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8324A - 차량용 크래쉬 패드 - Google Patents

차량용 크래쉬 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8324A
KR20220048324A KR1020200131346A KR20200131346A KR20220048324A KR 20220048324 A KR20220048324 A KR 20220048324A KR 1020200131346 A KR1020200131346 A KR 1020200131346A KR 20200131346 A KR20200131346 A KR 20200131346A KR 20220048324 A KR20220048324 A KR 202200483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
passenger
airbag door
line
inci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1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민경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31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48324A/ko
Priority to CN202111187751.5A priority patent/CN114347941B/zh
Priority to EP21202200.8A priority patent/EP4023503B1/en
Priority to US17/498,984 priority patent/US11643042B2/en
Publication of KR20220048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83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55Padded or energy-absorbing fittings, e.g. seat belt anch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60R21/216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characterised by a tear line for defining a deployment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021/0206Self-supporting restraint systems, e.g. restraining arms, plates or the like
    • B60R2021/024Self-supporting restraint systems, e.g. restraining arms, plates or the like mounted on dash-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수석 에어백 도어에 형성된 전개라인이 에어백의 전개압력에 의해 파손되어 에어백의 전개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서, 골격을 이루는 기재부; 조수석 에어백 도어의 기재부의 내부에 인서트 사출 방식으로 결합되는 스크림(SCRIM); 기재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일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스킨부; 및 기재부 및 스킨부 사이에 배치되는 발포폼을 포함하고, 기재부에서 조수석 에어백 도어 영역의 후면에는 X자 형상의 절개홈이 형성된다.

Description

차량용 크래쉬 패드{VEHICLE CRASH PAD}
본 발명은 조수석 에어백 도어에 형성된 전개라인이 에어백의 전개압력에 의해 파손되어 에어백의 전개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차량용 크래쉬 패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차량용 크래쉬 패드(CRASH PAD)는 자동차 내장부품으로 운전석의 전면 하단부에 장착되며, 속도계, 연료계 및 수온계 등의 계기류를 일체화 시킨 계기판과, 공조장치, 라디오, 시계, 재떨이 및 소형품을 넣을 수 있게 설계된다.
그리고, 크래쉬 패드는 내부에 에어백을 내장하고 운전석 및 조수석의 전방에 배치되어 불시의 충돌 및 전복 사고시 외부 충격으로부터 승객에게 전달되는 힘을 최소화하여 부상을 줄일 수 있도록 설계되는 등 안정성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부품이다.
특히 크래쉬 패드에서 조수석 측에 형성된 에어백 도어의 내부에 설치되는 조수석 에어백(PAB, PASSENGER AIR BAG)은 충돌사고 발생시 조수석에 탑승한 승객의 안전을 보호한다.
이러한 에어백 도어의 후면에 해당되는 크래쉬 패드 상의 코어 및 스킨에 스코링(SCORING)을 통하여 절개홈이 형성된다.
절개홈은 자동차가 충돌하게 되면 조수석 에어백의 부피 팽창에 따른 전개압에 의해 에어백 도어가 용이하게 파손되도록 한다.
한편, 에어백 도어는 강성, 연선 재질간의 균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직물 재질로 이루어진 스크림(SCRIM)을 에어백 도어에 인서트 한다.
에어백 도어는 강성 소재와 연성 소재로 사출 성형되며, 강성 소재는 강성 루프, 강성 지주를 성형하고, 연성 소재는 연성 루프, 연성 지주를 성형한다.
그리고, 강성 소재와 연성 소재가 만나는 지점이 경계부이며, 상기 절개홈으로 이루어진다.
스크림은 차량 주행중 절개홈이 균열되며 파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에어백 도어에 인서트되어 에어백 도어의 전개 강건성을 확보한다.
그런데, 에어백 도어에 스크림 추가로 인해 에어백 도어의 강건성을 확보하였지만, 스크림의 단가 및 스크림 공급 설비 투자에 따라 원가가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크래쉬 패드 상의 코어 및 스킨에 절개홈을 인몰드(IN MOLD) 방식으로 형성할 경우, 스코링에 의한 단가 및 공급 설비 투자비를 절감할 수 있지만, 크래쉬 패드의 상부에 배치되는 발포폼의 두께가 얇을 경우, 에어백 도어의 외관에 인몰드 홀의 구조가 돌출된다.
이로 인해 종래에는 인몰드 홀로 인한 에어백 도어의 외관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인몰드 공법은 크래쉬 패드의 성형시 수지 흐름에 있어서도 홀과 홀사이 Bridge를 통해서만 수지가 흐를 수 있어, 크래쉬 패드의 성형에 제약이 있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조수석 에어백 도어의 강성을 보강하고, 조수석 에어백을 용이하게 전개할 수 있으며, 조수석 에어백 도어의 외관 품질 향상 및 크래쉬 패드 제조비용의 감소시킬 수 있는 차량용 크래쉬 패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전술한 목적 및 그 이외의 목적과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조수석 방향 내부에 조수석 에어백이 설치되는 조수석 에어백 도어가 일체로 결합된 본 발명의 차량용 크래쉬 패드는, 골격을 이루는 기재부; 상기 조수석 에어백 도어의 상기 기재부의 내부에 인서트 사출 방식으로 결합되는 스크림(SCRIM); 상기 기재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일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스킨부; 및 상기 기재부 및 상기 스킨부 사이에 배치되는 발포폼을 포함하고, 상기 기재부에서 상기 조수석 에어백 도어 영역의 후면에는 X자 형상의 절개홈이 형성된다.
상기 기재부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또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으로 이루어지거나, 이들의 조합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절개홈은, 상기 기재부의 상기 조수석 에어백 도어 영역에서 조수석 에어백이 배치된 방향의 면에 형성된다.
상기 절개홈은, 상기 조수석 에어백이 전개 시, 상기 조수석 에어백의 전개압에 의해 상기 조수석 에어백 도어가 파단되도록 한다.
상기 절개홈은, 상기 조수석 에어백 도어 영역에 형성된 상기 기재부의 넓이방향으로 연장된 제1 절개라인; 상기 제1 절개라인의 양단부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절개라인; 상기 제2 절개라인의 양단부로부터 상기 조수석 에어백 도어의 모서리 방향을 향해 각각 연장된 제3 절개라인; 및 상기 제3 절개라인의 단부로부터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다수개의 상기 제3 절개라인의 단부를 각각 연결하는 제4 절개라인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절개라인의 길이는, 상기 제1 절개라인 및 제3 절개라인의 길이보다 짧다.
상기 조수석 에어백은, 전개 시, 상기 조수석 에어백의 전개압에 의해 상기 제1 절개라인과 상기 제2 절개라인과 상기 제3 절개라인 및 상기 제4 절개라인이 파단되고, 상기 제1 절개라인과 상기 제2 절개라인 및 상기 제3 절개라인 사이로 전개된다.
상기 발포폼의 두께는, 4mm 내지 5mm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수석 방향 내부에 조수석 에어백이 설치되는 조수석 에어백 도어가 일체로 결합된 크래쉬 패드는, 골격을 이루는 기재부; 및 상기 조수석 에어백 도어의 상기 기재부의 내부에 인서트 사출 방식으로 결합되는 스크림(SCRIM)을 포함하고, 상기 기재부에서 상기 조수석 에어백 도어 영역의 후면에는 X자 형상의 절개홈이 형성되며, 상기 스크림에는, 상기 조수석 에어백 도어의 넓이방향으로 제1 파단홀이 형성되고, 상기 조주석 에어백 도어의 모서리 영역에서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절곡된 형상의 제2 파단홀이 형성된다.
상기 절개홈은, 상기 조수석 에어백 도어 영역에 형성된 상기 기재부의 넓이방향으로 연장된 제1 절개라인; 상기 조수석 에어백 도어의 모서리 방향을 향해 각각 연장된 제3 절개라인; 및 상기 제3 절개라인의 단부로부터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다수개의 상기 제3 절개라인의 단부를 각각 연결하는 제4 절개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파단홀은 상기 제1 절개라인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2 파단홀은 상기 제4 절개라인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스크림은, 상기 조수석 에어백은, 전개 시, 상기 제1 파단홀 및 상기 제2 파단홀을 따라 파단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수석 방향 내부에 조수석 에어백이 설치되는 조수석 에어백 도어가 일체로 결합된 크래쉬 패드는, 골격을 이루는 기재부; 및 상기 조수석 에어백 도어의 상기 기재부의 내부에 인서트 사출 방식으로 결합되는 스크림(SCRIM)을 포함하고, 상기 기재부에서 상기 조수석 에어백 도어 영역의 후면에는 X자 형상의 절개홈이 형성되며, 상기 절개홈은, 상기 조수석 에어백 도어 영역에 형성된 상기 기재부의 넓이방향으로 연장된 제1 절개라인; 상기 제1 절개라인의 양단부로부터 상기 조수석 에어백 도어의 모서리 방향을 향해 각각 연장된 제3 절개라인; 및 상기 제3 절개라인의 단부로부터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다수개의 상기 제3 절개라인의 단부를 각각 연결하는 제4 절개라인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절개홈은 조수석 에어백의 전개 시, 제3 절개라인으로 인해 조수석 에어백 도어가 전체적으로 X자 형상으로 파단됨으로써, 기재부에 형성된 X자 형상의 절개홈은 조수석 에어백의 전개 시간을 현저하게 단축시킬 수 있다.
스크림이 조수석 에어백 도어 영역의 기재부에 인서트 사출되어 결합됨으로써, 조수석 에어백 도어의 강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펀치 스코링은 기재부에 펀치홀을 형성할 때, 기재부의 외관이 외부로 돌출되지 않음으로써, 기재부 외관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관통홀은 기재부에서 절개홈이 서로 교차하는 지점에 펀치홀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크래쉬 패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크래쉬 패드를 분해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크래쉬 패드의 조수석 에어백 도어 저면을 나타낸 부분 저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크래쉬 패드의 연장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크래쉬 패드의 스크림을 나타낸 사시도.
도 6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크래쉬 패드의 조수석 에어백 도어 저면을 나타낸 부분 저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크래쉬 패드의 단면 및 종래 크래쉬 패드의 단면을 나타낸 비교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크래쉬 패드의 조수석 에어백 도어의 관통홀을 나타낸 부분 저면도.
도 9은 도 7에 도시된 “A”부분을 확대한 확대도.
도 10는 도 7에 도시된 “B”부분을 확대한 확대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크래쉬 패드의 조수석 에어백 도어 저면을 나타낸 부분 저면도.
도 12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크래쉬 패드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크래쉬 패드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서 각 구성은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며, 도면 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는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 /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크래쉬 패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크래쉬 패드를 분해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크래쉬 패드의 조수석 에어백 도어 저면을 나타낸 부분 저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크래쉬 패드의 연장부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크래쉬 패드의 스크림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크래쉬 패드(100)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차 실내의 승객을 보호할 수 있도록 강성을 갖는 것으로서, 에어컨과 같은 장치 및 이를 조작하기 위한 컨트롤 버튼이 삽입되는 버튼 삽입홀(110)과, 에어벤트가 장착되는 벤트 삽입홀(120) 및 에어백이 장착되는 에어백 모듈 삽입홀(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차량용 크래쉬 패드(100)에서 조수석 방향에는 조수석 에어백 도어(200)가 일체로 결합되며, 조수석 에어백 도어(200)의 내부에는 조수석 에어백이 설치된다.
이러한 차량용 크래쉬 패드(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재부(300)와, 스크림(400)과, 스킨부(500) 및 발포폼(600)을 포함한다.
기재부(300)는 차량용 크래쉬 패드(100)의 골격을 이루는 것으로서, 운전석 및 조수석의 전방을 형성하며 차량의 충돌 및 전복 사고시에 외부 충격으로부터 차 실내의 승객을 보호할 수 있도록 강성을 갖는다.
그리고, 기재부(300)는 충돌로 인한 탑승자의 부상을 감소시키고, 미려한 외관을 제공하기 위해 곡면, 굴곡면, 요철면 등을 갖는 비평면형 입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기재부(300)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또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으로 이루어지거나, 이들의 조합물로 이루어진다.
또한, 기재부(300)는 목재, 금속 등 재질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이러한 기재부(300)는 절개홈(310) 및 연장부(340)을 포함한다.
절개홈(310)은 조수석 에어백 도어(200)가 전개될 때, 스코링(SCORING) 공정을 거치지 않은 스킨부(500) 및 발포폼(600)이 원활하게 전개되도록 조수석 에어백이 배치되는 영역, 즉, 조수석 에어백 도어(200)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절개홈(3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백 도어 영역의 기재부(300) 후면, 즉, 조수석 에어백이 배치된 방향의 면에 형성된다.
절개홈(310)은 조수석 에어백 도어(200)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로 이루어진다.
즉, 절개홈(310)은 조수석 에어백 도어(200)를 관통하지 않고 홈 형상으로 형성된다.
절개홈(310)은 자동차가 충돌하여 조수석 에어백이 전개될 때, 조수석 에어백의 전개에 따른 전개압에 의해 조수석 에어백 도어(200)가 절개홈(310)을 따라 용이하게 파단되도록 한다.
즉, 기재부(300)는 조수석 에어백에 의해 팽창되면 절개홈(310)을 따라 전개된다.
이러한 절개홈(3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절개라인(311)과 제2 절개라인(312)과 제3 절개라인(313) 및 제4 절개라인(314)으로 이루어진다.
제1 절개라인(311)은 조수석 에어백 도어(200) 영역에 형성된 기재부(300)에서 넓이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 절개라인(312)은 조수석 에어백 도어(200) 영역에 형성된 기재부(300)에서 제1 절개라인(311)의 양단부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제2 절개라인(312)의 길이는 제1 절개라인(311) 및 제3절개라인의 길이보다 짧게 연장된다.
제3 절개라인(313)은 조수석 에어백 도어(200) 영역에 형성된 기재부(300)에서 제2 절개라인(312)의 양단부로부터 조수석 에어백 도어(200)의 모서리 방향을 향해 각각 연장된다.
즉, 절개홈(310)은 조수석 에어백의 전개 시, 제3 절개라인(313)으로 인해 조수석 에어백 도어(200)가 전체적으로 X자 형상으로 파단된다.
제4 절개라인(314)은 조수석 에어백 도어(200)의 모서리 방향을 연장된 제3 절개라인(313)의 단부를 각각 연결한다.
즉, 제4 절개라인(314)은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조수석 에어백 도어(200)의 외곽틀을 이룬다.
따라서, 조수석 에어백의 전개 시, 조수석 에어백의 전개압에 의해 제1 절개라인(311)과 제2 절개리인 및 제3 절개라인(313)이 파단되고, 상기 제1 절개라인(311)과 제2 절개라인(312) 및 제3 절개라인(313) 사이로 조수석 에어백이 전개된다.
그리고, 절개홈(310)의 X자 형상은 조수석 에어백이 에어백 도어로부터 전개 시, 기재부(300)의 절개홈(310)이 X자 형상으로 파손되면서 스킨부(500)를 3방향에서 당긴다.
따라서, 기재부(300)에 형성된 X자 형상의 절개홈(310)은 스킨부(500)와 발포폼(600)에 별도의 스코링 가공 없이도 에어백 도어의 파손에 의한 전단력에 의해 스킨부(500) 및 발포폼(600)이 용이하게 찢어질 수 있다.
이로 인해 기재부(300)에 형성된 X자 형상의 절개홈(310)은 조수석 에어백의 전개 시간을 현저하게 단축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개홈은 제2 절개라인(312)을 삭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개홈(310)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개홈(310)은 제1 절개라인(311)과 제3 절개라인(313) 및 제4 절개라인(314)으로 이루어진다.
제1 절개라인(311)은 조수석 에어백 도어(200) 영역에 형성된 기재부(300)에서 넓이방향으로 연장된다.
제3 절개라인(313)은 조수석 에어백 도어(200) 영역에 형성된 기재부(300)에서 제1 절개라인(311)의 양단부로부터 조수석 에어백 도어(200)의 모서리 방향을 향해 각각 연장된다.
즉, 절개홈(310)은 조수석 에어백의 전개 시, 제3 절개라인(313)으로 인해 조수석 에어백 도어(200)가 전체적으로 X자 형상으로 파단된다.
제4 절개라인(314)은 조수석 에어백 도어(200)의 모서리 방향을 연장된 제3 절개라인(313)의 단부를 각각 연결한다.
즉, 제4 절개라인(314)은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조수석 에어백 도어(200)의 외곽틀을 이룬다.
따라서, 조수석 에어백의 전개 시, 조수석 에어백의 전개압에 의해 제1 절개라인(311) 및 제3 절개라인(313)이 파단되고, 상기 제1 절개라인(311) 및 제3 절개라인(313) 사이로 조수석 에어백이 전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개홈(310)은 제1 절개라인(311)과 제3 절개라인(313) 사이에 배치된 제2 절개라인(312)이 삭제되고, 제1 절개라인(311)과 제3 절개라인(313)이 서로 연결됨으로써, 한 쌍의 제3 절개리인(313) 사이의 거리가 짧아져, 조수석 에어백 도어(200)의 전개 시, 스킨부(500) 및 발포폼(600)이 비교적 깨끗하게 찢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개홈(310)은 일실시예의 제2 절개라인(312)을 삭제함으로써, 제2 절개라인(312)을 형성하기 위한 제조공정이 감소되고, 이로 인해 절개홈(310)의 제조비용 및 제조시간을 현저하게 단축시킬 수 있다.
한편, 절개홈(310)은 차량의 주행 등으로 인한 반복적인 외부 충격에 의해 균열이 발생할 수 있다.
즉, 절개홈(310)은 상기 균열이 발생하게 되면 조수석 에어백 도어(200)가 전개되지 않아야 하는 상황에서 상기 균열이 파손되어 조수석 에어백 도어(200)가 전개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절개홈(310)의 고정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조수석 에어백 도어(200)에는 스크림(400)이 결합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연장부(340)는 조수석 에어백 도어(200) 영역 둘레로부터 후면 방향으로 연장된다.
즉, 연장부(340)는 단면형상이 사각틀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사각틀 형상으로 이루어진 연장부(340)는 내부에 조수석 에어백이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사각틀 형상으로 이루어진 연장부(340)는 내측면이 외측방향으로 약 2도 기울어진 상태로 연장된다.
이로 인해, 연장부(340)는 기재부(300)에 스크림(400)을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다.
스크림(4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물재질로 이루어진 것으로써, 다수개의 날실과 씨실이 서로 아래위로 교차하여 격자형으로 얽혀 그물(NET)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스크림(400)의 크기는 날실과 씨실의 개수에 따라 결정된다.
그리고, 스크림(400)은 조수석 에어백 도어(200) 영역의 기재부(300)에 인서트 사출되어 결합된다.
이로 인해 스크림(400)은 조수석 에어백 도어(200)가 전개되지 않아야 하는 상황에서는 조수석 에어백 도어(200)가 배치된 영역의 기재부(300)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즉, 스크림(400)은 조수석 에어백 도어(200)의 강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스크림(400)에는 파단홀(410)이 형성된다.
파단홀(410)은 스크림(400)에 형성된 것으로서, 기재부(300)의 절개홈(310)과 대응되는 위치에 날실과 씨실을 파단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파단홀(410)은 제1 파단홀(411) 및 제2 파단홀(412)을 포함한다.
제1 파단홀(411)은 제1 절개라인(311)과 대응되도록 스크림(400)에서 조수석 에어백 도어(200) 영역의 넓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제1 파단홀(411)의 두께는 제2 절개라인(312)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이루어진다.
제2 파단홀(412)은 제4 절개라인(314)과 대응되도록 조수석 에어백 도어(200)의 모서리 방향 각각 형성된다.
제2 파단홀(412)은 조주석 에어백 도어의 모서리 영역에서 수직 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파단홀(410)은 조수석 에어백이 전개될 때, 절개홈(310)을 따라 스크림(400)의 파단을 유도한다.
즉, 스크림(400)은 조수석 에어백이 전개되지 않아야 하는 상황에서는 조수석 에어백 도어(200)의 전개를 견고하게 고정하고, 조수석 에어백이 전개되어야 할 때는, 파단홀(410)을 따라서 조수석 에어백 도어(200)가 용이하게 전개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기재부(300)에는 별도의 스코링 공법이 적용되지 않고 X자 형상의 절개홈(310)만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기재부(300)의 X자 형상의 절개홈(310)을 따라 펀치 스코링 공법을 적용하여 절개홈(310)에 펀치홀(320)을 형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재부(300)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크래쉬 패드의 조수석 에어백 도어 저면을 나타낸 부분 저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크래쉬 패드의 단면 및 종래 크래쉬 패드의 단면을 나타낸 비교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재부(300)에는 펀치홀(320)이 형성된다.
펀치홀(320)은 절개홈(310)에 펀치 스코링 공법을 적용하여 절개홈(310)을 따라 다수개가 형성된다.
펀치홀(320)은 자동차가 충돌하여 조수석 에어백이 전개될 때, 조수석 에어백의 전개에 따른 전개압에 의해 스크림(400)이 절개홈(310)을 따라 더욱 용이하게 파단되도록 한다.
한편,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인몰드 공법으로 절개홈(31)을 형성할 경우, 기재부(3)의 외관에 볼록부(32)가 형성되었으나,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펀치 스코링은 기재부(300)에 펀치홀(320)을 형성할 때, 기재부(300)의 외부로 펀치홀(320) 가공에 의한 돌출부가 돌출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펀치 스코링은 기재부(300)에 펀치홀(320)을 형성할 때,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재부(300)의 외관이 외부로 돌출되지 않고, 평평하게 형성됨으로써, 기재부(300) 외관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기재부(300)의 외관이 돌출되지 않음으로써, 기재부(300)의 외관 품질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기재부(300)의 외관에 적층되는 발포폼(600)의 두께를 얇게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기재부(300)의 외관이 돌출되지 않고, 평평하게 형성됨으로써, 수지의 흐름성이 양호하여 기재부(300)에 스크림(400)을 인서트 사출할 때, 스크림(400)의 안착에 유리하고, 불량률을 현저하게 낮출 수 있다.
이러한 펀치홀(320)은 제1 펀치라인(321)과 제2 펀치라인(322)과 제3 펀치라인(323) 및 제4 펀치라인(324)으로 이루어진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펀치라인(321)은 제1 절개라인(311)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제1 절개라인(311)을 따라 조수석 에어백 도어(200) 영역에 형성된 기재부(300)의 넓이방향으로 다수개가 형성된다.
제2 펀치라인(322)은 제2 절개라인(312)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제2 절개라인(312)을 따라 제1 펀치라인(321)의 양단부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다.
제3 펀치라인(323)은 제3 절개라인(313)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제3 절개라인(313)을 따라 제2 펀치라인(322)의 양단부로부터 조수석 에어백 도어(200)의 모서리 방향을 향해 각각 형성된다.
제4 펀치라인(324)은 제4 절개라인(314)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제4 절개라인(314)을 따라 제3 펀치라인(323)의 단부로부터 각각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각각 연장된다.
그리고, 제4 펀치라인(324)의 길이는 제3 펀치라인(323)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다.
펀치홀(320)은 절개홈(310)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전체적으로 X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좌우방향에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제4 펀치라인(324) 사이의 절개홈(310)이 고정되고, 상하방향에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제4 펀치라인(324) 사이의 절개홈(310)이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조수석 에어백 도어(200)는 조수석 에어백이 팽창하여 절개홈(310)의 파단 시, 도 6에 도시된 도면을 기준으로 오른쪽에 형성된 한 쌍의 제4 펀치라인(324) 및 왼쪽에 형성된 한 쌍의 제4 펀치라인(324) 사이의 절개홈(310)이 고정되어 있고, 상부에 형성된 한 쌍의 제4 펀치라인(324) 및 하부에 형성된 한 쌍의 제4 펀치라인(324) 사이의 절개홈(310)이 고정된다.
이로 인해, 조수석 에어백의 전개 시, 제1 펀치라인(321) 내지 제4 펀치리인이 파단되고, 상기 제1 펀치라인(321)과 제2 펀치라인(322) 및 제3 펀치라인(323) 사이로 조수석 에어백이 전개된다.
또한, 스킨 및 발포폼(600)의 스코링 공정을 삭제함으로써, 원가 절감 효과를 거둘 수 있다.
한편, 기재부(300)에서 절개홈(310)이 서로 교차하는 지점에는 펀치 스코링 공법을 적용하여 펀치홀(320)을 형성하기 위한 트림 나이프를 적용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다수개의 절개홈(310)이 서로 교차하는 지점에 다수개의 관통홀(330)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다수개의 절개홈(310)이 서로 교차하는 지점은 제1 절개라인(311) 및 제2 절개라인(312)이 연결되는 지점과, 제2 절개라인(312) 및 제3 절개라인(313)이 연결되는 지점과, 제3 절개라인(313) 및 제4 절개라인(314)이 연결되는 지점을 말한다.
또한, 상기 다수개의 절개홈(310)의 서로 교차하는 지점은 곡선으로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재부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크래쉬 패드의 조수석 에어백 도어 저면을 나타낸 부분 저면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A”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며, 도 10는 도 8에 도시된 “B”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다수개의 절개홈(310)이 서로 교차하는 지점에는 다수개의 관통홀(330)을 형성하고, 상기 다수개의 관통홀(330)을 제외한 나머지 구간에는 펀치 스코링을 통하여 펀치홀(320)을 형성한다.
이러한 다수개의 관통홀(330)은 제1 관통홀(331)과 제2 관통홀(332) 및 제3 관통홀(333)로 이루어진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 관통홀(331)은 제1 절개라인(311) 및 제2 절개라인(312)이 연결되는 지점에 형성된다.
제1 관통홀(331)은 그 중심축(C1)과 제1 절개라인(311)의 일면 사이 거리(L1)는 약 2.8mm 내지 3.2mm이격되고, 타면 사이 거리(L2)는 약 2.8mm 내지 3.2mm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제2 관통홀(332)은 제2 절개라인(312) 및 제3 절개라인(313)이 연결되는 지점에 형성된다.
제2 관통홀(332)은 그 중심축(C2)과 제2 절개라인(312) 및 제3 절개라인(313)의 일면 사이의 거리(L3)는 약 2.8mm 내지 3.2mm이격되고, 타면사이의 거리(L4)는 약 2.8mm 내지 3.2mm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3 관통홀(333)은 제3 절개라인(313) 및 제4 절개라인(314)이 연결되는 지점에 형성된다.
제3 관통홀(333)은 그 중심축(C3)과 제4 절개라인(314)의 일면 사이의 거리는 (L5)는 약 2.8mm 내지 3.2mm이격되고, 타면 사이의 거리(L6)는 약 3.8mm 내지 4.2mm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관통홀(331)은 제1 펀치라인(321)과 제2 펀치라인(322) 사이에 형성되고, 제2 관통홀(332)은 제2 펀치라인(322)과 제3 펀치라인(323) 사이에 형성되며, 제3 관통홀(333)은 제3 펀치라인(323)과 제4 펀치라인(324) 사이에 형성된다.
따라서, 관통홀(330)은 기재부(300)에서 절개홈(310)이 서로 교차하는 지점에 펀치홀(320)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조수석 에어백의 전개 시, 펀치홀(320)및 관통홀(330)에 의해 조수석 에어백 도어(200)가 더욱 용이하게 파단될 수 있다.
이러한 다수개의 관통홀(330)은 본 발명의 X자 형상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절개홈(310) 뿐만 아니라, 변형된 X자 형상, H자 형상에서 펀치 스코링을 위한 트림 나이프가 교차하는 지점에 적용되고, 나머지 구간에서는 펀치 스코링을 적용하여 펀치홀(320)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펀치 스코링을 통해 형성된 펀치홀(320)을 관통홀(330)을 통해 형성할 경우, 크래쉬 패드(100)의 사출 시, 수지의 흐름이 원활하지 않아 기재부(300)의 불량율이 상승하고, 스크림(400)의 안착이 어려워지는 바, 관통홀(330)은 다수개의 절개홈(310)이 교차하는 지점에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수개의 관통홀(330)과 다수개의 펀치라인의 폭은 각각 약 1mm로 이루어짐 바람직하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킨부(500)는 기재부(300)의 상부에 배치되어 외관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으로서, 기재부(300)의 외관과 대응되도록 곡면, 굴곡면, 요철면 등을 갖는 비평면형 입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로 인해 스킨부(500)는 차량의 실내 외관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스킨부(500)는 차량의 충돌 및 전복 사고시에 외부 충격으로부터 차 실내의 승객을 보호할 수 있도록 강성을 갖는 기재부(300)와 달리 크래쉬 패드(100)의 표면을 부드럽게 형성한다.
이로 인해, 스킨부(500)는 조수석 에어백의 전개 시, 조수석 에어백 도어(200) 절개홈(310)의 파단력에 의해 용이하게 찢어질 수 있다.
그리고, 스킨부(500)에는 스킨 스코링 공정을 거치지 않고 형성된다.
이러한 스킨부(500)는 조수석 에어백의 전개 시, 기재부(300)의 절개홈(310)에 의해 용이하게 찢어진다.
이를 통해 공정이 단순화되고, 재료부품비 등 원가가 절감되며, 스킨부(500)의 두께도 얇게 형성할 수 있어 크래쉬 패드(100)의 경량화를 실현할 수 있다.
발포폼(600)은 기재부(300)와 스킨부(500) 사이에 발포원액(폼, Foam)이 주입된 것으로서, 차량의 충돌 및 전복 사고시 충격을 흡수하여 승객에게 전달되는 힘을 최소화하여 승객의 머리부상 등 피해를 줄일 수 있도록 한다.
발포폼(600)은 7mm 내지 8mm 또는 4mm 내지 5mm로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4mm내지 5mm의 두께로 이루어진다.
한편, 기재부(300)의 절개홈(310)에 펀치 스코링을 적용할 경우, 기재부(300)의 외관이 돌출되지 않음으로써, 발포폼(600)에도 별도의 굴곡면이 형성되지 않는다.
이로 인해 발포폼(600)의 두께를 얇게 형성할 수 있어 크래쉬 패드(100)의 경량화를 실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부(300)와 발포폼(600) 및 스킨부(500)의 파단에 의해 조수석 에어백은, 크래쉬 패드(100)의 조수석 에어백 도어(200)로부터 외부로 전개되어 차량의 조수석에 탑승한 승객을 충격으로부터 보호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크래쉬 패드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크래쉬 패드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2을 참조하면 먼저, 크래쉬 패드(100)의 조수석 에어백 도어(200) 영역 기재부(300)에 스크림(400)을 인서트 사출(S110)한다.
따라서, 스크림(400)은 조수석 에어백 도어(200)의 강건성을 향상시킨다.
이러한 스크림(400)에는 제1 절개라인(311) 및 제4 절개라인(314)과 대응되는 위치에 파단홀(410)이 형성된다.
파단홀(410)은 기재부(300)에 인서트 사출되기 전, 절개홈(310)의 일부와 대응되는 위치를 미리 파단 후, 기재부(300)에 인서트 사출된다.
조수석 에어백 도어(200) 영역의 기재부(300)에 절개홈(310)을 형성(S120)한다.
상기 절개홈(310)은 기재부(300)에서 넓이방향으로 연장된 제1 절개라인(311)과, 제1 절개라인(311)의 양단부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절개라인(312)과, 제2 절개라인(312)의 양단부로부터 조수석 에어백 도어(200)의 모서리 방향을 향해 각각 연장된 제3 절개라인(313) 및 제3 절개라인(313)의 단부를 각각 연결하는 제4 절개라인(314)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절개홈(310)은 제3 절개라인(313)으로 인해 전체적으로 X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기재부(300)에 형성된 X자 형상의 절개홈(310)은 스킨부(500)와 발포폼(600)에 별도의 스코링 가공 없이도 에어백 도어의 파손에 의한 전단력에 의해 스킨부(500) 및 발포폼(600)이 용이하게 찢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어서, 상기 기재부(300)를 하형지그에 안착시킨 후, 고정(S130)시킨다.
그리고, 하형지그에 고정된 기재부(300)에서 조수석 에어백 도어(200) 영역 상부에 트림 나이프가 장착된 상형지그가 배치(S140)된다.
이어서, 조수석 에어백 도어(200)에 형성된 절개홈(310)을 따라 트림 나이프가 펀칭을 하여 미리 지정된 위치에 다수개의 펀치홀(320)을 형성(S150)한다.
상기와 같이 절개홈(310)을 따라 트림 나이프가 펀칭을 하여 절개홈(310)에 펀치홀(320)을 형성하는 펀치 스코링을 적용할 경우, 기재부(300)의 외관에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발포금형의 상부에 스킨부(500)를 장착 및 하부에 기재부(300)를 장착(S160)한다.
여기서 스킨부(500) 및 기재부(300) 사이에는 발포폼(600)의 두께만큼의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스킨부(500) 및 기재부(300) 사이에, 발포폼(600)을 형성하여 본 발명의 크래쉬 패드(100)를 완성(S170)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펀치 스코링은 종래의 스코링 공법인 밀링, 레이저 스코링 대비해서 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가공 시간이 짧음으로써, 크래쉬 패드(100)의 조수석 에어백 도어(200) 제작 시간을 현저하게 단축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펀치 스코링 공법은 발포 타입의 스크림(400) 외에 사출 타입, 가죽감싸기 타입의 크래시패드에도 확대 적용하여 외관 품질을 개선하고, 원가 절감을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크래쉬 패드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크래쉬 패드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3은 참조하면 먼저, 크래쉬 패드(100)의 조수석 에어백 도어(200) 영역 기재부(300)에 스크림(400)을 인서트 사출(S210)한다.
따라서, 스크림(400)은 조수석 에어백 도어(200)의 강건성을 향상시킨다.
이러한 스크림(400)에는 제1 절개라인(311) 및 제4 절개라인(314)과 대응되는 위치에 파단홀(410)이 형성된다.
파단홀(410)은 기재부(300)에 인서트 사출되기 전, 절개홈(310)의 일부와 대응되는 위치를 미리 파단 후, 기재부(300)에 인서트 사출된다.
조수석 에어백 도어(200) 영역의 기재부(300)에 절개홈(310)을 형성(S220)한다.
상기 절개홈(310)은 기재부(300)에서 넓이방향으로 연장된 제1 절개라인(311)과, 제1 절개라인(311)의 양단부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절개라인(312)과, 제2 절개라인(312)의 양단부로부터 조수석 에어백 도어(200)의 모서리 방향을 향해 각각 연장된 제3 절개라인(313) 및 제3 절개라인(313)의 단부를 각각 연결하는 제4 절개라인(314)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절개홈(310)은 제3 절개라인(313)으로 인해 전체적으로 X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기재부(300)에 형성된 X자 형상의 절개홈(310)은 스킨부(500)와 발포폼(600)에 별도의 스코링 가공 없이도 에어백 도어의 파손에 의한 전단력에 의해 스킨부(500) 및 발포폼(600)이 용이하게 찢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어서, 상기 기재부(300)를 하형지그에 안착시킨 후, 고정(S230)시킨다.
그리고, 하형지그에 고정된 기재부(300)에서 조수석 에어백 도어(200) 영역 상부에 관통홀(330) 형성 장치가 장착된 상형지그가 배치(S240)된다.
이어서, 다수개의 절개홈(310)이 서로 교차하는 지점에 관통홀(330)을 각각 형성(S250)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관통홀(330) 형성 장치는 다수개의 절개라인에서 제1 절개라인(311) 및 제2 절개라인(312)이 연결되는 지점과, 제2 절개라인(312) 및 제3 절개라인(313)이 연결되는 지점과, 제3 절개라인(313) 및 제4 절개라인(314)이 연결되는 지점을 관통하여 제1 관통홀(331) 내지 제3 관통홀(333)을 각각 형성한다.
특히, 제1 관통홀(331)은 그 중심축(C1)이 제1 절개라인(311)의 일면으로부터 약 2.8mm 내지 3.2mm이격되고, 타면으로부터 약 2.8mm 내지 3.2mm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그리고, 제2 관통홀(332)은 그 중심축(C2)이 제2 절개라인(312) 및 제3 절개라인(313)의 일면으로부터 약 2.8mm 내지 3.2mm이격되고, 타면으로부터 약 2.8mm 내지 3.2mm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그리고, 제3 관통홀(333)은 그 중심축(C3)이 제4 절개라인(314)의 일면으로부터 약 2.8mm 내지 3.2mm이격되고, 타면으로부터 약 3.8mm 내지 4.2mm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이로 인해, 제1 관통홀(331) 내지 제3 관통홀(333)을 형성하기 위한 관통홀(330) 형성장치가 다수개의 절개홈(310)이 서로 교차하는 지점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이어서, 관통홀(330) 형성 장치가 장착된 상형지그를 제거한 후, 하형지그에 고정된 크래쉬 패드(100)에서 조수석 에어백 도어(200) 영역 상부에 트림 나이프가 장착된 상형지그가 배치(S260)된다.
이어서, 조수석 에어백 도어(200)에 형성된 절개홈(310)을 따라 트림 나이프가 펀칭을 하여 미리 지정된 위치에 다수개의 펀치홀(320)을 형성(S270)한다.
구체적으로, 펀치홀(320)을 제1 펀치라인(321)과 제2 판치라인 사이에는 제1 관통홀(331)이 형성되고, 펀치홀(320)을 이루는 제2 펀치라인(322)과 제3 펀치라인(323) 사이에는 제2 관통홀(332)이 형성되며, 펀치홀(320)을 이루는 제3 펀치라인(323)과 제4 펀치라인(324) 사이에는 제3 관통홀(333)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절개홈(310)을 따라 트림 나이프가 펀칭을 하여 절개홈(310)에 펀치홀(320)을 형성하는 펀치 스코링을 적용할 경우, 기재부(300)의 외관에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이어서, 발포금형의 상부에 스킨부(500)를 장착 및 하부에 기재부(300)를 장착(S280)한다.
여기서 스킨부(500) 및 기재부(300) 사이에는 발포폼(600)의 두께만큼의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스킨부(500) 및 기재부(300) 사이에, 발포폼(600)을 형성하여 본 발명의 크래쉬 패드(100)를 완성(S290)한다.
이처럼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을 위한 예시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크래쉬 패드 110: 버튼 삽입홀
120: 벤트 삽입홀 200: 에어백 도어
300: 기재부 310: 절개홈
311: 제1 절개라인 312: 제2 절개라인
313: 제3 절개라인 314: 제4 절개라인
320: 펀치홀 321: 제1 펀치라인
322: 제2 펀치라인 323: 제3 펀치라인
324: 제4 펀치라인 330: 관통홀
331: 제1 관통홀 332: 제2 관통홀
333: 제3 관통홀 340: 연장부
400: 스크림 410: 파단홀
411: 제1 파단홀 412: 제2 파단홀
500: 스킨부 600: 발포폼

Claims (12)

  1. 조수석 방향 내부에 조수석 에어백이 설치되는 조수석 에어백 도어가 일체로 결합된 크래쉬 패드에 있어서,
    골격을 이루는 기재부;
    상기 조수석 에어백 도어의 상기 기재부의 내부에 인서트 사출 방식으로 결합되는 스크림(SCRIM);
    상기 기재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일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스킨부; 및
    상기 기재부 및 상기 스킨부 사이에 배치되는 발포폼을 포함하고,
    상기 기재부에서 상기 조수석 에어백 도어 영역의 후면에는 X자 형상의 절개홈이 형성된 차량용 크래쉬 패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부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또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으로 이루어지거나, 이들의 조합물로 이루어진 차량용 크래쉬 패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홈은,
    상기 기재부의 상기 조수석 에어백 도어 영역에서 조수석 에어백이 배치된 방향의 면에 형성된 차량용 크래쉬 패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홈은,
    상기 조수석 에어백이 전개 시, 상기 조수석 에어백의 전개압에 의해 상기 조수석 에어백 도어가 파단되도록 하는 차량용 크래쉬 패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홈은,
    상기 조수석 에어백 도어 영역에 형성된 상기 기재부의 넓이방향으로 연장된 제1 절개라인;
    상기 제1 절개라인의 양단부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절개라인;
    상기 제2 절개라인의 양단부로부터 상기 조수석 에어백 도어의 모서리 방향을 향해 각각 연장된 제3 절개라인; 및
    상기 제3 절개라인의 단부로부터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다수개의 상기 제3 절개라인의 단부를 각각 연결하는 제4 절개라인을 포함하는 차량용 크래쉬 패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절개라인의 길이는, 상기 제1 절개라인 및 제3 절개라인의 길이보다 짧은 차량용 크래쉬 패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수석 에어백은, 전개 시, 상기 조수석 에어백의 전개압에 의해 상기 제1 절개라인과 상기 제2 절개라인과 상기 제3 절개라인 및 상기 제4 절개라인이 파단되고, 상기 제1 절개라인과 상기 제2 절개라인 및 상기 제3 절개라인 사이로 전개되는 차량용 크래쉬 패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폼의 두께는, 4mm 내지 5mm로 이루어진 차량용 크래쉬 패드.
  9. 조수석 방향 내부에 조수석 에어백이 설치되는 조수석 에어백 도어가 일체로 결합된 크래쉬 패드에 있어서,
    골격을 이루는 기재부; 및
    상기 조수석 에어백 도어의 상기 기재부의 내부에 인서트 사출 방식으로 결합되는 스크림(SCRIM)을 포함하고,
    상기 기재부에서 상기 조수석 에어백 도어 영역의 후면에는 X자 형상의 절개홈이 형성되며,
    상기 스크림에는,
    상기 조수석 에어백 도어의 넓이방향으로 제1 파단홀이 형성되고, 상기 조주석 에어백 도어의 모서리 영역에서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절곡된 형상의 제2 파단홀이 형성된 차량용 크래쉬 패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홈은,
    상기 조수석 에어백 도어 영역에 형성된 상기 기재부의 넓이방향으로 연장된 제1 절개라인;
    상기 조수석 에어백 도어의 모서리 방향을 향해 각각 연장된 제3 절개라인; 및
    상기 제3 절개라인의 단부로부터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다수개의 상기 제3 절개라인의 단부를 각각 연결하는 제4 절개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파단홀은 상기 제1 절개라인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2 파단홀은 상기 제4 절개라인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차량용 크래쉬 패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림은,
    상기 조수석 에어백은, 전개 시, 상기 제1 파단홀 및 상기 제2 파단홀을 따라 파단되는 차량용 크래쉬 패드.
  12. 조수석 방향 내부에 조수석 에어백이 설치되는 조수석 에어백 도어가 일체로 결합된 크래쉬 패드에 있어서,
    골격을 이루는 기재부; 및
    상기 조수석 에어백 도어의 상기 기재부의 내부에 인서트 사출 방식으로 결합되는 스크림(SCRIM)을 포함하고,
    상기 기재부에서 상기 조수석 에어백 도어 영역의 후면에는 X자 형상의 절개홈이 형성되며,
    상기 절개홈은,
    상기 조수석 에어백 도어 영역에 형성된 상기 기재부의 넓이방향으로 연장된 제1 절개라인;
    상기 제1 절개라인의 양단부로부터 상기 조수석 에어백 도어의 모서리 방향을 향해 각각 연장된 제3 절개라인; 및
    상기 제3 절개라인의 단부로부터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다수개의 상기 제3 절개라인의 단부를 각각 연결하는 제4 절개라인을 포함하는 차량용 크래쉬 패드.
KR1020200131346A 2020-10-12 2020-10-12 차량용 크래쉬 패드 KR20220048324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1346A KR20220048324A (ko) 2020-10-12 2020-10-12 차량용 크래쉬 패드
CN202111187751.5A CN114347941B (zh) 2020-10-12 2021-10-12 车辆防震垫
EP21202200.8A EP4023503B1 (en) 2020-10-12 2021-10-12 Vehicle crash pad with airbag door
US17/498,984 US11643042B2 (en) 2020-10-12 2021-10-12 Vehicle crash pa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1346A KR20220048324A (ko) 2020-10-12 2020-10-12 차량용 크래쉬 패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8324A true KR20220048324A (ko) 2022-04-19

Family

ID=81391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1346A KR20220048324A (ko) 2020-10-12 2020-10-12 차량용 크래쉬 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4832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250572A1 (en) * 2021-02-09 2022-08-11 Hyundai Mobis Co., Ltd. Side mounting seat of pab chute with improved weldabilit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pab chut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250572A1 (en) * 2021-02-09 2022-08-11 Hyundai Mobis Co., Ltd. Side mounting seat of pab chute with improved weldabilit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pab chute
US11654854B2 (en) * 2021-02-09 2023-05-23 Hyundai Mobis Co., Ltd. Side mounting seat of PAB chute with improved weldabilit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PAB chut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4728B1 (ko) 자동차용 좌석
KR100890774B1 (ko) 차량용 에어백 도어
EP1738970B1 (en) Airbag apparatus for vehicle and airbag cover
KR970007448B1 (ko) 자동차의 계기판
CN210212318U (zh) 一种用于车辆的气囊系统以及一种装饰组件
US10933835B2 (en) Passenger air bag door
JP3923004B2 (ja) エアバッグ装置のカバー体
KR20220048324A (ko) 차량용 크래쉬 패드
CN114347941B (zh) 车辆防震垫
JPH06247199A (ja) 車両のドア部の衝撃吸収構造
JP6327120B2 (ja) 乗物用シート及びシートパッドの製造方法
JP6217431B2 (ja) 表皮付き製品
JP5359104B2 (ja) 自動車のドアトリム構造
KR20220048326A (ko) 차량용 크래쉬 패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048325A (ko) 차량용 크래쉬 패드 및 이의 제조방법
JPH10236265A (ja) エアバッグドアを一体に有する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エアバッグドア
US20060170252A1 (en) Headliner with weakened area and method of making same
JP2003146172A (ja) 自動車用エアーバッグ装置の破断開口部構造
CN215662962U (zh) 具有气囊门的仪表板
KR100477089B1 (ko)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은폐형 패신저 에어백도어 구조
JPH11139235A (ja) エアバッグ装置のエアバッグドア
JP7135715B2 (ja) 乗物用アームレスト
JP2002137706A (ja) 衝撃吸収部材の衝撃エネルギ吸収構造
KR100535757B1 (ko) 은폐식 에어백 도어의 전개구조
KR100505868B1 (ko) 에어백이 구비된 자동차용 크래쉬 패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