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8091B1 - 사이드 커튼타입 에어백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사이드 커튼타입 에어백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8091B1
KR100658091B1 KR1020010001070A KR20010001070A KR100658091B1 KR 100658091 B1 KR100658091 B1 KR 100658091B1 KR 1020010001070 A KR1020010001070 A KR 1020010001070A KR 20010001070 A KR20010001070 A KR 20010001070A KR 100658091 B1 KR100658091 B1 KR 1006580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side curtain
curtain type
fabric
silicone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1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59911A (ko
Inventor
이상목
김광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오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오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오롱
Priority to KR1020010001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8091B1/ko
Priority to EP01981125A priority patent/EP1349751A4/en
Priority to US10/450,617 priority patent/US20040029468A1/en
Priority to CNA018218199A priority patent/CN1489536A/zh
Priority to PCT/KR2001/001804 priority patent/WO2002055347A1/en
Publication of KR20020059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99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8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80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2Curtain-type airbags deploying mainly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ir top e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9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ven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측면충돌 또는 전복시 자동차 측면 유리창이나 구조물에 의해 탑승자가 부상 당하는 것을 방지하는 사이드 커튼타입 에어백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열가소성 멀티필라멘트로 제직된 에어백용 원단으로 에어백의 상면과 하면을 각각 재단한 후 이들을 봉제하고, 봉제된 에어백의 상면과 하면 중 어느 일면 또는 양면 전체에 에멀젼형 실리콘수지를 균일하게 도포하고, 건조 및 경화시킴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공정이 간단하며 제조원가도 절감 할 수 있으며, 본 발명으로 제조된 사이드 커튼타입의 에어백은 공기배출 속도가 느려 자동차 전복시에도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 할 수 있다.
에어백, 에어백 원단, 액상, 실리콘수지, 도포, 경화, 공기배출, 측면보호, 커튼형, 스프레이

Description

사이드 커튼타입 에어백 및 그의 제조방법 {A side curtain typed airbag, and a process of preparing for the same}
본 발명은 자동차 전복시 탑승자가 자동차 측면 유리창이나 구조물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목적으로 자동차 측면 구조물에 설치하는 에어백(이하 "사이드 커튼타입의 에어백"이라고 한다)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백은 실리콘 고무, 클로로프렌 고무 등의 고무성분이 균일하게 코팅된 원단을 재단, 봉제하여 제조된다. 자동차 정면에 설치되는 통상의 에어백은 자동차 충돌시 폭발성 가스에 의해 신속하게 부풀려졌다가 다시 짧은시간 내에 에어백 내의 가스가 배출되어야만, 에어백에 의해 가해지는 탑승자의 2차 충격을 최소화 할 수 있고 운전자의 시야도 확보 할 수 있었다. 이를 위해 자동차 정면에 설치되는 종래 에어백 대부분에는 공기를 배출하는 구멍이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사이드 커튼타입의 에어백은 자동차가 전복 또는 구를 경우 자동차의 측면 유리창 또는 측면 구조물로부터 승객의 머리를 보호하는 장치이므로, 자동차가 뒤집혀 구르는 적어도 5초 동안에도 사이드 커튼타입의 에어백이 계속 부풀려 있어 승객의 머리부근을 안전하게 보호해 주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에어백의 봉제부위 및 원단으로 부터 가스가 필요 이상으로 새어나가는 일이 없어야 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사이드 커튼타입의 에어백에는 공기배출 구멍을 형성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봉제부위로 에어백내 가스가 너무 많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미국특허 5,685,347호에서는 에어백의 상부면과 하부면을 자카드 직기 상에서 동시에 직조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은 고가의 전자장비가 부착된 자카드 직기가 필요하고 직조준비를 위한 패턴입력이 매우 까다로운 문제가 있다. 더욱 상기 방법은 제직시 한번이라도 결함이 발생되는 경우 그 주변부위는 에어백용 원단으로 사용 할 수 없는 문제도 발생 하였다.
또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4-81342호, 동 4-197848호, 동 3-10946호 등에서는 클로로프렌 고무성분이 코팅된 원단을 봉제하여 에어백을 제조한 다음, 봉제부위의 틈새로 에어백내 가스가 배출되지 못하도록 봉제부위를 테이프 등으로 막는 실링공정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은 별도의 실링공정이 추가되므로 공정이 복잡하고 제조원가가 상승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실로콘고무가 코팅되어 인열강도가 높은 에어백용 원단을 봉제하여 에어백을 제조한 다음 봉제부위를 실링하지 않는 방법도 제안되고 있으나, 이 경우 봉제부위의 단위길이당 공기배출량이 많아 사이드 커튼타입 에어백으로는 부적합 하였다.
이상에서 설명한 종래 사이드 커튼타입 에어백들의 경우 봉제부위의 단위길 이당 공기배출량이 약 0.9L/분·cm (2.5KPa 압력으로 측정) 이상 수준으로 자동차 전복 등의 사고시 에어백의 부풀려진 상태가 5초 이상 유지 될 수 없다. 그 결과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 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이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봉제부위를 포함하는 전부분의 단위길이당 공기 배출량이 0.8L/분ㆍcm 미만인 사이드 커튼타입 에어백을 간소한 공정 및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폴리아마이드 원사로 제직된 에어백용 원단을 봉제하여 사이드 커튼타입 에어백을 제조한 다음, 그 일면 또는 양면(봉제부위 포함)을 에멀젼형 실리콘수지를 도포하는 간단한 공정으로 봉제부위를 포함하는 모든 부위의 단위 길이당 공기배출량이 0.8L/분ㆍcm 미만인 사이드 커튼타입 에어백을 제조하고자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봉제부위를 포함하는 모든 부위의 단위 길이당 공기배출량이 낮아 자동차 전복 등의 사고시 부풀려진 상태를 5초 이상 유지하여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 할 수 있는 사이드 커튼타입 에어백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이드 커튼타입 에어백의 제조방법은 열가소성 멀티필라멘트로 제직된 에어백용 원단으로 사이드 커튼타입 에어백을 제조함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용 원단으로 에어백의 상면과 하면을 각각 재단 한 후 이들을 봉제하고, 봉제된 에어백의 상면과 하면 중 어느 일면 또는 양면 전체에 에멀젼형 실리콘수지를 균일하게 도포하고, 건조 및 경화시킴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사이드 커튼타입 에어백은 열가소성 멀티필라멘트로 구성되는 에어백의 상면과 하면이 봉제에 의해 결합되어 있고, 에어백의 상면과 하면 중 어느 일면 또는 양면 모두에 에멀젼형 실리콘수지가 도포되어 있고, 봉제부위를 포함하는 전체 부위의 단위길이당 공기배출양(2.5KPa 압력으로 측정)이 0.8L/분·cm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은 열가소성 멀티필라멘트로 제직된 원단(에어백용 원단)으로 사이드 커튼타입 에어백의 상면과 하면을 각각 재단한 후, 이들을 봉제하여 사이드 커튼타입 에어백 형태로 제조한다. 이때 에어백용 원단을 구성하는 열가소성 멀티필라멘트로는 폴리아미드 또는 폴리에스테르 등을 사용 할 수 있으나, 더욱 바람직 하기로는 섬도가 210~420데니어인 폴리아미드 멀티필라멘트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사이드 커튼타입 에어백은 자동차의 측면에 설치되므로 종래 에어백에 비해 부피가 작아야 하므로 상기 원단을 구성하는 열가소성 멀티필라멘트의 섬도는 210~420데니어인 것이 바람직 하다.
다음으로는 봉제된 사이드 커튼타입 에어백의 상면과 하면 중 어느 일면 또는 양면 전체에 에멀젼형 실리콘수지를 균일하게 도포하고, 건조 및 경화시켜 본 발명의 사이드 커튼타입 에어백을 제조한다. 이때 에멀젼형 실리콘 수지를 에 어백의 상면 및/또는 하면에 스프레이 방식으로 도포하는 것이 연속공정에 더욱 유리 하다.
본 발명에서는 에멀젼형 실리콘수지 대신에 클로로프렌 고무 또는 우레탄고무를 도포 할 수 있으나 인열강도 및 공기 배출 방지 등을 위해서는 에멀젼형 실리콘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 하다.
에멀젼형 실리콘수지의 도포량은 경화시간 단축 및 수지 사용량 절약 등을 위해서는 10g/㎡~60g/㎡인 것이 바람직 하다. 10g/㎡ 미만인 경우에는 공기배출량이 많아져 에어백을 5초 이상 부풀려진 상태로 유지 할 수 없게되는 문제가 발생 될 가능성이 높고, 60g/㎡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경화시간이 길어지고 불필요하게 수지가 낭비되는 문제가 발생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에어백용 원단을 재단, 봉제한 다음 에어백의 상면과 하면 중 어느 일면이나 양면 모두에 에멀젼형 실리콘수지를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고무성분이 코팅되지 않는 에어백용 원단을 봉제한 다음, 그 위에 에멀젼형 실리콘 수지를 도포한다. 본 발명은 봉제부위만 테이프 등으로 실링하는 종래 방법과는 달리, 봉제부위를 포함하는 에어백의 전면에 에멀젼형 실리콘수지를 도포하므로서 종래 고무성분 코팅공정과 실링공정을 동시에 실시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공정이 간소하게 되고 제조원가도 저렴하게 된다.
본 발명으로 제조된 사이드 커튼타입 에어백은 봉제부위에 에멀젼형 실리콘수지가 도포되어 있으며, 에어백 전체부위의 단위길이당 공기배출량이 2.5KPa 압력 으로 측정시 0.8L/분ㆍcm 미만이다. 이와 같은 낮은 공기배출량으로 인해 자동차 전복 등의 사고발생시 본 발명으로 제조한 사이드 커튼타입 에어백은 적어도 5초 동안 팽창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어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 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살펴본다. 그러나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210데니어인 폴리아미드 66 멀티필라멘트를 경사 및 위사로 사용하여 평직물을 제직하고, 통상의 방법으로 정련 및 열고정 하여 원단밀도가 76본/인치×72본/인치인 에어백용 원단을 제조하였다. 상기 에어백용 원단으로 사이드 커튼타입 에어백의 상면과 하면을 각각 재단한 후 이들을 봉제 하였다. 봉제된 사이드 커튼타입 에어백의 상면과 하면 각각에 스프레이 방식으로 에멀젼 실리콘수지를 도포(도포량 35g/㎡) 하고, 계속해서 건조 및 경화시켜 사이드 커튼타입 에어백을 제조 하였다. 제조한 사이드 커튼타입 에어백의 봉제부위 및 봉제되지 않은 부위의 단위길이당 공기배출량을 2.5KPa 압력으로 측정한 결과는 모두 0.45L/분·cm 이였다.
실시예 2
315데니어인 폴리아미드 66 멀티필라멘트를 경사 및 위사로 사용하여 평직물을 제직하고, 통상의 방법으로 정련 및 열고정 하여 원단밀도가 60본/인치×60본/인치인 에어백용 원단을 제조하였다. 상기 에어백용 원단으로 사이드 커튼타입 에어백의 상면과 하면을 각각 재단한 후 이들을 봉제 하였다. 봉제된 사이드 커튼타입 에어백의 상면과 하면 각각에 스프레이 방식으로 에멀젼 실리콘수지를 도포(도포량 25g/㎡) 하고, 계속해서 건조 및 경화시켜 사이드 커튼타입 에어백을 제조 하였다. 제조한 사이드 커튼타입 에어백의 봉제부위 및 봉제되지 않은 부위의 단위길이당 공기배출량을 2.5KPa 압력으로 측정한 결과는 모두 0.63L/분·cm 이였다.
실시예 3
420데니어인 폴리아미드 66 멀티필라멘트를 경사 및 위사로 사용하여 평직물을 제직하고, 통상의 방법으로 정련 및 열고정 하여 원단밀도가 49본/인치×49본/인치인 에어백용 원단을 제조하였다. 상기 에어백용 원단으로 사이드 커튼타입 에어백의 상면과 하면을 각각 재단한 후 이들을 봉제 하였다. 봉제된 사이드 커튼타입 에어백의 상면과 하면 각각에 스프레이 방식으로 에멀젼 실리콘수지를 도포(도포량 35g/㎡) 하고, 계속해서 건조 및 경화시켜 사이드 커튼타입 에어백을 제조 하였다. 제조한 사이드 커튼타입 에어백의 봉제부위 및 봉제되지 않은 부위의 단위길이당 공기배출량을 2.5KPa 압력으로 측정한 결과는 모두 0.39L/분·cm 이였다.
비교실시예 1
210데니어인 폴리아미드 66 멀티필라멘트를 경사 및 위사로 사용하여 평직물을 제직하고, 통상의 방법으로 정련 및 열고정 한 후, 그 위에 코팅나이프로 실리콘고무를 도포(도포량 35g/㎡)하여 밀도가 70본/인치×70본/인치인 에어백용 원단을 제조하였다. 상기 에어백용 원단으로 사이드 커튼타입 에어백의 상면과 하면 을 각각 재단한 후 이들을 봉제 하여 사이드 커튼타입 에어백을 제조 하였다. 제조한 사이드 커튼타입 에어백의 봉제부위의 단위길이당 공기배출량을 2.5KPa 압력으로 측정한 결과는 모두 0.86L/분·cm 이였다.
비교실시예 2
315데니어인 폴리아미드 66 멀티필라멘트를 경사 및 위사로 사용하여 평직물을 제직하고, 통상의 방법으로 정련 및 열고정 한 후, 그 위에 코팅나이프로 실리콘고무를 도포(도포량 30g/㎡)하여 밀도가 60본/인치×60본/인치인 에어백용 원단을 제조하였다. 상기 에어백용 원단으로 사이드 커튼타입 에어백의 상면과 하면을 각각 재단한 후 이들을 봉제 하여 사이드 커튼타입 에어백을 제조 하였다. 제조한 사이드 커튼타입 에어백의 봉제부위의 단위길이당 공기배출량을 2.5KPa 압력으로 측정한 결과는 모두 0.88L/분·cm 이였다.
비교실시예 3
420데니어인 폴리아미드 66 멀티필라멘트를 경사 및 위사로 사용하여 평직물을 제직하고, 통상의 방법으로 정련 및 열고정 한 후, 그 위에 코팅나이프로 실리콘고무를 도포(도포량 35g/㎡)하여 밀도가 49본/인치×49본/인치인 에어백용 원단을 제조하였다. 상기 에어백용 원단으로 사이드 커튼타입 에어백의 상면과 하면을 각각 재단한 후 이들을 봉제 하여 사이드 커튼타입 에어백을 제조 하였다. 제조한 사이드 커튼타입 에어백의 봉제부위의 단위길이당 공기배출량을 2.5KPa 압력으로 측정한 결과는 모두 0.93L/분·cm 이였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봉제부분에 대한 별도의 실링공정을 생략 할 수 있어서 공정이 간소하고 제조비용이 저렴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사이드 커튼타입 에어백은 봉제부위를 포함하는 전 부분의 단위길이당 공기배출량이 낮아 자동차 전복시 부풀려진 상태를 5초 이상 유지하기 때문에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 할 수 있다.

Claims (5)

  1. 열가소성 멀티필라멘트로 제직된 에어백용 원단으로 사이드 커튼타입 에어백을 제조함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용 원단으로 에어백의 상면과 하면을 각각 재단한 후 이들을 봉제하고, 봉제된 에어백의 상면과 하면 중 어느 일면 또는 양면 전체에 에멀젼형 실리콘수지를 10g/㎡~60g/㎡의 도포량으로 균일하게 도포하고, 건조 및 경화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커튼타입 에어백의 제조방법.
  2. 1항에 있어서, 에어백의 상면과 하면 중 어느 일면 또는 양면에 에멀젼형 실리콘수지를 스프레이 방식으로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커튼타입 에어백의 제조방법.
  3. 삭제
  4. 열가소성 멀티필라멘트로 구성되는 에어백의 상면과 하면이 봉제에 의해 결 합되어 있고, 에어백의 상면과 하면 중 어느 일면 또는 양면 모두에 에멀젼형 실리콘수지가 도포되어 있고, 봉제부위를 포함하는 전체 부위의 단위길이당 공기배출양(2.5KPa 압력으로 측정)이 0.8L/분·cm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커튼타입 에어백.
  5. 4항에 있어서, 봉제부위 위에 에멀젼형 실리콘수지가 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커튼타입 에어백.
KR1020010001070A 2001-01-09 2001-01-09 사이드 커튼타입 에어백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6580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1070A KR100658091B1 (ko) 2001-01-09 2001-01-09 사이드 커튼타입 에어백 및 그의 제조방법
EP01981125A EP1349751A4 (en) 2001-01-09 2001-10-25 AIRBAG AS LATERAL CURTAI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10/450,617 US20040029468A1 (en) 2001-01-09 2001-10-25 Side curtain typed airbag, and a process of preparing for the same
CNA018218199A CN1489536A (zh) 2001-01-09 2001-10-25 边窗型气囊及其制造过程
PCT/KR2001/001804 WO2002055347A1 (en) 2001-01-09 2001-10-25 A side curtain typed airbag, and a process of preparing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1070A KR100658091B1 (ko) 2001-01-09 2001-01-09 사이드 커튼타입 에어백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9911A KR20020059911A (ko) 2002-07-16
KR100658091B1 true KR100658091B1 (ko) 2006-12-14

Family

ID=27691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1070A KR100658091B1 (ko) 2001-01-09 2001-01-09 사이드 커튼타입 에어백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80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1747B1 (ko) * 2006-08-24 2013-08-29 주식회사 엘지화학 운전석 에어백 마운팅 플레이트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운전석 에어백 마운팅 플레이트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02338A (ja) * 1992-01-23 1993-08-10 Shin Etsu Chem Co Ltd エアバッグ用コーティング組成物及びエアバッグ
KR950005907A (ko) * 1993-08-27 1995-03-20 에리히 프랑크 오르가노폴리실록산 미크로에멀젼의 제조방법
KR950010358A (ko) * 1993-09-17 1995-04-28 김광호 멀티 입력 모우드 절환회로
JPH10204294A (ja) * 1997-01-28 1998-08-04 Toshiba Silicone Co Ltd エマルジョン型シリコーン組成物およびエアバッグ
JP2000170079A (ja) * 1998-12-08 2000-06-20 Toyo Tire & Rubber Co Ltd エアバッグ用布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02338A (ja) * 1992-01-23 1993-08-10 Shin Etsu Chem Co Ltd エアバッグ用コーティング組成物及びエアバッグ
KR950005907A (ko) * 1993-08-27 1995-03-20 에리히 프랑크 오르가노폴리실록산 미크로에멀젼의 제조방법
KR950010358A (ko) * 1993-09-17 1995-04-28 김광호 멀티 입력 모우드 절환회로
JPH10204294A (ja) * 1997-01-28 1998-08-04 Toshiba Silicone Co Ltd エマルジョン型シリコーン組成物およびエアバッグ
JP2000170079A (ja) * 1998-12-08 2000-06-20 Toyo Tire & Rubber Co Ltd エアバッグ用布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9911A (ko) 2002-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3804B1 (ko) 사이드 커튼형 에어백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백 시스템
US6299965B1 (en) Inflatable fabrics comprising peel seams which become shear seams upon inflation
US7179762B1 (en) Motor vehicle air bag and fabric for use in same
EP1127968B1 (en) Integrally woven airbag
US20040029468A1 (en) Side curtain typed airbag, and a process of preparing for the same
US6713412B2 (en) Low permeability, high strength timing fabric for utilization within airbag inflation modules
EP1237712B1 (en) Inflatable fabric with peel seams
KR101103802B1 (ko) 사이드 커튼형 에어백, 그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에어백 시스템
KR100658384B1 (ko) 사이드 커튼타입의 에어백용 원단, 그의 제조방법 및 그의사이드 커튼타입 에어백
KR100658091B1 (ko) 사이드 커튼타입 에어백 및 그의 제조방법
EP3042806B1 (en) Airba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102349085B1 (ko) Opw 사이드 커튼 에어백
KR100740301B1 (ko) 사이드 커튼타입 에어백용 원단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447501B1 (ko) 사이드 커튼 타입 에어백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751980B1 (ko) 에어백용 원단의 제조 방법
CN217517238U (zh) 一种轻质面料
KR20020043729A (ko) 사이드 커튼타입 에어백용 원단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546462B1 (ko) 에어백용 원단.
KR20070057127A (ko) 사이드 커튼타입 에어백용 원단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10038356A (ko) 다중직물
KR20120078662A (ko) 사이드 커튼형 에어백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백 시스템
KR20100047969A (ko) 사이드 커튼형 에어백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백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