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4500B1 - 차량용 페달지지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페달지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4500B1
KR100264500B1 KR1019970009495A KR19970009495A KR100264500B1 KR 100264500 B1 KR100264500 B1 KR 100264500B1 KR 1019970009495 A KR1019970009495 A KR 1019970009495A KR 19970009495 A KR19970009495 A KR 19970009495A KR 100264500 B1 KR100264500 B1 KR 1002645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pedal
bracket
pedal bracket
support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9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5319A (ko
Inventor
요시히사 가토
Original Assignee
와다 아끼히로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다 아끼히로,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와다 아끼히로
Publication of KR970065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53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4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45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 G05G1/32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with means to prevent inju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9Control elements or operating handles movable from an operative to an out-of-the way position, e.g. pedals, switch knobs, window cr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60T7/06Disposition of pedal
    • B60T7/065Disposition of pedal with means to prevent injuries in case of colli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528Foot operat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576Elements
    • Y10T74/20888Ped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Braking Elements And Transmission Device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Arrangement And Mounting Of Devices That Control Transmission Of Motive Fo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전석의 풋 스페이스에 설치되는 차량용 페달을 지지하는 구조로서 적합한 차량용 페달지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차량전방에 에너지가 입력되었을 때에 확실하게 페달을 차량전방으로 퇴피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페달 브래킷(22)의 상단부에 경사각(θ)을 가지는 브래킷측 활주부(38)를 설치하고, 브래킷측 활주부(38)에 슬릿(38a)을 설치한다. 임파네린포스(43)에 차체측 활주부재(41)를 고정한다. 차체측 활주부재(41)에 경사각(θ)을 가지며, 또한, 브래킷측 활주부(38)와 접촉하는 경사면(42)을 형성한다. 경사면(42)의 차량전방측단부와 슬릿(38a)을 볼트(40)에 의해 고정한다. 페달 브래킷(22)의 볼트(40)로부터의 이탈방향을 브래킷측 활주부(38) 및 경사면(42)의 경사각(θ) 과 실질적으로 일치시킨다.

Description

차량용 페달지지구조
본 발명은 차량용 페달지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운전석의 풋 스페이스에 설치되는 차량용 페달을 지지하는 구조로서 적합한 차량용 페달지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주행중의 차량에 큰 감속도가 작용하면, 차량의 운전자에게는 운전자를 차량 전방측으로 상대이동시키고자 하는 관성력이 작용한다. 이러한 관성력에 의해 운전자가 차량전방측으로 상대이동하면, 스티어링 휠(steering wheel)을 지지하는 스티어링 칼럼(steering column)과, 운전자의 무릎이 간섭하는 사태가 생길 수 있다.
일본 실용공개 평 1-73464호에는 이러한 상황하에서 운전자에게 작용하는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니프로텍터(knee protector)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의 니프로텍터는 스티어링 컬럼을 차량에 고정하기위해서 사용되는 브래킷을 덮도록, 스티어링 컬럼의 하방측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운전자의 무릎이 스티어링 컬럼의 브래킷과 직접 접촉하는 일은 없고, 무릎에 작용하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그런데, 차량의 전방에 큰 에너지가 작용하면, 차량에 있어서 큰 감속도가 생김과 동시에, 엔진룸과 차실내를 격리생성하는 대시패널에 차실내측으로 향하는 변형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대시패널이 상기와 같이 변형하면, 운전석의 풋 스페이스가 축소되어, 운전자의 무릎이 스티어링 컬럼에 간섭하기 쉬운 상태가 된다. 따라서, 운전자의 무릎에 작용하는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대시패널에 상기와 같은 변형이 생겼을 때에, 큰 풋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있을수록 유리하다.
운전석의 풋 스페이스에는 브레이크 페달등의 차량용 페달이 지지되어 있다. 대시패널에 상기와 같은 변형이 생겼을 때에, 차량용 페달을 대시패널측으로 상대 변위시킬 수 있으면, 대시패널의 변형에 관계되지 않고, 운전석에서 큰 풋 스페이스를 유지할 수 있다. 결국, 운전석에 지지되는 차량용 페달을 상기의 기능이 만족되도록 지지할 수 있으면, 운전자의 무릎과 스티어링 컬럼과의 간섭을 완화하는데에 있어서 유리한 상태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술의 점을 감안하여 행해진 것으로서, 대시패널에 차실내측으로 향하는 변형이 생겼을 때에, 차량용 페달을 대시패널측으로 상대이동시키는 차량용 페달지지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페달 브래킷의 차량후방측 부분을 이탈가능하게 차체와 연결하는 연결기구와, 상기 페달 브래킷이 차량후방측으로 상대이동할 때에, 상기 페달 브래킷에 지지되는 페달의 발판부가 차량전방측으로 상대이동하도록, 상기 페달 브래킷의 자세를 인도하는 가이드기구를 구비하는 차량용 페달지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페달 브래킷의 상기 연결기구로부터의 이탈방향이 상기 페달브래킷이 상기 가이드기구에 의해 이끌어지는 방향과 실질적으로 일치하고 있는 차량용 페달 지지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페달 브래킷은 운전석의 풋 스페이스에 페달을 지지한다. 페달 브래킷은 그 후방측부분이 연결기구에 의해 차체에 연결되기 때문에, 페달밟는 힘에 대하여 충분한 강성을 발휘한다. 차량전방에 에너지가 입력되어, 페달 브래킷이 차량후방으로 향하여 소정치를 넘는 가압력으로 가압되면, 페달 브래킷은 연결기구로부터 이탈한다. 연결기구로부터 이탈한 페달 브래킷은 가이드기구로 이끌어지고, 페달의 발판부가 차량전방으로 상대이동하도록 그 자세를 변화시킨다. 본 발명에 있어서, 페달 브래킷은 연결기구로부터 이탈하는 시점에서, 가이드기구에 의해 이끌어지는 것과 실질적으로 같은 방향으로, 즉, 페달의 발판부를 차량전방으로 상대이동시키는 방향으로, 그 자세를 변화시킨다. 이 때문에, 운전석의 풋 스페이스에는 페달 브래킷이 차량후방으로 향하여 변위하고 있는 것에도 관계되지 않고, 큰 스페이스가 확보된다.
상기의 목적은 청구항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페달 브래킷의 차량후방 각부분을 이탈가능하게 차체와 연결하는 연결기구와, 상기 페달 브래킷이 차량후방측으로 상대이동할 때에, 상기 페달 브래킷에 지지되는 페달의 발판부가 차량전방측으로 상대이동하도록, 상기 페달 브래킷의 자세를 인도하는 가이드기구를 구비하는 차량용 페달지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페달 브래킷의 상기 연결기구로부터의 이탈방향이 차량전방에 에너지가 입력되었을 때에, 상기 페달 브래킷에 전달되는 가압력의 방향과 실질적으로 일치하고 있는 차량용 페달지지구조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연결기구는 페달 브래킷에 대하여 충분한 강성을 부여한다. 또한, 가이드기구는 페달 브래킷이 차량후방으로 상대변위하였을 때에, 운전석의 풋 스페이스에 큰 스페이스를 잔존시킨다. 본 발명에 있어서, 페달 브래킷의 연결기구로부터의 이탈방향은 페달 브래킷에 입력되는 힘의 방향과 실질적으로 일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페달 브래킷은 차량전방에 에너지가 입력되었을 때에 확실하게 연결기구로부터 이탈된다.
상기의 목적은 청구항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페달 브래킷이 차량후방측으로 상대이동할 때에, 상기 페달 브래킷에 지지되는 페달의 발판부가 차량전방측으로 상대이동하도록, 상기 페달 브래킷의 자세를 인도하는 가이드기구를 구비하는 차량용 페달지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기구는 차체측에 고정되는 부재로서, 차량후방측으로 향할수록 차량하방으로 향하는 경사각을 증대시키는 경사면을 가지는 차체측 활주부재와, 상기 페달 브래킷에 상기 경사면과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브래킷측 활주부를 구비하는 차량용 페달지지구조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가이드기구는 페달 브래킷이 차량후방으로 상대변위하였을 때에, 운전석의 풋 스페이스에 큰 스페이스를 잔존시킨다. 가이드기구는 상기 경사면을 구비하는 차체측 활주부재와, 페달 브래킷으로 형성되는 브래킷측 활주부를 구비하고 있다. 페달 브래킷에 차량후방측으로 향하는 상대변위가 생기고 있지 않은 경우는 브래킷측 활주부는 차체측 활주부재의 차량전방측의 부위, 즉, 경사각이 작은 부위에 접촉한다. 페달 브래킷에 차량후방측으로 향하는 상대변위가 생기면, 그 상대변위량이 증가하는 것에 따라, 브래킷측 활주부의 접촉부위는 차체측 활주부재의 차량후방측, 즉, 경사각이 큰 부위로 변화한다. 브래킷측 활주부가 차체측 활주부재의 경사각이 작은 영역에 접촉하고 있는 경우는 페달 브래킷을 차량 후방측으로 가압하는 힘의 대부분이, 차체측 활주부재와 브래킷측 활주부를 활주시키는 힘으로 변환된다. 이 때문에, 차량전방에 에너지가 입력된 후, 페달 브래킷은 용이하게 가이드기구로 이끌어지는 방향으로 상대변위한다. 브래킷측 활주부가 차체측 활주부의 경사각의 큰 영역에 접촉하고 있는 경우는 페달 브래킷이 차량후방측으로 상대변위할 때에, 페달의 발판부가 큰 비율로 차량전방측으로 상대변위한다. 이 때문에, 페달의 발판부에는 차량전방측으로 향하는 큰 상대변위가 부여된다.
상기의 목적은 청구항 4에 기재된 바와 같이, 페달 브래킷이 차량후방측으로 상대이동할 때에, 상기 페달 브래킷에 지지되는 페달의 발판부가 차량전방측으로 상대이동하는 바와 같이, 상기 페달 브래킷의 자세를 인도하는 가이드기구를 구비하는 차량용 페달지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기구는 상기 페달 브래킷으로 형성되어, 차량후방측으로 향할수록 차량하방으로 향하는 경사각을 감소시키는 경사면을 구비하는 브래킷측 활주부와, 차체측에 고정되는 부재로서, 상기 경사면과 접촉하는 차체측 활주부재를 구비하는 차량용 페달지지구조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가이드기구는 페달 브래킷이 차량후방으로 상대변위하였을 때에, 운전석의 풋 스페이스에 큰 스페이스를 잔존시킨다. 가이드기구는 상기 경사면을 구비하는 브래킷측 활주부재와, 차체측에 고정되는 차체측 활주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페달 브래킷에 차량후방측으로 향하는 상대변위가 생기고 있지 않은 경우는 차체측 활주부재는 브래킷측 활주부의 차량후방측의 부위, 즉, 경사각이 작은 부위에 접촉한다. 페달브래킷에 차량후방측으로 향하는 상대변위가 생기면, 그 상대변위량이 증가하는 것에 따라, 차체측 활주부재의 접촉부위는 브래킷측 활주부의 차량전방측, 즉, 경사각의 큰 부위로 변화한다. 차체측 활주부재가 브래킷측 활주부의 경사각의 작은 영역에 접촉하고 있는 경우는 페달 브래킷을 차량후방측으로 가압하는 힘의 대부분이 차체측 활주부재와 브래킷측 활주부를 활주시키는 힘으로 변환된다. 이 때문에, 차량전방에 에너지가 입력된 뒤, 페달 브래킷은 용이하게 가이드기구로 인도되는 방향으로 상대변위한다. 차체측 활주부재가 브래킷측 활주부의 경사각의 큰 영역에 접촉하고 있는 경우는 페달 브래킷이 차량후방측으로 상대변위할 때에, 페달의 발판부가 큰 비율로 차량전방측으로 상대변위한다. 이 때문에, 페달의 발판부에는 차량전방측으로 향하는 큰 상대변위가 부여된다.
상기의 목적은 청구항 5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청구항 3 및 4 기재의 차량용 페달지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이 곡면인 차량용 페달지지구조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가이드기구가 구비하는 경사면은 곡면에 의해 형성된다. 이 때문에, 차체측 활주부재와 브래킷측 활주부와의 접촉부에서의 경사각은 페달 브래킷의 상대변위량의 증가에 따라 원활히 변화한다.
상기의 목적은 청구항 6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청구항 3 내지 5 기재의 차량용 페달지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페달 브래킷이 상기 브래킷측 활주부의 차량후방측에, 둥그스런 평활면을 구비하는 차량용 페달지지구조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브래킷측 활주부의 차량후방측에는 즉, 페달 브래킷이 차체측 활주부재와 접촉하는 부위의 차량후방측에는 둥그스런 평활면이 형성되어있다. 이 평활면은 페달 브래킷이 차량후방측으로 상대변위할 때에, 브래킷측 활주부와 차체측 활주부재가 접촉하는 부위에 선행하여 차량후방측으로 상대변위한다. 차량의 에너지가 작용하여 페달 브래킷에 차량후방측으로 향하는 상대변위가 생기는 상황하에서는 페달 브래킷의 상대변위방향으로 불측의 부재가 돌출하는 경우가 있다. 평활면은 페달 브래킷이 이러한 부재에 걸리게 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의 목적은 청구항 7에 기재된 바와 같이, 청구항 3 내지 5 기재의 차량용 페달지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페달 브래킷이 상기 브래킷측 활주부의 차량후방측에, 상기 페달 브래킷의 이외의 다른 부위에 비하여 용이하게 변형할 수 있는 유연부를 구비하는 차량용 페달지지구조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브래킷측 활주부의 차량후방측에는 즉, 페달 브래킷이 차체측 활주부재와 접촉하는 부위의 차량후방측에는 다른 부위에 비하여 변형하기 쉬운 유연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유연부는 페달 브래킷이 차량후방측으로 상대변위 할 때에, 브래킷측 활주부와 차체측 활주부재가 접촉하는 부위에 선행하여 차량후방측으로 상대변위한다. 차량의 에너지가 작용하여 페달 브래킷에 차량후방측으로 향하는 상대변위가 생기는 상황하에서는 페달 브래킷의 상대변위방향으로 불측의 부재가 돌출하는 경우가 있다. 유연부는 이러한 불측의 부재와 간섭한 때에, 적당히 변형함에 의해, 페달 브래킷이 그 부재에 걸리게 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의 목적은 청구항 8에 기재된 바와 같이, 페달 브래킷이 차량후방측으로 상대이동할 때에, 상기 페달 브래킷에 지지되는 페달의 발판부가 차량전방측으로 상대이동하도록, 상기 페달 브래킷의 자세를 인도하는 가이드기구를 구비하는 차량용 페달지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페달 브래킷은 페달의 차량후방측으로 향하는 변위를 규제하는 스토퍼부와, 상기 페달이 상기 스토퍼부에 의한 규제를 넘어 차량후방측으로 상대변위할 때에, 차량후방측에서 상기 페달을 가압하는 가압부를 구비하는 차량용 페달지지구조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가이드기구는 페달 브래킷이 차량후방에 상대변위한 때에 페달 브래킷의 자세를 소정의 자세로 인도한다. 페달 브래킷의 자세가 소정의 자세로 이끌어질 때에, 페달의 발판부를 차량전방측으로 크게 상대변위 시키기 위해서는 페달의 차량후방측으로 향하는 상대변위를 규제하는 힘이 큰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페달의 차량후방측으로 향하는 상대변위는 스토퍼부의 규제력에 의해 규제된다. 또한, 스토퍼부의 규제력만으로 페달의 상대변위를 억제할 수 없는 경우에는 스토퍼부의 규제력에 가하여, 가압부에 의해서도 그 변위를 규제하는 힘이 발휘된다.
상기의 목적은 청구항 9에 기재된 바와 같이, 페달 브래킷이 차량후방측으로 상대이동할 때에, 상기 페달 브래킷에 지지되는 페달의 발판부가 차량전방측으로 상대이동하도록, 상기 페달 브래킷의 자세를 인도하는 가이드기구를 구비하는 차량용 페달지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기구가 차체측에 고정되는 차량측 활주부재와, 페달 브래킷으로 형성되는 브래킷측 활주부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차량측 활주부재가 임퍼네린포스에 고정되는 스티어링 서포트의 하면에 연장하는 경사면을 구비하는 차량용 페달지지구조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가이드기구는 페달 브래킷이 차량후방으로 상대변위할 때에, 차량측 활주부재와 브래킷측 활주부를 활주시키는 것에 의해, 페달 브래킷의 자세를 소정의 자세로 이끈다. 페달 브래킷의 부근에는 스티어링 컬럼을 지지하는 스티어링 서포트가 임퍼네린포스에 고정되는 것에 의해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차량측 활주부재가 구비하는 경사면은 페달 브래킷이 소정의 자세로 이끌어질 때에, 페달 브래킷과 스티어링 서포트의 사이에 간섭이 생기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의 목적은 청구항 10에 기재된 바와 같이, 페달 브래킷이 차량후방측으로 상대이동할 때에, 상기 페달 브래킷에 지지되는 페달의 발판부가 차량전방측으로 상대이동하도록, 상기 페달 브래킷의 자세를 인도하는 가이드기구를 구비하는 차량용 페달지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페달 브래킷의 상단부 근방이 임퍼네린포스에 고정되는 스티어링 서포트에 대하여, 차폭방향으로 오프셋되어있는 차량용 페달지지구조에 의하여도 달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가이드기구는 페달 브래킷이 차량후방으로 상대변위할 때에, 차량측 활주부재와 브래킷측 활주부를 활주시키는 것에 의해, 페달 브래킷의 자세를 소정의 자세로 인도한다. 페달 브래킷의 부근에는 스티어링 컬럼을 지지하는 스티어링 서포트가 임퍼네린포스에 고정되는 것에 의해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페달 브래킷은 그 상단부가 스티어링 서포트에 대하여 오프셋되어 있기 때문에, 스티어링 서포트와 간섭하는 일없이 자세를 변화시킨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인 페달지지구조의 구성도.
제2도는 제1도에 나타나는 페달지지구조의 스토퍼 플레이트부근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제3도는 제1도에 도시한 페달지지구조에 사용되는 스토퍼 플레이트를 제2도에 도시한 III 화살표로 도시한 사시도.
제4도는 제1도에 도시한 페달지지구조에 사용되는 페달 브래킷(22)의 상단부를 제1도에 도시한 IV 화살표로 도시한 사시도.
제5도는 제1도에 도시한 페달지지구조를 채용하는 차량의 전방에 소정값을 넘는 에너지가 입력되었을 때에, 밟는 힘 전달축 및 회전축의 구속력에 기인하여, 브레이크 페달에 생기는 상대변위를 도시한 도면.
제6도는 제1도에 도시한 페달지지구조를 채용하는 차량의 전방에 소정치를 넘는 에너지가 입력되었을 때에, 스토퍼 플레이트 및 회전축의 구속력에 기인하여, 브레이크 페달에 생기는 상대변위를 도시한 도면.
제7도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인 페달지지구조에 사용되는 페달 브래킷의 상단부의 사시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인 페달지지구조의 구성도.
제9도는 제8도에 도시한 페달지지구조에 사용되는 페달 브래킷을 제8도에 도시한 IX 화살표로 도시한 도면.
제10도는 차량 전방에 소정치를 넘는 에너지가 입력되었을 때에, 마스터실린더 및 브레이크 부스터에 생기는 상대변위의 방향을 도시한 도면.
제11도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인 페달지지구조의 구성도.
제12도는 제11도에 도시한 페달지지구조를 채용하는 차량의 전방에 에너지가 입력되었을 때에 페달 브래킷과 차체측 활주부재와의 사이에 작용하는 힘의 방향을 도시한 도면.
제13도는 제11도에 도시한 페달지지구조에 있어서 차체측 활주부재의 경사각(θ)이 일정한 경우에 생기는 브레이크 페달의 상대변위와, 경사면이 곡면인 경우에 생기는 브레이크 페달의 상대변위를 대비하여 도시한 도면.
제14도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인 페달지지구조의 구성도.
제15도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인 페달지지구조의 구성도.
제16도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인 페달지지구조의 구성도.
제17도는 차량에 있어서 종래부터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페달지지구조와, 스티어링 휠 지지구조를 측면에서 도시한 구성도.
제18도는 제7도에 도시한 구조를 평면에서 도시한 구성도.
제19도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인 페달지지구조의 구성도.
제20도는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인 페달지지구조의 구성도.
제21도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인 페달지지구조를 평면에서 도시한 구성도.
제22도는 제21도에 도시한 페달지지구조에 사용되는 페달 브래킷을 제21도에 도시한 XXII 화살표로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8, 150 : 브레이크 페달
22, 46, 50,100, 110, 140 : 페달 브래킷
38, 54-1, 54-2, 104, 112, 146 : 브래킷측 활주부
38a, 56, 58a : 슬릿 40 : 볼트
41, 60, 80, 90, 102, 126, 130 : 차체측 활주부재
42, 62, 66, 82, 92, 106, 126c, 130c : 경사면
43 : 임퍼네린포스 120 : 스티어링 서포트
124 : 스티어링 휠
이하, 제1도 내지 제6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인 차량용 페달지지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본 실시예의 페달지지구조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의 페달지지구조는 마스터 실린더(10), 리저버탱크(12), 및 브레이크 부스터(booster)(14)를 구비하고 있다. 브레이크 부스터(14)에는 밟는 힘 전달축(16)의 한끝이 연결되어 있다. 또한, 밟는 힘 전달축(16)의 다른끝은 브레이크 페달(18)의 레버부(18a)에 연결되어 있다. 브레이크 페달(18)은 레버부(18a)와, 레버부(18a)의 하단에 고정되는 발판부(18b)를 가지런히 하고 있다.
브레이크 부스터(14)는 엔진룸측에서 대시패널(20)에 고정되어 있다. 대시패널(20)은 카울 플레이트(cowl plate)(21)의 하방으로 연장하여 엔진룸과 차실내를 격리생성하는 부재이고, 브레이크 부스터(14)의 거의 중앙부에 상당하는 부위에, 소정직경의 관통구멍(20a)을 구비하고 있다. 브레이크 부스터(14)와 밟는 힘 전달 축(16)과는 상기의 관통구멍(20a)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대시패널(20)의 차실내측에는 페달 브래킷(22)이 고정되어 있다. 페달 브래킷(22)에는 대시패널(20)의 관통구멍(20a)과 거의 같은 직경을 가지는 관통구멍(22a)이 형성되어 있다. 페달 브래킷(22)은 밟는 힘 전달축(16)이 관통구멍(22a)을 관통하여 브레이크 부스터(14)와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상술한 브레이크 부스터(14)와 페달 브래킷(22)과는 차실내내측에서 삽입관통되는 4개의 볼트(24-1내지 24-4)에 의하여 대시패널(20)에 함께 조여져 있다.
페달 브래킷(22)은 차폭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간하여 대향배치되는 2매의 측벽(26-1및 26-2)을 구비하고 있다. 측벽(26-1및 26-2)에는 개구부(26-1a 및 26-2a)가 형성되어 있다. 측벽(26-1및 26-2)의 사이에는 브레이크 페달의 회전축(28)이 걸쳐져 건너고 있다. 회전축(28)은 그 양단에 있어서 측벽(26-1및 26-2)에 고정되어 있다. 회전축(28)에는 브레이크 페달(18)의 레버부(18a)의 상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브레이크 페달(18)의 레버부(18a)에는 브레이크 페달(18)을 차량후방측으로 힘을 가하는 리턴스프링(29)이 걸려져 있다. 브레이크 페달(18)은 발판부(18a)에 브레이크 밟는 힘이 작용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리턴스프링(29)의 가압력에 의해, 제1도에 도시한 차량후방측 변위단에 유지된다. 한편, 발판부(18a)에 브레이크 밟는 힘이 작용하면, 회전축(28)을 회전중심으로하여, 차량전방측으로 향하여 변위한다.
페달 브래킷(22)에는 브레이크 스위치(30) 및 스토퍼 플레이트(32)가 고정되어 있다. 한편, 브레이크 페달(18)의 레버부(18a)에는 접촉부재(34)가 고정되어 있다. 제2도는 제1도에 도시한 브레이크 스위치(30), 스토퍼 플레이트(32), 및 접촉부재(34) 주변의 확대도를 나타낸다. 또한, 제3도는 스토퍼 플레이트(32)를 제2도에 도시한 III 화살표로 나타낸 사시도를 도시한다.
제3도에 도시한 것같이, 스토퍼 플레이트(32)는 2 매의 측벽(32-1및 32-2)와, 측벽(32-1, 32-2)의 사이에 연장하는 스토퍼부(32-2) 및 가압부(32-4)를 구비하고 있다. 스토퍼부(32-3)에는 관통구멍(32-3)이 설치되어 있다. 스토퍼부(32)는 측벽(32-1및 32-2)가 동시에 2 곳씩(제3도에 있어서 ×로 나타내는 장소) 스폿용접되는 것에 의해 페달 브래킷(22)에 고정된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레이크 스위치(30)는 가동접점(30a)을 구비하고 있다. 브레이크 스위치(30)는 가동접점(30a)의 선단부가 판통구멍(32-3a)을 관통하여 브레이크 페달(18)의 레버부(18a)와 대향하도록, 너트(36,37)에 의해 스토퍼 플레이트(32)에 고정되어 있다. 한편, 접촉부재(34)는 가동접점(30)과 대향하는 위치에 고정되어 있다. 브레이크 스위치(30)는 가동접점과 접촉부재(34)가 접촉하고 있는 경우에 오프출력을 가동접점과 접촉부재(34a)가 이간하고 있는 경우에 온출력을 발생한다.
페달 브래킷(22)에 대한 브레이크 페달(18)의 차량후방측으로 향하는 상대변위는 접촉부재(34)가 가동접점(30)에 접촉함에 의해 규제된다. 스토퍼 플레이트(32)는 브레이크 페달(18)이 차량후방측 변위단에 위치하는 경우에, 가압부(32-4)가 레버부(18a)에서 간신히 이간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제4도는 페달 브래킷(22)의 상단부를, 제1도에 나타나는 IV 화살표로 나타낸 사시도를 나타낸다.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달 브래킷(22)은 측벽(26-1과 26-3)의 사이에 브래킷측 활주부(38) 및 평활면(39)을 구비하고 있다. 브래킷측 활주부(38)는 차량전후방향으로 연장하여, 차량전방측이 개구단에, 또한, 차량후방측이 폐구단에 형성된 슬릿(38a)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편활면(39)에는 차량후방측이 차량하방으로 향하여 경사하도록, 소정 곡율의 둥그스런 모양이 부여되어 있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달 브래킷(22)은 슬릿(38a)의 차량후방측단부에 통과되는 볼트(40)에 의해, 차체측 활주부재(41)에 연결되어 있다. 차체측 활주부재(41)는 스티어링 축을 지지하는 강도부재인 임퍼네린포스(43)에 고정된 부재이다. 차체측 활주부재(41)의 밑바닥부에는 경사면(42)이 형성되어있다. 경사면(42)에는 차량후방측이 차량하방으로 향하도록, 수평방향에 대하여 경사각(θ)가 주어지고 있다. 마찬가지로, 페달 브래킷(22)의 브래킷측 활주부(38)에는 차량후방측이 차량하방으로 향하도록, 수평방향에 대하여 경사각(θ)이 주어지고 있다.
페달 브래킷(22)을 차체측 활주부재(41)에 연결하는 볼트(40)는 페달 브래킷(22)이 차체측 활주부재(41)에 대하여, 경사각(θ)으로 차량후방 또는 차량하방측으로 향하여 상대변위함에 의해, 즉, 페달 브래킷(22)의 브래킷측 활주부(38)와 차체측 활주부재(41)의 경사면(42)과의 면접촉을 유지하면서 상대변위함에 의해, 슬릿(38a)에서 이탈할 수 있다. 볼트(40)가 슬릿(38a)에서 이탈하면, 페달 브래킷(22)과 차체측 활주부재(41)의 구속이 풀어지기 때문에, 이후, 페달 브래킷(22)은 차체측 활주부재(41)에 구속되는 일없이 변위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하, 상술한 페달 브래킷(22)의 상대변위방향을 경사각(θ)의 방향이라 칭한다.
차량용 페달지지구조에 있어서, 페달 브래킷(22)에는 브레이크 페달(18)을 안정하게 파지하기에 충분한 강성이 요구된다. 이 때문에, 페달 브래킷(22)이 4개의 볼트(24-1내지 24-4)에 의해 대시패널(20)로만 고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페달 브래킷(22) 자신을 완강한 구조로 할 필요가 생긴다. 이것에 대하여, 본 실시예의 구조와 같이, 페달 브래킷(22)이 그 상단부에 있어서 차체측 활주부재(41)에도 고정되는 구조에 의하면, 페달 브래킷(22) 자신을 완강한 구조로 하는 일없이 충분한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페달지지구조에 의하면, 페달 브래킷(22)을 대시패널(20)로만 고정하는 구조에 비하여, 페달 브래킷(22)을 경량화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차량용 페달지지구조를 채용하는 차량에, 그 전방에서 소정치를 넘는 에너지가 입력되면, 마스터 실린더(10), 브레이크 부스터(14), 및 페달 브래킷(22)이 차량후방측으로 가압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가압력이 입력되면, 페달 브래킷(22)은 차체측 활주부재(41)의 경사면(42)과 브래킷측 활주부(38)를 활주시키면서 차량후방측으로 상대변위한다.
이 때, 페달 브래킷(22)의 상단부의 상대변위방향은 차체측 활주부재(41)에 의해서, 경사각(θ)의 방향으로 규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페달 브래킷(22)의 상대변위의 방향이 경사각(θ)의 방향인 경우는 볼트(40)가 슬릿(38a)으로부터 이탈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페달 브래킷(22)은 차량전방에 소정치를 넘는 에너지가 입력되는 상황하에 있어서는 볼트(40)에 구속되는 일없이 경사각(θ)의 방향으로 크게 상대변위할 수 있다.
제5도는 차량 전방에 소정치를 넘는 에너지가 입력되었을 때에, 밟는 힘 전달 축(16) 및 회전축(28)의 구속력에 기인하여 브레이크 페달(18)에 생기는 상대변위의 상태를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 전방에 소정치를 넘는 에너지가 입력되면, 페달 브래킷(22)의 상단부는 차체측 활주부재(41)에 대하여 경사각(θ)의 방향으로 상대변위한다. 그 결과, 페달 브래킷(22)은 페달 브래킷(22)과 차체측 활주부재(41)에 상대변위가 생기는 전후로, 제5도중에 실선으로 도시된 상태{페달 브래킷(22)}로부터 제5도중에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상태{페달 브래킷(22)}로 변형한다.
페달 브래킷(22)이 상기와 같이 변형하는 과정에서, 브레이크 페달(18)은 밟는 힘 전달축(16)의 구속력에 따르면서 회전축(28) 주위(방향)를 회전한다. 그 결과, 브레이크 페달(18)은 페달 브래킷(22)과 차체측 활주부재(41)에 상대변위가 생기는 전후로, 제5도중에 실선으로 도시된 상태{브레이크 페달(18)}로부터 제5도중에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상태{브레이크 페달(18)}로 상대변형한다.
브레이크 페달(18)이 상기와 같이 상대변위하는 과정에서, 브레이크 페달(18)의 발판부(18b)는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리(α)만큼 차량 전방측으로 상대변위한다. 결국, 본 실시예의 페달지지구조에 의하면, 브레이크 페달(18)이 밟는 힘 전달축(16) 및 회전축(28)의 구속력에 따라서 상대변위하는 경우, 페달 브래킷(22)이 차체측 활주부재(41)에 대하여 차량후방측으로 상대변위하는 과정에서, 브레이크 페달(18)의 발판부(18b)를, 거리(α)만큼 차량 전방측으로 퇴피시킬 수 있다.
페달 브래킷(22)이 차량후방측으로 상대변위하는 과정에서, 브레이크 페달(18)의 발판부(18b)를 거리(α)만큼 차량 전방측으로 퇴피시킬 수 있으면, 페달 브래킷(22)의 상대변위에 관계되지 않고, 운전석의 풋 스페이스에 큰 스페이스를 잔존시킬 수 있다. 이 점, 본 실시예의 페달지지구조는 차량 전방에 소정치를 넘는 에너지가 작용하는 상황하에서 운전자의 무릎을 보호하는 데에 있어서 유리한 구조이다.
그런데, 차량 전방에 에너지가 작용하였을 때에 운전석의 풋 스페이스에 큰 스페이스를 잔존시키기 위해서는 브레이크 페달(18)의 발판부(18b)에 생기는 상대 변위량(α)이 클수록 유리하다. 또한, 브레이크 페달(18)의 발판부(18b)에 큰 상대 변위량(α)을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페달 브래킷(22)의 상단부에 생기는 차량하방으로 향하는 변위량이 클수록 유리하다. 또한, 페달 브래킷(22)이 차량후방으로 향하여 상대변위하는 사이에, 그 상단부를 크게 차량하방측으로 변위시키기 위해서는 페달 브래킷(22)이 차량후방측으로 상대변위하는 과정의 모두가 페달 브래킷(22)의 상단부를 차량하방으로 향하여 변위시키는 과정으로서 유용하게 이용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페달지지구조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페달 브래킷(22)이 볼트(40)로부터 이탈하는 단계에서, 페달 브래킷(22)의 상대변위방향이 경사각(θ)의 방향으로 규제되고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의 페달지지구조에 의하면, 페달 브래킷(22)이 차량후방측으로 상대변위되는 모든 과정을 페달 브래킷(22)의 상단부를 차량하방으로 향하여 변위시키는 과정으로 하는 것, 즉, 페달 브래킷(22)이 차량후방측으로 상대변위되는 과정에서, 페달 브래킷(22)의 상단부를 차량하방으로 향하여 크게 변위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의 페달지지구조에 의하면, 페달 브래킷(22)이 볼트(40)로부터 이탈할 때의 상대변위방향이 차량후방 또한 차량하방측를 향하고있지 않은 구조에 비하여, 브레이크 페달(18)의 발판부(18b)를 크게 차량 전방측으로 상대변위시키는 것, 즉, 운전석의 풋 스페이스에 큰 스페이스를 잔존시킬 수 있다.
그런데, 본 실시예의 페달지지구조에 있어서, 페달 브래킷(22)에는 스토퍼부(32-3), 및 가압부(32-4)를 구비하는 스토퍼 플레이트(32)가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브레이크 페달(18)의 차량후방측 변위단은 접촉부재(34)가 스토퍼부(32)에 고정된 가동접점(30)에 접촉하는 위치에 규제된다. 상기의 경우, 브레이크 페달(18)의 차량후방측으로 향하는 상대변위는 스토퍼부(32-3)의 강도에 따른 규제력으로 규제된다.
상기와 같이 브레이크 페달(18)이 차량후방측 변위단에 위치하는 경우에 있어서, 브레이크 페달(18)이 스토퍼부(32-3)의 발하는 규제력을 넘는 힘으로 차량후방측으로 가압되면, 스토퍼 플레이트(32)에는 스토퍼부(32-3)의 부근에서 변형이 생긴다. 스토퍼 플레이트(32)의 스토퍼부(32-3) 부근에 변형이 생기면, 브레이크 페달(18)은 스토퍼 플레이트(32)의 가압부(32-4)와 접촉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스토퍼부(32-3)의 변형이 진행하는 것에 따라, 브레이크 페달(18)과 가압부(32-4)와의 접촉 면적이 확대된다. 상기의 경우, 브레이크 페달(18)의 차량후방측으로 향하는 상대 변위는 스토퍼부(32-3)의 강도, 가압부(32-4)의 강도, 및 브레이크 페달(18)과 가압부(32-4)와의 접촉면적의 크기에 따른 규제력으로 규제된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의 페달지지구조에 있어서는 페달 브래킷(22)의 상단부가 차량하방으로 향하여 변위하는 경우, 브레이크 페달(18)은 회전축(28) 및 스토퍼 플레이트(32)의 구속력에 따른 상대변위를 나타낸다.
제6도는 차량 전방에 소정치를 넘는 에너지가 입력되었을 때에, 회전축(28) 및 스토퍼 플레이트(32)의 구속력에 기인하여 브레이크 페달(18)에 생기는 상대변위의 상태를 나타낸다.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레이크 페달(18)이 스토퍼 플레이트(32) 및 회전축(28)의 구속력에 따라서 상대변위하는 경우, 브레이크 페달(18)의 발판부(18b)는 거리(β)만큼 차량 전방측으로 상대변위한다. 거리(β)는 브레이크 페달(18)이 밟는 힘 전달축(16) 및 회전축(28)의 구속력에 따라서 상대변위하는 경우에 얻어지는 상대변위량(α)에 비하여 큰 거리이다.
스토퍼부(32-2)는 리턴스프링(29)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브레이크 페달(18)을 차량후방측 변위단을 규제하기위한 부재이다. 이 때문에, 스토퍼부(32-3)에는 큰 강성은 요구되지 않는다. 또한, 스토퍼부(32-3)에 불필요한 강성을 부여하는 것은 경량화의 요청에 반하여 바람직하지 못하다.
종래부터, 페달지지구조에 있어서는 브레이크 페달(18)의 차량후방측 변위단을 규제하는 부재로서, 스토퍼부(32-3)과 측벽(32-1,32-2)만으로 이루어지는 스토퍼 플레이트가 사용되고 있다. 또한, 상기의 이유로부터 스토퍼부(32-3)에는 높은 강성은 부여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종래의 페달지지구조에 있어서의 브레이크 페달(18)의 상대변위는 주로 회전축(29) 및 밟는 힘 전달축(16)의 구속력에 기인하는 것이었다.
이것에 대하여, 본 실시예의 페달지지구조에 있어서는 브레이크 페달(18)의 차량후방측 변위단을 규제하는 부재로서, 스토퍼부(32-3)과 측벽(32-1,32-2)에 가하여 가압부(32-4)를 구비하는 스토퍼 플레이트(32)가 사용되고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의 페달지지구조에 있어서는 브레이크 페달(18)을 회전축(28) 및 스토퍼 플레이트(32)의 구속력에 따라서 상대변위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페달지지구조에 있어서는 스토퍼 플레이트(32)가 가압부(32-4)를 구비하는 것에 의해서도, 운전석의 풋 스페이스에 큰 스페이스를 잔존시키는 데에 있어서 유리한 상황이 형성되어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페달지지구조에 있어서는 페달 브래킷(22)의, 브래킷측 활주부(38)의 차량후방측에는 둥그스런 평활면(39)이 형성되어 있다. 평활면(39)은 페달 브래킷(22)이 차량후방측으로 상대변위하는 때에, 브래킷측 활주부(38)와 차체측 활주부재(41)가 접촉하는 부위에 선행하여 차량후방측으로 진행한다.
페달 브래킷(22)이 차체후방측으로 상대변위하는 것은 차량 전방에 소정치를 넘는 에너지가 입력된 경우이다. 이러한 상황하에서는 페달 브래킷(22)의 차량후방측으로 향하는 상대변위가 진행하는 과정에서, 페달 브래킷(22)의 진행방향 전방, 즉, 평활면(22)의 진행방향 전방에, 불측의 부재가 돌출되는 경우가 있다. 페달 브래킷(22)이 이러한 불측의 부재에 걸어두게 되면, 이후, 페달 브래킷(22)이 적당히 기울어 쓰러지지 않고, 브레이크 페달(18)의 발판부(18b)가 적정히 차량 전방측으로 퇴피되지 않은 사태가 생길 수 있다.
이것에 대하여, 페달 브래킷(22)이 구비하는 평활면(39)은 표면이 평활함과 동시에, 소정 곡율의 둥그스런 모양을 띠고 있기 때문에, 평활면(39)의 진행방향 전방으로 돌출되는 부재에 걸어두게되기 어려운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의 페달지지구조에 의하면, 차량 전방에 소정치를 넘는 에너지가 작용한 경우에, 확실하게 소정거리만큼 브레이크 페달(18)의 발판부(18b)를 차량 전방측으로 퇴피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볼트(40) 및 슬릿(38a)이 상기 청구항 1 기재의 「연결기구」에, 브래킷측 활주부(38) 및 차체측 활주부재(41)가 상기 청구항 1 기재의 「가이드기구」에, 또한, 경사각(θ)의 방향이 상기 청구항 1 기재의 「상기 페달 브래킷이 상기 가이드기구에 의해 이끌어지는 방향」에, 각각 상당하고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페달 브래킷(22)의 평활면(39)이 상기 청구항 6 기재의 「평활면」에, 스토퍼 플레이트(32)의 스토퍼부(32-3) 및 가압부(32-4)가 각각 상기 청구항 8기재의 「스토퍼부」 및 「가압부」에, 각각 상당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스토퍼 플레이트(32)의 가압부(32-4)가 브레이크 페달(18)의, 접촉부재(34)와 회전축(28)과의 사이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가압부(32-4)를, 브레이크 페달(18)의, 접촉부재(34)의 하방측의 부위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하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차체측 활주부재(41)을 임퍼네린포스(43)에 고정하는 구조로 하고 있지만, 차체측 활주부재(41)의 지지구조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제1도중에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차체측 활주부재(44)와 같이, 차체측 활주부재(44)를 카울 플레이트(21)에 의해 지지하는 구조로 하여도 좋다.
다음에, 제7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인 차량용 페달지지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7도는 본 실시예의 페달지지구조에 사용되는 페달 브래킷(46)의 상단부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또한, 제7도에 있어서, 상기 제4도에 나타내는 구성부분과 동일한 부분에 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페달지지구조는 상기 제1도에 나타내는 구조에 있어서, 페달 브래킷(22)을 대신하여 페달 브래킷(46)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실현된다. 페달 브래킷(46)은 브래킷측 활주부(38)의 차량후방측에 페달 브래킷(46)의 다른 부위에 비하여 용이하게 변형할 수 있는 유연부(48)를 구비하고 있다. 유연부(48)는 페달 브래킷(46)이 차량후방측으로 상대변위할 때에, 브래킷측 활주부(38)와 차체측 활주부재(41)가 접촉하는 부위에 선행하여 차량후방측으로 진행한다.
유연부(48)는 유연부(48)의 진행방향 전방에 불측의 부재가 돌출된 경우에는 자기의 형상을 변형시켜 그 부재에 걸려지는 것을 회피한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의 페달지지구조에 의해서도, 상술한 제1 실시예인 경우와 같이, 차량 전방에 소정치를 넘는 에너지가 작용한 경우에, 확실하게 브레이크 페달(18)의 발판부(18b)를 차량 전방측으로 퇴피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페달 브래킷(46)의 유연부(48)가 상기 청구항 7 기재의 「유연부」에 상당하고 있다.
다음에, 제8도 내지 제10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인 차량용 페달 지지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8도는 본 실시예의 페달지지구조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또한, 제8도에 있어서, 상기 제1도에 나타내는 구성부분과 동일한 부분에 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페달지지구조에는 페달 브래킷(50)이 사용되고 있다. 페달 브래킷(50)은 대향 설치되는 2 매의 측벽(52-1과 52-2)을 구비하고 있다. 제9도는 페달 브래킷(50)을 제8도에 나타내는 IX 화살표로 나타낸 평면도를 나타낸다.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달 브래킷(50)은 측벽(52-1과 52-2)의 사이에 브래킷측 활주부(54-1,54-2), 슬릿(56), 및 평활면(39)을 구비하고 있다. 브래킷측 활주부(54-1,54-2)는 차량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부분이다.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래킷측 활주부(54-1및 54-2)에는 차량후방측이 차량하방으로 향하도록, 수평방향에 대하여 경사각(θ)이 주어지고 있다.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릿(56)의 내부에는 볼트연결부(58)가 형성되어 있다. 볼트연결부(58)는 그 차량 전방측(제9도에 있어서의 좌측)이 개구단에, 또한, 차량후방측(제9도에 있어서의 우측)이 개구단으로 형성된 슬릿(58a)를 구비하고 있다.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연결부(58)에는 차량후방측이 차량 상방으로 향하도록, 수평방향에 대하여 경사각(θ1)이 주어지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페달지지구조에는 차체측 활주부재(60)를 사용하고 있다. 차체측 활주부재(60)는 그 저면에 경사면(62)을 구비하고 있다. 경사면(62)에는 차량후방측이 차량하방으로 향하도록 경사각(θ)이 부여되어 있다. 차체측 활주부재(60)는 경사면(62)으로부터 차량 전방이 또한 하방으로 향하여 돌출되는 볼트연결부(64)를 구비하고 있다. 볼트연결부(64)의 저면에는 경사면(66)이 형성되어 있는 경사면(66)에는 차량후방각이 차량상방으로 향하도록 경사각(θ1)이 부여되어 있다.
페달 브래킷(50)과 차체측 활주부재(60)는 페달 브래킷(50)의 하방으로부터 볼트연결부(58)의 슬릿(58a)에 삽입관통되는 볼트(40)가 볼트연결부(64)에 나사부착되는 것에 의해 고정된다. 볼트(40)에 의해 차체측 활주부재(60)에 연결된 페달 브래킷(50)은 볼트연결부(58)를 경사면(66)에 밀착시킨 상태로, 차체측 활주부재(60)에 대하여, 경사각(θ1)으로 차량후방 또한 차량상방측으로 향하여 거리(γ)만큼 상대변위할 수 있다. 한편, 페달 브래킷(50)의 슬릿(58a)은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달 브래킷(50)에 거리(γ)의 상대변위가 생기면, 당초 슬릿(58a)에 장착되어 있던 볼트(40)의 두부가 완전히 슬릿(58a)으로 부터 이탈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8도중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것같이, 페달 브래킷(50)과 차체측 활주부재(60)가 볼트(40)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제8도중에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것같이, 페달 브래킷(50)에 경사각(θ1)방향으로 거리(γ)의 상대변위가 생기면, 볼트(40)가 슬릿(58a)에서 이탈하여, 페달 브래킷(50)과 차체측 활주부재(60)와의 연결이 해제된다.
페달 브래킷(50)과 차체측 활주부재(60)와의 연결이 해제되면, 이후, 페달 브래킷(50)은 차체측 활주부재(60)에 대하여 크게 상대 변위할 수 있다. 이때, 페달 브래킷(50)의 상단부의 상대변위방향은 차체측 활주부재(60)의 경사면(62)과, 페달 브래킷(50)의 브래킷측 활주부(54-1,54-2)가 활주하는 것에 의해, 경사각(θ)의 방향으로 규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페달 브래킷(50)이 차량후방측으로 상대변위할 때에, 페달 브래킷(50)의 상단부를 차량하방으로 향하여 변위시키면, 페달 브래킷(50)에 대하여 브레이크 페달(18)의 발판부(18a)를 크게 차량 전방측으로 상대변위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의 페달지지구조에 의해서도, 차량 전방에 소정치를 넘는 에너지가 작용하는 경우에, 페달 브래킷(50)이 차량후방으로 상대변위되는 것에도 관계되지 않고, 운전석의 풋 스페이스에 큰 스페이스를 잔존시킬 수 있다.
그런데, 차량에 대하여, 그 전방에서 에너지가 입력된 경우, 입력된 에너지는 엔진 기타의 구성요소, 및 차량의 프레임등을 통해 페달 브래킷(50)에 전달된다. 이하, 제10도를 참조하여, 차량 전방에 에너지가 작용하였을 때에 페달 브래킷(50)에 전달되는 가압력의 방향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0도는 차량에 대하여, 그 전방에서 에너지가 입력된 경우에, 마스터실린더(10) 및 브레이크 부스터(14)에 생기는 상대변위의 방향을 나타낸다. 또한, 제10도중에 실선으로 도시된 상태는 차량에 대하여 에너지가 입력되기 이전의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제10도중에 이점쇄선으로 도시된 상태는 차량에 대하여 에너지가 입력된 뒤의 상태를 나타낸다.
제10도에 나타내는 측부부재(68: side member), 및 로커(70: rocker)는 차량의 프레임의 일부를 구성하는 부재이다. 측부부재(68)는 차실내 전방으로 연장하도록 설치된다. 한편, 로커(70)는 차실내의 하부를 연장하도록 설치된다. 이 때문에, 측부부재(68)와 로커(70)의 사이에는 상하방향의 오프셋이 형성된다. 또한, 차실내의 상방측에는 상부몸체(upper body)의 일부를 구성하는 프론트필러(72)가 연재하고 있다. 브레이크 부스터(14)가 고정되는 대시패널(20)은 그것의 상단부가 프론트 필러(72)의 부근에, 또한, 그 하단부가 측부부재(68)의 부근에, 각각 고정된다.
차량 전방에서 에너지가 입력되면, 그 에너지의 일부는 측부부재(68)에 입력된다. 이 때, 측부부재(68)에는 차량후방으로 향하는 가압력이 작용한다. 측부부재 (68)와, 그 후방에 연결되는 로커(70)와에 사이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하방향의 오프셋이 형성되어있기 때문에, 측부부재(68)에 상기의 가압력이 작용하면, 측부부재(68)의 단부(68a)는 차량후방 또한 차량상방으로 향하여 상대변위한다. 제10도에 나타내는 단부(68a′)는 측부부재(68)가 상기와 같이 상대변위함에 의해 실현되는 단부(68a)의 위치를 나타낸다.
측부부재(68)의 단부(68a)가 단부(68a′)까지 변위하는 과정에 있어서는 대시 패널(20)이 대시패널(20)상의 위치까지 변위한다. 대시패널(20)의 상단부 근방, 즉 프론트필러(72)의 부근에는 측부부재(68)의 단부(68a)의 부근에 생길수록 큰 상대 변위가 생기지 않는다. 이 때문에, 브레이크 부스터(14)는 결과로서, 차량후방 또는 차량상방각을 향하는 상대변위를 나타낸다. 제10도중에 나타내는 브레이크 부스터(14′)는 상대변위후의 브레이크 부스터(14)의 상태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차량 전방에 에너지가 입력된 경우, 브레이크 부스터(14)에는 차량후방 또한 차량상방으로 향하는 상대변위가 생긴다. 이 때문에, 브레이크 부스터(14)와 함께 대시패널(20)에 함께 조여져 있는 페달 브래킷(50)에 전달되는 가압력은 차량후방 또한 차량상방으로 향하는 것으로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페달지지구조에 있어서는 페달 브래킷(50)이 차체측 활주부재(60)에 대하여, 차량후방 또한 차량상방으로 향하여, 경사각(θ1)의 방향으로 상대변위함에 의해 볼트(40)의 연결이 해제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구조에 있어서는 페달 브래킷(50)이 페달 브래킷(50)에 전달되는 가압력의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대변위함에 의해, 페달 브래킷(50)과 볼트(40)와의 연결이 해제된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의 구조에 의하면, 차량 전방에 소정치를 넘는 에너지가 작용하였을 때에, 페달 브래킷(50)을 확실하게 차체측 활주부재(60)로부터 이탈시켜, 브레이크 페달(18)의 발판부(18a)를 확실하게 차량 전방측으로 퇴피시킬 수 있다.
그런데, 페달 브래킷(50) 및 차체측 활주부재(60)는 카울 플레이트(21)등의 부재가 차체에 설치된 후에, 그 하부공간에 설치된다. 이 때문에, 페달 브래킷(50)과 차체측 활주부재(60)를 고정하는 볼트(40)는 페달 브래킷(50)의 하방으로부터 조여질 필요가 있다. 한편, 페달 브래킷(50)의, 볼트연결부(58)의 하방으로는 스토퍼 플레이트(32)가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볼트(40)의 조이는 작업은 페달 브래킷(50)의 하방으로부터, 스토퍼 플레이트(32)와의 간섭을 피하면서 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볼트(40)의 조임은 제8도중에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것 같이, 페달 브래킷(74)의 하방으로부터 렌치소켓(74)을 삽입함에 의해 행할 수 있다. 렌치소켓(74)을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하는데 있어서, 렌치소켓(74)의 중심축과 볼트(40)의 중심중을 일치시키면서, 렌치소켓(74)과 스토퍼 플레이트(32)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서는 볼트(40)의 중심축이, 제8도에 있어서 수직방향에서 반시계회전방향으로 경사하고 있을수록 유리하다.
본 실시예의 페달지지구조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페달 브래킷(50)의 볼트연결부(58), 및 차체측 활주부재(60)의 볼트연결부(64)가 동시에 제8도에 있어서 수평방향에서 반시계회전방향으로 각도(θ1)만큼 경사하고 있다. 이 때문에, 볼트(40)는 그 중심축이 제8도에 있어서 수직방향에서 반시계회전방향으로 각도(θ)만큼 경사지운 상태로 페달 브래킷(50) 및 차체측 활주부재(60)에 체결된다. 결국, 본 실시예의 페달지지구조에 있어서는 볼트(40)의 중심축이 그 꽉 조르는 작업에 유리한 방향으로 경사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페달지지구조에 의하면, 브레이크 페달(18)의 발판부(18b)를 확실하게 퇴피시킬 수 있다고 하는 효과에 가하여, 페달지지구조의 조립작업을 용이화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볼트연결부(58,64) 및 볼트(40)가 상기 청구항 2 기재의 「연결기구」에, 브래킷측 활주부(54-1,54-2) 및 차체측 활주부재(60)의 경사면(62)이 상기 청구항 2 기재의 「가이드기구」에, 또한, 경사각(θ1)의 방향이 상기 청구항 2 기재의 「상기 페달 브래킷의 상기 연결기구로부터의 이탈방향」에, 각각 상당한다.
다음에, 제11도 내지 제13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인 차량용 페달지지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1도는 본 실시예의 페달지지구조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또한, 제11도에 있어서, 상기 제1도에 나타내는 구성부분과 동일한 부분에 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페달지지구조는 차체측 활주부재(80)가 사용되고 있는 점에 특징을 가지고 있다. 차체측 활주부재(80)는 그 저면에 경사면(82)을 구비하고 있다. 경사면(82)는 그 접선의 방향이 차량 전방각의 영역에서는 수평방향에 대하여 근소하게 시계회전방향으로 경사지고, 또한, 차량후방측의 부위에 있어서는 수평방향에 대하여 크게 시계회전방향으로 경사지도록, 곡면상으로 형성되어있다.
차체측 활주부재(80)는 그 차량 전방측의 단부에서, 볼트(40)에 의하여 페달 브래킷(22)과 연결되어 있다. 차량 전방에 소정치를 넘는 에너지가 작용하여, 페달 브래킷(22)에 차량후방측으로 향하는 상대변위가 생기면, 우선 볼트(40)에 의한 구속이 해제되고, 이어서, 페달 브래킷(22)이 그 브래킷측 활주부(38)를 차체측 활주 부재(80)의 경사면(82)에 활주시키면서, 차량후방측으로 크게 상대변위한다.
제12도는 차량 전방에 에너지가 작용하였을 때에, 그 에너지에 기인하여 페달 브래킷(22)에 전달되는 가압력(F)의 방향과, 그 가압력(F)에 기인하여 페달 브래킷(22)과 차체측 활주부재(80)의 사이에 작용하는 힘의 방향과의 관계를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 전방에 에너지가 작용하면, 페달 브래킷(22)에는 차량후방 또한 차량상방으로 향하는 가압력(F)이 작용한다. 설명의 편의상, 제12도중에서는 가압력(F)의 방향을 수평방향에 대하여 반시계회전방향으로 각도(θ1)만큼 경사지운 방향으로 한다.
페달 브래킷(22)과 차체측 활주부재(80)와의 접촉부에서의 차체측 활주부재(80)의 접선방향이 수평방향에 대하여 각도(θ)만큼 시계회전방향으로 경사하고 있는 경우, 가압력(F)중, 경사각(θ)의 방향으로 향하는 성분(Ff)는 페달 브래킷(22)과 차체측 활주부재(80)와의 활주를 재촉하는 방향의 힘으로서 작용한다. 한편, 가압력(F)중, 경사각(θ)의 방향으로 수직인 성분(Ff)는 페달 브래킷(22)과 차체측 활주부재(80)와의 마찰력을 증대시키는 힘으로서, 즉, 페달 브래킷(22)과 차체측 활주부재(80)와의 활주를 방해하는 방향의 힘으로서 작용한다. 따라서, 차량 전방의 에너지가 입력되었을 때에, 페달 브래킷(22)을 원활히 차량후방측으로 상대변위시키기 위해서는 가압력(F)외 성분중, 경사각(θ)방향의 성분(Fθ)가 크고, 또한, 경사각(θ)방향으로 수직인 성분(Ff)이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제12도 중에 나타내는 Fθ2및 Ff2는 각각 페달 브래킷(22)과 차체측 활주부재(80)와의 접촉부에서의 차체측 활주부재(80)의 접선방향이 수평방향에 대하여 각도(θ2)만큼 시계회전방향으로 경사하고 있는 경우에, 가압력(F)에 대하여 얻어지는 경사각(θ)방향의 성분, 및 경사각(θ)방향으로 수직인 성분을 나타낸다. 또한, 제12도중에 나타내는 Fθ3및 Ff3은 각각 상기의 접선방향이 수평방향에 대하여 각도θ3(〉θ2)만큼 시계회전방향으로 경사하고 있는 경우에, 가압력(F)에 대하여 얻어지는 경사각(θ)방향의 성분, 및 경사각(θ)방향으로 수직인 성분을 나타낸다.
제1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측 활주부재(80)의 접선방향이 경사각(θ2)의 방향인 경우, 이러한 접선방향이 경사각(θ3)의 방향인 경우에 비하여, 페달 브래킷(22)과 차체측 활주부재(80)를 원활히 활주시키는 데에 있어서 유리한 상황이 형성된다. 바꾸어 말하면, 페달 브래킷(22)과 차체측 활주부재(80)와의 활주를 원활히 행하게 하기위해서는 차체측 활주부재(80)의 접선방향의 경사각(θ)는 작을수록 유리한 것이 된다.
본 실시예의 페달지지구조에 있어서, 페달 브래킷(22)의 상대변위방향은 차체측 활주부채(80)에 의해 규제되는 것에 의해, 가압력(F)의 방향과는 다른 방향이 된다. 따라서, 페달 브래킷(22)을 차체측 활주부재(80)와 활주시키면서 차량후방측으로 상대변위시키기 위해서는 페달 브래킷(22)을 적당히 변형시키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페달 브래킷(22)을 소정형상으로 변형시키기 위해서는 그 변형방향에 대하여 페달 브래킷(22)이 파괴될 때까지는 페달 브래킷(22)에 대하여 큰 힘을 가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페달 브래킷(22)이 그 변형방향에 대하여 항복한 뒤는 비교적 작은 힘으로 그 변형을 진행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페달지지구조에 있어서, 페달 브래킷(22)을 차체측 활주부재(80)와 활주시키면서 차체후방측으로 상대변위시키기 위해서는 페달 브래킷(22)에 가압력(F)이 전달되기 시작한 뒤, 적어도 페달 브래킷(22)이 변형하기 시작할 때까지는 페달 브래킷(22)의 상단부에, 차체측 활주부재(80)의 접선방향으로 향하는 큰 힘을 작용시키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제11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페달지지구조에 의하면, 페달 브래킷(22)과, 차체측 활주부재(80)는 페달 브래킷(22)에 상대변위가 생기기 이전은 경사면(82)의 접선방향의 경사각(θ)이 작은 부분에서 상호 접촉하고 있다. 이 때문에, 차량 전방에 에너지가 작용하여, 그 결과, 페달 브래킷(22)에 가압력(F)이 전달되기 시작한 뒤, 페달 브래킷(22)의 상대변위가 어느 정도진행할 때까지는 페달 브래킷(22)의 상단부에는 큰 Fθ과 작은 Ff가 작용한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의 페달지지구조에 의하면, 차량 전방에 에너지가 작용한 경우에 있어서, 페달 브래킷(22)을 확실하게 소정형상으로 변형시키기 시작할수있다.
제13도는 차체측 활주부재(80)의 경사면(82)의 경사각(θ)이 일정한 경우에 브레이크 페달(18)의 발판부(18a)에 생기는 상대변위와, 경사면(82)이 곡면상으로 형성되어있는 경우에 브레이크 페달(18)의 발판부(18a)에 생기는 상대변위를 대비하여 나타낸 도면을 나타낸다.
경사면(82)의 경사각(θ)이 일정한 경우는(제13도중에는 이러한 경사면을 부호(82′)를 붙여서 나타낸다), 마스터실린더(10) 및 브레이크 부스터(14)가 제13도중에 파선으로 도시된 상태로부터 실선으로 도시된 상태로 상대변위함에 의해, 페달 브래킷(22) 및 브레이크 페달(18)이 제13도중에 이점 쇄선으로 도시된 상태로 변위한다{제12도중에는 이러한 페달 브래킷 및 브레이크 페달을 부호(22′ 및 18′)를 붙여서 나타낸다}. 한편, 경사면(82)이 곡면상으로 형성되어있는 경우는 마스터실린더(10) 및 브레이크 부스터(14)가 제13도중에 파선으로 도시된 상태로부터 실선으로 도시된 상태로 상대변위함에 의해, 페달 브래킷(22) 및 브레이크 페달(18)이 제13도 중에 실선으로 나타나는 상태로 변위한다. 제1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레이크 페달(18)은 차체측 활주부재(80)의 경사면(82)의 경사각(θ)가 일정한 경우에 비하여, 차체측 활주부재(80)의 경사면(82)이 곡면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차량 전방방향으로 크게 상대변위한다.
경사면(82)을 곡면상으로 하면, 페달 브래킷(22)이 차량후방측으로 상대변위하는 것에 따라, 가압력(F)중, 경사각(θ) 방향의 성분(Fθ)이 작고, 경사각(θ)방향으로 수직인 성분(Ff)이 커진다. 이 때문에, 경사면(82)이 곡면상인 경우는 페달 브래킷(22)이 차량후방측으로 상대변위하는 것에 따라, 페달 브래킷(22)과 차체측 활주부재(80)와의 활주를 유지하는데에 있어서 상황이 불리하게 된다. 그러나, 페달 브래킷(22)이 일단 변형하기 시작한 뒤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비교적 작은 힘으로 그 변형을 진행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경사면(82)이 곡면상으로 형성되어있는 경우에, 페달 브래킷(22)의 상대변위의 진행에 따라 Fθ가 감소하고, 또한, Ff가 증가되더라도, 페달 브래킷(22)과 차체측 활주부재(80)와의 활주는 적정하게 계속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페달지지구조에 의하면, 차량 전방에 에너지가 작용한 경우에, 페달 브래킷(22)을 확실하게 소정방향으로 상대변위시키기 시작할 수 있고, 또한, 페달 브래킷(22)을 차체측 활주부재(82)의 경사면에 활주시키면서 크게 상대변위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의 페달지지구조에 의하면, 차량 전방에 에너지가 작용한 경우에, 브레이크 페달(18)의 발판부(18b)를, 확실하게, 차체 전방으로 향하여 크게 퇴피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차체측 활주부재(80)가 상기 청구항 3 기재의 「차체측 활주부재」에, 경사면(82)이 상기 청구항 3 기재의 「경사면」, 및 상기 청구항 5 기재의 「곡면」에, 또한, 페달 브래킷(22)의 브래킷측 활주부(38)가 상기 청구항 3 기재의 「브래킷측 활주부」에, 각각 상당하고 있다.
다음에, 제14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인 차량용 페달지지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4도는 본 실시예의 페달지지구조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또한, 제14도에 있어서, 상기 제1도에 나타내는 구성부분과 동일한 부분에 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페달지지구조는 차체측 활주부재(90)가 사용하고 있는 점에 특징을 가지고 있다. 차체측 활주부재(90)는 그 저면에 경사면(92)을 구비하고 있다. 경사면(92)에는 차량 전방측의 영역에는 수평방향에 대하여 제14도에 있어서의 시계회전방향으로 경사각(θ2)가 또한, 차량후방측의 영역에는 수평방향에 대하여 제14도에 있어서의 시계회전방향으로 경사각(θ3(〉θ2))이 부여되어 있다.
차체측 활주부재(90)는 그 차량 전방측의 단부에서, 볼트(40)에 의해 페달 브래킷(22)과 연결되어 있다. 차량 전방에 소정치를 넘는 에너지가 작용하여, 페달 브래킷(22)에 차량후방측으로 향하는 상대변위가 생기면, 우선 볼트(40)에 의한 구속이 해제되고, 이어서, 페달 브래킷(22)이 그 브래킷측 활주부(38)를 차체측 활주부재(90)의 경사면(92)에 활주시키면서, 차량후방측으로 크게 상대변위한다.
본 실시예의 페달지지구조에 있어서, 페달 브래킷(22)은 페달 브래킷(22)의 상대변위가 작은 사이는 차체측 활주부재의 경사각(θ2)의 영역(경사각의 작은 파멸)에 접촉하고 있다. 이 때문에, 페달 브래킷(22)의 상대변위가 작은 영역에서는 페달 브래킷(22)의 상단부에, 큰 Fθ과 작은 Ff를 작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페달지지구조에 있어서, 페달 브래킷(22)의 상대변위가 진행하면, 페달 브래킷(22)이 차체측 활주부재의 경사각(θ3)의 영역(경사각이 큰 영역)에 접촉하는 상태가 형성된다. 이 때문에, 페달 브래킷(22)의 상대변위가 큰 영역에서는 페달 브래킷(22)을 크게 경사시키는 것에 의해, 브레이크 페달(18)의 발판부(18b)를, 크게 차량 전방측으로 퇴피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페달지지구조에 의하면, 상기 제11도에 나타내는 페달지지구조와 같이, 차량 전방에 에너지가 작용한 경우에, 브레이크 페달(18)의 발판부(18b)를, 확실하게, 차체전방으로 향하여 크게 퇴피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차체측 활주부재(90)가 상기 청구항 3 기재의 「차체측 활주부재」에, 경사면(92)이 상기 청구항 3 기재의 「경사면」에, 또한, 페달 브래킷(22)의 브래킷측 활주부(38)가 상기 청구항 3 기재의 「브래킷측 활주부」에, 각각 상당하고 있다.
다음에, 제15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인 차량용 페달지지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5도는 본 실시예의 페달지지구조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또한, 제15도에 있어서, 상기 제1도에 나타내는 구성부분과 동일한 부분에 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페달지지구조는 페달 브래킷(100) 및 차체측 활주부재(102)를 사용하고 있는 점에 특징을 가지고 있다. 페달 브래킷(100)은 그 상단면에 브래킷측 활주부(104)를 구비하고 있다. 브래킷측 활주부(104)는 그 접선의 방향이 차량 전방측의 영역에서는 수평방향에 대하여 크게 시계회전방향으로 경사지고, 또한, 차량후방측의 부위에 있어서는 수평방향에 대하여 간신히 시계주위방향으로 경사지도록, 곡면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차체측 활주부재(102)는 그 저면에, 브래킷측 활주부(104)의 차량후방측 단부에서의 접선방향과 거의 동등한 경사를 가지는 경사면(106)을 구비하고 있다. 차량측 활주부재(102)는 그 차량전방측의 단부에서, 볼트(40)에 의하여 페달 브래킷(100)의 차량후방측 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차량 전방에 소정치를 넘는 에너지가 작용하고, 페달 브래킷(100)에 차량후방측으로 향하는 상대변위가 생기면, 페달 브래킷(100)이 볼트(40)의 구속으로부터 해제된다. 이후, 페달 브래킷(100)에 대하여 차량후방측으로 향하는 성분을 포함하는 가압력(F)가 작용하면, 페달 브래킷(100)은 브래킷측 활주부(104)을 차체측 활주부재(102)의 경사면(106)에 활주시키면서, 차량후방측으로 크게 상대변위한다.
본 실시예의 페달지지구조에 있어서, 페달 브래킷(100)은 페달 브래킷(100)의 상대변위가 작은 사이는 경사각이 작은 영역에서 차체측 활주부재(102)에 접촉하고 있다. 이 때문에, 페달 브래킷(100)의 상대변위가 작은 영역에서는 페달 브래킷(100)의 상단부에, 큰 Fθ와 작은 Ff를 작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페달지지구조에 있어서, 페달 브래킷(100)의 상대변위가 진행하면, 페달 브래킷(100)이 경사각이 큰 영역에서 차체측 활주부재(102)에 접촉하는 상태가 형성된다. 이 때문에, 페달 브래킷(100)의 상대변위가 큰 영역에서는 페달 브래킷(100)을 크게 경사시키는 것에 의해, 브레이크 페달(18)의 발판부(18b)를, 크게 차량 전방측으로 퇴피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페달지지구조에 의하면, 상기 제11도 및 제14도에 나타나는 페달지지구조와 같이, 차량 전방에 에너지가 작용한 경우에, 브레이크 페달(18)의 발판부(18b)를, 확실하게, 차체전방으로 향하여 크게 퇴피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페달 브래킷(100)의 브래킷측 활주부(104)가 상기 청구항 4 기재의 「브래킷측 활주부」에, 브래킷측 활주부(104)의 표면이 상기 청구항 4 기재의 「경사면」, 및 상기 청구항 5 기재의 「곡면」에, 또한, 차체측 활주부재(102)가 상기 청구항 4 기재의 「차체측 활주부재」에, 각각 상당하고 있다.
다음에, 제16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인 차량용 페달지지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6도는 본 실시예의 페달지지구조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또한, 제16도에 있어서, 상기 제1도 및 제15도에 나타내는 구성부분과 동일한 부분에 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페달지지구조는 페달 브래킷(110)이 사용하고 있는 점에 특징을 가지고 있다. 페달 브래킷(110)은 그 상단면에 브래킷측 활주부(112)를 구비하고 있다. 브래킷측 활주부(112)에는 차량 전방측의 영역에는 수평방향에 대하여 제16도에 있어서의 시계회전방향으로 경사각(θ3)이 또한, 차량후방측의 영역에는 수평방향에 대하여 제16도에 있어서의 시계회전방향으로 경사각(θ2(〈θ3)이 부여되어 있다.
페달 브래킷(110)은 그 차량후방측의 단부에서, 볼트(40)에 의해 차체측 활주부재(102)의 차량 전방측 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차량 전방에 소정치를 넘는 에너지가 작용하여, 페달 브래킷(110)에 차량후방측으로 향하는 상대변위가 생기면, 페달 브래킷(110)이 볼트(40)의 구속으로부터 해제된다. 이후, 페달 브래킷(110)에 대하여 차량후방측으로 향하는 성분을 포함하는 가압력(F)이 작용하면, 페달 브래킷(110)은 브래킷측 활주부(112)를 차체측 활주부재(102)의 경사면(106)에 활주시키면서, 차량후방측으로 크게 상대변위한다.
본 실시예의 페달지지구조에 있어서, 페달 브래킷(110)은 페달 브래킷(110)의 상대변위가 작은 사이는 경사각(θ2)의 영역(경사각이 작은 영역)에 있어서 차체측 활주부(102)에 접촉하고 있다. 이 때문에, 페달 브래킷(110)의 상대변위가 작은 영역에서는 페달 브래킷(110)의 상단부에, 큰 Fθ와 작은Ff를 작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페달지지구조에 있어서, 페달 브래킷(110)의 상대변위가 진행하면, 페달 브래킷(110)이 경사각(θ3)의 영역(경사각이 큰 영역)에 있어서 차체측 활주부재(102)에 접촉하는 상태가 형성된다. 이 때문에, 페달 브래킷(110)의 상대변위가 큰 영역에서는 페달 브래킷(110)을 크게 경도시키는 것에 의해, 브레이크 페달(18)의 발판부(18b)를, 크게 차량 전방측으로 퇴피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페달지지구조에 의하면, 상기 제11도, 제14도, 및 제15도에 나타나는 페달지지구조와 같이, 차량 전방에 에너지가 작용한 경우에, 브레이크 페달(18)의 발판부(18b)를, 확실하게, 차체 전방으로 향하여 크게 퇴피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페달 브래킷(110)의 브래킷측 활주부(112)가 상기 청구항 4 기재의 「브래킷측 활주부」에, 브래킷측 활주부(112)의 표면이 상기 청구항 4 기재의 「경사면」에, 또한, 차체측 활주부재(102)가 상기 청구항 4 기재의 「차체측 활주부재」에, 각각 상당하고 있다.
다음에, 제17도 내지 제19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인 차량용 페달지지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17도 내지 제19도에 있어서, 상기 제1도 내지 제16도에 나타내는 구성부분과 동일한 부분에 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17도는 차량에 있어서 종래부터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페달지지구조와, 스티어링 휠 지지구조를 측면에서 도시한 구성도를 나타낸다. 또한, 제18도는 제17도에 나타내는 구조를 평면에서 도시한 구성도를 나타낸다. 또한, 제17도 및 제18도에 있어서, 실선으로 도시된 상태는 차량 전방에 에너지가 입력되기 이전의 초기 상태이고, 또한,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상태는 차량 전방에 에너지가 입력되는 것에 의해 브레이크 부스터(14)등이 차량후방으로 상대변위한 뒤의 상태이다.
제17도 및 제1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퍼네린포스(43)에는 스티어링 서포트(120)가 고정되어 있다. 스티어링 서포트(120)은 스티어링 축(122)를 지지하고 있다. 스티어링 휠(124)은 스티어링 서포트(120)에 의해 지지되는 스티어링 축(122)의 한끝에 고정되어 있다.
제1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티어링 서포트(120)는 그 상하방향위치가 페달 브래킷(22)의 상단부와 거의 동등위치가 되도록 설치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제1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티어링 서포트(120)는 그 차폭방향단부가 마스터실린더(10)의 연장선상 근방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경우가 있다. 페달 브래킷(22)과 스티어링 서포트(120)가 상기의 위치관계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제17도 및 제18도중에 일점쇄선으로 나타내는 것같이, 페달 브래킷(22)에 차량후방측으로 향하는 변위가 생긴 때에는 페달 브래킷(22)의 상단부와 스티어링 서포트(120)의 전단부에 간섭이 생긴다.
제17도 및 제18도에 나타내는 페달지지구조에 있어서, 차량 전방에 에너지가 작용하였을 때에 브레이크 페달(18)의 발판부(18b)를 차량 전방측으로 퇴피시키기 위해서는 페달 브래킷(22)이 차량후방측으로 상대변위하는 과정에서, 그 상단부가 차량하방으로 향하여 상대변위하도록 페달 브래킷(22)을 경사시키는 것이 유효하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페달 브래킷(22)의 상단부가 스티어링 서포트(120)와 간섭하는 배치가 채용되는 경우에는 양자의 간섭을 회피하지 않으면, 페달 브래킷(22)을 적절히 경사시키는 것은 가능하지 않다.
제19도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인 차량용 페달지지구조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의 페달지지구조는 스티어링 서포트(120)가 그 상하방향위치가 페달 브래킷(22)의 상단부와 거와 동등위치가 되도록, 또한, 그 차폭방향단부가 마스터 실린더(10)의 연장선상 부근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경우에 있어서, 페달 브래킷(22)을 적절히 경사시킬 수 있는 점에 특징을 가지고 있다.
제1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페달지지구조에는 차체측 활주부재(26)가 사용되고 있다. 차체측 활주부재(126)는 카울 플레이트(21)의 저면에 고정되는 제1 고정면(126a)과, 스티어링 서포트(120)의 저면에 고정되는 제2 고정면(126b)와, 제1 및 제2 고정면(126a,126b)간에 형성되는 경사면(126c)을 구비하고 있다. 경사면(126c)에는 차량후방측일수록 차량하방으로 향하는 경사가 부여되어 있다.
페달 브래킷(22)은 볼트(40)에 의해 차체측 활주부재(126)의 경사면(126c)에 연결되어 있다. 차량 전방에 소정치를 넘는 에너지가 작용하고, 페달 브래킷(22)에 차량후방측으로 향하는 상대변위가 생기면, 페달 브래킷(22)이 볼트(40)의 구속으로부터 해제된다. 이후, 페달 브래킷(22)의 상단부는 경사면(126c)의 표면을 활주하면서 차량후방 또는 차량하방으로 향하여 상대변위한다. 경사면(126c)의 차량후방측 단부가 스티어링 서포트(120)의 하방으로 이끌어지고 있기 때문에, 페달 브래킷(22)이 차량후방측으로 상대변위하는 과정에서, 페달 브래킷(22)의 상단부와, 스티어링 서포트(120)에 간섭이 생기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페달지지구조에 의하면, 스티어링 서포트(120)가 페달 브래킷(22)의 차량후방측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차량 전방에 에너지가 작용한 경우에, 페달 브래킷(22)을 적정히 경사시키는 것, 즉, 브레이크 페달(18)의 발판부(18b)를 차체전방으로 향하여 크게 퇴피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차체측 활주부재(126)가 상기 청구항 9 기재의 「차체측 활주부재」에, 페달 브래킷(22)의 브래킷측 활주부(38)가 상기 청구항 9 기재의 「브래킷측 활주부」에, 또한, 차체측 활주부재(126)의 경사면(126c)이 상기 청구항 9 기재의 「경사면」에, 각각 상당하고 있다.
다음에, 제20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인 차량용 페달지지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0도는 본 실시예의 차량용 페달지지구조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또한, 제20도에 있어서, 상기 제1도 내지 제19도에 나타내는 구성부분과 동일한 부분에 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페달지지구조는 상기 제19도에 나타내는 차체측 활주부재(126)를 대신하여, 제20도에 나타내는 차체측 활주부재(130)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실현된다. 차체측 활주부재(130)는 임퍼네린포스에 고정되는 제1 고정면(130a)과, 스티어링 서포트(120)의 저면에 고정되는 제2 고정면(130b)과, 제1 및 제2 고정면(130a,130b) 사이에 형성되는 경사면(130c)을 구비하고 있다. 경사면(130c)은 상기 제19도에 나타내는 경사면(135c)과 같이, 차량후방측이 차량하방으로 향하는 경사를 가지고 있다.
본 실시예의 페달지지구조에 의하면, 차량 전방에 에너지가 작용하면, 페달 브래킷(22)은 스티어링 서포트(120)와 간섭하지않고 적정한 자세로 경사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페달지지구조에 의하면, 상기 제19도에 나타내는 페달지지구조와 같이, 차량 전방에 에너지가 작용한 경우에, 확실하게 브레이크 페달(18)의 발판부(18b)를 차체 전방으로 향하여 크게 퇴피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차체측 활주부재(130)가 상기 청구항 9 기재의 「차체측 활주부재」에, 페달 브래킷(22)의 브래킷측 활주부(38)가 상기 청구항 9 기재의 「브래킷측 활주부」에, 또한, 차체측 활주부재(130)의 경사면(130c)이 상기 청구항 9 기재의 경사면」에, 각각 상당하고 있다.
다음에, 제21도 및 제22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인 차량용 페달지지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1도는 본 실시예의 차량용 페달지지구조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또한, 제22도는 제21도에 나타내는 페달 브래킷(140)을 제21도에 나타내는 XXII 화살표로 나타낸 도면을 나타낸다. 또한, 제21도 및 제22도에 있어서, 상기 제1도 내지 제20도에 나타내는 구성부분과 동일한 부분에 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페달지지구조은 페달 브래킷(140)이 사용되고 있는 점에 특징을 가지고 있다. 제2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달 브래킷(140)은 대시패널(14)에 고정되는 고정면(142)과, 고정면(142)의 양측에 설치되는 측벽(144-1및 144-2)과, 측벽(144-1과 144-2)의 사이에 형성되는 브래킷측 활주부(146)를 구비하고 있다.
고정면(142)은 그 폭방향의 중앙에 맞는 위치에 관통구멍(142a)을 구비하고 있다. 페달 브래킷(140)은 관통구멍(142a)의 중심이 마스터실린더(10)의 중심축과 일치하도록 설치된다. 측벽(144-1및 144-2)은 브래킷측 활주부(146)가 관통구멍(142a)의 중심에서 제22도에 있어서 좌측에 오프셋한 위치에 형성되도록, 그 형상이 설계되어 있다.
측벽(144-1과 144-2)의 사이에는 회전축(148)이 걸쳐져 건너고 있다. 회전축(148)에는 브레이크 페달(150)의 레버부(150a)의 한끝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브레이크 페달(150)의 레버부(150a)는 발판부(150b)의 중심축과 관통구멍(142a)의 중심에 오프셋이 발생하지 않도록, 도중에 만곡부(150c)를 구비하고 있다. 브레이크 페달(150)은 관통구멍(142a)을 관통하는 밟는 힘 전달축(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브레이크 부스터(14)에 연결된다.
페달 브래킷(140)이 상술한 바와 같이 관통구멍(142a)의 중심이 마스터실린더(10)의 중심축과 일치하도록 설치되면, 제2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달 브래킷(140)의 브래킷측 활주부(146)와, 브레이크 부스터(14)의 중심에는 차폭방향의 오프셋이 형성된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의 페달지지구조에 있어서는 스티어링 서포트(120)의 차폭방향단부가 거의 마스터실린더(10)의 중심축의 연장선상에 존재하고 있는 것에도 관계하지 않고, 페달 브래킷(140)의 측벽(144-2)와, 스티어링 서포트(120)의 차폭방향단부의 사이에는 오프셋(W)이 형성되어 있다.
페달 브래킷(140)의 측벽(144-2)과, 스티어링 서포트(120)의 차폭방향단부와의 사이에 오프셋(W)이 형성되어 있으면, 페달 브래킷(140)은 스티어링 서포트(120)와 간섭하지 않고, 확실하게 적정한 자세로 경도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의 페달지지구조에 의하면, 차량 전방에 에너지가 작용한 경우에, 확실하게 브레이크 페달(18)의 발판부(18b)를 차체 전방으로 향하여 크게 퇴피시킬 수 있다.
그런데, 제21도 및 제22도에는 페달 브래킷(140)이 차량후방으로 향하여 상대 변위할 때에 페달 브래킷(140)을 경사시키는 가이드기구가 나타나고 있지 않지만, 가이드기구는 상기 제1 내지 제9 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브래킷측 활주부(146)와 활주하는 차체측 활주부를 설치함으로써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페달 브래킷(140)이 상기 청구항 10 기재의 「페달 브래킷」에 상당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페달 브래킷이 연결기구로부터 이탈하는 시점에서, 페달의 발판부를 차량 전방으로 향하여 변위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과 관계되는 차량용 페달지지구조에 의하면, 차량 전방에 에너지가 작용하여, 페달 브래킷이 차량후방측으로 상대변위한 때에, 운전석의 풋 스페이스에 큰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있다.
청구항 2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차량 전방에 소정치를 넘는 에너지가 작용하였을 때에, 페달 브래킷을 확실하게 연결기구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과 관계되는 차량용 페달지지구조에 의하면, 페달 브래킷이 차량후방으로 향하여 상대변위할 때에, 확실하게 페달의 발판부를 차량 전방측으로 상대변위시킬 수 있다.
청구항 3 및 4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페달 브래킷의 상대변위가 작은 영역에서는 브래킷측 활주부와 차체측 활주부재의 활주가 용이한 상황을 형성하고, 또한, 페달 브래킷의 상대변위가 큰 영역에서는 페달 브래킷의 차량후방측으로 향하는 상대변위량에 대하여, 큰 비율로 페달의 발판부를 차량 전방측으로 상대변위시킬 수 있는 상황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과 관계되는 차량용 페달지지구조에 의하면, 차량 전방의 소정치를 넘는 에너지가 작용하였을 때에, 확실하게, 페달의 발판부를 차량 전방측으로 크게 상대변위시킬 수 있다.
청구항 5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차체측 활주부재와 브래킷측 활주부를, 그것들의 접촉면에서의 경사각을 원활히 변화시키면서, 활주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과 관계되는 차량용 페달지지구조에 의하면, 상기 청구항 3 및 4 기재의 발명이 가지는 효과와 동시에, 페달 브래킷을 원활히 차량후방측으로 상대변위시킬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청구항 6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페달 브래킷의 상대변위방향으로 불측의 부재가 돌출한 경우에 있어서, 그 부재에, 우선 페달 브래킷의 평활면을 간섭시킬 수 있다. 평활면은 둥그스런 모습을 띠고 있기 때문에, 부재에 걸리기 어렵다. 이 때문에, 본 발명과 관계되는 차량용 페달지지구조에 의하면, 차량 전방에 소정치를 넘는 에너지가 작용하였을 때에, 확실하게 페달 브래킷에 원하는 상대변위를 줄 수 있다.
청구항 7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페달 브래킷의 상대변위방향으로 불측의 부재가 돌출한 경우에 있어서, 그 부재에, 우선 페달 브래킷의 유연부를 간섭시킬 수 있다. 유연부는 용이하게 변형할 수 있기 때문에, 부재와 간섭하였을 때에, 부재에 걸리기 어렵다. 이 때문에, 본 발명과 관계되는 차량용 페달지지구조에 의하면, 차량 전방에 소정치를 넘는 에너지가 작용하였을 때에, 확실하게 페달 브래킷에 원하는 상대변위를 줄 수 있다.
청구항 8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페달 브래킷이 차량후방측으로 상대변위할 때에, 페달의 차량후방측으로 향하는 상대변위를, 스토퍼부 및 가압부에 의해서 규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과 관계되는 차량용 페달지지구조에 의하면, 차량 전방에 소정값을 넘는 에너지가 작용했을 때에, 페달 브래킷에 대한 차량후방측으로 향하는 페달의 상대변위량을 작게 억제할 수 있고, 페달의 발판부를 크게 차량 전방측으로 상대변위시킬 수 있다.
청구항 9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페달 브래킷이 차량후방측으로 상대변위할 때에, 페달 브래킷과 스티어링 서포트의 사이에 간섭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과 관계되는 차량용 페달지지구조에 의하면, 차량 전방에 소정치를 넘는 에너지가 작용하였을 때에, 확실하게 페달 브래킷의 자세를 소정의 자세로 인도하는 것, 즉, 확실하게 페달의 발판부를 차량 전방측으로 상대변위시킬 수 있다.
청구항 10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페달 브래킷이 차량후방측으로 상대변위할 때에, 페달 브래킷과 스티어링 서포트의 사이에 간섭이 생기게하는 일없이 페달 브래킷을 소정의 자세로 인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본 발명과 관계되는 차량용 페달지지구조에 의하면, 차량 전방에 소정치를 넘는 에너지가 작용하였을 때에, 확실하게 페달 브래킷의 자세를 소정의 자세로 인도하는 것, 즉, 확실하게 페달의 발판부를 차량 전방측으로 상대변위시킬 수 있다.

Claims (10)

  1. 페달 브래킷의 차량후방측 부분을 이탈가능하게 차체와 연결하는 연결기구와, 상기 페달 브래킷이 차량후방측으로 상대이동할 때에, 상기 페달 브래킷에 지지되는 페달의 발판부가 차량전방측으로 상대이동하도록, 상기 페달 브래킷의 자세를 인도하는 가이드기구를 구비하는 차량용 페달지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페달 브래킷의 상기 연결기구로부터의 이탈방향은 상기 페달 브래킷이 상기 가이드기구에 의해 이끌어지는 방향과 실질적으로 일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페달지지구조.
  2. 페달 브래킷의 차량후방측 부분을 이탈가능하게 차체와 연결하는 연결기구와, 상기 페달 브래킷이 차량후방측으로 상대이동할 때에, 상기 페달 브래킷에 지지되는 페달의 발판부가 차량전방측으로 상대이동하도록, 상기 페달 브래킷의 자세를 인도하는 가이드기구를 구비하는 차량용 페달지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페달 브래킷의 상기 연결기구로부터의 이탈방향은 차량전방에 에너지가 입력되었을 때에, 상기 페달 브래킷에 전달되는 가압력의 방향과 실질적으로 일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페달지지구조.
  3. 페달 브래킷이 차량후방측으로 상대이동할 때에, 상기 페달브래킷에 지지되는 페달의 발판부가 차량전방측으로 상대이동하도록, 상기 페달 브래킷의 자세를 인도하는 가이드기구를 구비하는 차량용 페달지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기구는 차체측에 고정되는 부재로서, 차량후방측으로 향할수록 차량하방으로 향하는 경사각을 증대시키는 경사면을 가지는 차체측 활주부재와, 상기 페달 브래킷에, 상기 경사면과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브래킷측 활주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페달지지구조.
  4. 페달 브래킷이 차량후방측으로 상대이동할 때에, 상기 페달 브래킷에 지지되는 페달의 발판부가 차량전방측으로 상대이동하도록, 상기 페달 브래킷의 자세를 인도하는 가이드기구를 구비하는 차량용 페달지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기구는 상기 페달 브래킷으로 형성되어, 차량후방측으로 향할수록 차량하방으로 향하는 경사각을 감소시키는 경사면을 구비하는 브래킷측 활주부와, 차체측에 고정되는 부재로서, 상기 경사면과 접촉하는 차체측 활주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페달지지구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이 곡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페달지지구조.
  6. 제3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페달 브래킷이 상기 브래킷측 활주부의 차량후방측에 둥그스런 평활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페달지지구조.
  7. 제3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페달 브래킷이 상기 브래킷측 활주부의 차량후방측에 상기 페달 브래킷의 다른 부위에 비하여 용이하게 변형할 수 있는 유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페달지지구조.
  8. 페달 브래킷이 차량후방측으로 상대이동할 때에, 상기 페달 브래킷에 지지되는 페달의 발판부가 차량전방측으로 상대이동하도록, 상기 페달 브래킷의 자세를 인도하는 가이드기구를 구비하는 차량용 페달지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페달 브래킷은 페달의 차량후방측으로 향하는 변위를 규제하는 스토퍼부와, 상기 페달이 상기 스토퍼부에 의한 규제를 넘어 차량후방측으로 상대변위할 때에, 차량후방측에서 상기 페달을 가압하는 가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페달지지구조.
  9. 페달 브래킷이 차량후방측으로 상대이동할 때에, 상기 페달 브래킷에 지지되는 페달의 발판부가 차량전방측으로 상대이동하도록, 상기 페달 브래킷의 자세를 인도하는 가이드기구를 구비하는 차량용 페달지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기구는 차체측에 고정되는 차체측 활주부재와, 페달 브래킷으로 형성되는 브래킷측 활주부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차체측 활주부재가 임퍼네린포스에 고정되는 스티어링 서포트의 하면에 연장하는 경사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페달지지구조.
  10. 페달 브래킷이 차량후방측으로 상대이동할 때에, 상기 페달 브래킷에 지지되는 페달의 발판부가 차량전방측으로 상대이동하도록, 상기 페달 브래킷의 자세를 인도하는 가이드기구를 구비하는 차량용 페달지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페달 브래킷의 상단부 부근이 임퍼네린포스에 고정되는 스티어링 서포트에 대하여, 차폭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페달지지구조.
KR1019970009495A 1996-03-25 1997-03-20 차량용 페달지지구조 KR1002645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6851596A JP3267145B2 (ja) 1996-03-25 1996-03-25 車両用ペダル支持構造
JP96-068515 1996-03-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5319A KR970065319A (ko) 1997-10-13
KR100264500B1 true KR100264500B1 (ko) 2000-10-02

Family

ID=13375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9495A KR100264500B1 (ko) 1996-03-25 1997-03-20 차량용 페달지지구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339971B1 (ko)
EP (1) EP0803420B1 (ko)
JP (1) JP3267145B2 (ko)
KR (1) KR100264500B1 (ko)
CN (1) CN1074370C (ko)
CA (1) CA2200673C (ko)
DE (1) DE69713670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42709B2 (ja) * 1998-01-13 2004-07-14 株式会社ヨロズ 自動車のブレーキペダル装置
GB9819308D0 (en) * 1998-09-05 1998-10-28 Rover Group Vehicle control pedals
DE19921552C2 (de) * 1999-05-11 2002-04-18 Zf Lemfoerder Metallwaren Ag Betätigungspedal für die Bremsanlage eines Straßenfahrzeuges
JP3804372B2 (ja) * 1999-12-01 2006-08-02 マツダ株式会社 自動車のペダル支持構造
JP3804373B2 (ja) * 1999-12-06 2006-08-02 マツダ株式会社 自動車のペダル支持構造
JP2002053017A (ja) * 2000-08-11 2002-02-19 Mazda Motor Corp 自動車のペダル支持構造
US6742411B2 (en) 2000-09-14 2004-06-01 Nissan Motor Co., Ltd. Brake pedal apparatus for automotive vehicle
KR100369043B1 (ko) * 2000-11-24 2003-01-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충돌시 운전자 정강이 상해 방지장치
JP3558982B2 (ja) * 2000-12-08 2004-08-25 富士重工業株式会社 ペダルブラケット構造
JP2002178893A (ja) 2000-12-12 2002-06-26 Fuji Heavy Ind Ltd 自動車用マスタシリンダの取付構造
JP4221160B2 (ja) 2001-01-19 2009-02-12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操作ペダルの後退変位抑制機構
ITTO20010482A1 (it) * 2001-05-23 2002-11-23 Fiat Auto Spa Sistema per rilasciare un pedale di un autoveicolo in caso d'urto frontale.
DE10126788B4 (de) * 2001-06-01 2012-08-0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 d. Staates Delaware) Pedalbock
JP2003025864A (ja) * 2001-07-17 2003-01-29 Nissan Motor Co Ltd アクセルペダル装置の取付構造
JP3920673B2 (ja) 2001-07-24 2007-05-30 豊田鉄工株式会社 車両用ペダルの後退防止装置
KR100405559B1 (ko) * 2001-09-20 2003-11-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브레이크페달 밀림 방지구조
JP3937395B2 (ja) * 2002-06-04 2007-06-27 富士重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ペダルの支持構造
JP4135406B2 (ja) 2002-06-13 2008-08-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ペダル支持構造
GB2391203A (en) * 2002-07-26 2004-02-04 Ford Global Tech Inc Pedal lever assembly for a motor vehicle
DE10260392B4 (de) * 2002-12-21 2007-04-12 Audi Ag Pedallager für ein Pedal eines Kraftfahrzeugs
JP4540302B2 (ja) * 2003-05-21 2010-09-08 富士重工業株式会社 自動車用ペダル支持構造
US7195091B2 (en) * 2003-08-06 2007-03-27 Drivesol Worldwide, Inc. Crash relief pedal assembly
JP4029800B2 (ja) * 2003-08-26 2008-01-09 マツダ株式会社 自動車のペダル支持構造
EP1512586B1 (en) 2003-09-03 2007-01-10 Mazda Motor Corporation Automotive pedal support structure
JP4493312B2 (ja) * 2003-09-22 2010-06-30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ペダルブラケットの配設構造
JP4613001B2 (ja) * 2003-10-17 2011-01-12 ナブテスコ株式会社 ペダルモジュール
US7275614B2 (en) 2003-12-25 2007-10-02 Mazda Motor Corporation Pedal support structure for vehicle
JP4502660B2 (ja) 2004-02-20 2010-07-1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車の操作ペダル装置
KR100580512B1 (ko) * 2004-06-23 2006-05-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브레이크페달에 의한 상해방지구조
DE602005000502T2 (de) 2004-09-27 2007-11-08 Mazda Motor Corp. Fahrzeugpedalabstützung
WO2006038333A1 (ja) * 2004-09-30 2006-04-13 Fuji Jukogyo Kabushiki Kaisha 車両用ブレーキ装置
JP4266918B2 (ja) 2004-11-18 2009-05-27 豊田鉄工株式会社 車両用ペダルの後退防止装置
JP4500739B2 (ja) * 2005-07-01 2010-07-14 豊田鉄工株式会社 車両用ペダルの後退防止装置
DE102005042281A1 (de) * 2005-09-06 2007-03-08 Volkswagen Ag Fußhebelwerkanordnung für ein Kraftfahrzeug
JP4979986B2 (ja) 2006-05-31 2012-07-18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のブレーキペダル装置
US7712570B2 (en) 2006-06-08 2010-05-11 Honda Motor Co., Ltd. Crash safe vehicle brake assembly
FR2903062B1 (fr) * 2006-06-30 2008-08-29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Dispositif de pedalier retractable en cas de choc frontal sur un vehicule
FR2946600B1 (fr) * 2009-06-16 2011-06-24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Dispositif de protection de pied d'un conducteur de vehicule en cas de choc frontal.
EP2467284A4 (en) * 2009-08-18 2014-01-22 Ksr Tech Co CONTACTLESS SENSOR OF A BRAKE PEDAL ASSEMBLY
BR112012019497A2 (pt) 2010-02-04 2017-06-27 Ksr Tech Co aparelho de freio eletromecanico
US8806976B2 (en) 2010-02-04 2014-08-19 Ksr Technologies Co. Brake pedal assembly having non-contacting sensor
FR2960201A1 (fr) * 2010-05-18 2011-11-25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Vehicule a porte a faux avant reduit comportant un agencement d'un amplificateur de freinage optimise en cas de choc frontal
JP5578418B2 (ja) * 2010-06-09 2014-08-27 スズキ株式会社 車両のステアリングコラム支持構造
JP5327155B2 (ja) * 2010-07-15 2013-10-30 株式会社デンソー ペダル装置
US8899130B2 (en) 2011-06-28 2014-12-02 Autoline Industries Indiana, Llc Vehicle pedal system
CN102991481B (zh) * 2011-09-16 2015-03-04 上海凯众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防侵入制动或离合踏板机构
FR2994150B1 (fr) * 2012-08-01 2015-08-07 Renault Sa Dispositif de montage d'une pedale d'un vehicule automobile
WO2014125551A1 (ja) * 2013-02-15 2014-08-2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ブレーキ装置
EP2874041B1 (en) * 2013-11-19 2017-05-10 MAKERSAN Makina Otomotiv Sanayi Ticaret Ltd. Sti. A pedal mechanism and a low cost production method of a bracket therefor
US20160273630A1 (en) * 2015-03-17 2016-09-22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Brake operating device
CN108609000A (zh) * 2016-12-12 2018-10-02 华晨汽车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制动踏板总成
KR102337223B1 (ko) 2017-07-13 2021-1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페달 장치
JP6716524B2 (ja) * 2017-11-10 2020-07-01 豊田鉄工株式会社 車両用操作ペダル装置
JP6866331B2 (ja) * 2018-07-10 2021-04-28 豊田鉄工株式会社 車両用操作ペダル装置
JP7053519B2 (ja) * 2019-02-19 2022-04-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ペダル装置
JP7380241B2 (ja) * 2020-01-21 2023-11-15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ブレーキ装置
CN113443023B (zh) * 2021-07-19 2022-08-02 安徽安凯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大型客车前部多向检修门机构总成
CN116176524B (zh) * 2023-03-21 2024-05-14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制动踏板组件及具有其的车辆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181194A (fr) * 1956-08-16 1959-06-12 Daimler Benz Ag Tringlerie de manoeuvre d'embrayage pour véhicules automobiles, en particulier pour véhicules lourds
US3025713A (en) 1960-02-25 1962-03-20 Koshaba Wilson Brake actuating mechanism for motor vehicles
US3911760A (en) 1974-10-02 1975-10-14 Gen Motors Corp Variable ratio brake pedal linkage
DE2841988C2 (de) 1978-09-27 1982-06-16 Daimler-Benz Ag, 7000 Stuttgart "Vorbau eines Kraftwagens"
DE2923027C2 (de) * 1979-06-07 1985-02-14 Volkswagenwerk Ag, 3180 Wolfsburg Vorrichtung zum Betätigen einer Lamellenfederkupplung eines Kraftfahrzeuges
US4426890A (en) * 1979-09-07 1984-01-24 Allis-Chalmers Corporation Clutch pedal operating through a fore and aft shaft in a fire wall of a vehicle
JPS56146675A (en) 1980-04-11 1981-11-14 Shinichi Kurohichi Grinding and sweeping device
JPS56163973A (en) * 1980-05-19 1981-12-16 Nissan Motor Co Ltd Fitting structure of pedal bracket
JPS5847923A (ja) * 1981-09-17 1983-03-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燃焼機器の制御装置
US5078024A (en) 1986-08-18 1992-01-07 Comfort Pedals Inc. Control pedal apparatus for a motor vehicle
JPH0173464U (ko) 1987-11-06 1989-05-17
DE3904616C2 (de) 1988-02-22 1997-08-21 Volkswagen Ag Anordnung zur Lagerung mindestens eines hängend angeordneten Pedalhebels
JPH0640510Y2 (ja) * 1988-05-21 1994-10-2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クラッチペダル
US5086663A (en) 1989-07-28 1992-02-11 Fuji Kiko Company, Limited Adjustable pedal
JP2798467B2 (ja) * 1990-02-27 1998-09-17 マツダ株式会社 自動車の車体前部構造及び車体組付方法
US5327797A (en) * 1992-01-13 1994-07-12 Chrysler Corporation Vehicle parking brake cable actuating structure
US5181435A (en) * 1992-03-30 1993-01-26 Chrysler Corp Steering column guide assembly
DE4335511A1 (de) 1992-10-29 1994-05-05 Volkswagen Ag Sicherheitsvorrichtung für den Fahrer eines Fahrzeugs mit Lenkung und Pedal
US5385068A (en) * 1992-12-18 1995-01-31 Cts Corporation Electronic accelerator pedal assembly with pedal force sensor
JPH06211115A (ja) 1993-01-18 1994-08-02 Toyota Motor Corp ブレーキペダルの退避構造
US5460061A (en) * 1993-09-17 1995-10-24 Comfort Pedals, Inc. Adjustable control pedal apparatus
JP3267082B2 (ja) * 1994-12-28 2002-03-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ペダル装置
DE19501859A1 (de) 1995-01-23 1996-07-25 Volkswagen Ag Sicherheitsanordnung für ein Kraftfahrzeug
US5555774A (en) * 1995-03-06 1996-09-17 Ford Motor Company Control pedal effort reduction and return assist
JP3267182B2 (ja) * 1996-05-29 2002-03-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ペダル変位制御構造
JP3601740B2 (ja) * 1996-08-21 2004-12-15 スズキ株式会社 ペダルアームのストッパ構造
JPH10181637A (ja) * 1996-12-25 1998-07-07 Toyota Motor Corp 車両用ペダル変位制御構造
JP3125715B2 (ja) * 1997-05-23 2001-01-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ペダル変位制御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339971B1 (en) 2002-01-22
EP0803420B1 (en) 2002-07-03
CA2200673C (en) 2002-07-30
DE69713670T2 (de) 2003-03-13
JPH09254821A (ja) 1997-09-30
CA2200673A1 (en) 1997-09-25
DE69713670D1 (de) 2002-08-08
EP0803420A3 (en) 1998-05-13
KR970065319A (ko) 1997-10-13
EP0803420A2 (en) 1997-10-29
CN1074370C (zh) 2001-11-07
CN1164490A (zh) 1997-11-12
JP3267145B2 (ja) 2002-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64500B1 (ko) 차량용 페달지지구조
KR100882056B1 (ko) 자동차 브레이크 페달 장치
JP3267182B2 (ja) 車両用ペダル変位制御構造
KR100980959B1 (ko) 차량용 조향 장치의 푸쉬-풀 타입 틸트 레버장치
KR100396217B1 (ko) 조절페들의 후퇴변위 억제기구
EP0805080B1 (en) Supporting structure of a pedal device for a vehicle
US10654514B2 (en) Steering device
MXPA98006240A (es) Dispositivo de seguridad para el alojamiento de pedales en vehiculos automotores.
JPWO2004005109A1 (ja) 車両用衝撃吸収式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JPH1143073A (ja) 車両用ペダル変位制御構造
US8376404B2 (en) Integrated tooth rake lock for steering column
JP4470302B2 (ja) 車両用ステアリング装置
JP3932702B2 (ja) ペダルブラケットの構造
EP1099615B1 (en) Crash safety device of vehicle
JP4266918B2 (ja) 車両用ペダルの後退防止装置
JP2010105521A (ja) 車両用ステアリング装置
JP3804651B2 (ja) 車両用ペダル変位制御構造
JPH10226325A (ja) 車両用ペダル変位制御構造
JP3449092B2 (ja) 車両用ペダル支持構造
JP6832698B2 (ja) ハンドル
KR100589199B1 (ko) 차량충돌시 안전페달 구조
JP6551665B2 (ja) 車両用ペダルの支持構造
JPH01195177A (ja) 自動車のステアリング支持構造
WO2017026186A1 (ja) シフト装置
JP2006273023A (ja) 自動車のペダル支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