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8994B1 - 공항수화물의 수납처리방법, 공항수화물의 수납처리시스템 및 공항수화물의 자동처리장치 - Google Patents

공항수화물의 수납처리방법, 공항수화물의 수납처리시스템 및 공항수화물의 자동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8994B1
KR100228994B1 KR1019960042178A KR19960042178A KR100228994B1 KR 100228994 B1 KR100228994 B1 KR 100228994B1 KR 1019960042178 A KR1019960042178 A KR 1019960042178A KR 19960042178 A KR19960042178 A KR 19960042178A KR 100228994 B1 KR100228994 B1 KR 1002289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gage
passenger
information
reservation
safety ch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2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0894A (ko
Inventor
미노루 야마자끼
Original Assignee
와다 아끼히로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0070995A external-priority patent/JP331711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0070895A external-priority patent/JP3715009B2/ja
Application filed by 와다 아끼히로,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와다 아끼히로
Publication of KR970020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08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89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89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65G47/46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and distributing, e.g. automatically, to desired points
    • B65G47/50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and distributing, e.g. automatically, to desired points according to destination signals stored in separate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36Other airport installations
    • B64F1/368Arrangements or installations for routing, distributing or loading bagg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36Other airport installations
    • B64F1/366Check-in coun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이용자가 예약한 정보를 기억하여 두고, 그 이용자가 입장한 때에 예약정보를 검색하여, 일치한 경우에 탑승권을 부여하는 동시에 그 탑승권의 번호로 부터 검색가능한 수화물 번호를 붙인 태그를 각 수화물에 부여하여, 태그를 부착한 수화물을 수납하도록 하였다.
수납된 수화물은 승객에서 떨어져서 안전 체크를 받아, 승객이 자신의 안전체크를 받을때에 자기의 수화물의 안전체크 결과가 불합격인 것이 있는 경우에는 그 해소처리를 하고, 자신의 안전체크를 종료한 승객의 수화물만을 분류하여 컨베이어에 얹어놓아 해당하는 항공편의 비행기 마다로 구분하여 적재처리를 행한다.

Description

공항수화물의 수납처리방법, 공항수화물의 수납처리시스템 및 공항수화물의 자동처리장치
본 발명은 항공기의 승객이 지참한 다수의 공항 수화물의 수납처리의 방법, 그 시스템, 혹은 그를 위한 자동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상세하게는, 공항수화물의 안전체크 및 수화물 수납고에의 적재의 효율화를 도모한 공항수화물의 수납처리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하여, 혹은 공항수화물의 접수나 분류 등을 자동적으로 행하는 수화물 자동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객항공에 있어서는, 좌석으로 가지고 들어오면, 방해가 되는 수화물을 지참하는 탑승자를 위해, 기내에 객실이외에 수화물 수납고를 설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탑승자는 공항에서의 체크인때에 수화물을 맡기고, 그 후 수화물은 원칙적으로 탑승자로부터 떨어져서 탑승하는 비행기에로의 적재작업이 행하여지게된다. 그런데 공항은 통상 복수의 발착홈을 갖추어, 각 홈에서는 계속해서 비행기의 발착이 행하여진다. 한편, 출발편으로 탑승하려고 하는 승객은 출발시각에 어느 정도의 여유를 가지고 공항으로 온다. 이 때문에 공항내에는, 여러가지의 출발편으로 탑승하려는 다수의 승객이 뒤섞여져 있고, 승객의 수화물도 마찬가지이다.
종래 이와같은 공항수화물을 적재하는 항공편마다로 분류하는 것을 예컨대 일본국 특개평 2-265813 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시스템에 의해 이루어져 왔다. 동 공부에 기재된 공항수화물 분류시스템은, 대략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면중 반시계 방향으로 순환하는 루프상의 반송 컨베이어(60)를 중심으로, 복수의 투입부(70A 내지 70D)와 복수의 선별부(80A 내지 80N)를 설치한 것이다.
그리고, 각 투입부 (70A 내지 70D)에는, 승객이 탑승수속을 하여 수화물을 맡기는 체크인 데스크 (71A 내지 71D)와 수화물을 수납하는 수납컨베이어 (72A 내지 72D)와 수납된 수화물을 반송 컨베이어(60)에 투입하는 투입컨베이어(73A 내지 73D)가 설치되어 있다. 체크인데스크(71A 내지 71D)는 각 투입부(70A 내지 70D)에 각각 복수개 설치되어 있다. 선별부(80A 내지 80N)는 각각이 출발편에 대응하여, 해당하는 항공편에 적재하는 수화물을 선별하여 반송 컨베이어(60)에서 꺼내어, 비행기에로의 운반차에 옮겨싣는 부분이다.
이 시스템에서는, 공항으로 입장한 승객은 탑승하려고 하는 항공편에 관계없이 어느 곳의 투입부(70A 내지 70D)의 어느 곳의 체크인 데스크(71A 내지 71D)에서도 탑승수속을 할 수가 있다. 각 체크인 데스크(71A 내지 71D)에는 오퍼레이터가 배치된다. 오퍼레이터는 승객의 신고 또는 지참된 항공권의 기재내용에 의거, 비치한 컴퓨터 단말기를 조작하여 수화물 번호나 적재하는 항공편을 입력하고, 승객의 수화물에 태그를 붙이고 수납 컨베이어(72A 내지 72D)에 얹혀놓는 작업을 행한다. 수납컨베이어(72A 내지 72D)에 놓여진 수화물은 투입컨베이어(73A 내지 73D)를 경유하여 반송 컨베이어(60)에 투입이 되어, 반송 컨베이어(60)의 순환과 동시에 순회한다. 그리고 선별부(80A 내지 80N) 중 적재되는 항공편에 대응하는 것에 이르면 반송 컨베이어(60)로부터 튕겨져 나와 당해항공편의 비행기에의 운반차에 옮겨 실리게 된다.
이러한 시스템에서는, 반송 컨베이어(60)를 다중 루프로 함으로서, 순환속도를 안전한 범위로 낮게 억제하면서 처리용량을 증대시킬 수가 있다. 또 반송 컨베이어(60)에는 출발시각까지 시간이 있어 그 항공편을 위한 선별부가 아직 준비되어 있지 않는 수화물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웨이팅서클(61)을 부설할 수가 있다.
또 공항에 있어서는, 여객항공편에 올라타는 탑승자에 대하여 안전체크를 하는 것은 물론, 탑승자가 맡긴 수화물에 대하여도 안전체크를 행하고, 운행의 안전이나 범죄의 방지를 도모하고 있다. 그래서 수화물을 맡긴후에 해당 수화물의 안전체크를 하는 종래의 공항에 있어서는, 수화물 수납처리에서는 수화물의 안전체크 결과 합격한 수화물에 대하여서는 탑승기마다의 분류를 실시하여 탑승기에의 적재를 행하며, 안전체크 결과 불합격이 나온 경우에는 그 불합격 수화물의 소유자인 탑승자를 구내 방송으로 불러내어서 불합격을 해소시키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공항에서의 수화물 수납처리에는 이하와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제 1 의 문제점은, 근년에 있어서 공항의 대규모화, 복잡화에 따라 취급할 수화물의 양이 점점 증대됨에 따른 문제점이다. 즉 상기의 시스템으로 처리용량을 증대시키는 수단으로서는 반송 컨베이어(60)를 다중루프로 하는 것이 생각되나, 그것에 비례하여 체크인 데스크(71A 내지 71D)의 개수나 오퍼레이터의 수도 증가시키지 않으면 안된다. 이 때문에, 작업부담이나 인원코스트가 대단히 크고, 처리용량 증대에 대한 장벽이 되고 있다.
제 2 의 문제점은 수화물의 안전체크 결과 불합격이 나온 경우의 대처가 효율적이지 않다는 데 있다. 즉 수화물의 안전체크 결과 불합격이 나와서 그 소유자의 호출을 구내방송으로 하여도, 소유자가 언제나 곧 나타나지는 않는다. 이 때문에 불합격의 해소를 요하는 수화물이 다수 체류하는 등의 불편이 있었다. 소유자가 호출에 곧 응하지 않는 것은 공항내에는 매점이나 식당 등이 있어 이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 안전체크에 합격한 수화물에 대하여는 탑승기 마다의 분류에 돌려져서 그대로 비행기에 적재되나, 그후 그 수화물의 소유자가 나타나지 않는 채 출발시각에 이르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는 출발하기 전에 그 자의 수화물을 내리지 않으면 안된다. 탑승자가 아닌자의 화물을 운반하는 것은 범죄 등에 이용될 염려가 있기 때문이다. 가령 그와 같은 염려가 없어도 항공편이 틀린데 따른 것이라면 그 화물과 소유자의 재회가 번잡하며, 또 여객편과 화물편의 구분도 바람직하지 않다.
그러나, 수화물 적재의 시점에서는 그와같은 것은 고려하지 않으므로 내려놓을 수화물이 수납고의 안쪽에 수납되어 있을 수 있으며, 그 경우에는 끌어내는 작업이 대단히 번잡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다음의 각 과제의 적어도 하나를 달성시키려고 하는 것이다.
제 1 의 목적은 안전체크에서 불합격된 수화물에 대한 처리를 효율화하려는 것이다.
제 2 의 목적은 일단 적재된 화물의 끌어내리기가 필요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탑승하는 것이 확실하게 된 자의 수화물만을 비행기 수납고내에 적재하도록 하려는 것이다.
제 3의 목적은, 용이하게 처리용량을 증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오퍼레이터를 배치하지 않아도 승객이 스스로 조작하여 수화물을 맡길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공항시스템을 도시한 개략도.
제2도는 수화물 취급 시스템의 블록도.
제3도는 수화물 자동처리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
제4도는 수화물 자동처리장치의 제어계의 블록도.
제5도는 수화물 자동처리장치에서의 접속처리의 수순을 설명하는 흐름도.
제6도는 승객의 안전체크게이트에서의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
제7도는 종래기술의 수화물의 접수처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자동체크인 카운터부 4 : 수화물 투입부
5 : 수화물 취급 시스템 7 : 액세스 터미날(access terminal)
8 : 안전체크게이트(사람) 9 : 안전체크게이트(수화물)
13 : 분류 컨베이어 16 : 탑승권 발행정보파일
21 : 개폐게이트 34 : 승객수화물
39 : CPU 41 : 데이터 메모리
42 : 카드리더(cardreader) 44 : 태그발행기
47 : 게이트 제어부
상기 제 1 의 목적을 달성하려고 하는 공항수화물 수납처리방법의 발명은, 승객의 수화물을 받아넣어서 항공기의 수화물 수납고에 적재하는 공항수화물의 수납처리방법에 있어서, 접수시에 승객 및 그 수화물을 특정할 수 있는 식별정보를 상기 수화물과 그 소유자인 승객에게 부여하여, 수화물의 안전체크시에 그 결과를 기억하여, 승객의 안전체크시에 그 승객의 식별정보에 의거하여 수화물의 안전체크 결과를 검색하여, 그 승객의 소유 수화물의 안전체크 결과가 불합격인 것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결과를 그 승객에 알려서 불합격 이유의 해소를 그 승객이 행하도록 하여, 불합격이 해소된 수화물을 항공편 마다의 분류부에 반송하는 것을 주된 특징으로 한다.
이 수화물의 수납처리방법에서는, 수화물을 휴대한 승객이 접수를 하면, 우선 식별정보 (특유의 코드)가 승객 및 그 수화물에 부여되어, 승객이 한 사람씩 특정가능하게 되어, 수화물이 하나씩 특정가능하게 된다. 이 식별정보를 사용하여, 수화물로부터 그 소유자인 승객을 검색할 수 있는 동시에 승객 소유 수화물을 검색할 수 있다. 또한 한사람의 승객이 2개 이상의 수화물을 가지고 들어온 경우에는, 각 수화물 마다에 식별정보가 부여된다. 통상 이 식별정보는, 수화물에는 태그 등의 표찰에 기록되어서 부여되고, 승객에는 탑승권에 기록되어서 부여된다. 그리고, 식별정보가 부여된 수화물은 승객과 나누어져서 수화물의 안전체크를 받고, 그 결과가 기억된다.
한편 승객 자신도 안전 체크를 받으며, 그때 승객의 식별정보에 의거하여 기억되어 있는 수화물의 안전체크 결과가 검색되어, 자기의 수화물의 안전체크 결과가 불합격인 것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결과가 알려져서, 그 해소처리를 승객자신이 행한다.
그리고 불합격이 해소되면, 그 수화물은 분류부에 이송되어, 그 승객이 탑승하는 항공편의 항공기의 수화물 수납고에로 적재가 이루어진다. 승객은 탑승하기 전에 반드시 자신의 안전체크를 받으므로, 불합격의 수화물이 있는 경우에 효율적으로 그 처리를 행할 수가 있다. 여기서 그 승객의 수화물이 모두 안전체크에 합격한 경우에도, 승객 자신의 안전체크시에 그 취지를 그 승객에게 전달하여도 좋다.
여기서, 승객이 예약할때에 수화물에 관한 정보를 신고시켜서 기억하는 동시에 그 예약을 특정할 수 있는 예약정보를 그 승객에 부여하여 접수시에 승객이 신고한 예약정보에 의거하여 그 승객의 수화물에 관한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식별정보를 부여할 수가 있다.
이 경우에는, 예약시에 수화물에 관한 정보가 신고되어 있으므로 예약 승객이 접수시에 예약정보를 신고하면, 그것에 의거하여, 예약시에 신고한 수화물에 관한 정보가 검색이 됨으로, 예약 승객에 대하여는 효율적으로 식별정보의 부여를 할 수가 있다.
또, 승객이 예약할때에 상기 예약정보를 그 승객의 고유의 기록매체에 기록, 접수시에 그 승객의 상기 기록 매체에서 상기 예약정보를 판독하도록 할 수가 있다.
기록매체로서는, IC 카드 등의 식별카드가 좋으리라는 생각이 든다. 예약 전용의 것도 좋으나, 은행카드나 크레디트 카드 등을 겸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예약정보가 그 승객의 고유 기록매체에 기록됨으로서 예약이 있는 승객이 접수시에 그 기록매체를 지참하면 용이하게 예약정보를 판독하여 효율좋게 식별정보를 부여할 수가 있다. 특히, 기록매체의 판독 등을 자동적으로 행함으로서, 상기 제 3 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더우기, 승객의 안전체크시의 검색결과에 의거하여 그 승객의 소유 수화물로서 안전체크 결과가 합격인 것을 항공편 마다의 분류부에 이송하도록 할 수가 있다.
이 경우에는, 승객이 접수시에 맡긴 수화물은, 안전체크 결과가 합격이라도 곧 분류부에 이송되지 못하고, 승객 자신이 안전체크를 받은 후에 그때의 검색결과에 의거하여, 그 승객의 소유 수화물로서 안전체크 결과가 합격인 것이 선별되어서 항공편 마다의 분류부에 이송된다. 그리고 그 승객이 탑승하는 항공편의 수화물 수납고에 적재가 이루어진다. 안전체크를 받은 승객은 탑승할 가능성이 크므로, 그와 같은 승객의 소유 수화물 만이 적재의 대상이 되고, 일단 적재한 수화물은 끌어내리기가 필요없게 된다. 즉, 상기 제 2 의 목적이 달성되는 것이다.
또한 그 승객의 수화물의 안전체크 결과, 불합격인 것이 포함되어 있을 때에는 그 승객에 의해 불합격의 해소가 이루어진 후에, 그 수화물이 분류부로 이송되어, 해당하는 항공편의 수화물 수납고에서 적재가 이루어진다.
상기 제 1 의 목적을 달성하려고 하는 수화물 수납처리 시스템의 발명은, 승객의 수화물을 받아 넣어 항공기의 수화물 수납고에로 적재를 행하는 공항수화물의 수납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수화물의 식별정보 및 안전 체크 결과와 상기 승객의 식별정보를 상호 검색가능하게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승객의 안전체크시에 그 승객의 식별정보에 의해 상기 기억수단을 검색하여 그 승객의 소유 수화물의 안전체크 결과가 불합격인 것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그 결과를 그 승객에 알리는 통보수단과, 불합격의 이유가 그 승객에 의해 해소된 수화물을 항공편 마다에 분류하는 분류부를 가지는 것을 주된 특징으로 한다.
이 수화물 수납처리 시스템에서는, 접수시에 수화물에 부여된 식별정보는, 승객의 식별정보와 동시에 상호 검색가능하게 기억수단으로 기억된다. 또, 수화물의 안전체크 결과도 이 기억수단으로 승객의 식별정보와의 검색이 가능한 형태로 기억된다. 그리고, 승객이 자신의 안전 체크를 받으려면, 그 승객의 식별정보에 의거하여 기억수단이 검색되어, 그 승객의 소유 수화물에 안전체크 결과에 합격하지 못한 것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알림수단에 의해 그 승객에게 그 결과가 알려지게 된다. 그 승객 자신에 의해 불합격 이유가 해소되면, 그 수화물은 분류부로 항공편 마다에 분류된다.
여기서 상기 분류부는, 안전체크에 합격한 수화물로서 그 소유자가 자신의 안전체크를 종료한 것을 항공편 마다에 분류하도록 할 수가 있다.
이 경우에는, 안전체크에 합격한 수화물은 곧 항공편 마다로의 분류가 지체될 이유없이, 그 소유자가 자신의 안전체크를 종료하면 분류부에 이송되어 항공편마다에 분류된다. 그리고, 그 승객이 탑승하는 항공편의 수화물 수납고로의 적재가 이루어진다. 안전체크를 받은 승객은 탑승할 가능성이 큼으로서, 그와 같은 승객의 소유 수화물만이 적재의 대상이 되어, 일단 적재한 수화물을 끌어내릴 필요가 없게 된다. 즉 상기 제 2의 목적이 달성되는 것이다.
더우기, 안전체크에 합격한 수화물을 그 소유자가 자신의 안전체크 종료시까지 저장하는 저장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안전체크에 합격한 수화물로서 그 소유자가 자신의 안전체크를 종료하지 않은 것은, 저장부에 저장이 된다. 그리고 소유자가 자신의 안전체크를 종료하면, 분류부에 이송되어서 항공편마다에 분류되어 수화물 수납고에로의 적재가 이루어진다.
또, 접수시에 승객 및 그 수화물을 특정할 수 있는 식별정보를 상기 수화물과 그 소유자인 승객에 부여하는 동시에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시키는 접수수단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접수시에 수화물과 그 소유자인 승객에 식별정보가 부여되어 특정가능함으로서, 승객이 자신의 안전체크를 받을때에 식별정보를 검색함으로서, 그 승객의 수화물로서 안전체크에 불합격한 것에 대하여는 이를 해소시키고, 또 안전체크에 합격한 것에 대하여는 분류부로 이송된다.
그리고, 승객이 예약할때에 수화물에 관한 정보를 신고시켜서 기억하는 동시에 그 예약을 특정할 수 있는 예약정보를 그 승객에 부여하는 예약수단을 가지며, 상기 접수수단은, 상기 예약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식별정보를 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예약수단에 의해, 예약시에 수화물에 관한 정보의 신고를 받아서 그 예약을 특정하는 예약정보가 부여되므로, 예약이 있는 승객이 접수시에 예약정보를 신고하면, 그것에 의거하여 접수수단에 의해, 예약시에 신고한 수화물에 관한 정보가 검색됨으로서 예약이 있는 승객에 대하여는 효과적으로 식별정보를 부여할 수가 있다.
또, 상기 접수수단은 접수시에 승객이 신고한 예약정보와 상기 예약수단으로 기억되어 있는 예약정보를 비교하여, 양 예약정보가 일치된 경우에 상기 식별정보를 부여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접수시에 승객이 예약정보를 신고하면, 접수수단에 의해, 신고된 예약정보와 예약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예약정보와의 비교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양 예약정보가 일치한 경우, 즉 그 승객이 예약객이였던 경우에는 승객 및 그 수화물에의 식별정보가 부여된다.
더우기 상기 예약수단은, 예약시에 상기 예약정보를 그 승객의 고유의 기록매체에 기록, 상기 접수수단은, 접수시에 그 승객의 상기 기록매체에서 상기 예약정보를 판독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예약수단에 의해 예약정보가 그 승객 고유의 기록매체에 기록되므로, 예약한 승객이 접수시에 그 기록매체를 지참하면 접수수단에 의해 용이하게 예약정보를 판독하여, 효율좋게 식별정보를 부여할 수가 있다. 기록매체로서는 IC카드등의 식별카드가 고려될 수 있으며, 전용의 것이라도 좋고, 또 은행카드나 크레디트 카드 등과의 겸용이라도 좋다.
또 상기 접수수단이 상기 식별정보를 부여할 때에 그 식별정보를 기록한 수화물 태그를 발행하는 태그 발행수단과, 상기 수화물 태그가 부착된 수화물을 수령하는 수화물 수령수단을 가지면, 상기 수화물 수령수단이 수령한 수화물에 대하여 안전체크를 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접수시의 접수수단에 의한 수화물의 식별정보의 부여때, 태그발생수단에 의해 수화물 태그가 발행되어, 이 수화물 태그에 당해 수화물의 식별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그리고 수화물 태그를 해당하는 수화물에 부착하면, 그 수화물은 수화물 수령수단에 의한 수령이 가능하게 되어, 접수된 수화물에 대하여 안전체크가 행하여진다. 즉 상기 제 3의 목적이 달성된다.
더우기 통상시는 상기 수화물 수령수단에 의한 수화물의 수령이 금지되어 있으며, 상기 태그 발행수단에 의해 수화물 태그가 발행된때에 그 금지가 해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수화물이 태그 발행을 받아 부착된 수화물 이외는 수화물 수령수단에 의해 수령되는 일이 없다.
상기 제 3의 목적을 달성하려고 하는 수화물 자동처리장치에 의해, 공항수화물 수납처리 방법이나 공항수화물 수납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수화물의 접수를 할 수가 있다. 그 때문에 이들 발명은, 항공기에 탑승하려고 하는 승객의 수화물을 수납하는 공항수화물의 자동처리장치에 있어서, 미리 입력된 탑승객 정보를 예약정보로서 기억하는 예약정보기억수단과, 수화물의 접수시에 입력되는 예약정보와 상기 예약정보기억수단에 기억된 예약정보를 비교하는 비교수단과, 상기 비교수단에 의한 비교 결과 양 정보가 일치된 경우에 탑승정보를 기록한 수화물 태그를 발행하는 태그 발행수단과, 상기 수화물 태그가 부착된 수화물을 수령하는 수화물 수령수단을 가진 것을 주된 특징으로 한다.
본 수화물 자동처리장치에 의하면, 승객이 탑승 예약을 한때의 탑승정보가 예약정보로서 예약정보 기억수단에 기억되고, 그 기억내용에는 수화물에 관한 정보도 포함되어 있다. 승객이 입장하여 수화물의 접수를 위해 예약정보를 입력하면, 그 입력한 예약정보는 비교수단에 의해, 예약정보 기억수단에 기억이 된 예약정보와 비교되어 예약의 대조가 이루어진다. 그 결과 일치된 경우에는, 태그 발행수단에 의해 수화물 태그가 발행된다. 그 수화물 태그에는, 탑승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승객이 수화물에 수화물 태그를 부착하여 수화물 수령수단으로 얹어놓으면 수화물 수령수단에 의해 수령이 된다.
이 수화물 자동처리장치는, 수화물을 항공편 마다 분류하는 선별장치와 연결하여 사용할 수가 있다. 그 경우, 이 수화물 자동처리장치에서 무인으로 수령이 된 수화물에는, 탑승정보를 기록한 수화물 태그가 부착됨으로서, 선별장치에서 항공편마다의 분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 여기서 말하는 태그발행수단은, 수화물태그 발행만이 아니라, 승객이 탑승중 휴대하는 탑승권의 발행을 행하는 탑승권 발행수단으로서의 역할을 겸하여도 좋다.
그리고, 수화물의 접수시에 승객지참의 기록매체에 기록된 예약정보를 판독하는 판독수단을 가지며, 상기 비교수단은, 상기 판독수단이 판독한 예약정보와 상기 예약정보 기억수단으로 기억된 예약정보를 비교하여도 좋다.
이 수화물 자동처리장치에서는, 예컨대 IC 카드와 같은 기록매체를 승객이 지참하면, 판독수단이 이것에 기록된 정보를 판독함으로서, 입장한 승객의 정보가 입력이 된다. 따라서 비교수단은 판독수단이 판독한 정보와 예약정보 기억수단으로 기억된 탑승정보를 비교하여 예약의 대조를 행한다.
또 상기 수화물 수령수단에서 수화물의 수령을 금지가능한 금지수단과, 통상시는 상기 금지수단으로 수화물의 수령을 금지시켜, 상기 태그 발행수단에 의해 수화물 태그가 발행된 때에 상기 금지수단으로 금지를 해제시키는 제어수단을 가지도록 하여도 좋다.
이 수화물 자동처리 장치에서는, 통상시는 제어수단이 금지수단에 의해서 수화물 수령수단으로의 수화물의 수령을 금지하고 있다. 승객 수화물이 아닌 것이나, 수화물의 태그가 부착되어 있지 않은 수화물이 수화물 수령 수단으로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태그 발행수단에 의하여 수화물 태그 발행이 이루어지면, 제어 수단이 금지수단에 의한 금지를 해제시킴으로서, 수화물 태그를 부착한 수화물을 수화물 수령수단에서 수령할 수가 있게 된다. 여기서는 금지수단으로, 수화물 수령수단의 입구부분을 폐쇄하는 문짝이나 셔터와 같은 것이 생각될 수 있다. 또 수화물 수령수단으로 물품의 투입금지를 표시하는 메시지 표시를 고려할 수 있다.
더우기, 이 수화물 자동처리장치의 수화물 수령수단은, 투입된 수화물에 부착된 수화물 태그를 판독하는 태그리더와, 이 태그리더가 판독한 정보에 의거하여 그 승객의 수화물의 수령이 완료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완료 판단수단을 갖추어 상기 제어수단은, 이 완료판단수단에 의해 수령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되었을때에 상기 금지수단으로 다시 수령을 금지시켜도 좋다.
이 경우에는, 수화물 수령수단으로 수화물이 투입되면, 태그리더가 그 수화물에 부착된 수화물 태그를 판독, 그 정보를 완료 판단수단으로 제공한다.
그리고 완료 판단수단으로 이 정보에 의거 수화물의 수령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제어수단이 금지수단으로 다시 수령을 금지시켜, 이후 다음의 승객이 올때까지 수화물 수령수단으로 화물의 투입이 방지된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공항수화물의 수납처리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공항시스템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본 공항시스템은, 공항터미날 (1)의 내부에 항공회사 호스트 (3), 수화물 취급 시스템 (이하, 「BHS」라 말함) (5), 액세스 터미날 (7), 안전체크게이트 (승객)(8), 탑승구 (9), 안전 체크게이트 (수화물)(11), 저장 컨베이어 (12), 분류 컨베이어 (13)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공항터미날 (1)의 외부에 여행대리점(30)을 갖추고 있다.
항공회사 호스트 (3)는 항공회사가 자사의 운행 항공편에 관한 예약이나 탑승자 등의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호스트 컴퓨터이며, 예약정보파일 (15), 탑승권 발행정보파일 (16), 탑승자 정보파일 (17)을 내장하고 있다. 예약정보파일 (15)은, 여행대리점 (30)등에 의해 접수된 예약의 내용을 기록하는 파일이다. 탑승권 발행정보파일 (16)은, 액세스 터미날 (7)로 이용자 (31)가 발행한 탑승권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는 파일이다. 탑승자 정보파일(17)은, 탑승구 (9)를 통과한 승객 (액세스 터미날 (7)을 통과한 이용자 (31)를 말한다)이나 분류 컨베이어 (13)를 통과한 수화물에 관한 정보를 기록하는 파일이다.
도 1 에는 이 항공회사 호스트 (3)는 하나밖에 표시되어 있지 않으나, 실제로는 그 공항으로 들어가는 항공회사 마다 각각 따로 가지고 있다.
BHS(5)는 이용자 (31)가 가지고 들어간 수화물의 비행기 적재까지의 취급 관리를 하기 위한 호스트 컴퓨터이며,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화물 정보, 안전 체크결과, 통과정보, 위치정보의 4종류의 정보를 위한 기억 구역이 설치되어 있다. 수화물 정보는 항공편 마다의 승객의 수화물에 관한 정보로서, 승객의 성명외에, 수화물의 수 등이 포함된다. 안전 결과는, 안전 체크 게이트 (11)에서 수화물의 안전체크를 한 결과의 가부이다. 통과정보는, 수화물을 기내로의 분류로 돌려도 좋은지 어떤지의 정보로서, 수화물의 주인인 승객이 안전 체크게이트 (8)를 통과하였는지 아닌지의 정보이다.
위치정보는, 수화물이 현재에 어느 곳에 있는가의 정보이다. 청구항 5에서 말하는 기억수단은 BHS(5)에 상당한다.
이 BHS(5)는 공항이 소유하는 시스템이며 각 항공회사는 이것을 공용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액세스 터미날 (7), 안전 체크게이트 (8), 탑승구 (9), 안전체크게이트 (11), 저장컨베이어 (12), 분류 컨베이어 (13)도 동일하다.
액세스 터미날 (7)은 공항에 도착한 이용자 (31)를 위한 접수단말기이다.
이 액세스 터미날 (7)은 접수된 이용자 (31)에 탑승권 및 그 이용자 (31)의 수화물에 부착하는 태그를 발행하여 교부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 태그에는 각별히 수화물 식별번호 (숫자 뿐만이 아니라 문자나 기호를 포함하여도 좋다)가 부여되어 있으며, 승객의 탑승권의 식별번호와 상호로 검색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액세스 터미날 (7)과 안전 체크게이트 (11)의 사이에는 반송 컨베이어 (35)가 설치되어 있으며, 태그가 부착된 수화물을 이용자 (31)에게서 받아 자동반송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것은 승객을 빨리 수화물에서 해방시켜서 승객자신의 안전체크와 그외 탑승정의 수속을 하기 쉽도록 배려한 것이다.
이 액세스 터미날 (7)은, 공항빌딩의 메인플로어 (안전체크게이트 (8)나 탑승구 (9)에 설치되어 있으며, 또 버스나 택시의 발착장과 동일 플로어로 되어 있다) 외에 주차장 플로어나 부설의 철도역 등에도 설치되어, 이용자에 편의를 도모하고 있다. 그리고 액세스 터미날 (7)은, 항공회사 호스트 (3)에서 예약정보파일 (15)에 기록된 예약정보의 제공을 받도록 되어 있다.
또 승객이 발행한 탑승권이나 받아쥔 수화물에 관한 정보를 해당하는 항공회사 호스트 (3)에 보고하도록 되어 있고, 항공회사 호스트 (3)에서는 이것을 탑승권 발행정보파일 (16)에 기록하도록 되어 있다.
안전체크게이트 (8)는 승객의 안전체크를 행하는 시설이다. 즉, 승객이 위험물과 그외 기내에 가지고 들어가는 것을 금지하는 제품을 소지하고 있지 않는가의 검사를 하는 장소이다. 그리고 그 뿐만 아니라, 수화물의 안전체크 결과 그 임자인 승객의 표시나, 승객이 안전체크를 종료한 취지를 BHS(5)에 보고하는 것등도 행하도록 되어 있다.
탑승구 (9)는 안전 체크게이트 (8)를 통과한 승객이 비행기 (32)에 실제로 탑승하기 위한 게이트이며, 비행기 (32)의 발착홈마다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는 승객의 통과가 있은 경우에 그 취지를 항공회사 호스트 (3)에 보고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1 에는 표시하지 않았으나, 국제선용의 발착홈의 경우에는 안전게이트 (8)와 탑승구 (9)의 사이에 출국 검사장이 설치된다.
안전 체크게이트(11)는, 액세스터미날 (7)에서 승객의 손을 떠난 수화물의 안전 체크를 하는 시설이다. 즉, 수화물에 위험물과 기내에 가지고 들어가는 것이 금지되어 있는 제품이 포함되어 있지 않는가의 검사를 하는 장소이다. 이 장소와 액세스 터미날 (7)는 자동 반송 컨베이어로 연결되어 있으며, 액세스 터미날 (7)에서 접수한 수화물이 자동적으로 반송되도록 되어 있다. 또 여기서의 안전체크 결과는, 즉각 BHS(5)에 전달되어 기억되도록 되어 있다.
저장 컨베이어 (12)는, 안전체크게이트 (11)에서의 안전체크 결과가 합격이라면 수화물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컨베이어이다. 이 저장 컨베이어 (12)는 저장하고 있는 수화물 중, 안전 체크게이트 (8)를 통과한 승객 소유의 수화물을 분류 컨베이어 (13)로 흔들어서 나가게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분류 컨베이어 (13)는 수화물을 적재할 각각의 항공편으로 분류하는 컨베이어이다. 이 분류 컨베이어 (13)에서는 출발시각까지 소정시간 이내로 된 항공편의 수화물을 당해 항공편의 비행기 (32)를 향하여 송출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저장 컨베이어 (12) 및 분류 컨베이어 (13)는 BHS(5)에서 지령을 받는 동시에 BHS(5)에 대하여 수화물의 현재위치의 정보를 전송하도록 되어 있다.
공항터미날 (1) 외부의 여행대리점 (30)은, 이용자 (31)로부터 예약을 받는 창구이며, 그 예약내용을 항공회사 호스트 (3)에 전송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항공회사 호스트 (3)는 그 내용을 예약정보 파일 (15)에 기록하도록 되어 있다.
액세스 터미날 (7)에 대하여 더욱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액세스 터미날 (7)에는 도 3에 도시한 수화물 자동처리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 수화물 자동처리장치는 자동체크인 카운터부 (2)와 수화물 투입부 (4)로 대별되며, 이들은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어 있다. 자동체크인 카운터부 (2)는 공항에 입장한 이용자 (31A)의 접수를 하는 곳이고, 수화물 투입부 (4)는 자동체크인 카운터부 (2)에서의 접수를 끝내고 탑승권 및 수화물 태그 (33)의 교부를 받은 승객 (31B)이 수화물 (34)을 맡기는 곳이다.
자동체크인 카운터부 (2)에는, 이용자 (31A)가 지참한 IC 카드 (또는 항공권)를 삽입하는 카드 삽입구 (18), 이용자 (31A)에 교부하는 탑승권이나 수화물 태그(33)를 배출하는 배출구(20)가 설치되어 있다. 또 화면(19)의 표면은 터치패널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용자(31A)가 조작 지시등을 행하는 화면 (19), 이용자 (31A)가 조작하기 위한 여러가지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수화물 투입부 (4)에는, 앞면에는 개폐게이트 (21)와 지시화면 (38)이 설치되고 개폐게이트 (21)의 내부에는 배치대 (22)와 검지기 (23)가 설치되어 있다.
검지기 (23)는 배치대 (22)에 얹어놓은 수화물 (34)의 크기를 검지하는 동시에 수화물 (34)에 부착된 수화물 태그 (33)를 판독하는 기능을 한다. 또 배치대 (22)는, 배치된 수화물 (34)의 무게를 검지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 수화물 투입부 (4)의 내부하면에는 반송 컨베이어 (35)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반송 컨베이어 (35)는 후술하는 안전 체크 게이트 (화물)(11)까지 이어져 있다. 그리고 자동체크인 카운터부 (2)와 수화물 투입부 (4)의 각각의 상부에는 이용자 (31A, 31B)의 본인확인을 위한 감시카메라 (36,37)가 설치되어 있다.
이 수화물 자동처리장치의 제어계의 블록구성을 도 4에 도시한다. 수화물 자동처리장치에는 자동체크인 카운터부 (2)와 수화물 투입부 (4)에 각각, 제어처리를 위한 CPU (39,40)이 구비되어 있다.
자동체크인 카운터부 (2)에는, 후술하는 항공회사 호스트 (3)에 접속된 CPU (39)를 중심으로, 항공회사 호스트 (3)에서 제공되는 예약데이터를 기억하는 데이터 메모리 (41), 카드삽입구 (18)에 삽입된 IC 카드 (또는 항공권)를 판독하는 카드리터 (42), 감시카메라(36), 조작패널 (19a), 화면 (19), 탑승권 발행기 (43), 태그발행기 (4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조작패널 (19a)은 상기와 같이, 화면 (19) 표면에 터치패널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 탑승권 발행기 (43)에서 발행된 탑승권 및 태그 발행기 (44)에서 발행된 수화물 태그(33)는, 어느 것이나 배출구 (20)에서 배출되어 이용자(31A)에 교부되도록 되어 있다.
수화물 투입부 (4)에는, CPU (40)를 중심으로, 투입된 수화물(34)의 수화물 태그 (33)를 판독하는 태그리더 (45), 수화물 (34)의 크기나 무게를 검지하는 센서군 (46), 감시카메라 (37), 개폐게이트 (21)의 개폐조작을 행하는 게이트 제어부 (47), 반송 컨베이어 (35)의 구동조작을 행하는 컨베이어 제어부 (48), 그리고 화면 (38)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센서군 (46) 중 사이즈 센서는 태그리더 (45)와 동시에 검지기 (23)에 내장되어 있다. 센서군 (46) 중 중량센서는 배치대 (22)에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공항시스템에 있어서, 이용자 (31)에 의한 항공편의 예약에서부터 비행기 (32)에의 탑승 및 적재까지의 움직임을 사람 (이용자), 화물, 정보의 흐름에 착안하면서 설명한다.
우선, 이용자 (31)가 여행대리점 (30)에 항공편의 예약을 행한다. 이 예약은 전화나 방문 등 통상의 방법으로 행할 수가 있으나, 이용자(31)가 IC 카드 등의 식별카드를 소지하는 경우에는 그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약에 있어 이용자는, 성명이나 탑승을 희망하는 항공편, 클래스, IC 카드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그 번호등을 신고하는 외에, 수화물의 수나 크기 등의 수화물에 관한 정보를 신고할 수가 있다. 그리고 예약이 접수되면, 그 예약내용을 기록한 항공권이 이용자에게 교부된다.
IC 카드에 의한 예약의 경우에는 그 IC 카드에 예약내용이 기록되어서 항공권의 교부를 대체한다. 또 그 예약내용은, 여행대리점 (30)에서 공항터미날 (1)의 해당 항공회사 호스트 (3)에 전송되어, 예약정보파일 (15)에 기록이 된다. 또 액세스터미날 (7)에 설치된 수화물 자동처리장치 (도 3 참조)에도 전송되어, 데이터 메모리 (41)에 기억된다.
이용자 (31)가 공항터미날 (1)에 도착하면 우선 액세스 터미날 (7)에서 접수를 행한다.
여기서는, 수화물 자동처리장치에 의해, 탑승권의 발행이나 수화물의 수납을 한다. 액세스 터미날 (7)은 상기와 같이, 메인플로어외에 주차장 플로어나 부설의 철도역 등에도 설치되어 있으며, 이용자 (31)는 도착하여 곧 접수를 끝내고 수화물에서 해방될 수 있으므로, 공항터미날 (1)내에서 수화물을 가지고 긴 거리를 걸어돌아다닐 부담이 없다.
액세스 터미날 (7)의 수화물 자동처리장치는 최초에 자동체크인 카운터부 (2)에서 접수처리를 행하고 수화물 투입부 (4)에 수화물을 투입하여 행한다. IC 카드에 의해 예약을 한 이용자 (31)에 대한 이때의 처리흐름을 도 5에 의해 설명한다. 이용자 (31A)가 지참한 IC 카드를 카드삽입구 (18)에 삽입하면, 그 IC 카드는 카드리더 (42)에 끌어 넣어지고 카드리더 (42)에 의해 IC 카드의 식별번호가 판독된다 (S1). 판독된 식별번호는 CPU (39)에 전송된다. CPU (39)는 이 식별번호에 의거하여 데이터 메모리 (41)를 검색하여 (S2), 해당하는 예약 데이터가 있는지 없는지를 판단한다 (S3). 또한 이때, 감시카메라 (36)에서 이용자 (31A)의 확인도 행한다.
해당하는 예약데이터가 없는 경우에는 (S3 : No), IC 카드를 반환하고 (S4), 처리는 종료된다. 이 경우 그 이용자 (31A)는 예약객이 아니므로, 사람이 있는 다른 체크인 카운터에서 접수를 하면 된다.
해당하는 예약데이터가 있는 경우에는 (S3 : Yes ), 화면 (19)에 예약의 내용이 표시된다. 따라서 이용자 (31A)는 화면 (19)을 보아서 그 내용을 확인할 수가 있다.
그리고 화면(19)이 수화물의 개수등을 입력하는 모드로 변경되면, 이용자(31A)는 화면상의 지시에 따라 수화물의 개수 등을 입력한다 (S5). 예약때에 수화물이 개수를 신고하고 변경이 없는 경우에는 특별히 입력할 필요는 없다. 예약때에 수화물의 개수를 신고하지 않은 경우나 신고하였으나 변경이 있는 경우에는 입력을 하여야 한다. 이 입력은, 이용자 (31A)가 화면 (19)을 손가락으로 직접 눌러서 행한다. 또 이용자 (31A)에 대한 조작지시는, 화면상의 표시이외에, 음성에 의한 지시수단을 설치하여 행하여도 좋다.
수화물의 개수 등의 입력이 종료되면, 탑승권 발행기 (43)가 탑승권을 발행하고, 태그발행기 (44)가 수화물 태그 (33)를 발행한다 (S6). 발행되는 수화물 태그 (33)의 매수는 S5에서 입력된 개수와 동수이다. 이 탑승권 및 수화물 태그 (33)는, 배출구 (20)를 통하여 장치외로 배출이 되어, 이용자 (31A)에 교부된다. 탑승권에는, 이용자 (31A)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번호가 부여되어 있다. 각 수화물 태그 (33)에는, 수화물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번호가 부여되어 있다.
이들의 식별번호는 상호 검색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이용자 (31)의 식별번호를 알면 그 이용자 (31)의 수화물의 식별번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수화물의 식별번호를 알면 그 수화물의 주인인 이용자 (31)의 식별번호를 출력할 수 있다. 더우기 이용자 (31A)의 IC 카드번호와의 상호 검색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이때, 탑승권의 식별번호와 수화물 태그 (33)의 발행매수 및 각 식별번호가 CPU(39)에서 CPU(40)로 전송된다. 또 데이터 메모리 (41)에 기록된 예약 데이터 중 당해 이용자 (31A)에 관한 것이 소거된다. 더우기 각 식별번호 등의 정보는 항공회사 호스트 (3)에도 전송이 된다. 항공회사 호스트 (3)에서는 그 정보중 탑승권 발행정보 파일 (16)에 기록한다. 이렇게 기록된 정보는 접수를 끝낸 이용자 (31), 즉 이용자의 성명이나 탑승하는 항공편명, 좌석위치, 탑승권의 식별번호, 수화물의 개수 및 그 식별번호 등이다.
그리고 이용자 (31A)에 IC 카드가 반환되면 (S7), 자동체크인 카운터부 (2)에서의 처리는 종료하며, 이용자는 이웃의 수화물 투입부 (4)로 이동한다. 또한 S5에서 입력한 수화물수가 0인 경우에는 접수처리는 이것으로 종료하여, 이용자 (31A)는 탑승권을 휴대하여 후술하는 안전 체크게이트 (사람)(8)로 향한다. 또 S7까지의 처리가 종료하면, 자동체크인 카운터부 (2)는, 수화물 투입부 (4)가 계속하는 S9이후의 처리에 병행하여, 다음의 이용자 를 위한 처리를 행할 수가 있다.
수화물의 어느 이용자가 수화물 투입부 (4)로 이동하면, 감시카메라 (37)에 의한 감시후에 게이트 제어부 (47)에 의해 게이트 (21)가 열린다(S8). 개폐게이트 (21)는 통상시는 닫혀 있어, 승객 수화물이 아닌 물품이 멋대로 분별없이 투입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개폐 게이트 (21)가 열리면, CPU (40)에 의해, 수화물의 투입이 완료하였는지 아닌지가 판단된다(S9). 이 판단은 CPU (39)에서 전송된 수화물 태그 (33)의 발행매수와, 이미 투입된 수화물의 개수를 비교함으로서 이루어진다. 즉 이미 투입된 수화물의 개수가 수화물 태그 (33)의 발행매수에 달하지 않은 때에는 NO 라고 판단되고, 투입된 수화물의 개수가 수화물 태그 (33)의 발행매수에 달하면 YES라 판단된다.
이 시점에서는 아직 수화물이 투입되어 있지 않으므로 NO라고 판단되어, S10 이하의 처리가 행하여진다. 우선 이용자 (31B)에 의해 수화물 (34)에 수화물 태그 (33)가 부착되고 그 수화물 (34)이 투입된다. 즉 개폐 게이트 (21) 내측의 배치대 (22)에 얹어놓이게 된다(S10).
그러면 검지기 (23)에 내장된 사이즈센서와 배치대 (22)에 내장된 중량센서에 의해, 수화물 (34)이 소정의 치수제한 및 중량제한을 충족시키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S11). 제한을 충족시키고 있는 경우에는 (S11 : YES), 검지기 (23)에 내장된 태그리더 (45)에 의해 수화물 태그 (33)의 식별번호가 판독되어, CPU (39)에서 전송된 식별번호와 조회된다 (S12).
그러면 검지기 (23)에 내장된 사이즈센서와 배치대 (22)에 내장된 중량센서에 의해, 수화물 (34)이 소정의 치수제한 및 중량제한을 충족시키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S11). 제한을 충족시키고 있는 경우에는 (S11 : YES), 검지기 (23)에 내장된 태그리더 (45)에 의해 수화물 태그 (33)의 식별번호가 판독되어, CPU (39)에서 전송된 식별번호와 조회된다 (S12). 이것에 의해 투입된 수화물 (34)이 확실히 그 이용자 (31B)의 것임이 확인된다. 확인이 되면, 컨베이어 제어부 (48)에 의해 반송 컨베이어 (35)가 구동되어 (S13), 그 수화물 (34)은 안전 체크게이트 (화물)(11)로 이송된다.
그리고 CPU (40)에서는, 이미 투입된 수화물의 개수를 1 카운터업하여(S16), S9로 복귀하여 다시 투입완료의 판단을 행한다. 투입이 완료되지 않을때는 (S9 : NO), 잔여의 수화물 (34)에 대하여 S10 이하 S16까지의 처리를 반복한다. 투입이 완료되면 (S9 : YES), 게이트 제어부 (47)에 의해 개폐게이트 (21)를 닫고 (S17), 처리를 종료한다. 그리고 승객은 탑승권을 휴대하여 안전 체크게이트 (사람)(8)로 향한다. 이와같이 수화물 (34)에서 해방됨으로서, 그후는 좌석에 가지고 들어갈 정도의 소화물을 제외하고는 수화물을 가지고 다닐 필요가 없다.
S11의 판단에 있어서, 투입된 수화물(34)이 제한에 위반하는 경우에는 (S11 : NO), 화면 (38)에서 그 취지가 이용자 (31B)에게 표시되어(S14), 이용자(31B)는 배치대 (22)에서 그 수화물 (34)을 제거하지 않으면 안된다 (S15). 여기서 화면 (38)에 단순히 표시할 뿐만 아니라, 음성에 의한 경보수단을 설치하여 수화물 (34)의 제거를 촉진하여도 좋다.
IC 카드에 의하지 않는 예약을 한 이용자(31)에 대하여도, 이것과 거의 동등한 수순으로 접수처리를 행한다. 단, 그 경우에는 상기 S1에서 IC 타드 대신에 항공권에 대하여 정보 판독을 행한다. 또, IC 카드의 경우와 다르며 S7에서의 반환은 하지 않고, 항공권은 그대로 회수된다.
액세스터미날 (7)에 투입되어 안전 체크게이트 (11)로 자동반송된 수화물은 곧 안전체크를 받는다. 위험물외에 기내에 가지고 들어가는 것이 금지되어 있는 것이 수화물에 포함되어 있지 않는 지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이 검사결과가 합격인 수화물은 저장 컨베이어 (12)에 이송이 되나, 불합격이 된 수화물은 그대로 보류된다. 또 그 검사결과는 BHS(5)에 이송이 되어, 수화물의 식별번호 마다에 검사결과의 가부가 안전 결과로서 기록된다. 저장 컨베이어 (12)에 이송된 수화물은, 승객 자신의 안 전체크가 끝날때까지 일시적으로 저장된다. 또한 저장 컨베이어 (12)는 액세스 터미날 (7)에서 수화물을 받아 넣으면 그 수화물의 번호를 BHS(5)에 전송하고 BHS(5)는 이것을 수화물의 위치정보로서 사용한다.
한편, 액세스 터미날 (7)에서 접수를 끝낸 승객은, 탑승권을 휴대하여 안전 체크게이트 (8)에서 자기자신의 안전체크를 받는다. 위험물외에 기내에 가지고 들어가는 것이 금지되어 있는 물건을 소지하고 있지 않음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안전 체크게이트 (8)에서는 승객의 안전체크 외에, 수화물의 안전체크 결과를 승객에게 표시한다. 또한 승객은, 액세스 터미날 (7)에서의 접수안전체크를 받기 전에 공항내의 식당이나 매점 등을 이용할 수가 있다.
안전 체크게이트 (8)에서 행하여지는 처리에 대하여 도 6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승객이 안전 체크게이트 (8)에 오면, 우선 승객의 탑승권을 판독한다 (S21). 탑승권의 식별번호는 그 승객을 특정하기 위함이다. 안전 체크게이트 (8)에는 BHS(5)를 통하여 항공회사 시스템 (3)으로부터 탑승권 발행정보파일 (16)의 기록데이터가 제공된다. 그리고 승객의 안전체크가 실시된다.
그리고 그것과 동시에, 승객에 수화물의 안전체크 결과가 알려진다. 이 때문에 S21로 탑승권으로부터 판독한 승객의 식별번호를 기초로, BHS(5)에 액세스하여 그 승객의 소유 수화물의 식별번호 및 그 검사결과가 검색된다 (S-22). 그후의 처리는 검사결과에 불합격이 포함되어 있는지 아닌지에 따라서 상이하다 (S23).
불합격이 없는 경우에는 (S23 ; NO), 그 사실이 그 승객에 알려지는 동시에, 그 승객자신의 안전체크가 종료되었음이 BHS(5)에 전송된다 (S24). 이 정보는 저장 컨베이어 (12)에 전송되고 그 승객 소유 수화물의 저장 컨베이어 (12)로부터 분류 컨베이어 (13)로 옮겨지게 된다 (S25). 또 승객이 자신의 안전체크를 종료한 정보는, BHS(5)로 그 승객의 수화물 번호와 동시에 통과정보로서 기록된다. 더우기 이 정보는, 항공회사 호스트 (3)에도 전송되어, 탑승자의 정보파일 (17)에 기록된다.
S22에서의 검색 결과 그 승객의 수화물에 안전체크가 불합격인 것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S23 : YES), 그 사실 및 그 수화물의 식별번호가 그 승객에 표시된다 (S26). 이 경우에는 당해 승객자신에 의해, 불합격의 해소가 이루어진다. 가지고 온 금지품을 제거하는 등에 의해 불합격이 해소되면, 그 수화물은 분류 컨베이어 (13)에 놓여진다. 또 그 승객의 수화물로서 안전체크에 합격한 것은, 상기 S25와 동일하게 그 승객이 자신의 안전체크를 종료하였음이 전송되어서 분류 컨베이어 (13)로 옮겨진다.
또한 저장 컨베이어 (12)에서 분류 컨베이어 (13)로 수화물이 옮겨지거나, 불합격의 해소가 이루어진 수화물이 분류 컨베이어 (13)로 적재되면, 그 수화물의 번호가 BHS(5)로 전송되어, BHS(5)에서는 이것에 의해 수화물의 위치 정보를 수정한다.
여기서, 도 6과 같은 처리를 행하는 이유를 설명한다. 우선, 수화물의 안전체크시 불합격이 있는 경우에, 곧 그 소유자인 승객을 불러내지 않고 승객이 자신의 안전체크를 위해 안전 체크게이트 (8)를 방문한 때에 알려주는 이유를 설명한다. 즉, 승객은 액세스 터미날 (7)에서의 접수에서 안전 체크게이트 (8)에서의 안전체크까지의 사이에, 공항내의 매점이나 식당 등의 시설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와 같은 시간대에는 불러내어도 승객이 곧 응하지 않는 일이 많기 때문이다. 그런데 승객은 탑승을 위하여는 반드시 안전 체크게이트 (8)를 통과함으로, 그 통과때에 불합격인 수화물을 처리하면 효율이 좋은 처리가 가능할 것이다.
다음에, 수화물을 저장 컨베이어 (12)에서 분류 컨베이어 (13)로 옮겨놓는 것을 그 수화물의 소유자인 승객이 안전체크를 종료한 후에 행하는 이유를 설명한다.
이것은, 탑승하지 않은 자의 수화물을 기내에 싣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승객은 탑승전에 반드시 안전 체크게이트 (8)에서 안전체크를 받으며, 그리고 이 안전체크를 받은 자는 그 항공편에 탑승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이 통과를 수화물을 적재하는 신호로서 이용한 것이다.
안전체크를 종료하여 안전 체크게이트 (8)를 통과한 승객은 해당하는 발착홈의 탑승구 (9)를 통하여 비행기 (32)에 탑승한다. 이때 탑승구 (9)에서는 통과하는 승객의 탑승권 번호를 판독하여 항공회사 호스트 (3)에 전송한다. 그리고 항공회사 호스트 (3)에서는 탑승자 정보파일 (17)에 기록되어 있는 해당하는 탑승권 번호에 탑승완료 플랙을 세운다. 또한 항공편이 국제선인 경우에는 탑승객은 안전 체크게이트 (8)를 통과하여서 탑승구 (9)에 이르기까지의 사이에 출국 검사장에서 출국검사를 받는다.
한편, 수화물에 대하여는, 상기와 같이 안전체크에 합격한 것은 소유주인 승객이 안전 체크게이트 (8)를 통과한 때에 분류 컨베이어 (13)에 옮겨지고, 또 안전체크에 합격하지 않은 것은 소유주인 승객에 의해 불합격의 해소가 된 때에 분류 컨베이어 (13)로 놓여진다. 그리고 분류 컨베이어 (13)에서는 해당하는 항공편의 출발시각까지의 나머지 시간이 소정치(예컨대 30분, 60분 등) 이하로 된 수화물을, 발착홈 마다에준비된 해당 견인차에 놓는다. 그리고 견인차가 그 수화물을 그 발착홈의 비행기 (32)의 수화물 수납고 입구에 운반하고, 그리고 수화물의 적재작업이 행하여진다.
여기서 분류 컨베이어 (13)는, 수화물을 견인차에 놓은 때에 그 수화물 번호와 비행기편과의 정보를 BHS(5)에 전송한다. BHS(5)에서는 이것에 의해 수화물의 위치정보를 수정하고, 항공회사 호스트 (3)에도 전송한다.
항공회사 호스트 (3)에서는 탑승자 정보파일 (17)에 기록되어 있는 해당하는 수화물 번호에 적재완료 플랙을 세운다.
그리고 그 비행기편의 탑승자 정보파일 (17)의 모두의 탑승권 번호 및 수화물 번호에 탑승완료 플랙 또는 적재완료 플랙이 세워지면, 항공회사 호스트(3)에서 그 비행기 (32)에 출발준비완료 사실이 전달된다. 이리하여 당해 비행기 (32)는 출발가능하게 된다.
이상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액세스 터미날 (7)에서 접수시 각 수화물에 식별번호를 부여하여, 항공회사 호스트 (3)의 탑승권 발행정보파일 (16)에 기록되도록 한 것으로, 승객이 자신의 안전체크를 위해 안전 체크게이트 (8)를 방문한 때에 그 탑승권 번호에서 수화물의 번호를 검색하여, 그 수화물의 안전체크 결과를 그 소유주인 승객에 표시할 수가 있다. 그리고 불합격의 수화물이 있는 경우에는 그때에 그 승객에 의해 불합격 해소의 처치를 행할 수가 있다. 따라서 수화물의 안전체크에서 불합격이 발생하여도 매점이나 식당 등을 이용중일 수 있는 승객을 호출할 필요없이 수화물 안전체크 결과를 소유주에게 전달하거나 불합격의 처치를 효율좋게 행할 수가 있다.
또, 안전체크에 합격한 수화물에 대하여는, 저장 컨베이어 (12)에서 분류 컨베이어 (13)로 옮겨 놓는 것을 그 소유주인 승객이 안전 체크게이트 (8)를 통과할 때에 행함으로서, 안전체크에 합격하지 않은 수화물에 대하여는 안전 체크게이트 (8)를 방문한 소유주인 승객에 의해 불합격이 해소된후 분류 컨베이어 (13)로 놓을 수가 있도록 하였으므로, 분류 컨베이어 (13)에는 안전 체크게이트 (8)를 통과한 승객의 수화물만이 놓여진다. 그리고 안전 체크게이트 (8)를 통과한 자는 탑승할 가능성이 크므로, 탑승자의 수화물이 아닌 것이 잘못하여 비행기 (32)에 적재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 액세스터미날 (7)에는 자동체크인 카운터부 (2)와 수화물 투입부 (4)를 가지는 수화물 자동처리장치를 설치하여, 자동체크인 카운터 부 (2)의 데이터 메모리 (41)에 예약데이터를 기억시키는 동시에, 승객의 IC 카드 번호를 카드리더로 판독하여 예약데이터의 검색을 행하도록 한 것으로, IC 카드번호를 신고하여 예약한 이용자가 그 IC 카드를 지참하여 입장하면, 신속히 예약 및 본인확인을 하여 탑승권과 필요한 수화물 태그를 발행할 수가 있다.
그리고, 수화물 태그에는 검색가능한 식별번호가 부여되어 있고, 승객의 수화물에 이 수화물 태그를 부착시켜서 수화물 투입부 (4)에서 받아들이도록 하였으므로, 후단에서의 안전체크 결과 소유주인 승객에게 통지나, 수화물의 항공편 마다의 분류를 용이하게 효율좋게 할 수 있다.
또, 수화물 투입부 (4)는 통상시는 개폐 게이트 (21)를 닫고 있으며, 승객이 자동체크인 카운터부 (2)에서의 처리를 종료하면, 개폐게이트 (21)를 열고, 수화물의 수납을 종료하면 다시 개폐게이트 (21)를 닫도록 한 것이므로, 승객 수화물이 아닌 것이 함부로 투입되는 것이 방지되어 있다. 또 수화물 투입부 (4)에는, 투입된 수화물의 태그를 판독하는 태그리더나 수화물의 사이즈, 중량을 검지하는 센서군을 설치함으로서, 당해 승객의 수화물로 사이즈, 중량의 제한을 만족시키는 것만을 접수할 수가 있다.
그리고, 수화물 투입부 (4)와 안전 체크게이트 (수화물)(11)를 반송 컨베이어 (35)로 연결시킴에 따라, 수화물 투입부 (4)에서 받아들인 수화물은 자동적으로 안전 체크게이트 (수화물)(11)로 이송되어, 승객은 수화물에서 해방된다. 또, 이러한 수화물 자동처리 장치를 공항내의 각 요소 (메인플로어, 버스발착장, 철도역 등)에 설치된 액세스 터미날 (7)에 설치함으로서, 공항에 입장한 승객은 신속하게 접수를 하여 수화물에서 해방된다.
또 자동체크인 카운터부 (2)와 수화물 투입부 (4)에 각각 CPU (39,40)를 설치하였으므로, 자동체크인 카운터부 (2)에서의 처리를 끝낸 승객이 계속하여 수화물 투입부 (4)에서 처리를 하고 있을때에도, 자동체크인 카운터부 (2)에서 다음 승객의 접수를 할 수가 있다.
이상 실시의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로 설계를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는, 이용자는 식별번호를 기록한 IC 카드에 의해, 예약이나 접수를 하려고 하였으나, IC 카드 대신에 자기카드나 광기록 카드를 사용하여도 좋다. 또 이들 카드는 공항시스템 전용의 것으로 할 필요는 없고, 은행이나 신용판매회사 등의 카드와 공용하여도 좋다. 또 자동체크인 카운터부 (2)에서 예약하여 입장한 이용자만이 아니라 예약없이 입장한 이용자의 접수도 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또 출발객을 위한 수화물의 취급만을 표시하였으나, 도착객이나 환승객의 수화물의 취급을 표시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화물의 안전체크에 불합격이 발생한 경우에는, 그 수화물의 소유자인 승객자신의 안전체크때에 그 불합격을 해소시키도록 한 것이므로, 불합격의 수화물이 있는 경우에도 그 소유주를 불러낼 필요가 없고 불합격 수화물에 대한 처리를 효율화한 공항수화물 수납처리방법 및 그 시스템이 제공된다. 그리고 승객자신의 안전체크가 종료한 자의 수화물만을 비행기편 마다의 분류부에 이송토록 한 것이므로, 탑승하는 것이 확실한 자의 수화물만을 수납고 내에 적재하고, 일단 적재한 수화물을 끌어내릴 필요가 없는 공항수화물 수납처리방법 및 그 시스템이 제공되어 있다.
또 승객이 스스로 조작하여 수화물의 예입을 할 수 있으며, 오퍼레이터를 배치할 필요가 없는 공항수화물 자동처리장치를 제공할 수가 있으며, 수화물 분류 시스템의 처리용량을 용이하게 증대시킬 수가 있다.

Claims (17)

  1. 승객의 수화물을 수납하여 항공기의 수화물 수납고에 적재하는 공항수화물의 수납처리방법에 있어서,
    접수시에 승객 및 그 수화물을 특정할 수 있는 식별정보를 상기 수화물과 그 소유자인 승객에게 부여하는 단계와,
    수화물의 안전체크시에 그 결과를 기억하는 단계와,
    승객의 안전체크시에 그 승객의 식별정보에 의거하여 수화물의 안전체크 결과를 검색하는 단계와,
    그 승객의 소유 수화물에 안전체크 결과가 불합격인 것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그 결과를 그 승객에 알려서 불합격 이유의 해소를 그 승객이 행하도록 하는 단계와,
    불합격이 해소된 수화물을 항공편 마다의 분류부에 반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화물 수납처리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승객이 예약할 때에 수화물에 관한 정보를 신고시켜서 기억하는 동시에 그 예약을 특정할 수 있는 예약정보를 그 승객에게 부여하는 단계와,
    접수시에 승객이 신고한 예약정보에 의거하여 그 승객의 수화물에 관한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식별정보를 부여하는 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항수화물의 수납처리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승객이 예약할때에 상기 예약정보를 그 승객의 고유 기록매체에 기록하고, 접수시에 그 승객의 상기 기록매체에서 상기 예약정보를 판독하는 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항수화물의 수납처리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승객의 안전체크시의 검색결과에 의거하여 그 승객의 소유 수화물로서 안전체크 결과가 합격인 것을 항공편 마다의 분류부에 이송하는 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항수화물의 수납처리방법.
  5. 승객의 수화물을 수납하여 항공기의 수화물 수납고로 적재하는 공항 수화물의 수납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수화물의 식별정보 및 안전체크결과와 상기 승객의 식별정보를 상호 검색가능하게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승객의 안전체크시에 그 승객의 식별정보에 의해 상기 기억수단을 검색하여 그 승객의 소유 수화물에 안전체크 결과가 불합격인 것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그 결과를 그 승객에 알리는 알림수단과,
    불합격의 이유가 그 승객에 의해 해소된 수화물을 항공편 마다로 분류하는 분류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화물 수납처리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부는 안전체크에 합격한 수화물이라도 그 소유자가 자신의 안전체크를 종료한 것을 항공편 마다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항수화물의 수납처리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안전체크에 합격한 수화물을 그 소유자가 자신의 안전체크를 종료하기 까지 저장하는 저장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항수화물의 수납처리 시스템.
  8. 제 5 항에 있어서, 접수시에 승객 및 그 수화물을 특정할 수 있는 식별정보를 상기 수화물과 그 소유자인 승객에 부여하는 동시에 상기 기억수단으로 기억시키는 접수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항 수화물의 수납 처리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승객이 예약할 때에 수화물에 관한 정보를 신고시켜서 기억하는 동시에 그 예약을 특정할 수 있는 예약정보를 그 승객에 부여하는 예약수단을 가지며,
    상기 수납수단은, 상기 예약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식별정보의 부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항수화물의 수납처리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접수수단은 접수시에 승객이 신고한 예약정보와 상기 예약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예약정보를 비교하여, 양 예약정보가 일치된 경우에 상기 식별정보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항수화물의 수납처리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예약수단은, 예약시에 상기 예약정보를 그 승객의 고유의 기억매체에 기록하고,
    상기 접수수단은 접수시에 그 승객의 상기 기록매체에서 상기 예약정보를 판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항수화물의 수납처리 시스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접수수단이 상기 식별정보를 부여하는데 있어 그 식별정보를 기록한 수화물 태그를 발행하는 태그 발행수단과,
    상기 수화물 태그가 부착된 수화물을 수령하는 수화물 수령수단을 가지며,
    상기 수화물 수령수단이 수령한 수화물에 대하여 안전체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항수화물의 수납처리 시스템.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수단이 상기 식별정보를 부여하는 때에 그 식별정보를 기록한 수화물 태그를 발행하는 태그 발행수단과,
    상기 수화물 태그가 부착된 수화물을 수령하는 수화물 수령수단을 가지며,
    상기 수화물 수령수단이 수령한 수화물에 대하여 안전체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항수화물의 수납처리 시스템.
  14. 제 12 항에 있어서, 통상시는 상기 수화물 수령수단에 의한 수화물의 수령이 금지되어 있으며,
    상기 태그 발행수단에 의해 수화물 태그가 발행된 때에 그 금지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항수화물의 수납처리 시스템.
  15. 제 13 항에 있어서, 통상시는 상기 수화물 수납수단에 의한 수화물의 수령이 금지되어 있으며,
    상기 태그발행수단에 의해 수화물 태그가 발행된 때에 그 금지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항수화물의 수납처리 시스템.
  16. 항공기에 탑승하는 승객의 수화물을 수납하는 공항 수화물의 자동처리장치에 있어서,
    미리 입력된 탑승정보를 예약정보로서 기억하는 예약정보 기억수단과,
    수화물의 접수시에 승객지참의 기록매체에 기록된 예약정보를 판독하는 판독수단과,
    상기 판독수단이 판독한 예약정보와 상기 예약정보 기억수단에 기억된 예약정보를 비교하는 비교수단과,
    상기 비교수단에 의한 비교의 결과 양 정보가 일치된 경우에 탑승정보를 기록한 수화물 태그를 발행하는 태그 발행수단과,
    상기 수화물 태그가 부착된 수화물을 수령하는 수화물 수령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항 수화물의 자동처리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수화물 수령수단으로의 수화물의 수령을 금지가능한 금지수단과,
    통상시는 상기 금지수단으로 수화물의 수령을 금지시키고, 상기 태그 발행수단에 의해 수화물 태그가 발행된 때에 상기 금지수단으로 금지를 해제시키는 제어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항수화물의 자동처리장치.
KR1019960042178A 1995-10-24 1996-09-24 공항수화물의 수납처리방법, 공항수화물의 수납처리시스템 및 공항수화물의 자동처리장치 KR1002289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300709 1995-10-24
JP95-300708 1995-10-24
JP30070995A JP3317111B2 (ja) 1995-10-24 1995-10-24 手荷物自動処理装置
JP30070895A JP3715009B2 (ja) 1995-10-24 1995-10-24 手荷物受入処理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0894A KR970020894A (ko) 1997-05-28
KR100228994B1 true KR100228994B1 (ko) 1999-11-01

Family

ID=26562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2178A KR100228994B1 (ko) 1995-10-24 1996-09-24 공항수화물의 수납처리방법, 공항수화물의 수납처리시스템 및 공항수화물의 자동처리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793639A (ko)
EP (1) EP0770546B1 (ko)
KR (1) KR100228994B1 (ko)
CN (1) CN1058243C (ko)
CA (1) CA2186076A1 (ko)
DE (1) DE69630938T2 (ko)
HK (1) HK1010715A1 (ko)
MY (1) MY11884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16825A1 (en) * 1993-06-08 2001-08-23 Pugliese, Anthony V. Electronic ticketing and reservation system and method
US6108636A (en) * 1996-10-15 2000-08-22 Iris Corporation Berhad Luggage handling and reconciliation system using an improved security identification document including contactless communication insert unit
US8183998B2 (en) 1996-12-16 2012-05-22 Ip Holdings, Inc. System for seamless and secure networking of implantable medical devices, electronic patch devices and wearable devices
US6169789B1 (en) * 1996-12-16 2001-01-02 Sanjay K. Rao Intelligent keyboard system
US6119096A (en) * 1997-07-31 2000-09-12 Eyeticke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aircraft passenger check-in and boarding using iris recognition
US6158658A (en) * 1997-08-27 2000-12-12 Laser Data Command, Inc. System and method for matching passengers and their baggage
US6014628A (en) * 1997-11-03 2000-01-11 Exigent International, Inc. Method and system for tracking any entity through any set of processes utilizing a temporal projection
US6044353A (en) * 1998-03-10 2000-03-28 Pugliese, Iii; Anthony V. Baggage check-in and security system and method
US6609656B1 (en) * 1998-03-27 2003-08-26 Micron Technology, Inc. Method and system for identifying lost or stolen devices
DE19824323B4 (de) * 1998-06-02 2004-01-29 Mvs-Imci Maschinen- Und Verpackungs-Service Gmbh Verfahren zur Überwachung des Durchgangs einer Gruppe unabhängiger Objekte durch einen Durchgangsbereich sowie Überwachungssystem
FR2779545A1 (fr) * 1998-06-08 1999-12-03 Skysafe System Procede et dispositif de controle de l'integrite d'un bagage de l'embarquement au debarquement
US10728381B2 (en) * 1999-06-04 2020-07-28 Raman K. Rao Reconfigurable mobile device interfaces supporting authenticated high quality video, audio, TV and multimedia services
DE19934095A1 (de) * 1999-07-21 2001-01-25 Abb Patent Gmbh Verfahren und Anordnung zur automatisierten Beförderung, Sortierung und Verladung von Gepäckstücken
US6698653B1 (en) 1999-10-28 2004-03-02 Mel Diamond Identification method, especially for airport security and the like
US6342836B2 (en) * 2000-02-25 2002-01-29 Harry I. Zimmerman Proximity and sensing system for baggage
JP2001297139A (ja) * 2000-04-12 2001-10-26 Hudson Soft Co Ltd 手荷物管理システム
US7599847B2 (en) 2000-06-09 2009-10-06 Airport America Automated internet based interactive travel planning and management system
US10142836B2 (en) 2000-06-09 2018-11-27 Airport America, Llc Secure mobile device
US7315567B2 (en) * 2000-07-10 2008-01-01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artial interference cancell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DE10040550A1 (de) * 2000-08-15 2002-03-07 Kahl Elektrotechnik Gmbh Vorrichtung zur automatischen Erkennung von mit elektronischen Tags versehenen Gepäckstücken
US6512964B1 (en) 2000-09-20 2003-01-28 Baggagedirect.Com, Inc. Baggage transportation method
US6807458B2 (en) * 2000-09-20 2004-10-19 Steve Quackenbush Baggage transportation security system
US6750757B1 (en) * 2000-10-23 2004-06-15 Time Domain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luggage handling
US20020095318A1 (en) * 2001-01-18 2002-07-18 Travis Parry Electronic ticket squirting
US20030085268A1 (en) * 2001-11-07 2003-05-08 Kruse Trisha S.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 baggage tag having traveler information useful for reconciliation of mishandled baggage with the traveler
US7023356B2 (en) 2001-11-26 2006-04-04 Aero-Vision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individuals and objects associated with wireless identification tags
WO2003054688A1 (en) * 2001-11-27 2003-07-03 Elishah Ben-Ezra Automated airport luggage system
US20050083171A1 (en) * 2001-12-10 2005-04-21 Sharon Hamilton Security systems
AU2002365052A1 (en) * 2001-12-21 2003-07-30 Gregg Panek System for separate shipping of passenger bagagge
EP1479033A4 (en) * 2002-02-01 2008-11-26 Amnon Rasin PERSONALIZED BOARDING CARD
US7738995B2 (en) * 2002-02-12 2010-06-15 United Parcel Service Of Americ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use in electronic processing of foreign origin and export shipments and/or passengers and baggage at security check points
JP3807496B2 (ja) * 2002-03-18 2006-08-09 富士通株式会社 荷物配送先管理方法、装置及びプログラム
IL150251A (en) * 2002-06-16 2007-06-03 Securelogic Ltd Screening system for objects in transit
US7086591B2 (en) * 2002-08-21 2006-08-08 Alaska Airlines, Inc. Airport check-in system and method
US6970088B2 (en) * 2002-10-17 2005-11-29 Compex, Inc. Method for tracking and processing passengers and their transported articles
US7310568B2 (en) * 2002-10-21 2007-12-18 Mateer Craig C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passenger and baggage check-in
US7802724B1 (en) 2002-12-20 2010-09-28 Steven Paul Nohr Identifications and communications methods
US7270227B2 (en) 2003-10-29 2007-09-18 Lockheed Martin Corporation Material handling system and method of use
WO2005055151A1 (ja) * 2003-12-03 2005-06-16 Hitachi, Ltd. 搭乗セキュリティチェックシステムおよび方法なら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7801833B2 (en) * 2003-12-22 2010-09-21 Endicott Interconnect Technologies, Inc. Item identification control method
US8965460B1 (en) 2004-01-30 2015-02-24 Ip Holdings, Inc. Image and augmented reality based networks using mobile devices and intelligent electronic glasses
US11455799B2 (en) 2004-01-30 2022-09-27 Airspace Reality Image networks for mobile communication
US10140514B1 (en) 2004-01-30 2018-11-27 Ip Holdings, Inc. Capturing and sharing images with mobile device users including for a limited duration of time
NL1025759C2 (nl) * 2004-03-18 2005-09-20 Vanderlande Ind Nederland Check-in systeem.
US7183906B2 (en) * 2004-03-19 2007-02-27 Lockheed Martin Corporation Threat scanning machine management system
US20050251397A1 (en) * 2004-05-04 2005-11-10 Lockheed Martin Corporation Passenger and item tracking with predictive analysis
US20050251398A1 (en) * 2004-05-04 2005-11-10 Lockheed Martin Corporation Threat scanning with pooled operators
US7212113B2 (en) * 2004-05-04 2007-05-01 Lockheed Martin Corporation Passenger and item tracking with system alerts
US7613622B2 (en) * 2004-05-07 2009-11-03 Satish Jindel System and method for unbundling baggage costs from airfare prices
DE102005012933B3 (de) * 2005-03-15 2006-10-26 Dahlmann, Rainer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Orten, Verfolgen und Wiederauffinden von Gepäckstücken
US7684421B2 (en) * 2005-06-09 2010-03-23 Lockheed Martin Corporation Information routing in a distributed environment
US20060282886A1 (en) * 2005-06-09 2006-12-14 Lockheed Martin Corporation Service oriented security device management network
CN100462154C (zh) * 2005-06-16 2009-02-18 中国民用航空总局第二研究所 应用在物件分拣系统的物件栅格式跟踪方法及其跟踪装置
CN100443196C (zh) * 2005-06-16 2008-12-17 中国民用航空总局第二研究所 一种应用在自动行李分拣系统的行李跟踪定位方法及其跟踪定位装置
CN100462153C (zh) * 2005-06-16 2009-02-18 中国民用航空总局第二研究所 机场行李自动处理系统及其处理方法
WO2007098366A2 (en) * 2006-02-16 2007-08-30 Traceguard Technologies Inc. Trace collection system and method
DE102006022144A1 (de) * 2006-05-11 2007-11-15 Airbus Deutschland Gmbh Sortier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Sortieren von Transportgütern für ein Flugzeug
US20080018451A1 (en) * 2006-07-11 2008-01-24 Jason Benfielt Slibeck Passenger screening system and method
US20080060910A1 (en) * 2006-09-08 2008-03-13 Shawn Younkin Passenger carry-on bagging system for security checkpoints
NL1033178C2 (nl) * 2007-01-05 2008-07-11 Scarabee Id B V Bagage-afgiftesysteem.
AU2013203485B2 (en) * 2007-01-05 2016-03-17 Scarabee Id B.V. Baggage Deposit System
US8688496B1 (en) * 2008-07-31 2014-04-01 American Airlines, Inc.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articles such as airline transfer bags
IL193440A (en) * 2008-08-13 2015-01-29 Verint Systems Ltd Systems and method for securing boarding area
DE102009022666B4 (de) * 2009-05-26 2018-06-07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Betrieb einer Anlage zum Fördern und Sortieren von Gepäckstücken
US20110054952A1 (en) * 2009-08-31 2011-03-03 Mateer Craig C Remote check-in system
GB2481191A (en) 2010-02-25 2011-12-21 Sita Information Networking Computing Ireland Ltd Graphical development tool for software application development
EP3173988A1 (en) * 2010-07-28 2017-05-31 ICM Airport Technics Australia Pty Ltd Luggage processing station
MY158867A (en) 2010-12-21 2016-11-16 Sita N V Reservation system and method
ES2389340B1 (es) * 2011-03-28 2013-09-03 Siemens Sa Sistema de facturacion integral.
US9268054B2 (en) * 2011-07-07 2016-02-23 Robert Osann, Jr. Synchronized robotic baggage portal for secure access
NL2007140C2 (nl) * 2011-07-19 2013-01-22 Vanderlande Ind Bv Transportsysteem voor bagagestukken, check-in systeem voorzien van een dergelijk transportsysteem en werkwijze voor toepassing van een dergelijk transportsysteem.
RU2589315C2 (ru) 2011-08-03 2016-07-10 СИТА ИНФОРМЕЙШН НЕТВОРКИНГ КОМПЬЮТИНГ ЮЭсЭй, ИНК Система обработки и отслеживания предметов и способ для этого
TWI547881B (zh) * 2011-12-30 2016-09-01 富智康(香港)有限公司 機場行李監控系統及方法
GB2499288A (en) 2012-02-09 2013-08-14 Sita Inf Networking Computing Usa Inc Path determination
NL2008607C2 (en) 2012-04-05 2013-10-09 Quintech Engineering Innovations B V Method and system for depositing and checking of baggage into airline flights.
US9659336B2 (en) 2012-04-10 2017-05-23 Bags, Inc. Mobile baggage dispatch system and method
DE102012013247B4 (de) * 2012-07-04 2019-01-17 Fraport Ag Frankfurt Airport Services Worldwide Vorrichtung zur Gepäckannahme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r solchen Vorrichtung
FR2995710B1 (fr) * 2012-09-18 2014-09-26 Ier Procede et systeme de depose automatique de bagages
CN104755375A (zh) * 2012-10-31 2015-07-01 克瑞斯普兰股份有限公司 用于处理机场中早到的行李的方法和系统
ES2617435T5 (es) 2012-10-31 2020-11-30 Beumer Group As Método de distribución de equipajes de aeropuerto
ITRM20120661A1 (it) * 2012-12-21 2014-06-22 Enrico Gentili Dspositivo e metodo per il controllo di un bagaglio.
US10142496B1 (en) 2013-01-26 2018-11-27 Ip Holdings, Inc. Mobile device image capture and image modification including filters, superimposing and geofenced comments in augmented reality
US9300645B1 (en) 2013-03-14 2016-03-29 Ip Holdings, Inc. Mobile IO input and output for smartphones, tablet, and wireless devices including touch screen, voice, pen, and gestures
US10320908B2 (en) 2013-03-25 2019-06-11 Sita Information Networking Computing Ireland Limited In-flight computing device for aircraft cabin crew
WO2014177361A1 (de) * 2013-04-29 2014-11-06 Siemens Aktiengesellschaft Gepäckabfertigungssystem für einen flughafen
EP2886466A1 (en) * 2013-12-19 2015-06-24 Siemens Aktiengesellschaft Check-in unit
GB2523441A (en) 2014-02-19 2015-08-26 Sita Information Networking Computing Ireland Ltd Reservation system and method therefor
MY177646A (en) 2014-02-28 2020-09-23 Icm Airport Technics Australia Pty Ltd Luggage processing station and system thereof
NL2013002B1 (nl) * 2014-06-16 2016-07-04 Vanderlande Ind Bv Inrichting voor het ondersteunen van een voorwerp, zoals een bagagestuk, alsmede een daaraan gerelateerde werkwijze.
DE102014110011A1 (de) * 2014-07-16 2016-01-21 Fraport Ag Frankfurt Airport Services Worldwide Vorrichtung, Schalter und Verfahren zur Aufgabe von Gepäckstücken
CN104444231B (zh) * 2014-12-01 2016-05-18 青岛橡胶谷知识产权有限公司 一种用于铁路火车行李快速托运的自动检测与托运装置
US10001546B2 (en) 2014-12-02 2018-06-19 Sita Information Networking Computing Uk Limited Apparatus for monitoring aircraft position
CN104502368B (zh) * 2014-12-29 2018-11-23 同方威视技术股份有限公司 一体化安全检查系统
CA2917705C (en) 2015-02-25 2019-06-18 Jervis B. Webb Company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ed luggage security inspection
ES2895139T3 (es) 2015-06-01 2022-02-17 Sita Information Networking Computing Uk Ltd Procedimiento y sistema para monitorizar el estado de una aeronave usando los mensajes de aviso de instalaciones de servicios de tráfico aéreo
ITUB20156842A1 (it) * 2015-12-07 2017-06-07 Mectho S R L Stazione di accettazione di articoli e procedimento di accettazione di questi ultimi
ITUB20156838A1 (it) * 2015-12-07 2017-06-07 Mectho S R L Stazione di accettazione di articoli e procedimento di accettazione di questi ultimi
EP3229044B8 (en) * 2016-04-08 2019-03-20 Vanderlande Industries B.V. System and method for screening objects
CN105931303A (zh) * 2016-04-21 2016-09-07 关胜晓 一种铁路客运智能安全通行系统及通行方法
CN106097510A (zh) * 2016-06-21 2016-11-09 成都锦汇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助行李托运系统
CN106127891A (zh) * 2016-06-21 2016-11-16 成都锦汇科技有限公司 一种行李自助托运的方法
IT201600123361A1 (it) * 2016-12-05 2018-06-05 Mectho S R L Stazione di accettazione di articoli e procedimento di accettazione di questi ultimi
USD836625S1 (en) 2016-12-08 2018-12-25 Sita Information Networking Computing Canada, Inc. Self-service kiosk
US10620013B2 (en) 2017-03-09 2020-04-14 Sita Information Networking Computing Usa, Inc. Tes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testing a location-based application on a mobile device
US10360785B2 (en) 2017-04-07 2019-07-23 Sita Information Networking Computing Usa, Inc. Article tracking system and method
USD881961S1 (en) 2017-05-19 2020-04-21 Sita Information Networking Computing Usa, Inc. Robot
US10805578B2 (en) * 2017-08-18 2020-10-13 Thomas Harold Gordon Luggage insurance photo service machine
CN107521505A (zh) * 2017-09-13 2017-12-29 雷子墨 一种具有航站楼基本功能的地铁系统
US11410088B2 (en) 2017-11-03 2022-08-09 Sita Ypenburg B.V.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actions between ticket holders and self service functions
CN107991327B (zh) 2018-01-05 2021-02-09 同方威视技术股份有限公司 安检系统和方法
CN108846464A (zh) * 2018-08-28 2018-11-20 上海微能电子设备有限公司 一种基于rfid的乘客与随身行李对应安检方法和系统
USD1002411S1 (en) 2019-10-25 2023-10-24 Icm Airport Technics Australia Pty Ltd Baggage scanner array
USD1027692S1 (en) 2019-10-25 2024-05-21 Icm Airport Technics Australia Pty Ltd Baggage scanner station
CN112623250B (zh) * 2020-12-25 2023-05-23 民航成都物流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行李高速自动处理系统的运载小车
CN113568063A (zh) * 2021-08-04 2021-10-29 昆明昆船逻根机场系统有限公司 一种行李授权集中开包检查方法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11994A (en) * 1986-01-17 1987-12-08 Princeton Synergetics, Inc. Security system for correlating passengers and their baggage
JPS63143665A (ja) * 1986-12-05 1988-06-15 Omron Tateisi Electronics Co 自動チエツクイン機
JPH02265813A (ja) * 1989-04-04 1990-10-30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空港手荷物仕分けシステム
DE69122214T2 (de) * 1990-11-20 1997-04-24 Symbol Technologies Inc Passagiersicherheits- und Gepäckkontrollsystem
US5225990A (en) * 1991-03-26 1993-07-06 Brals Limited Apparatus and methods for baggage reconciliation and loc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5501A (zh) 1997-07-30
DE69630938T2 (de) 2004-11-04
DE69630938D1 (de) 2004-01-15
CN1058243C (zh) 2000-11-08
HK1010715A1 (en) 1999-06-25
CA2186076A1 (en) 1997-04-25
KR970020894A (ko) 1997-05-28
MY118848A (en) 2005-01-31
EP0770546A1 (en) 1997-05-02
US5793639A (en) 1998-08-11
EP0770546B1 (en) 2003-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8994B1 (ko) 공항수화물의 수납처리방법, 공항수화물의 수납처리시스템 및 공항수화물의 자동처리장치
US6044353A (en) Baggage check-in and security system and method
CN109725011A (zh) 行李安检装置
US20140241837A1 (en) Device and method for the handling of luggage
EP2390845A1 (en) Check-point apparatus to manage the access to restricted-acces areas
CN111530777A (zh) 自助式行李物品安检通道及方法
WO2003065166A2 (en) Novel method to secure airline travel
JP3317111B2 (ja) 手荷物自動処理装置
CN110449377B (zh) 一种自动安全检查系统
US9656767B2 (en) Automatic bag drop method and system
JP3523745B2 (ja) 空港手荷物表示盤システム
CN107545657A (zh) 行李托运系统及方法
CN107688914A (zh) 铁路行李托运系统及方法
US7183916B2 (en) Method for identifying packages in transit
JP2003104562A (ja) 手荷物管理方法および手荷物管理システム
KR102154427B1 (ko) 위탁 수하물 처리 방법 및 위탁 수하물 처리 시스템
JP3715009B2 (ja) 手荷物受入処理システム
JPH06318277A (ja) 空港における乗客と預り荷物の出入管理方法
KR20230057598A (ko) 항공 수화물의 자동분류 택배 배송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항공 수화물 택배 배송 방법
JP2007503638A (ja) エアトラベルシステム
JP4649772B2 (ja) 媒体発行システム
RU2009106829A (ru) Система для управления и контроля за перемещением людей и/или предметов в оборудованных зонах
JP2000285268A (ja) 自動改札機と自動改札機の判定方法
JPH09185731A (ja) 自動改札システム
JPH07320104A (ja) 自動改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1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