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4728B1 - 자동차용 좌석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좌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4728B1
KR100254728B1 KR1019970031513A KR19970031513A KR100254728B1 KR 100254728 B1 KR100254728 B1 KR 100254728B1 KR 1019970031513 A KR1019970031513 A KR 1019970031513A KR 19970031513 A KR19970031513 A KR 19970031513A KR 100254728 B1 KR100254728 B1 KR 1002547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cushion pad
airbag
seat back
guid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1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8721A (ko
Inventor
타다요시 코마쯔
Original Assignee
나까무라히로까즈
미쯔비시 지도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까무라히로까즈, 미쯔비시 지도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나까무라히로까즈
Publication of KR980008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87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47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47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7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vehicle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06Lateral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021/161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additional means for controlling deployment trajecto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옆충돌용 에어백을 좌석등받이내에 내장한 자동차용 좌석, 특히 에어백이 팽창하는 위치나 방향을 필요한 상태로 조정할 수 있는, 자동차용 좌석에 관한 것으로서, 옆충돌용 에어백을 좌석등받이내에 내장한 자동차용좌석에 있어서, 좌석등받이(1)의 표피에, 이 표피와는 이질의 다른 부재를 장비하는 일없이, 옆충돌용 에어백(17)을 신속하게 또한 정확하게 필요한 위치 및 필요한 방향으로 팽창시키기 위하여, 에어백모듈(3)을 좌석등받이(1)의 쿠션패드(11)내에 배설하는 동시에, 이 쿠션패드(11)에 있어서의 에어백(17)의 전개시에 이 에어백(17)이 당접하는 부분의 주위표면에, 쿠션패드(11)의 파단강도를 증대시켜, 에어백(17)의 팽창력에 대해서 파단하는 부분을 규정하는 안내부재(18)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좌석
본 발명은, 옆충돌용 에어백을 좌석등받이내에 내장한 자동차용 좌석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에어백이 팽창하는 위치나 방향을 필요한 상태로 조정할 수 있는, 자동차용 좌석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동차의 안전대책으로서, 에어백이 주목되고 있으며, 이미 보급되고 있다. 특히, 자동차의 충돌시에 탑승원의 앞면으로부터 팽창해서 탑승원의 앞쪽으로의 출돌을 완충하는 전후충돌용 에어백의 보급은 현저하나, 이에 의해서, 탑승원의 옆쪽으로부터 팽창하여 탑승원옆쪽보디의 탑승원으로의 충돌을 완충하는 옆충돌용 에어백(사이드에어백)도 개발이 진행되어, 이미 실용화되고 있다.
이와 같은 사이드에어백은, 옆충돌시에, 자동차의 사이드보디와 탑승원과의 사이에 팽창해서 사이드보디와 탑승원과의 충돌을 완충하는 것이나, 사이드보디와 탑승원과의 사이의 거리가 극히 짧기 때문에, 전후충돌용 에어백보다도 높은 팽창 응답성이 요구된다. 또, 이와 함께, 사이드에어백이 적절한 위치에 팽창하도록해서, 탑승원에의 충격완충을 확실한 것으로 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며 일본국 특개평 4-50052호 공보에는, 좌석등받이 옆부분에 사이드 에어백을 설치하고, 기폭제를 구비한 인플레이터의 위치설정에 의해 사이드에어백의 팽창방향을 안내하는 구조가 제안되고 있다.
또, 일본국 특개평 7-215159호 공보에는, 역시 좌석등받이 옆부분에 사이드 에어백을 설치하고, 안내수단에 의해 사이드에어백의 팽창방향을 안내하는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또, 일본국 특개평 7-228213호 공부에는, 좌석등받이의 사이드에어백의 팽창용 개구부에 장비된 리드(rid)에 의해 사이드에어백의 팽창방향을 규제하는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또한, 일본국 특개평 4-50052호, 동특개평 7-215159호의 것도, 좌석등받이에는 사이드에어백 팽창용의 개구부가 형성되고, 이 개구부에 리드가 장비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각각의 종래기술에서는, 사이드에어백이 리드를 구비한 개구부로부터 팽창하는 구조이므로, 리드가 좌석등받이의 표면으로부터 노출되게 되어, 양호한 외관을 확보하기 어렵게될 뿐만아니라, 리드는, 수지재 등의 좌석등받이의 표피와는 크게 촉감이 다른 이질적인 재료로 형성되기 때문에, 탑승원의 몸이 접촉하는 좌석등받이의 앞면쪽에는 장비할 수 없고, 결국, 좌석등받이의 측면에 설치하게 된다. 따라서 사이드에어백이 팽창하는 개구부도 좌석등받이의 측면에 형성하게 되어, 사이드에어백의 팽창방향이 규제당하게 된다고하는 과제가 있다.
그래서, 좌석등받이의 표피와는 이질적인 리드를 구비하지 않고 사이드에어백을 좌석등받이에 내장하는 구조가 요망되나, 이 경우, 이 리드에 의해 폐색되어 있던 개구부에 대해서도, 당연히 좌석등받이의 표피에 형성할 수 없다. 즉, 좌석 등받이의 표피에 개구부만을 형성해서 리드 등으로 폐색하지 않는 구조에서는 좌석등받이로서의 상품성이 결여된다.
좌석등받이에 이와 같은 개구부가 없으면, 좌석등받이내의 사이드에어백이 인플레이터에 의해 확장되었을 때, 사이드에어백의 팽창이 좌석등받이에 의해 저해되어서 좌석등받이밖으로 팽출하기 어렵게되고, 또, 가령 팽창해도, 이 팽창시의 응답성이 저하되기 쉽고, 또, 적절한 방향으로의 팽창도 곤란하게 된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에 비추어 창안된 것으로서, 좌석등받이의 표피에 이 표피와는 이질의 부재를 장비하는 일이 없도록 하면서, 옆충돌용 에어백을 내장하고, 또한 옆충돌용 에어백의 팽창을 신속하게 필요한 위치에서 및 필요한 방향으로 행할 수 있도록한, 자동차용 좌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로서의 자동차용 좌석의 좌석등받이(Seat back) 요부를 표시한 단면도이며, 제4도의 A-A에 따른 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로서의 자동차용 좌석의 좌석등받이(Seat back) 요부를 표시한 단면도이며, 제4도의 B-B에 따른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로서의 자동차좌석을 표시한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로서의 자동차좌석을 표시한 측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로서의 자동차용 좌석의 좌석등받이를 표시한 정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로서의 자동차용 좌석의 좌석등받이를 표시한 단면도이며, 제4도의 C-C에 따른 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로서의 자동차용 좌석의 좌석등받이를 표시한 단면도이며, 제4도의 D-D에 따른 단면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로서의 자동차용 좌석의 좌석등받이를 표시한 단면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로서의 자동차용 좌석의 좌석등받이를 표시한 도면이며, (a)는 좌석등받이 옆부분의 모식적인 정면도, (b)는 좌석등받이 옆부분의 모식적인 측면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로서의 자동차용 좌석의 좌석등받이 요부를 표시한 사시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로서의 자동차용 좌석의 좌석등받이의 쿠션패드의 제조를 설명하는 모식적인 사시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로서의 자동차용 좌석의 좌석등받이의 쿠션패드의 제조를 설명하는 모식적인 단면도.
제13도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의 변형예의 자동차용 좌석의 좌석등받이의 요부를 표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좌석등받이 2 : 좌석등받이옆부분
3 : 옆충돌용 에어백모듈 4 : 좌석쿠션
5 : 머리받침 6 : 좌석등받이프레임(프레임)
7 : 사이드서포트부재겸용 에어백모듈장착브래킷(장착브래킷)
7A : 장착브래킷(7)의 뒤가장자리부 7B : 장착브래킷(7)의 앞가장자리쪽
8 : 팽창시의 에어백형상 9 : 탑승원의 몸통을 모식화한 것
10 : 리클라이닝(reclining)용 힌지부
11 : 쿠션패드 12 : 공간
13 : 리클라이닝프레임 14 : 장착면
15 : 옆충돌용 에어백모듈(3)의 기재(基材)
16 : 볼트너트
17 : 사이드에어백본체(사이드에어백 또는 에어백)
18, 19 : 보강부재(포재) 18A, 18B : 보강부재(18)의 끝부분
20A~20C : 보강부재(18)의 제거부분(설치되지 않은 부분)
21A~21C : 쿠션패드(11)의 노치구멍
22 : 보강부재(18)의 긴구멍형상제거부(설치되지 않은 부분)
23 : 쿠션패드(11)의 홈형상노치구멍
24 : 하부금형 24A~24C : 돌기형상의 금형부분
25 : 상부금형 26 : 쿠션패드재료
P : 에어백(17)의 팽창부위(팽창시키고 싶은 부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옆충돌용시에 좌석으로부터 팽창하여 탑승원과 차체와의 사이에 전개가는 에어백(17)을 구비한 옆충돌용 에어백모듈을 좌석등받이(1)에 내장한 자동차용 좌석에 있어서, 상기 좌석등받이(1)는, 상기 옆충돌용 에어백모듈(3)이 내부에 배설되는 쿠션패드를 가지고, 이 쿠션패드(11)에는, 상기 에어백(17)의 전개시에 이 에어백(17)이 당접하는 부분의 주위에 표면에, 이 에어백(17)의 팽창력에 대해서 파단하는 부분(20)을 규정하는 안내부재(18)를 설치한 것이다. 이때, 상기 안내부재(18)는, 상기 쿠션패드(11)의 파단강도를 증대시키는 보강부재로서 상기 쿠션패드(11)의 상기 표며을 피복하도록 형성되면 좋다. 또, 상기 안내부재(18)는, 상기 쿠션패드(11)의 표면에 일체성형에 의해, 또는 접착에 의해 형성하면 좋다. 또, 상기 안내부재(18)는, 직포 또는 부직포 등의 섬유시트, 또는 수지시트 등의 유연성을 가진 시트형상재료이면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옆충돌용 에어백을 내장하면서, 일반좌석(옆충돌용 에어백을 내장하고 있지 않는 좌석)과 마찬가지의 외관으로 할 수 있어, 좌석의 외관을 양호하게 유지하면서, 에어백을 필요한 개소에서 필요한 방향으로 신속하게 팽창시킬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쿠션패드(11)의 상기 표면에는, 상기 안내부재(18)에 의해서 규정되는 파단부분(20)에 취약부(21)를 형성하면 좋다. 이때, 상기 취약부는, 상기 쿠션패드(11)에 형성된 노치부(21)로서 실현하면 좋고, 상기 좌석등받이(1)의 상하방향을 따라서 단속적으로 복수형성, 또는 상기 좌석등받이(1)의 상하방향을 따라서 긴홈형상으로 형성되면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에어백을 필요한 개소에서 필요한 방향으로 신속하게 팽창시키는 효과가, 더욱, 향상된다.
또한, 좌석등받이(1)는, 상기 쿠션패드(11)를 지지하는 좌석등받이프레임(6)을 또 가지고, 상기 에어백모듈(3)은, 상기 좌석등받이프레임(6)에 장착되면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서, 비교적 용이하게 에어백모듈을 실제로 장착할 수 있다.
이하,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면, 도 1~도 7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로서의 자동차용 좌석을 표시한 것이며, 도 8~도 13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로서의 자동차용 좌석을 표시한 것이다.
먼저 도 1~도 7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에 표시한 바와 같이, 본 자동차용 좌석에서는, 좌석등받이(1)의 옆부분(2)내에, 옆충돌용 에어백(3)이 내장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옆충돌용 에어백모듈(3)은, 사이드보디쪽(일반저그로는, 도어쪽)의 좌석등받이옆부분(2)에 상하방향으로 뻗어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는 우측좌석(예를 들면 우측핸들차의 운전석)을 예로설명하나, 좌측좌석(예를 들면 우측핸들차의 조수석)에 대해서는, 이것과 좌우대칭으로 구성되게 된다. 또한, 도 3중, (4)는 시트쿠션, (5)는 머리받침이다.
이와 같은 옆충돌용 에어백모듈(3)은, 도 4, 도 5에 표시한 바와 같이, 좌석등받이프레임(이하, 프레임이라함)(6)에 결합된 사이드서포트부재겸용 에어백모듈 장착브래킷(이하, 장착브래킷이라함)(7)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도 4, 도 5에 있어서, (8)은 팽창시의 에어백형상을 표시하며, (9)는 좌석에 착석한 탑승원의 몸통을 모식적으로 표시하고, (10)은 좌석등받이(1)의 리클라이닝용 힌지부를 표시한다.
즉, 도 1, 도 2, 도 6, 도 7에 표시한 바와 같이, 좌석등받이의 표면근처를 구성하는 쿠션패드(11)의 뒤쪽에는, 프레임(6)을 내장할 수 있는 공간(12)이 형성되고, 쿠션패드(11)는, 이 공간(12)내에 프레임(6)을 위치시키도록 해서 설치된다.
이와 같은 프레임(6)은, 좌석등받이(1)의 힌지부(10)에 결합되어 있으며, 좌석등받이(1)의 하부에는 리클라이닝프레임(13)이 프레임(6)에 결합되어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쿠션패드(11)의 뒤쪽의 공간(12)은, 프레임(6)이외에, 장착브래킷(7) 및 옆충돌용 에어백모듈(3)을 내장하는데 충분한 크기로 구성되어 있다. 장착브래킷(7)은, 좌석등받이옆부분(2)에 상하방향으로 뻗어있고, 뒤가장자리부(7A)를 프레임(6)에 용착 등에 의해 고착된다. 그리고, 장착브래킷(7)의 좌석등받이 표면에 접근한 앞가장자리쪽(7B)에는, 옆충돌용 에어백모듈(3)을 장착하는 장착면(14)이 형성되고, 옆충돌용 에어백모듈(3)은, 이 장착면(14)에 고정되어, 쿠션패드(11)의 뒷면후방에 배설된다.
이에 의해, 좌석등받이(1)의 골격을 형성하는 프레임(6), 리클라이닝프레임(13) 및 장착브래킷(7), 옆충돌용 에어백모듈(3)은, 외부에 촉감으로서는 영향을 주지않도록, 강성 및 두께가 조정된 쿠션패드(11)에 의해 덮혀진 상태로 되어 있다.
또, 장착면(14)은, 사이드보디와는 반대쪽인 차체안쪽(도 1, 도 2중에서는 좌측)이고, 또한 차체앞쪽(도 1, 도 2중에서는 위쪽)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배설되어 있으며, 옆충돌용 에어백모듈(3)은 그 기재(基材)(15)를 장착면(14)에 볼트· 너트(16)의 체결에 의해 고정시킨다.
옆충돌용 에어백모듈(3)내에는, 사이드에어백본체(단순히, 사이드에어백 또는 에어백이라고도함)(17)가, 내장되어 있으며, 이 에어백(17)은 도시하지않은 인플레이터로부터의 가스에 의해 팽창한다. 차량이, 필요의 힘(일반적으로는, 필요의 가속도)이상의 옆충돌힘을 받으면 내장된 기폭제가 폭발해서 에어백(17)에 가스를 방출하도록 되어있다.
또, 에어백(17)은, 기재(15)보다도 차체앞쪽에 설치됨으로, 기재(15)에 안내되어서 거의 차체앞쪽으로 팽창하도록 되어 있다. 또, 도시하지 않는 인플레이터도 에어백(17)보다도 차체뒤쪽에 설치되어, 에어백(17)의 차체앞쪽으로의 팽창을 안내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재(15)나 인플레이터의 배치에 의한 에어백(17)의 팽창안내는 조잡한 것이며, 팽창위치나 팽창방향을 섬세하게 안내할 수는 없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다음과 같은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즉, 도 1, 도 2에 표시한 바와 같이, 쿠션패드(11)의 뒷면에는, 이 쿠션패드(11)의 강도를 증대시키는 보강부재(18)가 형성되어 있다. 이 보강부재(18)에는, 어느정도의 두께를 가진 포재(布材)가 사용되고 있다.
이 보강부재(18)는, 옆충돌용 에어백모듈(3)의 설치개소보다 충분히 좌석등받이 중앙가까이로부터 옆충돌용에어백모듈(3)의 설치개소의 앞쪽에 이르도록 배설되어 있으며, 특히, 옆충돌용 에어백모듈(3)의 설치개소의 앞쪽에서는, 에어백(17)의 팽창부위(팽창시키고 싶은 부위)P와 대응한 개소(18A)까지 배설되어 있다. 반대로 말하면, 보강부재(18)는, 에어백(17)의 팽창부위P와 대응한 개소에는 배설되어 있지 않다.
여기서, 포재가 보강부재(18)로서 기능하는 점을 설명한다.
즉, 쿠션패드(11)는, 통상, 금형틀내에 재료를 주입해서 이것을 가열 등에 의해 발포시킴으로서 필요한 형상 또는 필요한 강성의 쿠션재로서 성형되나, 이 성형시에, 미리 금형틀내의 필요한 개소에 보강부재로서의 포재(18)를 설치해놓고, 그 위에서 재료를 주입하여 이것을 경화시킴으로써, 성형후의 쿠션패드(11)의 필요한 개소의 표면에 포재(18)가 고착되게 된다.
이 성형시에는, 쿠션패드(11)의 표피부분, 즉, 금형틀에 접촉하는 부분의 근처에, 액화된 쿠션패드재료가 집합하기 쉽고, 이 재료의 경화후는 다른 부분(쿠션 패드(11)의 안쪽부분)보다도 이 표피부분이 보다 강성이나 강도가 높아진다고하는 특성이 있다.
따라서, 성형시에 미리 쿠션패드(11)의 표피부분에 포재(18)를 설치해두면, 이 포재(18)의 내부에, 액화된 쿠션패드재료가 함침(含浸)하고, 함침한 쿠션패드재료가 포재(18)내에서 경화하게 된다. 이와 같은 포재(18)의 존재에 의해, 표피부분에서 보다 경화된 경화층이 두껍게되어, 표피부분의 강성이나 강도가 한층 높아지고, 포재(18)가 보강부재로서 기능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원리 때문에, 보강부재로서의 포재(18)의 두께가 큰쪽이, 포재(18)에의 쿠션패드재료의 함침이 증가해서 쿠션패드(11)의 표피부분의 경화가 촉진되게 된다. 따라서, 보강부재로서의 포재(18)의 두께는, 쿠션패드(11)의 표피부분의 경화를 촉진하고 싶은 정도에 따라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보강부재(18)에 의한 쿠션패드(11)의 뒷면의 강화에 의해서, 쿠션패드(11)의 뒷면쪽의 강도나 강성이 높아지게 되나, 보강부재(18)가 없는 부분은, 상대적으로 강도나 강성이 낮아지는 것으로 되며, 특히, 이 경계, 즉, 보강부재(18)의 끝부분(18A),(18B)부근은, 응력이 집중되기 쉽고, 부분적으로 강도가 저하한다.
특히, 옆충돌용 에어백모듈(3)의 앞쪽에서, 에어백(17)의 팽창범위 또는 에어백(17)의 팽창부위와 대응한 개소P에 위치하는 보강부재(18)의 끝부분(18A)부근에서는, 이와 같은 강도저하에 의해, 에어백(17)의 팽창시에는, 이 팽창한 에어백(17)의 압압에 의해, 먼저, 이 보강부재(18)의 끝부분(18A)이 파단해서, 이 파단개소로부터 에어백(17)이 좌석등받이(1)의 외부로 팽창해가도록 되어있다.
또한, 이 보강부재(18)의 끝부분(18A)은, 직선형상으로 상하방향으로 뻗어있으며, 역시 상하방향으로 뻗어있는 옆충돌용 에어백모듈(3)내의 에어백(17)의 팽창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뻗은 끝부분(18A)이 직선형상으로 파단해서, 이 결과, 상하방향으로 뻗어있는 에어백(17)이, 상하방향전체에 걸쳐서 신속하게 팽창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로서의 자동차용 좌석은,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음으로, 좌석등받이(1)의 표면에 리드와 같은 다른부재를 장비하는 일없이, 즉, 사이드에어백(17)을 내장하지 않는 좌석등받이와 마찬가지의 좌석표면상태로 하면서, 내부에 사이드에어백(17)을 가진 옆충돌용 에어백모듈(3)을 내장하고, 또한, 에어백(17)을 필요개소에서 필요방향으로 신속하게 팽창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에어백(17)이 팽창할때에는, 옆충돌용 에어백모듈(3)(즉, 에어백(17))의 앞쪽에 쿠션패드(11)의 뒷면에 있어서, 보강부재(18)의 끝부분(잘리부분)(18A)이 다른 부위에 비해서 부분적으로 강도가 낮게되어 있으므로, 팽창한 에어백(17)이 쿠션패드(11)의 뒷면을 압압하면 이 보강부재(18)의 끝부분(18A)부근에 있어서, 쿠션패드(11)가 상하방향으로 직선형상으로 파단해서, 이 결과, 상하방향으로 뻗어있는 에어백(17)이, 상하방향전체에 걸쳐서 신속하게 팽창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쿠션패드(11)의 파단에 의해서 에어백(17)을 팽창시키면, 보강부재(18)의 끝부분(18A)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만으로, 소망의 개소에 소망의 방향으로 또한 신속하게 에어백(17)의 팽창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보강부재(18)의 끝부분(18A)의 위치조정에 의해, 에어백(17)의 팽창개소의 조정과 동시에, 끝부분(18A)과 에어백(17) 및 인플레이터와의 위치관계가 조정되어서, 에어백(17)의 팽창방향의 조정도 행하여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자동차용 좌석에서는, 좌석등받이(1)의 양호한 외관, 즉 사이드에어백없는 것과 마찬가지의 외관을 확보하면서, 사이드에어백으로서 요구되는 조건, 즉, 필요시에 있어서의 신속한 팽창과, 필요한 개소(즉, 탑승원보호에 필요한 개소)에의 팽창을 확실하게 실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보강부재로서의 포재(18)는, 좌석등받이(1)의 강도나 강성을 향상시킬 뿐만아니라, 쿠션패드(11)와 프레임(6) 등의 금속과의 사이에 개재함으로써, 쿠션패드(11)와 프레임(6)과의 직접 접촉에 의한 이상한 소리(마찰음)의 발생을 억지하는 효과도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보강부재(18)를 옆충돌용 에어백모듈(3)의 설치개소보다도 충분히 좌석등받이 중앙가까이로부터 옆충돌용 에어백모듈(3)의 설치개소의 앞쪽에 이르도록 배설하고 있으나, 이 보강부재(18)는, 또 다른 개소에도 배설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2에 쇄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팽창부위(팽창시키고 싶은 부위)P의 바깥쪽(사이드보디쪽)에도 보강부재(19)를 배설해도 된다. 즉, 팽창부위(팽창시키고 싶은 부위)P에 대응하는 부위 1개소에만, 강도가 약한 부분을 형성하도록 하면 된다.
이 강도가 약한 부분이란, 보강부재(18)가 설치되어 있지 않는 부분, 특히, 보강부재(18)의 잘린부분이 되나, 이것은, 물론, 팽창하는 에어백(17)의 형상에 따라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여기서는, 상하방향으로 뻗어있는 에어백(17)에 따라서 강도가 약한 부분을 상하방향으로 뻗어있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어떻든, 본좌석의 구조에서는, 팽창시키고 싶은 부위P가 어디에 있어도 용이하게 이것에 대응할 수 있다.
다음에, 도 8~도 13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도, 도 9, 도 10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제 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좌석등받이(1)의 옆부분(2)내에, 상항방향으로 뻗어있도록 옆충돌용 에어백모듈(3)이 내장된다. 또, 옆충돌용 에어백모듈(3)은, 쿠션패드(11)의 뒤쪽의 공간(12)에 내장되고, 프레임(6)에 결합된 장착브래킷(7)을 개재해서 고정되어 있다.
물론, 옆충돌용 에어백모듈(3)내에는, 인플레이터로부터의 가스에 의해 팽창하는 사이드에어백본체(사이드에어백 또는 에어백(17)가 내장되어 있다.
그리고, 쿠션패드(11)의 뒷면에는, 역시, 이 쿠션패드(11)의 강도를 증대시키는 보강부재로서, 어느정도의 두께를 가진 포재(18)가 피복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8, 도 10에 표시한 바와 같이, 보강부재(포재)(18)에 있어서의 에어백(17)의 팽창부위(팽창시키고 싶은 부위)P와 대응한 개소가, 부분적으로 형성되어 있지않는 (제거부분을 부호(20A~20C)로 표시함)동시에, 쿠션패드(11)의 뒷면의 에어백팽창부위P와 대응한 개소, 즉, 보강부재(포재)(18)의 제거부분과 대응한 개소에, 노치구멍(21A~21C)이 형성되어 있다. 즉, 제거부분(20A)과 대응해서 노치구멍(21A)이, 제거부분(20B)과 대응해서 노치구멍(21B)이, 제거부분(20C)과 대응해서 노치구멍(21C)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특히, 여기서는, 보강부재(포재)(18)의 제거부분(20A~20C)과 노치구멍(21A~21C)이 상하방향으로 분할되어서 복수형성되어 있으며, 또, 이들 보강부재(포재)(18)의 제거부분(20A~20C)과 노치구멍(21A~21C)이 거의 꼭맞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여기서는, 노치구멍(21A~21C)은 팽창방향으로 뾰족한 쐐기형으로 형성된다.
이외의 부분은 제 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구성됨으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로서의 자동차용 좌석은,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음으로, 제 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사이드에어백(17)을 내장하지 않는 좌석등받이와 마찬가지의 좌석표면상태로 하면서, 내부에 사이드에어백(17)을 가진 옆충돌용 에어백모듈(3)을 내장하고, 또한, 에어백(17)을 필요개소에서 필요방향으로 신속하게 팽창시키는 것을 할 수 있게된다.
여기서는, 에어백(17)이 팽창할때에는, 옆충돌용 에어백모듈(3)(즉, 에어백(17))의 앞쪽의 쿠션패드(11)의 뒷면에 있어서, 보강부재(18)의 제거부분(20A)~(20C) 및 쿠션패드(11)의 노치구멍(21A~21C)이 배열된 상하방향의 직선형상으로, 다른 부위에 비해서 부분적으로 강도가 낮게되어있으므로, 팽창한 에어백(17)이 쿠션패드(11)의 뒷면을 압압하면 이부분(제거부분(20A~20C), 노치구멍(21A~21C))에 있어서, 쿠션패드(11)가 상하방향으로 직선형상으로 파단해서, 이 결과, 상하방향으로 뻗어있는 에어백(17)이, 상하방향전체에 걸쳐서 신속하게 팽창한다.
또, 노치구멍(21A~21C)은 팽창방향으로 뾰족한 쐐기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팽창을 보다 확실하게 안내한다.
따라서, 보강부재(18)의 끝부분(18A)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만으로, 소망의 개소에 소망의 방향으로 또한 신속하게 에어백(17)의 팽창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보강부재(18)의 제거부분(20A~20C) 및 쿠션패드(11)의 노치구멍(21A~21C)의 위치조정에 의해, 에어백(17)의 팽창개소의 조정과 동시에, 끝부분(18A)과 에어백(17) 및 인플레이터와의 위치관계가 조정되어서, 에어백(17)의 팽창방향의 조정도 행하여지게 된다.
물론, 제 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팽창시키고 싶은 부위P가 어디에 있어도 용이하게 이에 대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2실시예에서도, 좌석등받이(1)의 양호한 외관, 즉 사이드에어백없는 것과 마찬가지의 외관을 확보하면서, 사이드에어백으로서 요구되는 조건, 즉, 필요시에 있어서의 신속한 팽창과, 필요한 개소(즉, 탑승원보호에 필요한 개소)에의 팽창을 확실하게 실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쿠션패드(11)의 노치구멍(21A~21C)을, 복수로 분할해서 단속적으로 형성하고 있는 것은, 쿠션패드(11)의 강성을 조정하기 위해서이다.
즉, 예를 들면 도 13에 표시한 바와 같이, 쿠션패드(11)의 노치구멍을 상하 방향으로 뻗어있는 홈형상의 것(홈형상노치구멍)(23)으로해서, 보강부재(18)의 제거부분도 이것에 대응해서 상하방향으로 뻗어있는 긴구멍형상의 것(긴구멍형상제거부)(22)으로해도 되나, 이와 같은 홈형상의 노치구멍(21A)은, 쿠션패드(11)의 표면쪽의 강성저하를 초래하고, 쿠션패드(11)의 옆부분의 변형이 커지고, 이 부분의 내구성이 저하하는 염려가 있다.
그래서, 노치구멍(21A~21C)을 복수로 분할해서 형성하고, 강성저하를 억제해서 쿠션패드(11)의 내구성을 확보하면서, 사이드에어백의 팽창을 안내하여, 사이드에어백의 신속하고 또한 소정위치에서 소정방향으로의 팽창을 행하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물론, 이와 같은 내구성상에서 문제가 없으면, 도 13에 표시한 바와 같이, 쿠션패드(11)의 노치구멍을 상하방향으로 뻗어 있게하는 홈형상노치구멍(23)으로해서, 보강부재(18)의 제거부도 이것에 대응해서 상하방향으로 뻗어있는 긴구멍형상제거부(22)로 해도 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쿠션패드(11)의 성형시에, 미리 금형틀내의 필요개소에 보강부재로서의 포재(18)를 설치해 둘때의 포재(18)의 위치결정이나 고정이 용이하게 되는 이점도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좌석쿠션옆부분(2)의 쿠션패드(11)의 뒷면형상은, 도 11, 도 12에 표시한 바와 같이 형성되며, 도면중의 하부금형(24)에는, 노치구멍(21A~21C)에 대응한 돌기형상의 금형부분(24A~24C)이 형성된다. 또한, (25)는 상부금형, (26)은 쿠션패드재료이다.
쿠션패드(11)의 성형에 있어서, 상기 하부금형(24)위에 포재(18)가 설치되나, 포재(18)에는 노치구멍(21A~21C)에 대응한 제거부(20A~20C)가 형성됨으로, 이 제거부분(20A~20C)을 돌기형상의 금형부분((24A~24C)에 걸어맞춤시킴으로써, 포재(18)의 위치결정 및 고정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에 의해 쿠션패드(11)의 성형작업이 향상된다.
또한, 쿠션패드(11)의 노치구멍(21A~21C) 및 포재(18)에 제거부분(20A~20C)의 개수나 형상은, 제 2실시예의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제 2실시예에서는, 쿠션패드(11)의 노치구멍(21A~21C)과 함께 포재(18)에 제거부분(20A~20C)을 형성하였으나, 쿠션패드(11)의 노치구멍(21A~21C)만을 형성해도 에어백(17)의 팽창성능향상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물론, 이 경우도, 노치구멍의 개수나 형상은, 제 2실시예의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노치홈의 형상은, 에어백(17)의 팽창방향을 안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도 13에 표시한 바와 같은 단일의 노치구멍도 생각할 수 있고, 또, 도 13에 표시한 바와 같은 홈형상의 노치구멍을 복수형성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또, 포재(18)의 제거부분(20A~20C)만을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도, 제거부분(20A~20C)의 개수나 형상은, 제 2실시예의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단일의 것도 생각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 1실시예에 가까운 구성으로 된다. 어떻든, 보강부재(18)의 제거부분만으로 팽창을 안내하는 경우, 제거부분의 좌우폭은 적은 쪽이(즉, 제거부분이 상하방향으로 직선에 가까운 상태일수록) 에어백(17)의 팽출 안내정밀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 보강부재(18)는, 포재에 한정되지 않고, 적당한 강도향상에 의해, 주위 또는 제거부분에 부분적으로 강도가 낮은 부분을 형성할 수 있으면 되며, 수지성의 필름이나 플레이트 등의 다른 재료라도 된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차용 좌석에 의하며, 옆충돌용에어백을 내장하면서, 일반적인 좌석(옆충돌용 에어백을 내장하고 있지않는 좌석)과 마찬가지의 외관으로 할 수 있고, 좌석의 외관을 양호하게 유지하면서, 에어백을 필요개소에서 필요방향으로 신속하게 팽창시키는 것을 할 수 있게된다고 하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또, 제 2실시예와 같이 구성하면, 에어백을 필요개소에서 필요방향으로 신속하게 팽창시키는 효과를 더욱 향상시키는 것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14)

  1. 옆충돌시에 좌석으로부터 팽창하여 탑승원과 차체와의 사이에 전개하는 에어백(17)을 구비한 옆충돌용 에어백모듈을 좌석등받이(1)에 내장한 자동차용 좌석에 있어서, 상기 좌석등받이(1)는, 상기 옆충돌용 에어백모듈(3)이 내부에 배설되는 쿠션패드를 가지고, 이 쿠션패드(11)에는, 상기 에어백(17)의 전개시에 이 에어백(17)이 당접하는 부분의 주위에 표면에, 이 에어백(17)의 팽창력에 대해서 파단하는 부분(20)을 규정하는 안내부재(18)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좌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18)는 상기 쿠션패드(11)의 파단강도를 증대시키는 보강부재로서 상기 쿠션패드(11)의 상기 표면을 피복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좌석.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18)는, 상기 쿠션패드(11)의 표면에 일체성형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좌석.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18)는, 상기 쿠션패드(11)의 표면에 접착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좌석.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18)는, 유연성을 가진 시트형상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좌석.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18)는, 섬유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좌석.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시트는, 직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좌석.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시트는, 부직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좌석.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18)는, 수지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좌석.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패드(11)의 상기 표면에는, 상기 안내부재(18)에 의해서 규정되는 파단부분(20)에 취약부(2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좌석.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취약부는, 상기 쿠션패드(11)에 형성된 노치부(2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좌석.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부(21)는, 상기 좌석등받이(1)의 상하방향을 따라서 단속적으로 복수형성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좌석.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부(21)는, 상기 좌석등받이(1)의 상하방향을 따라서 긴홈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좌석.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등받이(1)는, 상기 쿠션패드(11)를 지지하는 좌석등받이프레임(6)을 또 가지고, 상기 에어백모듈(3)은, 상기 좌석등받이프레임(6)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좌석.
KR1019970031513A 1996-07-09 1997-07-08 자동차용 좌석 KR1002547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7962896A JP3358450B2 (ja) 1996-07-09 1996-07-09 自動車用座席
JP96-179628 1996-07-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8721A KR980008721A (ko) 1998-04-30
KR100254728B1 true KR100254728B1 (ko) 2000-05-01

Family

ID=16069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1513A KR100254728B1 (ko) 1996-07-09 1997-07-08 자동차용 좌석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206466B1 (ko)
EP (1) EP0818365B1 (ko)
JP (1) JP3358450B2 (ko)
KR (1) KR100254728B1 (ko)
DE (1) DE69717016T2 (ko)
MY (1) MY118689A (ko)
TW (1) TW37474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97783B2 (ja) * 1996-07-12 2005-09-21 マツダ株式会社 車体側部のエネルギ吸収構造
US6059354A (en) * 1997-09-24 2000-05-09 Rajasingham; Arjuna Indraeswaran Easy ejector seat with skeletal crash safety beam
US6450528B1 (en) * 1998-10-01 2002-09-17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Vehicle seat housing an airbag device
DE10018407B4 (de) * 2000-04-13 2007-12-06 Adam Opel Ag Karosserie eines Kraftfahrzeuges mit einem Sitzmodul
DE10042850A1 (de) * 2000-08-30 2002-03-14 Hammerstein Gmbh C Rob Rückenlehne eines Kraftfahrzeugsitzes mit einem Rückenlehnenrahmen als Blechpressteil
DE10137824C2 (de) * 2001-08-02 2003-05-28 Daimler Chrysler Ag Insassenrückhaltesystem im Fondbereich eines Kraftfahrzeugs
DE10137634A1 (de) * 2001-08-03 2003-02-20 Daimler Chrysler Ag Sicherheitseinrichtung für einen Kraftwagensitz
AU2003237652A1 (en) 2002-06-07 2003-12-22 Autoliv Development Ab Electrically insulated fixing device for an airbag module
GB2397048A (en) * 2003-01-10 2004-07-14 Autoliv Dev Vehicle seat comprising airbag
ATE303921T1 (de) 2003-04-02 2005-09-15 Verbesserung in einer oder bezüglich einer an einem sitz befestigten gassackeinheit
DE102004051663B4 (de) * 2004-09-24 2008-09-11 F.S. Fehrer Automotive Foam Gmbh Schaumkörper zur Herstellung eines Fahrzeugsitzes mit Airbagmodul
JP4760533B2 (ja) * 2006-05-26 2011-08-31 豊田合成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US7641226B2 (en) 2006-11-01 2010-01-05 Autoliv Development Ab Side airbag module with an internal guide fin
DE102006053601A1 (de) * 2006-11-14 2008-05-15 Lear Corp., Southfield Abgesicherter Kraftkonzentrator in einem fahrzeugbezogenen Polster zum Rückhalten und Auslösen eines Airbags
DE102006053911B4 (de) * 2006-11-15 2010-07-22 Lear Corp., Southfield Seitenairbaganordnung für einen Fahrzeugsitz
DE102007022620B4 (de) * 2007-05-15 2013-08-29 Lear Corp. Fahrzeugsitz mit einem integrierten Airbag-Modul
US9120411B2 (en) * 2008-07-14 2015-09-01 Lear Corporation Automotive seat foam pad assembly
US8113539B2 (en) * 2008-07-29 2012-02-14 Lear Corporation Automotive seat trim cover
JP5349906B2 (ja) * 2008-10-29 2013-11-20 トヨタ紡織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のクッション構造体
JP5309956B2 (ja) * 2008-12-18 2013-10-09 マツダ株式会社 シート用サイドエアバッグ構造
DE102009005308B4 (de) * 2009-01-16 2011-02-24 Faurecia Autositze Gmbh Fahrzeugsitz
DE102010001772B4 (de) * 2010-02-10 2021-03-18 Lear Corp. Fahrzeugsitzanordnung mit Sitzpolster-Schutzelement
DE102010051521A1 (de) * 2010-11-16 2012-05-16 Trw Automotive Gmbh Rückenlehne eines Fahrzeugsitzes sowie Fahrzeugsitz mit einer solchen Rückenlehne
DE102011002561B4 (de) 2011-01-12 2019-01-31 Lear Corp. Airbag mit einteiligem Schutzelement
DE102011002559A1 (de) 2011-01-12 2013-03-21 Lear Corporation Fahrzeugsitzanordnung mit Airbag-Schutzelement
US9030822B2 (en) 2011-08-15 2015-05-12 Lear Corporation Power module cooling system
DE102011086471A1 (de) * 2011-11-16 2013-05-16 Lear Corporation Fahrzeugsitzanordnung mit Airbag an innenliegender Seite
US9076593B2 (en) 2011-12-29 2015-07-07 Lear Corporation Heat conductor for use with an inverter in an electric vehicle (EV) or a hybrid-electric vehicle (HEV)
US8971041B2 (en) 2012-03-29 2015-03-03 Lear Corporation Coldplate for use with an inverter in an electric vehicle (EV) or a hybrid-electric vehicle (HEV)
US8971038B2 (en) 2012-05-22 2015-03-03 Lear Corporation Coldplate for use in an electric vehicle (EV) or a hybrid-electric vehicle (HEV)
US8902582B2 (en) 2012-05-22 2014-12-02 Lear Corporation Coldplate for use with a transformer in an electric vehicle (EV) or a hybrid-electric vehicle (HEV)
US9592789B2 (en) * 2012-07-25 2017-03-14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Side airbag deployment direction control structure
US9211820B2 (en) 2012-11-01 2015-12-15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Child safety seat with side impact energy redirection
DE102012224178A1 (de) 2012-12-21 2013-03-28 Takata AG Seitenairbag für Kraftfahrzeuge
US8820780B2 (en) * 2013-01-16 2014-09-0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eat with side airbag guide chute
US9016784B2 (en) 2013-01-24 2015-04-2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Thin seat leg support system and suspension
US9096157B2 (en) 2013-01-24 2015-08-0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ating assembly with air distribution system
US9409504B2 (en) 2013-01-24 2016-08-0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Flexible seatback system
US9061616B2 (en) 2013-01-24 2015-06-2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rticulating headrest assembly
US9216677B2 (en) 2013-01-24 2015-12-2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Quick-connect trim carrier attachment
US9126508B2 (en) 2013-01-24 2015-09-0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Upper seatback pivot system
US9126504B2 (en) 2013-01-24 2015-09-0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tegrated thin flex composite headrest assembly
US9016783B2 (en) 2013-01-24 2015-04-2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Thin seat flex rest composite cushion extension
US9902293B2 (en) 2013-01-24 2018-02-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dependent cushion extension with optimized leg-splay angle
US9399418B2 (en) 2013-01-24 2016-07-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dependent cushion extension and thigh support
US9415713B2 (en) 2013-01-24 2016-08-1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Flexible seatback system
US8727374B1 (en) 2013-01-24 2014-05-2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seatback with side airbag deployment
EP2805848B1 (en) * 2013-05-22 2018-09-26 Fabricacion Asientos Vehiculos Industriales, S.A. Seat for vehicles
US9193284B2 (en) 2013-06-11 2015-11-2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rticulating cushion bolster for ingress/egress
US9527418B2 (en) 2013-09-12 2016-12-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mi rigid push/pull vented envelope system
US8905431B1 (en) 2013-09-24 2014-12-0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ide airbag assembly for a vehicle seat
US9187019B2 (en) 2013-10-17 2015-11-1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Thigh support for customer accommodation seat
US9505322B2 (en) 2013-10-25 2016-11-2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anual lumbar pump assembly
US9315130B2 (en) 2013-11-11 2016-04-1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rticulating head restraint
US9566884B2 (en) 2013-11-11 2017-02-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owered head restraint electrical connector
US9365143B2 (en) 2013-12-12 2016-06-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Rear seat modular cushion
US9315131B2 (en) 2014-01-23 2016-04-1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uspension seat back and cushion system having an inner suspension panel
US9649963B2 (en) 2014-03-04 2017-05-16 Ford Global Technologies, Pllc Trim and foam assembly for a vehicle seat
US9527419B2 (en) 2014-03-31 2016-12-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seating assembly with manual cushion tilt
US9302643B2 (en) 2014-04-02 2016-04-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seating assembly with side airbag deployment
US9421894B2 (en) 2014-04-02 2016-08-2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seating assembly with manual independent thigh supports
US9362040B2 (en) 2014-05-15 2016-06-07 Lear Corporation Coldplate with integrated electrical components for cooling thereof
US9615490B2 (en) 2014-05-15 2017-04-04 Lear Corporation Coldplate with integrated DC link capacitor for cooling thereof
US9694741B2 (en) 2014-08-25 2017-07-0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mbient functional lighting of a seat
US10471874B2 (en) 2014-09-02 2019-11-1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assage bladder matrix
US9789790B2 (en) 2014-10-03 2017-10-1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Tuned flexible support member and flexible suspension features for comfort carriers
US9333882B2 (en) 2014-10-03 2016-05-1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anual upper seatback support
US9776533B2 (en) 2014-10-03 2017-10-0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Torsion bar upper seatback support assembly
US9771003B2 (en) 2014-10-29 2017-09-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pparatus for customizing a vehicle seat for an occupant
US9340131B1 (en) 2014-11-06 2016-05-1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Head restraint with a multi-cell bladder assembly
US9517777B2 (en) 2014-11-06 2016-12-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Lane departure feedback system
US10065570B2 (en) 2014-12-10 2018-09-0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Electronic device holder for a vehicle seat
US9593642B2 (en) 2014-12-19 2017-03-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omposite cam carrier
US9663000B2 (en) 2015-01-16 2017-05-3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seat configured to improve access
US9365142B1 (en) 2015-01-20 2016-06-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anual independent thigh extensions
US9707877B2 (en) 2015-01-20 2017-07-1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dependent thigh extension and support trim carrier
US9566930B2 (en) 2015-03-02 2017-02-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seat assembly with side-impact airbag deployment mechanism
US9802535B2 (en) 2015-04-27 2017-10-3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at having ambient lighting
US9718387B2 (en) 2015-08-03 2017-08-0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at cushion module for a vehicle seating assembly
US10046682B2 (en) 2015-08-03 2018-08-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Back cushion module for a vehicle seating assembly
US9688174B2 (en) 2015-08-07 2017-06-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ulti-cell seat cushion assembly
US9573528B1 (en) 2015-08-25 2017-02-2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tegrated seatback storage
US9616776B1 (en) 2015-11-16 2017-04-1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tegrated power thigh extender
US9809131B2 (en) 2015-12-04 2017-11-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nthropomorphic pivotable upper seatback support
US9931999B2 (en) 2015-12-17 2018-04-0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Back panel lower clip anchorage features for dynamic events
US10093214B2 (en) 2016-01-14 2018-10-0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chanical manual leg tilt
US9914421B2 (en) 2016-01-15 2018-03-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atback flexible slip plane joint for side air bag deployment
US10035442B2 (en) 2016-01-25 2018-07-3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djustable upper seatback module
US9756408B2 (en) 2016-01-25 2017-09-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tegrated sound system
US9776543B2 (en) 2016-01-25 2017-10-0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tegrated independent thigh supports
US10052990B2 (en) 2016-01-25 2018-08-2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Extended seatback module head restraint attachment
US10046681B2 (en) 2016-04-12 2018-08-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rticulating mechanical thigh extension composite trim payout linkage system
US10286818B2 (en) 2016-03-16 2019-05-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ual suspension seating assembly
US9849817B2 (en) 2016-03-16 2017-12-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omposite seat structure
US9994135B2 (en) 2016-03-30 2018-06-1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dependent cushion thigh support
US10220737B2 (en) 2016-04-01 2019-03-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Kinematic back panel
US9889773B2 (en) 2016-04-04 2018-02-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nthropomorphic upper seatback
US10625646B2 (en) 2016-04-12 2020-04-2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rticulating mechanical thigh extension composite trim payout linkage system
US10081279B2 (en) 2016-04-12 2018-09-2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rticulating thigh extension trim tensioning slider mechanism
US9802512B1 (en) 2016-04-12 2017-10-3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Torsion spring bushing
US9845029B1 (en) 2016-06-06 2017-12-1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assive conformal seat with hybrid air/liquid cells
US9849856B1 (en) 2016-06-07 2017-12-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ide airbag energy management system
US9834166B1 (en) 2016-06-07 2017-12-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ide airbag energy management system
US10166895B2 (en) 2016-06-09 2019-01-0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atback comfort carrier
US10377279B2 (en) 2016-06-09 2019-08-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tegrated decking arm support feature
US10286824B2 (en) 2016-08-24 2019-05-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preader plate load distribution
US10279714B2 (en) 2016-08-26 2019-05-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ating assembly with climate control features
US10239431B2 (en) 2016-09-02 2019-03-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ross-tube attachment hook features for modular assembly and support
US10391910B2 (en) 2016-09-02 2019-08-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odular assembly cross-tube attachment tab designs and functions
US9914378B1 (en) 2016-12-16 2018-03-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ecorative and functional upper seatback closeout assembly
US10596936B2 (en) 2017-05-04 2020-03-2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lf-retaining elastic strap for vent blower attachment to a back carrier
DE102020109062A1 (de) 2020-04-01 2021-10-07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Airbag-Modul, insbesondere Seitenairbag-Modul mit einem flexiblen Umlenk- und Schutzgurt und dessen Anordnung
CN113415221A (zh) * 2021-07-30 2021-09-21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座椅靠背骨架安装结构及车辆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06281A (en) * 1967-10-06 1970-04-14 Eaton Yale & Towne Vehicle safety apparatus
US3938826A (en) * 1974-02-07 1976-02-17 Eaton Corporation Aspirated vehicle occupant restraint system
US5611564A (en) * 1993-08-18 1997-03-18 Tip Engineering Group, Inc. Method and treatment for forming an air bag deployment opening in leather covered trim
JPH03186450A (ja) * 1989-12-14 1991-08-14 Takata Kk エアバッグ装置のカバー
JPH03248946A (ja) * 1990-02-28 1991-11-06 Suzuki Motor Corp 車両のエアバッグ装置
JP3016822B2 (ja) 1990-06-18 2000-03-06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シート構造
JPH0582709U (ja) * 1992-04-13 1993-11-09 豊田合成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のパッド
JPH06107102A (ja) * 1992-09-25 1994-04-19 Toyoda Gosei Co Ltd エアバッグ装置のパッド
SE501202C2 (sv) 1993-05-19 1994-12-05 Aga Ab Anordning för fyllning av luftkudde
US5393089A (en) * 1993-09-01 1995-02-28 Chrysler Corporation Vehicle air bag cover
US5375876A (en) * 1993-10-05 1994-12-27 Tip Engineering Group, Inc. Air bag deployment door installation
JP3473082B2 (ja) 1994-02-07 2003-12-02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エアバッグ装置
JPH07228213A (ja) 1994-02-15 1995-08-29 Ashimori Ind Co Ltd エアバッグ装置
EP0777591A1 (en) * 1994-09-08 1997-06-11 AlliedSignal Deutschland GmbH Inflatable safety restraint for vehicle occupant protection
US5651582A (en) * 1994-12-20 1997-07-29 Ikeda Bussan Co., Ltd. Vehicular seat with side air-bag
DE4447045A1 (de) * 1994-12-29 1996-07-04 Ks Automobil Sicherheitstech Befestigungs eines Airbag-Moduls
JP3009021B2 (ja) * 1995-02-20 2000-02-14 池田物産株式会社 車両の側突用エアバッグ装置
JP2848482B2 (ja) * 1995-03-24 1999-01-20 池田物産株式会社 車両の側突用エアバッグ装置
JP2921559B2 (ja) * 1995-03-24 1999-07-19 池田物産株式会社 車両の側突用エアバッグ装置
US5639111A (en) * 1995-03-29 1997-06-17 General Motors Corporation Air bag module
US5498030A (en) * 1995-03-28 1996-03-12 General Motors Corporation Air bag module
US5533750A (en) * 1995-06-01 1996-07-09 Takata, Inc. Simplified inflatable restraint module
EP0782944B1 (en) * 1995-08-02 1999-03-10 Toyo Tire & Rubber Co., Ltd . Side air bag device
CA2185296C (en) * 1995-09-18 1999-07-13 Yasunori Hasegawa Seat structure having a side impact air bag apparatus
US5553887A (en) * 1995-09-29 1996-09-10 Takata Inc. Inflatable restraint modular housing with deployment directing feature
EP1136329B1 (en) * 1995-10-11 2004-08-04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Seat structure having a side impact air bag apparatus
DE19538657A1 (de) * 1995-10-17 1997-04-24 Trw Repa Gmbh Gassack-Seitenaufprall-Schutzeinrichtung
US5630615A (en) * 1995-12-11 1997-05-20 General Motors Corporation Side impact supplemental inflation restraint
US5687987A (en) * 1996-02-29 1997-11-18 General Motors Corporation Air bag module with clamshell cover
US6003938A (en) 1996-05-09 1999-12-21 Breed Automotive Technology, Inc. Side impact air bag seat-integrated reaction surface panel
US5893579A (en) * 1996-06-04 1999-04-13 Honda Giken Kogo Kabushiki Kaisha Seat mounted air bag system
US5678853A (en) * 1996-06-26 1997-10-21 Morton International, Inc. Airbag module with deployment chute
US5863063A (en) * 1997-09-23 1999-01-26 Lear Corporation Vehicle seat side airbag guide chu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358450B2 (ja) 2002-12-16
TW374745B (en) 1999-11-21
MY118689A (en) 2005-01-31
KR980008721A (ko) 1998-04-30
JPH1024793A (ja) 1998-01-27
US6206466B1 (en) 2001-03-27
EP0818365A1 (en) 1998-01-14
DE69717016T2 (de) 2003-04-17
EP0818365B1 (en) 2002-11-13
DE69717016D1 (de) 2002-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4728B1 (ko) 자동차용 좌석
KR101080728B1 (ko)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장치
KR20040095354A (ko) 에어백 도어용 동적 제어 테더 구조
JP2004034964A (ja) エアバッグ装置
KR20220120703A (ko) 에어백 장치
US20100164204A1 (en) Seat
KR100502549B1 (ko) 사이드 에어백 장치
US6733032B2 (en) Air bag cover assembly
EP4023503B1 (en) Vehicle crash pad with airbag door
JP3723044B2 (ja) 自動車用エアーバッグ装置における補強板材の構造
JP4640325B2 (ja)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KR20210136959A (ko) 사이드 에어백 장치
KR20220048324A (ko) 차량용 크래쉬 패드
JP3722563B2 (ja) 車両側部のエネルギ吸収構造
JP2003095053A (ja)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JP2527285B2 (ja) エアバッグのカバ―体
KR20060092659A (ko) 자동차용 조수석 에어백 도어 구조
KR102509831B1 (ko)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
JPH09207702A (ja) 車両のエアバッグ装置
JP3739605B2 (ja) 自動車用エアーバッグ装置
KR20080036390A (ko) 차량의 커튼 에어백장치
KR100527761B1 (ko) 커튼형 에어백의 수납용 브라켓의 구조
KR20220048325A (ko) 차량용 크래쉬 패드 및 이의 제조방법
JPH05170044A (ja) エアバッグのカバー体
KR20240045428A (ko) 에어백 도어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2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