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9043B1 - 차량충돌시 운전자 정강이 상해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충돌시 운전자 정강이 상해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9043B1
KR100369043B1 KR10-2000-0070367A KR20000070367A KR100369043B1 KR 100369043 B1 KR100369043 B1 KR 100369043B1 KR 20000070367 A KR20000070367 A KR 20000070367A KR 100369043 B1 KR100369043 B1 KR 1003690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brake
bracket
vehicle
assembly
brak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0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0338A (ko
Inventor
최재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70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9043B1/ko
Publication of KR200200403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03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9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90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4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 B60R21/045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associated with the instrument panel or dash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3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characterised by occupant or pedestian
    • B60R2021/0039Body parts of the occupant or pedestrian affected by the accident
    • B60R2021/0053Le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Elements And Transmission Device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충돌 등과 같은 사고시에 차량의 주차브레이크 페달에 의해 운전자의 정강이가 상해를 입게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주차브레이크어셈블리를 차체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지지수단과, 상기 주차브레이크어셈블리를 대쉬판넬에 고정하는 상태와 이탈시키는 상태를 절환하는 브라켓착탈수단과, 상기 브라켓착탈수단이 주차브레이크어셈블리를 대쉬판넬로부터 자유로운 상태로 이탈시키면 주차브레이크어셈블리를 상기 회전지지수단을 회전축으로 회전시키는 어셈블리회전력제공수단과, 차량의 충돌을 감지하여 상기 브라켓착탈수단을 작동시키는 컨트롤수단으로 구성된 차량충돌시 운전자의 정강이 상해방지장치를 제공하여, 차량이 충돌 등 급격한 정지상태가 되어 운전자의 몸이 전방으로 쏠리게 되는 경우에도 주차브레이크페달이 운전자의 몸이 부딪히기 전에 크래쉬패드의 내측으로 제거되어 운전자의 몸이 주차브레이크페달에 부딪혀서 상해를 입게되는 상황을 예방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충돌시 운전자 정강이 상해 방지장치{A PREVENTING DEVICE OF SHIN INJURY ON CAR CRASH}
본 발명은 자동차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충돌 등과 같은 사고시에 차량의 주차브레이크 페달에 의해 운전자의 정강이가 상해를 입게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차브레이크페달(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석의 크래쉬패드(C) 하측에 돌출되게 설치되어 운전자가 주차시에 이를 조작하도록 되어 있는 바, 그 구성은 도 2를 참조하여 보면 운전자의 조작을 받는 주차브레이크페달(100)이 설치되어 있는 주차브레이크어셈블리(102)가 대쉬판넬에 브라켓(104)으로 고정되고 상기 주차브레이크어셈블리(102)의 주차브레이크페달(100)의 조작상태는 주차브레이크케이블(106)을 통해 리어브레이크어셈블리(108)를 작동시키도록 되어 있으며, 주차브레이크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 상기 주차브레이크어셈블리(102)에 연결되는 릴리즈케이블(110) 및 릴리즈노브(112)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은 주차브레이크는 상기 주차브레이크어셈블리(102)의 주차브레이크페달(100)은 크래쉬패드(C)의 앞으로 돌출된 상태로서 운전자가 발로 이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해야하지만 차량의 충돌과 같은 급격한 차량의 정지상태에서는 운전자의 몸이 앞으로 쏠리게 되면서 크래쉬패드(C)에 돌출되게 설치된 주차브레이크페달(100)에 운전자의 정강이 부위가 부딪혀서 상해를 입게되는 위험성을 제공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차량이 충돌 등 급격한 정지상태가 되어 운전자의 몸이 전방으로 쏠리게 되는 경우에는 주차브레이크페달이 크래쉬패드의 내부로 제거되어 운전자의 몸이 돌출물에 부딪히지 않게 하여 상해를 입지 않도록 한 차량충돌시 운전자 정강이 상해 방지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차량충돌시 운전자 정강이 상해 방지장치는 주차브레이크어셈블리를 차체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지지수단과, 상기 주차브레이크어셈블리를 대쉬판넬에 고정하는 상태와 이탈시키는 상태를 절환하는 브라켓착탈수단과, 상기 브라켓착탈수단이 주차브레이크어셈블리를 대쉬판넬로부터 자유로운 상태로 이탈시키면 주차브레이크어셈블리를 상기 회전지지수단을 회전축으로 회전시키는 어셈블리회전력제공수단과, 차량의 충돌을 감지하여 상기 브라켓착탈수단을 작동시키는 컨트롤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주차브레이크페달이 차내에 설치된 상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주차브레이크어셈블리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 차량충돌시 운전자 정강이 상해 방지장치를 도시한 설명도,
도 4는 도 3의 장치가 차량충돌시에 작동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102: 주차브레이크어셈블리 2, 100: 주차브레이크페달
10: 회전지지수단 11: 힌지축
12: 베어링 20: 브라켓착탈수단
21: 어셈블리브라켓 22: 대쉬판넬브라켓
23: 솔레노이드액츄에이터 24: 플런저
30: 어셈블리회전력제공수단 31: 스프링
40: 컨트롤수단 41: 에어백충돌센서
42: ECU C: 크래쉬패드
D: 대쉬판넬 CW: 카울톱판넬
S: 사이드판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 차량충돌시 운전자 정강이 상해 방지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그 주요 구성을 살펴보면 주차브레이크어셈블리(1)를 차체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지지수단(10)과, 상기 주차브레이크어셈블리(1)를 대쉬판넬에 고정하는 상태와 이탈시키는 상태를 절환하는 브라켓착탈수단(20)과, 상기 브라켓착탈수단(20)이 주차브레이크어셈블리(1)를 대쉬판넬(D)로부터 자유로운 상태로 이탈시키면 주차브레이크어셈블리(1)를 상기 회전지지수단(10)을 회전축으로 회전시키는 어셈블리회전력제공수단(30)과, 차량의 충돌을 감지하여 상기 브라켓착탈수단(20)을 작동시키는 컨트롤수단(40)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회전지지수단(10)은 차체의 사이드판넬(S)에 고정결합되어 상기 주차브레이크어셈블리(1)가 수직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축(11)과, 상기 힌지축(11)상에 상기 주차브레이크어셈블리(1)를 연결하는 베어링(12)으로 구성했는데, 여기서 수직방향이라 함은 운전자가 주차브레이크페달(2)을 조작하여 주차브레이크페달(2)이 움직이는 평면을 수직평면으로 볼 때 그 평면상에서 회전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상기 브라켓착탈수단(20)은 상기 주차브레이크어셈블리(1)의 대쉬판넬(D)쪽에 고정설치된 어셈블리브라켓(21)과, 상기 어셈블리브라켓(21)에 수평방향으로 겹쳐지며 대쉬판넬(D)에 고정되는 대쉬판넬브라켓(22)과, 상기 어셈블리브라켓(21) 및 대쉬판넬브라켓(22)의 겹쳐진 부분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그 작동에 따라 상기 어셈블리브라켓(21)이 수직방향으로 자유로워지게 하는 솔레노이드액츄에이터(23)로 구성하였다.
물론, 상기 솔레노이드액츄에이터(23)의 플런저(24)가 섭동할 수 있도록 상기 어셈블리브라켓(21) 및 대쉬판넬브라켓(22)에는 연통되는 구멍(25)이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액츄에이터(23)의 플런저(24)가 상기 구멍에 끼워진 상태에서는 상기 어셈블리브라켓(21)이 고정되어, 결국 상기 주차브레이크어셈블리(1)는 상기 힌지축(11)과 어셈블리브라켓(21)에 의해 차체에 견고하게 지지된 상태를 갖게되어 운전자의 평상시 주차브레이크페달(2) 조작이 가능하게 한다.
다음, 상기 어셈블리회전력제공수단(30)은 차량 전방의 카울톱판넬(CW)에 일단이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주차브레이크어셈블리(1)에 연결된 스프링(31)으로 구성하였는바, 상기 스프링(1)의 설치상태는 상기 어셈블리브라켓(21)이 자유로운 상태가 되면 상기 주차브레이크어셈블리(1)를 상기 힌지축(11)을 회전축으로 하여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상태로 설치하여야 한다.
상기 컨트롤수단(40)은 차량의 충돌상태를 감지하는 에어백충돌센서(41)와, 상기 에어백충돌센서(41)의 신호를 받아 상기 브라켓착탈수단(20)의 솔레노이드액츄에이터(23)를 제어하는 ECU(42)로 구성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보통의 평상시에는 운전자가 발로 상기 주차브레이크페달(2)을 밟아 주차브레이크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주차브레이크페달(2)은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래쉬패드(C)로부터 돌출된 상태를 가지는데, 이 상태는 상기 주차브레이크어셈블리(1)가 상기 힌지축(11)과 어셈블리브라켓(21) 및 대쉬판넬브라켓(22)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상태이다.
그러나, 차량이 충돌과 같은 급격한 정지상태에 이르러 운전자의 몸이 전방으로 쏠리게 될 정도의 상황이 되면 상기 주차브레이크페달(1)은 상기 크래쉬패드(C)의 내측으로 함몰되어 버리는데, 이는 다음과 같은 일련의 작동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상기 컨트롤수단(40)의 에어백충돌센서(41)는 충돌상태를 감지하여 에어백이 작동되도록 신호를 발생하고, 이 신호는 상기 ECU(42)로도 전달되어 ECU(42)로 하여금 상기 솔레노이드액츄에이터(23)를 작동하게 하여 상기 어셈블리브라켓(21)이 상기 대쉬판넬브라켓(22)으로부터 자유로운 상태가 되도록 솔레노이드액츄에이터(23)의 플런저(24)를 상기 구멍(25)으로부터 이탈시킨다.
따라서, 상기 어셈블리브라켓(21)을 지지하는 힘이 사라지므로 상기 주차브레이크어셈블리(1)는 상기 스프링(31)이 잡아당기는 힘에 의해 상기 힌지축(11)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되어, 결국 크래쉬패드(C)의 앞으로 돌출되어 위치했던 주차브레이크페달(2)은 크래쉬패드(C)의 안쪽으로 도 4와 같은 상태로 들어가 버린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는 운전자의 몸이 전방으로 쏠려 운전자의 정강이 등 하체가 차체의 앞쪽으로 부딪히게 되더라도 상기 주차브레이크페달(2)에 부딪혀서 큰 상해를 입게되는 경우는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이 충돌 등 급격한 정지상태가 되어 운전자의 몸이 전방으로 쏠리게 되는 경우에도 주차브레이크페달이 운전자의 몸이 부딪히기 전에 크래쉬패드의 내측으로 제거되어 운전자의 몸이 주차브레이크페달에 부딪혀서 심한 상해를 입게되는 상황을 예방할 수 있다.

Claims (5)

  1. 주차브레이크어셈블리(1)를 차체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지지수단(10)과, 상기 주차브레이크어셈블리(1)를 대쉬판넬(D)에 고정하는 상태와 이탈시키는 상태를 절환하는 브라켓착탈수단(20)과, 상기 브라켓착탈수단(20)이 주차브레이크어셈블리(1)를 대쉬판넬(D)로부터 자유로운 상태로 이탈시키면 주차브레이크어셈블리(1)를 상기 회전지지수단(10)을 회전축으로 회전시키는 어셈블리회전력제공수단(30)과, 차량의 충돌을 감지하여 상기 브라켓착탈수단(20)을 작동시키는 컨트롤수단(4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충돌시 운전자 정강이 상해 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회전지지수단(10)은 차체의 사이드판넬(S)에 고정결합되어 상기 주차브레이크어셈블리(1)가 수직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축(11)과, 상기 힌지축(11)상에 상기 주차브레이크어셈블리(1)를 연결하는 베어링(12)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충돌시 운전자 정강이 상해 방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착탈수단(20)은 상기 주차브레이크어셈블리(1)의 대쉬판넬(D)쪽에 고정설치된 어셈블리브라켓(21)과, 상기 어셈블리브라켓(21)에 수평방향으로 겹쳐지며 대쉬판넬(D)에 고정되는 대쉬판넬브라켓(22)과, 상기 어셈블리브라켓(21) 및 대쉬판넬브라켓(22)의 겹쳐진 부분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그 작동에 따라 상기 어셈블리브라켓(21)이 수직방향으로 자유로워지게 하는 솔레노이드액츄에이터(2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충돌시 운전자 정강이 상해 방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셈블리회전력제공수단(30)은 차량 전방의 카울톱판넬(CW)에 일단이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주차브레이크어셈블리(1)에 연결된 스프링(31)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충돌시 운전자 정강이 상해 방지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수단(40)은 차량의 충돌상태를 감지하는 에어백충돌센서(41)와, 상기 에어백충돌센서(41)의 신호를 받아 상기 브라켓착탈수단(20)을 제어하는 ECU(4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충돌시 운전자 정강이 상해 방지장치.
KR10-2000-0070367A 2000-11-24 2000-11-24 차량충돌시 운전자 정강이 상해 방지장치 KR1003690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0367A KR100369043B1 (ko) 2000-11-24 2000-11-24 차량충돌시 운전자 정강이 상해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0367A KR100369043B1 (ko) 2000-11-24 2000-11-24 차량충돌시 운전자 정강이 상해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0338A KR20020040338A (ko) 2002-05-30
KR100369043B1 true KR100369043B1 (ko) 2003-01-24

Family

ID=19701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0367A KR100369043B1 (ko) 2000-11-24 2000-11-24 차량충돌시 운전자 정강이 상해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90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6829A (ko) * 2002-09-26 2004-04-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클러치 페달 밀림 방지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11115A (ja) * 1993-01-18 1994-08-02 Toyota Motor Corp ブレーキペダルの退避構造
JPH09254821A (ja) * 1996-03-25 1997-09-30 Toyota Motor Corp 車両用ペダル支持構造
JPH10244914A (ja) * 1997-03-07 1998-09-14 Toyota Motor Corp 車両用ペダル変位制御構造
JPH1134824A (ja) * 1997-07-24 1999-02-09 Aisin Seiki Co Ltd 車両用足踏式パーキングブレーキ装置
KR20010064605A (ko) * 1999-12-29 2001-07-09 이계안 자동차의 운전자 다리 보호 구조
KR20020022900A (ko) * 2000-09-21 2002-03-28 이계안 에어백과 연동되는 차량용 페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11115A (ja) * 1993-01-18 1994-08-02 Toyota Motor Corp ブレーキペダルの退避構造
JPH09254821A (ja) * 1996-03-25 1997-09-30 Toyota Motor Corp 車両用ペダル支持構造
JPH10244914A (ja) * 1997-03-07 1998-09-14 Toyota Motor Corp 車両用ペダル変位制御構造
JPH1134824A (ja) * 1997-07-24 1999-02-09 Aisin Seiki Co Ltd 車両用足踏式パーキングブレーキ装置
KR20010064605A (ko) * 1999-12-29 2001-07-09 이계안 자동차의 운전자 다리 보호 구조
KR20020022900A (ko) * 2000-09-21 2002-03-28 이계안 에어백과 연동되는 차량용 페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0338A (ko) 2002-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64605A (ko) 자동차의 운전자 다리 보호 구조
US20050050980A1 (en) Pedal apparatus for a vehicle
KR930007214B1 (ko) 차량의 스티어링 지지구조
JP4017038B2 (ja) ブレーキペダル装置
KR100805785B1 (ko) 운전자 보호용 브레이크페달장치
KR100369043B1 (ko) 차량충돌시 운전자 정강이 상해 방지장치
JPH10129405A (ja) 乗員拘束制御装置
KR100878629B1 (ko) 에어백 연동형 스티어링 칼럼의 틸팅장치
KR100600198B1 (ko) 차량의 브레이크 페달 밀림 방지 장치
KR100580508B1 (ko) 운전자 보호장치
KR100527735B1 (ko) 브레이크 페달의 상해방지장치
JP4538902B2 (ja) 車両用ステアリング機構の制御装置
KR100757504B1 (ko) 페달 강제 이탈장치
KR100624033B1 (ko) 브레이크 페달의 충돌성능 개선 구조
KR100380613B1 (ko) 자동차용 브레이크페달의 설치구조
KR20080052991A (ko) 운전자 보호장치
JPH0911826A (ja) ペダル引き込み装置
KR200168061Y1 (ko) 에어백의 작동 제어장치
KR100333753B1 (ko) 차량용 사이드 미러 고정구조
KR20010000866U (ko) 자동차의 브레이크페달 장착구조
JP2002104144A (ja) パーキングブレーキペダル装置
KR0122063Y1 (ko) 자동차의 2차 추돌사고 방지장치
KR100211697B1 (ko) 조향축의 경사각도 자동조절장치
KR19990033777A (ko) 경사로 주차시 주차 브레이크 자동 작동 장치
KR19980054188A (ko) 충격시 주차브레이크 자동해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0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