한다).
도26은 "블로우-바이" 방지 밀봉체가 놓여진 현상 유닛의 부분의 수직 단면도.
도27은 현상 롤러 및 현상 블레이드가 제거된 현상 유닛의 프레임 부분의 정면도.
도28은 현상 롤러 및 현상 블레이드가 제거되고 "블로우-바이" 방지 백업 밀봉체가 인가되는 현상 유닛의 프레임 부분의 정면도.
도29는 현상 롤러 및 현상 블레이드가 제거되고 "블로우-바이" 방지 백업 밀봉체가 인가되는 현상 유닛의 프레임 부분의 정면도.
도30은 현상 롤러 및 현상 블레이드가 제거되고 "블로우-바이" 방지 백업 밀봉체가 인가되는 현상 유닛의 프레임 부분의 정면도.
도31은 토너 유지 프레임 부분과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 부분 사이의 접합부의 좌측 부분의 사시도.
도32는 밀봉제가 인가된 이후에, 토너 유지 프레임 부분과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 부분 사이의 접합부의 좌측 부분의 사시도.
도33은 토너로 재충전된 토너 유지 프레임 부분의 수직 단면도.
도34는 대전 유닛의 정면도.
도35는 폐 토너를 제거하기 위한 세척 장치의 수직 단면도.
도36은 토너 진공 장치의 사시도.
도37a 및 도37b는 폐 토너 제거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광학 시스템
2 : 기록 매체
3 : 반송 수단
5 : 고정 수단
6 : 운반 트레이
7 : 감광 드럼
8 : 대전 롤러
9 : 현상 수단
10 : 세척 수단
11 : 토너 유지 프레임부
12 :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
13 : 세척 수단 유지 프레임부
14 : 장치 주 조립체
15 : 카트리지 덮개
A : 레이저 비임 프린터
B : 프로세스 카트리지
C : 현상 유닛
D : 세척 유닛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전자사진 감광 드럼을 지지하는 제1 유닛, 및 현상 롤러를 지지하는 현상 프레임과 상기 현상 롤러에 의한 현상을 위해 사용되는 현상제를 수용하기 위한 현상제 수용부와 상기 현상제 수용부 내에 수용된 현상제를 상기 현상 롤러에 공급하기 위한 현상제 공급 개구를 구비한 제2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유닛은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재생 방법이 제공되고, 상기 방법은,
(a) 제1 유닛과 제2 유닛을 서로로부터 분리하는 유닛 분리 단계와,
(b) 상기 분리 단계에서 분리된 제2 유닛에 장착된 현상 롤러를 분해하는 현상 롤러 분해 단계와,
(c) 현상 롤러와 현상 프레임 사이를 통한 현상제의 누설을 방지하도록 현상 프레임의 종방향을 따라 현상 프레임에 장착된 원래의 밀봉체를 따라 추가의 밀봉체를 장착하는 추가의 밀봉체 장착 단계와,
(d) 현상제를 상기 분리 단계에 의해 분리된 제2 유닛의 현상제 수용부 내부에 재충전하는 현상제 재충전 단계와,
(e) 현상 롤러를 상기 분리 단계에 의해 분리된 제2 유닛에 재장착하는 현상 롤러 재장착 단계와,
(f)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사용 개시시에 토너 밀봉체를 제거함으로써 밀봉 해제된 현상제 공급 개구에 토너 밀봉체를 재장착하지 않고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재생하도록 제1 유닛과 제2 유닛을 서로 재결합하는 유닛 재결합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 및 또 다른 목적, 특성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일반적인 구조가 기술되어질 것이며, 그리고 나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조립 방법이 기술되어질 것이다. 마지막으로,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오버홀되는 방법 및 오버홀 카트리지가 기술되어질 것이다. 부가적으로,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짧은 방향 또는 "넓이" 방향은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 주 조립체(14)로부터 삽입되거나 제거되는 방향을 의미하며, 기록 매체가 전사되는 방향과 일치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길이 방향은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 주 조립체(14) 내부로 삽입되거나 제거되는 방향과 교차하는(대략 수직인) 방향을 의미한다. 이는 기록 매체가 전사되는(대략 수직인) 방향과 교차하며, 기록 매체의 표면에 평행하다.
도1은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비임 프린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2 내지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관한도면이다. 도2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종방향에 수직인 평면에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종단면도이고, 도3은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사시도이다. 도4는 부분적으로 분해된 상태에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사시도이고, 도5는 부분적으로 분해된 상태에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좌측면도이다. 도6은 부분적으로 분해된 상태에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우측면도이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상부면은 장치 주 조립체(14) 내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적절한 장착 후에 상부측 상에 있고 상방을 향해 있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그러한 표면을 의미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하부면은 장치 주 조립체(14) 내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적절한 장착 후에 하부측 상에 있고 하방을 향해 있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그러한 표면을 의미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좌측 또는 우측은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 주 조립체(14) 내로 장착되는 방향으로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말단측 위의 대각선으로부터 보았을 때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좌측 또는 우측을 의미한다.
우선, 도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예로서의 레이저 비임 프린터(A)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2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종방향에 수직인 평면에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종단면도이다. 도1에 도시된 대로, 이러한 레이저 비임 프린터(A)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한 장의 기록 매체(일예로, 기록 시트, OHP 시트, 직물 등)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장치이다. 레이저 비임 프린터는 현상액(이후의 "토너")을 이용하여 전자사진 감광 부재(이후의 "감광 드럼") 상에 가시 화상(이후의 "토너 화상")을 형성한다. 더 구체적으로, 감광 드럼은 대전 수단에 의해 대전되고, 잠상은 화상 형성 데이터로조절된 레이저 비임을 광학 수단으로부터 대전된 감광 드럼 상으로 투사함으로써 이러한 대전된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다. 이러한 잠상은 현상 수단에 의해 토너 화상으로 현상된다. 토너 화상의 형성과 동시에, 급지 카세트(3a) 내에 저장된 기록 매체(2)는 픽업 롤러(3b)와 한 쌍의 정합 롤러(3e)에 의해 취출 및 반송된다. 다음에,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감광 드럼(7) 상에 형성된 토너 화상은 토너 화상 전사 수단으로서의 전사 롤러(4)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기록 매체(2) 상에 전사된다. 토너 화상의 전사 후에, 기록 매체(2)는 반송 가이드(3f)에 의해 고정 수단(5)으로 반송된다. 고정 수단(5)은 구동 롤러(5c)와, 히터(5a)를 내장한 고정 롤러(5b)를 포함한다. 기록 매체(2)가 고정 수단(5)을 통과할 때, 고정 수단(5)은 열 및 압력을 가함으로써 토너 화상을 기록 매체(2)에 고정시킨다. 그 후에, 기록 매체(2)는 반전 통로(3j)를 통해 반송되고, 한 쌍의 배출 롤러(3g)에 의해 운반 트레이(6) 내로 배출된다. 운반 트레이(6)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그를 통해 화상 형성 장치(A)의 주 조립체(14) 내로 장착되거나 그로부터 분리되는 개구를 노출시키거나 덮기 위해 덮개(35)의 상부측 상에 배치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픽업 롤러(3b)와, 정합 롤러 쌍(3c)과, 반송 가이드(3f) 및 배출 롤러 쌍(3g)을 조합함으로써 반송 수단(3)을 구성하게 된다.
도2를 참고로 하여 비교해 보면, 프로세스 카트리지(B)에서, 주연층으로서 감광층(7e)을 구비한 감광 부재는 회전하게 되고, 감광 부재가 회전하게 될 때, 그 주연면은 대전 수단으로서의 대전 롤러(8)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균일 대전된다. 그 후에, 잠상은 화상 데이터로 조절되는 동안 광학 시스템(1)으로부터 노출개구(1e)를 거쳐 감광 드럼(7) 상에 투사되는 레이저 비임(L)에 의해 감광 드럼(7)의 주연면 상에 형성된다. 이러한 잠상은 토너를 이용한 현상 수단(9)에 의해 현상(가시화)된다. 더 구체적으로, 대전 롤러(8)는 감광 드럼(7)에 접촉 배치되고, 감광 드럼(7)을 대전시킨다. 대전 롤러(8)는 감광 드럼(7)의 회전에 의해 회전된다. 현상 수단(9)은 현상 스테이션 내의 구역에 걸쳐 감광 드럼(7)에 토너를 공급함으로써 감광 드럼(7) 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한다. 광학 시스템(1)은 도시되지 않은 레이저 다이오드, 다각형 미러, 렌즈 및 반사 미러(1d)를 포함한다.
현상 수단(9) 내에서, 토너 용기(11A) 내의 토너는 토너 반송 부재(9b)의 회전에 의해 현상 롤러(9c)로 보내진다. 고정 자석을 포함한 현상 롤러(9c)가 회전하게 될 때, 현상 블레이드(9d)에 의해 전기 마찰식으로 대전된 토너 입자층은 현상 블레이드(9d)에 의해 현상 롤러(9c)의 주연면 상에 형성된다. 토너 입자들은 이러한 토너 입자층으로부터 현상 스테이션 내의 구역을 가로질러 감광 드럼(7)에 공급되고, 더 구체적으로, 토너 입자들은 잠상의 패턴에 따라 감광 드럼(7) 상에 전사되고, 그 결과 토너 화상, 즉 가시적 화상이 형성된다. 현상 블레이드(9d)는 현상 롤러(9c)의 주연면 상에 토너가 도포되는 양을 조절하기 위한 부재이다. 현상실 내에서 토너를 순환시키기 위한 토너 교반 부재(9e)는 현상 롤러(9c)에 인접하여 회전식으로 장착된다.
감광 드럼(7) 상에 형성된 토너 화상은 토너와 비교하여 반대 극성인 전압을 전사 롤러(4)에 인가함으로써 기록 매체(2) 상에 전사된다. 그 후에, 감광 드럼(7) 상에 잔류한 토너 입자들은 세척 수단(10)에 의해 제거된다. 더 구체적으로, 감광 드럼(7) 상에 잔류한 토너 입자들은 제거되어 감광 드럼(7)에 접촉 배치되는 세척 수단(10)의 탄성 세척 블레이드(10a)에 의해 폐토너 상자(10b) 내로 수집된다. 토너 수집 부재(10c)는 폐토너, 즉 감광 드럼(7)으로부터 하향 제거된 토너를 세척 블레이드(10a)에 의해 폐토너 상자(10b)의 내향으로 반송하기 위한 부재이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토너를 유지하기 위한 토너 용기(11A)(토너 저장부)를 구비한 토너 유지 프레임부(11)와, 현상 롤러(9c)와 같은 현상 수단(9)을 유지하는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 및 감광 드럼(7)과 세척 블레이드(10a)와 같은 세척 수단(10) 및 대전 롤러(8)가 장착되는 세척 수단 유지 프레임(13)의 조합체이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조립에 있어서, 토너 유지 프레임부(11)와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는 우선 서로 결합되고, 세척 수단 유지 프레임(13)은 프레임부(11, 12)의 조합체에 부착된다. 3개의 프레임부(11, 12, 13)의 조합체는 카트리지 덮개(15)로 덮여진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작업자에 의해 장치 주 조립체(14) 내에 제거 가능하게 장착 가능하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화상 형성 정보에 따른 광선이 그를 통해 감광 드럼(7) 상으로 투사되는 노출 개구(1e)와, 감광 드럼(7)의 주연면이 기록 매체(2)에 대해 직각으로 배치되도록 하는 전사 개구(13n)를 갖추고 있다. 더 정확하게는, 노출 개구(1e)는 카트리지 덮개(15) 측 상에 마련되고, 반면에 전사 개구(13n)는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와 세척 수단 유지 프레임부(13) 사이에 형성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하우징의 구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하우징과, 하우징 내에 장착된 전술된 감광 드럼(7), 대전 롤러(8), 현상 수단(9), 세척 수단(10)등을 포함한다. 하우징은 토너 유지 프레임(11),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 및 세척 수단 유지 프레임부(13)의 조합체이다. 제조에 있어서, 토너 유지 프레임(11)과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는 서로 결합되고 세척 수단 유지 프레임부(13)는 피봇식으로 부착된다. 그 후에, 3 개의 프레임부(11, 12, 13)의 조합체는 카트리지 덮개(15)로 덮여진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장치 주 조립체(14) 내에 마련된 카트리지 장착 수단 내에 제거 가능하게 장착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하우징 구조}
전술된 대로,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토너 유지 프레임(11),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 및 세척 수단 유지 프레임부(13)의 결합 조합체와, 결합 조합체를 덮는 카트리지 덮개(15)로 구성된 하우징을 포함한다. 다음으로, 이러한 하우징의 구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2를 참조하면, 토너 반송 부재(9b)는 토너 유지 프레임부(11)에 회전식으로 부착된다. 토너 반송 부재(9b)는 크랭크(9b1)와, 크랭크(9b1)의 핀부에 결합되는 슬라이더(9b2)를 포함한다. 현상 롤러(9c), 현상 블레이드(9d) 및 토너 교반 부재(9e)는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에 부착되고, 토너 교반 부재(9c)는 토너를 현상실 내에서 순환시키도록 현상 롤러(9c)에 인접하여 회전식으로 장착된다. 현상 롤러(9c)의 종방향에 거의 평행하게 배치된 봉 안테나(9h)는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에도 부착된다. 이들 요소들의 배치 후에, 토너 유지 프레임부(11)와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는 덮개막 판(53)을 그 사이에 넣음으로써 서로 용접되어,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단일 제2 부분 또는 현상 유닛(D)을 형성하게 된다.
감광 드럼(7), 대전 롤러(8) 및 세척 부재(10)의 다양한 요소들은 세척 수단 유지 프레임부(13)에 부착된다. 감광 드럼(7)이 연장 기간 동안 빛에 노출되고 이물질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감광 드럼(7)을 덮는 드럼 셔터(18)가 세척 수단 유지 프레임부(13)에 또한 부착되어,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도5의) 제1 부분 또는 세척 유닛(C)을 형성하게 된다.
현상 유닛(D)과 세척 유닛(C)은 (도5 및 도6의) 피봇축(SC) 주위로 서로에 대해 피봇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어,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중요 부분을 구성하게 된다. 더 구체적으로, 도8을 참조하면,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는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의 종방향(현상 롤러(9c)의 축방향) 단부들에 하나씩 부착되는 아암(19R, 19L)을 갖추고 있다. 아암(19R, 19L)의 단부 부분(19R1, 19L1)은 (도11의) 회전축(20R)과 구멍(20L)을 각각 갖추고 있다. 이들 아암(19R, 19L)은 세척 수단 유지 프레임부(13)의 상호 대면 측판(13s) 사이에 배치된다. 세척 수단 유지 프레임부(13)의 종방향 단부들 중 하나는 [회전축의 축선과 측판(13e) 간의 교차점을 참조하여] 전술된 회전축(20R)이 정확히 배치되도록 끼워맞춰지는 U자형 슬롯(21R)을 갖추고 있다.
구멍(21L)은 그 축선이 감광 드럼(7)에 평행하고 원호, 즉 U자형 슬롯(21R)의 기부 형태의 중심을 통해 이어지는 선과 일치하도록 배치된다. 여기에서 슬롯(21R)과 구멍(21L)은 세척 수단 유지 프레임부(13)의 우측 및 좌측판(13s)에각각 마련됨을 알 수 있다. 전술된 회전축(20R)은 슬롯(21R) 내에 끼워맞춰지고, (도5의) 연결 핀(22)은 세척 수단 유지 프레임부(13)의 측판(13e)의 구멍(21L)을 통해 아암(19L)의 단부 부분(19L1)에 배치된 구멍(20L) 내로 프레스된다. 그 결과, 현상 유닛(D)과 세척 유닛(C)은 상호 연결되어 피봇 축(SC)에 대해서 상호 피봇 이동되는 것을 허용한다. 2개의 유닛 사이에서, 한쌍의 인장 코일 스프링(24a, 24b; 도5의 도면 부호 24b 참조)은 현상 롤러(9c)와 감광성 드럼(7)이 서로를 향해 계속 가압되는 것을 보장하도록 서로를 향해 2개의 유닛을 계속 당기도록 위치된다. 따라서, 현상 롤러(9c)보다 직경이 크고 현상 롤러(9c)의 종방향 단부 주위에 끼워지는 스페이서 링(9i; 도11)을 제공함으로써, 스페이서 링(9i)은 감광성 드럼(7) 상에 계속 가압되어 감광성 드럼(7)과 현상 롤러(9c) 사이에 소정 간격(약 300㎛)을 유지한다. 전술된 구조 배치를 제공함으로써, 현상 유닛(D)과 세척 유닛(C)은 회전 샤프트(20R)와 연결 핀(22)에 대해 피봇 이동가능하고, 또한 인장 코일 스프링(24a, 24b)의 탄성은 현상 롤러(9c)와 감광성 유닛(7)의 주연면들 사이에서 소정의 위치 관계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이 인장 코일 스프링(24a, 24b)은 감광성 드럼(7)과 현상 롤러(9c) 사이의 인터페이스와 서로에 대해 현상 유닛(D)과 세척 유닛(C) 피봇 이동시키는 피봇 축(SC)을 수직 연결하는 라인과 교차하도록 위치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안내 수단 구조}
다음으로,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 주 조립체(14) 내에 장착되거나 이로부터 탈착될 때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안내하기 위한 수단이 기술될 것이다.
이 안내 수단은 도5 및 도6에 도시된다. 도5 및 도6은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방향에 대해 [현상 유닛측으로부터 도시되는 바와 같은 도1의 화살표(X)에 의해 표시되는] 후단측으로부터 도시되는 바와 같이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좌측면도 및 우측면도이다.
도5 및 도6에 의하면, 프로세스 카트리지(B)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 주 조립체(14)에 장착되거나 또는 이로부터 탈착될 때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안내하도록 세척 수단 유지 프레임부(13)에 부착되는 한쌍의 안내 수단이 제공된다. 안내 수단은 안내 부재와 같이 원통형의 안내부(13a)이다.
각 원통형의 안내부(13a) 또는 원통형 부재는 세척 수단 유지 프레임부(13)의 측판으로부터 외향으로 돌출하여 그 축선이 감광성 드럼의 축선과 일치한다. 감광성 드럼(7)의 각 종방향 단부에서 감광성 드럼(7)을 지지하는 [감광성 드럼(7)의 축선과 일치하는 축선을 갖는] 드럼 샤프트(7a)와 겸용이다.
원통형 안내부(13a)는 작은 나사를 사용하여 세척 수단 유지 프레임부(13)의 측판(13s)에 고정되는 지지판(13c)에 클램핑되어 부착된다. 원통형 안내부(13a)와 지지판(13c)은 금속 재료로 형성된다. 상기 구조 배치로써, 감광성 드럼(7)은 [드럼 샤프트(7a)와 겸용인] 원통형 안내부(13a)와 지지판(13c)이 개재되어 세척 수단 유지 프레임부(13)에 의해 지지된다. 드럼 샤프트(7a)는 세척 수단 유지 프레임부(13)의 측판(13s)의 구멍(13s1) 내로 끼워짐으로써 정확하게 위치된다(도9).
카트리지 덮개(15)는 위로부터 현상 유닛(D)과 세척 유닛(C)을 덮는다. 수직 방향으로 카트리지 덮개(15)를 관통하는 전방으로부터 후방 방향[도1의 화살표(K1, K2)에 의해 지시되는 방향]에 대해 카트리지 덮개(15)의 대략 중앙에 위치되는 개구(1e)가 제공된다. 카트리지 덮개(15)는 현상 유닛(D)과 세척 유닛(C)을 외부적으로 보호할 뿐만 아니라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용이하게 조작하게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일부이다.
현상 유닛(D)은 토너와 토너 운반 부재(9b)를 포함하는 토너 유지 프레임부(11)와, 현상 수단(9)을 포함하는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를 결합시킴으로써 형성되는 유닛을 의미한다. 세척 유닛(c)은 감광성 드럼(7), 세척 블레이드와 같은 세척 수단, 대전 롤러(8) 및 프로세싱 요소를 지지하는 세척 수단 유지 프레임부(13)를 포함하는 유닛이다.
카트리지 덮개(15)는 세척 수단 유지 프레임부(13)에 고정되고 위로부터 현상 유닛(D)과 세척 유닛(C)의 결합체를 덮는다. 도4, 도5 및 도6에 의하면, 세척 수단 유지 프레임부(13)의 측판(13s)의 각각에는 원형 구멍(13e)과 긴 구멍(13f)이 제공된다. 긴 구멍(13f)의 주축은 원형 구멍(13c)과 긴 구멍(13f)의 중앙을 연결하는 선과 일치한다.
카트리지 덮개(15)에는 카트리지 덮개(15)의 종방향 단부에 일대일로 위치되는 측판(15a)의 각각에 위치한 관통 구멍(15b, 15c)이 제공된다. 관통 구멍(15b, 15c)은 카트리지 덮개(15)가 현상 유닛(D)과 세척 유닛(C), 원형 구멍(13e)과 정렬된 관통 구멍(15b, 15c)과 세척 수단 유지 프레임부(13)의 긴 구멍과의 접합식 결합체를 덮는 방식으로 배치되어, 작은 나사(15d)가 관통 구멍(15b)을 통해 원형 구멍(13e) 내로 나사가공되고 핀(15e)이 관통 구멍(15c)을 통해 가압된 후에 긴 구멍(13f) 내로 삽입되는 것을 허용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 조립체를 단순화하도록, 카트리지 덮개(15)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레이저 비임 프린터(A) 내에 장착되는 카트리지 덮개(15)의 방향에 대해 전방벽(15f)의 하부측으로부터 상향으로 2개의 슬릿을 절단함으로써 형성되는 후크(15g)가 제공된다. 카트리지 덮개(15)가 현상 유닛(D)과 세척 유닛(C)과의 접합식 결합체 위에 위치될 때, 이 후크(15g)는 세척 수단 유지 프레임부(13)의 전방벽에 제공되는 (도5의) 홈(13g)에 단부가 외향으로 굴곡된 상태로 결합된다. 후크(15g)는 홈(13g)을 통과함에 따라, 후크(15g)의 단부는 세척 수단 유지 프레임부(13)의 전방벽의 하부면(13i)에 자체 고정되고 종방향, 전방으로부터 후방 방향 및 수평 방향에 대해 세척 유닛(C)에 대해 카트리지 덮개(15)의 위치 관계를 고정시키고, 이로써 세척 수단 유지 프레임부(13)의 긴 구멍(13f)과 원형 구멍(13e)으로 카트리지 덮개(15)의 관통 구멍(15b, 15c)을 정렬하게 된다. 그 결과, 카트리지는 단순화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도1에 도시된 레이저 비임 프린터(A)에 장착된다. 레이저 비임 프린터(A)에는 장치 주 조립체(14)의, 화살표(K1)에 의해 지시되는 방향에 대한, 전방측의 하부 단부에 위치되는 지지점(35a)에서 장치 주 조립체(14)에 힌지 결합되는 리드(35)가 제공된다. 리드(35)는 통상 밀폐 상태 (도면에서 실선으로 나타나는 상태)로 존재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교체될 때 개방되고, 종이, 즉 이미지가 형성되는 물체와 같은 기록 매체(2)의 잼(jam)을 주의해야 할 때 (도면의 이중 점선으로 도시되는 상태인) 유사한 상황에 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개방 리드(35)에 의해 일시적으로 유지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리드(35)에는 리드(35)의 하부 부분에 위치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지지되는 브라켓(34b, 35c)이 제공된다.
리드가 밀폐됨에 따라, 축선이 감광성 드럼(7)의 축선과 일치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원통형 안내부(13a)는 장치 주 조립체(14)의 도시되지 않은 고정부에 의해 소정 위치에 위치된 (도시되지 않은) 위치설정 홈 내로 끼워진다. 그 결과,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위치와 자세는 고정되게 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장착 위치와 자세가 고정되면 리드는 완전히 밀폐되지 않고, 리드(35)가 완전히 밀폐되면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지지하는 브라켓(35b, 35c)의 하부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로부터 하향으로 멀리 이동한다. 반사 미러(1d)는 리드(35)에 고정되고, 리드(35)는 완전히 밀폐되므로, 감광성 드럼(7)의 이미지 형성 영역을 향해 레이저 비임(L)을 반사시킬 수 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장치 주 조립체(14) 내로 삽입되므로, 감광성 드럼(7)의 종방향 단부중 하나에 부착된 (도8 및 도9의) 드럼 기어(7b)는 장치 주 조립체측 상에 제공된 도시되지 않은 구동 기어와 맞물린다. 그 결과,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장치 주 조립체측으로부터 구동될 수 있게 된다.
도2에 의하면, 대전 유닛(E)은 대전 롤러(8)를 포함한다. 대전 롤러(8)는 샤프트(8a)와 샤프트(8a) 둘레에서 견고하게 형성되는 탄성 부재(8a2)를 포함한다. 이는 감광성 드럼(7) 상에 계속 가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대전 부재 유지 프레임부(8A)는 세척 수단 유지 프레임부(13)에 고정되고, 한쌍의 대전 롤러베어링(8b)은 대전 수단 유지 프레임부(8A)의 종방향 단부에서 일대일 위치되는 대전 수단 유지 프레임부(8A)의 한쌍의 평행 안내 홈(8A1)에 활주 가능하게 끼워진다. 대전 롤러(8)의 샤프트(8a)는 베어링(8b) 쌍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대전 롤러 베어링(8c)과 대전 수단 유지 프레임부(8A) 사이에서, 한쌍의 압축 코일 스프링(8c)은 압축 상태로 위치된다.
감광성 드럼(7), 대전 롤러(8) 및 안내 홈(8A1) 사이의 위치는 감광성 드럼(7)과 대전 롤러(8)의 축선을 연결하는 평면이 안내 홈(8A1)을 대략 대칭인 절반부로 분할하고 안내 홈(8A1)에 평행한 관계이다.
도9에 의하면, 대전 유닛(E)은 후술되는 방식으로 세척 수단 유지 프레임부(13)에 부착된다. 먼저, 대전 수단 유지 프레임부(8A)는 대전 수단 유지 프레임부(8A)의 종방향 단부중 하나에 제공되는 도시되지 않은 조글(joggle)이 세척 수단 유지 프레임부(13)의 측판(13s) 중 하나의 구멍(13s3) 내로 삽입된 상태로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종방향으로 2개의 측판(13s)들 사이에 위치된다. 그런 후, 체결구(13h)의 스냅 끼워맞춤식 갈고리(claw; 13hl)는 세척 수단 유지 프레임부(13)의 다른 측판(13s)의 구멍(13s2) 내로 삽입된다. 그런 후, 도시되지 않은 핀은 구멍(13s2)을 갖는 측판(13s)과 같이 동일 측판(13s)의 구멍(13s5)을 통해 대전 수단 유지 프레임부(8A)의 동일 단부의 구멍에 끼워맞춰지고, 핀(13h2)은 전술된 도시되지 않은 핀에 평행하게 측판(13s4)의 슬롯(13s) 내로 결합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장착 또는 탈착 중에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이동에 의해 이동됨으로써 전사 개구(13n)를 노출시키거나 또는 덮는다. 드럼 셔터(18)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 주 조립체(14)의 외부에 있을 때, 드럼 셔터(18)가 감광성 드럼(7)의 화상 전사 영역을 보호하도록 밀폐된 상태에 있도록 구성된다. 도6에 의하면, 드럼 셔터(18)는 아암(18a)의 단부와 연결 부재(18b)에 부착되고 연결 부재(18b)와 아암(18a)은 세척 수단 유지 프레임부(13)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아암(18a), 연결 부재(18b), 드럼 셔터(18) 및 세척 수단 유지 프레임부(13)는 함께 4점 접합(quadri-joint) 기구를 구성한다. 드럼 셔터(18)는 아암(18a)이 세척 수단 유지 프레임부(13)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점(18c)에 그 기부가 고정되는 레버(23)가 장치 주 조립체(14)에 제공되는 (도시되지 않은) 고정 스톱퍼와 접촉되기 후에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도5의 하향 방향[리드(35)가 밀폐되는 방향]으로 장치 주 조립체(14) 내로 더 삽입됨에 따라 개방된다. 드럼 셔터(18)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 주 조립체(14)로부터 취출됨에 따라 비틀림 코일 스프링(23a)의 탄력에 의해 밀폐된다. 비틀림 코일 스프링(23a)은 셔터 아암(18a)이 시계방향(셔터가 밀폐되는 방향)으로 계속 가압되도록 지지점(18c)에 고정된다.
다음으로,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 주 조립체(14)로부터 취출된 경우가 설명된다.
리드(35)가 지지점(35a)을 중심으로 상방으로 회전될 때, 브라켓(35b, 35c)은 세척 수단 유지 프레임부(13) 및 카트리지 덮개(15)의 일부분과 접촉된다. 그 다음에, 리드(35)가 더 회전될 때, 원통형 가이드(13a)는 장치 주 조립체(14)의 위치 설정 안내 홈(도시 안됨)으로부터 방출되고 동시에 장치 주 조립체(14)에 의해지지된 카트리지 덮개(15)의 일부분은 장치 주 조립체(14)의 도시 안된 고정식 프로세스 카트리지 지지부로부터 상방으로 분리된다. 그 다음에, 리드(35)가 완전히 개방된 후에,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도1의 우측 방향으로 상방으로 당겨진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전술한 방향으로 당겨질 때,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장치 주 조립체(14)로부터 방출된다. 셔터(18)에 대해서,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 주 조립체(14)에서 상방으로 이동될 때 전달 개구(13n)를 덮도록 비틀림 코일 스프링(23a)의 탄성에 의해 회전식으로 이동된다.
도8을 참조하면, 헬리컬 드럼 기어(7b)의 종방향 단부가 아닌 감광 드럼(7)의 종방향 단부에는 헬리컬 기어(7n)가 제공되고, 그 헬리컬 기어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로부터 전사 롤러(4)로 구동력을 전달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 주 조립체(14) 내로 삽입될 때, 헬리컬 기어(7n)는 장치 주 조립체측 상에 제공된 기어(도시 안됨)와 결합한다. 헬리컬 기어(7n) 및 장치 주 조립체측 상의 도시 안된 기어는 동일한 회전축을 공유한다. 드럼 기어(7b) 및 헬리컬 기어(7n)는 나선 방향에 반대이다. 그러므로, 기어(7b, 7n)에 인가되는 축력은 감광 드럼(7)에 대해 동일한 방향이다. 도1에서 기준 코드(9k)는 현상 롤러(9c)의 종방향 단부 중 하나에 부착된 헬리컬 기어를 표시한다. 헬리컬 기어(9h)는 전술한 헬리컬 드럼 기어(7b)와 결합하고, 현상 롤러(c)를 회전시키는 힘은 헬리컬 드럼 기어(7b)로부터 헬리컬 기어(9k)로 전달된다.
{토너 유지 프레임부}
다음으로, 도10을 참조하면, 토너 유지 프레임부(11)가 상세히 설명된다.
토너 유지 프레임부는 단일편 부품이다. 밀봉 필름(51)이 부착되는 덮개 필름 판(53)이 토너 유지 프레임부(11)에 용접되기 이전에, 토너 반송 부재(9b)는 토너 유지 프레임부(11) 내로 조립되고 커플링(11e)은 (도10에서 도시되지 않은 상태의) 구멍(11cl)의 외측면으로부터 구멍(11e1)을 통해 토너 반송 부재(9b)의 단부에 부착된다. 구멍(11el)은 종방향 단부에서 토너 유지 프레임부(11)의 측면판들 중 하나의 내부에 있다. 구멍(11el)을 갖는 측면 판에는 원형 구멍(11d)(도6)이 제공되고, 그 원형 구멍을 통해 토너가 채워지며, 구멍(11el) 및 토너 충전 구멍(11d)은 서로 이웃한다. 또한, 토너 유지 프레임부(11)에는 구멍(111)이 제공되고 그 구멍을 통해서 토너가 토너 유지 프레임부(11)로부터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로 반송된다. 밀봉 필름(51)을 갖는 덮개 필름 판(53)은 이러한 구멍(11i)을 차단하는 방식으로 용접된다. 따라서, 토너는 토너 충전 구멍(11d)을 통해서 충전되고, 그 다음에 토너 충전 구멍(11d)은 토너 유닛(J)을 포함하는 토너 캡(11f)과 끼워진다. 토너 캡(11f)은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연성 재료로 형성되고, 끼워지지 않은 토너 유지 프레임부(11)의 토너 충전 구멍(11d) 내로 가압된다. 토너 유닛(J)은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에 용접되는데 이는 이하에 설명될 것이며, 초음파에 의해 덮개 필름 판(53)의 배치가 현상 유닛(D)을 형성한다. 또한, 그것들을 결합하는 방법의 선택은 초음파 용접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아교 접착, 스냅 끼워맞춤 등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다.
토너 반송 부재(9b)는 약 3 mm의 직경을 갖는 철제봉 등으로 형성된 크랭크(9bl)와, 크랭크(9bl)의 크랭크 핀에 의해 왕복으로 이동되는 슬라이더(9b2)를 포함한다. 토너 반송 부재(9b)의 크랭크(9bl)의 축받이부들 중 하나는 내측면, 즉 토너 유지 프레임부(11)의 단부판의 개구(11i)에 대향하는 측면 내의 구멍에 끼워맞춤되고, 다른 축받이부는 커플링(11e)에 체결된다.
{토너 유지 프레임부 및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 사이의 결합부의 구조}
도2 및 도10을 참조하면,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의 대응부에 결합되는 토너 유지 프레임부(11)의 일부분에는 개구(11i)가 제공되고, 그 개구를 통해 토너는 토너 유지 프레임부(11)로부터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 내로 전송된다. 개구(11i)는 평평한 표면(11k)을 갖는 플랜지(11a)로 둘러싸인다. 이러한 평평한 표면(11k)으로 덮개 필름 판(53)이 용접된다. 따라서, 플랜지(11a)의 표면(11k)에는 덮개 필름 판(53)을 토너 유지 프레임부(11)에 용접하기 위한 리지(11h)가 제공된다. 리지(11h)는 개구(11i)를 둘러싸는 방식으로 연장된다.
도13을 참조하면, 토너 유지 프레임부(11)의 대응면과 결합하는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의 셔터는 대체로 평평한 표면(12u)으로 구성되고, 그 평평한 표면은 평평한 표면(12u)의 종방향 모서리를 따라 연장된 한 쌍의 삼각형 리지(12v)가 제공된다. 특히, 종방향 리지(12v)는 평평한 표면(12ul) 상에 위치하고, 그 평평한 표면(12ul)은 평평한 표면(12u)의 중간부로부터 약간 상승한다. 따라서, 덮개 필름 판(53)이 용접된 토너 유지 프레임부(11) 및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는 그 종방향 모서리를 따라 초음파에 의해 용접되고,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의 리지(12v)는 덮개 필름 판(53) 상에 가압 유지된다.
도10을 참조하면, 토너 유지 프레임부에 용접된 덮개 필름 판(53)에는 2개의구멍(53c)이 제공되고, 토너 유지 프레임부(11)의 플랜지(11a)에는 구멍(11c)이 제공된다. 덮개 필름 판(53)이 플랜지(11a)의 표면(11k)에 부착될 때, 덮개 필름 판(53)의 구멍(53c)은 플랜지(11a)의 구멍(11c)과 정렬된다. 또한, 덮개 필름 판(53)에는 [전술한 구멍(11i)보다 작은] 구멍(53b)이 제공되고, 그 구멍은 구멍(11i)에 대응된다. 이러한 구멍(53b)은 덮개 필름 판(53)에 부착된 밀봉 필름에 의해 차단된다. 밀봉 필름은 그 종방향으로 쉽게 파열된다. 특히, 밀봉 필름은 구멍(53b)의 4개의 포위 모서리를 따라 덮개 필름 판(53)에 부착된다. 개구(53b)를 더 쉽게 노출시키기 위해, 밀봉 필름(51)의 일부분은 프로세스 카트리지(B)로부터 연장되고, 밀봉 필름(51)은 구멍(53b)을 덮기 위해 하나의 종방향 단부로부터 다른 단부로 덮개 필름 판(53)에 부착되도록 충분히 길게 만들어지고 개시 단부로 다시 겹쳐져서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가 제공된 탄성 밀봉 부재(54)(도12 및 도13)와 덮개 필름(53)(도12) 사이의 경계면을 통해 프로세스 카트리지(B)로부터 노출되도록 개시 단부를 넘어서 연장된다. 탄성 부재(54)는 펠트(felt) 등의 재료로 형성되고,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의 종방향 단부들 중 하나에 위치한 평평한 표면 상에서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에 부착된다. 이러한 평평한 표면은 토너 유지 프레임부(11)에 고정된 덮개 필름 판(53)의 대응부이다. 또한, 도12에서, 그 구성을 보다 용이하게 이해하기 위해, 밀봉 필름(51) 및 덮개 필름 판(53) 사이 및 밀봉 필름(51) 및 탄성 밀봉 부재(54) 사이에 간극이 도시된다. 탄성 밀봉 부재(54)는 밀봉 필름(51)을 덮개 필름 판(53) 상에 가압시킨다. 도13을 참조하면, 저 마찰 계수를 갖는 합성 수지 필름으로 형성된테이프(55)가 탄성 밀봉 부재(54)의 표면의 내측면에 부착된다. 또한, 탄성 밀봉 부재(56)는 덮개 필름 판(53)의 다른 종방향 단부, 즉 탄성 밀봉 부재(54)가 부착된 것과 반대의 종방향 단부(도12 및 도13)에 위치한 평평한 표면(12u)에 부착된다.
결합시에 토너 유지 프레임부(11) 및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를 보다 용이하게 정렬시키기 위해, 토너 유지 프레임부(11)의 플랜지(11a)에는 원형 구멍(11r) 및 정사각형 구멍(11q)이 제공되고, 그 구멍들 내로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의 원통형 조글(12wl) 및 정사각형 조글(12w2)이 끼워맞춤된다(도10). 조글(12wl)은 원형 구멍(11r) 내에 긴밀하게 끼워맞춤되고, 반면에 조글(12w2)은 정사각형 구멍(11q) 내에 느슨하게 끼워맞춤되며 종방향으로 소량의 공차를 허용한다. 밀봉 부재(54, 56)는 평평한 표면(12u)에 부착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폭방향에서 리지(12v)를 지나 연장된다. 또한,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에는 한 쌍의 조글(12f)이 제공되고, 그 조글들은 덮개 필름 판(53)의 전술한 구멍(53c) 및 토너 유지 프레임부(11)의 구멍(11c) 내에 느슨하게 끼워맞춤된다. 밀봉 부재(54)는 이러한 조글(12f)들에 의해 관통된다.
토너 유지 프레임부(11) 및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는 결합 이전에 독립적인 유닛으로 조립된다. 그 이후에,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의 원통형 위치설정 조글(12wl) 및 정사각형 위치설정 조글(12w2)은 토너 유지 프레임부(11)의 둥근 위치설정 구멍(11r) 및 정사각형 위치설정 구멍(11q) 내로 끼워맞춤되고, 토너 유지 프레임부(11) 및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는 서로에 대해 가압되어 밀봉 부재(54, 56)를 압축되게 한다. 밀봉 부재(54, 56)가 가압될 때,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의 일체로 형성된 부분들이고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의 종방향 모서리들을 따라 평평한 표면(12u) 상에 연장된 한 쌍의 리지(12v)는 덮개 필름 판(53)의 표면 상에 차례로 가압된다. 전술한 한 쌍의 조글(12f)은 밀봉 부재(51)의 경로를 가로질러 위치 설정되고 밀봉 부재(51)가 당겨질 때 밀봉 부재(51)를 조정하도록 밀봉 부재(51)의 폭과 동일한 거리로 분리된다.
토너 유지 프레임부(11) 및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가 서로에 대해 가압되고, 삼각형 리지(12v) 및 덮개 필름 판(53) 사이에 초음파 진동이 인가된다. 결과적으로, 삼각형 리지(12v) 및 덮개 필름 판(53)은 마찰열에 의해 그 경계면에서 상호 용접된다. 따라서,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의 상부 및 하부 모서리들은 덮개 필름 판(53)의 대응 부분에 체결되고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의 평평한 대응 표면(12u) 및 덮개 필름(53) 사이에 밀봉 공간을 생성한다. 밀봉 부재(51)는 이 공간 내에 끼워진다.
토너 유지 프레임부(11) 내에 저장된 토너를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 내로 방면하기 위해, 조작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밀봉 부재(51)의 단부(51a)(도12)를 수동으로 당겨야만 한다. 단부(51a)가 당겨질 때, 밀봉 부재(51)는 덮개 필름 판(53)으로부터 벗겨지고 토너를 토너 유지 프레임부(11)로부터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로 이송시킬수 있도록 구멍(53b)(11i)을 노출시킨다.
토너 유지 프레임부(11) 및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의 상호 대향 표면이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므로, 덮개 필름 판(53)의 표면에 부착된 밀봉 필름(51)은 인출 방식으로 덮개 필름(51)에 힘을 단순히 인가함으로써 2개의 프레임부(11, 12) 사이로부터 원활하게 당겨질 수 있다. 또한, 덮개 필름 판(53) 및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 사이의 경로를 통해 밀봉 부재(51)가 당겨지는데, 그 경로에는 전술한 한 쌍의 조글(12f)이 제공되며, 그 조글은 밀봉 필름(51)의 폭과 동일한 거리로 제공되어 경로를 가로질러 배치된다. 따라서, 밀봉 필름(51)은 직선 라인에서 견인될 수 있다.
토너 유지 프레임부(11)용 재료,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 및 덮개 필름 플레이트(53)에서, 예를 들어, 폴리스티렌, ABS 수지(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폴리카보나이트,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페닐렌 옥시드 등의 플라스틱이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가 상세히 설명된다.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
도2, 도11, 및 도13을 참조하여,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가 설명된다. 도11은 현상 수단 부품들이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로 조립되는 방법을 도시하는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13은 토너 유지 프레임부(11)와 대면하는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의 부분의 사시도이다.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로 현상 롤러(9c), 현상 블레이드(9d), 토너 교반 부재(9e), 및 토너의 잔류량을 검출하는 로드 안테나(9h)가 조립된다.
현상 블레이드(9d)는 대략 1-2mm 두께의 금속제 플레이트(9d1) 및 고온 용융, 양면 테이프 등의 사용으로 금속 플레이트(9d1)에 고정되는 우레탄 고무(9d2) 조각을 포함한다. 현상 블레이드는 현상 롤러(9c) 면 상에 코팅되는 토너의 양을 조절한다.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에는 블레이드 장착물로서 두 개의 블레이드 고정 편평면(12i)이 제공된다. 이러한 편평면(12i)의 편평도는 대략 0.05mm로 조절된다. 각 편평면(12i)에는 조글(12i1) 및 암나사가 있는 구멍(12i2)이 제공된다. 두 개의 편평면(12i)은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의 종방향 단부에 일대일로 위치한다.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의 좌측면에는 편평면(12i), 돌출부(12i1), 암나사가 있는 구멍(12i2)이, 우측면에는 편평면(12i), 돌출부(12i1), 암나사가 있는 구멍(12i2)이 서로 대칭적으로 위치하고 있다. 현상 유닛(D)을 조립할 때, 먼저 조글(12i1)이 금속 플레이트(9d1)의 구멍(9d3) 안으로 끼워진다. 그후, 금속제 플레이트(9d1)는 상기 금속제 플레이트(9d1)의 나사 구멍(9d4)을 통해 도시되지 않은 작은 나사를 밀어 넣어 암나사가 있는 전술한 구멍(12i2)으로 작은 나사를 조임으로써 편평면(12i)에 고정된다.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는 몰토프렌(moltopren) 등으로 형성되는 탄성 밀봉부(12s)가 제공된다. 탄성 밀봉부(12s)는 토너의 침입을 막기 위해 금속 플레이트(9d1)의 상부 에지에 대응하는 종방향 에지를 따라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를 통과한다. 탄성 밀봉부는 금속 플레이트(9d1)에 의해 압착된다. 또한,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에는 2개의 탄성 밀봉부(12s1)가 제공되고, 각 탄성 밀봉부(12s1)는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에 부착되어, 탄성 밀봉부(12s)의 대응 종방향 단부에서 원통형 면(12j)으로 현상 수단 유지 부재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탄성 밀봉부를 따라현상 롤러(9c)가 끼워지게 된다. 현상 롤러(9c)의 모선부에서(도2) 현상 롤러(9c)와 접촉하는 얇은 탄성 밀봉부(12s2)는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의 턱모양 부분(12h)에 부착된다.
현상 블레이드(9d)의 금속 플레이트(9d1)는 단부(9d1a)를 형성하면서 종방향 단부의 한 쪽에서 90°로 절곡되어 있다. 이 부분(9d1a)은 전술한 아암(19L)에 의해 지지되는 현상 바이어스 접점(121)(도14)과 접촉함으로써 금속 플레이트(9d1) 및 현상 롤러(9c)와 전하가 동일하다. 이러한 배열은 이하의 이유 때문이다. 즉, 토너양은 토너량 검출 로드 안테나(9h) 및 현상 롤러(9c) 사이의 정전 용량의 변화를 검출함으로써 결정되고, 따라서, 이 정전 용량은 금속 플레이트(9d1)로부터의 영향에 기인하여 불규칙적으로 변동되지 않아야 한다.
다음으로, 현상 롤러 유닛(G)이 설명된다. 현상 롤러 유닛(G)은 (1) 종방향 단부 중의 하나에 부착된 슬리브 플랜지(9a)를 갖는 현상 롤러(9c), (2) 현상 롤러(9c)의 주연면 및 감광 드럼(7) 사이에서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기 위한 두 개의 스페이스 링(9i), (3) 하나는 현상 롤러(9c)보다 작은 직경의 슬리브 플랜지(9a)의 부분에 끼워지고, 다른 하나는 슬리브 캡(9o)에 끼워지는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에 대한 현상 롤러(9c)의 정확한 위치설정을 위한 2개의 현상 롤러 베어링(9j), (4) 스페이스 링(9i)의 하나와 일체로 부분을 형성하거나 또는 스페이스 링(9i)의 하나와 결합하고, 감광 드럼(7)의 원통형 알루미늄 기부(A1) 및 현상 롤러(9c)의 원통형 알루미늄부 사이에서 발생될 수 있는 전기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현상 롤러(9c)의 종방향 단부의 하나에 끼워지는 슬리브 캡(9o), (5) 감광드럼(7)의 헬리컬 드럼 기어(7b)에 의해 구동되는 현상 롤러(9c)를 회전시키기 위한 현상 롤러 기어(9)(헬리컬 기어), (6) 현상 롤러(9c)의 단부의 내부 면에 고정되고, 실제적인 접점부[91(e1)1] 또는 아암부는 잎 스프링의 형태이고, 현상 바이어스 접점(121)의 디스크형 전극(도시되지 않음) 상에서 미끄러지는 탄성 현상 접점[91(e1)], (7) 현상 롤러(9c)의 주연면에 토너를 부착시키도록 현상 롤러(9c) 내에 위치하는 마그네트(9g)를 포함한다. 현상 롤러 유닛(G)은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의 현상 롤러 마운트에 부착된다. 특히, 현상 롤러 유닛(G)의 각 종방향 단부는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의 대응 종방향 단부의 리세스(12p)와 정렬되는 각각의 현상 롤러 베어링(9j)의 회전 제어 돌출부(9j1)와 함께 아암(19R)(19L)의 개략적인 반원통형부(19a)에 끼워지고, 아암(19R, 19L)은 나사(12d)의 사용(도5, 도6)으로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에 부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현상 롤러(9c)를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에 부착할 때, 현상 롤러 유닛(G)이 먼저 조립되고, 그 후, 조립된 현상 롤러 유닛(G)이 아암(19R, 19L)의 삽입과 함께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에 부착된다. 이러한 조립 과정을 사용하는 것은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에 직접 현상 롤러(9c)를 부착하는 조립 과정 보다 조립 효율을 향상시키기 때문이다.
현상 롤러 유닛(G)이 조립되는 과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먼저, 마그네트(9g)가 현상 롤러(9c)에 삽입되고, 탄성 현상 접점[91(e1)]이 현상 롤러(9c)에 끼워지게 된다. 그 후, 슬리브 캡(9o)이 현상 롤러(9c)의 종방향 단부 중 하나에 끼워지고, 2개의 스페이스 링(9i)이 현상 롤러(9c)의 종방향 단부 주위의 하나에 끼워진다. 다음으로, 현상 롤러(9c)를 지지하기 위한 2개의 현상 롤러 베어링(9j)은 현상 롤러(9c)의 종방향 단부에 일대일로 부착되고, 현상 롤러 기어(9k)가 베어링(9j)의 외부면 상의 현상 롤러(9c)의 종방향 단부 중 하나에 부착된다. 조립의 이 단계에서, 단면이 D형으로 주어지는 원통형 마그네트(9g)의 축 부분(9g1)이 현상 롤러(9c)의 종방향 단부로부터 돌출되고, 여기에 현상 롤러 기어(9k)가 부착되고, 반면에 원통형 마그네트(9g)의 다른 축 부분(9g2)은 현상 롤러(9c)의 다른 종방향 단부로부터 돌출된다. 단면이 D형의 이러한 축 부분(9g1, 9g2)은 아암(19R, 19L)에서 절단된 D형의 구멍(19b)에 끼워진다[아암(19L)의 구멍(19b)은 도시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토너의 잔류량을 검출하는 로드 안테나(9h)가 설명된다. 도13을 참조하면, 로드 안테나(9h)는 크랭크의 형상을 가정하여 단부에서 절곡되어 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 주 조립체(14)로 장착될 때, 크랭크부(9h1)는 장치 주 조립체(14)와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면서 장치 주 조립체(14)에 부착되는 토너량 검출 접점(도시되지 않은)과 접촉하게 된다.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에는 v형의 단면을 가지고 개구(12p)의 종방향 단부 중 하나에 위치하는 측벽에 있는 홈(12k, 12k1)이 제공된다. 홈(12k, 12k1)은 서로 연결되어 있고, 홈(12k)은 L형이며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의 외측으로 향한다. 로드 안테나(9h)는 이러한 홈(12k, 12k1)에 끼워지게 되고, 도시되지 않은 플러그는 접착제의 첨가로 V형 단면의 홈(19k)에 끼워져서 홈(12k, 12k1)에 로드 안테나(9h)를 고정시킨다. 상술한 설명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로드 안테나(9h)는 V형 단면의 홈(12k, 12k1)에 지지되어 정확히 위치 설정된다.
다음으로, 토너 교반 부재(9e)가 설명된다. 토너 교반 부재(9e)는 크랭크의 형상이며 회전에 의해 토너를 교반시킨다. 상기 부재(9e)는 토너 경로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부재를 통해 토너 용기(11A)에 저장된 토너가 현상 롤러(9c)의 근처와 로드 안테나(9h)뿐만 아니라 현상 롤러(9c)로 이동된다.
먼저, 토너 교반 부재(9e)의 한 단부는 대향되는 측면에 위치하는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의 측면 판(12A)에 제공된 구멍(12t)을 통해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로 삽입되고, 상술한 로드 안테나(9h)의 외부 접점(9h1)은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로부터 외부로 연장된다. 구멍(12t)의 직경은 토너 교반 부재(9e)의 크랭크부가 측면판(12A)을 통해 놓여지도록 충분히 크다. 다음으로, 저널부 또는 토너 교반 부재의 삽입 부분의 단부는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의 측면판(12A)이 위치하는 측면에 대향되는 측면에 위치하는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의 측면판(12B)에 제공된 도시되지 않은 관통 구멍을 통해 놓여진다. 그 후, 측면판(12B)의 도시되지 않은 관통 구멍은 측면판(13B)의 외부 측면으로부터 측면판(12B)을 녹이거나, 또는 구멍 안으로 작은 나사를 조임으로써 폐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교반 부재(9e)가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로 삽입된 후, 교반 기어(9m)(도16)는 구멍(12t)을 통해 끼워지게 된다. 교반 기어(9m)를 접합하는 동안에, 토너 교반 부재(9e)의 크랭크 아암(9e12)은 도1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기어(9m)의 내부 단부에 위치하면서 기어(9m)의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어(9m)의 슬릿(9m1)에 끼워진다. 또한, 토너 교반 부재(9e)의 저널부(9c1)는 슬릿(9m1)의 내부 단부에 위치하는 기어(9m)의 중앙 구멍에 끼워져서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에 의해 토너 교반 부재(9e)를 지지한다.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로부터의 교반 기어(9m)의 외부 분해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종방향에 대해 교반 기어(9m)와 중첩시키는 방법으로 아암(19R)의 편평부(19c)를 위치시킴으로써 막을 수 있다.
토너 유지 프레임부(11) 및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가 결합될 때, 측면 상의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의 측면판(12A)으로부터 전술한 토너 교반 부재(9e)가 삽입되어 토너 유지 프레임부(11)의 측면판을 지나 연장되고, 토너 유지 프레임부(11)로 가압된 토너 캡을 덮는다. 측면판(12A)에는 구멍(12x)이 제공되고, 구멍 안에는 토너 반송 기어(9s) 즉, 구동력을 토너 반송 부재(9b) 및 토너 교반 부재(9e)에 전달하기 위한 기어 박스(9q)의 출력 기어가 일정량의 유격을 가지고 끼워지게 된다(도11). 토너 반송 부재(9b)의 종단부들 중의 하나에 부착되는, 커플링부(11e)(도10)와 결합되는 토너 반송 기어(9s)는 토너 반송 부재(9b)에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토너 유지 프레임부(1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 기어 박스(9q)는 측판(12A)을 향하여 연장하는 갈고리가 제공된 아암(9q1)을 측판(12A)의 구멍(12Aa)에 스냅 끼워맞춤으로써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의 측판(12A)에 부착된다.
다음에, 구동력의 전달을 설명하기로 한다.
기어 박스(9q)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입력 기어(9n)는 현상 롤러 기어(9k)와 정합함으로써 구동력은 현상 롤러(9k)로부터 입력 기어(9n)로 전달된다. 교반 기어(9m)는 출력 기어(9r), 즉 기어 박스(9q)의 다른 기어와 정합한다. 현상 롤러 기어(9k)가 현상 롤러 기어(9K)와 정합된 드럼 기어(7b)로부터 구동력을 받아 회전할 때, 입력 기어(9n)가 회전하고, 이로써 기어열을 통해 입력 기어(9n)에 연결된 토너 이송 기어(9s)를 회전시킨다. 결과적으로, 구동력이 토너 이송 부재(9b)에 전달된다. 또한, 출력 기어(9r)는 토너 교반 기어(9m)를 회전시키고, 그 결과 토너 교반 부재(9e)가 회전한다.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 부분(12)의 부리형 부분(12h)의 하향 대면은 1매의 용지 등의 기록 매체(2)를 위한 반송 안내부로서 2중 역할을 한다. 더욱이,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 부분(12)의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 부분(12)에는 다수의 리브(도시되지 않음)들이 제공된다.
도13을 참조하면, 참조 부호 12P는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 부분(12)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구멍을 표시한다. 구멍(12P)은 토너 유지 프레임 부분(11)과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 부분(12)이 덮개 박판(53)의 삽입물과 결합된 후 토너 유지 프레임 부분(1)의 구멍(11i)과 덮개 박판(53)의 구멍(53b)과 정렬한다. 따라서, 토너 밀봉부가 제거될 때, 토너 유지 프레임 부분(11)에 저장된 토너는 현상 롤러(9c)에 공급될 수 있다. 상술한 토너 교반 부재(9e)와 로드 안테나(9h)는 구멍(12P)의 한 종단부로부터 다른 종단부로 연장한다.
본 실시예에서, 현장 수단 유지 프레임 부분(12)의 현상 롤러 장착대, 측판(12A)[기어 박스(9q) 장착대], 현상 블레이드 장착대[블레이드 장착 평면(12i)], 안테나(9h) 장착대, 토너 교반 부재 장착대 등은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 부분(12)의 일체 부품으로서 형성된다.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 부분(12)의 재료는 상술한 토너 유지 프레임 부분(11)의 재료와 동일하다.
{아암}
다음에, 아암(19R, 19L)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5, 도6, 도11 및 도22를 참조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아암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11은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구동되는 측(이하, "피구동측"이라 함)상에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 부분(12)에 부착될 아암(19R)의 내향측의 사시도와 피구동측에 대향하는 측(이하, "비피구동측"이라 함)상에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 부분(12)에 부착될 아암(19L)의 내향측의 사시도가 주어진다.
먼저, 도11에 도시된 상태에 있는 현상 롤러 유닛(G)의 다양한 요소들이 현상 롤러 유닛(G)의 안으로 조립된다. 다음에, 현상 롤러 유닛(G)의 좌우측 종단부들로부터 조립된 현상 롤러 유닛(G)을 개재하는 방식으로 아암(9R, 19L)이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 부분(12)에 부착되어 현상 유닛(D)을 완성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현상 유닛(D)의 조립 공정 중에, 먼저 각 베어링부(9j)의 돌출부(9j1)는 현상 롤러(9c)의 주연면이 2개의 밀봉부(12s1)에 의해 지지되는 방식으로 리세스(12p)에 끼워맞춤되고, 아암(19R, 19L)의 거의 반원통형 부분(19a)은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 부분(12)의 대응 반원통형 표면(12j)에 끼워맞춤된다. 결과적으로, 각 베어링부(9j)의 주연면은 대응하는 거의 반원통형 부분(19a)에 끼워맞춤된다. 결과적으로, 2개의 베어링(9j)은 아암(19R, 19L)의 삽입물로 하나씩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 부분(12)에 의해 지지된다. 현상 바이어스 접촉부(121)는 스냅 끼워맞춤에 의해아암(19L)에 부착된다. 아암(19R, 19L)의 각각은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 부분(12)의 조글부(12g)와 돌출부(12c)가 대응 아암의 평평한 부분(19c)의 구멍(19c1)과 슬롯(19c2)에 끼워맞춰진 채 소형 나사(12d)(도5)에 의해 조여짐으로써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 부분(12)에 체결된다.
아암(19L)은 현상 바이어스 접촉부(121)에 끼워맞춤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11에 대해 배면측 상에 아암(19L)상에 제공된 조글부는 접촉부(121)의 슬롯 안으로 가압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 주 조립체(14)에 적절하게 장착될 때, 현상 바이어스 접촉부(121)의 외부 접점(121c)은 장치 주 조립체(14)의 도시 안된 현상 접촉부와 접촉하고 현상 롤러(9c)에 인가되도록 장치 주 조립체(14)로부터 현상 바이어스를 수용한다. 장치 주 조립체(14)로부터 수용된 이후에, 현상 바이어스는 현상 바이어스 접촉부(121)와 탄성 현상 접촉부(91(e1))를 통해 현상 롤러(9c)에 인가된다.
또한,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 주 조립체(14)에 적절하게 장착될 때, 토너 감지 접촉부(122)와 외부 접점(9h1)은 장치 주 조립체(14)의 도시 안된 토너 감지 접촉부와 장치 주 조립체(14)의 다른 도시 안된 접촉부와 각각 전기적으로 접촉한다. 따라서, 현상 롤러(9c)와 로드 안테나(9h)의 사이의 토너량의 변화에 응답하여 변화하는 정전 용량에 따라 생성된 전기 신호는 로드 안테나(9h)로부터 장치 주 조립체(14)의 도시 안된 접촉부로 전달된다. 제어부(도시 안됨)에 의해 전기 신호값이 소정치로 도달한 것을 감지될 때,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교환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표시된다.
{전기 접촉 구조}
다음에, 도5, 도6 및 도9를 참조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B)와 장치 주 조립체(14)에 전기적으로 연결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측의 전기 접촉부가 어떻게 접촉하여 위치하고, 이들이 어디에 위치하고 있는 지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스 카트리지(B)에는 다음과 같은 복수개(4개)의 전기 접촉부가 제공된다. 즉, (1) 장치 주 조립체(14)를 통해 감광 드럼(7)을 접지하기 위해 감광 드럼(7)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기적 전도 접지 접촉부(119)[2개의 원통형 안내부(13a) 중의 하나는 접촉부(119)로서 2중 역할을 한다], (2) 장치 주 조립체(14)로부터 대전 롤러(8)에 대전 바이어스를 인가하기 위해 대전 롤러 샤프트(8a)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기적 전도 대전 바이어스 접촉부(120), (3) 장치 주 조립체(14)로부터 대전 롤러(9c)에 현상 바이어스를 인가하기 위해 현상 롤러(9c)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기적 전도 현상 바이어스 접촉부(121), (4) 토너 잔존량 감지 접촉부(9h1), 즉 토너 잔존량을 감지하기 위한 로드 안테나(9h)의 외부 접촉 부분(9h1). 이 4개의 접촉부들은 이들 사이에 전기적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이들 간에 적절한 거리를 유지하면서 카트리지 프레임의 측벽(좌측)으로부터 노출되는 방식으로 위치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접지 접촉부(119)와 대전 바이어스 접촉부(120)는 세척 수단 유지 프레임부(13)에 속하고, 현상 바이어스 접촉부(121)와 토너 잔존량 감지 접촉부(9h1)는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보다 상세하게는, 아암(19L)]에 속한다. 더욱이, 토너 잔존량 감지 접촉부(9h1)는 장치 주 조립체(14)가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 주 조립체(14)에 있는 지의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프로세스 카트리지 감지 접촉부로서 2중 역할한다.
접지 접촉부(119)의 전기적 전도성은 감광 드럼(7)의 드럼 샤프트(7a)를 위한 재료로서 전기적 전도 물질을 사용하거나 드럼 샤프트(7a)의 성형 중에 인서트 성형을 이용하여 드럼 샤프트(7a)로 전기적 전도 부재를 삽입함으로써 구현된다. 본 실시예에서, 드럼 샤프트(7a)는 철 등의 금속 재료로 이루어진다. 다른 접촉부(120, 121)들은 약 0.1 내지 0.3 mm 두께의 전기적 전도 재료(예를 들면, 스테인레스 강, 인청동 등)의 판으로 이루어지고,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내향측으로부터 외향측으로 얽혀서 연장한다. 대전 바이어스 접촉부(120)는 비피구동측상에 세척 유닛(C)의 측판으로부터 노출되도록 위치한 반면, 현상 바이어스 접촉부(121)와 토너 잔존량 감지 접촉부(9h1)는 비피구동측상에 현상 유닛(D)의 측판으로부터 노출되도록 위치한다.
대전 바이어스 접촉부(120)는 접지 접촉부(119)에 대해 수직 및 수평적으로 배열되고 대전 롤러(8)(도5)를 지지하는 대전 수단 유지 프레임부(8A)와 일체인 아암(8A2)의 단부에 부착된다. 대전 바이어스 접촉부(120)는 대전 롤러 샤프트(8a)와 접촉하는 전기 전도 부재를 통해 대전 롤러(18)와 전기적으로 접촉한다.
로드 안테나(9h)는 현상 롤러(9c)로부터 소정 거리를 유지한 채 현상 롤러(9c)의 전체에 걸쳐 현상 롤러(9c)를 따라 연장하도록 위치한다. 로드 안테나(9h)와 현상 롤러(9c)의 사이의 정전 용량은 2개 요소들의 사이의 토너량에응답하여 변한다. 따라서, 이러한 정전 용량에서의 변화는 토너 잔존량을 감지하기 위해 장치 주 조립체(14)의 제어부(도시 안됨)에 의해 전위의 변화에 따라 감지된다.
토너 잔존량은 현상 롤러(9c)와 로드 안테나(9h)의 사이의 토너량을 의미하고 특정량의 정전 용량을 생성한다. 따라서, 현상 롤러(9c)와 로드 안테나(9h)의 사이의 정전 용량을 감지함으로써 토너 용기(11A) 내의 토너 잔존량이 특정량으로 감소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토너 용기(11A) 내의 토너 잔존량이 소정량으로 감소되는 것은 토너 감지 접촉부(120)를 통해 정전 용량이 제1 소정치로 감소되는 것을 감지함으로써 장치 주 조립체(14)의 제어부에 의해 판정된다. 정전 용량이 전술한 제1 소정치로 도달하는 것을 감지하면, 장치 주 조립체(14)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교환 경보(예를 들면, 램프의 점멸 또는 부저에 의한 음 생성 등)를 내린다. 더욱이, 제어부는 소정의 토너 잔존량을 표시하는 전술한 소정치보다 작은 소정의 제2 값을 감지함으로써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 주 조립체(14) 안으로 장착되는 것을 감지한다. 제어부가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 주 조립체(14)에 장착되는 것을 감지하지 않을 경우, 장치 주 조립체(14)가 화상 형성 작용을 개시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다. 부수적으로, 제어부는 그러한 경우에 캐리지 없음 경보(예를 들면, 램프 점멸 등)를 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 구조}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하우징은 토너 유지 프레임 부분(11),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 부분(12) 및 세척 수단 유지 프레임부분(13)의 결합된 조합을 포함한다. 다음에, 하우징의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2를 참조하면, 토너 유지 프레임부(11)는 토너 용기(11A)를 포함하고, 토너 유지 프레임부(11)에 토너 반송 부재(9b)가 부착된다.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에 현상 롤러(9c)와 현상 블레이드(9d)가 부착된다. 또한, 토너를 현상 챔버 내부에서 순환시키기 위해 현상 롤러(9c)에 인접해서 위치된 토너 교반 부재(9e)가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에 회전식으로 부착된다. 토너 유지 프레임부(11)와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는 서로 용접되어 현상 유닛(D)을 위한 단일 프레임부를 형성한다 (도8).
감광 드럼(7), 대전 롤러(8), 세척 수단의 여러 구성요소들이 세척 수단 유지 프레임부(13)에 부착된다. 또한,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 주 조립체(14) 외부에 있을 때 감광 드럼(7)을 보호하기 위해 덮는 드럼 셔터(18, 도5)가 세척 수단 유지 프레임부(13)에 부착된다. 이들은 서로 세척 수단 유닛(C)을 구성한다(도8).
현상 유닛(D)과 세척 유닛(C)이 결합되어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형성한다. 이들 두 유닛을 결합시키기 위한 방법에 관하여, 첫째로 현상 유닛(D)의 회전 샤프트(20R)가 세척 유닛(C)의 슬롯(21R) 내에 끼워맞춰지고, 동시에 아암(19R, 19L)들의 편평부(19R1, 19L1)를 세척 유닛(C)의 대응 측판(13s)들의 내측면들과 끼워 맞춘다. 그 다음, 측판(13s)들의 구멍(13s4)으로 끼워진 연결 핀(22)의 단부가 아암(19L)의 구멍(20L)으로 미끄러져 들어간다.
다음으로, 도5를 참조하면, 인장 코일 스프링(24b)의 단부들이 스프링앵커(13y), 즉 세척 수단 유지 프레임부(13)와 일체로 형성된 외향 돌출부와, 스프링 앵커(19z), 즉 아암(19L)과 일체로 형성된 외향 돌출부에 하나씩 부착된다.
다음으로, 도6을 참조하면, 인장 코일 스프링(24a)이 스프링 앵커(12z), 즉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방향에서 하류측에 있는 측판(12A)과 일체로 형성된 외향 돌출부와, 세척 수단 유지 프레임부(13)의 바닥벽으로부터 종방향으로 돌출한 스프링 앵커(13z) 사이에 고정된다. 상기 설명된 구조의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현상 롤러(9c)의 종방향 단부 둘레에 끼워맞춰진 감광 드럼(7)과 스페이서 링(9i)들은 서로에 대해 가압 유지되어 피벗 축(SC) 둘레에서 서로에 대해 피벗된다.
현상 롤러(9c)의 서로 맞물려 있는 드럼 기어(7b) 및 헬리컬 기어(9k)가 감광 드럼(7)과 현상 롤러(9c)의 단부들에 각각 부착된다. 따라서, 현상 롤러(9c)는 감광 드럼(7)에 의해 회전식으로 구동된다. 결합부에 위치된 회전 샤프트(20R)는 감광 드럼(7)과 현상 롤러(9c)의 상호 맞물린 기어들 사이의 횡단 작용선에 의해 각도가 형성되도록 그리고 두 기어들과 피벗 축(SC) 사이의 피치 지점을 연결하는 선이 진입면 상에 떨어지도록 위치된다. 그러므로, 회전 모멘트가 현상 롤러(9c)의 회전에 의하여 현상 유닛(D) 상에서 발생되고, 결과적으로 현상 롤러(9c) 둘레에 끼워맞춰진 스페이서 링(9i)들은 현상 롤러(9c)에 의해 감광 드럼(7) 상으로 가압된다.
바꿔 말하면, 상기 설명된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경우에, 현상 롤러(9c)의 스페이서 링(9i)들은 현상 유닛(D)의 자중, 인장 코일 스프링(24a, 24b)들의 탄성, 감광 드럼(7)과 현상 롤러(9c)의 기어들의 회전 구동에 의하여 감광 드럼(7) 상으로 가압되어 유지되고, 따라서 감광 드럼(7)과 현상 롤러(9c) 사이의 간극이 항상 우수한 화상 품질을 보장하도록 일정하게 유지된다(본 실시예에서는 약 300㎛임).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분해조립}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토너 용기(11A) 내부의 토너가 소진되면, 이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회수되어 분해 조립된다. 따라서, 분해조립을 목적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 내에는 밀봉 필름(51)이 없다. 밀봉 필름(51)이 제거되었다.
{세척 유닛(C)과 현상 유닛(D)의 분리}
세척 유닛(C)과 현상 유닛(D)을 서로 분리하기 전에, 카트리지 덮개(15)가 제거된다.
첫째로, 분해 조립될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도시되지 않은) 공기 덕트 내에 세팅된다. 그 다음,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표면에 고착된 토너 입자들과 먼지가 프로세스 카트리지(B) 상으로 공기를 내뿜어서 제거된다.
다음으로, 도3, 도5, 도6에 도시된 것처럼, 카트리지 덮개(15)의 좌측 및 우측판(15a)들의 구멍(15b)들을 통해 넣어져서 세척 수단 유지 프레임부(13)의 원형 구멍(13e)들 내로 나사 결합되었던 작은 나사(15d)들이 나사드라이버를 사용해서 제거되고, 동일한 측판(15a)들의 구멍(15c)들을 통해 넣어져서 신장된 구멍(13f)들 내로 삽입되었던 핀(15e)들이 플라이어 등을 사용해서 뽑히게 된다. 다음으로, 카트리지 덮개(15)가 손가락 끝을 사용해서 후크(15g)를 세척 수단 유지 프레임부(13)로부터 외측으로 분리시키면서 뽑히게 된다. 카트리지 덮개(15)가 상기 설명된 것처럼 위로 당겨지므로, 세척 유닛(C)과 현상 유닛(D)의 결합부로부터 빠져 나온다. 또한, 각각의 핀(15e)의 헤드부가 중심 리세스를 구비한 플랜지처럼 형성되어 있으므로, 핀(15e)이 예를 들어 라디오 플라이어를 사용해서 이 플랜지형 부분을 유지하면서 당겨 비틀려서 제거될 수 있다. 핀(15e)은 수지로 형성되고, 그의 단부는 캐치를 구비한다. 그러나, 이 캐치와 라디오 플라이어에 의해 파지된 플랜지형 부분은 파손되기 쉽고, 따라서 오래된 핀(15e)들은 새로운 것으로 교체된다. 이하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세척 유닛(C)과 현상 유닛(D)으로 분리되는 과정이 설명된다.
첫째로, 감광 드럼(7)과 현상 롤러(9c)를 도5 및 도6에 도시된 것처럼 서로에 대하여 가압하도록 제공된 인장 코일 스프링(24a, 24b)들이 제거된다. 특히, 인장 코일 스프링(22a)이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 및 세척 수단 유지 프레임부(13) 각각의 스프링 앵커(12z, 13z)들로부터 분리된다. 인장 코일 스프링(22b)이 아암(19L) 및 세척 수단 유지 프레임부(13) 각각의 스프링 앵커(19z, 13y)들로부터 분리된다. 제거된 인장 코일 스프링(24a, 24b)들이 시험되고, 소정의 기준을 만족시키면 분해조립용으로 사용된다.
다음으로, 아암(19R)으로부터 외향으로 돌출한 회전 샤프트(20R)가 도8 및 도9에 도시된 세척 유닛(C)의 U형 슬롯(21R)의 외부로 상승된다. 그 다음, 현상 유닛(D)이 세척 유닛(C)과 현상 유닛(D)을 서로에 대해 종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연결 핀(22)으로부터 분리된다. 여기서 세척 유닛(C)과 현상 유닛(D)이 라디오 플라이어 등을 사용해서 연결 핀(22)을 뽑아냄으로써 분리될 수 있다는 것이 언급되어야 한다.
상기 설명된 단계들은 장치 주 조립체(14) 내에 제거 가능하게 장착된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제1 및 제2 유닛을 분리시키기 위한 과정을 완성한다. 상기 설명된 것처럼, 제1 유닛은 감광 드럼(7)을 지지하는 세척 유닛(C)이고, 제2 유닛은 현상 롤러(9c)를 지지하는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와 현상 롤러(9c)에 의해 현상용으로 사용되는 현상제인 토너를 저장하기 위한 현상제 유지부인 토너 용기(11A)를 갖는 토너 유지 프레임부(11)의 조합이다. 더욱이, 제1 및 제2 유닛들은 서로에 대해 피벗 가능한 방식으로 연결된다.
{현상 유닛 분해조립}
현상 유닛(D)의 분해조립을 설명하기 전에, 분해 이전의 상태에서의 현상 유닛(D)의 통상적인 구조가 도10, 도11, 도15를 참조해서 설명될 것이다. 이미 설명된 것처럼, 현상 롤러(9c)는 롤러 베어링(9j)에 의해 회전식으로 지지된다. 특히, 현상 롤러(9c)의 일단부 내에 끼워맞춰진 슬리브 플랜지(9a)는 현상제 롤러 베어링(9jR), 즉 2개의 현상제 롤러 베어링(9j)들 중 하나에 의해 회전식으로 지지되고, 현상 롤러(9c)의 타단부 위에 끼워맞춰진 슬리브 캡(9o)은 현상제 롤러 베어링(9jL) 또는 2개의 현상제 롤러 베어링(9j)들 중 다른 하나에 의해 회전식으로 지지된다. 현상 블레이드(9d)는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의 구멍(12P)의 상부 에지를 따라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에 부착된다. 아암(19R, 19L)들은 나사(12d)들을 사용해서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의 종방향 단부에 고정되고, 현상 롤러(9c) 내부에 위치된 자석(9g)의 단부들로부터 하나씩 돌출한 부분적으로평평한 실린더 샤프트(9g1, 9g2)들의 단부들은 아암(19R, 19L)들의 부분적으로 평평한 실린더 형상의 구멍(19b, 도11)들 내에 하나씩 끼워 맞춰진다. 간단히 말하면, 현상 롤러(9c)는 현상 롤러 베어링(9jR, 9jL)들에 의해 회전식으로 지지되고, 자석(9g)의 부분적으로 평평한 실린더 샤프트(9g1, 9g2)들의 단부들은 정확하게 위치되어 아암(19R, 19L)에 의해 지지된다.
{현상 롤러와 현상 블레이드의 제거 단계}
아암(19R, 19L)들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 내로 나사 결합되었던 작은 나사(12d)들을 제거해야 한다. 이들 나사(12d)들은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의 위치설정 맞춤핀(12g) 및 위치설정 돌출부(12e, 도11)를 위치설정 구멍(19c1) 및 슬롯(12c2) 내로 끼워 맞춘 후에, 아암(19R, 19L)들의 구멍(19c3, 도11)들을 통해 넣어졌다. 작은 나사(12d)들을 제거한 후에, 아암(19R, 19L)들이 현상 유닛(D)의 측벽으로부터 분리된다. 이전에 설명된 것처럼, 아암(19R)의 실제 아암 부분(19R1)은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와 세척 수단 유지 프레임부(13)를 결합하기 위해, 회전 샤프트(20R), 즉 아암(19R)과 일체로 성형된 부분을 구비한다. 기어 박스(9g)를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12)의 측판(12A)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측판(12A)의 구멍(12Aa)을 통해 돌출한 아암(9q1)들, 즉 스냅 결합 갈고리들이 측판(12A)과 토너 유지 프레임부(11) 사이에 라디오 플라이어 등을 삽입함으로써 휘어지고, 그 다음 기어 박스(9q)가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종방향 외측으로 기어 박스(9q)를 당김으로써 측판(12A)으로부터 분리된다.
아암(19R, 19L)들이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로부터 분리되고, 부분적으로 평평한 실린더 샤프트(9g1, 9g2)들, 즉 자석(9g)의 종방향 단부들이 아암(19R, 19L)들로부터 분리된다. 그 후에, 형상 롤러 유닛(G)이 현상 롤러(9c)의 축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로부터 제거된다. 이러한 현상 롤러 유닛(G)의 제거 중에, 현상 롤러 베어링(9gR, 9jL)들이 현상 롤러 유닛(G)과 함께 제거된다. 다음으로, 현상 블레이드(9d)의 나사 구멍(9d4)들을 통해 넣어져서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의 평평한 블레이드 장착부(12i) 내에서 암나사에 의해 구멍(12i2) 내에 확실하게 나사 결합되었던 도시되지 않은 나사들이 제거된다. 그 다음,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의 평평한 블레이드 장착부(12i) 상에 제공된 좌측 및 우측 위치설정 맞춤핀(12i1)들을 현상 블레이드(9d)의 위치설정 구멍(9d3)으로부터 분리시키는 방향으로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로부터 현상 블레이드(9d)가 제거된다.
밀봉 필름(51)이 재생된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분해조립 중에 수리되면, 분해 조립된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새로운 프로세스 카트리지처럼 될 것이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밀봉 필름(51)이 수리되지 않는다. 재생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토너가 프로세스 카트리지로부터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에 충분하도록 기밀시키는 것만이 필요하기 때문에, 오래된 밀봉 필름(51)을 새로운 것으로 교체할 필요가 없다.
다음, 밀봉 필름(51)을 교체하지 않고 토너가 현상 유닛으로부터 누설되는 것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도록 현상 유닛을 기밀하게 만드는 방법이 설명될 것이다.
{현상 유닛과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 사이를 기밀하게 밀봉하는 방법}
토너 유지 프레임부(11) 및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는 덮개 막판(53)을 그 사이에 위치시킨 채로 서로 결합된다. 따라서, 토너 유지 프레임부(11)의 구멍(11i)은 밀봉 필름(51)으로 여전히 밀봉되어 있는 동안에는 토너는 누설되지 않는다. 토너 유지 프레임부(11) 및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는 분해 검사 동안에 서로 결합된 채로 남아 있기 때문에 새로운 밀봉막(51)으로 토너 유지 프레임부(11)의 구멍(11i)을 밀봉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재사용을 위해서 토너 유지 프레임부(11) 및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를 분해 검사하는 동안 현상 유닛을 기밀하게 밀봉하기 위한 방법이 설명될 것이다. 이 때, 토너 유지 프레임부(11) 및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 사이의 결합부의 밀봉이 설명될 것이다.
도10을 참조하면, 토너 유지 프레임부(11)의 플랜지(11a)의 평탄면(11k)에는 연장되어 구멍(11i)을 둘러싸는 리지(11h)가 마련된다. 리지(11h) 및 덮개 막판(53)은 서로 용접되기 때문에 토너가 토너 유지 프레임부(11)와 덮개 막판(53) 사이에서부터 외향으로 누설되지 않는다.
덮개 막판(53)과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 사이의 경계면의 경우,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 도13)의 삼각형 리지(12v) 및 덮개 막판(53)은 서로 용접되어 있기 때문에 토너가 상부 및 하부 에지, 즉 덮개 막판(53)의 종방향 에지와 상부 및 하부 에지, 즉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의 종방향 에지 사이에서부터 외향으로 누설되지 않는다.
덮개 막판(53)의 종단부는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와 일대일로 접착된 가요성 밀봉체(54, 56)와 접촉된다. 가요성 밀봉체(54, 56)는 펠트와 같은 가요성 물질로 형성되고 덮개 막판(53) 상에 가압된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토너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 주 조립체(14)에 장착되거나 또는 탈착 되는 동안에도 누설되지 않는다. 그러나, 만일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프로세스 카트리지 수송 동안에 어떤 형태의 충격을 받는다면 토너는 누설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런 가능성도 제거되어야 한다.
{토너 유지 프레임부의 우단부와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 사이의 결합부의 밀봉}
기어 박스(9q)는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와 토너 유지 프레임부(11)의 우측 벽에 부착된다. 만일 기어 박스(9q)가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에서 분리된다면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와 토너 유지 프레임부(11)의 우측 단부 사이의 결합부를 밀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밀봉 작동은 현상 롤러 유닛(G)이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에 부착되어 있는 동안에 가능하다. 그러나, 접착 밀봉제가 사용되기 때문에, 현상 롤러 유닛(G)과 현상 블레이드(9d)의 제거 후에 작동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15를 참조하면, 토너 유지 프레임부(11)의 하부에는 하부 플랜지(11g)가 제공되는데, 이 플랜지는 토너 유지 프레임부(11)의 일체 성형된 부분이고 토너 유지 프레임부(11)의 종방향 외향으로 연장된다. 이 하부 플랜지(11g)는 토너 유지 프레임부(11)의 플랜지(11a), 즉 전방 측 상의 플랜지에 직각이고, 토너 유지 프레임부(11)의 측부 판(11As)에 또한 직각이다. 토너 유지 프레임부(11)의 하부 플랜지(11g) 및 삼각 하부 플랜지(12A2), 즉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의 측부 판(12A)의 하부의 일체부는 서로 나란하고 두 플랜지(11g, 12A2) 사이의 간극(g1) 또는 제1 간극이 있고,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의 하부 플랜지(12A2)의 에지와 토너 유지 프레임부(11)의 하부 플랜지(11g) 사이에서부터 외향으로 개방된다.
도18을 참조하며, 토너 유지 프레임부(11)의 하부 플랜지(11g)의 에지(11g1)와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의 평탄면(12u1) 사이에 다른 간극(g2) 또는 제2 간극이 있다. 간극(g1, g2)은 연속적이다. 도15에서 참고 부호 g1a로 나타낸 간극(g1)의 부분은 도18에서 참고 부호 g2a로 나타낸 간극(g2)의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 이들 간극(g1, g2)은 덮개 막판이 접착된 덮개 막판(53)의 하부의 외향 표면에 인접하여 위치된 간극(3g, 도19)과 연결되어 있다.
도16을 참조하면, 토너 유지 프레임부(11)의 상부 우측부와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 사이에 결합부에 관하여, 토너 유지 프레임부(11)의 플랜지(11a)와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의 평탄면(12u1)은 조글(12w2) 주위의 영역을 제외하고는 서로 용접되어 있다. 이 영역에서, 토너 유지 프레임부(11)와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 사이에 덮개 막판(53)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의 간극이 있다. 이 영역과 구멍(12P) 사이의 영역은 가요성 밀봉체(56)로 밀봉되어 있다. 만일 토너가 구멍(12P)으로부터 빠져나와서 가요성 밀봉체(56)를 지나서 이동된다면, 토너 유지 프레임부(11)의 평탄면(11k)과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의 평탄면(12u1) 사이에 전술된 간극이 그 내에 있는 조글(12w2)의 인접지를 통해서 프로세스 카트리지(B)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이 때, 조글(12w2)의 인접지에 토너 유지 프레임부(11)와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 사이에 간극은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19를 참조하면, 토너 유지 프레임부(11)의 플랜지(11a)는 토너 용기(11A)를 갖춘 토너 유지 프레임부(11)의 측부판(11As) 위로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종방향으로 외향 연장한다. 플랜지(11a)의 외향 연장부에는 리브(11a1)가 마련되고, 이 리브는 토너 유지 프레임부(11)의 일체부이다. 리브(11a1)는 단일 단계의 계단 형태이고, 계단의 하부와 유사한 리브(11a1)의 부분은 토너 유지 프레임부(11)의 상부판(11Ac)에서부터 연속적이다. 단일 계단의 직립 부분과 유사한 리브(11a1)의 부분(11a2)은 수직으로 연장하여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의 측부 판(12A)의 상부 코너로부터의 간극(3)을 유지한다. 단일 단계의 상부와 유사한 부분인 리브(11a1)의 부분(11a2)은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의 측부 판(12A)의 상부의 일부분인 삼각형 상부 플랜지(12A4)와 나란하게 연장되어 간극(g4)을 유지한다. 또한, 조글(12w2) 바로 주위의 영역에 토너 유지 프레임부(11)의 플랜지(11a)와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의 평탄면(12u1) 사이에 간극(g5)이 있다.
도20은 도19에서 도시된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동일한 부분을 대향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조글(12w2)이 마련되는 평탄면(12u1) 상에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의 플랜지(12u2)는 도19에 도시된 삼각형 상부 플랜지(12A4)에 직각이다. 전술된 간극(g5)은 조글(12w2)을 둘러싸는 플랜지(12u2)의 에지를 따라서 외측으로 이른다. 간극(g5)은 덮개 막판(53)의 두께와 거의 동일한 두께이다. 조글(12w2)과 토너 유지 프레임부(11)의 연장된 구멍(11q)의 벽 사이에 간극(g6)이있다. 이 간극(g6)은 간극(g5)과 직접 연결된다.
도21을 참조하면,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의 측부 판(12A)은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종단부 중 하나에 위치되고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의 구멍(12P)의 전방 측으로부터 도시된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종방향에 직각 후방으로 연장한다. 토너 유지 프레임부(11)와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는 서로 결합됨에 따라서, 플랜지(11a)의 에지는 드럼 플랜지부(12)의 측부 판(12A)의 기부와 거의 접촉해서, 직선 간극(g7)을 이룬다. 간극(g7)은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에 접착된 가요성 밀봉체(56, 도13)를 따라서 연장한다. 이는 먼저 설명된 하부 간극(g1)에 연결된다.
토너 유지 프레임부(11)와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 사이의 결합부에서 외향으로 개방된 상술된 간극(g1 내지 g7)들은 서로 결합된다. 특히, 간극(g1, g2)은 서로 연결되고, 간극(g3, g4, g5, g6)은 그들 자신을 따라서 연결된다. 또한, 간극(g7)의 일단부는 간극(g2)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간극(g3)에 연결된다. 간극(g1 내지 g7)은 시일러(sealer, SB)를 사용하여 그들의 외향 개구에서 밀봉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밀봉된 부분의 상태가 도22 내지 도25에 도시되어 있다. 이런 용도로 사용되는 시일러(SB)는 간극(g1 내지 g7)을 밀봉하기 위해서 코팅되기에 충분히 높은 점성을 가진 유체인 시일러이다. 사실, 간극(g1 내지 g7)은 유동성이 상이한 다수의 시일러(SB)로 밀봉된다. 유동성이 상이한 시일러는 시일러가 인가되는 영역, 시일러가 인가되는 영역의 크기 또는 유사한 요인에 의해서 선택된다.
코너에 대응하는 결합부 부분, 또는 이의 종단부에서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현상 롤러 유지 프레임부)의 절곡부를 밀봉할 때, 더 높은 유동성의 시일러가 사용된다.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의 절곡부는 측부 판(12A)이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의 종단부에서 평탄면(12u)과 만나는 것을 의미한다.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의 각 절곡부에서 토너 유지 프레임부(11)의 짧은 에지 즉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종방향에 직각인 에지는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의 절곡부의 내향 표면과 거의 접촉되게 위치된다. 결합부의 이 부분은 간극(g7, 도21)이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외향으로 개방되는 곳이다. 높은 유동성을 가진 시일러를 사용하는 이유는 토너 유지 프레임부(11)의 측부 판(11As1)과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의 측부 판(12A) 사이의 간극, 즉 간극(g7)이 코팅 노즐이 삽입되기에 좁아서, 따라서, 시일러는 이의 단부에서부터, 간극(g7)을 기울인 상태에서 간극(g7)으로 흘러야하기 때문이다. 유동성의 면에서, 위에서 주어진 설명의 내용에 적절한 시일러의 기준에 대해, 이의 점도는 약 25 포이즈(g/cm·s)가 바람직하다.
토너 유지 프레임부(11)와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 사이의 다른 간극(g1 내지 g6)을 밀봉할 때, 낮은 유동성의 시일러(SB)가 사용된다. 시일러가 유동성이 낮다고 여겨지는 기준은 시일러의 점도가, 시일러가 인가되는 임의의 간극(g1 내지 g6)이 인가 직후에 수직으로 위치되더라도 자중 때문에 새어나오지 않는 시일러의 점도이다.
시일러가 인가되는 곳은 프레임부(11, 12)가 서로 용접되는 토너 유지 프레임부(11)와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 사이의 결합부의 부분이다. 따라서, 간극(g1 내지 g7)의 밀봉 후에, 모든 간극(g1 내지 g7)에 인가된 시일러는 연속이다.
프레임부(11, 12)가 서로 용접되는 토너 유지 프레임부(11, 12) 사이의 결합부의 부분은, 토너 유지 프레임부(11)의 플랜지(11a)와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의 플랜지(12u2)가 서로 겹치는 삼각형 리지(12v)의 우측 단부 바로 옆의 토너 유지 프레임부(11, 12) 사이의 결합부 부분이다. 토너 유지 프레임부(11)와 현상 수단 프레임부(12) 사이의 완전한 밀봉을 위해 필요한 모든 것은 두 개의 삼각형 리지(12v)의 대응 종단부들 사이에서 직선으로 밀봉하기 위해 필요한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두 개의 삼각형 리지(12v)의 대응 종단부들 사이를 연결시키는 영역이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내향 측 상에 있기 때문에 불가능하다.
시일러(sealer; SB)는 코팅 장치를 사용하여 코팅된다. 코팅 장치는 수동식 분배기일 수 있거나 또는 상기 코팅 노즐이 소정의 통로를 따르게 하는 로봇식 아암을 갖는 자동 코팅 장치일 수 있다.
시일러(SB)는 경화성 중합체 또는 열가소성 중합체이다. 경화성 중합체의 예로는 실리콘화된 접착제가 있고, 열가소성 중합체의 예로는 고온 용융 플라스틱이 있다.
토너 유지 프레임부(11)와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가 서로 용접되지 않은 토너 유지 프레임부(11)와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 사이의 결합부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다른 종단부 상에 있고, 이 단부에서 토너 유지 프레임부(11)와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 사이의 간극은 반드시 밀봉되어야 한다. 도31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단부에서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는 단지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의 상부 에지와 하부 에지 사이에서만 막 덮개판(53) 및 도31의 덮개 막판(53)의 표면의 노출부에 용접된다. 다시 말해서,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와 덮개 막판(53)은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상부와 하부 에지들 사이의 영역에 걸쳐 서로 용접되지 않은 대신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와 덮개 막판(53) 사이의 간극, 즉 간극(g8)은 탄성 밀봉체(54; 도13)로 밀봉된다. 이러한 탄성 밀봉체(54)는 펠트(felt)와 같은 탄성 재료로 형성되어 프로세스 카트리지(B) 내의 토너가 탄성 밀봉체(54) 즉, 한편의 펠트와 토너 유지 프레임부(11)의 표면 사이의 경계면을 통해 누수될 수 있다. 이러한 가능성을 고려하여, 시일러(SB8)는 간극(g8)의 개구에 인가된다. 시일러(SB8)를 인가하는 방법의 상세한 설명은 토너 유지 프레임부(11) 및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의 다른 종단부들 사이의 간극의 밀봉과 관련된 설명과 동일하고, 상기 시일러(SB8)는 도31에 도시된 간극(g8)에 인가된다.
도15 및 도16에 도시된 것처럼, 시일러(SB1)를 토너 유지 프레임부(11)의 플랜지부(11g)와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의 측판(12A)의 바닥 플랜지부(12A2) 사이의 간극(g1)에 인가된 후, 상기 시일러(SB1)는 도22에 도시된 것처럼 된다.
도18에서 도시된 것처럼, 시일러(SB2)를 토너 유지 프레임부(11)의 바닥 플랜지(11g)의 에지(11g1)와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의 평평한 면(12u1) 사이의 간극(g2)에 인가된 후, 시일러(SB2)는 도23에 도시된 것처럼 된다. 시일러(SB2)는 시일러(SB1)와 연속적이다. 시일러(SB2)는 덮개 막판(53)이 노출되는 간극(g2)의개구에 걸쳐 인가되었다.
도19에 도시된 것처럼, 시일러(SB3)가 토너 유지 프레임부(11)의 종단부의 단차부(11a2)와 상부 플랜지부(12A3)의 기부 즉,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의 측판(12A)의 상부의 만곡부 사이의 간극(g3)에 인가된 후, 시일러(SB3)는 도24에 도시된 것처럼 된다.
도19에 도시된 것처럼, 시일러(SB4)가 플랜지(11a)와 연속적인 토너 유지 프레임부(11)의 리브(11a1)와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의 측판(12A)의 상부 플랜지부(12A4) 사이의 간극(g4)에 인가된 후, 시일러(SB4)는 도25에 도시된 것처럼 된다.
도19 및 도29에 도시된 것처럼, 시일러(SB5)가 토너 유지 프레임부(11)의 플랜지(11a)의 종단부의 상부와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의 플랜지부(12u2)의 평평한 면(12u1) 사이의 간극(g5)에 인가된 후, 시일러(SB5)는 도22 및 도25에 도시된 것처럼 된다.
도19에 도시된 것처럼, 시일러(SB6)가 토너 유지 프레임부(11)의 장형 구멍(11g)의 내부면과 조글(12w2)의 측벽 사이의 간극(g6)에 인가된 후, 시일러(SB6)는 도24에 도시된 것처럼 된다.
토너 유지 프레임부(11)와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는 서로 결합되기 때문에, 도21에 도시된 간극(g7)은 토너 유지 프레임부(11)의 종단부에 위치된 토너 유지 프레임부(11)의 플랜지(11a)의 수직 에지와 만곡부(12A1) 즉,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의 측판(12A)의 기부 사이에 형성된다. 간극(g7)의 개방부는 홈과 유사하게 보이고 도24에 도시된 것처럼 시일러(SB7)로 충만된다. 간극(g7)의 개방부는 폭이 약 1㎜이고, 간극(g7)의 개방부를 간극(g7)을 밀봉하는 시일러(SB7)로 충만시킨다. 시일러(SB7)가 인가된 후, 시일러(SB7)는 시일러(SB2, SB3)와 연속적으로 된다. 시일러(SB7)의 예는 높은 유동성 즉, 낮은 점성인 실리콘화된 본드이다. 이것은 시일러 코팅 노즐을 시일러(SB7)가 통과하여 인가되어야 하는 간극(g7) 안으로 놓여지는 것이 힘들기 때문이다.
시일러(SB1, SB2-SB7, -SB3, SB4, SB5 및 SB6)를 인가된 후, 상기 시일러들은 연속적으로 된다. 따라서, 밀봉체(56)와 덮개 막판(53) 사이로부터 토너가 누수되는 것은 시일러(SB1-SB7)에 의해 방지되어 외부로의 누수가 방지되어 있다. 밀봉체(54)와 덮개막(53) 사이로부터 누수되는 토너는 시일러(SB8)에 의해 방지되어 외부로의 누수가 방지되어 있다.
{현상 수단 프레임부와 현상 롤러 사이의 경계면의 밀봉}
상기 밀봉체가 현상 블레이드(9a)의 인접부에 위치되기 때문에,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밀봉체(12s)는 현상 블레이드(9d)의 금속 블레이드판(9d1)과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 사이에 위치되어 그들 사이에서 가압되고, 밀봉체(12s1)는 현상 블레이드(9d)의 각각의 종단부에 위치되어 금속 블레이드판(9d1)에 의해 부분적으로 가압된다. 또한, 우레탄 고무로 형성된 블레이드(9d2)는 현상 롤러(9c) 상에 가압되어 현상 롤러(9c)와 현상 블레이드(9d) 사이의 경계면을 밀봉한다.
상기 밀봉체가 현상 롤러(9c)의 인접부에 위치되기 때문에, 2개의밀봉체(12s1)는 현상 롤러(9c)의 종단부의 주연면과 우레탄 고무 블레이드(9d2)와 일대일로 접촉 상태로 배치된다. 현상 블레이드(9d)의 우레탄 블레이드부(9d2)는 현상 롤러(9c)의 모선(generatrix)부와 접촉한다.
우레탄 고무(9d2)의 종단부는 대응 밀봉체(12s1) 다음이고, 스폰지 밀봉체(12s4)에 의해 인가된 압력에 의해 현상 롤러(9c)와 부분적으로 접촉한다. 스폰지 밀봉체(12s4)는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에 부착되어 있는 밀봉체(12s1)와 접촉한다. 스폰지 밀봉체(12s4)는 탄성 때문에 현상 롤러(9c)와 접촉한 측면의 대향 측면 상의 우레탄 고무(9d2)와 접촉한다.
토너가 "블로우-바이(blow-by)" 방지 밀봉체(12s2) 즉,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에 사전에 부착되어 있는 초기 밀봉체와 현상 롤러(9c) 사이로부터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현상 유닛(D)을 정밀 검사할 때, 백업 시트(backup sheet)는 "블로우-바이" 방지 밀봉체(12s2)를 백업하기 위한 밀봉체로써 부가된다.
"블로우-바이" 방지 밀봉체(12s2; 초기 밀봉체)용 백업 밀봉체로써의 이러한 부가적인 "블로우-바이" 방지 밀봉체는 현상 유닛(D) 및 세척 유닛(C)의 분리 이후에 적어도 현상 롤러 유닛(G)의 제거 후에 부착된다. 그러나, 작동 효율은 현상 블레이드(9d)가 밀봉체(12s6)의 부착 전에 제거될 때 보다 더 좋을 수 있다. 이러한 지점까지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조립해제하기 위한 단계는 이미 설명했기 때문에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도27은 현상 롤러 유닛(G)과 기어 박스(9q)가 제거된 현상 유닛(D)의 전방도이다. 아암(19R 및 19L)은 현상 롤러 유닛(G)을 제거하기 위해 제거되었다.
도26은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수직 단면도의 조합이고, "블로우-바이" 방지 밀봉체를 설치한 후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종방향에 수직인 평면에서의 "블로우-바이" 방지 밀봉체 및 현상 유닛의 인접부의 확대된 단면도이다.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는 보강 부재(12c)에 구비되고, 약간 변형된 문자(Z)와 유사한 단면은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의 아래턱과 같은 바닥부에 고정된다. 이러한 보강 부재(12C)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종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종단면은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종단부에서의 대응 밀봉체(12s1)와 접촉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가로방향에 대한 "블로우-바이" 방지 밀봉체(12s2)의 일측은 웨브부(12c2)의 전체 길이에 걸쳐 보강 부재(12c)의 21C2의 웨브부에 부착되고, 현상 롤러(9c)와 평행한 타측은 현상 롤러(9c)의 주연면과 접선으로 위치된다. "블로우-바이" 방지 밀봉체(21s2)는 그 단부가 대응 밀봉체(12s1)에 거의 도달하도록 충분히 길다.
도27에 도시된 것처럼, "블로우-바이" 방지 밀봉체(12s2)는 스폰지 밀봉체(12s5)로부터 압력을 받기 때문에 현상 롤러(9c)와 접촉한다. 각각의 스폰지 밀봉체(12s5)는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에 부착되고 대응 밀봉체(12s1)와 접촉하게되고, 스폰지(12s5)는 자체의 탄성으로 인해 현상 롤러(9c)와 접촉한 측의 대향 측 상에서 대응 "블로우-바이" 방지 밀봉체(12s2)와 접촉한다.
{백업 밀봉체 부착 단계}
"블로우-바이" 방지 백업 밀봉체(12s6)는 두께가 약 50 ㎛이고, 폴리에틸렌-테라프타레인(PET)과 같은 탄성 물질로 된 시트로 형성된다. "블로우-바이" 방지백업 밀봉체(12s6)의 일 표면은 자체에 부착된 이중 측 접착 테이프로 덮인다.
"블로우-바이" 방지 백업 밀봉체(12s6)는 그 종단부가 대응 밀봉체(12s1; 단부 밀봉체)와 일부가 중첩하기 위해 종단부를 위해 충분히 길다.
도28에서, 이러한 "블로우-바이" 방지 백업 밀봉체(12s6)는 손가락(F)을 사용하여 보강 금속판(12c)의 바닥 플랜지(12c1)에 부착된다. "블로우-바이" 방지 백업 밀봉체(12s6)가 부착된 후,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는 도29에 도시된 것처럼 보인다. 다시 말해서, "블로우-바이" 방지 백업 밀봉체(12s6)는 평평하게 되고 평평한 보강 금속판(12c)의 바닥 플랜지(12c1)의 상부 및 하부 에지를 지나 연장(12s7 및 12s9 부분)된다. 일부(12s9)는 도30에 도시된 것처럼 손가락(F)을 사용하여 바닥 플랜지(12c1)의 바닥 에지의 바닥측을 향해 만곡된다. 결국, 일부(12s9)는 보강 금속판(12c)의 하향 대향면(12c3)과 아래턱과 같은 부분(12h)의 하향 대향면(12h1)에 부착된다.
도23은 좌측 전방 아래로부터 볼 수 있는 시일러가 인가된 후의 현상 유닛의 후방부의 사시도이고, 도26은 아래턱과 같은 부분(12h)과 현상 롤러(9c)의 인접부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23에서는 "블로우-바이" 방지 백업 밀봉체(12c6)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블로우-바이" 방지 백업 밀봉체(12s6)는 시일러를 인가한 후에 부착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현상 롤러(9c)가 장착되기 전에, "블로우-바이" 방지 백업 밀봉체(12s6)는 도26에서 도면 부호 12s7에 의해 표시된 부분으로 나타난 보강 금속판(12c)의 하부 플랜지(12c1)의 외부면과 평행하게 직선으로 연장된다.
현상 롤러(9c)의 장착 후에, "블로우-바이" 방지 백업 밀봉체(12s6)는 현상롤러(9c)의 원주 방향에 관하여 두 요소 사이의 접촉 면적의 치수가 특정 값으로 유지되는 방식으로 현상 롤러(9c)의 주연 표면 상에 압박을 유지한다. 이 밀봉체(12s6)가 현상 롤러(9c) 상에 압박을 유지할 때, 밀봉체(12s6)의 팁부(12s8)는 현상 롤러(9c)와 접촉되지 않는다.
상기 설명된 적절한 구조적 배열을 갖고, 토너는 원래의 "블로우-바이" 방지 밀봉체(12s6) 사이로부터 누출됨으로써, 공간(S6, 도26에 도시됨)으로 들어간다. 공간(S6)이 현상 챔버(12a) 내의 토너 압력에 의해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공간(S6)은 원래의 밀봉체(12s2)와 현상 롤러(9c) 사이로 토너를 관통하게 하는 압력을 감소시키고, 그 자체와 밀봉된 현상 롤러(9c) 사이에 접촉을 유지하면서 "블로우-바이" 방지 백업 밀봉체(12s6)를 돕는다.
{현상 장치의 조립}
시일러(SB1 내지 SB8)가 적용되고, "블로우-바이" 방지 백업 밀봉체(12s6)가 부착된 후에, 토너 용기(11A)는 토너로 보충된다. 이어서, 나머지 요소들이 재조립된다. 이 점으로부터 공정 카트리지(B)를 재조립하는데 필요한 모든 것은 공정 카트리지(B)를 분해하기 위해 전술된 단계를 역으로 단순히 따르는 것이다. 다른 말로, 먼저 현상 블레이드(9d)는 금속 블레이드판(9d1)을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를 사용하여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의 편평한 블레이드 마운트(12i)에 고정함으로써 부착된다.
다음으로, 현상 롤러 장치(G)는 현상 롤러(9c)가 현상 롤러 베어링(9j)에 맞추어지는 공정, 현상 롤러(9c)가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에 맞추어지는 공정,현상 롤러(9c)가 현상 롤러 기어(9k)에 맞추어지는 공정 등과 같은 공정들을 통하여 조립된다. 그러므로, 장치(G)는 장치(G)가 구멍(12p)을 덮고 또한 현상 롤러(9c)의 길이 방향 단부는 대응하는 토너 누출 방지 탄성 밀봉체(12s1, 단부 밀봉체)와 접촉하는 방식으로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에 배치된다. 이들 공정 중에, 각 현상 롤러 베어링(9j)의 단부는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의 대응하는 홈(12p) 내로 삽입되고. 기어 박스(9q)는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의 측판(12A)에 부착된다.
다음으로, 아암(19R, 19L)은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의 길이 방향 단부 내에 삽입되고, 대응하는 대략적으로 반실린더형인 부분(9a) 내의 양 현상 롤러 베어링(9j)을 유지함과 동시에 나사를 사용하여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에 고정된다.
부수적으로, 현상 블레이드(9d) 및 현상 롤러(9c)의 장착에 앞서, 이들에 들러붙는 토너 입자들은 공기를 멀리 빼냄과 동시에 공기를 이들 위로 불어내는 것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여 제거되고, 이어서, 요소들은 그들이 재사용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진단된다. 소정의 성능 기준을 만족하지 못하는 요소들은 필요에 따라 새 제품으로 교체된다. 그러나, 분해 검사 공정 중에, 또는 요소 현상 중 수행되는 정적인 분석 등을 통하여 특정 요소를 교환할 필요가 명백하거나 거의 확실하다면, 이 요소를 검사 없이 새 제품으로 교체하는 것이 작동 효율에 있어서 개선을 가져올 수 있다.
{토너 충전 공정}
다음으로, 토너 용기(11A)는 토너로 보충된다. 도33을 참조하여, 구멍(12p)의 개구를 위로 향하도록 하는 방식, 즉, 바닥면에 토너 용기(11A)를 위치시키는 방식으로 토너 유지 프레임부(11)와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의 결합을 유지하면서, 토너는 토너 유지 프레임부(11) 내에 채워진다. 구멍(12p)의 개구를 통하여, 깔때기(47)의 단부는 삽입되고, 토너(t)는 토너 병(48)으로부터 깔때기(47) 안으로 부어진다. 부수적으로, 중량을 가진 깔때기(47)의 본체 또는 나사송곳을 갖춘 용적 측정이 가능한 공급기의 설치는 토너 충전 효율을 개선시킬 수 있다.
{현상 장치가 세척 장치와 결합되고 덮개가 부착되는 공정}
다음으로, 도8을 참조하여, 세척 장치(C)의 측판(13s, 좌측) 내에 삽입되어 있는 연결 핀(22)은 아암(19L)의 구멍(20L) 안으로 삽입되고, 현상 장치(D) 및 세척 장치(C)는 아암(19R)으로부터 돌출된 회전 액슬(20R)을 세척 장치(C)의 측판(13s, 우측)의 슬롯(21R) 내에 맞추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서로 연결된다. 공정 카트리지(B)의 해체 중 연결 핀(22)이 라디오 플라이어를 사용하여 뽑혀졌을 때, 현상 장치(D)의 회전 액슬(20R)은 먼저 앞서 말한 슬롯(21R) 내에 맞추어지고, 이어서 연결 핀(22)은 연결 핀(22)의 단부가 아암(19L)의 구멍(20L)으로 활주하는 방식으로 세척 장치(C)의 구멍(21L)을 통하여 가압된다.
마지막으로, 현상 장치(D) 및 세척 장치(C)의 결합은 카트리지 덮개(15)에 맞추어지고, 카트리지 덮개(15)는 해체 단계의 역 순서를 따라서, 작은 나사(15d) 및 핀(15c)을 사용하여 세척 장치(C)에 맞추어진다.
"블로우-바이" 방지 백업 밀봉체가 부착되는 공정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있다.
(1) 기구 주 조립체(14) 내에 제거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고, 감광식 드럼(7)을 지지하는 세척 장치(C) 또는 제1 장치, 현상 롤러(9c) 및 현상 롤러(9c)에 의한 현상을 위해 사용된 토너를 보관하기 위한 토너 유지 프레임부(11)를 지지하는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를 갖춘 현상 장치(D) 또는 제2 장치, 서로에 대하여 피봇 되도록 허용되는 방식으로 연결된 상기 두 장치를 포함하는 공정 카트리지(B)를 분해 검사하기 위한 방식에 있어서,
(a) 제1 및 제2 장치가 서로로부터 분리되는 장치 분리 단계
(b) 분리된 제2 장치 내의 현상 롤러(9c)가 제2 장치로부터 제거되는 현상 장치 제거 단계
(c) 현상 롤러(9c)와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 사이로부터 토너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부가되는 밀봉체인 밀봉체(12s6)가,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의 길이 방향 에지를 따라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에 부착된 원래의 밀봉체인, "블로우-바이" 방지 밀봉체(12s6)를 따라,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에 부착되는 백업 밀봉체 부착 단계가 수행된다.
"블로우-바이" 방지 백업 밀봉체(12s6)가 부착된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의 부분은 원래의 "블로우-바이" 방지 밀봉체(12s6)에 대하여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의 외향측 위에 있다.
"블로우-바이" 방지 백업 밀봉체(12s6), 즉 부가된 밀봉체가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에 부착되는 단계에 있어서, "블로우-바이" 방지 백업 밀봉체(12s6)는"블로우-바이" 방지 백업 밀봉체(12s6)의 내향하는 길이 방향 에지가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 및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에 부착된 보강 금속판(12c) 모두에 걸쳐 연장되는 방식으로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로 지나치게 된다.
또한 "블로우-바이" 방지 백업 밀봉체(12s6), 즉 부가된 밀봉체가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에 부착되는 단계에 있어서, "블로우-바이" 방지 백업 밀봉체(12s6)는 "블로우-바이" 방지 백업 밀봉체(12s6)가 현상 롤러(9c)와 접촉된 채로 현상 롤러(9c)의 주연 표면이 현상 롤러(9c)의 회전에 의해 움직이게 되는 방향에 관하여, "블로우-바이" 방지 밀봉체(12s6) 또는 원래의 "블로우-바이" 방지 밀봉체에 대하여 상류측 상에 있게 되는 방식으로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에 부착된다.
현상제 보충 단계는 부가되는 밀봉체로서 "블로우-바이" 방지 백업 밀봉체(12s6)가 부착되는 단계 후에 이루어진다.
현상 롤러 부착 단계에서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부(12)에 장착된 현상 롤러는 새 제품의 현상 롤러 또는 재활용된 현상 롤러(9c)이다.
공정 카트리지(B)의 분해 검사는 토너 용기(11A) 내에 저장된 토너를 현상 롤러(9c)로 공급하는 것을 통하여 현상제 해제 개구(11i)를 재밀봉하지 않고 수행된다.
{세척 장치의 분해 검사}
형상 장치가 분해 검사하는 것과 동시에, 분리된 세척 장치(C)도 분해 검사된다.
도8은 감광식 드럼(7), 대전 롤러(8) 및 세척 수단 유지 프레임부(13)를 도시한다. 세척 수단 유지 프레임부(13)에 부착된 세척 블레이드(10a)는 보이지 않는다. 도9는 해체 상태의 세척 장치(C)의 사시도이다. 도34는 세척 수단 유지 프레임부(13)에 의해 대전 롤러(8)를 지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구조를 도시한다.
도9를 참조하여, 감광식 드럼(7)은 주연 표면이 감광식 층으로 도금된 중공 알루미늄 실린더(7d), 감광식 드럼(7)의 한 단부에 부착된 플랜지(7j) 및 다른 단부에 부착된 플랜지(7k)를 포함한다. 플랜지(7j, 7k)를 부착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이들은 감광식 드럼(7)의 대응하는 단부 내로 삽입되고, 접착, 크림핑 등에 의해 거기에 고정된다. 플랜지(7j)는 드럼 기어(7b)를 갖는다. 플랜지(7k)는 전달 롤러 구동 기어(7n)를 갖는다. 플랜지(7j, 7k) 각각의 중심 구멍(7j1, 7k1)을 통하여 놓여졌던 드럼 축(7a, 좌측만 도면에 도시됨, 우측은 이와 동일함)은 크림핑에 의해 지지판(13c)에 부착된다. 지지판(13c)은 세척 수단 유지 프레임부(13)에 부착되었다. 공정 카트리지(B)가 기구 주 조립체(14) 내에 장착됨으로써, 드럼 기어(7b)는 이미지 형성 기구 주 조립체(14)의 도시되지 않은 구동 기어와 맞물리고, 전달 롤러 기어(7n)는 전달 롤러(4)에 고정된 도시되지 않은 기어와 맞물린다. 세척 장치(C) 및 현상 장치(D)의 결합 후, 드럼 기어(7b) 및 현상 롤러(9c)의 현상 롤러 기어(9k)는 서로 맞물린 상태로 있게 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대전 수단은 대전 장치(E)와 같이 세척 수단 유지 프레임부(13)에 부착된다. 도9 및 도34를 참조하여, 대전 롤러(8)는 금속 축(8a) 및 축(8a)의 주위에 형성된 탄성 부재(8a2), 즉, 중간 전기 저항을 가진 고무 롤러로 만들어진다. 축(8a)은 대전 롤러(8)의 양 단부로부터 튀어나온다.
도34를 참조하면, 각 대전 롤러 베어링(8b)은 그 중심선이 대전 롤러(8)와 감광 드럼(7)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과 일치하는 안내 홈(8A2)에 활주 가능하게 끼워진다. 안내홈(8A2)은 세척 수단 용기(13; 프레임 부분을 지지하는 세척 수단)의 일부이다. 대전 롤러(8)의 샤프트(8a)는 대전 롤러 베어링(8b)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진다. 안내홈(8A2)의 일 단부에 위치한 스프링 시트(8A3)와 베어링(8b) 사이에 압축된 상태로 놓인 압축 코일 스프링(8c)은 감광 드럼(7) 방향으로 대전 롤러(8b)를 가압한다. 결과적으로, 대전 롤러(8)는 감광 드럼(7) 상에 가압된 상태를 유지한다. 대전 롤러(8)는 감광 드럼(7)의 회전을 따라 회전한다. 압축 코일 스프링(8c)은 베어링(8b)에 의해 지지된다.
대전 롤러(8)는 주 조립체(14) 장치의 고전압 동력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대전 롤러(8)의 금속 샤프트(8a)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외향으로 연장하는 도시되지 않은 전극과 접촉되어 위치한다. 상기 도시되지 않은 전극의 외향 단부는 주 조립체(14)인 화상 형성 장치의 고전압 동력원에 연결된 접촉부에 연결된 접촉점(120)에 바이어스(bias)시키는 외부 대전체를 구성한다.
도9를 참조하면, 세척 블레이드(10a)는 감광 드럼(7)의 모부분(generatrix portion)과 접촉하여 위치하는 탄성 블레이드(10a1)와 그 탄성 블레이드(10a1)가 고정되는 금속 블레이드판(10a2)으로 제조된다. 또한, 도9를 참조하면, 세척 블레이드(10a)는 각 종방향 단부에 하나씩의 두 개의 노치가 제공되고, 금속 블레이드판(10a2)은 각 종방향 단부에 하나씩의 두 개의 구멍(10a3)이 제공된다. 세척 블레이드(10a)는 프레임부(13)를 지지하는 세척 수단에 고정된다; 도시되지 않은 작은 나사가 금속 블레이드판(10a2)의 구멍(10a3)을 통과하여 금속 블레이드판(10a2)의 노치(10a3) 내에 끼워지는 프레임부(13)를 지지하는 세척 수단의 (도시되지 않은) 돌출부와 함께 프레임부(13)를 지지하는 세척 수단에 나사 결합된다.
전술한 내용과 관련하여, 감광 드럼(7)과 대전 롤러(8)를 제거하는 프로세스가 기술된다.
도5 및 도6을 참조하면, 프레임부(13)를 지지하는 세척 수단에 지지판(13c)을 확고히 지지시키는 작은 나사(13b)가 먼저 제거된 후, 지지판(13c)이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종방향으로 외향으로 제거된다. 그 후, 드럼 샤프트(7b)가 플랜지(7j, 7k)의 각각의 중심 구멍(7j1, 7k1)과 프레임부(13)를 지지하는 세척 수단의 측판(13s)의 구멍(13s1)으로부터 뽑힌다.
그 후, 감광 드럼(7)은 프레임부(13)를 지지하는 세척 수단으로부터 제거된다; 감광 드럼(7)은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폭방향으로 프레임부(13)를 지지하는 세척 수단의 측판(13s)들 사이로부터 이동된다.
대전 롤러 유닛(E)은 프레임부(13)를 지지하는 세척 수단의 측판(13s)의 구멍(13s2)으로부터 체결구(13h)를 뽑아내어 프레임부(13)를 지지하는 세척 수단으로부터 제거된다; 체결구(13h)는 라디오 플라이어를 사용하여 체결구(13h)의 스냅 맞춤 갈고리(claw) 쌍을 상호 근접하도록 하는 방법으로 죄면서 체결구(13h)를 당겨서 구멍(13s2)으로부터 뽑혀질 수 있다. 체결구(13h)가 제거된 후, 대전 유닛(E)은 프레임부(8A)를 지지하는 대전 수단의 좌측 단부면 상의(도시되지 않은)맞춤핀(joggle)이 프레임부(13)를 지지하는 세척 수단의 측판(13s)의 구멍(13s3)으로부터 나오도록 좌측부에서 들려져서 좌측으로 당겨진다.
전술한 공정이 수행될 때, 개구(G; 도36)가 세척 블레이드(10a)와 스쿠핑 시트(10d) 사이에 생성된다. 상기 개구(G)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종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전체 범위를 가로질러 연장한다.
대전 롤러 유닛(E)의 제거 후, 안내홈(8A1)에서 베어링(8b)을 외향으로 활주시키면서 프레임부(13)를 지지하는 세척 수단과 평행하게, 대전 롤러(8)는 그 샤프트에 수직하게 이동한다. 결과적으로, 베어링(8b)은 대전 롤러(8)에 부착되어 유지되는 안내홈(8A1)으로부터 뽑혀진다. 다음으로, 베어링(8b)은 샤프트(8a)로부터 뽑혀지고, 압축 코일 스프링(8c)이 제거된다.
제거된 후, 감광 드럼(7), 대전 롤러(8), 베어링(8b) 및 압축 코일 스프링(8c)은 재활용될 수 있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검사된다. 재활용될 수 있다면,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재조립할 때, 프레임부(13)를 지지하는 세척 수단 안으로 조립된다. 재활용될 수 없다면, 새 것으로 교체된다. 감광 드럼(7)의 수명은 실질적으로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다른 부품의 수명보다 길기 때문에 토너가 소진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감광 드럼(7)은 그 상태로 재활용할 수 있는 것이 통상적이다.
감광 드럼(7), 대전 롤러(8), 베어링(8c) 등이 프레임부(13)를 지지하는 세척 수단으로부터 제거된 후, 프레임부(13)를 지지하는 세척 수단 내에 축적된 폐기 토너는 제거된다.
다음으로 도35 내지 도37을 참조하면, 프레임부(13)를 지지하는 세척 수단의 세척, 즉 프레임부(13)를 지지하는 세척 수단 내에 축적된 폐기 토너의 제거가 기술될 것이다.
도35는 프레임부(13)를 지지하는 세척 수단의 세척용 장치(70)를 도시한다. 프레임부(13)를 지지하는 세척 수단을 세척하기 위해, 프레임부(13)를 지지하는 세척 수단은 상기 세척용 장치(70)의 밀봉된 하우징(70a) 내에 위치하고, 프레임부(13)를 지지하는 세척 수단 내의 폐기 토너는 프레임부(13)를 지지하는 세척 수단이 진동 장치(73)에 고정된 졸팅(jolting) 장치(77)에 의해 졸팅되는 동안 진공 장치에 의해 진공된다. 진동 장치(73)는 프레임부(13)를 지지하는 세척 수단을 샤프트(76b) 주위로 진동시키는 장치이다.
도36은 진공 장치(79)의 공기 블록(79a)의 상세한 부분을 도시한다. 실질적으로 전체 공기 블록(79a)은 중공이다. 프레임부(13)를 지지하는 세척 수단의 개구(G)를 덮는 방법으로 프레임부(13)를 지지하는 세척 수단과 기밀 접촉하는 공기 블록(79a)의 접촉면(79g)은 송풍 개구(79d) 및 흡입 개구(79e)를 제외하고 실질적으로 고무 재료로 형성된 밀봉제(79b)로 전체적으로 덮여있다. 공기 블록(79a)은 프레임부(13)를 지지하는 세척 수단 안으로 공기를 송풍하는 공기 이송 튜브(79c)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이송 튜브(79b)의 공기 출구(79d)는 전술한 접촉면(79g) 내에 그 종방향 일 단부에 인접하여 있다. 공기 블록(79a)은 또한 흡입 튜브(79f)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 튜브(79f)의 공기 입구(79e)는 또한 전술한 접촉면(79g) 내에 그 종방향의 다른 단부에 인접하여 있다. 공기 블록(79a)은 세척 위치(M2)에배치된 프레임부(13)를 지지하는 세척 수단이 화살표(K3)로 지정된 방향으로 후술되는 프레임부를 지지하는 세척 수단의 지지부(72; 이하 "지지체")에 의해 이동될 때, 공구 출구(79d) 및 공기 입구(79e)가 제공된 접촉면(79g)이 세척 블레이드(10a) 및 스쿠핑 시트(10d) 사이의 개구(G)를 완전히 덮는 방법으로 세척 블레이드(10a) 및 스쿠핑 시트(10d)와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도36을 참조하면, 개구(G)의 지역과 대응하는 지점으로서 도36에서 이점 쇄선으로 지정되는 프레임부(13)를 지지하는 세척 수단의 지역(A1, A2, A3)은 공기가 송풍되어 들어가고 흡입되어 나오는 밀봉되어야할 지역이다. 상기 지역(A1, A2, A3)은 공기 블록(78a)의 접촉면(79g), 공기 출구(79d) 및 공기 입구(79e)와 대응한다. 진공 장치(79)는 공기 이송 튜브(79c)의 기부측으로부터 공급된 압축된 공기(Q1)가 공기 입구(A2)에 기밀 연결된 공기 출구(79d)로부터 공기 블록(79a)과 기밀 연결된 프레임부(13)를 지지하는 세척 수단 안으로 개구(G)를 통해 이송되도록 구성되고(화살표 Q2), 공기가 송풍되어 들어갈 때, 프레임부(13)를 지지하는 세척 수단 내의 폐기 토너는 프레임부(13)를 지지하는 세척 수단 내의 공기와 함께 공기 출구(A3)에 기밀 연결된 공기 입구(79e)를 통해 공수되어 흡입 배출(화살표 Q3)되고, 기부측 쪽으로 더 흡입(화살표 Q4)된다.
도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부(13)를 지지하는 세척 수단으로부터 누수된 토너와 공기 블록(79a)은 주위 공기와 함께, 주위 공기 흡입 개구(78)를 통해, (도시되지 않은) 축방향 진공 장치에 의해 진공된다.
다음으로, 프레임부(13)를 지지하는 세척 수단을 세척하는 방법 및 세척 장치(70)의 작동은 도36을 참조하여 세척 장치(70)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35 및 세척 장치(70) 작동의 흐름도인 도37a 및 도37b를 참조하여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먼저, 세척 장치(70; 진공 세척기)가 켜진다(S1). 그 후, 프레임부(13)를 지지하는 세척 수단 또는 세척될 대상이 본래 위치(M1)에 설치된 지지체(72)의 상부 표면에 위치한다(S2). 다음으로, 덮개(70b)가 밀폐된다(S3). 덮개(70b)의 밀폐는 센서(70d)에 의해 감지되고(S4), 도시되지 않은 클램핑 장치의 공기 실린더가 프레임부(13)를 지지하는 세척 수단의 상부 표면에 압력을 가하도록 켜진다(S5).
결과적으로, 프레임부(13)를 지지하는 세척 수단은 지지체(72)의 소정의 위치에 클램핑된다(S6). 다음으로, 그 피스톤 로드가 지지체(72)에 직접 연결된 공기 실린더(75)가 켜져서(S7) 지지체(72)가 활주 기부(71) 상에서 본래 위치(M1)로부터 세척 위치(M2)로 진동 장치(73) 내에서 활주하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개구(G)의 주변 지역은 진공 장치(79)의 접촉면(79g)과 기밀 접촉하여 위치한다(도36). 다음으로, 모터(77a)가 켜지고(S9), 졸팅 장치(77)를 구동시킨다; 모터(77a)의 샤프트에 고정된 크랭크의 핀(77b)은 요크(77c)를 지지하는 핀(77d) 주위로 요크(77c)를 진동시킨다. 결과적으로, 프레임부(13)를 지지하는 세척 수단의 상부 표면 상의 핀(P; 도3)은 아암(77c)의 팁에 고정된 스트라이커(77g) 즉, 요크(77c)에 고정된 얇은(leaf) 스프링에 의해 진동시키는 방법으로 스트라이킹된다(S10). 결과적으로, 프레임부(13)를 지지하는 세척 수단의 내부 표면에 고착된 폐기 토너는 아래로 흔들려 손쉽게 제거된다. 다음으로, 회전 엑츄에이터(76)가 작동되어(S11) 진동 장치(73)의 선회 가능한 테이블(73a)이 한번에 α각도(0°- 80°)로 선회 가능한 테이블(73a)의 선회 지지하는 (한 쌍의 헬리컬 기어에 의해 회전 엑츄에이터(76)의 축에 연결된) 축(76b) 주위로 반복해서 선회하도록 유발한다(S12). 선회 가능한 테이블(73a)의 각도는 위치가 조절 가능한 멈치(71a, 71b)에 의해 지지된다. 다음으로, 진공 장치(79)의 (도시되지 않은) 압력 제어 밸브가 개방되고(S13, S14), 압축된 공기는 프레임부(13)를 지지하는 세척 수단 내에서의 개구(G)를 통해 공기 입구(79e)로부터 폐기 토너와 함께 공기를 흡입하는 동안 프레임부(13)를 지지하는 세척 수단 안으로 공기 출구(79d)로부터(도36), 개구(G)를 통해 송풍된다. 상기 프로세스는 충분한 시간 동안 지속된다.
다음으로, 선회 가능한 테이블(73a)이 왕복 운동 가능하게 선회한다(S15). 그 후, 회전 엑츄에이터(76)가 꺼지고(S16), 선회 가능한 테이블(73)의 평행 위치가 확인되고 나서(평행 위치 N1)(S17), 모터(77a)가 꺼지고(S18, S19), 졸팅 장치(77)에 의해 프레임부(13)를 지지하는 세척 수단의 진동 스트라이킹을 완료한다. 다음으로, 압축된 공기 제어 밸브가 폐쇄되고(S20, S21), 공기 실린더가 복귀 방향으로 압축되어(S22), 세척 위치(M2)에 있던 지지체(72)가 본래 위치(M1)로 복귀하도록 한다(S23). 그 후, 도시되지 않은 클램프에 대한 공기 실린더가 꺼지고(S24), 지지체(72)로부터 프레임부(13)를 지지하는 세척 수단을 해체한다(S25). 다음으로, 덮개(70b)가 열리고(S26), 프레임부(13)를 지지하는 세척 수단이 하우징(70a)으로부터 취해져서(S27), 프레임부(13)를 지지하는 세척 수단의 세척이 완료된다.
도37에서, 흐름도의 S9로부터 S18까지의 기간 중, 졸팅 장치(77)에 의해 세척 수단 프레임부(13)의 가격(striking)은 세척 수단 유지 프레임부(13)의 피봇 및 폐토너의 흡입과 함께 지속된다. 따라서, 세척 수단 유지 프레임부(13)를 가격함으로써 세척 수단 유지 프레임부(13)의 내부면 등에 부착된 폐토너는 흔들려 떨어지고, 공기 출구(79d)로부터 배출된 압축 공기에 의해 공기 내에 떠올려지면서 개구(G)를 향해 매끄럽게 이동되고, 공기 입구(79e)를 통해 흡입된다. 이러한 연속적이고 동시의 작용에 의해, 토너를 전혀 남기지 않으면서 세척 수단 유지 프레임부(13) 내의 폐토너가 완전히 추출되는 것이 보장된다.
토너 추출의 완료 후, 세척 블레이드(10a)의 금속 블레이드판(10a2)을 통해 세척 수단 유지 프레임부(13) 내로 나사 결합되는 도시되지 않은 작은 나사를 제거함으로써, 세척 블레이드(10a)는 세척 수단 유지 프레임부(13)로부터 제거된다. 그 후, 스쿠핑 시트(10d, scooping sheet)가 세척 수단 유지 프레임부(13)로부터 벗겨진다. 그 후, 세척 수단 유지 프레임부(13)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면서 세척 수단 유지 프레임부(13) 내로 압축 공기를 송풍함으로써 세척 수단 유지 프레임부(13)가 세척된다. 그 후, 새로운 스쿠핑 시트(10d)가 세척 수단 유지 프레임부(13)에 접착된다. 다음, 세척 수단 유지 프레임부(13)의 도시되지 않은 위치설정 돌기가 세척 블레이드(10)의 노치(10a3)에 결합되는 방식으로 새로운 세척 블레이드(10a)가 세척 수단 유지 프레임부(13)에 위치된다. 그 후, 도시되지 않은 작은 나사가 금속 블레이드판(10a3)의 구멍(10a3)을 통해 세척 수단 유지 프레임부(13) 내로 나사 결합된다.
다음, 대전 롤러(8)와, 압축 코일 스프링(8c)이 부착된 베어링(8b)과 결합되는 샤프트(8a)가 대전 수단 유지 프레임부(8A)에 부착되어, 대전 유닛(E)이 완성된다. 특히, 베어링(8b)은 가이드 홈(8A1) 내로 결합되어, 하나에 하나씩, 압축 코일 스프링(8c)이 베어링 삽입 방향으로 전방 면에 오도록 대전 롤러(8)를 지지한다. 완성된 대전 유닛(E)의 종방향 단부는 세척 수단 유지 프레임부(13)의 측판(13s)들의 구멍(13s2, 13s3)에 결합된다. 그 후, 감광 드럼(7)이 세척 수단 유지 프레임부(13)의 종방향 단부에 위치된 측판(13s) 사이에 결합되어, 세척 수단 유지 프레임부(13)의 측판(13s)들의 구멍(13s1)과 플랜지(7j, 7k)의 중심 구멍(7j1, 7k1)을 각각 정렬시키며, 따라서, 드럼 샤프트(7a)는 구멍(13s1) 및 구멍(7j1, 7k1)을 통해 삽입된다. 드럼 샤프트(7a)가 구멍(13s1)을 통해 삽입된 후, 크림핑에 의해 측판(13s)들에 고정된다. 드럼 샤프트(7a)는 구멍(13j, 13k) 내에 미끄럼 결합된다. 즉, 조립된 감광 드럼(7)은 드럼 샤프트(7a) 주위로 자유로이 회전된다. 다음, 지지판(13c)이 작은 나사(13b)를 사용하여 세척 수단 유지 프레임부(13)에 고정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분해수리(overhauling)하는 간단한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이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구조를 참조하여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은 상술된 상세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출원은 이하의 특허 청구의 범위의 개선 또는 범주의 목적 내에 있을 수 있는 변형 또는 변경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이송될 때 현상제가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외부로 누설되지 않고, 상업적인 가치를 종료한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업적인 가치를 부여받고 상업적인 가치를 복귀할 수 있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용이한 재생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0)

  1. 전자사진 감광 드럼을 지지하는 제1 유닛, 및 현상 롤러를 지지하는 현상 프레임과 상기 현상 롤러에 의한 현상을 위해 사용되는 현상제를 수용하기 위한 현상제 수용부와 상기 현상제 수용부 내에 수용된 현상제를 상기 현상 롤러에 공급하기 위한 현상제 공급 개구를 구비한 제2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유닛은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재생 방법이며,
    (a) 제1 유닛과 제2 유닛을 서로로부터 분리하는 유닛 분리 단계와,
    (b) 상기 분리 단계에서 분리된 제2 유닛에 장착된 현상 롤러를 분해하는 현상 롤러 분해 단계와,
    (c) 현상 롤러와 현상 프레임 사이를 통한 현상제의 누설을 방지하도록 현상 프레임의 종방향을 따라 현상 프레임에 장착된 원래의 밀봉체를 따라 추가의 밀봉체를 장착하는 추가의 밀봉체 장착 단계와,
    (d) 현상제를 상기 분리 단계에 의해 분리된 제2 유닛의 현상제 수용부 내부에 재충전하는 현상제 재충전 단계와,
    (e) 현상 롤러를 상기 분리 단계에 의해 분리된 제2 유닛에 재장착하는 현상 롤러 재장착 단계와,
    (f)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사용 개시시에 토너 밀봉체를 제거함으로써 밀봉 해제된 현상제 공급 개구에 토너 밀봉체를 재장착하지 않고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재생하도록 제1 유닛과 제2 유닛을 서로 재결합하는 유닛 재결합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의 밀봉체 장착 단계는 원래의 밀봉체 외부 위치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의 밀봉체 장착 단계에서, 추가의 밀봉체는 현상 프레임 및 현상 프레임에 후에 장착된 금속부에 대해 추가의 밀봉체의 일 측방향 단부를 접착함으로써 현상 프레임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의 밀봉체 장착 단계에서, 추가의 밀봉체는 현상 프레임에 장착되어 현상 롤러의 회전 방향에 대해 원래의 밀봉체의 상류의 위치에서 현상 롤러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재충전 단계는 추가의 밀봉체 장착 단계 후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롤러 재장착 단계에서, 현상 롤러는 신규의 또는 재사용된 현상 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유닛으로부터 전자사진 감광 드럼 및 세척 블레이드를 분해하여 전자사진 감광 드럼 상에 남아 있는 현상제를 제거하는 단계와, 세척 블레이드에 의해 전자사진 감광 드럼으로부터 제거된 현상제를 제1 유닛으로부터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제거 단계 후에 제1 유닛에 신규의 또는 재사용된 전자사진 감광 드럼을 장착하는 단계와, 신규의 또는 재사용된 블레이드를 장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 분리 단계 전에 제1 유닛 및 제2 유닛을 덮는 카트리지 덮개를 분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 분리 단계에서, 제1 유닛 및 제2 유닛은 상기 유닛들의 대향 단부의 결합 위치 중 하나에 장착된 핀을 제거함으로써 그리고 다른 결합부에서 제1 유닛에 마련된 홈과 제2 유닛의 은못 사이의 결합을 해제함으로써 서로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1-0011623A 2000-03-07 2001-03-07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재생 방법 KR1004044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62445 2000-03-07
JP2000062445A JP3188439B1 (ja) 2000-03-07 2000-03-07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産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0806A KR20010100806A (ko) 2001-11-14
KR100404412B1 true KR100404412B1 (ko) 2003-11-05

Family

ID=18582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1623A KR100404412B1 (ko) 2000-03-07 2001-03-07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재생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574445B2 (ko)
EP (1) EP1132783A3 (ko)
JP (1) JP3188439B1 (ko)
KR (1) KR100404412B1 (ko)
CN (1) CN1158580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83113B2 (en) * 2001-08-31 2006-01-03 Canon Kabushiki Kaisha Recycling method using a modified par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manufactured using the recycling method
JP2003255804A (ja) * 2001-12-07 2003-09-10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産方法および現像装置の再生産方法
JP3592312B2 (ja) * 2002-04-26 2004-11-2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産方法
JP4054738B2 (ja) * 2002-09-30 2008-03-05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の分解及び再生方法、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分解及び再生方法
JP3970161B2 (ja) * 2002-11-08 2007-09-05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産方法
JP3951929B2 (ja) * 2003-02-06 2007-08-0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多色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05084533A (ja) * 2003-09-10 2005-03-31 Seiko Epson Corp 現像装置、画像形成装置、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及び、シール補助部材
US6842595B1 (en) 2003-10-29 2005-01-11 Static Control Components, Inc. Multi-level seal
US7324775B2 (en) * 2004-03-08 2008-01-29 Seiko Epson Corporatio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developing device with sealing members and method of manufacture
KR20060064286A (ko) * 2004-12-08 2006-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CN101169608B (zh) * 2006-10-26 2011-01-05 京瓷美达株式会社 防漏构件及清洁装置
JP4948382B2 (ja) 2006-12-22 2012-06-06 キヤノン株式会社 感光ドラム取り付け用カップリング部材
JP4498407B2 (ja) 2006-12-22 2010-07-07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電子写真感光体ドラムユニット
KR101070621B1 (ko) * 2007-01-31 2011-10-07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상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JP5311854B2 (ja) 2007-03-23 2013-10-09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現像装置、及び、カップリング部材
US7853173B2 (en) * 2007-10-27 2010-12-14 Wazana Brothers International Excess toner evacuation process
JP4645646B2 (ja) * 2007-12-28 2011-03-0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344538B2 (ja) * 2008-05-27 2013-11-20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組立て方法、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分解方法、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産方法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4558083B2 (ja) 2008-06-20 2010-10-06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前記カートリッジの組立て方法、及び、前記カートリッジの分解方法
JP4888528B2 (ja) * 2009-06-30 2012-02-29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N101893840B (zh) * 2010-06-11 2012-09-05 珠海天威飞马打印耗材有限公司 激光成像处理盒之充电辊再生方法
JP5868079B2 (ja) * 2011-09-05 2016-02-24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8787800B2 (en) * 2012-02-29 2014-07-2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pparatus to receive a developer roller
US9063456B2 (en) * 2012-06-07 2015-06-23 Clover Technologies Group, Llc Seal configurations for image forming apparatus
CN104062868A (zh) * 2013-03-21 2014-09-24 保定莱盛打印机配件有限公司 激光打印机硒鼓封条
JP6406916B2 (ja) 2014-08-01 2018-10-17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カートリッジの製造方法
JP6459829B2 (ja) * 2015-07-29 2019-01-30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駆動伝達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US20170248869A1 (en) * 2016-02-29 2017-08-31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ing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P3455678A1 (en) * 2016-05-10 2019-03-20 Clover Technologies Group, LLC Remanufactured toner cartridge and test method therefor
EP3443419A1 (en) 2016-05-18 2019-02-20 Clover Technologies Group, LLC Method of remanufacturing a toner cartridge
CN107589652A (zh) * 2016-07-08 2018-01-16 纳思达股份有限公司 一种再生处理盒的方法及其处理盒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8318A (ja) * 1993-07-14 1995-01-31 Canon Inc 現像剤容器の封鎖方法及び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H07295376A (ja) * 1994-04-22 1995-11-10 Canon Inc トナー容器のシール方法、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JPH08305258A (ja) * 1995-04-28 1996-11-22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方法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H0962079A (ja) * 1995-08-25 1997-03-07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トナー再充填方法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H0981013A (ja) * 1995-09-12 1997-03-28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方法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H09171293A (ja) * 1996-11-19 1997-06-30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に対する現像剤の再充填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25183A (en) * 1992-01-27 1996-06-11 Bay-Bro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nditioning and resealing a toner cartridge
US5331373A (en) 1992-03-13 1994-07-19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process cartridge mountable within it and method for attaching photosensitive drum to process cartridge
JP3352155B2 (ja) 1992-06-30 2002-12-03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H06130740A (ja) 1992-10-19 1994-05-13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597024Y2 (ja) * 1992-11-06 1999-06-28 ミノルタ株式会社 現像装置
US5966566A (en) * 1993-03-24 1999-10-12 Canon Kabushiki Kaisha Recycle method for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3245481B2 (ja) 1993-06-28 2002-01-15 松下電送システム株式会社 現像器ユニットおよびこれを備えた現像装置
JP3313900B2 (ja) 1993-08-31 2002-08-1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フレーム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H07181857A (ja) 1993-12-22 1995-07-21 Canon Inc クリーニング装置及びクリーニング装置の組立て方法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組立て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JPH07319362A (ja) * 1994-05-19 1995-12-08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産方法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3267465B2 (ja) 1994-06-24 2002-03-18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3471950B2 (ja) 1995-02-02 2003-12-0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KR0174689B1 (ko) * 1996-09-11 1999-04-01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상롤러의 고스트 방지장치
JP3524334B2 (ja) 1997-02-10 2004-05-10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ユニット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トナーシール
JPH11161131A (ja) 1997-11-29 1999-06-18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0131940A (ja) * 1998-10-27 2000-05-12 Canon Inc 現像装置、現像カ−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8318A (ja) * 1993-07-14 1995-01-31 Canon Inc 現像剤容器の封鎖方法及び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H07295376A (ja) * 1994-04-22 1995-11-10 Canon Inc トナー容器のシール方法、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JPH08305258A (ja) * 1995-04-28 1996-11-22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方法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H0962079A (ja) * 1995-08-25 1997-03-07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トナー再充填方法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H0981013A (ja) * 1995-09-12 1997-03-28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方法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H09171293A (ja) * 1996-11-19 1997-06-30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に対する現像剤の再充填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132783A2 (en) 2001-09-12
CN1320846A (zh) 2001-11-07
KR20010100806A (ko) 2001-11-14
CN1158580C (zh) 2004-07-21
JP3188439B1 (ja) 2001-07-16
US20010041080A1 (en) 2001-11-15
JP2001249603A (ja) 2001-09-14
US6574445B2 (en) 2003-06-03
EP1132783A3 (en) 2009-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4412B1 (ko)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재생 방법
KR100408618B1 (ko) 프로세스 카트리지 재제조 방법
KR100408617B1 (ko) 프로세스 카트리지용 재생 방법
KR100399700B1 (ko) 프로세스 카트리지 재제조 방법
US6643481B2 (en) Remanufacturing method for process cartridge
EP1096336B1 (en) Remanufacturing method of process cartridge
EP1096337B1 (en) Process cartridge remanufacturing method
KR100389085B1 (ko) 프로세스 카트리지 재생 방법
KR20020083466A (ko) 프로세스 카트리지 재제조 방법, 분해 방법, 조립 방법,위치 설정 및 결합 장치, 그리고 프로세스 카트리지
KR100389246B1 (ko) 프로세스 카트리지 재생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