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0875B1 - 에어백 - Google Patents

에어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0875B1
KR100260875B1 KR1019920023862A KR920023862A KR100260875B1 KR 100260875 B1 KR100260875 B1 KR 100260875B1 KR 1019920023862 A KR1019920023862 A KR 1019920023862A KR 920023862 A KR920023862 A KR 920023862A KR 100260875 B1 KR100260875 B1 KR 1002608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resin
warp
weft
woven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3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9468A (ko
Inventor
모리타카즈오
키타카와모토쯔네
Original Assignee
다카다 쥬이치로
다카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카다 쥬이치로, 다카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카다 쥬이치로
Publication of KR9300194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94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08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08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2Inflatable articl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8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synthetic polymer-based, e.g. polyamide or polyester fibr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4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47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multicomponent, e.g. blended yarns or thread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87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adhesive; fusibl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2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10B2321/02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polyolefins
    • D10B2321/021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polyolefins polyethylen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2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10B2321/12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polymers of cyclic compounds with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in the side chain
    • D10B2321/121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polymers of cyclic compounds with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in the side chain polystyren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2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amid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4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ester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4Heat-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41Heat-responsive characteristics thermoplastic; thermosetting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12Vehicles
    • D10B2505/124Air ba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033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stitching and discrete fastener[s], coating or bo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 Woven Fabrics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Fibers (AREA)

Abstract

(목적) 에어백의 통기성 포의 경사 및 위사의 쏠림을 방지한다.
(구성) 에어백의 후부측(13),(14)이 통기성 직포로 구성되어 있다.
에어백 중의 통기성 포로 하는 범위는, 에어백의 후부측이며, 에어백의 전체 표면적의 약 30 내지 60%, 특히 35 내지 50% 정도로 한다. 이 직포의 경사와 위사는 수지로 결합되어 있다
(결과) 수지에 의하여 경사와 위사를 결합해 둠으로써 경사 및 위사의 쏠림이 방지되어서 통기특성이 포 전체에 걸쳐서 균일하게 된다. 따라서, 에어백의 후부측에 있어서의 통기특성이 균일하게 된다. 또, 인플레이터 방출가스 중의 입자를 확실하게 여과할 수가 있다. 또, 재단이나 봉제작업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에어백
제1도는, 실시예에 관한 운전석용 에어백의 사시도이다.
제2도는, 실시예에 관한 조수석용 에어백의 사시도이다.
제3도는, 종래예에 관한 운전석용 에어백의 사시도이다.
제4도는, 종래예에 관한 운전석용 에어백의 사시도이다.
제5도는, 실시예에 관한 에어백에 사용되고 있는 포지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제6도는, 실시예에 관한 에어백에 사용되고 있는 포지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제7도는, 실시예에 관한 에어백에 사용되고 있는 포지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11)(12) : 에어백 (5)(6) : 벤트홀
(15) : 직포 (16) : 경사
(17) : 위사 (18) : 수지코팅 영역
본 발명은 차량에 설치되어서, 차량충돌시 등에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한 에어백 장치의 에어백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벤트홀을 생략한 형태의 에어백에 관한 것이다.
제3도는 운전석용 에어백(1)의 전개상태를 표시하는 사시도이며, 제4도는 조수석용 에어백(2)의 전개상태를 표시하는 사시도이다.
이들 에어백은 후단부에 인플레이터가 직접 삽입되거나, 또는 인플레이터의 방출가스가 도입되는 개구(3),(4)를 구비하고 있다.
또, 후단측에는 벤트홀(5),(6)이 설치되어 있다.
에어백의 전개시에는 개구(3),(4)를 통해 고속으로 도입되는 가스로 인하여 에어백 내부 및 외부 사이에 압력차가 발생하고, 이 압력차로 인하여 벤트홀(5),(6)을 통해 에어백(1),(2) 내부로 공기가 유입한다.
또, 전개한 에어백(1),(2)에 탑승자가 돌입해 왔을 시에는, 에어백 내의 기체가 이 벤트홀(5),(6)을 통과하여 에어백 밖으로 유출하여, 에어백에 돌입해 온 인체에 부여되는 충격을 완화한다.
이 벤트홀을 설치하면, 인플레이터로부터의 분출가스에 함유되는 미립자가 에어백 외부로 유출하는 일이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이 벤트홀을 생략하고, 그 대신에 에어백의 후부측을 통기성 직포로 구성하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
실개소 58-22360호 공보에는, 자루형상의 기밀성 부분과 자루형상 직포 등의 통기성 부분을 봉착하여 일체적인 자루체를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에어백이 제안되고 있다.
이 통기성 부분은 상기 미립자를 여과하는 필터기능을 보유한다.
이 통기성 부분은 일반적으로 직포로 이루어진다.
이 직포는, 통기성을 구비하기 위하여, 경사(經絲)와 위사의 간격을 둔 큰 메시(mesh)로 되어 있으므로 경사 및 위사가 슬라이드해버려서, 부분적으로 눈이 큰 곳이나 눈이 막힌 곳이 발생하는 일이 있었다.
이런 이유로 눈이 큰 곳에서는 국부적으로 통기성이 커짐과 동시에, 본래 여과되어야 할 미립자가 통과해 버리는 반면에, 눈이 막힌 곳에서는 통기성이 작게 되어서, 통기성 부분이 전체적으로 설계대로의 통기량을 얻기가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청구항 1의 에어백은 후단부에 인플레이터, 또는 인플레이터로부터의 가스를 도입하기 위한 개구가 설치되어 있고, 또 에어백의 적어도 일부를 통기성 포로 구성한 에어백에 있어서, 상기 통기성 포가 직포로 이루어지고, 이 직포의 일부에 경사와 위사가 수지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 수지결합부를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2의 에어백은, 청구항 1의 에어백에 있어서, 상기 수지결합부가 격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3의 에어백은, 청구항 2의 에어백에 있어서, 격자형상으로 형성된 수지결합부의 격자축선과 직포의 사축선(絲軸線)이 30° 내지 60°의 경사가 되도록 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4의 에어백은, 후단부에 인플레이터 또는 인플레이터로부터의 가스를 도입하기 위한 개구가 설치되어 있고, 또 에어백의 적어도 일부를 통기성 포로 구성한 에어백에 있어서, 상기 통기성 포가 직포로 이루어지고, 심부는 고융점재료로 구성되어 있고 외주부는 저융점재료의 수지로 구성되어 있는 이중구조의 실을, 경사 또는 위사의 적어도 한쪽에 사용하여, 상기 직포의 모든 경사와 위사가 상기 수지의 용융에 의해 수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1의 에어백에 있어서는, 직포의 일부에 경사와 위사가 수지로 결합되어 있는 수지결합부를 보유하는 까닭에 비결합부분의 경사와 위사의 슬라이드가 방지된다.
청구항 2의 에어백에 있어서는, 수지결합부가 격자형상인 까닭에 비결합부분(격자눈 부분)의 경사 및 위사의 슬라이드 방지효과가 크다.
청구항 3의 에어백에 있어서는, 수지결합부의 격자축선과 직포의 사축선이 30° 내지 60°각도로 교차하고 있으므로 비결합부분(격자눈 부분)의 경사 및 위사의 슬라이드 방지효과가 더욱 크다.
청구항 4의 에어백에 있어서는, 통기성 포의 모든 경사와 위사가 수지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경사와 위사의 슬라이드가 완전히 방지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계되는 에어백(11),(12)의 전개상태를 표시하는 사시도로서, 에어백의 후부측(13),(14)의 통기성 직포로 구성되어 있다.
에어백 중에, 통기성 포로 하는 범위는, 에어백의 후부측이고, 에어백의 전체 표면적의 약 30 내지 60%, 특히 35 내지 5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기성 포의 통기량은 10 내지 200cc/㎠/sec, 특히 20 내지 60cc/㎠/sec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직포의 경사 및 위사는 210 내지 840데니르의 나일론(상표) 등의 폴리아미드 수지섬유가 적당하다.
이 경사와 위사는 수지로 결합되어 있다.
수지로 경사와 위사를 결합하는 방식은 다음의 ① 내지 ④가 예시된다.
① 제5도와 같이 직포(15)에 격자형상으로 수지를 코우팅한다.
제5도의 점선 영역(18)이 수지코우팅 된 영역이다.
부호 16은 경사이고, 부호 17은 위사이다.
이 경우, 수지의 격자 눈의 치수(La)는 0.5 내지 50㎜, 특히 1 내지 30㎜가 적당하다.
또, 1개의 격자 폭(Lb)은 0.5 내지 50㎜, 특히 1 내지 30㎜가 적당하다.
격자 눈의 치수 및 격자의 폭은, 에어백의 형상, 경사와 위사의 굵기, 그리고 사용되는 수지의 특성 등에 맞추어서 적당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이 수지는, 열경화성, 열가소성 중의 어느 것이어도 좋지만, 실리콘 수지, 클로로플렌고무, 우레탄수지, 부틸고무나 이들의 중합체나 블렌드 등이 적당하다.
제6도에서는, 격자의 격자축선과 직포의 사축선이 45° 각도로 교차하도록 수지를 코우팅하고 있다.
② 직포를 수지액에 침지한 후 꺼내 올리거나, 또는 코우팅 라미네이트 등의 방법으로 경사와 위사에 수지를 부착시키고, 이어서 수지를 경화시켜서 경사와 위사를 결합시킨다.
이 때, 수지의 표면과 내면을 관통시키는 연소기공을 형성시키는 처리를 하여, 통기성을 갖게 할 수가 있다.
이 경우 수지는, 실리콘수지, 우레탄수지, 부틸고무나 이것들의 공중합체나 블렌드 등이 적당하다.
직포 1㎡ 당 부착되는 양은 1 내지 100g, 특히 5 내지 60g 정도가 가장 좋다.
상기와 같은 통기성이 있는 코우팅 막은, 인플레이터의 가스는 통과시키지만 액체나 인플레이터의 잔재는 통과시키지 않는 특성을 갖는다.
③ 경사 및 위사에 미리 열가소성 수지를 함침시켜 두거나 혹은 표면 코우팅해 둔다.
이 경사와 위사로 직조한 후에 가열하여서 경사와 위사를 이 수지로 융착시켜 결합한다.
수지로는 폴리에틸렌, 폴리아미드 등의 열가소성 수지가 바람직하다.
이 수지를 실에 함침시켜 둘 경우, 그 사용량은 직포 1㎡당 1 내지 100g 정도로 하는 것이 좋다.
이 수지를 실의 표면에 코우팅해 둘 경우, 그 양은 직포 1㎡당 1 내지 70g 정도로 하는 것이 좋다.
④ 경사 또는 위사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2중 구조의 실을 사용한다.
2중 구조의 실을 사용하여 직조한 후에 가열하여 용착시킨다.
이 2중 구조실은 제7도에 표시하듯이 심부(19)가 고융점재료의 수지로 구성되고, 외주부(20)는 저융점재료로 구성된다.
직조한 후에 심부의 융점이하 외주부의 융점이상의 온도로 가열하여 경사와 위사를 용착한다.
이상과 같이 수지에 의하여 경사와 위사를 결합해 둠으로써, 경사 및 위사의 쏠림이 방지되어서 통기특성이 포전체에 걸쳐서 균일하게 된다.
따라서, 에어백의 후부측에 있어서의 통기 특성이 균일하게 된다. 또 인플레이터 방출가스 중의 입자를 확실하게 여과할 수가 있다. 또, 재단이나 봉제작업도 용이하게 할 수가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통기성 포에 부착시키는 수지량을 증감시키는 것에 의해 포의 통기성을 조절할 수가 있다.

Claims (4)

  1. 후단부에 인플레이터, 또는 인플레이터로부터 가스를 도입하기 위한 개구가 설치되어 있고, 또 에어백의 적어도 일부를 통기성 포로 구성한 에어백에 있어서, 상기 통기성 포가 직포로 이루어지고, 이 직포의 일부에 경사와 위사가 수지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 수지결합부를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결합부가 격자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형상으로 형성된 수지결합부의 격자축선과 직포의 사축선이 30° 내지 60°의 경사가 되도록 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4. 후단부에 인플레이터 또는 인플레이터로부터의 가스를 도입하기 위한 개구가 설치되어 있고, 또 에어백의 적어도 일부를 통기성 포로 구성한 에어백에 있어서, 상기 통기성 포가 직포로 이루어지고, 심부는 고융점재료로 구성되어 있고 외주부는 저융점재료의 수지로 구성되어 있는 이중구조의 실을, 경사 또는 위사의 적어도 한쪽에 사용하여, 상기 직포의 모든 경사와 위사가 상기 수지의 용융에 의해 수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KR1019920023862A 1992-03-18 1992-12-10 에어백 KR1002608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062182 1992-03-18
JP4062182A JP3036215B2 (ja) 1992-03-18 1992-03-18 エアバッ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9468A KR930019468A (ko) 1993-10-18
KR100260875B1 true KR100260875B1 (ko) 2000-08-01

Family

ID=13192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3862A KR100260875B1 (ko) 1992-03-18 1992-12-10 에어백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713598A (ko)
JP (1) JP3036215B2 (ko)
KR (1) KR100260875B1 (ko)
DE (1) DE4307921A1 (ko)
FR (1) FR2688750B1 (ko)
GB (1) GB2265122B (ko)
IT (1) IT127209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64749B1 (de) * 1993-08-17 1999-01-20 TRW Occupant Restraint Systems GmbH & Co. KG Gassack für ein rückhaltesystem in fahrzeugen und gewebe zu seiner herstellung
JPH07186859A (ja) * 1993-12-28 1995-07-25 Toray Ind Inc エアバッグ用基布の製造方法
US5566434A (en) * 1994-06-15 1996-10-22 Jps Automotive Products Corporation Air bag for use in a motor vehicle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WO1996031643A1 (de) * 1995-04-06 1996-10-10 Buesgen Alexander Verfahren zum weben einer drei-dimensional geformten gewebezone
US5520413A (en) * 1995-09-11 1996-05-28 Morton International, Inc. Partitioned multi-cell air bag
DE69625013T2 (de) * 1995-09-18 2003-08-21 Toray Industries Grundgewebe für Airbags, sein Herstellungsverfahren und dieses Gewebe enthaltender Airbag
KR100264064B1 (ko) * 1996-12-10 2000-08-16 구광시 비코팅형 에어백용 원단
US5881776A (en) 1997-01-24 1999-03-16 Safety Components Fabric Technologies, Inc. Rapier woven low permeability air bag fabric
USRE38769E1 (en) 1997-04-17 2005-08-09 Milliken & Company Air bag fabric possessing improved packed volume and stable air permeability
US6327759B1 (en) * 1997-04-17 2001-12-11 Milliken & Company Air bag fabric possessing improved packed volume and stable air permeability
DE29709389U1 (de) 1997-05-28 1997-09-25 Trw Repa Gmbh Gassack für ein Insassen-Rückhaltesystem in Fahrzeugen
DE29711904U1 (de) * 1997-07-07 1997-11-06 Trw Repa Gmbh Gassack für ein Rückhaltesystem in Fahrzeugen und Gewebe zu seiner Herstellung
US6112634A (en) * 1998-01-08 2000-09-05 A&P Technology, Inc. High coverage area braiding material for braided structures
JP3767173B2 (ja) * 1998-06-09 2006-04-19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ベルト用バッグ
JP3738589B2 (ja) * 1999-02-09 2006-01-25 トヨタ紡織株式会社 袋織りエアバッグ及びその製造方法
US6802530B2 (en) * 2001-09-26 2004-10-12 Key Safety Systems, Inc. Rollover air bag with damping mechanism
GB2383302A (en) * 2001-12-18 2003-06-25 Autoliv Dev Airbag having a woven gas supply duct
ES2291524T3 (es) * 2001-12-18 2008-03-01 Autoliv Development Aktiebolag Un cojin inflable.
JP2004210257A (ja) * 2002-12-18 2004-07-29 Takata Corp 頭部保護エアバッグ及び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CN1774335B (zh) 2003-03-21 2010-10-06 安全成分纺织技术公司 机动车气囊和用于气囊的织物
US7350801B2 (en) * 2003-07-11 2008-04-01 Toyoda Gosei Co., Ltd. Knee-protecting airbag
DE20311945U1 (de) * 2003-08-02 2004-12-09 Haver & Boecker Plattenförmiges Filterelement
FR2862665B1 (fr) * 2003-11-26 2006-01-06 Rhodia Industrial Yarns Ag Fils, fibres et filaments pour tissage sans encollage
DE102004023904B3 (de) * 2004-05-13 2005-09-08 Trw Automotive Gmbh Gassack für ein Fahrzeuginsassen-Rückhaltesystem
US20060192373A1 (en) * 2005-02-07 2006-08-31 Safety Components Fabric Technologies, Inc. Vehicle air bag constructed from a composite film
DE102005019228A1 (de) * 2005-04-20 2006-11-02 Takata-Petri (Ulm) Gmbh Gewebe für einen Airbag
US7648166B2 (en) * 2005-05-04 2010-01-19 Tk Holdings Inc. Occupant protection apparatus
US8822357B2 (en) * 2007-05-21 2014-09-02 Automotive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Film airbags made from ribbons
CN108368647B (zh) 2015-09-30 2020-04-24 世联株式会社 气囊用基布、气囊和气囊用基布的制造方法
CN111945273B (zh) 2015-11-06 2022-12-13 英威达纺织(英国)有限公司 低渗透率和高强度织物及其制造方法
US20180251919A1 (en) * 2017-03-02 2018-09-0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Three-dimensional lattic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7344793B2 (ja) * 2019-12-27 2023-09-14 株式会社Subaru 車両の車外保護装置
CN115369547A (zh) * 2022-06-09 2022-11-22 常州艾克特纺织科技有限公司 加强织物、注塑件及制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37488A (en) * 1972-05-05 1976-02-10 Irvin Industries Canada Limited Vehicle safety device
US4048398A (en) * 1976-09-02 1977-09-13 Aktiebolaget Tudor Battery electrode sheaths
US4259394A (en) * 1979-09-26 1981-03-31 Huyck Corporation Papermaking fabrics with enhanced dimensional stability
US4407885A (en) * 1981-01-28 1983-10-04 General Electric Company Composite article
US4500114A (en) * 1982-08-27 1985-02-19 Thiokol Corporation Device for controlled differential flow
JPS63302027A (ja) * 1987-06-03 1988-12-08 Daiyatetsukusu Kk 網状シ−ト
JPH02250243A (ja) * 1989-03-24 1990-10-08 Sony Corp 陰極線管とその製造方法
WO1990015713A1 (en) * 1989-06-16 1990-12-27 W.L. Gore & Associates, Inc. Air bag and laminates therefor and processes for making the laminates
JPH03112745A (ja) * 1989-09-26 1991-05-14 Toyo Tire & Rubber Co Ltd 車両用エアバッグの製造方法
US5071161A (en) * 1989-10-06 1991-12-10 501 Breed Automotive Technology, Inc. Air bag restraint system with venting means
JPH03243441A (ja) * 1990-02-21 1991-10-30 Toray Ind Inc エアバッグ
DE4009611A1 (de) * 1990-03-26 1991-10-02 Straehle & Hess Gasdurchlaessiges gewebe
JPH045144A (ja) * 1990-04-20 1992-01-09 Asahi Chem Ind Co Ltd エアーバッグ
JPH0492736A (ja) * 1990-08-08 1992-03-25 Ikeda Bussan Co Ltd エアバッグ装置
JP3014127B2 (ja) * 1990-08-16 2000-02-28 旭化成工業株式会社 積層布帛
JP2932666B2 (ja) * 1990-10-22 1999-08-09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
JPH04201649A (ja) * 1990-11-29 1992-07-22 Toray Ind Inc エアバッグ
JPH05156545A (ja) * 1991-12-10 1993-06-22 Takata Kk ノンコート織布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036215B2 (ja) 2000-04-24
US5713598A (en) 1998-02-03
DE4307921A1 (ko) 1993-09-23
GB2265122A (en) 1993-09-22
ITMI930502A1 (it) 1994-09-16
GB9305471D0 (en) 1993-05-05
JPH05262193A (ja) 1993-10-12
KR930019468A (ko) 1993-10-18
IT1272095B (it) 1997-06-11
ITMI930502A0 (it) 1993-03-16
FR2688750A1 (fr) 1993-09-24
FR2688750B1 (fr) 1996-06-28
GB2265122B (en) 1995-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60875B1 (ko) 에어백
US4840397A (en) Impact protection device for the occupants of motor vehicles with a filter to clean the driving gas
EP0600598B1 (en) Air bag cushion with fabric diffuser
KR100260387B1 (ko) 논코오트 직포 및 그의 제조방법
US5240283A (en) Air bag type occupant protector
KR101103804B1 (ko) 사이드 커튼형 에어백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백 시스템
JPH01122752A (ja) 自動車のためのエアバック
JPH04159158A (ja) エアバッグ
US5492362A (en) Airbag with controlled venting
US20040029468A1 (en) Side curtain typed airbag, and a process of preparing for the same
JP3139763B2 (ja) 乗員保護用エアーバッグ
JPH04372439A (ja) エアバッグ
JPH0382645A (ja) エアバッグ装置
JP3002659U (ja) エアバッグ
JP3613812B2 (ja) エアーバッグの製造方法
KR100279131B1 (ko) 자동차용 에어백
KR100658091B1 (ko) 사이드 커튼타입 에어백 및 그의 제조방법
KR970001740B1 (ko) 자동차용 에어백(air bag) 및 그 제조방법
KR100447501B1 (ko) 사이드 커튼 타입 에어백 및 그의 제조방법
JP2992129B2 (ja) 袋織エアバッグ
JPH04146838A (ja) エアーバッグ用袋体
KR100740301B1 (ko) 사이드 커튼타입 에어백용 원단 및 그의 제조방법
JPH04146839A (ja) エアーバッグ用袋体
JPH04135940A (ja) エアバッグ
JPH061190A (ja) エアーバッ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